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9855B1 - 내용물 배출용기 - Google Patents

내용물 배출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9855B1
KR101339855B1 KR20110033195A KR20110033195A KR101339855B1 KR 101339855 B1 KR101339855 B1 KR 101339855B1 KR 20110033195 A KR20110033195 A KR 20110033195A KR 20110033195 A KR20110033195 A KR 20110033195A KR 101339855 B1 KR101339855 B1 KR 1013398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contents
air injection
cylinder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100331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15720A (ko
Inventor
우종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우경아이앤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우경아이앤아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우경아이앤아이
Priority to KR201100331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9855B1/ko
Publication of KR201201157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57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98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98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42Components or details
    • B05B11/1052Actuation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5/00Holders or dispensers for soap, toothpaste, or the like
    • A47K5/06Dispensers for soap
    • A47K5/12Dispensers for soap for liquid or pasty soap
    • A47K5/1211Dispensers for soap for liquid or pasty soap using pressure on soap, e.g. with pist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005Components or details
    • B05B11/0037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01Piston pump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80Packaging reuse or recycling, e.g. of multilayer packag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점성을 갖는 내용물이 용기 내부표면에 유착되지 않도록 하여 원재료를 절감함과 동시에 환경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한 내용물 배출용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점성을 갖는 내용물이 담기는 용기와; 용기의 입구측에 고정되며, 상단부의 노즐헤드를 누르면 용기 내부의 흡입관을 통해 흡입된 내용물이 외부로 배출되고, 노즐헤드를 놓아주면 원래의 위치로 복귀되는 디스펜서를 갖는 내용물 배출용기에 있어서, 용기 내부와 통하도록 상기 용기의 입구측에 고정된 실린더와; 일단부는 노즐헤드의 하면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실린더의 내부에 위치되어 노즐헤드의 승강 동작과 연동하여 승강되는 공기주입용 샤프트와; 실린더의 내벽면과 밀착되도록 공기주입용 샤프트의 하부측에 고정되어 공기주입용 샤프트의 하강시 공기를 용기 내부로 강제 주입하는 피스톤과; 실린더의 하부측에 형성된 공기주입공에 탄력적으로 삽입되어 피스톤의 승하강에 따라 공기주입공을 개폐하는 밸브체를 포함한 것이며, 용기는 디스펜서와 공기 주입부위를 갖는 상부 용기와 리필 가능하게 구성된 하부 용기로 구성하여 상부 용기는 재활용 가능하게 구성한 것이다.

Description

내용물 배출용기{Content discharge courage}
본 발명은 내용물 배출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점성을 갖는 내용물이 용기 내부표면에 유착되지 않도록 하여 원재료를 절감함과 동시에 환경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주방세제, 물비누, 샴푸 등과 같은 점성을 갖는 내용물을 소량씩 배출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내용물이 담기는 용기의 상단부에는 펌핑작용에 의해 내용물을 소량씩 배출해주는 디스펜서가 구비된다.
이러한 디스펜서는, 노즐헤드(2)와 통하도록 중공의 샤프트(3)가 노즐헤드(2)의 하면에 일체로 형성되며, 샤프트(3)의 하부에는 피스톤(4)이 끼워지고, 샤프트(3)의 외주면에는 차플렛(5)이 위치되며, 차플렛(5)의 하부에는 피스톤(4)의 상승시 발생되는 흡입력을 통해 용기(1) 내부의 내용물이 흡상되는 하우징(6)이 형성되고, 하우징(6)의 내부에는 샤프트(3)를 복귀시키는 압축 스프링(7)이 위치되며, 하우징(6)의 하단부에는 밸브 시트 역할을 하는 내용물 유입구(6a)가 형성되고, 내용물 유입구(6a)와 압축 스프링(7)의 사이에는 흡입력 발생시에는 개방되었다가 내용물(1a)이 흡상되면 폐쇄하는 볼(8)이 구비되며, 내용물 유입구(6a)의 하부에는 흡입관(9)이 끼워져 이루어지는 것으로, 노즐헤드(2)를 누르면 샤프트(3)가 하강하면서 하우징(6) 내부의 내용물이 샤프트(3)를 거쳐 노즐헤드(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고, 노즐헤드(2)를 놓아주면 압축 스프링(7)에 의해 샤프트(3)와 노즐헤드(2)가 원래의 위치로 복귀되면서 피스톤(4)이 상승하여 하우징(6) 내부의 압력이 저하되어 흡입력이 발생되고, 이러한 흡입력에 의해 볼(8)이 상승하여 내용물 유입구(6a)가 개방됨과 동시에 용기 내부의 내용물(1a)이 하우징(6) 내부로 흡상되어 채워지며, 볼(8)이 중력과 압축 스프링(7)의 척력에 의해 다시 하강하여 내용물 유입구(6a)를 막아 내용물이 다시 용기(1) 내부로 하강하는 것을 차단해주는 것이다.
