KR20080015785A - 승용형 이앙기 - Google Patents

승용형 이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15785A
KR20080015785A KR1020077024886A KR20077024886A KR20080015785A KR 20080015785 A KR20080015785 A KR 20080015785A KR 1020077024886 A KR1020077024886 A KR 1020077024886A KR 20077024886 A KR20077024886 A KR 20077024886A KR 20080015785 A KR20080015785 A KR 200800157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veling body
upper column
column
rice transplanter
trave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248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19896B1 (ko
Inventor
마코토 이노우에
유우스케 이치카와
야스히로 하시모토
Original Assignee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5168642A external-priority patent/JP4616705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5169930A external-priority patent/JP4823575B2/ja
Application filed by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157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57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98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98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51/00Undercarriages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on various kinds of agricultural tools or apparatus
    • A01B51/02Undercarriages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on various kinds of agricultural tools or apparatus propelled by a motor
    • A01B51/026Undercarriages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on various kinds of agricultural tools or apparatus propelled by a motor of the automotive vehicle type, e.g. including driver accommodati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01C11/003Transplanting machines for aquatic plants; for planting underwater, e.g. ric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01C11/02Transplanting machines for seedl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B62D1/18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200/00Transmissions for multiple ratios
    • F16H2200/003Transmissions for multiple ratios characterised by the number of forward speeds
    • F16H2200/0039Transmissions for multiple ratios characterised by the number of forward speeds the gear ratios comprising three forward speeds

Abstract

본 발명은 작업자가 지상에 내려서 주행기체를 조작할 때에 확실한 작업을 행할 수 있는 승용형 이앙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엔진의 회전 동력을 좌우의 전륜에 균등하게 분배하는 디퍼렌셜 기어 작동상태와, 좌우의 전륜이 일체 회전하는 디퍼렌셜 기어 락 상태로 스위칭 가능한 전륜 디퍼렌셜 장치를 갖는 농작업기에 있어서, 핸들을 상단에 구비한 상부 칼럼(46)과 하부 칼럼(45)을 틸트기구(47)를 통해서 전후로 굴곡운동 가능하게 하고, 앞으로 경사시키는 상부 칼럼(46)을 하부 칼럼(45)에 대하여 소정값 이하의 끼인각까지 굴곡시키면, 그 동작에 연동하는 연동기구(67)가 작동하여 전륜 디퍼렌셜 장치를 디퍼렌셜 기어 락 상태로 한다.
이앙기

Description

승용형 이앙기{RIDING TYPE RICE TRANSPLANTER}
본 발명은 주행기체 상에서와 주행기체의 전방에서 전륜의 스티어링 조작이 선택적으로 가능하게 되도록, 스티어링 칼럼을 전후 방향으로 굴곡할 수 있게 구성된 승용형의 이앙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통상의 모내기 작업시에는 오퍼레이터가 주행기체에 탑승한 채 전진 방향을 향해서 조향 조작할 수 있는 한편, 논두렁 넘기나 트럭 등의 운반기에 대하여 싣거나 내리거나 할 경우에는 오퍼레이터가 주행기체로부터 내려온 상태에서 주행기체를 조작할 수 있도록 구성한 승용형 이앙기로서, 특허문헌 1에서는 전후 4륜 구동으로 구성되어 있는 주행기체의 후부측에 엔진 및 미션 케이스를 탑재하고, 주행기체의 앞부의 프레임에 세워서 설치한 하부 조작축과, 전륜의 스티어링을 위한 둥근 핸들이 상단에 부착된 상부 조작축이 틸트 지점을 갖는 유니버설 조인트를 통해서 연결되어, 전후 경사각도를 변경할 수 있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그리고, 특허문헌 1에서는, 상부 조작축이 회동 가능하게 내장된 통(칼럼)의 하단이며 상기 틸트 지점 근방에 고정된 고정 캠의 상측 외주에 복수의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주행기체의 앞부에 세워서 설치한 보닛의 내면에 상하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틸트 락 레버는 스프링에 의해 하향으로 바이어스되고, 이 틸트 락 레버에 하향으로 돌출된 돌기부가 상기 복수의 오목부 중 하나에 선택적으로 끼워맞출 수 있고, 이것에 의해, 상기 통의 전경 각도를 적절히 변경한 자세로 유지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보닛에는 상기 통이 통과할 수 있는 주행기체의 전후 방향으로 긴 장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틸트 락 레버는 주행기체에 탑승하는 오퍼레이터에 접근하는 후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특허문헌 1에서는, 주행기체의 앞부의 보닛의 일측 부위에 주 클러치 페달이 설치되어 있다. 이 주 클러치 페달은 주행기체의 둥근 핸들보다 후부위의 좌석에 앉는 오퍼레이터가 발로 하향으로 밟을 때, 엔진으로부터 미션 케이스로의 동력 전달이 끊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주 클러치 페달의 암에 보조 레버의 베이스부를 고정하고, 보조 레버의 선단을 주행기체보다 전방으로 연장하도록 배치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제 1 도 참조).
이 구성에 의해, 오퍼레이터는 주행기체에 탑승한 상태에서도, 주행기체의 전방에 내려서 지상에서도, 둥근 핸들에 의한 조향 조작과, 주 클러치의 접속/차단 조작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특허문헌 1 : 일본 특허 제2574680호 공보(제 1 도, 제 4 도 및 제 5 도 참조)
그러나, 특허문헌 1의 구성에 의하면, 전륜 구동의 전동기구 중에 전륜 디퍼렌셜 장치를 구비하고, 엔진의 회전 동력을 좌우의 전륜에 균등하게 분배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논두렁 혹은 그 근방의 포장의 지면의 상황에 따라서는 전륜의 좌우의 어느 한쪽이 슬립되어 버러, 논두렁 넘기 작업을 원활하게 행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도록 이루어진 것이며, 오퍼레이터가 지상에 내려와서 주행기체의 전방에 있어서 조향 조작을 가능하게 하고, 또한 전륜 디퍼렌셜 장치에 디퍼렌셜 기어 락 작동이 걸리도록 하여, 지상 조작의 확실성을 확보할 수 있는 승용형 이앙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의 승용형 이앙기는, 좌우 한쌍의 전륜 및 후륜을 구비한 주행기체 앞부에 엔진 등의 동력부를 배치하고, 주행기체 뒷부에 모 식부장치를 승강시킬 수 있도록 연결한 승용형 이앙기에 있어서, 상기 주행기체 앞부에는 상기 엔진의 배치 위치보다 앞측에 상기 전륜의 스티어링용 하부 칼럼을 세워서 설치하고, 상기 하부 칼럼에 대하여 핸들축 및 핸들을 구비한 상부 칼럼을 주행기체의 전후 방향으로 굴곡 가능하게 연결해서 주행기체 상과 상기 주행기체의 전방으로부터 선택적으로 조작 가능하게 구성하는 한편, 상기 주행기체에 구비한 미션 케이스에는 상기 좌우 양 전륜에 대한 디퍼렌셜 기어 락 기구를 설치하고, 상기 주행기체의 전방으로의 상기 상부 칼럼의 굴곡운동에 연동해서 상기 디퍼렌셜 기어 락 기구가 작동하는 연동기구를 구비한 것이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승용형 이앙기에 있어서, 상기 주행기체의 전방으로의 상기 상부 칼럼의 굴곡시에 있어서의 하부 칼럼의 축선과 상부 칼럼의 축선의 끼인각이 소정값 이하일 때, 상기 연동기구는 상기 디퍼렌셜 기어 락 기구가 작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 또는 2에 기재된 승용형 이앙기에 있어서, 상기 주행기체의 전방으로의 상기 상부 칼럼의 굴곡시에 있어서의 하부 칼럼의 축선과 상부 칼럼의 축선의 끼인각이 소정값 이하일 때, 상기 핸들의 회동을 저지하는 핸들 락 기구를 구비한 것이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승용 이앙기에 있어서, 상기 엔진 및 상기한 칼럼을 적어도 둘러싸는 프론트 보닛에는 상기 상부 칼럼이 전방으로 통과할 수 있는 평면으로 볼 때에 대략 U자 형상 개구부를 형성하고, 상기 상부 칼럼에는 이것과 일체적으로 전후 이동하고, 또한 상기 프론트 보닛에 있어서의 상기 U자 형상 개구부의 적어도 일부를 외측으로부터 덮도록 형성된 가동 커버체를 설치하고, 상기 상하 칼럼의 연결부에는 상기 상부 칼럼의 굴곡자세를 변경 및 유지하기 위한 자세 조절수단을 설치하고, 상기 자세 조절수단의 조작부재는 상기 상부 칼럼의 전방으로의 회동각도가 커짐에 따라 상부 칼럼에 대한 상대각도가 변경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4에 기재된 승용 이앙기에 있어서, 상기자세 조절수단의 조작부재는 상기 가동 커버체의 앞부에 대한 보조 커버체에 관련해서 설치되어 있는 것이다.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승용 이앙기에 있어서, 상기 주행기체의 상면을 덮는 차체 커버에 있어서의 상기 전륜 또는 상기 후륜의 근방에는 개구부를 형성하여, 상기 주행기체의 전방에 위치하는 조종자가 상기 개구부를 통해서 상기 전륜 또는 상기 후륜을 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개구부를 구성한 것이다.
