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34504A - 이종 내용물 혼합 스포이드 용기 - Google Patents

이종 내용물 혼합 스포이드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34504A
KR20180134504A KR1020170072287A KR20170072287A KR20180134504A KR 20180134504 A KR20180134504 A KR 20180134504A KR 1020170072287 A KR1020170072287 A KR 1020170072287A KR 20170072287 A KR20170072287 A KR 20170072287A KR 20180134504 A KR20180134504 A KR 201801345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s
blocking member
push button
eyedropper
perfor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22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여수빈
Original Assignee
여수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여수빈 filed Critical 여수빈
Priority to KR10201700722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34504A/ko
Publication of KR201801345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450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two or more different materials which must be maintained separate prior to use in admixture
    • B65D81/3216Rigid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the other
    • B65D81/3222Rigid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the other with additional means facilitating admix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2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65D1/08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adapted to discharge dro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1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for discharging drops; Dro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08Materials, e.g. different materials, enclosed in separate compartments formed during filling of a single contain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Package Specialized In Special Us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종 내용물 혼합 스포이드 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포이드 몸체의 일측에 차단부재와 상기 차단부재를 천공하는 천공부재 및 상기 천공부재를 가압하는 누름버튼을 결합하되, 상기 차단부재를 통해 이종의 내용물을 분리 수용하고, 상기 누름버튼을 탄성재질의 돔 형태로 형성함으로써, 누름버튼의 가압에 의해 천공부재가 눌려지면서 차단부재를 뚫어 이종의 내용물이 손쉽게 혼합되는 것은 물론, 상기 누름버튼이 원래의 형태로 복원되면서 혼합된 이종의 내용물을 배출시키는 역할을 하게 되어 이종 내용물의 혼합 및 사용이 편리한 이종 내용물 혼합 스포이드 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토출구(12)가 구비된 스포이드 몸체(10); 상기 스포이드 몸체(10)에 삽입되는 차단부재(20); 상기 차단부재(20)와 인접하여 형성되며, 천공부(32)가 구비된 천공부재(30); 상기 천공부재(30)를 감싸면서 결합되는 탄성재질의 누름버튼(40)을 포함하되, 상기 차단부재(20)에 의해 이종의 내용물이 분리 수용되고, 상기 천공부재(30)의 천공부(32) 외측으로 연결부(34)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내용물 혼합 스포이드 용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이종 내용물 혼합 스포이드 용기{Spuit container for mixing different kinds of contents}
본 발명은 이종 내용물 혼합 스포이드 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포이드 몸체의 일측에 차단부재와 상기 차단부재를 천공하는 천공부재 및 상기 천공부재를 가압하는 누름버튼을 결합하되, 상기 차단부재를 통해 이종의 내용물을 분리 수용하고, 상기 누름버튼을 탄성재질의 돔 형태로 형성함으로써, 누름버튼의 가압에 의해 천공부재가 눌려지면서 차단부재를 뚫어 이종의 내용물이 손쉽게 혼합되는 것은 물론, 상기 누름버튼이 원래의 형태로 복원되면서 혼합된 이종의 내용물을 배출시키는 역할을 하게 되어 이종 내용물의 혼합 및 사용이 편리한 이종 내용물 혼합 스포이드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용기에 수용되는 화장품이나 의약품 중에 효능이나 효과를 배가시키기 위해 서로 다른 두 가지 이상의 내용물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많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혼합 사용되는 내용물을 처음부터 혼합하여 하나의 용기에 함께 수용한 후, 유통 또는 보관하게 되면 용기 내부에서 화학적 반응이 일어나 내용물이 응고 또는 침전되면서 배출 불량이 발생하거나, 내용물이 변색 또는 변질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이에, 종래에는 서로 다른 내용물을 각각 분리된 다른 용기에 보관하였다가, 사용 시 두 용기의 입구를 각각 개방하고 별도의 용기에 혼합하여 사용해 왔으나, 이러한 방법은 사용의 불편함이 있을 뿐만 아니라, 용기의 분실 우려가 있으며, 또한 별도의 용기에 보관된 내용물을 하나의 용기에 투입할 때 내용물이 흘러내려 주변을 오염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최근에는 하나의 용기에 이종 내용물을 격리 저장하여 보관한 후, 필요 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된 혼합 용기가 다양한 형태로 개발, 사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혼합 용기로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등록실용신안 제20-0390095호가 개시되었는데, 상기 종래의 혼합 용기는 내부에 파우더가 수용되고 내측에 단턱이 형성된 파우더용기와, 상기 파우더용기 내측에 설치되는 칸막이 및 상기 칸막이 상부에 얹혀지며 내부에 에센스가 내장된 에센스용기로 구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파우더 화장품과 겔상의 에센스를 별도로 휴대하지 않더라도 손쉽게 혼합, 사용할 수 있게 된다.
