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3697B1 - 내용액 역류 방지 스포이드형 용기의 용기캡 - Google Patents

내용액 역류 방지 스포이드형 용기의 용기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3697B1
KR101343697B1 KR1020120101413A KR20120101413A KR101343697B1 KR 101343697 B1 KR101343697 B1 KR 101343697B1 KR 1020120101413 A KR1020120101413 A KR 1020120101413A KR 20120101413 A KR20120101413 A KR 20120101413A KR 101343697 B1 KR101343697 B1 KR 1013436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cylindrical member
dropper
rubber head
inner circumferent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14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주
황재광
Original Assignee
황재광
이영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재광, 이영주 filed Critical 황재광
Priority to KR10201201014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369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36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36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32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brushes or rods for applying or stirring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Landscapes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용액 역류 방지 스포이드형 용기의 용기캡에 관한 것으로서, 내용액이 수용되고 상측에 입구부(1a)가 형성된 용기(1)와 나사 결합된 용기캡(50)을 가진 내용액 역류 방지 스포이드형 용기에 있어서, 상기 용기캡(50)은 역 유자형상으로 형성된 플랙시블한 부재로서, 하측에 개구홀(51a)과, 상기 개구홀(51a)의 외주면에 형성된 원판 형상의 날개부(51b)와, 상기 날개부(51b)의 내주면에 원형상으로 형성된 내주홈(51c)으로 이루어진 고무 헤드(51)와, 상기 고무 헤드(51)의 내주홈(51c)에 상면 원판(52a)이 삽입되는 부재로서, 상하부가 개구된 원통형의 플랜지(52)와, 상단 내주면이 상기 원통형의 플랜지(52)의 외주면에 밀착됨과 동시에 그 상단 외주면으로 돌설된 상면 플랜지(53a)가 상기 고무 헤드(51)의 내주홈(51c)에 삽입되며, 그 하부는 용기(1) 내에 수용되는 스포이드관(53)과, 상기 스포이드관(53)의 내주면에 삽입되는 상하이동 밸브(54)와, 상하부가 개구된 원통형의 부재로서, 상부면에 내측으로 돌설된 내측돌설부(55a)가 상기 고무 헤드(51)의 원판 형상의 날개부(51b)의 상면 외주에 형성된 외주홈(51d)에 삽입되고, 내주면의 암나사(55b)가 상기 용기(1)의 입구부(1a)와 나사 결합되는 제1원통형부재(55)와, 상하부가 개구된 원통형의 부재로서, 상기 제1원통형부재(55)의 상면과 외주면에 밀착되어 용기(1)를 열고 닫을 때 상기 제1원통형부재(55)와 일체로 회전하는 제2원통형부재(56)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상기 상하이동 밸브(54)가 스포이드관(53) 내에 설치되어 있어 화장품의 내용액이 고무 헤드(51)로 들어가지 않도록 차단하기 때문에 고무재질에 포함된 저분자량의 첨가제가 용출되거나, 내용액의 일부 성분이 고무 조직 속으로 침투해 고무 표면으로 오일이 배어 나오는 현상, 또는 내용액 중 특정 성분에 의한 화학반응으로 고무 재질이 형태가 변형되는 등의 다양한 문제의 발생을 예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내용물의 안전성을 보장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내용액 역류 방지 스포이드형 용기의 용기캡{SPUIT TYPE VESSEL CAP TO PREVENT FROM FLOWING BACKWARD}
본 발명은 내용액 역류 방지 스포이드형 용기의 용기캡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스포이드 방식으로 내용액을 추출할 때에 용기에 수용된 내용액을 스포이드관의 내부로 빨아들이는 구조를 개선하여 스포이드형 용기의 사용시 고무 헤드 내부로 내용액의 유입을 차단하여 고무재질과 내용액의 접촉으로 인한 화학 반응을 방지할 수 있는 스포이드형 용기의 용기캡에 관한 것이다.
