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7968B1 - 기어 전동 장치 - Google Patents

기어 전동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7968B1
KR102327968B1 KR1020150051650A KR20150051650A KR102327968B1 KR 102327968 B1 KR102327968 B1 KR 102327968B1 KR 1020150051650 A KR1020150051650 A KR 1020150051650A KR 20150051650 A KR20150051650 A KR 20150051650A KR 102327968 B1 KR102327968 B1 KR 1023279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insertion groove
gear transmission
case
cylindrical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16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20297A (ko
Inventor
슌스케 요시다
šœ스케 요시다
가즈야 후루타
신야 히로세
준 이케다
Original Assignee
나부테스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54250094&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2327968(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나부테스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나부테스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1202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02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79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79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1/28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1/3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 which the central axis of the gearing lies inside the periphery of an orbital gea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1/28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1/3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 which the central axis of the gearing lies inside the periphery of an orbital gear
    • F16H2001/323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 which the central axis of the gearing lies inside the periphery of an orbital gear comprising eccentric crankshafts driving or driven by a gearing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내구성이 높은 기어 전동 장치를 실현하는 것이다.
기어 전동 장치는, 내주에 내기어가 형성되어 있는 내치 부재(6)와, 내기어와 맞물리면서 내기어에 대해 상대적으로 편심 회전하는 외기어를 구비하고 있다. 내치 부재(6)의 내주면(7)에, 복수의 홈(9)이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홈(9)은 기어 전동 장치의 축선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또한, 복수의 홈(9)은 내치 부재(6)의 주위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홈(9)에 원기둥 형상 부재(8)를 삽입함으로써, 내기어가 형성되어 있다. 원기둥 형상 부재(8)의 축방향의 단부는, 중간부와 비교하여, 홈(9)과 접촉하는 주위 방향의 길이가 짧다.

Description

기어 전동 장치 {GEAR TRANSMISSION DEVICE}
본 명세서는, 기어 전동 장치에 관한 기술을 개시한다.
외기어가 내기어와 맞물리면서 내기어에 대해 상대적으로 편심 회전하는 구조를 갖는 기어 전동 장치가 알려져 있다. 이러한 기어 전동 장치에서는, 내치 부재의 내주면에 홈을 형성하고, 그 홈에 원기둥 형상 부재를 삽입하여 내기어를 형성하는 경우가 있다. 일본 특허 공개2006-46596호 공보에는, 케이스(내치 부재)의 내주면에 복수의 홈을 형성하고, 각각의 홈에 핀(원기둥 형상 부재)을 삽입함으로써 내기어가 형성되어 있는 기어 전동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한 홈에 삽입한 원기둥 형상 부재는, 내기어의 내치에 상당한다. 원기둥 형상 부재는, 외기어와 맞물리면서 상기 홈의 내부에서 회전한다. 이 홈은, 케이스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의 내기어의 경우, 원기둥 형상 부재의 회전에 수반하여, 홈과 원기둥 형상 부재 사이에 존재하고 있는 윤활제가 홈의 외부로 배출되는 경우가 있다. 그로 인해, 홈의 내부에서 유막 끊김이 발생하여, 홈의 표면과 원기둥 형상 부재 사이의 마찰이 커지는 경우가 있다. 혹은, 원기둥 형상 부재의 표면에 유막 끊김이 발생하여, 원기둥 형상 부재와 외기어 사이의 마찰이 커지는 경우가 있다. 그 결과, 기어 전동 장치의 내구성이 저하되는 일이 일어날 수 있다. 본 명세서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것이며, 내구성이 높은 기어 전동 장치를 실현하는 기술을 개시한다.
본 명세서가 개시하는 기술은, 내주에 내기어가 형성되어 있는 내치 부재와, 내기어와 맞물리면서 내기어에 대해 상대적으로 편심 회전하는 외기어를 구비하고 있는 기어 전동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그 기어 전동 장치에서는, 복수의 홈이, 내치 부재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홈은, 내치 부재의 내주면에 있어서, 기어 전동 장치의 축선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또한, 복수의 홈은, 내치 부재의 내주면에 있어서, 주위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내기어는, 원기둥 형상 부재를 상기 홈에 삽입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어 전동 장치에서는, 원기둥 형상 부재의 축방향의 단부는, 원기둥 형상 부재의 축방향의 중간부와 비교하여, 상기 홈과 접촉하는 주위 방향의 길이가 짧다.
