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5718B1 - 앰플 용기 - Google Patents

앰플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5718B1
KR102345718B1 KR1020210050225A KR20210050225A KR102345718B1 KR 102345718 B1 KR102345718 B1 KR 102345718B1 KR 1020210050225 A KR1020210050225 A KR 1020210050225A KR 20210050225 A KR20210050225 A KR 20210050225A KR 102345718 B1 KR102345718 B1 KR 1023457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er body
plug
storage space
inner plug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02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혜경
김중화
Original Assignee
이혜경
김중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혜경, 김중화 filed Critical 이혜경
Priority to KR10202100502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571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57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57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05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for collecting, storing or administering blood, plasma or medical fluids ; Infusion or perfusion containers
    • A61J1/06Ampoules or carpu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1412Containers with closing means, e.g. ca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1468Containers characterised by specific material propert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1475Inlet or outlet por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20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or mixing fluids, e.g. from vial to syringe
    • A61J1/2093Containers having several compartments for products to be mix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7/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 B65D17/28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 B65D17/4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characterised by having the line of weakness extending circumferentially of the container mou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65D25/04Partitions
    • B65D25/08Partitions with provisions for removing or destroying, e.g. to facilitate mixing of contents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에 상기 저장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저장공간에 연통되어 상측에 배치된 상측개구면 및 상기 저장공간과 연통되어 하측에 배치된 하측개구면을 포함하는 아우터바디; 상기 아우터바디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아우터바디에서 분리되어 상기 상측개구면을 개방시키는 캡; 상기 아우터바디에 조립되어 상기 하측개구면을 폐쇄시키는 아우터플러그; 상기 아우터바디 내부로 삽입되어 배치되는 이너플러그;를 포함하고, 상기 저장공간은 상기 이너플러그에 의해 구획되고 상기 이너플러그의 상측에 배치되는 제 1 저장공간과, 상기 이너플러그에 의해 구획되고 상기 이너플러그의 하측에 배치되는 제 2 저장공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아우터바디에 일체로 제작된 상기 캡을 부러트려 제 1 대상물을 상측개구면을 통해 외부로 인출할 수 있고, 아우터바디에 결합된 상기 아우터플러그를 분리하여 제 2 대상물을 하측개구면을 통해 외부로 인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앰플 용기{Container for ample}
본 발명은 합성수지 재질로 제작될 수 있는 앰플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장품 미용제나, 주사제 및 자양강장제 그리고 내복액제 등과 같이 멸균 상태로 밀봉, 보관하여야 하는 내용물은 주로 유리 앰플(ampoule)이라는 용기에 포장되며, 이러한 용기는 두께가 얇은 유리관에 내용물을 주입한 후, 그 하단부를 불꽃 등으로 용융, 밀봉하는 방법으로 제조한다.
이러한 유리 앰플은 매우 위생적인 반면, 취급 과정에서 파손의 우려가 높고, 내용물을 사용하기 위해 앰플 상단을 절단할 경우 날카로운 절단 부위에 손을 다치는 안전사고의 위험이 있었다.
그리고 유리 앰플을 절단 하는 과정에서 내용물 속으로 미세한 유리 파편이 들어는 문제점도 있었다.
이러한 유리 앰플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플라스틱 앰플이 개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플라스틱 앰플은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용기를 블로잉(Blowing) 성형하고, 상기 용기 내부로 내용물을 충진(Filling) 한 다음, 용기 입구를 밀봉(Sealing)하는 일련의 공정을 연속적으로 실시하는 소위 BFS(Blowing -Filling - Sealing)공법으로 제조된다.
플라스틱 앰플은 유리 앰플과 달리 재질의 인성(toughness)이 높기 때문에, 용기 상부에 충격을 가하는 동작만으로는 용기를 쉽게 개봉할 수 없고, 별도로 구비된 날개형 손잡이를 비틀어서 용기 본체로부터 목 부분을 분리해야 한다.
또한 플라스틱 앰플은 유리 앰플 처럼 절단 부위가 매끈하게 절단 되는 것이 아니라, 절단 부위가 연신되는 이른바 연신 잔재를 남기게 된다.
그런데 상기 절단 부위는 절단과정에서 사용자의 손이 닿아 오염될 우려가 높고, 이렇게 되면 용기 내부로 주사기를 삽입할 때 주사기가 상기 연신 잔재와 접촉한 후 주사액 속으로 들어가게 되므로 주사액을 오염시킬 가능성이 매우 높아지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2042978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461736호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20-2021-0000217호
본 발명은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되어 개봉이 용이한 앰플용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용액의 주입 및 밀봉이 용이한 앰플용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액체 또는 겔 형태의 2종류 물질을 각각 분리된 공간에 저장하고, 각각 다른 출구로 인출할 수 있는 앰플용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내부에 상기 저장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저장공간에 연통되어 상측에 배치된 상측개구면 및 상기 저장공간과 연통되어 하측에 배치된 하측개구면을 포함하는 아우터바디; 상기 아우터바디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아우터바디에서 분리되어 상기 상측개구면을 개방시키는 캡; 상기 아우터바디에 조립되어 상기 하측개구면을 폐쇄시키는 아우터플러그; 상기 아우터케이스 내부로 삽입되어 배치되는 이너플러그;를 포함하고, 상기 저장공간은 상기 이너플러그에 의해 구획되고 상기 이너플러그의 상측에 배치되는 제 1 저장공간과, 상기 이너플러그에 의해 구획되고 상기 이너플러그의 하측에 배치되는 제 2 저장공간을 포함한다.
