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0903B1 - 자동 충전 스포이트형 화장품 용기 - Google Patents

자동 충전 스포이트형 화장품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0903B1
KR101780903B1 KR1020160180626A KR20160180626A KR101780903B1 KR 101780903 B1 KR101780903 B1 KR 101780903B1 KR 1020160180626 A KR1020160180626 A KR 1020160180626A KR 20160180626 A KR20160180626 A KR 20160180626A KR 101780903 B1 KR101780903 B1 KR 1017809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rical
cosmetic container
eyedropper
opening
push but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806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주
황재광
Original Assignee
이영주
황재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주, 황재광 filed Critical 이영주
Priority to KR10201601806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09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09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09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3/00Containers or dishes for laboratory use, e.g. laboratory glassware; Droppers
    • B01L3/02Burettes; Pipettes
    • B01L3/0203Burettes, i.e. for withdrawing and redistributing liquids through different conduit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2034/002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32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brushes or rods for applying or stirring cont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 충전 스포이트형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내부에 화장품이 수용되고 상측에 개구부(1a)가 형성된 화장품 용기(1)와, 상기 화장품 용기(1)의 개구부(1a)에 나사 결합되어 화장품 용기(1) 내의 내용액을 흡입 및 토출하는 자동 충전 스포이트(100)로 이루어진 자동 충전 스포이트형 화장품 용기에 있어서, 상기 자동 충전 스포이트(100)는, 상기 화장품 용기(1) 내의 내용액을 흡입 및 토출하는 통로인 스포이트관(110)과; 상기 스포이트관(110)의 상단 내주연에 삽입 결합되는 상하부가 개구된 원통 형상의 부재이고, 가장 외측의 원통부(121)와, 상기 원통부(121)의 중간에 바닥면을 형성하는 중간 바닥부(122)와, 상기 중간 바닥부(122)의 중앙에 관통되어 상기 스포이트관(110)의 상단 내주연에 삽입되도록 하부로 돌설된 하부돌설관(123)과, 상기 중간 바닥부(122) 상부로 돌설되어 상기 원통부(121)의 내주면과 원주형 홈(124)을 형성하는 중간 돌설벽(125)으로 이루어진 원통형 내부부재(120)와; 상하부가 개구된 원통형 부재로서, 내주연 중앙에 상기 원통형 내부부재(120)의 원통부(121)의 하단을 받치도록 형성된 내주돌기(131)와, 상기 내주돌기(131)의 하부 내주연에 상기 화장품 용기(1)의 개구부(1a)와 나사 결합되도록 형성된 암나사(132)와, 상기 내주돌기(131)의 상부 내주연에 상기 원통형 내부부재(120)의 원통부(121) 외주연을 밀착하는 밀착부(133)로 이루어진 원통형 중간부재(130)와; 개구된 하부단(141)이 상기 원통형 내부부재(120)의 원주형 홈(124)에 삽입되고, 상부는 폐쇄된 돔형상부(142)가 형성된 눌려질 수 있는 플렉시블한 재질의 원통형 부재로서, 상기 돔형상부(142)의 하부에 외주측으로 돌설되어 상기 원통형 중간부재(130)의 상면에 하면이 지지되고, 상면에 원주방향으로 원주형 요홈(143)이 형성된 플렌지부(144)로 이루어진 푸시버튼(140)과; 상하부가 개구된 원통형상의 부재로서, 상기 원통형 중간부재(130)의 외주벽과 상기 푸시버튼(140)의 플렌지부(144)의 외주벽에 밀착 고정되는 외주벽부(151)와, 상부면에 디귿자형상으로 절곡되어 상기 푸시버튼(140)의 원주형 요홈(143)에 끼워져 고정되는 고정절곡부(152)로 이루어진 원통형 외관부재(150)와; 봉 형상의 부재로서, 상부는 눌려질 수 있도록 되어 상기 돔형상부(142) 내에 삽입되어 있는 고리형상부(161)와, 상기 고리형상부(161)의 하단에 연결되어 상기 원통형 내부부재(120)의 하부돌설관(123) 내에 삽입되는 봉형상부(162)로 이루어진 스포이트관 개폐부재(16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복잡한 조작없이 자동 충전 스포이트를 화장품 용기에 결합하여 액상의 화장품 내용액을 일정량 자동 충전하고, 일정량씩 토출되어 사용하기 편리할 뿐만 아니라 내용액 흡입과정에서 내용액과 고무가 만나 발생되는 고무의 변형 등 문제가 발생되지 않도록 내용액이 푸시버튼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원천 차단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Description

자동 충전 스포이트형 화장품 용기{Cosmetic vessel of automatic filling up spuit type}
본 발명은 자동 충전 스포이트형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복잡한 조작없이 자동 충전 스포이트를 화장품 용기에 결합하여 액상의 화장품 내용액이 일정량 자동 충전하고, 일정량씩 토출되어 사용하기 편리할 뿐만 아니라 내용액이 스포이트관을 통과해 푸시버튼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여 푸시버튼의 고무재질이 내용액과 만나서 생기는 모든 문제를 해결한 자동 충전 스포이트형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이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154067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고가의 에센스 등 한 번에 소량을 사용하되 정확하게 정량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 화장품 등 액체 상태의 내용물을 사용하는 방법으로 기존에는 각 사용 회차마다 사용할 양만큼 캡슐 등의 형태로 개별 포장하는 방식이 사용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개별 포장 방식은 사용자가 내용액을 사용한 후에도 비교적 많은 양이 캡슐 내부에 남아있게 되므로, 극히 비효율적이라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개별 포장 방식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내용액을 용기에 수용한 후 일반적인 스포이트나 푸쉬 펌프(push pump)의 구성을 가지는 인출수단을 사용하여 사용할 때 마다 내용액을 인출하여 사용하는 구성이 고안되었다.