청구항 7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6에 기재된 승용 이앙기에 있어서, 상기후륜의 근방에 형성된 개구부에는 측면으로 볼 때에 상기 주행기체의 전방에 위치하는 조종자(오퍼레이터)의 상기 후륜에 대한 시선과 대략 평행한 격벽이 설치되어 있는 것이다.
(발명의 효과)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승용형 이앙기를 논두렁을 넘게 하거나, 노상으로부터 경사 디딤판을 올라서 트럭에 실을 때, 주행기체에서 내린 작업자(오퍼레이터)는 주행기체의 전방으로 돌고, 이어서 핸들을 주행기체의 전방에 가깝도록 상부 칼럼을 앞으로 경사(굴곡)시킨다. 이 상부 칼럼의 굴곡운동에 연동해서 디퍼렌셜 기어 락 기구가 작동하고, 좌우 양 전륜이 일체적으로 회전해서 한쪽의 전륜만의 슬립 현상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논두렁 넘기 작업이나 트럭으로의 바꾸어 싣는 작업을 확실하게 실행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갖는다.
그리고,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상부 칼럼을 크게 앞으로 경동시키면 상기 디퍼렌셜 기어 락 기구가 작동하여 좌우 양 전륜의 디퍼렌셜 기어 락 작동으로 되고, 반대로 주행기체의 전방으로의 상기 상부 칼럼의 굴곡시에 있어서의 하부 칼럼의 축선과 상부 칼럼의 축선의 끼인각이 소정값 이상일 때에는, 비디퍼렌셜 기어 락 상태로 된다고 하는 바와 같이, 상부 칼럼의 전방 경사 자세의 정도에 의해, 디퍼렌셜 기어 락 작동상태(또한 핸들 락 작동상태)와, 비디퍼렌셜 기어 락 작동상태(또한 비핸들 락 작동상태)로 선택할 수 있으므로, 포장의 상태(질퍽거리고 있는지의 여부)나, 주행기체(이앙기)의 작업 조건에 따라서 오퍼레이터가 상부 칼럼의 전방 경사 자세를 선택해서 이앙기의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상기 주행기체의 전방으로의 상기 상부 칼럼의 굴곡시에 있어서의 하부 칼럼의 축선과 상부 칼럼의 축선의 끼인각이 소정값 이하가 되도록 앞으로 경동시킨 상태에서는, 핸들을 손으로 쥐고 돌리려고 해도 락 되어, 좌우 양 전륜은 직진 방향으로 고정(락)된다. 따라서, 지면의 요철, 경사면에 의해 차륜측에서 핸들이 돌려지는 일이 없어져서 이앙기의 직진 성능을 보다 한층 향상시킬 수 있음과 아울러, 핸들을 잡을 수 없도록 확실히 핸들을 고정해 둘 필요가 없어진다고 하는 효과를 갖는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상부 칼럼의 굴곡 자세를 변경 및 유지하기 위한 자세 조절수단을 설치하고, 이 자세 조절수단의 조작부재는 상기 상부 칼럼의 전방으로의 회동각도가 커짐에 따라서 상부 칼럼에 대한 상대각도가 변경되도록 구성한 것이기 때문에, 지상에 내린 오퍼레이터가 주행기체를 조작할 경우에 핸들이 부착된 상부 칼럼을 주행기체 전방으로 기울이는 조작을 실행하기 쉬워진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상기 자세 조절수단의 조작부재는 상기 가동 커버체의 앞부에 대한 보조 커버체에 관련되어서 설치되어 있는 것이기 때문에, 지상에 내린 오퍼레이터가 주행기체를 조작할 경우에 핸들이 부착된 상부 칼럼을 주행기체 전방으로 기울이는 조작을 할 때, 가동 커버체에 별도의 조작부재를 설치할 필요가 없어 부품수를 적게 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갖는다.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오퍼레이터가 주행기체로부터 내린 상태에서 기체 전방으로부터 조작을 행할 때에, 전륜 또는 후륜의 회전 각도(turning angle)나 위치나 주위의 상태 등을 확인하면서 조향 조작을 행할 수 있어, 조작성이 향상된다고 하는 효과를 갖는다.
청구항 7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상기 후륜의 근방에 형성된 개구부에는 측면으로 볼 때에 상기 주행기체의 전방에 위치하는 조종자(오퍼레이터)의 상기 후륜에 대한 시선과 대략 평행한 격벽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격벽의 경사 방향은 후륜이 상기 개구부를 향해서 진흙 등을 날리는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이 되어, 후륜으로부터의 진흙이 개구부를 통과하는 것이 격벽에서 저지되기 때문에, 차체 커버의 상면까지의 진흙의 튀어오름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조종자(오퍼레이터)가 후륜을 눈으로 확인하기 쉽다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승용형 이앙기의 측면도이다.
도 2는 승용형 이앙기의 평면도이다.
도 3은 차체 커버 등을 분리한 상태의 주행기체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미션 케이스, 엔진, 프론트 액슬 케이스, 및 스티어링 등의 주행기체 앞부의 좌측면도이다.
도 5는 상부 칼럼의 경동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6은 디퍼렌셜 기어 락의 연동기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미션 케이스 일부의 내부를 절결해서 나타내는 디퍼렌셜 기어 락 장치 및 그 연동기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틸트기구, 자세 유지수단, 및 디퍼렌셜 기어 락의 연동기구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9는 틸트기구의 좌측면도이다.
도 10은 틸트기구 및 자세 유지수단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틸트기구 및 자세 유지수단을 나타내는 확대 사시도이다.
도 12는 조작부재와 보조 커버체 등의 관련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미션 케이스의 내부기구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4는 주행기체를 전방 상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15는 차체 커버 뒷부의 평면도이다.
