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6302B1 - 리필 및 정량 토출 용기 - Google Patents

리필 및 정량 토출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6302B1
KR101196302B1 KR1020100042789A KR20100042789A KR101196302B1 KR 101196302 B1 KR101196302 B1 KR 101196302B1 KR 1020100042789 A KR1020100042789 A KR 1020100042789A KR 20100042789 A KR20100042789 A KR 20100042789A KR 101196302 B1 KR101196302 B1 KR 1011963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cap
refill
neck portion
central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27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23351A (ko
Inventor
손형근
Original Assignee
애경산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애경산업(주) filed Critical 애경산업(주)
Priority to KR10201000427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6302B1/ko
Publication of KR201101233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33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63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63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20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 B65D47/201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comprising a valve or like element which is opened or closed by deformation of the container or clo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2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65D1/0223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characterised by sh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2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65D1/06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with closable apertures at botto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0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articulated or hinged closures
    • B65D47/08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articulated or hinged closures integrally formed with the base element provided with the spout or discharge pass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12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removable closures
    • B65D47/127Snap-on cap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30Control of wash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32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06F33/37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of metering of detergents or additiv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20Washing liquid condition, e.g. turbidity
    • D06F2103/22Content of detergent or additi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기의 상방과 하방에 각각 리필용 주입구와 정량 토출용 배출구를 형성함으로써, 용기의 하측으로는 내용물의 정량 토출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용기의 상측으로는 내용물이 소진된 경우라도 리필하여 재사용할 수 있어, 내용물의 깔끔한 정량 토출이 가능하고 재사용에 따른 자원의 낭비를 막을 수 있는 리필 및 정량 토출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리필 및 정량 토출 용기는, 상방(上方) 및 하방(下方)이 개구(開口)지고 각 외주연에 제 1 및 제 2 네크부를 가지며 내용물이 수용되는 용기와, 내측면이 상기 용기의 상기 제 1 네크부 외주연에 체결고정되며, 용기의 복원력을 제공하는 체크 밸브를 구비한 리필(refill) 캡과, 상기 용기의 제 2 네크부에 조립되는 원터치(one-touch) 캡과, 상기 원터치 캡 내측에 끼워지며 상기 용기의 하방 개구가 내부 압력 변화에 따라 개봉 및 밀봉되는 자기 밀봉 밸브 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리필 및 정량 토출 용기{VESSEL}