그러나, 일반적인 스포이트 구조의 인출 수단의 경우 고무로 된 압착부를 사용자가 누르는 정도에 따라 흡입되어 인출되는 양이 변동되므로, 사용할 때마다 정확하게 일정량을 인출하는 것이 불가능하거나 대단히 어렵다는 단점과 내용액 흡입과정에서 내용액과 고무가 만나 발생되는 고무의 변형 등 문제가 있었다.
또한, 푸쉬 펌프(push pump)의 구성을 가지는 인출수단의 경우 단순히 버튼을 누르기만 하면 그때마다 일정량의 내용액을 인출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펌프의 내부와 외부를 형성하는 구조체는 물론 버튼, 흡입구, 토출구, 스프링 및 밸브 구조체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기에 비교적 그 구성이 복잡하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주로 용기의 상부에 설치되는 푸쉬 펌프(push pump)의 특성상 내용액의 흡입을 위하여 흡입 튜브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나, 이 경우에는 흡입 튜브의 위치에 따라 용기 안에 내용액이 남아있는 상태에서도 내용액의 인출이 불가능한 경우가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요망에 부응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복잡한 조작없이 자동 충전 스포이트를 화장품 용기에 결합하여 액상의 화장품 내용액을 일정량 자동 충전하고, 일정량씩 토출되어 사용하기 편리할 뿐만 아니라 내용액 흡입과정에서 내용액과 고무가 만나 발생되는 고무의 변형 등 문제가 발생되지 않도록 내용액이 푸시버튼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원천 차단하도록 한 자동 충전 스포이트형 화장품 용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자동 충전 스포이트형 화장품 용기는, 내부에 화장품이 수용되고 상측에 개구부(1a)가 형성된 화장품 용기(1)와, 상기 화장품 용기(1)의 개구부(1a)에 나사 결합되어 화장품 용기(1) 내의 내용액을 흡입 및 토출하는 자동 충전 스포이트(100)로 이루어진 자동 충전 스포이트형 화장품 용기에 있어서, 상기 자동 충전 스포이트(100)는, 상기 화장품 용기(1) 내의 내용액을 흡입 및 토출하는 통로인 스포이트관(110)과; 상기 스포이트관(110)의 상단 내주연에 삽입 결합되는 상하부가 개구된 원통 형상의 부재이고, 가장 외측의 원통부(121)와, 상기 원통부(121)의 중간에 바닥면을 형성하는 중간 바닥부(122)와, 상기 중간 바닥부(122)의 중앙에 관통되어 상기 스포이트관(110)의 상단 내주연에 삽입되도록 하부로 돌설된 하부돌설관(123)과, 상기 중간 바닥부(122) 상부로 돌설되어 상기 원통부(121)의 내주면과 원주형 홈(124)을 형성하는 중간 돌설벽(125)으로 이루어진 원통형 내부부재(120)와; 상하부가 개구된 원통형 부재로서, 내주연 중앙에 상기 원통형 내부부재(120)의 원통부(121)의 하단을 받치도록 형성된 내주돌기(131)와, 상기 내주돌기(131)의 하부 내주연에 상기 화장품 용기(1)의 개구부(1a)와 나사 결합되도록 형성된 암나사(132)와, 상기 내주돌기(131)의 상부 내주연에 상기 원통형 내부부재(120)의 원통부(121) 외주연을 밀착하는 밀착부(133)로 이루어진 원통형 중간부재(130)와; 개구된 하부단(141)이 상기 원통형 내부부재(120)의 원주형 홈(124)에 삽입되고, 상부는 폐쇄된 돔형상부(142)가 형성된 눌려질 수 있는 플렉시블한 재질의 원통형 부재로서, 상기 돔형상부(142)의 하부에 외주측으로 돌설되어 상기 원통형 중간부재(130)의 상면에 하면이 지지되고, 상면에 원주방향으로 원주형 요홈(143)이 형성된 플렌지부(144)로 이루어진 푸시버튼(140)과; 상하부가 개구된 원통형상의 부재로서, 상기 원통형 중간부재(130)의 외주벽과 상기 푸시버튼(140)의 플렌지부(144)의 외주벽에 밀착 고정되는 외주벽부(151)와, 상부면에 디귿자형상으로 절곡되어 상기 푸시버튼(140)의 원주형 요홈(143)에 끼워져 고정되는 고정절곡부(152)로 이루어진 원통형 외관부재(150)와; 봉 형상의 부재로서, 상부는 눌려질 수 있도록 되어 상기 돔형상부(142) 내에 삽입되어 있는 고리형상부(161)와, 상기 고리형상부(161)의 하단에 연결되어 상기 원통형 내부부재(120)의 하부돌설관(123) 내에 삽입되는 봉형상부(162)로 이루어진 스포이트관 개폐부재(16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자동 충전 스포이트형 화장품 용기에 의하면, 복잡한 조작없이 자동 충전 스포이트를 화장품 용기에 결합하여 액상의 화장품 내용액을 일정량 자동 충전하고, 일정량씩 토출되어 사용하기 편리할 뿐만 아니라 내용액 흡입과정에서 내용액과 고무가 만나 발생되는 고무의 변형 등 문제가 발생되지 않도록 내용액이 푸시버튼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원천 차단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자동 충전 스포이트형 화장품 용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자동 충전 스포이트형 화장품 용기를 도시한 조립 단면도이며,
