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4868B1 - 표시기, 표시 방법 및 표시 시스템 - Google Patents

표시기, 표시 방법 및 표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4868B1
KR102274868B1 KR1020207001414A KR20207001414A KR102274868B1 KR 102274868 B1 KR102274868 B1 KR 102274868B1 KR 1020207001414 A KR1020207001414 A KR 1020207001414A KR 20207001414 A KR20207001414 A KR 20207001414A KR 102274868 B1 KR102274868 B1 KR 1022748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vent
time
unit
display
proced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014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17503A (ko
Inventor
고이치 오리토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0175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75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48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48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03Repetitive work cycles; Sequence of mov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20/00Machine learning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04Programme control other than numerical control, i.e. in sequence controllers or logic controllers
    • G05B19/05Programmable logic controllers, e.g. simulating logic interconnections of signals according to ladder diagrams or function chart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18Numerical control [NC], i.e. automatically operating machines, in particular machine tools, e.g. in a manufacturing environment, so as to execute positioning, movement or co-ordinated operations by means of programme data in numerical form
    • G05B19/409Numerical control [NC], i.e. automatically operating machines, in particular machine tools, e.g. in a manufacturing environment, so as to execute positioning, movement or co-ordinated operations by means of programme data in numerical form characterised by using manual input [MDI] or by using control panel, e.g. controlling functions with the panel; characterised by control panel details, by setting parameter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3/00Testing or monitoring of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 G05B23/02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7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using display pane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069Engineering, e.g. mechanical, electrical desig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2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visual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e.g. using film strip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54/00Aspects of interface with display user

Abstract

표시기에 있어서, 외부 장치에서 발생된 제1 이벤트 및 제2 이벤트가 외부 장치로부터 보내져 왔을 경우에, 제1 이벤트에 대한 조작에 의해서 제1 이벤트가 종료되고 나서 제2 이벤트에 대한 조작에 의해서 제2 이벤트가 종료될 때까지의 시간인 조작 시간을 산출하는 산출부와, 제2 이벤트에 대한 조작의 이력인 조작 절차와, 조작 절차에 대응하는 조작 시간을 기억하는 기억부와, 산출부로부터의 지시에 따라서, 기억부 내의 조작 절차 중 어느 것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구비하고, 산출부는, 조작 시간의 산출이 종료된 후에, 제2 이벤트가 새로 보내져 오면, 기억부 내의 조작 시간에 기초하여 기억부 내의 조작 절차 중에서 조작 유도에 이용하는 조작 절차를 선택하고, 선택한 조작 절차를 표시부에 표시시킴으로써 조작 유도를 실행한다.

Description

표시기, 표시 방법 및 표시 시스템
본 발명은 조작 절차를 유도하는 표시기, 표시 방법 및 표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피(被)제어기기를 제어하는 제어장치와, 제어장치가 수집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기를 구비한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는, 피제어기기에 문제가 생겨 알람이 발생된 경우, 조작자에 의해서 표시기 또는 조작반이 조작됨으로써 알람 발생의 원인으로 된 데이터가 수정된다.
이와 같은 제어 시스템의 표시기는, 조작자의 조작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조작 절차를 유도하고 있다. 특허문헌 1의 조작 지원 장치는, 조작에 필요로 한 시간인 조작 시간에 기초하여 조작 절차를 선택하고, 선택한 조작 절차를 조작 유도에 이용하고 있다.
일본 특개 2014-232377호 공보
그렇지만, 상기 종래의 기술인 특허문헌 1에서는, 복수의 이벤트가 발생된 경우에, 일련의 조작의 조작 시간을 산출하므로, 이벤트마다의 정확한 조작 시간을 산출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복수의 이벤트가 발생된 경우여도, 이벤트마다 적절한 조작 절차를 유도할 수 있는 표시기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표시기에 있어서, 외부 장치에서 발생된 제1 이벤트 및 제2 이벤트가 외부 장치로부터 보내져 왔을 경우에, 제1 이벤트에 대한 조작에 의해서 제1 이벤트가 종료되고 나서 제2 이벤트에 대한 조작에 의해서 제2 이벤트가 종료될 때까지의 시간인 조작 시간을 산출하는 산출부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표시기는, 제2 이벤트에 대한 조작의 이력인 조작 절차와, 조작 절차에 대응하는 조작 시간을 기억하는 기억부와, 산출부로부터의 지시에 따라서, 기억부 내의 조작 절차 중 어느 것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표시기는, 산출부가, 조작 시간의 산출이 종료된 후에, 제2 이벤트가 새로 보내져 오면, 기억부 내의 조작 시간에 기초하여 기억부 내의 조작 절차 중에서 조작 유도에 이용하는 조작 절차를 선택하고, 선택한 조작 절차를 표시부에 표시시킴으로써 조작 유도를 실행한다.
본 발명에 따른 표시기는, 복수의 이벤트가 발생된 경우여도, 이벤트마다 적절한 조작 절차를 유도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달성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따른 표시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실시 형태 1에 따른 조작 절차의 제1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실시 형태 1에 따른 조작 절차의 제2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실시 형태 1에 따른 조작 이력 정보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실시 형태 1에 따른 조작 유도의 처리 절차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6은 실시 형태 1에 따른 조작 이력 정보의 축적 처리 절차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7은 실시 형태 1에 따른 조작 유도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실시 형태 1에 따른 관리자용의 데이터의 제1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실시 형태 1에 따른 관리자용의 데이터의 제2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실시 형태 1에 따른 표시기가 구비하는 통괄 처리부의 하드웨어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따른 표시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실시 형태 2에 따른 기계 학습 장치에 의한, 행동 가치 함수의 갱신 절차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표시기, 표시 방법 및 표시 시스템을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이들 실시 형태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 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따른 표시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표시기(10)는 다양한 정보를 표시하는 것과 함께, 조작자에 의한 조작을 접수하는 장치이다. 표시기(10)는 제어장치(30)에 접속되어 있고, 조작자에 의한 조작 처리의 이력 정보, 조작 절차를 유도하는 정보, 또는 제어장치(30)로부터 보내져 오는 후술하는 이벤트 정보와 같은 다양한 정보를 표시한다. 이벤트 정보는 알람의 발생과 같은 이벤트의 정보이다.
제어장치(30)는,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PLC: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와 같은 컨트롤러이며, 도시하지 않은 피제어기기를 제어한다. 제어장치(30)로부터 보내져 오는 이벤트 정보의 예는, 피제어기기에 결함이 생겼을 경우에 발생되는 알람, 또는 품종 변경시의 셋업(setup) 변경이다. 이벤트 정보가 알람의 발생인 경우, 이벤트 정보는, 어느 피제어기기에서 어느 결함이 발생되었는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이벤트 정보가 품종 변경시의 셋업 변경인 경우, 이벤트 정보는 제조되는 제품의 품종이 어느 품종으로부터 어느 품종으로 변경되었는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이벤트 정보는 이벤트가 발생된 일시의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표시기(10)는, 제어장치(30)로부터 이벤트 정보가 보내져 오면, 조작자에 의한 조작을 접수하여, 조작 내용에 대응하는 정보를 제어장치(30)에 보낸다. 조작자에 의한 조작의 예는, 버튼의 프레스 또는 수치의 입력이다.
표시기(10)는, 이벤트가 발생되었을 때에 이벤트의 원인을 해소하기 위해 조작자에 의해서 조작이 실행되면, 조작에 필요로 한 시간인 조작 시간과, 이벤트를 대응지어서 기억해 둔다. 실시 형태 1의 표시기(10)는, 복수의 이벤트가 발생된 경우에, 이벤트마다 조작 시간을 산출하고, 각 이벤트와 조작 시간을 대응지어서 기억해 둔다. 그리고, 기억된 이벤트와 같은 이벤트가 새로 발생되면, 표시기(10)는, 기억해 둔 정보에 기초하여, 조작자에게 조작 절차를 유도하기 위한 표시를 행한다. 이와 같이, 표시기(10)는 조작자에게의 조작의 입력 유도 기능을 가지고 있다.
표시기(10)는 조작자로부터의 조작을 접수하는 입력부(11)와, 이벤트가 발생되었을 때에 조작 절차를 유도하기 위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12)와, 제어장치(30)와의 사이에서 통신을 행하는 통신 인터페이스(I/F: InterFace)부(13)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표시기(10)는 표시기(10) 전체의 처리를 통괄하여 제어하는 것과 함께, 각 이벤트에 대한 조작 시간을 산출하는 산출부인 통괄 처리부(20)와, 표시부(12)에 표시시키는 정보를 생성하는 표시 정보 생성부(21)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표시기(10)는 조작자에 의한 조작의 절차와, 조작 시간이 대응지어진, 후술하는 조작 이력 정보(101)를 기억하는 기억부(22)를 구비하고 있다.
표시기(10)는 입력부(11) 및 표시부(12)가 일체 형성된 터치 패널을 가지고 있어도 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표시기(10)가 입력부(11)의 기능 및 표시부(12)의 기능을 가진 터치 패널을 가지고 있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터치 패널 내의 표시부(12)는 표시 정보 생성부(21)로 생성된 문자, 숫자, 기호, 표, 도형, 그림과 같은 정보를 표시한다. 표시부(12)는, 조작 절차를 유도하기 위한 정보를 표시하는 경우에, 조작자에게 터치시키고 싶은 위치의 오브젝트를, 색, 발광 방식, 또는 명암과 같은 표시 양태를 변경함으로써, 다른 영역과는 다른 양태로 표시한다. 여기서의 오브젝트는, 화면 상의 조작 대상이다. 표시부(12)가 표시 양태를 변경하는 오브젝트의 일례는, 버튼이다. 이 경우, 표시부(12)는, 버튼의 표시 양태를 다른 영역과 다른 양태로 표시함으로써, 조작자를 특정의 버튼에 대한 조작으로 유도한다.