상기 이너플러그는 상기 아우터플러그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아우터바디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이너플러그를 지지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너플러그는, 상기 제 2 저장공간을 일부 점유하는 이너저장공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이너저장공간이 상기 하측개구면과 연통될 수 있다.
상기 아우터플러그는, 상기 이너플러그 내부로 삽입되고, 상기 이너플러그와 결합되는 제 3 아우터바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첫째, 본 발명은 아우터바디에 일체로 제작된 상기 캡을 부러트려 제 1 대상물을 상측개구면을 통해 외부로 인출할 수 있고, 아우터바디에 결합된 상기 아우터플러그를 분리하여 제 2 대상물을 하측개구면을 통해 외부로 인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본 발명은 제 1 대상물 및 제 2 대상물이 상기 앰플 내부에 저장되지만, 이너플러그를 통해 구획되어 저장되기 때문에, 제 1 대상물 및 제 2 대상물이 섞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셋째, 본 발명은 제 1 대상물 및 제 2 대상물이 인출되는 통로가 다르기 때문에, 제 1 대상물 및 제 2 대상물 중 어느 하나만을 인출할 때, 다른 대상물과의 접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넷째, 본 발명은 캡의 분리 시, 캡의 하측에 형성된 경사면이 아우터바디의 상단에 지지될 있기 때문에, 캡이 지렛대의 원리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분리에 필요한 힘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섯째, 본 발명은 이너플러그가 아우터바디 내부에 완전히 삽입되어 위치되기 때문에, 아우터플러그의 분리 시 아우터바디 밖으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앰플용기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저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하부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1의 정단면도이다.
도 8은 도 6의 정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앰플용기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정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9의 결합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앰플용기가 도시된 분해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결합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앰플용기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정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저면도이고, 도 5는 도 1의 하부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1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1의 정단면도이고, 도 8은 도 6의 정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앰플용기(1)는, 내부에 액체 또는 겔을 저장할 수 있는 용기다. 상기 앰플용기(1)는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앰플용기(1)는 섞어서 사용되는 2종의 액체 또는 겔을 각각 구획된 공간에 저장하고, 사용시에는 2종의 액체를 섞어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2종의 액체 또는 겔은 혼합되었을 때 산폐 또는 변질이 신속하게 발생되는 물질일 수 있다. 구분을 위해 2종의 물질을 제 1 대상물(101) 또는 제 2 대상물(102)이라 한다.
본 실시예와 달리 하나의 물질을 2개의 공간에 각각 구비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앰플용기(1)는 외관을 형성하는 아우터케이스(10) 및 아우터플러그(30)와, 상기 아우터케이스(10) 내부로 삽입되어 배치되는 이너플러그(20)를 포함한다.
상기 앰플용기(1)는 내부에 저장공간(15)이 형성되고, 하측에 하측개구면(11)이 형성된 아우터케이스(10)와, 상기 아우터케이스(10)의 개구면(11)을 통해 삽입되고, 상기 저장공간(15)에 은닉되어 상기 아우터케이스(10)와 결합되는 이너플러그(20)와, 상기 개구면(11)을 통해 적어도 일부가 상기 아우터케이스(10) 내부로 삽입되고, 상기 이너플러그(20) 및 아우터케이스(10)와 각각 결합되는 아우터플러그(3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아우터케이스(10), 이너플러그(20) 및 아우터플러그(30)는 동일한 재질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아우터케이스(10), 이너플러그(20) 및 아우터플러그(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다른 재질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예를 들어 상기 아우터케이스(10), 이너플러그(20) 및 아우터플러그(30) 중, 상기 이너플러그(20) 또는 아우터플러그(30)가 상기 아우터케이스(10)도 열팽창계수가 높은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상기 하측개구면(11)을 보다 견고하게 밀폐할 수 있다.
상기 아우터케이스(10)는 내부에 상기 저장공간(15)이 형성된 아우터바디(110)와, 상기 아우터바디(110)에서 분리되어 상기 저장공간(15)을 개방시키는 캡(120)을 포함한다.
상기 아우터바디(110)는 하측에 개구된 하측개구면(11)이 형성되고, 상측에 상기 캡(120)의 분리 시 개방되는 상측개구면(12)이 형성된다.
상기 하측개구면(11)을 하측을 향하게 배치되고, 상기 상측개구면(12)은 상측을 향하게 배치된다.
상기 하측개구면(11) 및 상측개구면(12)은 서로 반대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아우터바디(110)는 상하 방향으로 축중심(C)이 형성되고, 상기 축중심(C)에 대해 대칭으로 형성된다.
상기 축중심(C)은 상기 이너플러그(20)를 수직방향으로 관통하고, 상기 이너플러그(20)는 상기 축중심(C)에 대해 대칭으로 형성된다.