도 16은 차체 커버 뒷부의 확대 측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a : 메인 프레임 1b : 서브 프레임
2 : 미션 케이스 3 : 주행 프레임
4 : 프론트 액슬 케이스 5 : 리어 액슬 케이스
7 : 모 식부장치 16 : 차체 커버
16a : 앞부 스텝 16b : 뒷부 스텝
16c : 중부 스텝
16e, 16f : 평면으로 볼 때 대략 U자 형상의 개구부
16g : 격벽 20 : 스티어링 하축
21 : 엔진 23 : 스티어링 상축
24 : 둥근 핸들 29 : 주행 구동계
30 : PTO 구동계 31 : 동력 전달기구
38 : 기어식 변속기구 40 : 출력축
41 : 전동축 45 : 하부 칼럼
46 : 상부 칼럼 47 : 틸트기구
48 : 자세 유지기구 66 : 디퍼렌셜 기어 락 장치
67 : 연동기구
다음에 본 발명의 최량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4조 심기식의 승용형 이앙기에 있어서의 주행기체는 메인 프레임(1a)과 서브 프레임(1b)을 갖는다. 메인 프레임(1a)은 상면에 엔진(21)을 고정하고, 또한 프론트 액슬 케이스(4)가 좌우 양측면에 부착되는 미션 케이스(2)와, 리어 액슬 케이스(5)를 전후 길이의 금속제의 주행 프레임(3)으로 연결해서 구성되어 있다. 서브 프레임(1b)은 직사각형 통 또는 둥근 통형상의 프레임 부재가 상기 메인 프레임(1a)의 좌우 양측에 배치 연결되어서 이루어지는 구성이다(도 2 및 도 3 참조).
알루미늄 합금제 등의 전후 방향이 긴 일체형 케이스체로 이루어지는 미션 케이스(2)는 주행기체의 좌우로 분할된 분할 케이스를 내부기구의 수용에 볼트 체결해서 일체화한 것이다. 미션 케이스(2)의 전후방향 중도부의 좌우 양측면에는 프론트 액슬 케이스(4)가 돌출되고, 주행 프레임(3)의 후단부에는 리어 액슬 케이 스(5)가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프론트 액슬 케이스(4)의 좌우 양단에는 전륜(4a)이, 리어 액슬 케이스(5)의 좌우 양단에는 후륜(5a)이 각각 부착되어 있다(도 1 및 도 2 참조). 주행 프레임(3)의 단면은 개방형상의 하향 ㄷ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메인 프레임(1a)의 후단에는 상하 링크로 이루어지는 평행 링크기구(6)를 통해서 모 식부장치(7)가 승강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또, 모 식부장치(7)는 종래부터 공지의 구조, 즉 미션 케이스(2)로부터 후방향으로 돌출되는 PTO축(9)으로부터 유니버설 조인트축(10)을 통해서 동력 전달되는 좌우 한쌍의 식부 전동 케이스(11)와, 상단이 주행기체의 뒷부에 접근하도록 앞으로 경사져 배치된 모 적재대(12)와, 각 식부 전동 케이스(11)의 하면에 배치된 플로트(13)와, 각 식부 전동 케이스(11)의 좌우 양측에 부착되어 포장면과 모 적재대(12)의 하단 사이를 상하 승강하면서 모 적재대(12) 상의 모 매트로부터 1포기씩 분할해서 식부하는 식부클로가 부착된 식부기구(14)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메인 프레임(1a)의 후단에 형성된 승강용 유압 실린더(15)는 평행 링크기구(6)에 관련되어서 설치되고, 모 식부장치(7)를 크게 승강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메인 프레임(1a) 및 서브 프레임(1b)을 위에서 덮도록 배치되어 있는 합성수지제의 차체 커버(16)는 주로 해서 서브 프레임(1b)에 설치되어 있다. 이 서브 프레임(1b) 상에는, 서브 프레임(1b)으로부터 세워서 설치하는 좌석 지축에 좌석체(17)가 장착되어 있다. 그 전방에는 프론트 보닛(엔진 후드)(19)이 차체 커버(16)의 상면 앞부에 고정되어 있다.
차체 커버(16) 중, 프론트 보닛(19)의 좌우 양측에서 주행기체의 진행 방향 을 따라 연장되는 앞부 스텝(16a)보다 좌우 양 외측에는, 예비의 모 매트를 복수 싣기 위한 예비 모종대(18)가 배치되어 있다(도 1 및 도 2 참조). 각 예비 모종대(18)의 지주는 서브 프레임(1b)으로부터 세워서 설치하고 있다.
프론트 보닛(19)의 내부에는, 후술하는 미션 케이스(2)의 상면 전단측에서 세워서 설치하는 스티어링 하축(20), 엔진(21) 및 연료탱크(22) 등이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스티어링 하축(20)에 대하여 유니버설 조인트(27)를 통해서 스티어링 상축(23)이 연결되어 있고, 상단에 둥근 핸들(24)이 설치되어 있는 스티어링 상축(핸들축)(23)이 주행기체의 전후 방향으로 굴곡 가능(틸트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미션 케이스(2)의 상면의 앞부에 세워서 설치하고, 또한 스티어링 하축(20)의 외주를 둘러싸는 하부 칼럼(45)의 상단과, 스티어링 상축(23)의 외주를 둘러싸는 상부 칼럼(46) 사이에는 틸트기구(47) 및 그 경사각도를 복수 단계에 있어서 자세유지하기 위한 자세 유지수단(48)이 설치되어 있다(도 3∼도 6 참조).
또한 프론트 보닛(19)의 상면 좌우 중앙부는 그 상면측에서 전단까지의 사이, 절결 형성된 평면으로 보아 대략 U자 형상의 공간이며, 이 공간을 스티어링 상축(23)과 일체적으로 전후 이동하는 가동 커버체(25)와 이것에 상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보조 커버체(26)에 의하여 덮여져 있다.
미션 케이스(2)에는 그 앞부 내에 스티어링을 위한 스티어링 구동기구(28)가 내장되고, 중도부로부터 뒷부 내에는 주행 구동계(29)와 PTO 구동계(30)로의 동력 전달기구(31)가 내장되어 있다(도 13 참조). 미션 케이스(2)는 측면으로 볼 때에 그 상면측의 앞부의 높이가 낮고, 중도부로부터 뒷부에 걸쳐 높이가 높아지도록 중 도부에 단차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 단차부에는 미션 케이스(2)의 상면에서 좌우로 걸친 평탄한 엔진 지지부재(32)의 다리부를 볼트 고착한다. 엔진 지지부재(32)에는 엔진(21)의 베이스부(크랭크 케이스부)를 고정하고, 이 엔진(21)의 피스톤 실린더 케이스를 후방 상향으로 되도록 경사시켜서 배치한다. 또, 엔진(21)을 직립형상으로 하여 고정하여도 좋다. 엔진(21)의 출력축(33)과 미션 케이스(2)의 전후방향의 중도부 일측면에 돌출된 입력축(34)에, 종래부터 공지의 텐션식 주 클러치 기구(35a)가 부착된 벨트 전동기구인 풀리(33a, 34a), 벨트(35)를 설치해서 동력 전달 하고, 입력축(34)으로부터 미션 케이스(2) 내의 동력 전달기구(31)에 동력 전달한다.
