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3549B1 - 약물을 수용하여 밀봉되는 용기 - Google Patents

약물을 수용하여 밀봉되는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3549B1
KR102083549B1 KR1020190030860A KR20190030860A KR102083549B1 KR 102083549 B1 KR102083549 B1 KR 102083549B1 KR 1020190030860 A KR1020190030860 A KR 1020190030860A KR 20190030860 A KR20190030860 A KR 20190030860A KR 102083549 B1 KR102083549 B1 KR 1020835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drug
container body
sealed
st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08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83549B9 (ko
Inventor
안철수
박상욱
Original Assignee
조아제약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아제약주식회사 filed Critical 조아제약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308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354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35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3549B1/ko
Priority to PE2021001234A priority patent/PE20211519A1/es
Priority to CN202080008713.6A priority patent/CN113316445A/zh
Priority to EP20774719.7A priority patent/EP3957293B1/en
Priority to PCT/KR2020/003216 priority patent/WO2020189934A1/ko
Priority to US17/427,562 priority patent/US20220133591A1/en
Priority to MYPI2021004162A priority patent/MY196972A/en
Priority to JP2021541232A priority patent/JP7301979B2/ja
Publication of KR102083549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3549B9/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1412Containers with closing means, e.g. ca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05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for collecting, storing or administering blood, plasma or medical fluids ; Infusion or perfusion containers
    • A61J1/06Ampoules or carpules
    • A61J1/067Flexible ampoules, the contents of which are expelled by squeez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05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for collecting, storing or administering blood, plasma or medical fluids ; Infusion or perfusion containers
    • A61J1/06Ampoules or carpu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1412Containers with closing means, e.g. caps
    • A61J1/1418Threaded ty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1475Inlet or outlet por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20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or mixing fluids, e.g. from vial to syringe
    • A61J1/2003Accessories used in combination with means for transfer or mixing of fluids, e.g. for activating fluid flow, separating fluids, filtering fluid or ve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22/00Producing hollow articles
    • B29D22/003Containers for packaging, storing or transporting, e.g. bottles, jars, cans, barrels,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2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65D1/0223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characterised by shape
    • B65D1/023Neck construction
    • B65D1/0238Integral frangible clos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9Ampou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3/00Sealing or packing elements; Sealings formed by liquid or plastics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51/00Details relating to container closures
    • B65D2251/20Sealing mea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19/00Other methods of shaping glass
    • C03B19/02Other methods of shaping glass by casting molten glass, e.g. injection moulding
    • C03B19/025Other methods of shaping glass by casting molten glass, e.g. injection moulding by injection moulding, e.g. extrus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matology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약물을 수용하여 밀봉되는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약물을 주입하기 위하여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충전홈을 구비하는 용기 마개부; 상기 용기 마개부가 삽입되어 밀봉되는 개구부를 갖는 용기 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충전홈은 상기 용기 마개부의 외부 벽면에 삽입되는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용기 마개부의 외부 벽면과 상기 용기 몸체부의 내부 벽면 사이에 약물을 주입할 수 있는 통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약물을 수용하여 밀봉되는 용기{Vial to be sealed and filled with liquid}
본 발명은 약물을 수용하여 밀봉되는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충전홈이 구비되는 용기 마개부를 통하여 약물을 용기에 충전함으로써 충전 시간을 저감하고 만곡부를 구비하여 보관시에는 머리부가 용기 몸체부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고 사용시에는 머리부가 용기 몸체부로부터 쉽게 분리될 수 있는 약물을 수용하여 밀봉되는 용기에 관한 것이다.