상기 홈에 삽입한 원기둥 형상 부재는, 내기어의 내치에 상당한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내치 부재의 내주면에 형성한 홈을 「삽입 홈」이라 칭하는 경우가 있다. 상기한 기어 전동 장치에 의하면, 원기둥 형상 부재의 축방향의 단부는, 중간부와 비교하여, 삽입 홈에 접촉하고 있는 면적이 작다. 환언하면, 원기둥 형상 부재의 축방향의 단부는, 중간부보다도 삽입 홈으로부터 노출되어 있는 면적이 크다. 그로 인해, 원기둥 형상 부재의 단부는, 삽입 홈의 외부에 존재하는 윤활제와 접촉하는 면적이 크다. 원기둥 형상 부재의 단부에 접촉한 윤활제는, 원기둥 형상 부재의 외주면을 타고, 원기둥 형상 부재의 중간부로 이동한다. 삽입 홈과 원기둥 형상 부재 사이에 윤활제가 공급되기 쉬워져, 삽입 홈 내 및 원기둥 형상 부재의 유막 끊김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내기어에 대해 상대적으로 편심 회전하는 외기어」라 함은, 외기어가 기어 전동 장치의 축선에 대해 편심 회전하는 형태뿐만 아니라, 내기어가 기어 전동 장치의 축선에 대해 편심 회전하는 형태도 포함한다. 즉, 「내기어에 대해 상대적으로 편심 회전하는 외기어」라 함은, 내기어와 외기어 중 한쪽이 기어 전동 장치의 축선에 대해 편심 회전하고, 내기어와 외기어가 상대적으로 편심 회전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원기둥 형상 부재의 축방향의 단부」라 함은, 축방향의 한쪽의 단부인 형태와, 축방향의 양단부인 형태의 양쪽을 포함한다. 「홈과 접촉하는 주위 방향의 길이가 짧다」라 함은, 원기둥 형상 부재의 축방향의 단부가 삽입 홈과 완전히 접촉하지 않는 형태도 포함한다. 즉, 「홈과 접촉하는 주위 방향의 길이가 짧다」라 함은, 내치 부재의 내주면과 원기둥 형상 부재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어 있는 형태를 포함한다.
도 1은 제1 실시예의 기어 전동 장치의 단면도.
도 2는 도 1의 II-II선을 따른 단면도.
도 3은 내치 부재의 부분 확대 단면도(도 1의 일부의 확대도).
도 4는 제1 실시예의 특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제2 실시예의 특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제3 실시예의 특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제4 실시예의 특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어 전동 장치의 기술적 특징의 몇 가지를 기재한다. 또한, 이하에 기재하는 사항은, 각각 단독으로 기술적인 유용성을 갖고 있다.
기어 전동 장치는, 내기어와 외기어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내기어와 외기어는, 서로 맞물리면서, 상대적으로 편심 회전해도 된다. 즉, 외기어가, 내기어와 맞물리면서 편심 회전해도 된다. 혹은, 내기어가, 외기어와 맞물리면서 편심 회전해도 된다. 내기어는, 링 형상의 내치 부재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내기어는, 내치 부재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홈(삽입 홈)과, 그 삽입 홈에 삽입되는 원통 형상 부재에 의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외기어가 편심 회전하는 경우, 외기어를 지지하는 캐리어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캐리어가, 한 쌍의 베어링(주 베어링)을 통해, 내치 부재에 지지되어 있어도 된다.
외기어가 편심 회전하는 타입인 경우, 내치 부재가, 기어 전동 장치의 케이스를 겸하고 있어도 된다. 즉, 내기어가, 케이스의 내주에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케이스의 내측에, 캐리어, 크랭크 샤프트 및 외기어가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크랭크 샤프트는, 캐리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어도 된다. 크랭크 샤프트는, 편심체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외기어는, 크랭크 샤프트의 편심체와 결합되어, 크랭크 샤프트의 회전에 수반하여 편심 회전해도 된다. 내기어는, 외기어와 맞물려 있고, 외기어의 잇수와 다른 잇수를 갖고 있어도 된다.
삽입 홈에 삽입된 원통 형상 부재가, 내기어의 치로서 기능해도 된다. 이 경우, 내치 부재의 내주면 중, 인접하는 삽입 홈 사이의 내주면이, 내기어의 이흠으로서 기능해도 된다. 기어 전동 장치의 축선에 직교하는 단면에 있어서, 각각의 삽입 홈의 형상이 원호 형상이어도 된다. 복수의 삽입 홈은, 기어 전동 장치의 축선을 따라 연장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각각의 삽입 홈은, 내치 부재의 주위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원호 형상의 삽입 홈의 경우, 삽입 홈의 표면을 포함하는 가상 원의 중심과 원기둥 형상 부재의 회전축이 동축이며, 가상 원의 직경과 원기둥 형상 부재의 직경이 거의 동등해도 된다. 원기둥 형상 부재는, 삽입 홈 내에서 회전하고, 외기어와 삽입 홈 사이에서 미끄럼 베어링으로서 기능해도 된다.