동력 전달기구(31)에는 입력축(34)으로부터의 회전수를 변속시키는 기어식 변속기구(38)를 구비한다. 기어식 변속기구(38)로부터 주행 브레이크(37a)를 갖는 전동축(37)을 통해서 전륜 디퍼렌셜 장치(차동기구)(39a)가 부착된 프론트 액슬 축(39)에 동력 전달되는 한편, 베벨기어(37b)를 통해서 후륜으로의 출력축(40)에 동력 전달된다(도 13 참조). 따라서, 주행 브레이크(37a)를 작동시키면 전륜(4a) 및 후륜(5a)에 제동이 걸린다. 그리고, 프론트 액슬 케이스(4)의 옆으로 긴 통부(4b)의 베이스부가 미션 케이스(2)의 측면에 볼트 고착되고, 이 옆으로 긴 통부(4b) 내에 배치된 프론트 액슬 축(39)으로부터 전륜(4a)의 차축에 동력 전달된다. 한편, 출력축(40)은 미션 케이스(2)의 우측면에 후방향으로 돌출되고, 출력축(40)으로부터 유니버설 조인트를 통해서 전동축(41)에 전달하고, 뒷부 차륜으로의 주행 구동계로서의 리어 액슬 케이스(5)에 동력 전달된다(도 1 및 도 13 참조).
한편, 기어식 변속기구(38)로부터 PTO 클러치를 통해서 미션 케이스(2)의 후단으로부터 후방향으로 돌출되는 PTO축(9)을 구비하고 있다(도 1 참조).
주행 프레임(3)은 상면판(3a)의 좌우 양측으로부터 측판(3b)이 하향 굴곡된 단면 하향 개방의 ㄷ자형이다(도 3 참조). 그리고, 미션 케이스(2)의 좌우 양측면 중 뒷부측에 주행 프레임(3)의 앞부을 외측으로부터 씌우고, 연결 볼트(53)로 좌우 양 외측으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주행 프레임(3)의 양측판(3b)을 미션 케이스(2)의 측면에 체결 연결한다. 또한 주행 프레임(3)의 상면판(3a)의 뒷부측은 리어 액슬 케이스(5)에 있어서의 중앙 케이스부의 상부로부터 상향으로 돌출되는 한쌍의 브래킷부(도시 생략)에 연결 볼트(도시 생략)에 의해 체결 연결되어 있다. 또한, 주행 프레임(3)에 있어서의 좌우 양측의 돌출편(3c)은, 중앙 케이스부(5b)의 앞부로부터 전방 방향으로 돌출되는 한쌍의 브래킷부(56)에 연결 볼트로 체결 연결되어 있다(도 3 참조).
PTO축(9)은 상술한 주행 프레임(3)의 내부에 배치되어, 주행 프레임(3)의 후단이며 중앙 케이스부(5b)보다 상방에 설치된 베어링부(도시 생략)에 축지지되어 있다. 전동축(41)은 주행 프레임(3)의 우측면의 외측을 따라 연장되고, 리어 액슬 케이스(5)의 중앙 케이스부(5b)의 앞면 축에 연결되어 있다.
좌우 전륜(4a)의 조향 방향을 변경하는 피트먼 암(pitman arm), 콘 로드(con rod), 타이 로드(tie rod) 등의 조타 링크기구(44)는 미션 케이스(2)의 앞부의 스티어링 구동기구(28)의 하방에 배치되어 있다(도 3, 도 4 참조).
다음에 상부 칼럼(46) 상단의 스티어링 핸들(둥근 핸들)(24)이 조종의 좌석 체(17)에 가까워지도록 향하는 후방 위치와, 주행기체의 전방측으로 굴곡하는 위치에, 선택적으로 상부 칼럼(46)을 전후 방향으로 굴곡 가능하게 하는 틸트기구에 대하여 설명한다. 합성수지제(또는 유리섬유 강화 플라스틱제)의 프론트 보닛(엔진 후드)(19)의 내부 중, 뒷부 근처에는 메인 프레임(1a)으로부터 세워서 설치하는 프레임 상에 연료탱크(22)가 고정되어 있다.
프론트 보닛(19) 내의 앞부에 위치하는 미션 케이스(2)의 상면 전단측에 고착되어서 세워서 설치하는 통형상의 하부 칼럼(45) 내에는, 마찬가지로 미션 케이스로부터 세워서 설치하는 스티어링 하축(20)이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스티어링 하축(20)의 상단과, 상단에 스티어링을 위한 둥근 핸들(24)이 설치되어 있는 핸들축(23)의 하단은 유니버설 조인트(27)를 통해서 굴곡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핸들축(23)은 회전 가능하게 상부 칼럼(46) 내에 장착되어 있다.
이 훅(hook)형 유니버설 조인트(27)는, 종래부터 공지의 구조, 예를 들면 십자형의 연결부재(27a)의 대향하는 한쪽의 한쌍의 부분과 스티어링 하축(20) 상단의 두갈래 형상의 요크부(20a)를 핀을 통해서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한편, 핸들축(23) 하단의 두갈래 형상의 요크부(23a)와 연결부재(27a)의 대향하는 다른쪽의 한쌍의 부분을 핀을 통해서서 회동 가능하게 연결한 구성이다. 이 구성에 의하면, 스티어링 하축(20)의 축선과 핸들축(23)의 축선의 끼인각(θ1)(도 9 참조)이 일정 각도이하(예를 들면 대략 110°정도이하)가 되면 양 요크부(20a, 23a)가 간섭하기(접촉하기) 때문에, 핸들축(23)의 회전력을 스티어링 하축(20)에 전달할 수 없고, 소위 핸들 락 상태가 된다.
또한, 하부 칼럼(45)의 상단과 통형상의 상부 칼럼(46)의 하단은 틸트기구(47)를 통하여 전후 경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틸트기구(47)의 외주에는 상부 칼럼(46)의 경사각도(나아가서는 상기 끼인각)를 복수 단계에 있어서 자세 유지하기 위한 자세 유지수단(48)이 설치되어 있다(도 6∼도 11 참조).
틸트기구(47)는 하부 칼럼(45)의 상단에 고착된 좌우 한쌍의 브래킷(47a)과, 마찬가지로 상부 칼럼(46)의 외주의 하단부에 고착된 좌우 한쌍의 브래킷(47b)을 횡 피벗축(47c)을 통해서 주행기체의 진행 방향의 전후방향으로만 회전 가능하고, 환언하면, 하부 칼럼(45)에 대하여 상부 칼럼(46)이 틸트(굴곡운동) 가능하게 연결된 구성이다(도 6∼도 11 참조).
도 6∼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자세 유지수단(48)은 상기 브래킷(47a)의 일측편의 편심 원호상의 상단면에 전후 적당하게 사이를 뗀 위치에 오목하게 형성된 복수 위치(실시형태에서는 3개소)의 걸림홈(60)(개별적으로는 부호 60a, 60b, 60c로 나타냄)과, 상기 상부 브래킷(47b)의 후단편(47d)에 회동 가능하게 축지지된 횡축(48a)과, 이 횡축(48a)의 일단에 고착된 결합 훅(48b)과, 횡축(48a)에 권취되어서 결합 훅(48b)을 하향(걸림홈(60)의 결합 방향)으로 바이어스하는 바이어싱 스프링(도시 생략)으로 이루어지고, 상부 칼럼(46)이 소정의 후방 경사 또는 전방 경사의 각도로 변경되었을 때, 결합 훅(48b)이 복수 위치의 걸림홈(60) 중 임의의 하나에 선택적으로 결합함으로써, 상기 상부 칼럼(46)의 경동 자세를 조절하고 또한 유지할 수 있다.
