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60737A - 차량용 운전석 에어백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운전석 에어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60737A
KR20210060737A KR1020190148058A KR20190148058A KR20210060737A KR 20210060737 A KR20210060737 A KR 20210060737A KR 1020190148058 A KR1020190148058 A KR 1020190148058A KR 20190148058 A KR20190148058 A KR 20190148058A KR 20210060737 A KR20210060737 A KR 202100607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bag
driver
display
airbag cushion
guide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80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도형
고석훈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480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60737A/ko
Publication of KR202100607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073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03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steering wheels or steering columns
    • B60R21/203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steering wheels or steering columns using modules containing inflator, bag and cover attachable to the steering wheel as a complete sub-un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2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displays, e.g. cathodic tubes
    • B60R11/0235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displays, e.g. cathodic tubes of flat type, e.g. LC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covers for the inflatable member
    • B60R21/216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covers for the inflatable member characterised by a tear line for defining a deployment ope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5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60R21/264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using instantaneous generation of gas, e.g. pyrotechn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1Vehicle control means, e.g. steering-wheel or colum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운전석 에어백장치에 관한 것으로, 스티어링 휠(10)의 허브(12)에 디스플레이(1)와 함께 운전석 에어백장치(100)가 설치된 구성에서, 에어백쿠션(120)이 디스플레이(1)를 회피해서 운전자를 향해 돌출되게 전개되는 구성으로, 전개되는 에어백쿠션(120)에 의한 디스플레이(1)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용 운전석 에어백장치{DRIVER AIR BAG APPARATUS FOR VEHICLE}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와 함께 스티어링 휠에 장착되는 운전석 에어백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에어백쿠션이 디스플레이를 회피해서 운전자쪽으로 전개되는 차량용 운전석 에어백장치에 관한 기술이다.
차량 탑승자의 안전을 보호하기 위한 방안으로 차량에는 여러 종류의 에어백장치가 마련되어 있는 바, 그 중에서 운전석 에어백장치는 스티어링 휠의 허브에 장착된다.
운전석 에어백장치는 에어백 컨트롤유닛의 제어신호를 전달받아서 인플레이터가 폭발하면, 인플레이터에서 분사된 에어백가스의 압력에 의해 에어백쿠션이 스티어링 휠로부터 돌출되면서 운전자를 향해 전개됨에 따라 전개된 에어백쿠션에 의해 운전자의 상체가 보호를 받도록 된 구성이다.
한편, 운전자가 스티어링 휠과 가속페달 및 브레이크 등을 직접 조작하지 않아도 차량이 스스로 목적지까지 찾아가는 자율주행 상황이 보편적으로 실현되면, 차량 주행 중에 운전자가 직접 운전을 하지 않고 휴식을 취하는 릴렉스모드를 선택할 수 있고, 릴렉스모드 상황에서 운전자의 편안한 휴식을 위해 스티어링 휠에는 디스플레이가 구비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차량의 스티어링 휠에 운전자가 눈으로 주시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및 운전자를 보호하기 위한 운전석 에어백장치가 함께 구비된 경우, 통상의 구조는 스티어링 휠의 림에 에어백쿠션을 포함한 운전석 에어백장치가 먼저 고정되게 설치되고, 운전석 에어백장치의 전면에 운전자와 대면하도록 디스플레이가 장착된다.