이러한 일반적인 디스펜서는 노즐헤드(2) 및 샤프트(3)의 펌핌 작용시, 용기 (1)내의 내용물(1a)이 외부로 배출되는 만큼 그 공간을 채울 수 있도록 외부 공기를 용기(1) 내부에 공급시켜주어야 하며, 그렇지 않을 경우 용기(1) 내부에 공기가 점차 없어져 용기(1)가 수축될 수밖에 없으므로 이를 감안하여 샤프트(3)에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공기유동홈(3a)을 형성해주어 샤프트(3)의 펌핑작동시 샤프트(3)와 차플렛(5) 사이로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내용물이 샤프트와 차플렛 사이의 공간으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공기유동홈은 매우 작은 크기로 구성하게 되므로 샤프트의 펌핑작용시 샤프트와 차플렛 사이로 유입되는 공기의 양은 매우 적으며, 이로 인해 디스펜서를 사용할수록 용기 내부의 공기압은 점차 낮아져 점성을 갖는 내용물의 응집력과 표면장력이 낮아짐으로써 많은 양의 내용물이 용기의 내부벽면에 유착될 수밖에 없었다.
이러한 내용물의 용기 유착현상은 내용물의 점성이 높을수록 그 정도가 심하였으며, 내용물의 용기 유착현상으로 인한 소비자의 시각적 불편함을 없애기 위해 용기를 불투명재질로 사용하고 있어 소비자들로부터 시각적 만족감을 주지 못함은 물론 내용물의 잔여물을 육안으로 쉽게 파악하기 어려워 재구매시점을 놓치는 일도 많이 있었다.
또한, 용기의 내부 벽면에 잔유물이 남아있는 상태로 버려지게 되므로 원재료의 낭비가 심하고, 또 이러한 버려진 용기들로 인해 환경 오염을 유발할 수 있었으며, 내용물이 담긴 용기들은 내용물의 사용 후 디스펜서까지 전부 폐기하게 되므로 재활용성이 떨어지는 단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점성을 갖는 내용물이 용기 내부표면에 유착되지 않고 깔끔하게 전량 배출되도록 하여 원재료를 절감함과 동시에 환경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한 내용물 배출용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다른 견지로는, 점성을 갖는 내용물이 충전된 리필 용기를 별도로 구비하여 디스펜서 부위를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재활용성을 높이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점성을 갖는 내용물이 담기는 용기와; 상기 용기의 입구측에 고정되며, 상단부의 노즐헤드를 누르면 상기 용기 내부의 흡입관을 통해 흡입된 내용물이 외부로 배출되고, 상기 노즐헤드를 놓아주면 원래의 위치로 복귀되는 디스펜서를 갖는 내용물 배출용기에 있어서, 상기 용기 내부와 통하도록 상기 용기의 입구측에 고정된 실린더; 일단부는 상기 노즐헤드의 하면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 위치되어 상기 노즐헤드의 승강 동작과 연동하여 승강되는 공기주입용 샤프트; 상기 실린더의 내벽면과 밀착되도록 상기 공기주입용 샤프트의 하부측에 고정되어 상기 공기주입용 샤프트의 하강시 공기를 상기 용기 내부로 강제 주입하는 피스톤; 및 상기 실린더의 하부측에 형성된 공기주입공에 탄력적으로 삽입되어 상기 피스톤의 승하강에 따라 상기 공기주입공을 개폐하는 밸브체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실린더와 상기 공기주입용 샤프트의 사이, 상기 피스톤과 상기 공기주입용 샤프트의 사이로 공기가 통과되도록 상기 공기주입용 샤프트의 표면에는 그 길이방향으로 공기 유동홈이 형성되고; 상기 공기주입용 샤프트의 피스톤 상하 위치에는 상기 실린더의 내경보다는 작은 크기의 외경을 가진 상부 피스톤 지지편과 하부 피스톤 지지편이 상기 피스톤의 길이보다는 긴 간격으로 각각 형성되며; 상기 하부 피스톤 지지편의 피스톤 접촉부위에는 공기 유동홈이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실린더는 상기 디스펜서의 일측에 나란히 형성되거나, 상기 디스펜서의 둘레에 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용기의 내부 내용물의 상면에는 중앙부에 흡입관 통과홀을 가지면서 테두리부가 용기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내용물 누름판이 