하지만, 상기 종래 기술은 액상 내용물과 분말 내용물을 섞기 위해 파우더용기로부터 에센스용기를 분리한 후, 칸막이를 제거하고, 상기 에센스용기에 수용된 액상 내용물을 파우더용기 내측에 부어 혼합해야 하기 때문에 사용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으며, 혼합 시 내용물이 용기로부터 흘러나와 주위가 오염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 제20-0475601호로 두 가지 내용물을 혼합하는 화장품용기가 개시되었는데, 상기 종래 기술은 내용물1을 수용하며, 상부분리캡과 하부고정캡을 포함한 제1내용물 수용체; 내용물2를 수용하는 제2내용물 용기본체; 상기 제2내용물 용기본체 하부에는 내용물 1과 내용물 2가 혼합된 혼합내용물의 출구가 되는 혼합출구부; 상기 제1내용물 수용체의 상단부와 결합되고, 양측의 안내돌기가 승강안내관의 승강나선홈과 숄더의 수직홈에 끼워지는 펌프 하우징; 상기 펌프하우징 내부에 결합되는 에어리스펌프 및 상기 에어리스펌프 상측단에 형성된 누름버튼으로 구성된다.
하지만, 상기 종래 기술은 내측에 누름버튼의 승강 구조와 에어리스펌프가 설치되고, 상기 에어리스펌프의 하측에 상부분리캡과 하부고정캡으로 이루어진 제1내용물 수용체가 연결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제품의 조립 공정이 복잡해져 제조원가가 상승되고, 이로 인해 제품의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기 종래 기술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한 손으로 용기본체를 잡고 다른 손으로 숄더를 회전시켜 제1내용물 수용체에 수용된 내용물1과 제2내용물 용기본체에 수용된 내용물2를 혼합시킨 후, 누름버튼을 가압하여 혼합된 내용물1과 내용물2를 펌핑하면서 사용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스포이드 몸체의 일측에 차단부재와 상기 차단부재를 천공하는 천공부재 및 상기 천공부재를 가압하는 누름버튼을 결합하되, 상기 차단부재를 통해 이종의 내용물을 분리 수용하고, 상기 누름버튼을 탄성재질의 돔 형태로 형성함으로써, 누름버튼의 가압에 의해 천공부재가 눌려지면서 차단부재를 뚫어 이종의 내용물이 손쉽게 혼합되는 것은 물론, 상기 누름버튼이 원래의 형태로 복원되면서 혼합된 이종의 내용물을 배출시키는 역할을 하게 되어 이종 내용물의 혼합 및 사용이 편리한 이종 내용물 혼합 스포이드 용기를 제공한다.
또한, 스포이드 몸체의 일측에 차단부재와 천공부재 및 누름버튼을 순차적으로 결합하고, 상기 차단부재와 천공부재 및 누름버튼이 하부캡에 의해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이종 내용물 혼합 스포이드 용기의 구조 및 조립공정이 단순화되어 제조원가가 절감되고, 이에 따라 생산성이 향상되도록 한 이종 내용물 혼합 스포이드 용기를 제공한다.
또한, 천공부재의 중앙에 천공부를 형성하고, 상기 천공부의 외측으로 연결부를 연장 형성하되, 상기 연결부의 내측과 외측에 각각 제1, 2 꺾임홈을 형성함으로써, 누름버튼이 천공부 후면의 돌출부를 누르면 연결부가 제1, 2 꺾임홈에 의해 꺾여 천공부가 내측으로 전진하면서 차단부재의 중앙을 뚫게 되어 간단한 작동으로도 이종 내용물의 혼합이 이루어지도록 한 이종 내용물 혼합 스포이드 용기를 제공한다.