원기둥 형상 부재의 축방향의 단부는, 축방향의 중간부와 비교하여, 삽입 홈과 접촉하는 주위 방향의 길이가 짧아도 된다. 즉, 원기둥 형상 부재의 축방향의 단부는, 중간부와 비교하여, 삽입 홈으로부터 노출되어 있는 면적이 커도 된다. 축방향의 한쪽의 단부가, 중간부와 비교하여, 삽입 홈으로부터 노출되어 있는 면적이 커도 된다. 또는, 축방향의 양단부가, 중간부와 비교하여, 삽입 홈으로부터 노출되어 있는 면적이 커도 된다. 또한, 원기둥 형상 부재의 축방향의 단부는, 주위 방향의 전체 둘레에 걸쳐 내치 부재의 내주면(삽입 홈)으로부터 이격되어 있어도 된다. 원기둥 형상 부재의 축방향으로의 이동은, 상기한 주 베어링의 레이스에 의해 규제되어 있어도 된다.
원기둥 형상 부재의 축방향의 단부와 대향하는 위치에 있어서, 내치 부재의 내주면에, 내치 부재의 주위 방향으로 1바퀴 도는 경사부가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경사부를 형성함으로써, 기어 전동 장치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 삽입 홈을 획정하고 있는 측벽의 두께가, 삽입 홈의 중간부와 비교하여, 단부에서 얇게 되어 있어도 된다. 기어 전동 장치를 평면에서 보았을 때(기어 전동 장치의 축선 방향에서 관찰함), 경사부의 대직경측의 단부(외측 테두리)가, 삽입 홈보다도, 기어 전동 장치의 직경 방향의 외측에 위치하고 있어도 된다. 이 경우, 기어 전동 장치의 축선 방향에 있어서, 삽입 홈의 단부가, 경사부에 위치하고 있어도 된다. 환언하면, 기어 전동 장치의 축선 방향으로부터 관찰하였을 때, 원기둥 형상 부재가, 경사부에 위치하고 있어도 된다.
경사부의 대직경측이, 경사부의 소직경측보다도, 기어 전동 장치의 축선 방향의 외측에 위치하고 있어도 된다. 즉, 경사부가 형성되어 있는 부분에 있어서, 기어 전동 장치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의 내치 부재의 두께가, 기어 전동 장치의 축선 방향에 있어서의 내치 부재의 단부로부터 중앙부를 향함에 따라 크게 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경사부는, 기어 전동 장치의 축선 방향에 있어서의 삽입 홈의 단부에, 국소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경사부는, 내치 부재의 주위 방향으로 1바퀴 돌지 않고, 주위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원기둥 형상 부재의 축방향의 단부와 대향하는 위치에 있어서, 삽입 홈의 깊이가, 원기둥 형상 부재의 축방향의 중간부와 대향하는 위치보다 깊어도 된다. 환언하면, 기어 전동 장치의 축선 방향에 있어서, 원기둥 형상 부재와 접촉하는 삽입 홈(제1 삽입 홈)과, 원기둥 형상 부재에 접촉하지 않는 삽입 홈(제2 삽입 홈)이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고, 제2 삽입 홈은, 원기둥 형상 부재의 축방향의 단부에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제1 삽입 홈의 표면을 포함하는 제1 가상 원의 중심과, 제2 삽입 홈의 표면을 포함하는 제2 가상 원의 중심이, 동축상에 위치하고 있어도 된다. 제2 가상 원의 직경은, 제1 가상 원의 직경보다 커도 된다.
[실시예]
(제1 실시예)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기어 전동 장치(100)의 기본적인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기어 전동 장치(100)의 종단면도[기어 전동 장치(100)의 축선(12)을 따른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2는 기어 전동 장치(100)의 횡단면도[기어 전동 장치(100)의 축선(12)에 직교하는 선을 따른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기어 전동 장치(100)는, 내기어(10)와 캐리어(4)와 크랭크 샤프트(14)와 외기어(28)를 구비하고 있다. 내기어(10)는, 케이스(6)의 내주에 복수의 내치 핀(8)을 배치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내치 핀(8)은 원기둥 형상이며, 케이스(6)의 내주면(7)에 형성되어 있는 삽입 홈(9)에 삽입되어 있다. 케이스(6)는, 내치 부재의 일례이며, 내치 핀(8)은 원기둥 형상 부재의 일례이다.
캐리어(4)는, 한 쌍의 베어링(22)[이하, 주 베어링(22)이라 칭하는 경우가 있음]에 의해, 케이스(6)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주 베어링(22)은 캐리어(4)가 케이스(6)에 대해 액시얼 방향 및 레이디얼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고 있다. 기어 전동 장치(100)에서는, 주 베어링(22)으로서 앵귤러 볼베어링을 사용하고 있다. 주 베어링(22)의 아우터 레이스(24)가 내치 핀(8)의 축방향의 단부면을 덮고 있다. 환언하면, 내치 핀(8)은 주 베어링(22)의 아우터 레이스(24)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내치 핀(8)은, 아우터 레이스(24)에 의해 축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규제되어 있다.
