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6841B1 - 농업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농업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6841B1
KR102296841B1 KR1020197036529A KR20197036529A KR102296841B1 KR 102296841 B1 KR102296841 B1 KR 102296841B1 KR 1020197036529 A KR1020197036529 A KR 1020197036529A KR 20197036529 A KR20197036529 A KR 20197036529A KR 102296841 B1 KR102296841 B1 KR 1022968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water
algae
granules
disintegr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365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18780A (ko
Inventor
탄카판 바다케쿠투
아룬 비탈 사완트
Original Assignee
탄카판 바다케쿠투
아룬 비탈 사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64095908&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2296841(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Priority claimed from PCT/IN2017/050408 external-priority patent/WO2018051372A1/en
Application filed by 탄카판 바다케쿠투, 아룬 비탈 사완트 filed Critical 탄카판 바다케쿠투
Publication of KR202000187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87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68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68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12Powders or granul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12Powders or granules
    • A01N25/14Powders or granules wettabl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37/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two bonds to halogen, e.g. carboxylic acids
    • A01N37/34Nitril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4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01N43/48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two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A01N43/501,3-Diazoles; Hydrogenated 1,3-diazoles
    • A01N43/521,3-Diazoles; Hydrogenated 1,3-diazoles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e.g. benzimidazol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4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01N43/48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two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A01N43/541,3-Diazines; Hydrogenated 1,3-diazin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47/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not being member of a ring and having no bond to a carbon or hydrogen atom, e.g. derivatives of carbonic acid
    • A01N47/08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not being member of a ring and having no bond to a carbon or hydrogen atom, e.g. derivatives of carbonic acid the carbon atom having one or more single bonds to nitrogen atoms
    • A01N47/10Carbamic acid derivatives, i.e. containing the group —O—CO—N<; Thio analogues thereof
    • A01N47/12Carbamic acid derivatives, i.e. containing the group —O—CO—N<; Thio analogues thereof containing a —O—CO—N< group, or a thio analogue thereof, neither directly attached to a ring nor the nitrogen atom being a member of a heterocyclic ring
    • A01N47/14Di-thio analogu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51/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having the sequences of atoms O—N—S, X—O—S, N—N—S, O—N—N or O-halogen, regardless of the number of bonds each atom has and with no atom of these sequences forming part of a heterocyclic r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59/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elements or inorganic compounds
    • A01N59/02Sulfur; Selenium; Tellurium;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59/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elements or inorganic compounds
    • A01N59/14Boron;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59/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elements or inorganic compounds
    • A01N59/16Heavy metals;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1/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substances of unknown or undetermined composition, e.g. substances characterised only by the mode of acti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icroorganisms, viruses, microbial fungi, animals or substances produced by, or obtained from, microorganisms, viruses, microbial fungi or animals, e.g. enzymes or fermentat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icroorganisms, viruses, microbial fungi, animals or substances produced by, or obtained from, microorganisms, viruses, microbial fungi or animals, e.g. enzymes or fermentates
    • A01N63/10Animals; Substances produced thereby or obtained therefrom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icroorganisms, viruses, microbial fungi, animals or substances produced by, or obtained from, microorganisms, viruses, microbial fungi or animals, e.g. enzymes or fermentates
    • A01N63/20Bacteria; Substances produced thereby or obtained therefrom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03Algae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DIN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FERTILISERS PRODUCING CARBON DIOXIDE
    • C05D3/00Calcareous fertilisers
    • C05D3/02Calcareous fertilisers from limestone, calcium carbonate, calcium hydrate, slaked lime, calcium oxide, waste calcium product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DIN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FERTILISERS PRODUCING CARBON DIOXIDE
    • C05D9/00Other inorganic fertilis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GMIXTURES OF FERTILISERS COVERED INDIVIDUALLY BY DIFFERENT SUBCLASSES OF CLASS C05; MIXTURES OF ONE OR MORE FERTILISERS WITH MATERIALS NOT HAVING A SPECIFIC FERTILISING ACTIVITY, e.g. PESTICIDES, SOIL-CONDITIONERS, WETTING AGENTS; FERTILISE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C05G3/00Mixtures of one or more fertilisers with additives not having a specially fertilising activity
    • C05G3/60Biocides or preservatives, e.g. disinfectants, pesticides or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GMIXTURES OF FERTILISERS COVERED INDIVIDUALLY BY DIFFERENT SUBCLASSES OF CLASS C05; MIXTURES OF ONE OR MORE FERTILISERS WITH MATERIALS NOT HAVING A SPECIFIC FERTILISING ACTIVITY, e.g. PESTICIDES, SOIL-CONDITIONERS, WETTING AGENTS; FERTILISE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C05G5/00Fertilise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C05G5/10Solid or semi-solid fertilisers, e.g. powders
    • C05G5/12Granules or flak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30Against vector-borne diseases, e.g. mosquito-borne, fly-borne, tick-borne or waterborne diseases whose impact is exacerbated by climate change

Abstract

본 발명은 농업용 수붕해성 과립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과립이 적어도 하나의 수불용성 작물 영양소 또는 조류 또는 살충제 활성 성분를 포함하고, 하나 이상의 농화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부형제를 포함하며, 이에 따라 상기 과립은 1.5 gm/ml 미만의 벌크 밀도 및 적어도 1 뉴턴의 경도를 갖는 수붕해성 과립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수붕해성 과립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 및 상기 수붕해성 과립 조성물로 식물 또는 토양 또는 식물 번식 물질 또는 그의 장소를 강화시키는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농업용 조성물
본 발명은 농업용 과립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농화학제 (agrochemical) 및 하나 이상의 농화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부형제를 포함하는 수붕해성 과립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농화학제는 작물 영양소 또는 조류 (algae) 또는 살충제 (pesticidal) 활성 성분으로부터 선택된다. 상기 수붕해성 과립 조성물은 특히 입자 크기가 0.1 미크론 (microns) 내지 50 미크론이고, 벌크 밀도 (bulk density)는 1.5 gm/ml 미만이며, 경도는 적어도 1 뉴턴 (Newton)이다. 또한,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수불용성 영양소 또는 조류 또는 살충제 활성 성분을 포함하는 수붕해성 과립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식물 또는 토양을 상기 수붕해성 과립 조성물로 처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작물 영양소 또는 비료 및 살충제는 수 년 동안 토양에 적용되어 왔다. 이들은 프릴 (prills), 수분산성 과립 또는 습식성 분말, 벤토나이트 함유 파스틸지 (pastilles)와 같은 잘 알려져 있는 과립 형태로 이용가능하다.
몇 가지 작물 영양소 또는 비료가 적용되었을 때 이들은 토양에서의 빠른 이동성이나 이들의 물리적 형태 및 특성으로 인해 토양을 통해 신속하게 침출된다는 큰 문제점이 있다. 침출된 영양소는 집중 농업 지역의 지하수를 오염시킬 수 있다. 습한 기후에서는 일부 영양소 침출이 자연 식생하에서도 발생하지만, 농업 활동으로 인해 침출 손실이 크게 증가할 수 있다.
모래 토양의 한 연구에서 황의 침출 손실은 적용 중에 사용된 다양한 황 유형에 따라 35 kg/ha 내지 83 kg/ha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토양에서 황의 부족은 이용가능한 토양 질소의 이용을 낮추어, 이에 의해 질산염 침출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Likkineni and Abrol, 1994).
그러므로, 이러한 영양소를 적절한 단계에서 식물이 흡수하도록 제공하여, 그 결과 상기 영양소를 상기 작물 또는 식물이 전체 작물 생활주기 동안 이용가능하게 하고, 또한 적용 후에 상기 영양소의 침출을 방지 또는 감소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알려져 있는 조성물의 적용 시에 최대 과제 중 하나는 활성제 또는 영양소를 적절하게 방출시키고, 또한 작물 생활주기의 지속되는 기간에 걸쳐서 상기 활성제를 식물이 흡수가능하도록 보장하는 것이다. 유사하게, 해충 또는 질병이 나타날 때 토양에 적용되는 살충제는 지속 기간에 걸쳐 이용가능하지 않으며, 일정 기간에 걸쳐 살충제를 천천히 제공하고 해충이나 질병 공격으로 인한 손실을 최소화할 필요가 있다. 또한, 종래 기술의 과립형 살충제 조성물은 이들의 빠른 분산성으로 인해 침출되는 경향이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침출된 살충제는 집중 농업 지역의 지하수를 오염시킨다.
이러한 수분산성 과립은 US8241387에 개시되어 있고, WO2012131702는 매우 오랫 동안 알려져 왔다. 상기 과립은 즉시 영양소를 제공하지만, 이들 과립은 내마모도가 떨어지고, 사실상 경도가 없다. 이들 문헌은 각각 0.1 mm 내지 2.5 mm 및 0.75 mm 내지 5 mm 크기 범위의 과립을 기재하였지만, 상기 과립은 실제로 그의 크기와 형태를 포함하는 이들의 온전함 (integrity)을 유지하지 못하므로, 생산 취급 후에 기계적 강도를 견딜 수 없어서, 미세한 먼지로 부서지는 것이 관찰되었다. 이들 과립 또는 분말의 생산, 포장, 저장, 취급 및 적용 중에 발생한 마모로 이들 조성물이 조기에 부서져서 방출 제어의 실질적인 손실 및 과도한 영양소 침출을 초래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또한, 이들 수분산성 과립의 가장 큰 문제점 및 과제 중 하나는 이들의 적용 및 노동 의존성에 있다. 기계적 어플리케이터 (호퍼 및 드릴)를 통해 적용할 때, 이러한 조성물은 한 위치에 방출되고, 기계적 수단을 통해 균일하게 분배시킬 수 없다. 농부는 전형적으로 단일 적용 시에 비료 혼합물을 적용한다. 그러나, 이러한 형태로 인해, 이들 수분산성 과립은 우레아와 같은 다른 과립 비료와는 별도로 적용될 필요가 있다. 이는 적용을 번거롭게 하고, 농부에게 있어서 적용 비용을 증가시킨다.
더욱이, 분말 및 과립 제제 모두는 물에서 즉각적이고 완전한 분산성으로 인해 침출되는 경향이 있다 (도 5의 컬럼 C 참조).
작물 영양소의 펠렛 조성물, 예컨대 벤토나이트 클레이로 형성되는 펠렛 조성물이 또한 알려져 있다. Brimstone 90, Tiger 90, Growmor, Vitsul 등은 시장에서 입수가능한 전통적인 브랜드이다. 그러나, 이들 펠렛은 보다 높은 벌크 밀도, 큰 입자 크기를 가지므로, 토양에 적용했을 때 잘 분산되거나 또는 붕해되지 않는다. 이들은 또한 작물이 영양소를 필요로 할 때 제공할 수 없다. 이들 펠렛은 토양에 동화되는데 오랜 시간이 걸리거나, 때로는 작물이 수확된 후에도 토양내에 전체 또는 잔류물의 형태로 남아 있다. 결과적으로, 이들은 영양소의 적절한 양을 작물에 제공하지 않아서, 이에 의해 초기 및 생장 기간 중에 작물 영양을 방해한다. 또한, 이들 조성물은 매우 높은 적용 투여량으로 적용될 필요가 있다. 결국, 이러한 전통적인 펠렛의 사용은 농부에게는 높은 적용 비용으로 더 낮은 작물 수확량을 초래한다.
또한, 조류, 박테리아 및 기타와 같은 생물학적 물질은 토양 영양소의 개선 및 유지를 위한 화학제에 대한 유용한 대안이다. 생물학적 물질로 외부 코팅한 과립 제제가 또한 알려져 있다. WO2016113665는 변형가능한 코어, 결합제 및 외부 코트를 갖는 펠렛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코팅은 2개의 부분을 포함하며 - 제1 코트는 생물학적 물질을 포함하고, 제2 코트는 특정 건조제 또는 결합제를 포함한다. 그러므로, 이들 전체 과립 조성물은 그의 큰 입자 크기와 코팅층으로 인해, 상기 조성물은 분산성 및 현수성이 저하되고, 결국 효율이 떨어진다. 이들은 물에 노출되면 팽창하고 실제로는 분산되지 않으므로, 상기 생물학적 물질을 작물에 적절하게 전달할 수 없다는 것이 관찰되었다. 그러므로, 생물학적 물질의 제제는 최적화될 필요가 있고, 수확량, 식물 생장, 생명력 (vitality) 및 활력 (vigour) 측면에서 농부에게 경제적인 결과를 제공하고, 또한 환경에 대한 부담을 감소시키기 위해 이들 적용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
오늘날, 농업용 활성제 또는 작물 영양소 또는 생물학적 물질의 종래 기술의 조성물 모두는 토양에 적용되었을 때, 이들은 적용상 단점이 있고, 전체 작물 생활주기에 걸쳐 적절한 영양 및 해충 방제를 제공할 수 있는 능력이 없으며, 침출에 의해 손실된다는 문제가 있다.
농화학제 또는 작물 영양소 또는 생물학적 물질 또는 살충 활성제를, 상기 영양소 또는 농화학제 또는 살충제가 즉시 그리고 작물 주기 전체 기간 동안 흡수될 수 있는 형태로 제공하는 것은 여전히 어려운 과제이다.
결과적으로, 다량의 불용성 물질을 포함하고 우수한 분산성 또는 붕해 특성을 갖는 경우에도, 적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큰 크기를 유지하고 우수한 내마모도를 유지하면서도 건조 농업용 조성물의 부피를 줄이고 밀도를 낮추는 것이 큰 과제이다. 토양에서 균일한 적용을 수행하기 위해 일정 기간 동안 물에 현탁되어 유지되는 조성물을 개발하는 것이 추가적인 과제이다. 예컨대, 일정 기간에 걸쳐, 종래 기술의 수분산성 과립 또는 브로드캐스트 과립 (broadcast granules) 또는 미립자 조성물은 마모 강도 (strength to wear and tear)가 없어서, 그의 구조를 유지할 수 없어서 포장 및 저장 중에 미크론-크기의 미세물이 된다. 결과적으로, 이들 종래 기술의 조성물은 기계적 어플리케이터를 통해 넓은 필드에 균일하게 적용할 수 없다.
우레아와 같은 다른 수용해성 비료와 함께 기계적 어플리케이터를 통해 적용할 수 있고, 적용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건조 농업용 조성물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또한, 작물 생활주기의 생장 단계 중에 작물 영양소 또는 조류 또는 살충 활성제가 식물에 즉시 그리고 지속적으로 제공되어 적절한 식물 영양, 단백질 합성 및 식물 보호를 제공하는 것이 보장될 필요가 있다. 또한 침출에 의한 손실을 감소시킬 필요가 있다.
본 발명자는 놀랍게도 수불용성 영양소 또는 조류 또는 살충제와 같은 농화학제를 건조 수붕해성 과립 형태로 포함하고, 미세 입자 크기 분포, 잘 정의된, 낮은 벌크 밀도뿐만 아니라 높은 내마모도 및 경도, 물 및 토양 중 양호한 현수성, 분산성 및 붕해 특성 및 양호한 습윤 체 보유 (wet sieve retention)를 갖는 조성물이 놀랍게도, 본 발명의 조성물의 적용으로, 곡물 수확량 또는 오일 함유량 측면에서의 식물 수확량뿐만 아니라 식물 높이, 뿌리 길이 및 향상된 나뭇잎 (foliage)과 같은 식물의 생리학적 특성의 개선 및 토양계 해충 및 질병에 대한 방제 개선과 함께 식물이 필수 영양소 흡수를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종래 기술의 조성물은 즉시 영양소를 제공하지만, 여전히 토양에서 침출되어 작물 주기의 후반 단계까지 비료에 대한 요구를 제공할 수 없다. 놀랍게도, 본 발명의 조성물은 수불용성 영양소 또는 조류 또는 살충제를 즉시 그리고 작물 주기의 보다 긴 기간에 걸쳐 이용가능하게 하여, 수불용성 영양소 또는 조류 또는 살충제를 즉각적이고 지속적으로 방출하여 작물의 각 단계 및 모든 단계에서 작물에 영양 및 보호를 제공하는 것이 관찰되었다.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농화학적 활성제; 적어도 하나의 농화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부형제를 포함하는 농업용 수붕해성 과립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조성물은 0.1 mm 내지 6 mm의 크기 범위이고, 0.1 미크론 내지 50 미크론 크기 범위의 입자를 포함한다. 상기 조성물은 적어도 1 N의 경도를 가질 뿐만 아니라 1.5 gm/ml 미만의 벌크 밀도를 갖는다. 상기 조성물은 또한 붕해성, 분산성 및 현수성의 물리적 특성이 우수하고, 전체 작물 생활주기 동안 방출 특성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놀랍게도, 본 발명자는 상기 벌크 밀도, 경도, 및 입자 크기 분포 및 과립 크기의 파라미터를 갖는 조성물이 작물 주기 동안 농화학제를 즉시 뿐만 아니라 연속 방출을 제공한다는 것을 결정하였다. 더욱이, 상기 조성물은 유의하게 감소된 조성물 적용 투여량으로 놀랍게도 보다 높은 필드 효능 (field efficacy)을 나타내었다.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수불용성 영양소; 적어도 하나의 농화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부형제를 포함하는 농업용 수붕해성 과립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조성물은 0.1 mm 내지 6 mm의 크기 범위이고, 0.1 미크론 내지 50 미크론 크기 범위의 입자를 포함한다. 놀랍게도 상기 조성물은 적어도 1 N의 경도를 가질 뿐만 아니라 1.5 gm/ml 미만의 벌크 밀도를 갖는 것이 관찰되었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수붕해성 과립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수불용성 영양소 및 적어도 하나의 농화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부형제의 블렌드 (blend)를 분쇄하여 습식 믹스 (wet mix)를 슬러리로서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또한 분말 또는 과립을 수득하기 위해 상기 습식 믹스 또는 슬러리를 건조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수득된 과립은 응집 또는 펠렛화 또는 과립화 중 적어도 하나로 추가로 처리되어 하나 이상의 수불용성 영양소의 농업용 과립 조성물을 수득하였다. 상기 방법에 의해 수득된 농업용 과립 조성물은 적어도 1N의 경도 및 1.5 gm/ml 미만의 벌크 밀도를 가지며, 0.1 mm 내지 6 mm의 크기 범위이고, 0.1 미크론 내지 50 미크론 크기 범위의 입자를 포함한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또한 영양소 조성물, 비료 조성물, 식물 강화 조성물, 토양 개량 조성물 및 수확량 증진 조성물 중 적어도 하나로서 수불용성 영양소의 수붕해성 과립 조성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식물 건강을 향상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수불용성 영양소 및 적어도 하나의 농화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부형제를 포함하는 농업용 수붕해성 과립 조성물로, 적어도 하나의 식물, 식물 번식 물질 (plant propagation material), 종자 (seed), 묘목 (seedling) 또는 주변 토양을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과립은 0.1 mm 내지 6 mm의 크기 범위이고, 적어도 50%의 내마모도 및 적어도 1N의 경도를 갖는다.
본 발명은 또한 농업용 수붕해성 과립 조류 (algal)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조류 및 적어도 하나의 농화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부형제를 포함하는 수붕해성 과립 조류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좀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조류 및 적어도 하나의 농화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부형제를 포함하는 수붕해성 과립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조성물은 0.1 mm 내지 6 mm의 크기 범위이고, 0.1 미크론 내지 50 미크론 크기 범위의 입자를 포함하며, 적어도 1N의 경도 및 1.5 g/ml 미만의 벌크 밀도를 갖는다. 상기 조성물은 또한 붕해성, 분산성 및 현수성의 물리적 특성이 양호하고, 전체 작물 생활주기 동안 방출 특성이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더욱이, 상기 조성물은 놀랍게도 유의하게 감소된 조성물의 적용 투여량으로 보다 높은 필드 효능을 나타내었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또한 적어도 하나의 조류 및 적어도 하나의 농화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부형제를 포함하는 수붕해성 과립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조류 및 적어도 하나의 농화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부형제의 블렌드를 분쇄하여 습식 믹스를 슬러리로서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또한 과립을 수득하기 위해 상기 습식 믹스를 건조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수득된 과립은 응집 또는 펠렛화 또는 과립화 중 적어도 하나로 추가로 처리되어 하나 이상의 조류의 농업용 과립 조성물을 수득하였다. 상기 방법에 의해 수득된 농업용 과립 조성물은 1.5 g/ml 미만의 벌크 밀도 및 적어도 1N의 경도를 가지며, 0.1-50 미크론 크기 범위의 입자를 가지며, 과립 크기는 0.1 mm 내지 6 mm 범위이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또한 영양소 조성물, 식물 강화 조성물, 토양 개량 조성물 및 수확량 증진 조성물 중 적어도 하나로서 수붕해성 과립 조류 조성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또한 식물 건강을 향상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조류 및 적어도 하나의 농화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부형제를 포함하는 수붕해성 과립 조류 조성물로, 적어도 하나의 식물, 식물 번식 물질, 종자, 묘목 또는 주변 토양을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과립은 적어도 1N의 경도 및 1.5 g/ml 미만의 벌크 밀도를 갖는다.
본 발명은 또한 적어도 하나의 살충제 활성 성분; 적어도 하나의 농화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부형제를 포함하는 농업용 수붕해성 과립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조성물은 0.1 mm 내지 6 mm의 크기 범위이고, 0.1 미크론 내지 50 미크론 크기 범위의 입자를 포함한다. 놀랍게도, 상기 조성물은 적어도 1 N의 경도를 가질뿐만 아니라 1.5 gm/ml 미만의 벌크 밀도를 갖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또한 농업용 과립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살충제 활성 성분 및 적어도 하나의 농화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부형제의 블렌드를 분쇄하여 습식 믹스를 슬러리 형태로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또한 과립을 수득하기 위해 상기 슬러리를 건조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수득된 과립은 응집 또는 펠렛화 또는 과립화 중 적어도 하나로 추가로 처리되어 하나 이상의 살충제 활성 성분의 농업용 과립 조성물을 수득하였다. 상기 방법에 의해 수득된 살충제 활성 성분의 농업용 과립 조성물은 적어도 1N의 경도 및 1.5 gm/ml 미만의 벌크 밀도를 가지며, 0.1 mm 내지 6 mm의 크기 범위이고, 0.1 미크론 내지 50 미크론 크기 범위의 입자를 포함한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또한 식물 보호 조성물로서 적어도 하나의 살충제 활성 성분의 농업용 과립 조성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식물 보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살충제 활성 성분; 및 적어도 하나의 농화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부형제를 포함하는 농업용 수붕해성 과립 조성물로, 적어도 하나의 식물, 식물 번식 물질, 종자, 묘목 또는 주변 토양을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과립은 0.1 mm 내지 6 mm의 크기 범위이고, 1.5 g/ml 미만의 벌크 밀도 및 적어도 1N의 경도를 갖는다.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이해하기 위해, 첨부된 도면에서 보다 상세하게 도시되고, 본 발명의 구현예에 의해 기재되어진 구현예가 참조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90% 황 수붕해성 과립의 수붕해성 과립 조성물의 이미지를 나타내었다.
도 2는 WO2008084495의 교시에 따른 90% 황의 수분산성 과립 조성물의 포장 및 운송 후 이미지를 나타내었다. 상기 이미지는 이들 과립의 불량한 내마모도 및 불량한 경도에 기인하여, 제조, 가공, 포장 및 운송 중에 상기 과립이 더 미세한 입자로 광범위하게 부서지는 (crumbling) 것으로 나타났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황 70% + 산화아연 15%의 수붕해성 과립 조성물의 이미지를 나타내었다.
도 4는 WO2012131702의 교시에 따른 황 70% + 산화아연 15%의 수분산성 과립 조성물의 포장 및 운송 후 이미지를 나타내었다. 도 4는 또한 하기 표 7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이들 과립의 불량한 마모 및 경도로 인해 야기되는, 제조, 가공, 포장 및 운송의 결과로 상기 과립이 미세한 입자로 광범위하게 부서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 5는 초기 적용 (시간 O) 직후에, 수중 종래 기술의 황 90% 벤토나이트 과립 (A), 수중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황 90% 수붕해성 과립의 과립 (B), 및 수중 WO2008084495의 교시에 따른 종래 기술의 황 90% 수분산성 과립 (C)의 이미지를 나타내었다.
도 6은 교반하지 않고, 15분 후에, 수중 종래 기술의 황 90% 벤토나이트 과립 (A), 수중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황 90% 수붕해성 과립의 과립 (B), 및 수중 WO2008084495의 교시에 따른 종래 기술의 황 90% 수분산성 과립 (C)의 이미지를 나타내었다.
도 7은 교반하지 않고, 30분 후에, 수중 종래 기술의 황 90% 벤토나이트 과립 (A), 수중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황 90% 수붕해성 과립의 과립 (B), 및 수중 WO2008084495의 교시에 따른 종래 기술의 황 90% 수분산성 과립 (C)의 이미지를 나타내었다.
도 8은 교반하지 않고, 1시간 후에, 수중 종래 기술의 황 90% 벤토나이트 과립 (A), 수중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황 90% 수붕해성 과립의 과립 (B), 및 수중 WO2008084495의 교시에 따른 종래 기술의 황 90% 수분산성 과립 (C)의 이미지를 나타내었다.
도 9는 교반하지 않고, 2시간 후에, 수중 종래 기술의 황 90% 벤토나이트 과립 (A), 수중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황 90% 수붕해성 과립의 과립 (B), 및 수중 WO2008084495의 교시에 따른 종래 기술의 황 90% 수분산성 과립 (C)의 이미지를 나타내었다.
도 10은 교반하지 않고, 4시간 후에, 수중 종래 기술의 황 90% 벤토나이트 과립 (A), 수중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황 90% 수붕해성 과립의 과립 (B), 및 수중 WO2008084495의 교시에 따른 종래 기술의 황 90% 수분산성 과립 (C)의 이미지를 나타내었다.
도 11은 교반하지 않고, 24시간 후에, 수중 종래 기술의 황 90% 벤토나이트 과립 (A), 수중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황 90% 수붕해성 과립의 과립 (B), 및 수중 WO2008084495의 교시에 따른 종래 기술의 황 90% 수분산성 과립 (C)의 이미지를 나타내었다.
본 발명의 구현예를 서술함에 있어서, 특정의 용어가 명확함을 위해 선택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와 같이 선택된 특정 용어에 한정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으며, 각 특정 용어는 유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유사한 방식으로 작동하는 모든 기술적 등가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문맥에서, 용어 "농화학적 활성제 (agrochemical active)"는 화학적 식물 영양소 또는 수불용성 영양소, 또는 식물 보호제 또는 살충제 활성 성분뿐만 아니라 조류 및 박테리아 물질과 같은 생물학적 물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수불용성 영양소 및 적어도 하나의 농화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부형제를 포함하는 농업용 수붕해성 과립 조성물에 관한 것일 수 있다. 상기 수붕해성 과립은 0.1 mm 내지 6 mm의 크기 범위이고, 0.1 미크론 내지 50 미크론 크기 범위의 입자를 포함한다.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농업용 과립 조성물은 0.1 mm 내지 6 mm의 크기 범위이다.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농업용 과립 조성물은 0.5 mm 내지 6 mm의 크기 범위이다.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농업용 과립 조성물은 1 mm 내지 6 mm 범위의 과립 크기를 갖는다.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농업용 과립 크기는 1 mm 내지 5 mm의 범위이다.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농업용 과립 크기는 2 mm 내지 5 mm의 범위이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과립은 0.1 미크론 내지 50 미크론 크기 범위의 입자를 포함한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과립은 0.1 미크론 내지 40 미크론 크기 범위의 입자를 포함한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과립은 0.1 미크론 내지 30 미크론 크기 범위의 입자를 포함한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과립은 0.1 미크론 내지 20 미크론 크기 범위의 입자를 포함한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과립은 0.1 미크론 내지 15 미크론 크기 범위의 입자를 포함한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과립은 0.1 미크론 내지 10 미크론 크기 범위의 입자를 포함한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수불용성 영양소는 수불용성 비료 또는 미량영양소 (micronutrient)를 포함한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수불용성 영양소는 하나 이상의 수불용성 비료 및 하나 이상의 미량영양소 또는 이들의 염 또는 그의 유도체의 혼합물 또는 이의 복합체를 포함한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수불용성 비료는 적어도 하나의 단일 영양소 비료, 다중-영양소 비료, 이진 비료 (binary fertilizers), 복합 비료 (compound fertilizers), 유기 비료, 유도체 또는 그의 혼합물이다. 그러나,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당 분야에 알려져 있는 다른 비료를 이용할 수 있다는 것을 알 것이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수불용성 비료는 하나 이상의 질소, 인 및 칼륨 비료 또는 황 비료, 예컨대 원소 황이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수불용성 영양소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붕소, 칼슘, 염소, 크롬, 코발트, 구리 (Copper), 불소, 요오드, 철, 마그네슘, 망간, 몰리브덴, 인, 칼륨, 셀레늄, 실리콘, 나트륨, 아연을 그의 원소 형태 또는 이들 원소의 염 또는 유도체로 포함한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수불용성 영양소는 하나 이상의 원소 붕소, 보론 카르바이드, 보론 니트라이드, 알루미늄 옥시드, 알루미늄 도데카보라이드,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보크사이트, 방해석질 석회석 (calcitic limestone), 칼슘 옥살레이트, 크롬 옥시드, 코발트 옥시드, 코발트 술피드, 코발트 몰리브데이트, 코발트 카르보네이트, 쿠퍼 옥살레이트, 쿠퍼 옥시드, 쿠퍼 술피드, 쿠퍼 히드록시드, 쿠프릭 술피드 (Cupric sulphide), 쿠퍼 포스페이트, 쿠퍼 몰리브데이트, 플루오린 옥시드, 플루오린 몰리브데이트, 산화철, 황화철, 마그네슘 옥시드, 마그네슘 히드록시드, 마그네슘 포스페이트 삼염기 (tribasic), 마그네슘 몰리브데이트, 마그네슘 카르보네이트, 망간 옥시드, 망간 몰리브데이트, 몰리브덴 아세테이트, 몰리브덴 디술피드, 셀레늄 술피드, 실리콘 니트라이드, 황화아연, 산화아연, 탄산아연, 인산아연, 몰리브덴산아연, 베이직 슬래그 (basic slag), 원소 크롬, 크롬 포스페이트, 아이언 수크레이트 (iron sucrate), 코발트 포스피드, 코발트 시아니드, 원소 니켈, 니켈 옥시드, 니켈 옥시히드록시드, 니켈 카르보네이트, 니켈 크로메이트, 니켈 히드록시드, 침상니켈석 (millerite), 니켈 셀레니드, 니켈 포스피드, 원소 구리, 불용성 쿠퍼 시아니드, 휘동석 (chalcocite), 쿠퍼 셀레니드, 쿠퍼 포스피드, 코벨라이트 (covellite),  쿠퍼 아르세네이트, 원소 은, 원소 아연, 징크 크로메이트, 징크 피로포스페이트, 틴 (tin) 히드록시드, 틴 옥시드 및 틴 술피드, 그의 염, 유도체 및 그의 조합을 포함한다. 그러나,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른 수불용성 영양소를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을 알 것이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수불용성 영양소는 비타민, 예컨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비타민 A, 비타민 B, 비타민 C, 비타민 D, 비타민 E 및 비타민 K일 수 있다. 그러나,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른 비타민을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을 알 것이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수불용성 영양소는 전체 조성물의 적어도 0.1 중량%의 농도 범위로 존재한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수불용성 영양소는 전체 조성물의 적어도 1 중량%의 농도 범위로 존재한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수불용성 영양소는 전체 조성물의 적어도 5 중량%의 농도 범위로 존재한다.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수불용성 영양소는 적어도 10%의 양으로 존재한다.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수불용성 영양소는 적어도 20%의 양으로 존재한다.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수불용성 영양소는 적어도 30%의 양으로 존재한다.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수불용성 영양소는 적어도 40%의 양으로 존재한다.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수불용성 영양소는 적어도 50%의 양으로 존재한다.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수불용성 영양소는 적어도 60%의 양으로 존재한다.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수불용성 영양소는 적어도 70%의 양으로 존재한다.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은 적어도 80 중량%의 수불용성 영양소를 포함한다.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은 적어도 90 중량%의 수불용성 영양소를 포함한다.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은 적어도 95 중량%의 수불용성 영양소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적어도 하나의 조류 및 적어도 하나의 농화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부형제를 포함하는 농업용 수붕해성 과립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수붕해성 과립은 0.1 mm 내지 6 mm의 크기 범위이고, 0.1 미크론 내지 50 미크론 크기 범위의 입자를 포함한다.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농업용 수붕해성 과립 조성물은 0.1 mm 내지 6 mm의 크기 범위이다.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농업용 과립 조성물은 0.5 mm 내지 6 mm의 크기 범위이다.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농업용 과립 조성물은 1 mm 내지 6 mm 범위의 과립 크기를 갖는다.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농업용 과립 크기는 1 mm 내지 5 mm의 범위이다.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농업용 과립 크기는 2.5 mm 내지 5 mm의 범위이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과립은 0.1 미크론 내지 50 미크론 크기 범위의 입자를 포함한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과립은 0.1 미크론 내지 40 미크론 크기 범위의 입자를 포함한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과립은 0.1 미크론 내지 30 미크론 크기 범위의 입자를 포함한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과립은 0.1 미크론 내지 20 미크론 크기 범위의 입자를 포함한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과립은 0.1 미크론 내지 15 미크론 크기 범위의 입자를 포함한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과립은 0.1 미크론 내지 10 미크론 크기 범위의 입자를 포함한다.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조류는 미세조류 (microalgae), 염수 조류 또는 담수 조류 또는 그의 종, 유도체 또는 혼합물일 수 있다.
부가의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조류는 녹조류, 적조류, 황조류, 갈조류, 황갈조류 (golden-brown algae), 청조류 (blue algae) 또는 남조류 (blue-green algae), 아시안 투엔형 평면 조류 (Asian tuen shaped flat algaes) 또는 해초 또는 그의 유도체, 종 및 그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 그룹에 속하는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다른 부가의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조류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시아노박테리아 (시아노피타 (Cyanophyta)), 오크로피테스 (Ochrophytes), 글라우코피테스 (Glaucophytes), 피로피테스 (Pyrrophytes), 로도피테스 (Rhodophytes), 크리소피타 (Chrysophyta), 라피도피테스 (Raphidophytes), 유스티그마토피테스 (Eustigmatophytes), 시누로피테스 (Synurophytes), 실리코플라겔라테스 (Silicoflagellates), 사르시노크리소피세에 (Sarcinochrysophyceae), 헤테로콘트 (Heterokonts), 크리토피테스 (Crytophytes), 합토피테스 (Haptophytes), 유글레노피테스 (Euglenophytes), 클로로피테스 (Chlorophytes), 샤로피테스 (Charophytes), 육생 식물 (Land Plants), 엠브로피타 (Embrophyta) 또는 클로라라크니오피테스 (Chlorarachniophytes) 또는 그의 유도체, 종 및 그의 혼합물의 문 (division)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그러나,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당분야에 알려져 있는 다른 문으로부터의 임의의 다른 조류를 이용할 수 있다는 것을 알 것이다.
부가의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조류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브리옵시다세에 (Bryopsidaceae), 아크로틸라세에 (Acrotylaceae), 아레스코우지아세에 (Areschougiaceae), 파에오피세에 (Phaeophyceae), 시스토클로니아세에 (Cystocloniaceae), 디크라네마타세에 (Dicranemataceae), 힙네아세에 (Hypneaceae), 라피디오피세에 (Raphidiophyceae), 유스티그마토피세에 두몬티아세에 (Eustigmatophyceae Dumontiaceae), 콜레르파세에 (Caulerpaceae), 코디아세에 (Codiaceae), 할리메다세에 (Halimedaceae), 우도테아세에 (Udoteaceae), 아나디오메나세에 (Anadyomenaceae), 폴리피사세에 (Polyphysaceae), 시포노클라다세에 (Siphonocladaceae), 발로니아세에 (Valoniaceae), 울바세에 (Ulvaceae), 코르다리아세에 (Chordariaceae), 푼크타리아세에 (Punctariaceae), 딕티오타세에 (Dictyotaceae), 엑토카르파세에 (Ectocarpaceae), 로디메니아세에 (Rhodymeniaceae), 겔리디아세에 (Gelidiaceae), 시스토세이라세에 (Cystoseiraceae), 사르가스사세에 (Sargassaceae), 스포로크나세에 (Sporochnaceae), 스파셀라리아세에 (Sphacelariaceae), 스시토시포나세에 (Scytosiphonaceae), 사르시노크리소피세에, 알라리아세에 (Alariaceae), 그라실라리아세에 (Gracilariaceae), 리조필리다세에 (Rhizophyllidaceae), 포르피리디아세에 (Porphyridiaceae), 아크로카에티아세에 (Acrochaetiaceae), 본네마이소니아세에 (Bonnemaisoniaceae), 세라미아세에 (Ceramiaceae), 다시아세에 (Dasyaceae), 로도멜라세에 (Rhodomelaceae), 델레세리아세에 (Delesseriaceae), 파셀로카르파세에 (Phacelocarpaceae), 할리메니아세에 (Halymeniaceae), 리아고라세에 (Liagoraceae), 크리소모나달레스 (Chrysomonadales), 크리소캅살레스 (Chrysocapsales), 크리소스파에랄레스 (Chrysosphaerales), 크리소트리칼레스 (Chrysotrichales), 헤테로콘타에 (Heterokontae), 디아토메에 (Diatomeae), 갈락사우라세에 (Galaxauraceae), 플로카미아세에 (Plocamiaceae), 참피아세에 (Champiaceae), 세브데니아세에 (Sebdeniaceae), 로멘타리아세에 (Lomentariaceae), 페이스소넬리아세에 (Peyssonneliaceae), 니지메니아세에 (Nizymeniaceae), 칼리메니아세에 (Kallymeniaceae), 코랄리나세에 (Corallinaceae), 네마스토마타세에 (Nemastomataceae), 크산토피세에 (Xanthophyceae) 또는 그의 유도체, 종 및 그의 혼합물의 과 (family)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그러나,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당분야에 알려져 있는 다른 과로부터의 임의의 다른 조류를 이용할 수 있다는 것을 알 것이다.
