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1121B1 - 스포이트 용기 - Google Patents

스포이트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1121B1
KR102271121B1 KR1020177004361A KR20177004361A KR102271121B1 KR 102271121 B1 KR102271121 B1 KR 102271121B1 KR 1020177004361 A KR1020177004361 A KR 1020177004361A KR 20177004361 A KR20177004361 A KR 20177004361A KR 102271121 B1 KR102271121 B1 KR 1022711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pper
dropper
cylinder
container
containe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043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78588A (ko
Inventor
카즈오 스즈키
히로유키 나카무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요시노 고교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요시노 고교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요시노 고교쇼
Publication of KR201700785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85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11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11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20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or mixing fluids, e.g. from vial to syrin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32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brushes or rods for applying or stirring cont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20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or mixing fluids, e.g. from vial to syringe
    • A61J1/2003Accessories used in combination with means for transfer or mixing of fluids, e.g. for activating fluid flow, separating fluids, filtering fluid or ven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20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or mixing fluids, e.g. from vial to syringe
    • A61J1/2003Accessories used in combination with means for transfer or mixing of fluids, e.g. for activating fluid flow, separating fluids, filtering fluid or venting
    • A61J1/202Separating means
    • A61J1/2037Separating means having valve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129Syringe barr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148Means for causing or aiding aspiration or plunger retra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15Pistons; Piston-rods; Guiding, blocking or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rod or piston; Appliances on the rod for facilitating dosing ; Dosing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15Pistons; Piston-rods; Guiding, blocking or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rod or piston; Appliances on the rod for facilitating dosing ; Dosing mechanisms
    • A61M5/31565Administration mechanisms, i.e. constructional features, modes of administering a dose
    • A61M5/31576Constructional features or modes of drive mechanisms for piston rods
    • A61M5/31583Constructional features or modes of drive mechanisms for piston rods based on rotational translation, i.e. movement of piston rod is caused by relative rotation between the user activated actuator and the piston ro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202Devices for protection of the needle before use, e.g. c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3/00Containers or dishes for laboratory use, e.g. laboratory glassware; Droppers
    • B01L3/02Burettes; Pipettes
    • B01L3/021Pipettes, i.e. with only one conduit for withdrawing and redistributing liq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3/00Containers or dishes for laboratory use, e.g. laboratory glassware; Droppers
    • B01L3/02Burettes; Pipettes
    • B01L3/0241Drop counters; Drop for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3/00Sealing or packing elements; Sealings formed by liquid or plastics material
    • B65D53/02Collars or 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20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or mixing fluids, e.g. from vial to syringe
    • A61J1/2096Combination of a vial and a syringe for transferring or mixing their cont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24Ampoule syringes, i.e. syringes with needle for use in combination with replaceable ampoules or carpules, e.g. automatic
    • A61M2005/2485Ampoule holder connected to rest of syringe
    • A61M2005/2488Ampoule holder connected to rest of syringe via rotation, e.g. threads or bayon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200/00Solutions for specific problems relating to 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 B01L2200/06Fluid handling related problems
    • B01L2200/0605Metering of fl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4Closures and closing means
    • B01L2300/041Connecting closures to device or container
    • B01L2300/042Caps; Plu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4Closures and closing means
    • B01L2300/046Function or devices integrated in the closure
    • B01L2300/047Additional chamber, reservo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400/00Moving or stopping fluids
    • B01L2400/04Moving fluids with specific forces or mechanical means
    • B01L2400/0475Moving fluids with specific forces or mechanical means specific mechanical means and fluid pressure
    • B01L2400/0478Moving fluids with specific forces or mechanical means specific mechanical means and fluid pressure pist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400/00Moving or stopping fluids
    • B01L2400/04Moving fluids with specific forces or mechanical means
    • B01L2400/0475Moving fluids with specific forces or mechanical means specific mechanical means and fluid pressure
    • B01L2400/0481Moving fluids with specific forces or mechanical means specific mechanical means and fluid pressure squeezing of channels or chamb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mat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Fluid Mechan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용물의 잔량에 관계없이 흡입량을 정밀도 좋게 일정하게 한, 스포이트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용기 본체(2)의 입구부(2b)와 마개 기부(5) 사이에는 패킹 부재(20)가 설치되어 있다. 패킹 부재(20)의 하면에는 하향으로 돌출하여, 용기 본체(2)의 상단 개구 가장자리에 압궤되는 압궤 돌기부(20b)가 형성됨과 더불어, 패킹 부재(20)의 상면에는 적어도 일부가 압궤 돌기부(20b)의 바로 위에 위치하는 돌출 수용 오목부(20c)가 형성되어 있다. 마개 기부(5), 가동 마개부(6) 및 스포이트 관(8)을 용기 본체(2)에서 이탈한 후, 다시 장착할 때에, 패킹 부재(20)는 그의 압궤 돌기부(20b)가 압궤되기까지는 용기 본체(2)의 입구부(2b)와의 사이에 연통 간극(30)을 형성한다. 이때, 용기 본체(2) 내에 미치는 정압은 연통 간극(30)을 통해서 외부로 방출된다.

Description

스포이트 용기{SYRINGE CONTAINER}
본 발명은 스포이트 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은 2014년 10월 31일자로 일본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14-223599호에 기초하여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내용을 여기에 원용한다.
스포이트 용기로서, 하기 특허문헌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입구부를 갖는 용기체와, 입구부에 장착된 스포이트 딸린 캡을 구비하는 구성이 알려져 있다. 스포이트 딸린 캡은 스포이트 관의 하반부를, 입구부를 통해 용기체 내에 삽입한다. 스포이트 관의 상단부에는 탄성 돔체와, 탄성 돔체를 누르는 누름 통이 설치되어 있다. 이 스포이트 용기에서는 누름 통을 눌러서 탄성 돔체를 압압함으로써 용기 본체 내의 내용물을 빨아올리는 점에서 누름 통의 누름량에 따라 내용물의 흡입량이 변화되기 쉽다.
여기에서, 이런 종류의 스포이트 용기에서는 내용물의 종류에 따라서는 일정량의 액체를 정밀도 좋게 빨아올려 토출하는 것이 바람직한 경우가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하기 특허문헌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스포이트 용기도 제안되어 있다. 이 스포이트 용기는 용기체의 입구부 상에 배치된 마개 기부와, 마개 기부에 대해 상방 이동이 자유롭게 배치되어 설치된 가동 마개부를 구비한다. 마개 기부와 가동 마개부 사이에는 스포이트 관 내에 연통하는 부압 발생용 펌프실이 형성되어 있다. 이 스포이트 용기에서는 입구부에서 가동 마개부를 상승시켜서 이탈시킬 때에, 가동 마개부의 상승 거리에 따라 펌프실 내에서 부압을 생성시킴으로써, 용기체 내의 액체를 스포이트 관 내로 빨아올린다.