도 3a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자동 충전 스포이트형 화장품 용기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3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자동 충전 스포이트형 화장품 용기를 도시한 사용상태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자동 충전 스포이트형 화장품 용기를 도시한 외관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자동 충전 스포이트형 화장품 용기를 도시한 분해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자동 충전 스포이트형 화장품 용기를 도시한 조립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자동 충전 스포이트형 화장품 용기의 푸시버튼을 눌렀을 때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자동 충전 스포이트형 화장품 용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자동 충전 스포이트형 화장품 용기를 도시한 조립 단면도이며, 도 3a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자동 충전 스포이트형 화장품 용기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3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자동 충전 스포이트형 화장품 용기를 도시한 사용상태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자동 충전 스포이트형 화장품 용기를 도시한 외관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자동 충전 스포이트형 화장품 용기는, 내부에 화장품이 수용되고 상측에 개구부(1a)가 형성된 화장품 용기(1)와, 상기 화장품 용기(1)의 개구부(1a)에 나사 결합되어 화장품 용기(1) 내의 내용액을 흡입 및 토출하는 자동 충전 스포이트(100)로 이루어진다.
상기 자동 충전 스포이트(100)는, 상기 화장품 용기(1) 내의 내용액을 흡입 및 토출하는 통로인 스포이트관(110)과; 상기 스포이트관(110)의 상단 내주연에 삽입 결합되는 상하부가 개구된 원통 형상의 부재이고, 가장 외측의 원통부(121)와, 상기 원통부(121)의 중간에 바닥면을 형성하는 중간 바닥부(122)와, 상기 중간 바닥부(122)의 중앙에 관통되어 상기 스포이트관(110)의 상단 내주연에 삽입되도록 하부로 돌설된 하부돌설관(123)과, 상기 중간 바닥부(122) 상부로 돌설되어 상기 원통부(121)의 내주면과 원주형 홈(124)을 형성하는 중간 돌설벽(125)으로 이루어진 원통형 내부부재(120)와; 상하부가 개구된 원통형 부재로서, 내주연 중앙에 상기 원통형 내부부재(120)의 원통부(121)의 하단을 받치도록 형성된 내주돌기(131)와, 상기 내주돌기(131)의 하부 내주연에 상기 화장품 용기(1)의 개구부(1a)와 나사 결합되도록 형성된 암나사(132)와, 상기 내주돌기(131)의 상부 내주연에 상기 원통형 내부부재(120)의 원통부(121) 외주연을 밀착하는 밀착부(133)로 이루어진 원통형 중간부재(130)와; 개구된 하부단(141)이 상기 원통형 내부부재(120)의 원주형 홈(124)에 삽입되고, 상부는 폐쇄된 돔형상부(142)가 형성된 눌려질 수 있는 플렉시블한 재질의 원통형 부재로서, 상기 돔형상부(142)의 하부에 외주측으로 돌설되어 상기 원통형 중간부재(130)의 상면에 하면이 지지되고, 상면에 원주방향으로 원주형 요홈(143)이 형성된 플렌지부(144)로 이루어진 푸시버튼(140)과; 상하부가 개구된 원통형상의 부재로서, 상기 원통형 중간부재(130)의 외주벽과 상기 푸시버튼(140)의 플렌지부(144)의 외주벽에 밀착 고정되는 외주벽부(151)와, 상부면에 디귿자형상으로 절곡되어 상기 푸시버튼(140)의 원주형 요홈(143)에 끼워져 고정되는 고정절곡부(152)로 이루어진 원통형 외관부재(150)와; 봉 형상의 부재로서, 상부는 눌려질 수 있도록 되어 상기 돔형상부(142) 내에 삽입되어 있는 고리형상부(161)와, 상기 고리형상부(161)의 하단에 연결되어 상기 원통형 내부부재(120)의 하부돌설관(123) 내에 삽입되는 봉형상부(162)로 이루어진 스포이트관 개폐부재(160)와; 상기 화장품 용기(1)의 개구부(1a)의 내주연에 삽입되어 상기 스포이트관(110)의 외주면에 묻어 있는 화장액을 훑어 내는 와이퍼(wiper)(1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스포이트관 개폐부재(160)의 봉형상부(162) 중간에는 원주방향으로 다수의 홈(162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하부돌설관(123)의 상부 내주연에는 상기 스포이트관 개폐부재(160)의 봉형상부(162)의 외주연과 밀착되는 밀착돌기(123a)가 내주측으로 돌설되어 있다.
