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5080B1 - 이중 토출수단을 구비한 화장품 용기 - Google Patents

이중 토출수단을 구비한 화장품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5080B1
KR102125080B1 KR1020180122468A KR20180122468A KR102125080B1 KR 102125080 B1 KR102125080 B1 KR 102125080B1 KR 1020180122468 A KR1020180122468 A KR 1020180122468A KR 20180122468 A KR20180122468 A KR 20180122468A KR 102125080 B1 KR102125080 B1 KR 1021250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closing
nozzle
discharge
containe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24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42191A (ko
Inventor
정서희
김유섭
Original Assignee
(주)연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연우 filed Critical (주)연우
Priority to KR10201801224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5080B1/ko
Priority to CN201980067709.4A priority patent/CN112911965A/zh
Priority to PCT/KR2019/011489 priority patent/WO2020080678A1/ko
Publication of KR202000421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21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50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50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005Components or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2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65D1/08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adapted to discharge dro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1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for discharging drops; Dropp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2034/002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05Details of containers
    • A45D2200/054Means for supplying liquid to the outlet of the container
    • A45D2200/057Spray nozzles; Generating atomised liqui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이중 토출수단을 구비한 화장품 용기가 제공된다. 상기 화장품 용기는, 내용물이 저장되는 용기본체; 및 상기 용기본체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용기본체 내부의 내용물을 외부로 토출하는 토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토출부는, 상기 토출부를 상기 용기본체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결합부; 상기 결합부의 상부에 배치되며, 일 단에 토출공이 형성되는 노즐부; 및 상기 노즐부와 대향하여 상기 결합부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용기본체의 내측에 삽입되며, 일 단에 흡입공이 형성되는 피펫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의 내측에는 상기 토출부의 상기 용기본체와의 결합 또는 분리에 따라 개방 또는 폐쇄됨으로써 상기 노즐부와 상기 용기본체의 내부를 직접 연통 또는 서로 차단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개폐홀이 형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이중 토출수단을 구비한 화장품 용기{COSMETIC CONTAINER HAVING DUAL DISCHARGING MEANS}
본 발명은 이중 토출수단을 구비한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내부에 저장된 내용물을 노즐부와 피펫부를 이용하여 선택적으로 토출시킬 수 있는 이중 토출수단을 구비한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드롭퍼(dropper)는 압착부를 가압하여 피펫 또는 스포이드관 내부의 압력을 변화시키는 방식으로 내용물을 흡입 및 토출할 수 있게 구현된 것으로서, 세럼, 에센스, 아이 크림 등과 같은 코스메디컬 화장품을 위한 용기에 많이 채택되고 있다. 이러한 드롭퍼는 펌프가 아님에도 용이하게 정량의 화장품을 흡입 및 토출할 수 있다는 장점을 지닌다.
그러나, 드롭퍼는 적용 부위에 많은 화장품을 토출해야 하는 경우 등에는 사용이 용이하지 않으며, 피펫으로 화장품을 흡입하고, 이를 외부로 인출하여 토출한 이후 다시 용기 내부로 삽입하는 사용 과정을 반복하여야 하기 때문에, 위생상 사용에 대한 거부감을 줄 수 있다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화장품 용기 내에 화장품 잔량이 많지 않은 경우, 피펫을 통한 내용물의 흡입이 어려워 사용상의 불편함이 있으며, 화장품이 낭비되는 문제점 또한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드롭퍼 타입의 화장품 용기가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내부에 저장된 내용물을 노즐부와 피펫부를 이용하여 선택적으로 토출시킬 수 있는 이중 토출수단을 구비한 화장품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들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이중 토출수단을 구비한 화장품 용기가 제공된다. 상기 화장품 용기는, 내용물이 저장되는 용기본체; 및 상기 용기본체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용기본체 내부의 내용물을 외부로 토출하는 토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토출부는, 상기 토출부를 상기 용기본체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결합부; 상기 결합부의 상부에 배치되며, 일 단에 토출공이 형성되는 노즐부; 및 상기 노즐부와 대향하여 상기 결합부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용기본체의 내측에 삽입되며, 일 단에 흡입공이 형성되는 피펫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의 내측에는 상기 토출부의 상기 용기본체와의 결합 또는 분리에 따라 개방 또는 폐쇄됨으로써 상기 노즐부와 상기 용기본체의 내부를 직접 연통 또는 서로 차단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개폐홀이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개폐홀의 개방 시, 상기 토출공이 하방을 향하도록 상기 화장품 용기가 기울어지면, 상기 용기본체의 내용물이 상기 개폐홀을 통해 상기 노즐부 내측으로 유입되어 