일본 실용신안 공고 (평)6-42735호 공보 일본 특허 공표 제2013-533172호 공보
그러나 상기 종래의 스포이트 용기에서는 가동 마개부의 상승에 수반하여 펌프실 내에서 생기는 부압의 크기가 동등할 경우에도, 용기체 내에 있는 내용물의 잔량에 따라서 내용물의 흡입량이 변화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내용물의 잔량에 관계없이 흡입량을 정밀도 좋게 일정하게 하는 것에 대해서 개선의 여지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내용물의 잔량에 관계없이 흡입량을 정밀도 좋게 일정하게 한, 스포이트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스포이트 용기는 내용물이 수용되는 용기 본체와, 상기 용기 본체의 입구부 상에 배치된 마개 기부와, 상기 마개 기부에 대해 상방 이동이 자유롭게 설치된 가동 마개부와, 상기 마개 기부와 상기 가동 마개부를 상하로 격리시키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 수단과, 상기 마개 기부에 장착됨과 함께, 상기 용기 본체를 향해 연장되어 설치된 스포이트 관을 구비하고, 상기 가동 마개부는 상기 용기 본체의 입구부에 탈착이 자유롭게 장착된 장착 통과, 탄성 변형 가능하게 형성됨과 함께 상기 장착 통의 상단 개구를 폐색하는 마개 본체와, 지름 방향으로 상기 장착 통의 내측에 배치되어 설치됨과 더불어, 상기 장착 통에 연결된 실린더부를 구비하고, 상기 마개 기부는 상기 스포이트 관에 연결되고, 상기 실린더부 내에 상하 슬라이딩이 자유롭게 끼워 맞춰진 피스톤부를 구비하고, 상기 실린더부는 상기 스포이트 관에 상승이 자유롭게 장착됨과 더불어, 상기 실린더부 및 상기 스포이트 관에는 상기 실린더부가 상기 스포이트 관에 대해 상승 단 위치에 위치했을 때, 서로 맞물리는 맞물림부가 형성되고, 상기 스포이트 관의 내부는 상기 장착 통의 상단 개구와 상기 마개 본체 사이의 공간에 연통하고, 상기 실린더부에 그 내부와 상기 공간을 연통시키는 연통 구멍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마개 기부와 상기 용기 본체 입구부의 상단 개구 가장자리 사이에는 패킹 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패킹 부재의 하면에는 아래를 향해 돌출하고, 상기 용기 본체의 상단 개구 가장자리에 압궤되는 압궤 돌기부가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패킹 부재의 상면에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압궤 돌기부의 바로 위에 위치하는 돌출 수용 오목부(피장출 오목부; 확인바람)가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처음에 스포이트 관을 용기 본체에서 이탈시키기 위해, 가동 마개부를 용기 본체에 대해 상승시킨다. 다음에는 가압 수단의 가압력에 의해 가동 마개부의 실린더부 내에서 마개 기부의 피스톤부가 상대적으로 하향 슬라이딩하여 실린더부의 내용적이 증대하고, 실린더부 내에 부압이 발생한다. 이 부압은 연통 구멍, 상기 공간, 및 스포이트 관 내를 통과하여 용기 본체 내에 미치고, 용기 본체 내의 내용물이 스포이트 관 내로 흡입된다. 가동 마개부가 스포이트 관에 대해 상승 단 위치까지 상승하여 맞물림부가 서로 맞물린 후, 가동 마개부를 용기 본체에 대해 더 상승시키면, 가동 마개부와 스포이트 관이 맞물림부를 통해 일체로 되어 상승함으로써, 스포이트 관이 가동 마개부 및 마개 기부와 함께 용기 본체에서 이탈된다. 그리하여 마개 본체를 압압함으로써, 스포이트 관 내에 있는 내용물이 스포이트 관의 하단 개구로부터 나온다.
이 스포이트 용기에 의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가동 마개부를 용기 본체에서 이탈시켜, 스포이트 관 내에 있는 내용물을 스포이트 관의 하단 개구에서 주출(注出)한 후, 스포이트 관을 용기 본체 내에 다시 삽입하여 가동 마개부를 용기 본체에 장착시키고, 가동 마개부를 마개 기부에 대해 하강시켰을 때, 마개 기부의 피스톤부가 가동 마개부의 실린더부 내를 상대적으로 상향 슬라이딩하여 실린더부의 내용적을 감소시키고, 실린더부 내에 정압을 발생시킨다.
이때, 마개 기부와 용기 본체 입구부의 상단 개구 가장자리 사이에 패킹 부재가 설치되어 있지만, 패킹 부재의 하면에 하향 돌출하는 압궤 돌기부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마개 기부와 용기 본체의 상기 상단 개구 가장자리 사이에는 압궤 돌기부에 의해 용기 본체의 내외를 연통시키는 연통 간극이 형성된다. 따라서 실린더부 내에 발생한 정압은 연통 구멍, 공간, 스포이트 관내, 용기 본체 내를 통과하여 용기 본체 밖으로 방출되어, 용기 본체의 내압 상승이 억제된다.
그 후, 가동 마개부를 더 하강시킴으로써, 패킹 부재는 마개 기부와 용기 본체의 상기 상단 개구 가장자리 사이에서 압압되고, 특히 압궤 돌기부가 용기 본체의 상기 상단 개구 가장자리에 압궤된다. 그때, 압궤 돌기부의 바로 위에 돌출 수용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 돌출 수용 오목부에 의해 압궤 돌기부의 상면측으로의 변형이 허용되고, 따라서 압궤 돌기부의 상측으로의 압궤가 큰 저항 없이 원활하게 일어난다. 이로 인해, 패킹 부재에 의한 마개 기부와 용기 본체의 상기 상단 개구 가장자리 사이의 시일성이 양호하게 확보된다.
상기 스포이트 용기에 있어서, 상기 패킹 부재에는 상기 용기 본체 입구부의 상단 개구부의 외주면에 걸리는 걸림 돌기부가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이 경우에, 스포이트 관에서 주출된 후, 가동 마개부를 용기 본체에 다시 장착하고, 가동 마개부를 하강시킬 때, 패킹 부재가 마개 기부와 용기 본체의 상기 상단 개구 가장자리 사이에서 압궤됨으로써 용기 본체의 내측으로 변위하는 것이, 걸림 돌기부가 용기 본체의 상기 상단 개구부의 외주면에 걸림으로써 억제된다.
상기 장착 통은 상기 입구부에 나사 장착됨과 더불어, 상기 실린더부에 연결부를 통해 연결되고, 상기 마개 기부는 상기 장착 통이 용기 축 주위를 회전할 때에 상기 연결부에 맞물려 상기 가동 마개부와 함께 회전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장착 통이 용기 축 주위를 회전할 때에, 마개 기부가 연결부에 맞물려 가동 마개부와 함께 회전하므로, 장착 통을 용기 본체의 입구부에 탈착할 때에, 가동 마개부뿐만 아니라, 마개 기부도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해지고, 피스톤부를 실린더부 내에서 원활하게 상하 슬라이딩시킬 수 있다.