미설명부호 180은 원통형 내부부재(120)의 중간 바닥부(122)의 하부면에 상기 스포이트관(110)의 상부 지지플렌지(111)에 의해 지지되어 삽입된 환형의 패킹이다.
상기 와이퍼(170)는, 원통형의 부재로서, 그 상면에 상기 화장품 용기(1)의 개구부(1a) 상면에 안착되도록 외주측으로 돌설된 안착플렌지(171)와, 상기 안착플렌지(171)에서 하부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스포이트관(110)의 외주면과 접촉되도록 하부 중심이 천공되되 상부의 안착 플렌지(171)의 내경보다 더 작게 형성된 천공부(172)와, 상기 천공부(172)의 상부 외주면에 동일한 간격으로 다수개 절결된 에어밴트홀(173)로 이루어진다.
상기 에어밴트홀(173)은 화장품 용기(1) 내의 진공 상태를 해제하는 역할을 한다.
다음에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자동 충전 스포이트형 화장품 용기의 작동 및 효과를 설명한다.
먼저, 상기 자동 충전 스포이트(100)의 조립 과정을 설명하면, 원통형 외관부재(150)의 하부를 통해 푸시버튼(140)을 삽입하게 되는 바, 푸시버튼(140)의 원주형 요홈(143)에 원통형 외관부재(150)의 고정절곡부(152)를 삽입하고, 푸시버튼(140)의 하부단(141)이 원통형 내부부재(120)의 원주형 홈(124)에 삽입되도록 하며, 원통형 내부부재(120)의 원통부(121)의 하부와 외주연을 지지하도록 원통형 중간부재(130)를 원통형 외관부재(150)에 끼운다.
그리고, 상기 스포이드관(110)의 상부단을 하부로 돌출된 하부돌설관(123)의 외주연에 끼운다.
그리고, 화장품 용기(1)의 개구부(1a) 내주면에 와이퍼(170)를 삽입하고, 이 와이퍼(170)의 하단 천공부(172)에 상기 스포이트관(110)을 위에서부터 삽입하고, 상기 개구부(1a)와 암나사(132)가 나사 결합되어 조립이 완성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화장품 용기(1)의 개구부(1a)와 암나사(132)가 나사 결합, 즉, 자동 충전 스포이드(100)가 화장품 용기(1)의 개구부(1a)를 폐쇄한 상태에서, 이를 사용하기 위해 상기 푸시버튼(140)의 돔형상부(142)를 누르면, 돔형상부(142)의 내부에 삽입되어 있는 스포이트관 개폐부재(160)의 고리형상부(161)가 눌려지면서 봉형상부(162)가 하강하게 되고, 봉형상부(162)의 다수의 홈(162a)이 하부돌설관(123)의 내주연에 위치하면서 스포이트관(110) 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게 된다. 이 상태에서 돔형상부(142)의 누름을 해제하면 푸시버튼(140) 내의 체적이 증가하면서 스포이트관(110)으로 화장품 내용물이 빠르게 흡입된다. 고리형상부(161)가 완전히 상승하면 상기 하부돌설관(123)의 상부 내주연에 돌설된 밀착돌기(123a)가 상기 스포이트관 개폐부재(160)의 봉형상부(162)의 외주연과 밀착되어 외부의 공기가 스포이트관(110) 내로 유입되지 않도록 한다.
