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13534A - 펌프식 세정액 용기 - Google Patents

펌프식 세정액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13534A
KR20090113534A KR1020080039299A KR20080039299A KR20090113534A KR 20090113534 A KR20090113534 A KR 20090113534A KR 1020080039299 A KR1020080039299 A KR 1020080039299A KR 20080039299 A KR20080039299 A KR 20080039299A KR 20090113534 A KR20090113534 A KR 200901135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mp
main body
liquid container
cleaning liquid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92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봉주
오병우
조경호
백경철
최준
Original Assignee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800392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113534A/ko
Publication of KR200901135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353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005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piston or with a movable bottom or partition having approximately the same section as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97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with means for sucking back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n the nozzle after a dispensing stro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20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06/00Special receptacle or package
    • Y10S206/823Cosmetic, toilet, powder puf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펌프식 세정액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본체의 바닥면을 내측벽면으로부터 중앙부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함으로써, 본체에 충전된 액상의 내용을 잔류량이 남지 않게 배출시켜 사용가능하도록 하여 보다 편리하게 내용물을 배출시켜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잔류량 없이 사용할 수 있으므로 자원낭비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있으며, 이러한 목적은, 화장품 또는 세정액 등의 액상 내용물을 저장가능하게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부에 분리 결합가능하게 설치되는 캡너트와, 상기 캡너트에 일단이 누르는 것에 의해 복원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은 토출부를 갖는 토출용펌프와, 상기 토출용펌프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본체의 내부에 바닥면에 근접되게 관입되어 상기 토출용펌프의 누름에 대응되게 일정량의 내용물을 흡입하여 공급시키기 위한 흡입관으로 구성된 펌프식 세정액 용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 바닥면은, 측벽으로부터 중앙부로 하향 경사진 경사면으로 형성되되, 상기 바닥면의 중앙부는 상기 흡입관의 타단을 일부 수용하여 잔류된 내용물을 포집시켜 배출시킬 수 있도록 수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세정액, 용기, 배출, 잔류량, 토출용펌프