화학약품, 의약품, 화장품과 같은 분야에서 소량의 내용액을 흡입하여 토출하는데 스포이드형 용기를 주로 사용하고 있다. 스포이드형 용기는 일반적으로 탄성이 강한 고무 재질의 헤드와 하단부에 유리나 프라스틱의 관이 결합된 형태의 구조로서, 사용자가 내용액과 직접 접촉할 경우에 발생할 수 있는 오염 또는 위험 가는성을 차단하기 위한 단순 구조의 정량 토출 기구로 이용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스포이드형 화장품용기의 용기캡(50)은, 내용액이 수용되고 상측에 개구부(1a)가 형성된 용기(1)와 결합된다.
상기 용기캡(50)은 역 유자형상으로 형성된 플랙시블한 부재로서, 하측에 개구홀(51a)과, 상기 개구홀(51a)의 외주면에 형성된 원판 형상의 날개부(51b)와, 상기 날개부(51b)의 내주면에 원형상으로 형성된 내주홈(51c)으로 이루어진 고무 헤드(51)와, 상단 외주면으로 돌설된 상면 플랜지(53a)가 상기 고무 헤드(51)의 내주홈(51c)에 삽입되며, 그 하부는 용기(1) 내에 수용되는 스포이드관(53)과, 상하부가 개구된 원통형의 부재로서, 상부면에 내측으로 돌설된 내측돌설부(55a)가 상기 고무 헤드(51)의 원판 형상의 날개부(51b)의 상면 외주에 형성된 외주홈(51d)에 삽입되고, 내주면의 암나사(55b)가 상기 용기(1)의 입구부(1a)와 나사 결합되는 제1원통형부재(55)와, 상하부가 개구된 원통형의 부재로서, 상기 제1원통형부재(55)의 상면과 외주면에 밀착되어 용기(1)를 열고 닫을 때 상기 제1원통형부재(55)와 일체로 회전하는 제2원통형부재(56)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화장품 용기의 용기캡의 경우, 내용물의 특성상 다양한 종류의 오일류를 포함하고 있어 스포이드로 내용액을 흡입할 때 내용액이 역류하여 상기 고무 헤드(51)와 접촉할 경우 고무재질에 포함된 저분자량의 첨가제가 용출되거나, 내용액의 일부 성분이 고무 조직 속으로 침투해 고무 표면으로 오일이 배어 나오는 현상, 또는 내용액 중 특정 성분에 의한 화학반응으로 고무 재질이 형태가 변형되는 등 다양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스포이드 방식으로 내용액을 추출할 때에 용기에 수용된 내용액을 스포이드관의 내부로 빨아들이는 구조를 개선하여 스포이드형 용기의 고무 헤드와 내용액의 접촉을 차단하는 것을 본 발명의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내용액 역류 방지 스포이드형 용기는, 내부에 내용액이 수용되고 상측에 입구부(1a)가 형성된 용기(1)와 나사 결합된 용기캡(50)을 가진 스포이드형 용기에 있어서, 상기 용기캡(50)은 역 유자형상으로 형성된 플랙시블한 부재로서, 하측에 개구홀(51a)과, 상기 개구홀(51a)의 외주면에 형성된 원판 형상의 날개부(51b)와, 상기 날개부(51b)의 내주면에 원형상으로 형성된 내주홈(51c)으로 이루어진 고무 헤드(51)와, 상기 고무 헤드(51)의 내주홈(51c)에 상면 원판(52a)이 삽입되는 부재로서, 상하부가 개구된 원통형의 플랜지(52)와, 상단 내주면이 상기 원통형의 플랜지(52)의 외주면에 밀착됨과 동시에 그 상단 외주면으로 돌설된 상면 플랜지(53a)가 상기 고무 헤드(51)의 내주홈(51c)에 삽입되며, 그 하부는 용기(1) 내에 수용되는 스포이드관(53)과, 상기 스포이드관(53)의 내주면에 삽입되는 상하이동 밸브(54)와, 상하부가 개구된 원통형의 부재로서, 상부면에 내측으로 돌설된 내측돌설부(55a)가 상기 고무 헤드(51)의 원판 형상의 날개부(51b)의 상면 외주에 형성된 외주홈(51d)에 삽입되고, 내주면의 암나사(55b)가 상기 용기(1)의 입구부(1a)와 나사 결합되는 제1원통형부재(55)와, 상하부가 개구된 원통형의 부재로서, 상기 제1원통형부재(55)의 상면과 외주면에 밀착되어 용기(1)를 열고 닫을 때 상기 제1원통형부재(55)와 일체로 회전하는 제2원통형부재(56)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하이동 밸브(54)는 스포이드관(53) 내에서 고무 헤드(51)의 누름량 만큼 하강하고, 누름 상태가 원상 복귀되면, 