상기 가동 마개부는 상기 장착 통에 지름 방향으로 외측에서 상대적으로 상하 이동 불능으로 또한 회전 불능으로 장착된 외장 통을 구비하고, 상기 외장 통은 상기 마개 본체를, 그 주연부를 상기 장착 통과의 사이에서 상하 방향으로 협지하면서, 상향으로 노출시킬 수도 있다.
이 경우에, 외장 통이 마개 본체를, 그 주연부를 장착 통과의 사이에서 상하 방향으로 협지하면서, 상향으로 노출시키고 있으므로, 마개 본체의 압압 조작을 저해하지 않고, 마개 본체를 장착 통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내용물의 잔량에 관계없이 흡입량을 정밀도 좋게 일정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스포이트 용기의 주요부 종단면도이며, 초기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A는 패킹 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2B는 도 2A의 A-A선 화살표 방향으로 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스포이트 용기의 주요부 종단면도이며, 가동 마개부가 열릴 때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한 스포이트 용기의 주요부 종단면도이며, 가동 마개부가 닫힐 때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스포이트 용기의 주요부 종단면도이며, 초기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1 실시형태)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스포이트 용기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스포이트 용기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주요부 종단면도로서, 가동 마개부를 닫은 초기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한 스포이트 용기(1)는 내용물이 수용되는 용기 본체(2)와, 용기 본체(2)에 탈착이 자유롭게 장착되는 스포이트 캡(3)을 구비한다.
용기 본체(2)는 바닥이 있는 통 형태로 형성되어 있고, 용기 본체(2) 및 스포이트 캡(3)의 후술하는 스포이트 관(8)의 각 중심축은 공통 축 상에 배치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이 공통 축을 용기 축(O)으로 정의하고, 용기 축(O)을 따른 방향을 상하 방향으로 정의하고, 상하 방향을 따른 용기 본체(2)의 바닥부측을 하측으로 정의하고, 그 반대측인 용기 본체(2)의 입구부측을 상측으로 정의한다. 스포이트 용기(1)를 상하 방향에서 본 평면도에 있어서, 용기 축(O)과 직교하는 방향을 지름 방향으로 정의하고, 용기 축(O) 주위를 주회하는 방향을 둘레 방향으로 정의한다.
용기 본체(2)에는 그 몸통부나 바닥부와 일체로 형성된 입구부 본체(2a)에 압입 등에 의해 설치되어 고정된 가이드 통(4)이 구비되어 있다. 이에 의해 용기 본체(2)의 입구부(2b)는 상기 입구부 본체(2a)와 가이드 통(4)을 구비하여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 통(4)은 입구부 본체(2a)의 상단부에 내삽되는 원통형의 주통부(4a)와, 주통부(4a)의 상단에서 지름 방향으로 외측을 향해 연장하여 입구부 본체(2a)의 상단 개구 가장자리에 걸리는 디스크 형태의 턱부(4b)와, 주통부(4a)의 내면에서 지름 방향으로 안쪽을 향해 돌출하는 훑어내기 편(4c)을 구비한다. 훑어내기 편(4c)은 후술하는 스포이트 관(8)의 외주면에 상하 슬라이딩이 자유롭게 맞닿아 스포이트 관(8)의 외주면에 부착된 내용물을 훑어낸다. 훑어내기 편(4c)은 연결편(4d)을 통해 주통부(4a)에 연결되어 있다. 연결편(4d)은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개 배치되어 있다. 또한, 가이드 통(4)도 용기 본체(2)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스포이트 캡(3)은 용기 본체(2)의 입구부(2b) 상에 배치된 마개 기부(5)와, 마개 기부(5)에 대해 상방 이동이 자유롭게 설치된 가동 마개부(6)와, 마개 기부(5)와 가동 마개부(6)를 상하로 격리시키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 수단(7)과, 마개 기부(5)에 장착되어, 용기 본체(2) 내를 향해 연장되는 스포이트 관(8)과, 패킹 부재(20)를 구비한다.
가동 마개부(6)는 장착 통(9)과, 실린더부(10)와, 마개 본체(11)와, 외장 통(12)을 구비한다. 실린더부(10) 및 마개 본체(11)는 모두 통 형태로 형성되어 있고, 장착 통(9), 실린더부(10), 마개 본체(11) 및 외장 통(12)은 모두 용기 축(O)과 동 축으로 배치되어 있다.
장착 통(9)은 용기 본체(2)의 입구부 본체(2a)에 탈착이 자유롭게 장착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장착 통(9) 중, 하부(9a)가 지름 방향으로 외측에서 입구부 본체(2a)에 나사 장착되어 있고, 상부(9b)는 입구부 본체(2a)보다도 위쪽으로 돌출해 있다. 장착 통(9)의 하단부에는 지름 방향으로 외측을 향해 돌출하는 프랜지부(9c)가 설치되어 있다. 프랜지부(9c)에는 용기 축(O)과 동 축으로 배치되고, 장착 통(9)을 지름 방향으로 외측에서 둘러싸는 맞물림 통(9d)이 세워져 있다.
실린더부(10)는 지름 방향으로 장착 통(9)의 내측에 배치되어 설치되고, 장착 통(9)에 연결되어 있다. 실린더부(10)는 장착 통(9)의 상부(9b) 내에 배치되어 있다. 실린더부(10)는 이중의 통 형태로 형성되어 있고, 외주벽(10a)과, 내주벽(10b)과, 정상벽부(10c)를 구비한다. 외주벽(10a)은 장착 통(9)의 상부(9b)와 상하 방향으로 동등한 크기로 형성되고, 내주벽(10b)은 외주벽(10a)보다도 상하 방향으로 작게 형성되어 있다. 외주벽(10a) 및 내주벽(10b)의 각 상단부는 상하 방향으로 동등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정상벽부(10c)는 용기 축(O)과 동 축의 환 형태로 형성되고, 외주벽(10a) 및 내주벽(10b)의 각 상단부를 연결한다.
정상벽부(10c)에는 이 정상벽부(10c)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연통 구멍(13)이 형성되어 있다. 연통 구멍(13)은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개 형성되어 있다. 연통 구멍(13)은 외주벽(10a), 내주벽(10b) 및 정상벽부(10c)에 의해 형성되는 실린더부(10)의 내부에 연통해 있다.
장착 통(9)과 실린더부(10) 사이에는 환상 간극(14)이 형성되어 있다. 환상 간극(14)은 장착 통(9)의 상부(9b)와, 실린더부(10)의 외주벽(10a)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장착 통(9) 및 실린더부(10)는 연결부(15)를 통해서 연결되어 있다. 연결부(15)는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환상 간극(14)에 복수 개 설치되어 있고, 장착 통(9)에서의 상부(9b)의 하단부와, 실린더부(10)에서의 외주벽(10a)의 하단부를 간헐적으로 연결하고 있다. 이에 의해 실린더부(10)는 장착 통(9)과 일체로 이동한다.