따라서, 사고 발생시 에어백쿠션은 디스플레이의 앞쪽으로 돌출되면서 운전자쪽으로 전개되어야 하는데, 이때 전개되는 에어백쿠션은 디스플레이의 재질의 특성상 디스플레이를 찢으면서 돌출되는 것이 불가능하고, 특히 디스플레이를 파손시키면서 돌출되는 경우에는 파손된 디스플레이가 비산되면서 운전자가 부상을 당하게 되는 새로운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44831호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와 함께 스티어링 휠에 장착된 운전석 에어백장치로서, 에어백쿠션이 스티어링 휠의 허브에 장착된 디스플레이와 스티어링 휠의 림사이의 공간을 통해 전개되도록 하는 구성으로, 에어백쿠션이 디스플레이를 회피해서 운전자쪽으로 전개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통해 전개되는 에어백쿠션에 의한 디스플레이의 파손을 방지함으로서 디스플레이에 의한 운전자의 부상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와 함께 스티어링 휠의 허브에 장착된 차량용 운전석 에어백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티어링 휠의 허브에 에어백장치를 구성하는 에어백쿠션이 위치하고; 상기 에어백쿠션의 전면에 디스플레이가 위치하고; 상기 에어백쿠션은 디스플레이를 회피해서 운전자쪽으로 전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에어백쿠션은 디스플레이와 스티어링 휠의 림사이의 공간을 통해서 운전자쪽으로 전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와 함께 스티어링 휠의 허브에 장착된 차량용 운전석 에어백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티어링 휠의 허브에 고정되고 운전자와 대면하는 전면에 디스플레이가 결합된 에어백하우징; 상기 에어백하우징내에 폴딩된 상태로 수납된 에어백쿠션; 및 상기 에어백하우징과 연결되게 설치되어서 에어백쿠션이 디스플레이를 회피해서 운전자쪽으로 전개되도록 에어백쿠션의 초기 전개방향을 가이드하는 가이드서포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에어백하우징의 개구부를 커버링하고 에어백쿠션의 전개압력에 의해 찢어지는 티어라인이 형성된 커버; 및 상기 에어백하우징에 고정되고 폭발시 에어백쿠션의 전개를 위해 에어백가스를 발생하는 인플레이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에어백쿠션은 티어라인을 기준으로 절개된 커버 및 가이드서포트에 의해서 디스플레이를 회피하여 운전자쪽으로 돌출되도록 전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에어백쿠션은 디스플레이와 스티어링 휠의 림사이의 공간을 통해 디스플레이를 회피해서 운전자쪽으로 돌출되도록 전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에어백하우징의 개구부를 커버링하고 에어백쿠션의 전개압력에 의해 찢어지는 티어라인이 형성된 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서포트는 에어백하우징과 커버를 외부에서 부분적으로 감싸도록 설치되면서 에어백하우징의 하단과 결합된 하부, 커버의 상단과 연결된 상부 및, 하부와 상부를 연결하는 측부를 포함하고; 상기 에어백쿠션의 전개시 티어라인을 기준으로 절개된 커버는 가이드서포트의 상부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에어백쿠션은 가이드서포트의 상부에 의해 지지된 커버를 통해 디스플레이를 회피해서 운전자쪽으로 돌출되도록 초기 전개방향이 가이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이드서포트의 상부에는 티어라인을 기준으로 절개된 커버의 개방각을 결정하는 리브가 형성되고; 상기 리브에서 커버와 접촉하는 하면은 디스플레이와 스티어링 휠의 림사이의 공간을 향하는 경사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에어백쿠션의 전개압력에 의해 가이드서포트가 운전자의 반대방향으로 밀리는 현상은 스티어링 휠의 허브에 의한 지지력에 의해 제한되고, 가이드서포트가 좌우방향으로 밀리는 현상은 허브와 연결된 스티어링 휠의 베젤에 의한 지지력에 의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이드서포트는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에어백하우징의 개구부를 커버링하고 에어백쿠션의 전개압력에 의해 찢어지는 티어라인이 형성된 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서포트는 에어백하우징의 내부에서 에어백쿠션을 부분적으로 감싸도록 설치되면서 에어백하우징의 하단과 결합된 하부, 커버와 결합된 상부 및, 하부와 상부를 연결하는 측부를 포함하고; 상기 에어백쿠션의 전개시 티어라인을 기준으로 절개된 커버는 가이드서포트에 의해 개방각이 제어되고; 상기 에어백쿠션은 가이드서포트에 의해 개방각이 제어된 커버를 통해 디스플레이를 회피해서 운전자쪽으로 돌출되도록 초기 전개방향이 가이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이드서포트는 에어백쿠션의 전개시 커버와 결합된 상부가 측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자모양이 되도록 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이드서포트는 플라스틱 재질 또는 패브릭 재질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운전석 에어백장치는, 스티어링 휠(10)의 허브에 디스플레이와 함께 설치되고, 에어백쿠션이 디스플레이를 회피해서 운전자를 향해 돌출되게 전개되는 구성으로, 전개되는 에어백쿠션에 의한 디스플레이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에어백쿠션의 전개시 디스플레이에 의한 운전자의 부상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디스플레이와 함께 운전석 에어백장치가 장착된 스티어링 휠의 정면도,
도 2는 도 1의 Ⅰ-Ⅰ선 단면도,
도 3은 도 2의 Ⅱ-Ⅱ선 단면도,
도 4는 도 2의 작동 상태도,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서포트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특정한 개시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 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인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제어기)는 차량의 다양한 구성 요소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알고리즘 또는 상기 알고리즘을 재생하는 소프트웨어 명령어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비휘발성 메모리(도시되지 않음) 및 해당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사용하여 이하에 설명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메모리 및 프로세서는 개별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는, 메모리 및 프로세서는 서로 통합된 단일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운전석 에어백장치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운전석 에어백장치(100)는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스티어링 휠(10)에 장착된다.