캐리어(4)는, 제1 플레이트(4a)와 제2 플레이트(4c)를 구비하고 있다. 제1 플레이트(4a)는 기둥 형상부(4b)를 구비하고 있다. 기둥 형상부(4b)는 제1 플레이트(4a)로부터 제2 플레이트(4c)를 향해 연장되어 있고, 볼트(34)에 의해 제2 플레이트(4c)에 고정되어 있다. 볼트(34)는 제2 플레이트(4c)를 통과하여, 기둥 형상부(4b)에 형성된 볼트 홈(34a)에 체결되어 있다. 케이스(6)와 제1 플레이트(4a) 사이에, 오일 시일(18)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기둥 형상부(4b)와 제2 플레이트(4c)에는, 주위 방향의 위치 결정을 하기 위한 위치 결정 핀(도시 생략)이 삽입되어 있다. 도 2에는, 기둥 형상부(4b)에 형성되어 있는 핀 구멍(36)이 도시되어 있다. 제2 플레이트(4c)에도 핀 구멍(도시 생략)이 형성되어 있다. 위치 결정 핀은, 제2 플레이트(4c)의 핀 구멍을 통과하여, 핀 구멍(36)에 삽입되어 있다.
크랭크 샤프트(14)는, 한 쌍의 베어링(20)에 의해, 캐리어(4)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한 쌍의 베어링(20)은, 크랭크 샤프트(14)가 캐리어(4)에 대해 액시얼 방향 및 레이디얼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고 있다. 기어 전동 장치(100)에서는, 한 쌍의 베어링(20)으로서 원뿔 롤러 베어링을 사용하고 있다. 크랭크 샤프트(14)는, 입력 기어(32)와 2개의 편심체(30)를 구비하고 있다. 편심체(30)는, 한 쌍의 베어링(22)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편심체(30)는, 원통 톨러 베어링(26)을 통해, 외기어(28)에 결합되어 있다. 외기어(28)는, 크랭크 샤프트(14)를 통해 캐리어(4)에 지지되어 있다. 또한, 입력 기어(32)는 한 쌍의 베어링(20)의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
기어 전동 장치(100)에서는, 모터(도시 생략)의 토크는, 입력 기어(32)에 전달된다. 모터의 토크가 입력 기어(32)에 전달되면, 크랭크 샤프트(14)의 회전에 수반하여, 편심체(30)가 편심 회전한다. 편심체(30)의 편심 회전에 수반하여, 외기어(28)가, 내기어(10)와 맞물리면서 편심 회전한다. 외기어(28)는, 축선(12)의 주위를 편심 회전한다. 2개의 편심체(30)는, 서로 대칭으로 편심되어 있다. 그로 인해, 2개의 외기어(28)는, 축선(12)의 주위를 서로 대칭으로 편심 회전한다. 외기어(28)의 잇수와 내기어(10)의 잇수[내치 핀(8)의 수]는 다르다(도 2를 참조). 그로 인해, 외기어(28)가 편심 회전하면, 외기어(28)와 내기어(10)의 잇수차에 따라서, 외기어(28)를 지지하고 있는 캐리어(4)가 케이스(6)에 대해 회전한다. 축선(12)은 캐리어(4)의 회전축이라고 할 수도 있다.
도 2∼도 4를 참조하여, 케이스(6)의 특징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도 4는 케이스(6)의 특징을 모식적으로 도시하고 있고, 실제의 사이즈를 정확하게 나타내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 3에서는 내치 핀(8) 및 외기어(28)를 일점 쇄선으로 나타내고, 도 4에서는 내치 핀(8)을 파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케이스(6)의 중간부(6a)의 내주면(7)은, 단부(6b)와 비교하여, 축선(12)을 향해 돌출되어 있다. 환언하면, 중간부(6a)의 내경은, 단부(6b)의 내경보다 작다. 중간부(6a)의 양단부[축선(12) 방향의 양단부]에는, 평탄부(11)가 설치되어 있다. 평탄부(11)에 의해, 주 베어링(22)의 아우터 레이스(24)가 위치 결정된다(도 1도 참조). 평탄부(11)는, 주 베어링(22)의 축선(12)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한다. 이에 의해, 케이스(6)에 대한 캐리어(4)의 예압을 조정할 수 있다. 평탄부(11)는, 레이스 지지부라고 할 수도 있다. 중간부(6a)에는, 삽입 홈(9)과 경사부(9a)가 형성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경사부(9a)는 케이스(6)의 주위 방향을 1바퀴 돌고 있다. 기어 전동 장치(100)의 직경 방향[축선(12)에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 경사부(9a)의 외주는, 삽입 홈(9)보다도 외측에 위치하고 있다. 