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3299U - 액체보관용기와 결합되는 속마개를 지닌 이중마개 - Google Patents

액체보관용기와 결합되는 속마개를 지닌 이중마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3299U
KR20180003299U KR2020170002389U KR20170002389U KR20180003299U KR 20180003299 U KR20180003299 U KR 20180003299U KR 2020170002389 U KR2020170002389 U KR 2020170002389U KR 20170002389 U KR20170002389 U KR 20170002389U KR 20180003299 U KR20180003299 U KR 2018000329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container
liquid storage
storage container
liq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238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건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산에스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산에스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산에스피
Priority to KR202017000238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03299U/ko
Publication of KR2018000329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3299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32Caps or cap-like covers with lines of weakness, tearing-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e.g. to facilitate formation of pouring openings
    • B65D41/3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provided with tamper elements formed in, or attached to, the closure skirt
    • B65D41/340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provided with tamper elements formed in, or attached to, the closure skirt with ratchet-and-pawl mechanism between the container and the closure skirt or the tamper element
    • B65D41/3409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provided with tamper elements formed in, or attached to, the closure skirt with ratchet-and-pawl mechanism between the container and the closure skirt or the tamper element the tamper element being integrally connected to the closure by means of bri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02Caps or cap-like covers without lines of weakness, tearing 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 B65D41/0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 B65D41/0435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with separate sealing elements
    • B65D41/046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with separate sealing elements the screw-thread or the like being formed by conforming the cap-skirt to the thread or the like formation on a container ne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32Caps or cap-like covers with lines of weakness, tearing-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e.g. to facilitate formation of pouring openings
    • B65D41/58Caps or cap-like covers combined with sto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12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removable closures
    • B65D47/122Threaded ca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위조방지기능을 가진 액체보관용기의 이중마개에 관한 것으로, 액체를 유출시키는 유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속마개와 상기 속마개의 유출구를 개폐하기 위한 겉마개로 구성되는 액체보관용기의 이중마개에 있어서,
상기 겉마개에는 내면에 용기의 외측 수나사에 나사조임 및 나사풀림이 가능하도록 나사결합되는 내부 암나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겉마개 하측에는 복수의 위조방지용 브릿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속마개의 내면에는 액체보관용기의 병구 상단 외면의 걸림턱에 체결되기 위한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겉마개를 속마개에 결합시킬 때에는 겉마개의 밀폐돌기가 속마개의 유출구에 끼워지는 형태로 결합이 되고 상기 겉마개를 속마개에서 분리할 때에는 속마개의 걸림턱이 병구 상단의 걸림턱에 걸리면서 속마개는 용기에 그대로 남아있게 되고, 겉마개는 겉마개에 형성되어 있는 래칫톱니가 용기의 래칫톱니에 걸림되어 상기한 복수의 위조방지용 브릿지가 끊어지게 하면서 용기와 겉마개가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명이다.