상기 토출공으로 토출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노즐부는 연성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노즐부 내측으로 유입된 내용물은 상기 노즐부에 대한 사용자의 가압에 따라 상기 토출공을 통해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토출부는, 상기 노즐부의 일 단에 결합되어 상기 토출공을 밀폐하는 노즐캡을 더 포함하며, 상기 노즐부는 연성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노즐부와 상기 피펫부는 상호 연통되어, 상기 개폐홀의 폐쇄 시, 상기 노즐부에 대한 사용자의 가압 또는 가압 해제에 따라, 내용물이 상기 피펫부의 상기 흡입공을 통해 흡입되거나,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결합부는 상기 토출부의 제 1 방향 또는 상기 제 1 방향과 반대되는 제 2 방향 회전에 따라 상기 용기본체와 결합 또는 분리되며, 상기 개폐홀은 상기 토출부의 상기 제 1 방향 회전에 따라 개방되고, 상기 제 2 방향 회전에 따라 폐쇄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결합부는, 상기 노즐부의 다른 일 단이 내측으로 관통되며, 사용자로부터 회전력이 인가되는 숄더부; 상기 숄더부의 내측에 상기 숄더부와 동기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부에 상기 노즐부의 다른 일 단이 결합되는 개폐캡; 및 상기 개폐캡의 하측에 결합되며, 내측에 상기 용기본체와 결합을 위한 나사 결합부가 형성되는 스크류캡을 포함하고, 상기 개폐홀은, 상기 개폐캡에 관통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개폐홀과 상기 스크류캡에 상기 제 1 개폐홀에 대응하여 관통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개폐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개폐홀과 상기 제 2 개폐홀은 상기 토출부의 상기 제 1 방향 또는 상기 제 2 방향 회전에 따라 상호 정렬되거나 어긋남으로써 개방 또는 폐쇄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숄더부의 내측에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개폐캡의 상부에는 상기 결합돌기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홈이 형성되어, 상기 결합돌기와 상기 결합홈의 결합에 의해 상기 숄더부와 상기 개폐캡은 동기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개폐캡의 외주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정렬돌기가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숄더부의 내주면에는 상기 정렬돌기가 삽입되어 상기 개폐캡과 상기 숄더부의 결합 방향을 안내하는 적어도 하나의 정렬홈이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개폐캡의 하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구동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스크류캡의 상부에는 상기 구동돌기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홈이 둘레를 따라 소정이 길이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개폐캡의 상기 제 1 방향 또는 상기 제 2 방향 회전에 따라 상기 구동돌기가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상기 개폐캡과 상기 스크류캡이 상대 회전하며, 상기 개폐캡과 상기 스크류캡의 상대 회전에 의해 상기 개폐홀이 개방 또는 폐쇄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개폐캡의 상기 제 1 방향 또는 상기 제 2 방향 회전에 따라 상기 구동돌기가 상기 가이드홈의 단부에 도달하면, 상기 개폐캡의 회전력이 상기 스크류캡에 전달되어 상기 개폐캡과 상기 스크류캡이 동기 회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필요 또는 기호에 따라 노즐부와 피펫부 중 하나를 토출수단으로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됨으로써, 제품의 활용도 및 사용자의 사용 편의성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토출부를 단순히 결합 및 분리하는 것만으로도 노즐부와 피펫부 각각을 토출수단으로 사용하기에 적합한 상태로 변화하기 때문에, 사용 편의성이 보다 극대화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내용물의 잔량이 많지 않더라도 노즐부를 통해 잔존 내용물을 모두 토출하여 사용 가능하기 때문에, 내용물의 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숄더부와 개폐캡을 도시한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개폐캡과 스크류캡을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동작을 도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동작을 도시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동작을 도시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 기재되는 편의상 상하좌우의 방향은 도면을 기준으로 한 것이며, 해당 방향으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단면도를 도시하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숄더부와 개폐캡을 도시하고,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개폐캡과 스크류캡을 도시한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는, 용기본체(100) 및 토출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용기본체(100)는 내부에 내용물을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내용물은, 예를 들어, 액상 또는 겔상의 세럼, 에센스, 크림 등의 화장품일 수 있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액상 또는 겔상 의약품 또는 의약외품 등 토출부(200)를 통해 토출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물질을 포괄할 수 있다. 용기본체(100)의 상부에는 토출부(200)의 피펫부(250)가 삽입 가능하도록 배출공(110)이 형성될 수 있으며, 배출공(110)의 외주면에는 토출부(200)를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키기 위한 나사 결합부(111)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용기본체(100)의 배출공(110) 내측으로 와이퍼(120)가 결합될 수 있다. 와이퍼(120)는 용기본체(100)로 삽입된 피펫부(250)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용기본체(100)로부터 피펫부(250)를 인출 시에 피펫부(250)의 외주면에 묻어 있는 내용물을 용기본체(100)로 회수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와이퍼(120)는 중심부에 피펫부(250)가 삽입 또는 인출되는 것이 가능하도록 중공이 형성되며, 와이퍼(120)의 하부에는 피펫부(250)의 외주면에 밀착됨으로써 상술한 회수 기능을 수행하는 회수링(121)이 구비될 수 있다.