앰플 또는 바이알은 유리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는 용기로서, 유리 재질로 형성되는 앰플의 경우 약물을 용기에 충전 후 용기 입구를 녹여 밀봉하는 용봉 과정을 거치게 되므로 사용시에 앰플의 머리 부분을 절단할 때 유리 파편이 많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정해진 방법에 따라 절단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이러한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는 앰플 또는 바이알은 유리 파편이 발생하는 문제점은 발생하지 않지만,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는 용기는 유리 재질로 형성되는 앰플에 비하여 약물 충전 및 밀봉 과정에서 생산성이 낮아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미국 특허공보 US 8,640,899 B2는 미리 정해진 양의 약물을 수용하는 바이알에 관한 것으로, 마개부의 옆면에 홀을 구비하여 약물을 충전하고 충전후에는 마개부의 옆면이 몸체부 내부로 압입되어 안착부까지 밀려 들어가게 되며, 마개부의 꼭지부와 상기 안착부 사이에 절단부가 형성되고 있으나, 상기 마개부의 옆면에 형성되는 홀은 약물 충전시 약물이 다시 흘러나오지 않도록 소정의 크기보다 작아야 하므로 약물 충전 시간을 저감하기 위하여 홀의 크기를 더 크게 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마개부의 꼭지부와 상기 안착부 사이에 형성되는 절단부는 바이알의 길이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에 의하여 파손될 우려가 있어 약물 충전 후 마개부와 몸체부의 압입시 주의가 필요하고, 포장되어 옮기는 과정에서도 파손될 위험이 크다는 문제점이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04-0005112호는 플라스틱 앰플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1차접합부를 제거한 후 약액주입구를 통해 내용물을 충전하고 열융착이 이루어지고 있는바, 내용물을 충전하기 위하여 1차접합부를 제거해야 하고 내용물을 충전한 후에 열융착이 이루어지기 전에는 밀봉이 불가능하므로 내용물을 충전하는데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열융착이 이루어지기 전에 오염 방지가 어려워 생산성이 낮아질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07-0044658호는 앰플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주입에 미리 형성되는 별도의 절개라인을 절개하여 주입부를 개통한 후 주사액을 주입하고 상기 주입구의 상단을 금형에 의해 밀봉하고 있는바, 내용물을 충전하기 위하여 절개라인을 절개하여 주입구를 개통해야 하고 내용물을 충전한 후에는 주입구를 밀봉하기 위하여 금형이 필요하므로, 내용물을 충전하고 주입구를 밀봉하는데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생산성이 낮아질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47881호는 주사용 안전앰플에 관한 것으로서, 유리재질의 앰플은 내부 압력이 외기보다 낮기 때문에 절단부를 부러뜨릴 때 발생하는 유리파편이 몸체부 내부로 유입되어 약액 속에 떨어지지 않도록 절단부 외주면에 보호수단을 구비하고 있으나, 유리재질은 쉽게 파손될 수 있다는 점에서 여전히 생산시 또는 사용시에 다루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미국 특허공보 US 8,640,899 B2 공개특허공보 제10-2004-0005112호 공개특허공보 제10-2007-0044658호 (등록실안신안문헌 4)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47881호
본 발명은 충전홈이 구비되는 용기 마개부를 통하여 약물을 용기에 충전함으로써 충전 시간을 저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만곡부를 구비하여 보관시 또는 운반시에 머리부가 용기 몸체부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고 사용시에는 머리부가 용기 몸체부로부터 쉽게 분리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기 목적으로만 제한하지 아니하고, 위에서 명시적으로 나타내지 아니한 다른 기술적 과제는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통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하의 구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약물을 수용하여 밀봉되는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약물을 주입하기 위하여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충전홈을 구비하는 용기 마개부; 상기 용기 마개부가 삽입되어 밀봉되는 개구부를 갖는 용기 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충전홈은 상기 용기 마개부의 외부 벽면에 삽입되는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용기 마개부의 외부 벽면과 상기 용기 몸체부의 내부 벽면 사이에 약물을 주입할 수 있는 통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충전홈은 상기 용기 마개부의 외부 벽면에 삽입되는 길이 방향으로 반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용기 몸체부의 개구부가 형성되는 반대측에 절개부를 통하여 연결되는 머리부를 구비하고, 상기 머리부는 상기 절개부에서 상기 용기 몸체부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머리부가 