즉, 경사부(9a)의 대직경측의 단부(외측 테두리)는 삽입 홈(9)의 바닥보다도 외측에 위치하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내치 핀(8)은 아우터 레이스(24)에 의해 축선(12) 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되어 있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내치 핀(8)은 거의 평탄부(11)와 동일한 위치까지 연장되어 있다. 환언하면, 내치 핀(8)의 단부는, 경사부(9a)가 형성되어 있는 위치까지 연장되어 있다. 또한, 외기어(28)는 내치 핀(8)의 축선(12) 방향 전체에 접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로 인해, 외기어(28)의 치면의 일부[축선(12) 방향에 있어서의 치면의 일부]는 직경 방향[축선(12)에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 경사부(9a)에 대향하고 있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삽입 홈(9)의 단부는, 경사부(9a)에 위치하고 있다. 즉, 삽입 홈(9)은 평탄부(11)까지 연장되어 있지 않다. 그로 인해, 내치 핀(8)의 단부는, 삽입 홈(9)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환언하면, 내치 핀(8)의 단부는, 케이스(6)의 내주면(7)에 접촉하고 있지 않다. 내치 핀(8)의 단부는, 주위 방향의 전체 주위에 걸쳐 케이스(6)의 내주면(7)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내치 핀(8)의 단부는, 삽입 홈(9)으로부터 노출되어 있으므로, 윤활제에 접하기 쉽다. 또한, 경사부(9a)에 있어서의 삽입 홈(9)의 깊이는, 다른 부분보다도 깊다. 그로 인해, 경사부(9a)에 있어서, 삽입 홈(9)과 내치 핀(8) 사이에 간극이 형성된다. 이 간극에는, 윤활제가 유지되기 쉽다. 또한, 도 3 및 도 4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삽입 홈(9)을 획정하고 있는 측벽[케이스(6)]의 직경 방향의 두께는, 삽입 홈(9)의 중간부와 비교하여, 단부에서 얇다.
케이스(6)의 제조 공정에 대해 간단하게 설명한다. 여기서는, 케이스(6)의 내측 부분의 가공 공정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케이스(6)의 내주면의 양측을 깎아, 케이스(6)의 양단부(6b)의 내경을 중간부(6a)보다 크게 한다. 이에 의해, 중간부(6a)의 축방향 단부에, 평탄부(11)가 형성된다. 다음으로, 중간부(6a)의 코너부[평탄부(11)의 축선(12)측의 단부]를 케이스(6)의 주위 방향을 1바퀴 돌도록 깎는다(도 1도 참조). 케이스(6)에서는, 중간부(6a)의 양측의 코너부를 깎고 있다. 이에 의해, 경사부(9a)가 중간부(6a)에 형성된다. 그 후, 축선(12)을 따라, 중간부(6a)를 깎아 삽입 홈(9)을 형성한다. 이때, 삽입 홈(9)을 형성하는 공구는, 최초에 경사부(9a)에 접한다. 즉, 삽입 홈(9)을 형성하는 공구는, 경사부(9a)의 대직경측 단부보다도 내측[축선(12)측]을 깎는다.
기어 전동 장치(100)의 이점을 설명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내치 핀(8)은 내기어(10)를 구성하고 있고, 삽입 홈(9)에 삽입되어 있다. 내치 핀(8)의 중간부에서는, 내치 핀(8)의 표면이 삽입 홈(9)에 접하고 있어, 삽입 홈(9)의 외부 윤활제에 접하기 어렵다. 그러나, 기어 전동 장치(100)에서는, 내치 핀(8)의 단부는, 케이스(6)의 내주면(7)[삽입 홈(9)]에 접하고 있지 않으므로, 삽입 홈(9)의 외부의 윤활제에 접할 수 있다. 또한, 경사부(9a)가 형성되어 있는 위치에 있어서, 삽입 홈(9)과 내치 핀(8)의 간극에 윤활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로 인해, 윤활제가, 내치 핀(8)의 외주를 타고, 내치 핀(8)의 단부로부터 중간부로 이동할 수 있다. 그 결과, 내치 핀(8)과 삽입 홈(9) 사이의 유막 끊김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내치 핀(8)과 외기어(28) 사이의 유막 끊김도 억제할 수 있다. 즉, 경사부(9a)를 형성함으로써, 내치 핀(8)과 삽입 홈(9) 사이, 및/또는 내치 핀(8)과 외기어(28) 사이의 마찰을 저감시킬 수 있다.