Description

펌프식 세정액 용기{pump frugal vessel}
본 발명은 펌프식 세정액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용기 본체의 내부 바닥면을 중앙부로 경사지게 형성함으로써, 본체에 저장된 내용물을 잔류량이 없이 배출 사용가능하도록 한 펌프식 세정액 용기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펌프식 세정액 용기는 상부에 토출용펌프를 누름으로 인하여 본체에 저장된 액상의 내용물이 일정량 토출부를 통하여 배출되도록 구성된다.
즉, 첨부된 도면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펌프식 세정액 용기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화장품, 샴푸, 식기용 세정제, 로션, 핸드크림과 같은 세정액 등의 액상 내용물을 저장가능하게 형성된 본체(11)와, 상기 본체(11)의 상부에 분리 결합가능하게 설치되는 캡너트(13)와, 상기 캡너트(13)에 일단이 누르는 것에 의해 복원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은 토출부(15a)를 갖는 토출용펌프(15)와, 상기 토출용펌프(15)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본체(11)의 내부에 바닥면(11a)에 근접되게 관입되어 상기 토출용펌프(15)의 누름에 대응되게 일정량의 내용물을 흡입하여 공급시키기 위한 흡입관(17)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종래의 일반적인 펌프식 세정액 용기(10)는, 토출용펌프(15)의 상면을 사용자가 누르게 되면, 상기 토출용펌프(15)에 연결된 흡입관(17)이 본체(11)의 하부까지 관입되어 있어서, 상기 본체(11) 내부에 저장된 내용물은 흡입관을 따라 토출용펌프(15)의 토출부(15a)를 통하여 일정량의 내용물이 토출구(15a)를 통하여 배출되어 진다.
그러나, 이와 같이 이루어진 종래의 일반적인 펌프식 세정액 용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의 바닥면이 평탄면으로 형성되 상기 흡입관이 바닥면까지 근접되어 관입되게 구비되더라도 내용물이 완전하게 배출되지 않고 잔류량이 남을 수 밖에 없어 사용자는 잔류량까지 사용하기 위해 용기의 본체를 뒤집어서 사용하거나 잔류량이 있어도 그냥 버리게 되어 자원 낭비를 초래하게 되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체의 바닥면을 내측벽면으로부터 중앙부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함으로써, 본체에 충전된 액상의 내용을 잔류량이 남지 않게 배출시켜 사용가능하도록 하여 보다 편리하게 내용물을 배출시켜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잔류량 없이 사용할 수 있도록 한 펌프식 세정액 용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본체의 바닥면을 내측벽면으로부터 중앙부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함으로써, 본체에 충전된 액상의 내용을 잔류량이 남지 않게 배출시켜 사용가능하도록 하여 보다 편리하게 내용물을 배출시켜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잔류량 없이 사용할 수 있으므로 자원낭비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펌프식 세정액 용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화장품 또는 세정액 등의 액상 내용물을 저장가능하게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부에 분리 결합가능하게 설치되는 캡너트와, 상기 캡너트에 일단이 누르는 것에 의해 복원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은 토출부를 갖는 토출용펌프와, 상기 토출용펌프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본체의 내부에 바닥면에 근접되게 관입되어 상기 토출용펌프의 누름에 대응되게 일정량의 내용물을 흡입하여 공급시키기 위한 흡입관으로 구성된 펌프식 세정액 용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 바닥면은, 측벽으로부터 중앙부로 하향 경사진 경사면으로 형성되되, 상기 바닥면의 중앙부는 상기 흡입관의 타단을 일부 수용하여 잔류된 내용물을 포집시켜 배출시킬 수 있도록 수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용홈측으로 하향 경사진 바닥면에는, 잔류된 내용물이 수용홈측으로 포집가능하도록 상기 수용홈을 기준으로 일단이 각각 연통된 포집용 슬릿홈을 일정간격 복수개가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펌프식 세정액 용기에 따르면, 본체의 바닥면을 내측벽면으로부터 중앙부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함으로써, 본체에 충전된 액상의 내용을 잔류량이 남지 않게 배출시켜 사용가능하도록 하여 보다 편리하게 내용물을 배출시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펌프식 세정액 용기에 따르면, 본체의 바닥면을 내측벽면으로부터 중앙부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함으로써, 본체에 충전된 액상의 내용을 잔류량이 남지 않게 배출시켜 사용가능하도록 하여 보다 편리하게 내용물을 배출시켜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잔류량 없이 사용할 수 있으므로 자원낭비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펌프식 세정액 용기의 일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첨부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펌프식 세정액 용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펌프식 세정액 용기(100)는, 샴푸를 저장 가능하게 형성된 본체(110)와, 상기 본체(110)의 상부에 분리 결합가능하게 설치되는 캡너트(130)와, 상기 캡너트(130)에 일단이 누르는 것에 의해 복원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은 토출부(151)를 갖는 토출용펌프(150)와, 상기 토출용펌프(150)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본체(110)의 내부에 바닥면(111)에 근접되게 관입되어 상기 토출용펌프(150)의 누름에 대응되게 일정량의 샴푸를 흡입하여 공급시키기 위한 흡입관(170)으로 구성되어 상기 토출용펌프(150)의 누름으로 배출되는 샴푸를 본체(110)의 바닥면(111) 중앙부로 모두 포집시켜 잔류됨 없이 모두 배출시켜 사용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펌프식 세정액 용기(100)의 본체(110) 바닥면(111)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10)의 바닥면(111)은 측벽으로부터 중앙부로 하향 경사진 경사면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바닥면(111)의 중앙부는 상기 흡입관(170)의 타단을 일부 수용하여 잔류된 샴푸를 포집시켜 배출시킬 수 있도록 수용홈(113)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중앙부에 수용홈(113)을 형성하고 상기 수용홈(113)측으로 하향 경사진 바닥면(111)에는 첨부된 도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잔류된 샴푸가 수용홈(113)측으로 포집이 더욱 잘 이루어지도록 상기 수용홈(113)을 기준으로 일단이 각각 연통된 포집용 슬릿홈(115)을 일정간격 복수개가 더 형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펌프식 세정액 용기(100)는 내부에 샴푸를 주입한 후, 토출용펌프(150)를 누름시켜 배출되는 샴푸를 사용함에 따라 샴푸의 잔량이 점차 소모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지속적인 사용으로 인하여 일정부분 즉, 본체(110)의 내측벽과 바닥면(111)의 경계면 이하로 감소하게 되면, 샴푸는 자연스럽게 경사진 본체(110)의 바닥면(111)을 따라 상기 바닥면(111)의 중앙부에 형성된 수용홈(113)측으로 포집된다.
따라서, 상기 본체(110)에 저장된 샴푸는 바닥면(111)의 중앙부에 형성된 수용홈(113)측으로 모두 포집되어 사용하게 되므로 잔류량이 거의 없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펌프식 세정액 용기를 사용하게 되면, 보다 편리하게 내용물을 배출 사용할 수 있고 아울러 잔류량 없이 모두 배출시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자원낭비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 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펌프식 세정액 용기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펌프식 세정액 용기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펌프식 세정액 용기의 본체 바닥면을 도시한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펌프식 세정액 용기
110 ; 본체
111 ; 바닥면
113 ; 수용홈
115 ; 포집용 슬릿홈
130 ; 캡너트
150 ; 토출용펌프
170 ; 흡입관