또한, 자율주행 상황이 보편적으로 실현된 상황임을 고려해서 차량의 스티어링 휠(10)에는 운전자가 릴렉스모드에서 편안하게 시청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1)가 함께 장착된다.
이와 같이, 차량의 스티어링 휠(10)에 운전석 에어백장치(100)와 디스플레이(3)가 함께 장착된 경우, 운전자와 대면하는 정면에 디스플레이(1)가 위치하고, 디스플레이(1)의 뒤쪽에 운전석 에어백장치(100)가 위치하며, 운전석 에어백장치(100)를 구성하는 에어백쿠션(120)은 전개시 디스플레이(1)를 회피해서 운전자쪽으로 전개된다.
따라서, 전개되는 에어백쿠션(120)에 의해 디스플레이(1)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더 나아가 에어백쿠션(120)의 전개시 디스플레이(1)에 의한 운전자의 부상을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차량의 스티어링 휠(10)은 크게 운전자가 손으로 파지하는 림(11), 중앙의 허브(12, 베이스), 및 림(11)과 허브(12)를 연결하는 다수개의 스포크(13)를 포함한다.
스티어링 휠(10)의 허브(12)에 본 발명에 따른 운전석 에어백장치(100)가 고정되게 장착되고, 운전석 에어백장치(100)의 전면에 운전자와 대면하도록 디스플레이(1)가 장착된다.
따라서, 운전자가 스티어링 휠(10)을 주시하면 정면에 디스플레이(1)가 보이고, 디스플레이(1)의 뒤쪽에 운전석 에어백장치(100)가 위치함에 따라 운전자의 시야에는 운전석 에어백장치(100)가 보이지 않는 구조가 된다.
운전석 에어백장치(100)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스티어링 휠(10)의 허브(12)에 고정되고 운전자와 대면하는 전면에 디스플레이(3)가 결합된 에어백하우징(110); 상기 에어백하우징(110)내에 폴딩된 상태로 수납된 에어백쿠션(120); 상기 에어백하우징(110)과 연결되게 설치되어서 에어백쿠션(120)이 디스플레이(1)를 회피해서 운전자쪽으로 전개되도록 에어백쿠션(120)의 초기 전개방향을 가이드하는 가이드서포트(130); 상기 에어백하우징(110)의 개구부를 커버링하고 에어백쿠션(120)의 전개압력에 의해 찢어지는 티어라인(141, tear line)이 형성된 커버(140); 및 상기 에어백하우징(110)에 고정되고 폭발시 에어백쿠션(120)의 전개를 위해 에어백가스를 발생하는 인플레이터(150)를 포함한다.
그리고, 가이드서포트(130)의 상부에는 티어라인(141)을 기준으로 절개된 커버(140)의 개방각을 결정하는 리브(160)가 형성되고, 상기 리브(160)에서 커버(140)와 접촉하는 하면은 디스플레이(1)와 스티어링 휠(10)의 림(11)사이의 공간(14)을 향하는 경사면(161)으로 형성된다.
도 2 내지 도 4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서포트(130)가 도시되어 있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서포트(130)는 에어백하우징(110)과 커버(140)를 외부에서 부분적으로 감싸도록 설치된 구조로서, 크게 에어백하우징(110)의 외부 하단과 결합된 하부(131), 커버(140)의 외부 상단과 연결된 상부(132) 및, 하부(131)와 상부(132)를 연결하는 측부(133)를 포함한다.
따라서, 차량 주행중에 사고가 발생하여 에어백 컨트롤유닛의 제어신호에 의 해 인플레이터가 폭발하면, 인플레이터에서 분사된 에어백가스의 압력에 의해 에어백쿠션(120)이 전개된다.
에어백쿠션(120)의 전개압력에 의해 커버(140)의 티어라인(141)이 절개되고, 절개된 티어라인(141)을 통해 에어백쿠션(120)이 돌출되고, 이때 티어라인(141)을 기준으로 절개된 커버(140)는 허브(12)와 연결된 후방쪽을 기준으로 운전자를 향하는 전방이 상측으로 들어 올려지게 회전하며, 상측으로 올려지게 회전하는 커버(140)는 가이드서포트(130)의 상부(132)에 구비된 리브(160)에 접촉해서 회전각이 구속되며, 이로 인해 에어백쿠션(120)의 전개시 커버(140)의 개방각이 결정된다.