Description

액체보관용기와 결합되는 속마개를 지닌 이중마개{Double cap with liner cap to hold liquid storage container}
본 발명은 액체보관용기와 결합되는 속마개를 지닌 이중마개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용기에 들어있는 액상제품의 위조 여부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액상제품의 액체를 소량씩 반복해서 인출하게 되더라도 액체보관용기의 병구 주위로 액체가 누출되지 않도록 하며, 상기 병구의 주위에 이물질이 묻어있지 못하도록 하여 병구를 위생적으로 밀봉할 수 있도록 하는 액체보관용기의 캡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상제품을 보관하는 액체보관용기의 병구에는 나사식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된 마개가 사용되고 있다.
요즈음에 와서는 어린이용 감기약을 어린이들이 거부감 없이 마실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시럽 형태로 제조된 것이 많이 사용되고 있는바, 이러한 시럽 형태의 어린이 감기약은 대용량의 용기에 담아 보관하는 형태로 제조되고 있으며, 약국에서는 어린이 감기약을 구입하고자 하는 손님에게 대용량의 용기에 담겨있는 시럽 형태의 어린이 감기약을 소용량 용기에 옮겨담는 방법으로 판매하게 되는데, 이때 대용량의 용기에 담겨있는 시럽 형태의 액상감기약을 소용량 용기에 소량씩 옮겨 담을 때 대용량 용기의 병구 주위로 액상감기약이 누출되는 사례가 종종 발생하게 되어 액상감기약이 손실되는 현상이 나타나게 될 뿐 아니라 병구의 주위를 오염시키게 되는 단점이 있으며, 특히 병구 주위가 누출되는 액상감기약으로 인해 대용량 용기에 들어있는 액상감기약이 오염되는 등 비위생적이라는 것이 문제점으로 지적되어 왔다.
따라서 종래에는 도 5의 도시와 같이 액상제품을 보관하는 용기(100)의 병구(110) 안에 유출구(120)가 형성되어 있는 속마개(130)를 삽입해 넣고, 이어서 상기 병구(110) 외주에 겉마개(140)를 나사결합시키는 구조로 된 이중마개를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이중마개는 용기(100) 안에 액체를 일정량 주입한 후 병구(110) 내측에 속마개(130)를 삽입시킨 다음 상기 병구(110)의 외주에 겉마개(140)를 나사결합 시키게 되면 상기 겉마개(140)의 내면에 돌출되어 있는 돌기(150)가 속마개(130)의 유출구(120)를 막아주게 되므로 상기용기(100)의 병구(110)를 이중으로 막아주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겠지만, 상기 용기(100)에 들어있는 액체를 인출하기 위해 상기 겉마개(140)을 나사풀림방향으로 회전시켜서 열게 되면 용기(100)의 병구(110)에 삽입되어 있는 속마개(130)의 유출구(120)가 개방되며, 이어서 상기 용기(100)를 일정 각도 기울이게 되면 용기(100)에 들어있는 액체가 속마개(130)의 유출구(120)를 통해 유출되는데, 이때 상기 용기(100)에 들어있는 액체는 병구(110)의 내면과 속마개(130) 사이의 틈새(도면에 도시된 화살표 참조)를 통해 누출되는 현상이 나타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며, 이러한 문제점은 상기한 병구(110)에 삽입되는 속마개(130)가 단순히 삽입되는 상태로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한 병구(110)와 속마개(130) 사이에 틈새가 생길 수밖에 없는 것이며, 또한 상기한 병구(110)와 속마개(130) 사이의 틈새가 커지면 커질수록 액체의 누출현상은 빠르게 나타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이중마개를 시럽 형태로 제조되는 어린이 감기약을 대용량의 용기에 담게 될 경우에는 약국 등에서 대용량의 용기에 들어있는 어린이 감기약을 소용량의 용기에 소량씩 분리하여 담아주는 작업을 여러 차례 반복하게 될 경우에는 시럽 형태의 어린이 감기약이 대용량 용기의 병구 외부로 누출되는 현상이 나타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며, 또한 상기한 종래 기술의 이중마개를 화장수 등의 액체보관용기 등에 적용하게 될 경우에도 용기에 들어있는 액체를 소량씩 인출할 때 액체가 용기의 병구 외부로 누출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 나타나는 제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어린이 감기약과 같은 시럽 형태의 액상제품이 담긴 액체보관용기의 위조 여부를 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액체보관용기에 담긴 액상제품을 소량씩 반복적으로 인출하게 되더라도 액상제품의 액체가 병구 주위로 누출되지 않도록 하여 액체보관용기의 병구를 위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하는 이중마개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고 발명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추구하기 위한 수단으로써,
액체를 유출시키는 유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속마개와 상기 속마개의 유출구를 개폐하기 위한 겉마개로 구성되는 액체보관용기의 이중마개에 있어서,
상기 겉마개에는 내면에 용기의 외측 수나사에 나사조임 및 나사풀림이 가능하도록 나사결합되는 내부 암나사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겉마개 하측에는 복수의 위조방지용 브릿지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속마개의 내면에는 액체보관용기의 병구 상단 외면의 걸림턱에 체결되기 위한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겉마개에 속마개를 결합시킬 때에는 겉마개의 밀폐돌기가 속마개의 유출구에 끼워지는 형태로 결합이 되고 상기 겉마개를 속마개에서 분리할 때에는 속마개의 걸림턱이 병구 상단의 걸림턱에 걸리면서 속마개는 용기에 그대로 남아있게 되고, 겉마개는 겉마개 하측에 형성되어 있는 래칫톱니가 용기의 래칫톱니에 걸림되어 상기한 복수의 위조방지용 브릿지가 끊어지게 되면서 용기와 겉마개가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액체보관용기의 병구에 나사결합되는 이중마개는 겉마개와 스커트링을 잇는 복수의 위조방지용 브릿지들이 제대로 연결되어 있는지 아니면 끊어져 있는지를 눈으로 확인하는 간편한 방법으로 액체보관용기의 위조 여부를 신속하게 판단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으며, 상기 액체보관용기에 들어있는 액상제품을 인출하기 위해 상기 이중마개의 겉마개를 병구에서 나사풀림하게 될 때에는 스커트링은 용기의 래칫톱니에 걸리면서 복수의 위조방지용 브릿지들이 끊어지면서 겉마개만 속마개에서 나사풀림되어 개방되도록 하며, 속마개는 액체보관용기의 병구상단의 걸림턱에 걸리면서 밀착시켜 체결되어 있으므로 액상제품을 인출하기 위해 액체보관용기를 일정각도 기우려 줄 때 액상제품이 누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액체보관용기에 들어있는 액상제품을 소량씩 인출하는 작업을 반복하게 되더라도 액상제품의 액체가 병구 주위로 누출되지 않게 되어 상기한 병구 주위를 오염시키는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으므로 액체보관용기를 보다 위생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이중마개를 액체보관용기의 병구에 나사결합한 상태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겉마개를 나타낸 단면도
