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3357Y1 - 이액 분리 저장이 가능한 앰플용기 - Google Patents

이액 분리 저장이 가능한 앰플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3357Y1
KR200493357Y1 KR2020190003032U KR20190003032U KR200493357Y1 KR 200493357 Y1 KR200493357 Y1 KR 200493357Y1 KR 2020190003032 U KR2020190003032 U KR 2020190003032U KR 20190003032 U KR20190003032 U KR 20190003032U KR 200493357 Y1 KR200493357 Y1 KR 20049335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ampoule
coupling
valve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303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00217U (ko
Inventor
전경남
전은숙
Original Assignee
전은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은숙 filed Critical 전은숙
Priority to KR202019000303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3357Y1/ko
Publication of KR2021000021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021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335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335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0087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for sampl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6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9Ampou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32Caps or cap-like covers with lines of weakness, tearing-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e.g. to facilitate formation of pouring openings
    • B65D41/58Caps or cap-like covers combined with sto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10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frangible clos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1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for discharging drops; Dro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two or more different materials which must be maintained separate prior to use in admixture
    • B65D81/3216Rigid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the other
    • B65D81/3227Rigid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the other arranged parallel or concentrically and permitting simultaneous dispensing of the two materials without prior mix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Package Specialized In Special Use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이액 분리 저장이 가능한 앰플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상측에 개구단이 구비되고 하측에는 절단홈이 구비된 뾰족부를 형성하여 제 1 미용액을 수용할 수 있도록 구성한 앰플몸체와, 스포이드 기능을 제공하면서 제 2 미용액을 수용하기 위하여 앰플몸체의 개구단에 결합되는 캡과, 앰플몸체와 캡의 사이에 설치되는 밸브수단으로 구성하므로서, 밸브수단으로 구획되는 앰플몸체와 캡 내부에 서로 다른 미용액을 분리 저장하고 사용시에는 캡의 스포이드기능을 이용하여 캡 내부에 저장된 미용액을 앰플몸체 내부로 이동시켜 제 1 미용액과 제 2 미용액이 혼합되도록 한 후 사용할 수 있고, 앰플몸체에 담겨진 미용액을 캡의 스포이드기능을 이용하여 정량씩 배출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이액 분리 저장이 가능한 앰플용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이액 분리 저장이 가능한 앰플용기{Ampoule container}
본 고안은 이액 분리 저장이 가능한 앰플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상측에 개구단이 구비되고 하측에는 절단홈이 구비된 뾰족부를 형성하여 제 1 미용액을 수용할 수 있도록 구성한 앰플몸체와, 스포이드 기능을 제공하면서 제 2 미용액을 수용하기 위하여 앰플몸체의 개구단에 결합되는 캡과, 앰플몸체와 캡의 사이에 설치되는 밸브수단으로 구성하므로서, 밸브수단으로 구획되는 앰플몸체와 캡 내부에 서로 다른 미용액을 분리 저장하고 사용시에는 캡의 스포이드기능을 이용하여 캡 내부에 저장된 미용액을 앰플몸체 내부로 이동시켜 제 1 미용액과 제 2 미용액이 혼합되도록 한 후 사용할 수 있고, 앰플몸체에 담겨진 미용액을 캡의 스포이드기능을 이용하여 정량씩 배출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이액 분리 저장이 가능한 앰플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앰플용기라 함은 미용액 또는 화장액을 충진할 수 있도록 소형으로 형성되고, 용기의 일단에는 수작업으로 절단할 수 있는 뾰족부를 형성하여 사용자가 앰플용기에 담겨진 약액을 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뾰족부를 절단한 후 그 절단부위로 주사기와 같은 약액 추출기구를 투입하여 앰플용기에 담겨진 미용액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앰플용기는 미용액을 투입한 후 완전히 밀봉하는 구조를 제공하기 때문에 미용액의 유통기한을 늘려줄 수 있는 장점이 있어서 사용량이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종래의 앰플용기는 사용시 앰플용기에 담겨진 미용액을 추출하기 위한 주사기 또는 스포이드와 같은 별도의 추출기구를 사용해야만 하므로 사용상 번거로움이 가중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또한, 앰플용기 내부에 2가지의 미용액을 분리하여 저장할 수 없으므로 2가지의 서로 다른 미용액을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2개의 앰플용기를 별도 휴대해야만 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었다.