상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내용액 역류 방지 스포이드형 용기의 용기캡에 의하면, 고무 헤드를 누름에 따라 상하이동하는 상하이동 밸브를 스포이드관 내에 설치하여 내용액과 고무 헤드의 접촉을 차단하기 때문에 고무재질에 포함된 저분자량의 첨가제가 용출되거나, 내용액의 일부 성분이 고무 조직 속으로 침투해 고무 표면으로 오일이 배어 나오는 현상, 또는 내용액 중 특정 성분에 의한 화학반응으로 고무 재질이 형태가 변형되는 등의 다양한 문제의 발생을 예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내용물의 안전성을 보장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내용액 역류 방지 스포이드형 용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내용액 역류 방지 스포이드형 용기를 도시한 조립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내용액 역류 방지 스포이드형 용기를 도시한 외관도.
도 4는 종래의 스포이드형 화장품용기를 도시한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내용액 역류 방지 스포이드형 용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내용액 역류 방지 스포이드형 용기를 도시한 조립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내용액 역류 방지 스포이드형 용기를 도시한 외관도이며, 도 4는 종래의 스포이드형 화장품용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내용액 역류 방지 스포이드형 용기의 용기캡(50)은, 내용액이 수용되고 상측에 개구부(1a)가 형성된 용기(1)와 결합된다.
상기 용기캡(50)은 역 유자형상으로 형성된 플랙시블한 부재로서, 하측에 개구홀(51a)과, 상기 개구홀(51a)의 외주면에 형성된 원판 형상의 날개부(51b)와, 상기 날개부(51b)의 내주면에 원형상으로 형성된 내주홈(51c)으로 이루어진 고무 헤드(51)와, 상기 고무 헤드(51)의 내주홈(51c)에 상면 원판(52a)이 삽입되는 부재로서, 상하부가 개구된 원통형의 플랜지(52)와, 상단 내주면이 상기 원통형의 플랜지(52)의 외주면에 밀착됨과 동시에 그 상단 외주면으로 돌설된 상면 플랜지(53a)가 상기 고무 헤드(51)의 내주홈(51c)에 삽입되며, 그 하부는 용기(1) 내에 수용되는 스포이드관(53)과, 상기 스포이드관(53)의 내주면에 삽입되는 상하이동 밸브(54)와, 상하부가 개구된 원통형의 부재로서, 상부면에 내측으로 돌설된 내측돌설부(55a)가 상기 고무 헤드(51)의 원판 형상의 날개부(51b)의 상면 외주에 형성된 외주홈(51d)에 삽입되고, 내주면의 암나사(55b)가 상기 용기(1)의 입구부(1a)와 나사 결합되는 제1원통형부재(55)와, 상하부가 개구된 원통형의 부재로서, 상기 제1원통형부재(55)의 상면과 외주면에 밀착되어 용기(1)를 열고 닫을 때 상기 제1원통형부재(55)와 일체로 회전하는 제2원통형부재(56)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하이동 밸브(54)는 스포이드관(53) 내에서 고무 헤드(51)의 누름량 만큼 하강하고, 누름 상태가 원상 복귀되면, 상승하게 된다.
다음에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내용액 역류 방지 스포이드형 용기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하면, 용기(1) 내의 내용액을 사용하기 위하여 먼저, 도 2와 같은 상태에서 고무 헤드(51)의 상단을 누르면 내부의 압력에 의해 스포이드관(53) 내의 상하이동 밸브(54)가 하강하게 되고, 누름상태를 해제하면, 상하이동 밸브(54)가 상승하면서 스포이드관(53) 내에 내용액을 충전한다. 이와 같이 내용액이 스포이드관(53) 내에 충전된 상태에서 제2원통형부재(56)를 잡고 개방하는 방향으로 돌리면 제1원통형부재(55)가 용기(1)의 입구부(1a)에서 분리된다.