내치 핀(8)은 삽입 홈(9)이 연장되는 방향[축선(12) 방향]을 따라, 삽입 홈(9)에 삽입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경사부(9a)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경우, 내치 핀(8)을 축선(12)과 평행하게 유지하면서, 삽입 홈(9)에 삽입할 필요가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내치 핀(8)은 삽입 홈(9)에 대해 미끄럼 베어링으로서 작용한다. 그로 인해, 삽입 홈(9)의 사이즈(가상 원의 직경)와 내치 핀(8)의 사이즈(외경)는 거의 동등하다. 즉, 내치 핀(8)과 삽입 홈(9)에는, 거의 간극이 없다. 내치 핀(8)을 축선(12)과 평행하게 유지하면서, 간극이 거의 없는 삽입 홈(9)에 내치 핀(8)을 삽입하는 작업은 번잡하다. 기어 전동 장치(100)와 같이 경사부(9a)를 형성함으로써, 내치 핀(8)을 삽입 홈(9)에 삽입할 때, 경사부(9a)를 따라 삽입할 수 있다. 즉, 내치 핀(8)을 삽입 홈(9)에 삽입할 때, 내치 핀(8)을 축선(12)과 평행하게 유지할 필요가 없다. 기어 전동 장치(100)의 제조 공정[내치 핀(8)을 삽입 홈(9)에 삽입하는 공정]을 간략화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케이스(6)의 내주면(7)에 삽입 홈(9)을 형성할 때, 삽입 홈(9)을 형성하는 공구가, 최초에 경사부(9a)에 접한다. 공구가 최초에 경사부(9a)에 접함으로써, 경사부(9a)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케이스에 삽입 홈을 형성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삽입 홈(9)의 단부에 버어가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경사부(9a)를 형성함으로써, 삽입 홈(9)을 형성한 후의 버어를 제거하는 공정을 간략화할 수 있다. 즉, 기어 전동 장치(100)의 제조 공정(버어 제거 가공을 하는 공정)을 간략화할 수 있다.
또한, 삽입 홈(9)을 형성할 때에 공구가 경사부(9a)에 접촉하므로, 삽입 홈(9)을 형성하는 공구에 가해지는 부하를 저감시킬 수 있다. 그로 인해, 공구의 회전 속도, 및/또는 이동 속도를 빠르게 할 수 있으므로, 삽입 홈(9)의 가공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기어 전동 장치(100)는 경사부를 구비하고 있지 않은 종래의 기어 전동 장치와 비교하여, 경사부(9a)를 형성하는 공정이 증가한다. 그러나, 경사부(9a)는 케이스(6)의 내주면(7)을 1바퀴 돌고 있으므로, 편측당 1공정에서 경사부(9a)를 형성할 수 있다. 각각의 삽입 홈(9)에 발생한 버어를 제거하는 공정과 비교하여, 제조 시간을 대폭 단축할 수 있다.
(제2 실시예)
도 5는, 제2 실시예의 기어 전동 장치의 일부를 도시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케이스(206)의 형상이, 기어 전동 장치(100)의 케이스(6)와 다르다. 다른 구조는, 기어 전동 장치(1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또한, 기어 전동 장치(100)와 동일한 부품에는, 동일 부호 또는 아래 두자리가 동일한 부호를 부여함으로써 설명을 생략하는 경우가 있다. 도 5는 기어 전동 장치(100)에 대해 설명한 도 4에 상당하는 부분을 도시하고 있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경사부(209a)의 대직경측 단부는, 삽입 홈(209)의 바닥보다 직경 방향 내측에 위치하고 있다. 환언하면, 경사부(209a)의 대직경측 단부의 직경이, 경사부(9a)보다 작다. 케이스(206)의 경우, 케이스(6)와 비교하여, 평탄부(211)의 면적이 크다. 그로 인해, 베어링(22)(도 1도 참조)의 아우터 레이스(24)와 케이스(206)의 접촉 면적이 커져, 베어링(22)을 보다 확실하게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케이스(206)의 경우, 내주면에 삽입 홈(209)을 형성할 때, 공구가, 최초에 평탄부(211)와 경사부(209a)의 양쪽에 접한다.
또한, 케이스(206)의 경우, 내치 핀(8)의 단부는, 중앙부와 비교하여 삽입 홈(209)에 접촉하는 면적이 작다. 그로 인해, 내치 핀(8)의 단부는, 삽입 홈(209)의 외부에 존재하는 윤활제와 접촉하기 쉽다. 내치 핀(8)의 단부에 부착된 윤활제가 내치 핀(8)의 중간부로 이동하여, 내치 핀(8)과 삽입 홈(9) 사이, 및/또는 내치 핀(8)과 외기어(28) 사이의 유막 끊김을 억제할 수 있다(도 2도 참조).