본 발명은 리필 및 정량 토출 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용기의 상방과 하방에 각각 리필용 주입구와 정량 토출용 배출구를 형성함으로써, 용기의 하측으로는 내용물의 정량 토출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용기의 상측으로는 내용물이 소진된 경우라도 리필하여 재사용할 수 있어, 내용물의 깔끔한 정량 토출이 가능하고 재사용에 따른 자원의 낭비를 막을 수 있는 리필 및 정량 토출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장품이나 욕실용 세정 화장품, 주방 세제 등과 같은 다양한 액상의 내용물은 플라스틱을 이용한 용기를 주로 사용하게 된다. 이러한 플라스틱용기는 대체적으로 내용물을 손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용기의 캡에 내용물을 정량으로 토출하여 펌핑하기 위한 펌핑구조를 갖추어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플라스틱을 재료로 한 용기는 사용에 편리함을 제공하는 장점을 가지고 있으나, 용기 제작에 따른 생산비용의 증가로 최종 소비자 가격이 상승되어지는 단점을 가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내용물을 전량 사용한 후 재사용되어지지 않고 폐기되어 짐으로써 자원낭비는 물론, 폐기에 따른 환경오염을 초래하게 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근래에는 주용기와는 별도로 내용물만을 내장한 비닐 및 종이재질의 파우치에 담아서 공급함으로써 사용자는 내용물을 전량 사용한 후 그 내용물을 플라스틱 용기의 주입구를 통해 리필해서 재사용하는 것이 보편화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방법에 있어서는 플라스틱 용기를 사용후 버리지 않고 재사용한다는 측면에서는 바람직하나, 플라스틱 용기의 배출구를 그대로 리필을 위한 주입구로 사용하기 때문에, 리필시에 정량 토출를 위한 배출구의 분리가 어렵고 까다로워 사용의 불편함이 있을 뿐만 아니라, 용기의 주입구가 적기 때문에 사용자의 부주의 등으로 인하여 내용물을 외부로 쏟게 되는 문제점 등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용기의 상방과 하방에 각각 리필용 주입구와 정량 토출용 배출구를 형성함으로써, 용기의 하측으로는 내용물의 깔끔한 정량 토출이 가능하여 계량이 용이하고 과다 사용을 방지하며 또한 사용시 내용물이 묻거나 흘러내리지 않을 뿐만 아니라 용기의 상측으로는 내용물이 소진된 경우라도 리필하여 재사용할 수 있어, 내용물의 깔끔한 정량 토출이 가능하고 재사용에 따른 자원의 낭비를 막을 수 있는 리필 및 정량 토출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리필을 위한 리필 캡에는 체크 밸브를 장착함으로써, 내용물의 리필과 함께 용기 내측으로의 가압력에 의해 용기가 찌그러지더라도 바로 복원이 가능한 리필 및 정량 토출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용기의 상부를 커버하는 오버 캡(계량 컵)에 고무(rubber), TPE(thermoplastic elastomer) 또는 실리콘 재질 등의 세탁볼을 이중사출 성형하여 세탁볼로서 활용함으로써, 세척효과를 더욱 증대시키고 잔여물이 남지 않아 깔끔하게 관리할 수 있는 리필 및 정량 토출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정량 토출을 위한 자기 밀봉 밸브 수단으로서의 자기 밀봉 밸브와 자기 밀봉 밸브 고정링를 한번에 일체로 성형하여 제조함으로써, 자기 밀봉 밸브가 씹히는 현상을 방지하고, 자기 밀봉 밸브의 여닫이 개폐홈의 형성을 위한 커티 공정시에 발생할 수 있는 불량을 최소화할 수 있는 리필 및 정량 토출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용기의 몸체 일측에 투명창이 형성되어 인디케이터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용기 내부에 수용된 액상 내용물의 잔량을 육안으로 용이하게 확인하여 잔량이 소진된 경우 내용물을 바로 리필할 수 있는 리필 및 정량 토출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용기의 하측 쇼올드에는 리브(rib)가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요철형태가 되어 수직된 상태에서의 원터치 캡 또는 리필 캡의 조립시에 쇼올드가 전체적으로 눌리는 문제를 해소하여 조립성이 향상되는 리필 및 정량 토출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리필 및 정량 토출 용기는, 상방 및 하방이 개구(開口)지고 각 외주연에 제 1 및 제 2 네크부를 가지는 용기와; 내측면이 상기 용기의 상기 제 1 네크부 외주연에 체결고정되는 리필(refill) 캡과; 상기 용기의 제 2 네크부에 조립되는 원터치(one-touch) 캡과; 상기 원터치 캡 내측에 끼워지며 상기 용기의 하방 개구가 내부 압력 변화에 따라 개봉 및 밀봉되는 자기 밀봉 밸브 수단으로 구성되고: 상기 리필 캡은, 캡 본체와, 제 1 네크부의 개구와 연통되는 제 1 중앙홀과, 상기 제 1 중앙홀과 상기 제 1 네크부의 개구 사이에 끼워지되 상기 용기에 압력이 가해지면 상기 제 1 중앙홀을 폐쇄하고 압력이 해제되면 상기 제 1 중앙홀을 통해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는 체크 밸브부로 이루어지며; 여기서, 상기 체크 밸브부는, 고정링과, 제 1 중앙홀을 개폐하기 위한 원형판과, 상기 고정링과 원형판 사이에 탄성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용기 내측으로 가해지는 가압(加壓) 및 가압 해제에 따라 상기 원형판이 제 1 중앙홀을 폐쇄 및 개방하도록 하는 다수의 탄성 연결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여기서, 상기 리필(refill) 캡은, 상기 캡 본체의 내측면 중앙에서 상기 제 1 중앙홀로부터 이격하여 하측으로 수직 돌출된 환형(環形) 림(rim)이 형성되고, 상기 환형 림의 상측 내주연에 단턱부가 형성되어 상기 체크 밸브부의 고정링이 압입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삭제