이와 같이 스포이드관(53) 내에 흡입되어 있는 내용액을 사용하기 위하여 고무 헤드(51)를 누르면 상기 상하이동 밸브(54)가 하강하면서 스포이드관(53) 내의 내용액의 일정량이 토출된다.
이와 같이, 상기 상하이동 밸브(54)가 스포이드관(53) 내에 설치되어 있어 화장품의 내용액이 고무 헤드(51)로 들어가지 않도록 차단하기 때문에 고무재질에 포함된 저분자량의 첨가제가 용출되거나, 내용액의 일부 성분이 고무 조직 속으로 침투해 고무 표면으로 오일이 배어 나오는 현상, 또는 내용액 중 특정 성분에 의한 화학반응으로 고무 재질이 형태가 변형되는 등의 다양한 문제의 발생을 예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내용물의 안전성을 보장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이 당업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변형 실시될 가능성이 자명하며, 이러한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사상에 포함된다할 것이다.
1 : 용기 50 : 용기캡
51 : 고무 헤드 51a : 개구홀
51b : 원판 형상의 날개부 51c : 내주홈
51d : 외주홈 52 : 원통형의 플랜지
52a : 상면 원판 53 : 스포이드관
53a : 상면 플랜지 54 : 상하이동 밸브
55 : 제1원통형부재 55a : 내측돌설부
55b : 암나사부 56 : 제2원통형부재

Claims (2)

  1. 내부에 화장품이 수용되고 상측에 입구부(1a)가 형성된 용기(1)와 나사 결합된 용기캡(50)을 가진 내용액 역류 방지 스포이드형 용기에 있어서,
    상기 용기캡(50)은 역 유자형상으로 형성된 플랙시블한 부재로서, 하측에 개구홀(51a)과, 상기 개구홀(51a)의 외주면에 형성된 원판 형상의 날개부(51b)와, 상기 날개부(51b)의 내주면에 원형상으로 형성된 내주홈(51c)으로 이루어진 고무 헤드(51)와,
    상기 고무 헤드(51)의 내주홈(51c)에 상면 원판(52a)이 삽입되는 부재로서, 상하부가 개구된 원통형의 플랜지(52)와,
    상단 내주면이 상기 원통형의 플랜지(52)의 외주면에 밀착됨과 동시에 그 상단 외주면으로 돌설된 상면 플랜지(53a)가 상기 고무 헤드(51)의 내주홈(51c)에 삽입되며, 그 하부는 용기(1) 내에 수용되는 스포이드관(53)과,
    상기 스포이드관(53)의 내주면에 삽입되는 상하이동 밸브(54)와,
    상하부가 개구된 원통형의 부재로서, 상부면에 내측으로 돌설된 내측돌설부(55a)가 상기 고무 헤드(51)의 원판 형상의 날개부(51b)의 상면 외주에 형성된 외주홈(51d)에 삽입되고, 내주면의 암나사(55b)가 상기 용기(1)의 입구부(1a)와 나사 결합되는 제1원통형부재(55)와,
    상하부가 개구된 원통형의 부재로서, 상기 제1원통형부재(55)의 상면과 외주면에 밀착되어 용기(1)를 열고 닫을 때 상기 제1원통형부재(55)와 일체로 회전하는 제2원통형부재(56)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액 역류 방지 스포이드형 용기의 용기캡.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이동 밸브(54)는 스포이드관(53) 내에서 고무 헤드(51)의 누름량 만큼 하강하고, 누름 상태가 원상 복귀되면, 상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액 역류 방지 스포이드형 용기의 용기캡.









