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4654B1 - 자동 충전 스포이트형 화장품 용기 - Google Patents

자동 충전 스포이트형 화장품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4654B1
KR102334654B1 KR1020210128543A KR20210128543A KR102334654B1 KR 102334654 B1 KR102334654 B1 KR 102334654B1 KR 1020210128543 A KR1020210128543 A KR 1020210128543A KR 20210128543 A KR20210128543 A KR 20210128543A KR 102334654 B1 KR102334654 B1 KR 1023346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hole
dropper
closing ring
hole opening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85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숙
이승민
서대식
Original Assignee
김경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숙 filed Critical 김경숙
Priority to KR10202101285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465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46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4654B1/ko
Priority to PCT/KR2022/013930 priority patent/WO2023054949A1/ko
Priority to US18/363,885 priority patent/US20230373694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A45D34/042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 A45D34/045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connected to the cap of the container
    • A45D34/046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connected to the cap of the container comprising a wi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3/00Containers or dishes for laboratory use, e.g. laboratory glassware; Droppers
    • B01L3/02Burettes; Pipet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3/00Containers or dishes for laboratory use, e.g. laboratory glassware; Droppers
    • B01L3/02Burettes; Pipettes
    • B01L3/0241Drop counters; Drop formers
    • B01L3/0272Dropper bott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2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65D1/0223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characterised by shape
    • B65D1/0261Bottom constru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1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for discharging drops; Dro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32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brushes or rods for applying or stirring content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2034/002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05Details of containers
    • A45D2200/054Means for supplying liquid to the outlet of the container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 충전 스포이트형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으로, 스포이트 관에 설치된 밸브에 의해서 푸셔 안의 공기가 스포이트관으로 유입되거나 혹은 외부 공기가 푸셔 안으로 유입되는 것을 허용하지만, 스포이트관의 화장액이 푸셔 안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푸셔의 변형 및 경화를 방지함은 물론 연결관의 외주면에 형성된 연통홀이 스포이트관 내부와 용기 본체를 연통하도록 함으로써, 용기 본체 안에 수용된 화장액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로 스포이트관 내부에 화장액을 자동 충전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 충전 스포이트형 화장품 용기{AUTOMATIC CHARGING SPUIT TYPE COSMETIC VESSLE}
본 발명은 자동 충전 스포이트형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스포이트관에 충전된 화장액이 푸셔 안으로 유입(역류)되는 것을 방지하여 화장액이 고무재질의 푸셔에 접촉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푸셔의 변형 및 경화를 효과적으로 방지함은 물론, 스포이트관의 인입시 용기 본체 안에 수용된 화장액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로 스포이트관 내부에 화장액을 자동으로 충전할 수 있는 자동 충전 스포이트형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노화 방지용 화장품이나 주름방지용 화장품과 같이 고기능성의 에센스 화장품은 방부제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화장액(화장품 내용물)이 오염에 매우 취약하여, 일반 크림 타입의 화장품과 같이 손으로 찍어서 내용물을 사용하거나, 로션과 같이 용기의 개구부를 손바닥에 닿게 하여 화장품 내용물을 배출시켜 사용하는 경우, 손에 묻어있는 오염물질이 화장품 용기 안으로 침투하여 화장액이 변질될 우려가 있다.
또한, 고기능성의 화장품을 사용할 때에는, 정량(定量)의 화장액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너무 많거나 혹은 적게 사용하면 오히려 피부에 부작용을 초래하거나, 효과가 없어 정량의 화장액을 토출할 수 있는 화장품 용기가 필요하였다.
아울러, 고기능성의 화장품은 대부분 매우 고가(高價)이기 때문에, 정량의 화장액을 바르고자 하는 부위에 정확히 공급하여 사용하는 것이 경제적이며, 종래와 같이 화장액을 손바닥에 덜어 사용하는 경우에는 손바닥에서 화장액을 흡수하는 양이 많기 때문에 고가의 화장액이 낭비되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선행문헌 국내 공개특허 제10-2011-0120099호 공보에는 스포이트 용기가 개시되어 있고, 국내 등록특허 제10-1572007호 공보에는 자동 충전 스포이트(Spuit)형 화장품 용기가 개시(開示)되어 있다.
종래 스포이트 용기는 내부에 내용물을 수용하는 용기 몸체; 및 상기 용기 몸체의 입구부에 결합하는 마개와, 상기 마개에 결합하고, 상기 마개가 상기 용기 몸체로부터 분리될 때 길이가 연장되는 스포이트부가 구비된 스포이트 조립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종래 자동 충전 스포이트형 화장품 용기는 사용자가 스포이트로 화장액(화장품 내용물)을 빨아들인 다음 바르려고 하는 피부 부위에 화장액을 도포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종래 자동 충전 스포이트형 화장품 용기에서는, 화장품 용기의 개구부와 나사결합 부재의 암나사가 나사 결합하면, 출몰식 푸시버튼의 외주 걸림턱에 원통형 외관 부재의 상부 내주 걸림턱이 걸리면서 원통형 스프링이 압축되고, 동시에 원통형 실린더 내의 피스톤이 하강하고, 하부홀 내에 있던 폐쇄 돌기가 하강하면서 폐쇄 돌기의 에어 홈과 하부 홀의 내주면과의 사이가 연통되면서 원고리형 피스톤의 하부공간의 공기를 스포이트관의 하부로 밀어내고, 하부 홀은 폐쇄 돌기의 상단면, 즉 에어 홈의 윗 부분에 의해 폐쇄되도록 구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상태에서 스포이트관을 인출하기 위해서, 원통형 외관 부재를 돌려서 나사 결합을 해제하면, 원통형 스프링이 탄성 복원되면서 출몰식 푸시버튼이 상측으로 밀려 올라가고, 동시에 원고리형 피스톤이 원통형 실린더 내에서 상승하며 동시에 원통형부재의 폐쇄 돌기가 하부홀의 내주면을 따라 상승하면서 에어 홈을 통해서 스포이트관 내의 공기가 원고리형 피스톤의 하부공간으로 흡입되어 화장품 용기 내에 화장액을 스포이트관의 하부단 일정 부분만큼 흡입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원통형 외관 부재를 손바닥으로 거머쥐고 엄지 손가락으로 출몰식 푸시버튼을 누르면, 원고리형 피스톤이 하강하면서 원통형 실린더의 하부홀의 하부로 돌출되는 폐쇄 돌기가 하강하여 스포이트관을 통해 화장액이 토출된다.