* 선행기술문헌 *
실용신안등록출원 제 20-2004-0004876호
따라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은 상측에 개구단이 구비되고 하측에는 절단홈이 구비된 뾰족부를 형성하여 제 1 미용액을 수용할 수 있도록 구성한 앰플몸체와, 스포이드 기능을 제공하면서 제 2 미용액을 수용하기 위하여 앰플몸체의 개구단에 결합되는 캡과, 앰플몸체와 캡의 사이에 설치되는 밸브수단으로 구성하므로서, 밸브수단으로 구획되는 앰플몸체와 캡 내부에 서로 다른 미용액을 분리 저장하고 사용시에는 캡의 스포이드기능을 이용하여 캡 내부에 저장된 미용액을 앰플몸체 내부로 이동시켜 제 1 미용액과 제 2 미용액이 혼합되도록 한 후 사용할 수 있고, 앰플몸체에 담겨진 미용액을 캡의 스포이드기능을 이용하여 정량씩 배출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이액 분리 저장이 가능한 앰플용기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달성을 위한 본 고안은
상측에 개구단(11)이 구비되고 하측에는 절단홈(14)이 구비된 뾰족부(13)를 형성하여 제 1 미용액을 수용할 수 있도록 구성한 앰플몸체(10)와;
스포이드 기능을 제공하면서 제 2 미용액을 수용하기 위하여 앰플몸체(10)의 개구단(11)에 결합되는 캡(20)과;
앰플몸체(10)와 캡(20)의 사이에 설치되는 밸브수단(40);
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밸브수단으로 구획되는 앰플몸체와 캡 내부에 서로 다른 미용액을 분리 저장하고 사용시에는 캡의 스포이드기능을 이용하여 캡 내부에 저장된 미용액을 앰플몸체 내부로 이동시켜 제 1 미용액과 제 2 미용액이 혼합되도록 한 후 사용할 수 있고, 앰플몸체에 담겨진 미용액을 캡의 스포이드기능을 이용하여 정량씩 배출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 은 본 고안의 결합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2 는 본 고안의 분리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3 은 본 고안에 적용된 밸브수단을 개방시킨 상태를 보인 도면.
도 4 는 본 고안에 적용된 뾰족부를 절단한 상태를 보인 도면.
도 5 는 본 고안의 앰플용기에 담겨진 미용액을 배출하는 상태를 예시한 도면.
도 6 은 본 고안에 적용된 밸브수단을 예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6 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도면에 의하면 본 고안은
상측에 개구단(11)이 구비되고 하측에는 절단홈(14)이 구비된 뾰족부(13)를 형성하여 제 1 미용액을 수용할 수 있도록 구성한 앰플몸체(10)와;
스포이드 기능을 제공하면서 제 2 미용액을 수용하기 위하여 앰플몸체(10)의 개구단(11)에 결합되는 캡(20)과;
앰플몸체(10)와 캡(20)의 사이에 설치되는 밸브수단(40);
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캡(20)은 고무재 또는 실리콘재질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내부에 공간부(21)를 구비하고, 하단에는 개구단(11)에 결합되기 위한 결합단부(22)가 구성되며, 결합단부(22)의 저면부에는 개구단(11)이 끼워져 결합되기 위한 결합홈(23)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캡(20)의 결합단부(22) 내측으로 끼워져 결합단부(22)가 개구단(11)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지지하며, 중앙에는 밸브홀(33)이 형성되어 있는 지지체(30)를 더 구성하고, 지지체(30)의 하단부에 밸브수단(40)을 설치하되,
밸브수단(40)은
지지체(30)의 하단에 형성된 밸브끼움홈(35)에 끼워지기 위한 링형상의 결합링(44)을 구성하고, 결합링(44)의 중심부에는 밸브홀(33)을 차단하기 위한 밸브체(41)를 형성하며, 밸브체(41)와 결합링(44)의 사이에 다수의 리브(43)를 연결하여 밸브체(41)가 리브(43)에 연결된 상태로 상하로 움직이면서 밸브홀(33)을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밸브체(41)는 상하 형상을 대칭되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지지체(30)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외주면 하측과 상측에 각각 지지돌부(31,32)를 형성하되, 하측 지지돌부(31)를 상측 지지돌부(32) 보다 더 높게 돌출시켜 하측 지지돌부(31)가 앰플몸체(10)의 내주면에 근접하도록 하면서 결합단부(22)의 하측단을 받쳐줄 수 있도록 구성하고,
결합단부(22)의 내주면상에는 상측 지지돌부(31)가 끼워지는 끼움홈(24)을 형성하여 상측 지지돌부(31)가 끼움홈(24)에 끼워지면서 결합단부(22)를 개구단(11)에 밀착시키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앰플몸체(10), 캡(20), 지지체(30) 및 밸브수단(40)으로 대별 구성된다.