실시형태에서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부 칼럼(46)이 주행기체의 후 방으로 경사(연직선에 대하여 시계방향에 대략 30° 경사)진 제 1 자세(Ⅰ)와, 그것으로부터 반시계 방향으로 대략 60° 주행기체의 전방으로 전방 경사진 제 2 자세(Ⅱ)와, 상기 제 1 자세(Ⅰ)로부터 반시계 방향으로 대략 88° 주행기체의 전방으로 크게 전방 경사진 제 3 자세(Ⅲ)로 선택할 수 있다. 상부 칼럼(46)이 제 1 자세(Ⅰ)인 경우에는, 결합 훅(48b)이 하부 브래킷(47a)의 상면 중 가장 후측의 걸림홈(60a)에 끼워맞쳐진다. 상부 칼럼(46)이 제 2 자세(Ⅱ)인 경우에는 전후 중앙위치의 걸림홈(60b)에 결합 훅(48b)이 결합되고, 제 3 자세(Ⅲ)의 경우에는 앞측의 걸림홈(60c)에 결합 훅(48b)이 끼워맞춰진다.
한편, 프론트 보닛(19)의 좌우 중앙부에는, 그 상면측에서 전단까지의 사이, 노치 형성된 평면으로 보아 대략 U자 형상의 개구부(61)가 형성되어 있다(도 5 참조). 이 개구부(61)는 상부 칼럼(46)과 일체적으로 전후 이동하는 가동 커버체(25)와 이것에 위를 향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보조 커버체(26)에 의하여 덮여져 있다. 가동 커버체(25) 및 보조 커버체(26)는 프론트 보닛(19)과 마찬가지로 합성수지제,혹은 유리섬유 강화 플라스틱제이다. 그리고, 보조 커버체(26)는 가동 커버체(25)의 전단측을 중심으로 해서 상하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즉 도 3 및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부 칼럼(46)의 하부로부터 상향으로 돌출되는 지지 브래킷 부재(46a)의 선단에 횡방향으로 지지 파이프(62)가 고정 설치되어 있다. 한편, 보조 커버체(26)의 이면에 고정되어, ㄷ자형으로 굴곡 형성된 보강 겸용의 조작부재(63)의 좌우 한쌍의 축부(63a)를 상기 지지 파이프(62)의 양단에 회동 가능하게 삽입한 것이다(도 11 참조).
그리고, 상기 조작부재(63)는 자세 유지수단(48)의 조작부로서 관련되어 있다. 즉 도 9∼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부재(63)의 축부로부터 편심위치에 돌출 형성된 핀(63b)에 회동 가능하게 링크(64)가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링크(64)의 타단이 암(65)의 선단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그 암(65)은 결합 훅(48b)과 일체적으로 회전하는 횡축(48a)의 타단에 고착되어 있다(도 12 참조). 그리고, 상기 바이어싱 스프링의 바이어싱력에 의해 보조 커버체(26) 나아가서는 조작부재(63)의 하단측이 프론트 보닛(19)의 표면에 접근하도록 바이어스되어 있다.
따라서, 보조 커버체(26) 나아가서는 조작부재(63)의 하단측을 프론트 보닛(19)의 표면으로부터 이간하도록 상향으로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시키면, 바이어싱 스프링의 바이어싱력에 저항해서 링크(64), 암(65)을 통해서 결합 훅(48b)의 선단부가 제 1 걸림홈(60a)으로부터 빠지도록 회동하므로(록 해제하므로), 그 후는 보조 커버체(26)로부터 손을 뗀 상태(보조 커버체(26)의 하단측 내면이 프론트 보닛(19)의 개구부(61)의 외측 가장자리에 미끄럼 접촉한 상태)에서, 오퍼레이터는 핸들(24)을 잡고 상기 제 1 자세(Ⅰ)로부터 제 2 자세(Ⅱ)로 이행할 수 있다. 제 2 자세(Ⅱ)에서는 결합 훅(48b)의 선단부가 제 2 걸림홈(60b)에 결합되어 있다. 또한, 제 3 자세(Ⅲ)로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다시 보조 커버체(26)(조작부재(63))를 소정 각도만큼 위를 향해 회동시켜서 락 해제한 후, 핸들(24)을 전방으로 기울이면 결합 훅(48b)의 선단부가 제 3 걸림홈(60c)에 결합한다. 이와 같이, 상부 칼럼(46)을 단계적으로 주행기체의 전방으로 크게 전방 경사시킬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틸트(굴곡운동)의 중심이 되는 횡 피벗축(47c)으로부터 하부 브래킷(47a)의 외주면에 오목하게 형성된 복수 위치(실시형태에서는 3개소)의 걸림홈(60a, 60b, 60c)의 저면까지의 거리는 순차적으로 커지도록 설정되어 있으므로, 제 1 걸림홈(60a)에 결합 훅(48b)의 선단부가 결합하고 있을 경우의 보조 커버체(26)(조작부재(63))의 하향 각도보다, 제 2 걸림홈(60b)에 결합하고 있을 경우에는 보조 커버체(26)(조작부재(63))는, 그 하단이 주행기체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자세(프론트 보닛(19)의 개구부(61)로부터 이간되어 있는 자세)로 되고, 제 3 걸림홈(60c)에 결합하고 있을 경우에는 보조 커버체(26)(조작부재(63))는 그 하단이 주행기체의 전방으로 크게 돌출되는 자세(프론트 보닛(19)의 개구부(61)로부터 크게 이간되어 있는 자세)로 된다.
또, 상부 칼럼(46)이 제 1 자세(Ⅰ)에 있을 때에는, 보조 커버체(26)는 도 1의 실선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프론트 보닛(19)의 개구부(61)의 전단측을 밀착해서 덮는 상태에서 거의 수직형상의 자세이며, 승용형 이앙기의 측면으로 볼 때에 상부 칼럼(46)의 축선과 보조 커버체(26)의 이면은 대략 평행하고, 또한 스티어링의 둥근 핸들(24)에 대하여 보조 커버체(26) 하단이 크게 이간되어 있다.
제 2 자세(Ⅱ)의 상태(도 5의 실선상태 참조)에서는, 상부 칼럼(46)의 축선과 보조 커버체(26)의 이면이 이루는 끼인각은 대략 160°정도로 좁아지고, 또한 스티어링 핸들(24)에 대하여 보조 커버체(26)의 하단이 제 1 자세(Ⅰ)의 상태보다 접근한 상태이다. 바꾸어 말하면, 보조 커버체(26)(조작부재(63))의 이면이 연직과의 끼인각이 대략 48°정도이고, 또한, 보조 커버체(26)(조작부재(63))의 하단이 주행기체의 전방에 위치하는 오퍼레이터에 다가가는 상태로 된다.
그리고, 스티어링 핸들(24)이 주행기체의 전단보다 크게 전방에 위치하도록 기운 제 3 자세(Ⅲ)(도 5의 2점 쇄선상태 참조)에서는, 상부 칼럼(46)의 축선과 보조 커버체(26)의 이면이 이루는 끼인각은 대략 110°정도로 좁아지고, 또한 스티어링 핸들(24)에 대하여 보조 커버체(26)의 하단이 제 2 자세(Ⅱ)의 상태보다 더욱 접근한 상태로 된다. 바꾸어 말하면, 보조 커버체(26)(조작부재(63))의 이면이 연직과의 끼인각이 대략 90°정도이고, 또한 보조 커버체(26)(조작부재(63))의 하단이 주행기체의 전방에 대략 수평형상으로 돌출하여 오퍼레이터에 보다 한층 가까워진 상태가 된다.