그러나 종래 자동 충전 스포이트형 화장품 용기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첫째, 화장품 용기의 개구부와 나사결합 부재의 암나사가 나사 결합하면, 출몰식 푸시버튼의 외주 걸림턱에 원통형 외관부재의 상부 내주 걸림턱이 걸리면서 원통형 스프링이 압축되고, 동시에 원통형 실린더 내의 피스톤이 하강하고, 하부 홀 내에 있던 폐쇄 돌기가 하강하면서 폐쇄 돌기의 에어 홈과 하부 홀의 내주면과의 사이가 연통됨에 따라 자동 충전되는 복잡한 구조로 구성됨에 따라, 작동이 원활하지 못하고 조립성 및 생산성이 현저히 떨어져서 제작원가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다.
둘째, 출몰식 푸시버튼의 승하강시, 화장액(화장품 내용액) 흡입과정에서 화장액이 출몰식 푸시버튼 쪽으로 유입되어 오염되고, 고가의 화장액의 손실을 유발하며, 특히 기존 스포이트형 화장품 용기의 푸시버튼이 고무재질로 제작되는 경우, 푸시버튼의 변형을 유발하거나 경화시킴으로써, 푸시버튼의 기능을 떨어뜨리는 문제가 있다.
셋째, 블로우 성형을 이용한 용기 제작의 특성상, 화장품 용기의 바닥면은 중앙부분이 상방으로 솟아 있고, 스포이트관 하단부와 닫지 않토록 공차를 감안하여 3㎜ 이상 이격되게 제작되므로, 다 사용한 후에도 화장액의 잔량이 바닥면에 많이 남게 되어 비경제적임은 물론 화장액 잔량이 그대로 폐기될 경우 환경을 오염하는 문제가 있다.
국내 공개특허 제10-2011-0120099호(공개일: 2011년 11월 03일) 국내 등록특허 제10-1572007호(등록일: 2015년 11월 19일)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스포이트 관에 설치된 밸브에 의해서 푸셔 안의 공기가 스포이트관으로 유입되거나 혹은 외부 공기가 푸셔 안으로 유입되는 것을 허용하지만, 스포이트관의 화장액이 푸셔 안으로 유입(역류)되는 것을 방지하여 화장액이 고무재질의 푸셔에 접촉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푸셔의 변형 및 경화를 방지함은 물론 연결관의 외주면에 형성된 연통홀이 스포이트관 내부와 용기 본체를 연통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스포이트관의 인입시 용기 본체 안에 수용된 화장액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로 스포이트관 내부에 화장액을 자동 충전할 수 있는 자동 충전 스포이트형 화장품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충전 스포이트형 화장품 용기는 내부에 화장액을 수용하며, 상부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용기 본체;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용기 본체 안으로 설치되며, 상기 용기 본체의 화장액을 흡입 및 토출하기 위하여 하단부에 화장액 홀이 형성되는 스포이트관; 상기 스포이트관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용기 본체 안에 수용된 화장액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로 상기 스포이트관 내부에 화장액을 자동으로 충입하도록 외주면에 상기 용기 본체와 연통된 연통홀을 구비하는 연결관; 상기 스포이트관을 상기 용기 본체 안으로 인입하거나 상기 용기 본체로부터 인출할 때에, 상기 연통홀을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연결관의 외주면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탄력적으로 설치되는 연통홀 개폐링; 상기 연결관의 상부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스포이트관 안에 충입된 화장액을 토출하기 위하여 상기 스포이트관 안으로 공기를 제공하는 푸셔; 상기 푸셔가 눌려질 때에, 상기 푸셔 안의 공기가 상기 스포이트관으로 유입되는 것을 허용하고, 상기 스포이트관의 화장액이 상기 푸셔 안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연결관의 상부에 설치되는 밸브; 상기 개구부에 개폐 가능하게 체결되며, 상기 푸셔의 하부에 고정 설치되는 캡; 및 상기 캡을 열어서 상기 스포이트관을 인출할 때에, 상기 스포이트관의 외주면에 묻어 있는 화장액을 훑어내기 위하여 상기 개구부의 내주에 설치되고, 내주면에는 상기 캡을 닫아서 상기 스포이트관을 인입할 때에, 상기 연통홀의 개방을 유지하도록 하기 위한 스페이서가 형성되며, 상기 스페이서의 하단에는 상기 스포이트관의 인입시 상기 연통홀 개폐링의 하강을 저지하여 상기 연통홀 개폐링이 상기 연통홀을 개방하도록 하는 제1 스톱퍼가 형성되며, 상기 스페이서의 상단에는 상기 스포이트관의 인출시 상기 연통홀 개폐링의 상승을 저지하여 상기 연통홀 개폐링이 상기 연통홀을 폐쇄하도록 하는 제2 스톱퍼가 형성되는 와이퍼(wiper); 를 포함하여 구성된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스포이트관의 인입시, 상기 제1 스톱퍼는 상기 연통홀 개폐링의 하강을 저지하여 상기 연통홀 개폐링이 상기 연통홀을 개방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용기 본체 안에 수용된 화장액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로 상기 스포이트관 내부에 화장액을 자동 충입(충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스포이트관의 인출시, 상기 제2 스톱퍼는 상기 연통홀 개폐링의 상승을 저지하여 상기 연통홀 개폐링이 상기 연통홀을 폐쇄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푸셔를 눌러서 상기 스포이트관에 충입된 화장액을 토출할 때에 상기 밸브를 통해서 상기 푸셔 안의 공기가 상기 스포이트관 내부로 제공되어 상기 스포이트관의 화장액을 토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포이트관의 인출시, 상기 제2 스톱퍼가 상기 연통홀 개폐링의 상승을 저지하여 상기 연통홀 개폐링이 상기 연통홀을 폐쇄하도록 하되, 상기 연통홀 개폐링이 상기 연통홀을 폐쇄한 이후에 상기 연통홀 개폐링의 위치를 셋팅하기 위하여 상기 스포이트관의 상단에는 제1 걸림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 걸림부에 의해서 상기 연통홀 개폐링의 위치가 셋팅된 이후에 상기 연통홀 개폐링이 상기 제2 스톱퍼로부터 이탈 가능하도록 상기 연통홀 개폐링의 외주면과 상기 제2 스톱퍼의 내주면에는 경사면(slant face)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포이트관의 인입시, 상기 제1 스톱퍼는 상기 연통홀 개폐링의 하강을 저지하여 상기 연통홀 개폐링이 상기 연통홀을 개방하도록 하되, 상기 연통홀 개폐링이 상기 연통홀을 개방한 이후에 상기 연통홀 개폐링의 위치를 셋팅하기 위하여 상기 연결관의 상단부에는 제2 걸림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통홀 개폐링은, 상기 스포이트관의 인입시, 상기 제1 스톱퍼와 상기 제2 스톱퍼 사이에 위치하는 바디; 상기 바디의 상부에 연장 형성되며, 상기 스포이트관의 인입시, 상기 제2 걸림부에 접촉하는 상부 윙; 및 상기 바디의 하부에 연장 형성되며, 상기 스포이트관의 인출시, 상기 제1 걸림부에 접촉하는 하부 윙; 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페이서는 적어도 2개 이상이 서로 일정 간력을 두고 상기 와이퍼의 내주면에 종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스페이서의 상단에는 상기 스포이트관의 인입시, 상기 연통홀 개폐링의 진입(하강)을 가이드 하기 위한 