터치 패널 내의 입력부(11)는, 터치 패널의 화면인 터치 화면이 조작자에 의해서 프레스되면, 프레스된 위치에 대응하는 조작을 접수한다. 입력부(11)는 조작자에 의해서 프레스된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를 통괄 처리부(20)에 입력한다.
통신 I/F부(13)는 외부 장치인 제어장치(30)에 접속되어 있고, 통괄 처리부(20)로부터의 지시에 따라서, 제어장치(30)와의 사이의 통신을 실행한다. 또한, 외부 장치는 제어장치(30)로 한정되지 않고, 센서 또는 로봇이어도 된다. 통신 I/F부(13)는, 제어장치(30)로부터 이벤트 정보를 수신하면, 수신한 이벤트 정보를 통괄 처리부(20)로 보낸다. 또한, 통신 I/F부(13)는 조작자에 의한 조작 처리에 대응하는 정보를 제어장치(30)로 보낸다. 제어장치(30)가, 통신 I/F부(13)로 보내는 이벤트 정보는, 이벤트가 발생된 경우에는 비트가 온으로 된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고 있고, 이벤트가 종료된 경우에는 비트가 오프로 된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통괄 처리부(20)는, 통신 I/F부(13)를 통해서 보내져 오는 이벤트 정보의 내용을, 표시 정보 생성부(21)에 보낸다. 또한, 통괄 처리부(20)는, 표시부(12)에 표시시키고 있는 정보와, 입력부(11)로부터 보내져 오는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조작자에 의해서 어느 조작이 실행되었는지를 검출한다. 또한, 입력부(11)가, 위치 정보와 표시부(12)에 표시되어 있는 내용에 기초하여, 조작자에 의해서 어느 조작이 실행되었는지를 나타내는 조작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한 조작 정보를 통괄 처리부(20)에 보내도 된다.
또한, 통괄 처리부(20)는, 1번째의 이벤트인 후술하는 제1 이벤트에 대해서는, 이벤트의 발생 타이밍부터 이벤트가 종료될 때까지의 시간인 조작 시간을 산출한다. 또한, 통괄 처리부(20)는, 2번째의 이벤트인 후술하는 제2 이벤트에 대해서는, 이벤트의 발생 타이밍이 아니라 이벤트에 대한 착수 타이밍부터 이벤트가 종료될 때까지의 조작 시간을 산출한다. 또한, 통괄 처리부(20)는 발생된 이벤트와, 조작자에 의한 이벤트에 대한 조작 절차와, 조작 시간을 대응지은 조작 이력 정보(101)를 작성한다. 통괄 처리부(20)는, 조작 이력 정보(101)를 기억부(22)에 기억시킴으로써, 조작 이력 정보(101)를 축적한다.
또한, 통괄 처리부(20)는, 조작 이력 정보(101)를 축적한 후에, 조작 이력 정보(101) 내에 포함되어 있는 이벤트와 같은 이벤트가 새로 발생되면, 새로운 이벤트에 대한 버튼 조작으로 조작자를 유도하기 위한 유도 지시를 생성하여 표시 정보 생성부(21)에 보낸다. 또한, 통괄 처리부(20)는 이벤트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 지시를 생성하여 표시 정보 생성부(21)에 보낸다.
표시 정보 생성부(21)는, 통괄 처리부(20)로부터의 지시에 따라서, 이벤트 정보, 조작 유도용의 버튼과 같은 다양한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문자, 숫자, 기호, 표, 도형, 그림과 같은 표시 정보를 생성한다. 표시 정보 생성부(21)는 생성한 표시 정보를 표시부(12)에 표시시킨다.
다음으로, 이벤트가 발생된 경우의, 조작 절차의 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실시 형태 1에 따른 조작 절차의 제1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3은 실시 형태 1에 따른 조작 절차의 제2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은, 제1 이벤트 및 제2 이벤트가 발생된 경우의 조작 절차 예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이하에서는, 제1 이벤트 및 제2 이벤트가, 결함을 원인으로 하는 알람의 발생인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제어장치(30)는 표시기(10)에 같은 종류의 이벤트를 복수 회에 걸쳐 송신한다. 여기에서는, 제어장치(30)가, 제1 이벤트 및 제2 이벤트를 표시기(10)에, n을 2 이상의 자연수로 했을 경우에 n회 송신한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표시기(10)는, 제1 이벤트 및 제2 이벤트를 수신하면, 제1 이벤트 및 제2 이벤트를 표시한다. 이것에 의해, 조작자에 의해서 제1 이벤트 및 제2 이벤트 중 어느 것을 조작 대상으로 할지가 선택된다. 여기에서는, 제1 이벤트가 조작 대상으로 선택된 후, 제2 이벤트가 조작 대상으로 선택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도 2에서는, 1회째로 발생된 제1 이벤트 및 제2 이벤트에 대한 조작 절차 예를 나타내고, 도 3에서는, n회째로 발생된 제1 이벤트 및 제2 이벤트에 대한 조작 절차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조작 A, B, C, D, E가, 1회째로 제1 이벤트 및 제2 이벤트가 발생되었을 때의 조작 절차를 나타내는 조작 이력이다. 또한, 도 3에 나타내는 조작 A, B, D, E, F가, n회째로 제1 이벤트 및 제2 이벤트가 발생되었을 때의 조작 절차를 나타내는 조작 이력이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회째로 제1 이벤트 및 제2 이벤트가 발생된 후, 조작자에 의해서 제1 이벤트에 대한 조작 A가 실행되면, 표시기(10)는, 이 조작 A를 접수하여 조작 A에 대응하는 정보를 제어장치(30)에 보낸다. 그리고, 조작 A 후에, 조작자에 의해서 제1 이벤트에 대한 조작 B가 실행되면, 표시기(10)는, 이 조작 B를 접수하여 조작 B에 대응하는 정보를 제어장치(30)에 보낸다. 또한, 조작 B 후에, 조작자에 의해서 제1 이벤트에 대한 조작 C가 실행되면, 표시기(10)는, 이 조작 C를 접수하여 조작 C에 대응하는 정보를 제어장치(30)에 보낸다. 이것에 의해, 제어장치(30)는, 제1 이벤트에 대응하는 결함을 해소하여, 피제어기기의 상태를 복구시킨다. 결함의 예는, 피제어기기가 이용하는 재료가 없어지는 것, 피제어기기 내의 압력이 기준값을 초과하는 것, 또는 피제어기기에 마련된 센서가 이상 값을 검지하는 것이다.
이 후, 표시기(10)는 제2 이벤트에 대한 착수를 개시하여, 제2 이벤트에 대한 조작을 접수한다. 표시기(10)는, 조작자에 의해서 제2 이벤트에 대한 조작 D가 실행되면, 이 조작 D를 접수하여 조작 D에 대응하는 정보를 제어장치(30)에 보낸다. 또한, 조작 D 후에, 조작자에 의해서 제2 이벤트에 대한 조작 E가 실행되면, 표시기(10)는 이 조작 E를 접수하여 조작 E에 대응하는 정보를 제어장치(30)에 보낸다. 이것에 의해, 제어장치(30)는 제2 이벤트에 대응하는 결함을 해소하여, 피제어기기의 상태를 복구시킨다.
제1 이벤트에 대응하는 결함으로부터 복구시키기 위해서 필요했던 시간은, 제1 이벤트의 발생부터 제1 이벤트의 종료까지의 시간이다. 이 제1 이벤트의 발생부터 종료까지의 시간이 제1 이벤트에 대한 조작 시간이다.
제1 이벤트가 종료되면, 제2 이벤트에 대한 결함에 착수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이벤트가 종료하는 타이밍이, 제2 이벤트에 대한 결함에 착수하는 타이밍이다. 이 때문에, 제2 이벤트를 복구시키기 위해서 필요했던 시간은, 제1 이벤트의 종료부터 제2 이벤트의 종료까지의 시간이다. 이 제1 이벤트의 종료부터 제2 이벤트의 종료까지의 조작 시간이 제2 이벤트에 대한 조작 시간(51)이다. 바꿔말하면, 제1 이벤트의 복구부터 제2 이벤트의 복구까지의 조작 시간이 제2 이벤트에 대한 조작 시간(51)이다.
제2 이벤트에 대한 조작 시간을, 제2 이벤트의 발생부터 종료까지로 하면, 제1 이벤트에 대한 결함에 착수하고 있던 시간이, 제2 이벤트에 대한 조작 시간에 포함되게 된다. 제1 이벤트에 대한 결함에 착수하고 있던 시간은, 제2 이벤트에 대한 결함에 착수할 수 없는 기간이므로, 제2 이벤트에 대한 조작 시간에 포함되게 해서는 안 된다. 그래서, 실시 형태 1에서는, 통괄 처리부(20)가, 제1 이벤트의 종료부터 제2 이벤트의 종료까지의 시간을 산출하고, 산출한 시간을 제2 이벤트에 대한 순수(net) 조작 시간(51)으로 한다. 바꿔말하면, 제1 이벤트의 종료부터 제2 이벤트의 종료까지의 시간이, 제2 이벤트에 대한 조작에 필요로 한 순수 소요 시간이다.