또한, 스포이드 몸체에 하부캡을 결합하되, 하부캡의 하단이 누름버튼의 중앙 하단 보다 더 낮게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누름버튼이 하부캡 아래로 돌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이종 내용물 혼합 스포이드 용기의 유통 또는 휴대 시 상기 누름버튼이 의도치 않게 눌려져 이종의 내용물이 섞이는 것을 방지한 이종 내용물 혼합 스포이드 용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토출구가 구비된 스포이드 몸체;
상기 스포이드 몸체에 삽입되는 차단부재;
상기 차단부재와 인접하여 형성되며, 천공부가 구비된 천공부재;
상기 천공부재를 감싸면서 결합되는 탄성재질의 누름버튼을 포함하되,
상기 차단부재에 의해 이종의 내용물이 분리 수용되고,
상기 천공부재의 천공부 외측으로 연결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내용물 혼합 스포이드 용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천공부재의 연결부 내, 외측에는 각각 제1, 2 꺾임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차단부재와 천공부재 및 누름버튼은 하부캡에 의해 스포이드 몸체의 일측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포이드 몸체의 내주연에는 걸림턱이 형성되어 스포이드 몸체에 삽입되는 차단부재가 걸리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차단부재에는 천공판이 형성되고, 상기 천공판의 외측에는 천공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천공부재의 천공부 후면에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누름버튼에 의해 가압되고, 연결부 외측에는 고정부가 형성되어 차단부재와 누름버튼의 사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누름버튼의 중앙에는 돔 형태의 누름부가 형성되고, 상기 누름부의 외측에는 결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누름버튼은 가압에 의해 이종의 내용물을 혼합시키며, 혼합된 이종의 내용물을 스포이드 몸체의 토출구로 토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누름버튼이 가압되면서 천공부재의 천공부 후면에 형성된 돌출부를 누르면 천공부재의 연결부가 제1, 2 꺾임홈에 의해 꺾여지면서 상기 천공부가 스포이드 몸체의 내측으로 전진함에 따라, 차단부재의 천공판을 뚫어서 이종의 내용물이 혼합될 수 있는 상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종 내용물 혼합 스포이드 용기는 스포이드 몸체의 일측에 차단부재와 상기 차단부재를 천공하는 천공부재 및 상기 천공부재를 가압하는 누름버튼을 결합하되, 상기 차단부재를 통해 이종의 내용물을 분리 수용하고, 상기 누름버튼을 탄성재질의 돔 형태로 형성함으로써, 누름버튼의 가압에 의해 천공부재가 눌려지면서 차단부재를 뚫어 이종의 내용물이 손쉽게 혼합되는 것은 물론, 상기 누름버튼이 원래의 형태로 복원되면서 혼합된 이종의 내용물을 배출시키는 역할을 하게 되어 이종 내용물의 혼합 및 사용이 편리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종 내용물 혼합 스포이드 용기는 스포이드 몸체의 일측에 차단부재와 천공부재 및 누름버튼을 순차적으로 결합하고, 상기 차단부재와 천공부재 및 누름버튼이 하부캡에 의해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이종 내용물 혼합 스포이드 용기의 구조 및 조립공정이 단순화되어 제조원가가 절감되고, 이에 따라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종 내용물 혼합 스포이드 용기는 천공부재의 중앙에 천공부를 형성하고, 상기 천공부의 외측으로 연결부를 연장 형성하되, 상기 연결부의 내측과 외측에 각각 제1, 2 꺾임홈을 형성함으로써, 누름버튼이 천공부 후면의 돌출부를 누르면 연결부가 제1, 2 꺾임홈에 의해 꺾여 천공부가 내측으로 전진하면서 차단부재의 중앙을 뚫게 되어 간단한 작동으로도 이종 내용물의 혼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종 내용물 혼합 스포이드 용기는 스포이드 몸체에 하부캡을 결합하되, 하부캡의 하단이 누름버튼의 중앙 하단 보다 더 낮게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누름버튼이 하부캡 아래로 돌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이종 내용물 혼합 스포이드 용기의 유통 또는 휴대 시 상기 누름버튼이 의도치 않게 눌려져 이종의 내용물이 섞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혼합 용기.