얹혀져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용기의 저면은 중앙부를 향해 경사지게 구성되고, 상기 용기의 저면 중앙부에는 최종적으로 상기 내용물을 모아주는 내용물 수거홈이 형성되며, 상기 흡입관의 하단부가 상기 내용물 수거홈 내부에 위치될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용기는, 상부 용기에 하부 용기가 수밀성있게 결합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하부 용기에는 내용물이 충전되면서 그 상면에 상기 내용물 누름판이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노즐헤드를 눌러 내용물을 배출시킬 때 공기주입용 샤프트가 같이 눌리면서 공기가 용기 내부로 강제 주입될 수 있어 용기 내부의 공기압을 유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점성을 갖는 내용물의 응집력 및 표면장력을 높여 용기의 내벽면에 유착되지 않고 깨끗하게 배출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용기의 중간부에는 내용물 누름판이 구비되어 있어 내용물이 배출되는 것과 동시에 누름판이 점차 하강하면서 용기 내벽면을 내용물없이 깨끗하게 제거해줄 수 있으며, 용기의 저면은 중앙부를 향해 경사지게 구성되면서 중앙부에 내용물 수거홈이 형성되어 있어 어떠한 내용물의 잔여물도 없이 깔끔하게 배출해줄 수 있는 것이며, 이에 따라 모두 사용한 용기를 폐기하더라도 그 내부에 내용물이 모두 배출된 상태에 있게 되므로 원재료의 낭비를 막아줌은 물론 환경을 보호할 수 있는 이점도 있게 된다.
또한, 내용물이 담긴 용기만 리필 형태로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자원 재활용성을 높일 수 있음은 물론 소비자가격의 하락 및 생산원가 절감의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용기의 내벽면에 내용물이 유착되지 않는 점을 이용하여 용기를 투명한 재질로 구성할 수 있어 재구매 시점을 육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고, 시각적 만족감을 높여줄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내용물 배출용기의 단면도.
도 2는 도 1의 내용물 배출부위 상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내용물 배출용기의 단면도.
도 4는 도 3의 내용물 배출부위 상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리필 용기의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리필 용기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내용물 누름판의 작동 설명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배출용기의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을 제시되는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내용물 배출용기는, 디스펜서의 작동시 같이 작동되면서 용기 내부로 공기를 강제 주입해주도록 구성한 것이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디스펜서는 일반적인 내용물 배출용기에 적용되는 디스펜서와 마찬가지로 노즐헤드(12)와 통하도록 중공의 샤프트(13)가 노즐헤드(12)의 하면에 일체로 형성되며, 샤프트(13)의 하부에는 피스톤(14)이 끼워지고, 샤프트(13)의 외주면에는 차플렛(15)이 위치되며, 차플렛(15)의 하부에는 피스톤(14)의 상승시 발생되는 흡입력을 통해 용기(60) 내부의 내용물(70)이 흡상되는 하우징(16)이 형성되고, 하우징(16)의 내부에는 샤프트(13)를 복귀시키는 압축 스프링(17)이 위치되며, 하우징(17)의 하단부에는 밸브 시트 역할을 하는 내용물 유입구(16a)가 형성되고, 내용물 유입구(16a)에는 흡입력 발생시에는 개방되었다가 내용물(70)이 흡상되면 폐쇄하는 볼(18)이 구비되며, 내용물 유입구(16a)의 하부에는 흡입관(19)이 끼워져 이루어진다. 도면상의 미설명 부호 13a는 샤프트에 형성된 공기유동홈을 나타낸다.
