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0034B1 - 잉여 와이어링을 이용한 와이어링 프로텍터 및 와이어링 보호 구조체 - Google Patents

잉여 와이어링을 이용한 와이어링 프로텍터 및 와이어링 보호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0034B1
KR102320034B1 KR1020210055639A KR20210055639A KR102320034B1 KR 102320034 B1 KR102320034 B1 KR 102320034B1 KR 1020210055639 A KR1020210055639 A KR 1020210055639A KR 20210055639 A KR20210055639 A KR 20210055639A KR 102320034 B1 KR102320034 B1 KR 1023200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ing
housing
surplus
protected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56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병섭
Original Assignee
(주)티에이치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티에이치엔 filed Critical (주)티에이치엔
Priority to KR10202100556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003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00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00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07Wire harnesses
    • B60R16/0215Protecting, fastening and routing mean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3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00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 H02G11/02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using take-up reel or drum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06Detail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02Type of accident
    • B60R2021/0004Frontal colli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021/01122Prevention of malfunction
    • B60R2021/01129Problems or faults
    • B60R2021/01143Short circu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4Acceleration sensors
    • B60Y2400/3042Collision 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10/00Constructional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410/10Hous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잉여 와이어링을 이용한 와이어링 프로텍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잉여 와이어링을 이용한 와이어링 프로텍터는 제1 하우징 및 상기 제1 하우징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내주면에 잉여 와이어링이 권취되는 복수의 권취 가이드가 형성되어 있는 제2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잉여 와이어링은 차량의 전방 차체에 설치된 전방충돌센서와 그로밋(grommet)을 매개로 연결된 보호대상 와이어링의 일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방충돌센서와 에어백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연결하는 보호대상 와이어링의 적어도 일부 구간에 잉여 와이어링을 적용하여 차량에 충돌 사고 등이 발생하는 경우 보호대상 와이어링의 단선을 방지함으로써 차량 사고 발생시 탑승자 안전을 확보할 수 있다.

Description

잉여 와이어링을 이용한 와이어링 프로텍터 및 와이어링 보호 구조체{WIRING PROTECTOR AND WIRING PROTECTING STRUCTURE USING SURPLUS WIRING}
본 발명은 잉여 와이어링을 이용한 와이어링 프로텍터 및 와이어링 보호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전방충돌센서와 에어백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연결하는 보호대상 와이어링의 적어도 일부 구간에 잉여 와이어링을 적용하여 차량에 충돌 사고 등이 발생하는 경우 보호대상 와이어링의 단선을 방지함으로써 차량 사고 발생시 탑승자 안전을 확보할 수 있는 잉여 와이어링을 이용한 와이어링 프로텍터 및 와이어링 보호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경우 엔진룸에 각종 센서들이 설치되어 있으며, 각종 센서들을 연결하기 위한 위한 커넥터들 및 이에 연결된 와이어들이 설치되어 있는데, 이러한 와이어들은 보통 다발로 묶여 미고정 상태로 엔진룸 내에 구비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경우 차량 주행시 엔진 진동 및 차체의 유동으로 인해 와이어가 이탈, 단선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한편, 차량에는 충돌 등의 사고 발생시 탑승자의 안전을 확보하기 수단으로 에어백이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에어백 중에서 전자 제어식 에어백은 차량의 전방 차체에 설치된 전방충돌센서가 감지하는 신호에 의해 동작하며, 이와 관련하여 에어백을 제어하는 제어수단과 전방충돌센서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선의 다발인 와이어링이 구비되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라 전방충돌센서에 연결된 와이어링이 단선되는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차량에 충돌 등에 의한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이 와이어링(5)은 외력에 의해 파손, 단선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 와이어링(5)이 단선되는 경우, 에어백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은 전방충돌센서(20)로부터 어떠한 감지신호도 전달받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하기 때문에, 차량 충돌 사고 등의 발생시 탑승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없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공개실용신안공보 