도 2는 종래의 두 가지 내용물을 혼합하는 화장품 용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포이드 용기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포이드 용기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포이드 용기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스포이드 용기의 스포이드 몸체에 차단부재를 삽입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스포이드 용기의 스포이드 몸체에 천공부재와 누름버튼을 삽입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스포이드 용기의 스포이드 몸체에 하부캡을 결합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스포이드 용기의 누름버튼을 가압하여 이종의 내용물이 혼합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스포이드 용기의 누름버튼을 가압하여 혼합된 이종의 내용물이 스포이드 몸체의 토출구로 토출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
본 발명과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해 달성되는 기술적 과제는 다음에서 설명하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의해 명확해 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종 내용물 혼합 스포이드 용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포이드 용기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포이드 용기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포이드 용기의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스포이드 용기의 스포이드 몸체에 차단부재를 삽입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스포이드 용기의 스포이드 몸체에 천공부재와 누름버튼을 삽입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스포이드 용기의 스포이드 몸체에 하부캡을 결합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스포이드 용기의 누름버튼을 가압하여 이종의 내용물이 혼합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스포이드 용기의 누름버튼을 가압하여 혼합된 이종의 내용물이 스포이드 몸체의 토출구로 토출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종 내용물 혼합 스포이드 용기는 토출구(12)가 구비된 스포이드 몸체(10)와, 상기 스포이드 몸체(10)에 삽입되는 차단부재(20)와, 상기 차단부재(20)와 인접하여 형성되며, 천공부(32)가 구비된 천공부재(30) 및 상기 천공부재(30)를 감싸면서 결합되는 탄성재질의 누름버튼(40)을 포함하되, 상기 차단부재(20)에 의해 이종의 내용물이 분리 수용되고, 상기 천공부재(30)의 천공부(32) 외측으로 연결부(34)가 형성된다.
상기 스포이드 몸체(10)는 내부에는 액상 또는 겔상 화장료와 같은 내용물이 수용된다.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스포이드 몸체(10)의 일측에는 노즐부(11)가 연장 형성되는데, 상기 노즐부(11)는 상부로 갈수록 외경이 작아지는 원뿔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노즐부(11)의 내측에는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내용물유통로(112)가 형성되고, 상기 내용물유통로(112)의 상단에는 토출구(12)가 형성된다.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스포이드 몸체(10)의 타측에는 결합연장돌륜(13)이 연장 형성되는데, 상기 결합연장돌륜(13)의 내측에는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차단부재(20)와 천공부재(30) 및 누름버튼(40)이 삽입되고, 외측에는 하부캡(50)이 고정 결합된다.
상기 결합연장돌륜(13)의 외주연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하부캡(50)의 내주연에 형성된 나사산과 나사 결합된다. 물론, 나사 결합이외에 언더컷 결합 또는 강제 끼움 결합 등 다양한 방식으로 결합될 수도 있다.
상기 결합연장돌륜(13)의 내주연에는 도 5의 부분 확대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걸림턱(16)이 형성되어 스포이드 몸체(10)에 삽입되는 차단부재(20)가 걸리게 된다. 즉, 상기 걸림턱(16)은 차단부재(20)가 스포이드 몸체(10)의 내측에 일정 구간 이상으로 삽입되는 것을 제한하게 된다.
상기 스포이드 몸체(10)의 결합연장돌륜(13)에는 하부캡(50)이 결합된다.
상기 하부캡(50)은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 원통 형태이며, 스포이드 몸체(10)의 일측에 삽입된 차단부재(20)와 천공부재(30) 및 누름버튼(40)을 고정시키케 된다.
상기 하부캡(50)의 내주연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스포이드 몸체(10)의 결합연장돌륜(13)의 외측에 나사 결합된다.
상기 하부캡(50)의 일측 단부에는 압박턱(52)이 내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누름버튼(40)을 강하게 압박하게 된다.
또한, 상기 하부캡(50)의 하단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누름버튼(40)의 누름부(42)의 하단보다 더 낮게 형성되어 상기 누름버튼(40)의 누름부(42)가 하부캡(50)의 아래로 돌출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이종 내용물 혼합 스포이드 용기의 유통 또는 휴대 시 상기 누름버튼(40)이 의도치 않게 눌려져 이종의 내용물이 섞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스포이드 몸체(10)의 일측에는 토출구(12)를 개폐하는 스포이드 커버(60)가 더 결합된다.
상기 스포이드 커버(60)의 내측 중앙에는 밀폐돌기(62)가 형성되고, 상기 밀폐돌기(62)의 외측으로 밀폐돌륜(64)이 하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스포이드 커버(60)가 스포이드 몸체(10)에 결합되었을 때, 상기 밀폐돌기(62)가 스포이드 몸체(10)의 노즐부(11) 단부에 형성된 토출구(12)에 삽입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밀폐돌륜(64)이 스포이드 몸체(10)의 노즐부(11) 상부 외주연에 타이트하게 밀착된다.
