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9742B1 - 연장 가능한 안내부가 구비된 용기 마개 - Google Patents

연장 가능한 안내부가 구비된 용기 마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9742B1
KR101539742B1 KR1020140086657A KR20140086657A KR101539742B1 KR 101539742 B1 KR101539742 B1 KR 101539742B1 KR 1020140086657 A KR1020140086657 A KR 1020140086657A KR 20140086657 A KR20140086657 A KR 20140086657A KR 101539742 B1 KR101539742 B1 KR 1015397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guide
housing
guide portion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66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천동호
Original Assignee
(주) 동방유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동방유래 filed Critical (주) 동방유래
Priority to KR10201400866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97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97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97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9/00Closures arranged within necks or pouring openings or in discharge apertures, e.g. sto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3/00Sealing or packing elements; Sealings formed by liquid or plastics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용기 마개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 마개는 용기의 입구에 결합되며 중공이 형성되는 하우징 및 액체가 외부로 토출되는 토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상기 하우징의 축방향으로 연장 가능하게 구비되는 안내부를 포함하는 용기결합부, 상기 용기의 캡의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캡이 상기 용기와 분리되거나 결합됨에 따라 상기 토출구를 개폐하며 상기 안내부와 결합된 상태에서 위로 당겨짐에 따라 상기 안내부를 연장시키는 밀폐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연장 가능한 안내부가 구비된 용기 마개{Container Cap Having Extendable Guide}
본 발명은 연장 가능한 안내부가 구비된 용기 마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용기의 입구에 구비되어 액체를 외부로 토출시킬 수 있게 구성된 용기결합부와 용기의 캡에 구비되어 용기를 밀폐하는 밀폐부를 포함하는 연장 가능한 안내부가 구비된 용기 마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방에서 사용하는 조미료, 참기름, 식용유, 간장, 소스 등(이하에서는 "액체물질"로 칭한다)을 간편하게 보관하거나 편리하게 사용하기 위하여, 합성 수지재로 만들어진 용기 내에 액체물질을 충전한다.
이렇게 충전한 액체물질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용기에 장착된 뚜껑을 개봉한 후, 뚜껑에 형성된 배출구를 통하여 액체 물질을 외부로 유출시킨다.
종래 기술에 따른 액체용기 뚜껑에는 수평의 바닥을 가지며, 그 바닥에는 대략 원형이나 타원 등의 배출구가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용기에 충전한 액체물질을 사용할 경우, 배출구를 통해 액체물질이 유출될 때 액체물질이 배출구를 막아 액체물질이 배출되는 유출량이 일정하지 않아 사용자가 원하는 량을 조절하여 사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종래의 용기 뚜껑은 바닥이 수평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용기 내부의 액체물질이 배출구를 통해 원활하게 배출되지 않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용기 뚜껑은 주둥이가 짧아 액체를 따를 때 액체가 용기 외면을 타고 흘러내려 용기가 오염되는 단점이 있다.
선행문헌 1: 한국등록실용 20-0217946 선행문헌 2: 한국등록실용 20-0217935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발명은 액체를 따를 때 액체가 용기의 외부로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연장 가능한 안내부가 구비된 용기 마개를 제공하고자 한다.
둘째, 본 발명은 밀폐를 유지할 수 있는 연장 가능한 안내부가 구비된 용기 마개를 제공하고자 한다.
셋째, 본 발명은 용기 캡을 열거나 닫을 때 사용자로 하여금 사용감을 느끼게 할 수 있는 연장 가능한 안내부가 구비된 용기 마개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는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장 가능한 안내부가 구비된 용기 마개는 하우징과 안내부를 포함하는 용기결합부 및 밀폐부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은 용기의 입구에 결합되며 상기 하우징에는 중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안내부에는 액체가 외부로 토출되는 토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안내부는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상기 하우징의 축방향으로 연장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밀폐부는 상기 용기의 캡의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캡이 상기 용기와 분리되거나 결합됨에 따라 상기 토출구를 개폐하며, 상기 안내부와 결합된 상태에서 위로 당겨짐에 따라 상기 안내부를 연장시킬 수 있다.