실1998-037599호(공개일자: 1998년 09월 15일, 명칭: 엔진룸 와이어링 고정장치) 공개실용신안공보 실1998-043506호(공개일자: 1998년 09월 25일, 명칭: 인젝터부 와이어링 고정장치)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전방충돌센서와 에어백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연결하는 보호대상 와이어링의 적어도 일부 구간에 잉여 와이어링을 적용하여 차량에 충돌 사고 등이 발생하는 경우 보호대상 와이어링의 단선을 방지함으로써 차량 사고 발생시 탑승자 안전을 확보할 수 있는 잉여 와이어링을 이용한 와이어링 프로텍터 및 와이어링 보호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잉여 와이어링을 이용한 와이어링 프로텍터는 제1 하우징 및 상기 제1 하우징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내주면에 잉여 와이어링이 권취되는 복수의 권취 가이드가 형성되어 있는 제2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잉여 와이어링은 차량의 전방 차체에 설치된 전방충돌센서와 그로밋(grommet)을 매개로 연결된 보호대상 와이어링의 일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잉여 와이어링을 이용한 와이어링 프로텍터에 있어서, 상기 보호대상 와이어링의 일단은 상기 그로밋을 매개로 상기 전방충돌센서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보호대상 와이어링의 타단은 에어백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잉여 와이어링은 상기 보호대상 와이어링의 일단과 타단 사이에 존재하며, 상기 제2 하우징에 형성된 복수의 귄취 가이드에 1회 이상 권취되어 그 길이가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잉여 와이어링을 이용한 와이어링 프로텍터에 있어서, 상기 차량에 충돌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이 분리되어 상기 잉여 와이어링이 상기 제2 하우징에 형성된 복수의 권취 가이드로부터 이탈하고, 상기 잉여 와이어링의 연장된 길이에 의해 상기 보호대상 와이어링의 단선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잉여 와이어링을 이용한 와이어링 보호 구조체는 보호대상 와이어링, 상기 보호대상 와이어링의 일단을 차량의 전방 차체에 설치된 전방충돌센서에 연결하는 그로밋 및 상기 보호대상 와이어링의 일부인 잉여 와이어링이 권취되는 와이어링 프로텍터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잉여 와이어링을 이용한 와이어링 보호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링 프로텍터는 제1 하우징 및 상기 제1 하우징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내주면에 상기 잉여 와이어링이 권취되는 복수의 권취 가이드가 형성되어 있는 제2 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잉여 와이어링을 이용한 와이어링 보호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보호대상 와이어링의 타단은 에어백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잉여 와이어링은 상기 보호대상 와이어링의 일단과 타단 사이에 존재하며, 상기 제2 하우징에 형성된 복수의 귄취 가이드에 1회 이상 권취되어 그 길이가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잉여 와이어링을 이용한 와이어링 보호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차량에 충돌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이 분리되어 상기 잉여 와이어링이 상기 제2 하우징에 형성된 복수의 권취 가이드로부터 이탈하고, 상기 잉여 와이어링의 연장된 길이에 의해 상기 보호대상 와이어링의 단선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방충돌센서와 에어백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연결하는 보호대상 와이어링의 적어도 일부 구간에 잉여 와이어링을 적용하여 차량에 충돌 사고 등이 발생하는 경우 보호대상 와이어링의 단선을 방지함으로써 차량 사고 발생시 탑승자 안전을 확보할 수 있는 잉여 와이어링을 이용한 와이어링 프로텍터 및 와이어링 보호 구조체가 제공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라 전방충돌센서에 연결된 와이어링이 단선되는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잉여 와이어링을 이용한 와이어링 프로텍터의 설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있어서, 보호대상 와이어링의 일부인 잉여 와이어링이 설치되는 와이어링 프로텍터의 내부 설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와이어링 프로텍터의 내부 구조와 외부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있어서, 잉여 와이어링을 포함하는 전체 와이어링의 예시적인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충돌 사고 발생시 와이어링 프로텍터가 잉여 와이어링으로부터 이탈하고, 잔류하는 잉여 와이어링에 의해 와이어링의 단선이 방지되는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들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들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은 채,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는 제1 구성 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거나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 요소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 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잉여 와이어링(2)을 이용한 와이어링 프로텍터(10)의 설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있어서, 보호대상 와이어링(1)의 일부인 잉여 와이어링(2)이 설치되는 와이어링 프로텍터(10)의 내부 설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와이어링 프로텍터(10)의 내부 구조와 외부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있어서, 잉여 와이어링(2)을 포함하는 전체 와이어링의 예시적인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충돌 사고 발생시 와이어링 프로텍터(10)가 잉여 와이어링(2)으로부터 이탈하고, 잔류하는 잉여 와이어링(2)에 의해 와이어링의 단선이 방지되는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잉여 와이어링(2)을 이용한 와이어링 프로텍터(10)는 제1 하우징(12), 제2 하우징(14)을 포함한다.