상기 스포이드 커버(60)의 하부 내주연과 스포이드 몸체(10)의 외주연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서로 나사 결합된다. 본 발명에서는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스포이드 몸체(10)와 스포이드 커버(60)가 나사 결합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이외에도 언더컷 결합 또는 강제 끼움 결합 등 다양한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차단부재(20)는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스포이드 몸체(10)의 결합연장돌륜(13) 내측으로 삽입되며, 상기 차단부재(20)에 의해 이종의 내용물이 스포이드 몸체(10)의 내측에 분리, 수용된다.
상기 차단부재(20)의 중앙에는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천공판(23)이 형성되는데, 상기 천공판(23)은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천공부재(30)에 의해 뚫렸을 때 차단부재(30)로부터 완전하게 분리되지 않고, 차단부재(30)의 일측에 매달려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천공판(23)이 차단부재(20)로부터 분리되어 스포이드 몸체(10) 내에서 유동되면서 내용물 유통로(112)를 막아 내용물의 토출을 방해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차단부재(20)의 천공판(23) 외측에는 링 형태의 천공홈(22)이 형성되는데, 상기 천공홈(22)은 상기 차단부재(20)의 중앙 부분이 천공부재(30)의 천공부(32)에 의해 보다 용이하게 뚫릴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차단부재(20)의 외주연에는 제1 결합돌기(21)가 형성되고, 상기 제1 결합돌기(21)의 상부에는 밀폐리브(26)가 형성된다.
상기 밀폐리브(26)는 차단부재(20)가 스포이드 몸체(10)의 내측에 삽입될 때, 스포이드 몸체(10)의 내주연에 밀착되어 이종 내용물의 누출을 방지하고, 스포이드 몸체(10)의 내측에 일정 구간 삽입되면 걸림턱(16)에 걸리게 된다.
상기 천공부재(30)는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차단부재(20)와 인접하게 형성되어 상기 차단부재(20)의 중앙 부분을 천공한다.
상기 천공부재(30)는 중앙에 형성된 천공부(32)와, 상기 천공부(32)의 외측으로 연장 형성된 연결부(34)와 상기 천공부(32)의 후면에 돌출 형성된 돌출부(36) 및 상기 연결부(34)의 외측으로 형성된 고정부(38)로 이루어진다.
상기 천공부재(30)의 천공부(32)는 누름버튼(40)에 의해 스포이드 몸체(10)의 내측으로 전진하면서 차단부재(20)의 중앙 부분을 뚫게 된다.
상기 천공부재(30)의 천공부(32) 단부는 용이하게 차단부재(20)를 뚫을 수 있도록 사선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천공부(32)는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다수의 천공날개(322)가 형성될 수 있는데,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천공부(32)에 의해 차단부재(20)의 중앙 부분이 뚫렸을 때, 상기 다수의 천공날개(322) 사이로 이종의 내용물이 이동된다.
도 5의 부분 확대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천공부재(30)의 연결부(34)의 내측에는 제1 꺾임홈(341)이 형성되고, 외측에는 제2 꺾임홈(342)이 형성된다.
상기 제1, 2 꺾임홈(341, 342)은 누름버튼(40)에 의해 천공부재(30)가 눌려질 때, 상기 천공부재(30)의 연결부(34)가 용이하게 꺾여지면서 천공부(32)가 스포이드 몸체(10)의 내측으로 전진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1 꺾임홈(341)과 제2 꺾임홈(342)은 연결부(34)가 스포이트 몸체(10)의 내측으로 꺾여지도록 서로 반대편 즉, 천공부재(30)의 상부면과 하부면에 각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천공부재(30)의 돌출부(36)는 누름버튼(40)에 의해 눌려지며, 고정부(38)는 차단부재(20)와 누름버튼(40)의 사이에 끼워져 고정된다.
상기 누름버튼(40)은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차단부재(20)와 천공부재(30)를 감싸면서 스포이드 몸체(10)의 내측에 삽입된다.
상기 누름버튼(40)의 중앙에는 돔 형태의 누름부(42)가 형성되고, 상기 누름부(42)의 외측에는 결합부(44)가 형성된다.
상기 누름버튼(40)의 누름부(42)는 스포이드 몸체(10)의 하부로 노출되어 사용자에 의해 가압된다.
상기 누름버튼(40)의 결합부(44)는 스포이드 몸체(10)의 내주연에 밀착되는 동시에, 하부캡(50)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 결합부(44)의 내주연에는 제2 결합돌기(441)가 형성되어 차단부재(20)의 제1 결합돌기(21)와 언더컷 결합된다. 또한, 상기 결합부(44)의 일측 단부에는 안착턱(442)이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스포이드 몸체(10)의 결합연장돌륜(13) 단부에 안착되는 동시에, 하부캡(50)에 의해 강하게 압박되면서 고정된다.