다른 부가의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조류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스피룰리나 종 (Spirulina Sp.), 니츠시아 종 (Nitzschia Sp.), 나비쿨라 종 (Navicula Sp.), 안펠티아 종 (Ahnfeltia Sp.), 안니크스트로데스미스 종 (Anikstrodesmis Sp.), 아트로스피라 종 (Arthrospira Sp.), 난노클로리스 종 (Nannochloris Sp.), 아스테로메니아 종 (Asteromenia Sp.), 보트리오클라디아 종 (Botryocladia Sp.), 클로렐라 종 (Chlorella Sp.), 헤마토코쿠스 종 (Haematococcus Sp.), 두날리엘라 종 (Dunaliella Sp.), 셀레나시룸 종 (Selenasirum Sp.), 난노크롭시스 종 (Nannochhropsis Sp.), 세네데스무스 종 (Scenedesm Sp.), 그라시아리아 종 (Graciaria Sp.), 오실라토리아 종 (Oscillatoria Sp.), 포르미디움 종 (Phormidium Sp.), 네마스토마 종 (Nemastoma Sp.), 암포라 종 (Amphora Sp.), 외로모나스 종 (Oehromonas Sp). 시아니디오시존 종 (Cyanidioschyzon Sp.), 카울레르파 종 (Caulerpa Sp.), 딕티오스파에리아 종 (Dictyosphaeria Sp.), 할립틸론 종 (Haliptilon Sp.), 아트락토 포라 종 (Atracto phora Sp.), 발로니아 종 (Valonia Sp.), 부들레아 종 (Boodlea Sp.), 겔리디엘라 종 (Gelidiella Sp.), 세라토딕티온 종 (Ceratodictyon Sp.), 네오필룸 종 (Pneophyllum Sp.), 칼리메니아 종 (Kallymenia Sp.), 프레다에아 종 (Predaea Sp), 시포노클라두스 종 (Siphonocladus Sp.), 클라도포롭시스 종 (Cladophoropsis Sp.), 암피플렉시아 종 (Amphiplexia Sp.), 레마네아 종 (Lemanea Sp.), 메소필룸 종 (Mesophyllum Sp.), 팔마리아 종 (Palmaria Sp.), 클라도시폰 종 (Cladosiphon Sp.), 쉬미치아 종 (Schmitzia Sp.), 콜포메니아 종 (Colpomenia Sp.), 크립토피세에스 종 (Cryptophycees Sp.), 메타고니올리톤 종 (Metagoniolithon Sp.), 히드롤리톤 종 (Hydrolithon Sp.), 히포글로숨 종 (Hypoglossum Sp.), 세이로스포라 종 (Seirospora Sp.), 자니아 종 (Jania Sp.), 플로리데오피세에 종 (Florideophyceae Sp.), 메타마스토포라 종 (Metamastophora Sp.), 암피로아 종 (Amphiroa Sp.), 아칸토포라 종 (Acanthophora Sp.), 콘드루스 종 (Chondrus Sp.), 코토니엘라 종 (Cottoniella Sp.), 플레오노스포리움 종 (Pleonosporium Sp.), 디트리아 종 (Ditria Sp.), 엔도시포니아 종 (Endosiphonia Sp.), 독소다시아 종 (Doxodasya Sp.), 드레위아나 종 (Drewiana Sp.), 딕티오메니아 종 (Dictyomenia Sp.), 안티탐니온 종 (Antithamnion Sp.), 플라티시포니아 종 (Platysiphonia Sp.), 헤테로독시아 종 (Heterodoxia Sp.), 다시클로니움 종 (Dasyclonium Sp.), 콘드리아 종 (Chondria Sp.), 하랄디오필룸 종 (Haraldiophyllum Sp.), 아글라오탐니온 종 (Aglaothamnion Sp.), 스트루베아 종 (Struvea Sp.), 사르코메니아 종 (Sarcomenia Sp.), 아크로탐니온 종 (Acrothamnion Sp.), 마르텐시아 종 (Martensia Sp.), 레졸리시아 종 (Lejolisia Sp.), 할로플레그마 종 (Haloplegma Sp.), 그리피스시아 종 (Griffithsia Sp.), 글라프리메니아 종 (Glaphrymenia Sp), 다시아 종 (Dasya Sp.), 아크로소리움 종 (Acrosorium Sp.), 스피리디아 종 (Spyridia Sp.), 헤미네우라 종 (Hemineura Sp.), 랑겔리아 종 (Wrangelia Sp.), 트리탐니온 종 (Trithamnion Sp.), 다시필라 종 (Dasyphila Sp.), 클라우데아 종 (Claudea Sp.), 코랄로필라 종 (Corallophila Sp.), 페리셀리아 종 (Perischelia Sp.), 모노스포루스 종 (Monosporus Sp.), 카르포탐니온 종 (Carpothamnion Sp.), 귀리엘라 종 (Guiryella Sp.), 가티아 종 (Gattya Sp.), 마스토카르푸스 종 (Mastocarpus Sp.), 아노트리키움 종 (Anotrichium Sp.), 센트로세라스 종 (Centroceras Sp.), 세라미움 종 (Ceramium Sp.), 카울레르파 종 (Caulerpa Sp.), 반보오르스티아 종 (Vanvoorstia Sp.), 유프틸로클라디아 종 (Euptilocladia Sp.), 티타노포라 종 (Titanophora Sp.), 타나카엘라 종 (Tanakaella Sp.), 아스파라곱시스 종 (Asparagopsis Sp.), 리토필룸 종 (Lithophyllum Sp.), 아크로카에티움 종 (Acrochaetium Sp.), 유프틸로타 종 (Euptilota Sp.), 아우도우이넬라 종 (Audouinella Sp.), 보트리오코쿠스 종 (Botryococcus Sp.), 아크트만테스 종 (Actmanthes Sp.), 안펠티옵시스 종 (Ahnfeltiopsis Sp.), 아그메네뭄 종 (Agmenemum Sp.), 코클로디니움 종 (Cochlodinium Sp.), 암피프로라 종 (Amphiprora Sp.), 안프티스트로데스무스 종 (Anftistrodesmus Sp.), 암시로데슨무스 종 (Ammsirodesnms Sp.), 보로디네타 종 (Borodinetta Sp.), 카르테리아 종 (Carteria Sp.), 스틸로네마 종 (Stylonema Sp.), 샤에토세로스 종 (Chaetoceros Sp.), 클라미도마스 종 (Chlamydomas Sp.), 클로로코쿠니 종 (Chlorococcuni Sp.), 클로로고니 종 (Chlorogoni Sp.), 크로오모나스 종 (Chroomonas Sp.), 크리소스파에라 종 (Chrysosphaera Sp.), 시이코스파에라 종 (Ciicosphaera Sp.), 크립테코디니움 종 (Crypthecodinium Sp.), 크립토모나스 종 (Cryptomonas Sp.), 시클로텔라 종 (Cyclotella Sp.), 디말리엘라 종 (Dimaliella Sp.), 에레모스파에라 종 (Eremosphaera Sp.), 엘립소이돈 종 (Ellipsoidon Sp.), 유글레나 종 (Euglena Sp.), 프란세이아 종 (Franceia Sp.), 글로에오캅사 종 (Gloeocapsa Sp.), 프라길라리아 종 (Fragilaria Sp.), 글레오카프사 종 (Gleocapsa Sp.), 글로에오탐니온 종 (Gloeothamnion Sp.), 시아노스피라 종 (Cyanospira Sp.), 히메노모나스 종 (Hymenomonas Sp.), 보크리시스 종 (Bockrysis Sp.), 호크리시스 종 (Hochrysis Sp.), 레포신클리스 종 (Lepocinclis Sp.), 스타우로네이스 종 (Stauroneis Sp.), 미크라클리니움 종 (Micraclinium Sp.), 크리시메니아 종 (Chrysymenia Sp.), 미크락틴 종 (Micractinhnn Sp.), 모나라피디움 종 (Monaraphidium Sp.), 난노클로리스 종 (Nannochloris Sp.), 나비시다 종 (Navicida Sp.), 포르피리디움 종 (Porphyridium Sp.), 니지마니아 종 (Nizymania Sp.), 세네데스무스 종, 시네코쿠스 종 (Synechoccus Sp.), 나비쿨 종 (Navicul Sp.), 네프로클로리스 종 (Nephrochloris Sp.), 오돈텔라 종 (Odontella Sp.), 무리엘롭시스 종 (Muriellopsis Sp.), 치아 종 (Tschia Sp.), 니츠시아 종, 이소크리시스 종 (Isochrysis Sp.), 파에닥틸룸 종 (Phaedactylum Sp.), 린그비아 종 (Lyngbya Sp.), 아파니조메논플로스 종 (Aphanizomenonflos Sp.), 오크로모나스 종 (Ochromonas Sp.), 오오시스트 종 (Oocyst Sp.), 바실라리오피세에 종 (Bacillariophyceae Sp.), 팜클로렐타 종 (Pamchlorelta Sp.), 페이소넬리아 종 (Peyssonnelia Sp.), 파세리아 종 (Pascheria Sp.), 파블로바 종 (Pavlova Sp.), 파에오닥티안 종 (Phaeodactyhan Sp.), 실린드로스페르뭄 종 (Cylindrospermum Sp.), 톨리포트릭스 종 (Tolypothrix Sp.), 하팔로시폰 종 (Hapalosiphon Sp.), 실린드로테카 종 (Cylindrotheca Sp.), 아나시스티스 종 (Anacystis Sp.), 에르틸리시마 종 (Ertilissima Sp.), 아울로시라 종 (Aulosira Sp.), 포르틈디움 종 (Phortmdium Sp.), 플라티트노나스 종 (Platytnonas Sp.), 플레우로크리시스 종 (Pleurochrysis Sp.), 렙톨린그비아 종 (Leptolyngbya Sp.), 네오클로리스 종 (Neochloris Sp.), 프로토테카 종 (Prototheca Sp.), 슈도클로렐라 종 (Pseudochlorella Sp.), 호르모틸롭시스 종 (Hormotilopsis Sp.), 기로디니움 종 (Gyrodinium Sp.), 엘립소이디온 종 (Ellipsoidion Sp.), 피라미모나스 종 (Pyramimonas Sp.), 피로보트리스 종 (Pyrobotrys Sp.), 사르시노이드 종 (Sarcinoid Sp.), 아미나리아세에 종 (Aminariaceae Sp.), 쉬조키트룸 종 (Schizochytrmm Sp.), 스피로기라 종 (Spirogyra Sp.), 스티코코쿠스 종 (Stichococcus Sp.), 시네코코카스 종 (Synechococcas Sp.), 시네코시스티스프 종 (Synechocystisf Sp.), 타게테스 종 (Tagetes Sp.), 테트라에드론 종 (Tetraedron Sp.), 테트라셀미스 종 (Tetraselmis Sp.), 탈라시오시라 종 (Thalassiosira Sp.), 비리디엘라 종 (Viridiella Sp.), 알라리아 종 (Alaria Sp.), 사카리나 종 (Saccharina Sp.), 코엘라르트룸 종 (Coelarthrum Sp.), 네레오시스티스 종 (Nereocystis Sp.), 라미나리아 종 (Laminaria Sp.), 포르피라 종 (Porphyra Sp.), 파에오시스티스 종 (Phaeocystis Sp.), 아파노캅사 종 (Aphanocapsa Sp.), 파셀로카르푸스 종 (Phacelocarpus Sp.), 울바 종 (Ulva Sp.), 히만탈리아 종 (Himanthalia Sp.), 시아노테세 종 (Cyanothece Sp.), 아스코필룸 종 (Ascophyllum Sp.), 포쿠스 종 (Focus Sp.), 카파피쿠스 종 (Kappaphycus Sp.), 베타피쿠스 종 (Betaphycus Sp.), 겔리디움 종 (Gelidium Sp.), 플란크토트리코이데스 종 (Planktothricoides Sp.), 프로클로로코쿠스 종 (Prochlorococcus Sp.), 프로클로론 종 (Prochloron Sp.), 프로클로로트릭스 종 (Prochlorothrix Sp.), 블라스토피사 종 (Blastophysa Sp.), 페디노모나스 종 (Pedinomonas Sp.), 레술토 종 (Resultor Sp.), 마르수피오모나스 종 (Marsupiomonas Sp.), 클로로키부스 종 (Chlorokybus Sp.), 콜레오카에테 종 (Coleochaete Sp.), 아와드히엘라 종 (Awadhiella Sp.), 프림네시오피세에스 종 (Prymnesiophycees Sp.), 라디오라무스 종 (Radioramus Sp.), 코노카에테 종 (Conochaete Sp.), 코리스토카르파세에 종 (Choristocarpaceae Sp.), 리토탐니온 종 (Lithothamnion Sp.), 피마톨리티온 종 (Phymatolithion Sp.), 디스코스포란지아세에 종 (Discosporangiaceae Sp.), 이시게아세에 종 (Ishigeaceae Sp.), 페트로데르마타세에 종 (Petrodermataceae Sp.), 시린고데르마타세에 종 (Syringodermataceae Sp.), 포르티에리아 종 (Portieria Sp.), 온슬로위아세에 종 (Onslowiaceae Sp.), 딕티오타세에 종 (Dictyotaceae Sp.), 리토데르마타세에 종 (Lithodermataceae Sp.), 유스티그마토피테 종 (Eustigmatophyte Sp.), 파에오스트로피오나세에 종 (Phaeostrophionaceae Sp.), 암피디눔 종 (Amphidinum Sp.), 스파셀로데르마세에 종 (Sphacelodermaceae Sp.), 미크락티눔 종 (Micractinium Sp.), 사르가숨 종 (Sargassum Sp.), 쿠르디에아 종 (Curdiea Sp.), 스티포카울라세에 종 (Stypocaulaceae Sp.), 코엘로트릭스 종 (Coelothrix Sp.), 클라도스테파세에 종 (Cladostephaceae Sp.), 스파셀라리아세에 종 (Sphacelariaceae Sp.), 푸쿠스 종 (Fucus Sp.), 아스테로클라다세에 종 (Asterocladaceae Sp.), 레스소니아세에 종 (Lessoniaceae Sp.), 아스코세이라세에 종 (Ascoseiraceae Sp.), 쿠틀레리아세에 종 (Cutleriaceae Sp.), 에클로니아 종 (Eklonia Sp.), 아르트로클라디아세에 종 (Arthrocladiaceae Sp.), 데스마레스티아세에 종 (Desmarestiaceae Sp.), 아시네토스포라세에 종 (Acinetosporaceae Sp.), 아데노시스타세에 종 (Adenocystaceae Sp.), 클라미도모나스 종 (Chlamydomonas Sp.), 클라도포라 종 (Cladophora Sp.), 프라시노피세에 종 (Prasinophyceae Sp.), 코르다리아세에 종 (Chordariaceae Sp.), 코르다리옵시다세에 종 (Chordariopsidaceae Sp.), 겔리디옵시스 종 (Gelidiopsis Sp.), 아그메넬룸 종 (Agmenellum Sp.), 데스모데스무스 종 (Desmodesmus Sp.), 에크토카르파세에 종 (Ectocarpaceae Sp.), 메소스포라세에 종 (Mesosporaceae Sp.), 할리드리스 종 (Halydris Sp.), 미리오네마타세에 종 (Myrionemataceae Sp.), 필라이엘라세에 종 (Pylaiellaceae Sp.), 비푸르카리옵시다세에 종 (Bifurcariopsidaceae Sp.), 클로로코쿰 종 (Chlorococcum Sp.), 두르빌라에세에 종 (Durvillaeaceae Sp.), 푸카세에 종 (Fucaceae Sp.), 글로스소마스틱스 종 (Glossomastix Sp.), 히만탈리아세에 종 (Himanthaliaceae Sp.), 이리다에 종 (Iridaea Sp.), 호르모시라세에 종 (Hormosiraceae Sp.), 노테이아세에 종 (Notheiaceae Sp.), 사르가사세에 종 (Sargassaceae Sp.), 아크로시포니아 종 (Acrosiphonia Sp.), 세이로코카세에 종 (Seirococcaceae Sp.), 고니오클로리스 종 (Goniochloris Sp.), 글로에오테세 종 (Gloeothece Sp.), 에밀리아나 종 (Emiliana Sp.), 코디움 종 (Codium Sp.), 아크케시피카세에 종 (Akkesiphycaceae Sp.), 알라리아세에 종 (Alariaceae Sp.), 모노크리시스 종 (Monochrysis Sp.), 팔마 종 (Palma Sp.), 코르다세에 종 (Chordaceae Sp.), 아세타불라리아 종 (Acetabularia Sp.), 파피아 종 (Phaffia Sp.), 코스타리아세에 종 (Costariaceae Sp.), 플라티모니아 종 (Platymonia Sp.), 슈도코르다세에 종 (Pseudochordaceae Sp.), 네모데르마타세에 종 (Nemodermataceae Sp.), 네오랄프시아세에 종 (Neoralfsiaceae Sp.), 엠포라 종 (Mphora Sp.), 로디메니아 종 (Rhodymenia Sp.), 랄프시아세에 종 (Ralfsiaceae Sp.), 아날리푸스 종 (Analipus Sp.), 크노오스포라세에 종 (Chnoosporaceae Sp.), 에그레지아 종 (Egregia Sp.), 시토시포나세에 종 (Scytosiphonaceae Sp.), 카에토모르프 종 (Chaetomorph Sp.), 시토탐나세에 종 (Scytothamnaceae Sp.), 김노곤그루스 종 (Gymnogongrus Sp.), 아스페로코쿠스 종 (Asperococcus Sp.), 브리옵시스 종 (Bryopsis Sp.), 리조클로니움 종 (Rhizoclonium Sp.), 글로이오클라디아 종 (Gloiocladia Sp.), 에클로니아 종 (Ecklonia Sp), 기르가티나 종 (Girgatina Sp.), 히메노클라디아 종 (Hymenocladia Sp.), 로멘타리아 종 (Lomentaria Sp.), 시조키트리움 종 (Schizochytrium Sp.), 아파노테세 종 (Aphanotece Sp.), 스플라크니디아세에 종 (Splachnidiaceae Sp.), 스포로크나세에 종 (Sporochnaceae Sp.), 플로카미움 종 (Plocamium Sp.), 콘스탄티네아 종 (Constantinea Sp.), 크립토시포니아 종 (Cryptosiphonia Sp.), 웨버반보아세아 종 (Webervanboassea Sp.), 레소니옵시스 종 (Lessoniopsis Sp.), 콘드라칸투스 종 (Chondracanthus Sp.), 할로시포나세에 종 (Halosiphonaceae Sp.), 딕티오프테리스 종 (Dictyopteris Sp.), 파를로위아 종 (Farlowia Sp.), 아나디오메네 종 (Anadyomene Sp.), 아펠베티아 종 (Apelvetia Sp.), 엔도클라디아 종 (Endocladia Sp.), 헤테로콘토피타 종 (Heterokontophyta Sp.), 코랄린 종 (Coralline Sp.), 트라우스토키트리움 종 (Thraustochytrium Sp.), 오스문데아 종 (Osmundea Sp.), 칼로필리스 종 (Callophyllis Sp.), 칼리아르트론 종 (Calliarthron Sp.), 모노라피디움 종 (Monoraphidium Sp.), 페니실루스 종 (Penicillus Sp.), 메리스토테카 종 (Meristotheca Sp.), 랙 종 (Wrack Sp.), 코스모클라디움 종 (Cosmocladium Sp.), 칼로트릭스 종 (Calothrix Sp.), 폴리시포니아 종 (Polysiphonia Sp.), 프리오니티스 종 (Prionitis Sp.), 레아테시아 종 (Leathesia Sp.), 폴리네우라 종 (Polyneura Sp.), 펠베티옵시스 종 (Pelvetiopsis Sp.), 클라미도노마스 종 (Chlamidonomas Sp.), 네오로도멜라 종 (Neorhodomela Sp.), 미크로딕티온 종 (Microdictyon Sp.), 마소노피카세에 종 (Masonophycaceae Sp.), 멜로베시아 종 (Melobesia Sp.), 디노플라겔라테 종 (Dinoflagellate Sp.), 델레세리아 종 (Delesseria Sp.), 필라리아세에 종 (Phyllariaceae Sp.), 포스텔시아 종 (Postelsia Sp.), 미크로클라디아 종 (Microcladia Sp.), 스차포비아세에 종 (Stschapoviaceae Sp.), 딜세아 종 (Dilsea Sp.), 할리메다 종 (Halimeda Sp.), 크로오코쿠스 종 (Chroococus Sp.), 틸롭테리다세에 종 (Tilopteridaceae Sp.), 파에오닥틸룸 종 (Phaeodactylum Sp.), 셈노카르포아 종 (Semnocarpoa Sp.), 참피아 종 (Champia Sp.), 에리트로필룸 종 (Erythrophyllum Sp.), 코디움 종 (Chodium Sp.), 파오니아 종 (Paonia Sp.), 울로트릭스 종 (Ulothrix Sp.), 헤테로코르다리아세에 종 (Heterochordariaceae Sp.), 그라실라리아 종 (Gracilaria Sp.), 리불라리아 종 (Rivularia Sp.), 프로미디움 종 (Phromidium Sp.), 스티포포디움 종 (Stypopodium Sp.), 에리트로클라디아 종 (Erythrocladia Sp.), 브라치오모나스 종 (Bracchiomonas Sp.), 코라도필룸 종 (Coradophylum Sp.), 시아노피타 종, 디스모르포코쿠스 종 (Dysmorphococcus Sp.), 시스토세이라 종 (Cystoseira Sp.), 딜로푸스 종 (Dilophus Sp.), 글로이오트리쿠스 종 (Gloiotrichus Sp.), 리아고라 종 (Liagora Sp.), 에이세니아 종 (Eisenia Sp.), 가노네마 종 (Ganonema Sp.), 헨네디아 종 (Hennedya Sp.), 코디오필룸 종 (Codiophyllum Sp.), 에클로니아 종 (Ecklonia Sp.), 디스트로미움 종 (Distromium Sp.), 스파를린기아 종 (Sparlingia Sp.), 가스트로셀로니움 종 (Gastrocelonium Sp.), 클라비클로니움 종 (Claviclonium Sp.), 펠베티아 종 (Pelvetia Sp.), 마자엘라 종 (Mazzaella Sp.), 로보포라 종 (Lobophora Sp.), 프테로클라디아 종 (Pterocladia Sp.), 시나이아 종 (Scinaia Sp.), 갈락사우라 종 (Galaxaura Sp.), 글로이오펠티스 종 (Gloiopeltis Sp.), 실라토리아 종 (Scillatoria Sp.), 힙네아 종 (Hypnea Sp.), 호르모피사 종 (Hormophysa Sp.), 독티오피쿠스 종 (Dotyophycus Sp.), 오푼티엘라 종 (Opuntiella Sp.), 난노클로롭시스 종 (Nannochloropsis. Sp.), 미리오데스마 종 (Myriodesma Sp.), 트리클레오카르파 종 (Tricleocarpa Sp.), 트리코글로에아 종 (Trichogloea Sp.), 야마다엘라 종 (Yamadaella Sp.), 세브데니아 종 (Sebdenia Sp.), 겔리나리아 종 (Gelinaria Sp.), 프림네시움 종 (Prymnesium Sp.), 헤르포시포니아 종 (Herposiphonia Sp.), 제아네레티아 종 (Jeannerettia Sp.), 쿠에친지아 종 (Kuetzingia Sp.), 라우렌시아 종 (Laurencia Sp.), 레노르만디옵시스 종 (Lenormandiopsis Sp.), 할리메니아 종 (Halymenia Sp.), 유케우마 종 (Eucheuma Sp.), 에리트로클로니움 종 (Erythroclonium Sp.), 아크난테스 종 (Achnanthes Sp.), 로도펠티스 종 (Rhodopeltis Sp.), 두드레스나야 종 (Dudresnaya Sp.), 할로사시온 종 (Halosaccion Sp.), 조나리아 종 (Zonaria Sp.), 아레스코우지아 종 (Areschougia Sp.), 힌크시아 종 (Hincksia Sp.), 오스문다리아 종 (Osmundaria Sp.), 플라코포라 종 (Placophora Sp.), 로포클라디아 종 (Lophocladia Sp.), 마크로시스티스 종 (Macrocystis Sp.), 칼로피쿠스 종 (Callophycus Sp.), 미크로콜레우스 종 (Microcoleus Sp.), 에피플로에아 종 (Epiphloea Sp.), 아크로심피톤 종 (Acrosymphyton Sp.), 크립토네미아 종 (Cryptonemia Sp.), 엔테로모르파 종 (Enteromorpha Sp.), 네우리메니아 종 (Neurymenia Sp.), 로포시포니아 종 (Lophosiphonia Sp.), 미크로시스티스 종 (Microcystis Sp.), 프로토쿠에친지아 종 (Protokuetzingia Sp.), 레베일레아 종 (Leveillea Sp.), 카울로시스티스 종 (Caulocystis Sp.), 히드로클라트루스 종 (Hydroclathrus Sp.), 스카베리아 종 (Scaberia Sp.), 로센빈제아 종 (Rosenvingea Sp.), 시조트릭스 종 (Schizothrix Sp.), 로델라 종 (Rhodella Sp.), 스피로클라디아 종 (Spirocladia Sp.), 아크로차에티움 로부스툼 보르게센 (Acrochaetium Robustum Borgesen), 톨리피오클라디아 종 (Tolypiocladia Sp.), 틸로투스 종 (Tylotus Sp.), 디크라네마 종 (Dicranema Sp.), 파키딕티온 종 (Pachydictyon Sp.), 아우스트로네레이아 종 (Austronereia Sp.), 스포로크누스 종 (Sporochnus Sp.), 크라스페도카르푸스 종 (Craspedocarpus Sp.), 솔리에리아 종 (Solieria Sp.), 엔시오탈리아 종 (Encyothalia Sp.), 나노코쿠스 종 (Nanococcus Sp.), 그라실라리아 종 (Gracilaria Sp.), 그라텔로우피아 종 (Grateloupia Sp.), 힐덴브란디아 종 (Hildenbrandiasp.), 암피로아 종 (Amphiroa Sp.), 체일로스포룸 종 (Cheilosporum Sp.), 코랄라나 종 (Corallina Sp.), 히드롤리톤 종 (Hydrolithonsp.), 히드롤리톤 종 (Hydrolithonsp.), 자니아 종 (Jania Sp.), 리토필룸 종 (Lithophyllumsp.), 칸테넬라 종 (Catenella Sp.), 콘드라칸투스 종 (Chondracanthus Sp.), 힙네아 플라겔리포르미스 종 (Hypnea Flagelliformissp.), 안펠티옵시스 종 (Ahnfeltiopsis Sp.), 참피아 종 (Champia Sp.), 가스트로클로니움 종 (Gastroclonium Sp.), 겔리디옵시스 종 (Gelidiopsis Sp.), 게일리엘라플라시다 종 (Gayliellaflaccidasp.), 아글라오탐니온 종 (Aglaothamnion Sp.), 크로우아니아 종 (Crouania Sp.), 프틸로탐니온 종 (Ptilothamnion Sp.), 디시아 종 (Dasya Sp.), 칼로글로사 종 (Caloglossa Sp.), 알로글로사 종 (Aloglossa Sp.), 에리트로글로숨 종 (Erythroglossum Sp.), 마르텐시아 프라길리스 종 (Martensia Fragilissp.), 보스트리키아 종 (Bostrychia Sp.), 콘드리아 종 (Chondria Sp.), 헤르포시포니아 종 (Herposiphonia Sp.), 라우렌시아 오브투세 종 (Laurencia Obtusesp.), 네오시포니아 종 (Neosiphonia Sp.), 폴리시포니아 종 (Polysiphonia Sp.), 바우케리아 종 (Vaucheria Sp.), 펠드만니아 종 (Feldmanniasp.), 힌크시아 종 (Hinksia Sp.), 랄프시아 종 (Ralfsiasp.), 스파셀라리아 종 (Sphacelaria Sp.), 카니스트로카르푸스 종 (Canistrocarpus Sp.), 딕티오타 종 (Dictyota Sp.), 파디나 종 (Padina Sp.), 스파토글로숨 종 (Spatoglossum Sp.), 스파토글로숨 종 (Spatoglossum Sp.), 스토에코스페르뭄 종 (Stoechospermum Sp.), 크노오스포라 종 (Chnoospora Sp.), 이옌가리아 종 (Iyengaria Sp.), 가이랄리아 종 (Gayralia Sp.), 샤에토모르파 종 (Chaetomorpha Sp.), 클라도포라 종 (Cladophora Sp.), 클라도포로포시스 종 (Cladophoroposis Sp.), 필로딕티온 종 (Phyllodictyon Sp.), 발로니옵시스 종 (Valoniopsis Sp.), 브리오피스 종 (Bryopis Sp.), 카울레르파 종 (Caulerpa Sp.), 아브라인빌레아 종 (Avrainvillea Sp.), 클로로데스미스 종 (Chlorodesmis Sp.), 또는 그의 유도체 및 혼합물로부터 선택되는 속 (genus)에 속하는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그러나,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당분야에 알려져 있는 다른 속의 조류를 이용할 수 있다는 것을 알 것이다. 상기 조류는 상업적으로 제조되고 다양한 회사로부터 입수가능하다.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조류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하기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종 (species)일 수 있다: 아나베나 실린드리칼 (Anabena cylindrical), 브리옵시스 아우스트랄리스 (Bryopsis australis), 브리옵시스 마이너 (Bryopsis minor), 보트리오코쿠스 브라우니이 (Botryococcus braunii), 아크트만테스 오리엔탈리스 (Actmanthes orientalis), 암피프로라 히알린 (Amphiprora hyaline), 암포라 코페이포르미스 (Amphora coffeiformis), 페트로셀리스 종 (Petrocelis Sp.), 암포라 시큐페이포이이니스 변종 리네아 (Amphora cqffeifoiinis Var. Linea), 클로리데일라 심플렉스 (Chlorideila simplex), 아펠베티아 카날리쿨라타 (Apelvetia canaliculata), 카울레르파 탁시폴리아 (Caulerpa taxifolia), 암포라 시큐페이포르미스 변종 푼크타타 (Amphora Cqffeiformis Var. Punctata), 암포라 시큐페이포르미스 변종 타일로리 (Amphora Cqffeiformis Var. Taylori), 울바 파시마 바스트 (Ulva Paschima Bast), 클라도포라 고엔시스 바스트 (Cladophora Goensis Bast), 라우렌시아 스펙타빌리스 (Laurencia spectabilis), 김노곤그루스 크레눌라투스 (Gymnogongrus crenulatus), 오푼티엘라 칼리포르니카 (Opuntiella californica), 김노곤그루스 그리피스시에 (Gymnogongrus griffithsiae), 아크난테스 오리엔탈리스 (Achnanthes orientalis), 클라도시폰 필룸 (Cladosiphon filum), 고니오클로리스 스쿨프타 (Goniochloris sculpta), 에클로니아 카바 (Ecklonia cava), 오스문데아 스펙타빌리스 (Osmundea Spectabilis), 네오로도멜라 라릭스 (Neorhodomela Larix), 아스페로코쿠스 불로수스 (Asperococcus Bullosus), 카울레르파 칵토이데스 (Caulerpa Cactoides), 겔리디움 미크로프테룸 (Gelidium Micropterum), 카울레르파 클리프토니이 (Caulerpa Cliftonii), 카울레르파 쿠프레스소이데스 (Caulerpa Cupressoides), 카울레르파 페르구소니이 (Caulerpa Fergusonii), 카울레르파 렌틸리페라 (Caulerpa Lentillifera), 카울레르파 멕시카나 (Caulerpa Mexicana), 안펠티아 플리카타 (Ahnfeltia Plicata), 카울레르파 오브스쿠라 (Caulerpa Obscura), 카울레르파 라세모사 (Caulerpa Racemosa), 카울레르파 라세모사 변종 코리네포라 (Caulerpa Racemosa Var. Corynephora), 카울레르파 라세모사 변종 라에티비렌스 (Caulerpa Racemosa Var. Laetivirens), 카울레르파 라세모사 변종 라모우록시이 (Caulerpa Racemosa Var. Lamourouxii), 카울레르파 라세모사 변종 펠타타 (Caulerpa Racemosa Var. Peltata), 카울레르파 세룰라타 (Caulerpa Serrulata), 카울레르파 심플리시우스쿨라 (Caulerpa Simpliciuscula), 아스테로메니아 펠타타 (Asteromenia Peltata), 보트리오클라디아 스코츠베르지이 (Botryocladia Skottsbergii), 세라토딕티온 스폰지오숨 (Ceratodictyon Spongiosum), 크리시메니아 카에른바키이 (Chrysymenia Kaernbachii), 크리시메니아 오르나타 (Chrysymenia Ornata), 코엘라르트룸 클리프토니이 (Coelarthrum Cliftonii), 코엘로트릭스 이레굴라리스 (Coelothrix Irregularis), 겔리디옵시스 바리아빌리스 (Gelidiopsis Variabilis), 글로이오클라디아 할리메니오이데스 (Gloiocladia Halymenioides), 프테로클라디아 카필라세아 (Pterocladia Capillacea), 프림네시움 파르붐 (Prymnesium Parvum), 글로이오클라디아 인디카 (Gloiocladia Indica), 글로이오클라디아 루브리스포라 (Gloiocladia Rubrispora), 글로이오사시온 브로우니이 (Gloiosaccion Brownii), 겔리디움 푸실룸 (Gelidium Pusillum), 히메노클라디아 우스네아 (Hymenocladia Usnea), 피마톨리티온 칼세레움 (Phymatolithion Calcereum), 리토탐니온 칼카레오움 (Lithothamnion Calcareoum), 헤르포시포니아 세쿤다 (Herposiphonia Secunda), 헤르포시포니아 세쿤다 에프. 테넬라 (Herposiphonia Secunda F. Tenella), 헤테로스트로마 네레이디이스 (Heterostroma Nereidiis), 제아네레티아 로바타 (Jeannerettia Lobata), 제아네레티아 페디셀라타 (Jeannerettia Pedicellata), 쿠에친지아 카날리쿨라타 (Kuetzingia Canaliculata), 라우렌시아 브롱니아르티아 (Laurencia Brongniartia), 라우렌시아 크루시아타 (Laurencia Cruciata), 라우렌시아 필리포르미스 (Laurencia Filiformis), 라우렌시아 마주스쿨라 (Laurencia Majuscula), 라우렌시아 파필로사 (Laurencia Papillosa), 레노르만디옵시스 라티폴리아 (Lenormandiopsis Latifolia), 레베일레아 준게르만니오이데스 (Leveillea Jungermannioides), 로포클라디아 하르베이 (Lophocladia Harveyi), 로포시포니아 프로스트라타 (Lophosiphonia Prostrata), 네우리메니아 프락시니폴리아 (Neurymenia Fraxinifolia), 오스문다리아 스피랄리스 (Osmundaria Spiralis), 플라코포라 빈데리 (Placophora Binderi), 폴리시포니아 데시피엔스 (Polysiphonia Decipiens), 폴리시포니아 그라실리스 (Polysiphonia Gracilis), 프로토쿠에친지아 오스트랄라시카 (Protokuetzingia Australasica), 스피로클라디아 바로덴시스 (Spirocladia Barodensis), 톨리피오클라디아 글로메룰라타 (Tolypiocladia Glomerulata), 암피로아 안셉스 (Amphiroa Anceps), 암피로아 폴리아세아 (Amphiroa Foliacea), 암피로아 그라실리스 (Amphiroa Gracilis), 할립틸론 로세움 (Haliptilon Roseum), 히드롤리톤 파리노숨 (Hydrolithon Farinosum), 히드롤리톤 온코데스 (Hydrolithon Onkodes), 자니아 풀켈라 (Jania Pulchella), 리토필룸 베르무덴세 (Lithophyllum Bermudense), 메소필룸 엔겔하르티이 (Mesophyllum Engelhartii), 메소필룸 에루베센스 (Mesophyllum Erubescens), 메소필룸 푸나푸티엔세 (Mesophyllum Funafutiense), 메타고니올리톤 라디아툼 (Metagoniolithon Radiatum), 메타고니올리톤 스텔리페룸 (Metagoniolithon Stelliferum), 메타마스토포라 플라벨라타 (Metamastophora Flabellata), 프네오필룸 프라길레 (Pneophyllum Fragile), 겔리디움 오스타랄 (Gelidium Austral), 프테로클라디아 루시다 (Pterocladia Lucida), 겔리디엘라 판노사 (Gelidiella Pannosa), 암피플렉시아 히메노클라디오이데스 (Amphiplexia Hymenocladioides), 클라비클로니움 오바툼 (Claviclonium Ovatum), 헨네디아 크리스파 (Hennedya Crispa), 아레스코지아 리굴라타 (Areschougia Ligulata), 칼로피쿠스 세라투스 (Callophycus Serratus), 칼로피쿠스 오포시티폴리우스 (Callophycus Oppositifolius), 에리트로클로니움 손데리 (Erythroclonium Sonderi), 유케우마 덴티쿨라툼 (Eucheuma Denticulatum), 유케우마 겔라티눔 (Eucheuma Gelatinum), 유케우마 스페시오숨 (Eucheuma Speciosum), 메리스토테카 파풀로사 (Meristotheca Papulosa), 솔리에리아 로부스타 (Solieria Robusta), 크라스페도카르푸스 베노수스 (Craspedocarpus Venosus), 디크라네마 레볼루툼 (Dicranema Revolutum), 틸로투스 오브투사투스 (Tylotus Obtusatus), 아크로심피톤 타일로리이 (Acrosymphyton Taylorii), 두드레스나이아 카프리코르니카 (Dudresnaya Capricornica), 로도펠티스 보레알리스 (Rhodopeltis Borealis), 힙네아 스피넬라 (Hypnea Spinella), 힙네아 발렌티아에 (Hypnea Valentiae), 스틸로네마 알시디이 (Stylonema Alsidii), 아우도우이넬라 사비아나 (Audouinella Saviana), 아스파라곱시스 아르마타 (Asparagopsis Armata), 아스파라곱시스 탁시포르미스 (Asparagopsis Taxiformis), 아크로탐니온 프레이시이 (Acrothamnion Preissii), 아글라오탐니온 코르다툼 (Aglaothamnion Cordatum), 아노트리키움 테누에 (Anotrichium Tenue), 안티탐니온 안틸라눔 (Antithamnion Antillanum), 안티탐니온 아르마툼 (Antithamnion Armatum), 안티탐니온 하노비오이데스 (Antithamnion Hanovioides), 카르포탐니온 군니아눔 (Carpothamnion Gunnianum), 센트로세라스 클라불라툼 (Centroceras Clavulatum), 세라미움 필리쿨라 (Ceramium Filicula), 세라미움 플라시둠 (Ceramium Flaccidum), 세라미움 이소고눔 (Ceramium Isogonum), 세라미움 마실렌툼 (Ceramium Macilentum), 세라미움 마자틀라넨세 (Ceramium Mazatlanense), 세라미움 푸베룰룸 (Ceramium Puberulum), 셀라미움 세르페르디이 (Ceramium Sherpherdii), 세라미움 심포디알레 (Ceramium Sympodiale), 코랄로필라 휴이스만시이 (Corallophila Huysmansii), 다시필라 프레이시이 (Dasyphila Preissii), 드레위아나 니텔라 (Drewiana Nitella), 유프틸로클라디아 스폰지오사 (Euptilocladia Spongiosa), 유프틸로타 아르티쿨라타 (Euptilota Articulata), 가티아 핀넬라 (Gattya Pinnella, 그리피스시아 오발리스 (Griffithsia Ovalis), 귀리엘라 레펜스 (Guiryella Repens), 할로플레그마 프레이시이 (Haloplegma Preissii), 레졸리시아 아에가그로필라 (Lejolisia Aegagropila), 모노스포루스 인디쿠스 (Monosporus Indicus), 페리셀리아 글로물리페라 (Perischelia Glomulifera), 플레오노스포리움 카리바에움 (Pleonosporium Caribaeum), 세이로스포라 오리엔탈리스 (Seirospora Orientalis), 스피리디아 필라멘토사 (Spyridia Filamentosa), 타나카엘라 이토노이 (Tanakaella Itonoi), 트리탐니온 그라실리시뭄 (Trithamnion Gracilissimum), 랑겔리아 플루모사 (Wrangelia Plumosa), 다시아 이엔가리이 (Dasya Iyengarii), 다시아 필로사 (Dasya Pilosa), 아크로소리움 데쿰벤스 (Acrosorium Decumbens), 클라우데아 엘레간스 (Claudea Elegans), 코토니엘라 필라멘토사 (Cottoniella Filamentosa), 하랄디오필룸 에로숨 (Haraldiophyllum Erosum), 헤미네우라 프론도사 (Hemineura Frondosa), 헤테로독시아 덴티쿨라타 (Heterodoxia Denticulata), 히포글로숨 칼로글로소이데스 (Hypoglossum Caloglossoides), 히포글로숨 레볼루툼 (Hypoglossum Revolutum), 마르텐시아 오스트랄리스 (Martensia Australis), 마르텐시아 프라길리스 (Martensia Fragilis), 플라티시포니아 코림보사 (Platysiphonia Corymbosa), 플라티시포니아 델리카타 (Platysiphonia Delicata), 플라티시포니아 마르기날리스 (Platysiphonia Marginalis), 사르코메니아 델레세리오이데스 (Sarcomenia Delesserioides), 아칸토포라 덴드로이데스 (Acanthophora Dendroides), 아칸토포라 스피시페라 (Acanthophora Spicifera), 콘드리아 쿠르디에아나 (Chondria Curdieana), 콘드리아 단게아르디이 (Chondria Dangeardii), 콘드리아 란세올라타 (Chondria Lanceolata), 다시클로니움 플라시둠 (Dasyclonium Flaccidum), 다시클로니움 인시숨 (Dasyclonium Incisum), 딕티오메니아 손데리 (Dictyomenia Sonderi), 딕티오메니아 트리덴스 (Dictyomenia Tridens), 디트리아 엑스플레타 (Ditria Expleta), 독소다시아 볼보카에테 (Doxodasya Bolbochaete), 엔도시포니아 시피눌리게라 (Endosiphonia Spinuligera), 로디메니아 렙토필라 (Rhodymenia Leptophylla), 로디메니아 손데리 (Rhodymenia Sonderi), 웨버반보아세아 스플라크노이데스 (Webervanboassea Splachnoides), 글라프리메니아 푸스툴로사 (Glaphrymenia Pustulosa), 칼리메니아 크리브로글로에아 (Kallymenia Cribrogloea), 칼리메니아 크리브로사 (Kallymenia Cribrosa), 네마스토마 다마에코르니스 (Nemastoma Damaecornis), 프레다에아 라시니오사 (Predaea Laciniosa), 프레다에라 웰디이 (Predaea Weldii), 티타노포라 웨베라에 (Titanophora Weberae), 니지마니아 콘페르타 (Nizymania Conferta), 페이소넬리아 카펜시스 (Peyssonnelia Capensis), 페이소넬리아 이나모에나 (Peyssonnelia Inamoena), 파셀로카르푸스 알라투스 (Phacelocarpus Alatus), 포르티에리아 호르네만니이 (Portieria Hornemannii), 쿠르디에아 오베사 (Curdiea Obesa), 그라실라리아 카날리쿨라타 (Gracilaria Canaliculata), 그라실라리아 프레이시아나 (Gracilaria Preissiana), 그라실라리아 텍스토리이 (Gracilaria Textorii), 코디오필룸 플라벨리포르메 (Codiophyllum Flabelliforme), 에리트로클라디아 이레굴라리스 (Erythrocladia Irregularis), 트립토네미아 칼리메니오이데스 (Cryptonemia Kallymenioides), 에피플로에아 불로사 (Epiphloea Bullosa), 겔리나리아 울보이데아 (Gelinaria Ulvoidea), 할리메니아 플로레시아 (Halymenia Floresia), 세브데니아 플라벨라타 (Sebdenia Flabellata), 포르피라 크리스파테 크젤만 (Porphyra Crispate Kjellman), 그라실라리아 코르티카타 (Gracilaria Corticata), 그라실라리아 폴리이페라 (Gracilaria Foliifera), 그라실라리아 베루코사 (Gracilaria Verrucosa), 그라텔로우피아 필리시나 (Grateloupia Filicina), 그라텔로우피아 필리시나 에프. 