제1 하우징(12)과 제2 하우징(14)은 상호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와이어링 프로텍터(10)를 구성하는 요소로서, 차량 충돌 등에 의해 외력인 인가되는 경우 서로 쉽게 분리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예를 들어, 제1 하우징(12)과 제2 하우징(14)의 결합면에 상호 느슨한 수준의 결합을 위한 복수의 홈과 돌기가 구비되고, 차량 운행과 관련한 평상시 제1 하우징(12)과 제2 하우징(14)이 이 홈과 돌기에 의해 느슨하게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다가, 차량에 탑승자 안전 보호를 위해 에어백을 동작시켜야 하는 수준의 외력이 인가되는 경우 돌기가 홈에서 이탈함으로써 제1 하우징(12)과 제1 하우징(12)이 서로 쉽게 분리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물론, 제1 하우징(12)과 제2 하우징(14)의 결합 방식이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제1 하우징(12)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하우징(14)의 내주면에는 보호대상 와이어링(1)의 길이를 연장하는 잉여 와이어링(2)을 권취하기 위한 복수의 권취 가이드(16, 18)가 형성되어 있으며, 잉여 와이어링(2)은 차량의 전방 차체에 설치된 전방충돌센서(20)와 그로밋(grommet, 30)을 매개로 연결된 보호대상 와이어링(1)의 일부이다.
예를 들어, 보호대상 와이어링(1)의 일단은 그로밋(30)을 매개로 전방충돌센서(20)에 연결되고, 보호대상 와이어링(1)의 타단은 에어백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에 연결되고, 잉여 와이어링(2)은 보호대상 와이어링(1)의 일단과 타단 사이에 존재하며 제2 하우징(14)에 형성된 복수의 권취 가이드(16, 18)에 1회 이상 권취되어 그 길이가 연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에 충돌 사고가 발생하여 보호대상 와이어링(1)에 일정 수준 이상의 외력이 인가되는 경우, 제1 하우징(12)과 제2 하우징(14)이 상호 분리되어 보호대상 와이어링(1)의 일부인 잉여 와이어링(2)이 제2 하우징(14)에 형성된 복수의 권취 가이드(16, 18)로부터 이탈하고, 잉여 와이어링(2)의 연장된 길이에 의해 보호대상 와이어링(1)의 단선이 방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잉여 와이어링(2)을 이용한 와이어링 보호 구조체는 보호대상 와이어링(1), 그로밋(30) 및 와이어링 프로텍터(10)를 포함한다.
보호대상 와이어링(1)은 차량의 전방 차체에 설치된 전방충돌센서(20)와 에어백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로밋(30)은 보호대상 와이어링(1)의 일단을 차량의 전방 차체에 설치된 전방충돌센서(20)에 안정적으로 연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와이어링 프로텍터(10)는 보호대상 와이어링(1)의 일부인 잉여 와이어링(2)이 권취되는 구성요소이다.
예를 들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와이어링 프로텍터(10)는 제1 하우징(12) 및 제1 하우징(12)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내주면에 보호대상 프로텍터의 일부인 잉여 와이어링(2)이 권취되는 복수의 권취 가이드(16, 18)가 형성되어 있는 제2 하우징(14)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호대상 와이어링(1)의 타단은 에어백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에 연결되고, 잉여 와이어링(2)은 보호대상 와이어링(1)의 일단과 타단 사이에 존재하며, 제2 하우징(14)에 형성된 복수의 권취 가이드(16, 18)에 1회 이상 권취되어 그 길이가 연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에 충돌 사고 등이 발생하여 보호대상 와이어링(1)에 일정 수준 이상의 외력이 인가되는 경우, 제1 하우징(12)과 제2 하우징(14)이 분리되어 잉여 와이어링(2)이 제2 하우징(14)에 형성된 복수의 권취 가이드(16, 18)로부터 이탈하고, 잉여 와이어링(2)의 연장된 길이에 의해 보호대상 와이어링(1)의 단선이 방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전방충돌센서(20)와 에어백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연결하는 보호대상 와이어링(1)의 적어도 일부 구간에 잉여 와이어링(2)을 적용하여 차량에 충돌 사고 등이 발생하는 경우 보호대상 와이어링(1)의 단선을 방지함으로써 차량 사고 발생시 탑승자 안전을 확보할 수 있는 잉여 와이어링(2)을 이용한 와이어링 프로텍터(10)가 제공되는 효과가 있다.