토출부(200)는 용기본체(100)에 저장된 내용물을 외부로 토출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용기본체(100)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용기에 있어서, 토출부(200)는 노즐부(210)와 피펫부(250)로 구성되는 이중의 토출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토출부(200)는 노즐부(210), 결합부(220, 230, 240), 피펫부(250) 및 노즐캡(260)을 포함할 수 있다.
노즐부(210)는 결합부(220, 230, 240)의 상부에 배치되며, 일 단에 내용물을 토출하기 위한 토출공(21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노즐부(210)는 제 1 토출 수단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노즐캡(260)을 분리한 후, 노즐부(210)에 형성된 토출공(211)을 통해 용기본체(100)에 저장된 내용물을 피부 등의 적용 부위로 토출할 수 있게 된다. 노즐부(210) 일 단의 외주면에는 토출공(211)을 밀폐하는 노즐캡(260)을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키기 위한 나사 결합부(212)가 형성될 수 있다.
노즐부(210)의 다른 일 단에는 테두리부(213)가 외주면을 따라 외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테두리부(213)가 개폐캡(230)의 상면에 안착된 상태에서 개폐캡(230)과 결합되는 숄더부(220)의 내측 상부가 테두리부(213)를 가압함으로써, 노즐부(210)가 결합부(220, 230, 240)와 결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테두리부(213)의 상면과 숄더부(220)의 내측 상부면에는 결합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단턱이 서로 대응하는 형상으로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노즐부(210)는 탄성을 가지는 연성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노즐캡(260)이 분리된 상태에서 노즐부(210)의 외면을 가압하여 노즐부(210) 내부로 유입된 내용물을 토출공(211)으로 토출할 수 있으며, 또한, 노즐캡(260)이 결합된 상태에서 노즐부(210)의 외면을 가압하여, 피펫부(250) 내부로 내용물을 흡입한다거나, 흡입된 내용물을 흡입공(251)을 통해 외부로 토출할 수 있게 된다.
결합부(220, 230, 240)는 노즐부(210)와 피펫부(250)를 연결하고, 토출부(200)를 용기본체(10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결합부(220, 230, 240)는 토출부(200) 및/또는 결합부(220, 230, 240)의 제 1 방향 또는 이와 반대되는 제 2 방향 회전에 따라 용기본체(100)와 결합 또는 분리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결합부(220, 230, 240) 내측(즉, 개폐캡(230)과 스크류캡(240))에는 토출부(200)의 용기본체(100)와의 결합 또는 분리에 따라 개방 또는 폐쇄되는 적어도 하나의 개폐홀(232, 242)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개폐홀(232, 242)을 통해, 사용자는 노즐부(210)와 피펫부(250) 중 하나를 내용물의 토출수단으로 선택적으로 이용할 수 있게 된다.
결합부(220, 230, 240)는 숄더부(220), 개폐캡(230) 및 스크류캡(240)을 포함할 수 있다.
숄더부(220)는 사용자로부터 토출부(200)의 결합 또는 분리를 위한 회전력을 인가받을 수 있다. 숄더부(220)의 상부에는 노즐부(210)가 통과하는 관통홀(도면번호 미도시)가 형성되며, 내측 상부에는 사용자로부터 인가된 회전력을 개폐캡(230)으로 전달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결합돌기(221)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합돌기(221)는 4개로 구성되어 숄더부(220)의 내측 둘레를 따라 동일한 각도로 이격 배치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결합돌기(221)는 이하 상술되는 개폐캡(230)의 결합홈(233)에 결합되며, 이를 통해, 숄더부(220)에 가해진 회전력이 개폐캡(230) 및/또는 스크류캡(240)에 전달됨으로써, 토출부(200)가 용기본체(100)와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게 된다.
일 실시예에서, 숄더부(220)의 내주면에는 개폐캡(230)의 결합 방향을 안내하기 위한 정렬홈(222)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렬홈(222)은 숄더부(220) 내측 하단으로부터 결합돌기(221)가 형성된 상단까지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숄더부(220)와 개폐캡(230)의 결합 시, 이러한 정렬홈(222)에 개폐캡(230)에 형성된 정렬돌기(235)가 삽입됨으로써, 숄더부(220)의 결합돌기(221)에 대응하여 개폐캡(230)의 결합홈(233)이 정렬되도록 결합 방향을 안내하게 된다.