앰플몸체(10)는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측에 개구단(11)이 구비되고 하측에는 절단홈(14)이 구비된 뾰족부(13)를 형성하여 제 1 미용액을 수용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개구단(11)의 상단부에는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돌기부(12)를 형성하여 개구단(11)이 후설하는 캡(20)의 결합홈(23)에 끼워졌을때 돌기부(12)에 의해 결합력이 증대될 수 있도록 하였다.
캡(20)은 상기 앰플몸체(10)의 상측 개구단(11)으로 결합되는 것으로서, 고무재 또는 실리콘수지재로 형성하며, 자체적으로 제 2 미용액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부(21)를 구비하고 있으며, 하단에는 개구단(11)과 결합되기 위한 결합단부(22)가 형성되고, 캡(20)의 중간부는 눌려짐이 가능하게 형성된다.
결합단부(22)의 저면부에는 개구단(11)이 끼워질 수 있는 결합홈(23)이 형성되어 있으며, 결합단부(22)의 내측면에는 후설하는 지지체(30)의 상측 지지돌부(32)가 끼워질 수 있는 끼움홈(24)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지지체(30)는 캡(20)의 결합단부(22) 내측으로 끼워져 결합단부(22)가 개구단(11)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것으로서,
지지체(30)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그 중앙에 밸브홀(33)이 형성되고, 그 외주면 하측과 상측에 각각 지지돌부(31,32)를 형성하되, 하측 지지돌부(31)를 상측 지지돌부(32) 보다 더 높게 돌출시켜 하측 지지돌부(31)가 앰플몸체(10)의 내주면에 근접하도록 하면서 결합단부(22)의 하측단을 받쳐줄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또한, 지지체(30)의 하단에는 밸브수단(40)의 결합링(44)이 끼워질 수 있는 밸브끼움홈(35)이 형성되어 있으며, 밸브끼움홈(35)의 하단에는 결합링(44)이 빠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스토퍼(36)가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밸브홀(33)의 하단에는 후설하는 밸브수단(40)의 밸브체(41)와 밀착되기 위한 밸브시트부(34)가 하향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다.
한편, 밸브수단(40)은
지지체(30)의 하단에 형성된 밸브끼움홈(35)에 끼워지기 위한 링형상의 결합링(44)을 구성하고, 결합링(44)의 중심부에는 밸브홀(33)을 차단하기 위한 밸브체(41)를 형성하며, 밸브체(41)와 결합링(44)의 사이에 다수의 리브(43)를 연결하여 밸브체(41)가 리브(43)에 연결된 상태로 상하로 움직이면서 밸브홀(33)을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상기 밸브체(41)는 상하부에 각각 동일한 형태의 밀착부(42)를 형성하여 상기 밀착부(42)가 밸브시트부(34)에 밀착되면서 밸브홀(33)을 개폐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와 같이 밸브체(41)의 상하 형상을 대칭되게 형성하여 밸브수단(40) 조립작업시 어떠한 방향으로라도 밸브수단(40)을 설치하면 밸브체(41)가 밸브시트부(34)에 밀착되면서 밸브홀(33)을 차단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에 도시된 바와같이 앰플몸체(10) 내부에 제 1 미용액이 저장되고, 캡(20) 내부에 제 2 미용액이 저장되어 있는 상태에서 제 1 미용액과 제 2 미용액을 혼합시키기 위해 사용자가 캡(20)의 중간부를 눌러주면, 캡(20) 내부에 저장되어 있는 제 2 미용액이 가압되면서 그 압력에 의해 밸브홀(33)을 차단하고 있던 밸브체(41)가 도면상의 하측으로 밀리면서 밸브홀(33)이 개방되어 캡(20) 내부에 저장되어 있는 제 2 미용액이 하측의 앰플몸체(10) 내부로 이동되어 제 1 미용액과 혼합된다.