상기 누름버튼(40)은 사용자에 의해 가압되면서 이종의 내용물을 혼합시키는 역할을 하고, 이와 동시에 혼합된 이종의 내용물을 스포이드 몸체(10)의 토출구(12)로 토출시키는 역할도 하게 된다.
상기 누름버튼(40)은 탄성 재질로 형성되는데, 특히 우레탄 고무(urethane rubber), 천연고무(natural rubber), 엘라스토머(elastomer), NBR(nitrile-butadiene rubber), 실리콘(silicone) 중 하나 이상의 재질 또는 ABS(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또는 TPE(Thermo Plastic Elastomer) 또는 탄성을 갖는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또는 폴리에틸렌(polyethylene)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이종 내용물 혼합 스포이드 용기의 조립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이종 내용물 혼합 스포이드 용기를 조립하기 위해서는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먼저 스포이드 몸체(10)의 일측에 스포이드 커버(60)를 결합한다. 이때, 스포이드 커버(60)의 밀폐돌기(62)가 스포이드 몸체(10)의 노즐부(11) 단부에 형성된 토출구(12)에 삽입되는 동시에, 밀폐돌륜(64)이 스포이드 몸체(10)의 노즐부(11) 상부 외주연에 타이트하게 밀착되어 토출구(12)를 밀폐시키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스포이드 몸체(10)를 뒤집은 후, 개방된 스포이드 몸체(10)의 결합연장돌륜(13)을 통해 내용물을 충전한다.
다음으로,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스포이드 몸체(10)의 결합연장돌륜(13) 내측으로 차단부재(20)를 삽입하게 되는데, 상기 차단부재(20)의 밀폐리브(26)가 스포이드 몸체(10)의 내주연에 밀착된 상태로 삽입되다가, 상기 차단부재(20)가 일정 구간 삽입되면 밀폐리브(26)가 스포이드 몸체(10)의 걸림턱(16)에 걸려 더이상 상기 스포이드 몸체(10) 내측으로 삽입되지 않게 된다.
다음으로,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스포이드 몸체(10)의 결합연장돌륜(13) 내측으로 천공부재(30)를 삽입하게 되는데, 상기 천공부재(30)의 고정부(38)가 차단부재(20)의 일측 단부에 안착되도록 한다.
이후, 상기와 같이 스포이드 몸체(10)의 내측으로 삽입된 차단부재(20)에 내용물을 충전한다. 이때, 상기 차단부재(20)에 충전되는 내용물은 스포이드 몸체(10)의 내부에 충전된 내용물과 다른 내용물이다.
다음으로,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스포이드 몸체(10)의 결합연장돌륜(13) 내측으로 누름버튼(40)을 삽입하게 되는데, 상기 누름버튼(40)의 결합부(44)가 차단부재(20)와 천공부재(30)를 감싸도록 하고, 상기 누름버튼(40)의 안착턱(442)이 스포이드 몸체(10)의 결합연장돌륜(13) 단부에 안착되는 동시에, 상기 차단부재(20)의 제1 결합돌기(21)와 누름버튼(40)의 제2 결합돌기(441)가 언더컷 결합되도록 한다.
다음으로,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스포이드 몸체(10)의 결합연장돌륜(13)에 하부캡(50)을 나사 결합하여 차단부재(20)와 천공부재(30) 및 누름버튼(40)을 고정시키는데, 상기 하부캡(50)의 압박턱(52)이 누름버튼(40)의 안착턱(442)을 강하게 압박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하부캡(50)의 하단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누름버튼(40)의 누름부(42)의 하단보다 더 낮게 형성되어 상기 누름버튼(40)의 누름부(42)가 하부캡(50)의 아래로 돌출되지 않도록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스포이드 용기를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하부캡(50)이 아래로 가도록 세워놓아도 누름버튼(40)이 눌리지 않아 본 발명의 스포이드 용기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포이드 용기의 유통 또는 휴대 시 상기 누름버튼(40)이 의도치 않게 눌려져 이종의 내용물이 섞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마지막으로, 이와 같이 조립된 스포이드 몸체(10)를 뒤집어 본 발명에 따른 이종 내용물 혼합 스포이드 용기의 조립을 완료한다.