이러한 내용물 배출용기에 있어서, 용기(60) 내부와 통하도록 용기(60)의 입구측에는 실린더(20)가 고정되고, 노즐헤드(12)의 하면에는 상기한 디스펜서의 샤프트(13)와는 다른 공기주입용 샤프트(30)가 고정되면서 공기주입용 샤프트(30)의 타단부는 실린더(20)의 내부에 위치되어 노즐헤드(12)의 승강 동작과 연동하여 승강되도록 구성되며, 실린더(20)의 내벽면과 밀착되도록 공기주입용 샤프트(30)의 하부측에는 피스톤(40)이 고정되어 공기주입용 샤프트(30)의 하강시 공기를 용기(60) 내부로 강제 주입해주게 된다.
또한, 실린더(20)의 하부측에는 공기주입공(21)이 형성되고, 이 공기주입공(21)에는 밸브체(50)가 압축 스프링(51)에 의해 탄력적으로 끼워져 피스톤(40)의 승하강에 따라 공기주입공(21)을 개폐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실린더(20)와 공기주입용 샤프트(30)의 사이, 피스톤(40)과 공기주입용 샤프트(30)의 사이로 공기가 통과되도록 공기주입용 샤프트(30)의 표면에는 그 길이방향으로 공기유동홈(31)이 형성되고, 공기주입용 샤프트(30)의 피스톤 상하 위치에는 실린더(20)의 내경보다는 작은 크기의 외경을 가진 상부 피스톤 지지편(33)과 하부 피스톤 지지편(34)이 피스톤(40)의 길이보다는 긴 간격으로 각각 형성되며, 하부 피스톤 지지편(34)의 피스톤 접촉부위에도 공기유동홈(31)이 형성된다.
또한, 실린더(20) 내부로 공기가 용이하게 통하도록 실린더(20)의 측방에는 외부와 통하는 공기유통공(32)을 더 형성해줄 수도 있다.
실린더(20)는 상기한 디스펜서와 별도로 구성할 수도 있으나 용기(60)의 입구 부위가 협소한 관계로 디스펜서의 차플렛(15)에 일체로 형성해줌이 바람직한데, 실린더(20)는 디스펜서의 하우징(16) 일측에 나란히 형성하거나, 하우징(16)의 둘레에 링형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용기(60)가 전도되었을 때 내용물(70)이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공기주입량이 내용물의 인출량보다 많도록 하여 용기내 공기압이 용기 외부의 공기압 또는 내용물의 공기압보다 항상 커지도록 해야 하며, 이를 위해 실린더(20)의 용적을 하우징(16)의 용적보다는 크게 형성해주게 되는바, 예를 들면 실린더(20)와 하우징(16)이 나란하게 형성되는 경우 실린더(20)의 직경을 하우징(16)의 직경보다 크게 구성하면 된다. 물론, 실린더(20)가 링형으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하우징(16)의 용적보다 실린더(20)의 용적이 커지도록 설계해주면 된다.