따라서, 오퍼레이터가 주행기체 전방의 지상에 위치해서 하차 작업을 실행할 때에, 상부 칼럼(46)을 앞으로 경동시키는 작업시에 보조 커버체(26)에 오퍼레이터의 손이 보다 한층 도달하기 쉬워진다고 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이 상부 칼럼(46)을 앞으로 경사시키는 조작은, 오퍼레이터가 주행기체의 전방의 지상에 위치할 때만 가능하게 되어 있으므로, 바꾸어 말하면, 오퍼레이터가 주행기체에 탑승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틸트(굴곡운동)시키는 것이 불능하므로, 오조작에 의한 문제가 발생하지 않고, 지상 조작의 확실성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주행기체에 탑승하면서 오퍼레이터가 승용형 이앙기를 조향 조작가능하고, 또한 주행기체로부터 지상에 내려온 오퍼레이터가 주행기체의 전방에 위치하면서 스티어링의 둥근 핸들(24)을 잡고 승용형 이앙기를 포장으로부터 논두렁 넘 기하거나, 트럭에 바꾸어 싣는 조작이 가능해진다.
또한, 보조 커버체(26)는 가동 커버체(25)의 전단부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지상에 내려온 오퍼레이터가 주행기체의 전방에 위치하면서 틸트 조절하는 것을 보다 한층 간단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상부 칼럼(46)이 주행기체 상의 조종 좌석(17) 방향을 향하는 제 1 자세(Ⅰ)일 때, 가동 커버체(25)와 보조 커버체(26)에 의하여 프론트 보닛(19)의 개구부(61)를 완전하게 덮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이기 때문에, 주행시의 공기저항도 적게 할 수 있고, 비나 먼지도 프론트 보닛(19) 내에 들어가지 않는다.
다음에 스티어링 핸들(24) 나아가서는 상부 칼럼(46)을 주행기체의 전방으로 경동시키는 것에 연동하여, 전륜 디퍼렌셜 장치(39a)를 디퍼렌셜 기어 락(차동 제한) 작동시키기 위한 디퍼렌셜 기어 락 장치(청구항에서 말하는 디퍼렌셜 기어 락 기구)(66)와, 이 디퍼렌셜 기어 락 장치(66)를, 상기 핸들(24)의 전방 경동에 연동시켜서 작동(디퍼렌셜 기어 락조작)시키기 위한 연동기구(장치)(67)에 대하여 설명한다. 디퍼렌셜 기어 락 장치(66)는 전륜 디퍼렌셜 장치(39a)에 있어서의 기어박스(70) 내의 차동용 피니언(71)의 배면에 결합 캠(72)을 설치하고, 한쪽의 프론트 액슬 축(39)에 슬라이딩만 가능하게 씌워끼운 구동 캠(73)을, 미션 케이스(2)의 내외에 관통시켜서 축선 둘레로 회동하는 작용 핀(74)으로 슬라이딩시킨다. 그리고, 구동 캠(73)이 결합 캠(72)에 결합하면 좌우의 프론트 액슬 축(39, 39)이 같은 토크로 구동할 수 있다(즉 디퍼렌셜 기어 락 작동할 수 있다). 반대로, 구동 캠(73)과 결합 캠(72)의 결합 해제에 의해 전륜 디퍼렌셜 장치(39a)의 차동 작용을 발휘 할 수 있게 되어 있다(도 7, 도 8 및 도 11 참조).
한편, 하부 칼럼(45)의 상단의 한쪽의 브래킷(47a)의 외면에는 링크식의 연동기구(67)에 있어서의 회동 암(75)이 횡축(76)에서 전후 회동 가능하게 축지지되어 있다. 이 회동 암(75)의 일측편(75a)에는 상기 한쪽의 브래킷(47a)의 전단면보다 앞측에서, 유니버설 조인트(27)의 앞방향으로 돌출되는 작동 핀(77)이 돌출되어 있다(도 6∼도 9 참조). 그리고, 회동 암(75)의 하단과, 상기 작용 핀(74)의 상단에 설치된 작용 암(78)을 링크 레버(79)로 연결한다. 상부 칼럼(46)을 전방 방향으로 회동시켰을 때의 하부 칼럼(45)의 축선과 상부 칼럼(46)의 축선의 끼인각(청구항에 있어서의 끼인각)이 소정값 이하가 되면, 이 상부 칼럼(46)의 일측면 하단에 고정한 하부 브래킷(47b)의 앞면에서 작동 핀(77)을 누르고(도 9의 2점 쇄선 참조), 이것에 의해 회동 암(75)은 그 하단측이 주행기체의 후방측으로 회동하여 링크 레버(79)를 후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것에 의해 작용 암(78)을 통해서 작용 핀(74)을 축선 둘레로 회동시켜 구동 캠(73)이 결합 캠(72)에 결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링크식의 연동기구(67)가 구성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승용형 이앙기를 논두렁 넘기시키거나, 노상으로부터 경사 디딤판을 올라서 트럭에 실을 때, 주행기체로부터 내린 작업자(오퍼레이터)는 주행기체의 전방으로 돌고, 이어서 둥근 핸들(24)을 주행기체의 전방에 가까워지도록 상부 칼럼(46)을 전방 경사시킨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단측으로 크게 앞으로 경동한 자세(제 3 자세(Ⅲ))까지 상부 칼럼(46)을 앞으로 경사(굴곡)시키면, 상기 디퍼렌셜 기어 락 장치(66)가 작동하고, 좌우 양 전륜(4a, 4a)은 일체적 으로 회전해서 한쪽의 전륜만의 슬립 현상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논두렁 넘기 작업이나 트럭으로의 바꾸어 싣는 작업을 확실하게 실행할 수 있다. 이 때, 상술한 바와 같이, 유니버설 조인트(27)의 개소에서 핸들 락 작용을 발휘할 수 있으므로, 둥근 핸들(24)을 손으로 잡고 돌리려고 해도, 락되어 좌우 양 전륜(4a, 4a)은 직진 방향으로 고정(락)된다. 따라서, 이앙기의 직진 성능을 보다 한층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상기 제 2 자세(Ⅱ)나 제 1 자세(Ⅰ)의 상태에서는 상기 디퍼렌셜 기어 락 작용도 핸들 락 작용도 실현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상부 칼럼(46)의 전방 경사 자세의 정도에 의해 디퍼렌셜 기어 락 작동상태(또한 핸들 락 작동상태)와, 비디퍼렌셜 기어 락 작동상태(또한 비핸들 락 작동상태)로 선택할 수 있으므로, 포장의 상태(질퍽거리고 있는지의 여부)나, 주행기체(이앙기)의 작업 조건에 따라 오퍼레이터가 상부 칼럼(46)의 전방 경사 자세를 선택하여, 이앙기의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상부 칼럼(46)의 일측방(실시형태에서는 좌석체(17)에 앉는 오퍼레이터로부터 보아서 기체의 좌측)에, 주행계의 주 클러치를 접속/차단하는 것과 전동축(37)에 브레이크를 거는 것을 동시에 실행하는 복합 레버(49)와 미션 케이스(2)의 기어식 변속기구(38)를 전진 2단, 중립단 및 후진 1단으로 스위칭 조작하기 위한 주변속 레버(50)가 배치되고, 상부 칼럼(46)의 타측방(실시형태에서는 마찬가지로 기체의 우측)에 모 식부장치(7)를 승강시키기 위한 유압 실린더(15)를 구동하는 승강 조작 레버(51)(도 3에 나타냄)가 배치되어 있다. 이들 레버(49, 50, 51)는 상부 칼럼(46)과 일체적으로 전후 방향으로 자세가 변경 가능하도록, 관련시켜서 설 치되어 있다. 즉 레버(49∼51)의 베이스부는, 측면으로 볼 때에 상부 칼럼(46)의 외주 근방에 설치된 브래킷 등에 설치된다.