개폐캡(230)은 숄더부(220)의 내측에 배치되며, 상부에 노즐부(210)가 결합될 수 있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노즐부(210)의 테두리부(213)가 개폐캡(230)의 상면과 숄더부(220)의 내측 상부 사이에 고정됨으로써, 노즐부(210)가 개폐캡(230)의 상부에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개폐캡(230)의 상부에는 노즐부(210)를 지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고정돌기(도면부호 미도시)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돌기는 환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고정돌기가 노즐부(210) 또는 테두리부(213)의 내주면에 밀착됨으로써, 노즐부(210)를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개폐캡(230)의 중심에는 노즐부(210)의 내부와 연통하는 제 1 연통홀(23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 1 연통홀(231)은 개폐캡(230)의 하측에 결합되는 스크류캡(240)의 제 2 연통홀(241)과 정렬되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이때, 개폐캡(230)의 하부에는 제 1 연통홀(231)과 제 2 연통홀(241)을 연결하기 위한 제 1 삽입돌기(236)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삽입돌기(236)는 제 1 연통홀(231)의 둘레로부터 하측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개폐캡(230)과 스크류캡(240)의 결합 시, 제 2 연통홀(241)의 내측으로 삽입됨으로써 양자를 상호 연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개폐캡(230)은 숄더부(220)와 동기 회전할 수 있다. 즉, 숄더부(220)에 회전력이 인가되면, 개폐캡(230)이 이러한 회전력을 전달받아 숄더부(220)와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개폐캡(230)의 상부에는 숄더부(220)의 결합돌기(221)에 대응하여 적어도 하나의 결합홈(233)이 형성되며, 결합돌기(221)와 결합홈(233)의 결합에 의해 숄더부(220)와 개폐캡(230)은 동기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한편, 개폐캡(230)의 외주면에는 숄더부(220)와의 결합 방향을 안내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정렬돌기(235)가 숄더부(220)의 정렬홈(222)과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
스크류캡(240)은 개폐캡(230)의 하측에 배치되며, 내주면에 용기본체(100)와 결합을 위한 나사 결합부(246)가 형성될 수 있다. 이하 상술되는 바와 같이, 숄더부(220)의 회전력이 개폐캡(230)을 통해 스크류캡(240)에 전달되어, 스크류캡(240)이 숄더부(220) 및 개폐캡(230)과 동기 회전하면, 토출부(200)는 용기본체(100)와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게 된다.
스크류캡(240)의 중심에는 개폐캡(230)의 제 1 연통홀(231)과 연통하는 제 2 연통홀(241)이 형성될 수 있으며, 또한, 스크류캡(240)의 하부에는 이러한 제 2 연통홀(241)과 연통되도록 피펫부(250)가 결합될 수 있다. 즉, 예를 들어, 스크류캡(240)의 하부에는 제 2 삽입돌기(245)가 제 2 연통홀(241)의 둘레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어 돌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제 2 삽입돌기(245)가 피펫부(250)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삽입됨으로써, 피펫부(250)는 제 2 연통홀(241)과 연통하도록 스크류캡(240)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노즐부(210)와 피펫부(250)는 제 1, 제 2 연통홀(231, 241)을 통해 내부가 상호 연통될 수 있다.
스크류캡(240)은 토출부(200)의 회전에 따라 개폐캡(230)과 상대 회전 또는 동기 회전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개폐캡(230)의 하부와 스크류캡(240)의 상부에는 각각 구동돌기(234)와 가이드홈(243)이 서로 대응하여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이드홈(243)은 스크류캡(240)의 상부 둘레를 따라 소정의 길이로 연장 형성될 수 있으며, 숄더부(220)와 개폐캡(230)이 제 1 방향 또는 제 2 방향으로 동기 회전하는 경우, 구동돌기(234)가 이러한 가이드홈(243)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개폐캡(230)과 스크류캡(240)은 상대 회전할 수 있다. 즉, 스크류캡(240)은 고정 상태를 유지하고, 개폐캡(230)만 숄더부(220)과 함께 회전할 수 있다. 한편, 일 실시예에서, 스크류캡(240)의 상부 및 개폐캡(230)의 하부에는, 환형의 결합돌기(244)와 이에 대응하는 결합홈(237)이 각각 더 형성되어 스크류캡(240)과 개폐캡(230)을 상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시키도록 구현될 수 있다.