마개 본체(11)는 탄성 변형 가능하게 형성되고, 장착 통(9)의 상단 개구를 폐색하고 있다. 마개 본체(11)는 천정이 있는 통 형태(돔 형태)로 형성되어 있고, 끼워 맞춤 통부(11a)와, 막 통부(11b)를 구비한다. 끼워 맞춤 통부(11a)는 환상 간극(14)의 상단부 내에 기밀하게 끼워 맞춰져 있다. 막 통부(11b)는 천정이 있는 통 형태로 형성되어 있고, 끼워 맞춤 통부(11a)의 내주연에서 상향으로 돌출하여 천정부가 돔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장착 통(9)의 상단 개구와 마개 본체(11)의 막 통부(11b) 사이에는 연통 구멍(13)을 통하여 실린더부(10) 내로 연통하는 공간(16)이 형성되어 있다.
외장 통(12)은 지름 방향으로 외측에서, 상대적으로 상하 이동 불능으로 또한 회전 불능으로 장착 통(9)에 장착되어 있다. 외장 통(12)은 장착 통(9)의 프랜지부(9c)에 언더컷 끼워 맞춤으로써, 상하 이동 불능으로 장착되어 있다. 외장 통(12)과 장착 통(9)의 맞물림 통(9d) 사이에는 서로 맞물림으로써 외장 통(12)과 맞물림 통(9d)과의 둘레 방향을 따른 상대적인 회전 이동을 규제하는, 회전 규제부(17)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외장 통(12)은 회전 규제부(17)에 의해 장착 통(9)에 대해 회전 불능이다.
외장 통(12)은 마개 본체(11)를, 그 주연부를 장착 통(9)과의 사이에서 상하 방향으로 협지하면서, 상향으로 노출시킨다. 외장 통(12)의 상단부에는 지름 방향으로 내측을 향해 돌출하는 규제 링(12a)이 설치되어 있고, 규제 링(12a)의 내주연부와, 장착 통(9)의 상단부 사이에 마개 본체(11)의 끼워 맞춤 통부(11a)가 상하 방향으로 협지되어 있다. 규제 링(12a)의 내측에는 마개 본체(11)의 막 통부(11b)가 배치되어 있고, 막 통부(11b)의 천정벽부는 규제 링(12a)에서 상향으로 팽출되어 있다.
마개 기부(5)는 피스톤부(18)와, 피스톤 지지부(19)를 구비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마개 기부(5)의 피스톤 지지부(19)에 패킹 부재(20)가 부착되어 있다. 피스톤부(18) 및 피스톤 지지부(19)는 모두 통 형태로 형성되고, 패킹 부재(20)는 환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피스톤부(18), 피스톤 지지부(19) 및 패킹 부재(20)는 모두 용기 축(O)과 동 축으로 배치되어 있다.
피스톤부(18)는 실린더부(10) 내에 상대적으로 상하 슬라이딩이 자유롭게 끼워 맞춰져 있다. 피스톤부(18)는 내통부(18a)와, 외통부(18b)와, 바닥벽부(18c)와, 다리통부(18d)를 구비한다.
내통부(18a)는 실린더부(10)의 내주벽(10b)에 지름 방향으로 외측에서 상하 슬라이딩이 자유롭게 끼워 맞춰져 있다. 외통부(18b)는 내통부(18a)를 지름 방향으로 외측에서 둘러싸고 있다. 외통부(18b)는 내통부(18a)보다도 상하 방향으로 작고, 외통부(18b) 및 내통부(18a)의 각 하단부는 상하 방향으로 동등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외통부(18b)의 상단부에는 지름 방향으로 내측을 향해 돌출하는 슬라이딩부(21)가 설치되어 있다. 슬라이딩부(21)는 실린더부(10)의 외주벽(10a) 내에 상하 슬라이딩이 자유롭게 끼워 맞춰져 있다. 바닥벽부(18c)는 용기 축(O)과 동 축의 환 형태로 형성되고, 내통부(18a) 및 외통부(18b)의 각 하단부를 연결하고 있다. 다리통부(18d)는 외통부(18b)에서 하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피스톤 지지부(19)는 기통부(19a)와, 환상 판부(19b)와, 기판부(19c)를 구비한다. 기통부(19a)는 피스톤부(18)의 다리통부(18d) 내에 끼워 맞춰져 있다. 환상 판부(19b)는 기통부(19a)의 상단부에서 지름 방향으로 내측을 향해 돌출해 있다. 기판부(19c)는 기통부(19a)의 하단부에서 지름 방향으로 외측을 향해 환 형태로 돌출해 있다. 기판부(19c)의 상면에는 피스톤부(18)의 다리통부(18d)의 하단 가장자리가 배치되어 있다.
기판부(19c)의 외주연에는 상향으로 돌출하여, 환상 간극(14) 내에 진입하는 맞물림편(22)이 형성되어 있다. 맞물림편(22)은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개 배치되어 있고, 둘레 방향으로 인접하는 맞물림편(22)은 연결부(15)를 둘레 방향으로 사이에 끼우고 있다. 이로 인해, 피스톤 지지부(19)는 가동 마개부(6)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하는 것이 규제되어 있다.
패킹 부재(20)는 예를 들어, 고무나 엘라스토머 등의 연질재로 형성되고, 용기 축(O)과 동 축의 환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패킹 부재(20)는 피스톤 지지부(19)에 상하 방향으로 겹쳐져 있고, 그 상면이 기판부(19c)의 하면에 맞닿아 고정되어 있다. 이에 의해, 패킹 부재(20)는 마개 기부(5)와 용기 본체(2)의 입구부(2b)의 상단 개구 가장자리 사이에 설치된다.
패킹 부재(20)에는 그 하면에 하향으로 돌출하는 환상 돌기부(20a)와, 환상 돌기부(20a)의 외측에서 하향으로 돌출하는 압궤 돌기부(20b)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패킹 부재(20)에는 그 상면에 일부가 압궤 돌기부(20b)의 바로 위에 위치하도록 하여 돌출 수용 오목부(20c)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패킹 부재(20)에는 그 내주면에 지름 방향으로 안쪽을 향해 돌출하는 내측 돌기부(20d)가 형성되어 있다.
환상 돌기부(20a)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압궤 돌기부(20b)가 가이드 통(4)에 상대적으로 압압되었을 때, 압궤 돌기부(20b)가 반지름 방향으로 안쪽을 향해 변형하는 것을 억제한다.
압궤 돌기부(20b)는 도 3,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의 반지름 방향으로 외측에 위치하는 부분이 가이드 통(4)의 상단 개구 가장자리 위에 맞닿도록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압궤 돌기부(20b)는 도 2A 중에 파선으로 표시한 바와 같이, 원환 형상의 패킹 부재(20)의 내주연부에, 둘레 방향으로 등 간격으로 5개 형성되어 있다. 단, 압궤 돌기부(20b)의 개수에 대해서는 5개로 한정되지 않고, 임의의 수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압궤 돌기부(20b)는 그의 상하 방향 두께가 도 3,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환상 돌기부(20a)보다 얇게 되어 있다.