상기 밀폐부에는 상기 토출구에 삽입되어 상기 토출구를 막는 삽입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안내부에는 상기 토출구의 내측으로 돌출된 환형의 제 1 밀폐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의 외주면에는 외측으로 돌출되어 가압에 의해 상기 제 1 밀폐돌기와 결합되는 환형의 제 2 밀폐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의 상부 테두리부에는 상기 하우징의 내측으로 돌출된 제 1 플랜지가 형성되고, 상기 안내부의 하부 테두리부에는 상기 안내부의 외측으로 돌출된 제 2 플랜지가 형성되어 상기 제 2 플랜지가 상기 제 1 플랜지에 지지됨으로써 상기 안내부의 연장 길이가 제한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에는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안내부가 이동 시 상기 제 2 플랜지에 걸리는 걸림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안내부의 상부 테두리부에는 외측으로 돌출되어 유체가 흐르는 방향을 안내하고, 상기 하우징에 지지되어 상기 안내부의 이동 길이를 제한하는 제 3 플랜지가 형성될 수 있다.
상시 하우징은 상기 용기 입구의 내주면에 맞닿게 끼워지는 환형의 끼움부 및 상기 끼움부의 내측에 위치하며 중공이 형성되어 상기 안내부가 삽입되는 삽입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끼움부와 상기 삽입가이드 사이에는 토출구를 통해 외부로 토출되다가 상기 안내부의 외부로 흘러내린 액체가 수용되는 수용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안내부 하부의 외경은 상기 하우징 상부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안내부가 완전히 연장되면 상기 안내부가 상기 하우징에 억지끼움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효과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장 가능한 안내부가 구비된 용기 마개에 의하면 용기 캡을 열 때 안내부가 연장되어 액체를 원하는 곳에 흐름 없이 따를 수 있고, 안내부의 상부 테두리부에 제 3 플랜지가 형성되어 액체를 따를 때 액체가 용기의 외부로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장 가능한 안내부가 구비된 용기 마개에 의하면 용기 캡을 닫으면 토출구 내측으로 형성된 제 1 밀폐돌기와 밀폐부의 삽입부 외주면에 형성된 제 2 밀폐돌기가 결합되어 상시 용기 내부의 밀폐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제 1 밀폐돌기와 제 2 밀폐돌기가 서로 결합되거나 분리되는 과정에서 소리가 발생하여 밀폐 또는 분리가 제대로 이루어졌는지 확인할 수 있다.
셋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장 가능한 안내부가 구비된 용기 마개에 의하면 하우징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걸림돌기가 형성되어 안내부가 이동 시 에 걸려 작은 소리가 발생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사용감을 느끼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아래에서 설명하는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뿐만 아니라 위에서 설명한 요약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해서 읽을 때에 더 잘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도면에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본 출원은 도시된 정확한 배치와 수단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장 가능한 안내부가 구비된 용기 마개가 용기와 캡에 각각 설치된 사용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장 가능한 안내부가 구비된 용기 마개의 용기결합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장 가능한 안내부가 구비된 용기 마개의 밀폐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장 가능한 안내부가 구비된 용기 마개가 설치된 용기와 캡이 서로 결합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장 가능한 안내부가 구비된 용기 마개가 설치된 용기에서 캡이 분리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장 가능한 안내부가 구비된 용기 마개가 설치된 용기 캡이 완전히 분리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내용을 보다 쉽게 개시하기 위하여 설명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첨부된 도면의 범위로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기능을 갖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부호를 사용할 뿐 실질적으론 종래기술의 구성요소와 완전히 동일하지 않음을 미리 밝힌다.