연결되는 절개부는 상기 용기 몸체부로부터 직경이 점차 작아지도록 형성되는 만곡부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용기 마개부는 상기 용기 몸체부의 개구부 내부로 삽입되는 제 1 안착부와 제 2 안착부를 구비하고, 제 1 안착부의 외부 직경은 제 2 안착부의 외부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용기 마개부의 제 1 안착부와 제 2 안착부 사이 외부 벽면에 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용기 몸체부의 내부 벽면에 돌기부가 형성되어 상기 용기 마개부가 상기 용기 몸체부의 개구부 내부로 삽입될 때, 상기 용기 마개부의 제 1 안착부의 끝단이 상기 돌기부에 걸려서 맞닿으면 약물을 주입할 수 있는 상태가 되고, 상기 용기 마개부가 상기 용기 몸체부의 개구부 내부로 압입되어 상기 용기 마개부의 제 1 안착부의 끝단이 상기 돌기부를 지나쳐 제 1 안착부와 제 2 안착부의 사이에 형성된 홈부에 상기 돌기부가 안착되면 상기 용기 마개부가 상기 용기 몸체부의 개구부를 밀봉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약물을 수용하여 밀봉되는 용기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약물을 수용하여 밀봉되는 용기를 사출 성형으로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약물을 수용하여 밀봉되는 용기의 제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약물을 수용하여 밀봉되는 용기를 사출 성형으로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효과는 충전홈이 구비되는 용기 마개부를 통하여 약물을 용기에 충전함으로써 충전 시간을 저감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효과는, 만곡부를 구비하여 보관시 또는 운반시에 머리부가 용기 몸체부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고 사용시에는 머리부가 용기 몸체부로부터 쉽게 분리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효과는 상기 효과로만 제한하지 아니하고, 위에서 명시적으로 나타내지 아니한 다른 효과는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통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약물을 수용하여 밀봉되는 용기의 측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약물을 수용하여 밀봉되는 용기에 약물을 충전하기 위한 모습을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약물을 수용하여 밀봉되는 용기의 용기 마개부의 확대된 모습을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약물을 수용하여 밀봉되는 용기의 머리부의 확대된 모습을 도시한다.
도 5a, 도 5b, 도 5c는 본 발명의 약물을 수용하여 밀봉되는 용기의 용기 마개부의 상면도, 측면도, 하면도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약물을 수용하여 밀봉되는 용기의 용기 마개부의 구체적인 치수를 도시한다.
도 7a, 도 7b, 도 7c는 본 발명의 약물을 수용하여 밀봉되는 용기의 용기 마개부의 위치에 따라 약물을 충전하고 밀봉되는 과정을 도시한다.
도 8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용기 마개부의 모양에 따른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체적인 구성 및 작용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이러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제한하지는 아니하고, 실시예에서 명시적으로 나타내지 아니한 다른 구성 및 작용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쉽게 이해할 수 있는 경우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일반적으로 앰플 또는 바이알은 유리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는 용기로서, 유리 재질로 형성되는 앰플의 경우 약물을 용기에 충전 후 용기 입구를 녹여 밀봉하는 용봉 과정을 거치게 되어 생산성을 높일 수 있으나, 용기 몸체부 또는 용기 마개부가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는 경우 유리 재질로 형성되는 앰플에 비하여 약물 충전 및 밀봉 과정에서 생산성을 높이기 위한 방안이 필요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약물을 수용하여 밀봉되는 용기의 측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약물을 수용하여 밀봉되는 용기는 용기 마개부(100)와 용기 몸체부(200)를 구비하고, 용기 몸체부(200)에는 용기 몸체부(200) 내부에 돌기부(202)가 형성되고, 만곡부(203)를 형성되어 절개부(204)를 통하여 머리부(205)가 형성되며, 용기 마개부(100)가 용기 몸체부(200)를 밀봉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약물을 수용하여 밀봉되는 용기에 약물을 충전하기 위한 모습을 도시하고, 도 3은 본 발명의 약물을 수용하여 밀봉되는 용기의 용기 마개부의 확대된 모습을 도시하며, 도 4는 본 발명의 약물을 수용하여 밀봉되는 용기의 머리부의 확대된 모습을 도시한다.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약물을 수용할 수 있도록 용기 마개부(100)가 용기 몸체부(200)를 밀봉하는 상태로서, 용기 마개부(100)가 용기 몸체부(200)의 개구부(201)에 삽입된 형태이다.
