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0278A - 결합형 밴드 클립 - Google Patents

결합형 밴드 클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0278A
KR20200000278A KR1020180072381A KR20180072381A KR20200000278A KR 20200000278 A KR20200000278 A KR 20200000278A KR 1020180072381 A KR1020180072381 A KR 1020180072381A KR 20180072381 A KR20180072381 A KR 20180072381A KR 20200000278 A KR20200000278 A KR 202000002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d
anchor
anchor portion
wiring harness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23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병제
Original Assignee
(주)티에이치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티에이치엔 filed Critical (주)티에이치엔
Priority to KR10201800723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00278A/ko
Publication of KR202000002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027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07Wire harnesses
    • B60R16/0215Protecting, fastening and routing mean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 F16B2/08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using ban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20Cli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solely by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0045Cable-harnes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4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with 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mounting or secu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락킹부를 갖는 제 1 앵커부, 락킹부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결합홈부를 갖는 제 2 앵커부, 일단부는 상기 제 1 앵커부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제 2 앵커부에 연결되며 와이어링 하네스를 감는 밴드 스트랩을 포함하고, 밴드 스트랩이 와이어링 하네스를 감싼 채로 제 1 앵커부 및 제 2 앵커부가 결합된 후 차량 패널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결합형 밴드 클립이 개시되어 있다.