통괄 처리부(20)는 산출한 제1 이벤트에 대한 1회째의 조작 시간과, 제1 이벤트와, 제1 이벤트에 대한 1회째의 조작 절차인 조작 A, 조작 B, 조작 C의 순서를 대응지어서, 기억부(22)에 기억시킨다. 또한, 통괄 처리부(20)는, 산출한 제2 이벤트에 대한 1회째의 조작 시간(51)과, 제2 이벤트와, 제2 이벤트에 대한 1회째의 조작 절차인 조작 D, 조작 E의 순서를 대응지어서, 기억부(22)에 기억시킨다. 이때, 통괄 처리부(20)는 대응지은 정보를 기억부(22) 내의 조작 이력 정보(101)에 등록한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n회째로 제1 이벤트 및 제2 이벤트가 발생된 후, 조작자에 의해서 제1 이벤트에 대한 조작 A가 실행되면, 표시기(10)는, 이 조작 A를 접수하여 조작 A에 대응하는 정보를 제어장치(30)에 보낸다. 또한, 조작 A 후에, 조작자에 의해서 제1 이벤트에 대한 조작 B가 실행되면, 표시기(10)는, 이 조작 B를 접수하여 조작 B에 대응하는 정보를 제어장치(30)에 보낸다. 또한, 조작 B 후에, 조작자에 의해서 제1 이벤트에 대한 조작 D가 실행되면, 표시기(10)는, 이 조작 D를 접수하여 조작 D에 대응하는 정보를 제어장치(30)에 보낸다. 또한, 조작 D 후에, 조작자에 의해서 제1 이벤트에 대한 조작 E가 실행되면, 표시기(10)는, 이 조작 E를 접수하여 조작 E에 대응하는 정보를 제어장치(30)에 보낸다. 이것에 의해, 제어장치(30)는 제1 이벤트에 대응하는 결함을 해소하여, 피제어기기의 상태를 복구시킨다.
이 후, 표시기(10)는 제2 이벤트에 대한 착수를 개시하여, 제2 이벤트에 대한 조작을 접수한다. 표시기(10)는, 조작자에 의해서 제2 이벤트에 대한 조작 F가 실행되면, 이 조작 F를 접수하여 조작 F에 대응하는 정보를 제어장치(30)에 보낸다. 이것에 의해, 제어장치(30)는 제2 이벤트에 대응하는 결함을 해소하여, 피제어기기의 상태를 복구시킨다.
통괄 처리부(20)는 산출한 제1 이벤트에 대한 n회째의 조작 시간과, 제1 이벤트와, 제1 이벤트에 대한 n회째의 조작 절차인 조작 A, 조작 B, 조작 D, 조작 E의 순서를 대응지어서, 기억부(22)에 기억시킨다. 또한, 통괄 처리부(20)는 산출한 제2 이벤트에 대한 n회째의 조작 시간(52)과, 제2 이벤트와, 제2 이벤트에 대한 n회째의 조작 절차인 조작 F를 대응지어서, 기억부(22)에 기억시킨다. 이때, 통괄 처리부(20)는 대응지은 정보를 기억부(22) 내의 조작 이력 정보(101)에 등록한다. 이와 같이, 표시기(10)는 같은 시계열로 표시기(10)가 조작된 경우의 조작 이력을 취득하여 축적한다.
이 후, 통괄 처리부(20)는, 새로 제1 이벤트가 발생되면, 제1 이벤트의 결함을 해소하기 위한 조작 절차를 선택하고, 새로 제2 이벤트가 발생되면, 제2 이벤트의 결함을 해소하기 위한 조작 절차를 선택한다. 이때, 통괄 처리부(20)는 조작 이력 정보(101)에 등록되어 있는 조작 절차 중에서 가장 조작 시간이 짧은 조작 절차를 선택한다. 제1 이벤트에 대한 조작 절차 중에서 1회째의 제1 이벤트에 대한 조작 절차의 조작 시간이 가장 짧은 경우, 통괄 처리부(20)는, 1회째의 제1 이벤트에 대한 조작 절차를 선택한다. 또한, 제2 이벤트에 대한 조작 절차 중에서 n회째의 제2 이벤트에 대한 조작 절차의 조작 시간(52)이 가장 짧은 경우, 통괄 처리부(20)는, n회째의 제2 이벤트에 대한 조작 절차를 선택한다. 이와 같이, 실시 형태 1의 표시기(10)는, 조작 이력 정보(101) 중에서, 이벤트에 대한 착수부터 종료까지 실제로 필요로 한 순수 소요 시간이 가장 짧은 조작 절차를 선택한다.
도 4는 실시 형태 1에 따른 조작 이력 정보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조작 이력 정보(101)는, 이벤트마다, 조작 이력인 조작 절차와 조작 시간이, 대응지어진 정보이다. 도 4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제1 이벤트와, 조작 A, 조작 B, 조작 C의 조작 절차와, 조작 시간 10초가 대응지어져 있다. 조작 A, 조작 B, 조작 C의 조작 절차는, 도 2에 나타낸 1회째의 제1 이벤트에 대한 조작 절차이다.
또한, 도 4에 나타내는 조작 이력 정보(101)의 예에서는, 제1 이벤트와, 조작 A, 조작 B, 조작 D, 조작 E의 조작 절차와, 조작 시간 15초가 대응지어져 있다. 조작 A, 조작 B, 조작 D, 조작 E의 조작 절차는, 도 3에 나타낸 n회째의 제1 이벤트에 대한 조작 절차이다.
또한, 도 4에 나타내는 조작 이력 정보(101)의 예에서는, 제2 이벤트와, 조작 D, 조작 E의 조작 절차와, 조작 시간 2초가 대응지어져 있다. 조작 D, 조작 E의 조작 절차는, 도 2에 나타낸 1회째의 제2 이벤트에 대한 조작 절차이다.
또한, 도 4에 나타내는 조작 이력 정보(101)의 예에서는, 제2 이벤트와, 조작 F와, 조작 시간 1초가 대응지어져 있다. 조작 F는, 도 3에 나타낸 n회째의 제2 이벤트에 대한 조작 절차이다.
다음으로, 표시기(10)가 실행하는, 조작 이력 정보(101)의 축적 처리, 및 조작 유도 처리의 처리 절차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5는 실시 형태 1에 따른 조작 유도의 처리 절차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또한, 제1 이벤트에 대한 조작 유도와, 제2 이벤트에 대한 조작 유도는, 마찬가지의 처리이므로, 여기에서는 제1 이벤트에 대한 조작 유도에 대해 설명한다.
제어장치(30)가 표시기(10)에 이벤트 정보를 보내 오면, 표시부(12)가 이벤트 정보의 내용을 표시한다. 이 후, 조작자에 의해서 입력부(11)에 제1 이벤트를 선택하는 정보가 입력되면, 표시부(12)는 제1 이벤트에 대한 조작을 접수하는 화면을 표시한다. 그리고, 조작자에 의해서 표시기(10)에 대한 조작이 실행되면, 스텝 S10에 있어서, 입력부(11)가 조작자에 의한 조작 처리를 나타내는 조작 정보를 접수한다. 입력부(11)는 접수한 조작 정보를 통괄 처리부(20)에 보낸다. 입력부(11)가 접수하는 조작 정보는, 제1 이벤트에 대한 조작이며, 도 2 및 도 3에서 설명한 조작 A와 같은 하나의 조작이어도 되고, 조작 A, 조작 B와 같은 일련의 조작 절차여도 된다. 또한, 통괄 처리부(20)가 이벤트의 중요도에 기초하여 제1 이벤트를 선택하고, 표시부(12)가 통괄 처리부(20)에 의해서 선택된 제1 이벤트에 대한 조작을 접수하는 화면을 표시해도 된다. 이벤트의 중요도의 예는, 이벤트에 대한 조작에 필요로 하는 최단의 조작 시간이다.
스텝 S20에 있어서, 통괄 처리부(20)는, 기억부(22)에 기억되어 있는 조작 이력 정보(101) 내에 입력부(11)로부터의 조작 정보인 조작 절차가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바꿔말하면, 통괄 처리부(20)는, 축적된 조작 이력 내에, 스텝 S10에서 접수한 조작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구체적으로는, 입력부(11)로부터의 조작 정보가, 조작 A인 경우, 통괄 처리부(20)는, 축적된 조작 이력 내에, 최초의 조작이 조작 A인 조작 이력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또한, 입력부(11)로부터의 조작 정보가, 조작 A, 조작 B의 일련의 조작 절차인 경우, 통괄 처리부(20)는, 축적된 조작 이력 내에, 최초의 조작 절차가 조작 A, 조작 B인 조작 이력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조작 이력 정보(101) 내에 조작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 즉 스텝 S20에 있어서 No인 경우, 스텝 S50에 있어서, 통괄 처리부(20)는 새로운 조작 정보를 조작 이력 정보(101)에 등록하는 처리인 축적 처리를 실행한다.
한편, 조작 이력 정보(101) 내에 조작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즉 스텝 S20에 있어서 Yes인 경우, 통괄 처리부(20)는, 조작 이력 정보(101) 내에서, 제1 이벤트에 대한 조작 절차 중에서 조작 시간이 가장 짧은 조작 절차를 선택한다. 통괄 처리부(20)는, 제1 이벤트가 발생되고 있는 경우에 제1 이벤트에 대한 조작이 개시되고 있으면, 제1 이벤트의 결함을 해소하기 위한 조작 절차를 선택한다.
제1 이벤트에 대한 조작 절차 중에서 1회째의 제1 이벤트에 대한 조작 절차의 조작 시간이 가장 짧은 경우, 통괄 처리부(20)는, 1회째의 제1 이벤트에 대한 조작 절차를 선택한다. 이것에 의해, 통괄 처리부(20)는, 선택한 조작 절차에 기초하여, 터치 화면 내에서 다음으로 조작자에게 조작시키고 싶은 오브젝트를 결정한다. 구체적으로는, 통괄 처리부(20)는, 선택한 조작 절차 내의 조작 중, 미조작된 것을 조작 절차에 따라서 순서대로 선택하고, 이 선택한 조작을 실행하기 위한 오브젝트를 결정한다. 그리고, 통괄 처리부(20)는 결정한 오브젝트를 지정한 오브젝트 정보를 표시 정보 생성부(21)에 보낸다. 이것에 의해, 스텝 S30에 있어서, 표시 정보 생성부(21)는, 통괄 처리부(20)로부터 보내져 온 오브젝트 정보에 기초하여, 다음으로 조작시키고 싶은 오브젝트인 강조 표시시킨 상태의 오브젝트를 생성한다. 그리고, 표시 정보 생성부(21)는 생성한 오브젝트를 표시부(12)에 보낸다. 강조 표시는, 다음으로 조작시키고 싶은 오브젝트를, 다른 오브젝트보다도 눈에 띄게 표시하는 처리이다.