(제3 실시예)
도 6은, 제3 실시예의 기어 전동 장치의 일부를 도시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케이스(306)의 형상이, 기어 전동 장치(100)의 케이스(6)와 다르다. 다른 구조는, 기어 전동 장치(1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기어 전동 장치(100)와 동일한 부품에는, 동일 부호 또는 아래 두자리가 동일한 부호를 부여함으로써 설명을 생략하는 경우가 있다. 도 6은, 기어 전동 장치(100)에 대해 설명한 도 4에 상당하는 부분을 도시하고 있다.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케이스(306)는 경사부를 구비하고 있지 않다. 케이스(306)에는, 직경이 서로 다른 2개의 삽입 홈[제1 삽입 홈(309), 제2 삽입 홈(309a)]이 형성되어 있다. 제1 삽입 홈(309)의 표면을 포함하는 제1 가상 원의 중심과, 제2 삽입 홈(309a)의 표면을 포함하는 제2 가상 원의 중심은 동축상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제2 가상 원의 직경은, 제1 가상 원의 직경보다 크다. 즉, 제2 삽입 홈(309a)은 제1 삽입 홈(309)보다 깊다. 제1 삽입 홈(309)이 내치 핀(8)의 축방향의 중간부와 대향하고 있고, 제2 삽입 홈(309a)이 내치 핀(8)의 축방향의 단부와 대향하고 있다. 제1 삽입 홈(309)과 제2 삽입 홈(309a)은 연통되어 있다. 내치 핀(8)은 제1 삽입 홈(309)의 표면에 접촉하고, 제2 삽입 홈(309a)의 표면에 접촉하지 않는다. 그로 인해, 내치 핀(8)의 단부측에서는, 내치 핀(8)과 케이스(306) 사이에 간극이 형성된다. 제2 삽입 홈(309a)과 내치 핀(8) 사이에 윤활제가 유지되고, 그 윤활제가 내치 핀(8)의 중간부[제1 삽입 홈(309)에 삽입되어 있는 부분]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케이스(306)는 케이스(6)와 비교하여, 평탄부(311)의 면적이 크다. 그로 인해, 베어링(22)의 아우터 레이스(24)와 케이스(306)의 접촉 면적을 넓게 할 수 있다. 또한, 케이스(306)의 경우, 내치 핀(8)은 제2 삽입 홈(309a)을 통해 제1 삽입 홈(309)에 삽입된다. 제2 삽입 홈(309a)의 직경은 내치 핀(8)의 직경보다 크므로, 내치 핀(8)을 제1 삽입 홈(309)에 직접 삽입하는 형태에 비해,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제4 실시예)
도 7은, 제4 실시예의 기어 전동 장치의 일부를 도시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케이스(406)의 형상이, 기어 전동 장치(100)의 케이스(6)와 다르다. 다른 구조는, 기어 전동 장치(1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기어 전동 장치(100)와 동일한 부품에는, 동일 부호 또는 아래 두자리가 동일한 부호를 부여함으로써 설명을 생략하는 경우가 있다. 도 7은, 기어 전동 장치(100)에 대해 설명한 도 4에 상당하는 부분을 도시하고 있다.
케이스(406)는, 케이스(306)와 마찬가지로, 경사부를 구비하고 있지 않다. 케이스(406)의 경우, 제2 삽입 홈(409a)의 직경이, 제1 삽입 홈(409)에 근접함에 따라서 작아지고 있다. 환언하면, 케이스(406)는 케이스(406)의 주위 방향으로, 복수의 경사부(제2 삽입 홈)(409a)를 구비하고 있다. 그로 인해, 내치 핀(8)을 제1 삽입 홈(409)에 삽입하는 것이 용이하고, 내치 핀(8)의 단부에 윤활제를 저류해 둘 수도 있다. 또한, 지지부(411)의 면적을 크게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제1 삽입 홈(409)을 형성하는 공구가, 최초에 경사부(제2 삽입 홈)(409a)에 접하므로, 버어 제거 가공을 간략화할 수도 있다.
이상, 본 발명의 구체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이들은 예시에 불과하며, 청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에는, 이상에 예시한 구체예를 다양하게 변형, 변경한 것이 포함된다. 본 명세서 또는 도면에 설명한 기술 요소는, 단독으로 혹은 각종 조합에 의해 기술적 유용성을 발휘하는 것이며, 출원시의 청구항에 기재된 조합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 또는 도면에 예시한 기술은 복수의 목적을 동시에 달성하는 것이며, 그 중 하나의 목적을 달성하는 것 자체로 기술적 유용성을 갖는 것이다.
6 : 내치 부재
7 : 내치 부재의 내주면
8 : 원기둥 형상 부재
9 : 홈
10 : 내기어
28 : 외기어
100 : 기어 전동 장치

Claims (4)

  1. 내주에 내기어가 형성되어 있는 내치 부재와, 내기어와 맞물리면서 내기어에 대해 상대적으로 편심 회전하는 외기어를 구비하고 있는 기어 전동 장치이며,
    복수의 홈이, 내치 부재의 내주면에 있어서, 기어 전동 장치의 축선을 따라 연장되어 있음과 함께 주위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고,
    내기어는, 원기둥 형상 부재를 상기 홈에 삽입함으로써 형성되어 있고,
    원기둥 형상 부재의 축방향의 단부는, 원기둥 형상 부재의 축방향의 중간부와 비교하여, 상기 홈과 접촉하는 주위 방향의 길이가 짧고,
    원기둥 형상 부재의 축방향의 단부와 대향하는 위치에 있어서, 내치 부재의 내주면에, 내치 부재의 주위 방향으로 1바퀴 도는 경사부가 형성되어 있는, 기어 전동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기어 전동 장치의 축선 방향으로부터 관찰하였을 때, 경사부의 대직경측의 단부가, 상기 홈보다도 외측에 위치하는, 기어 전동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원기둥 형상 부재의 축방향의 단부와 대향하는 위치에 있어서, 상기 홈의 깊이가, 원기둥 형상 부재의 축방향의 중간부와 대향하는 위치보다 깊은, 기어 전동 장치.