1: 보호대상 와이어링
2: 잉여 와이어링
10: 와이어링 프로텍터
12: 제1 하우징
14: 제2 하우징
16, 18: 권취 가이드
20: 전방충돌센서
30: 그로밋(grommet)

Claims (7)

  1. 잉여 와이어링을 이용한 와이어링 프로텍터로서,
    제1 하우징; 및
    상기 제1 하우징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내주면에 잉여 와이어링이 권취되는 복수의 권취 가이드가 형성되어 있는 제2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잉여 와이어링은 차량의 전방 차체에 설치된 전방충돌센서와 그로밋(grommet)을 매개로 연결된 보호대상 와이어링의 일부이고,
    상기 보호대상 와이어링의 일단은 상기 그로밋을 매개로 상기 전방충돌센서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보호대상 와이어링의 타단은 에어백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잉여 와이어링은 상기 보호대상 와이어링의 일단과 타단 사이에 존재하며, 상기 제2 하우징에 형성된 복수의 권취 가이드에 1회 이상 권취되어 그 길이가 연장되고,
    상기 차량에 충돌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이 분리되어 상기 잉여 와이어링이 상기 제2 하우징에 형성된 복수의 권취 가이드로부터 이탈하고, 상기 잉여 와이어링의 연장된 길이에 의해 상기 보호대상 와이어링의 단선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여 와이어링을 이용한 와이어링 프로텍터.
  2. 삭제
  3. 삭제
  4. 잉여 와이어링을 이용한 와이어링 보호 구조체로서,
    보호대상 와이어링;
    상기 보호대상 와이어링의 일단을 차량의 전방 차체에 설치된 전방충돌센서에 연결하는 그로밋;
    상기 보호대상 와이어링의 일부인 잉여 와이어링이 권취되는 와이어링 프로텍터를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링 프로텍터는, 제1 하우징 및 상기 제1 하우징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내주면에 상기 잉여 와이어링이 권취되는 복수의 권취 가이드가 형성되어 있는 제2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보호대상 와이어링의 타단은 에어백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잉여 와이어링은 상기 보호대상 와이어링의 일단과 타단 사이에 존재하며, 상기 제2 하우징에 형성된 복수의 귄취 가이드에 1회 이상 권취되어 그 길이가 연장되고,
    상기 차량에 충돌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이 분리되어 상기 잉여 와이어링이 상기 제2 하우징에 형성된 복수의 권취 가이드로부터 이탈하고, 상기 잉여 와이어링의 연장된 길이에 의해 상기 보호대상 와이어링의 단선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여 와이어링을 이용한 와이어링 보호 구조체.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210055639A 2021-04-29 2021-04-29 잉여 와이어링을 이용한 와이어링 프로텍터 및 와이어링 보호 구조체 KR1023200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5639A KR102320034B1 (ko) 2021-04-29 2021-04-29 잉여 와이어링을 이용한 와이어링 프로텍터 및 와이어링 보호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5639A KR102320034B1 (ko) 2021-04-29 2021-04-29 잉여 와이어링을 이용한 와이어링 프로텍터 및 와이어링 보호 구조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0034B1 true KR102320034B1 (ko) 2021-11-01

Family

ID=785190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5639A KR102320034B1 (ko) 2021-04-29 2021-04-29 잉여 와이어링을 이용한 와이어링 프로텍터 및 와이어링 보호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0034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51126A (ja) * 1993-06-08 1994-12-22 Yazaki Corp ワイヤーハーネスプロテクタ及びワイヤーハーネスの長さ調節方法
JPH0885399A (ja) * 1994-07-20 1996-04-02 Sumitomo Wiring Syst Ltd ワイヤハーネス用取付具