상기와 같이 조립된 본 발명에 따른 이종 내용물 혼합 스포이드 용기의 사용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이종 내용물 혼합 스포이드 용기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우선 스포이드 몸체(10)를 뒤집은 다음,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탄성 재질의 누름버튼(40)을 가압한다. 상기 누름버튼(40)이 가압되면 누름버튼(40)에 의해 천공부재(30)의 천공부(32) 후면에 형성된 돌출부(36)가 눌려지고, 이와 동시에 상기 천공부재(30)의 연결부(34)가 제1, 2 꺾임홈(341, 342)에 의해 꺾여지면서 상기 천공부(32)가 스포이드 몸체(10)의 내측으로 전진함에 따라, 차단부재(20)의 천공판(23)이 뚫려 이종의 내용물이 섞일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이때, 상기 차단부재(20)의 천공판(23)은 차단부재(20)로부터 완전하게 분리되지 않고, 상기 차단부재(30)의 일측에 매달려 있게 된다.
이후, 차단부재(20)에 충전된 내용물은 천공부재(30)의 천공부(32)에 형성된 다수의 천공날개(322) 사이로 흘러나와 스포이드 몸체(10)의 내부에 수용된 내용물과 혼합된다.
다음으로, 상기 스포이드 몸체(10)를 손으로 잡고 흔들어서 이종의 내용물이 혼합되도록 한 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스포이드 몸체(10)로부터 스포이드 커버(60)를 분리하여 토출구(12)를 외부로 노출시킨다.
다음으로,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스포이드 몸체(10)의 토출구(12)를 피부에 대고 다시 가압하면 상기 스포이드 몸체(10) 내부의 체적이 줄어들게 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스포이드 몸체(10) 내부에 수용된 혼합된 이종의 내용물이 토출구(10)를 통해 외부로 토출된다.
이후, 상기 누름버튼(40)의 가압을 해제하면 스포이드 몸체(10) 내부의 체적이 다시 늘어나게 되고, 이와 동시에 외부 공기가 스포이드 몸체(10)로 유입된다.
화장이 끝난 후에는, 다시 스포이드 커버(60)를 스포이드 몸체(10)에 결합하여 토출구(12)를 폐쇄한다.
이상, 본 발명에서 설명한 것은 이종 내용물 혼합 스포이드 용기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 되어야 할 것이다.
10: 스포이드 몸체 12: 토출구
20: 차단부재 22: 천공홈
23: 천공판 30: 천공부재
32: 천공부 34: 연결부
36: 돌출부 38: 고정부
40: 누름버튼 42: 누름부
44: 결합부 50: 하부캡
60: 스포이드 커버

Claims (9)

  1. 토출구가 구비된 스포이드 몸체;
    상기 스포이드 몸체에 삽입되는 차단부재;
    상기 차단부재와 인접하여 형성되며, 천공부가 구비된 천공부재;
    상기 천공부재를 감싸면서 결합되는 탄성재질의 누름버튼을 포함하되,
    상기 차단부재에 의해 이종의 내용물이 분리 수용되고,
    상기 천공부재의 천공부 외측으로 연결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내용물 혼합 스포이드 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천공부재의 연결부 내, 외측에는 각각 제1, 2 꺾임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내용물 혼합 스포이드 용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재와 천공부재 및 누름버튼은 하부캡에 의해 스포이드 몸체의 일측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내용물 혼합 스포이드 용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포이드 몸체의 내주연에는 걸림턱이 형성되어 스포이드 몸체에 삽입되는 차단부재가 걸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내용물 혼합 스포이드 용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재에는 천공판이 형성되고, 상기 천공판의 외측에는 천공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내용물 혼합 스포이드 용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천공부재의 천공부 후면에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누름버튼에 의해 가압되고, 연결부 외측에는 고정부가 형성되어 차단부재와 누름버튼의 사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내용물 혼합 스포이드 용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버튼의 중앙에는 돔 형태의 누름부가 형성되고, 상기 누름부의 외측에는 결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내용물 혼합 스포이드 용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버튼은 가압에 의해 이종의 내용물을 혼합시키며, 혼합된 이종의 내용물을 스포이드 몸체의 토출구로 토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내용물 혼합 스포이드 용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버튼이 가압되면서 천공부재의 천공부 후면에 형성된 돌출부를 누르면 천공부재의 연결부가 제1, 2 꺾임홈에 의해 꺾여지면서 상기 천공부가 스포이드 몸체의 내측으로 전진함에 따라, 차단부재의 천공판을 뚫어서 이종의 내용물이 혼합될 수 있는 상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내용물 혼합 스포이드 용기.