  4. 삭제
KR1020150051650A 2014-04-17 2015-04-13 기어 전동 장치 KR10232796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085530 2014-04-17
JP2014085530A JP6335006B2 (ja) 2014-04-17 2014-04-17 歯車伝動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0297A KR20150120297A (ko) 2015-10-27
KR102327968B1 true KR102327968B1 (ko) 2021-11-17

Family

ID=542500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1650A KR102327968B1 (ko) 2014-04-17 2015-04-13 기어 전동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335006B2 (ko)
KR (1) KR102327968B1 (ko)
CN (1) CN105041983B (ko)
DE (1) DE10201520669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859039B2 (ja) * 2016-07-12 2021-04-14 ナブテスコ株式会社 歯車装置
JP7221077B2 (ja) * 2019-02-20 2023-02-13 住友重機械工業株式会社 撓み噛合い式歯車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32516A (ja) * 2000-02-24 2001-08-28 Sumitomo Heavy Ind Ltd 外ピン支持部材、及び該外ピン支持部材の製造方法
JP2009293650A (ja) 2008-06-03 2009-12-17 Nabtesco Corp 偏心揺動型歯車装置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34617B2 (ja) * 1991-01-31 2000-04-17 住友重機械工業株式会社 複列式内接噛合遊星歯車構造
JPH11280854A (ja) * 1998-03-30 1999-10-15 Sumitomo Heavy Ind Ltd 内接噛合遊星歯車構造の変速システム
JP4726185B2 (ja) * 2004-01-13 2011-07-20 ナブテスコ株式会社 偏心揺動型歯車装置
JP2006046596A (ja) 2004-08-06 2006-02-16 Sumitomo Heavy Ind Ltd 遊星歯車減速装置
KR100754995B1 (ko) * 2005-08-19 2007-09-04 주식회사 해성산전 사이클로이드 치형을 갖는 유성기어 감속기의 외치기어 및가공방법
JP2009287692A (ja) * 2008-05-29 2009-12-10 Nabtesco Corp 偏心型減速機及び偏心型減速機のピン溝加工方法
JP5894099B2 (ja) * 2013-03-25 2016-03-23 住友重機械工業株式会社 減速装置
JP6275588B2 (ja) * 2013-12-25 2018-02-07 住友重機械工業株式会社 遊星歯車装置およびその内歯歯車の製造方法
JP6584054B2 (ja) * 2014-03-28 2019-10-02 住友重機械工業株式会社 偏心揺動型減速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32516A (ja) * 2000-02-24 2001-08-28 Sumitomo Heavy Ind Ltd 外ピン支持部材、及び該外ピン支持部材の製造方法
JP2009293650A (ja) 2008-06-03 2009-12-17 Nabtesco Corp 偏心揺動型歯車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0297A (ko) 2015-10-27
JP2015206378A (ja) 2015-11-19
DE102015206693A1 (de) 2015-10-22
JP6335006B2 (ja) 2018-05-30
CN105041983A (zh) 2015-11-11
CN105041983B (zh) 2018-10-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326376B (zh) 轴承装置
WO2013051422A1 (ja) 歯車伝動装置
KR20170062378A (ko) 휨 맞물림식 기어장치 및 그 기진체의 제조방법
JP2007218369A (ja) 遊星歯車機構用ころ軸受
TWI619896B (zh) Bearing and reducer
KR20160111439A (ko) 기어 전동 장치
KR20040085081A (ko) 니들 롤러 베어링 및 이 니들 롤러 베어링을 이용한 감속기
KR102327968B1 (ko) 기어 전동 장치
JP5400648B2 (ja) 歯車伝動装置
TWI597439B (zh) 齒輪傳動裝置
KR101793519B1 (ko) 휨 맞물림식 기어장치
KR20150054940A (ko) 기어 전동 장치와 그것에 사용되는 크랭크 샤프트 구조체
KR20160105879A (ko) 기어 전동 장치
JP2013072499A (ja) アンギュラ玉軸受
JP5445961B2 (ja) 減速装置
KR102337724B1 (ko) 기어 전동 장치
KR20170031015A (ko) 유성기어장치
KR20170015193A (ko) 편심 요동형 기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WO2012086327A1 (ja) 歯車伝動装置
WO2012039032A1 (ja) シャフト装置
JP7338810B1 (ja) ボールねじ装置およびねじ軸の製造方法
JP7442364B2 (ja) 潤滑性能を向上させた差動減速機
KR20170070986A (ko) 기어치를 구비하는 베어링 및 이를 이용한 감속기
JP2024021633A (ja) ボールねじ装置
JP2008185172A (ja) 遊星減速機用自動調心ころ軸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