Description

결합형 밴드 클립{Combination type band clip}
본 발명은 결합형 밴드 클립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밴드 클립을 구성하는 앵커부가 분리되어 밴드 스트립에 연결되어 있으며, 와이어링 하네스를 감싼 후, 분리된 앵커부가 결합됨으로써 차량에 고정되는 밴드 클립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경우 매우 많은 전기 장치를 가지고 있다 전기 장치는 와이어링 하네스(Wiring Harness)를 이용하여 연결된다 와이어링 하네스는 차량 내 전기 장치의 기능이 제대로 동작할 수 있도록 하는 일종의 배선 구조물로서, 자동차를 구동시키고 기능 부품을 작동하는데 필요한 전기를 각 기능 부품에 전달해주는 마치 인체의 신경조직 또는 혈관과 같은 역할을 한다 즉, 와이어링 하네스는 자동차의 전기·전자적 신호 체계를 전달하는 매우 중요한 부품이다
와이어링 하네스는 차량 내에 복잡하게 연결된 다수의 전선 중에서 유사한 장치에 연결되는 전선을 한 곳으로 묶은 다발 형태로 되어 있다 와이어링 하네스의 경우 서로 많이 중첩되어, 나중의 수리 또는 외관 식별을 위하여 구분 또는 고정이 필요하다 와이어링 하네스를 묶는 데는 밴드 케이블이 많이 이용된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밴드 케이블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밴드 케이블(100)은 와이어링 하네스(1)를 고정하는 밴드부(20) 및 밴드부(20)에 고정된 와이어링 하네스를 차량의 내부에 고정시키는 클립부 또는 앵커부(10)가 일체형으로 구조를 형성하고 있다
밴드부(20)는 와이어링 하네스(1)를 감아 조인 후, 앵커부(10)를 차량 또는 장치 내부에 고정시킨다.
이 경우, 도 2와 같이, 밴드부(20)가 밴드부를 감싼 후에는 밴드부의 말단부가 돌출되어 있어, 일정 부분을 절단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어 왔다.
또한, 밴드부(20)의 구조로 인하여, 앵커부(10)의 상단과 와이어링 하네스(1)의 단차(w)가 높은 문제점이 있다. 단차가 높은 경우에는, 차량 내부가 협소하여 주변부와 갭 확보의 어려움이 있다.
또한, 와이어링을 고정하기 위해서는 테이프로 밴드부(20)를 테이핑하는 이중 작업이 요구되어 작업 시간의 손해와 미감이 좋지 않은 문제점이 있어 왔다.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앵커부가 분리되어 밴드 스트립에 연결되어 있으며, 와이어링 하네스를 감싼 후, 분리된 앵커부가 결합되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밴드 스트랩의 절단이 필요 없으며, 단차가 낮은 결합형 밴드 클립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와이어링 하네스를 감아 고정하기 위한 결합형 밴드 클립은 락킹부를 갖는 제 1 앵커부, 상기 제 1 락킹부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제 1 결합홈부를 갖는 제 2 앵커부, 일단부는 상기 제 1 앵커부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제 2 앵커부에 연결되며 와이어링 하네스를 감는 밴드 스트랩을 포함하고, 상기 밴드 스트랩이 상기 와이어링 하네스를 감싼 채로 상기 제 1 앵커부 및 상기 제 2 앵커부가 결합된 후 차량 패널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상기 밴드 스트랩의 내측면에는 상기 와이어링 하네스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복수의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밴드 스트랩의 일단부에는 제 2 락킹부, 상기 밴드 스트랩의 타단부에는 제 3 락킹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1 앵커부에는 제 2 결합홈부, 상기 제 2 앵커부에는 제 3 결합홈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2 락킹부가 상기 제 2 결합홈부에, 상기 제 3 락킹부가 상기 제 3 결합홈부에 연결되어, 상기 밴드 스트랩과 상기 제 1 앵커부 및 상기 제 2 앵커부가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밴드 스트랩의 절단이 없어 작업성 개선 및 재료비 절감의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단차가 낮아 협소한 공간에서도 주변부와 갭 확보에 유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와이어링 하네스가 유동하지 않는 구조로, 추가적인 테이핑 작업이 불필요하여, 작업성 개선의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밴드 케이블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되어 있는 밴드클립의 정면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합되어 있는 밴드클립의 정면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합되어 있는 밴드클립의 좌측면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합되어 있는 밴드클립을 우측에서 바라본 사시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되어 있는 밴드클립의 정면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합되어 있는 밴드클립의 정면도를 나타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합되어 있는 밴드클립의 좌측면도를 나타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합되어 있는 밴드클립을 우측에서 바라본 사시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결합형 밴드클립(200)은 제 1 앵커부(210), 제 2 앵커부(220) 및 밴드 스트랩(230)를 포함한다.
제 1 앵커부(210) 및 제 2 앵커부(220)는 기존의 앵커부가 분리된 것으로 결합되어 앵커부를 구성하게 된다.
제 1 앵커부(210)는 제 1 락킹부(211)를 포함하고, 제 2 앵커부(220)는 결합홈부(221)를 포함한다.
밴드 스트랩(230)은 와이어링 하네스(100)를 감는 역할을 한다. 밴드 스트랩(230)의 일단부는 제 1 앵커부(210)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제 2 앵커부(220)에 연결된다.
밴드 스트랩(230)이 앵커부인 제 1 앵커부(210) 또는 제 2 앵커부(220)에 바로 연결되기 때문에, 제 1 앵커부(210) 또는 제 2 앵커부(220)와 와이어링 하네스(100) 간의 단차가 낮아지게 된다. 기존의 단차에 비하여, 단차가 낮아지게 됨으로써, 차량의 협소한 공간에서 주변부와 갭 확보에 유리한 장점이 발생하게 된다.
밴드 스트랩(230)이 와이어링 하네스(100)를 감싼 채로 제 1 앵커부(210)의 락킹부(211)를 제 2 앵커부(220)의 결합홈부(221)에 끼우면, 제 1 앵커부(210) 및 제 2 앵커부(220)가 결합되어 앵커부를 형성하고, 형성된 앵커부가 차량 패널에 삽입되어 전체적으로 고정된다.
이 경우에는, 밴드 스트랩이 밖으로 돌출되는 경우가 없어, 밴드 스트랩의 절단이 없어 작업성 개선 및 재료비 절감의 효과가 있다.
밴드 스트랩(230)의 내측면, 즉, 와이어링 하네스(100)를 감싸는 면에는 와이어링 하네스(100)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복수의 돌기(231)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와이어링을 고정하기 위하여 테이핑 작업 등의 추가 작업이 불필요하여, 작업 시간 단축 및 미감에 있어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밴드 스트랩(230)이 분리되어 결합되는 실시예가 있을 수 있다.
밴드 스트랩의 말단부에는 제 2 락킹부 및 제 3 락킹부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제 1 앵커부(210) 및 제 2 앵커부(220)에서 밴드 스트랩(230)과 연결되는 일면에는 제 2 결합홈부 및 제 3 결합홈부가 형성된다. 밴드 스트랩의 제 2 락킹부 및 제 3 락킹부가 제 1 앵커부(210) 및 제 2 앵커부(200)의 제 2 결합홈부 및 제 3 결합홈부에 각각 결합되어, 제 1 앵커부(210) 및 제 2 앵커부(220)가 밴드 스트랩(230)에 연결되게 된다. 이 경우에는, 와이어링 하네스의 굵기에 따라 적절한 밴드 스트랩(230)을 선택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밴드 클립:200
제 1 앵커부: 210
제 2 앵커부: 220
밴드 스트랩: 230