상기 축중심(C)은 상기 아우터플러그(30)를 수직방향으로 관통하고, 상기 아우터플러그(30)는 상기 축중심(C)에 대해 대칭으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캡(120)도 상기 축중심(C)에 대해 대칭으로 형성된다. 상기 캡(120)은 상기 축중심(C) 상에 배치된다.
상기 아우터바디(110)는 상기 하측개구면(11)은 상기 이너플러그(20) 및 아우터플러그(30)의 조립 시 폐쇄된다. 상기 하측개구면(11)은 상기 이너플러그(20) 및 아우터플러그(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조립에 의해 폐쇄될 수 있다.
상기 캡(120)은 상기 아우터바디(110)와 일체로 제작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아우터바디(110) 및 캡(120)은 사출성형을 통해 일체로 제작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아우터케이스(10)가 절삭가공을 통해 제작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캡(120)은 상기 상측개구면(12)을 폐쇄한다. 상기 캡(120)이 상기 아우터바디(110)에서 분리될 경우, 상기 상측개구면(120)이 개방된다.
상기 축중심(C)은 상기 하측개구면(11) 및 상측개구면(12)을 관통하고, 상기 축중심(C)에 대해 상기 하측개구면(11) 및 상측개구면(12)도 대칭된다.
상기 아우터바디(110)는 외측면(111) 및 내측면(112)을 포함한다.
상기 아우터바디(110)는 상기 내측면(112)에서 내측으로 더 돌출된 플러그스토퍼(113)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스토퍼(113)에 상기 이너플러그(20)의 상측단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플러그스토퍼(113) 상측에 배치된 내측면(112)을 상부내측면(112a)이라 정의하고, 하측에 배치된 내측면(112)을 하부내측면(112b)이라 정의한다.
상기 플러그스토퍼(113)의 상측에 배치된 저장공간(15)을 제 1 저장공간(16)이라 정의하고, 상기 상기 플러그스토퍼(113)의 하측에 배치된 저장공간(15)을 제 2 저장공간(17)이라 정의한다.
상기 플러그스토퍼(113)은 상기 축중심(C) 측으로 돌출된고, 상기 상부내측면(112a) 측으로 상기 이너플러그(20)가 이동되는 것을 제한한다.
상기 제 2 저장공간(17)에 상기 이너플러그(20)가 삽입된다. 상기 이너플러그(20)는 상기 제 2 저장공간(17)을 꽉 채워서 상기 제 1 저장공간(16)에 저장된 액체가 하부개구면(11)으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아우터바디(110)는 상기 내측면(112)에서 외측으로 오목하게 함몰된 제 1 삽입부(130)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 1 삽입부(130)에 상기 이너플러그(20)가 삽입되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제 1 삽입부(130)는 상기 내측면(112)에서 외측면(111)을 향하게 배치된 제 1 삽입면(131)과, 상기 제 1 삽입면(131)과 연결되고 상기 제 1 삽입면(131)에서 하측으로 연장된 제 2 삽입면(132)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삽입면(131) 및 제 2 삽입면(132)은 상기 이너플러그(20)의 상측 이동을 제한하는 단(133)을 형성한다.
상기 아우터바디(10)는 상기 내측면(112)에서 외측으로 오목하게 함몰된 제 2 삽입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 2 삽입부(140)에 상기 아우터플러그(30)가 삽입되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제 2 삽입부(140)는 상기 아우터플러그(30)의 측면에 밀착되어 지지되는 제 3 삽입면(141)과, 상기 제 3 삽입면(141)에서 외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제 4 삽입면(14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2 삽입면(132) 및 제 3 삽입면(141)이 일렬로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2 삽입면(132) 및 제 3 삽입면(141)이 수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제 2 삽입면(132) 및 제 3 삽입면(141)이 일렬로 수직하게 연장됨으로써 기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이너플러그(20) 및 아우터플러그(30)가 하나의 면에 밀착되기 때문에, 상기 아우터바디(110)와의 틈 또는 이격을 최소화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상기 저장공간에 저장되는 액체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2 삽입면(132)은 수평방향에 대해서 곡면으로 형성되고, 상하방향에 대해 수직하게 형성된다. 상기 제 3 삽입면(141)은 수평방향에 대해서 곡면으로 형성되고, 상하방향에 대해 수직하게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2 삽입면(132) 및 제 3 삽입면(141)이 육안으로 확연하게 구분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이너플러그(20)와 접촉되는 내측면이 상기 제 2 삽입면(132)이고, 상기 아우터플러그(30)와 접촉되는 내측면이 상기 제 3 삽입면(141)이라 구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제 2 삽입면(132) 및 제 3 삽입면(141)이 이격되어 배치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제 2 삽입면(132)이 상기 제 3 삽입면(141)보다 상측에 배치된다.
상기 제 3 삽입면(141)은 상기 제 4 삽입면(142)의 상측에 배치된 상측 제 3 삽입면(143)과, 상기 제 4 삽입면(142)의 하측에 배치된 하측 제 3 삽입면(144)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측 제 3 삽입면(143) 및 하측 제 3 삽입면(144)이 수직방향으로 일렬로 배치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상측 제 3 삽입면(143)보다 상기 하측 제 3 삽입면(144)이 반경방향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4 삽입면(142)은 상기 외측면(111) 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상기 제 4 삽입면(142)의 수직단면이 호형상일 수 있다.