KR1020120101413A 2012-09-13 2012-09-13 내용액 역류 방지 스포이드형 용기의 용기캡 KR1013436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1413A KR101343697B1 (ko) 2012-09-13 2012-09-13 내용액 역류 방지 스포이드형 용기의 용기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1413A KR101343697B1 (ko) 2012-09-13 2012-09-13 내용액 역류 방지 스포이드형 용기의 용기캡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43697B1 true KR101343697B1 (ko) 2013-12-20

Family

ID=499888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1413A KR101343697B1 (ko) 2012-09-13 2012-09-13 내용액 역류 방지 스포이드형 용기의 용기캡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3697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7937B1 (ko) * 2020-07-27 2020-11-12 에이로마 주식회사 방향제 용기
JP2020183251A (ja) * 2019-04-26 2020-11-12 株式会社吉野工業所 スポイト容器
KR20210000217U (ko) * 2019-07-19 2021-01-27 전은숙 이액 분리 저장이 가능한 앰플용기
KR20210000216U (ko) * 2019-07-19 2021-01-27 전은숙 스포이드형 앰플용기
WO2024010209A1 (ko) * 2022-07-06 2024-01-11 주식회사 에프에스코리아 스포이드 캡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60339A (ja) 2004-12-09 2006-06-22 Sumitomo Rubber Ind Ltd スポイドゴムおよび化粧品用または医薬品用容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60339A (ja) 2004-12-09 2006-06-22 Sumitomo Rubber Ind Ltd スポイドゴムおよび化粧品用または医薬品用容器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183251A (ja) * 2019-04-26 2020-11-12 株式会社吉野工業所 スポイト容器
JP7330614B2 (ja) 2019-04-26 2023-08-22 株式会社吉野工業所 スポイト容器
KR20210000217U (ko) * 2019-07-19 2021-01-27 전은숙 이액 분리 저장이 가능한 앰플용기
KR20210000216U (ko) * 2019-07-19 2021-01-27 전은숙 스포이드형 앰플용기
KR200493357Y1 (ko) * 2019-07-19 2021-03-18 전은숙 이액 분리 저장이 가능한 앰플용기
KR200493356Y1 (ko) * 2019-07-19 2021-03-18 전은숙 스포이드형 앰플용기
KR102177937B1 (ko) * 2020-07-27 2020-11-12 에이로마 주식회사 방향제 용기
WO2024010209A1 (ko) * 2022-07-06 2024-01-11 주식회사 에프에스코리아 스포이드 캡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3697B1 (ko) 내용액 역류 방지 스포이드형 용기의 용기캡
RU2696393C2 (ru) Смешивающе-укупорива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мкости
KR101774175B1 (ko) 단일 마개 구조를 가지는 액체 용기
CN104203039B (zh) 可混合使用两种内容物的滴管型化妆品容器
JP5388232B2 (ja) 内容物放出用の押しボタン付閉止栓
JP6245276B2 (ja) 異種内容物混合容器
US9381480B2 (en) Container for mixing two different types of solutions
KR101202811B1 (ko) 용기마개
KR200449631Y1 (ko) 수동식 드롭퍼
WO2017047956A1 (ko) 자동 충전 스포이트형 화장품 용기
KR101573430B1 (ko) 두 가지 내용물을 동시에 배출할 수 있는 화장품용기
KR200480441Y1 (ko) 자동 스포이드 용기
KR20120139328A (ko) 자동충전 및 정량 토출 스포이드형 용기캡
KR101482220B1 (ko) 액체 용기의 공기 접촉 차단 장치
KR101426393B1 (ko) 공기유입 차단 기능을 갖는 액상용기
KR200485326Y1 (ko) 회전식 토출형 화장료 용기
KR101539742B1 (ko) 연장 가능한 안내부가 구비된 용기 마개
KR102306251B1 (ko) 내용물 용기
KR200459145Y1 (ko) 안전마개가 부착된 주사기형 약품용기
KR200493357Y1 (ko) 이액 분리 저장이 가능한 앰플용기
CN110366527B (zh) 带狭缝阀的盖
CN109311583B (zh) 流体产品分配装置
KR20210000216U (ko) 스포이드형 앰플용기
KR101056644B1 (ko) 믹싱용기
CN108744265B (zh) 密闭式正压接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