Claims (2)

  1. 와이어링 하네스를 감아 고정하기 위한 밴드 클립에 관한 것으로,
    락킹부를 갖는 제 1 앵커부, 상기 락킹부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결합홈부를 갖는 제 2 앵커부, 일단부는 상기 제 1 앵커부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제 2 앵커부에 연결되며 와이어링 하네스를 감는 밴드 스트랩을 포함하고,
    상기 밴드 스트랩이 상기 와이어링 하네스를 감싼 채로 상기 제 1 앵커부 및 상기 제 2 앵커부가 결합된 후 차량 패널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형 밴드 클립.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 스트랩의 내측면에는 상기 와이어링 하네스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복수의 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형 밴드 클립.
KR1020180072381A 2018-06-22 2018-06-22 결합형 밴드 클립 KR2020000027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2381A KR20200000278A (ko) 2018-06-22 2018-06-22 결합형 밴드 클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2381A KR20200000278A (ko) 2018-06-22 2018-06-22 결합형 밴드 클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0278A true KR20200000278A (ko) 2020-01-02

Family

ID=691552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2381A KR20200000278A (ko) 2018-06-22 2018-06-22 결합형 밴드 클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0027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201813228A (zh) 梯階托架總成
KR20200000278A (ko) 결합형 밴드 클립
US9601838B2 (en) Splice for gathering ends of electric wire bundle
KR200446541Y1 (ko) 배가름형 튜브
KR20170096361A (ko) 차량용 와이어 하니스 프로텍터
JP2017079504A (ja) ワイヤハーネス
KR200443657Y1 (ko) 와이어 하네스 프로텍터
KR20190074613A (ko) 더블 밴드 케이블
JP2000057853A (ja) 分岐部を有するワイヤハーネスの外装構造
KR102417171B1 (ko) 케이블 고정구조
KR200405977Y1 (ko) 와이어 하네스 분기용 유동방지구조
US11756710B2 (en) Wire harness manufacturing method, wire harness, and protective member
JP7481210B2 (ja) ボンダーキャップ
JPH08247340A (ja) ワイヤハーネス取付用バンド
KR20190000538A (ko) 착탈형 밴드 케이블
JP2010093959A (ja) ワイヤハーネス
JP2003139968A (ja) 光ファイバコード固定装置及びその結束固定方法
JP2001258138A (ja) クランプの車体固定構造
JPS6154807A (ja) ケ−ブル結束バンド
JP2001211532A (ja) コルゲートクランプへの分岐線の取付構造
JP2000184550A (ja) ハーネスプロテクタ
JPH08149659A (ja) ワイヤハーネス用グロメット
JP2016189679A (ja) 保護チューブおよびワイヤハーネス
JP2022081166A (ja) インパネハーネス
KR20090003444U (ko) 와이어링 하네스의 분기 고정용 밴드케이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