호리다 (Grateloupia Filicina F. Horrida), 그라텔로우피아 리토필라 (Grateloupia Lithophila), 페이소넬리아 오브스쿠라 (Peyssonnelia Obscura), 힐덴브란디아 루브라 (Hildenbrandia Rubra), 암피로아 안셉스 (Amphiroa Anceps), 암피로아 프라길리시마 (Amphiroa Fragilissima), 암피로아 리지다 (Amphiroa Rigida), 체일로스포룸 스펙타빌레 (Cheilosporum Spectabile), 코랄리나 오피시날리스 (Corallina Officinalis), 히드롤리톤 파리노숨 (Hydrolithon Farinosum), 히드로리톤 레인볼디이 (Hydrolithon Reinboldii), 자니아 루벤스 (Jania Rubens), 리토필룸 오르비쿨라툼 (Lithophyllum Orbiculatum), 카테넬라 카에스피토세 (Catenella Caespitose), 콘드라칸투스 아시쿨라리스 (Chondracanthus Acicularis), 힙네아 플라겔리포르미스 (Hypnea Flagelliformis), 힙네아 무시포르미스 (Hypnea Musciformis), 힙네아 스피넬라 (Hypnea Spinella), 힙네아 발렌티아에 (Hypnea Valentiae), 안펠티옵시스 피그마에 (Ahnfeltiopsis Pygmaea), 참피아 콤프레사 (Champia Compressa), 참피아 파르불라 (Champia Parvula), 가스트로클로니움 콤프레숨 (Gastroclonium Compressum), 겔리디옵시스 바리아빌리스 (Gelidiopsis Variabilis), 안티탐니온 크루시아툼 (Antithamnion Cruciatum), 세라미움 심브리쿰 (Ceramium Cimbricum), 세라미움 크루시아툼 (Ceramium Cruciatum), 가이리엘라플라시다 (Gayliellaflaccida), 아글라오탐니온 테누이시뭄 (Aglaothamnion Tenuissimum), 크로우아니아 아테누아타 (Crouania Attenuata), 프틸로탐니온 스펠룬카룸 (Ptilothamnion Speluncarum), 랑겔리아 아구스 (Wrangelia Argus), 다시아 오셀라타 (Dasya Ocellata), 칼로글로사 레프리에우리이 (Caloglossa Leprieurii), 알로글로사 오가사와라엔시스 (Aloglossa Ogasawaraensis), 에리트로글로숨 루시타니쿰 (Erythroglossum Lusitanicum), 히포글로숨 히포글로소이데스 (Hypoglossum Hypoglossoides), 아칸토포라 무스코이데스 (Acanthophora Muscoides), 보스트리치아 라디칸스 (Bostrychia Radicans), 보스트리치아 테넬라 (Bostrychia Tenella), 콘드리아 아르마타 (Chondria Armata), 콘드리아 카필라리에스 (Chondria Capillaries), 헤르포시포니아 세쿤다 (Herposiphonia Secunda), 라우렌시아 오브투세 (Laurencia Obtuse), 네오시포니아 페룰라세아 (Neosiphonia Ferulacea), 폴리시포니아 아틀란티카 (Polysiphonia Atlantica), 폴리시포니아 데누다테 (Polysiphonia Denudate), 바우체리아 론지카울리스 (Vaucheria Longicaulis), 펠드만니아 인디카 (Feldmannia Indica), 펠드만니아 이레굴라리스 (Feldmannia Irregularis), 힌크시아 미첼리에 (Hinksia Mitchelliae), 랄프시아 베루코사 (Ralfsia Verrucosa), 스파셀라리아 리지둘라 (Sphacelaria Rigidula), 카니스트로카르푸스 세르비코르니스 (Canistrocarpus Cervicornis), 카니스트로카르푸스 크리스파투스 (Canistrocarpus Crispatus), 카니스트로카르푸스 마그네아누스 (Canistrocarpus Magneanus), 딕티오프테리스 오스트랄리스 (Dictyopteris Australis), 딕티오타 바르타이레시아나 (Dictyota Bartayresiana), 딕티오타 세일라니카 (Dictyota Ceylanica), 딕티오타 실리오라테 (Dictyota Ciliolate), 딕티오타 디코토마 (Dictyota Dichotoma), 딕티오타 디바리카타 (Dictyota Divaricata), 딕티오타 두모사 (Dictyota Dumosa), 파디나 안틸라룸 (Padina Antillarum), 파디나 오스트랄리스 (Padina Australis), 파디나 보리아나 (Padina Boryana), 파디나 김노스포라 (Padina Gymnospora), 파디나 파보니카 (Padina Pavonica), 스파토글로숨 아스페룸 (Spatoglossum Asperum), 스파토글로숨 바리아빌레 (Spatoglossum Variabile), 스토에코스페르뭄 폴리포디오이데스 (Stoechospermum Polypodioides), 크노스포라 미니마 (Chnoospora Minima), 콜포메니아 시누오사 (Colpomenia Sinuosa), 이엔가리아 스텔라타 (Iyengaria Stellata), 로센빈게아 오리엔탈리스 (Rosenvingea Orientalis), 사르가숨 신크툼 (Sargassum Cinctum), 사르가숨 시네레움 (Sargassum Cinereum), 사르가숨 크라시폴리움 (Sargassum Crassifolium), 사르가숨 글라우세스센스 (Sargassum Glaucescens), 사르가숨 일리시폴리움 (Sargassum Ilicifolium), 사르가숨 플라지오필룸 (Sargassum Plagiophyllum), 사르가숨 폴리시스툼 (Sargassum Polycystum), 사르가숨 프리스마티쿰 (Sargassum Prismaticum), 사르가숨 스와르치이 (Sargassum Swartzii), 사르가숨 테네리뭄 (Sargassum Tenerrimum), 사르가숨 불가레 (Sargassum Vulgare), 가이랄리아 옥시스페르마 (Gayralia Oxysperma), 울바 글라트라타 (Ulva Clathrata), 울바 콤프레사 (Ulva Compressa), 울바 콘글로바타 (Ulva Conglobata), 울바 플렉수오사 (Ulva Flexuosa), 울바 인테스티날리스 (Ulva Intestinalis), 울바 리지다 (Ulva Rigida), 울바 타에니아타 (Ulva Taeniata), 차에토모르파 안테니나 (Chaetomorpha Antennina), 차에토모르파 리눔 (Chaetomorpha Linum), 차에토모르파 스피랄리스 (Chaetomorpha Spiralis), 클라도포라 봄바이엔시스 (Cladophora Bombayensis), 클라도포라 코엘로트릭스 (Cladophora Coelothrix), 클라도포라 글로메라타 (Cladophora Glomerata), 클라도포라 레만니아나 (Cladophora Lehmanniana), 클라도포라 프레헨덴스 (Cladophora Prehendens), 클라도포라 프롤리페라 (Cladophora Prolifera), 클라도포라 리조클로니오이데아 (Cladophorarhizoclonioidea), 클라도포라 사라세니카 (Cladophora Saracenica), 클라도포라 소시알리스 (Cladophora Socialis), 클라도포라 바가분다 (Cladophora Vagabunda), 리조클로니움 토르투오숨 (Rhizoclonium Tortuosum), 부들레아 콤포시테 (Boodlea Composite), 클라도포로포시스 순다넨시스 (Cladophoroposis Sundanensis), 필로딕티온 아나스토모산스 (Phyllodictyon Anastomosans), 발로니옵시스 파키네마 (Valoniopsis Pachynema), 브리오피스 힙노이데스 (Bryopis Hypnoides), 브리옵시스 펜나타 (Bryopsis Pennata), 브리옵시스 플루모세 (Bryopsis Plumose), 카울레르파 펠타타 (Caulerpa Peltata), 카울레르파 라세모사 (Caulerpa Racemosa), 카울레르파 스칼펠리포르미스 (Caulerpa Scalpelliformis), 카울레르파 세르툴라리오이데스 (Caulerpa Sertularioides), 카울레르파 베르티실라타 (Caulerpa Verticillata), 아브라인빌레아 에렉타 (Avrainvillea Erecta), 클로로데스미스 힐데브란드티이 (Chlorodesmis Hildebrandtii), 도티오피쿠스 아보티에 (Dotyophycus Abbottiae), 가노네마 파리노사 (Ganonema Farinosa), 글로이오트리쿠스 프락탈리스 (Gloiotrichus Fractalis), 리아고라 세첼리이 (Liagora Setchellii), 트리코글로에아 레퀴에니이 (Trichogloea Requienii), 야마다엘라 (Yamadaella), 갈락사우라 마르기나타 (Galaxaura Marginata), 갈락사우라 오브투사타 (Galaxaura Obtusata), 갈락사우라 루고사 (Galaxaura Rugosa), 시나이아 친글라넨시스 (Scinaia Tsinglanensis), 트리클레오카르파 실린드리카 (Tricleocarpa Cylindrica), 플로카미움 프레이시아눔 (Plocamium Preissianum), 참피아 콤프레사 (Champia Compressa), 참피아 프라불라 (Champia Pravula), 참피아 조스테리콜라 (Champia Zostericola), 로멘타리아 코랄리콜라 (Lomentaria Corallicola), 로멘타리아 모노클라미데아 (Lomentaria Monochlamydea), 셈노카르포아 미누타 (Semnocarpoa Minuta), 카울레르파 웨브비아나 (Caulerpa Webbiana), 카울레르파 라세모사 변종 투르비나타 네오로도멜라 오레고나 (Caulerpa Racemosa Var. Turbinata Neorhodomela Oregona), 오돈탈리아 플로코세 (Odonthalia Floccose), 오돈탈리아 플로코사 포르마 코모사 (Odonthalia Floccosa Forma Comosa), 오돈탈리아 워싱토니엔시스 (Odonthalia Washingtoniensis), 에클로니아 쿠로메 (Ecklonia Kurome), 마스토카르푸스 자르디니이 (Mastocarpus Jardinii), 아세타불라리아 칼리쿨루스 (Acetabularia Calyculus), 할리메다 쿠네아타 (Halimeda Cuneata), 파디나 종 (Padina Sp.), 포르피라 수보르비쿨라타 (Porphyra Suborbiculata), 포르피라 비에트나멘시스 (Porphyra Vietnamensis), 클라도포롭시스 헤르페스티카 (Cladophoropsis Herpestica), 시포노클라두스 트로피쿠스 (Siphonocladus Tropicus), 스트루베아 플루모사 로델라 마쿨라테 (Struvea Plumosa Rhodella Maculate), 폴리시포니아 헨드리이 (Polysiphonia Hendryi), 에클로니아 스톨로이페라 (Ecklonia Stoloifera), 미크로클라디아 보레알리스 (Microcladia Borealis), 미크로딕티온 움빌리카툼 (Microdictyon Umbilicatum), 에클로니아 막시마 (Ecklonia Maxima), 에클로니아 라디아테 (Ecklonia Radiate), 네레오시스티스 루에트케아나 (Nereocystis Luetkeana), 페니실루스 노둘로수스 (Penicillus Nodulosus), 에클로니아 비시클리스 (Ecklonia Bicyclis) 및 에클로니아 아르보레아 (Ecklonia Arborea), 에이세니아 비시클리스 (Eisenia Bicyclis), 에이세니아 아르보라에아 (Eisenia Arboraea), 할로사시온 글란디포르메 (Halosaccion Glandiforme), 암포라 코페이포르미스 변종 테누이스 (Amphora Coffeiformis Var. Tenuis), 딕티오스파에리아 카베르노사 (Dictyosphaeria Cavernosa), 딕티오프테리스 무엘레리 (Dictyopteris Muelleri), 딕티오프테리스 플라지오그람마 (Dictyopteris Plagiogramma), 딕티오타 실리올라타 (Dictyota Ciliolata), 딕티오타 디코토마 (Dictyota Dichotoma), 딕티오타 디코토마 변종 인트리카타 (Dictyota Dichotoma Var Intricata), 딕티오타 푸르셀라타 (Dictyota Furcellata), 딕티오타 메르텐시이 (Dictyota Mertensii), 딕티오타 나에보사 (Dictyota Naevosa), 딜로푸스 크리니투스 (Dilophus Crinitus), 딜로푸스 파스티지아투스 (Dilophus Fastigiatus), 딜로푸스 로부스투스 (Dilophus Robustus), 디스트로미움 플라벨라툼 (Distromium Flabellatum), 로보포라 바리에가타 (Lobophora Variegata), 파키딕티온 파니클라툼 (Pachydictyon Paniculatum), 사르가숨 보리이 (Sargassum Boryi), 사르가숨 데쿠렌스 (Sargassum Decurrens), 사르가숨 디스티쿰 (Sargassum Distichum), 사르가숨 팔락스 (Sargassum Fallax), 사르가숨 리굴라툼 (Sargassum Ligulatum), 사르가숨 리네아리폴리움 (Sargassum Linearifolium), 사르가숨 포다칸툼 (Sargassum Podacanthum), 사르가숨 스피눌리게룸 (Sargassum Spinuligerum), 사르가숨 트리스티쿰 (Sargassum Tristichum), 파디나 보에르게세니이 (Padina Boergesenii), 파디나 엘레간스 (Padina Elegans), 파디나 산테-크루시스 (Padina Sanctae-Crucis), 파디나 테누이스 (Padina Tenuis), 스티포포디움 오스트랄라시쿰 (Stypopodium Australasicum), 스티포포디움 플라벨리포르메 (Stypopodium Flabelliforme), 조나리아 투네리아나 (Zonaria Turneriana), 힌크시아 미첼리에 (Hincksia Mitchelliae), 카울로시스티스 우비페라 (Caulocystis Uvifera), 시스토세이라 트리노디스 (Cystoseira Trinodis), 호르모피사 쿠네이포르미스 (Hormophysa Cuneiformis), 미리오데스마 퀘시폴리움 (Myriodesma Quercifolium), 스카베리아 아가디이 (Scaberia Agardhii), 에클로니아 라디아타 (Ecklonia Radiata), 히드로클라트루스 클라트라투스 (Hydroclathrus Clathratus), 스파셀라리아 비라디아타 (Sphacelaria Biradiata), 스파셀라리아 노바에-홀란디에 (Sphacelaria Novae-Hollandiae), 스파셀라리아 리지둘라 (Sphacelaria Rigidula), 오스트로네레이아 오스트랄리스 (Austronereia Australis), 엔시오탈리아 클리프토니이 (Encyothalia Cliftonii), 스포로크누스 코모수스 (Sporochnus Comosus), 딕티오스파에리아 베르슬루이시이 (Dictyosphaeria Versluysii), 암포라 델리카티시마 (Amphora Delicatissima), 암포라 델리카티시마 변종 카피타타 (Amphora Delicatissima Var. Capitata), 코스모클라디움 페리숨 (Cosmocladium Perissum), 아나바에나 (Anabaena), 아나디오메네 브로우니에 (Anadyomene Brownie), 안프티스트로데스무스 (Anftistrodesmus), 암시로데스무스 팔카투스 (Ammsirodesnms Falcatus), 딜세아 칼리포니카 (Dilsea Californica), 지가르티나 아가르디이 (Gigartina Agardhii), 델레세리아 데시피엔스 (Delesseria Decipiens), 폴리네우라 라티시마 (Polyneura Latissima), 마스토카르푸스 파필라투스 (Mastocarpus Papillatus), 크립토시포니아 우디이 (Cryptosiphonia Woodii), 포피라 슈도란세올라타 (Porphyra Pseudolanceolata), 멜로베시아 메디오크리스 (Melobesia Mediocris), 보에켈로비아 후글란디이 (Boekelovia Hooglandii), 코디움 두티에에 (Codium Duthieae), 코디움 게피오룸 (Codium Geppiorum), 코디움 라미나리오이데스 (Codium Laminarioides), 코디움 루카시이 (Codium Lucasii), 코디움 스폰지오숨 플로카미움 카르틸라지네움 (Codium Spongiosum Plocamium Cartilagineum), 파를로위아 몰리스 (Farlowia Mollis), 힙네아 무시포르미스 (Hypnea Musciformis), 메리스토테카 세네갈렌시스 (Meristotheca Senegalensis), 스파를린지아 페르투사 (Sparlingia Pertussa), 메리스토테카 파풀로사 (Meristotheca Papulosa), 할리드리스 실리쿼사 (Halydris Siliquosa), 로디메니아 페르투사 (Rhodymenia Pertussa), 보트리오코쿠스 브름미이 (Botryococcus Brmmii), 보트리오코쿠스 수데티쿠스 (Botryococcus Sudeticus), 에리트로필룸 델레세리오이데스 (Erythrophyllum Delesserioides), 지가르티나 파필라타 (Gigartina Papillata), 브락테오코쿠스 마이너 (Bracteococcus Minor), 에그레지아 멘지에시이 (Egregia Menziesii), 라미나리아 신클라이리이 (Laminaria Sinclairii), 브락테오코쿠스 메디오누클레아트 (Bracteococcus Medionucleats), 레소니옵시스 리토랄리스 (Lessoniopsis Littoralis), 카르테리아 (Carteria), 차에토세로스 그라실리스 (Chaetoceros Gracilis), 엑토카르푸스 종 (Ectocarpus Sp.), 발로니아 마크로피사 (Valonia Macrophysa), 글로이오펠티스 푸르카타 (Gloiopeltis Furcata), 보시엘라 종 (Bossiella Sp.), 콘스탄티네아 심플렉스 (Constantinea Simplex), 콜포메니아 불로사 (Colpomenia Bullosa), 안펠티옵시스 리네아리스 (Ahnfeltiopsis Linearis), 콜포메니아 페레그린 (Colpomenia Peregrine), 엔도클라디아 무리카타 (Endocladia Muricata), 칼리탐니온 피케아눔 (Callithamnion Pikeanum), 코에토세로스 무에즐레리 (Choetoceros Muejleri), 칼리아르트론 투베르클로숨 (Calliarthron Tuberculosum), 코에토세로스 무에에리 변종 수브살숨 (Choetoceros Mueeri Var. Subsalsum), 클라미도마스 페리그라틈라타 (Chlamydomas Perigratmlata), 클로렐라 아니트라타 (Chlorella Anitrata), 클로렐라 안타르크티카 (Chlorella Antarctica), 클로레우아우레오비리디스 (Chloreuaureoviridis), 클라미도모나스 레인하르디이 (Chlamydomonas Rheinhardii), 네오클로리스 올레오아분단스 (Neochloris Oleoabundans), 에밀리아나 훅슬레이 (Emiliana Huxleyi), 클라미도모나스 사자오 (Chlamydomonas Sajao), 지가르티나 엑사스페라테 (Gigartina Exasperate), 콘드라칸투스 엑사스페라테스 (Chondracanthus Exasperates), 클라미도모나스 모에우시이 (Chlamydomonas Moewusii), 칸디다 (Candida), 클로렐라 캅술라테 (Chlorella Capsulate), 나노코쿠스 불가리스 (Nanococcus Vulgaris), 펠베티옵시스 리미타타 (Pelvetiopsis Limitata), 클로렐라 데시카테 (Chlorella Desiccate), 클로렐라 엘립소이데아 (Chlorella Ellipsoidea), 포스텔시아 팔마에포르미스 (Postelsia Palmaeformis), 클로렐리아 에틈소니이 (Chlorelia Etmrsonii), 사르가숨 무티쿰 (Sargassum Muticum), 클로렐 푸스코 (Chlorell Fusco), 에클로니아 막시마 (Eklonia Maxima), 클로렐라 푸스카 변종 바쿠올라테 (Chlorella Fusca Var. Vacuolate), 세라미움 루브룸 (Ceramium Rubrum), 클로렐라 글루콜로파 (Chlorella Glucolropha), 레아테시아 마리나 (Leathesia Marina), 클로렐라 인피이시오눔 (Chlorella Infiisionum), 아날리푸스 자포니카스 (Analipus Japonicas), 클로렐라 인피몬 엠 변종 악토피자 (Chlorella Infimon M Var. Actophija), 데스모데스무스 아심메트리쿠스 (Desmodesmus Asymmetricus), 클로렐라 인푸스톰틈 변종 아트세노필라 (Infustomtm Var. Attxenophila), 클로렐라 케슬레리 (Chlorella Kessleri), 클로렐라 로바포르드 (Chlorella Lobaphord), 클로렐라 루이에오비리디스 (Chlorella Luieoviridis), 클로렐라 루이에오비리디스 변종 아우레오브드츠 (Chlorella Luieoviridis Var. Aureovmdts), 랄프시아 푼기포르미스 (Ralfsia Fungiformis), 세라미움 코디콜라 (Ceramium Codicola), 클로렐라 히테아븜디스 변종 히테스센스 (Chlorella Hiteavmdis Var Hitescens), 클로렐라 리니아타 (Chlorella Riniata), 클로렐라 민트시마 (Chlorella Minttssima), 클로렐라 무타빌리스 (Chlorella Mutabilis), 클로렐라 녹투르나 (Chlorella Nocturna), 클로렐라 오발리스 (Chlorella Ovalis), 코스타리아 코스타타 (Costaria Costata), 데스마레스티아 리굴라타 (Desmarestia Ligulata), 푸쿠스 베시쿨로수스 (Fucus Vesiculosus), 푸쿠스 세라투스 (Fucus Serratus), 클로렐라 파르바 (Chlorella Parva), 클로렐라 피레노이도사 (Chlorella Pyrenoidosa), 클로렐라 포이오필라 (Chlorella Phoiophila), 클로렐라 프린세이미이 (Chlorella Pringsheimii), 클로렐라 프로토테코이데스 (Chlorella Protothecoides), 클로렐라 프로타트 에코이데스 변종 아시디콜라 (Chlorella Protat Ecoides Var. Acidicola), 클로렐라 레굴라리스 (Chlorella Regularis), 프리오니티스 스테른베르기이 (Prionitis Sternbergii), 클로렐라 레굴라리스 변종 미니마 (Chlorella Regularis Var. Minima), 클로렐라 레굴라리스 변종 움브리카타 (Chlorella Regularis Var. Umbricata), 클로렐라 레이시글리이 (Chlorella Reisiglii), 클로렐라 사에차로필라 (Chlorella Saecharophila), 클로렐라 사에차로필라 변종 엘립소디에아 (Chlorella Saecharophila Var. Ellipsoidea), 클로렐라 살리나 (Chlorella Salina), 클로렐라 심플렉스 (Chlorella Simplex), 클로렐 소로크미아나 (Chlorell Sorokmiana), 클로렐라 스파에리카 (Chlorella Sphaerica), 클로렐라 스티그마토포라 (Chlorella Stigmatophora), 클로렐라 변종 이엘리이 (Chlorella Var Iellii), 클로렐라 불가리스 (Chlorella Vulgaris), 코디움 세첼리이 (Codium Setchellii), 코랄리나 반코베리엔시스 (Corallina Vancouveriensis), 클로렐라 불가리스 포. 테르티아 (Chlorella Vulgaris Fo. Tertia), 클로렐라 불가리스 변종 오토트로프 이카 (Chlorella Vulgaris Var. Autotroph Ica), 클로렐라 불가리스 변종 비리디스 (Chlorella Vulgaris Var. Viridis), 클로렐라 불가리스 변종 불가리스 (Chlorella Vulgaris Var. Vulgaris), 클로렐라 불가리스 변종 불가리스 포. 테르티아 (Chlorella Vulgaris Var Vulgaris Fo. Tertia), 클로렐라 불가리스 변종 불가리스 포. 비리디스 (Chlorella Vulgaris Var. Vulgaris Fo. Viridis), 클로렐라 크삼헬라 (Chlorella Xamhella), 클로렐라 조핀지엔시스 (Chlorella Zofingiensis), 클로렐라 이레복시오이데스 (Chlorella Irebouxioides), 클로로코쿰 인푸시오붐 (Chlorococcum Infusiovum), 클로로고니 엔 (Chlorogoni N), 크립테코디니움 코니이 (Crypthecodinium Cohnii), 시클로텔라 크립티카 (Cyclotella Cryptica), 시클로테즐라 메네기니아나 (Cyclotejla Meneghiniana), 디말리엘라 하르다윌 (Dimaliella Hardawil), 두날리엘라 비오쿨라타 (Dunaliella Bioculata), 디말리엘라 그라눌라테 (Dimaliella Granulate), 두날리엘라 마리티메 (Dunaliella Maritime), 두날리엘라 미누타 (Dunaliella Minuta), 디말리엘라 파르바 (Dimaliella Parva), 두날리엘라 페이세이(Dunaliella Peircei), 두날리엘라 프리몰렉타 (Dunaliella Primolecta), 보시엘라 플루모세 (Bossiella Plumose), 두날리엘라 살리나 (Dunaliella Salina), 두날리엘라 테리코이아 (Dimaliella Terricoia), 두날리엘라 테티올렉타 (Dunaliella Tertiolecta), 두날리엘라 비리디스 (Dunaliella Viridis), 두날리엘라 테르티오이엑타 (Dunaliella Tertioiecta), 에레모스파에라 비리디스 (Eremosphaera Viridis), 유글레나 그라실리스 (Euglena Gracilis), 프란세이아 종 (Franceia Sp.), 프라길라리 크로토넨시스 (Fragilari Crotonensis), 헤마토코쿠스 플루비알리스 (Haematococcus Pluvialis), 보크리시스 오프. 갈바나 (Bockrysis Off. Galbana), 호크리시스 갈바나 (Hochrysis Galbana), 레포신클리스 (Lepocinclis), 미크라클리니움 (Micraclinium), 미크락틴, 모나라피디움 (Monaraphidium) Mh T M, 난노클로롭시스 살리나 (Nannochloropsis Salina), 나비시다 아세피아타 (Navicida Accepiata), 엔 비쿨라 비스칸테라에 (N Vicula Biskanterae), 나비쿨라 슈도테넬로이데스 (Navicula Pseudotenelloides), 포르피리디움 크루엔툼 (Porphyridium Cruentum), 포르피리디움 파르붐 (Porphyridium Parvum), 세네데스무스 디모르푸스 (Scenedesmus Dimorphus), 나비쿨 펠리시도사 (Navicul Pellicidosa), 나비시다 사프로프틀라 (Navicida Saprophtla), 오돈텔라 아우레타 (Odontella Aurita), 치아 콤무니스 (Tschia Communis), 니츠시아 알렉산드리네 (Nitzschia Alexandrine), 니츠시아 클로스테눔 (Nitzschia Clostenum), 니츠시아 콤무니스 (Nitzschia Communis), 니츠시아 디 시파타 (Nitzschia D Sipata), 니츠시아 프루스투미 (Nitzschia Frustuhmi), 니츠시아 한츠시아나 (Nitzschia Hantzschiana), 니츠시아 인콘스피쿠아 (Nitzschia Inconspicua), 니츠시아 인테르메디아 (Nitzschia Intermedia), 클로도포라 콜룸비아나 (Cladophora Columbiana), 니츠시아 미크로세팔라 (Nitzschia Microcephala), 니츠시아 푸실라 (Nitzschia Pusilla), 이소크리시스 갈바나 (Isochrysis Galbana), 파에닥틸룸 (Phaedactylum), 린그비아 마주스쿨레 (Lyngbya Majuscule), 아파니조메논플로스 (Aphanizomenonflos), 니츠시아 푸실라 이 입티카 (Nitzschia Pusilla E Iptica), 니츠시아 푸실라 모노엔시스 (Nitzschia Pusilla Monoensis), 팔마리아 몰리스 (Palmaria Mollis), 로디메니아 팔마타 에프. 몰리스 (Rhodymenia Palmata F. Mollis), 니츠시아 쿼드라눌라 (Nitzschia Quadranular), 오오시스티스 푸시엘라 (Oocystis Pusilla), 오실라토리아 림네티카 (Oscillatoria Limnetica), 아크로시포니아 코알리타 (Acrosiphonia Coalita), 오실라토리아 수브레비스 (Oscillatoria Subbrevis), 팜클로렐타 케슬레리 (Pamchlorelta Kessleri), 파세리아 아시도필라 (Pascheria Acidophila), 파에오닥티한 트리코무운 (Phaeodactyhan Tricomutwn), 톨리포트릭스 테누이스 (Tolypothrix Tenuis), 하팔로시폰 폰티날리스 (Hapalosiphon Fontinalis), 에르틸리시마 (Ertilissima), 아울로시라 프파구스. 포르틈디움 (Aulosira Fphagus. Phortmdium), 플레우로크리시스 카메라에 (Pleurochrysis Camerae), 플레우로크리시스 덴타테 (Pleurochrysis Dentate), 플레우로크리시스 카르테라에 (Pleurochrysis Carterae), 프로토테카 위케르하미이 (Prototheca Wickerhamii), 프로토테카 스타그노라 (Prototheca Stagnora), 프로토테카 포노리센시스 (Prototheca Ponoricensis), 프로토테카 모리포르미스 (Prototheca Moriformis), 프로토테카 조프피이 (Prototheca Zopfii), 슈도클로렐라 아쿠아티카 (Pseudochlorella Aquatica), 피로보트리스 (Pyrobotrys), 로도코쿠스 오파시이스 (Rhodococcus Opaciis), 사르시노이드 크리소피테 (Sarcinoid Chrysophyte), 세네데스무스 안나투스 (Scenedesmus Annatus), 세네데스무스 오블리쿠우스 (Scenedesmus Obliquus), 세네데스무스 쿠아드리카우다 (Scenedesmus Quadricauda), 시조키트름 (Schizochytrmm), 스피룰리나 플라텐시스 (Spirulina Platensis), 스피룰리나 막시나 (Spirulina Maxima), 시네코시스티스프 (Synechocystisf), 타게테스 에렉타 (Tagetes Erecta), 타게테스 파트 라 (Tagetes Pat La), 테트라에드론 (Tetraedron), 테트라세니스 수에시카 (Tetrasehnis Suecica), 코디움 프라길 (Codium Fragile), 탈라시오시라 웨이스플로기이 (Thalassiosira Weissflogii), 비리디엘라 프리데리시아나 (Viridiella Fridericiana), 팔마리아 팔마테 (Palmaria Palmate), 알라리아 에스쿨렌타 (Alaria Esculenta), 사카리나 라티시마 (Saccharina Latissima), 사카리나 세실리스 (Saccharina Sessilis), 사카리나 덴티게라 (Saccharina Dentigera), 라미나리아 사카리나 (Laminaria Saccharina), 포피라 움빌리칼리스 (Porphyra Umbilicalis), 알라리아 마르기나타 (Alaria Marginata), 울바 락투카 (Ulva Lactuca), 울바 아르모리카나 (Ulva Armoricana), 라미나리아 디기타타 (Laminaria Digitata), 히만탈리아 엘론가타 (Himanthalia Elongata), 아스코필룸 노도숨 (Ascophyllum Nodosum), 라미나리아 론기크루리스 (Laminaria Longicruris), 시토시폰 도티이 (Scytosiphon Dotyi), 시토시폰 로멘타리아 (Scytosiphon Lomentaria), 포피라 예조엔시스 (Porphyra Yezoensis), 포쿠스 베시쿨로수스 (Focus Vesiculosus), 카파피쿠스 알바레지이 (Kappaphycus Alvarezii), 베타피쿠스 그라실라리아 (Betaphycus Gracilaria), 겔리디움 프테로클라디아 (Gelidium Pterocladia), 소란테라 울보이데아 (Soranthera Ulvoidea), 콘드루스 크리스푸스 (Chondrus Crispus), 마스토카르푸스 스텔라투스 (Mastocarpus Stellatus), 그라실라리아 에둘리스 (Gracilaria Edulis), 리티오탐네 (Lithiothamne), 파에오스트로피온 이레굴라레 (Phaeostrophion Irregulare), 엔테로모르파 인테스티날리스 (Enteromorpha Intestinalis), 엔테로모르파 콤프레사 (Enteromorpha Compressa), 슈도아나베아나 (Psedoanabeana) NIVA CYA 3, 노스톡 종 (Nostoc Sp.) MACC 661, 마크로시스티스 피리페라 (Macrocystis Pyrifera), 아스파라곱시스 아르마타 (Asparagopsis Armata), 마자엘라 플라시다 이리다에아 플라시드 (Mazzaella Flaccida Iridaea Flaccid), 마자엘라 오레고나 (Mazzaella Oregona), 이리다에아 오레고나 (Iridaea Oregona), 이리다에아 헤테로카르파 (Iridaea Heterocarpa), 마자엘라 파르크시이 (Mazzaella Parksii), 이리다에아 코르누코피에 (Iridaea Cornucopiae), 마자엘라 스플렌덴스 (Mazzaella Splendens), 이리다에 코르다타 (Iridaea Cordata) 또는 마를 (Marl) 또는 그의 유도체 또는 혼합물. 그러나,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당분야에 알려져 있는 임의의 다른 종을 이용할 수 있다는 것을 알 것이다. 상기 조류는 상업적으로 제조되고 다양한 회사를 통해 입수가능하다.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조류는 스피룰리나, 아르트로스피라 (Arthrospira), 클로렐라, 아나바에나 (Anabaena), 세네데스무스, 아파니조메논 (Aphanizomenon), 두날리엘라 (Dunaliella), 피마톨리티온 (Phymatolithion), 리토탐니움 (Lithothamnium), 아스코필룸 (Ascophyllum) 또는 그의 유도체, 종 및 그의 혼합물일 수 있다. 부가의 구현예에 따르면, 조류는 스피룰리나 플란텐시스, 스피룰리나 막시마, 아나바에나 실린드리카, 세네데스무스 오블리쿠우스, 아스코필룸 노도숨, 피마톨리티온 칼세레움, 리토탐니움 칼세레움, 아파니조메논 플로스-아쿠에, 두날리엘라 살리나 또는 그의 유도체, 종 및 혼합물일 수 있다. 그러나,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스피룰리나, 아르트로스피라, 아나바에나, 세네데스무스, 아스코필룸, 아파니조메논, 두날리엘라, 피마톨리티온, 리토탐니움의 임의의 다른 종 또는 당분야에 알려져 있는 다른 조류를 이용할 수 있다는 것을 알 것이다. 상기 조류는 상업적으로 제조되고 다양한 회사를 통해 입수가능하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조류는 적어도 0.1%의 농도 범위로 존재한다.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조류는 전체 조성물의 적어도 1 중량%의 범위로 존재한다.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조류는 전체 조성물의 적어도 5 중량%의 농도 범위로 존재한다.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조류는 전체 조성물의 적어도 10 중량% 범위로 존재한다. 부가의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조류는 전체 조성물의 적어도 20 중량% 범위로 존재한다. 부가의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조류는 전체 조성물의 적어도 30 중량% 범위로 존재한다. 부가의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조류는 전체 조성물의 적어도 40 중량% 범위로 존재한다. 부가의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조류는 전체 조성물의 적어도 50 중량% 범위로 존재한다. 부가의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조류는 전체 조성물의 적어도 60 중량% 범위로 존재한다. 부가의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조류는 전체 조성물의 적어도 70 중량% 범위로 존재한다.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은 전체 조성물의 적어도 80 중량% 범위의 조류를 포함한다.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은 전체 조성물의 적어도 90 중량% 범위의 조류를 포함한다.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은 적어도 95 중량%의 조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적어도 하나의 살충제 활성 성분 및 적어도 하나의 농화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부형제를 포함하는 농업용 수붕해성 과립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살충제 활성 성분을 포함하는 수붕해성 과립은 0.1 mm 내지 6 mm의 크기 범위이고, 0.1 미크론 내지 50 미크론 크기 범위의 입자를 포함한다.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농업용 수붕해성 과립 조성물은 0.1 mm 내지 6 mm의 크기 범위이다.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농업용 과립 조성물은 0.5 mm 내지 6 mm의 크기 범위이다.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농업용 과립 조성물은 1 mm 내지 6 mm 범위의 과립 크기를 갖는다.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농업용 과립 크기는 1 mm 내지 5 mm 범위이다.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농업용 과립 크기는 2.5 mm 내지 5 mm의 범위이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과립은 0.1 미크론 내지 100 미크론 크기 범위의 입자를 포함한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과립은 0.1 미크론 내지 80 미크론 크기 범위의 입자를 포함한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과립은 0.2 미크론 내지 50 미크론 크기 범위의 입자를 포함한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과립은 0.2 미크론 내지 50 미크론 크기 범위의 입자를 포함한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과립은 0.2 미크론 내지 40 미크론 크기 범위의 입자를 포함한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과립은 0.2 미크론 내지 30 미크론 크기 범위의 입자를 포함한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과립은 0.2 미크론 내지 20 미크론 크기 범위의 입자를 포함한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과립은 0.2 미크론 내지 15 미크론 크기 범위의 입자를 포함한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과립은 0.2 미크론 내지 10 미크론 크기 범위의 입자를 포함한다.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살충 활성제 (pesticidal active)는 적어도 하나의 방오제 (antifoulants), 유인제 (attractants), 살곤충제 (insecticides), 살진균제 (fungicides), 제초제 (herbicides), 살선충제 (nematicides), 페로몬 (pheromones), 고엽제 (defoliants), 살비제 (acaricides), 식물 성장 조절제, 살조류제 (algicides), 섭식저해제 (antifeedants), 살조제 (avicides), 살박테리아제 (bactericides), 조류 퇴치제 (bird repellents), 생물농약 (biopesticides), 살생물제 (biocides), 화학불임제 (chemosterilants), 완화제 (safeners), 곤충 유인제, 곤충 기피제, 곤충 성장 조절제, 포유동물 기피제, 교미 교란제 (mating disrupters), 건조약 (desiccants), 소독제 (disinfectants), 살연제 (molluscicides), 항미생물제 (antimicrobials), 살비제 (miticides), 살란제 (ovicides), 훈증제 (fumigants), 식물 활성제 (plant activators), 살서제 (rodenticides), 협력제 (synergists), 살바이러스제 (virucides), 기피제, 미생물 살충제, 작물 보호제 (plant incorporated protectants) 또는 그의 염, 유도체 및 혼합물을 포함한다.