KR1020170072287A 2017-06-09 2017-06-09 이종 내용물 혼합 스포이드 용기 KR2018013450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2287A KR20180134504A (ko) 2017-06-09 2017-06-09 이종 내용물 혼합 스포이드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2287A KR20180134504A (ko) 2017-06-09 2017-06-09 이종 내용물 혼합 스포이드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4504A true KR20180134504A (ko) 2018-12-19

Family

ID=650091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2287A KR20180134504A (ko) 2017-06-09 2017-06-09 이종 내용물 혼합 스포이드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134504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4203B1 (ko) * 2019-03-19 2020-04-23 주식회사 삼화 이종 내용물 혼합식 앰플용기
WO2020213806A1 (ko) * 2019-04-15 2020-10-22 주식회사 삼화 이종 내용물 혼합용기
KR20210000217U (ko) * 2019-07-19 2021-01-27 전은숙 이액 분리 저장이 가능한 앰플용기
CN112591296A (zh) * 2019-10-02 2021-04-02 株式会社Lg生活健康 漏液防止用容器
KR20210084132A (ko) * 2019-12-27 2021-07-07 (주)톨리코리아 두 가지 내용물의 혼합이 용이한 혼합용기
WO2022075531A1 (ko) * 2020-10-07 2022-04-14 김태균 음료의 농도유지가 용이한 트리플 컵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4203B1 (ko) * 2019-03-19 2020-04-23 주식회사 삼화 이종 내용물 혼합식 앰플용기
WO2020213806A1 (ko) * 2019-04-15 2020-10-22 주식회사 삼화 이종 내용물 혼합용기
JP2022528680A (ja) * 2019-04-15 2022-06-15 サムファ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異種内容物混合容器
KR20210000217U (ko) * 2019-07-19 2021-01-27 전은숙 이액 분리 저장이 가능한 앰플용기
CN112591296A (zh) * 2019-10-02 2021-04-02 株式会社Lg生活健康 漏液防止用容器
WO2021066301A1 (ko) * 2019-10-02 2021-04-08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누액 방지용 용기
KR20210084132A (ko) * 2019-12-27 2021-07-07 (주)톨리코리아 두 가지 내용물의 혼합이 용이한 혼합용기
WO2022075531A1 (ko) * 2020-10-07 2022-04-14 김태균 음료의 농도유지가 용이한 트리플 컵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134504A (ko) 이종 내용물 혼합 스포이드 용기
JP5985061B2 (ja) 自動充填及び定量吐出スポイト型容器キャップ
US6273152B1 (en) Exact dose dispenser device assembly
KR200473968Y1 (ko) 이종 내용물을 배출하여 사용하는 화장품 용기
KR102197420B1 (ko) 스포이드형 이종 내용물 혼합 용기
KR101465886B1 (ko) 자동충전 스포이드형 용기캡
KR101912587B1 (ko) 스포이드형 이종 내용물 혼합 용기
US10328451B2 (en) Gel-state content discharging applicator
KR101270347B1 (ko) 자동충전 및 정량 토출 스포이드형 용기캡
CN111727000B (zh) 包括下降距离能够调节的按钮的滴管式化妆品容器
KR101573430B1 (ko) 두 가지 내용물을 동시에 배출할 수 있는 화장품용기
KR101602166B1 (ko) 캡슐형 내용물이 하나씩 배출되는 포장용기
KR101308775B1 (ko) 자동충전 및 정량 토출 스포이드형 용기캡
JPH11130156A (ja) 二種混合容器及び二種混合容器連結体
KR101981125B1 (ko) 규제 각도 내에서 누름버튼의 가압이 제한되는 화장품용기
KR100971860B1 (ko) 화장품 용기
KR20190071291A (ko) 튜브형 화장품 용기 및 이에 적용되는 캡
KR102281825B1 (ko) 두 가지 내용물의 혼합이 용이한 혼합용기
JP2007153405A (ja) 二成分混合容器
KR200362397Y1 (ko) 스포이트 타입 화장품 용기
KR102036479B1 (ko) 스포이드형 화장품 용기
KR101373645B1 (ko) 자동충전 및 정량 토출 스포이드형 용기캡
KR102125080B1 (ko) 이중 토출수단을 구비한 화장품 용기
KR101574225B1 (ko) 음료용기용 캡
KR20210000217U (ko) 이액 분리 저장이 가능한 앰플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