이것에 의해, 스텝 S40에 있어서, 표시부(12)가, 오브젝트를 강조 표시함으로써, 조작자에게 입력을 유도한다. 그리고, 표시기(10)는, 조작자에게 입력을 유도하면서, 조작자로부터의 조작을 접수하는 처리를 계속한다. 이때, 스텝 S50에 있어서, 표시기(10)는, 조작자로부터의 조작을 접수할 때에, 새로운 조작 정보를 조작 이력 정보(101)에 등록하는 처리인 축적 처리를 실행한다.
도 6은 실시 형태 1에 따른 조작 이력 정보의 축적 처리 절차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이벤트가 발생되면, 통신 I/F부(13)가, 제어장치(30)로부터 이벤트 정보를 수신한다. 그리고, 통신 I/F부(13)가 이벤트 정보를 통괄 처리부(20)에 보낸다. 이것에 의해, 스텝 S100에 있어서, 통괄 처리부(20)가 이벤트 정보를 취득한다.
또한, 터치 화면이 조작자에 의해서 프레스되면, 표시기(10)의 입력부(11)는, 프레스된 위치에 대응하는 조작을 판단하여 조작 정보를 생성한다. 그리고, 입력부(11)는 조작 정보를 통괄 처리부(20)에 입력한다. 이것에 의해, 스텝 S110에 있어서, 통괄 처리부(20)는 조작 정보를 취득한다. 통괄 처리부(20)가 취득하는 조작 정보는, 하나 또는 복수의 조작 절차이다. 또한, 통괄 처리부(20)는 이벤트가 발생되면 시간의 계측을 개시한다.
그리고, 스텝 S121에 있어서, 통괄 처리부(20)는, 제1 이벤트의 발생부터 복구까지의 시간인 조작 시간을 산출한다. 또한, 스텝 S122에 있어서, 통괄 처리부(20)는 제2 이벤트에 대한 착수부터 복구까지의 시간인 조작 시간을 산출한다. 여기에서의 통괄 처리부(20)는, 도 2 및 도 3에서 설명한 방법을 이용하여, 이벤트마다 조작 시간을 산출한다.
그리고, 스텝 S130에 있어서, 통괄 처리부(20)는, 이벤트마다의 조작 시간과, 이벤트마다의 조작 절차와, 이벤트 정보의 대응짓기를 실행한다. 또한, 통괄 처리부(20)는 대응지은 정보를 이벤트마다 조작 이력 정보(101) 내에 격납한다. 그리고, 스텝 S140에 있어서, 통괄 처리부(20)가, 조작 이력 정보(101)를 기억부(22)에 축적한다. 이것에 의해, 표시기(10)는 조작 이력 정보(101)의 축적 처리를 종료한다. 표시기(10)는, 조작 이력 정보(101)의 축적 처리가 종료되면, 스텝 S10의 처리로 되돌아가, 스텝 S10부터 S50의 처리를 반복한다.
여기서, 표시기(10)에 의한 조작 절차의 유도 처리에 대해 설명한다. 도 7은 실시 형태 1에 따른 조작 유도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에서는, 터치 패널(15)의 화면예를 나타내고 있다. 입력부(11) 및 표시부(12)의 기능을 구비한 터치 패널(15)은, 화면 상에 버튼 61~64를 표시한다. 이 버튼 61~64는, 조작자가 프레스 가능한 버튼이다. 버튼 61~64에는, 조작 A~F와 같은 조작이 할당되어 있다. 또한, 터치 패널(15)은 5개 이상의 버튼을 표시시켜도 되고, 3개 이하의 버튼을 표시시켜도 된다. 또한, 터치 패널(15)은 수치를 입력하기 위한 텐키, 또는 회전 조작에 의해서 수치를 증감시키는 다이얼과 같은 오브젝트를 표시시켜도 된다.
표시기(10)는, 조작자에게 조작 절차를 유도하면서, 조작자로부터의 조작을 접수하는 처리를 실행한다. 조작자에 의해서 버튼 61이 프레스 된 후에, 조작자에게 다음으로 조작시키고 싶은 오브젝트가, 버튼 62인 경우, 표시기(10)는, 버튼 62를 강조 표시한다. 이 후, 조작자에 의해서, 버튼 62가 프레스되면, 표시기(10)는, 조작자에게 다음으로 조작시키고 싶은 오브젝트를 강조 표시한다.
표시기(10)는, 제2 이벤트에 대한 조작 유도를 행하는 경우에는, 제1 이벤트에 대한 조작 중 최후의 조작인 조작 C의 버튼이 프레스 된 후에, 조작 F의 버튼을 강조 표시한다.
그런데, 표시기(10) 및 제어장치(30)가 배치되는 제어 시스템은, 관리자에 의해서 관리되고 있다. 이 때문에, 표시기(10) 또는 제어장치(30)가, 관리자용의 데이터를 수집하여 관리하고, 표시기(10)가 관리자용의 데이터를 표시해도 된다. 또한, 제어장치(30) 이외의 외부 관리 장치가, 관리자용의 데이터를 수집하여 관리해도 된다. 이 경우의 외부 관리 장치는, 관리자용의 데이터를, 클라우드 컴퓨팅 시스템을 통해서 제어장치(30)로부터 수신해도 된다. 표시기(10), 제어장치(30) 또는 외부 관리 장치가 관리하는 관리자용의 데이터의 제1 예는, 조작 절차와 조작 시간의 관계이다. 또한, 표시기(10), 제어장치(30) 또는 외부 관리 장치가 관리하는 관리자용의 데이터의 제2 예는, 이벤트와, 이벤트에 대한 조작 시간의 관계이다.
도 8은 실시 형태 1에 따른 관리자용의 데이터의 제1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에서는, 특정 이벤트에 대한 조작 절차와, 이 조작 절차를 실행했을 때의 조작 시간의 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도 8의 가로축이 조작 절차이고, 도 8의 세로축이 순수 조작 시간이다.
도 8에서는, 조작 A, 조작 B, 조작 C의 조작 절차를 조작 절차 ST1으로 나타내고 있다. 또한, 조작 A, 조작 B, 조작 D, 조작 E의 조작 절차를 조작 절차 STn으로 나타내고 있다. 표시기(10)는, 조작 절차를 식별하는 정보를, 조작 시간이 짧은 순서대로 정렬(sort) 표시시킴으로써, 공정 개선 정보원인, 조작 절차마다의 조작 시간을 알기 쉽게 관리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9는 실시 형태 1에 따른 관리자용의 데이터의 제2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에서는, 이벤트의 종류와, 이 이벤트에 대한 조작 시간의 순수 시간의 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도 9의 가로축이 이벤트이며, 도 9의 세로축이 순수 조작 시간이다.
도 9에서는, 제1 이벤트를 제1 이벤트 X1으로 나타내고, m을 3 이상의 자연수로 했을 경우의 제m 이벤트를 제m 이벤트 Xm으로 나타내고, 제2 이벤트를 제2 이벤트 X2로 나타내고 있다. 도 9에서는, 제1 이벤트 X1의 조작 시간, 제m 이벤트 Xm의 조작 시간, 및 제2 이벤트 X2의 조작 시간을 도시하고 있다. 표시기(10)는 이벤트를 식별하는 정보를 조작 시간이 긴 순서대로 정렬 표시시킴으로써, 공정 개선 정보원인, 이벤트마다의 조작 시간을 알기 쉽게 관리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실시 형태 1의 통괄 처리부(20)는, 일련의 조작 절차를 조작 유도에 이용했지만, 수치와 같은 파라미터를 입력하는 키 조작은, 상황에 따라서, 입력하는 파라미터가 다르므로, 통괄 처리부(20)는, 파라미터를 입력하는 키 조작을, 조작 절차에서 제외해도 된다. 이것에 의해, 통괄 처리부(20)는 상황에 따라서 다른 조작을 제외하면서, 상황이 달라도 같은 조작을 실행시키고 싶은 조작을 선택적으로 조작 유도에 이용할 수 있다.
또한, 통괄 처리부(20)는 제1 이벤트가 종료되고 나서 제2 이벤트에 대한 조작자에 의한 조작이 착수될 때까지의 시간을 제외하여 조작 시간을 산출해도 되고, 제외하지 않고 조작 시간을 산출해도 된다. 조작의 착수의 일례는, 제2 이벤트에 대한 조작자에 의한 최초의 버튼 프레스이다.
통괄 처리부(20)는, 조작이 착수될 때까지의 시간을 제외하여 조작 시간을 산출하는 경우, 제2 이벤트에 대한 조작자에 의한 1번째의 조작이 개시되고 나서 제2 이벤트가 종료될 때까지의 조작 시간을 산출한다.
또한, 통괄 처리부(20)는, 조작이 착수될 때까지의 시간을 제외하지 않고 조작 시간을 산출하는 경우, 제1 이벤트가 종료되고 나서 제2 이벤트가 종료될 때까지의 조작 시간을 산출한다. 또한, 통괄 처리부(20)는, 조작자에 의한, 조작과 조작 간의 조작 간격의 시간을 제외하여 조작 시간을 산출해도 된다.