상기 제 1 삽입부(130) 및 제 2 삽입부(140)를 형성하는 아우터바디(110)의 두께가 상기 저장공간(16)(17)을 형성하는 아우터바디(110)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된다.
상기 제 1 삽입부(130) 및 제 2 삽입부(140)를 형성하는 아우터바디(110)의 두께를 두껍게 형성함으로써, 상기 이너플러그(20) 및 아우터플러그(30)의 탄성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고, 상기 아우터플러그(30)가 상기 아우터바디(110) 의도치 않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캡(120)은 상기 아우터바디(110)에 일체로 결합되어 상기 상측개구면(12)을 폐쇄하고, 분리 시 상기 상측개구면(12)을 개방한다.
상기 캡(120) 및 아우터바디(110)의 경계에 오목한 절단홈(121)이 형성된다.
상기 절단홈(121)은 상기 아우터바디(110)의 상측에 배치된다.
상기 아우터바디(110)에서 상기 절단홈(121) 측으로 갈수록 외측면(111) 및 내측면(112)의 두께가 얇아지게 형성된다.
상기 캡(120)의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지 않고, 꽉 채워진 솔리드 형상이다.
상기 캡(120)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지 않기 때문에, 상기 제 1 저장공간(16)에 저장된 내용물이 손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캡(120)은 상기 아우터바디(110)와 일체로 결합되는 캡바디(122)와, 상기 캡바디(122)에서 상기 상측개구면(12)으로 돌출되는 캡돌출부(124)를 더 포함한다.
상기 캡바디(122) 및 아우터바디(110) 사이에 상기 절단홈(121)이 형성된다. 상기 절단홈(121)은 상기 축중심(C) 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상기 절단홈(121)은 상기 캡바디(122)의 외주면을 따라 링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캡돌출부(124)는 정단면이 삼각형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캡돌출부(124)는 하측으로 뾰족한 원추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캡돌출부(124)는 상기 캡(120)이 상기 아우터바디(110)에서 절단될 때, 상기 아우터바디(110)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캡돌출부(124)의 하단(125)이 상기 축중심(C)에 배치된다.
상기 캡돌출부(124)는 상기 하단(125)을 향해 경사면(126)이 형성된다.
상기 캡돌출부(124)의 경사면(126)은 상기 축중심(C)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배치된다.
상기 하단(125)은 상기 아우터바디(110)의 제 1 저장공간(16) 내부에 위치된다. 그래서 상기 캡(120)이 비틀릴 경우, 상기 경사면(126)이 상기 아우터바디(110)의 절단홈(121) 부근에 지지되면서 지렛대 역할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저장공간(15)은 상기 캡돌출부(124) 측으로 오목한 돌출공간(127)이 형성된다. 상기 돌출공간(127)은 상기 저장공간(15)과 연통되고, 상기 캡(120)이 위치한 상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상기 돌출공간(127)은 상기 경사면(126)과 접하고, 상기 경사면(126) 주위를 따라 원주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돌출공간(127)이 상기 상측개구면(12)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이너플러그(20)는 상기 아우터케이스(10)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이너플러그(20)는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너플러그(20)는 상기 하측개구면(11)을 통해 상기 저장공간(15)으로 삽입되고, 상기 내측면(12)에 밀착된다. 상기 이너플러그(20)는 상기 아우터케이스(10)에 끼움결합될 수 있다. 상기 이너플러그(20)의 끼움결합을 위해 상기 저장공간(15)의 체적보다 약간 더 큰 부피로 상기 이너플러그(20)를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너플러그(20)는 상기 제 2 저장공간(17) 중 일부를 점유할 수 있다.
상기 이너플러그(20)의 상측에 상기 제 1 저장공간(16)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저장공간(16)에 제 1 대상물(101)이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제 1 대상물(101)은 액체, 젤, 또는 겔의 형태일 수 있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제 1 저장공간(16)에 가루 형태의 대상물이 저장되어도 무방하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이너플러그(20)는 하측이 개구된 원통형상이다. 상기 이너플러그(20)는 상기 아우터바디(110)와 상호 걸림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이너플러그(20)는 측벽(211) 및 상측벽(212)이 형성된 이너플러그바디(210)와, 상기 이너플러그바디(210) 내부에 형성된 이너저장공간(25)과, 상기 이너플러그바디(210)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이너저장공간(25)과 연통되며, 하측을 향해 개구된 플러그개구면(21)과, 상기 이너플러그바디(210)의 측벽(211)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끼움부(220)를 포함한다.
상기 이너플러그바디(210)는 상기 축중심(C) 선상에 배치되고, 하측이 개구된 원통형상일 수 있다.
상기 측벽(211)은 원통형상일 수 있다. 상기 상측벽(212)이 상기 이너플러그바디(210)의 상측면을 폐쇄한다. 상기 이너저장공간(25)은 상기 측벽(211) 및 상측벽(212)에 둘러싸여 형성된다.