가이드부가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용기 본체는 하단부에 바닥 플레이트가 마련되며, 상기 바닥 플레이트의 상면 센터에는 화장액 잔량 회수홈이 형성되고, 상기 바닥 플레이트의 상면은 상기 화장액 잔량 회수홈을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스포이트관의 하단부는 상기 화장액 잔량 회수홈 안으로 삽입되는 구성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닥 플레이트는 상기 용기 본체와는 별개로 부품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바닥 플레이트는 인서트 사출성형 방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푸셔가 눌려지거나 복원될 때에 발생하는 압력차에 의해서, 화장액 및 공기의 흐름이 발생할 때에, 밸브에 의해서 푸셔 안의 공기가 스포이트관으로 유입되거나 혹은 외부 공기가 푸셔 안으로 유입되는 것을 허용하지만, 스포이트관의 화장액이 푸셔 안으로 유입(역류)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둘째, 와이퍼(wiper)의 내주면에 스페이서가 형성되어 연결관의 외주면과 와이퍼의 내주면 사이에 갭(틈새)이 발생하며, 연결관의 외주면에 형성된 연통홀이 스포이트관 내부와 용기 본체를 연통하도록 함으로써, 용기 본체 안에 수용된 화장액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로 스포이트관 내부에 화장액을 자동 충전할 수 있다.
셋째, 스포이트관을 용기 본체 안으로 인입하거나 용기 본체로부터 인출할 때에, 연통홀 개폐링이 연통홀을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연결관의 외주면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탄력적으로 설치됨으로써, 스포이트관의 인출시, 제2 스톱퍼가 연통홀 개폐링의 상승을 저지하여 연통홀 개폐링이 연통홀을 폐쇄하도록 하며, 스포이트관의 인입시에는, 제1 스톱퍼가 연통홀 개폐링의 하강을 저지하여 연통홀 개폐링이 연통홀을 개방하도록 구성됨으로써, 화장액의 자동 충전과 토출이 용이하여 사용이 매우 편리한 장점이 있다.
넷째, 전체 구성이 단순하면서도 화장액의 자동 충전과 토출이 용이하여 조립성과 생산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다섯째, 용기 본체의 하부에 인서트 방식으로 바닥 플레이트를 형성하고 그 바닥 플레이트에 상면 센터에 화장액 잔량 회수홈을 형성함과 아울러, 바닥 플레이트의 상면을 경사구조로 구성함으로써, 화장액 잔량은 화장액 잔량 회수홈 안으로 모이게 되고, 화장액 잔량 회수홈 안으로 삽입된 스포이트관의 노즐부에 의해서 용기 본체 안에 남는 잔량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충전 스포이트형 화장품 용기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스포이트관의 인입상태를 보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충전 스포이트형 화장품 용기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스포이트관의 인출상태를 보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충전 스포이트형 화장품 용기를 도시한 상면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충전 스포이트형 화장품 용기를 도시한 저면 분리 사시도
도 5는 도 1의 I-I선 종단면도
도 6은 도 1의 II-II선 횡단면도
도 7은 도 5의 분리 종단면도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충전 스포이트형 화장품 용기에서, 스포이트관의 인출과정을 설명하는 종단면도
도 8은 캡을 열어서 스포이트관을 상승시킬 때, 연통홀 개폐링이 연통홀을 차단하고, 제2 스톱퍼가 연통홀 개폐링의 바디를 저지함과 동시에 연통홀 개폐링의 하부 윙이 제2 걸림부에 걸린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캡을 열어서 스포이트관을 더 상승시킬 때, 연통홀 개폐링의 바디가 제2 스톱퍼로부터 이탈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스포이트관을 완전히 인출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도 1의 절개 사시도
도 12는 도 11의 A 확대도
도 13은 도 11의 B 확대도
도 14는 스포이트관을 도시한 사시도
도 15는 연결관을 도시한 사시도
도 16은 연통홀 개폐링을 도시한 사시도
도 17은 푸셔를 도시한 사시도
도 18은 밸브를 도시한 사시도
도 19는 캡을 도시한 사시도
도 20은 와이퍼를 도시한 사시도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충전 스포이트형 화장품 용기에서, 화장액의 토출을 설명하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졌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 한다.
또한, 각 구성 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또는 대응하는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였다.
또한, 장치 또는 요소 방향(예를 들어 "전(front)", "후(back)", "위(up)", "아래(down)", "상(top)", "하(bottom)", "좌(left)", "우(right)", "횡(lateral)") 등과 같은 용어들에 관하여 본원 발명에 사용된 표현 및 술어는 단지 본 발명의 설명을 단순화하기 위해 사용되고, 관련된 장치 또는 요소가 단순히 특정 방향을 가져야 함을 나타내거나 의미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 충전 스포이트형 화장품 용기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충전 스포이트형 화장품 용기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스포이트관의 인입상태를 보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충전 스포이트형 화장품 용기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스포이트관의 인출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충전 스포이트형 화장품 용기를 도시한 상면 분리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충전 스포이트형 화장품 용기를 도시한 저면 분리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I-I선 종단면도이고, 도 6은 도 1의 II-II선 횡단면도이며, 도 7은 도 5의 분리 종단면도이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충전 스포이트형 화장품 용기에서, 스포이트관의 인출과정을 설명하는 종단면도로서,
도 8은 캡을 열어서 스포이트관을 상승시킬 때, 연통홀 개폐링이 연통홀을 차단하고, 제2 스톱퍼가 연통홀 개폐링의 바디를 저지함과 동시에 연통홀 개폐링의 하부 윙이 제2 걸림부에 걸린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캡을 열어서 스포이트관을 더 상승시킬 때, 연통홀 개폐링의 바디가 제2 스톱퍼로부터 이탈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에서 연통홀 개폐링이 러버 등과 같은 연질재로 구성되므로, 상부 윙과 하부 윙에 의해서 연통홀 개폐링의 바디가 제2 스톱퍼에 탄력적으로 접촉하는 것을 보인 도면이다.