즉, 푸시버튼(160)의 고리형상부(161)의 누름량 만큼 정량 흡입 및 토출되고, 상기 하부돌설관(123)의 상부 내주연에 돌설된 밀착돌기(123a)가 상기 스포이트관 개폐부재(160)의 봉형상부(162)의 외주연과 밀착되어 외부의 공기가 스포이트관(110) 내로 유입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화장품이 오염되지 않도록 한다.
[제2실시예]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자동 충전 스포이트형 화장품 용기를 도시한 분해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자동 충전 스포이트형 화장품 용기를 도시한 조립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자동 충전 스포이트형 화장품 용기의 푸시버튼을 눌렀을 때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자동 충전 스포이트형 화장품 용기는, 내부에 화장품이 수용되고 상측에 개구부(1a)가 형성된 화장품 용기(1)와, 상기 화장품 용기(1)의 개구부(1a)에 나사 결합되어 화장품 용기(1) 내의 내용액을 흡입 및 토출하는 자동 충전 스포이트(200)로 이루어진다.
상기 자동 충전 스포이트(200)는, 상기 화장품 용기(1) 내의 내용액을 흡입 및 토출하는 통로인 스포이트관(210)과; 상기 스포이트관(210)의 상단 내주연에 삽입 결합되는 상하부가 개구된 원통 형상의 부재이고, 가장 외측의 원통부(221)와, 상기 원통부(221)의 중간에 바닥면을 형성하는 중간 바닥부(222)와, 상기 중간 바닥부(222)의 중앙에 관통되어 상기 스포이트관(210)의 상단 내주연에 삽입되도록 하부로 돌설된 하부돌설관(223)과, 상기 중간 바닥부(222) 상부로 돌설되어 상기 원통부(221)의 내주면과 원주형 홈(224)을 형성하는 중간 돌설벽(225)으로 이루어진 원통형 내부부재(220)와; 상하부가 개구된 원통형 부재로서, 내주연 중앙에 상기 원통형 내부부재(220)의 원통부(221)의 하단을 받치도록 형성된 내주돌기(231)와, 상기 내주돌기(231)의 하부 내주연에 상기 화장품 용기(1)의 개구부(1a)와 나사 결합되도록 형성된 암나사(232)와, 상기 내주돌기(231)의 상부 내주연에 상기 원통형 내부부재(220)의 원통부(221) 외주연을 밀착하는 밀착부(233)로 이루어진 원통형 중간부재(230)와; 개구된 하부단(241)이 상기 원통형 내부부재(220)의 원주형 홈(224)에 삽입되고, 상부는 폐쇄된 상부누름부(242)가 형성된 눌려질 수 있는 플렉시블한 재질의 원통형 부재로서, 상기 상부누름부(242)의 하부에 외주측으로 돌설되어 상기 원통형 중간부재(230)의 상면에 하면이 지지되고, 상면에 원주방향으로 원주형 요홈(243)이 형성된 플렌지부(244)로 이루어진 푸시버튼(240)과; 상하부가 개구된 원통형상의 부재로서, 상기 원통형 중간부재(230)의 외주벽과 상기 푸시버튼(240)의 플렌지부(244)의 외주벽에 밀착 고정되는 외주벽부(251)와, 상부면에 상기 푸시버튼(240)의 원주형 요홈(243)에 끼워져 고정되는 고정절곡부(252)가 형성된 원통형 외관부재(250)와; 봉 형상의 부재로서, 상기 푸시버튼(240)의 상부누름부(242)의 하면 돌기(242a)에 끼워진 누름봉(260)과; 상기 화장품 용기(1)의 개구부(1a)의 내주연에 삽입되어 상기 스포이트관(110)의 외주면에 묻어 있는 화장액을 훑어 내는 와이퍼(wiper)(2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누름봉(260)의 중간에는 원주방향으로 다수의 홈(26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하부돌설관(223)의 상부 내주연에는 상기 누름봉(260)의 외주연과 밀착되는 밀착돌기(223a)가 내주측으로 돌설되어 있다.
미설명부호 280은 원통형 내부부재(220)의 중간 바닥부(222)의 하부면에 상기 스포이트관(210)의 상부 지지플렌지(211)에 의해 지지되어 삽입된 환형의 패킹이다.
상기 와이퍼(270)는, 원통형의 부재로서, 그 상면에 상기 화장품 용기(1)의 개구부(1a) 상면에 안착되도록 외주측으로 돌설된 안착플렌지(271)와, 상기 안착플렌지(271)에서 하부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스포이트관(210)의 외주면과 접촉되도록 하부 중심이 천공되되 상부의 안착 플렌지(271)의 내경보다 더 작게 형성된 천공부(272)와, 상기 천공부(272)의 상부 외주면에 동일한 간격으로 다수개 절결된 에어밴트홀(273)로 이루어진다.
상기 에어밴트홀(273)은 화장품 용기(1) 내의 진공 상태를 해제하는 역할을 한다.
다음에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자동 충전 스포이트형 화장품 용기의 작동 및 효과를 설명한다.