상기 플러그개구면(21)는 중력방향 하측을 향하게 배치된다.
상기 플러그개구면(21)이 상기 이너저장공간(25)의 저면을 형성하고, 상기 이너저장공간(25)에 저장된 제 2 대상물(102)이 상기 플러그개구면(21)을 통해 외부로 유동 또는 인출될 수 있다.
상기 끼움부(220)는 상기 측벽(211)의 하단에 배치된다. 상기 끼움부(220)의 두께가 상기 측벽(211)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된다.
상기 끼움부(220)의 내측으로 상기 아우터플러그(30)가 삽입될 수 있고, 상기 끼움부(220)가 상기 아우터플러그(30)와 끼움결합될 수 있다.
상기 이너플러그(20) 및 아우터플러그(30)의 끼움결합은 외력에 의해 분리가능한 정도의 결합력을 형성한다.
상기 끼움부(220)는, 상기 이너저장공간(25)을 향하게 배치된 내측면(221)과, 상기 측벽(211)의 내측면(211a)과 상기 내측면(221)을 연결시키는 챔퍼(222)와, 상기 아우터바디(110)의 제 2 삽입면(132)에 밀착되어 마찰력을 발생시키는 외측면(224)과, 상기 외측면(224)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더 돌출되는 융기부(225)와, 상기 아우터바디(110)의 단(133)와 상호 걸림을 형성하는 단(223)을 포함한다.
상기 이너플러그(20)를 상기 아우터바디(10)에 삽입할 경우, 상기 단(223)이 상기 아우터바디(110)의 단(133)에 걸려 진입이 제한된다. 상기 끼움부(220)의 단(223)은 상기 챔퍼(222) 보다 하측에 배치된다.
상기 단(223)(133)들이 상호 걸림을 형성할 때 상기 상측벽(212)도 상기 플러그스토퍼(113)에 지지된다. 즉, 상기 이너플러그(20)의 삽입깊이를 제한함으로써 상기 제 1 저장공간(16)의 용적이 의도치 않게 축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상측벽(212)은 상기 제 1 저장공간(17)에 저장되는 제 1 대상물(101)와 접촉된다. 상기 이너플러그(20)의 상측벽(212)이 상기 제 1 대상물(101)과 접촉되기 때문에, 상기 이너플러그(20)는 상기 제 1 대상물(101)과 반응성이 낮을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측벽(211)의 외측면(211b) 및 하부내측면(112b)은 서로 밀착된다.
상기 상측벽(212)이 상기 플러그스토퍼(113)의 하단에 밀착되어 지지되기 때문에, 상기 제 1 대상물(101)은 측벽(211)의 외측면(211b) 및 하부내측면(112b) 사이로 침투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끼움부(220)는 상기 아우터바디(110)와 끼움결합됨으로써 상기 이너플러그(20)가 하측개구면(11) 측으로 후퇴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끼움부(220)의 내측면(221)은 측벽(211)의 내측면(211a) 보다 축중심(C)에 가깝게 배치된다. 상기 끼움부(220)의 외측면(224)은 측벽(211)의 외측면(211b) 보다 반경방향 외측에 배치된다.
상기 내측면(221) 및 외측면(224)의 두께가 상기 측벽(211)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되고, 재질의 탄성을 통해 상기 플러그개구면(21)으로 삽입되는 아우터플러그(30)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즉, 상기 측벽(211)의 내경(R1) 보다 끼움부(220)의 내경(R2)이 더 작게 형성된다.
상기 융기부(225)는 상기 외측면(224)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더 돌출된다.
탑뷰로 볼 때, 상기 융기부(225)는 링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정단면으로 본 때 상기 융기부(225)는 소정의 곡률반경을 갖는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융기부(225)는 상기 제 2 삽입면(132)에 밀착되어 실링을 보다 강화할 수 있다. 재질의 탄성에 의해 상기 융기부(225)가 상기 제 2 삽입면(132)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끼움부(220)는 상기 제 4 삽입면(142) 보다 상측에 배치된다. 상기 끼움부(220)의 하단이 상기 제 4 삽입면(142) 보다 상측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끼움부(220)의 하단을 상기 아우터플러그(30)가 지지하면서 상기 제 4 삽입면(142)을 한번 더 밀폐시킬 수 있다.
상기 이너저장공간(25)에 상기 아우터플러그(30)의 일부가 삽입되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상기 이너저장공간(25)은 챔퍼(222)까지로 해석될 수 있다.
이를 구분하기 위해, 상기 챔퍼(222)의 상측에 배치된 이너저장공간(25)을 제 1 이너저장공간(25a)이라 정의 하고, 상기 챔퍼(222)의 하측에 배치된 이너저장공간(25)을 제 2 이너저장공간(25b)이라 정의한다.
상기 아우터플러그(30)는 상기 제 2 이너저장공간(25b)에 삽입된다.
상기 아우터플러그(30)는, 아우터케이스(10)의 하측개구면(11)을 밀폐시키는 제 1 아우터바디(310)와, 상기 제 1 아우터바디(310)에서 연장되고, 상기 아우터케이스(10)의 내부로 삽입되어 결합되는 제 2 아우터바디(320)와, 상기 제 2 아우터바디(320)에서 연장되고, 상기 이너플러그(20) 내부로 삽입되어 결합되는 제 3 아우터바디(330)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아우터바디(310), 제 2 아우터바디(320) 및 제 3 아우터바디(330)의 평면중심은 모두 상기 축중심(C) 상에 배치된다.