용기 마개부(100)의 외벽에 형성된 충전홈(101)은 용기 마개부(100)가 용기 몸체부(200)의 개구부(201)에 삽입된 상태에서도 외부에서 용기 몸체부(200)의 내부로 약물이 들어갈 수 있는 통로를 형성하고 있으며, 용기 몸체부(200)에 정해진 양의 약물이 충전이 되면 용기 마개부(100)가 용기 몸체부(200) 내부로 더 밀려 들어가 덮개부(104)가 개구부(201)와 맞닿도록 압입된다.
도 2와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용기 몸체부(200) 내에 충전된 약물을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머리부(205)를 용기 몸체부(200)로부터 분리하여 약물이 용기 몸체부(200)로부터 흘러나올 수 있도록 한다.
머리부(205)를 용기 몸체부(200)로부터 분리하기 위하여 다른 특별한 도구를 사용할 필요 없이 사용자의 손가락 힘만으로도 분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절개부(204)를 머리부(205)와 용기 몸체부(200) 사이에 형성하게 된다.
한편, 절개부(204)를 형성함으로써 머리부(205)가 용기 몸체부(200)로부터 쉽게 분리될 수 있지만, 이러한 구조로 인하여 본 발명의 용기를 보관하거나 운반시 절개부(204)가 파손되어 약물이 흘러나올 수 있다.
이러한 파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용기 몸체부(200)와 절개부(204) 사이에 만곡부(203)를 형성하면, 용기 몸체부(200)의 수직 상방으로부터 가해지는 힘에 대한 저항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약물을 수용하여 밀봉되는 용기는 대량으로 박스에 포장되고, 이러한 박스는 또다시 대량으로 보관 또는 운반될 수 있는데, 보관시 또는 운반시에 박스가 여러층으로 쌓이는 경우가 발생하며, 이 때 용기 몸체부(200)의 수직 상방으로부터 가해지는 힘이 어느 정도 커지면 절개부(204)가 파손되어 약물이 흘러나올 수 있다.
결국 용기 몸체부(200)와 절개부(204) 사이에 만곡부(203)를 형성하면, 용기 몸체부(200)의 수직 상방으로부터 가해지는 힘에 대한 저항을 높일 수 있는 반면, 사용자가 용기 몸체부(200) 내에 충전된 약물을 사용하기 위하여 용기 몸체부(200)의 직경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경우에는 여전히 머리부(205)를 용기 몸체부(200)로부터 쉽게 분리할 수 있게 된다.
도 5a, 도 5b, 도 5c는 본 발명의 약물을 수용하여 밀봉되는 용기의 용기 마개부의 상면도, 측면도, 하면도를 도시하고, 도 6은 본 발명의 약물을 수용하여 밀봉되는 용기의 용기 마개부의 구체적인 치수를 도시한다.