또한,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장 가능한 안내부가 구비된 용기 마개가 용기와 캡에 각각 설치된 사용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장 가능한 안내부가 구비된 용기 마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연장 가능한 안내부가 구비된 용기 마개는 하우징(100)과 안내부(200)를 포함하는 용기결합부 및 밀폐부(30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장 가능한 안내부가 구비된 용기 마개의 용기결합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0)은 액체용기(10)의 입구에 결합되며, 하우징(100)에는 후술할 안내부(200)가 삽입되는 중공이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100) 및 후술할 안내부(200)와 밀폐부(300)은 꼭 회전체 형상으로 형성될 필요는 없으나, 용기의 캡(20)이 트위스트형이라면 하우징(100) 및 후술할 안내부(200)와 밀폐부(300)은 모두 회전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하우징(100)의 상부 테두리부에는 하우징(100)의 내측으로 돌출된 제 1 플랜지(122)가 형성될 수 있다. 제 1 플랜지(122)의 역할에 대해서는 자세히 후술한다.
본 실시예에서 하우징(100)은 끼움부(110)와 삽입가이드(120)를 포함할 수 있다.
끼움부(110)는 환형으로 형성되어 용기(10) 입구의 내주면에 맞닿게 끼워질 수 있다. 여기서, 끼움부(110) 중 적어도 일부의 외경은 용기(10) 입구 내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하우징(100)이 용기(10) 입구에 억지끼움 됨으로써 하우징(100)이 용기(1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삽입가이드(120)는 끼움부(110)의 내측에 끼움부(110)와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안내부(200)가 삽입되는 중공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 1 플랜지(122)는 삽입가이드(120)의 상부 테두리부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끼움부(110)와 삽입가이드(120)는 일체의 하우징(100)으로 형성되며, 끼움부(110)와 삽입가이드(120) 사이에는 토출구(202)를 통해 외부로 토출되다가 후술할 안내부(200)의 외주면을 타고 흘러내린 액체가 수용되는 수용홈(124)이 형성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부(200) 역시 환형으로 형성되어 용기(10) 내부의 액체가 외부로 토출되는 토출구(202)가 형성되며, 하우징(100)의 내측에 하우징(100)의 축 방향으로 연장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안내부(200)는 액체를 따를 때에는 연장되어 액체를 원하는 곳에 흐름 없이 따를 수 있으며, 용기 캡(20)을 닫아두었을 때에는 하우징(100)의 내부로 삽입되어 크기가 최소화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안내부(200)가 삽입가이드(120)의 내측에 연장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안내부(200)에는 토출구(202)의 내측으로 돌출된 환형의 제 1 밀폐돌기(210)가 형성될 수 있다. 제 1 밀폐돌기(210)는 후술할 제 2 밀폐돌기(312)와 결합되어 용기(10) 내부의 기밀을 유지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상세히 후술한다.
그리고, 안내부(200)의 하부 테두리부에는 안내부(200)의 외측으로 돌출된 제 2 플랜지(220)가 형성되어 제 2 플랜지(220)가 연장 시 하우징(100)의 삽입가이드(120)에 형성된 제 1 플랜지(122)에 맞닿아 지지됨으로써 안내부(200)의 연장 길이가 제한될 수 있다.
또한, 안내부(200)의 상부 테두리부에는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 3 플랜지(230)가 형성될 수 있다. 제 3 플랜지(230)는 액체를 따를 때 액체가 흐르는 방향을 안내할 수 있다. 액체가 안내부(200)의 외주면을 타고 흘러 내리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하기 위하여 제 3 플랜지(230)는 둥근 형태로 형성되어 액체가 제 3 플랜지(230)의 단면의 접선 방향을 따라 흘러내리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안내부(200)가 하우징(100)의 내부로 삽입 시 하우징(100)에 지지되어 안내부(200)의 이동 길이를 제한하는 역할을 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안내부(200)가 하우징(100)의 내부로 삽입 시 제 1 플랜지(122)의 상부와 제 3 플랜지(230)의 하부가 맞닿아 안내부(200)가 더 이상 용기(10) 내부로 들어갈 수 없도록 이동 길이가 제한될 수 있다.