그리고, 각각 가요성을 갖는 아우터 안내관과 인너 와이어로 이루어지는 와이어 조작수단(80, 81, 82)에, 대응하는 레버(49∼51)가 연결되어 있다(도 6, 도 8 및 도 9 참조). 또, 미션 케이스(2)측의 조작부는 도시 생략하고 있다. 그리고, 각레버(49∼51)의 선단부(오퍼레이터의 손잡이부)측은 가동 커버체(25)의 외면에 위치하도록 하고 있다.
또, 디퍼렌셜 기어 락 장치(66)에 대한 연동기구(67)는 아우터 안내관과 인너 와이어로 이루어지는 와이어 조작수단에 의해 실현시킬 수 있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다음에 도 14∼도 16을 참조하면서, 차체 커버(16)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체 커버(16)는 프론트 보닛(19)의 좌우 양측에 좌우의 앞부 스텝(16a, 16a)을, 좌석체(17)의 시트의 후방에 뒷부 스텝(16b)을, 앞부 스텝(16a, 16a)과 뒷부 스텝(16b) 사이에 중부 스텝(16c)을 구비하고, 평면으로 보아 대략 직사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뒷부 스텝(16b)은 중부 스텝(16c)보다 후방 상방으로 세워진 연결부(16d)에 의해 상기 중부 스텝(16c)과 접속되고, 상기 연결부(16d)의 좌우 양측이 좌우 후륜(5a, 5a)에 대한 펜더(fender)로 되어 있다. 여기에서, 차체 커버(16)는 합성수지에 의해 인젝션 성형에 의해 일체로 성형되어, 그 경량화나 부품수의 삭감, 조립시의 작업성의 향상이 도모되어 있다.
상기 차체 커버(16)에 있어서는 좌우의 각 앞부 스텝(16a, 16a)의 좌우 전 륜(4a, 4a) 근방에 개구부(또는 노치부)(16e, 16e)가 형성되어 있다. 각 개구부(16e)는 앞부 스텝(16a)의 전륜(4a)의 상방이고, 상기 전륜(4a)보다 기체 내측에 배치되어, 주행기체로부터 내린 조종자(작업자, 오퍼레이터)가 상기 주행기체의 전방에 위치하면서 상술한 바와 같이 둥근 핸들(스티어링 핸들)(24)을 틸트기구(47)에 의해 기체 전방의 앞위치에 회동해서 조작할 때에, 개구부(16e, 16e)를 통해서 좌우 전륜(4a, 4a)의 뒷부을 눈으로 확인할 수 있게 하고, 그 좌우 방향의 방향이나 위치나 그 주변의 상태 등을 확인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동시에, 각 개구부(16e)는 조종자가 주행기체(2) 상에 위치할 경우에는, 전륜(4a)의 앞부를 눈으로 확인 가능하게 하고, 그 좌우 방향의 방향이나 위치나 그 주변의 상태 등을 확인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개구부(16e, 16e)는, 본 실시예에서는 좌우의 각 앞부 스텝(16a, 16a)의 외주부가 전륜(4a, 4a)의 대략 바로 위쪽에 위치하기 때문에, 상기 앞부 스텝(16a, 16a)의 외주부를 기체 외측으로부터 내측을 향해서 끝이 가는 형상이 되도록 평면으로 보아 대략 V자 형상으로 잘려진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차체 커버(16)의 앞부에 형성하는 개구부(16e, 16e)의 개구 면적을 필요 최소한으로 해서, 상기 앞부 스텝(16a, 16a)에서의 전륜(4a, 4a)에 대한 펜더 기능, 소위 진흙 튐을 방지하는 기능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전륜(4a, 4a)이 좌우 어느 일방향을 향했을 때라도, 개구부(16e, 16e)를 통해서 좌우 양 전륜(4a, 4a)의 앞부 또는 뒷부가 확실하게 보이기 때문에 시인성이 향상된다(도 14 참조).
또한 도 14∼도 16에도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중부 스텝(16c)의 좌우의 각 후륜(5a, 5a) 근방에도 개구부(16f, 16f)가 형성되어 있다. 좌우의 각 개구부(16f, 16f)는 중부 스텝(16c)의 후륜(5a, 5a)의 전방 상방이고, 상기 후륜(5a, 5a)보다 좌우 방향으로 기체 내측에 배치되어, 주행기체로부터 내려온 조종자가 해당 주행기체의 전방에 위치하면서 상술한 바와 같이 둥근 핸들(24)을 틸트기구(47)에 의해 기체 전방 앞위치에 회동해서 조작할 때에, 개구부(16f, 16f)를 통해서 후륜(5a, 5a)의 앞부을 눈으로 확인할 수 있게 하고, 그 좌우 방향의 방향이나 위치나 그 주변의 상태 등을 확인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개구부(16f, 16f)는 기체 후측으로부터 앞측을 향해서 끝이 가늘게 되도록 평면으로 보아 대략 삼각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전후 방향에 소정 간격마다 좌우로 연장되는 격벽(16g, 16g)을 구비하고, 슬릿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즉, 개구부(16f, 16f)는 후방일수록 큰 개구 면적이 되도록 하고, 후방일수록 기체 좌우 내측으로 개구가 넓어지도록 형성하며, 최후부의 개구부(16f)는 좌석체(17)의 시트의 양측 하방에 위치하여 조종자가 착석한 채 횡 하방을 향하는 것만으로 후륜(5a, 5a) 근방을 들여다보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또한 개구부(16f, 16f)의 외측의 중부 스텝(16c)의 폭을 대략 일정하게 하여 강도를 확보하고 있다.
상기 격벽(16g, 16g)은, 측면으로 볼 때에 주행기체의 전방에 위치해서 둥근 핸들(24)을 조작하는 조종자의 후륜(5a, 5a)에 대한 시선(도 16의 화살표 A 참조)과 대략 평행하게 되도록, 중부 스텝(16c)에 전고 후저로 경사진 상태로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따라서, 개구부(16f, 16f)에 있어서는, 격벽(16g, 16g)의 경사 방향이 후륜(5a, 5a)이 개구부(16f, 16f)를 향해서 진흙 등을 날리는 방향과 교차(대략 직교)하는 방향이 되고, 후륜(5a, 5a)으로부터의 진흙이 개구부(16f, 16f)를 통과하는 것을 격벽(16g, 16g)에서 저지하여, 중부 스텝(16c) 상면까지의 진흙의 튀어오름이 방지된다. 또한 후륜(5a)이 개구부(16f, 16f)를 통해서 확인하기 쉬워진다.
이와 같이, 차체 커버(16)에 조종자(작업자, 오퍼레이터)가 주행기체로부터 내린 상태에서 기체 전방으로부터 조작을 행할 때에, 전륜(4a, 4a) 또는 후륜(5a, 5a)의 좌우측 방향의 방향이나 위치 등을 시인할 수 있는 개구부를 형성하였기 때문에, 전륜(4a, 4a) 또는 후륜(5a, 5a)의 회전 각도를 확인하면서 둥근 핸들(24)로 조향 조작을 행할 수 있어 조작성이 향상된다. 또한 조종자가 주행기체에 탑승한 상태에서도, 전륜(4a, 4a)의 회전 각도를 확인하면서 둥근 핸들(24)로 조향 조작을 행할 수 있어 조작성이 향상된다.