도 5a, 도 5b, 도 5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용기 마개부(100)는 용기 몸체부(200) 내부로 밀려 들어가는 제 1 안착부(102)와 제 2 안착부(103)가 형성되고, 용기 마개부(100)가 용기 몸체부(200)를 밀봉하여 덮개부(104)가 개구부(201)와 맞닿아 압입될 수 있도록 덮개부(104)의 직경이 제 2 안착부(103)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또한 용기 마개부(100)의 외부 벽면에는 충전홈(101)이 형성되는데, 도 5a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반원형으로 5개의 충전홈(101)이 형성되며, 5b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제 1 안착부(102)와 제 2 안착부(103)에 형성되고 있다. 상기 충전홈(101)은 용기 마개부(100)의 외부 벽면에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으며, 약물 충전시에 충전속도를 크게 높일 수 있어 생산성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고, 사출 성형에 의하여 용기 마개부(100)를 제조하는 경우에 금형이 단순해질 수 있어 제조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또한 반원형으로 형성되는 충전홈(101)의 단면적은 소정의 크기보다 커지면 약물을 진공충전 방식으로 충전한 후에 약물이 용기 안에 머물지 못하고 용기 밖으로 다시 흘러나올 수 있는바, 이후의 밀봉 과정이 이루어지기 어렵게 된다.
결국 충전홈(101)의 단면적은 소정의 크기보다 작아야 하고, 충전홈(101)의 단면적이 작아짐에 따라 약물 충전시에 충전속도가 낮아질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용기 마개부(100)의 외부 벽면에 충전홈(101)을 복수개 형성할 수 있는바, 복수개의 충전홈(101) 모두에 의한 충전속도는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제 1 안착부(102)와 제 2 안착부(103) 사이에는 홈부(105)가 형성되는데, 홈부(105)는 용기 몸체부(200) 내벽에 형성되는 돌기부(202)가 안착되는 구성이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7에 대한 설명에서 함께 하도록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용기 마개부(100)는 상기 용기 몸체부(200)의 개구부 내부로 삽입되는 제 1 안착부(102)와 제 2 안착부(103)를 구비하고, 제 1 안착부(102)의 외부 직경(d1)은 제 2 안착부(103)의 외부 직경(d2)보다 작게 형성되도록 한다.
도 7a, 도 7b, 도 7c는 본 발명의 약물을 수용하여 밀봉되는 용기의 용기 마개부의 위치에 따라 약물을 충전하고 밀봉되는 과정을 도시한다.
도 7a, 도 7b, 도 7c를 참조하면, 도 7a는 용기 마개부(100)와 용기 몸체부(200)가 분리된 상태이고, 도 7b는 약물을 충전하는 단계에 용기 마개부(100)와 용기 몸체부(200)가 결합된 상태로서 제 1 안착부(102)가 용기 몸체부(200)의 개구부(201)를 통하여 용기 몸체부(200) 내부로 삽입되어 용기 몸체부(200)의 내벽에 형성된 돌기부(202)에 제 1 안착부(102)의 끝단이 맞닿게 되며 제 2 안착부(103)의 끝단이 용기 몸체부(200)의 개구부(201)에 위치하게 된다.
도 7b에 도시된 약물을 충전하는 단계에서 진공 충전 방식으로 약물을 충전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충전이 완료된 후에는,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 마개부(100)의 제 2 안착부(103)가 용기 몸체부(200)의 개구부(201)를 통하여 용기 몸체부(200) 내부로 압입되면서 제 1 안착부(102)는 돌기부(202)를 지나쳐 용기 몸체부(200) 내부로 더 들어가고, 용기 몸체부(200)의 내벽에 형성된 돌기부(202)가 용기 마개부(100)의 제 1 안착부(102)와 제 2 안착부(103) 사이에 형성된 홈부(105)에 안착되게 된다.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 마개부(100)가 용기 몸체부(200)에 완전히 압입된 이후에는, 융착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용기의 외부 세척과 후살균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용기 마개부(100)와 용기 몸체부(200)는 사출 성형으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그 단면은 타원형 또는 트랙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약물을 충전하고 세척하는 공정에서 복수의 용기를 효과적으로 정렬하고 다루기 위해서는 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용기 마개부의 모양에 따른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머리부(205)의 형상을 다양하게 성형하여 사용자가 머리부(205)를 용기 몸체부(200)로부터 쉽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하며, 머리부(205)를 용기 몸체부(200)로부터 쉽게 분리하는 방법을 표시하거나 시각적 아름다움을 나타낼 수 있는 내용을 표시할 수도 있다.