먼저, 상기 자동 충전 스포이트(200)의 조립 과정을 설명하면, 원통형 외관부재(250)의 하부를 통해 푸시버튼(240)을 삽입하게 되는 바, 푸시버튼(240)의 원주형 요홈(243)에 원통형 외관부재(250)의 고정절곡부(252)를 삽입하고, 푸시버튼(240)의 하부단(241)이 원통형 내부부재(220)의 원주형 홈(224)에 삽입되도록 하며, 원통형 내부부재(220)의 원통부(221)의 하부와 외주연을 지지하도록 원통형 중간부재(230)를 원통형 외관부재(250)에 끼운다.
그리고, 상기 스포이드관(110)의 상부단을 하부로 돌출된 하부돌설관(223)의 외주연에 끼운다.
그리고, 화장품 용기(1)의 개구부(1a) 내주면에 와이퍼(270)를 삽입하고, 이 와이퍼(270)의 하단 천공부(272)에 상기 스포이트관(210)을 위에서부터 삽입하고, 상기 개구부(1a)와 암나사(232)가 나사 결합되어 조립이 완성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화장품 용기(1)의 개구부(1a)와 암나사(232)가 나사 결합, 즉, 자동 충전 스포이드(200)가 화장품 용기(1)의 개구부(1a)를 폐쇄한 상태에서, 이를 사용하기 위해 상기 푸시버튼(240)의 상부누름부(242)를 누르면, 누름부(242)의 하부돌기(242a)에 삽입되어 있는 누름봉(260)이 눌려져 하강하게 되고, 누름봉(260)의 다수의 홈(261)이 하부돌설관(223)의 내주연에 위치하면서 스포이트관(210) 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게 된다. 이 상태에서 상부누름부(242)의 누름을 해제하면 푸시버튼(240) 내의 체적이 증가하면서 화장품 내용물이 스포이트관(210)으로 빠르게 흡입된다. 누름봉(260)이 완전히 상승하면 상기 하부돌설관(223)의 상부 내주연에 돌설된 밀착돌기(223a)가 상기 누름봉(260)의 외주연과 밀착되어 외부의 공기가 스포이트관(210) 내로 유입되지 않도록 한다.
즉, 푸시버튼(240)의 상부누름부(242)의 누름량 만큼 정량 흡입 및 토출되고, 상기 하부돌설관(223)의 상부 내주연에 돌설된 밀착돌기(223a)가 상기 누름봉(260)의 외주연과 밀착되어 외부의 공기가 스포이트관(210) 내로 유입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화장품이 오염되지 않도록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이 당업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변형 실시될 가능성이 자명하며, 이러한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사상에 포함된다할 것이다.
1 : 화장품 용기 1a : 개구부
100 : 자동 충전 스포이트 110, 210 : 스포이트관
120, 220 : 원통형 내부부재 121, 221 : 원통부
122, 222 : 중간 바닥부 123, 223 : 하부돌설관
124, 224 : 원주형 홈 130, 230 : 원통형 중간부재
131, 231 : 내주돌기 132, 232 : 암나사
133, 233 : 밀착부 140, 240 : 푸시버튼
141, 241 : 하부단 142, 242 : 돔형상부, 상부누름부
143, 243 : 원주형 요홈 144, 244 : 플렌지부
150, 250 : 원통형 외관부재 151, 251 : 외주벽부
152, 252 : 고정절곡부 160 : 스포이트관 개폐부재
260 : 누름봉 161 : 고리형상부
162 : 봉형상부 261 : 다수의 홈

Claims (4)

  1. 내부에 화장품이 수용되고 상측에 개구부(1a)가 형성된 화장품 용기(1)와, 상기 화장품 용기(1)의 개구부(1a)에 나사 결합되어 화장품 용기(1) 내의 내용액을 흡입 및 토출하는 자동 충전 스포이트(100)로 이루어진 자동 충전 스포이트형 화장품 용기에 있어서,
    상기 자동 충전 스포이트(100)는, 상기 화장품 용기(1) 내의 내용액을 흡입 및 토출하는 통로인 스포이트관(110)과;
    상기 스포이트관(110)의 상단 내주연에 삽입 결합되는 상하부가 개구된 원통 형상의 부재이고, 가장 외측의 원통부(121)와, 상기 원통부(121)의 중간에 바닥면을 형성하는 중간 바닥부(122)와, 상기 중간 바닥부(122)의 중앙에 관통되어 상기 스포이트관(110)의 상단 내주연에 삽입되도록 하부로 돌설된 하부돌설관(123)과, 상기 중간 바닥부(122) 상부로 돌설되어 상기 원통부(121)의 내주면과 원주형 홈(124)을 형성하는 중간 돌설벽(125)으로 이루어진 원통형 내부부재(120)와;
    상하부가 개구된 원통형 부재로서, 내주연 중앙에 상기 원통형 내부부재(120)의 원통부(121)의 하단을 받치도록 형성된 내주돌기(131)와, 상기 내주돌기(131)의 하부 내주연에 상기 화장품 용기(1)의 개구부(1a)와 나사 결합되도록 형성된 암나사(132)와, 상기 내주돌기(131)의 상부 내주연에 상기 원통형 내부부재(120)의 원통부(121) 외주연을 밀착하는 밀착부(133)로 이루어진 원통형 중간부재(130)와;