또한, 안내부(200)는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크게 형성되며, 안내부(200) 최 하단의 외경은 하우징(100) 상부, 즉 삽입가이드(120)에 형성된 제 1 플랜지(122)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안내부(200)가 완전히 연장되면 안내부(200)가 하우징(100)에 억지끼움 될 수 있다. 따라서, 안내부(200)가 완전히 연장된 상태에서 안내부(200)는 하우징(100)에 고정될 수 있으며, 이로써 액체를 안정적으로 따를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장 가능한 안내부가 구비된 용기 마개의 밀폐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폐부(300)은 용기의 캡(20) 내측에 구비되어 캡(20)이 용기(10)와 분리되어나 결합됨에 따라 토출구(202)를 개폐할 수 있다. 그리고, 안내부(200)와 결합된 상태에서 위로 당겨짐에 따라 안내부(200)를 연장시킬 수 있다.
밀폐부(300)에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토출구(202)에 삽입되어 토출구(202)를 막는 삽입부(310)가 형성될 수 있다. 삽입부(310)의 외경은 안내부(200)의 내경과 같거나 미세하게 작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삽입부(310)의 외주면에는 외측으로 돌출되는 환형의 제 2 밀폐돌기(312)가 형성될 수 있다. 제 2 밀폐돌기(312)는 가압에 의해 제 1 밀페돌기의 하부로 끼워져 제 1 밀폐돌기(210)와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제 1 밀폐돌기(210)와 제 2 밀폐돌기의 돌출되는 높이는 작은 힘으로도 서로를 끼우거나 분리시킬 수 있는 정도의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제 1 밀폐돌기(210)와 제 2 밀폐돌기(312)가 서로 결합되거나 분리되는 과정에서도 작은 소리 또는 결합되거나 분리되는 느낌 발생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밀폐부(300)가 제대로 분리 되었는지, 또는 용기의 밀폐가 제대로 이루어졌는지 인지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장 가능한 안내부가 구비된 용기 마개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장 가능한 안내부가 구비된 용기 마개가 설치된 용기와 캡이 서로 결합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 캡(20)이 용기(10)와 완전히 결합된 상태에서는 용기 캡(20) 내에 구비된 밀폐부(300)에 의해 안내부(200)가 가압되어 하우징(100)의 내부로 삽입되어 있으며, 제 2 밀폐돌기(312)가 제 1 밀폐돌기의 하부로 끼워져 결합되어 용기(10) 내부의 밀폐를 유지하고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장 가능한 안내부가 구비된 용기 마개가 설치된 용기에서 캡이 분리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그리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의 캡(20)이 위로 당겨지면 제 1 밀폐돌기(210)와 제 2 밀폐돌기(312)가 결합된 상태이기 때문에 안내부(200)가 용기 캡(20)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안내부(200)가 연장되는 과정에서 제 2 플랜지(220)가 하우징(100) 내부의 걸림돌기(126)에 걸려 딸깍 하는 소리를 내며 사용자에게 캡(20)이 제대로 오픈되고 있다는 사용감을 줄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장 가능한 안내부가 구비된 용기 마개가 설치된 용기 캡이 완전히 분리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그리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 캡(20)에 당기는 힘을 가하여 용기 캡(20)을 완전히 분리하면 제 2 밀폐돌기(312)가 제 1 밀폐돌기(210)의 상부로 빠지면서 토출구(202)가 개방될 수 있다. 제 1 밀폐돌기(210)와 제 2 밀폐돌기(312)가 분리되는 과정에서 작은 소리 또는 분리되는 느낌이 발생할 수 있다.