개폐캡(230)의 제 1 방향 또는 제 2 방향으로의 상대 회전에 따라, 구동돌기(234)가 가이드홈(243)의 단부에 도달하면, 스크류캡(240)은 개폐캡(230)과 동기 회전할 수 있다. 즉, 예를 들어, 개폐캡(230)의 제 2 방향 회전에 의해 구동돌기(234)가 가이드홈(243)을 따라 이동하다가 가이드홈(243)의 단부에 도달하면, 가이드홈(243)의 단부를 가압하여 회전력을 스크류캡(240)에 전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크류캡(240)이 개폐캡(230)과 함께 제 2 방향으로 동기 회전하게 됨으로써, 토출부(200)가 용기본체(10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개폐캡(230)과 스크류캡(240)에는 상술한 적어도 하나의 개폐홀(232, 242)이 서로 대응하여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개폐캡(230)에는 노즐부(210) 내부와 연통하는 1 이상의 제 1 개폐홀(232)이 관통 형성되고, 스크류캡(240)에는 이와 동일한 개수의 제 2 개폐홀(242)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개폐홀(232, 242)의 개폐 구동을 통해, 용기본체(100)와 노즐부(210) 내부는 직접 연통되거나 차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개폐홀(232, 242)은 개폐캡(230)과 스크류캡(240)의 상대 회전에 의해 상호 정렬 또는 어긋남으로써 개방 또는 폐쇄될 수 있다. 즉, 예를 들어, 토출부(200)가 용기본체(100)에 결합된 경우, 개폐캡(230)의 제 1 개폐홀(232)과 스크류캡(240)의 제 2 개폐홀(242)이 상하 정렬되어, 노즐부(210)와 용기본체(100)의 내부와 직접 상호 연통하는 개폐홀(232, 242)의 개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후, 토출부(200)의 분리를 위해 숄더부(220)에 회전력을 인가하여 제 2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구동돌기(234)가 가이드홈(243)을 따라 이동하면서 스크류캡(240)은 고정 상태를 유지하는 반면, 개폐캡(230)은 제 2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개폐홀(232)과 제 2 개폐홀(242)의 정렬이 서로 어긋나게 되어 제 1, 제 2 개폐홀(232, 242)이 닫히게 되고, 노즐부(210)와 용기본체(100)의 내부는 서로 직접 연통하지 않는 차단 상태로 변화할 수 있다. 이때, 계속해서 토출부(200)를 제 2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스크류캡(240)도 결국 제 2 방향으로 회전하여 토출부(200)가 개폐홀(232, 242)이 차단된 상태로 용기본체(100)로부터 분리되게 된다.
한편, 토출부(200)가 분리된 상태에서 토출부(200)를 제 1 방향 회전을 통해 용기본체(100)와 결합하는 경우, 상기 상술한 과정과 유사한 동작을 통해, 개폐홀(232, 242)의 차단 상태에서 개방 상태로 변화할 수 있다.
피펫부(250)는 스크류캡(260)의 하부에 결합되어 용기본체(100)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다. 피펫부(250)의 일 단에는 내용물을 내측으로 흡입(또는, 외부로 토출)하기 위한 흡입공(25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피펫부(250)는 제 2 토출수단으로 기능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노즐부(210)에 대한 가압 또는 가압 해제를 통해, 내용물을 용기본체(100)로부터 피펫부(250) 내부로 흡입하거나, 피펫부(250) 내부에 저장된 내용물을 외부로 토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개폐홀(232, 242)이 폐쇄된 상태(또는, 토출부(200)가 용기본체(100)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피펫부(250)를 용기본체(100) 내부로 삽입한 이후 노즐부(210)의 외면을 가압하였다가 가압 해제하면, 상호 연통된 노즐부(210) 및 피펫부(250) 내부의 압력이 감소하여 용기본체(100) 내부의 내용물이 흡입공(251)을 통해 피펫부(250) 내부로 흡입될 수 있다. 이어서, 사용자가 피펫부(250)를 용기본체(100)로부터 인출하고 노즐부(210) 외면을 다시 가압하면, 피펫부(250) 내부에 저장된 내용물이 흡입공(251)을 통해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노즐캡(260)은 노즐부(210)의 일 단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토출공(211)을 밀폐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노즐부(210) 일 단의 외주면과 노즐캡(260)의 내면에는 각각 나사 결합부(212, 262)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노즐캡(260)이 회전에 의해 노즐부(210)의 일 단에 나사 결합하거나, 이로부터 분리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결합 방식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결합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노즐캡(260)의 내측 상부에는 밀폐돌기(261)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밀폐돌기(261)는 소정의 길이로 하방 돌출되되 토출공(211)에 대응하는 단면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밀폐돌기(261)가 노즐캡(260)과 노즐부(210)의 결합 시 토출공(211) 내측으로 삽입됨으로써, 토출공(211)에 대한 밀폐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동작을 도시한다.