또한 상기 리필 캡(20)을 상측에서 커버하도록 상기 용기(10)의 상측 외주연에 끼워지며, 그 상측 중앙부에는 고무(rubber), TPE(thermoplastic elastomer) 또는 실리콘 재질의 세탁볼부(51)가 이중사출 성형된 평평한 상면을 가지는 오버 캡(50)을 더욱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또한, 상기 제 2 네크부가 형성된 용기의 하측 쇼올드(should)에는 리브(rib)가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선형적인 요철형태가 됨이 바람직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신개념의 리필 및 정량 토출 용기에 의하면, 용기의 하측으로는 내용물의 정량 토출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용기의 상측으로는 내용물이 소진된 경우라도 리필하여 재사용할 수 있어, 내용물의 깔끔한 정량 토출이 가능하여 내용물의 계량이 쉽고 묻거나 흘러내리지 않으며 재사용과 과다 사용의 방지로 자원의 낭비를 막을 수 있고, 용기 내측으로의 가압력에 의해 용기가 찌그러지더라도 바로 복원이 가능하며, 오버 캡(계량 컵)에 고무(rubber), TPE(thermoplastic elastomer) 또는 실리콘 재질 등의 세탁볼을 이중사출 성형하여 활용함으로써, 세척효과를 더욱 증대시키고 옷감 손상을 방지하며 또한 오버 캡의 개봉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으며, 컴팩트한 용기로 들어서 사용하기 편리하고, 제조 공정시에 자기 밀봉 밸브가 씹히는 현상을 방지하고, 자기 밀봉 밸브의 여닫이 개폐홈의 형성을 위한 커티 공정시에 발생할 수 있는 불량을 최소화할 수 있고, 용기 내부에 수용된 액상 내용물의 잔량을 육안으로 용이하게 확인하여 잔량이 소진된 경우 내용물을 바로 리필할 수 있고, 용기의 하측 쇼올드가 요철형태로 되어 있어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리필 및 정량 토출 용기의 개략적인 분리 단면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리필 및 정량 토출 용기의 리필 캡과 용기와의 결합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2b 및 도 2c는 도 2a의 리필 캡의 체크 밸브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들이다.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리필 및 정량 토출 용기의 원터치 캡과 용기와의 결합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3b는 원터치(one-touch) 캡 부분의 사시도이다.
도 3c 및 도 3d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리필 및 정량 토출 용기의 자기 밀봉 밸브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평면도 및 수직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리필 및 정량 토출 용기의 개략적인 분리 단면도이고,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리필 및 정량 토출 용기의 리필 캡과 용기와의 결합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고, 도 2b 및 도 2c는 도 2a의 리필 캡의 체크 밸브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들이고,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리필 및 정량 토출 용기의 원터치 캡과 용기와의 결합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고,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one-touch) 캡의 사시도이고, 도 3c 및 도 3d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리필 및 정량 토출 용기의 자기 밀봉 밸브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평면도 및 수직 단면도로서, 편의상 함께 설명하기로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리필 및 정량 토출 용기(100)는, 상방(上方) 및 하방(下方)이 개구(開口)지고 각 외주연에 제 1 및 제 2 네크부(11)(12)를 가지며 내용물이 수용되는 용기(10)와, 내측면이 상기 용기(10)의 상기 제 1 네크부(11) 외주연에 체결고정되는 리필(refill) 캡(20)과, 상기 용기(10)의 제 2 네크부(12)에 조립되는 원터치(one-touch) 캡(30)과, 상기 원터치 캡(30) 내측에 끼워지며 상기 용기의 하방 개구가 내부 압력 변화에 따라 개봉 및 밀봉되는 자기 밀봉 밸브 수단(40)과, 상기 리필 캡(20)을 상측에서 커버하도록 상기 용기(10)의 상측 외주연에 끼워지는 오버 캡(50)으로 크게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용기(10)는 세탁세제, 주방세제, 바디케어, 헤어케어, 화장품이나 욕실용 세정제 등과 같은 다양한 액상의 내용물이 수용된다. 상기 용기의 재질은 플라스틱 범용수지인 PP, PE, PET, PET-G와 또는 엘라스토머(elastomer)를 블랜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한 용기(10)는 상방이 개구(開口)진 개구부(도면 번호 미부여)를 가지고, 돌출된 상측 외주연에는 후술하는 리필(refill) 캡(20)의 내주연에 형성된 제 2 나사부(23)와 나사 체결되는 제 1 나사부(11-1)가 형성된 제 1 네크부(11)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한 개구져 돌출된 제 1 네크부(11)가 다양한 액상 내용물의 주입구가 된다. 이러한 용기 주입구로서의 제 1 네크부(11)의 형성은 공지의 돔커팅 또는 블로우핀 적용 방법을 통해 성형함이 바람직하나, 본 발명에 있어 그 성형기술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한 용기(10)는 그 상측 외주연에는 환형(環形)의 제 1 끼움홈(13)이 형성되어 후술하는 오버 캡(50)의 하측 내주연이 용이하게 끼워질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한 용기(10)는 그 하방도 개구(開口)진 개구부(도면 번호 미부여)를 가지고, 돌출된 하측 외주연에는 후술하는 원터치(one-touch) 캡(30)의 내캡(33)에 형성된 대향하는 두 개의 수직홈(33-1)과 끼워져 결합되는 두 개의 수직 돌기부(12-1)가 외주연에 형성되는 제 2 네크부(11)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한 개구져 돌출된 제 2 네크부(12)가 다양한 액상 내용물의 배출구가 된다.