에어백쿠션(120)의 초기 전개방향은 리브(160)의 하면에 해당하는 경사면(161)에 의해 결정되고, 리브(160)의 경사면(161)은 디스플레이(1)와 스티어링 휠(10)의 림(11)사이의 공간(14)을 향하고 있으므로, 에어백쿠션(120)은 디스플레이(1)를 회피해서 디스플레이(1)와 스티어링 휠(10)의 림(11)사이의 공간(14)을 통해 운전자쪽으로 돌출되도록 초기 전개방향이 결정되고, 이후에는 스티어링 휠(10)의 림(11)에 지지되면서 운전자를 향하도록 전개가 진행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스티어링 휠(10)에 디스플레이(1) 및 운전석 에어백장치(100)가 함께 장착된 구조에서, 에어백쿠션(120)이 디스플레이(1)를 회피해서 운전자를 향해 돌출되게 전개되는 구성으로, 전개되는 에어백쿠션(120)에 의한 디스플레이(1)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에어백쿠션(120)의 전개시 디스플레이(1)에 의한 운전자의 부상을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2 내지 도 4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가이드서포트(130)가 에어백하우징(110) 및 커버(140)를 외부에서 부분적으로 감싸도록 설치된 구조일 때, 가이드서포트(130)는 에어백쿠션(120)의 전개압력에 의해 운전자의 반대방향(도 2의 화살표 M1) 및 좌우방향(도 3의 화살표 M2)으로 밀리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며, 운전자의 반대방향 밀림현상(화살표 M1)은 스티어링 휠(10)의 허브(12)에 의한 지지력에 의해 제한되고, 좌우방향의 밀림현상(화살표 M2)은 허브(12)와 연결된 스티어링 휠(10)의 베젤(15)에 의한 지지력에 의해 제한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가이드서포트(130)가 에어백하우징(110) 및 커버(140)를 외부에서 부분적으로 감싸도록 설치된 구조일 때, 가이드서포트(130)는 커버(140)의 회전 구조 구현 및 리브(160) 형상의 구현을 위해 플라스틱(plastic) 재질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아울러, 에어백쿠션(120)의 전개시 전개압력에 의해 가이드서포트(130)의 상부(132)는 도 4와 같이 상측으로 들어 올려지도록 변형이 가능하며, 다만 파손되지는 않는다.
도 5 내지 도 7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서포트(130)가 도시되어 있으며,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서포트(130)는 에어백하우징(110)의 내부에서 에어백쿠션(120)을 부분적으로 감싸도록 설치된 구조로서, 크게 에어백하우징(110)의 내부 하단과 결합된 하부(135), 커버(140)의 내부와 결합된 상부(136) 및, 하부(135)와 상부(136)를 연결하는 측부(137)를 포함한다.
인플레이터(150)의 설치를 위해 리테이너(170)가 인플레이터(150)와 연결되게 구비되고, 리테이너(170)에 구비된 스터드(171)가 가이드서포트(130)의 하부(135)와 에어백하우징(110)의 하부 및 인플레이터(150)의 플랜지(151)를 관통함에 따라 가이드서포트(130)의 하부(135)는 에어백하우징(110)의 내부 하단에 고정되게 결합된 구조가 된다.
따라서, 차량 주행중에 사고가 발생하여 에어백 컨트롤유닛의 제어신호에 의 해 인플레이터가 폭발하면, 인플레이터에서 분사된 에어백가스의 압력에 의해 에어백쿠션(120)이 전개된다.
에어백쿠션(120)의 전개압력에 의해 커버(140)의 티어라인(141)이 절개되고, 절개된 티어라인(141)을 통해 에어백쿠션(120)이 돌출되고, 이때 티어라인(141)을 기준으로 절개된 커버(140)는 허브(12)와 연결된 후방쪽을 기준으로 운전자를 향하는 전방이 상측으로 들어 올려지게 회전하며, 상측으로 올려지게 회전하는 커버(140)는 가이드서포트(130)에 의해 개방각이 결정된다.