도 7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는 개폐캡(230)과 스크류캡(240)에 각각 형성된 제 1 개폐홀(232)과 제 2 개폐홀(242)의 정렬 여부에 따라, 용기본체(100)와 노즐부(210)의 내부가 직접 연통되거나, 서로 차단될 수 있다.
먼저, 도 7의 (a)를 참조하면, 토출부(200)와 용기본체(100)의 결합 상태에는 제 1, 제 2 개폐홀(232, 242)이 상하 정렬되어 용기본체(100)와 노즐부(210)의 내부가 직접 연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노즐부(210)가 아래를 향하도록 화장품 용기를 기울이는 경우, 용기본체(100)의 내용물이 직접 노즐부(210) 내부로 유입되게 되며, 사용자는 노즐부(210)의 토출공(211)으로 유입된 내용물을 토출시킬 수 있다.
또한, 도 7의 (b)를 참조하면, 예를 들어, 사용자가 토출부(200)를 분리하기 위해 숄더부(220)를 제 2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 개폐캡(230)과 스크류캡(240)이 상대 회전함에 따라 제 1 개폐홀(232)과 제 2 개폐홀(242)은 정렬 위치가 서로 어긋날 수 있다. 이로 인해, 용기본체(100)와 노즐부(210) 내부는 직접 연통되지 않게 서로 차단되게 된다. 이때, 사용자는 숄더부(220)를 제 2 방향으로 계속하여 회전시켜 토출부(200)를 용기본체(100)와 분리한 이후, 피펫부(250)를 통해, 용기본체(100)의 내용물을 흡입 및 토출시킬 수 있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동작을 도시한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노즐부(210)와 피펫부(250) 중 하나를 토출수단으로 선택하여 내용물을 적용 부위로 토출시킬 수 있다.
먼저, 도 8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사용자는 토출부(200)와 용기본체(100)가 결합된 상태로 노즐부(210)를 통해 내용물을 적용 부위로 토출시킬 수 있다(노즐 방식).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노즐캡(260)을 제거하고, 노즐부(210)의 토출공(211)이 하방을 향하도록 기울이면, 개방된 개폐홀(232, 242)을 통해 노즐부(210) 내측으로 내용물이 직접 유입되게 된다. 이어서, 사용자가 노즐부(210)의 외면을 가압하면, 노즐부(210) 내측으로 유입된 내용물이 토출공(211)을 통해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기울어진 화장품 용기를 다시 원래의 상태로 되돌리면, 노즐부(210)에 남은 내용물 증 일부는 개폐홀(232, 242)을 통해 용기본체(100)로 회수되고, 일부는 노즐부(210)와 연통되는 피펫부(250)의 내부로 저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토출부(200)를 분리하여 사용하는 경우, 사용자는 피펫부(250)로 용기본체(100)의 내용물을 흡입할 필요 없이 피펫부(250)에 저장된 내용물을 적용하고자 하는 부위로 바로 토출시킬 수 있다.
또한, 도 9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사용자는 토출부(200)를 용기본체(100)와 분리하여 피펫부(250)를 통해 내용물을 흡입하고, 적용 부위로 토출시킬 수 있다(피펫 방식).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숄더부(220)에 회전력을 인가하여 토출부(200)를 제 2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용기본체(100)로부터 토출부(200)를 분리할 수 있다. 이때, 앞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이러한 분리 과정에서, 개폐홀(232, 242)이 폐쇄됨으로써, 노즐부(210)는 용기본체(100)와 직접 연통하지 않도록 서로 차단되게 된다. 이어서, 사용자가 피펫부(250)를 용기본체(100)에 삽입하고, 노즐부(210)에 대한 가압 후 가압을 해제하면, 흡입공(251)을 통해 피펫부(250) 내부로 내용물이 흡입된다. 이후, 사용자는 피펫부(250)를 인출하고, 다시 노즐부(210)를 가압하여, 피펫부(250) 내부로 흡입된 내용물을 적용 부위로 토출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용기본체 110: 배출공
120: 와이퍼 200: 토출부
210: 노즐부 220: 숄더부
230: 개폐캡 240: 스크류캡
250: 피펫부 260: 노즐캡

Claims (10)

  1. 이중 토출수단을 구비한 화장품 용기로서,
    내용물이 저장되는 용기본체; 및
    상기 용기본체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용기본체 내부의 내용물을 외부로 토출하는 토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토출부는,
    상기 토출부를 상기 용기본체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키며, 내측에 적어도 하나의 개폐홀이 형성되는 결합부;