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살충 활성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하나 이상의 아바멕틴 (abamectin), 아바멕틴-아미노메틸, 아브시스산 (abscisic acid), ACC, 아세페이트 (acephate), 아세타미프리드 (acetamiprid), 아세티온 (acethion), 아세토클로르 (acetochlor), 아세토페네이트 (acetofenate), 아세토포스 (acetophos), 아세토프롤 (acetoprole), 아시벤졸라 (acibenzolar), 아시플루오르펜 (acifluorfen), 아클로니펜 (aclonifen), ACN, 아크렙 (acrep), 아크리나트린 (acrinathrin), 아크릴로니트릴 (acrylonitrile), 아시노나피르 (acynonapyr), 아시페탁스 (acypetacs), 아피도피로펜 (afidopyropen), 아폭솔라네르 (afoxolaner), 알라납 (alanap), 알라니카르브 (alanycarb), 알벤다졸 (albendazole), 알디카르브 (aldicarb), 알디카르브 술폰 (aldicarb sulfone), 알디모르프 (aldimorph), 알독시카르브 (aldoxycarb), 알드린 (aldrin), 알레트린 (allethrin), d-트란스-알레트린, 알리신 (allicin), 알리도클로르 (allidochlor), 알로사미딘 (allosamidin), 알록시딤 (alloxydim), 알릴 알콜, 알릭시카르브 (allyxycarb), 알로락 (alorac), 알파-브롬아디올론 (alpha-bromadiolone), 알파-시페르메트린 (alpha-cypermethrin), 알파-엔도술판 (alpha-endosulfan), 알파메트린 (alphamethrin), 알트레타민 (altretamine), 알루미늄 포스피드, 알루미늄 포스피드, 아메톡트라딘 (ametoctradin), 아메트리디온 (ametridione), 아메트린 (ametryn), 아메트린 (ametryne), 아미부진 (amibuzin), 아미카르바존 (amicarbazone), 아미카르티아졸 (amicarthiazol), 아미디티온 (amidithion), 아미도클로르 (amidochlor), 아미도플루메트 (amidoflumet), 아미도술푸론 (amidosulfuron), 아미노카르브 (aminocarb), 아미노시클로피라클로르 (aminocyclopyrachlor), 아미노피랄리드 (aminopyralid), 4-아미노피리딘, 아미노트리아졸, 아미프로포스-메틸 (amiprofos-methyl), 아미프로포스 (amiprophos), 아미프로포스-메틸, 아미술브롬 (amisulbrom), 아미톤 (amiton), 아미트롤 (amitrole), 암모늄 술파메이트, 아모밤 (amobam), 비정질 실리카겔, 비정질 실리콘 디옥시드, 암프로필포스 (ampropylfos), AMS, 아나바신 (anabasine), 안시미돌 (ancymidol), 아닐라진 (anilazine), 아닐로포스 (anilofos), 아니수론 (anisuron), 안트라퀴논 (anthraquinone), 안투 (antu), 아폴레이트 (apholate), 아라마이트 (aramite), 아르프로카르브 (arprocarb), 아르세노스 옥시드 (arsenous oxide), 아소메이트 (asomate), 아스피린, 아술람 (asulam), 아티다티온 (athidathion), 아트라톤 (atraton), 아트라진 (atrazine), 아우레오푼긴 (aureofungin), 아베르멕틴 (avermectin), AVG, 아비글리신 (aviglycine), 아자코나졸 (azaconazole), 아자디라크틴 (azadirachtin), 아자페니딘 (azafenidin), 아자메티포스 (azamethiphos), 아지디티온 (azidithion), 아짐술푸론 (azimsulfuron), 아진포스-에틸, 아진포스에틸, 아진포스-메틸, 아진포스메틸, 아지프로트린 (aziprotryn), 아지프로트린 (aziprotryne), 아지티람 (azithiram), 아조벤젠, 아조시클로틴 (azocyclotin), 아조토에이트 (azothoate), 아족시스트로빈 (azoxystrobin), 바크메데쉬 (bachmedesh), 바르바네이트 (barbanate), 바륨 헥사플루오로실리케이트, 바륨 폴리술피드, 바륨 실리코플루오리드, 바르트린 (barthrin), 베이직 쿠퍼 카르보네이트, 베이직 쿠퍼 클로리드, 베이직 쿠퍼 술페이트, BCPC, 베플루부타미드 (beflubutamid), 베날락실 (benalaxyl), 베날락실-M, 베나졸린, 벤카르바존, 벤클로티아즈 (benclothiaz), 펜리다존-프로필, 벤디오카르브 (bendiocarb), 벤디옥시드, 베네핀 (benefin), 벤플루랄린 (benfluralin), 벤푸레세이트 (benfuresate), 베노다닐 (benodanil), 베녹사코르 (benoxacor), 베녹사포스 (benoxafos), 벤퀴녹스 (benquinox), 벤술푸론 (bensulfuron), 벤술라이드 (bensulide), 벤탈루론 (bentaluron), 벤타존 (bentazon), 벤타존 (bentazone), 벤티아발리카르브 (benthiavalicarb), 벤티아졸 (benthiazole), 벤티오카르브 (benthiocarb), 벤트라닐 (bentranil), 벤자독스 (benzadox), 벤잘코늄 클로리드, 벤자마크릴 (benzamacril), 벤자미졸 (benzamizole), 벤자모르프 (benzamorf), 벤젠 헥사클로리드, 벤즈펜디존 (benzfendizone), 벤지민 (benzimine), 벤지프람 (benzipram), 벤조비시클론 (benzobicyclon), 벤조에핀 (benzoepin), 벤조페나프 (benzofenap), 벤조플루오르 (benzofluor), 벤조히드록삼산 (benzohydroxamic acid), 벤조메이트 (benzomate), 벤조포스페이트, 벤조티아디아졸, 벤조빈디플루피르 (benzovindiflupyr), 벤족시메이트, 벤조일프로프 (benzoylprop), 벤즈피리목산 (benzpyrimoxan), 벤즈티아주론 (benzthiazuron), 벤질아데닌, 벤질 벤조에이트, 베르베린 (berberine), 베타-시플루트린 (beta-cyfluthrin), 베타-시페르메트린, 베톡사진 (bethoxazin), BHC, 감마-BHC, 비알라포스 (bialaphos), 비시클로피론 (bicyclopyrone), 비페녹스 (bifenox), 비펜트린 (bifenthrin), 카파-비펜트린, 비푸준지 (bifujunzhi), 빌라나포스 (bilanafos), 비나파크릴 (binapacryl), 빙큉시아오 (bingqingxiao), 비오알레트린 (bioallethrin), S-비오알레트린, 비오에타노메트린 (bioethanomethrin), 비오페르메트린 (biopermethrin), 비오레스메트린 (bioresmethrin), 비페닐, 비사지르 (bisazir), 비스메르티아졸 (bismerthiazol), 비스메르티아졸-쿠퍼, 비스페닐머큐리 메틸렌디(x-나프탈렌-y-술포네이트), 비스피리박 (bispyribac), 비스트리플루론 (bistrifluron), 비술타프 (bisultap), 비테르타놀 (bitertanol), 비티오놀 (bithionol), 빅사펜 (bixafen), 블라스티시딘 (blasticidin)-S, 보락스 (borax), 보르도 (Bordeaux) 혼합물, 붕산, 보스칼리드, BPCMS, BPPS, 브라시놀리드, 브라시놀리드-에틸, 브레비코민, 브로디파콤, 브로펜프록스, 브로펜발레레이트, 브로플라닐리드, 브로플루트리네이트, 브로마실 (bromacil), 브롬아디올론 (bromadiolone), 알파-브롬아디올론, 브롬클로포스 (bromchlophos), 브로메탈린 (bromethalin), 브로메트린 (bromethrin), 브롬펜빈포스 (bromfenvinfos), 브로모아세타미드, 브로모보닐, 브로모부티드, 브로모시클렌, 브로모시클렌, 브로모-DDT, 브로모페녹심, 브로모포스, 브로모메탄, 브로모포스, 브로모포스-에틸, 브로모프로필레이트, 브로모탈로닐, 브로목시닐, 브롬피라존 (brompyrazon), 브로무코나졸, 브로노폴 (bronopol), BRP, BTH, 부카르폴레이트 (bucarpolate), 부펜카르브 (bufencarb), 부미나포스 (buminafos), 부피리메이트 (bupirimate), 부프로페진 (buprofezin), 부르군디 (Burgundy) 혼합물, 부술판 (busulfan), 부타카르브 (butacarb), 부타클로르 (butachlor), 부타페나실 (butafenacil), 부탐 (butam), 부타미포스 (butamifos), 부탄-피프로닐, 부타티오포스 (butathiofos), 부테나클로르 (butenachlor), 부텐-피프로닐 (butene-fipronil), 부테트린 (butethrin), 부티다졸 (buthidazole), 부티오베이트 (buthiobate), 부티우론 (buthiuron), 부티포스 (butifos), 부토카르복심, 부토네이트, 부토피로녹실, 부톡시카르복심, 부트랄린, 부트리졸, 부트록시딤 (butroxydim), 부투론 (buturon), 부틸아민, 부틸레이트, 부틸클로로포스, 부틸렌-피프로닐, 카코딜산 (cacodylic acid), 카두사포스, 카펜스트롤 (cafenstrole), 칼시페롤, 칼슘 아르세네이트, 칼슘 클로레이트, 칼슘 시안아미드, 칼슘 시아니드, 칼슘 폴리술피드, 칼빈포스 (calvinphos), 캄벤디클로르 (cambendichlor), 캄페클로르, 캄포, d-캄포, 캅타폴, 카르밤, 카르바모르프 (carbamorph), 카르바놀레이트, 카르바릴 (carbaril), 카르바릴 (carbaryl), 카르바술람 (carbasulam), 카르바티온, 카르벤다짐 (carbendazim), 카르벤다졸, 카르베타미드, 카르보페노티온, 카르보푸란, 카본 디술피드, 카본 테트라클로리드, 카르보닐 술피드, 카르보페노티온, 카르보포스, 카르복사졸, 카르복시드, 카르복신, 카르펜트라존, 카르프로파미드, 카르바크롤, 카르본 (carvone), CAVP, CDAA, CDEA, CDEC, 셀로시딘 (cellocidin), CEPC, 세랄루레 (ceralure), 세레녹스 (cerenox), 세바딜라 (cevadilla), 체스헌트 (Cheshunt) 혼합물, 키날포그 (chinalphos), 키날포스-메틸, 키랄락실 (chiralaxyl), 키토산, 클로벤티아존, 클로메톡시펜, 클로로-IPC, 클로랄로스 (chloralose), 클로람벤 (chloramben), 클로라민 포스포러스 (chloramine phosphorus), 클로람페니콜, 클로라니포르메탄, 클로라닐, 클로라노크릴, 클로란트라닐리프롤 (chlorantraniliprole), 클로라지포프 (chlorazifop), 클로라진, 클로르벤시드, 클로르벤주론, 클로르비시클렌, 크로르브로무론, 클로르부팜, 클로르단, 클로르데콘, 클로르디메포름, 클로렘펜트린, 클로레타제이트, 클로레테폰, 클로르에톡시포스, 클로르에투론, 클로르페낙, 클로르페나피르, 클로르페나졸, 클로르페네톨, 클로르페니딤, 클로르펜프로프, 클로르펜손, 클로르펜술피드, 클로르펜빈포스, 클로르펜빈포스-메틸, 클로르플루아주론, 클로르플루라졸, 클로르플루레콜, 클로르플루렌, 클로르플루레놀, 클로리다존, 클로리무론, 클로리네이트, 클로르메포스, 클로르메쿠아트 (chlormequat), 클로르메술론, 클로르메톡시닐, 클로르니딘, 클로르니트로펜, 클로로아세트산, 클로로벤질레이트, 클로로디니트로나프탈렌, 클로로페니존 (chlorofenizon), 클로로포름, α-클로로히드린, 클로로메부포름, 클로로메티우론, 클로로네브, 클로로파시논, 클로로포스, 클로로프탈림, 클로로피크린, 클로로폰, 클로로프랄레트린, 클로로프로필레이트, 클로로탈로닐, 클로로톨루론, 클로록시페니딤 (chloroxifenidim), 클로록수론 (chloroxuron), 클로록시닐 (chloroxynil), 클로르포니움, 클로르폭심, 클로르프탈림, 클로르프라조포스, 클로르프로카르브, 클로르프로팜, 클로르피리포스, 클로르피리포스-메틸, 클로르퀴녹스, 클로르술푸론, 클로르탈, 클로르티아미드, 클로르티오포스, 클로르톨루론, 클로졸리네이트, 클토산 (chltosan), 콜레칼시페롤 (cholecalciferol), 콜린 클로리드, 크로마페노지드, 시클로헥시미드, 시멕타카르브, 시메타카르브, 시네린 I, 시네린 II, 시네린, 신메틸린, 시노술푸론, 신토펜, 시오부티드, 시사닐리드 (cisanilide), 시스메트린 (cismethrin), 클라시포스, 클레폭시딤 (clefoxydim), 클렌피린 (clenpirin), 클렌피린 (clenpyrin), 클레토딤, 클림바졸, 클리오디네이트, 클로에토카르브, 클로펜세트 (clofencet), 클로페노탄, 클로펜빈포스, 클로피브르산 (clofibric acid), 클로포프 (clofop), 클로마존 (clomazone), 클로메프로프 (clomeprop), 클로니트랄리드 (clonitralid), 클로프로프 (cloprop), 클로프록시딤 (cloproxydim), 클로피랄리드 (clopyralid), 클로퀸토세트 (cloquintocet), 클로란술람 (cloransulam), 클로산텔 (closantel), 클로티아니딘 (clothianidin), 클로트리마졸 (clotrimazole), 클록시포낙, 클록실라콘 (cloxylacon), 클로질라콘 (clozylacon), CMA, CMMP, CMP, CMU, 코들레루르 (codlelure), 콜레칼시페롤 (colecalciferol), 콜로포네이트 (colophonate), 쿠퍼 아세테이트, 쿠퍼 아세토아르세나이트, 쿠퍼 아르세네이트, 쿠퍼 카르보네이트, 베이직 쿠퍼 히드록시드, 쿠퍼 나프테네이트, 쿠퍼 올레에이트, 쿠퍼 옥시클로리드, 쿠퍼 8-퀴놀리놀레이트, 쿠퍼 실리케이트, 쿠퍼 술페이트, 쿠퍼 술페이트, 베이직 쿠퍼 징크 크로메이트, 쿠마클로르 (coumachlor), 쿠마펜 (coumafene), 쿠마포스, 쿠마푸릴, 쿠마포스, 쿠마테트랄릴, 쿠메톡시스트로빈, 쿠미토에이트, 쿠목시스트로빈, 4-CPA, 4-CPB, CPMC, CPMF, 4-CPP, CPPC, 크레다진, 크레졸, 크레실산, 크리미딘, 크로타미톤, 크로톡시포스, 크로톡시포스, 크루포메이트, 크리올라이트, 쿠-루어 (cue-lure), 쿠프라네브 (cufraneb), 쿠밀레론, 쿠밀루론, 쿠프로밤, 큐프로스 옥시드 (cuprous oxide), 쿠르쿠메놀 (curcumenol), CVMP, 시안아미드, 시아나트린, 시아나진, 시아노펜포스, 시아노겐, 시아노포스, 시안토에이트, 시안-트라닐리프롤, 시아누르산, 시아조파미드, 시부트린, 시클라푸라미드, 시클라닐리드, 시클라닐리프롤, 시클레트린, 시클로에이트, 시클로헥시미드, 시클로프레이트, 시클로프로트린, 시클로피리모레이트, 시클로술파무론, 시클록시딤, 시클루론, 시에노피라펜, 시플루페나미드, 시플루트린, 베타-시플루트린, 시할로디아미드, 시할로포프, 시할로트린, 감마-시할로트린, 람다-시할로트린, 시헥사틴, 시미아졸, 시오메트리닐, 시펜다졸, 시페르메트린 (cypermethrin), 알파-시페르메트린, 베타-시페르메트린, 세타-시페르메트린, 제타-시페르메트린, 시페르쿠아트 (cyperquat), 시페노트린 (cyphenothrin), 시프라진, 시프라졸, 시프로코나졸, 시프로디닐, 시프로푸람, 시프로미드, 시프로술파미드, 시로마진, 시티오에이트, 시트렉스, 1,3-D, 2,4-D, 3,4-DA, 다이무론, 달라폰, 다미노지드, 다이우통 (dayoutong), 2,4-DB, 3,4-DB, DBCP, d-캄포, DCB, DCIP, DCPA (USA), DCPA (Japan), DCPTA, DCU, DDD, DDPP, DDT, pp'-DDT, DDVP, 2,4-DEB, 데바카르브, 데카펜틴, 데카메트린, 데카르보푸란, 데에트, 데히드로아세트산, 데이쿠아트, 델라클로르, 델나브, 델타메트린, 데메피온, 데메피온-O, 데메피온-S, 데메톤, 데메톤-메틸, 데메톤-O, 데메톤-O-메틸, 데메톤-S, 데메톤-S-메틸, 데메톤-S-메틸슬폰, 데메톤-S-메틸 술폰, DEP, 2,4-DEP, 데팔레트린 (depallethrine), 데리스, 2,4-DES, 데스메디팜, 데스메트린, 데스메트린, d-판실루퀘빙주지 (d-fanshiluquebingjuzhi), 디아펜티우론, 디알리포르, 디알리포스, 디-알레이트, 디알레이트, 디아미다포스, 디아나트, 규조토, 디아토마이트, 디아지논, 디브롬, 1,2-디브로모에탄, 디부틸 프탈레이트, 디부틸 숙시네이트, 디캄바, 디캅톤, 디클로베닐, 디클로벤티아족스, 디클로펜티온, 디클로플루아니드, 디클론, 디클로르알루레아, 디클로르벤주론, 디클로르페니딤, 디클로르플루레콜, 디클로르플루레놀, 디클로르메이트, 디클로르미드, o-디클로로벤젠, 오르토-디클로로벤젠, p-디클로로벤젠, 파라-디클로로벤젠, 1,2-디클로로에탄, 디클로로메탄, 디클로로펜, 3,6-디클로로피콜린산, 1,2-디클로로프로판, 1,3-디클로로프로펜, 디클로르프로프, 디클로르프로프-P, 디클로졸린, 디클로졸린, 디클로부트라졸, 디클로시메트, 디클로포프, 디클로메진, 디클로란, 디클로로메조티아즈, 디클로술람, 디코폴, 디코판, 디코우-마롤 (dicou-marol), 디크레실, 디크로토포스, 디크릴, 디쿠마롤, 디시클라닐, 디시클로논, 디엘드린, 디에노클로르, 디에탐-쿠아트 (dietham-quat), 디에타틸, 디에티온, 디메티온, 디에토펜카르브, 디에톨레이트, 디에톤, 디에틸 피로카르보네이트, 디-에틸톨루아미드, 디페나콤, 디페노코나졸, 디페노펜텐, 디페녹수론, 디펜조쿠아트, 디페티알론, 디플로비다진, 디플루벤주론, 디플루페니칸, 디플루페니카닐, 디플루펜조피르, 디플루메토림, 디케굴락 (dikegulac), 딜로 (dilor), 디마티프, 디메플루트린, 디메폭스, 디메푸론, 디메히포, 디메피페레이트, 디메타클론, 디메탄, 디메타카르브, 디메타클론, 디메타클로르, 디메타메트린, 디메텐아미드, 디메텐아미드-P, 디메티핀, 디메티리몰, 디메토에이트, 디메토모르프, 디메트린, 디메틸 카르베이트, 디메틸 디술피드, 디메틸 프탈레이트, 디메틸빈포스, 디메틸란, 디멕사노, 디미다존, 디목시스트로빈, 딤필레이트, 디무론, 디넥스, 디니코나졸, 디니코나졸-M, R-디니코나졸, 디니트라민, 디니트로페놀, 디노부톤, 디노캅, 디노캅-4, 디노캅-6, 디녹톤, 디노페네이트, 디노펜톤, 디노프로프, 디노삼, 디노세브, 디노술폰, 디노테푸란, 디노테르브, 디노테르본, 디오페놀란, 디옥사벤조포스, 디옥사카르브, 디옥사티온, 디옥사티온, 디파신, 디파시논, 디페나디온, 디페나미드, 디페나미드, 디페닐아민, 디페닐 술폰, 디페닐술피드, 디프로굴산, 디프로팔린, 디프로페트린, 디프테렉스, 디피메티트론, 디피리티온, 디쿠아트, 디소술탑, 디스파를루어, 디수그란, 디술, 디술피람, 디술포톤, 디탈림포스, 디티크로포스, 디티오에테르, 디티오메톤, 디티오피르, 디우론, 딕산토겐, d-리모넨, DMDS, DMPA, DNOC, 도데모르프, 도디신, 도딘, 도페나핀, 도구아딘, 도미니칼루어, 도라멕틴, 2,4-DP, 3,4-DP, DPC, 드라족솔론, DSMA, d-트란스-알레트린, d-트란스-레스메트린, 두풀린, 딤론, EBEP, EBP, 에부포스, α-에크디손, β-에크디손, 에크디스테론, 에클로메졸, EDB, EDC, EDDP, 에디펜포스, 에글리나진, 에마멕틴, EMPC, 엠펜트린, 에나데닌, 엔도술판, 알파-엔도술판, 엔도탈 (endothal), 엔도탈 (endothall), 엔도티온, 엔드린, 에네스트로부린, 에닐코나졸, 에녹사스트로빈, 에피르술포네이트, EPN, 에포콜레온, 에포페노난, 에폭시코나졸, 에프리노멕틴, 에프로나즈, 엡실론-메토플루트린, 엡실론-몸플루오로트린, EPTC, 에르본, 에르고칼시페롤, 에를루지시안카오안 (erlujixiancaoan), 에스데팔레트린 (esdepallethrine), 에스펜발레레이트, ESP, 에스프로카르브, 에타셀라실, 에타코나졸, 에타포스, 에템, 에타복삼, 에타클로르, 에탈플루랄린, 에타메트술푸론, 에타프로클로르, 에티디무론, 에티오펜카르브, 에티올레이트, 에티온, 에티오진, 에티프롤, 에티리몰, 에토에이트-메틸, 에토벤자니드, 에토푸메세이트, 에토헥사디올, 에토프로프, 에토프로포스, 에톡시펜, (3-에톡시프로필)머큐리 브로미드, 에톡시퀸 (ethoxyquin), 에톡시술푸론, 에티클로제이트, 에틸란, 에틸-DDD, 에틸렌, 에틸렌 디브로미드, 에틸렌 디클로리드, 에틸렌 옥시드, 에틸 포르메이트, 에틸리신, 에틸머큐리 아세테이트, 에틸머큐리 브로미드, 에틸머큐리 클로리드, 에틸머큐리 2,3-디히드록시프로필 머캅티드, 에틸머큐리 포스페이트, N-(에틸머큐리)-p-톨루엔술폰아닐리드, N-(에틸머큐리)-p-톨루엔술폰아닐리드, 에틸 피로포스페이트, 에티노펜, ETM, 에트니프로미드, 에토벤자니드, 에토펜프록스, 에톡사졸, 에트리디아졸, 에트림포스 (etrimfos), 에트림포스 (etrimphos), 유게놀, EXD, 팜푸르 (famphur), 페낙, 페나미돈, 페나미노술프, 페나민스트로빈, 페나미포스, 페나파닐, 페나리몰, 페나술람, 페나자플로르, 페나자퀸, 펜부코나졸, 펜부타틴 옥시드, 펜클로르아졸, 펜클로르포스, 펜클로포스, 펜클로림, 페네타카르브, 펜플루트린, 펜푸람, 펜헥사미드, 페니딘, 페니트로판, 페니트로티온, 피니존 (fenizon), 펜준통 (fenjuntong), 페노부카르브, 페놀로보, 페노프로프, 페노티오카르브, 페녹사크림, 페녹사닐, 페녹사프로프, 페녹사프로프-P, 페녹사술폰, 페녹시카르브, 펜피클로닐, 펜피콕사미드, 펜피리트린, 펜프로파트린, 펜프로피딘, 펜프로피모르프, 펜피라자민, 펜피록시메이트, 펜퀴노트리온, 펜리다존, 펜손, 펜술포티온, 펜테라콜, 펜티아프로프, 펜티온, 펜티온-에틸, 펜티아프로프, 펜틴, 펜트라자미드, 펜트리파닐, 페누론, 페누론-TCA, 펜발레레이트, 페림존 (ferimzone), 페릭 포스페이트 (ferric phosphate), 페로스 술페이트 (ferrous sulfate), 피프로닐, 플람프로프, 플람프로프-M, 플라자술푸론, 플로코마펜, 플로메토퀸, 플로니카미드, 플로라술람, 플로르피록시펜, 플루아크리피림, 플루아자인돌리진, 플루아지포프, 플루아지포르-P, 플루아졸레이트, 플루아주론, 플루벤디아미드, 플루벤지민, 플루브로시트리네이트, 플루카르바존, 플루세토술푸론, 플루클로랄린, 플루코푸론, 플루시클록수론, 플루시트리네이트, 플루디옥소닐, 플루에네틸 (fluenethyl), 플루에네틸 (fluenetil), 플루엔술폰, 플루페나세트, 플루페네림, 플루페니칸, 플루페녹수론, 플루페녹시스트로빈, 플루펜프록스, 플루펜피르, 플루펜진, 플루피프롤, 플루헥사폰, 플루인다피르, 플루메트린, 플루메토베르 (flumetover), 플루메트랄린, 플루메출람, 플루메진, 플루미프로핀, 플루모르프 (flumorph), 플루오메투론, 플루오피콜리드, 플루오피람, 플루오르벤시드, 플루오리다미드, 플루오로아세타미드, 플루오로아세트산, 플루오로클로리돈, 플루오로디펜, 플루오로글리코펜, 플루오로이미드, 플루오로미드, 플루오로미딘, 플루오로니트로펜, 플루오록시피르, 플루오티우론, 플루오트리마졸, 플루옥사스트로빈, 플루폭삼, 플루프로파실, 플루프로파딘, 플루프로파네이트, 플루피라디푸론, 플루피르술푸론, 플루퀸코나졸, 플루랄라네르 (fluralaner), 플루라졸, 플루레콜, 플루레놀, 플루리돈, 플루로클로리돈, 플루로미딘, 플루록시피르, 플루르프리미돌, 플루르술라미드, 플루르타몬, 플루실라졸, 플루술파미드, 풀루텐진, 플루티아세트, 플루티아미드, 플루티아닐, 플루톨라닐, 플루트리아폴, 플루발리네이트, 타우-플루발리네이트, 플룩사메타미드, 플룩사피록사드, 플룩소페님, 폴펠, 포메사펜, 포노포스, 포람술푸론, 포르클로르페누론, 포름알데히드, 포름파라네이트, 포사민, 포세틸, 포스메틸란, 포스피레이트, 포스티아제이트, 포스티에탄, 프론탈린, 프탈리드 (fthalide), 푸베리다졸, 푸카오징 (fucaojing), 푸카오미 (fucaomi), 에톡시펜-에틸, 푸마린, 푸나이헤카올링 (funaihecaoling), 푸펜티오우레아 (fuphenthiourea), 푸랄란, 푸랄락실, 푸라메트린, 푸라메트피르, 푸란 테부페노지드, 푸라티오카르브, 푸르카르바닐, 푸르코나졸, 푸르코나졸-시스, 푸레트린, 푸르푸랄, 푸릴라졸, 푸르메시클록스, 푸로파네이트, 푸릴록시펜, 감마-BHC, 감마-시할로트린, 감마-HCH, 게니트 (genit), 지베렐린산 (gibberellic acid), 지베렐린 A3, 지베렐린, 글리프토르 (gliftor), 글리토르 (glitor), 글루코클로랄로스, 글루포시네이트, 글루포시네이트-P, 글리오딘, 글리옥심, 글리포세이트, 글리포신, 고시플루어 (gossyplure), 그란들루어 (grandlure), 그리세오풀빈 (griseofulvin), 구아녹틴, 구아자틴, 할라크리네이트, 할록시펜 (halauxifen), 할펜프록스 (halfenprox), 할로페노지드, 할로사펜, 할로술푸론, 할록시딘, HCA, HCB, HCH, 감마-HCH, 헤멜 (hemel), 헴파 (hempa), HEOD, 헵타플루트린, 헵테노포스, 헵토파르길, 헤르비마이신, 헤르비마이신 A, 헤테로포스, 헥사클로르, 헥사클로란, 헥사클로로아세톤, 헥사클로로벤젠, 헥사클로로부타디엔, 헥사클로로펜, 헥사코나졸, 헥사플루무론, 헥사플루오라민, 헥사플루레이트, 헥살루어 (hexalure), 헥사미드, 헥사지논, 헥실티오포스, 헥시티아족스, HHDN, 홀로술프, 호모브라시놀리드, 후안준주오 (huanjunzuo), 히드라메틸논, 히드라르가펜, 히드레이티드 라임 (hydrated lime), 히드로겐 시안아미드, 히드로겐 시아니드, 히드로프렌, S-히드로프렌, 히드록시이속사졸, 4-히드록시페네틸 알콜, 8-히드록시퀴놀린 술페이트, 히멕사졸, 히퀸카르브, IAA, IBA, IBP, 이카리딘, 이마잘릴, 이마자메타벤즈, 이마자목스, 이마자픽 (imazapic), 이마자피르 (imazapyr), 이마자퀸 (imazaquin), 이마제타피르 (imazethapyr), 이마조술푸론, 이미벤코나졸, 이미시아포스, 이미다클로프리드, 이미다클로티즈, 이미녹타딘, 이미프로트린, 이나벤파이드, 인다노판, 인다지플람, 인독사카르브, 이네진, 인푸소리알 어스 (infusorial earth), 요오도보닐 (iodobonil), 요오도카르브, 요오도펜포스, 요오도메탄, 요오도술푸론, 요펜술푸론 이옥시닐 (ioxynil), 이파진, IPBC, IPC, 이프코나졸, 이프펜카르바존, 이프펜트리플루코나졸, 이프로벤포스, 이프로발리카르브, 이프리미담, 이프스디에놀, 이프세놀, IPSP, IPX, 이사미도포스, 이사조포스, 이소벤잔, 이소카르바미드, 이소카르바미드, 이소카르보포스, 이소실, 이소드린, 이소펜포스, 이소펜포스-메틸, 이소페타미드, 이소플루시프람, 이솔란, 이소메티오진, 이소노루론, 이소팜포스, 이소폴리네이트, 이소프로카르브, 이소프로실, 이소프로팔린, 이소프로파졸, 이소프로티올란, 이소프로투론, 이소피라잠, 이소피리몰, 이소티오에이트, 이소티아닐, 이소우론, 이소발레디온, 이속사벤, 이속사클로르톨, 이속사디펜, 이속사피리포프, 이속사티온, 이수론, 이베르멕틴, 익소사벤 (ixoxaben), 이조팜포스 (izopamfos), 이조팜포스 (izopamphos), 자포닐루어 (japonilure), 자포트린 (japothrins), 자스몰린 (jasmolin) I, 자스몰린 II, 자스몬산 (jasmonic acid), 지아후앙콩종 (jiahuangchongzong), 쿠메톡시스트로빈 (coumethoxystrobin), 지에카오완 (jiecaowan), 지에카옥시 (jiecaoxi), 진간마이신 (Jinganmycin) A, 조드펜포스 (jodfenphos), 유충 호르몬 (juvenile hormone) I, 유충 호르몬 II, 유충 호르몬 III, 카데트린, 카파-비펜트린, 카파-테플루트린, 카르부틸레이트, 카레타잔, 카수가마이신, 케준린 (kejunlin), 케레반 (kelevan), 케토스피라독스 (ketospiradox), 키에셀구어 (kieselguhr), 키네틴 (kinetin), 키노프렌, S-키노프렌, 키랄락실, 크레속심-메틸, 퀴카옥시 (kuicaoxi), 락토펜, 람다-시할로트린, 란코트리온, 라틸루어 (latilure), 리드 아르세네이트 (lead arsenate), 레나실 (lenacil), 렙피멕틴, 렙토포스, 라임 술퍼 (lime sulfur), d-리모넨, 린단, 리네아틴, 리누론, 리림포스, 리틀루어 (litlure), 루플루어 (looplure), 루페누론 (lufenuron), 클라시포스 (clacyfos), 레브푸미즈브지 (lvfumijvzhi), 리티다티온 (lythidathion), M-74, M-81, MAA, 마그네슘 포스피드, 말라티온, 말디손, 말레산 히드라지드, 말로노벤, MAMA, 만쿠퍼, 만코제브 (mancozeb), 만데스트로빈, 반디프로파미드, 마트린, 마지독스, MCC, MCP, 1-MCP, MCPA, 2,4-MCPA, MCPA-티오에틸, MCPB, 2,4-MCPB, MCPP, 메베닐 (mebenil), 메카르밤, 메카르빈지드, 메카르폰, 메코프로프 (mecoprop), 메코프로프-P, 메디메포름, 메디노테르브, 메들루어 (medlure), 메페나세트, 메페녹삼, 메펜피르, 메펜트리플루코나졸, 메플루이디드, 메가토모산 (megatomoic acid), 멜리실 알콜 (melissyl 알콜), 멜리톡신, MEMC, 메나존, MEP, 메파니피림 (mepanipyrim), 메퍼플루트린, 메페네이트, 메포스폴란, 메피쿠아트, 메프로닐, 멥틸디노캅, 메르캅토디메투르, 메르캅토포스, 메르캅토포스 티올, 메르캅토티온, 머큐릭 클로리드, 머큐릭 옥시드, 머큐로스 클로리드, 메르포스, 메르포스 옥시드, 메소프라진, 메소술푸론, 메소트리온, 메술펜, 메술펜포스, 메술펜, 메타크레졸, 메타플루미존, 메탈락실, 메탈락실-M, R-메탈락실, 메트알데히드, 메탐, 메타미포프, 메타미트론, 메타포스, 메탁손, 메타자클로르, 메타조술푸론, 메타족솔론, 메트카미펜, 메트코나졸, 메테파, 메트플루라존, 메타벤즈티아주론, 메타크리포스, 메탈프로팔린, 메탐, 메타술포카르브, 메타졸, 메트푸록삼, 메티벤주론, 메티다티온, 메티오벤카르브, 메티오카르브, 메티오피리술푸론, 메티오테파, 메티오졸린, 메티우론, 메토크로토포스, 메톨카르브 (metholcarb), 메토메톤, 메토밀, 메토프렌, S-메토프렌, 메토프로트린, 메토프로트린, 메토퀸-부틸, 메토트린, 메톡시클로르, 2-메톡시에틸머큐리 클로리드, 메톡시페노지드, 메톡시페논, 메틸 아폴레이트, 메틸 브로미드, 메틸 유게놀, 메틸 요오디드, 메틸-이소펜포스, 메틸 이소티오시아네이트, 메틸 파라티온, 메틸아세토포스, 메틸클로로포름, 1-메틸시클로프로펜, 메틸디티오카르밤산, 메틸딤론, 메틸렌 클로리드, 메틸메르캅토포스, 메틸메르캅토포스 옥시드, 메틸메르캅토포스 티올, 메틸머큐리 벤조에이트, 메틸머큐리 디시안디아미드, 메틸머큐리 펜타클로로펜옥시드, 메틸네오데칸아미드, 메틸니트로포스, 메틸트리아조티온, 메티오졸린, 메티람-징크, 메토벤주론, 메토브로무론, 메토플루트린, 엡실론-메토플루트린, 메톨라클로르, S-메톨라클로르, 메톨카르브, 메토메투론, 메토미노스트로빈, 메토술람, 메톡사디아존, 메톡수론, 메트라페논, 메트리암, 메트리부진, 메트리포네이트, 메트리포네이트, 메트술포박스, 메트술푸론, 메빈포스, XMC, 미에스후안, 밀베멕틴, 밀베마이신 옥심, 밀네브, 미마난, 미파폭스, MIPC, 미렉스, MNAF, 모구춘 (moguchun), 몰리네이트, 몰로술타프 (molosultap), 모날리드 (monalide), 모날리드 (monalide), 몸플루오로트린, 엡실론-몸플루오로트린, 모니수론, 모노아미트라즈, 모노클로로아세트산, 모노크로토포스, 모놀리누론, 모노메히포, 모노술피람, 모노술푸론, 모노술타프, 모누론, 모누론-TCA, 모르팜쿠아트, 모록시딘, 모르포티온, 모르지드, 목시덱틴 (moxidectin), MPMC, MSMA, MTMC, α-멀티스트리아틴 (multistriatin), 무스칼루레 (muscalure), 미클로부타닐, 미클로졸린, 미리실 알콜, NAA, NAAm, 나밤 (nabam), 나프탈로포스 (naftalofos), 나프탈렌, 나프탈렌아세트아미드, α-나프탈렌아세트산, 나프탈산 무수물, 나프탈로포스, 1-나프톨, 나프톡시아세트산, 나프틸아세트산, 나프틸인단-1,3-디온, 나프틸옥시아세트산, 나프로아닐리드, 나프로파미드, 나프로파미드-M, 나타마이신, NBPOS, 네부레아, 네부론, 넨드린, 네오니코틴, 니클로르포스, 니클로펜, 니클로스아미드, 니코비펜, 니코술푸론, 니코틴, 니코틴 술페이트, 니플루리디드, 닉코마이신 (nikkomycins), NIP, 니피라클로펜, 니피랄로펜, 니텐피람, 니티아진, 니트랄린, 니트라피린, 니트릴라카르브, 니트로펜, 니트로플루오르펜, 니트로스티렌, 니트로탈-이소프로필, 노보르미드, 노나놀, 노르보르미드, 노레아, 노르플루라존, 노르니코틴, 노루론, 노발루론, 노비플루무론, NPA, 누아리몰, 누라논, OCH, 옥타-클로로디프로필 에테르, 옥틸리논, 2-(옥틸티오)에탄올, o-디클로로벤젠, 오푸라세 (ofurace), 오메토에이트 (omethoate), o-페닐페놀, 오르벤카르브, 오르프라루어 (orfralure), 오르토벤카르브, 오르토-디클로로벤젠, 오르토술파무론, 오릭탈루어 (oryctalure), 오리사스트로빈, 오리잘린, 오스톨 (osthol), 오스톨 (osthole), 오스트라몬, 오바트론, 오벡스 (ovex), 옥사베트리닐, 옥사디아르길, 옥사디아존, 옥사딕실, 옥사메이트, 옥사밀, 옥사피라존, 옥사피라존, 옥사술푸론, 옥사티아피프롤린, 옥사지클로메폰, 옥신-쿠퍼, 옥신-Cu, 옥솔린산, 옥스포코나졸, 옥시카르복신, 옥시데메톤-메틸, 옥시데프로포스, 옥시디술포톤, 옥시에나데닌, 옥시플루오르펜, 옥시마트린, 옥시테트라시클린, 옥시티오퀴녹스, PAC, 파클로부트라졸, 파이콩딩 (paichongding), 팔레트린 (pallethrine), PAP, 파라-디클로로벤젠, 파라플루론, 파라쿠아트, 파라티온, 파라티온-메틸, 파리놀, 파리스 그린 (Paris green), PCNB, PCP, PCP-Na, p-디클로로벤젠, PDJ, 페불레이트 (pebulate), 페디넥스 (pedinex), 페푸라조에이트, 펠라르곤산 (pelargonic acid), 펜코나졸, 펜시쿠론, 펜디메탈린, 펜페네이트, 펜플루펜, 펜플루론, 페녹살린, 페녹술람, 펜타클로로페놀, 펜타클로로페닐 라우레이트, 펜타노클로르 (pentanochlor), 펜티오피라드, 펜트메트린, 펜톡사존, 퍼클로르데콘 (perchlordecone), 퍼플루이돈 (perfluidone), 페르메트린, 페톡사미드, PHC, 페나마크릴, 페나마크릴-에틸, 펜아미노술프 (phenaminosulf), 페나진 옥시드, 페니소팜 (phenisopham), 펜카프톤 (phenkapton), 펜메디팜-에틸, 페노벤주론, 페노티올, 페노트린, 펜프록시드옥시드, 펜토에이트, 8-페닐머큐리옥시퀴놀린 (8-phenylmercurioxyquinoline), 페닐머큐리우레아 (phenylmercuriurea), 페닐머큐리 아세테이트, 페닐머큐리 클로리드, 피로카테콜의 페닐머큐리 유도체, 페닐머큐리 니트레이트, 페닐머큐리 살리실레이트, 2-페닐페놀, 포사세팀 (phosacetim), 포살론 (phosalone), 포사메틴 (phosametine), 포사제팀 (phosazetim), 포사제틴 (phosazetin), 포스시클로틴 (phoscyclotin), 포스디펜 (phosdiphen), 포스에틸, 포스폴란 (phosfolan), 포스폴란-메틸, 포스-글리신, 포스니클로르 (phosnichlor), 포스파미드, 포스파미돈, 포스핀, 포스피노트리신, 포스포카르브, 포스포러스, 포스틴, 폭심 (phoxim), 폭심-메틸, 프탈리드, 프탈로포스, 프탈트린, 피카르부트라족스, 피카리딘, 피클로람, 피콜리나펜, 피콕시스트로빈, 피마리신, 핀돈, 피페랄린, 피페라진, 피페로닐, 부톡시드, 피페로닐 시클로넨, 피페로포스, 피프록타닐 (piproctanly), 피프록타닐 (piproctanyl), 피프로탈 (piprotal), 피리메타포스, 피리미카르브, 피리미닐, 피리미옥시포스, 피리미포스-에틸, 피리미포스-메틸, 피발, 피발디온, 플리페네이트, PMA, PMP, 폴리부텐, 폴리카르바메이트, 폴리클로르캄펜, 폴리에톡시퀴놀린, 폴리옥신 D, 폴리옥신, 폴리옥소림, 폴리티알란, 포타슘 아르세나이트, 포타슘 아지드, 포타슘 시아네이트, 포타슘 에틸크산테이트, 포타슘 나프테네이트, 포타슘 폴리술피드, 포타슘 티오시아네이트, pp'-DDT, 프랄레트린, 프레코센 I, 프레코센 II, 프레코센 III, 프레틸라클로르, 프리미도포스, 프리미술푸론, 프로베나졸, 프로클로라즈, 프로클로놀, 프로시아진, 프로시미돈, 프로디아민, 프로페노포스, 프로플루아졸, 프로플루랄린, 프로플루트린, 프로폭시딤, 프로푸라이트-아미니움 (profurite-aminium), 프로글리나진, 프로헥사디온, 프로히드로자스몬, 프로마실, 프로메카르브, 프로메톤, 프로메트린 (prometryn), 프로메트린 (prometryne), 프로무리트, 프론아미드, 프로파클로르, 프로파포스, 프로파미딘, 프로파모카르브, 프로파닐, 프로파포스, 프로파퀴자포프, 프로파르자이트 (propargite), 프로파르트린, 프로파진, 프로페탐포스, 프로팜 (propham), 프로피코나졸, 프로피딘, 프로피소클로르 (propisochlor), 프로폭수르 (propoxur), 프로폭시카르바존, 프로필 이소메, 프로피리술푸론, 프로피자미드, 프로퀴나지드, 프로술레르, 프로술팔린, 프로술포카르브. 프로술푸론, 프로티다티온, 프로티오카르브, 프로티오코나졸, 프로티오포스, 프로토에이트, 프로트리펜부트, 프록산, 프리미도포스, 프리나클로르 (prynachlor), 프소랄렌 (psoralen), 프소랄렌 (psoralene), 피다논, 피디플루메토펜, 피플루부미드, 피메트로진, 피라카르볼리드, 피라클로포스, 피라클로닐, 피라클로스트로빈, 피라플루펜, 피라플루프롤, 피라매트 (pyramat), 피라메토스트로빈, 피라옥시스트로빈, 피라술포톨 (pyrasulfotole), 피라지플루미드, 피라졸레이트, 피라졸리네이트, 피라존, 피라조포스, 피라조술푸론, 피라조티온, 피라족시펜, 피레스메트린, 피레트린 I, 피레트린 II, 피레트린, 피리밤벤즈-이소프로필, 피리밤벤즈-프로필, 피리벤카르브, 피리벤족심, 피리부티카르브, 피리클로르 (pyriclor), 피리다벤, 피리다폴, 피리달릴, 피리다펜티온, 피리다펜티온, 피리디니트릴, 피리페녹스, 피리플루퀴나존, 피리프탈리드, 피리메타포스, 피리메타닐, 피리미카르베, 피리미디펜, 피리미노박, 피리미노스트로빈, 피리미포스-에틸, 피리미포스-메틸, 피리미술판, 피리미테이트, 피리누론, 피리오페논, 피리프롤, 피리프로판올, 피리프록시펜, 피리속사졸, 피리티오박, 피롤란, 피로퀼론, 피록사술폰, 피록스술람 (pyroxsulam), 피록시클로르 (pyroxychlor), 사이준마오 (saijunmao), 쿼시아 (quassia), 퀴나세톨 (quinacetol), 퀴날포스 (quinalphos), 퀴날포스-메틸, 퀴나자미드, 퀸클로락, 퀸코나졸, 퀸메락 (quinmerac), 퀴노클라민, 퀴노푸멜린, 퀴노메티오네이트, 퀴노나미드, 퀴노티온, 퀴녹시펜, 퀸티오포스, 퀸토젠, 퀴잘로포프-P, 쿠웬지 (quwenzhi), 쿠잉딩 (quyingding), 라벤자졸 (rabenzazole), 라폭사니드 (rafoxanide), R-디니코나졸, 레베미드, 레글론, 레노플루트린, 렌리두론, 레스칼루어 (rescalure), 레스메트린, d-트란스-레스메트린, 로데타닐 (rhodethanil), 로도자포닌-III, 리바비린 (ribavirin), 림술푸론 (rimsulfuron), 리자졸, R-메탈락실, 로데타닐, 로넬 (ronnel), 로테논 (rotenone), 리아니아 (ryania), 사바딜라 (sabadilla), 사플루페나실, 사이준마오 (saijunmao), 비스메르티아졸의 구리염, 살리실아닐리드, 살리플루오펜, 산귀나린 (sanguinarine), 산토닌, 사롤라네르 (sarolaner), S-비오알레트린, 쉬라단 (schradan), 실리로시드 (scilliroside), 세부틸라진, 세크부메톤, 세닥산, 셀라멕틴, 세미아미트라즈, 세사멕스, 세사몰린, 세손 (sesone), 세톡시딤, 세빈 (sevin), S-히드로프렌, 수앙지아안카올린 (shuangjiaancaolin), 시두론, 시글루어 (siglure), 실라플루오펜, 실라트란, 실리카 에어로겔, 실리카겔, 실티오팜, 실티오팜, 실티오판, 실벡스, 시마진, 시메코나졸, 시메톤, 시메트린 (simetryn), 시메트린 (simetryne), 신토펜, S-키노프렌, 소석회 (slaked lime), SMA, S-메토프렌, S-메톨라클로르 (metolachlor), 소듐 아르세나이트, 소듐 아지드, 소듐 클로레이트, 소듐 시아니드, 소듐 플루오리드, 소듐 플루오로아세테이트, 소듐 헥사플루오로실리케이트, 소듐 나프테네이트, 소듐 오르토페닐페녹시드, 소듐 펜타클로로페네이트, 소듐 펜타클로로-페녹시드, 소듐 o-페닐페녹시드, 소듐 폴리술피드, 소듐 실리코플루오라이드, 디소듐 테트라보레이트, 소듐 테트라티오카르보네이트, 소듐 티오시아네이트, 솔란 (solan), 소파미드 (sophamide), 스피네토람, 스피노사드, 스피로디클로펜, 스피로메시펜, 스피로테트라매트, 스피록사민, 스티로포스, 스트렙토마이신, 스트리크닌 (strychnine), 술카톨 (sulcatol), 술코푸론 (sulcofuron), 술코트리온 (sulcotrione), 술팔레이트, 술펜트라존, 술피람, 술플루라미드 (sulfluramid), 술포디아졸, 술포메투론, 술포세이트, 술포술푸론, 술포테프 (sulfotep), 술포테프 (sulfotepp), 술폭사플로르 (sulfoxaflor), 술폭시드, 술폭심, 황, 황산, 술글리카핀, 술포세이트, 술프로포스, 술트로펜, 스웹 (swep), 2,4,5-T, 타우-플루발리네이트 (tau-fluvalinate), 타브론 (tavron), 타짐카르브 (tazimcarb), 2,4,5-TB, 2,3,6-TBA, TBTO, TBZ, TCA, TCBA, TCMTB, TCNB, TDE, 테부코나졸, 테부페노지드, 테부펜피라드, 테부플로퀸, 테부피림포스, 테부탐, 테부티우론, 테클로프탈람 (tecloftalam), 테크나젠 (tecnazene), 테코람 (tecoram), 테디온 (tedion), 테플루벤주론, 테플루트린, 카파-테플루트린, 테푸릴트리온, 템보트리온, 테메포스 (temefos), 테메포스 (temephos), 테파 (tepa), TEPP, 테프랄옥시딤 (tepraloxydim), 테프롤옥시딤 (teproloxydim), 테랄레트린 (terallethrin), 테르바실 (terbacil), 테르부카르브, 테르부클로르, 테르부포스, 테르부메톤, 테르부틸라진, 테르부톨, 테르부트린, 테르부트린, 테라클로르 (terraclor), 테라미신 (terramicin), 테라마이신, 테트시클라시스 (tetcyclacis), 테트라클로로에탄, 테트라클로르빈포스, 테트라코나졸, 테트라디폰, 테트라디술, 테트라플루론, 테트라메트린, 테트라메틸플루트린, 테트라민, 테트라낙틴, 테트라닐리프롤, 테트라피온, 테트라술, 탈륨 술페이트, 탈로스 (thallous) 술페이트, 테닐클로르 (thenylchlor), 세타-시페르메트린, 티아벤다졸, 티아클로프리드, 티아디아진, 티아디플루오르, 티아메톡삼, 티아메투론, 티아프로닐, 티아자플루론, 티아즈플루론, 티아존, 티아조피르, 티크로포스, 티시오펜, 티디아지민, 티디아주론, 티엔카르바존, 티펜술푸론, 티플루자미드, 티메로살, 티메트 (thimet), 티오벤카르브, 티오카르복심, 티오클로르펜핌, 티오클로르펜핌, 티오시아네이토디니트로벤젠, 티오단, 티오디아졸-쿠퍼, 티오디카르브, 티오파노카르브, 티오파녹스, 티오플루옥시메이트, 티오헴파 (thiohempa), 티오메르살 (thiomersal), 티오메톤, 티오나진, 티오파네이트, 티오파네이트-에틸, 티오파네이트-메틸, 티오포스, 티오퀴녹스, 티오세미카르바지드, 티오술타프, 티오테파, 티옥사밀, 티우람, 투린지엔신 (thuringiensin), 티아벤다졸, 티아디닐, 티아페나실, 티아오지안 (tiaojiean), TIBA, 티파톨, 티오카르바질, 티오클로림, 티옥사자펜, 티옥시미드, TMTD, 티르페이트, 톨클로포스-메틸, 톨펜피라드, 톨프로카르브, 톨피랄레이트, 톨릴플루아니드, 톨릴머큐리 아세테이트, 토마린, 토프라메존, 톡사펜, 2,4,5-TP, 2,3,3-TPA, TPN, 트랄콕시딤 (tralkoxydim), 트랄로시트린 (tralocythrin), 트랄로메트린, 트랄로피릴, d-트란스-알레트린, d-트란스-레스메트린, 트란스퍼메트린, 트레타민, 트리-알레이트, 트리아콘타놀, 트리아디메폰, 트리아디메놀, 트리아파몬, 트리알레이트, 트리아미포스, 트리아펜테놀, 트리아라텐, 트리아리몰, 트리아술푸론, 트리아즈부틸, 트리아지플람, 트리아조포스, 트리아조티온, 트리아족시드, 삼염기 쿠퍼 클로리드, 삼염기 쿠퍼 술페이트, 트리베누론, 트리부포스, 트리부틸틴 옥시드, 트리캄바 (tricamba), 트리클라미드 (trichlamide), 트리클로피르 (trichlopyr), 트리클로르메타포스-3, 트리클로로나트, 트리클로로네이트, 트리클로로트리니트로벤젠, 트리클로르폰, 트리클로피르, 트리클로피리카르브, 트리크레솔, 트리시클라졸, 트리시클로헥실틴 히드록시드, 트리데모르프, 트리디판, 트리에타진, 트리펜모르프, 트리페노포스, 트리플록시스트로빈, 트리플록시술푸론, 트리플루디목사진, 트리플루메조피림, 트리플루미졸, 트리플루무론, 트리플루랄린, 트리플루술푸론, 트리포프, 트리포프심, 트리히드록시트리아진, 2,3,5-트리-요오도벤조산, 2,3,5-트리요오도벤조산, 트리메들루어 (trimedlure), 트리메타카르브, 트리메투론, 트리넥사팩 (trinexapac), 트리페닐틴, 트리프렌, 트리프로핀단, 트립톨리드, 트리탁, 트리티알란, 트리티코나졸, 트리토술푸론, 트룬크-칼 (trunc-call), 투오엘린 (tuoyelin), 유니코나졸, 유니코나졸-P, 유바시드 (urbacide), 우레데파 (uredepa), 발레레이트, 발리다마이신, 발리다마이신 A, 발리페날레이트, 발론, 바미도티온, 반가드 (vangard), 바닐리프롤, 베르놀레이트, 비타민 D3, 와르파린 (warfarin), 시아오콩리울린 (xiaochongliulin), 신주난 (xinjunan), 페나민스트로빈, XMC, 크실라클로르 (xylachlor), 크실레놀 (xylenols), 크실릴카르브 (xylylcarb), 크시미아졸 (xymiazole), 이시징 (yishijing), 자릴라미드 (zarilamid), 제아틴 (zeatin), 젱시아오안 (zengxiaoan), 제타-시페르메트린, 징크 나프테네이트, 징크 포스피드, 징크 티아졸, 징크 티오졸, 징크 트리클로로페네이트, 징크 트리클로로페녹시드, 지네브 (zineb), 졸라프로포스 (zolaprofos), 주코마린 (zoocoumarin), 족사미드 (zoxamide), 피라메토스트로빈 (pyrametostrobin), 주오미후앙롱 (zuomihuanglong), 1-MCP, 1-메틸시클로프로펜, 1-나프톨, 1,2-디클로로프로판, 1,3-D, 1,3-디클로로프로펜, 2iP, 2-메톡시에틸머큐리 클로리드, 2-(옥틸티오)에탄올, 2-페닐페놀, 2,3,3-TPA, 2,3,5-트리요오도벤조산, 2,3,6-TBA, 2,4-D, 2,4-DB, 2,4-DEB, 2,4-DEP, 2,4-DES, 2,4-DP, 2,4-MCPA, 2,4-MCPB, 2,4,5-T, 2,4,5-TB, 2,4,5-TP, (3-에톡시프로필)머큐리 브로미드, 3,4-DA, 3,4-DB, 3,4-DP, 3,6-디클로로피콜린산, 4-아미노피리딘, 4-CPA, 4-CPB, 4-CPP, 4-히드록시페네틸 알콜, 8-히드록시퀴놀린 술페이트, 8-페닐머큐리옥시퀴놀린, 또는 그의 염, 유도체 및 혼합물을 포함한다. 그러나, 상기 살충제 목록은 예시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을 의미하진 않는다.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른 살충 활성제를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을 알 것이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수붕해성 과립 조성물은 마이크로캡슐을 포함하며, 상기 마이크로캡슐은 살충제 활성 성분을 포함한다. 그러므로,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살충 활성제는 폴리머 쉘월 (polymeric shell wall)내에 캡슐화될 수 있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폴리머 쉘월은 폴리우레아 쉘월이다.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수불용성 영양소 또는 조류 또는 살충제 활성 성분을 포함하는 수붕해성 과립 조성물은 알려져 있는 과립과 비교하여 감소된 벌크 밀도를 나타내며, 이는 과립의 붕해를 더 빠르게 촉진하고, 또한 수중 상기 조성물의 침강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수붕해성 과립의 벌크 밀도는 과립에 포함된 많은 입자의 질량을 이들이 차지하는 전체 부피로 나눈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수불용성 물질 또는 조류 또는 살충 활성제를 포함하는 수붕해성 과립의 벌크 밀도는 1.5 gms/ml 미만이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수붕해성 과립은 1.4 g/ml 미만의 벌크 밀도를 갖는다.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수붕해성 과립은 1.3 g/ml 미만의 벌크 밀도를 갖는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수붕해성 과립의 벌크 밀도는 바람직하게는 1.2 gms/ml 미만이다. 상기 과립의 벌크 밀도는 CIPAC handbook test, MT 186과 같은 표준 방법에 의해 측정된다.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수붕해성 과립 조성물은 알려져 있는 과립과 비교하여 향상된 진밀도 (true density)를 나타낸다. 진밀도는 과립 자체의 밀도이고, 상기 과립의 중량을 과립의 진부피 (true volume )로 나눈 것으로 정의된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수붕해성 과립 조성물은 2.5 g/ml의 진밀도를 갖는다.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수붕해성 과립 조성물은 2.4 g/ml 미만의 진밀도를 갖는다. 상기 과립의 진밀도는 하기에 기재된 바와 같은 방법으로 측정된다:
필요 장치:
Le chatelier 플라스크- 전구 아래 0-1mL 및 전구 위에 18-24mL를 표시한 250mL 용량
케로센 또는 n-헥산
절차:
1.1 Le chatelier 플라스크에 케로센 또는 n-헥산을 0-1 ml 표시 사이로 채우고, 수조 중에서 실온으로 평형화시켰다. 플라스크가 수조 중에 있는 동안 정확한 일정 부피를 기록해 둔다 (V1).
1.2 상기 플라스크를 외부에서 닦고 세척한 후에, 계량 저울에 올려 놓고, 스토퍼와 함께 용기를 측정하였다.
1.3 용매가 20-24mL 표시 사이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플라스크 상단으로부터 시료를 부드럽게 부어준다. 부가된 시료 중량을 기록한다 (0.01g까지) (W).
1.4 다시 상기 플라스크를 실온의 수조에 넣고, 부피가 일정하게 판독될 때까지 기다린다. 플라스크를 수조에 넣고 정확한 일정 부피를 기록한다 (V2).
1.5 진밀도 (g/ml)를 산출한다.
1.6 산출:
Figure 112019127553951-pct00001
내마모도는 과립 물질의 마모에 대한 저항성을 결정한다. 상기 수붕해성 과립 조성물은 양호한 내마모도를 갖는다. 상기 시료는 CIPAC Handbook에 명시된 테스트인, "MT 178 - Attrition resistance of granules"에 따라 마모에 대해 테스트할 수 있다. 상기 테스트를 수행하기 위해, 상기 테스트 전에, 상기 과립은 미세한 입자를 제거하기 위해 125 im 체로 체질 (sieved)하였다. 더스트가 제거된 과립의 알려져 있는 양을 유리병으로 옮긴 다음, 동일한 양의 유리 비드와 롤링 운동 (rolling movement) 처리하였다. 특정 기간 동안 롤링한 후에, 내마모도는 125 im 체로 다시 체질하고, 상기 체에 보유된 물질을 계량하여 결정하였다.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수불용성 물질 또는 조류 또는 살충 활성제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수붕해성 과립 조성물은 알려져 있는 과립과 비교하여 향상된 내마모도를 나타내었다. 포장 및 운송 후에 WO2008084495의 교시에 따른 황 수분산성 과립을 나타내는 도 2 및 WO2012131702의 교시에 따른 황 70% + 산화아연 15%의 수분산성 과립 조성물 (410)의 이미지인 도 4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과립은 제조, 가공, 포장 또는 운송에 의해 매우 미세한 입자 크기로 부서져서, 본 발명의 수붕해성 과립 조성물과 비교하여 이들 수분산성 과립 형태로 방출 제어가 상실되어 영양소 침출이 일어난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수붕해성 과립 조성물의 내마모도는 적어도 50%이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수붕해성 과립 조성물의 내마모도는 적어도 60%이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수붕해성 과립 조성물이 나타내는 내마모도는 적어도 70%이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수붕해성 과립 조성물의 내마모도는 적어도 80%이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과립의 내마모도는 적어도 90%이다.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수붕해성 과립 조성물은 적어도 95%의 내마모도를 나타낸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수붕해성 과립 조성물은 적어도 98%의 내마모도를 나타낸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수붕해성 과립 조성물은 적어도 99%의 내마모도를 나타낸다. 상기 과립의 내마모도는 표준 CIPAC 테스트를 사용하여 결정될 수 있다.
수불용성 영양소 또는 조류 또는 살충제 활성 성분을 포함하는 농업용 수붕해성 과립 조성물은 놀랍게도 양호한 경도를 갖는다. 상기 경도는 수불용성 영양소 또는 조류 또는 살충제 활성 성분과 함께 사용되는 다른 물질에 의존할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과립의 경도는 후믹산 (humic acid) 또는 풀빅산 (fulvic acid)과 같은 유기 물질 또는 물질들이 또한 상기 조성물내에 존재할 때 5N보다 낮거나 또는 5N 미만이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과립이 나타내는 경도는 적어도 1 뉴턴이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수붕해성 과립 조성물의 경도는 적어도 3 뉴턴이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수붕해성 과립 조성물의 경도는 적어도 5 뉴턴이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과립의 경도는 적어도 10 뉴턴이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수붕해성 과립 조성물의 경도는 적어도 15 뉴턴이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과립이 나타내는 경도는 적어도 20 뉴턴이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과립의 경도는 적어도 30 뉴턴이다.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과립이 나타내는 경도는 적어도 40 뉴턴이다.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과립이 나타내는 경도는 적어도 50 뉴턴이다. 상기 과립이 나타내는 경도는 Shimadzu, Brinell Hardness (AKB-3000 모델), Mecmesin, Agilent, Vinsyst, Ametek 및 Rockwell이 제공하는 테스터인 경도 테스터로 측정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수불용성 물질 또는 조류 또는 살충 활성제를 포함하는 수붕해성 과립은 우수한 붕해 특성을 나타낸다. 붕해는 과립이 토양 수분 또는 물과 접촉할 때 나타나는 완전 붕해로서 정의될 수 있다. 시료는 CIPAC Handbook, "MT 187 for Disintegration of tablets"에 따라 붕해 시간 동안 테스트될 수 있다. 한번에 테스트를 수행하기 위해, 전체 수붕해성 과립을 정의된 부피의 CIPAC 표준 물에 부가하고 정제의 명시된 붕해 시간 동안 온화하게 교반하여 혼합하였다. 그 다음에 현탁액을 2000 ㎛ 체를 통과시켰다. 스크린 상에 잔류물이 없다는 것은 상기 정제가 완전한 붕해된 것을 나타낸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수붕해성 과립이 나타내는 붕해 시간은 200분 미만이다. 팬 과립기 (pan granulator) 및/또는 핀 응집기 (pin agglomerator)에서 더 긴 시간 동안 과립화 처리되어진 이들 과립에 대해 붕해는 전형적으로 보다 높다. 상기 팬 과립기가 고속 (분당 더 높은 회전수)으로 구동되는 경우 더 높을 수도 있다. 과립을 유동층 건조기, 핀 응집기 및 팬 과립기에서 보다 긴 과립화 시간으로 처리하여, 보다 콤팩트하고, 매끄러운 표면과 거의 구형인 과립을 제공하여, 농화학제를 보다 긴 시간에 걸쳐 방출할 수 있다. 그러므로, 특정 식물에 기반하여 영양 또는 작물 보호를 제공하는 조성물을 전달하고, 작물 주기에 기반한 지속적인 작물 보호 및 영양을 다룰 수 있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수붕해성 과립이 나타내는 붕해 시간은 150분 미만이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수붕해성 과립이 나타내는 붕해 시간은 120분 미만이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수붕해성 과립이 나타내는 붕해 시간은 100분 미만이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수붕해성 과립이 나타내는 붕해 시간은 90분 미만이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수붕해성 과립이 나타내는 붕해 시간은 80분 미만이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수붕해성 과립이 나타내는 붕해 시간은 70분 미만이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수붕해성 과립이 나타내는 붕해 시간은 60분 미만이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수붕해성 과립이 나타내는 붕해 시간은 50분 미만이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수붕해성 과립이 나타내는 붕해 시간은 40분 미만이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수붕해성 과립이 나타내는 붕해 시간은 30분 미만이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수붕해성 과립이 나타내는 붕해 시간은 20분 미만이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수붕해성 과립이 나타내는 붕해 시간은 10분 미만이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수붕해성 과립이 나타내는 붕해 시간은 6분 미만이다. 상기 붕해 시간은 Electrolab Edutec, Arentek 및 Shimadzu가 제공하는 붕해 시험 장치로 측정하였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수불용성 물질 또는 조류 또는 살충 활성제를 포함하는 수붕해성 과립은 우수한 습윤 체 보유값 (wet sieve retention values)을 나타낸다. 상기 습윤 체 보유값은 수중 분산액으로 적용되는 과립 조성물 중 비-분산성 물질의 양의 추정치를 제공한다. 상기 습윤 체 보유값이 낮을 수록, 과립 조성물의 분산성은 우수해진다.
CIPAC Handbook, "MT 185 Wet Sieve Test"에 따라 습윤 체 보유에 대해 시료를 테스트할 수 있다. 상기 제제의 시료는 수 중에 분산되거나 또는 수 중에 완전히 분산가능하고, 형성된 현탁액을 체로 옮기고 세척하였다. 상기 체에 보유된 물질의 양은 건조 및 계량으로 결정하였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수붕해성 과립은 75 미크론의 체에서 30% 미만의 습윤 체 보유값을 갖는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수붕해성 과립은 75 미크론의 체에서 20% 미만의 습윤 체 보유값을 갖는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수붕해성 과립은 75 미크론의 체에서 10% 미만의 습윤 체 보유값을 갖는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수붕해성 과립은 75 미크론의 체에서 7% 미만의 습윤 체 보유값을 갖는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수붕해성 과립은 75 미크론의 체에서 5% 미만의 습윤 체 보유값을 갖는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수붕해성 과립은 75 미크론의 체에서 2% 미만의 습윤 체 보유값을 갖는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수불용성 물질 또는 조류 또는 살충 활성제를 포함하는 수붕해성 과립은 우수한 분산성 (dispersibility)을 나타낸다. 하기 표 5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른 수분산성 과립 형태는 본 발명의 수붕해성 과립과 비교하여 보다 높은 분산성을 나타내어, 식물이 빠르게 흡수하고, 이에 의해 작물 생활주기의 지속되는 기간에 걸쳐서 이들의 이용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분산성은 과립이 물에 첨가될 때 분산되는 능력으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수붕해성 과립은 CIPAC Handbook, "MT 174 Test for Dispersibility"에 따라 분산성에 대해 테스트될 수 있다. 알려져 있는 양의 과립 시료를 정의된 부피의 물에 부가하고, 교반 혼합하여 현탁액을 형성하였다. 짧은 시간 동안 방치한 후에, 상부 9/10을 빼내고, 나머지 1/10을 건조시키고, 중량을 결정하였다. 상기 방법은 실질적으로 단축된 현수성 테스트이고, 과립이 물에 균일하게 분산되는 용이성을 확립하는데 적합한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수붕해성 과립은 적어도 10%의 분산성을 갖는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수붕해성 과립은 적어도 20%의 분산성을 갖는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수붕해성 과립은 적어도 30%의 분산성을 갖는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수붕해성 과립은 적어도 40%의 분산성을 갖는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수붕해성 과립은 적어도 50%의 분산성을 갖는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수붕해성 과립은 적어도 60%의 분산성을 갖는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수붕해성 과립은 적어도 70%의 분산성을 갖는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수붕해성 과립은 적어도 80%의 분산성을 갖는다. 광범위한 분산성은 상기 조성물이 보다 긴 과립화 기간 동안 처리되는 것이 기인하고, 또한 상기 조성물에 로딩된 영양소, 조류 또는 살충제의 퍼센트에 기반한다. 예를 들어, 팬 과립기에서 보다 긴 기간 동안 과립화처리되거나, 또는 팬 과립기에서 보다 빠르게 회전 처리된 과립은, 팬 과립기가 보다 낮은 속도로 구동되고 (분당 낮은 회전수) 짧은 기간 동안 과립화 처리된 과립보다, 더 매끄럽고 콤팩트해지며 보다 느리게 분산될 수 있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의 과립은 보다 천천히 분산되어 일정 기간에 걸쳐 농화학제를 방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단기간 작물 또는 작물 생활주기의 처음 15일내에 요구되는 작물에 대해, 상기 과립은 보다 높은 분산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수불용성 물질 또는 조류 또는 살충 활성제를 포함하는 수붕해성 과립은 양호한 현수성를 나타낸다. 현수성 (suspensibility)은 명시된 높이의 액체를 갖는 컬럼내에 주어진 시간 후에 현탁된 활성 성분 (수불용성 영양소)의 양으로 정의될 수 있고, 최초 현탁액 중 성분의 양의 퍼센트로 표시하였다. 상기 수붕해성 과립은 CIPAC Handbook, "MT 184 Test for Suspensibility"에 따라, CIPAC 표준 수 중에 알려져 있는 농도의 현탁액을 제조하고, 일정한 온도에서 규정된 측정 실린더에 배치하고, 특정 시간 동안 방해받지 않고 유지시켜서, 현수성에 대해 테스트하였다. 상부 9/10를 빼내고, 그 다음에 나머지 1/10을 화학적, 중량 측정 또는 용매 추출로 분석하고, 현수성를 산출하였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수붕해성 과립은 적어도 5%의 현수성를 갖는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수붕해성 과립은 적어도 10%의 현수성를 갖는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수붕해성 과립은 적어도 20%의 현수성를 갖는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수붕해성 과립은 적어도 30%의 현수성를 갖는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수붕해성 과립은 적어도 40%의 현수성를 갖는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수붕해성 과립은 적어도 50%의 현수성를 갖는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수붕해성 과립은 적어도 60%의 현수성를 갖는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수붕해성 과립은 적어도 70%의 현수성를 갖는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수붕해성 과립은 적어도 80%의 현수성를 갖는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수불용성 물질 또는 조류 또는 살충 활성제를 포함하는 수붕해성 과립은 관찰된 우수한 특성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다각형, 구형, 타원형 또는 임의의 다면체형 과립이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수붕해성 과립은 실질적으로 구형이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농화학적 부형제는 계면활성제, 희석제, 결합제 또는 결합 제제 (binding agents), 붕해제, 불활성 충전제, pH 안정화제, 확산제 (spreading agents), 점착제, 소포제, 담체, 항미생물제, 동결방지제, 산화방지제, 보존제 및 응집 억제제를 포함한다. 그러나,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추가의 농화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부형제를 이용할 수 있다는 것을 알 것이다. 상기 농화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부형제는 상업적으로 제조되고 다양한 회사를 통해 입수가능하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농화학적 부형제는 전체 조성물의 적어도 99.9 중량%의 농도 범위로 존재한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농화학적 부형제는 전체 조성물의 적어도 99 중량%의 농도 범위로 존재한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농화학적 부형제는 전체 조성물의 적어도 95 중량%의 농도 범위로 존재한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농화학적 부형제는 전체 조성물의 적어도 90 중량%의 농도 범위로 존재한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농화학적 부형제는 전체 조성물의 적어도 80 중량%의 농도 범위로 존재한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농화학적 부형제는 전체 조성물의 적어도 70 중량%의 농도 범위로 존재한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농화학적 부형제는 전체 조성물의 적어도 60 중량%의 농도 범위로 존재한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농화학적 부형제는 전체 조성물의 적어도 50 중량%의 농도 범위로 존재한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농화학적 부형제는 전체 조성물의 적어도 40 중량%의 농도 범위로 존재한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농화학적 부형제는 전체 조성물의 적어도 30 중량%의 농도 범위로 존재한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농화학적 부형제는 전체 조성물의 적어도 20 중량%의 농도 범위로 존재한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농화학적 부형제는 전체 조성물의 적어도 10 중량%의 농도 범위로 존재한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농화학적 부형제는 전체 조성물의 적어도 5 중량%의 농도 범위로 존재한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계면활성제는 전체 조성물의 0.1% 내지 85% w/w의 양으로 존재한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계면활성제는 전체 조성물의 0.1% 내지 75% w/w의 양으로 존재한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계면활성제는 전체 조성물의 0.1% 내지 60% w/w의 양으로 존재한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계면활성제는 전체 조성물의 0.1% 내지 50% w/w의 양으로 존재한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계면활성제는 전체 조성물의 0.1% 내지 40% w/w의 양으로 존재한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계면활성제는 전체 조성물의 0.1% 내지 30% w/w의 양으로 존재한다. 부가의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계면활성제는 전체 조성물의 0.1% 내지 20% w/w의 양으로 존재한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계면활성제는 전체 조성물의 0.1% 내지 10% w/w의 양으로 존재한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계면활성제는 전체 조성물의 0.1% 내지 5% w/w의 양으로 존재한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조류 대 농화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부형제의 비율은 99:1 내지 1:99이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조류 대 농화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부형제의 비율은 90:1 내지 1:90이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조류 대 농화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부형제의 비율은 80:1 내지 1:80이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조류 대 농화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부형제의 비율은 70:1 내지 1:70이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조류 대 농화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부형제의 비율은 60:1 내지 1:60이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조류 대 농화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부형제의 비율은 50:1 내지 1:50이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조류 대 농화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부형제의 비율은 40:1 내지 1:40이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조류 대 농화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부형제의 비율은 30:1 내지 1:30이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조류 대 농화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부형제의 비율은 20:1 내지 1:20이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조류 대 농화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부형제의 비율은 10:1 내지 1:10이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조류 대 농화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부형제의 비율은 5:1 내지 1:5이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조류 대 계면활성제 또는 결합제 또는 붕해제의 비율은 50:1 내지 1:30이다.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조류 대 계면활성제 또는 결합제의 비율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조류 대 계면활성제 또는 결합제 또는 붕해제의 비율은 19:1이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조류 대 계면활성제 또는 결합제 또는 붕해제의 비율은 18:1이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조류 대 계면활성제 또는 결합제 또는 붕해제의 비율은 17:1이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조류 대 계면활성제 또는 결합제 또는 붕해제의 비율은 16:1이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조류 대 계면활성제 또는 결합제 또는 붕해제의 비율은 15:1이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조류 대 계면활성제 또는 결합제 또는 붕해제의 비율은 14:1이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조류 대 계면활성제 또는 결합제 또는 붕해제의 비율은 13:1이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조류 대 계면활성제 또는 결합제 또는 붕해제의 비율은 12:1이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조류 대 계면활성제 또는 결합제 또는 붕해제의 비율은 11:1이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조류 대 계면활성제 또는 결합제 또는 붕해제의 비율은 10:1이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조류 대 계면활성제 또는 결합제 또는 붕해제의 비율은 9:1이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조류 대 계면활성제 또는 결합제 또는 붕해제의 비율은 8:1이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조류 대 계면활성제 또는 결합제 또는 붕해제의 비율은 7:1이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조류 대 계면활성제 또는 결합제 또는 붕해제의 비율은 6:1이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조류 대 계면활성제 또는 결합제 또는 붕해제의 비율은 5:1이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조류 대 계면활성제 또는 결합제 또는 붕해제의 비율은 4:1이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조류 대 계면활성제 또는 결합제 또는 붕해제의 비율은 3:1이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조류 대 계면활성제 또는 결합제 또는 붕해제의 비율은 2:1이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조류 대 계면활성제 또는 결합제 또는 붕해제의 비율은 1:1이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조류 대 계면활성제 또는 결합제 또는 붕해제의 비율은 1:2이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조류 대 계면활성제 또는 결합제 또는 붕해제의 비율은 1:3이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조류 대 계면활성제 또는 결합제 또는 붕해제의 비율은 1:4이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조류 대 계면활성제 또는 결합제 또는 붕해제의 비율은 1:5이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조류 대 계면활성제 또는 결합제 또는 붕해제의 비율은 1:6이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조류 대 계면활성제 또는 결합제 또는 붕해제의 비율은 1:7이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조류 대 계면활성제 또는 결합제 또는 붕해제의 비율은 1:8이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조류 대 계면활성제 또는 결합제 또는 붕해제의 비율은 1:9이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조류 대 계면활성제 또는 결합제 또는 붕해제의 비율은 1:10이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조류 대 계면활성제 또는 결합제 또는 붕해제의 비율은 1:11이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조류 대 계면활성제 또는 결합제 또는 붕해제의 비율은 1:11이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조류 대 계면활성제 또는 결합제 또는 붕해제의 비율은 1:12이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조류 대 계면활성제 또는 결합제 또는 붕해제의 비율은 1:13이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조류 대 계면활성제 또는 결합제 또는 붕해제의 비율은 1:14이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조류 대 계면활성제 또는 결합제 또는 붕해제의 비율은 1:15이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조류 대 계면활성제 또는 결합제 또는 붕해제의 비율은 1:16이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조류 대 계면활성제 또는 결합제 또는 붕해제의 비율은 1:17이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조류 대 계면활성제 또는 결합제 또는 붕해제의 비율은 1:18이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조류 대 계면활성제 또는 결합제 또는 붕해제의 비율은 1:19이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조류 대 계면활성제 또는 결합제 또는 붕해제의 비율은 1:20이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조류 대 계면활성제 또는 결합제 또는 붕해제의 비율은 1:25이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조류 대 계면활성제 또는 결합제 또는 붕해제의 비율은 1:30이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조류 대 계면활성제 또는 결합제 또는 붕해제의 비율은 1:35이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조류 대 계면활성제 또는 결합제 또는 붕해제의 비율은 1:40이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조류 대 계면활성제 또는 결합제 또는 붕해제의 비율은 1:45이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조류 대 계면활성제 또는 결합제 또는 붕해제의 비율은 1:50이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조류 대 계면활성제 또는 결합제 또는 붕해제의 비율은 1:55이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조류 대 계면활성제 또는 결합제 또는 붕해제의 비율은 1:60이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조류 대 계면활성제 또는 결합제 또는 붕해제의 비율은 1:65이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조류 대 계면활성제 또는 결합제 또는 붕해제의 비율은 1:70이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조류 대 계면활성제 또는 결합제 또는 붕해제의 비율은 1:75이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조류 대 계면활성제 또는 결합제 또는 붕해제의 비율은 1:80이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조류 대 계면활성제 또는 결합제 또는 붕해제의 비율은 1:85이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조류 대 계면활성제 또는 결합제 또는 붕해제의 비율은 1:90이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조류 대 계면활성제 또는 결합제 또는 붕해제의 비율은 1:95이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조류 대 계면활성제 또는 결합제 또는 붕해제의 비율은 1:99이다. 그러나, 본원에 명시된 비율은 단지 예시이고, 이를 당업자도 알 것이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농화학적 부형제는 계면활성제, 희석제, 붕해제 및 결합제 또는 결합 제제를 포함한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농화학적 부형제는 적어도 하나의 계면활성제 및 결합제를 포함한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계면활성제는 분산화제, 습윤제 및 유화제를 포함한다. 부가의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에 사용되는 계면활성제는 하나 이상의 음이온성, 비이온성, 양이온성 및 양쪽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한다. 그러나,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른 계면활성제를 이용할 수 있다는 것을 알 것이다.