커버(140)의 개방각은 가이드서포트(130)의 지지에 의해 디스플레이(1)와 스티어링 휠(10)의 림(11)사이의 공간(14)을 향하고 있으므로, 에어백쿠션(120)은 디스플레이(1)를 회피해서 디스플레이(1)와 스티어링 휠(10)의 림(11)사이의 공간(14)을 통해 운전자쪽으로 돌출되도록 초기 전개방향이 결정되고, 이후에는 스티어링 휠(10)의 림(11)에 지지되면서 운전자를 향하도록 전개가 진행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스티어링 휠(10)에 디스플레이(1) 및 운전석 에어백장치(100)가 함께 장착된 구조에서, 에어백쿠션(120)이 디스플레이(1)를 회피해서 운전자를 향해 돌출되게 전개되는 구성으로, 전개되는 에어백쿠션(120)에 의한 디스플레이(1)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에어백쿠션(120)의 전개시 디스플레이(1)에 의한 운전자의 부상을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5 내지 도 7과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가이드서포트(130)가 에어백하우징(110)의 내부에서 에어백쿠션(120)을 부분적으로 감싸도록 설치된 구조일 때, 가이드서포트(130)는 에어백쿠션(120)의 전개시 커버(140)와 결합된 상부(136)가 측부(137)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자모양이 되도록 펴지도록 변형되며, 다만 상부(136)가 측부(137)가 연결이 단락되도록 파손되지는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가이드서포트(130)가 에어백하우징(110)의 내부에서 에어백쿠션(120)을 부분적으로 감싸도록 설치된 구조일 때, 가이드서포트(130)는 에어백쿠션(120)의 손상방지를 위해 플라스틱 재질이나 또는 패브릭(fabric) 재질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운전석 에어백장치(100)는 스티어링 휠(10)의 허브(12)에 디스플레이(1)와 함께 설치된 구성에서, 에어백쿠션(120)이 디스플레이(1)를 회피해서 운전자를 향해 돌출되게 전개되는 구성으로, 전개되는 에어백쿠션(120)에 의한 디스플레이(1)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에어백쿠션(120)의 전개시 디스플레이(1)에 의한 운전자의 부상을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 - 디스플레이 10 - 스티어링 휠
11 - 림 12 - 허브
13 - 스포크 14 - 공간
15 - 베젤 100 - 운전석 에어백장치
110 - 에어백하우징 120 - 에어백쿠션
130 - 가이드서포트 131,135 - 하부
132,136 - 상부 133,137 - 측부
140 - 커버 141 - 티어라인
150 - 인플레이터 160 - 리브
161 - 경사면 170 - 리테이너
171 - 플랜지

Claims (12)

  1. 디스플레이와 함께 스티어링 휠의 허브에 장착된 차량용 운전석 에어백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티어링 휠의 허브에 에어백장치를 구성하는 에어백쿠션이 위치하고;
    상기 에어백쿠션의 전면에 디스플레이가 위치하고;
    상기 에어백쿠션은 디스플레이를 회피해서 운전자쪽으로 전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운전석 에어백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쿠션은 디스플레이와 스티어링 휠의 림사이의 공간을 통해서 운전자쪽으로 전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운전석 에어백장치.
  3. 디스플레이와 함께 스티어링 휠의 허브에 장착된 차량용 운전석 에어백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티어링 휠의 허브에 고정되고 운전자와 대면하는 전면에 디스플레이가 결합된 에어백하우징;
    상기 에어백하우징내에 폴딩된 상태로 수납된 에어백쿠션; 및
    상기 에어백하우징과 연결되게 설치되어서 에어백쿠션이 디스플레이를 회피해서 운전자쪽으로 전개되도록 에어백쿠션의 초기 전개방향을 가이드하는 가이드서포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운전석 에어백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하우징의 개구부를 커버링하고 에어백쿠션의 전개압력에 의해 찢어지는 티어라인이 형성된 커버; 및
    상기 에어백하우징에 고정되고 폭발시 에어백쿠션의 전개를 위해 에어백가스를 발생하는 인플레이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에어백쿠션은 티어라인을 기준으로 절개된 커버 및 가이드서포트에 의해서 디스플레이를 회피하여 운전자쪽으로 돌출되도록 전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운전석 에어백장치.