또한, 통괄 처리부(20)는 제1 이벤트가 발생되고 나서 제1 이벤트에 대한 조작자에 의한 조작이 착수될 때까지의 시간을 제외하여 조작 시간을 산출해도 되고, 제외하지 않고 조작 시간을 산출해도 된다. 조작의 착수의 일례는, 제1 이벤트에 대한 조작자에 의한 최초의 버튼 프레스이다.
통괄 처리부(20)는, 조작이 착수될 때까지의 시간을 제외하여 조작 시간을 산출하는 경우, 제1 이벤트에 대한 조작자에 의한 1번째의 조작이 개시되고 나서 제1 이벤트가 종료될 때까지의 조작 시간을 산출한다.
또한, 통괄 처리부(20)는, 조작이 착수될 때까지의 시간을 제외하지 않고 조작 시간을 산출하는 경우, 제1 이벤트가 발생되고 나서 제1 이벤트가 종료될 때까지의 조작 시간을 산출한다.
통괄 처리부(20)는, 조작이 착수될 때까지의 시간을 제외하여 조작 시간을 산출함으로써, 정확한 조작 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통괄 처리부(20)는, 조작이 착수될 때까지의 시간을 제외하지 않고 조작 시간을 산출함으로써, 용이하게 조작 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통괄 처리부(20)는, 조작 간격의 시간을 제외하여 조작 시간을 산출함으로써, 정확한 조작 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통괄 처리부(20)는, 이벤트에 대한 조작자에 의한 조작 중에, 이벤트의 중요도에 기초하여 인터럽트 또는 중단을 실행함으로써, 조작 유도의 순서를 변경해도 된다. 이 경우, 통괄 처리부(20)는, 조작 중의 이벤트보다도 중요도가 높은 이벤트를 수신하면, 조작 중의 이벤트에 인터럽트 또는 중단을 실행하고, 조작 중의 이벤트보다도 중요도가 높은 이벤트에 대한 조작을 접수한다.
구체적으로는, 통괄 처리부(20)는, 제2 이벤트에 대한 조작 중에, 제어장치(30)에서 발생된 제3 이벤트가 제어장치(30)로부터 보내져 오면, 제2 이벤트의 중요도와, 제3 이벤트의 중요도를 비교한다. 그리고, 통괄 처리부(20)는, 제3 이벤트의 중요도가 제2 이벤트의 중요도보다도 높은 경우에는, 제2 이벤트에 대한 조작에 대한 인터럽트 또는 중단을 실행하고, 제3 이벤트에 대한 조작을 접수한다. 이 경우, 통괄 처리부(20)는, 제2 이벤트에 대한 조작 중에 제3 이벤트가 발생되면, 제2 이벤트에 대한 조작에 인터럽트를 하여 제3 이벤트에 대한 조작을 접수하거나, 또는 제2 이벤트에 대한 조작 접수를 중단하고 제3 이벤트에 대한 조작을 접수한다. 제3 이벤트에 대한 조작을 접수하는 경우에도, 통괄 처리부(20)는, 조작 절차를 유도한다. 이벤트의 중요도의 예는, 이벤트에 대한 조작에 필요로 하는 최단의 조작 시간, 또는 관리자에 의해 설정된 레벨이다. 통괄 처리부(20)는 최단의 조작 시간이 긴 이벤트일수록 중요도가 높은 이벤트라고 판단하고, 관리자에 의해 설정된 레벨이 높을수록 중요도가 높은 이벤트라고 판단한다.
또한, 제어장치(30)가 복수의 표시기(10)에 접속되어, 복수의 표시기(10)가 조작을 접수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표시기(10)의 통괄 처리부(20)는, 각 이벤트에 대한 조작 절차를, 복수의 조작자에 대해서 분산시킨 다음에, 병렬로 유도해도 된다. 즉, 통괄 처리부(20)는, 복수의 이벤트를 이벤트별로 조작자에게 배분해도 된다. 바꿔말하면, 표시기(10)의 통괄 처리부(20)는, 다른 표시기(10)에 조작 유도 중 일부를 실행시킴으로써 다른 표시기(10)에 조작 절차를 표시시켜도 된다. 이 경우, 표시기(10)는 특정 이벤트의 조작 절차를 표시하고, 다른 표시기(10)는 특정 이벤트 이외의 다른 이벤트의 조작 절차를 표시한다.
구체적으로는, 제1 표시기(10)의 제1 통괄 처리부(20)가, 제1 조작 절차인 제1 이벤트에 대한 조작 절차를 유도하고, 제2 표시기(10)의 제2 통괄 처리부(20)가, 제2 조작 절차인 제2 이벤트에 대한 조작 절차를 유도한다. 이 경우, 제1 통괄 처리부(20)가, 제어장치(30)를 통해서 제2 통괄 처리부(20)에, 제2 조작 절차를 송신한다. 또한, 제2 통괄 처리부(20)가, 제어장치(30)를 통해서 제1 통괄 처리부(20)에, 제1 조작 절차를 송신해도 된다. 이것에 의해, 통괄 처리부(20)는 복수의 표시기(10)를 구비한 제어 시스템에 효율 좋게 조작 유도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어장치(30)가 복수의 표시기(10)마다 이벤트에 대한 조작을 할당해도 된다.
또한, 표시기(10)의 통괄 처리부(20)는, 조작자를 유도하고 싶은 내용을 복수의 화면에 걸쳐 표시시킬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자동으로 화면을 전환해도 된다. 바꿔말하면, 조작자에게 제공하고 싶은 조작 절차가 복수의 화면에 걸치는 경우, 통괄 처리부(20)는, 자동으로 화면을 전환하여 조작 절차를 표시해도 된다. 이것에 의해, 조작자는 화면의 전환 조작을 실행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조작 유도에 기초한 조작을 용이하게 실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표시기(10)의 통괄 처리부(20)는, 조작자의 숙련도 또는 이벤트의 발생 빈도에 기초하여, 조작 유도의 세밀도(fineness)를 변경해도 된다. 조작 유도의 세밀도의 예는, 조작 유도시에 오브젝트를 강조 표시하는 표시 횟수의 크기이다. 통괄 처리부(20)는, 조작자의 숙련도가 낮은 경우 또는 이벤트의 발생 빈도가 적은 경우, 오브젝트를 강조 표시하는 표시 횟수를 늘림으로써 세세하게 조작 유도를 실행한다. 한편, 통괄 처리부(20)는, 조작자의 숙련도가 높은 경우 또는 이벤트의 발생 빈도가 많은 경우, 특정 화면에서는 오브젝트의 강조 표시를 생략함으로써 표시 횟수를 줄인다. 이것에 의해, 통괄 처리부(20)는 조작자의 숙련도에 기초한 적절한 조작 유도 또는 이벤트의 발생 빈도에 기초한 적절한 조작 유도를 실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표시기(10)의 통괄 처리부(20)는, 제어장치(30)로의 입력 신호의 이력에 기초하여, 조작 유도시에, 조작자의 지시 없이 제어장치(30)에 입력 신호를 보내도 된다. 이 경우, 표시기(10)는, 조작자로부터 조작이 실행되지 않아도, 가상적으로 조작이 실행된 것으로 간주하여, 조작이 실행된 것을 나타내는 입력 신호를 제어장치(30)에 입력한다. 이 경우에 있어서, 조작이 실행된 것으로 간주하는 처리는, 표시기(10) 이외의 하드웨어 스위치에 대한 조작이어도 되고, 터치 화면에 대한 터치 조작이어도 된다. 이것에 의해, 조작자는 조작수가 적어지므로, 조작 유도에 기초한 조작을 용이하게 실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표시기(10)의 통괄 처리부(20)는, 조작 유도시에 제시하는 조작 절차를 자동 실행해도 된다. 이 경우, 통괄 처리부(20)는, 조작자에 의한 조작이 실행되지 않아도, 조작이 조작 절차에 따라서 실행된 것으로 간주하여, 조작 절차를 자동 실행한다. 또한, 표시기(10)의 통괄 처리부(20)는, 조작자에 의해서 하나의 조작이 실행되었을 경우에, 조작 절차를 자동 실행해도 된다. 또한, 표시기(10)의 통괄 처리부(20)는, 조작 유도시에 제시하는 조작 절차의 시뮬레이션을 실행하여, 실행 결과를 평가해도 된다. 이것에 의해, 조작자는 조작을 실행하기 전에 시뮬레이션에 의해서 조작 절차의 타당성을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종래와 같이, 장치가 조작 빈도에 기초하여 조작 절차를 선택하는 경우, 적절한 조작 절차를 추출하기 위해서 유지해 두는 정보량이 많아진다. 이 때문에, 표시기가 범용 기기인 경우에는, 리얼타임으로 조작 절차를 제공하는 것이 곤란하다. 또한, 조작 빈도에 기초하여 조작 절차를 선택하는 경우, 조작 절차 도중에 파라미터 설정의 조작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 파라미터 설정의 조작을 제외할 수 없다. 또한, 조작 빈도에 기초하여 조작 절차를 선택하는 경우, 조작 시간이 짧은 적절한 조작 절차를 선택할 수 없다.
한편, 실시 형태 1의 표시기(10)는, 조작 빈도를 기억해 둘 필요가 없기 때문에, 기억해 두는 정보량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표시기(10)는, 조작 절차 도중에 파라미터 설정의 조작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여도, 파라미터 설정의 조작을 제외할 수 있다. 또한, 표시기(10)는 순수 조작 시간을 산출하므로, 조작 시간이 짧은 적절한 조작 절차를 선택할 수 있다.