KR19980037599A (ko) 1996-11-22 1998-08-05 김영귀 자동차 도어의 암 레스트 고정구조
KR19980043506A (ko) 1996-12-03 1998-09-05 서정욱 셀기반 양방향 무선호출망과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디지탈 음성페이징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4104948A (ja) * 2002-09-11 2004-04-02 Sumitomo Wiring Syst Ltd ワイヤハーネス用スプールプロテクタ
KR20100035873A (ko) * 2008-09-29 2010-04-07 경신공업 주식회사 자동차의 와이어 하네스 권취기
KR102109417B1 (ko) * 2018-11-28 2020-05-13 (주)티에이치엔 수밀 구조를 갖는 차량용 그로밋 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51126A (ja) * 1993-06-08 1994-12-22 Yazaki Corp ワイヤーハーネスプロテクタ及びワイヤーハーネスの長さ調節方法
JPH0885399A (ja) * 1994-07-20 1996-04-02 Sumitomo Wiring Syst Ltd ワイヤハーネス用取付具
KR19980037599A (ko) 1996-11-22 1998-08-05 김영귀 자동차 도어의 암 레스트 고정구조
KR19980043506A (ko) 1996-12-03 1998-09-05 서정욱 셀기반 양방향 무선호출망과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디지탈 음성페이징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4104948A (ja) * 2002-09-11 2004-04-02 Sumitomo Wiring Syst Ltd ワイヤハーネス用スプールプロテクタ
KR20100035873A (ko) * 2008-09-29 2010-04-07 경신공업 주식회사 자동차의 와이어 하네스 권취기
KR102109417B1 (ko) * 2018-11-28 2020-05-13 (주)티에이치엔 수밀 구조를 갖는 차량용 그로밋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76448B2 (en) Occupant protection device
JP3949406B2 (ja) 車両用電気接続装置
JP6756828B2 (ja) エアバッグモジュールの接続ケーブルのためのケーブル導管装置、ならびに、前記タイプのケーブル導管装置を備える、配線システム、エアバッグモジュール、および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または車両
KR102320034B1 (ko) 잉여 와이어링을 이용한 와이어링 프로텍터 및 와이어링 보호 구조체
JP7084920B2 (ja) 車両乗員安全システムのエアバッグモジュール用の配線ハーネス、この種の配線ハーネスを有するエアバッグモジュール、車両ケーブル配線および車両乗員安全システムならびに製造方法
KR100514885B1 (ko) 차량의 가속페달 장치
JP7074726B2 (ja) ワイヤハーネス製造システム及びワイヤハーネス製造方法
CN102593771B (zh) 汽车发动机舱线束分线盒总成
JP2009099356A (ja) ケーブル構造
JP2015101111A (ja) 車両のホーン用ワイヤハーネスの保護構造及び車両のフロントグリルモジュール
JP6652329B2 (ja) 車両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におけるid識別設定方法
US20170170900A1 (en) Vehicle communication system having self-configuring optical interfaces
JP2005080380A (ja) ワイヤハーネス用プロテクタ
US20020145843A1 (en) Protection circuit for two-wire electrical devices
US20230065990A1 (en) Curtain airbag apparatus having twist prevention structure
KR102290436B1 (ko) 와이어링 프로텍터
KR100569903B1 (ko) 승용차 조수석 에어백 와이어 하네스 고정 구조
JP2024007713A (ja) ワイヤーハーネス
JP2000102155A (ja) 線材接続部保護クリップ
KR200431362Y1 (ko) 와이어 하네스 프로텍터
KR20240079720A (ko) 케이블 고정이 용이한 차량용 그로밋
KR200431361Y1 (ko) 와이어 하네스 보호용 프로텍터
EP2933669B1 (en) Protection element for protecting a fiber network component against damage thereof, tapping box, method of installing a network, and communications network
KR20210060737A (ko) 차량용 운전석 에어백장치
JPH08223736A (ja) ワイヤハーネスの配索用兼保護部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