제 1 미용액과 제 2 미용액을 혼합할 때 앰플몸체(10)가 세워진 상태에서 캡(20)을 눌러 밸브체(41)를 개방시키게되면, 캡(20) 내부의 하측에 제 2 미용액이 존재하는 상태에서 캡(20)이 눌려져 가압되므로 제 2 미용액이 밸브홀(33)을 통해 하측의 앰플몸체(10) 내부로 이동되며, 이때 앰플몸체(10) 내부로 제 2 미용액이 이동하는 만큼 앰플몸체(10) 내부에 존재하는 공기가 캡(20) 내부로 이동하여 채워지게된다.
상기와 같이 제 1 미용액과 제 2 미용액이 혼합된 혼합 미용액을 사용하기 위하여 사용자는 앰플용기(10)의 뾰족부(13)를 손으로 절단하여 뾰족부(13)를 개방시킨다.
이러한 상태에서 캡(20)을 손가락으로 눌러주게되면 캡(20) 내부에 존재하는 공기가 가압되면서 그 압력에 의해 밸브체(41)가 밸브홀(33)로 부터 이탈되면서 압력이 앰플몸체(10) 내부로 전달되어 앰플몸체(10) 내부에 존재하는 혼합 미용액이 절단된 뾰족부(13)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다.
10: 앰플몸체, 11: 개구단,
12: 돌기부, 13: 뾰족부,
14: 절단홈, 20: 캡,
21: 공간부, 22: 결합단부,
23: 결합홈, 24: 끼움홈,
30: 지지체, 31,32: 지지돌부,
33: 밸브홀, 34: 밸브시트부,
35: 밸브끼움홈, 36: 스토퍼,
40: 밸브수단, 41:밸브체,
42: 밀착부, 43: 리브,
44: 결합링,

Claims (5)

  1. 상측에 개구단(11)이 구비되고 하측에는 절단홈(14)이 구비된 뾰족부(13)를 형성하여 제 1 미용액을 수용할 수 있도록 구성한 앰플몸체(10)와;
    스포이드 기능을 제공하면서 제 2 미용액을 수용하기 위하여 앰플몸체(10)의 개구단(11)에 결합되는 캡(20)과;
    앰플몸체(10)와 캡(20)의 사이에 설치되는 밸브수단(40);으로 구성하고,
    또한, 캡(20)은 고무재 또는 실리콘재질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내부에 공간부(21)를 구비하고, 하단에는 개구단(11)에 결합되기 위한 결합단부(22)가 구성되며, 결합단부(22)의 저면부에는 개구단(11)이 끼워져 결합되기 위한 결합홈(23)이 형성되며,
    캡(20)의 결합단부(22) 내측으로 끼워져 결합단부(22)가 개구단(11)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지지하며, 중앙에는 밸브홀(33)이 형성되어 있는 지지체(30)를 더 구성하고, 지지체(30)의 하단부에 밸브수단(40)을 설치하되,
    밸브수단(40)은 지지체(30)의 하단에 형성된 밸브끼움홈(35)에 끼워지기 위한 링형상의 결합링(44)을 구성하고, 결합링(44)의 중심부에는 밸브홀(33)을 차단하기 위한 밸브체(41)를 형성하며, 밸브체(41)와 결합링(44)의 사이에 다수의 리브(43)를 연결하여 밸브체(41)가 리브(43)에 연결된 상태로 상하로 움직이면서 밸브홀(33)을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지지체(30)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외주면 하측과 상측에 각각 지지돌부(31,32)를 형성하되, 하측 지지돌부(31)를 상측 지지돌부(32) 보다 더 높게 돌출시켜 하측 지지돌부(31)가 앰플몸체(10)의 내주면에 근접하도록 하면서 결합단부(22)의 하측단을 받쳐줄 수 있도록 구성하고,
    결합단부(22)의 내주면상에는 상측 지지돌부(31)가 끼워지는 끼움홈(24)을 형성하여 상측 지지돌부(31)가 끼움홈(24)에 끼워지면서 결합단부(22)를 개구단(11)에 밀착시키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액 분리 저장이 가능한 앰플용기.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체(41)는 상하 형상을 대칭되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액 분리 저장이 가능한 앰플용기.