또한, 상기한 제 2 네크부(11)가 형성된 용기(10)의 하측 쇼올드(도면 번호 미부여)에는 리브(rib)(15)가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요철형태가 되어 수직된 상태에서의 원터치 캡 또는 리필 캡의 조립시에 쇼올드가 전체적으로 눌리는 문제를 해소하여 조립성이 향상되어진다. 그리고, 상기 용기의 일측에는 다수의 작은 돌기부(16)가 형성되어 그립감을 극대화하도록 되어 있다.
아울러, 상기한 용기(10)는 그 하측 외주연에는 환형(環形)의 제 2 끼움홈(14)이 형성되어 후술하는 원터치(one-touch) 캡(30)의 상측 내주연이 용이하게 끼워질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한 용기(10)의 몸체 일측에는 투명창(17)이 형성되어 인디케이터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용기 내부에 수용된 액상 내용물의 잔량을 육안으로 용이하게 확인하여 잔량이 소진된 경우 후술하는 리필 캡(20)을 이용하여 액상 내용물을 리필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리필(refill) 캡(20)(도 2a 등 참조)은, 캡 본체(21)와, 상기 캡 본체(21)의 상측 중앙에 형성되며, 내용물의 리필을 위한 주입구인 제 1 네크부(11)의 개구(도면 번호 미부여)와 연통되는 제 1 중앙홀(22)과, 상기 제 1 네크부(11) 외주연에 형성된 제 1 나사부(11-1)와 나사체결되는 제 2 나사부(23)와, 상기 제 1 중앙홀(22)과 상기 제 1 네크부(11)의 개구사이에 끼워지되 용기(10)에 압력이 가해지면 상기 제 1 중앙홀(22)을 폐쇄하고 용기(10)에 가해진 압력이 해제되며 상기 제 1 중앙홀(22)을 통해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는 체크 밸브부(6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용기(10)의 제 1 네크부(11) 상단과 캡 본체(21)의 상단 내측면 사이에는 발포 PE, 러버(rubber) 또는 엘라스토머(elastomer) 계열의 패킹부(70)가 더 형성된다.
또한, 상기한 리필(refill) 캡(20)은, 상기 캡 본체(21)의 내측면 중앙에서 상기 제 1 중앙홀(22)로부터 이격하여 하측으로 수직 돌출된 환형(環形) 림(rim)(24)이 형성되고, 상기 환형(環形) 림(rim)(24)의 상측 내주연에 단턱부(24-1)가 형성되어 상기한 체크 밸브부(60)가 압입 고정된다.
상기한 체크 밸브부(60)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체크 밸브부(60)는, 상기 환형 림(24)의 단턱부(24-1)에 끼워 고정되는 고정링(ring)(61)과, 상기 리필 캡(20)의 제 1 중앙홀(22)을 개폐하기 위한 원형판(62)과, 상기 고정링(61)과 상기 원형판(62)사이에 탄성적으로 연결되어 용기(10) 내측으로 가해지는 가압(加壓) 및 가압 해제에 따라 상기 원형판(62)이 제 1 중앙홀(22)을 폐쇄 및 개방하도록 하는 다수의 탄성 연결부(63)(도시된 예에서는 3개의 120도 원호형 라인(line) 형상)로 이루어진다.