상기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지방산의 염, 벤조에이트, 폴리카르복실레이트, 알킬황산 에스테르의 염, 알킬 에테르 술페이트, 알킬 술페이트, 알킬아릴 술페이트, 알킬 디글리콜 에테르 술페이트, 알콜 황산 에스테르의 염, 알킬 술포네이트, 알킬아릴 술포네이트, 아릴 술포네이트, 리그닌 술포네이트, 알킬디페닐에테르 디술포네이트, 폴리스티렌 술포네이트, 알킬인산 에스테르의 염, 알킬아릴 포스페이트, 스티릴아릴 포스페이트, 술포네이트 도쿠세이트,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에테르 황산 에스테르의 염, 폴리옥시에틸렌 알킬아릴 에테르 술페이트, 알킬 사르코시네이트, 알파 올레핀 술포네이트 나트륨 염, 알킬 벤젠 술포네이트 또는 그의 나트륨 염, 칼슘 염, 소듐 라우로일 사르코시네이트, 술포숙시네이트,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아크릴레이트 - 유리산 및 나트륨 염, 폴리옥시에틸렌 알킬아릴 에테르 황산 에스테르의 염,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에테르 포스페이트, 폴리옥시에틸렌 알킬아릴 인산 에스테르의 염, 술포숙시네이트 -모노 및 다른 디에스테르, 포스페이트 에스테르, 알킬 나프탈렌 술포네이트-이소프로필 및 부틸 유도체, 알킬 에테르 술페이트 -나트륨 및 암모늄 염; 알킬 아릴 에테르 포스페이트, 에틸렌 옥시드 및 그의 유도체, 폴리옥시에틸렌 아릴 에테르 인산 에스테르의 염, 모노-알킬 술포숙시네이트, 방향족 탄화수소 술포네이트, 2-아크릴아미도-2-메틸프로판 술폰산, 암모늄 라우릴 술페이트, 암모늄 퍼플루오로노나노에이트, 도쿠세이트, 디소듐 코코암포디아세테이트, 마그네슘 라우레스 (laureth) 술페이트, MBAS 분석, 퍼플루오로부탄술폰산, 퍼플루오로노나노산, 카르복실레이트, 퍼플루오로옥탄술폰산, 퍼플루오로옥타노산, 포스포리피드, 포타슘 라우릴 술페이트, 비누, 비누 대체물, 소듐 알킬 술페이트, 소듐 도데실 술페이트, 소듐 도데실벤젠술포네이트, 소듐 라우레이트, 소듐 라우레스 술페이트, 소듐 라우로일 사르코시네이트, 소듐 미레스 (myreth) 술페이트, 소듐 노나노일옥시벤젠술포네이트, 소듐 파레스 (pareth) 술페이트, 알킬 카르복실레이트, 소듐 스테아레이트, 알파 올레핀 술포네이트, 술포리피드, 나프탈렌 술포네이트 염, 알킬 나프탈렌 술포네이트 지방산 염, 나프탈렌 술포네이트 축합물-나트륨 염, 플루오로 카르복실레이트, 지방 알콜 술페이트, 알킬 나프탈렌 술포네이트 축합물-나트륨 염, 포름알데히드와 축합된 나프탈렌 술폰산 또는 포름알데히드와 축합된 알킬나프탈렌 술폰산의 염; 또는 그의 염, 유도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상기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폴리올 에스테르, 폴리올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에톡실화 에스테르, 폴리에톡실화 알콜, 에톡실화 및 프로폭실화 지방 알콜, 에톡실화 및 프로폭실화 단쇄 알콜, EO/PO 코폴리머; 디, 트리-블록 코폴리머; 폴리에틸렌 글리콜 및 폴리프로필렌 글리콜의 블록 코폴리머, 폴록사머, 폴리소르베이트, 알킬 폴리사카리드 예컨대 알킬 폴리글리코시드 및 그의 블렌드, 아민 에톡실레이트,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글리콜 및 글리세롤 에스테르, 글루코시딜 알킬 에테르, 소르비탄 알킬 에스테르, 소듐 탈로웨이트 (tallowate), 폴리옥시에틸렌 글리콜, 소르비탄 알킬 에스테르, 소르비탄 유도체,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 (Spans) 및 그의 에톡실화 유도체 (Tweens), 및 지방산의 수크로스 에스테르, 알킬 폴리글리코시드, 세토마크로골 (Cetomacrogol) 1000, 세토스테아릴 알콜, 세틸 알콜, 코카미드 DEA, 코카미드 MEA, 데실 글루코시드, 데실 폴리글루코스, 글리세롤 모노스테아레이트, IGEPAL CA-630, 이소세테스 (Isoceteth)-20, 라우릴 글루코시드, 말토시드, 모노라우린, 미코서브틸린 (Mycosubtilin), 협역 (Narrow-range)의 에톡실레이트, 노니데트 (Nonidet) P-40, 노녹시놀 (Nonoxynol)-9, 노녹시놀 (Nonoxynols), NP-40, 옥타에틸렌 글리콜 모노도데실 에테르, N-옥틸 베타-D-티오글루코피라노시드, 옥틸 글루코시드, 올레일 알콜, PEG-10 해바라기 글리세리드, 펜타에틸렌 글리콜 모노도데실 에테르, 폴리도카놀, 폴록사머, 폴록사머 407, 폴리에톡실화 탈로우 아민, 폴리글리세롤 폴리리시놀레에이트, 폴리소르베이트, 폴리소르베이트 20, 폴리소르베이트 80, 소르비탄, 소르비탄 모노라우레이트, 소르비탄 모노스테아레이트, 소르비탄 트리스테아레이트, 스테아릴 알콜, 서팍틴 (Surfactin), 트리톤 (Triton) X-100, 트윈 (Tween) 80, 폴리에틸렌 글리콜, 글리세릴 라우레에이트, 라우릴 글루코시드, 노닐페놀폴리에톡시에탄올, 노닐 페놀 폴리글리콜 에테르, 캐스터 오일 에톡실레이트, 폴리글리콜 에테르, 에틸렌 옥시드 및 프로필렌 옥시드의 다중부가물 (polyadducts), 폴리알킬렌 글리콜 에테르 및 히드록시스테아르산의 블록 코폴리머, 에틸렌 옥시드 프로필렌 옥시드 블록 코폴리머, 트리부틸페녹시폴리에톡시 에탄올, 옥틸페녹시폴리에톡시 에탄올, 에토-프로폭실화트리스티릴페놀, 에톡실화 알콜, 폴리옥시 에틸렌 소르비탄,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지방산 폴리글리세리드, 지방산 알콜 폴리글리콜 에테르, 아세틸렌 글리콜, 아세틸렌 알콜, 옥시알킬렌 블록 폴리머,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알킬아릴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스티릴아릴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글리콜 알킬 에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폴리옥시에틸렌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알콜 에톡실레이트 - C6 내지 C16/18 알콜, 선형 및 분지쇄형, 알콜 알콕실레이트 - 다양한 소수성물질 (hydrophobes) 및 EO/PO 함량 및 비율, 지방산 에스테르 - 모노 및 디에스테르; 라우르산, 스테아르산 및 올레산; EO를 갖거나 갖지 않는 - 글리세롤 에스테르; 라우르산, 스테아르산, 코코아 및 톨유 유래, 에톡실화 글리세린, EO를 갖거나 갖지 않는 - 소르비탄 에스테르; 라우르산, 스테아르산 및 올레산 기반; 모노 및 트리메스테르, 캐스터 오일 에톡실레이트 - 5 내지 200몰의 EO; 비-수소화 및 수소화, 폴리에틸렌 글리콜 - 200, 300, 400, 600, 1450, 3350 및 8000, 메틸 캡화 (capped) 폴리에틸렌 글리콜 - 350 및 550, 블록 폴리머 - 액체, 페이스트 및 고체; 광역 (wide range)의 EO/PO 비율, 알킬 폴리글루코시드, 아민 옥시드- 에톡실화 및 비-에톡실화; 알킬 디메틸, 지방 아민 에톡실레이트 - 코코, 탈로우, 스테아릴, 올레일 아민, 폴리옥시에틸렌 수소화 캐스터 오일 또는 폴리옥시프로필렌 지방산 에스테르; 그의 염 또는 유도체, 및 혼합물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양쪽성 또는 쯔비터이온성 (Zwitterionic) 계면활성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베타인, 베타인 - 코코 및 라우릴 아미도프로필 베타인, 코코 알킬 디메틸 아민 옥시드, 베타인 - 알킬 디메틸 베타인; C8 내지 C18, 알킬 디프로피오네이트 - 소듐 라우르이미노디프로피오네이트, 코코아미도프로필 히드록시 술포베타인, 이미다졸린, 포스포리피드 포스파티딜세린, 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 포스파티딜콜린, 및 스핑고마이엘린, 라우릴 디메틸아민 옥시드, 알킬 암포아세테이트 및 프로프리오네이트, 알킬 암포(디)아세테이트, 폴리알킬렌 글리콜 에테르 (PEG) 및 히드록시스테아르산의 블록 코폴리머, 및 디프로프리오네이트, 레시틴 및 에탄올아민 지방 아미드; 또는 그의 염, 유도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디알킬 디메틸 암모늄 클로리드, 알킬 메틸 에톡실화 암모늄 클로리드 또는 염, 도데실-, 코코-, 헥사데실-, 옥타데실-, 옥타데실/베헤닐-, 베헤닐-, 코코아미도프로필-, 트리메틸 암모늄 클로리드; 코코-, 스테아릴-, 비스(2-히드록시에틸)메틸 암모늄 클로리드, 벤잘코늄 클로리드, 알킬-, 테트라데실-, 옥타데실-디메틸 벤질 암모늄 클로리드, 디옥틸-, 디(옥틸-데실)-, 디데실-, 디헥사데실-디스테아릴-, 디(수소화 탈로우)-디메틸 암모늄 클로리드, 디(수소화 탈로우) 벤질-, 트리옥틸-, 트리(옥틸-데실)-, 트리도데실-, 트리헥사데실-메틸 암모늄 클로리드, 도데실 트리메틸-, 도데실 디메틸 벤질-, 디-(옥틸-데실) 디메틸, 디데실 디메틸-암모늄 브로미드, 4차화된 (quaternised) 아민 에톡실레이트, 베헨트리모늄 클로리드, 벤잘코늄 클로리드, 벤제토늄 (Benzethonium) 클로리드, 벤조도데시늄 (Benzododecinium) 브로미드, 브로니독스 (Bronidox), 4차화 암모늄 염 카르베토펜데시늄 (Carbethopendecinium) 브로미드, 세탈코늄 (Cetalkonium) 클로리드, 세트리모늄 브로미드, 세트리모늄 클로리드, 세틸피리디늄 클로리드, 디데실디메틸암모늄 클로리드, 디메틸디옥타데실암모늄 브로미드, 디메틸디옥타데실암모늄 클로리드, 도미펜 (Domiphen) 브로미드, 라우릴 메틸 글루세스 (gluceth)-10 히드록시프로필 디모늄 클로리드, 옥테니딘 디히드로클로리드, 올라플루어 (Olaflur), N-올레일-1, 3-프로판디아민, 파후톡신 (Pahutoxin), 스테아르알코늄 클로리드, 테트라메틸암모늄 히드록시드, 톤조늄 (Thonzonium) 브로미드; 그의 염 또는 유도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수불용성 물질 또는 조류 또는 살충 활성제를 포함하는 수붕해성 과립 조성물에 사용되는 분산제는 하나 이상의 폴리비닐 피롤리돈, 폴리비닐 알콜, 리그닌 술포네이트, 페놀 나프탈렌 술포네이트, 리그노술폰산의 알칼리 금속, 알칼리 토금속 및 암모늄 염, 리그닌 유도체, 리그노 술포네이트, 소듐 리그노술포네이트 나프탈렌술폰산, 페놀술폰산, 디부틸나프탈렌- 술폰산, 알킬아릴술포네이트, 알킬 술페이트, 알킬술포네이트, 지방 알콜 술페이트, 지방산 및 술페이트화 지방 알콜 글리콜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에테르, 디옥틸 술포숙시네이트, 라우릴 술페이트,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에테르 술페이트, 폴리옥시에틸렌 스티릴 페닐 에테르 술페이트 에스테르 염 및 유사물, 알칼리 금속 염 그의 염, 암모늄 염 또는 아민 염,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페닐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스티릴 페닐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에스테르, 또는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알킬 에스테르, 및 유사물, 나프탈렌 술폰산 우레아 포름알데히드 축합물의 나트륨 염 및 페놀 술폰산 포름알데히드 축합물 에톡실화 알킬 페놀의 나트륨 염의 혼합물, 에톡실화 지방산, 알콕실화 선형 알콜, 다중방향족 술포네이트, 소듐 알킬 아릴 술포네이트, 글리세릴 에스테르, 말레산 무수물 코폴리머의 암모늄 염, 말레산 무수물 코폴리머, 포스페이트 에스테르, 아릴 술폰산 및 포름알데히드의 축합 산물, 에틸렌 옥시드 및 지방산 에스테르의 부가 산물, 에틸렌 옥시드 및 지방산 에스테르의 부가 산물의 염, 나프탈렌 술포네이트 및 알킬나프탈렌 술포네이트의 포르말린 축합물, 축합된 나프탈렌의 술포네이트, 나프탈렌 포름알데히드 축합물, 이소데실 술포숙신산 하프 에스테르의 나트륨 염, 폴리카르복실레이트, 소듐 알킬 벤젠 술포네이트, 술폰화 나프탈렌의 나트륨 염, 술폰화 나프탈렌의 암모늄 염, 폴리아크릴산의 염, 페놀 술폰산의 염 및 나프탈렌 술폰산의 염, 축합된 페놀술폰산의 나트륨 염뿐만 아니라 나프탈렌 술포네이트-포름알데히드 축합물, 소듐 나프탈렌 술포네이트 포름알데히드 축합물, 트리스티릴페놀 에톡실레이트 포스페이트 에스테르; 지방족 알콜 에톡실레이트; 알킬 에톡실레이트; EO-PO 블록 코폴리머; 그래프트 코폴리머, 술폰화 나프탈렌의 암모늄 염, 폴리아크릴산의 염, 페놀 술폰산의 염 및 나프탈렌 술폰산의 염을 포함한다.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한 분산화제는 "Morwet D425" (소듐 나프탈렌 포름알데히드 축합물 ex Witco Corporation, USA) "Morwet EFW" 술페이트화 알킬 카르복실레이트 및 알킬 나프탈렌 술포네이트-나트륨 염 "Tamol PP" (페놀술폰산 축합물의 나트륨 염) "Reax 80N" (소듐 리그노술포네이트) "Wettol D1" 소듐 알킬나프탈렌 술포네이트 (ex BASF)를 포함한다. 그러나,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른 분산제를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을 알 것이다. 상기 분산화제는 상업적으로 제조되고 다양한 회사로부터 입수가능하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수불용성 물질 또는 조류 또는 살충 활성제를 포함하는 수붕해성 과립 조성물에 사용되는 습윤제는 하나 이상의 페놀 나프탈렌 술포네이트, 알킬 나프탈렌 술포네이트, 소듐 알킬 나프탈렌 술포네이트, 술폰화 알킬카르복실레이트의 나트륨염, 폴리옥시알킬화 에틸 페놀, 폴리옥시에톡실화 지방 알콜, 폴리옥시에톡실화 지방 아민, 리그닌 유도체, 알칸 술포네이트, 알킬벤젠 술포네이트, 폴리카르복실산의 염, 술포숙신산의 에스테르의 염, 알킬나프탈렌술포네이트, 알킬벤젠술포네이트, 알킬폴리글리콜 에테르 술포네이트, 알킬 에테르 포스페이트, 알킬 에테르 술페이트 및 알킬 술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를 포함한다. 그러나,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른 습윤제를 이용할 수 있다는 것을 알 것이다. 상기 습윤제는 상업적으로 제조되고, 다양한 회사를 통해 입수가능하다.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한 유화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Atlas G5000, TERMUL 5429, TERMUL 2510, ECOTERIC®, EULSOGEN® 118, Genapol®X, Genapol®OX -080, Genapol®C 100, Emulsogen ® EL 200, Arlacel P135, Hypermer 8261, Hypermer B239, Hypermer B261, Hypermer B246sf, Solutol HS 15, PromulgenTM D, Soprophor 7961P, Soprophor TSP/461, Soprophor TSP/724, Croduret 40, Etocas 200, Etocas 29, Rokacet R26, CHEMONIC OE-20, Triton™ N-101, Tween 20, 40, 60, 65, 80, Span20, 40, 60, 80, 83, 85, 120, Brij®, Triton™ Atlox 4912, Atlas G5000, TERMUL 3512, TERMUL 3015, TERMUL 5429, TERMUL 2510, ECOTERIC®, ECOTERIC® T85, ECOTERIC® T20, TERIC 12A4, EULSOGEN® 118, Genapol®X, Genapol®OX -080, Genapol® C 100, Emulsogen ® EL 200, Arlacel P135, Hypermer 8261, Hypermer B239, Hypermer B261, Hypermer B246sf, Solutol HS 15, PromulgenTM D, Soprophor 7961P, Soprophor TSP/461, Soprophor TSP/724, Croduret 40, Etocas 200, Etocas 29, Rokacet R26, CHEMONIC OE-20, Triton™ N-101, Tween 20, 40, 60, 65, 80 및 Span 20, 40, 60, 80, 83, 85, 120을 포함한다. 그러나,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른 유화제 또는 계면활성제를 이용할 수 있다는 것을 알 것이다. 상기 유화제는 상업적으로 제조되고 다양한 회사로부터 입수가능하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수불용성 물질 또는 조류 또는 살충 활성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에 사용될 수 있는 결합 제제는 수용해성 결합제이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수붕해성 과립 조성물에 사용될 수 있는 수용해성 결합 제제의 예시되는 예로는 임의의 하나 이상의 탄수화물 예컨대 모노사카리드, 디사카리드, 올리고사카리드 및 폴리사카리드; 단백질; 지질; 당지질; 당단백질; 지질단백질; 및 이의 조합 및 유도체일 수 있다. 상기 탄수화물 결합제는 하나 이상의 글루코스, 만노스, 프룩토스, 갈락토스, 수크로스, 락토스, 말토스, 크실로스, 아라비노스, 소르비톨, 만니톨, 트레할로스, 라피노스, 스타키오스 (stachyose), 프룩토-올리고사카리드, 아밀로스, 아밀로펙틴, 변형 전분, 셀룰로스, 헤미셀룰로스, 펙틴, 히드로콜로이드 (hydrocolloids) 및 그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 제제는 또한 합성 유기 수용해성 폴리머 예컨대 에틸렌 옥시드 폴리머 또는 코폴리머, 프로필렌 옥시드 코폴리머, 폴리에틸렌 글리콜, 폴리에틸렌 옥시드, 폴리아크릴아미드,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비닐 피롤리돈, 폴리알킬 피롤리돈, 폴리비닐 알콜, 폴리비닐메틸 에테르, 폴리비닐 아크릴레이트, 폴리락트산, 폴리에톡실화 지방산, 폴리에톡실화 지방 알콜 및 라텍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 제제는 또한 콘시럽; 셀룰로스 예컨대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 에틸셀룰로스, 히드록시에틸셀룰로스, 히드록시-메틸에틸셀룰로스, 히드록시에틸프로필셀룰로스, 메틸히드록시에틸-셀룰로스, 메틸셀룰로스; 전분 예컨대 아밀로스, 시겔 (seagel), 전분 아세테이트, 전분 히드록시에틸 에테르, 이온성 전분, 장쇄 알킬 전분, 덱스트린, 아민 전분, 포스페이트 전분, 및 디알데히드 전분; 식물 전분 예컨대 옥수수 전분 및 감자 전분; 기타 탄수화물 예컨대 펙틴, 아밀로펙틴, 크실란, 크산탄검, 글리코겐, 아가, 알긴산, 피코콜로이드, 키틴, 아라비아검, 구아검, 카라야검 (gum karaya), 트라가칸트검 (gum tragacanth) 및 로쿠스트빈검 (locust bean gum)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 제제는 또한 복합 유기 물질 예컨대 페닐 나프탈렌 술포네이트, 리그닌 및 니트로리그닌; 리그닌의 유도체 예컨대 리그노술포네이트 염, 예시적으로 칼슘 리그노술포네이트 및 소듐 리그노술포네이트 및 유기 및 무기 성분을 함유하는 복합 탄수화물-기반 조성물 예컨대 몰라세 (molasses)를 포함할 수 있다.
부가의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결합 제제는 또한 용해도에 기반하여 선택되는 단백질 결합제를 포함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단일 단백질, 접합된 단백질 또는 유도된 단백질, 수용해성 단백질, 산성 단백질, 염기성 단백질 또는 그의 유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부가의 구현예에 따르면, 적절한 단백질 결합제는 하나 이상의 알부민, 히스톤, 프로타민, 프롤라민, 알부미노이드, 인단백질, 뮤코단백질 (Mucoprotein), 크로모단백질 (Chromoprotein), 락토스, 프로테이나제 (Proteinase), 피루베이트 데히드로게나제, 리보뉴클레아제, 플라보단백질 (flavoprotein), 시토크롬 C, 세룰로플라스민 (Cerruloplasmin), 미오글로빈, 리조짐 (Lysozyme), 프로테오스 (Proteoses), 펩톤, 키모트립신, 시토크로모 (Cytochromo) C; 락테이트 데히드로게나제, 서브틸리신 (Subtilisin), 트립신, 액틴 (Actin), 미오신, 리신, 렉틴, 콜라겐, 피브로인 (Fibroin), 아드레날린, 엘라스틴; 대두 추출물, 제인 (Zein); 오브알부민 (Ovalbumin) 및 감마 글로불린 또는 그의 유도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른 결합 제제를 이용할 수 있다는 것을 알 것이다.
상기 결합 제제는 상기 수붕해성 과립 조성물의 전체 건조 중량의 0.1% 내지 50 중량% 범위의 양으로 존재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결합 제제는 상기 수붕해성 과립 조성물의 전체 건조 중량의 0.1% 내지 40 중량% 범위의 양으로 존재한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결합 제제는 상기 수붕해성 과립 조성물의 전체 건조 중량의 0.1% 내지 30 중량% 범위의 양으로 존재한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결합 제제는 상기 수붕해성 과립 조성물의 전체 건조 중량의 0.1% 내지 20 중량% 범위의 양으로 존재한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결합 제제는 상기 수붕해성 과립 조성물의 전체 건조 중량의 0.1% 내지 15 중량% 범위의 양으로 존재한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결합 제제는 상기 수붕해성 과립 조성물의 전체 건조 중량의 0.1% 내지 10 중량% 범위의 양으로 존재한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수붕해성 과립 조성물에 사용되는 현탁화제 또는 현탁 보조 제제는 탄수화물을 포함한다. 상기 탄수화물은 하나 이상의 글루코스, 만노스, 프룩토스, 갈락토스, 수크로스, 락토스, 말토스, 크실로스, 아라비노스, 소르비톨, 만니톨, 트레할로스, 라피노스, 스타키오스, 프룩토-올리고사카리드, 아밀로스, 아밀로펙틴, 변형 전분, 셀룰로스, 헤미셀룰로스, 펙틴, 히드로콜로이드 및 그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현탁 보조제는 전체 조성물의 약 0.1% 내지 50% w/w의 범위로 존재한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현탁 보조제는 전체 조성물의 약 0.1% 내지 30%w/w의 범위로 존재한다. 부가의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현탁 보조제는 전체 조성물의 약 0.1% 내지 15% w/w의 범위로 존재한다. 부가의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현탁 보조제는 전체 조성물의 약 0.1% 내지 10%w/w의 범위로 존재한다. 부가의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현탁 보조제는 전체 조성물의 약 0.1% 내지 5% w/w의 범위로 존재한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붕해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하나 이상의 무기 수용해성 염 예컨대 소듐 클로리드, 니트레이트 염; 수용해성 유기 화합물 예컨대 우레아, 아가, 히드록시프로필 전분, 카르복시메틸 전분 에테르, 트라가칸트, 젤라틴, 카제인, 미세결정 셀룰로스, 가교된 소듐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스,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스, 및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스 칼슘, 소듐 트리폴리포스페이트, 소듐 헥사메타포스페이트, 금속 스테아레이트, 셀룰로스 분말, 덱스트린, 메타크릴레이트 코폴리머, 폴리플라스돈® XL-10 가교된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아미노카르복실산 킬레이트 화합물, 술폰화 스티렌-이소부틸렌-말레산 무수물 코폴리머, 메타크릴레이트의 폴리아크릴레이트의 염, 전분-폴리아크릴로니트릴 그래프트 코폴리머, 나트륨, 포타슘 비카르보네이트/ 카르보네이트 또는 그의 혼합물 또는 시트르산 및 푸마르산과 같은 산과의 염, 또는 그의 염, 유도체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른 붕해제를 이용할 수 있다는 것을 알 것이다. 상기 붕해제는 상업적으로 제조되고, 다양한 회사를 통해 입수가능하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점착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하나 이상의 파라핀, 테르펜,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 왁스, 폴리비닐 알킬 에테르, 알킬페놀-포르말린 축합물, 지방산, 라텍스, 지방족 알콜, 식물성 오일 예컨대 면실유, 또는 무기 오일, 석유 증류물, 변성 트리실록산, 폴리글리콜, 폴리에테르, 클라타레이트 (clatharates), 합성 수지 에멀젼 또는 그의 염 또는 유도체를 포함한다. 그러나,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른 점착제를 이용할 수 있다는 것을 알 것이다. 상기 점착제는 상업적으로 제조되고 다양한 회사를 통해 입수가능하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확산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하나 이상의 셀룰로스 분말, 덱스트린, 변형 전분, 폴리아미노카르복실산 킬레이트 화합물, 가교된 폴리(비닐피롤리돈), 말레산과 스티렌 화합물의 코폴리머, (메트)아크릴산 코폴리머, 다가 알콜과 디카르복실산 무수물로 구성된 폴리머의 하프 에스테르, 폴리스티렌술폰산의 수용해성 염, 지방산, 라텍스, 지방족 알콜, 식물성 오일 예컨대 면실유, 또는 무기 오일, 석유 증류물, 변성 트리실록산, 폴리글리콜, 폴리에테르, 클라타레이트 또는 그의 염 또는 유도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른 확산제를 이용할 수 있다는 것을 알 것이다. 상기 확산제는 상업적으로 제조되고, 다양한 회사를 통해 입수가능하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보존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하나 이상의 살박테리아제, 항진균제, 살생물제, 항미생물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보존제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하나 이상의 벤조산, 그의 에스테르 및 염, 파라-히드록시벤조산 (파라벤), 그의 에스테르 및 염, 프로피온산 및 그의 염, 살리실산 및 그의 염, 2,4-헥사디에노산 (소르브산) 및 그의 염, 포름알데히드 및 파라포름알데히드, 2-히드록시비페닐 에테르 및 그의 염, 2-징크술피도피리딘 N-옥시드, 무기 술파이트 및 비술파이트, 소듐 요오데이트 (iodate), 1,2-벤즈이소티아졸린-3-온, 클로로부탄올, 데히드라아세트산, 포름산, 1,6-비스(4-아미디노-2-브로모페녹시)-n-헥산 및 그의 염, 10-운데실렌산 및 그의 염, 5-아미노-1,3-비스(2-에틸헥실)-5-메틸헥사히드로피리미딘, 5-브로모-5-니트로-1,3-디옥산, 2-브로모-2-니트로프로판-1,3-디올, 2,4-디클로로벤질 알콜, N-(4-클로로페닐)-N'-(3,4-디클로로페닐)우레아, 4-클로로-m-크레졸, 2,4,4'-트리클로로-2'-히드록시디페닐 에테르, 4-클로로-3,5-디메틸페놀, 1,1'-메틸렌-비스(3-(1-히드록시메틸-2,4-디옥시미다졸리딘-5-일)우레아), 폴리(헥사메틸렌디구아니드) 히드로클로리드, 2-페녹시에탄올, 헥사메틸렌테트라민, 1-(3-클로로알릴)-3,5,7-트리아자-1-아조니아-아다만탄 클로리드, 1(4-클로로페녹시)-1-(1H-이미다졸-1-일)-3,3-디메틸-2-부타논, 1,3-비스(히드록시메틸)-5,5-디메틸-2,4-이미다졸리딘디온, 벤질 알콜, 옥토피록스, 1,2-디브로모-2,4-디시아노부탄, 2,2'-메틸렌비스(6-브로모-4-클로로페놀), 브로모클로로펜, 디클로로펜, 2-벤질-4-클로로페놀, 2-클로로아세트아미드, 클로르헥시딘, 클로르헥시딘 아세테이트, 클로르헥시딘 글루코네이트, 클로르헥시딘 히드로클로리드, 1-페녹시프로판-2-올, N-알킬(C12-C22)트리메틸암모늄 브로미드 및 클로리드, 4,4-디메틸-1,3-옥사졸리딘, N-히드록시메틸-N-(1,3-디(히드록시메틸)-2,5-디옥소이미다졸리딘-4-일)-N'-히드록시메틸우레아, 1,6-비스(4-아미디노페녹시)-n-헥산 및 그의 염, 글루타르알데히드, 5-에틸-1-아자-3,7-디옥사비시클로(3.3.0)옥탄, 3-(4-클로로페녹시)프로판-1,2-디올, 히아민, 알킬(C8-C18)디메틸벤질암모늄 클로리드, 알킬(C8-C18)디메틸벤질암모늄 브로미드, 알킬(C8-C18)디메틸벤질암모늄 사카리네이트, 벤질 헤미포르말, 3-요오도-2-프로피닐 부틸카르바메이트, 소듐 히드록시메틸아미노아세테이트, 세틸트리메틸암모늄 브로미드, 세틸피리디늄 클로리드, 및 2H 이소티아졸-3-온의 유도체 (소위 이소티아졸론 유도체) 예컨대 알킬이소티아졸론 (예를 들어 2-메틸-2H-이소티아졸-3-온, MIT; 클로로-2-메틸-2H-이소티아졸-3-온, CIT), 벤조이소티아졸론 (예를 들어, 1,2-벤조이소티아졸-3(2H)-온, BIT,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한 Proxel® 타입, ICI제) 또는 2-메틸-4,5-트리메틸렌-2H-이소티아졸-3-온 (MTIT), 프로피온산, C1-C4-알킬 파라-히드록시벤조에이트, 디클로로펜 또는 그의 염 또는 유도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른 보존제를 이용할 수 있다는 것을 알 것이다. 상기 보존제는 상업적으로 제조되고, 다양한 회사를 통해 입수가능하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보존제는 0.1% 내지 20% w/w의 양으로 존재한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보존제는 전체 조성물의 0.1% 내지 10% w/w의 양으로 존재한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수붕해성 과립 조성물에 사용되는 담체는 하나 이상의 고체 담체, 액체 담체 또는 충전제를 추가적으로 포함한다.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담체는 미네랄 담체, 식물 담체, 합성 담체 및 수용해성 담체를 포함한다. 그러나,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른 담체를 이용할 수 있다는 것을 알 것이다. 상기 담체는 상업적으로 제조되고, 다양한 회사를 통해 입수가능하다.
상기 고체 담체는 천연 광물 예컨대 석영, 클레이, 카올리나이트, 피로필라이트 (pyrophyllite), 세리사이트, 탈크 (탈크 분말, 납석 분말 (agalmatolite powder) 등), 비-팽창성 클레이 (non-swelling clays), 합성 및 규조 실리카 (diatomaceous silicas), 몬모릴로나이트 (montmorillonite), 몬트로몰라이트 (montromolite), 보크사이트, 수화 알루미나 (hydrated aluminas), 펄라이트 (perlite), 소듐 비카르보네이트, 볼클레이 (volclay), 질석 (vermiculites), 석회석 (limestone), 천연 및 합성 실리케이트 예컨대 칼슘 및 마그네슘 실리케이트; 칼슘, 모래, 마그네슘, 알루미늄 및 티타늄의 티타늄 디옥시드, 히드록시드, 실리케이트, 카르보네이트 및 술페이트; 알루미늄, 티타늄, 마그네슘, 칼슘 및 아연 산화물; 칼슘 및 마그네슘 카르보네이트; 및 챠콜 (charcoal), 실리카, 마이카 (mica), 고령토 (china clay), 산성 클레이 (acid clay), 아타풀자이트 (attapulgite), 규조토 (diatomaceous earth), 소성 알루미나 (calcined aluminas), 그의 유도체; 초크 (chalk) 예컨대 Omya® 초크, 플러토 (fuller's earth), 돌로마이트, 키절구어 (kiesulguhr), 뢰스 (loess), 프로필라이트 (prophyllites), 탈크, 미라빌라이트 (mirabilite), 전분, 화이트 카본 (white carbon), 세리사이트 (Sericite), 소석회, 무기염 예컨대 칼슘 카르보네이트, 암모늄 술페이트, 소듐 술페이트, 포타슘 클로리드, 포타슘 및 바륨 술페이트; 그의 유도체; 유기 고체 담체 예컨대 합성 규산, 전분, 셀룰로스, 황 분말, 우레아 분말, 소이밀 (soybean meal), 담배 분말, 가루 (flour), 우드 밀 (wood meal), 식물 분말, 그의 유도체; 플라스틱 담체 예컨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비닐리덴 클로리드), 그의 유도체; 우레아, 중공 무기체 (hollow plastic bodies), 중공 플라스틱체 (hollow plastic bodies), 석고, 흄드 실리카 (화이트 카본) 및 그의 유도체를 포함한다.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한 실리케이트는 Aerosil 브랜드, Sipemat 브랜드 예컨대 Sipernat ® 50S 및 CALFLO E, 및 aerogels Fa. Cabot, 카올린 1777, 알루미노실리케이트, Wessalon® 50S이다. 그러나,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른 고체 담체를 이용할 수 있다는 것을 알 것이다. 상기 고체 담체는 상업적으로 제조되고 다양한 회사를 통해 입수가능하다.
상기 미네랄 담체는 하나 이상의 카올린 미네랄, 예컨대 디카이트 (dickite), 나크라이트 (nacrite) 및 할로이사이트 (halloysite); 사문석 (serpentines), 예컨대 크리소틸 (chrysotile), 리자르다이트 (lizardite), 안티고라이트 (antigorite) 및 아메사이트 (amesite); 몬모릴로나이트 미네랄, 예컨대 소듐 몬모릴로나이트, 칼슘 몬모릴로나이트 및 마그네슘 몬모릴로나이트; 스멕타이트 (smectites), 예컨대 사포나이트 (saponite), 헥토라이트 (hectorite), 소코나이트 (sauconite) 및 히데라이트 (hyderite); 마이카 (micas), 예컨대 납석, 무스코바이트 (muscovite), 펜자이트 (phengite), 세리사이트, 및 일라이트 (illite); 실리카, 예컨대 크리스토발라이트 (cristobalite) 및 석영; 수화 마그네슘 실리케이트, 예컨대 아타풀자이트 및 세피올라이트 (sepiolite); 칼슘 카르보네이트, 예컨대 돌로마이트 및 칼슘 카르보네이트 미세 분말; 술페이트 미네랄, 예컨대 석고 및 석고; 응회암 (tuff), 질석, 라포나이트 (laponite), 부석 (pumice), 산성 클레이, 및 활성 클레이 또는 그의 유도체를 포함한다. 그러나,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른 미네랄 담체를 이용할 수 있다는 것을 알 것이다.
상기 식물 담체는 하나 이상의 알콜을 포함하고 셀룰로스, 왕겨 (chaff), 밀가루, 목분 (wood flour), 전분, 쌀겨 (rice bran), 밀겨 (wheat bran) 및 대두 분말 (soybean flour)을 포함한다. 상기 합성 담체는 하나 이상의 습식 가공 실리카, 건식 가공 실리카, 습식 가공 실리카의 소성 산물, 표면-개질된 실리카 및 변성 전분 (Pineflow, Matsutani Chemical industry Co., Ltd.로부터 입수가능)을 포함한다. 그러나,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른 식물 담체를 이용할 수 있다는 것을 알 것이다.
상기 수용해성 담체는 하나 이상의 가용성 폴리머, 예컨대 메틸 셀룰로스, 히드록시프로필 셀룰로스, 히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스, 소듐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스, 프로필렌 글리콜 알지네이트, 폴리비닐피롤리돈, 카르복시비닐 폴리머, 및 카제인 나트륨; 우레아, 암모늄 술페이트, 수크로스, 소듐 클로리드, 염 케이크 (salt cake), 소듐 카르보네이트, 포타슘 카르보네이트, 포타슘 피로포스페이트, 소듐 트리폴리포스페이트, 말레산, 푸마르산, 및 말산을 포함한다. 그러나,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른 수용해성 담체를 이용할 수 있다는 것을 알 것이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담체는 상기 조성물의 0.1% 내지 98% w/w의 범위로 존재한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담체는 상기 조성물의 0.1% 내지 75% w/w의 범위로 존재한다. 부가의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담체는 상기 조성물의 0.1% 내지 50% w/w의 범위로 존재한다. 부가의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담체는 상기 조성물의 0.1% 내지 30% w/w의 범위로 존재한다. 부가의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담체는 상기 조성물의 0.1% 내지 20% w/w의 범위로 존재한다. 부가의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담체는 상기 조성물의 0.1% 내지 10% w/w의 범위로 존재한다. 부가의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담체는 상기 조성물의 0.1% 내지 5 % w/w의 범위로 존재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에 사용될 수 있는 충전제 또는 희석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하나 이상의 아타풀자이트, 클레이, 카올리나이트 (kaolinites), 몬모릴로나이트, 보크사이트, 수화 알루미나, 소성 알루미나, 규조토, 초크, 플러토, 돌로마이트, 키절구어, 뢰스, 프로필라이트, 탈크, 질석, 석회석, 천연 및 합성 실리케이트, 티타늄 디옥시드, 칼슘 및 마그네슘 실리케이트, 합성 및 규조 실리카, 마이카 및 고령토, 비료 가령, 예를 들어, 암모늄, 나트륨, 아연, 마그네슘 및 포타슘 술페이트, 수크로스, 알루미늄, 칼슘 및 아연 산화물, 소듐 벤조에이트, 암모늄 포스페이트, 암모늄 니트레이트 및 우레아; 식물 기원의 천연 산물 가령, 예를 들어, 그레인 밀 (grain meals) 및 가루, 바크 밀 (bark meals), 우드 밀 (wood meals), 너트셀 밀 (nutshell meals) 및 셀룰로스 분말; 및 합성 폴리머 물질 가령, 예를 들어, 분쇄 또는 분말 플라스틱 및 레진 (resins); 광물질 (mineral earths) 및, 볼 (bole), 뢰스, 탈크, 초크, 돌로마이트, 석회석, 석회 (lime), 카르보네이트 (칼슘, 마그네슘), 소듐 아세테이트, 알칼리 금속 및 알칼리 토금속 포스페이트, 칼슘 포스페이트, 옥시드 (마그네슘, 알루미늄, 칼슘 및 아연), 클로리드 (칼륨, 나트륨), 미세결정 셀룰로스 (예컨대 AvicelTM), 폴리비닐피롤리돈, Wessalon® 50S 침전 실리카, 전분, 카올린, 사카리드 (덱스트로스, 프룩토스, 락토스, 만니톨, 소르비톨, 수크로스), 덱스트린, 메틸셀룰로스, 히드록시-에틸셀룰로스, 분말 마그네시아, 챠콜, 석고, 칼슘 및 바륨 술페이트, 피로필라이트, 규산, 실리케이트 및 실리카겔, 수용해성 유기 물질 가령 예를 들어, 네오펜틸 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그의 염 또는 그의 유도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희석제는 수용해성 희석제 또는 수불용성 희석제 또는 그의 혼합물이다. 상기 수용해성 희석제는 하나 이상의 염, 계면활성제, 탄수화물 또는 그의 유도체를 포함한다. 그러나,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른 충전제 또는 희석제를 이용할 수 있다는 것을 알 것이다. 상기 충전제 또는 희석제는 상업적으로 제조되고, 다양한 회사를 통해 입수가능하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충전제 또는 희석제는 상기 조성물의 0.1% 내지 90% w/w의 범위로 존재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충전제 또는 희석제는 상기 조성물의 0.1% 내지 75% w/w의 범위로 존재할 수 있다. 부가의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충전제 또는 희석제는 상기 조성물의 0.1% 내지 50% w/w의 범위로 존재할 수 있다. 부가의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충전제 또는 희석제는 상기 조성물의 0.1% 내지 30% w/w의 범위로 존재한다. 부가의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충전제 또는 희석제는 상기 조성물의 0.1% 내지 20%의 범위로 존재할 수 있다. 부가의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충전제 또는 희석제는 상기 조성물의 0.1% 내지 10% w/w의 범위로 존재한다. 부가의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충전제 또는 희석제는 상기 조성물의 0.1% 내지 5% w/w의 범위로 존재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충전제는 상기 조성물에 선택적으로 사용된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수불용성 영양소의 수붕해성 과립 조성물은 하나 이상의 생물자극제, 살충 활성제, 수용해성 비료 및 대량영양소 (macronutrients)를 추가로 포함한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생물자극제는 하나 이상의 미세조류 또는 조류, 효소, 후믹산, 풀빅산, 해초, 박테리아 포자 (bacteriospores) 및 미생물 예컨대 진균, 효모 및 바이러스로부터 선택된다. 사용된 생물자극제는 상업적으로 제조되고 다양한 제조자로부터 입수가능하다. 그러나,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른 생물자극제를 이용할 수 있다는 것을 알 것이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조류 활성제의 수붕해성 과립 조성물은 적어도 하나의 수불용성 영양소, 생물자극제, 살충 활성제, 수용해성 비료 및 대량영양소를 추가로 포함한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살충제의 수붕해성 과립 조성물은 적어도 하나의 수불용성 영양소, 생물자극제, 조류 활성제, 수용해성 비료 및 대량영양소를 추가로 포함한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박테리아 포자 (bacteriospores)는 하나 이상의 아그로박테리움 라디오박터 (Agrobacterium radiobacter), 아조토박터 크로코쿰 (Azotobacter chrococcum), 아조스피릴룸 리포페룸 (Azospirillum lippoferum), 아조스피릴룸 브라실렌세 (Azospirillum brasilense), 아조스피릴룸 리포페룸 (Azospirillum lipoferum), 아조스피릴룸 이라켄세 (Azospirillum irakense), 아조스피릴룸 할로프라에페렌스 (Azospirillum halopraeferens), 바실루스 아밀로리퀴파시엔스 (Bacillus amyloliquifaciens), 바실루스 알티투디니스 (Bacillus altitudinis), 브라디리조비움 자포니쿰 (Bradyrhizobium japonicum), 브라디리조비움 엘카니이 (Bradyrhizobium elkanii), 바실루스 아시디셀러 (Bacillus acidiceler), 바실루스 아시디콜라 (Bacillus acidicola), 바실루스 아시디프로듀센스 (Bacillus acidiproducens), 바실루스 아에알리우스 (Bacillus aealius), 바실루스 아에리우스 (Bacillus aerius), 바실루스 아에로필루스 (Bacillus aerophilus), 바실루스 아가라드하에렌스 (Bacillus agaradhaerens), 바실루스 아이딘게미스 (Bacillus aidingemis), 바실루스 아키바이 (Bacillus akibai), 바실루스 알칼로필름 (Bacillus alcalophilm), 바실루스 알티투드미스 (Bacillus altitudmis), 바실루스 알지콜라 (Bacillus algicola), 바실루스 아조토포르만스 (Bacillus azotoformans), 바실루스 바디우스 (Bacillus badius), 바실루스 아티아브할타이 (Bacillus atyabhaltai), 바실루스 아사티 (Bacillus asahti), 바실루스 아트로파엠 (Bacillus atrophaem), 바실루스 코니이 (Bacillus cohnii), 바실루스 코아굴람 (Bacillus coagulam), 바실루스 코아후일렘 (Bacillus coahuilemls), 바실루스 플렉수스 (Bacillus flexus), 바실루스 피르무스 (Bacillus firmus), 바실루스 슈도피르무스 (Bacillus pseudofirmus), 바실루스 투린게네시스 (Bacillus thuringenesis), 바실루스 서브틸루스 (Bacillus subtillus), 바실루스 아자와이 (Bacillus aizawai), 바실루스 세레우스 (Bacillus cereus), 바실루스 시르쿨란스 (Bacillus circulans), 비. 시르쿠이안스 (B. circuians), 바실루스 서모락티스 (Bacillus thermolactis), 바실루스 쿠르스타키 (Bacillus kurstaki), 바실루스 렌티모르부스 (Bacillus lentimorbus), 바실루스 리체니포르미스 (Bacillus licheniformis), 바실루스 메가테리움 (Bacillus megaterium), 바실루스 미코이데스 (Bacillus mycoides), 바실루스 모자벤시스 (Bacillus mojavensis), 바실루스 무실라게노수스 (Bacillus mucillagenosus), 부콜데리아 세파시아 (Bukholderia cepacia), 바실루스 호리이 (Bacillus horii), 바실루스 후미 (Bacillus humi), 바실루스 폴리고니 (Bacillus polygoni), 바실루스 포필라에 (Bacillus popillae), 바실루스 푸밀루스 (Bacillus pumilus), 바실루스 스파에리쿠스 (Bacillus sphaericus), 바실루스 네아호니이 (Bacillus neahonii), 바실루스 미즘테미스 (Bacillus mizhmtemis), 바실루스 니아벤시스 (Bacillus niabensis), 바실루스 마시르티 (Bacillus macirti), 바실루스 폴리믹사 (Bacillus polymyxa), 바실루스 소노레미스 (Bacillus sonoremis), 바실루스 스포로텐른술루라 (Bacillus sporothenrnxlura), 바실루스 스트라토스페리쿠스 (Bacillus stratosphericus), 바실루스 서브테라네우스 (Bacillus subterraneus), 바실루스 타에아미스 (Bacillus taeamis), 바실루스 테퀼레미스 (Bacillus tequilemis), 바실루스 페르마마르크티큼 (Bacillus fhermamarcticm), 바실루스 서모아미보란스 (Bacillus thermoamyhvorans), 바실루스 서마클로아카에 (Bacillus thermacloacae), 바실루스 서모락티스 (Bacillus thermolactis), 바실루스 이히오파란스 (Bacillus ihioparans), 슈도모나스 플루오레센스 (Pesudomonas fluorescens), 슈도모나스 솔라나세아룸 (Pseudomonas solanacearum), 슈도모나스 시린가에 (Pseudomonas syringae), 슈도모나스 세파시아 (Pseudomonas cepacia), 아그로박테리움 라디오박터, 아조토박터 크로코쿰 (Azotobacter chroococcum), 아조스피릴룸 리포페룸, 페에니바실루스 아조토픽산스 (Peaenibacillus azotofixans), 페에니바실루스 두룸 (Peaenibacillus durum), 파스테리아 페네트란스 (Pasteuria penetrans), 리조비움 레구미노사룸 (Rhizobium leguminosarum), 리조비움 트로피시 (Rhizobium tropici), 부콜데리아 세파시아 (Bukholderia cepacia), 스트렙토마이세스 리디쿠스 (Streptomyces lydicus), 티오바실루스 티오옥시단스 (Thiobacillus thiooxidans) 및 티오바실루스 노벨루스 (Thiobacillus novellus)의 포자를 포함한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박테리아 포자는 전체 조성물의 0.1% 내지 50 중량%의 농도 범위로 존재한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박테리아 포자는 전체 조성물의 0.1% 내지 40 중량%의 농도 범위로 존재한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박테리아 포자는 전체 조성물의 0.1% 내지 30 중량%의 농도 범위로 존재한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박테리아 포자는 전체 조성물의 0.1% 내지 20 중량%의 농도 범위로 존재한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박테리아 포자는 전체 조성물의 0.1% 내지 10 중량%의 농도 범위로 존재한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박테리아 포자는 전체 조성물의 0.1% 내지 5 중량%의 농도 범위로 존재한다. 그러나,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른 박테리아 포자를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을 알 것이다. 상기 박테리아 포자 및 미생물은 상업적으로 제조되고 다양한 회사를 통해 입수가능하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수불용성 영양소 또는 조류 활성제의 수붕해성 과립 조성물에 포함되는 살충 활성제는 방오제, 유인제, 살곤충제, 살진균제, 제초제, 살선충제, 페로몬, 고엽제, 살비제, 식물 성장 조절제, 살조류제, 섭식저해제, 살조제, 살박테리아제, 조류 퇴치제, 생물농약, 살생물제, 화학불임제, 완화제, 곤충 유인제, 곤충 기피제, 곤충 성장 조절제, 포유동물 기피제, 교미 교란제, 소독제, 살연제, 항미생물제, 살비제, 살란제, 훈증제, 식물 활성제, 살서제, 협력제, 살바이러스제, 기피제, 미생물 살충제, 작물 보호제, 다른 다양한 살충 활성제, 또는 그의 염, 유도체 및 혼합물을 포함한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살충 활성제는 전체 조성물의 0.1% 내지 99 중량%의 농도 범위로 존재한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살충 활성제는 전체 조성물의 0.1% 내지 80 중량%의 농도 범위로 존재한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살충 활성제는 전체 조성물의 0.1% 내지 60 중량%의 농도 범위로 존재한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살충 활성제는 전체 조성물의 0.1% 내지 40 중량%의 농도 범위로 존재한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살충 활성제는 전체 조성물의 0.1% 내지 20 중량%의 농도 범위로 존재한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살충 활성제는 전체 조성물의 0.1% 내지 5 중량%의 농도 범위로 존재한다.
부가의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대량영양소는 적어도 하나의 탄수화물, 지방, 단백질, 섬유소, 산화방지제 및 그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다. 그러나,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른 대량영양소를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을 알 것이다. 상기 대량영양소는 상업적으로 제조되고 다양한 회사를 통해 입수가능하다.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수용해성 비료는 적어도 하나의 우레아, 황 기반 비료, 포스페이트 비료 예컨대 MAP, DAP, 칼리 (potash) 비료, 질소 비료, NPK 비료 또는 유도체, 그의 염, 복합체 및 혼합물로부터 선택된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수용해성 비료는 하나 이상의 페로스 술페이트, 마그네슘 술페이트, 망간 술페이트, 쿠퍼 술페이트, 소듐 몰리브데이트, 징크 술페이트, 붕산 또는 유도체, 그의 염, 복합체 및 혼합물을 포함한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수용해성 비료는 전체 조성물의 0.1% 내지 85 중량%의 농도 범위로 존재한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수용해성 비료는 전체 조성물의 0.1% 내지 75 중량%의 농도 범위로 존재한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수용해성 비료는 전체 조성물의 0.1% 내지 60 중량%의 농도 범위로 존재한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수용해성 비료는 전체 조성물의 0.1% 내지 45 중량%의 농도 범위로 존재한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수용해성 비료는 전체 조성물의 0.1% 내지 25 중량%의 농도 범위로 존재한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수용해성 비료는 전체 조성물의 0.1% 내지 10 중량%의 농도 범위로 존재한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수용해성 비료는 전체 조성물의 0.1% 내지 5 중량%의 농도 범위로 존재한다. 그러나,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른 수용해성 비료를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을 알 것이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살충 활성제 또는 조류 활성제의 수붕해성 과립 조성물에 포함되는 수불용성 영양소는 수불용성 비료 또는 미량영양소를 포함한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수불용성 영양소는 하나 이상의 수불용성 비료 및 하나 이상의 미량영양소 또는 그의 염 또는 그의 유도체 또는 복합체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수불용성 비료는 적어도 하나의 단일 영양소 비료, 다중-영양소 비료, 이진 비료, 복합 비료, 유기 비료, 그의 유도체 또는 혼합물을 포함한다. 그러나,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당분야에 알려져 있는 다른 비료를 이용할 수 있다는 것을 알 것이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수불용성 비료는 하나 이상의 질소, 인 및 칼륨 비료 또는 황 비료, 예컨대 원소 황이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미량영양소 형태의 수불용성 영양소는 미네랄 예컨대 붕소, 칼슘, 염소, 크롬, 코발트, 구리, 불소, 요오드, 철, 마그네슘, 망간, 몰리브덴, 인, 칼륨, 셀레늄, 실리콘, 나트륨, 아연, 또는 이들 미네랄의 염 또는 유도체를 포함한다.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또한 수불용성 영양소 또는 살충 활성제 또는 조류의 수붕해성 과립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수붕해성 과립 조성물은 분무 건조, 팬 펠렛화 (pan pelletizing), 응집, 압출 또는 압출후 구형화 (extrusion followed by spheronisation) 등과 같은 다양한 기술로 제조된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수붕해성 과립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수불용성 영양소 또는 살충 활성제 또는 조류, 물 및 적어도 하나의 농화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부형제의 블렌드를 분쇄하여 슬러리 형태와 같은 습식 믹스를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 다음에 수득된 습식 믹스는 미세 분말 또는 굵은 과립 또는 미립자를 수득하기 위해, 예를 들어 분무 건조기 또는 임의의 적절한 건조 장치에서 건조하였다. 상기 분말 또는 미세 과립 또는 미립자는 응집기에서 추가로 응집 처리하였다. 상기 응집기는 디스크 펠렛화기 또는 팬 과립기, 핀 응집기, 구형화기 (spheronizer), 또는 그의 조합과 같은 다양한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응집 방법은 원하는 특성을 갖는 과립을 생성하기 위해 사용된 응집 장치의 공급속도 및 순서로 제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분무 건조기로부터의 물질이 수용되면, 유동층 건조기에서 추가로 응집 처리할 수 있고, 그 다음에 상기 물질을 핀 응집기로 공급한다. 대안으로서, 분무 건조로부터의 물질을 유동층 건조기에서 추가로 건조하고, 그 다음에 스크류 또는 벨트 컨베이어를 통해 팬 과립기로 공급할 수 있다. 핀 응집기 및 디스크 펠렛화기 또는 팬 응집기는 Feeco와 같은 다양한 회사를 통해 입수가능하다. 결합제를 포함하는 물 또는 수성 현탁액이 (팬 과립화 중 또는 핀 응집 중에) 응집 단계에서 첨가될 수 있다. 상기 핀 응집기의 속도는 부드럽고, 낮은 벌크 밀도의 과립을 제공하기 위해 제어될 수 있다. 전형적으로, 상기 핀 응집기로부터 나오는 펠렛의 크기는 약 1 mm 이하이다.