    상기 결합부의 상부에 배치되며, 일 단에 토출공이 형성되는 노즐부;
    상기 노즐부와 상호 연통하도록 상기 노즐부와 대향하여 상기 결합부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용기본체의 내측에 삽입되며, 일 단에 흡입공이 형성되는 피펫부; 및
    상기 노즐부의 일 단에 결합되어 상기 토출공을 밀폐하는 노즐캡을 포함하며,
    상기 토출부와 상기 용기본체의 결합 시, 상기 개폐홀을 통해 상기 노즐부와 상기 용기본체의 내부가 연통되어, 상기 노즐캡이 상기 노즐부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토출공이 하방을 향하도록 상기 화장품 용기가 기울어지면, 상기 용기본체의 내용물이 상기 노즐부 내측으로 직접 유입되어 상기 토출공으로 토출되고,
    상기 토출부와 상기 용기본체의 분리에 따라 상기 개폐홀이 폐쇄됨으로써 상기 노즐부와 상기 용기본체의 내부가 서로 차단되며, 상기 노즐부에 대한 사용자의 가압 또는 가압 해제에 따라, 상기 피펫부의 내부 압력이 변화하여 내용물이 상기 흡입공을 통해 흡입되거나, 외부로 토출되는, 화장품 용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부는 연성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노즐부 내측으로 유입된 내용물은 상기 노즐부에 대한 사용자의 가압에 따라 상기 토출공을 통해 외부로 토출되는, 화장품 용기.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토출부의 제 1 방향 또는 상기 제 1 방향과 반대되는 제 2 방향 회전에 따라 상기 용기본체와 결합 또는 분리되며,
    상기 개폐홀은 상기 토출부의 상기 제 1 방향 회전에 따라 개방되고, 상기 제 2 방향 회전에 따라 폐쇄되는, 화장품 용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노즐부의 다른 일 단이 내측으로 관통되며, 사용자로부터 회전력이 인가되는 숄더부;
    상기 숄더부의 내측에 상기 숄더부와 동기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부에 상기 노즐부의 다른 일 단이 결합되는 개폐캡; 및
    상기 개폐캡의 하측에 결합되며, 내측에 상기 용기본체와 결합을 위한 나사 결합부가 형성되는 스크류캡을 포함하고,
    상기 개폐홀은, 상기 개폐캡에 관통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개폐홀과 상기 스크류캡에 상기 제 1 개폐홀에 대응하여 관통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개폐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개폐홀과 상기 제 2 개폐홀은 상기 토출부의 상기 제 1 방향 또는 상기 제 2 방향 회전에 따라 상호 정렬되거나 어긋남으로써 개방 또는 폐쇄되는, 화장품 용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숄더부의 내측에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개폐캡의 상부에는 상기 결합돌기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홈이 형성되어,
    상기 결합돌기와 상기 결합홈의 결합에 의해 상기 숄더부와 상기 개폐캡은 동기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화장품 용기.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캡의 외주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정렬돌기가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숄더부의 내주면에는 상기 정렬돌기가 삽입되어 상기 개폐캡과 상기 숄더부의 결합 방향을 안내하는 적어도 하나의 정렬홈이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화장품 용기.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캡의 하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구동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스크류캡의 상부에는 상기 구동돌기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홈이 둘레를 따라 소정이 길이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개폐캡의 상기 제 1 방향 또는 상기 제 2 방향 회전에 따라 상기 구동돌기가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상기 개폐캡과 상기 스크류캡이 상대 회전하며, 상기 개폐캡과 상기 스크류캡의 상대 회전에 의해 상기 개폐홀이 개방 또는 폐쇄되는, 화장품 용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캡의 상기 제 1 방향 또는 상기 제 2 방향 회전에 따라 상기 구동돌기가 상기 가이드홈의 단부에 도달하면, 상기 개폐캡의 회전력이 상기 스크류캡에 전달되어 상기 개폐캡과 상기 스크류캡이 동기 회전하는, 화장품 용기.