즉, 도 2b 및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10) 내측으로 가해지는 가압(加壓)이 작용한 상태에서는 원형판(62)이 상측으로 힘을 받게되어 원형판(62)이 리필 캡(20)의 제 1 중앙홀(22)을 완전 폐쇄하여 공기의 유입이 완전 차단된 닫힌 상태가 된다(도 2b 참조).
여기서, 사용자가 용기(10) 내측으로 가해지는 가압(加壓)을 해제하게되면, 용기(1) 내측에는 부압(負壓)이 작용하게 되어 3개의 120도 원호형 라인(line) 형상의 탄성 연결부(63)를 통해 고정링(61)에 연결된 원형판(62)이 탄성 연결부(63)의 탄성력을 통해 하측으로 힘(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 연결부(63)가 하방향으로 늘어나면서 고정링(61)을 기준으로 원형판(62)이 하측으로 약간 밀려 내려감)을 받게 되어 그 사이의 갭(gab)을 통해 공기가 용기(1) 내측으로 유입되어 가압에 의해 찌그러진 용기(1)가 바로 복원하게 된다(도 2c 참조).
한편, 상기한 오버 캡(50)은 상기 리필 캡(20)을 상측에서 커버하도록 상기 용기(10)의 상측 외주연에 끼워지는 형태이며, 상기 오버 캡(50)의 상측 중앙부에는 고무(rubber), TPE(thermoplastic elastomer) 또는 실리콘 재질 등의 세탁볼부(51)가 이중사출 성형되어 있어, 실제 세탁기용 세제(洗劑)로서의 사용시에는 오버 캡(50)을 용기(10)의 상측 외주연으로부터 분리한 후에 원터치(one-touch) 캡(30)의 배출구인 제 2 네크부(11)를 통해 정량 배출된 세제를 세탁볼부(51)의 내측에 배출한 상태에서 오버 캡(50) 전체를 세탁기에 넣어서 세탁물을 세탁함으로써, 오버 캡(50)내에 정량 주입된 세제는 고르게 분산됨과 동시에 실리콘 재질의 세탁볼부(51)는 세탁볼로서의 기능을 발휘함으로써, 세척효과를 더욱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오버 캡(50)의 세탁볼부(51)의 상면은 평평한 상태로 형성되어 있어 계량시 사용 편의성을 부여하고 본 발명에 따른 리필 및 정량 토출 용기(100)를 조립 공정시에 수직으로 직립한 상태에서 용이하게 조립 공정을 진행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원터치(one-touch) 캡(30)(도 3b 등 참조)은, 원터치 캡 본체(31)와, 상기 원터치 캡 본체(31)의 상측 중앙에 형성되며, 내용물의 배출구인 제 2 네크부(12)의 개구(도면 번호 미부여)와 연통되는 제 2 중앙홀(32)과, 상기 용기(10)의 제 2 네크부(12) 외주연에 형성된 대향하는 두 개의 수직 돌기부(12-1)가 끼워져 결합되는 대향하는 두 개의 수직홈(33-1)을 갖는 내캡(33)과, 상기 원터치 캡 본체(31)의 제 2 중앙홀(32)을 개폐하며 상기 원터치 캡 본체(31)의 일측에 힌지부에 의해 연결되는 뚜껑부(34)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한 원터치 캡 본체(31)의 상측 중앙을 횡단해서는 함몰부(31-1)가 형성되며, 상기 함몰부(31-1)의 일측에는 파지홈(31-2)부가 형성되어 상기 뚜껑부(34)의 일측에 형성된 파지 돌기(34-1)가 사용자의 누름 및 터치(touch)에 의해 원터치 방식으로 결합 및 개방되어지도록 되어 있다. 물론, 상기 함몰부(31-1)의 반대쪽이 타측과 상기 뚜껑부(34)의 타측은 상기한 힌지부(35)에 의해 탄성적으로 연결되어진다.