도 10은 스포이트관을 완전히 인출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1은 도 1의 절개 사시도이며, 도 12는 도 11의 A 확대도이고, 도 13은 도 11의 B 확대도이다.
도 14는 스포이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5는 연결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6은 연통홀 개폐링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7은 푸셔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8은 밸브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9는 캡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0은 와이퍼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위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충전 스포이트형 화장품 용기(100)는 내부에 화장액을 수용하는 용기 본체(10); 용기 본체(10)의 화장액을 흡입 및 토출하기 위한 스포이트관(110); 외주면에 용기 본체(10)와 연통된 연통홀(121)을 구비하는 연결관(120); 연통홀(121)을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는 연통홀 개폐링(130); 스포이트관(110) 안에 충입된 화장액을 토출하기 위한 푸셔(20); 스포이트관(110)의 화장액이 푸셔(20) 안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밸브(140); 및 스포이트관(110)의 외주면에 묻어 있는 화장액을 훑어내며, 스포이트관(110)을 인입 또는 인출할 때에, 연통홀 개폐링(130)이 연통홀(121)을 개방하거나 폐쇄하도록 하는 와이퍼(wiper)(160); 를 포함하여 구성된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충전 스포이트형 화장품 용기(100)의 구성요소를 좀 더 구체적으로 부연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 본체(10)는 내부에 화장액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space)을 구비하며, 상부에는 일명, 네크부로 불리는 개구부(11)가 형성되며, 그 개구부(11) 외주에는 수나사부(11a)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4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포이트관(110)은 개구부(11)를 통하여 용기 본체(10) 안으로 인입되거나 인출될 수 있도록 설치되며, 용기 본체(10)의 화장액을 흡입하고, 사용자가 원하는 양만큼의 화장액을 토출하기 위하여 하단부에 화장액 홀(114)이 형성된다.
상기 스포이트관(110)의 몸체(111)는 원형 파이프 형상을 가지며, 몸체(111)의 상단에는 결합부(112)가 몸체(111)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되고, 몸체(111)의 하단에는 화장액 홀(114)을 갖는 노즐부(113)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5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관(120)은 스포이트관(110)의 상부에 구비되며, 용기 본체(10) 안에 수용된 화장액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로 스포이트관(110) 내부에 화장액을 자동으로 충입(충전)하도록 외주면에 용기 본체(10)와 연통된 연통홀(121)을 구비한다. 연결관(120)과 스포이트관(110)의 연결은 홈(125)과 돌기(115)의 결합에 의해서 조립이 더욱 견고할 수 있다.
상기 연결관(120)의 하단부는 상기 스포이트관(110)의 결합부(112) 안에 억지 끼움방식으로 결합할 수 있으며, 상기 연결관(120)의 상단부에는 푸셔(20)의 결합홈(21) 안에 결합하기 위한 결합돌기(122)가 형성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스페이서(163)에 의해서, 연결관(120)의 외주면과 와이퍼(wiper)(160)의 내주면 사이에 갭(틈새)(G:도 6에 도시)이 발생하여 연결관(120)의 외주면에 형성된 연통홀(121)이 스포이트관(110) 내부와 용기 본체(10)를 연통하도록 함으로써, 용기 본체(10) 안에 수용된 화장액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로 스포이트관(110) 내부에 화장액을 자동으로 충입(충전)하도록 한다.
또한, 도 12 및 도 16을 참조하면, 상기 연통홀 개폐링(130)은 스포이트관(110)을 용기 본체(10) 안으로 인입하거나 용기 본체(10)로부터 인출할 때에, 연통홀(121)을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연결관(120)의 외주면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탄력적으로 설치된다.
도 4,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통홀 개폐링(130)은 바디(131), 바디(131)의 상부에 연장 형성되는 상부 윙(132); 및 바디(131)의 하부에 연장 형성되는 하부 윙(13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연통홀 개폐링(130)의 재질은 러버 등과 같은 연질재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부 윙(132)과 하부 윙(133)은 연결관(120)의 외주면에 탄력적으로 접촉하여 스포이트관(110)의 인입 또는 인출시에, 바디(131)가 후술하는 제2 스톱퍼(165)에 탄력적으로 접촉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푸셔(20)는 연결관(120)의 상부에 고정 설치되며, 스포이트관(110) 안에 충입된 화장액을 토출하기 위하여 스포이트관(110) 안으로 공기를 제공한다.
즉, 푸셔(20)를 누를 때, 푸셔(20) 안의 공기는 스포이트관(110) 안으로 유입되며, 이때 스포이트관(110) 안에 충입된 화장액은 화장액 홀(114)을 통해서 토출되며, 푸셔(20)가 복원될 때, 토출된 화장액만큼 화장액 홀(114)을 통해서 공기는 푸셔(20) 안으로 재 유입된다(도 21 참조).
또한, 밸브(140)는 연결관(120)의 상부 단턱(123)에 고정 설치될 수 있는바, 밸브(140)는 푸셔(20)가 눌려지거나 복원될 때에, 푸셔(20) 안의 공기가 스포이트관(110)으로 유입되는 것을 허용하지만, 스포이트관(110)의 화장액이 푸셔(20) 안으로 유입(역류)되는 것을 방지한다.
즉, 푸셔(20)가 눌려지거나 복원될 때에 발생하는 압력차에 의해서, 화장액 및 공기의 흐름이 발생할 때에, 밸브(140)에 의해서 푸셔(20) 안의 공기가 스포이트관(110)으로 유입되거나 혹은 외부 공기가 푸셔(20) 안으로 유입되는 것을 허용하지만, 스포이트관(110)의 화장액이 푸셔(20) 안으로 유입(역류)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화장액이 고무재질의 푸셔(20)에 접촉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푸셔(20)의 변형 및 경화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밸브(140)의 구조를 살펴보면, 밸브(140)의 외주에는 연결관(120)의 상부 단턱(123)에 고정 설치될 수 있도록 플랜지부(141)가 형성되고, 플랜지부(141) 내주에는 슬릿(143)을 갖는 플렉시블 막(142)이 형성된다.
슬릿(143)은 푸셔(20)가 눌려지거나 복원될 때에 발생하는 압력차에 의해서만 개방될 수 있는 데, 슬릿(143)의 개도(열림 정도)는 제한적으로 설정된다.