  5. 삭제
KR2020190003032U 2019-07-19 2019-07-19 이액 분리 저장이 가능한 앰플용기 KR20049335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3032U KR200493357Y1 (ko) 2019-07-19 2019-07-19 이액 분리 저장이 가능한 앰플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3032U KR200493357Y1 (ko) 2019-07-19 2019-07-19 이액 분리 저장이 가능한 앰플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0217U KR20210000217U (ko) 2021-01-27
KR200493357Y1 true KR200493357Y1 (ko) 2021-03-18

Family

ID=742394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3032U KR200493357Y1 (ko) 2019-07-19 2019-07-19 이액 분리 저장이 가능한 앰플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3357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5718B1 (ko) 2021-04-19 2021-12-31 이혜경 앰플 용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5005Y1 (ko) * 2009-12-11 2011-08-10 (주)아모레퍼시픽 내용물에 대한 용이 배출을 위한 주사기형 앰플
KR101343697B1 (ko) * 2012-09-13 2013-12-20 황재광 내용액 역류 방지 스포이드형 용기의 용기캡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34504A (ko) * 2017-06-09 2018-12-19 여수빈 이종 내용물 혼합 스포이드 용기
KR20190033359A (ko) * 2017-09-21 2019-03-29 주식회사 아이팩 튜브 용기 내의 액상 내용물을 방울 형태로 배출시키는 배출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5005Y1 (ko) * 2009-12-11 2011-08-10 (주)아모레퍼시픽 내용물에 대한 용이 배출을 위한 주사기형 앰플
KR101343697B1 (ko) * 2012-09-13 2013-12-20 황재광 내용액 역류 방지 스포이드형 용기의 용기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0217U (ko) 2021-0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50237A (en) Dual chambered mixing and dispensing vial
JP5985061B2 (ja) 自動充填及び定量吐出スポイト型容器キャップ
KR200475352Y1 (ko) 두 가지 내용물을 혼합, 배출할 수 있는 화장품용기
KR200477829Y1 (ko) 행정거리가 짧은 배출펌프와 내용물 확산부재를 구비한 파운데이션 용기
JPH1081338A (ja) 2成分を別々に収容し、それらを混合し、得られた混合物を小出しするための装置
US20220348396A1 (en) Device for closing a container of a liquid to pasty product and refill closed by such a device
KR101483652B1 (ko) 드로퍼
KR200477195Y1 (ko) 담지체를 내장한 카트리지가 탈부착 가능한 화장품 펌프용기
KR101855948B1 (ko) 2웨이 체크밸브를 구비한 용기마개
US20120279968A1 (en) Child Resistant Dosing Adapter Cap
KR101270347B1 (ko) 자동충전 및 정량 토출 스포이드형 용기캡
JP2014231362A (ja) エアレス容器
CN101932263B (zh) 手动滴瓶
KR200480441Y1 (ko) 자동 스포이드 용기
KR200493357Y1 (ko) 이액 분리 저장이 가능한 앰플용기
KR200469855Y1 (ko) 스포이드 결합형 분말 혼합 화장용기
KR101403741B1 (ko) 화장품 용기
KR102265177B1 (ko) 스포이드형 화장품 용기
KR101308775B1 (ko) 자동충전 및 정량 토출 스포이드형 용기캡
KR101780903B1 (ko) 자동 충전 스포이트형 화장품 용기
KR200493356Y1 (ko) 스포이드형 앰플용기
JP5046105B2 (ja) 二剤混合容器
KR102206002B1 (ko) 이액형 화장품 용기
JP7350442B2 (ja) 2種混合スポイト容器
CN109907467B (zh) 化妆品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