Claims (2)

  1. 화장품 또는 세정액 등의 액상 내용물을 저장가능하게 형성된 본체(110)와, 상기 본체(110)의 상부에 분리 결합가능하게 설치되는 캡너트(130)와, 상기 캡너트(130)에 일단이 누르는 것에 의해 복원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은 토출부(151)를 갖는 토출용펌프(150)와, 상기 토출용펌프(150)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본체(110)의 내부에 바닥면(111)에 근접되게 관입되어 상기 토출용펌프(150)의 누름에 대응되게 일정량의 내용물을 흡입하여 공급시키기 위한 흡입관(170)으로 구성된 펌프식 세정액 용기(100)에 있어서,
    상기 본체(110) 바닥면(111)은, 측벽으로부터 중앙부로 하향 경사진 경사면으로 형성되되, 상기 바닥면(111)의 중앙부는 상기 흡입관(170)의 타단을 일부 수용하여 잔류된 내용물을 포집시켜 배출시킬 수 있도록 수용홈(113)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식 세정액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홈(113)측으로 하향 경사진 바닥면(111)에는, 잔류된 내용물이 수용홈(113)측으로 포집가능하도록 상기 수용홈(113)을 기준으로 일단이 각각 연통된 포집용 슬릿홈(115)을 일정간격 복수개가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식 세정액 용기.
KR1020080039299A 2008-04-28 2008-04-28 펌프식 세정액 용기 KR2009011353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9299A KR20090113534A (ko) 2008-04-28 2008-04-28 펌프식 세정액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9299A KR20090113534A (ko) 2008-04-28 2008-04-28 펌프식 세정액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3534A true KR20090113534A (ko) 2009-11-02

Family

ID=415548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9299A KR20090113534A (ko) 2008-04-28 2008-04-28 펌프식 세정액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11353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9855B1 (ko) * 2011-04-11 2013-12-10 주식회사 우경아이앤아이 내용물 배출용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9855B1 (ko) * 2011-04-11 2013-12-10 주식회사 우경아이앤아이 내용물 배출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1669B1 (ko) 분리용기
KR101573430B1 (ko) 두 가지 내용물을 동시에 배출할 수 있는 화장품용기
KR101379846B1 (ko) 디스펜서 용기
KR101405056B1 (ko) 펌핑 용기
KR100856728B1 (ko) 펌프식 액체 절약 용기
KR20090113534A (ko) 펌프식 세정액 용기
KR200469452Y1 (ko) 화장액 잔량 남김 방지 구조를 갖는 액상 콤팩트 화장품
JP2016043227A (ja) 泡ソープ自動ディスペンサー
KR101301780B1 (ko) 절약형 용기
KR20160000540U (ko) 절약형 펌핑용기
KR100668697B1 (ko) 세제 용기
CN213058271U (zh) 内容物容器
KR20120007393U (ko) 펌프식 용기
KR101998100B1 (ko) 화장품 용기
KR20140069868A (ko) 펌프식 화장품 용기의 흡입튜브
KR20130009283A (ko) 하향식 배출용 디스펜서
KR101232681B1 (ko) 리필이 가능한 펌프식 이중 용기
KR101465763B1 (ko) 이중구조로 이루어진 액체용기
KR20110139085A (ko) 펌프용기용 이중마개
KR200466076Y1 (ko) 흡입관 및 그것을 구비한 펌프식 용기
KR20140126219A (ko) 분리가능한 하부마개를 구비한 펌핑용기
KR20160002866U (ko) 절약 및 혼합형 두피세척액 용기
KR200388155Y1 (ko) 펌프식 용기의 잔량 방지용 딥튜브 구조
KR20190102331A (ko) 절약형 펌프식 액체 용기
KR20110088647A (ko) 리필 전용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