돌출 수용 오목부(20c)는 도 2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 일부가 압궤 돌기부(20b)의 바로 위에 위치하고, 잔부가 환상 돌기부(20a)의 바로 위에 위치하여 형성되어 있고, 도 2A의 A-A선 화살표 방향에서 본 단면도인 도 2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압궤 돌기부(20b)의 돌출량(돌출 높이)과 같은 정도의 오목량(오목 깊이)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돌출 수용 오목부(20c)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압궤 돌기부(20b)가 가이드 통(4)에 상대적으로 압압되어 압궤되었을 때, 이 압궤 돌기부(20b)나 그 주변부의 변형을 허용하여 압궤 돌기부(20b)의 변형이 방해받지 않도록 기능 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2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압궤 돌기부(20b)는 돌출 수용 오목부(20c)에 비해 반지름 방향으로 바깥쪽으로 길고, 또한, 둘레 방향으로 폭이 넓게 형성되어 있다.
내측 돌기부(20d)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압궤 돌기부(20b)가 가이드 통(4)에 상대적으로 압압되고, 이 압압력이 패킹 부재(20)의 반지름 방향으로 안쪽을 향함으로써 패킹 부재(20)가 스포이트 관(8)측으로 변위하는 것을, 내측 돌기부(20d)의 내주측 단면이 스포이트 관(8)의 외주면에 맞닿음으로써 억제한다.
스포이트 관(8)에는 가동 마개부(6)의 실린더부(10)가 상승이 자유롭게 장착되고, 또한 스포이트 관(8)은 마개 기부(5)에 연결되어 있다. 스포이트 관(8)의 상단부는 가동 마개부(6) 및 마개 기부(5)에 삽통되어 있다. 스포이트 관(8)의 상단부 외경은 상측에서 하측을 향해 점차 계단 형태로 지름이 확대되어 있고, 스포이트 관(8)의 상단부에는 소경관부(23), 중경관부(24) 및 대경관부(25)가 형성되어 있다.
소경관부(23)는 실린더부(10)의 내주벽(10b) 내에 상하 이동이 자유롭게 삽통되어 있다. 중경관부(24)에는 피스톤 지지부(19)의 환상 판부(19b)가 끼워 맞춰지는 끼워 맞춤 홈(24a)이 주설되어 있다. 대경관부(25)는 마개 기부(5)의 기통부(19a) 내에 끼워 맞춰지고, 패킹 부재(20)의 바로 위에 위치해 있다. 대경관부(25)에는 O링(26)이 끼워 맞춰지는 링 유지 홈(25a)이 주설되어 있다. O링(26)은 대경관부(25)와 기통부(19a) 사이를 기밀하게 밀봉하고 있다.
또한, 도시한 예에서는 실린더부(10)의 내주벽(10b) 내에, 스포이트 관(8)의 상단 개구를 개폐가 자유롭게 폐색하는 밸브체(27)가 설치되어 있다. 밸브체(27)는 용기 축(O) 상에 배치되고, 실린더부(10)의 내주벽(10b) 상단부에 브릿지부(28)를 통해 연결되어 있다. 브릿지부(28)는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개 배치되어 있다. 스포이트 관(8) 내는 가동 마개부(6)가 스포이트 관(8)에 대해 상승하고, 밸브체(27)에 의해 스포이트 관(8)의 상단 개구가 개방되었을 때에, 상기 공간(16)에 연통된다. 즉, 스포이트 관(8) 내는 상기 공간(16)에 연통 가능하게 되어 있다.
스포이트 관(8) 및 실린더부(10)에는 실린더부(10)가 스포이트 관(8)에 대해 상승 단 위치에 위치했을 때에, 서로 맞물리는 맞물림부(29)가 형성되어 있다. 맞물림부(29)로서, 실린더부(10)에 설치된 외맞물림부(29a)와, 스포이트 관(8)에 설치된 내맞물림부(29b)가 구비되어 있다. 외맞물림부(29a)는 실린더부(10)의 내주벽(10b) 하단에서 지름 방향으로 내측에 환 형태로 돌출하고, 내맞물림부(29b)는 스포이트 관(8)의 소경관부(23) 상단에서 지름 방향으로 외측에 환 형태로 돌출해 있다. 외맞물림부(29a)는 내맞물림부(29b)에 하방에서 대향해 있고, 실린더부(10)가 스포이트 관(8)에 대해 상승했을 때에, 외맞물림부(29a)가 내맞물림부(29b)에 하방에서 맞물림으로써, 실린더부(10)가 한층 상승 이동하는 것이 규제된다.
가압 수단(7)은 가동 마개부(6)의 실린더부(10)와, 마개 기부(5)의 피스톤부(18)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가압 수단(7)은 실린더부(10)의 정상벽부(10c)에 의해 상방에서 지지되고, 또한 피스톤부(18)의 바닥벽부(18c)에 하방에서 지지되어 있다. 가압 수단(7)은 통 형태로 형성되고, 용기 축(O)과 동 축으로 배치되어 있다. 가압 수단(7)으로서는 예를 들어, 코일 스프링 등을 채용할 수 있다.
상기 스포이트 용기(1)에서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포이트 캡(3)이 용기 본체(2)에 장착된 초기 상태에서, 패킹 부재(20)가 용기 본체(2)의 입구부(2b)에서의 가이드 통(4)의 턱부(4b)에 압접해 있다. 즉, 패킹 부재(20)는 턱부(4b)를 통해 마개 기부(5)와 용기 본체(2)의 입구부 본체(2a)의 상단 개구 가장자리 사이에 협착되어 있다. 이때, 패킹 부재(20)는 턱부(4b)에 압접함으로써, 압궤 돌기부(20b)가 입구부(2b)의 상단 개구 가장자리에 압궤된다. 이로 인해, 패킹 부재(20)는 턱부(4b)에 간극 없이 맞닿고, 마개 기부(5)와 턱부(4b) 사이, 즉 마개 기부(5)와 용기 본체(2) 입구부(2b)의 상단 개구 가장자리 사이를 양호하게 시일하고, 입구부(2b)를 기밀하게 폐색하고 있다.
또한, 이러한 압궤 돌기부(20b)가 압궤되는 것에 의한 패킹 부재(20)의 탄성 변형은 압궤 돌기부(20b)의 바로 위에 돌출 수용 오목부(20c)가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이 탄성 변형이 방해받지 않고 허용되어, 용이하게 일어나게 되어 있다.