또한, 상기한 함몰부(31-1)의 대략 중앙에 상술한 제 2 중앙홀(32)이 형성되며, 상기 제 2 중앙홀(32)로부터 약간 이격된 함몰부(31-1)의 하측에는 제 2 중앙홀(32)과 연통되는 상술한 내캡(33)이 하측으로 돌출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뚜껑부(34)의 일측면(내측면)의 대략 중앙에는 원통상의 삽입 고정 돌기부(34-2)가 형성되어 있어, 원터치 방식에 의한 뚜껑부(34)와 원터치 캡 본체(31)와의 완전 결합시에 원통상의 삽입 고정 돌기부(34-2)가 제 2 중앙홀(32) 내측으로 완전 끼워져 결합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기한 원터치 캡(30)의 내캡(33) 내측 상단 가장자리에 압입 방식에 의해 끼워지며 상기 제 2 중앙홀(32)과 연통되는 상기 용기(10)의 하방 개구(도면 번호 미부여)가 내부 압력 변화에 따라 개봉 및 밀봉되는 자기 밀봉 밸브 수단(40)이 구비된다.
이 경우, 도 3a 내지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기 밀봉 밸브 수단으로서의 자기 밀봉 밸브(41) 및 자기 밀봉 밸브 고정링(42)이 원터치 캡(30)의 내캡(33) 상단부(도 3c 및 도 3d에서는 하단부)에 압입 고정되어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한 자기 밀봉 밸브(41)와 내캡(33)의 상단부 가장자리에 압입고정되는 자기 밀봉 밸브 고정링(42)은 한번에 일체로 성형되어 자기 밀봉 밸브(41)가 씹히는 현상을 방지하고, 후술하는 자기 밀봉 밸브(41)의 여닫이 개폐홈(41-1)의 형성을 위한 커티 공정시에 발생할 수 있는 불량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자기 밀봉 밸브 수단(40)은, 용기(10)의 다양한 액상 내용물의 배출구인 제 2 네크부(12)의 개구(도면 번호 미부여)와 원터치 캡(30)의 제 2 중앙홀(32)을 개봉 및 밀봉하기 위한 자기 밀봉 밸브(41)와, 상기 자기 밀봉 밸브(41)와 일체로 성형되며, 상기 자기 밀봉 밸브(41)를 상기 원터치 캡(30)의 내캡(33) 상단부의 내주연에 고정 지지하기 위한 자기 밀봉 밸브 고정링(42)으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대략 원판 형태의 자기 밀봉 밸브(41)는 플렉시블한 용기(10)의 내부 압력 변화에 따라 개봉 및 밀봉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그 중앙에는 용기(10)의 배출 통로가 시작되는 지점의 제 2 네크부(12)의 개구(도면 번호 미부여)와 원터치 캡(30)의 제 2 중앙홀(32)을 개봉 및 밀봉하기 위한 것이며, 그 중앙에는 'x'형의 여닫이 개폐홈(41-1)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개폐홈(41-1)은 밀봉된 상태에서는 서로 밀착되어 있어서 밀봉 효과를 나타내게 된다. 아울러, 도시된 예에서는 여닫이 개폐홈(41-1)이 'x'형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 '-'형, 'Y'형 등의 다양한 형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여기서, 자기 밀봉 밸브(41)의 재질은 유연성이 뛰어난 실리콘 고무 또는 TPE(thermoplastic elastomer) 등이 바람직하나 본 발명은 그 재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한 자기 밀봉 밸브(41)와 일체로 형성되는 자기 밀봉 밸브 고정링(42)은, 중앙에는 상기 자기 밀봉 밸브(41)가 일체 성형되어 삽입되는 중앙 개구(도면 번호 미부여)가 형성되고, 상기 중앙 개구 외주연 상단에는 자기 밀봉 밸브의 삽입돌기(도면부호 미부여로서, 도 3c 및 도 3d에서 도면부호 33-2에 접하는 돌기 부분 참조)가 형성되어, 상기 내캡(33) 상단부의 내주연에 형성된 환형의 삽입홈(33-2)에 끼워져 역시 압입 체결된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리필 및 정량 토출 용기(100)의 정량 토출을 위한 자기 밀봉 밸브 수단(40)의 작동 상태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자기밀봉 밸브 수단(4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시 가요성 재질의 용기(10)를 눌러 압축할 때에는 개봉되면서 내용물, 즉 유체 용액이 분출되고, 압축힘을 제거하면 자동으로 밀봉되는 밸브이다.