다음으로, 통괄 처리부(20)의 하드웨어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10은 실시 형태 1에 따른 표시기가 구비하는 통괄 처리부의 하드웨어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통괄 처리부(20)는, 도 10에 나타낸 제어 회로(300), 즉 프로세서(301) 및 메모리(302)에 의해 실현할 수 있다. 프로세서(301)의 예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중앙 처리 장치, 처리 장치, 연산 장치, 마이크로프로세서, 마이크로컴퓨터, 프로세서, DSP라고도 함) 또는 시스템 LSI(Large Scale Integration)이다. 메모리(302)의 예는,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또는 플래시 메모리이다.
통괄 처리부(20)는, 프로세서(301)가, 메모리(302)에 기억되어 있는, 통괄 처리부(20)의 동작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읽어내어 실행함으로써 실현된다. 또한, 이 프로그램은 통괄 처리부(20)의 절차 또는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것이라고도 할 수 있다. 메모리(302)는 프로세서(301)가 각종 처리를 실행할 때의 일시 메모리로도 사용된다.
이와 같이, 프로세서(301)가 실행하는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실행 가능한, 데이터 처리를 행하기 위한 복수의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하고 또한 비일시적인 기록 매체를 가지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다. 프로세서(301)가 실행하는 프로그램은, 복수의 명령이 데이터 처리를 행하는 것을 컴퓨터에 실행시킨다.
또한, 통괄 처리부(20)를 전용의 하드웨어로 실현해도 된다. 또한, 통괄 처리부(20)의 기능에 대해서, 일부를 전용의 하드웨어로 실현하고, 일부를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실현하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이, 실시 형태 1에 의하면, 통괄 처리부(20)가, 제1 이벤트가 종료되고 나서 제2 이벤트가 종료될 때까지의 시간인 순수 조작 시간을 산출하고 있으므로, 복수의 이벤트가 발생된 경우여도, 제2 이벤트의 조작 시간을 정확하게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통괄 처리부(20)가, 정확하게 산출한 조작 시간에 기초하여, 조작 유도에 이용하는 조작 절차를 선택하고 있으므로, 복수의 이벤트가 발생된 경우여도, 단시간으로 조작을 종료할 수 있는 적절한 조작 절차를 이벤트마다 유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실시 형태 2.
다음으로, 도 11 및 도 12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대해 설명한다. 실시 형태 2에서는, 기계 학습 장치가, 제1 이벤트가 종료되고 나서 제2 이벤트가 종료될 때까지의 조작 시간, 및 제2 이벤트에 대응하기 위한 조작의 횟수에 기초하여, 조작 유도에 이용하는 조작 절차를 학습한다. 또한, 실시 형태 2에서 이용하는 조작 시간은, 실시 형태 1에서 이용한 조작 시간이다.
우선, 실시 형태 2의 표시 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 실시 형태 2의 표시 시스템은, 실시 형태 1의 표시기(10)와, 기계 학습 장치를 구비한다. 이하에서는, 표시 시스템의 일례로서, 표시기(10)와 기계 학습 장치가 일체화된 표시기(10X)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또한, 기계 학습 장치(23)는 표시기(10X)와 일체화되어 있어도 되고, 표시기(10X)의 외부에 마련되어도 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따른 표시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의 각 구성 요소 중 도 1에 나타내는 실시 형태 1의 표시기(10)와 동일 기능을 달성하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표시기(10X)는, 표시기(10)의 구성 요소에 더하여, 조작 절차를 학습하는 기계 학습 장치(23)를 구비하고 있다. 즉, 조작 절차를 학습하여 표시하는 표시 시스템은, 표시기(10) 및 기계 학습 장치(23)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한, 기계 학습 장치(23)는 표시기(10X)의 내부에 배치되어도 되고 외부에 배치되어도 된다. 실시 형태 2에서는, 기계 학습 장치(23)가 표시기(10X)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기계 학습 장치(23)는 상태 관측부(40)와 학습부(41)를 구비하고 있다. 상태 관측부(40)는 통괄 처리부(20) 및 학습부(41)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학습부(41)는 기억부(22)에 접속되어 있다.
상태 관측부(40)는, 통괄 처리부(20)로부터, 제1 이벤트가 종료되고 나서 제2 이벤트가 종료될 때까지의 조작 시간과, 제2 이벤트에 대한 조작의 횟수인 조작수와, 제2 이벤트에 대한 조작 절차를 상태 변수(56)로서 관측한다. 상태 관측부(40)가 취득하는 조작 시간 및 조작수는, 조작 절차에 대응지어져 있다. 상태 관측부(40)는 관측 결과인 상태 변수(56)를 학습부(41)에 보낸다.
학습부(41)는, 상태 변수(56)에 따라서, 다음 번의 조작 절차인 행동(58)을 학습한다. 바꿔말하면, 학습부(41)는 조작 시간이 짧아지고, 조작수가 적어지는 조작 절차를 학습한다. 구체적으로는, 학습부(41)는 조작 시간, 조작수 및 조작 절차를 포함한 상태 변수(56)에 기초하여 작성되는 훈련 데이터 세트에 따라서, 입력 조작을 학습한다.
학습부(41)는 보수(reward) 계산부(45)와, 함수 갱신부(46)를 구비하고 있다. 보수 계산부(45)는 상태 변수(56)에 기초하여 보수를 계산한다. 즉, 보수 계산부(45)는, 통괄 처리부(20)가 산출한 순수 조작 시간에 기초하여, 보수를 계산한다. 보수 계산부(45)는 조작 시간이 짧을수록 큰 보수를 준다. 또한, 보수 계산부(45)는 조작수가 적을수록 큰 보수를 준다. 보수 계산부(45)는 조작 시간에 대한 보수와, 조작수에 대한 보수로 보수의 크기에 가중치 부여를 행해도 된다. 이 경우, 보수 계산부(45)는, 조작 시간에 대한 보수에 대해서는, 조작수에 대한 보수보다도 큰 차를 부여한 보수를 준다. 예를 들면, 보수 계산부(45)는 조작 시간에는 「+1」~ 「-1」의 보수를 주고, 조작수에는 「+0.2」~ 「-0.2」의 보수를 준다.
또한, 보수 계산부(45)는 통괄 처리부(20)가 산출한 조작 시간과, 기억부(22)에 기억되어 있는 조작 시간의 최소값의 차가 오차 정도의 차, 즉 특정 시간 분의 차밖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만 조작수에 보수를 주어도 된다. 이 경우, 특정 시간분보다도 큰 차가 있는 경우에는, 보수 계산부(45)는 조작 시간에는 보수를 주고, 조작수에는 보수를 주지 않는다. 보수 계산부(45)는 계산한 보수를 함수 갱신부(46)에 보낸다.
함수 갱신부(46)는 행동(58)을 결정하기 위한 함수를 기억하고 있고, 보수에 기초하여, 행동(58)을 결정하기 위한 함수를 갱신한다. 행동(58)을 결정하기 위한 함수의 예는, 후술하는 행동 가치 함수 Q(st, at)이다. 실시 형태 2의 함수 갱신부(46)는 입력부(11)에 대한 조작이 행해져 피제어기기의 상태가 복구될 때마다 행동 가치 함수 Q(s, a)를 갱신한다. 함수 갱신부(46)는 갱신한 행동 가치 함수 Q(s, a)를 이용하여 행동(58)을 산출한다. 함수 갱신부(46)는 산출한 행동(58)을 통괄 처리부(20)에 보내고, 갱신한 행동 가치 함수 Q(s, a)를 기억부(22)에 보낸다.
실시 형태 2의 기억부(22)는, 지금까지의 학습 데이터, 및 학습에 이용하는 데이터를 기억해 둔다. 학습 데이터의 예는, 학습된 처리 절차이며, 학습에 이용하는 데이터의 예는, 학습부(41)가 학습시에 이용하는 행동 가치 함수 Q(s, a)이다. 기억부(22)가 기억해 두는 처리 절차는, 과거의 조작 시간 중에서 가장 보수가 높았던 처리 절차이다. 기억부(22)는, 이벤트의 종류마다, 과거의 조작 시간 중에서 가장 보수가 높았던 처리 절차와, 이 처리 절차에 대응하는 조작 시간 및 조작수의 조합을 기억해 둔다. 기억부(22) 내에 기억해 두는 처리 절차는, 다음에 같은 이벤트가 발생되었을 때에, 통괄 처리부(20)에 의해서 읽어내지고, 표시부(12)에 표시된다.
학습부(41)가 이용하는 학습 알고리즘은 어떠한 것을 이용해도 된다. 여기에서는, 일례로서, 학습 알고리즘에 강화 학습(Reinforcement Learning)을 적용한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강화 학습은, 어느 환경 내에 있어서의 행동 주체인 에이전트가, 상태 변수(56)로 나타내지는 현재의 상태를 관측하고, 관측 결과에 기초하여 취해야 할 행동(58)을 결정한다고 하는 것이다. 에이전트는 행동(58)을 선택하는 것으로 환경으로부터 보수를 얻고, 일련의 행동(58)을 통해서 보수가 가장 많이 얻어지도록 하는 방책을 학습한다. 강화 학습의 대표적인 수법으로서, Q 학습(Q-Learning) 및 TD 학습(TD-Learning)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Q 학습의 경우, 행동 가치 함수 Q(s, a)의 일반적인 갱신 식인 행동 가치 테이블은, 이하의 식(1)로 나타내진다. 즉, 행동 가치 테이블의 일례는, 식(1)의 행동 가치 함수 Q(s, a)이다.
Figure 112020004762915-pct00001
식(1)에 있어서, st는 시각 t에 있어서의 환경을 나타내고, at는 시각 t에 있어서의 행동을 나타낸다. 행동 at에 의해, 환경은 st+1으로 바뀐다. rt+1은 그 환경의 변화에 의해서 얻을 수 있는 보수를 나타내고, γ는 할인율을 나타내고, α는 학습 계수를 나타낸다. Q 학습을 적용한 경우, 조작 입력이 행동 at가 된다.