다음에, 상기 스포이트 용기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내용물을 주출할 때에는 우선, 스포이트 캡(3)을 용기 본체(2)에서 이탈시키기 위해, 가동 마개부(6)의 장착 통(9)과 용기 본체(2)의 입구부 본체(2a)와의 나사 장착을 해제하여, 가동 마개부(6)를 용기 본체(2)에 대해 상승시킨다. 이때, 가동 마개부(6)의 외장 통(12)을 용기 본체(2)에 대해 용기 축(O) 주위의 이완측으로 회전시키면, 이 회전력이 회전 규제부(17) 및 맞물림 통(9d)을 통해 장착 통(9)에 전달되어 장착 통(9)이 외장 통(12)과 함께 회전하고, 가동 마개부(6) 전체가 회전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때 가동 마개부(6)의 연결부(15)가 기판부(19c)의 맞물림편(22)에 맞물림으로써, 마개 기부(5)도 가동 마개부(6)와 함께 회전한다.
가동 마개부(6)를 용기 축(O) 주위의 이완측으로 회전시켜, 가동 마개부(6)를 용기 본체(2)에 대해 상승시키면, 가압 수단(7)의 가압력에 의해, 가동 마개부(6)의 실린더부(10) 내에서, 마개 기부(5)의 피스톤부(18)가 상대적으로 하향 슬라이딩하여 실린더부(10)의 내용적이 증대하고, 실린더부(10) 내에 부압이 발생하면서, 밸브체(27)가 스포이트 관(8)의 상단 개구를 개방한다. 실린더부(10) 내에서 발생한 부압은 연통 구멍(13), 상기 공간(16) 및 스포이트 관(8) 내를 통과하여 용기 본체(2) 내에 미치고, 용기 본체(2) 내의 내용물이 스포이트 관(8) 내에 흡입된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동 마개부(6)가 스포이트 관(8)에 대해 상승 단 위치까지 상승하고, 맞물림부(29)(외맞물림부(29a), 내맞물림부(29b))가 서로 맞물린다. 그후, 가동 마개부(6)를 용기 본체(2)에 대해 더 상승시키면, 가동 마개부(6)와 스포이트 관(8)이 맞물림부(29)를 통해 일체로 되어 상승한다. 이로 인해, 스포이트 관(8)이 용기 본체(2) 내에서 빠지고, 스포이트 캡(3)이 용기 본체(2)에서 이탈된다. 이때, 패킹 부재(20)는 그 압궤 돌기부(20b)로의 압압력이 해제되는 점에서, 압궤 돌기부(20b)가 복원 변형되어 돌출된 형상이 된다.
그리하여, 용기 본체(2)에서 이탈된 스포이트 캡(3)에 있어서 마개 본체(11)의 막 통부(11b)를 압압함으로써, 스포이트 관(8) 내의 내용물이 스포이트 관(8)의 하단 개구에서 주출된다.
용기 본체(2)에서 이탈한 스포이트 캡(3)을 다시 장착시킬 때에는 가동 마개부(6)를 통해 스포이트 관(8)을 용기 본체(2)의 입구부(2b) 내에 삽입하고, 예를 들어, 외장 통(12)을 용기 본체(2)에 대해 용기 축(O) 주위의 체결측으로 회전시켜 장착 통(9)을 입구부 본체(2a)에 나사 장착시키거나 하여, 가동 마개부(6)를 용기 본체(2)에 대해 하강시킨다.
이때, 스포이트 관(8)을 용기 본체(2)의 입구부(2b) 내에 삽입했을 때에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마개 기부(5) 아래의 패킹 부재(20)가 가이드 통(4)의 턱부(4b) 상에 놓이지만, 마개 기부(5)를 하강하는 압압력이 거의 가해져 있지 않기 때문에, 패킹 부재(20)는 그 압궤 돌기부(20b)가 압궤되지 않고, 돌출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이로 인해, 패킹 부재(20)와 턱부(4b) 사이에는 연통 간극(30)이 형성된다.
또한, 도 3에 도시한 상태에서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동 마개부(6)를 용기 본체(2)에 대해 하강시키면, 가압 수단(7)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실린더부(10)가 하강하고, 이로써 마개 기부(5)도 하방으로 압압된다. 그러면, 마개 기부(5)를 하강하는 압압력이 패킹 부재(20)에 작용하고, 패킹 부재(20)는 그 압궤 돌기부(20b)가 서서히 압궤된다. 단, 압궤 돌기부(20b)가 충분히 압궤될 때까지는 패킹 부재(20)와 턱부(4b) 사이에 연통 간극(30)이 닫히지 않고 확보된다.
도 3에 도시한 상태에서 도 4 에 도시한 상태에 이르도록, 가동 마개부(6)가 마개 기부(5)에 대해 하강할 때에는 마개 기부(5)의 피스톤부(18)가 가동 마개부(6)의 실린더부(10) 내를 상대적으로 상향 슬라이딩하여 실린더부(10)의 내용적을 감소시켜, 실린더부(10) 내에 정압을 발생시킨다. 이 정압은 연통 구멍(13), 상기 공간(16) 및 스포이트 관(8) 내를 통과하여 용기 본체(2) 내에 미친다. 이때, 용기 본체(2) 내가 연통 간극(30)을 통과하여 외부에 연통되는 점에서, 용기 본체(2) 내에 미친 정압은 연통 간극(30)을 통과하여 외부로 빠져, 용기 본체(2)의 내압 상승이 억제된다.
그 후, 가동 마개부(6)를 더 하강시킴으로써, 스포이트 캡(3)이 용기 본체(2)에 대해 하강한다. 이로 인해,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마개 기부(5)가 패킹 부재(20)를 압압하여 그 압궤 돌기부(20b)를 압궤하고, 패킹 부재(20)와 턱부(4b) 사이의 연통 간극(30)을 폐색한다. 따라서 패킹 부재(20)와 턱부(4b) 사이의 시일성이 확보된다.
내용물을 다시 주출할 때에는 다시 장착 통(9)의 입구부 본체(2a)에 대한 나사 장착을 해제하고, 가동 마개부(6)를 용기 본체(2)에 대해 상승시킨다. 여기서, 전번의 주출 조작 시에 용기 본체(2)의 내압 상승이 억제되어 있으므로, 이번 주출 조작 시에 실린더부(10) 내에서 부압이 발생했을 때에, 용기 본체(2) 내의 내용물이 스포이트 관(8) 내에 정밀도 좋게 일정량 흡입된다. 또한, 가령 전번의 주출 조작 시에 실린더부(10) 내에 발생하는 정압이 외부로 빠져나갔을 경우, 이 정압에 기초하는 용기 본체(2)의 내압 상승 정도가 내용물의 잔량에 따라 변화하기 때문에, 이번 주출 조작 시에 실린더부(10) 내에서 부압이 발생했을 때에, 부압의 크기가 동등하더라도, 내용물의 스포이트 관(8)에의 흡입량이 변화될 가능성이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스포이트 용기(1)에 따르면, 가동 마개부(6)가 마개 기부(5)에 대해 하강할 때에 실린더부(10) 내에 발생하는 정압을, 패킹 부재(20)의 압궤 돌기부(20b)에 의해 형성되는 연통 간극(30)을 통해 외부로 방출하여, 용기 본체(2)의 내압 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내용물의 잔량에 관계없이 흡입량을 정밀도 좋게 일정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장착 통(9)이 용기 축(O) 주위를 회전할 때에, 마개 기부(5)가 연결부(15)에 맞물려 가동 마개부(6)와 함께 회전하므로, 장착 통(9)을 용기 본체(2)의 입구부(2b)에 탈착할 때에, 가동 마개부(6)뿐 아니라, 마개 기부(5)도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때문에, 피스톤부(18)를 실린더부(10) 내에서 원활하게 상하 슬라이딩시킬 수 있다.