즉, 푸셔(20)가 눌려지거나 복원될 때에 발생하는 압력차에 의해서, 화장액 및 공기의 흐름이 발생할 때에, 밸브(140)는 그 슬릿(143)이 개방되면서 푸셔(20) 안의 공기가 스포이트관(110)으로 유입되거나 혹은 외부 공기가 푸셔(20) 안으로 유입되는 것을 허용하지만, 스포이트관(110)의 화장액이 푸셔(20) 안으로 유입(역류)되는 것은 차단하도록 함으로써, 푸셔(20) 안에 화장액이 접촉하지 않도록 하여 푸셔(20)의 변형 및 경화(硬化)를 방지하고, 푸셔(20)의 기능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7 및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캡(150)은 개구부(11)에 개폐 가능하게 체결되며, 푸셔(20)의 하부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캡(150)은 내주에 암나사부(151a)를 갖는 내캡(151)과, 그 내캡(151)을 감싸는 외캡(152)으로 구성될 수 있다. 내캡(151)과 외캡(152)은 압입 방식으로 결합할 수 있다.
또한, 도 7 및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와이퍼(wiper)(160)는 캡(150)을 열어서 스포이트관(110)을 인출할 때에, 스포이트관(110)의 외주면에 묻어 있는 화장액을 훑어내기 위하여 개구부(11)의 내주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와이퍼(wiper)(160)의 하단부에는 스포이트관(110)의 외주면에 묻어 있는 화장액을 훑어내기 위하여 와이핑부(161)가 형성될 수 있고, 와이퍼(wiper)(160)의 상단부에는 개구부(11)에 밀착될 수 있도록 하는 안착 플랜지부(16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와이퍼(wiper)(160)의 내주면에는 캡(150)을 닫아서 스포이트관(110)을 인입할 때에, 연통홀(121)의 개방을 유지하도록 하기 위한 스페이서(163)가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스페이서(163)에 의해서, 연결관(120)의 외주면과 와이퍼(wiper)(160)의 내주면 사이에 갭(틈새)이 발생하며, 연결관(120)의 외주면에 형성된 연통홀(121)이 스포이트관(110) 내부와 용기 본체(10)를 연통하도록 함으로써, 용기 본체(10) 안에 수용된 화장액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로 스포이트관(110) 내부에 화장액을 자동으로 충입하도록 한다.
스페이서(163)의 하단에는 스포이트관(110)의 인입시 연통홀 개폐링(130)의 하강을 저지하여 연통홀 개폐링(130)이 연통홀(121)을 개방하도록 하는 제1 스톱퍼(164)가 형성되며, 스페이서(163)의 상단에는 스포이트관(110)의 인출시 연통홀 개폐링(130)의 상승을 저지하여 연통홀 개폐링(130)이 연통홀(121)을 폐쇄하도록 하는 제2 스톱퍼(165)가 형성될 수 있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스포이트관(110) 안에 화장액을 자동 충입(충전)하고자 할 때에는 캡(150)을 닫아서 스포이트관(110)을 용기 본체(10) 안에 인입하며, 반대로 스포이트관(110) 안에 충입된 화장액을 토출하고자 할 때에는 캡(150)을 열어서 스포이트관(110)을 용기 본체(10)에서 인출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스포이트관(110)의 인입시, 제1 스톱퍼(164)는 연통홀 개폐링(130)의 하강을 저지하여 연통홀 개폐링(130)이 연통홀(121)을 개방하도록 함으로써, 용기 본체(10)와 스포이트관(110)의 내부 압력을 동일하게 하여 용기 본체(10) 안에 수용된 화장액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로 스포이트관(110) 내부에 화장액을 자동 충입(충전)한다.
반대로, 스포이트관(110)의 인출시, 제2 스톱퍼(165)는 연통홀 개폐링(130)의 상승을 저지하여 연통홀 개폐링(130)이 연통홀(121)을 폐쇄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푸셔(20)를 눌러서 스포이트관(110)에 충입된 화장액을 토출할 때에 밸브(140)의 슬릿(143)을 통해서 푸셔(20) 안의 공기가 스포이트관(110) 내부로 제공되어 스포이트관(110)의 화장액을 토출하도록 한다.
즉,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포이트관(110)의 인출시에는, 제2 스톱퍼(165)가 연통홀 개폐링(130)의 상승을 저지하여 연통홀 개폐링(130)이 연통홀(121)을 폐쇄하도록 하되, 연통홀 개폐링(130)이 연통홀(121)을 폐쇄한 이후에 연통홀 개폐링(130)의 위치를 셋팅하기 위하여 스포이트관(110)의 상단에는 제1 걸림부(166)가 형성되며, 제1 걸림부(166)에 의해서 연통홀 개폐링(130)의 위치가 셋팅된 이후에 연통홀 개폐링(130)이 제2 스톱퍼(165)로부터 이탈 가능하도록 연통홀 개폐링(130)의 외주면과 제2 스톱퍼(165)의 내주면에는 경사면(빗면)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포이트관(110)의 인입시에는, 제1 스톱퍼(164)는 연통홀 개폐링(130)의 하강을 저지하여 연통홀 개폐링(130)이 연통홀(121)을 개방하도록 하되, 연통홀 개폐링(130)이 연통홀(121)을 개방한 이후에 연통홀 개폐링(130)의 위치를 셋팅하기 위하여 연결관(120)의 상단부에는 제2 걸림부(167)가 형성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통홀 개폐링(130)은, 스포이트관(110)의 인입시, 제1 스톱퍼(164)와 제2 스톱퍼(165) 사이에 위치하는 바디(131); 바디(131)의 상부에 연장 형성되며, 스포이트관(110)의 인입시, 제2 걸림부(167)에 접촉하는 상부 윙(132); 및 바디(131)의 하부에 연장 형성되며, 스포이트관(110)의 인출시, 제1 걸림부(166)에 접촉하는 하부 윙(133); 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3 및 도 6, 그리고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페이서(163)는 적어도 2개 이상이 서로 일정 간력을 두고 와이퍼(160)의 내주면에 종방향으로 형성되며, 스페이서(163)의 상단에는 스포이트관(110)의 인입시, 연통홀 개폐링(130)의 진입(하강)을 가이드 하기 위한 가이드부(163a)(도 20에 도시)가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즉, 가이드부(163a)가 와이퍼(160)의 센터 쪽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연통홀 개폐링(130)이 제1 스톱퍼(164)에 안정적으로 안착되도록 한다.