KR1020180122468A 2018-10-15 2018-10-15 이중 토출수단을 구비한 화장품 용기 KR1021250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2468A KR102125080B1 (ko) 2018-10-15 2018-10-15 이중 토출수단을 구비한 화장품 용기
CN201980067709.4A CN112911965A (zh) 2018-10-15 2019-09-05 具有双重排出装置的化妆品容器
PCT/KR2019/011489 WO2020080678A1 (ko) 2018-10-15 2019-09-05 이중 토출수단을 구비한 화장품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2468A KR102125080B1 (ko) 2018-10-15 2018-10-15 이중 토출수단을 구비한 화장품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2191A KR20200042191A (ko) 2020-04-23
KR102125080B1 true KR102125080B1 (ko) 2020-07-07

Family

ID=702846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2468A KR102125080B1 (ko) 2018-10-15 2018-10-15 이중 토출수단을 구비한 화장품 용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2125080B1 (ko)
CN (1) CN112911965A (ko)
WO (1) WO202008067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8504A (ko) * 2021-04-29 2022-11-07 펌텍코리아 (주) 잔량 방지 스포이드 용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5289Y1 (ko) 2005-03-17 2005-05-25 주식회사 요진코스메플라스트 화장품 용기
KR200439647Y1 (ko) * 2007-06-22 2008-04-25 (주)아모레퍼시픽 화장품 용기 캡
KR200468340Y1 (ko) * 2012-06-20 2013-08-07 (주)아모레퍼시픽 슬라이딩 회전에 의해서 혼합되는 이액형 혼합 화장용기
KR101560642B1 (ko) * 2013-12-30 2015-10-15 (주)연우 이종 어플리케이터가 구비된 용기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8327B1 (ko) * 2011-06-30 2013-07-22 (주)연우 팝업식 드로퍼
KR101265949B1 (ko) * 2011-07-26 2013-05-21 (주)연우 펌핑식 화장품 용기
KR20130058821A (ko) * 2011-11-28 2013-06-05 (주)연우 튜브형 화장품용기
FR2991307B1 (fr) * 2012-06-01 2015-05-15 Chanel Parfums Beaute Distributeur de produit visqueux
KR101363349B1 (ko) * 2012-08-30 2014-02-17 (주)연우 이중 배출수단을 갖는 튜브형 화장품용기
KR101587785B1 (ko) * 2014-05-20 2016-01-22 (주)연우 액체용기용 정량 토출장치
KR101596209B1 (ko) * 2014-08-26 2016-02-22 주식회사 종우실업 수동식 드롭퍼
FR3026726B1 (fr) * 2014-10-06 2016-11-25 Oreal Dispositif de conditionnement et d'application au moyen d'une pipette
KR101572007B1 (ko) * 2015-09-15 2015-11-25 황재광 자동 충전 스포이트형 화장품 용기
KR20170090188A (ko) * 2016-01-28 2017-08-07 이은석 펌핑형 화장품 용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5289Y1 (ko) 2005-03-17 2005-05-25 주식회사 요진코스메플라스트 화장품 용기
KR200439647Y1 (ko) * 2007-06-22 2008-04-25 (주)아모레퍼시픽 화장품 용기 캡
KR200468340Y1 (ko) * 2012-06-20 2013-08-07 (주)아모레퍼시픽 슬라이딩 회전에 의해서 혼합되는 이액형 혼합 화장용기
KR101560642B1 (ko) * 2013-12-30 2015-10-15 (주)연우 이종 어플리케이터가 구비된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080678A1 (ko) 2020-04-23
CN112911965A (zh) 2021-06-04
KR20200042191A (ko) 2020-04-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444784B (zh) 具有改善的生产率和密封能力的异类内容物混合容器
CN104603019B (zh) 用于自动填充和固定量分配的注射器式容器盖
KR101789573B1 (ko) 스포이드형 화장품 용기
WO2010114101A1 (ja) 用時混合容器
JP2004267776A (ja) 医用流体のための移送装置
US10675647B2 (en) Discharge container for heterogeneous contents
JPH1176883A (ja) 改良されたポンプ手段を備えた液体製品またはペースト状製品のためのディスペンサ
US20180079584A1 (en) Mixing container for heterogeneous content
EP3714989A1 (en) Cosmetic container
KR101270347B1 (ko) 자동충전 및 정량 토출 스포이드형 용기캡
CN110225798B (zh) 包括替换件或组件的产品分配设备
KR20200085505A (ko) 버튼 출몰식 화장품 용기
CN205495477U (zh) 具有容器穿孔部件的多相液体混合容器
US20200222927A1 (en) Device for dispensing a fluid, cartridge for a device, manufacturing method and priming method
KR101465886B1 (ko) 자동충전 스포이드형 용기캡
KR101611211B1 (ko) 전량 사용 가능한 구조를 갖는 용기
KR102125080B1 (ko) 이중 토출수단을 구비한 화장품 용기
JP7032562B2 (ja) 液体容器用定量吐出装置
US11925947B2 (en) Fluid dispenser
CN109803715B (zh) 用于含有液体的医疗包装的连接器
JP6173892B2 (ja) 二重容器
EP4238449A1 (en) Contents container
KR101781112B1 (ko) 화장품용기
KR102307992B1 (ko) 이종 내용물 혼합형 화장품 용기
JP6193175B2 (ja) 二重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