또한, 외장 통(12)이 마개 본체(11)를, 그 주연부를 장착 통(9)과의 사이에서 상하 방향으로 협지하면서, 상향으로 노출시키고 있다. 이 때문에, 마개 본체(11)의 압압 조작을 저해하지 않고, 마개 본체(11)를 장착 통(9)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초기 상태에서 밸브체(27)가 스포이트 관(8)의 상부 개구를 폐색하고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초기 상태에서 마개 본체(11)를 의도하지 않고 조작한 경우에도, 용기 본체(2) 내의 내용물이 스포이트 관(8) 내로 잘못하여 유입하는 것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때문에, 스포이트 관(8)으로부터의 내용물의 유출량을 정밀도 좋게 일정하게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초기 상태에서 스포이트 용기(1)가 전도하거나 함으로써, 용기 본체(2)의 내용물이 스포이트 관(8) 내로 유입했다고 해도, 내용물을 밸브체(27)에 의해 막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때문에, 이 내용물이 공간(16)에 유입하는 것을 규제할 수도 있다.
(제2 실시형태)
다음에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스포이트 용기를 설명한다.
이 제2 실시형태에서는 제1 실시형태에서의 구성 요소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그 설명을 생략하고, 다른 점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스포이트 용기(40)에서는 패킹 부재(41)가 도 1, 도 2에 도시한 구성 외에, 외주부에 걸림 돌기부(42)를 형성하고 있다. 걸림 돌기부(42)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통 형태로 형성되어 있어, 용기 본체(2) 입구부(2b)의 상단 개구부의 외주면, 즉 가이드 통(4)의 턱부(4b)의 외주면에 걸림 이탈이 가능하게 걸려 있다. 단, 걸림 돌기부(42)는 통 형태로 형성되지 않고, 외주부에 소정 간격을 두고 복수 개의 돌출편이 배치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걸림 돌기부(42)를 형성한 패킹 부재(41)를 구비함으로써, 본 실시형태의 스포이트 용기(40)에서는 스포이트 관(8)에서 내용물을 주출한 후, 가동 마개부(6)를 용기 본체(2)에 다시 장착하고, 가동 마개부(6)를 하강시켰을 때에, 패킹 부재(41)가 마개 기부(5)와 용기 본체(2) 입구부(2b)의 상단 개구 가장자리 사이에서 압궤됨으로써, 용기 본체(2)의 내측으로 변위하는 것이, 걸림 돌기부(42)가 용기 본체(2)의 상기 상단 개구부의 외주면(가이드 통(4) 턱부(4b)의 외주면)에 걸림으로써 억제된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의 스포이트 용기(40)에 있어서는 패킹 부재(41)에 의한 시일성을 양호하게 확보할 수 있음과 더불어, 장기 사용에 수반하는 패킹 부재(41)의 변형이나 열화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가동 마개부(6)가 마개 기부(5)에 대해 하강할 때에, 실린더부(10) 내에 발생하는 정압을 외부로 방출하여, 용기 본체(2)의 내압 상승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내용물의 잔량에 관계없이 흡입량을 정밀도 좋게 일정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 변경을 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장착 통(9)이 용기 본체(2)의 입구부 본체(2a)에 나사 장착되지 않을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장착 통(9)이 입구부(2b)에 탈착이 자유롭게 장착된 다른 형태로 적절히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 밖에, 본 발명의 취지에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상기 실시형태에서의 구성 요소를 주지의 구성 요소로 치환하는 것은 적절히 가능하고, 또한 상기한 변형예를 적절히 조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내용물의 잔량에 관계없이 흡입량을 정밀도 좋게 일정하게 한 스포이트 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1 스포이트 용기
2 용기 본체
2b 입구부
5 마개 기부
6 가동 마개부
7 가압 수단
8 스포이트 관
9 장착 통
10 실린더부
11 마개 본체
12 외장 통
13 연통 구멍
15 연결부
16 공간
18 피스톤부
20 패킹 부재
20b 압궤 돌기부
20c 돌출 수용 오목부
29 맞물림부
40 스포이트 용기
41 패킹 부재
42 걸림 돌기부
O 용기 축

Claims (8)

  1. 내용물이 수용되는 용기 본체와,
    상기 용기 본체의 입구부 상에 배치된 마개 기부와,
    상기 마개 기부에 대해 상방 이동이 자유롭게 배치되어 설치된 가동 마개부와,
    상기 마개 기부와 상기 가동 마개부를 상하로 격리시키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 수단과,
    상기 마개 기부에 장착됨과 더불어, 상기 용기 본체를 향해 연장되어 설치된 스포이트 관을 구비하고,
    상기 가동 마개부는
    상기 용기 본체의 입구부에 탈착이 자유롭게 장착된 장착 통과,
    탄성 변형 가능하게 형성됨과 함께, 상기 장착 통의 상단 개구를 폐색하는 마개 본체와,
    지름 방향으로 상기 장착 통의 내측에 설치됨과 더불어, 상기 장착 통에 연결된 실린더부를 구비하고,
    상기 마개 기부는 상기 스포이트 관에 연결되어, 상기 실린더부 내에 상하 슬라이딩이 자유롭게 끼워 맞춰진 피스톤부를 구비하고,
    상기 실린더부는 상기 스포이트 관에 상승이 자유롭게 장착됨과 더불어, 상기 실린더부 및 상기 스포이트 관에는 상기 실린더부가 상기 스포이트 관에 대해 상승 단 위치에 위치했을 때에, 서로 맞물리는 맞물림부가 형성되고,
    상기 스포이트 관 내부는 상기 장착 통의 상단 개구와 상기 마개 본체 사이의 공간에 연통하고,
    상기 실린더부에, 그 내부와 상기 공간을 연통시키는 연통 구멍이 형성된 스포이트 용기로서,
    상기 마개 기부와 상기 용기 본체 입구부의 상단 개구 가장자리 사이에는 패킹 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패킹 부재의 하면에는 하향으로 돌출하여, 상기 용기 본체의 상단 개구 가장자리에 압궤되는 압궤 돌기부가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패킹 부재의 상면에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압궤 돌기부의 바로 위에 위치하는 돌출 수용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스포이트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킹 부재에는 상기 용기 본체 입구부의 상단 개구부의 외주면에 걸리는 걸림 돌기부가 형성되어 있는 스포이트 용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통은 상기 입구부에 나사 장착됨과 더불어, 상기 실린더부에 연결부를 통해 연결되고,
    상기 마개 기부는 상기 장착 통이 용기 축 주위를 회전할 때에 상기 연결부에 맞물려, 상기 가동 마개부와 함께 회전하는 스포이트 용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통은 상기 입구부에 나사 장착됨과 더불어, 상기 실린더부에 연결부를 통해 연결되고,