    개구된 하부단(141)이 상기 원통형 내부부재(120)의 원주형 홈(124)에 삽입되고, 상부는 폐쇄된 돔형상부(142)가 형성된 눌려질 수 있는 플렉시블한 재질의 원통형 부재로서, 상기 돔형상부(142)의 하부에 외주측으로 돌설되어 상기 원통형 중간부재(130)의 상면에 하면이 지지되고, 상면에 원주방향으로 원주형 요홈(143)이 형성된 플렌지부(144)로 이루어진 푸시버튼(140)과;
    상하부가 개구된 원통형상의 부재로서, 상기 원통형 중간부재(130)의 외주벽과 상기 푸시버튼(140)의 플렌지부(144)의 외주벽에 밀착 고정되는 외주벽부(151)와, 상부면에 디귿자형상으로 절곡되어 상기 푸시버튼(140)의 원주형 요홈(143)에 끼워져 고정되는 고정절곡부(152)로 이루어진 원통형 외관부재(150)와;
    봉 형상의 부재로서, 상부는 눌려질 수 있도록 되어 상기 돔형상부(142) 내에 삽입되어 있는 고리형상부(161)와, 상기 고리형상부(161)의 하단에 연결되어 상기 원통형 내부부재(120)의 하부돌설관(123) 내에 삽입되는 봉형상부(162)로 이루어진 스포이트관 개폐부재(16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충전 스포이트형 화장품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포이트관 개폐부재(160)의 봉형상부(162) 중간에는 원주방향으로 다수의 홈(162a)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부돌설관(123)의 상부 내주연에는 상기 스포이트관 개폐부재(160)의 봉형상부(162)의 외주연과 밀착되는 밀착돌기(123a)가 내주측으로 돌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충전 스포이트형 화장품 용기.
  3. 내부에 화장품이 수용되고 상측에 개구부(1a)가 형성된 화장품 용기(1)와, 상기 화장품 용기(1)의 개구부(1a)에 나사 결합되어 화장품 용기(1) 내의 내용액을 흡입 및 토출하는 자동 충전 스포이트(200)로 이루어진 자동 충전 스포이트형 화장품 용기에 있어서,
    상기 자동 충전 스포이트(200)는, 상기 화장품 용기(1) 내의 내용액을 흡입 및 토출하는 통로인 스포이트관(210)과;
    상기 스포이트관(210)의 상단 내주연에 삽입 결합되는 상하부가 개구된 원통 형상의 부재이고, 가장 외측의 원통부(221)와, 상기 원통부(221)의 중간에 바닥면을 형성하는 중간 바닥부(222)와, 상기 중간 바닥부(222)의 중앙에 관통되어 상기 스포이트관(210)의 상단 내주연에 삽입되도록 하부로 돌설된 하부돌설관(223)과, 상기 중간 바닥부(222) 상부로 돌설되어 상기 원통부(221)의 내주면과 원주형 홈(224)을 형성하는 중간 돌설벽(225)으로 이루어진 원통형 내부부재(220)와;
    상하부가 개구된 원통형 부재로서, 내주연 중앙에 상기 원통형 내부부재(220)의 원통부(221)의 하단을 받치도록 형성된 내주돌기(231)와, 상기 내주돌기(231)의 하부 내주연에 상기 화장품 용기(1)의 개구부(1a)와 나사 결합되도록 형성된 암나사(232)와, 상기 내주돌기(231)의 상부 내주연에 상기 원통형 내부부재(220)의 원통부(221) 외주연을 밀착하는 밀착부(233)로 이루어진 원통형 중간부재(230)와;
    개구된 하부단(241)이 상기 원통형 내부부재(220)의 원주형 홈(224)에 삽입되고, 상부는 폐쇄된 상부누름부(242)가 형성된 눌려질 수 있는 플렉시블한 재질의 원통형 부재로서, 상기 상부누름부(242)의 하부에 외주측으로 돌설되어 상기 원통형 중간부재(230)의 상면에 하면이 지지되고, 상면에 원주방향으로 원주형 요홈(243)이 형성된 플렌지부(244)로 이루어진 푸시버튼(240)과;
    상하부가 개구된 원통형상의 부재로서, 상기 원통형 중간부재(230)의 외주벽과 상기 푸시버튼(240)의 플렌지부(244)의 외주벽에 밀착 고정되는 외주벽부(251)와, 상부면에 상기 푸시버튼(240)의 원주형 요홈(243)에 끼워져 고정되는 고정절곡부(252)가 형성된 원통형 외관부재(250)와;
    봉 형상의 부재로서, 상기 푸시버튼(240)의 상부누름부(242)의 하면 돌기(242a)에 끼워진 누름봉(26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충전 스포이트형 화장품 용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봉(260)의 중간에는 원주방향으로 다수의 홈(26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부돌설관(223)의 상부 내주연에는 상기 누름봉(260)의 외주연과 밀착되는 밀착돌기(223a)가 내주측으로 돌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충전 스포이트형 화장품 용기.