이 때, 안내부(200)는 제 2 플랜지(220)가 제 1 플랜지(122)에 의해 지지되어 안내부(200)의 연장 길이가 제한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용기의 캡(20)이 용기(10)와 분리되어 있는 상태에서 캡(20)을 용기(10)에 결합하기 위하여 캡(20)을 용기(10)의 입구와 대응되게 위치시키면 삽입부(310)가 토출구(202)로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캡(20)을 서서히 가압하면 밀폐부(300)에 의해 안내부(200)가 가압되면서 하우징(100)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안내부(200)가 하우징(100)의 내부로 삽입되는 과정에서 또한 제 2 플랜지(220)가 하우징(100) 내부의 걸림돌기(126)에 걸려 딸깍 하는 소리를 내며 사용자에게 캡(20)이 제대로 닫히고 있다는 사용감을 줄 수 있다.
그리고, 캡(20)을 용기(10) 입구에 완전히 결합시키는 힘에 의해 밀폐부(300)이 안내부(200)를 더 가압하여 제 2 밀폐돌기(312)가 제 1 밀폐돌기(210)의 하부로 끼워지면서 결합될 수 있다. 제 1 밀폐돌기(210)와 제 2 밀폐돌기(312)가 서로 결합되는 과정에서 작은 소리 또는 결합되는 느낌이 발생할 수 있다.이로써, 사용자는 용기(10)의 밀폐가 제대로 이루어졌는지 인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장 가능한 안내부가 구비된 용기 마개는 올리브유나 참기름 등의 오일 또는 약간의 점성을 갖는 유체를 보관하는 용기(10)에 적용되어 내용물의 산패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먹다 남의 와인 용기(10)의 입구에 결합하여 와인의 산패를 방지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 용기 20: 캡
100: 하우징 110: 끼움부
120: 삽입가이드 122: 제 1 플랜지
124: 수용홈 126: 걸림돌기
200: 안내부 202: 토출구
210: 제 1 밀폐돌기 220: 제 2 플랜지
230: 제 3 플랜지 300: 밀폐부
310: 삽입부 312: 제 2 밀폐돌기

Claims (8)

  1. 용기의 입구에 결합되며 중공이 형성되는 하우징 및 액체가 외부로 토출되는 토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상기 하우징의 축방향으로 연장 가능하게 구비되는 안내부를 포함하는 용기결합부;
    상기 용기의 캡의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캡이 상기 용기와 분리되거나 결합됨에 따라 상기 토출구를 개폐하며, 상기 안내부와 결합된 상태에서 위로 당겨짐에 따라 상기 안내부를 연장시키는 밀폐부;를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의 상부 테두리부에는 상기 하우징의 내측으로 돌출된 제 1 플랜지가 형성되고, 상기 안내부의 하부 테두리부에는 상기 안내부의 외측으로 돌출된 제 2 플랜지가 형성되어 상기 제 2 플랜지가 상기 제 1 플랜지에 지지됨으로써 상기 안내부의 연장 길이가 제한되고,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에는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안내부가 이동 시 상기 제 2 플랜지에 걸리는 걸림돌기가 형성되는 용기 마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부에는 상기 토출구에 삽입되어 상기 토출구를 막는 삽입부가 형성되는 용기 마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에는 상기 토출구의 내측으로 돌출된 환형의 제 1 밀폐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의 외주면에는 외측으로 돌출되어 가압에 의해 상기 제 1 밀폐돌기와 결합되는 환형의 제 2 밀폐돌기가 형성되는 용기 마개.
  4. 삭제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의 상부 테두리부에는 외측으로 돌출되어 유체가 흐르는 방향을 안내하고, 상기 하우징에 지지되어 상기 안내부의 이동 길이를 제한하는 제 3 플랜지가 형성되는 용기 마개.