  5. 청구항 3 또는 4 중 어느 한 항에 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쿠션은 디스플레이와 스티어링 휠의 림사이의 공간을 통해 디스플레이를 회피해서 운전자쪽으로 돌출되도록 전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운전석 에어백장치.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하우징의 개구부를 커버링하고 에어백쿠션의 전개압력에 의해 찢어지는 티어라인이 형성된 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서포트는 에어백하우징과 커버를 외부에서 부분적으로 감싸도록 설치되면서 에어백하우징의 하단과 결합된 하부, 커버의 상단과 연결된 상부 및, 하부와 상부를 연결하는 측부를 포함하고;
    상기 에어백쿠션의 전개시 티어라인을 기준으로 절개된 커버는 가이드서포트의 상부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에어백쿠션은 가이드서포트의 상부에 의해 지지된 커버를 통해 디스플레이를 회피해서 운전자쪽으로 돌출되도록 초기 전개방향이 가이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운전석 에어백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서포트의 상부에는 티어라인을 기준으로 절개된 커버의 개방각을 결정하는 리브가 형성되고;
    상기 리브에서 커버와 접촉하는 하면은 디스플레이와 스티어링 휠의 림사이의 공간을 향하는 경사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운전석 에어백장치.
  8.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쿠션의 전개압력에 의해 가이드서포트가 운전자의 반대방향으로 밀리는 현상은 스티어링 휠의 허브에 의한 지지력에 의해 제한되고, 가이드서포트가 좌우방향으로 밀리는 현상은 허브와 연결된 스티어링 휠의 베젤에 의한 지지력에 의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운전석 에어백장치.
  9.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서포트는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운전석 에어백장치.
  10.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하우징의 개구부를 커버링하고 에어백쿠션의 전개압력에 의해 찢어지는 티어라인이 형성된 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서포트는 에어백하우징의 내부에서 에어백쿠션을 부분적으로 감싸도록 설치되면서 에어백하우징의 하단과 결합된 하부, 커버와 결합된 상부 및, 하부와 상부를 연결하는 측부를 포함하고;
    상기 에어백쿠션의 전개시 티어라인을 기준으로 절개된 커버는 가이드서포트에 의해 개방각이 제어되고;
    상기 에어백쿠션은 가이드서포트에 의해 개방각이 제어된 커버를 통해 디스플레이를 회피해서 운전자쪽으로 돌출되도록 초기 전개방향이 가이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운전석 에어백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서포트는 에어백쿠션의 전개시 커버와 결합된 상부가 측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자모양이 되도록 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운전석 에어백장치.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서포트는 플라스틱 재질 또는 패브릭 재질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운전석 에어백장치.
KR1020190148058A 2019-11-18 2019-11-18 차량용 운전석 에어백장치 KR2021006073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8058A KR20210060737A (ko) 2019-11-18 2019-11-18 차량용 운전석 에어백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8058A KR20210060737A (ko) 2019-11-18 2019-11-18 차량용 운전석 에어백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0737A true KR20210060737A (ko) 2021-05-27

Family

ID=761355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8058A KR20210060737A (ko) 2019-11-18 2019-11-18 차량용 운전석 에어백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60737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44831A (ko) 2010-10-28 2012-05-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운전석 에어백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44831A (ko) 2010-10-28 2012-05-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운전석 에어백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36641B1 (ko) 조수석 에어백 모듈
KR100707890B1 (ko) 에어백장치
US20070046002A1 (en) Airbag apparatus
KR20220063509A (ko) 차량용 루프 에어백장치
CN112406772B (zh) 安全气囊装置
US20190299917A1 (en) Passenger protection apparatus for vehicle
CN216034236U (zh) 用于车辆的驾驶员安全气囊装置
US20070057498A1 (en) Airbag device
KR20150054575A (ko) 차량용 에어백
US5662351A (en) Air bag deployment door
KR20150054578A (ko) 차량의 에어백
KR20210060737A (ko) 차량용 운전석 에어백장치
WO2023021894A1 (ja) エアバッグ取付構造
KR20210037039A (ko) 차량용 에어백 장치
KR20210144139A (ko) 차량용 운전석 에어백장치
JP3916030B2 (ja) エアバッグ装置
KR20220054036A (ko) 운전석 에어백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220026940A (ko) 차량용 운전석 에어백 장치
JP2006273244A (ja) 運転席用エアバッグ装置
JP6408827B2 (ja) エアバッグを有する車両
KR100564356B1 (ko) 조수석 에어백의 쿠션
KR102454011B1 (ko) 운전석용 에어백 장치
KR102443541B1 (ko) 에어백 장치
KR100521023B1 (ko) 광역 혼 작동 영역을 갖는 에어백 모듈 커버
KR20220080541A (ko) 차량용 운전석 에어백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