    상기 마개 기부는 상기 장착 통이 용기 축 주위를 회전할 때에 상기 연결부에 맞물려, 상기 가동 마개부와 함께 회전하는 스포이트 용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마개부는 상기 장착 통에 지름 방향으로 외측에서, 상대적으로 상하 이동 불능으로 또한 회전 불능으로 장착된 외장 통을 구비하고,
    상기 외장 통은 상기 마개 본체를, 그 주연부를 상기 장착 통과의 사이에서 상하 방향으로 협지하면서, 상향으로 노출시키고 있는 스포이트 용기.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마개부는 상기 장착 통에 지름 방향으로 외측에서, 상대적으로 상하 이동 불능으로 또한 회전 불능으로 장착된 외장 통을 구비하고,
    상기 외장 통은 상기 마개 본체를, 그 주연부를 상기 장착 통과의 사이에서 상하 방향으로 협지하면서, 상향으로 노출시키고 있는 스포이트 용기.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마개부는 상기 장착 통에 지름 방향으로 외측에서, 상대적으로 상하 이동 불능으로 또한 회전 불능으로 장착된 외장 통을 구비하고,
    상기 외장 통은 상기 마개 본체를, 그 주연부를 상기 장착 통과의 사이에서 상하 방향으로 협지하면서, 상향으로 노출시키고 있는 스포이트 용기.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마개부는 상기 장착 통에 지름 방향으로 외측에서, 상대적으로 상하 이동 불능으로 또한 회전 불능으로 장착된 외장 통을 구비하고,
    상기 외장 통은 상기 마개 본체를, 그 주연부를 상기 장착 통과의 사이에서 상하 방향으로 협지하면서, 상향으로 노출시키고 있는 스포이트 용기.
KR1020177004361A 2014-10-31 2015-08-06 스포이트 용기 KR10227112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223599 2014-10-31
JP2014223599A JP6379011B2 (ja) 2014-10-31 2014-10-31 スポイト容器
PCT/JP2015/072406 WO2016067705A1 (ja) 2014-10-31 2015-08-06 スポイト容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8588A KR20170078588A (ko) 2017-07-07
KR102271121B1 true KR102271121B1 (ko) 2021-07-01

Family

ID=558570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4361A KR102271121B1 (ko) 2014-10-31 2015-08-06 스포이트 용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143623B2 (ko)
EP (1) EP3214014B1 (ko)
JP (1) JP6379011B2 (ko)
KR (1) KR102271121B1 (ko)
CN (1) CN106794928B (ko)
WO (1) WO201606770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917940B2 (ja) * 2018-03-29 2021-08-11 太平洋工業株式会社 バルブキャップ及びキャップ付きバルブ
EP4025095B1 (en) * 2019-09-02 2023-10-0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spenser for viscous products
JP7313248B2 (ja) * 2019-09-30 2023-07-24 株式会社吉野工業所 スポイト容器
CN110934410B (zh) * 2019-11-29 2022-06-14 上海容奥包装科技有限公司 一种睫毛膏装置
EP4377013A1 (en) 2021-07-27 2024-06-0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spenser for viscous product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95261A (ja) 1998-09-25 2000-04-04 Shiseido Co Ltd スポイト付きキャップ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2735Y2 (ja) 1989-03-17 1994-11-09 株式会社吉野工業所 スポイト付き容器
JPH0752056Y2 (ja) * 1989-04-06 1995-11-29 釜屋化学工業株式会社 スポイト付き容器
JPH0642735A (ja) 1992-07-24 1994-02-18 Mitsubishi Heavy Ind Ltd ガスタービンコンバインド設備
JP3291531B2 (ja) * 1993-07-02 2002-06-10 三洋化学工業株式会社 キャップの中栓
JPH0717757U (ja) * 1993-08-31 1995-03-31 株式会社吉野工業所 スポイト付き容器
JP2549350Y2 (ja) * 1993-10-15 1997-09-30 鐘紡株式会社 スポイト容器
JP3387649B2 (ja) 1994-09-16 2003-03-17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点着チップ
US8403008B2 (en) 2010-05-24 2013-03-26 Elc Management, Llc Metered dose applicator with light for activating product
BR112012031132B1 (pt) 2010-06-07 2019-08-06 L'oreal Dispositivo para embalar e distribuir
KR200453126Y1 (ko) 2010-07-23 2011-04-13 주식회사 에프에스코리아 스포이드형 화장품 용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95261A (ja) 1998-09-25 2000-04-04 Shiseido Co Ltd スポイト付きキャップ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214014B1 (en) 2019-12-04
KR20170078588A (ko) 2017-07-07
EP3214014A1 (en) 2017-09-06
US10143623B2 (en) 2018-12-04
JP2016088556A (ja) 2016-05-23
EP3214014A4 (en) 2018-06-13
US20170216141A1 (en) 2017-08-03
CN106794928A (zh) 2017-05-31
WO2016067705A1 (ja) 2016-05-06
CN106794928B (zh) 2018-08-24
JP6379011B2 (ja) 2018-08-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71121B1 (ko) 스포이트 용기
AU2015259182A1 (en) Mechanically sealed container cap
JP6400398B2 (ja) 逆止弁付きキャップ
EP2113695A1 (en) A safety plug for a container generating high pressure fluid
CA2690931A1 (en) Vent control valve for a fuel tank
JP6298753B2 (ja) スポイト容器
JP2014046961A (ja) 吐出容器
JP6335756B2 (ja) スポイト容器
JP6602088B2 (ja) キャップ
JP2018140803A (ja) 液体吐出容器
JP2015189506A (ja) 二重容器
KR101539742B1 (ko) 연장 가능한 안내부가 구비된 용기 마개
JP5518987B2 (ja) 吐出容器
CN208417649U (zh) 一种带安全泄压的真空破坏器
JP6507150B2 (ja) スポイト容器
KR101714346B1 (ko) 디스펜서 용기의 펌프구조
JP2010105712A (ja) 液体吐出器
CN215348387U (zh) 过滤网、过滤密封总成及泡茶杯
JP2018140804A (ja) 液体吐出容器
JP2019064673A (ja) 吐出器
CN204437460U (zh) 双向密封阀组件
JP2020083328A (ja) 吐出器
KR100771341B1 (ko) 첨가물 첨가용 캡
JP2019081565A (ja) 吐出器
JP2018172121A (ja) 液体吐出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