100: 용기 마개부
101: 충전홈
102: 제 1 안착부
103: 제 2 안착부
104: 덮개부
105: 홈부
200: 용기 몸체부
201: 개구부
202: 돌기부
203: 만곡부
204: 절개부
205: 머리부

Claims (8)

  1. 약물을 수용하여 밀봉되는 용기에 있어서,
    약물을 주입하기 위하여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충전홈을 구비하는 용기 마개부;
    상기 용기 마개부가 삽입되어 밀봉되는 개구부를 갖는 용기 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충전홈은 상기 용기 마개부의 외부 벽면에 삽입되는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용기 마개부의 외부 벽면과 상기 용기 몸체부의 내부 벽면 사이에 약물을 주입할 수 있는 통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을 수용하여 밀봉되는 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홈은 상기 용기 마개부의 외부 벽면에 삽입되는 길이 방향으로 반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을 수용하여 밀봉되는 용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몸체부의 개구부가 형성되는 반대측에 절개부를 통하여 연결되는 머리부를 구비하고, 상기 머리부는 상기 절개부에서 상기 용기 몸체부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을 수용하여 밀봉되는 용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머리부가 연결되는 절개부는 상기 용기 몸체부로부터 직경이 점차 작아지도록 형성되는 만곡부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을 수용하여 밀봉되는 용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마개부는 상기 용기 몸체부의 개구부 내부로 삽입되는 제 1 안착부와 제 2 안착부를 구비하고, 제 1 안착부의 외부 직경은 제 2 안착부의 외부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을 수용하여 밀봉되는 용기.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마개부의 제 1 안착부와 제 2 안착부 사이 외부 벽면에 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용기 몸체부의 내부 벽면에 돌기부가 형성되어 상기 용기 마개부가 상기 용기 몸체부의 개구부 내부로 삽입될 때, 상기 용기 마개부의 제 1 안착부의 끝단이 상기 돌기부에 걸려서 맞닿으면 약물을 주입할 수 있는 상태가 되고,
    상기 용기 마개부가 상기 용기 몸체부의 개구부 내부로 압입되어 상기 용기 마개부의 제 1 안착부의 끝단이 상기 돌기부를 지나쳐 제 1 안착부와 제 2 안착부의 사이에 형성된 홈부에 상기 돌기부가 안착되면 상기 용기 마개부가 상기 용기 몸체부의 개구부를 밀봉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을 수용하여 밀봉되는 용기.

  7. 제 1 항 내지 제 6 중 어느 한 항의 약물을 수용하여 밀봉되는 용기를 사출 성형으로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을 수용하여 밀봉되는 용기의 제조 방법.