탑뷰로 볼 때, 상기 제 1 아우터바디(310), 제 2 아우터바디(320) 및 제 3 아우터바디(330)는 모두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아우터바디(310)의 직경이 가장 크고, 상기 제 3 아우터바디(330)의 직경이 가장 작으며, 상기 제 2 아우터바디(320)의 직경은 상기 제 3 아우터바디(330) 보다 크고 상기 제 1 아우터바디(310)의 직경보다 작다.
하측에서 상측으로 제 1 아우터바디(310), 제 2 아우터바디(320) 및 제 3 아우터바디(330)가 차례로 배치된다.
상기 제 1 아우터바디(310)는 상기 하측개구면(11) 보다 넓은 면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 1 아우터바디(310)의 직경은 상기 아우터바디(110)의 하단 직경과 같거나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아우터바디(320)는 상기 제 1 아우터바디(310)에서 상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 2 아우터바디(320)는 이너플러그(20)의 하단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제 2 아우터바디(320)는 상기 제 2 이너저장공간(25b)로 삽입되고, 상기 아우터바디(110)의 제 2 삽입부(140)에 밀착된다.
상기 제 2 아우터바디(320)는 하측에 배치된 제 3 삽입면(144)에 밀착되는 제 2-1 아우터바디(322)와, 상기 제 4 삽입면(142)에 밀착되는 제 2-2 아우터바디(324)를 포함한다.
상기 제 2-2 아우터바디(324)는 상기 제 4 삽입면(142)에 대응되는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제 2-2 아우터바디(324)는 제 2-1 아우터바디(322) 보다 반경방향 외측으로 더 돌출되어 형성되고, 이를 통해 기밀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제 2-2 아우터바디(324)는 상기 제 4 삽입면(142)에 밀착되어 상호 걸림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아우터케이스(10)와의 결합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2-2 아우터바디(324)의 정단면은 호 형상일 수 있다.
탑뷰로 볼 때, 상기 제 2-2 아우터바디(324)는 링형상일 수 있다.
상기 제 3 아우터바디(330)는 상기 제 2 아우터바디(320) 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고, 상기 이너플러그(20) 내부로 삽입된다.
상기 제 3 아우터바디(330)의 반경방향 외측에 상기 이너플러그(20)의 끼움부(220)가 배치된다.
상기 제 3 아우터바디(330)는 상기 끼움부(220)를 상기 아우터바디(110)의 제 2 삽입면(132)으로 가압하고, 상기 끼움부(220)는 탄성 압축하여 기밀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제 3 아우터바디(330) 및 끼움부(220)의 두께의 합이 상기 제 2 아우터바디(320)의 두께와 같거나 약간 클 수 있다.
상기 제 3 아우터바디(330)의 외측면(331)은 끼움부(220)의 내측면(221)에 밀착되고, 상기 제 3 아우터바디(330)의 높이는 상기 내측면(221)의 높이와 같거나 작을 수 있다.
한편, 상기 아우터플러그(30)는 상기 제 3 아우터바디(330)에서 내측으로 오목하게 함몰된 아우터저장공간(335)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아우터저장공간(335)은 상기 제 3 아우터바디(330)의 상단에서 상기 제 2 아우터바디(320)까지 연장되어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아우터저장공간(335)은 상기 아우터플러그(30)에서 상측으로 개구되어 형성된다. 상기 아우터저장공간(335)은 상기 이너저장공간(25)과 연통될 수 있다.
상기 아우터플러그(30)가 상기 제 2 이너저장공간(25b)을 일부 점유하지만, 상기 아우터저장공간(335)을 통해 상기 제 2 이너저장공간(25b)의 점유를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아우터저장공간(335)은 상기 제 1 이너저장공간(25a)과 연통되고, 상기 제 1 이너저장공간(25a)의 하측에 배치된다. 상기 아우터저장공간(335) 및 제 1 이너저장공간(25a)에 상기 제 2 대상물(102)이 저장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아우터바디(110)에 일체로 제작된 상기 캡(120)을 부러트려 제 1 대상물(101)을 상측개구면(12)을 통해 외부로 인출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상기 아우터바디(110)에 결합된 상기 아우터플러그(30)를 분리하여 제 2 대상물(102)을 하측개구면(11)을 통해 외부로 인출할 수 있다.
상기 제 1 대상물(101) 및 제 2 대상물(102)은 상기 앰플(1) 내부에 저장되지만, 이너플러그(20)를 통해 구획되어 저장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제 1 대상물(101) 및 제 2 대상물(102)이 섞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앰플용기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의 정단면도이고, 도 11은 도 9의 결합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앰플은 상기 제 1 실시예와 달리 이너플러그(20)가 아우터바디(110)에 걸림고정되어 상기 이너플러그(20)가 의도치 않게 아우터바디(110)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앰플은, 제 1 실시예의 융기부(225) 대신 걸림돌기(226)가 배치되고, 상기 아우터바디(110)에는 상기 걸림돌기(226)와 상호 걸림을 형성하는 걸림홈(116)이 형성된다.