도 3는 본 발명의 이중마개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이중마개의 겉마개를 속마개에서 나사풀림한 상태의 단면도
도 5는 종래 기술의 이중마개를 병구에 결합시킨 상태의 단면도
본 발명에 의한 위조방지기능을 가진 액체보관용기의 이중마개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부호 1은 이중마개를 나타내는 것으로, 상기 이중마개(1)는 액체보관용기(6) 병구(61)의 걸림턱(64)에 걸리게 되면서 체결되는 속마개(2)와, 상기 병구(61)의 외면에 나사결합되는 겉마개(3), 상기 겉마개(3)의 하측에는 복수의 위조방지용 브릿지(4)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겉마개(3)를 속마개(2)와 결합시킬 때에는 겉마개(3)의 밀폐돌기(33)와 속마개(2)의 유출구(23)에 서로 껴지는 상태로 결합되며, 상기 겉마개(3)를 나사풀림할 때에는 겉마개(3)에서 분리되어 상기 속마개(2)의 하측에 그대로 남아있게 되는 스커트링(5)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이중마개(1)의 속마개(2)는 그 내면에 액체보관용기(6)의 병구(61)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턱(64)에 체결되는 갈고리 모양으로 형성된 걸림턱(21)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속마개(2)의 상면(22) 중심에는 유출구(23)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속마개(2)의 상면(22) 내부에는 액체보관용기(6)의 병구(61)의 개구단부(63)를 기밀하게 밀폐시키기 위한 단부수용홈(2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이중마개(1)의 겉마개(3)는 도 2의 도시와 같이 그 내면에 상기 병구(61)의 수나사(62)에 나사결합되는 내부 암나사(31)가 나선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겉마개(3)의 상면(32)은 폐구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고 그 내측 저면 중심에는 상기 속마개(2)의 상면(22)에 형성되어 있는 유출구(23)를 개폐하기 위한 밀폐돌기(33)가 하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겉마개(3)의 하측에는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복수의 위조방지용 브릿지(4)에 의해 겉마개(3)와 연결된 상태로 제조되는 스커트링(5)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스커트링(5)의 내면에는 병구(61)의 하측에 형성되어 있는 래칫톱니(65)에 걸림되는 래칫톱니(34)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이중마개(1)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이중마개(1)는 액체보관용기(6)의 병구(61)에 속마개(2)를 먼저 결합한 다음, 상기한 병구(61)에 속마개(2)가 결합되어 있는 상태에서 겉마개(3)를 나사조임으로 결합할 수 있으며, 또는 겉마개(3)에 속마개(2)를 결합한 이중마개(1)를 액체보관용기(6)의 병구(61)에 나사조립할 수 있다.(도 3 참조)
도 1의 도시와 같이 액체보관용기(6)의 병구(61)에 이중마개(1)를 나사조립하게 되면 속마개(2)는 병구(61)의 상단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턱(64)에 속마개(2)의 걸림턱(21)이 서로 체결되어 병구(61)와 기밀하게 밀착되며, 이에 따라 상기 병구(61)의 개구단부(63)는 속마개(2)의 단부수용홈(24)에 기밀하게 밀착되므로 액체보관용기(6)에 들어있는 액상제품의 누출형상을 막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액체보관용기(6)에 들어있는 액상제품을 인출하기 위해 병구(61)에 나사조립되어 있는 이중마개(1)의 겉마개(3)를 손으로 잡고 나사풀림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겉마개(3)의 내면에 형성된 내부 암나사(31)가 병구(61)의 수나사(62)를 따라 상향으로 회전이동하게 되는 한편, 상기 겉마개(3) 하측에 위치하고 있는 스커트링(5)은 그 내면에 형성된 래칫톱니(34)가 병구(3) 하측의 래칫톱니(65)에 의해 걸림되어 회전하지 않고 정지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게 되므로 결국 상기 겉마개(3)를 나사풀림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그 회전력에 의해 복수의 위조방지용 브릿지(4)들이 끊어지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겉마개(3)는 나사풀림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서 속마개(2)와 분리되는 한편, 상기 스커트링(5)은 겉마개(3)와 분리된 채 병구(61)의 래칫톱니(65)에 걸림된 상태 그대로 병구(61) 하측에 남아있게 되는 것이다.(도 4 참조)
상기와 같이 액체보관용기(6)의 병구(61)에 나사조립된 이중마개(1)의 겉마개(3)를 나사풀림으로 분리시키게 되면 상기한 병구(61)를 밀폐하고 있는 속마개(2)의 유출구(23)가 개방되며, 이와 같이 개방된 유출구(23)를 통해 액상제품을 인출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속마개(2)의 걸림턱(21)이 액체보관용기(6)의 병구(61) 상단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턱(64)에 걸리는 형태로 체결되어 있어서 상기한 병구(61)의 개구단부(63)가 속마개(2)의 상면(22) 저부에 형성된 단부수용홈(24)에 기밀하게 밀착되어 있으므로 상기 액체보관용기(1)에 들어있는 액상제품이 누출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이중마개(1)의 속마개(2)는 액체보관용기(6)의 병구(61)를 기밀하게 밀폐하고 있으므로 상기 액체보관용기(6)에 들어있는 액상제품을 소량씩 인출하기 위해 액체보관용기(6)를 일정 각도 기울여서 액상제품을 인출하는 작업을 반복하게 되더라도 액상제품이 병구(61) 주위로 누출되지 않게 되며, 이에 의하여 액체보관용기(6)의 병구(61)를 오염시키지 않고 위생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이중마개(1)는 시럽형태로 제조되는 어린이 감기약을 보관하는 용기에 적용하게 될 경우 어린이 감기약을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도록 하며, 또는 여성이 많이 사용하는 화장수 보관용기 등에 적용하여 화장수 등을 안전하고 위생적으로 보관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액체보관용기(6)에 들어있는 액상제품의 위조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특징이 있는 것이다.
1 : 이중마개 2 : 속마개
21 : 걸림턱 22 : 상면
23 : 유출구 24 : 단부수용홈
3 : 겉마개 31 : 내부 암나사
32 : 상면 33 : 밀폐돌기
34 : 래칫톱니 4 : 위조방지용 브릿지
5 : 스커트링 6 : 액체보관용기
61 : 병구 62 : 수나사
63 : 개구단부 64 : 걸림턱
65 : 래칫톱니