또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용기 본체(10)는 하단부에 바닥 플레이트(12)가 마련되며, 바닥 플레이트(12)의 상면 센터에는 화장액 잔량 회수홈(12a)이 형성되고, 바닥 플레이트(12)의 상면은 화장액 잔량 회수홈(12a)을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되며, 스포이트관(110)의 하단부는 화장액 잔량 회수홈(12a) 안으로 삽입되는 구성일 수 있다. 즉, 화장액 홀(114)을 갖는 노즐부(113)가 화장액 잔량 회수홈(12a) 안으로 삽입되는 구성일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 화장품 용기는 블로우 성형(blow molding) 방식으로 제작된다. 블로우 성형을 이용한 용기 제작의 특성상, 종래 화장품 용기의 바닥면은 중앙부분이 상방으로 솟아 있고, 스포이트관 하단부와 닫지 않도록 공차를 감안하여 3㎜ 이상 이격되게 제작되므로, 다 사용한 후에도 화장액의 잔량이 종래 화장품 용기의 바닥면에 많이 남게 되어 비경제적임은 물론 화장액 잔량이 그대로 폐기될 경우 환경을 오염하는 문제가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이와 같이 바닥 플레이트(12)의 상면이 중앙으로 경사진 구조(일명, 깔때기 구조)에 의해서 화장액 잔량이 화장액 잔량 회수홈(12a) 안으로 모이게 되고, 화장액 잔량 회수홈(12a) 안으로 삽입된 노즐부(113)에 의해서 용기 본체(10) 안에 남는 잔량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바닥 플레이트(12)는 용기 본체(10)와는 별개로 부품으로 구성될 수 있고, 인서트 사출성형 방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인서트 사출성형 방식은 사출 성형 전에 인서트 물을 삽입하여 성형하는 방식이다.
인서트 물은 다른 유형의 플라스틱으로 만들 수 있다. 인서트 사출 성형의 가장 큰 장점은 플라스틱 성능을 향상시키고 조립 및 인건비를 줄이며 설계 유연성과 부품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점에 있다.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충전 스포이트형 화장품 용기에서, 화장액의 토출을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충전 스포이트형 화장품 용기에서는, 스포이트관(110)을 용기 본체(10)로부터 인출한 후, 푸셔(20)를 누르면 푸셔(20) 내의 공기가 밸브(140)를 통해서 스포이트관(110) 내부로 유입됨에 따라 스포이트관(110) 안에 충전된 화장액이 화장액 토출구(114)를 통해서 배출된다. 이와 같이 푸셔(20)를 누를 때 발생하는 압력에 의해서 밸브(140)의 슬릿(143)이 개방되고, 그 슬릿(143)을 통해서 푸셔(20) 내의 공기가 스포이트관(110) 내부로 유입된다. 동시에, 스포이트관(110) 내부로 유입된 공기의 압력에 의해서 스포이트관(110) 안에 충전된 화장액이 토출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푸셔가 눌려지거나 복원될 때에 발생하는 압력차에 의해서, 화장액 및 공기의 흐름이 발생할 때에, 밸브에 의해서 푸셔 안의 공기가 스포이트관으로 유입되거나 혹은 외부 공기가 푸셔 안으로 유입되는 것을 허용하지만, 스포이트관의 화장액이 푸셔 안으로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둘째, 와이퍼(wiper)의 내주면에 스페이서가 형성되어 연결관의 외주면과 와이퍼의 내주면 사이에 갭(틈새)이 발생하며, 연결관의 외주면에 형성된 연통홀이 스포이트관 내부와 용기 본체를 연통하도록 함으로써, 용기 본체 안에 수용된 화장액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로 스포이트관 내부에 화장액을 자동 충전할 수 있다.
셋째, 스포이트관을 용기 본체 안으로 인입하거나 용기 본체로부터 인출할 때에, 연통홀 개폐링이 연통홀을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연결관의 외주면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탄력적으로 설치됨으로써, 스포이트관의 인출시, 제2 스톱퍼가 연통홀 개폐링의 상승을 저지하여 연통홀 개폐링이 연통홀을 폐쇄하도록 하며, 스포이트관의 인입시에는, 제1 스톱퍼가 연통홀 개폐링의 하강을 저지하여 연통홀 개폐링이 연통홀을 개방하도록 구성됨으로써, 화장액의 자동 충전과 토출이 용이하여 사용이 매우 편리한 장점이 있다.
넷째, 전체 구성이 단순하면서도 화장액의 자동 충전과 토출이 용이하여 조립성과 생산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다섯째, 용기 본체의 하부에 인서트 방식으로 바닥 플레이트를 형성하고 그 바닥 플레이트에 상면 센터에 화장액 잔량 회수홈을 형성함과 아울러, 바닥 플레이트(12)의 상면을 경사구조로 구성함으로써, 화장액 잔량은 화장액 잔량 회수홈 안으로 모이게 되고, 화장액 잔량 회수홈 안으로 삽입된 스포이트관의 노즐부에 의해서 용기 본체 안에 남는 잔량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예를 들어, 본 실시 예에서는 연결관(120)은 스포이트관(110)이 별개의 부품으로 구성되고, 서로 연결되는 구조이나, 연결관(120)은 스포이트관(110)과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와이퍼(160)는 탄성을 갖는 폴리에틸렌(polyethylene), 우레탄 고무(urethane rubber), 천연고무 (natural rubber), 엘라스토머(elastomer), NBR(nitrile-butadiene rubber), 실리콘(silicone)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취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용기 본체
11: 개구부(opening portion)
11a: 수나사부
12: 바닥 플레이트(bottom plate)
12a: 화장액 잔량 회수홈
20: 푸셔(pusher)
100: 자동 충전 스포이트형 화장품 용기
110: 스포이트관
111: 몸체(body)
112: 결합부
113: 노즐(nozzle)
114: 화장액 홀
120: 연결관(connecting pipe)
121: 연통홀(connecting hole)
123: 상부 단턱(upper jaw)
130: 연통홀 개폐링
131: 바디(body)
132: 상부 윙(upper wing)
133: 하부 윙(lower wing)
140: 밸브(valve)
141: 플랜지부(flange portion)
142: 플렉시블 막(flexible film)
143: 슬릿(slit)
150: 캡(cap)
151: 내캡(inner cap)
151a: 암나사부
152: 외캡(outer cap)
160: 와이퍼(wiper)
161: 와이핑부(wiping portion)
162: 안착 플랜지부
163: 스페이서(spacer)
163a: 가이드부(guide portion)
164: 제1 스톱퍼(first stopper)
165: 제2 스톱퍼(second stopper)
166: 제1 걸림부
167: 제2 걸림부

Claims (10)

  1. 내부에 화장액을 수용하며, 상부에 개구부(11)가 형성되는 용기 본체(10);
    상기 개구부(11)를 통하여 상기 용기 본체(10) 안으로 설치되며, 상기 용기 본체(10)의 화장액을 흡입 및 토출하기 위하여 하단부에 화장액 홀(114)이 형성되는 스포이트관(110);
    상기 스포이트관(110)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용기 본체(10) 안에 수용된 화장액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로 상기 스포이트관(110) 내부에 화장액을 자동으로 충입하도록 외주면에 상기 용기 본체(10)와 연통된 연통홀(121)을 구비하는 연결관(120);