실린더(20)가 링형으로 구성되는 경우 피스톤(40)도 링형으로 구성해주어야 하며, 공기주입용 샤프트(30) 역시 링형으로 구성하거나, 여러개의 공기주입용 샤프트(30)를 등각도로 배치하여 링형의 피스톤(40) 군데군데에 끼워지게 구성할 수도 있고, 공기주입공(21)과 밸브체(50) 역시 여러개 구성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용기(60)를 리필 형태로 결합시켜 디스펜서와 공기주입구조를 버리지 않고 재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으로, 용기(60)는 상부 용기(61)와 하부용기(62)로 분리되어 상부 용기(61)와 하부 용기(62)가 수밀성있게 결합되며, 하부 용기(62)에는 내용물(70)이 충전되면서 내용물(70)의 상면에는 중앙부에 흡입관 통과홀(81)을 가지면서 테두리부가 하부 용기(62)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내용물 누름판(80)이 얹혀져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하부 용기(62)는 별도로 제조되어 상부에 뚜껑(63)이 결합된 상태에서 개별 단위로 구매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데, 하부 용기(62) 상부에는 숫나사가 형성되고, 상부 용기(61)의 하부에는 숫나사에 대응되는 암나사가 형성되어 상부 용기(61)와 하부 용기(62)가 나사 결합되도록 하거나, 돌기-홈 구조로 수밀성있게 끼워지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어떠한 내용물의 잔여물도 남기지 않고 모두 배출해줄 수 있도록 하부 용기(62)의 저면은 중앙부를 향해 경사지게 구성하고, 하부 용기(62)의 저면 중앙부에는 최종적으로 내용물을 모아주는 내용물 수거홈(64)을 형성하며, 흡입관(19)의 하단부를 내용물 수거홈(64) 내부에 위치되도록 구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태에서 노즐헤드(12)를 누르면 중공의 샤프트(13)와 공기주입용 샤프트(30)가 동시에 눌려지게 되며, 샤프트(13)가 눌려지면 피스톤(14)이 공기유동홈(13a)을 통한 공기 유입통로를 개방한 상태로 같이 하강하면서 하우징(16) 내부에 대기하고 있던 내용물(70)이 중공의 샤프트(13)와 노즐헤드(12)를 통해 외부로 원활히 배출된다.
실린더(20) 내부에는 공기유동홈(31)과 공기유통공(32)을 통해 공기가 상시 채워져 있게 되므로 노즐헤드(12)의 하강시 공기주입용 샤프트(30)가 눌려지면서 피스톤(40)이 같이 하강하여 실린더(20) 내부에 채워져 있던 공기를 하방향으로 밀어주게 되고, 실린더(20) 하부의 공기주입공(21)을 압축 스프링(51)의 탄성력에 의해 막고 있던 밸브체(50)가 공기압에 의해 개방되면서 공기주입공(21)을 통해 공기가 용기(60) 내부로 유입되어 용기(60) 내부의 공기압을 상승시켜주게 된다.
피스톤(40)은 공기주입용 샤프트(30)가 눌려질 때 최초에는 원래의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가 상부측 피스톤 지지편(33)과 만나면 모든 공기 유입통로를 차단한 상태로 같이 하강하게 되므로 실린더(20) 내부의 공기가 전량 실린더(20)의 하부 공기주입공(21)을 통해 용기(60) 내부로 유입될 수 있게 된다.
노즐헤드(12)에 가해졌던 압력을 해제하면 샤프트(13)가 압축 스프링(17)의 척력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복귀되고, 샤프트(13)의 상승에 따라 피스톤(14)이 모든 공기 유입통로를 차단한 상태로 상승하면서 하우징(16) 내부의 공기압을 떨어뜨려 이로 인해 흡입력이 발생되며, 이러한 흡입력에 의해 볼(18)이 내용물 유입구(16a)를 개방해주어 흡입관(19)을 통해 용기(60) 내부에 있던 내용물(70)이 하우징(16) 내부로 유입되고, 볼(18)이 중력에 의해 다시 하강하여 유입된 내용물이 하부로 다시 빠져나가는 것을 차단해주게 된다.
이와 동시에 공기주입용 샤프트(30)가 상승하면 피스톤(40)은 하부 피스톤 지지편(34)과 만날 때까지 움직이지 않다가 하부 피스톤 지지편(34)과 만나면 모든 공기 유입통로를 개방한 상태로 같이 상승하게 되므로 실린더(20) 내부에는 다시 공기가 채워지게 되며, 공기주입공(21)을 개방하고 있던 밸브체(50)가 압축 스프링(51)의 척력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복귀되면서 공기주입공(21)을 폐쇄하여 용기(60) 내부에 있는 공기가 다시 실린더(2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해주게 된다.