또한 상기 중부 스텝(16c) 상면의 좌우의 개구부(16f, 16f) 사이에 복수의 미끄럼저항(16h, 16h)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미끄럼저항(16h, 16h)은 평면으로 보아 원호형상으로 형성되고, 좌석체(17)의 시트 후방에 중심을 갖는 동심원 상에 위치하고, 중부 스텝(16c) 후단으로부터 전방으로 넓혀지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해서, 미끄럼저항(16h, 16h)은 스텝으로의 전방이나 측방으로부터의 승강시나 이동시 등에는 미끄럼저항으로 되고, 좌석체(17)의 시트가 수평회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을 경우 등에 있어서, 모종이음 작업 등으로 착석한 상태에서, 발로 차면서 엉덩이를 중심으로 해서 좌 또는 우로 향할 때에, 구두의 이면이 걸리지 않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미끄럼저항(16h, 16h)의 좌우 양단이 상기 개구부(16f, 16f) 또는 중부 스텝(16c)의 좌우 후측부에 형성된 물빠짐 구멍(16j, 16j)의 근방까지 연신되어서, 중부 스텝(16c) 상에 내린 비나 가지고 들어가진 진흙이나 물이 미끄럼저항을 따라 흘러서, 개구부(16f, 16f) 또는 물빠짐 구멍(16j, 16j)으로부터 흘러내리게 되어 있다. 또, 같은 미끄럼저항이 앞부 스텝(16a, 16a)에도 형성되어 있다.

Claims (7)

  1. 좌우 한쌍의 전륜 및 후륜을 구비한 주행기체 앞부에 엔진 등의 동력부를 배치하고, 주행기체 뒷부에 모 식부장치를 승강시킬 수 있도록 연결한 승용형 이앙기에 있어서:
    상기 주행기체 앞부에는 상기 엔진의 배치 위치보다 앞측에 상기 전륜의 스티어링용 하부 칼럼을 세워서 설치하고, 상기 하부 칼럼에 대하여 핸들축 및 핸들을 구비한 상부 칼럼을 주행기체의 전후 방향으로 굴곡 가능하게 연결해서 주행기체 상과 상기 주행기체의 전방으로부터 선택적으로 조작 가능하게 구성하는 한편,
    상기 주행기체에 구비한 미션 케이스에는 상기 좌우 양 전륜에 대한 디퍼렌셜 기어 락 기구를 설치하고,
    상기 주행기체의 전방으로의 상기 상부 칼럼의 굴곡운동에 연동해서 상기 디퍼렌셜 기어 락 기구가 작동하는 연동기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용형 이앙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기체의 전방으로의 상기 상부 칼럼의 굴곡시에 있어서의 하부 칼럼의 축선과 상부 칼럼의 축선의 끼인각이 소정값 이하일 때, 상기 연동기구는 상기 디퍼렌셜 기어 락 기구가 작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용형 이앙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기체의 전방으로의 상기 상부 칼럼의 굴곡시에 있어서의 하부 칼럼의 축선과 상부 칼럼의 축선의 끼인각이 소정값 이하일 때, 상기 핸들의 회동을 저지하는 핸들 락 기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용형 이앙기.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 및 상기한 칼럼을 적어도 둘러싸는 프론트 보닛에는, 상기 상부 칼럼이 전방으로 통과할 수 있는 평면으로 볼 때에 대략 U자 형상 개구부를 형성하고,
    상기 상부 칼럼에는 이것과 일체적으로 전후 이동하고, 또한 상기 프론트 보닛에 있어서의 상기 U자 형상 개구부의 적어도 일부를 외측으로부터 덮도록 형성된 가동 커버체를 설치하고,
    상기 상하 칼럼의 연결부에는 상기 상부 칼럼의 굴곡 자세를 변경 및 유지하기 위한 자세 조절수단을 설치하고,
    상기 자세 조절수단의 조작부재는 상기 상부 칼럼의 전방으로의 회동각도가 커짐에 따라서 상부 칼럼에 대한 상대각도가 변경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용형 이앙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세 조절수단의 조작부재는 상기 가동 커버체의 앞부에 대한 보조 커버체에 관련되어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용형 이앙기.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기체의 상면을 덮는 차체 커버에 있어서의 상기 전륜 또는 상기 후륜의 근방에는 개구부를 형성하고, 상기 주행기체의 전방에 위치하는 조종자가 상기 개구부를 통해서 상기 전륜 또는 상기 후륜을 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개구부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용형 이앙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후륜의 근방에 형성된 개구부에는 측면으로 볼 때에 상기 주행기체의 전방에 위치하는 조종자의 상기 후륜에 대한 시선과 대략 평행한 격벽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용형 이앙기.
KR1020077024886A 2005-06-08 2006-06-01 승용형 이앙기 KR10131989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168642A JP4616705B2 (ja) 2005-06-08 2005-06-08 乗用型田植機
JPJP-P-2005-00168642 2005-06-08
JPJP-P-2005-00169930 2005-06-09
JP2005169930A JP4823575B2 (ja) 2005-06-09 2005-06-09 乗用型田植機
PCT/JP2006/310965 WO2006132124A1 (ja) 2005-06-08 2006-06-01 乗用型田植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5785A true KR20080015785A (ko) 2008-02-20
KR101319896B1 KR101319896B1 (ko) 2013-10-18

Family

ID=374983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24886A KR101319896B1 (ko) 2005-06-08 2006-06-01 승용형 이앙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319896B1 (ko)
WO (1) WO200613212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304913B (zh) * 2016-08-13 2018-06-19 潍坊同方机械有限公司 具有转向功能的插秧机行走箱
CN106171202B (zh) * 2016-08-13 2018-09-21 潍坊同方机械有限公司 插秧机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74680B2 (ja) * 1987-11-16 1997-01-22 ヤンマー農機株式会社 四輪乗用田植機の前方運転操作機構
JP3141510B2 (ja) * 1992-04-28 2001-03-05 井関農機株式会社 農用走行車体
JP3641991B2 (ja) 2000-01-28 2005-04-27 井関農機株式会社 移動農機の走行装置
JP2001258337A (ja) 2000-03-21 2001-09-25 Iseki & Co Ltd 移動農機
JP4271923B2 (ja) * 2002-10-03 2009-06-03 ヤンマー農機株式会社 乗用田植機
JP4543245B2 (ja) * 2003-11-04 2010-09-15 井関農機株式会社 走行車輌
JP2005192462A (ja) * 2004-01-06 2005-07-21 Iseki & Co Ltd 苗移植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19896B1 (ko) 2013-10-18
WO2006132124A1 (ja) 2006-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89782B2 (en) Tractor
JP4996344B2 (ja) 作業車の操作構造
US9309967B2 (en) Gearshift mechanism and working vehicle
US8132591B2 (en) Duct positioning for switching valve for tractors
KR101319896B1 (ko) 승용형 이앙기
JP4616705B2 (ja) 乗用型田植機
CN108025777B (zh) 乘用作业车
EP3841858B1 (en) Work vehicle
JP4488518B2 (ja) 乗用型田植機
JP2007092284A (ja) 作業車
US4836738A (en) Load handling vehicle
JP3987315B2 (ja) 走行車両の操縦装置
KR101355044B1 (ko) 작업 차량
JP4141306B2 (ja) 乗用作業機
JP3366570B2 (ja) 作業車の後部フェンダ支持構造
JP2007228852A5 (ko)
CN111094107B (zh) 作业车辆
KR19990066956A (ko) 승용트랙터
JP6766729B2 (ja) 作業車両
JP4364824B2 (ja) トラクタ
JP6775448B2 (ja) 作業車
JP6570440B2 (ja) 作業車
JP2008179233A (ja) クローラ式作業車両
JPS6222417Y2 (ko)
JP2007001456A (ja) 乗用型田植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