상기 걸림돌기(226)는 상기 끼움부(220)의 외측면(224) 둘레를 따라 링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걸림돌기(226)가 상기 외측면(224) 중 일부에만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다만 이 경우 상기 걸림돌기(226) 및 걸림홈(116)의 위치를 일치시키기 위한 위치 정렬구조가 추가적으로 배치되어야 한다.
상기 걸림돌기(226)는 후크 형상일 수 있다. 상기 걸림돌기(226)는 상기 이너플러그(20)의 삽입방향에 대해서는 미끄럼 마찰되고, 삽입 반대방향에 대해서는 상호 걸림을 형성한다.
상기 걸림돌기(226)는, 상기 축중심(C)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되고, 상단이 상기 축중심(C)에 가깝게 배치되며 하단이 상기 축중심(C)에 멀게 배치된 경사면(226a)과, 상기 걸림경사면(226a)의 하단에서 끼움부(220)의 외측면(224)에 연결된 걸림면(226b)를 포함한다.
상기 경사면(226a) 및 걸림면(226b)은 소정의 사이각을 형성하고, 상기 사이각은 30도 내지 70도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림면(226b)이 상기 걸림홈(116)의 하단이 지지되어 상기 이너플러그(20)가 삽입 반대방향(아우터플러그의 분리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걸림돌기(226) 및 걸림홈(116)을 통해 상기 아우터플러그(30)가 분리될 때, 상기 이너플러그(20)가 의도치 않게 아우터바디(110)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아우터플러그(30)는 제 1 아우터바디(310)에 핸들(340)이 더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핸들(340)은 상기 제 1 아우터바디(310)에 힌지결합되어 회전될 수 있다.
상기 핸들(340)은 상기 제 1 아우터바디(310)의 저면에 형성된 홈(315)에 수납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상기 핸들(340)이 상기 제 1 아우터바디(310)의 저면에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핸들(340)을 전개시킨 후, 상기 핸들(340)을 당겨서 상기 아우터플러그(30)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이하 나머지 구성은 상기 제 1 실시예와 유사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앰플용기가 도시된 분해 단면도이고, 도 13은 도 12의 결합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앰플용기는 상기 제 1 실시예와 달리 이너플러그(20) 및 아우터플러그(30)에 대상물의 누설을 억제하기 위한 구조가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이너플러그(20)의 이너플러그바디(210)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유동방지돌기(230)가 형성되고, 상기 아우터바디(110)의 내측면(112)에는 상기 유동방지돌기(230)가 삽입되는 유동방지홈(114)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유동방지돌기(230)는 상기 측벽(211) 및 상측벽(212)의 경계인 모서리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측벽(211)에 상기 유동방지돌기(230)가 배치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유동방지돌기(230)는 상기 제 1 스토퍼(113)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유동방지홈(114)가 상기 제 1 스토퍼(113)의 하측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스토퍼(113)의 돌출방향과 상기 유동방지돌기(230)의 돌출방향이 반대이기 때문에, 제 1 스토퍼(113) 및 유동방지돌기(230)가 엇갈리게 배치되고, 이를 통해 중력방향으로 유동되려는 제 1 대상물(101)의 유동을 보다 적극적으로 제한할 수 있다.
탑뷰로 볼 때, 상기 유동방지돌기(230)는 링형태로 배치되고, 상기 외측면(211b)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상향 경사지게 돌출된다.
상기 유동방지돌기(230)가 상향 경사지게 배치되기 때문에, 중력방향으로 유동되려고하는 제 1 저장공간(16)의 제 1 대상물이 상기 상측벽(212)에 모일 수 있다.
상기 유동방지돌기(230)가 상향 경사지게 배치되기 때문에, 상기 이너플러그(20)의 삽입과정에서 상기 유동방지돌기(230) 및 유동방지홈(114)이 용이하게 끼움결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아우터플러그(30)에도 유동방지돌기(350)가 더 형성될 수 있다.
구분을 위해 상기 이너플러그에 배치된 유동방지돌기를 제 1 유동방지돌기(230)라 하고, 아우터플러그에 배치된 유동방지돌기를 제 2 유동방지돌기(350)라 정의한다. 구분을 위해 상기 유동방지홈(114)을 제 1 유동방지홈(114)이라 정의할 수 있다.
상기 제 2 유동방지돌기(350)는 아우터플러그(30)의 외측면(331)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상향 경사지게 돌출된다.