즉, 중공의 샤프트(13)가 하강할 때에는 샤프트(13)과 피스톤(14) 사이로 공기가 유동할 수 있어 공기가 같이 주입되면서 내용물(70) 배출이 용이해지고, 샤프트(13)가 상승할 때에는 샤프트(13)와 피스톤(14)이 기밀하게 접촉되어 하우징(16) 내부의 공기압을 떨어뜨림으로써 내용물(70)이 하우징(16) 내부로 흡상되는 것이며, 이와는 반대로 공기주입용 샤프트(30)가 하강할 때에는 공기주입용 샤프트(30)과 피스톤(40) 사이가 기밀하게 접촉되어 실린더(20) 내부의 공기가 전량 용기(60) 내부로 주입될 수 있고, 공기주입용 샤프트(30)가 상승할 때에는 공기주입용 샤프트(30)와 피스톤(40) 사이로 공기가 유통되어 실린더(20) 내부에 공기가 채워질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내용물(70)의 배출과 동시에 용기(60) 내부에는 공기가 유입되어 용기(60) 내부의 공기압을 상시 용기(60) 외부의 공기압 및 내용물(70)의 공기압보다 크게 유지할 수 있으며, 이러한 공기압 상승을 통해 점성을 갖는 내용물(70)의 표면장력과 응집력이 높아지게 되어 용기(60) 내부에 내용물(60)이 유착되지 않게 된다.
용기(60) 내부에 내용물(70)이 유착되지 않게 되면 제품을 모두 사용한 후 용기(60) 내부에 내용물(70)의 잔여물이 남지 않아 원재료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고, 이러한 용기(60)를 폐기하더라도 내용물(70)의 잔여물로 인한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게 된다.
또한, 공기 주입에 따라 용기(60) 내부의 공기압이 상시 용기(60) 외부의 공기압 및 내용물(70)의 공기압보다 크게 유지될 수 있어 용기(60)가 사용도중 전도되더라도 상부 용기(61)와 하부 용기(60)의 연결부위, 내용물 배출부위, 공기 주입부위를 통해 내용물(70)이 누출되는 것을 막아줄 수 있게 된다.
또한, 용기(60)의 재질을 투명한 재질로 구성하더라도 외부에서 볼 때 미관이 양호해지게 되어 시각적 만족감을 얻을 수 있으며, 내용물(70)의 잔여물을 외부에서 손쉽게 확인할 수 있어 재구매시점을 예측하기 유리한 이점도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용기(60)는 상부 용기(61)와 하부 용기(62)로 분리 구성되어 상부 용기(61)와 하부 용기(62)가 수밀성있게 결합되는 것이며, 이러한 하부 용기(62)를 리필 형태로 별도 판매할 수 있도록 구성되므로 상부 용기(61) 및 여기에 고정되는 내용물 배출부위, 공기 주입부위 등은 계속해서 활용하면서 하부 용기(62)만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어 자원 재활용성을 높일 수 있고, 그에 해당하는 만큼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음은 물론 제품의 소비자가격을 낮출 수 있는 이점도 있게 된다.
또한, 하부 용기(62)에는 내용물(70)이 충전되면서 내용물(70)의 상면에는 중앙부에 흡입관 통과홀(81)을 가지면서 테두리부가 하부 용기(62)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내용물 누름판(80)이 얹혀져 이루어지게 되므로 용기(60)로부터 내용물(70)이 배출되면서 유입되는 공기에 의해 내용물 누름판(80)은 용기(60)의 내벽면을 깨끗하게 밀어내면서 하강하게 되어 용기(60) 내부에 혹시 내용물(70)이 미량 유착되더라도 이러한 미량의 내용물(70)까지 전량 용기(60)의 하부측으로 밀어낼 수 있게 된다.
또한, 하부 용기(62)의 저면은 중앙부를 향해 경사지게 구성되어 있고 내용물 누름판(80)의 하면은 하부 용기(62)의 저면 형상과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므로 용기(60) 내부의 내용물(70)을 거의 사용하였을 때 내용물 누름판(80)에 의해 하방향으로 밀리는 내용물(70)은 경사진 하부 용기(62)의 저면 형상에 따라 저면 중앙부로 안내될 수 있고, 하부 용기(62)의 저면 중앙부에는 최종적으로 내용물(70)을 모아주는 내용물 수거홈(64)이 형성되어 있어 내용물(70)이 이러한 내용물 수거홈(64)에 모이게 된다.