KR1020160180626A 2016-12-28 2016-12-28 자동 충전 스포이트형 화장품 용기 KR1017809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0626A KR101780903B1 (ko) 2016-12-28 2016-12-28 자동 충전 스포이트형 화장품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0626A KR101780903B1 (ko) 2016-12-28 2016-12-28 자동 충전 스포이트형 화장품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80903B1 true KR101780903B1 (ko) 2017-09-21

Family

ID=600347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80626A KR101780903B1 (ko) 2016-12-28 2016-12-28 자동 충전 스포이트형 화장품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090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7578B1 (ko) * 2018-01-30 2019-06-12 주식회사 삼화플라스틱 스포이트 용기
KR102334654B1 (ko) * 2021-09-29 2021-12-02 김경숙 자동 충전 스포이트형 화장품 용기
KR102338935B1 (ko) * 2021-04-21 2021-12-14 주식회사 신우 오토 드롭퍼를 구비하는 화장품 용기
KR102343446B1 (ko) * 2021-11-15 2021-12-27 주식회사 파우코 스포이드가 구비된 용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2092B1 (ko) 2012-08-31 2012-11-15 주식회사 네스필러피케이지 정량 인출 및 토출이 가능한 스포이드를 구비하는 화장품 용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2092B1 (ko) 2012-08-31 2012-11-15 주식회사 네스필러피케이지 정량 인출 및 토출이 가능한 스포이드를 구비하는 화장품 용기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7578B1 (ko) * 2018-01-30 2019-06-12 주식회사 삼화플라스틱 스포이트 용기
KR102338935B1 (ko) * 2021-04-21 2021-12-14 주식회사 신우 오토 드롭퍼를 구비하는 화장품 용기
WO2022225098A1 (ko) * 2021-04-21 2022-10-27 주식회사 신우 오토 드롭퍼를 구비하는 화장품 용기
KR102334654B1 (ko) * 2021-09-29 2021-12-02 김경숙 자동 충전 스포이트형 화장품 용기
WO2023054949A1 (ko) * 2021-09-29 2023-04-06 주식회사 아폴로산업 자동 충전 스포이트형 화장품 용기
KR102343446B1 (ko) * 2021-11-15 2021-12-27 주식회사 파우코 스포이드가 구비된 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0903B1 (ko) 자동 충전 스포이트형 화장품 용기
JP5985061B2 (ja) 自動充填及び定量吐出スポイト型容器キャップ
US20150101705A1 (en) Liquid dropper allowing quantitative withdrawal, and a cosmetic container equipped with the same
KR101789573B1 (ko) 스포이드형 화장품 용기
RU2549563C2 (ru) Нососные дозаторы
KR101572007B1 (ko) 자동 충전 스포이트형 화장품 용기
US11464668B2 (en) Container for menstrual collection and emptying thereof
US10850291B2 (en) Pump dispenser and system comprising a refill cartridge and the pump dispenser
US5031802A (en) Metering bottle
EP3954248A1 (en) Cosmetic container capable of adjusting discharging amount
KR101202092B1 (ko) 정량 인출 및 토출이 가능한 스포이드를 구비하는 화장품 용기
KR101152159B1 (ko) 액체용기용 정량 토출장치
WO2019150106A1 (en) Improvement to a dosing apparatus and a container
RU2682124C2 (ru) Дозиру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одачи жидкости
CN113692382A (zh) 双重容器
US20170173615A1 (en) Refill Cartridge and System Comprising the Refill Cartridge and a Pump Dispenser
KR20190000556A (ko) 화장용 도구 및 화장품 용기
JP2013249084A (ja) 二重容器
KR101154067B1 (ko) 자동 충전 스포이드
KR20180096603A (ko) 물질 분배기/도포기
US3135302A (en) Bottle dropper and closure
US4241854A (en) Liquid dispenser
KR101464447B1 (ko) 정량 인출 및 토출이 가능한 스포이드를 구비하는 화장품 용기
KR102576561B1 (ko) 화장품 용기
KR101239027B1 (ko) 자동 충전 스포이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