상기 팬 과립기의 속도는 5 rpm 내지 100 rpm으로 제어될 수 있다. 전형적으로, 상기 속도는 5 내지 60 rpm으로 유지된다. 상기 팬 과립기의 각 (angle)은 과립 크기를 증가시켜서 이들이 보다 과립화하도록 조정될 수 있다. 전형적으로, 팬 과립기를 보다 낮은 속도로 실행하면 더 작은 크기의 거칠고, 느슨하게 패킹된 과립을 생성하였다. 팬 과립기에서 보다 높은 속도로 조성물을 가공하면 더 큰 밀도로 패킹된 거의 구형의 과립을 제공한다. 원하는 과립 크기, 내마모도, 경도, 및 벌크 밀도를 갖는 수득된 보다 큰 과립은 후속 유동층 건조기에서 추가적으로 건조 처리될 수 있다. 온도는 후속 유동층 건조기에서 조성물에 의존하여 35 C 내지 100 C로 유지될 수 있다. 상기 과립기에서 수득된 과립은 또한 임의의 잔류 수분을 제거하기 위해 야외에서 건조되거나 또는 공기 건조될 수 있다. 그러나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가공 또는 공정 파라미터를 변형 또는 변경 또는 변화시킬 수 있다는 것을 알 것이다. 수득된 수붕해성 과립 조성물은 0.1 mm 내지 6 mm, 바람직하게는 1 mm 내지 5 mm의 크기 범위이고, 0.1 미크론 내지 50 미크론 크기 범위의 입자를 포함한다. 수득된 수붕해성 과립은 적어도 1N의 경도 및 1.5 g/ml 미만의 벌크 밀도를 갖는다.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비료 조성물, 영양소 조성물, 식물 강화 조성물, 토양 개량 조성물 및 수확량 증진 조성물 중 적어도 하나로서 수불용성 영양소 또는 조류를 포함하는 수붕해성 과립 조성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식물 보호 조성물로서 살충제 활성 성분을 포함하는 수붕해성 과립 조성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또한 식물 건강을 향상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방법은 5% 내지 90 중량%의 농도 범위의 적어도 하나의 수불용성 영양소 또는 적어도 하나의 조류 및 적어도 하나의 농화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부형제를 포함하는 수붕해성 과립 조성물로, 적어도 하나의 식물, 식물 번식 물질, 종자, 묘목 또는 주변 토양을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과립은 0.1 mm 내지 6 mm의 크기 범위이고, 1.5 g/ml 미만의 벌크 밀도 및 적어도 1N의 경도를 갖는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또한 작물 또는 식물의 강화 (fortification)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방법은 적어도 0.1% 내지 95 중량% 농도 범위의 하나 이상의 수불용성 영양소 또는 적어도 하나의 조류 및 적어도 하나의 농화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부형제를 포함하는 수붕해성 과립 조성물을, 하나 이상의 식물, 식물의 나뭇잎 (foliage), 식물 번식 물질, 식물 또는 식물 번식 물질의 장소 (locus), 종자, 묘목, 토양 및 작물 주변에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조성물은 0.1 미크론 내지 50 미크론 크기 범위의 입자를 갖는, 0.1 mm 내지 6 mm의 크기 범위이고; 상기 과립은 1.5 gm/ml 미만의 벌크 밀도 및 적어도 1 뉴턴의 경도를 갖는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또한 적어도 0.1% 내지 95 중량% 농도 범위의 하나 이상의 살충제 활성 성분 및 적어도 하나의 농화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부형제를 포함하는 수붕해성 과립 조성물을, 하나 이상의 식물, 식물의 나뭇잎, 식물 번식 물질, 식물 또는 식물 번식 물질의 장소, 종자, 묘목, 토양 및 작물 주변에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작물 보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조성물은 0.1 미크론 내지 50 미크론 크기 범위의 입자를 갖는, 0.1 mm 내지 6 mm의 크기 범위이고; 상기 과립은 1.5 gm/ml 미만의 벌크 밀도 및 적어도 1 뉴턴의 경도를 갖는다.
상기 조성물은 다양한 방법을 통해 적용된다. 토양에 적용하는 방법은 임의의 적절한 방법을 포함하고, 이는 기계적 어플리케이터를 통한 브로드캐스팅 또는 수동, 고랑 적용 (furrow application)의 육모 상자 적용 (hand, nursery tray application), 토양 관주 (soil drenching), 토양 주입 또는 토양으로의 혼입 및 이러한 다른 방법에 의해 상기 조성물이 토양으로 침투하도록 보장한다.
상기 조성물의 적용 속도 또는 투여량은 사용 유형, 작물 유형 또는 조성물 중 특정 활성 성분에 의존하지만, 농화학적 활성 성분은 원하는 작용 (예컨대 영양소 흡수 식물 활력, 작물 수확량)을 제공하기에 유효한 양이어야 한다.
전형적으로, 상기 농업용 과립 조성물은 원하는 표적에 적용 때까지 영양소를 방출하지 않을 것이다. 대안으로서, 상기 조성물은 농화학적 영양소를 즉시 그리고 일정 시간에 걸쳐서 천천히 방출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A. 제조예
하기 예는 본 발명의 조성물의 기본 방법 및 다양성을 예시한다.
I. 다른 영양소 및 살충제를 함유하는 수붕해성 과립
Figure 112019127553951-pct00002
시료 I은 6 부의 산화철, 22 부의 나프탈렌 술포네이트 축합물 및 20 부의 소듐 리그노 술포네이트를 블렌딩하여 블렌드를 수득함으로써 제조되었다. 상기 수득된 블렌드를 분쇄하여 50 미크론 미만의 입자 크기의 분말을 수득하였다. 상기 분말을 적절한 혼합 장치에서 물과 혼합하여 고형물 함량 35% 내지 75%의 슬러리를 형성하였다.
상기 수득된 슬러리를 적절한 습식 그라인딩 장치에서 습식 분쇄하였다. 상기 수득된 습식 분쇄된 슬러리를 입구 온도 180℃ 미만 및 출구 온도 85℃ 미만으로 분무 건조하여 수분함량 10% 미만의 과립 분말을 수득하였다. 이와 같이 수득된 분무 건조된 분말을 유동층 건조기, 그 다음에 핀 응집기 및 팬 과립기에서 응집 처리하였다. 상기 팬 과립기의 속도를 약 35 rpm으로 유지하여, 시료 1의 농업용 과립 조성물을 수득하였다. 물을 응집 시에 혼입하였다. 그 다음에 수득된 과립을 후속 유동층 건조기에서 추가적으로 건조하여 약 70℃의 온도에서 잔류 수분을 제거하였다. 상기 조성물은 하기 입자 크기 분포를 갖는다: D10 0.7 미크론 미만; D50 4 미크론 미만 및 D90 10 미크론 미만. 상기 시료는 3.8 mm의 평균 과립 크기를 갖는다. 상기 조성물은 1.2 gm/ml의 벌크 밀도, 95%의 내마모도, 및 45 N의 경도를 갖는다. 상기 시료는 75 미크론의 체에서 2.3%의 습윤 체 보유값을 갖는다.
시료 II - V는 시료 1의 제조 방법에 따라 제조되었고, 상기 시료들은 산화철 및 다른 구성 성분을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은 농도로 포함한다.
II. 황 5% 내지 95% w/w를 함유하는 수붕해성 과립
구성성분 시료
I
시료
II
시료
III
시료
IV
시료
V
시료
VI
5 40 55 - 90 95
아족시스트로빈 - - - 13.5 - -
Zn 옥시드 - - 9.5 30 - -
후믹산 - - 9.5 - - -
술폰화 알킬카르복실레이트 나트륨염 22 - 12.5 25 4 3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페닐 에테르 - 8 - - - -
말토덱스트린 9 - - - - -
전분 2 11.5 - - 4 2
PVA 0.2 - 0.1 - - 0
고령토 61.8 40 8.4 31.5 2 0
스피룰리나 - - 5 - - -
전체 100 100 100 100 100 100
시료 I은 5 부의 황 활성 성분, 22 부의 술폰화 알킬카르복실레이트 나트륨염, 2 부의 전분, 9 부의 말토덱스트린 및 61.8 부의 고령토를 블렌딩하여 블렌드를 수득함으로써 제조되었다. 수득된 블렌드를 분쇄하여 50 미크론 미만의 입자 크기의 분말을 수득하였다. 상기 분말을 적절한 혼합 장치에서 물과 혼합하여 고형물 함량 35% 내지 75%의 슬러리를 형성하였다.
수득된 슬러리를 적절한 습식 그라인딩 장치에서 습식 분쇄하였다. 상기 수득된 습식 분쇄된 슬러리를 입구 온도 140℃ 미만 및 출구 온도 55℃ 미만으로 분무 건조하여 수분함량 10% 미만의 미립자 또는 과립 분말을 수득하였다. 이와 같이 수득된 분무 건조된 분말을 팬 과립기에서 응집 처리하여 시료 1의 농업용 과립 조성물을 수득하였다. 0.2 부의 폴리비닐 알콜을 응집 시에 혼입하였다. 상기 조성물은 하기 입자 크기 분포를 갖는다: D10 0.7 미크론 미만; D50 4 미크론 미만 및 D90 10 미크론 미만. 상기 시료는 2.8 mm의 평균 과립 크기, 1.1 g/c의 벌크 밀도 및 45N의 경도를 갖는다.
시료 II, V 및 VI은 시료 1의 제조 방법에 따라 제조되었고, 상기 시료는 황 활성 성분 및 다른 구성성분을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은 다양한 농도로 포함한다.
시료 III 및 IV는 또한 시료 1의 제조 방법에 따라 제조되었고, 상기 시료는 황 플러스 후믹산 및 산화아연 플러스 아족시스트로빈 각각과, 다른 구성성분을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은 다양한 농도로 포함하였다.
III. 황 50%-85% w/w 및 산화철/산화아연 10%-30%w/w를 함유하는 수붕해성 과립
구성성분 시료 I 시료 II 시료 III 시료 IV 시료 V
중량 %
50 55 70 80 85
산화철 30 3 - - 10
산화아연 - 9.5 15 5 -
바실루스 종 - - - 5 -
페놀 포름알데히드 축합물 10 15 15 9.8 3.1
소듐 리그노 술포네이트 5 8 - - 1.9
폴리비닐 피롤리돈 0 0.1 - 0.2 -
카올린 5 9.4 0 0 0
전체 100 100 100 100 100
시료 I은 50 부의 황 활성 성분, 30 부의 산화철, 10 부의 페놀 포름알데히드 축합물 및 5 부의 소듐 리그노 술포네이트를 블렌딩하여 블렌드를 수득함으로써 제조되었다. 상기 수득된 블렌드를 분쇄하여 50 미크론 미만의 입자 크기의 분말을 수득하였다. 상기 분말을 적절한 혼합 장치에서 물과 혼합하여 고형물 함량 35% 내지 75%의 슬러리를 형성하였다.
수득된 슬러리를 적절한 습식 그라인딩 장치에서 습식 분쇄하였다. 상기 수득된 습식 분쇄된 슬러리를 입구 온도 140℃ 미만 및 출구 온도 약 80℃로 분무 건조하여 수분함량 10% 미만의 미립자를 수득하였다. 이와 같이 수득된 분무 건조된 분말 또는 미립자를 유동층 건조기 및 핀 응집기에서 응집 처리하여 시료 1의 수붕해성 과립 조성물을 수득하였다. 수분 (물)을 응집 시에 혼입하였다. 상기 조성물은 하기 입자 크기 분포를 갖는다: D10 0.7 미크론 미만; D50 5 미크론 미만 및 D90 20 미크론 미만. 상기 조성물은 3 mm의 평균 과립 크기, 1.15 gm/ml의 벌크 밀도, 24N의 경도 및 87%의 내마모도를 갖는다. 상기 조성물은 75 미크론의 체에서 1.8%의 습윤 체 보유값을 갖는다.
시료 II-V는 시료 I의 제조 방법에 따라 제조되었고, 상기 시료는 황 활성 성분 및 다른 구성성분을 표 3에 기재된 바와 같은 농도로 포함한다.
IV. 페로스 술페이트, 쿠퍼 술페이트, 망간 옥시드, 붕산, 산화아연 및 황을 함유하는 수붕해성 과립
구성성분 시료 I 시료 II 시료 III
중량 %
망간 옥시드 3 - 8.2
산화아연 8.2 15.5 6.5
붕산 8.8 7.5 8.5
50 - 35
페로스 술페이트 11 15 8.5
쿠퍼 술페이트 4 - 4
소듐 몰리브데이트 - - 0.5
말토덱스트린 3 10.2 -
소듐 리그노술포네이트 10.6 33.2 10.6
폴리비닐 피롤리돈 0 0.2 -
카올린 1.4 18.4 18.2
전체 100 100 100
시료 I은 3 부의 망간 옥시드, 8.2 부의 산화아연, 8.8 부의 붕산, 50 부의 황, 11 부의 페로스 술페이트, 4 부의 쿠퍼 술페이트 및 10.6 부의 소듐 리그노 술포네이트, 3 부의 말토덱스트린, 1.4 부의 카올린을 블렌딩하여 블렌드를 수득함으로써 제조되었다. 상기 수득된 블렌드를 분쇄하여 50 미크론 미만의 입자 크기의 분말을 수득하였다. 상기 분말을 적절한 혼합 장치에서 물과 혼합하여 고형물 함량 35% 내지 75%의 슬러리를 형성하였다.
수득된 슬러리를 적절한 습식 그라인딩 장치에서 습식 분쇄하였다. 상기 수득된 습식 분쇄된 슬러리를 입구 온도 185℃ 미만 및 출구 온도 80℃ 미만으로 분무 건조하여 수분함량 10% 미만의 미립자 또는 분말을 수득하였다. 이와 같이 수득된 미립자 또는 분말은 유동층 건조기 및 핀 응집기에서 응집 처리하여 시료 1의 수붕해성 과립 조성물을 수득하였다. 수분 (물)을 응집 시에 혼입하였다. 상기 조성물은 하기 입자 크기 분포를 갖는다: D10 0.7 미크론 미만; D50 8 미크론 미만 및 D90 20 미크론 미만. 상기 조성물은 1 mm의 평균 과립 크기, 1.15 gm/ml의 벌크 밀도, 10 N의 경도 및 87%의 내마모도를 갖는다. 상기 조성물은 75 미크론의 체에서 1.8%의 습윤 체 보유값을 갖는다.
시료는 시료 1의 제조 방법에 따라 제조되었고, 상기 시료는 구성성분을 표 4에 기재된 바와 같은 농도로 포함하였다.
V. 조류를 함유하는 수붕해성 과립
Figure 112019127553951-pct00003
시료 I은 36.85 부의 클로렐라 불가리스 건조 바이오매스, 0.15 부의 1,2-벤즈이소티아졸린-3-온, 4.10 부의 말토덱스트린, 8.90 부의 전분, 12 부의 나프탈렌 술포네이트 축합물, 4.2 부의 소듐 리그노 술포네이트 및 23.8 부의 카올린을 블렌딩하여 블렌드를 수득함으로써 제조되었다. 상기 수득된 블렌드를 분쇄하여 50 미크론 미만의 입자 크기의 분말을 수득하였다. 상기 분말을 적절한 혼합 장치에서 물과 혼합하여 고형물 함량 35% 내지 75%의 슬러리를 형성하였다.
상기 수득된 슬러리는 적절한 습식 그라인딩 장치에서 습식 분쇄되었다. 상기 수득된 습식 분쇄된 슬러리를 입구 온도 160℃ 미만 및 출구 온도 75℃ 미만으로 분무 건조하여 수분함량 10% 미만의 과립 분말을 수득하였다. 이와 같이 수득된 분무 건조된 분말을 응집 처리하여 시료 1의 농업용 과립 조성물을 수득하였다. 상기 조성물은 하기 입자 크기 분포를 갖는다: D10 0.7 미크론 미만; D50 4 미크론 미만 및 D90 10 미크론 미만. 상기 조성물은 75 미크론의 체에서 2.8%의 습윤 체 보유값을 갖는다.
시료 II-VI은 시료 1의 제조 방법에 따라 제조되었고, 상기 시료는 활성 성분으로서 클로렐라 종 및 스피룰리나 종 및 다른 구성성분을 상기 표에 기재된 바와 같은 농도로 포함한다.
VI. 티아메톡삼 또는 아족시스트로빈 0.1% 내지 95% w/w를 함유하는 수붕해성 과립
구성성분 시료
I
시료
II
시료
III
시료
IV
티아메톡삼 - 40 0.9 -
아족시스트로빈 23 12 - 70
Zn 옥시드 9.8 - 40
우레아 - 5 20 7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페닐 에테르 5.5 - 2 -
리그닌 술포네이트 나트륨염 19.5 22 20 -
전분 - 2 1 9.2
폴리비닐 피롤리돈 0.5 - 0.2 -
클레이 41.7 19 15.9 13.8
전체 100 100 100 100
시료 I은 23 부의 아족시스트로빈 활성 성분, 9.8 부의 산화아연, 5.5 부의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페닐 에테르, 19.5 부의 소듐 리그닌 술포네이트 및 41.7 부의 클레이를 블렌딩하여 블렌드를 수득함으로써 제조되었다. 상기 수득된 블렌드를 분쇄하여 50 미크론 미만의 입자 크기의 분말을 수득하였다. 상기 분말을 적절한 혼합 장치에서 물과 혼합하여 고형물 함량 35% 내지 75%의 슬러리를 형성하였다.
수득된 슬러리를 적절한 습식 그라인딩 장치에서 습식 분쇄하였다. 상기 수득된 습식 분쇄된 슬러리를 입구 온도 170℃ 미만 및 출구 온도 85℃ 미만으로 분무 건조하여 수분함량 10% 미만의 과립 분말을 수득하였다. 이와 같이 수득된 분무 건조된 분말을 팬 과립기에서 응집 처리하여 시료 1의 농업용 과립 조성물을 수득하였다. 0.5 부의 폴리비닐피롤리돈을 응집 시에 혼입하였다. 상기 조성물은 하기 입자 크기 분포를 갖는다: D10 0.9 미크론 미만; D50 6 미크론 미만 및 D90 15 미크론 미만. 상기 시료는 3.8 mm의 평균 과립 크기, 1.2 g/ml의 벌크 밀도, 및 48N의 경도를 갖는다. 상기 조성물은 75 미크론의 체에서 2.5%의 습윤 체 보유값을 갖는다.
시료 II-IV는 시료 1의 제조 방법에 따라 제조되었고, 상기 시료는 활성 성분 및 다른 구성성분을 상기 표에 기재된 바와 같은 다양한 농도로 포함하였다.
수불용성 영양소의 수붕해성 과립의 물리적 특성 비교:
Figure 112019127553951-pct00004
Figure 112019127553951-pct00005
Figure 112019127553951-pct00006
Figure 112019127553951-pct00007
상기 표 7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라 제조된 황 90% 수붕해성 과립의 시료 C1은 경도를 나타내지 않는 WO2008084495 출원의 구현예에 따라 제조된 90% 황 수분산성 과립을 갖는 시료 C2와 비교하여, 40N의 경도를 가지며, 전형적으로 과립 크기가 약 0.5 mm 내지 2.5 mm 일때 49% 만큼 낮은 내마모도를 나타내었다.
50 그람의 각 조성물, C1, C2 및 C3을 500 ml의 물을 함유하는 컬럼에 부가하고, 교반 없이 유지하였다. 도 5는 C1 (컬럼 B)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황 90 과립 조성물, C2 (컬럼 C) WO2008084495에 따른 황 90 수분산성 과립, 및 C3 ( 컬럼 A) 황 벤토나이트 과립의 3개의 조성물들 사이의 비교를 나타내었다.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C2는 물과 접촉 시에 완전히 그리고 즉시 분산되었다.
도 6 - 11은 본 발명의 조성물 C1의 서방출 및 분산을 15분, 30분, 1시간, 2시간, 4시간 및 24시간에 걸쳐 보여주었다. 종래 기술의 과립인 C3은 붕해 또는 분산되지 않고, 영양소를 거의 방출하지 않았으며, 상기 컬럼은 사실상 24시간 후에도 맑은 용액인 것으로 관찰되었다.
90% 황 벤토나이트 펠렛을 갖는 시료 C3은 90% 황 수붕해성 과립을 갖는 시료 C1과 유사한 경도 및 내마모도를 가지며, 상기 종래 기술의 펠렛은 입자 크기가 매우 크고 분산성이 매우 떨어지며 현수성이 없어서 하기 표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필드 성능 (field performance)이 떨어지는 것이 관찰되었다. 이들 종래 기술의 펠렛은 상대적으로 붕해 시간이 낮은 것을 알 수 있으며, 이들은 기계적 교반에 의해서만 붕해되고 있다. 단독으로 남겨두면, 도 5 - 11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이들 벤토나이트 과립은 교반 없이 물의 컬럼으로 적용될 때, 몇 시간 또는 심지어 몇 일 동안 붕해되지 않았다. 이러한 조성물은 토양으로 적용되었을 때 이러한 문제는 훨씬 더 심각하다. 이들 종래 기술의 조성물은 토양이 충분한 수분을 갖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환경 폐기물이 생성되고, 이들 종래 기술의 펠렛은 필요할 때 자가-붕해 또는 분산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른 조성물 C1, C4, C6, C8, C10, C12, C13, C14, C15는 경도를 갖지 않는 종래 기술의 수분산성 과립 형태의 시료와 비교하여 우수한 경도를 나타내었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른 조성물은 또한 일정 기간에 걸쳐서 분산되고 천천히 붕해되었고, 종래 기술의 수분산성 과립 형태는 즉시 분산되었다.
술포아연 65% 황 + 18% 산화아연 벤토나이트 펠렛을 갖는 시료 C16은 황 70% + 산화아연 15% 수붕해성 과립을 갖는 시료 C1 만큼의 유사한 경도 및 내마모도를 갖지만, 이들 펠렛은 분산성이 매우 떨어지고, 현수성이 없어서 하기 표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이들의 필드 성능이 떨어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른 85% MAP (모노 암모늄 포스페이트) 및 10% 황 수붕해성 과립을 갖는 시료 C6은, 85% MAP 및 10% 황을 함유하지만, 펠렛 형태이고, 1.8 g/ml 만큼의 벌크 밀도를 나타내는 WO2016183685의 교시에 따라 제조된 시료 C7과 비교하여 1.09 g/ml의 벌크 밀도를 보이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종래 기술의 조성물 (시료 C7)은 Kahl 펠렛 분쇄기 (Kahl pellet mill)에서 압출 및 하드 프레스 과정을 통해 형성한다. 상기 시료 C7은 또한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른 시료 C6과 비교하여, 붕해 시간이 더 높았고, 사실상 분산성이나 현수성이 없었다.
필드 연구:
땅콩 생장 및 개발에 있어서 다양한 처리의 효능
땅콩 GG-24 품종의 처리를 위한 다양한 조성물을 평가하기 위해 인도 사바칸타 칸푸르 (Idar) 빌리지 (Kanpur, (Idar) village, Dist.-Sabarkantha, India)에서 시험을 실시하였다. 플롯 크기 (plot size)는 228 m2이다. 모든 권장되는 농업 관행이 준수되었다. 조성물은 수동 브로드캐스팅에 의해 적용되었다. 식물 높이, 식물당 가지의 수, 식물당 깍지 (pods)의 수, 수확량에 대한 관찰은, 적용 전 및 적용 후 30일, 60일 및 90일에 수행하였다. 최종 오일 함량을 측정하고 퍼센트 값으로 기록하였다. 식물 키는 복제 (replication)당 각 플롯으로부터 10개의 선택된 식물로부터 기록하였다. 가지의 수는 복제당 각 플롯으로부터 10개의 선택된 식물로부터 기록하였다. 깍지의 수는 복제당 각 플롯으로부터 10개의 선택된 식물로부터 기록하였다. 수확량은 각 플롯으로부터 기록하고, t/ha로 변환하였다. 식물에서 황 및 아연 흡수 함량을, 적용 후에 30일, 60일 및 90일에 관찰 기록하였다. 관찰 결과를 하기에 기재된 바와 같이 기록하였다:
Figure 112019127553951-pct00008
식물이 이용가능한 황 및 아연 함량
[표 8A]
Figure 112019127553951-pct00009
상기 표로부터 관찰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라 제조된 황 70% + 산화아연 15% 수붕해성 과립에 의한 처리 1은, WO2012131702의 구현예에 따라 제조된 황 70% + 산화아연 15% 수분산성 과립에 의한 처리 2와 비교하여, 적용 후 30일, 60일 및 90일에 식물 높이가 증가되는 것을 보일 뿐만 아니라, 식물당 가지화 (branching) 및 페깅 (pegging) 수가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모든 처리에서 적용된 황 및 산화아연의 양이 동일함에도, 적용 후 90일에, 처리 1에 의해 식물 높이는 처리 2와 비교하여 12.64% 더 크고, 식물당 가지의 수는 13.4% 더 큰 것으로 관찰되었다.
상기 표로부터 관찰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른 황 70% + 산화아연 15% 수붕해성 과립에 의한 처리 1은, WO2012131702의 구현예에 따른 황 70% + 산화아연 15% 수분산성 과립에 의한 처리 2와 비교하여, 적용 후 60일 및 90일에, 땅콩 깍지 (pod) 수가 각각 12.8% 및 8% 증가하였다. 처리 1은 또한 처리 2와 비교하여 전체 식물 수확량 및 밀짚 수확량의 증가를 보였다. 처리 1의 적용은 사실상 처리 2와 비교하여 수확 시에 식물 수확량의 6.45% 증가 및 밀짚 수확량의 7.6% 증가를 보이는 것이 놀랍게도 관찰되었다. 이러한 놀라운 결과는 땅콩이 파종 (sowing) 후 최대 75일까지 아연을 필요로 하고, 본 발명의 조성물 (처리 1)은 황과 아연을 즉시 뿐만 아니라 지속적으로 제공하여 깍지가 더 발달하고 수확량이 더 많아진다는 사실에 기인할 수 있다.
WO2012131702의 교시에 따른 황 및 아연의 수분산성 과립 조성물에 의한 처리 2는 즉시 이용가능한 활성제만을 제공하는 반면,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른 처리 1의 수붕해성 과립 조성물에 의한 놀랍게도 개선된 식물당 가지화, 깍지의 수 또는 수확량의 유의한 증가는 작물 생활주기의 전체 기간 동안 영양소의 즉각적이고 지속적인 이용가능성에 기인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그러므로, 놀라운 결과는 본 발명의 수붕해성 과립 조성물의 개선된 경도와 함께 적당한 분산성 및 현수성에 기인하고, 이에 의해 처리 3의 조성물 (표 7의 시료 C5)과 비교하여 처리 1의 조성물 (표 7의 시료 C4)은 영양소를 즉시 그리고 지속적으로 방출하도록 한다.
또한, 술포아연 (65% 황 + 18% 산화아연 벤토나이트 펠렛)에 의한 처리 3의 조성물과 비교하여, 상기 처리 3을 1 에이커당 8 kgs 만큼의 높은 투여량으로 적용할 때, 황 70% + 산화아연 15% 수붕해성 과립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른)을 함유하는 처리 1의 조성물에 의해 식물당 땅콩 깍지의 수 및 전체 수확량의 증가가 처리 1의 조성물을 1 에이커당 4 kgs 만큼의 낮은 투여량으로 적용할 때조차도, 놀랍게도 더 높다는 것이 발견되었다. 처리 2의 조성물 (표 7의 시료 C5)과 비교하여 처리 1의 수붕해성 과립 조성물 (표 7의 시료 C4)의 입자 크기, 낮은 습윤 체 보유값 및 분산성이 놀라운 결과에 대한 원인이라고 말할 수 있다.
또한, 90 % 황 벤토나이트 파스틸지를 6kg/에이커의 투여량으로 적용하고 33% ZnSO4를 6 kg/에이커의 투여량으로 적용하는 조성물 90% 황 벤토나이트 파스틸지 + 33% ZnSO4를 포함하는 처리 5의 조성물과 비교하여, 황 70% + 산화아연 15% 수붕해성 과립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른)을 함유하는 처리 1의 조성물에 의한 식물 당 땅콩 깍지의 수 및 전체 수확량의 증가는 처리 1의 조성물을 1에이커당 4 kgs 만큼 낮은 투여량으로 적용할 때 조차도, 예상치 못하게 더 높은 것으로 관찰되었다.
상기 표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른) 황 70% + 산화아연 15% 아연 수붕해성 과립에 의한 처리 1은 WO2012131702의 교시에 따라 제조된 황 70%+산화아연 15% 수분산성 과립에 의한 처리 2와 비교하여, 적용 후 30일, 60일 및 90일에 땅콩 중 아연 및 황 함량이 유의하게 보다 높은 것을 보였다. 사실상 처리 1의 적용은 처리 2와 비교하여 적용 후 90일에 황 함량의 16% 증가 및 아연 함량의 14% 증가를 보였다. 처리 2의 조성물이 또한 동일한 농도의 황 및 아연을 함유할 때 결과는 예상치 못한 놀라운 것이며, 그 차이는 본 발명의 조성물로부터 적절한 단계에서 작물이 영양소를 느리지만 지속적으로 이용 가능하다는 것에 기인한다. 또한 이러한 놀라운 결과는 본 발명의 개선된 형태에 기인한 것으로, 이에 따라 상기 수붕해성 과립은 도 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포장 및 운송 후에 미세한 더스트 입자로 쉽게 부서져서, 이에 의해 그의 효능이 떨어지는 결과를 초래하는 처리 2의 수분산성 과립과 비교하여 향상된 내마모도 및 경도를 나타낸다. WO2012131702 출원에 따른 황 70%+산화아연 15% 수분산성 과립의 수분산성 과립 조성물에 의한 처리 2는 활성제의 즉각적인 흡수를 제공하여, 상기 영양소는 이후 작물 단계 중에 이용가능하지 않으며, 반면에 본 발명의 수붕해성 과립 조성물 (처리 1)은 작물 생활주기의 전체 기간 동안 영양소의 즉각적이고 지속적인 이용가능성을 제공하여, 종래 기술의 조성물보다 놀라운 결과를 보여주는 것이 다시 한번 관찰되었다.
또한, 식물의 황 및 아연 흡수는 술포아연 (65% 황 + 18% 산화아연 벤토나이트 펠렛)에 의한 처리 4의 조성물과 비교하여, 처리 4를 보다 높은 투여량으로 적용할 때 조차도, 처리 1의 조성물에서 보다 높은 것으로 관찰되었다. 처리 4의 조성물 (표 7의 시료 C16)과 비교하여 처리 1의 수붕해성 과립 조성물 (표 7의 시료 C4)의 개선된 입자 크기 및 증진된 현수성 및 분산성으로 상기 표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처리 1에 의한 황 및 아연의 흡수 개선을 초래하였다.
땅콩 수확량 및 수확량 파라미터에 있어서 다양한 처리의 효능
[표 8B]
Figure 112019127553951-pct00010
[표 8C]
Figure 112019127553951-pct00011
상기 표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른 황 90% 수붕해성 과립에 의한 처리 1은 WO2008084495 출원의 구현예에 따른 황 90% 수분산성 과립에 의한 처리 2와 비교하여, 적용 후 30일, 60일 및 90일에 식물 높이가 증가되었을 뿐만 아니라 적용 후 60일 및 90일에 식물당 가지화 및 페깅의 수가 증가하고 식물당 땅콩 깍지 수의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처리 1에 의한 식물 높이는 처리 2와 비교하여 적용 후 60일 및 90일에 11.4 % 및 14.11% 더 높은 것이 관찰되었다. 처리 2의 조성물이 또한 동일한 농도 즉 90%의 황을 함유하고 입자 크기 분포가 처리 1의 농업용 과립 조성물과 유사하기 때문에 이러한 결과는 놀랍게도 양호하고 예상치 못한 것이다.
처리 1은 또한 처리 2와 비교하여 전체 식물 중량, 식물 수확량 및 밀짚 수확량의 향상된 증가를 보였다. 놀랍게도, 처리 1의 적용은 처리 2와 비교하여 사실상, 수확시 식물 중량의 13.46% 증가, 전체 수확량의 11.99% 증가 및 밀짚 수확량의 13.23% 증가를 보이는 것이 관찰되었다. WO2008084495의 구현예에 따른 황의 수분산성 과립 조성물에 의한 처리 2는 활성제의 즉시 흡수를 제공하여, 효과가 연장되지 않는 반면에, 본 발명의 수붕해성 과립 조성물 (처리 1)은 작물 생활주기의 전체 기간 동안 영양소의 지속적인 이용가능성을 제공하여, 이에 의해 종래 기술의 조성물에 대한 보다 높은 수확량과 같은 놀라운 결과를 보여주었다고 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른 처리 1의 조성물에 의한 식물당 땅콩 깍지의 수 및 전체 수확량의 증가는, 90% 황 벤토나이트 파스틸지를 포함하고, 8 kgs/에이커 만큼 높은 투여량으로 적용되는 처리 4의 조성물과 비교하여, 처리 1의 조성물이 1 에이커당 4 kgs 만큼 낮은 투여량으로 적용될 때 조차도 예상치 못하게 높은 것으로 관찰되었다. 처리 3의 조성물 (표 7의 시료 C3)과 비교하여 처리 1의 수붕해성 과립 조성물 (표 7의 시료 C1)의 선택된 입자 크기 분포 및 증진된 현수성 및 분산성은 상기 표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처리 3과 비교하여, 식물 높이, 식물당 가지 또는 깍지의 수뿐만 아니라 수확량에 있어서, 처리 1에 의한 개선된 필드 효능에 기인하였다.
상기 표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른 황 90% 수붕해성 과립에 의한 처리 1은 WO2008084495 출원의 구현예에 따른 황 90% 수분산성 과립에 의한 처리 2와 비교하여 적용 후 30일, 60일 및 90일에 땅콩에서 황 함량이 유의하게 더 높았다. 처리 1 이후에, 처리 2와 비교하여, 적용 후 30일, 60일 및 90일에 황 함량이 각각 12%, 14% 및 10% 증가한 것을 볼 수 있다.
또한, 90% 황 벤토나이트 파스틸지를 포함하고 8 kgs/에이커 만큼 높은 투여량으로 적용되는 처리 4의 조성물과 비교하여,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른 처리 1의 조성물에 의한 황 흡수 증가는 처리 1의 조성물이 1 에이커당 3 kgs 만큼 낮은 투여량으로 적용될 때 조차도, 예상치 못하게 더 높은 것으로 관찰되었다. 처리 3의 조성물 (표 7의 시료 C3)과 비교하여 처리 1의 수붕해성 과립 조성물 (표 7의 시료 C1)의 개선된 입자 크기 분포 및 증진된 현수성 및 분산성으로 상기 표로부터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처리 1에 의한 황의 흡수를 향상시킬 수 있다.
종래 기술의 조성물과 비교하여, 전체 작물 지속기간을 통해 계류 중인 출원의 구현예에 따라, 처리 1의 30, 60 및 90일에 식물 시료 중 황 함량이 보다 높으면 영양소의 즉각적이고 지속적인 이용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땅콩 오일 함량에 있어서 다양한 처리의 효능
[표 8D]
Figure 112019127553951-pct00012
상기 표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른 산화아연 15.5% + 붕산 7.5% + 페로스 술페이트 15% 수붕해성 과립에 의한 처리 1은, 산화아연 15.5% + 붕산 7.5% + 페로스 술페이트 15% 액체 미량영양소에 의한 처리 2와 비교하여, 땅콩 오일 함량에서 12.7%의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특히 놀라운 것이고, 상기 표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후기 단계 동안 작물이 영양소의 이용가능성이 감소되고 결국 효능이 떨어지는 처리 2의 조성물에 대해, 적절한 단계에서 영양소를 작물로 즉시 그리고 지속적으로 제공하는 본 발명의 조성물의 형태에 기인할 수 있다.
논 수확량 및 수확량 파라미터에 있어서 다양한 처리의 효능
Bodi (Punjab-S)의 Mahij (Bareja) 빌리지의 다양한 논에서 상이한 처리의 평가를 통해 필드 시험을 수행하였다. 플롯 크기는 7.5X3.5=26.25 sqm이다. 모든 권장되는 농업 관행을 준수하였다. 본 발명 및 종래 기술의 구현예에 따른 조성물의 과립은 수동 브로드캐스팅에 의해 적용되었다. 식물 높이, 틸러 (tillers)/식물의 수, 잎 색상, 뿌리 길이, 이삭 길이 (Panicle length)에 대한 관찰은 적용 후 30일, 60일 및 85일에 수행되고, 그레인/이삭의 수, 생물학적 수확량, 그레인 수확량 및 밀짚 수확량을 측정하였다. 토양 중 황 및 아연 함량뿐만 아니라 식물에 의한 황 및 아연의 흡수를 측정하였다. 이삭 길이는 복제당 각 플롯으로부터 10개의 선택된 이삭으로부터 기록하였다. 생물학적 수확량, 그레인 수확량 및 밀짚 수확량은 복제당 각 플롯으로부터 기록하고, t/ha로 변환하였다.
관찰 결과를 하기에 기재된 바와 같이 기록하였다:
일련번호 처리 용량
kg /에이커
이삭 길이 ( cms ) 생물학적 수확량 (t/ha) 그레인 수확량 (t/ha) 밀짚 수확량
(t/ha)
60 DAA 85 DAA 수확시
1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른) 황 70% + 산화아연 15% 수붕해성 과립 4 18.75 20.52 9.50 3.69 6.11
2 WO2012131702의 구현예에 따라 제 조된 황 70% + 산화아연 15% 수분산성 과립 4 17.70 18.10 8.20 3.38 5.52
3 술포아연 - 황 65% 및 아연 18% 파스틸지 8 15.45 17.15 7.20 2.66 4.54
4 90 % 황 벤토나이트 파스틸지+33% ZnSO4 10+10 17.70 17.00 7.47 2.84 4.64
5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른 85% MAP 및 10% 황 수붕해성 과립 4 17.85 19.72 10.75 3.02 4.87
6 WO2016183685의 구현예에 따른 85% MAP 및 10% 황 펠렛 4 14.48 16.45 7.89 2.65 4.21
7 처리되지 않은 대조군 - 14.35 14.48 6.30 2.39 4.01
상기 표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른 황 70% + 산화아연 15% 수붕해성 과립 조성물에 의한 처리 1은, WO2012131702의 구현예에 따라 제조된 황 70% + 산화아연 15% 수분산성 과립에 의한 처리 2와 비교하여 적용 후 60일 및 85일에 각각 논의 이삭 길이의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처리 1은 또한 처리 2와 비교하여 논에서 생물학적 수확량 및 밀짚 수확량의 양호한 증가를 보였다. 사실상, 처리 1은 처리 2와 비교하여 적용 후 85일에 이삭 길이의 13.37% 증가를 보였다. 처리 1은 또한 처리 2로 수득된 수확량과 비교하여, 생물학적 수확량의 15.85% 증가 및 그레인 수확량 및 밀짚 수확량의 약 9-10% 증가를 보였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영양소의 적절한 방출을 제공하고 적절한 단계에서 이를 작물이 이용가능하게 한다고 말할 수 있다.
또한, 당분야에 알려져 있는 황 65% 및 아연 18% 파스틸지를 함유하는 술포아연에 의한 처리 3은, 처리 3의 조성물이 처리 1의 조성물이 적용되는 투여량의 2배인, 1 에이커당 8 kgs으로 적용될 때 조차도, 처리 1과 비교하여 이삭 길이뿐만 아니라 수확량의 증가가 떨어지는 것을 보여주었다.