상기 이너플러그(20)의 내측면(221)에는 제 2 유동방지돌기(350)가 삽입되어 끼움결합되는 제 2 유동방지홈(235)이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나머지 구성은 상기 제 1 실시예와 유사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아우터케이스 20 : 이너플러그
30 : 아우터플러그 15 : 저장공간
16 : 제 1 저장공간 17 : 제 2 저장공간
25 : 이너저장공간 25a : 제 1 이너저장공간
25b : 제 2 이너저장공간 110 : 아우터바디
120 : 캡 130 : 제 1 삽입부
140 : 제 2 삽입부 210 : 이너플러그바디
220 : 끼움부 310 : 제 1 아우터바디
320 : 제 2 아우터바디 330 : 제 3 아우터바디

Claims (5)

  1. 내부에 저장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저장공간에 연통되어 상측에 배치된 상측개구면 및 상기 저장공간과 연통되어 하측에 배치된 하측개구면을 포함하는 아우터바디;
    상기 아우터바디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아우터바디에서 분리되어 상기 상측개구면을 개방시키는 캡;
    상기 아우터바디에 조립되어 상기 하측개구면을 폐쇄시키는 아우터플러그;
    상기 아우터바디 내부로 삽입되어 배치되는 이너플러그;를 포함하고,
    상기 저장공간은 상기 이너플러그에 의해 구획되고 상기 이너플러그의 상측에 배치되는 제 1 저장공간(16)과, 상기 이너플러그에 의해 구획되고 상기 이너플러그의 하측에 배치되는 제 2 저장공간(17)을 포함하고,
    상기 이너플러그는, 상기 제 2 저장공간(17)을 일부 점유하는 이너저장공간(25)을 더 포함하고, 상기 이너저장공간(25)이 상기 하측개구면(11)과 연통된 앰플용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너플러그는 상기 아우터플러그에 의해 지지되는 앰플용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바디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이너플러그를 지지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앰플용기.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플러그는,
    상기 이너플러그 내부로 삽입되고, 상기 이너플러그와 결합되는 제 3 아우터바디;를 더 포함하는 앰플용기.
KR1020210050225A 2021-04-19 2021-04-19 앰플 용기 KR1023457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0225A KR102345718B1 (ko) 2021-04-19 2021-04-19 앰플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0225A KR102345718B1 (ko) 2021-04-19 2021-04-19 앰플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5718B1 true KR102345718B1 (ko) 2021-12-31

Family

ID=791775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0225A KR102345718B1 (ko) 2021-04-19 2021-04-19 앰플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5718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27774A (ja) * 1998-02-09 1999-08-24 Shiseido Co Ltd 二種混合容器
KR20070083731A (ko) * 2004-11-08 2007-08-24 베른트 한센 용기, 특히 앰플
KR200461736Y1 (ko) 2012-01-19 2012-08-03 임성준 화장품 보관용 앰플
KR102042978B1 (ko) 2019-05-16 2019-11-11 이기수 사출식 비융착 결합구조의 안전 앰플 용기
KR20200121418A (ko) * 2019-04-15 2020-10-26 주식회사 삼화 앰플
KR20210000217U (ko) 2019-07-19 2021-01-27 전은숙 이액 분리 저장이 가능한 앰플용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27774A (ja) * 1998-02-09 1999-08-24 Shiseido Co Ltd 二種混合容器
KR20070083731A (ko) * 2004-11-08 2007-08-24 베른트 한센 용기, 특히 앰플
KR200461736Y1 (ko) 2012-01-19 2012-08-03 임성준 화장품 보관용 앰플
KR20200121418A (ko) * 2019-04-15 2020-10-26 주식회사 삼화 앰플
KR102042978B1 (ko) 2019-05-16 2019-11-11 이기수 사출식 비융착 결합구조의 안전 앰플 용기
KR20210000217U (ko) 2019-07-19 2021-01-27 전은숙 이액 분리 저장이 가능한 앰플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02743C2 (ru) Устройство соединения емкости с резервуаром, способ сборки и использования такого устройства
ES2252828T3 (es) Elemento penetrador para conjunto de tapa para recipiente y procedimiento para su fabricacion.
CN104507820B (zh) 具有用无针注射器可刺入的和可自动重新密封的气密外壳的用于医药和/或营养活性物质的瓶子
US4484916A (en) Medical solution container and port construction
US20080015496A1 (en) Safety Device for a Bottle for Medical Use
RU2692064C2 (ru) Контейнер
CN101677906A (zh) 多次剂量瓶装置和用于其的适配器
CA2109606A1 (en) A sealing cap with a one way valve
KR102119835B1 (ko) 혈액 성분 원심분리 장치
US20190021949A1 (en) Primary Packaging for Storage and Administration of Medical and Pharmaceutical Compounds
JP2020534926A (ja) 容器並びに結合及び形成方法
KR102345718B1 (ko) 앰플 용기
CN112208928A (zh) 用于包括颈部的容器的可破裂锁定盖
US4569456A (en) Sealed container with replaceable plug insert
US5379907A (en) Stopper for medication container
EP3498126A1 (en) Ampoule for storing cosmetic liquid
EP1170219B1 (en) Method of making a cylindrical vial with conical bottom
CN210116810U (zh) 一种锁定结构、及具有其的瓶盖和瓶组合结构
KR102083549B1 (ko) 약물을 수용하여 밀봉되는 용기
KR102042978B1 (ko) 사출식 비융착 결합구조의 안전 앰플 용기
US5535794A (en) Water bottle closure
US20040004053A1 (en) Closure for specimen collection containers
GB2050320A (en) Closure for container
CN209951787U (zh) 一种隔热密封药瓶
KR102620222B1 (ko) 리필이 용이한 내용물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