  8. 삭제
KR1020190030860A 2019-03-19 2019-03-19 약물을 수용하여 밀봉되는 용기 KR1020835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0860A KR102083549B1 (ko) 2019-03-19 2019-03-19 약물을 수용하여 밀봉되는 용기
PE2021001234A PE20211519A1 (es) 2019-03-19 2020-03-08 Recipiente que aloja farmaco y se sella
CN202080008713.6A CN113316445A (zh) 2019-03-19 2020-03-08 收容药物并密封的容器
EP20774719.7A EP3957293B1 (en) 2019-03-19 2020-03-08 Container which accommodates drug and is sealed
PCT/KR2020/003216 WO2020189934A1 (ko) 2019-03-19 2020-03-08 약물을 수용하여 밀봉되는 용기
US17/427,562 US20220133591A1 (en) 2019-03-19 2020-03-08 Container which accommodates drug and is sealed
MYPI2021004162A MY196972A (en) 2019-03-19 2020-03-08 Vial to be sealed and filled with liquid
JP2021541232A JP7301979B2 (ja) 2019-03-19 2020-03-08 薬物を収容して密封される容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0860A KR102083549B1 (ko) 2019-03-19 2019-03-19 약물을 수용하여 밀봉되는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3549B1 true KR102083549B1 (ko) 2020-03-02
KR102083549B9 KR102083549B9 (ko) 2021-07-14

Family

ID=698052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0860A KR102083549B1 (ko) 2019-03-19 2019-03-19 약물을 수용하여 밀봉되는 용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220133591A1 (ko)
EP (1) EP3957293B1 (ko)
JP (1) JP7301979B2 (ko)
KR (1) KR102083549B1 (ko)
CN (1) CN113316445A (ko)
MY (1) MY196972A (ko)
PE (1) PE20211519A1 (ko)
WO (1) WO202018993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21127435A1 (de) * 2021-10-21 2023-04-27 Vetter Pharma-Fertigung GmbH & Co. KG Verschluss für einen medizinischen Hohlkörper, medizinischer Hohlkörper mit einem solchen Verschluss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solchen Verschlusses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75672A (ja) * 1993-06-16 1995-03-20 Kyowa Shinku Gijutsu Kk 薬品容器兼注射器における注射筒本体
JPH0928797A (ja) * 1995-07-19 1997-02-04 Daikyo Seiko:Kk 注射器兼容器
JP3117900B2 (ja) * 1995-06-20 2000-12-18 株式会社大協精工 注射器兼容器
KR20040005112A (ko) 2002-07-08 2004-01-16 주식회사 중외 플라스틱 앰플의 제조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플라스틱앰플의 제조방법
KR20070044658A (ko) 2005-10-25 2007-04-30 박종현 앰플 및 그 제조방법
KR200447881Y1 (ko) 2009-04-08 2010-03-02 대한민국 주사용 안전앰플
US8640899B2 (en) 2006-12-13 2014-02-04 Eskiss Packaging Vial for receiving a predefined dose of a liquid
KR101521215B1 (ko) * 2012-08-14 2015-05-18 이상운 사출 성형된 플라스틱 앰플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55951A (ja) * 1997-12-01 1999-06-15 Kaken Pharmaceut Co Ltd 減圧シリンジ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1190689A (ja) * 2000-01-14 2001-07-17 Daiichi Radioisotope Labs Ltd 薬液投与用流路切り替えバルブ、薬液封入体及び薬液投与用カートリッジ体
WO2003039632A2 (en) * 2001-11-02 2003-05-15 Meridian Medical Technologies, Inc. A medicament container, a medicament dispensing kit for administering medication and a method for packaging the same
JP4499076B2 (ja) * 2006-06-01 2010-07-07 東海興業株式会社 液体容器の注入接続具及び注入口構造
KR200459145Y1 (ko) * 2009-04-07 2012-03-21 유한회사 신신프락콘 안전마개가 부착된 주사기형 약품용기