  7. 제 1항에 있어서,
    상시 하우징은,
    상기 용기 입구의 내주면에 맞닿게 끼워지는 환형의 끼움부;
    상기 끼움부의 내측에 위치하며 중공이 형성되어 상기 안내부가 삽입되는 삽입가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끼움부와 상기 삽입가이드 사이에는 토출구를 통해 외부로 토출되다가 상기 안내부의 외부로 흘러내린 액체가 수용되는 수용홈이 형성되는 용기 마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 하부의 외경은 상기 하우징 상부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안내부가 완전히 연장되면 상기 안내부가 상기 하우징에 억지끼움되는 용기 마개.
KR1020140086657A 2014-07-10 2014-07-10 연장 가능한 안내부가 구비된 용기 마개 KR1015397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6657A KR101539742B1 (ko) 2014-07-10 2014-07-10 연장 가능한 안내부가 구비된 용기 마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6657A KR101539742B1 (ko) 2014-07-10 2014-07-10 연장 가능한 안내부가 구비된 용기 마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39742B1 true KR101539742B1 (ko) 2015-07-28

Family

ID=538757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6657A KR101539742B1 (ko) 2014-07-10 2014-07-10 연장 가능한 안내부가 구비된 용기 마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974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2066U (ko) * 2015-12-03 2017-06-13 주식회사 한생 밀봉캡
KR20220033806A (ko) 2020-09-10 2022-03-17 장동환 유체 용기용 인입출 기능을 갖는 주입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9668A (ko) * 2002-09-09 2002-10-19 이정민 스트로지지대가 있는 병뚜껑 및 그 구조
KR20040089020A (ko) * 2004-09-13 2004-10-20 이정민 배출대형 내용물 배출장치
KR200369052Y1 (ko) * 2004-06-28 2004-12-04 강문규 잔류액의 회수가 가능한 뚜껑
KR20080035705A (ko) * 2004-06-12 2008-04-23 노희권 용기마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9668A (ko) * 2002-09-09 2002-10-19 이정민 스트로지지대가 있는 병뚜껑 및 그 구조
KR20080035705A (ko) * 2004-06-12 2008-04-23 노희권 용기마개
KR200369052Y1 (ko) * 2004-06-28 2004-12-04 강문규 잔류액의 회수가 가능한 뚜껑
KR20040089020A (ko) * 2004-09-13 2004-10-20 이정민 배출대형 내용물 배출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2066U (ko) * 2015-12-03 2017-06-13 주식회사 한생 밀봉캡
KR200485537Y1 (ko) * 2015-12-03 2018-01-24 농업회사법인 한생 주식회사 밀봉캡
KR20220033806A (ko) 2020-09-10 2022-03-17 장동환 유체 용기용 인입출 기능을 갖는 주입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84024U (ja) 栓およびその栓を備えた容器
JP6203633B2 (ja) 二重容器
KR200449631Y1 (ko) 수동식 드롭퍼
KR101539742B1 (ko) 연장 가능한 안내부가 구비된 용기 마개
JP5014629B2 (ja) 注出キャップ
CN110352166B (zh) 盖的密封结构
JP6537436B2 (ja) 吐出容器
KR101343697B1 (ko) 내용액 역류 방지 스포이드형 용기의 용기캡
JP6858451B2 (ja) 吐出容器
JP6219088B2 (ja) 注出容器
JP2016088581A (ja) 注出栓
JP4907228B2 (ja) ヒンジキャップ
JP5732378B2 (ja) 詰め替え容器
JP6859777B2 (ja) スリットバルブ付きキャップ
KR200432654Y1 (ko) 튜브용기의 실링을 쉽게 제거할 수 있는 튜브용기뚜껑
KR20150044869A (ko) 화장용 튜브용기
KR101893396B1 (ko) 산화 방지 기능을 갖춘 화장품 용기
JP2019077469A (ja) キャップ
KR101596209B1 (ko) 수동식 드롭퍼
JP5669706B2 (ja) ヒンジキャップ
JP2007302253A (ja) 吐出容器
JP7139230B2 (ja) ヒンジキャップ
CN210870265U (zh) 化妆品容器
JP6794285B2 (ja) 注出キャップ
JP6847524B2 (ja) 吐出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