자기 밀봉 밸브(41)에는 'x'형('+', '-'형 또는 'Y'형 등도 가능)의 여닫이 개폐홈(41-1)이 나있고, 이러한 개폐홈(41-1)은 밀봉된 상태에서는 서로 밀착되어 있어서 상술한 바와 같이 밀봉 효과를 나타내게 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자기밀봉 밸브(41)의 수직 단면도가 도시되어있는 도 3c를 참조하면, 용기(10) 내부로부터 압력을 받지 않은 상태에서는 'x'형 개폐홈(41-1)이 밀착된 상태로 밀봉을 유지하고 있다.
반면에, 개봉 상태의 도 3d를 살펴보면, 용기(10) 내부로부터 압력을 받을 때에는 개폐홈(41-1)이 상측으로 들춰지면서 개봉되게 된다.
여기서, 자기밀봉 밸브(41)의 소재로서 유연성이 우수한 실리콘 고무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나, 폴리에틸렌/폴리프로필렌 블랜드와 같이, 상대적으로 유연성은 낮지만, 형태 유지성(경직성 등)을 갖는 소재로 만들어질 수도 있음은 물론이며, 본 발명에 있어서는 어느 정도의 유연성을 갖는 것이라면, 그 재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이, 일체 성형된 자기밀봉 밸브(41) 및 자기 밀봉 밸브 고정링(42)으로 이루어진 자기 밀봉 밸브 수단의 형성으로 인해 용기(10)의 하측으로 내용물의 정량 토출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용기(10)의 상측으로는 리필 캡(20)의 형성에 의해 내용물이 소진된 경우라도 리필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구체예를 들어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예증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것은 아니며,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영역으로부터 일탈하는 일 없이도 다양한 변화 및 수정이 가능함은 물론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영역 내임을 유의하여야만 할 것이다.
100: 본 발명에 따른 리필 및 정량 토출 용기
10: 용기(容器)
11: 제 1 네크부 11-1: 제 1 나사부
12: 제 2 네크부 12-1: 두 개의 수직 돌기부
13: 환형(環形)의 제 1 끼움홈 14; 환형(環形)의 제 2 끼움홈
15: 리브(rib) 16: 돌기부
17: 투명창
20: 리필 캡(refill cap)
21: 리필 캡 본체 22: 제 1 중앙홀
23: 제 2 나사부 24: 환형 림
24-1: 단턱부
30: 원터치(one-touch) 캡
31: 원터치 캡 본체 31-1: 함몰부
31-2: 파지홈 32: 제 2 중앙홀
33: 내캡 33-1: 두 개의 수직홈
33-2: 환형의 삽입홈 34: 뚜껑부
34-1: 파지 돌기 34-2: 원통상의 삽입 고정 돌기부
35: 힌지부
40: 자기 밀봉 밸브 수단
41: 자기 밀봉 밸브 41-1: 여닫이 개폐홈
42: 자기 밀봉 밸브 고정링
50: 오버 캡
51: 세탁볼부
60: 체크 밸브부
61: 고정링(ring) 62: 원형판
63: 탄성 연결부
70: 패킹부

Claims (15)

  1. 상방 및 하방이 개구(開口)지고 각 외주연에 제 1 및 제 2 네크부(11,12)를 가지는 용기(10)와;
    내측면이 상기 용기(10)의 상기 제 1 네크부(11) 외주연에 체결고정되는 리필(refill) 캡(20)과;
    상기 용기(10)의 제 2 네크부(12)에 조립되는 원터치(one-touch) 캡(30)과;
    상기 원터치 캡(30) 내측에 끼워지며 상기 용기(10)의 하방 개구가 내부 압력 변화에 따라 개봉 및 밀봉되는 자기 밀봉 밸브 수단(40)으로 구성되고:
    상기 리필 캡(20)은, 캡 본체(21)와, 제 1 네크부(11)의 개구와 연통되는 제 1 중앙홀(22)과, 상기 제 1 중앙홀(22)과 상기 제 1 네크부(11)의 개구 사이에 끼워지되 상기 용기(10)에 압력이 가해지면 상기 제 1 중앙홀(22)을 폐쇄하고 압력이 해제되면 상기 제 1 중앙홀(22)을 통해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는 체크 밸브부(60)로 이루어지며;
    여기서, 상기 체크 밸브부(60)는, 고정링(61)과, 제 1 중앙홀(22)을 개폐하기 위한 원형판(62)과, 상기 고정링(61)과 원형판(62) 사이에 탄성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용기(10) 내측으로 가해지는 가압(加壓) 및 가압 해제에 따라 상기 원형판(62)이 제 1 중앙홀(22)을 폐쇄 및 개방하도록 하는 다수의 탄성 연결부(63)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필 및 정량 토출 용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필 캡(20)은, 상기 캡 본체(21)의 내측면 중앙에서 상기 제 1 중앙홀(22)로부터 이격하여 하측으로 수직 돌출된 환형(環形) 림(rim)(24)이 형성되고, 상기 환형 림(24)의 상측 내주연에 단턱부(24-1)가 형성되어 상기 체크 밸브부(60)의 고정링(61)이 압입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필 및 정량 토출 용기.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필 캡(20)을 상측에서 커버하도록 상기 용기(10)의 상측 외주연에 끼워지며, 그 상측 중앙부에는 고무(rubber), TPE(thermoplastic elastomer) 또는 실리콘 재질의 세탁볼부(51)가 이중사출 성형된 평평한 상면을 가지는 오버 캡(50)을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필 및 정량 토출 용기.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네크부(12)가 형성된 용기(10)의 하측 쇼올더(should)에는 리브(rib)(15)가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선형적인 요철형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필 및 정량 토출 용기.