US9220660B2 (en) * 2011-07-15 2015-12-29 Antares Pharma, Inc. Liquid-transfer adapter beveled spike
EP2626097A1 (en) * 2012-02-09 2013-08-14 Arte Corporation Device for accomodating a freeze-dried pharmaceutical produc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 sealed vessel accomodating a freeze-dried pharmaceutical product
WO2013168244A1 (ja) * 2012-05-09 2013-11-14 大成化工株式会社 液体容器の口栓
KR20170039100A (ko) * 2014-08-04 2017-04-10 제넨테크, 인크. 의료 전달 디바이스 내의 약제를 밀봉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N104986390A (zh) * 2015-05-21 2015-10-21 成都中牧生物药业有限公司 一种操作简便式安瓶封蜡方法
CN208464613U (zh) * 2018-03-14 2019-02-05 河南省超亚医药器械有限公司 一种智能热敷蒸汽面罩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75672A (ja) * 1993-06-16 1995-03-20 Kyowa Shinku Gijutsu Kk 薬品容器兼注射器における注射筒本体
JP3117900B2 (ja) * 1995-06-20 2000-12-18 株式会社大協精工 注射器兼容器
JPH0928797A (ja) * 1995-07-19 1997-02-04 Daikyo Seiko:Kk 注射器兼容器
KR20040005112A (ko) 2002-07-08 2004-01-16 주식회사 중외 플라스틱 앰플의 제조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플라스틱앰플의 제조방법
KR20070044658A (ko) 2005-10-25 2007-04-30 박종현 앰플 및 그 제조방법
US8640899B2 (en) 2006-12-13 2014-02-04 Eskiss Packaging Vial for receiving a predefined dose of a liquid
KR200447881Y1 (ko) 2009-04-08 2010-03-02 대한민국 주사용 안전앰플
KR101521215B1 (ko) * 2012-08-14 2015-05-18 이상운 사출 성형된 플라스틱 앰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3549B9 (ko) 2021-07-14
EP3957293C0 (en) 2024-03-06
JP7301979B2 (ja) 2023-07-03
EP3957293B1 (en) 2024-03-06
EP3957293A4 (en) 2022-03-02
US20220133591A1 (en) 2022-05-05
MY196972A (en) 2023-05-16
WO2020189934A1 (ko) 2020-09-24
EP3957293A1 (en) 2022-02-23
JP2022517800A (ja) 2022-03-10
PE20211519A1 (es) 2021-08-11
CN113316445A (zh) 2021-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066570B1 (en) Molded container with raised nipple and use
US6827227B2 (en) Reclosable container particularly for fluid products
RU2385707C2 (ru) Контейнер с полой иглой
KR102083549B1 (ko) 약물을 수용하여 밀봉되는 용기
KR101521215B1 (ko) 사출 성형된 플라스틱 앰플
KR101992597B1 (ko) 저장 또는 주입용 병
CN203564541U (zh) 一种组合盖及包括该组合盖的输液容器
JP7374077B2 (ja) 薬物充填済み合成樹脂製アンプルおよびそれに使用される合成樹脂製アンプル本体
CN204863991U (zh) 组合盖和包装体
JP7293185B2 (ja) 注射剤収納用容器、注射剤入り容器、注射剤入り容器の使用方法、および、注射剤収納用容器に注射剤を収納する方法
JP6452026B2 (ja) 注射剤収納容器、注射剤入り容器、注射剤入り容器の使用方法、および、注射剤収納容器に注射剤を収納する方法
US20080011705A1 (en) Airtight Container for Storing a Product, and in Particular a Medicament, and Aseptic Process for Filling Said Container
CN203598223U (zh) 一种单塞组合盖及包括该单塞组合盖的输液容器
CN203564546U (zh) 一种组合盖及包括该组合盖的输液容器
KR101362821B1 (ko) 스파이크 삽입홀이 형성된 마개를 갖는 수액 용기
JPS6149980B2 (ko)
ES2408697T3 (es) Ampollas que contienen un líquido inyectable
KR20180003299U (ko) 액체보관용기와 결합되는 속마개를 지닌 이중마개
JP2657656B2 (ja) ブロー成形壜に対する壜内殺菌と該壜内への収納物充填方法
JP3054117B2 (ja) 医薬品分包液剤用一体射出成形容器
EP4061732A1 (fr) Bouchon à doseur incorporé
JPH08275987A (ja) 輸液バッグ用ノズル集合体、輸液バッグ及び輸液バッグの製造方法
KR100984283B1 (ko) 약액주입관이 수액 인출부에 일체로 형성된 수액백
CN201305239Y (zh) 药品组合包装
JPH06304229A (ja) 合成樹脂製輸液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