Claims (1)

  1. 액체를 유출시키는 유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속마개와 상기 속마개의 유출구를 개폐하기 위한 겉마개로 구성되는 액체보관용기의 이중마개에 있어서,
    상기 속마개의 내면에는 액체보관용기의 병구 상단의 걸림턱에 걸리면서 체결되는 걸림턱을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보관용기의 이중마개.
KR2020170002389U 2017-05-16 2017-05-16 액체보관용기와 결합되는 속마개를 지닌 이중마개 KR20180003299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2389U KR20180003299U (ko) 2017-05-16 2017-05-16 액체보관용기와 결합되는 속마개를 지닌 이중마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2389U KR20180003299U (ko) 2017-05-16 2017-05-16 액체보관용기와 결합되는 속마개를 지닌 이중마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3299U true KR20180003299U (ko) 2018-11-26

Family

ID=645579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2389U KR20180003299U (ko) 2017-05-16 2017-05-16 액체보관용기와 결합되는 속마개를 지닌 이중마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03299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40389B2 (en) Bottle for fluid products, particularly pharmaceutical, medicinal and cosmetic products
CA1294585C (en) Combination of endpiece and recipient
US8672156B2 (en) Bottle and cap
JP5485917B2 (ja) 容器ネックに栓をするための栓装置
RU2619838C2 (ru) Переходник для емкостей
CN108357778B (zh) 将产品分配在容器中的盒
PT2013105E (pt) Sistema de fecho de um recipiente com método para introduzir um aditivo no conteúdo do recipiente
KR20090053802A (ko) 유체, 특히 의약품 등을 담기 위한 병
US20150174542A1 (en) Multi-ingredient mixing device
KR101602166B1 (ko) 캡슐형 내용물이 하나씩 배출되는 포장용기
ES2359223T3 (es) Frasco destinado a recibir una dosis determinada de un líquido.
JP4857956B2 (ja) 保護キャップ付き注出口
US20140263154A1 (en) Bottle and cap
US20190374432A1 (en) Pill container with cap
WO2006027782A2 (en) Container
KR20180003299U (ko) 액체보관용기와 결합되는 속마개를 지닌 이중마개
WO2017088036A1 (pt) Conjunto de tampa e gargalo rosqueados para evidenciar a violação em recipientes
JP5961547B2 (ja) 詰め替え容器
KR200367789Y1 (ko) 포장용기용 안전 캡 구조
JPH1191789A (ja) カバーキャップ付き混合分配容器
RU2777382C1 (ru) Цельное укупорочное средство для контейнера
JP3929621B2 (ja) 液体注出容器
KR200295520Y1 (ko) 마개조립체
KR200371222Y1 (ko) 안전마개 및 이와 결합되는 용기구조
KR20180096306A (ko) 캡 모튤 파우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