흡입관(19)의 하부는 하단부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 작아지도록 구성되면서 그 하단부가 내용물 수거홈(64) 내부에 위치되어 있으므로 내용물 누름판(80)이 하부 용기(62)의 저면과 밀착되면 자연스럽게 내용물 누름판(80)의 흡입관 통과홀(81)과 흡입관(19)의 외벽 사이에 미세한 틈새가 발생되고, 용기(60) 내부에 채워져 있던 공기가 이러한 틈새를 통해 주입되어 내용물 수거홈(64)과 흡입관(19) 내부에 있던 내용물(70)까지 완벽하게 외부로 배출됨으로써 잔여 내용물(70)이 전혀 없이 깨끗하게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하부 용기(62)가 별도로 구성되어 여기에 내용물 누름판(80)이 구비되고, 또 하부 용기(62)의 저면이 중앙부를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면서 하부 용기(62) 저면 중앙부에 내용물 수거홈(64)이 형성된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하부 용기(62)가 별도로 구성되지 않고 일반적인 단일 용기(60)에 내용물 누름판(80)이 구비되고, 용기(60) 저면이 중앙부를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면서 용기(60) 저면 중앙부에 내용물 수거홈(64)이 형성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12 : 노즐헤드 13 : 샤프트
13a,31 : 공기유동홈 14,40 : 피스톤
15 : 차플렛 16 : 하우징
16a : 내용물 유입구 17,51 : 압축 스프링
18 : 볼 19 : 흡입관
20 : 실린더 21 : 공기주입공
30 : 공기주입용 샤프트 32 : 공기유통공
33 : 상부 피스톤 지지편 34 : 하부 피스톤 지지편
50 : 밸브체 60 : 용기
61 : 상부 용기 62 : 하부 용기
63 : 뚜껑 64 : 내용물 수거홈
70 : 내용물 80 : 내용물 누름판
81 : 흡입관 통과홀

Claims (7)

  1. 삭제
  2. 점성을 갖는 내용물이 담기는 용기와; 상기 용기의 입구측에 고정되며, 상단부의 노즐헤드를 누르면 상기 용기 내부의 흡입관을 통해 흡입된 내용물이 외부로 배출되고, 상기 노즐헤드를 놓아주면 원래의 위치로 복귀되는 디스펜서와; 상기 용기 내부와 통하도록 상기 용기의 입구측에 고정된 실린더와; 일단부는 상기 노즐헤드의 하면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 위치되어 상기 노즐헤드의 승강 동작과 연동하여 승강되는 공기주입용 샤프트와; 상기 실린더의 내벽면과 밀착되도록 상기 공기주입용 샤프트의 하부측에 고정되어 상기 공기주입용 샤프트의 하강시 공기를 상기 용기 내부로 강제 주입하는 피스톤과; 상기 실린더의 하부측에 형성된 공기주입공에 탄력적으로 삽입되어 상기 피스톤의 승하강에 따라 상기 공기주입공을 개폐하는 밸브체를 포함하며; 상기 용기의 내부 내용물의 상면에는 중앙부에 흡입관 통과홀을 가지면서 테두리부가 상기 용기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내용물 누름판이 얹혀져 이루어진 내용물 배출용기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와 상기 공기주입용 샤프트의 사이, 상기 피스톤과 상기 공기주입용 샤프트의 사이로 공기가 통과되도록 상기 공기주입용 샤프트의 표면에는 그 길이방향으로 공기 유동홈이 형성되고;
    상기 공기주입용 샤프트의 피스톤 상하 위치에는 상기 실린더의 내경보다는 작은 크기의 외경을 가진 상부 피스톤 지지편과 하부 피스톤 지지편이 상기 피스톤의 길이보다는 긴 간격으로 각각 형성되며;
    상기 하부 피스톤 지지편의 피스톤 접촉부위에는 공기 유동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 배출용기.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20110033195A 2011-04-11 2011-04-11 내용물 배출용기 KR1013398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10033195A KR101339855B1 (ko) 2011-04-11 2011-04-11 내용물 배출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10033195A KR101339855B1 (ko) 2011-04-11 2011-04-11 내용물 배출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5720A KR20120115720A (ko) 2012-10-19
KR101339855B1 true KR101339855B1 (ko) 2013-12-10

Family