    상기 스포이트관(110)을 상기 용기 본체(10) 안으로 인입하거나 상기 용기 본체(10)로부터 인출할 때에, 상기 연통홀(121)을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연결관(120)의 외주면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탄력적으로 설치되는 연통홀 개폐링(130);
    상기 연결관(120)의 상부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스포이트관(110) 안에 충입된 화장액을 토출하기 위하여 상기 스포이트관(110) 안으로 공기를 제공하는 푸셔(20);
    상기 푸셔(20)가 눌려질 때에, 상기 푸셔(20) 안의 공기가 상기 스포이트관(110)으로 유입되는 것을 허용하고, 상기 스포이트관(110)의 화장액이 상기 푸셔(20) 안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연결관(120)의 상부에 설치되는 밸브(140);
    상기 개구부(11)에 개폐 가능하게 체결되며, 상기 푸셔(20)의 하부에 고정 설치되는 캡(150); 및
    상기 캡(150)을 열어서 상기 스포이트관(110)을 인출할 때에, 상기 스포이트관(110)의 외주면에 묻어 있는 화장액을 훑어내기 위하여 상기 개구부(11)의 내주에 설치되고, 내주면에는 상기 캡(150)을 닫아서 상기 스포이트관(110)을 인입할 때에, 상기 연통홀(121)의 개방을 유지하도록 하기 위한 스페이서(163)가 형성되며, 상기 스페이서(163)의 하단에는 상기 스포이트관(110)의 인입시 상기 연통홀 개폐링(130)의 하강을 저지하여 상기 연통홀 개폐링(130)이 상기 연통홀(121)을 개방하도록 하는 제1 스톱퍼(164)가 형성되며, 상기 스페이서(163)의 상단에는 상기 스포이트관(110)의 인출시 상기 연통홀 개폐링(130)의 상승을 저지하여 상기 연통홀 개폐링(130)이 상기 연통홀(121)을 폐쇄하도록 하는 제2 스톱퍼(165)가 형성되는 와이퍼(wiper)(160); 를 포함하는 자동 충전 스포이트형 화장품 용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포이트관(110)의 인입시, 상기 제1 스톱퍼(164)는 상기 연통홀 개폐링(130)의 하강을 저지하여 상기 연통홀 개폐링(130)이 상기 연통홀(121)을 개방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용기 본체(10) 안에 수용된 화장액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로 상기 스포이트관(110) 내부에 화장액을 자동으로 충입하도록 하며,
    상기 스포이트관(110)의 인출시, 상기 제2 스톱퍼(165)는 상기 연통홀 개폐링(130)의 상승을 저지하여 상기 연통홀 개폐링(130)이 상기 연통홀(121)을 폐쇄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푸셔(20)를 눌러서 상기 스포이트관(110)에 충입된 화장액을 토출할 때에 상기 밸브(140)를 통해서 상기 푸셔(20) 안의 공기가 상기 스포이트관(110) 내부로 제공되어 상기 스포이트관(110)의 화장액을 토출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충전 스포이트형 화장품 용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스포이트관(110)의 인출시, 상기 제2 스톱퍼(165)가 상기 연통홀 개폐링(130)의 상승을 저지하여 상기 연통홀 개폐링(130)이 상기 연통홀(121)을 폐쇄하도록 하되, 상기 연통홀 개폐링(130)이 상기 연통홀(121)을 폐쇄한 이후에 상기 연통홀 개폐링(130)의 위치를 셋팅하기 위하여 상기 스포이트관(110)의 상단에는 제1 걸림부(166)가 형성되며, 상기 제1 걸림부(166)에 의해서 상기 연통홀 개폐링(130)의 위치가 셋팅된 이후에 상기 연통홀 개폐링(130)이 상기 제2 스톱퍼(165)로부터 이탈 가능하도록 상기 연통홀 개폐링(130)의 외주면과 상기 제2 스톱퍼(165)의 내주면에는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충전 스포이트형 화장품 용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스포이트관(110)의 인입시, 상기 제1 스톱퍼(164)는 상기 연통홀 개폐링(130)의 하강을 저지하여 상기 연통홀 개폐링(130)이 상기 연통홀(121)을 개방하도록 하되, 상기 연통홀 개폐링(130)이 상기 연통홀(121)을 개방한 이후에 상기 연통홀 개폐링(130)의 위치를 셋팅하기 위하여 상기 연결관(120)의 상단부에는 제2 걸림부(167)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충전 스포이트형 화장품 용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연통홀 개폐링(130)은,
    상기 스포이트관(110)의 인입시, 상기 제1 스톱퍼(164)와 상기 제2 스톱퍼(165) 사이에 위치하는 바디(131);
    상기 바디(131)의 상부에 연장 형성되며, 상기 스포이트관(110)의 인입시, 상기 제2 걸림부(167)에 접촉하는 상부 윙(132); 및
    상기 바디(131)의 하부에 연장 형성되며, 상기 스포이트관(110)의 인출시, 상기 제1 걸림부(166)에 접촉하는 하부 윙(133); 을 포함하는 자동 충전 스포이트형 화장품 용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163)는 적어도 2개 이상이 서로 일정 간력을 두고 상기 와이퍼(160)의 내주면에 종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스페이서(163)의 상단에는 상기 스포이트관(110)의 인입시, 상기 연통홀 개폐링(130)의 하강을 가이드 하기 위한 가이드부(163a)가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충전 스포이트형 화장품 용기.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10)는 하단부에 바닥 플레이트(12)가 마련되며, 상기 바닥 플레이트(12)의 상면 센터에는 화장액 잔량 회수홈(12a)이 형성되고, 상기 바닥 플레이트(12)의 상면은 상기 화장액 잔량 회수홈(12a)을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스포이트관(110)의 하단부는 상기 화장액 잔량 회수홈(12a) 안으로 삽입되는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충전 스포이트형 화장품 용기.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바닥 플레이트(12)는 상기 용기 본체(10)와는 별개로 부품으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충전 스포이트형 화장품 용기.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바닥 플레이트(12)는 인서트 사출성형 방식으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충전 스포이트형 화장품 용기.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와이퍼(wiper)(160)는 내주면에 상기 캡(150)을 닫아서 상기 스포이트관(110)을 인입할 때에, 상기 연통홀(121)의 개방을 유지하도록 하기 위한 스페이서(163)가 형성되며, 상기 스페이서(163)의 하단에는 상기 스포이트관(110)의 인입시 상기 연통홀 개폐링(130)의 하강을 저지하여 상기 연통홀 개폐링(130)이 상기 연통홀(121)을 개방하도록 하는 제1 스톱퍼(164)가 형성되며, 상기 스페이서(163)의 상단에는 상기 스포이트관(110)의 인출시 상기 연통홀 개폐링(130)의 상승을 저지하여 상기 연통홀 개폐링(130)이 상기 연통홀(121)을 폐쇄하도록 하는 제2 스톱퍼(165)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자동 충전 스포이트형 화장품 용기.