KR1020100042789A 2010-05-07 2010-05-07 리필 및 정량 토출 용기 KR1011963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2789A KR101196302B1 (ko) 2010-05-07 2010-05-07 리필 및 정량 토출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2789A KR101196302B1 (ko) 2010-05-07 2010-05-07 리필 및 정량 토출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3351A KR20110123351A (ko) 2011-11-15
KR101196302B1 true KR101196302B1 (ko) 2012-11-14

Family

ID=453935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2789A KR101196302B1 (ko) 2010-05-07 2010-05-07 리필 및 정량 토출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630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8387B1 (ko) * 2013-07-30 2014-12-03 (주)영진팩 스퀴즈 타입 다층 브로우 성형 용기의 내용물 토출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3655Y1 (ko) * 2015-07-17 2017-06-09 주식회사 한국인삼공사 스퀴즈 용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514731A (ja) * 1996-07-11 2000-11-07 アプターグループ,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一体の供給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356511Y1 (ko) * 2004-04-09 2004-07-15 주식회사 태평양 화장품용기 뚜껑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514731A (ja) * 1996-07-11 2000-11-07 アプターグループ,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一体の供給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356511Y1 (ko) * 2004-04-09 2004-07-15 주식회사 태평양 화장품용기 뚜껑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8387B1 (ko) * 2013-07-30 2014-12-03 (주)영진팩 스퀴즈 타입 다층 브로우 성형 용기의 내용물 토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3351A (ko) 2011-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39781B2 (en) Scrubbing structure
TWI690467B (zh) 倒置瓶配給系統及方法
EP1780141A1 (en) Dispensing closure for containers
JP2010519145A (ja) 空気流入口付き小型食品貯蔵容器
KR100917319B1 (ko) 도포기능을 갖는 액상용기
US20210031982A1 (en) Dispensing systems and methods for using the same
KR101573430B1 (ko) 두 가지 내용물을 동시에 배출할 수 있는 화장품용기
WO2014031474A2 (en) Dispensing closure for powdered products
CA2720044A1 (en) Closure device for a container using viscosity
KR101196302B1 (ko) 리필 및 정량 토출 용기
JP4043682B2 (ja) チューブ容器
KR200380074Y1 (ko) 배출노즐이 구비된 프라스틱형 용기
JP3533703B2 (ja) 液体用詰め替え容器
KR20070047941A (ko) 디스펜싱 밸브 클로우져
KR20210025826A (ko) 액상 제품 디스펜서
KR200446474Y1 (ko) 액상 포장 용기
KR200495074Y1 (ko) 주출구 주변의 오염방지기능을 갖는 용기 마개
JP2012106749A (ja) 内容物充填機構
KR101465763B1 (ko) 이중구조로 이루어진 액체용기
JP4880769B2 (ja) 任意割合吐出容器
JP2022117314A (ja) 液体容器及び液体容器の製造方法
JP2010126165A (ja) 液体注出容器
JP4379573B2 (ja) 櫛付き容器
JPH0411971Y2 (ko)
JPH0618927Y2 (ja) 定量注出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