ID=472842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10033195A KR101339855B1 (ko) 2011-04-11 2011-04-11 내용물 배출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985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88247A1 (ko) * 2013-12-11 2015-06-18 바쉔 주식회사 잔류물 이동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내용물 수용 용기
KR102205461B1 (ko) * 2019-09-10 2021-01-21 (주)연우 디스펜서 용기
WO2023054949A1 (ko) * 2021-09-29 2023-04-06 주식회사 아폴로산업 자동 충전 스포이트형 화장품 용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1028B1 (ko) * 2018-11-30 2020-07-07 주식회사 포스코 액체보관용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19284A (ja) * 1999-01-29 2000-08-08 Milbon Co Ltd 注出容器
JP2004299727A (ja) 2003-03-31 2004-10-28 Shiseido Co Ltd ディスペンサー容器
KR20090113534A (ko) * 2008-04-28 2009-11-02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펌프식 세정액 용기
JP2010235129A (ja) * 2009-03-30 2010-10-21 Kao Corp ポンプ付き薄肉容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19284A (ja) * 1999-01-29 2000-08-08 Milbon Co Ltd 注出容器
JP2004299727A (ja) 2003-03-31 2004-10-28 Shiseido Co Ltd ディスペンサー容器
KR20090113534A (ko) * 2008-04-28 2009-11-02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펌프식 세정액 용기
JP2010235129A (ja) * 2009-03-30 2010-10-21 Kao Corp ポンプ付き薄肉容器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88247A1 (ko) * 2013-12-11 2015-06-18 바쉔 주식회사 잔류물 이동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내용물 수용 용기
KR102205461B1 (ko) * 2019-09-10 2021-01-21 (주)연우 디스펜서 용기
WO2023054949A1 (ko) * 2021-09-29 2023-04-06 주식회사 아폴로산업 자동 충전 스포이트형 화장품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5720A (ko) 2012-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6949Y1 (ko) 두 가지 내용물을 보관, 배출할 수 있는 화장품용기
KR101339855B1 (ko) 내용물 배출용기
KR20120128141A (ko) 유동성 물질 보존 용기 및 그 뚜껑
JP2009227307A (ja) カップ付容器
CN204908366U (zh) 包括具有弹性直立喷嘴的按钮的化妆品容器
KR101379846B1 (ko) 디스펜서 용기
KR200414417Y1 (ko) 그리이스통의 그리이스 토출기구
KR101038011B1 (ko) 액체 저장용기의 펌프
CN201268442Y (zh) 液体包装瓶
JP2014080239A (ja) レフィルタイプの吐出容器
KR200376734Y1 (ko) 재활용액체성펌프용기에 이용되는 원통형리필봉투
CN204699647U (zh) 混合机构及混合装置
JP2015044611A (ja) 付替え式吐出容器
KR101539632B1 (ko) 펌프용기 및 이에 사용되는 펌프장치
KR101196302B1 (ko) 리필 및 정량 토출 용기
CN111902219B (zh) 抽吸容器及容器盖
KR20210025826A (ko) 액상 제품 디스펜서
KR200458644Y1 (ko) 조립형 용기
KR100659786B1 (ko) 재활용액체성펌프용기에 이용되는 원통형리필봉투
KR200443568Y1 (ko) 리필용 샴푸,린스통
KR101101288B1 (ko) 유체 흡입수단을 구비하는 유체 저장용기
KR200467811Y1 (ko) 화장품 용기
EP2857328B1 (en) Small food storage container
KR102117703B1 (ko) 펌핑 용기 및 용기 캡
JP3163294U (ja) ディスペンサー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0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