90 % 황 벤토나이트 파스틸지가 10kg/에이커의 투여량으로 적용되고 33% ZnSO4가 10kg/에이커의 투여량으로 적용되는 90% 황 벤토나이트 파스틸지 + 33% ZnSO4의 탱크 믹스 (tank mix) 조성물을 포함하는 처리 4의 조성물과 비교하여,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른) 황 70% + 산화아연 15% 농업용 과립 조성물을 포함하는 처리 1의 조성물에 의한 이삭 길이 및 수확량의 증가가, 처리 1의 조성물을 1 에이커당 4 kgs 만큼의 낮은 투여량으로 적용될 때 조차도, 예상치 못하게 높게 발견되었다.
또한,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른 85% MAP 및 10% 황 수붕해성 과립의 조성물에 의한 처리 5의 조성물에서 관찰되는 이삭 길이 및 수확량의 증가는 WO2016183685의 구현예에 따른 85% MAP 및 10% 황 펠렛을 포함하는 처리 6의 조성물과 비교하여 예상치 못하게 높은 것으로 관찰되었다. 사실상, 처리 5는 WO2016183685의 구현예에 따라 제조된 처리 6의 조성물과 비교하여 그레인 수확량의 13.96% 증가 및 밀짚 수확량의 15.67% 증가를 보였다. 처리 5의 조성물이 수붕해성 과립 형태이고 이에 따라 상기 조성물은 처리 6의 조성물 (종래 기술)보다 낮은 벌크 밀도 및 낮은 진밀도를 나타내는 것을 제외하고, 처리 5의 조성물의 활성제 농도가 처리 6의 조성물의 활성제 농도와 동일하게 포함할 때 이러한 결과는 놀라운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처리 5의 조성물은 더 낮은 벌크 밀도 및 더 낮은 진밀도로 인해 더 느슨하게 패킹되고 영양소를 더 서서히 방출한다.
옥수수 수확량 및 다른 식물 파라미터에 있어서 다양한 처리의 효능
옥수수 Kohinoor Delux (Bisco bio science)의 처리를 위해 Laxmanpura (Idar) 빌리지에서 상이한 처리의 평가를 위해 필드 시험을 수행하였다. 플롯 크기는 54 m2이다. 모든 권장되는 농업 관행이 준수되었다. knapsack 분무기의 도움으로 각 처리의 단일 분무를 적용하였다. 식물 높이, 잎 색상, 옥수수 알/식물의 수, 옥수수 알 길이, 커넬 열 (kernel row)/옥수수 알의 수, 커넬/열, 옥수수 알 중량, 그레인 중량, 식물 중량 및 수확량에 대한 관찰은 적용 전과 적용 후 30일 및 60일에 수행되었다. 결과는 하기 표에 기재되어 있다:
Figure 112019127553951-pct00013
상기 표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1 ha 당 약 10 kg의 용량의,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른 55% 황+ 9.5% 산화아연 + 3% 산화철 기반 수붕해성 과립에 의한 처리 1은 동일한 적용 투여량의 수분산성 과립 형태의 동일한 조성물에 의한 처리 3과 비교하여 옥수수의 전체 식물 중량, 그레인 수확량 및 사일리지 수확량의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사실상, 상기 그레인 수확량 증가는 처리 4와 비교하여 처리 2에 의해 10.79% 더 높은 것으로 관찰되었다. 또한 옥수수 알 길이는 처리 4와 비교하여 처리 2에 의해 15.8 % 더 높은 것을 볼 수 있다.
또한 옥수수에서 헥타르당 약 10 kg의 용량의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른 55% 황+ 9.5% 아연+ 3% 철+ 2.5% 실리콘 디옥시드 기반 수붕해성 과립에 의한 처리 2를 동일한 적용 투여량의 수분산성 과립 형태의 동일한 조성물에 의한 처리 4와 비교하였다. 처리 3은 처리 6과 비교하여 옥수수 알 길이의 13% 증가 및 그레인 수확량의 9.84% 증가를 보였다.
영양소의 즉각적인 방출 및 흡수를 위한 전환을 제공하는 처리 3 및 4는 장기간에 걸쳐서 영양소를 제공하지 않았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처리 1 및 2의 놀라운 결과는 경도 및 미세 입자 크기를 포함하는 형태에 기인하며, 구체적으로 결과적으로 작물 주기 동안 영양소의 즉각적이고 지속적인 방출을 제공하였다.
관찰된 우수한 결과는 먼저 붕해된 다음에 활성제를 방출하고 구성성분을 상기 식물에 작물 생활주기의 더 긴 지속기간 동안 용이하게 이용가능하게 하는 수붕해성 과립 조성물의 즉각적인 연속 방출 기전에 의한 것이다. 한편, 종래 기술의 수분산성 과립 조성물은 용이하게 분산되지만, 지속적으로 장기간 동안 방출되어 놀라운 수확량 증진을 초래하는 수붕해성 과립 조성물과 비교하여 단기간 동안만 활성제를 방출한다.
조류 활성제의 수붕해성 과립의 물리적 특성 비교:
조성물 벌크 밀도 g/ml 경도 붕해 시간 (분) 내마모도 과립 크기
mm
평균입자 크기 분산성% 현수성 % 습윤 체 진밀도
C21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른 스피룰리나 50% 과립) 0.46 22.6N 20 분 89% 1.5 - 4.00 12.5 70 25 1.9 1.41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른 C22 클로렐라 50% 과립 0.86 30.1N 85 분 0.72 2.5 - 5 15.16 30.2 41.5 2.5 1.86
C23 순수 스피룰리나 분말 0.57 NA NA NA .1 mm 50-100 75.1 66.8 5.3 1.34
C24 순수 클로렐라 분말 0.58 NA NA NA 0.1 50 - 120 57.5 33.6 8.5 1.21
WO2016113665에 따른 C25 스피룰리나 50% 코팅된 과립 1.6 9N 115 분 0.62 2.5-6 >100 미크론 분산되지 않음 NA 80 2.7
상기 표로부터,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라 제조된 스피룰리나 50%를 갖는 시료 C21 및 클로렐라 50% 수붕해성 과립을 갖는 C22는, 경도나 내마모도가 전혀 없는 스피룰리나 분말 (상업적 산물)인 시료 C23 및 클로렐라 분말 (상업적 산물)인 C25와 비교하여, 놀랍게도 내마모도 89% 및 72% 및 경도 22.6 N 및 30.1N으로 더 높은 것을 볼 수 있다.
또한, WO2016113665에 따라 제조된 50% 스피룰리나의 과립이고, 상기 스피룰리나가 제1 코팅 물질로 사용되어 제올라이트 과립 (물질) 상에 알루미늄 실리케이트의 코트 및 외부 코팅 (미세 실리카)과 함께 변형가능한 코어를 형성할 수 있는 시료 C25는 경도 9 N, 내마모도 62%, 습윤 체 보유값 80% (75 미크론의 체에서)를 나타내고 전혀 분산되거나 현탁되지 않았고,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라 제조된 스피룰리나 50% 수붕해성 과립은 경도 22.6N, 내마모도 89%, 습윤 체 보유값 1.9% (75 미크론의 체에서) 및 양호한 분산성 및 현수성를 나타내었다. 붕해 테스트를 적용하여, 종래 기술의 과립은 교반되어 이들이 천천히 분해된다. 그러나, 벤토나이트 과립 (도 5 및 6의 시료 A)과 유사하게, 이들 종래 기술의 과립 (시료 C25)은 본 발명의 수붕해성 과립과 비교하여, 수 시간에 걸쳐 분산되거나 현탁되지 않아서, 결국 필드 성능이 떨어지게 된다.
필드 연구:
옥수수 Hightech variety (Sona company)의 처리를 위해 다양한 조성물을 평가하기 위해 인도 Dist.-Sabarkantha Choriwad (Idar) 빌리지에서 시험을 수행하였다. 플롯 크기는 3828 m2이다. 모든 권장되는 농업 관행이 준수되었다. 구현예에 따른 조성물,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한 조류 산물 및 종래 기술의 과립을 수동 브로드캐스팅에 의해 적용하였다. 식물 높이 (적용 후 30일, 60일 및 90일에), 커넬/열의 수, 옥수수 알 중량, 그레인 중량, 식물 중량, 커넬 중량 및 수확량에 대한 관찰이 수행되었다. 평가는 하기와 같이 수행되었다:
식물 높이는 복제당 각 플롯으로부터 10개의 선택된 식물로부터 기록하였다. 옥수수 알의 수는 복제당 각 플롯의 15개의 선택된 식물로부터 수확시에 기록하였다. 옥수수 알 중량은 복제당 각 플롯으로부터 15개의 선택된 식물로부터 기록하였다. 커넬의 수는 복제당 각 플롯으로부터 15개의 선택된 식물로부터 계수하였다. 그레인 중량은 복제당 각 플롯으로부터 15개의 선택된 식물로부터 기록하였다. 총 식물 중량은 복제당 각 플롯으로부터 1 sqm 면적으로부터 기록하였다. 100개의 커넬 중량은 복제당 각 플롯으로부터 100개의 커넬로부터 기록하였다. 그레인 수확량은 복제당 각 플롯으로부터 1 sqm 면적으로부터 기록하고, q/ha로 변환하고, 처리되지 않은 대조군과 비교하였다.
쉘링 (Shelling) %는 하기 식으로 산출되었다.
Figure 112019127553951-pct00014
옥수수 생장 및 개발에 있어서 다양한 처리의 효능
처리
번호
조성물 상세 제제 용량
gm 또는 ml/ha
식물 높이 (cm) 옥수수 알 중량 (gm) 커넬 /열의 수 그레인 중량 (gm)/옥수수 알 쉘링 %
30 DAA 60 DAA 90 DAA
T1 C21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른 스피룰리나 50% 과립) 3000 199.80 230.03 255.07 168.13 34.88 135.60 80.65
T2 C22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른 클로렐라 50% 과립) 3000 198.13 229.50 254.17 167.63 34.07 134.88 80.46
T3 C23 (스피룰리나 분말 (상업적 산물)) 1500 195.45 227.43 252.15 164.24 33.27 131.03 79.77
T4 C24 (클로렐라 분말-상업적 산물) 1500 194.33 226.78 250.97 163.75 32.58 130.41 79.63
T5 C25 (WO 2016 113665에 따른 스피룰리나 50% 코팅된 과립) 3000 192.21 227.56 248.98 162.9 32.19 130.11 79.87
T6 WSF (19-19-19) 7500 196.53 226.80 250.60 165.86 32.93 131.35 79.19
T7 대조군 - 190.33 219.23 246.53 159.92 31.87 128.14 80.12
상기 표로부터 관찰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라 제조된 수붕해성 과립에 의한 처리 1 및 2는, WO2016113665에 따라 제조된 스피룰리나 분말 (상업적 산물), 클로렐라 분말 (상업적 산물) 및 스피룰리나 50% 과립에 의한 처리 3, 4 및 5와 비교하여, 적용 후 30일, 60일 및 90일에 식물 높이 증가를 나타내고, 또한 옥수수 알 중량, 커넬의 수, 그레인 중량 및 쉘링 퍼센트 증가를 나타내었다. 처리 1과 동일한 농도의 조류를 함유하는 처리 5의 조성물로 관찰된 불량한 결과는 표 11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이들 조성물의 불량한 분산성, 현수성 및 매우 다양한 입자 크기의 결과일 수 있고, 결과적으로 이들 영양소를 작물이 감소되고 단기간 동안 이용가능하여 효능 감소를 초래하였다.
또한, 처리 1 (3000 g/ha) 및 2 (3000g/ha)는 7500 g/ha의 화학 비료 WSF (19-19-19)와 비교하여 개선된 생장을 보여주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옥수수 수확량 및 수확량 파라미터에 있어서 다양한 처리의 효능
처리 번호 조성물 상세 제제 용량
gm 또는 ml/ha
전체 식물 중량 (kg/sqm) 100개의 커넬 중량 (gm) 그레인 수확량 (q/ha)
T1 C21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른 스피룰리나 50% 과립) 2250 2.624 27.80 141.35
T2 C22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른 클로렐라 50% 과립)
3000 2.538 26.59 142.38
T3 C23 (스피룰리나 분말 (상업적 산물)) 1500 2.469 25.86 136.60
T4 C24(클로렐라 분말 - 상업적 산물) 1500 2.421 23.68 134.52
T5 C25 (WO 2016 113665에 따른 스피룰리나 50% 코팅된 과립) 3000 2.402 24.93 133.9
T6 WSF (19-19-19) 7500 2.417 25.87 136.45
T7 대조군 - 2.242 23.02 128.95
상기 표로부터 관찰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라 제조된 수붕해성 과립에 의한 처리 1 및 2는 스피룰리나 분말 (상업적 산물), 클로렐라 분말 (상업적 산물)에 의한 처리 3 및 4와 비교하여 수확량 개선 퍼센트는 각각 3.4% 및 5.8%를 보여주었다. 처리 1은 또한 놀랍게도 처리 5보다 수확량이 5.5% 더 높았다.
살충 활성제의 물리적 특성의 비교:
시료 조성물 상세 벌크 밀도 (g/mL) 경도 (뉴턴) 붕해 시간 (분) 내마모도
과립 크기
(mm)
평균 입자 크기 (미크론)
(D50)
분산성
(%)
현수성 75 미크론의 체에서 습윤 체 보유값 (%) 진밀도 (g/cm3)
C26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른 0.4% 클로란트라닐리프롤 수붕해성 과립 1.2 32.4 12 95 2.5-4.00 45 42.2 36.1 19 2.2
C27 0.4% 클로란트라닐리프롤 GR (종래 기술의 모래 과립) 1.04 N.A. 너무 미세함 붕해되지 않음 99 2.0-3.0 250 - 840 미크론 1.38% 0.8% 35 2.57
C28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른 카르복신 37.5% + 티람 37.5% 수붕해성 과립 0.90 30.3 9 88 2.5-4.5 11 48.2 39.8 5.1 1.92
C29 카르복신 37.5% + 티람 37.5% WP (Vitavax) 1.4 N.A N.A 5.5 N.A. 7 41.5 31.6 1.9 1.85
살충 활성제를 포함하는 수붕해성 과립 조성물의 생물효능:
다양한 투여량의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라 0.4% 클로란트라닐리프롤 (Chlorantraniliprole) 수붕해성 과립의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인도 Haryana state, Karnal district의 논에서 시험을 수행하였다. 상기 실험은 또한 비교를 위해 0.4% 클로란트라닐리프롤 GR (종래 기술의 모래 과립)뿐만 아니라 처리되지 않은 대조군을 사용하여 수행되었다. 무작위 블록 설계를 따르고, 모든 처리에 대해 균일하게 모든 농경학적 관행을 준수하면서 처리를 수행하였다.
논에 이식하고 30일 후에 조성물을 브로드캐스팅에 의해 처리를 수행하였다. 적용 및 그의 효능 모두를 평가하였다. 처리의 내부혼합 (intermixing)을 피하기 위해, 과립 살곤충제로 처리한 플롯 주위에 약 20 내지 30 cm 두께의 거짓 번들 경계 (false bund boundaries)를 준비하였다.
적용된 처리는 하기 표에 기재된 바와 같다:
일련 번호 처리 용량
L 또는 kg/ha
 
15 DAA 30 DAA 45 DAA 60 DAA 평균 
1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클로란트리닐리프롤 0.4% 과립 10 0 4.13 5.9 13.64 7.59 
2 클로란트리닐리프롤 0.4% 종래 기술의 과립 10 0 5.09 7.53 17.86 10.16 
3 처리되지 않은 대조군 - 0 7.08 9.8 48.38 21.75 
*DAA- 적용 후 일수
*Mean- 평균은 15 DAA, 30 DAA, 45 DAA 및 60 DAA에서 스템 보어러 (stem borer)의 영향을 받은 % 식물의 평균에 기반하여 산출된다.
1 헥타르당 10 kg의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른 0.4% 클로란트라닐리프롤 수붕해성 과립의 적용 (처리 1)은 적용 후 30일, 45일 및 60일에, 동일한 투여량의 종래 기술의 0.4% 클로란트라닐리프롤 GR 조성물 (처리 2) (처리 2로 스템 보어러에 의해 영향 받은 % 식물은 10.16%의 평균값을 가짐)과 비교하여, 스템 보어러를 조절하는데 매우 효과적인 (처리 1로 스템 보어러에 의해 영향 받은 % 식물은 7.59%의 평균 값을 가짐) 것으로 관찰되었다.
본 발명자는 처음으로 낮은 벌크 밀도, 높은 기계적 강도 또는 경도, 과립 크기 내의 미세 입자 크기 분포의 선택된 특성의 미세한 조합으로, 토양에 적용될 때, 작물에 즉각적이고 연속적으로 그리고 지속적인 방출 및 효과를 제공하는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조성물은 특정 작물의 요구를 충족시키도록 맞춤화될 수 있고, 따라서 농화학적 활성제를 즉시 그리고 또한 지속된 기간 동안 방출시키는데 유용하다. 상기 조성물은 수불용성 영양소 또는 조류 또는 살충제의 서방형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활성제를 흡수를 위한 형태로 완전히 전환시켜서 침출로 인한 지하수 또는 강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브로드캐스팅 또는 기계적 어플리케이터를 통한 균일한 적용을 보장하고, 본 발명의 조성물과 함께 모든 다른 종류의 비료를 동시에 적용할 수 있게 하여, 이에 의해 기존 제제와 비교하여, 필트 적용에서 놀라운 효능을 나타낼 수 있다. 적용이 용이하기 때문에, 상기 조성물은 최종 사용자에게 매우 경제적이다.
전술한 내용으로부터, 본 발명의 신규한 개념의 진정한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수 많은 수정 및 변형이 수행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시된 특정 구현예에 대한 한정은 의도되지 않았고, 언급되어서도 않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Claims (27)

  1. 전체 조성물의 0.1% 내지 95 중량% 농도 범위의 적어도 하나의 농화학적 활성제 (agrochemical active) 및 적어도 하나의 농화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부형제를 포함하는 수붕해성 과립 조성물로서, 상기 농화학적 활성제는 수불용성 영양소, 조류 (algae), 및 살충 활성제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고;
    상기 수붕해성 과립 조성물은 0.1 미크론 내지 50 미크론의 크기 범위의 입자를 포함하는, 0.1 mm 내지 6 mm의 크기 범위이고;
    상기 수붕해성 과립 조성물은 1.5 gm/ml 미만의 벌크 밀도 (bulk density) 및 적어도 1 뉴턴 (Newton)의 경도 (hardness)를 갖는 것인 수붕해성 과립 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불용성 영양소는 마그네슘 히드록시드가 아닌 것인 수붕해성 과립 조성물.
  3.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수붕해성 과립 조성물은 적어도 50%의 내마모도 (attrition resistance)를 갖는 것인 수붕해성 과립 조성물.
  4.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수붕해성 과립 조성물은 75 미크론의 체 (sieve)에서 30% 미만의 습윤 체 보유값 (wet sieve retention value)을 갖는 것인 수붕해성 과립 조성물.
  5.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75 미크론의 체에서 10% 미만의 습윤 체 분석 (wet sieve analysis)을 갖는 것인 수붕해성 과립 조성물.
  6.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2.5 g/ml 미만의 진밀도 (true density)를 갖는 것인 수붕해성 과립 조성물.
  7.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적어도 70%의 내마모도를 갖는 것인 수붕해성 과립 조성물.
  8.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200분 미만의 붕해 시간을 갖는 것인 수붕해성 과립 조성물.
  9.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100분 미만의 붕해 시간을 갖는 것인 수붕해성 과립 조성물.
  10.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적어도 10%의 분산성 (dispersibility)을 갖는 것인 수붕해성 과립 조성물.
  11.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적어도 10%의 현수성 (suspensibility)을 갖는 것인 수붕해성 과립 조성물.
  12.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1 mm 내지 6 mm의 과립 크기를 갖는 것인 수붕해성 과립 조성물.
  13.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실질적으로 구형인 과립을 포함하는 것인 수붕해성 과립 조성물.
  14.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수불용성 영양소는 원소 붕소, 칼슘, 염소, 크롬, 코발트, 구리, 불소, 요오드, 철, 마그네슘, 망간, 몰리브덴, 인, 칼륨, 셀레늄, 실리콘, 나트륨, 아연, 또는 그의 염 또는 유도체를 포함하는 것인 수붕해성 과립 조성물.
  15.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수불용성 영양소는 적어도 하나의 원소 황, 원소 붕소, 보론 카르바이드, 보론 니트라이드, 알루미늄 옥시드, 알루미늄 도데카보라이드,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보크사이트, 방해석질 석회석 (calcitic limestone), 칼슘 옥살레이트, 크롬 옥시드, 코발트 옥시드, 코발트 술피드, 코발트 몰리브데이트, 코발트 카르보네이트, 쿠퍼 옥살레이트, 쿠퍼 옥시드, 쿠퍼 술피드, 쿠퍼 히드록시드, 쿠프릭 술피드 (Cupric sulphide), 쿠퍼 포스페이트, 쿠퍼 몰리브데이트, 플루오린 옥시드, 플루오린 몰리브데이트, 산화철, 황화철, 마그네슘 옥시드, 마그네슘 히드록시드, 마그네슘 포스페이트 삼염기 (Magnesium phosphate tribasic), 마그네슘 몰리브데이트, 마그네슘 카르보네이트, 망간 옥시드, 망간 몰리브데이트, 몰리브덴 아세테이트, 몰리브덴 디술피드, 셀레늄 술피드, 실리콘 니트라이드, 황화아연, 산화아연, 탄산아연, 인산아연, 몰리브덴산아연, 베이직 슬래그 (basic slag), 원소 크롬, 크롬 포스페이트, 아이언 수크레이트 (iron sucrate), 코발트 포스피드, 코발트 시아니드, 원소 니켈, 니켈 옥시드, 니켈 옥시히드록시드, 니켈 카르보네이트, 니켈 크로메이트, 니켈 히드록시드, 침상니켈석 (millerite), 니켈 셀레니드, 니켈 포스피드, 원소 구리, 불용성 쿠퍼 시아니드, 휘동석 (chalcocite), 쿠퍼 셀레니드, 쿠퍼 포스피드, 코벨라이트 (covellite), 쿠퍼 아르세네이트 (copper arsenate), 원소 은, 원소 아연, 징크 크로메이트, 징크 피로포스페이트, 틴 (tin) 히드록시드, 틴 옥시드 및 틴 술피드, 그의 염, 유도체 및 그의 조합을 포함하는 것인 수붕해성 과립 조성물.
  16.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농화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부형제는 하나 이상의 계면활성제, 결합제, 희석제, 붕해제, 충전제, 점착제 및 pH 안정화제를 포함하는 것인 수붕해성 과립 조성물.
  17.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하나 이상의 수불용성 영양소, 조류, 미생물, 생물자극제 (biostimulants), 생물비료, 살충 활성제, 수용해성 비료, 대량영양소 (macronutrients) 및 미량영양소 (micronutrients)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인 수붕해성 과립 조성물.
  18.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농화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부형제는 적어도 하나의 계면활성제, 분산제 또는 결합제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수붕해성 과립 조성물.
  19.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조류 대 농화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부형제의 중량 비율은 99:1 내지 1:99인 것인 수붕해성 과립 조성물.
  20.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조류는 하나 이상의 녹조류, 적조류, 황조류, 갈조류, 황갈조류 (golden-brown algae), 청조류 (blue algae) 또는 남조류 (blue-green algae), 아시안 투엔형 평면 조류 (Asian tuen shaped flat algaes) 또는 해초 또는 그의 유도체, 종 및 그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것인 수붕해성 과립 조성물.
  21.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조류는 하나 이상의 시아노박테리아 (Cyanobacteria), 파에오피세에 (Phaeophyceae), 오크로피테스 (Ochrophytes), 글라우코피테스 (Glaucophytes), 로도플라스트 (Rhodoplasts), 로도피테스 (Rhodophytes), 클로로플라스트 (Chloroplasts), 오크로피테스 (Ochrophytes), 크리소피타 (Chrysophyta), 라피디오피세에 (Raphidiophyceae), 유마스티고피세에 (Eumastigophyceae), 크산토피세에 (Xanthophyceae), 시누로피테스 (Synurophytes), 실리코플라겔라타 (Silicoflagellata), 사르시노크리소피세에 (Sarcinochrysophyceae), 헤테로콘트 (Heterokonts), 크리토피테스 (Crytophytes), 합토피테스 (Haptophytes), 유글레노피테스 (Euglenophytes), 클로로피테스 (Chlorophytes), 샤로피테스 (Charophytes), 육생 식물 (Land Plants), 엠브로피타 (Embrophyta) 또는 클로라라크니오피테스 (Chlorarachniophytes) 또는 그의 유도체, 종 및 그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것인 수붕해성 과립 조성물.
  22.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조류는 클로렐라 종 (Chlorella Sp.)을 포함하는 것인 수붕해성 과립 조성물.
  23.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조류는 스피룰리나 종 (Spirulina Sp.)을 포함하는 것인 수붕해성 과립 조성물.
  24.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살충 활성제는 적어도 하나의 방오제, 유인제, 살충제, 살진균제, 제초제, 살선충제, 페로몬, 고엽제, 살비제, 식물 성장 조절제, 살조류제, 섭식저해제, 살조제, 살박테리아제, 조류 퇴치제, 생물농약, 살생물제, 화학불임제, 완화제, 곤충 유인제, 곤충 기피제, 곤충 성장 조절제, 포유동물 기피제, 교미 교란제, 소독제, 살연제, 항미생물제, 살비제, 살란제, 훈증제, 식물 활성제, 살서제, 협력제, 살바이러스제, 기피제, 미생물 살충제, 작물 보호제 또는 그의 염, 유도체 및 혼합물을 포함하는 것인 수붕해성 과립 조성물.
  25. 수붕해성 과립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농화학적 활성제, 적어도 하나의 농화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부형제 및 물의 블렌드 (blend)를 분쇄하여 습식 믹스를 수득하는 단계로서, 상기 농화학적 활성제는 수불용성 영양소, 조류, 및 살충 활성제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것인 단계;
    미립자 (microgranule)를 수득하기 위해 상기 습식 믹스를 건조하는 단계;
    응집기에서 상기 미립자를 응집하여, 0.1 미크론 내지 50 미크론의 크기 범위의 입자를 포함하는 0.1 mm 내지 6 mm의 크기 범위이고, 1.5 gm/ml 미만의 벌크 밀도 및 적어도 1 뉴턴의 경도를 갖는 수붕해성 과립 조성물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는 것인 방법.
  26. 작물 및 식물의 강화 (fortification) 방법 또는 식물 건강을 향상시키는 방법으로서,
    전체 조성물의 적어도 0.1% 내지 95 중량%의 농도 범위의 적어도 하나의 농화학적 활성제 및 적어도 하나의 농화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부형제를 포함하는 수붕해성 과립 조성물로서, 상기 농화학적 활성제는 수불용성 영양소, 조류, 및 살충 활성제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고, 상기 수붕해성 과립 조성물은 0.1 미크론 내지 50 미크론의 크기 범위의 입자를 포함하는, 0.1 mm 내지 6 mm의 크기 범위이고, 상기 수붕해성 과립 조성물은 1.5 gm/ml 미만의 벌크 밀도 및 적어도 1 뉴턴의 경도를 갖는 수붕해성 과립 조성물을,
    하나 이상의 식물, 식물의 나뭇잎 (foliage), 식물 번식 물질, 식물 또는 식물 번식 물질의 장소 (locus), 종자 (seed), 묘목 (seedling), 토양 및 작물 주변에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27. 삭제
KR1020197036529A 2017-05-10 2018-05-10 농업용 조성물 KR10229684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N201721016449 2017-05-10
IN201721016449 2017-05-10
IN201721021720 2017-06-21
IN201721021720 2017-06-21
IN201721024425 2017-07-11
IN201721024425 2017-07-11
PCT/IN2017/050408 WO2018051372A1 (en) 2016-09-16 2017-09-18 Stable formulation of water sensitive active
INPCT/IN2017/050408 2017-09-18
PCT/IB2018/053251 WO2018207124A1 (en) 2017-05-10 2018-05-10 Agricultural composition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8780A KR20200018780A (ko) 2020-02-20
KR102296841B1 true KR102296841B1 (ko) 2021-09-02

Family

ID=640959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36529A KR102296841B1 (ko) 2017-05-10 2018-05-10 농업용 조성물

Country Status (24)

Country Link
US (1) US10492489B2 (ko)
EP (1) EP3644740A4 (ko)
JP (1) JP6949996B2 (ko)
KR (1) KR102296841B1 (ko)
CN (1) CN110868861B (ko)
AU (1) AU2018266949B2 (ko)
BR (1) BR112019023615B1 (ko)
CA (1) CA3062598C (ko)
CL (1) CL2019003209A1 (ko)
CO (1) CO2019013834A2 (ko)
EA (1) EA201992672A1 (ko)
EC (1) ECSP19087631A (ko)
IL (1) IL270514B (ko)
MA (1) MA49519A (ko)
MX (1) MX2019013379A (ko)
MY (1) MY192628A (ko)
NZ (1) NZ759443A (ko)
PE (1) PE20200234A1 (ko)
PH (1) PH12019502502A1 (ko)
SA (1) SA519410520B1 (ko)
TN (1) TN2019000307A1 (ko)
UA (1) UA124787C2 (ko)
WO (1) WO2018207124A1 (ko)
ZA (1) ZA20200020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R112020022810B1 (pt) 2018-05-10 2022-03-08 Arun Vitthal Sawant Composição de nutrição e fortificação granular dispersível em água, processo de preparação da composição e uso da composição
AU2019265842B2 (en) 2018-05-10 2021-04-29 Arun Vitthal SAWANT Novel crop nutrition and fortification composition
CR20200599A (es) * 2018-05-10 2021-04-13 Arun Vitthal Sawant Nueva composición de nutrición y fortificación de cultivos
US20210269373A1 (en) * 2018-06-29 2021-09-02 Profile Products L.L.C. Soil restoration system
UA127565C2 (uk) * 2018-07-14 2023-10-11 Арун Віттхал Савант Сільськогосподарська композиція
CN110934149B (zh) * 2018-09-21 2021-03-02 华中师范大学 含氯酰草膦除草剂的微乳剂制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US11584855B2 (en) * 2018-09-28 2023-02-21 Renuvix LLC Agricultural coating containing sugar ester and methods
CN109020737A (zh) * 2018-10-22 2018-12-18 艾生豪 具有保水作用的有机多元微肥制备方法
CN109679853A (zh) * 2019-01-18 2019-04-26 昆明理工大学 利用黄腐酸提高雨生红球藻生物量和虾青素产量的方法
US20200352106A1 (en) * 2019-05-01 2020-11-12 CO2 Solved, LLC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Enhanced CO2 Capture and Storage
CN110316785B (zh) * 2019-07-19 2022-02-11 深圳市深港产学研环保工程技术股份有限公司 用于控制蓝藻水华的水体修复剂及其制备方法和富营养化水体修复方法
CN110396031A (zh) * 2019-08-01 2019-11-01 北京狼图腾科技有限公司 一种有机多菌水溶花果肥及其制备方法
US10766827B1 (en) * 2019-08-08 2020-09-08 Specialty Granules Investments Llc Pelletized basalt for use as a soil amendment
CN110713374A (zh) * 2019-11-21 2020-01-21 衡阳县海华水泥有限责任公司 一种镍铁渣基磷酸镁水泥及其制备方法
WO2021191915A1 (en) * 2020-03-24 2021-09-30 Hiteshkumar Doshi Pesticidal composition comprising elemental sulphur and anthranilic diamide insecticide
CN111548218A (zh) * 2020-04-27 2020-08-18 上海应用技术大学 一种通用型花肥速释片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1602678A (zh) * 2020-06-03 2020-09-01 丁柯中 一种具有多重灭鼠作用的生物灭鼠剂及其制备方法
CN111620406B (zh) * 2020-07-15 2021-08-06 湖南第一师范学院 一种CuS/Co2P复合光催化剂在有机废水处理中的应用
CN111848273B (zh) * 2020-07-20 2022-03-11 中国农业科学院烟草研究所 一种包膜钾肥及其制备方法和应用
MX2023001680A (es) * 2020-08-17 2023-07-20 Hiteshkumar Anilkant Doshi Una composicion agricola organica.
US20230263164A1 (en) * 2020-09-01 2023-08-24 University Of Iowa Research Foundation Dithiophosphate derivatives as hydrogen sulfide release chemicals for improving plant growth and crop yield
WO2022053946A1 (en) * 2020-09-08 2022-03-17 Hiteshkumar Doshi An organic agricultural composition
PE20231950A1 (es) * 2020-09-23 2023-12-06 Hiteshkumar Anilkant Doshi Composicion pesticida que comprende azufre elemental y flupiradifurona
EP4203688A4 (en) * 2021-01-21 2024-03-06 Hiteshkumar Anilkant Doshi ORGANIC AGRICULTURAL COMPOSITION
WO2022165284A1 (en) * 2021-01-29 2022-08-04 The American University In Cairo Nanoencapsulation of jania rubens seaweeds' antioxidants for food applications
KR102274556B1 (ko) * 2021-02-02 2021-07-07 허교 유해 조류 제거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블록
BR112023017783A2 (pt) * 2021-03-01 2023-11-21 Control Solutions Inc Métodos e composições de controle de pragas em partículas sólidas
CN113387744B (zh) * 2021-05-26 2022-12-02 龙蟒大地农业有限公司 一种基于磷矿浮选尾矿的粒状中量元素肥及其制备方法
EP4351338A1 (en) * 2021-06-10 2024-04-17 Hiteshkumar Anilkant Doshi Novel pesticidal composition
CA3225041A1 (en) * 2021-07-07 2023-01-12 Harsha Ramanand Naik Crop nutrition composition
WO2023287712A1 (en) * 2021-07-12 2023-01-19 Salveo, Inc. Biostimulant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plant health
TR2021013538A2 (tr) * 2021-08-27 2021-09-21 Atatuerk Ueniversitesi Rektoerluegue Bilimsel Arastirma Projeleri Bap Koordinasyon Birimi Kati taşiyicili bi̇r mi̇krobi̇yal gübre ve bi̇yopesti̇si̇t formülasyonu
WO2023037300A1 (en) * 2021-09-09 2023-03-16 Hiteshkumar Anilkant Doshi Novel pesticidal composition comprising elemental sulphur and acynonapyr
US20230149992A1 (en) * 2021-11-15 2023-05-18 Meristem Crop Performance Group, LLC Composition and method for breaking down crop residue and adding nutrients to soil
CN114568443A (zh) * 2022-03-16 2022-06-03 西南科技大学 一种用于杂交稻栽培的功能肥及其使用方法
WO2023196694A1 (en) * 2022-04-07 2023-10-12 Kannar Earth Science, Ltd.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improving seed performance
CN114988963B (zh) * 2022-06-30 2023-09-29 谭宏伟 具有降低土壤酸化作用的聚磷酸钾微藻硅藻复合肥的制备与应用
WO2024018476A1 (en) * 2022-07-22 2024-01-25 Swati Govind Sawant Anti-transpirant and biostimulant composition for crops and method thereof
CN115433041A (zh) * 2022-09-16 2022-12-06 青岛苏贝尔作物营养有限公司 一种腐殖酸悬浮肥料及其制备方法
JP7369365B1 (ja) 2023-03-14 2023-10-26 ソブエクレー株式会社 動植物生育用鉄剤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動植物生育用鉄供給剤
CN116652180B (zh) * 2023-07-31 2023-09-26 环保桥(湖南)生态环境工程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零价铁粉的复合颗粒及其制备方法与应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95780A (ja) * 2001-09-26 2003-04-03 Onoda Chemical Industry Co Ltd 粒状苦土肥料とその製造方法
WO2012131702A1 (en) * 2011-03-10 2012-10-04 Deepak Pranjivandas Shah A fertilizer composition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399005A (en) * 1972-03-08 1975-06-25 Ciba Geigy Ag Herbicidal compositions
JPH0720842B2 (ja) * 1986-03-12 1995-03-08 花王株式会社 顆粒状殺生剤組成物
JPH08268805A (ja) * 1995-03-30 1996-10-15 Hokko Chem Ind Co Ltd 空中散布用の農薬粒状水和剤およびそれを用いた空中散布方法
JP4073001B2 (ja) * 2002-03-27 2008-04-09 クミアイ化学工業株式会社 顆粒状水和剤
WO2003082008A1 (fr) * 2002-03-29 2003-10-09 Kumiai Chemical Industry Co., Ltd. Composition agrochimique granulaire
JP4919663B2 (ja) * 2003-09-26 2012-04-18 クミアイ化学工業株式会社 粒状農薬製剤
JP2005102604A (ja) * 2003-09-30 2005-04-21 Dainippon Ink & Chem Inc 二枚貝類の稚貝用粉末状飼料、二枚貝類の稚貝用粉末状飼料の製造方法、二枚貝類の稚貝の育成方法
JP5176160B2 (ja) * 2004-04-27 2013-04-03 日本農薬株式会社 農薬粒状組成物
JP4967227B2 (ja) * 2004-11-18 2012-07-04 住友化学株式会社 高吸水性粒状肥料の製造方法
KR101385068B1 (ko) * 2006-03-27 2014-04-25 신젠타 파티서페이션즈 아게 과립 제형
JP2009203160A (ja) * 2006-05-25 2009-09-10 Saihatsu Ko 抗ウィルス及び抗菌剤
BRPI0715137B8 (pt) * 2006-08-10 2021-10-19 Nippon Soda Co Composição agroquímica contendo um ingrediente agroquimicamente ativo tendo uma capacidade de umectação restrita
WO2008084495A2 (en) * 2007-01-08 2008-07-17 Deepak Pranjivandas Shah Novel agricultural composition
WO2009125435A2 (en) * 2008-04-11 2009-10-15 Excel Crop Care Limited Improved sulfur formulation suitable for organic agriculture
US20100278890A1 (en) * 2009-04-29 2010-11-04 Lignotech Usa, Inc. Use of Lignosulfonates in Suspo-emulsions for Producing Pesticide Compositions
AU2011216270B2 (en) * 2010-09-24 2013-05-30 Robert Hamilton Hall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Soil Treatments
US20140030346A1 (en) * 2010-12-27 2014-01-30 Masashi Konishi Disintegrable core particle for pharmaceutical preparation
BR112013022141B1 (pt) * 2011-03-10 2019-08-20 Deepak Pranjivandas Shah Composição agrícola compreendendo enxofre, zinco e ingrediente ativo pesticida
CN102674912B (zh) * 2012-05-22 2014-05-28 北京地福来科技发展有限公司 生物复合肥及其制备方法
HUP1200469A2 (en) * 2012-08-08 2014-01-28 Plantaco Logisztikai Es Szolgaltato Kft Composition and method for enhencement of cultivation of plants and for enhancement of productivity of soil
US9682894B2 (en) * 2012-08-15 2017-06-20 Koch Agronomic Services, Llc Compositions of urea formaldehyde particles and methods of making thereof
WO2016113665A1 (en) 2015-01-13 2016-07-21 Agresearch Limited Agricultural composition
UA123582C2 (uk) 2015-05-19 2021-04-28 Сулваріс Інк. Гранульовані добрива з мікронізованою сіркою
BR112020001535B1 (pt) * 2017-07-27 2023-02-07 Arun Vitthal Sawant Composição granular agrícola dispersível em água, processo de preparação da mesma, seu uso e método de proteção de planta ou melhora da saúde ou do rendimento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95780A (ja) * 2001-09-26 2003-04-03 Onoda Chemical Industry Co Ltd 粒状苦土肥料とその製造方法
WO2012131702A1 (en) * 2011-03-10 2012-10-04 Deepak Pranjivandas Shah A fertilizer composi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L2019003209A1 (es) 2020-04-24
ZA202000207B (en) 2021-07-28
AU2018266949B2 (en) 2020-03-05
CA3062598C (en) 2021-11-23
CO2019013834A2 (es) 2020-04-01
MX2019013379A (es) 2020-08-03
NZ759443A (en) 2020-06-26
EA201992672A1 (ru) 2020-05-06
JP6949996B2 (ja) 2021-10-13
UA124787C2 (uk) 2021-11-17
US10492489B2 (en) 2019-12-03
PE20200234A1 (es) 2020-02-03
MY192628A (en) 2022-08-29
CN110868861A (zh) 2020-03-06
BR112019023615B1 (pt) 2021-12-28
KR20200018780A (ko) 2020-02-20
AU2018266949A1 (en) 2019-12-12
MA49519A (fr) 2020-05-06
PH12019502502A1 (en) 2020-07-13
IL270514B (en) 2021-05-31
TN2019000307A1 (en) 2021-05-07
CN110868861B (zh) 2022-03-15
JP2020520901A (ja) 2020-07-16
BR112019023615A2 (pt) 2020-05-26
WO2018207124A1 (en) 2018-11-15
ECSP19087631A (es) 2020-05-29
US20180325105A1 (en) 2018-11-15
EP3644740A4 (en) 2021-05-19
CA3062598A1 (en) 2018-11-15
SA519410520B1 (ar) 2022-11-10
EP3644740A1 (en) 2020-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96841B1 (ko) 농업용 조성물
CA3069790C (en) Novel crop fortification, nutrition and crop protection composition
CA3104970C (en) Novel agricultural composition
AU2019265748B2 (en) Novel crop nutrition and fortification composition
AU2019265885B2 (en) Novel crop nutrition and fortification composition
CN110519986A (zh) 水敏感性活性物的稳定制剂
CN105764339A (zh) 具有增加的耐雨性的农用化学品组合物
EA040318B1 (ru) Композиции для применения в сельском хозяйстве
DE10157350A1 (de) Herstellung von Wirkstoffzusammensetzung durch Extrudieren von wasserabsorbierenden Polymeren
DE10148570A1 (de) Mikroorganismen und eine Wasser-in-Öl-Polymerdispersion enthaltende Zusammensetzung und deren Verwendung
EA042695B1 (ru) Диспергируемая в воде композиция для укрепления, питания и защиты сельскохозяйственных культур
NZ769951B2 (en) Novel crop nutrition and fortification composition
DE10124297A1 (de) Zasammensetzung aus Wasserabsorbierenden Polymer und Wirkstof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