KR1020210128543A 2021-09-29 2021-09-29 자동 충전 스포이트형 화장품 용기 KR1023346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8543A KR102334654B1 (ko) 2021-09-29 2021-09-29 자동 충전 스포이트형 화장품 용기
PCT/KR2022/013930 WO2023054949A1 (ko) 2021-09-29 2022-09-19 자동 충전 스포이트형 화장품 용기
US18/363,885 US20230373694A1 (en) 2021-09-29 2023-08-02 Automatically-chargeable spout type cosmetics contai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8543A KR102334654B1 (ko) 2021-09-29 2021-09-29 자동 충전 스포이트형 화장품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4654B1 true KR102334654B1 (ko) 2021-12-02

Family

ID=788671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8543A KR102334654B1 (ko) 2021-09-29 2021-09-29 자동 충전 스포이트형 화장품 용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30373694A1 (ko)
KR (1) KR102334654B1 (ko)
WO (1) WO2023054949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9223B1 (ko) * 2021-12-22 2022-06-16 임종수 화장품 용기 및 그 제조방법
WO2023054949A1 (ko) * 2021-09-29 2023-04-06 주식회사 아폴로산업 자동 충전 스포이트형 화장품 용기
KR102615936B1 (ko) * 2022-10-26 2023-12-20 (주)이엔비리서치 휴대 및 사용이 용이하고 효율적인 분주가 가능한 파이펫 딜루언트
WO2024039179A1 (ko) * 2022-08-16 2024-02-22 주식회사 신우 자동 충전 기능을 갖는 스포이트형 화장품 용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20099A (ko) 2010-04-28 2011-11-03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스포이트 용기
KR200463135Y1 (ko) * 2010-09-09 2012-10-18 (주)아모레퍼시픽 스포이드형 용기
KR101572007B1 (ko) 2015-09-15 2015-11-25 황재광 자동 충전 스포이트형 화장품 용기
KR101780903B1 (ko) * 2016-12-28 2017-09-21 이영주 자동 충전 스포이트형 화장품 용기
JP3215726U (ja) * 2017-10-26 2018-04-12 集泉塑膠工業股▲ふん▼有限公司 液体の下吸込式ポンプ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9855B1 (ko) * 2011-04-11 2013-12-10 주식회사 우경아이앤아이 내용물 배출용기
KR200480441Y1 (ko) * 2014-11-04 2016-05-26 펌텍코리아(주) 자동 스포이드 용기
KR102334654B1 (ko) * 2021-09-29 2021-12-02 김경숙 자동 충전 스포이트형 화장품 용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20099A (ko) 2010-04-28 2011-11-03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스포이트 용기
KR200463135Y1 (ko) * 2010-09-09 2012-10-18 (주)아모레퍼시픽 스포이드형 용기
KR101572007B1 (ko) 2015-09-15 2015-11-25 황재광 자동 충전 스포이트형 화장품 용기
KR101780903B1 (ko) * 2016-12-28 2017-09-21 이영주 자동 충전 스포이트형 화장품 용기
JP3215726U (ja) * 2017-10-26 2018-04-12 集泉塑膠工業股▲ふん▼有限公司 液体の下吸込式ポンプ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P3215726 UR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54949A1 (ko) * 2021-09-29 2023-04-06 주식회사 아폴로산업 자동 충전 스포이트형 화장품 용기
KR102409223B1 (ko) * 2021-12-22 2022-06-16 임종수 화장품 용기 및 그 제조방법
WO2024039179A1 (ko) * 2022-08-16 2024-02-22 주식회사 신우 자동 충전 기능을 갖는 스포이트형 화장품 용기
KR102615936B1 (ko) * 2022-10-26 2023-12-20 (주)이엔비리서치 휴대 및 사용이 용이하고 효율적인 분주가 가능한 파이펫 딜루언트
WO2024090983A1 (ko) * 2022-10-26 2024-05-02 (주)이엔비리서치 휴대 및 사용이 용이하고 효율적인 분주가 가능한 파이펫 딜루언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373694A1 (en) 2023-11-23
WO2023054949A1 (ko) 2023-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34654B1 (ko) 자동 충전 스포이트형 화장품 용기
US7104426B2 (en) Dispensing container
KR102089919B1 (ko) 펌프식 액체 밀폐용기
US7614814B2 (en) Enhanced fluid dispenser container fitment
CN110606271A (zh) 泵型气密液体容器
KR20090077997A (ko) 수동식 분사펌프
KR200449631Y1 (ko) 수동식 드롭퍼
KR101987601B1 (ko) 펌프식 액체 밀폐용기
US20230013434A1 (en) Double container
EP2929802A1 (en) Cosmetic container comprising push button having resilient upright nozzle
KR101194450B1 (ko) 시린지를 갖는 용기
KR101959131B1 (ko) 펌프식 액체 밀폐용기
KR102535161B1 (ko) 펌프형 화장품 용기
US6968981B2 (en) Dispenser for free-flowing products
KR101663206B1 (ko) 디스펜서
KR20070047941A (ko) 디스펜싱 밸브 클로우져
KR200467361Y1 (ko) 자동 개폐 플러그를 갖는 튜브형 용기
KR20110042702A (ko) 화장품 용기
KR101042646B1 (ko) 토출유닛 및 이를 구비한 디스펜서
CN214936004U (zh) 空气零接触上水器及保鲜取液系统
KR102527875B1 (ko) 화장품용 디스펜서
KR102625263B1 (ko) 펌프형 샴푸용기
US20240066540A1 (en) Fluid dispenser with priming means
JP2007302253A (ja) 吐出容器
US11224888B2 (en) Fluid contai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