식(1)로 나타내지는 갱신 식은, 시각 t+1에 있어서의 최선의 행동 a의 행동 가치가, 시각 t에 있어서 실행된 행동 a의 행동 가치 Q보다도 크면, 행동 가치 Q를 크게 하고, 반대의 경우에는, 행동 가치 Q를 작게 한다. 바꿔말하면, 시각 t에 있어서의 행동 a의 행동 가치 Q를, 시각 t+1에 있어서의 최선의 행동 가치에 근접시키도록, 행동 가치 함수 Q(s, a)를 갱신한다. 그것에 의해, 어느 환경에 있어서의 최선의 행동 가치가, 그 이전의 환경에 있어서의 행동 가치에 순차적으로 전파해 나가게 된다.
보수 계산부(45)는, 예를 들면, 조작 시간이 기억된 종래의 조작 시간보다도 짧은 경우에는 보수 r을 증대시킨다. 이때, 보수 계산부(45)는, 예를 들면 「1」의 보수를 준다. 한편, 보수 계산부(45)는 조작 시간이 종래의 조작 시간보다도 긴 경우에는 보수 r을 저감시킨다. 이때, 보수 계산부(45)는, 예를 들면 「-1」의 보수를 준다. 또한, 보수 계산부(45)는, 예를 들면, 조작수가 기억된 종래의 조작수보다도 적은 경우에는 보수 r을 증대시킨다. 이때, 보수 계산부(45)는 예를 들면 「0.2」의 보수를 준다. 한편, 보수 계산부(45)는 조작수가 종래의 조작수보다도 많은 경우에는 보수 r을 저감시킨다. 이때, 보수 계산부(45)는, 예를 들면 「-0.2」의 보수를 준다.
함수 갱신부(46)는, 보수 계산부(45)에 의해서 계산된 보수에 따라서, 행동(58)인 입력 조작을 결정하기 위한 함수를 갱신한다. 예를 들면 Q 학습의 경우, 식(1)로 나타내지는 행동 가치 함수 Q(st, at)가 행동(58)을 계산하기 위한 함수이며, 함수 갱신부(46)에 의해서 행동 가치 함수 Q(st, at)가 갱신된다.
다음으로, 행동 가치 함수 Q(st, at)를 갱신하는 강화 학습 방법의 처리 절차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2는 실시 형태 2에 따른 기계 학습 장치에 의한, 행동 가치 함수의 갱신 절차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이벤트가 발생되면, 표시부(12)는 조작 절차를 유도하기 위한 정보를 표시한다. 입력부(11)가 조작자로부터의 조작을 접수하면, 통괄 처리부(20)는 발생된 이벤트와, 조작자에 의한 이벤트에 대한 조작 절차와, 조작 시간과, 조작수를 대응지은 조작 이력 정보(101)를 작성한다.
상태 관측부(40)는 통괄 처리부(20)로부터 조작 이력 정보(101)를 상태 변수(56)로서 취득한다(스텝 S200). 상태 관측부(40)는 상태 변수(56)를 보수 계산부(45)에 보낸다. 즉, 상태 관측부(40)는 이벤트와, 조작 절차와, 순수 조작 시간이 대응지어진 정보를 보수 계산부(45)에 보낸다.
보수 계산부(45)는, 상태 관측부(40)로부터 취득한 순수 조작 시간이, 미리 기억해 둔, 지금까지의 최단의 조작 시간보다 긴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210). 순수 조작 시간이, 미리 기억해 둔 지금까지의 최단의 조작 시간보다 긴 경우(스텝 S210, Yes), 보수 계산부(45)가, 보수를 감소시킨다(스텝 S220).
한편, 순수 조작 시간이, 미리 기억해 둔 지금까지의 최단의 조작 시간 이하인 경우(스텝 S210, No), 보수 계산부(45)는 보수를 증대시킨다(스텝 S230). 또한, 보수 계산부(45)는, 순수 조작 시간이, 미리 기억해 둔 지금까지의 최단의 조작 시간보다도 짧은 경우에 보수를 증대시켜도 된다. 순수 조작 시간이, 미리 기억해 둔 지금까지의 최단의 조작 시간과 같은 경우, 보수 계산부(45)는 보수를 감소도 증대도 시키지 않고 유지시켜도 된다.
보수 계산부(45)는, 상태 관측부(40)로부터 취득한 조작수가, 미리 기억해 둔, 지금까지의 최소의 조작수보다 많은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240). 조작수가, 미리 기억해 둔 지금까지의 최소의 조작수보다 많은 경우(스텝 S240, Yes), 보수 계산부(45)가 보수를 감소시킨다(스텝 S250).
한편, 조작수가, 미리 기억해 둔 지금까지의 최소의 조작수 이하인 경우(스텝 S240, No), 보수 계산부(45)는 보수를 증대시킨다(스텝 S260). 또한, 보수 계산부(45)는, 조작수가, 미리 기억해 둔 지금까지의 최소의 조작수보다도 적은 경우에 보수를 증대시켜도 된다. 조작수가, 미리 기억해 둔 지금까지의 최소의 조작수와 같은 경우, 보수 계산부(45)는 보수를 감소도 증대도 시키지 않고 유지시켜도 된다.
함수 갱신부(46)는, 증대 또는 감소시킨 보수에 기초하여, 행동 가치 함수 Q(st, at)를 갱신한다(스텝 S270). 그 후, 표시기(10X)는 다시 스텝 S200으로 되돌아가, 새로 입력된 상태 변수(56)에 대해 행동 가치 Q를 구한다. 표시기(10X)는 스텝 S200~S270의 처리를 특정 주기로 반복 실행한다.
피제어기기에 있어서, 기억부(22)에 격납되어 있는 이벤트와 같은 이벤트가 발생된 경우, 표시기(10X)는 기억부(22) 내에 기억되어 있는 조작 절차를 표시한다. 이것에 의해, 조작 시간이 짧고 조작수가 적은 조작 절차를 이용하여 조작을 유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실시 형태 2에서는, 기계 학습 장치(23)가, 강화 학습을 이용하여 기계 학습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했지만, 기계 학습 장치(23)는 다른 공지 방법, 예를 들면 뉴럴 네트워크, 유전(遺傳)적 프로그래밍, 기능 논리 프로그래밍, 서포트 벡터 머신 등에 따라서 기계 학습을 실행해도 된다.
이와 같이, 실시 형태 2에 의하면, 기계 학습 장치(23)가, 조작 시간 및 조작수에 대응하는 조작 절차를 학습하고 있으므로, 복수의 이벤트가 발생된 경우여도, 제2 이벤트의 조작 시간 및 조작수를 정확하게 학습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복수의 이벤트가 발생된 경우여도, 단시간으로 용이하게 조작을 종료할 수 있는 적절한 조작 절차를 이벤트마다 유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의 실시 형태에 나타낸 구성은, 본 발명 내용의 일례를 나타내는 것이며, 다른 공지 기술과 조합하는 것도 가능하고,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구성의 일부를 생략,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다.
10, 10X 표시기, 11 입력부, 12 표시부, 13 통신 I/F부, 15 터치 패널, 20 통괄 처리부, 21 표시 정보 생성부, 22 기억부, 23 기계 학습 장치, 40 상태 관측부, 41 학습부, 45 보수 계산부, 46 함수 갱신부, 56 상태 변수, 58 행동, 30 제어장치, 61~64 버튼, 101 조작 이력 정보.

Claims (16)

  1. 외부 장치에서 발생된 제1 이벤트 및 제2 이벤트가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보내져 왔을 경우에, 상기 제1 이벤트에 대한 조작 및 상기 제2 이벤트에 대한 조작이 행해지면, 상기 제1 이벤트에 대한 조작에 의해서 상기 제1 이벤트가 종료되는 타이밍을 상기 제2 이벤트에 대한 조작에 착수하는 타이밍으로 하고, 상기 제1 이벤트가 종료되고 나서 상기 제2 이벤트에 대한 조작에 의해서 상기 제2 이벤트가 종료될 때까지의 시간인 조작 시간을 산출하는 산출부와,
    상기 제2 이벤트에 대한 조작의 이력인 조작 절차와, 상기 조작 절차에 대응하는 상기 조작 시간을 기억하는 기억부와,
    상기 산출부로부터의 지시에 따라서, 상기 기억부 내의 조작 절차 중 어느 것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구비하고,
    상기 산출부는, 상기 조작 시간의 산출이 종료된 후에, 상기 제2 이벤트가 새로 보내져 오면, 상기 기억부 내의 조작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기억부 내의 조작 절차 중에서 조작 유도에 이용하는 조작 절차를 선택하고, 선택한 조작 절차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시킴으로써 상기 조작 유도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산출부는 상기 기억부 내의 조작 시간 중에서 가장 조작 시간이 짧은 조작 시간을 선택하고, 선택한 조작 시간에 대응하는 조작 절차를 상기 조작 유도에 이용하는 조작 절차로서 선택하여 표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기.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산출부는 상기 제1 이벤트가 종료되고 나서 상기 제2 이벤트에 대한 조작이 착수될 때까지의 시간을 제외하여 상기 조작 시간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기.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산출부는 상기 제2 이벤트에 대한 조작의 조작 간격의 시간을 제외하여 상기 조작 시간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기.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산출부는, 상기 제2 이벤트에 대한 조작 중에, 상기 외부 장치에서 발생된 제3 이벤트가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보내져 오면, 상기 제3 이벤트의 중요도가 상기 제2 이벤트의 중요도보다도 높은 경우에는, 상기 제2 이벤트에 대한 조작에 대한 인터럽트 또는 중단을 실행하고, 상기 제3 이벤트에 대한 조작을 접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기.
  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산출부는 상기 제1 이벤트에 대한 조작의 조작 절차를 다른 표시기에 표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기.
  7.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산출부는, 상기 외부 장치에서 발생된 복수의 이벤트의 각 조작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이벤트를 식별하는 정보를, 상기 표시부에 정렬 표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기.
  8.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산출부는, 상기 조작 절차에 대응하는 각 조작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조작 절차를 식별하는 정보를, 상기 표시부에 정렬 표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기.
  9.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산출부는, 상기 선택한 조작 절차가 복수의 화면에 걸쳐 표시되는 경우, 상기 복수의 화면을 전환하여 상기 선택한 조작 절차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기.
  10.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산출부는, 상기 조작 유도를 받는 조작자의 숙련도 또는 상기 제2 이벤트의 발생 빈도에 기초하여, 상기 조작 유도의 세밀도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기.
  11. 외부 장치에서 발생된 제1 이벤트 및 제2 이벤트가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보내져 왔을 경우에, 상기 제1 이벤트에 대한 조작 및 상기 제2 이벤트에 대한 조작이 행해지면, 상기 제1 이벤트에 대한 조작에 의해서 상기 제1 이벤트가 종료되는 타이밍을 상기 제2 이벤트에 대한 조작에 착수하는 타이밍으로 하고, 상기 제1 이벤트가 종료되고 나서 상기 제2 이벤트에 대한 조작에 의해서 상기 제2 이벤트가 종료될 때까지의 시간인 조작 시간을 산출하는 산출 스텝과,
    상기 제2 이벤트에 대한 조작의 이력인 조작 절차와, 상기 조작 절차에 대응하는 상기 조작 시간을 기억하는 기억 스텝과,
    상기 조작 시간의 산출이 종료된 후에, 상기 제2 이벤트가 새로 보내져 오면, 상기 조작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조작 절차 중에서 조작 유도에 이용하는 조작 절차를 선택하는 선택 스텝과,
    선택한 조작 절차를 표시함으로써 상기 조작 유도를 실행하는 표시 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방법.
  12. 외부 장치에서 발생된 제1 이벤트 및 제2 이벤트가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보내져 왔을 경우에, 상기 제1 이벤트에 대한 조작 및 상기 제2 이벤트에 대한 조작이 행해지면, 상기 제1 이벤트에 대한 조작에 의해서 상기 제1 이벤트가 종료되는 타이밍을 상기 제2 이벤트에 대한 조작에 착수하는 타이밍으로 하고, 상기 제1 이벤트가 종료되고 나서 상기 제2 이벤트에 대한 조작에 의해서 상기 제2 이벤트가 종료될 때까지의 시간인 조작 시간, 및 상기 제2 이벤트에 대한 조작의 횟수인 조작수를 산출하는 산출부와,
    상기 산출부로부터의 지시에 따라서, 상기 제2 이벤트에 대한 조작 절차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제2 이벤트에 대한 조작 절차와, 상기 산출부가 산출한 상기 제2 이벤트에 대한 조작 시간과, 상기 산출부가 산출한 상기 제2 이벤트에 대한 조작수를 상태 변수로서 관측하는 상태 관측부와,
    상기 상태 변수에 기초하여 작성되는 훈련 데이터 세트에 따라서, 상기 제2 이벤트에 대한 조작 절차를 학습하는 학습부를 구비하고,
    상기 학습부는 학습 결과인 상기 제2 이벤트에 대한 조작 절차를 상기 산출부에 보내고,
    상기 산출부는,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상기 제2 이벤트가 새로 보내져 오면, 상기 학습부로부터 보내져 온 상기 제2 이벤트에 대한 조작 절차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시킴으로써 조작 유도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시스템.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학습부는,
    상기 상태 변수에 기초하여 보수를 계산하는 보수 계산부와,
    상기 보수에 기초하여, 상기 조작 절차를 결정하기 위한 함수를 갱신하는 함수 갱신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시스템.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보수 계산부는, 상기 산출부가 산출한 조작 시간이 기억부에 축적된 조작 시간 중에서 최단의 조작 시간보다도 짧은 경우에는, 상기 보수를 증대시키고, 상기 산출부가 산출한 조작 시간이 기억부에 축적된 조작 시간 중에서 최단의 조작 시간보다도 긴 경우에는, 상기 보수를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시스템.
  15. 청구항 13 또는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보수 계산부는, 상기 산출부가 산출한 조작수가 기억부에 축적된 조작수 중에서 최소의 조작수보다도 적은 경우에는, 상기 보수를 증대시키고, 상기 산출부가 산출한 조작수가 기억부에 축적된 조작수 중에서 최소의 조작수보다도 많은 경우에는, 상기 보수를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시스템.
  16.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함수 갱신부는, 상기 보수에 따라서, 상기 함수를 나타내는 행동 가치 테이블을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시스템.
KR1020207001414A 2017-07-24 2018-07-12 표시기, 표시 방법 및 표시 시스템 KR10227486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PCT/JP2017/026616 2017-07-24
PCT/JP2017/026616 WO2019021339A1 (ja) 2017-07-24 2017-07-24 表示器および表示方法
PCT/JP2018/026303 WO2019021840A1 (ja) 2017-07-24 2018-07-12 表示器、表示方法および表示システ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7503A KR20200017503A (ko) 2020-02-18
KR102274868B1 true KR102274868B1 (ko) 2021-07-09

Family

ID=650395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01414A KR102274868B1 (ko) 2017-07-24 2018-07-12 표시기, 표시 방법 및 표시 시스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587459B2 (ko)
JP (1) JP6580287B2 (ko)
KR (1) KR102274868B1 (ko)
CN (1) CN110959142B (ko)
DE (1) DE112018003770T5 (ko)
WO (2) WO201902133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17996A (zh) * 2019-02-26 2019-06-21 北京达佳互联信息技术有限公司 互动内容展示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323396A (ja) 2006-06-01 2007-12-13 Yokogawa Electric Corp プラント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プラント情報処理方法
JP2016103195A (ja) 2014-11-28 2016-06-02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電子機器および操作補助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80078A (en) 1997-02-14 1999-11-09 Fisher-Rosemount Systems, Inc. Process control system including automatic sensing and automatic configuration of devices
JP2006039648A (ja) * 2004-07-22 2006-02-09 Toshiba Corp プラント監視制御システム
JP2007034797A (ja) * 2005-07-28 2007-02-08 Digital Electronics Corp 画面データ生成装置、並びに、その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4563279B2 (ja) * 2005-08-05 2010-10-13 株式会社日立ハイテクノロジーズ 分析装置
JP2010049532A (ja) * 2008-08-22 2010-03-04 Toshiba Corp 運転監視支援装置
JP2013077134A (ja) * 2011-09-30 2013-04-25 Mitsubishi Electric Corp 状態表示・指示入力装置
JP6140530B2 (ja) 2013-05-28 2017-05-31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データ 操作支援装置、操作支援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3440300B (zh) * 2013-08-21 2016-08-17 北京邮电大学 基于事件对文件进行管理的操作系统的工作方法
JP6105537B2 (ja) 2014-09-24 2017-03-29 ファナック株式会社 アラーム対処履歴を表示する数値制御装置
JP6385830B2 (ja) * 2015-01-14 2018-09-05 株式会社神戸製鋼所 操業オペレータの作業負荷を評価する評価方法
JP6359061B2 (ja) * 2016-09-16 2018-07-18 ソフトバンク株式会社 監視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制御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323396A (ja) 2006-06-01 2007-12-13 Yokogawa Electric Corp プラント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プラント情報処理方法
JP2016103195A (ja) 2014-11-28 2016-06-02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電子機器および操作補助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19021840A1 (ja) 2019-07-25
WO2019021840A1 (ja) 2019-01-31
KR20200017503A (ko) 2020-02-18
JP6580287B2 (ja) 2019-09-25
US11587459B2 (en) 2023-02-21
CN110959142B (zh) 2022-09-09
DE112018003770T5 (de) 2020-04-09
WO2019021339A1 (ja) 2019-01-31
US20200168118A1 (en) 2020-05-28
CN110959142A (zh) 2020-04-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30052B2 (en) Alarm display apparatus and alarm display method
AU2014277722B2 (en) Graph display control device, electronic device, graph display method and Storage medium recording graph display control processing program
EP2407844A1 (en) Operation support device, operation support method, and computer program
KR102274868B1 (ko) 표시기, 표시 방법 및 표시 시스템
US10845967B2 (en) Display device for injection molding machine
JP7384729B2 (ja) 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機械学習機、情報処理方法及び射出成形機
JP2017041032A5 (ko)
JP2023030085A5 (ko)
JP2020035280A (ja) 点検作業支援装置、点検作業支援システム、および点検作業支援方法
JP2007305102A (ja) 生産方式決定システムおよび生産方式決定方法
JP7277303B2 (ja) 予測装置
KR102255707B1 (ko) 제품 제조에 대한 최적조건 설정방법 및 장치
JP7263020B2 (ja) 処理水質推定装置、処理水質推定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379878B2 (ja) 端末装置の入力パターン最適化処理方法、入力パターン最適化処理システムおよび入力パターン最適化処理プログラム
JP2011186866A (ja) プラント監視・制御装置およびその保守支援方法
JP2017041127A (ja) 試験装置
EP3989026A1 (en) Assistance device, display device, assistance method, and assistance program
JP5813845B2 (ja) 評価値算出装置、評価値算出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5979212B2 (ja) 電子機器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6062518A (ja) 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20180091806A1 (en) Screen image generation apparatus, screen image generation method, and screen image generation program
JP4168977B2 (ja) グラフ表示制御装置およびグラフ表示制御プログラム
US11151016B2 (en) Control-program-development supporting apparatus, control-program-development supporting system, control-program-development supporting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US20160133220A1 (en) Programmable display device
US10902181B2 (en) Program creation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