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39085A - 펌프용기용 이중마개 - Google Patents

펌프용기용 이중마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39085A
KR20110139085A KR1020110010408A KR20110010408A KR20110139085A KR 20110139085 A KR20110139085 A KR 20110139085A KR 1020110010408 A KR1020110010408 A KR 1020110010408A KR 20110010408 A KR20110010408 A KR 20110010408A KR 20110139085 A KR20110139085 A KR 201101390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stopper
pump
housing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04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준성
Original Assignee
안준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준성 filed Critical 안준성
Priority to KR10201100104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39085A/ko
Publication of KR201101390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908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5/00Other brushes; Brushes with additional arrangements
    • A46B15/0055Brush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normally separate from the brushing process, e.g. combs, razors, mirrors
    • A46B15/0075Brushes with an additional massage device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5/00Other brushes; Brushes with additional arrangements
    • A46B15/0055Brush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normally separate from the brushing process, e.g. combs, razors, mirrors
    • A46B15/0081Brushes with a scraper, e.g. tongue scraper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26Gum massaging brush, i.e. specifically designed for massaging the gum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66Toothbrush for cleaning the teeth or dentures

Landscapes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펌프용기용 이중마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용기의 입구를 개폐시키는 내부마개; 상기 내부마개에 탈착되는 하우징을 구비하며, 상기 용기 내부에 수용된 내용물을 펌핑하여 외부로 배출시키는 펌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용기용 이중마개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펌프용기에 수용된 내용물을 남김없이 배출시켜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휴대시 내용물이 임의로 펌핑되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펌프용기용 이중마개{Double Cap for Pump Container}
본 발명은 펌프용기용 이중마개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내부에 수용된 내용물을 펌핑하여 배출시키는 펌프용기를 도립시킨 상태로 보관할 수 있도록 하여 펌프용기의 내부에 남아있는 상기 내용물을 완전히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펌프용기용 이중마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펌프용기는 내용물을 수용하는 용기의 입구에 펌프를 체결하고,체결된 펌프를 이용하여 용기 내부의 내용물을 소정 용량씩 배출시키는 것으로, 샴푸, 주방세제 및 화장품 등을 담는데 주로 사용된다.
그런데 이러한 펌프용기는 용기 내부에 수용된 내용물이 소량인 경우 펌프의 흡입관을 통해 내용물을 흡입하는 것이 불가능하여 남아있는 내용물을 배출시키는 것이 곤란하였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내측 하부를 오목하게 형성하여 흡입관의 입구가 내용물에 최대한 잠길 수 있도록 한 용기가 개발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용기와 같이 내부 형상을 오목하게 형성하기 위해서는 더욱 많은 제조공정과 제조비용이 필요하고, 용기의 용량이 적어져서 실용적이지 못하다는 문제가 있다.
한편, 펌프용기를 휴대하고 다녀야 할 경우에는 내용물이 임의로 펌핑되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여야 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종래에는 펌프가 눌려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별도의 캡을 구비하거나, 펌프 자체에 잠금수단을 구비한 것이 있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펌프은 펌프의 잠금상태가 해제되기 쉬워 내용물이 임의로 배출되는 것을 완전히 방지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펌프용기의 내부에 수용된 내용물이 소량인 경우 펌프용기를 도립시켜 보관하는 것이 가능하고, 펌프용기의 휴대시 내용물이 임의로 펌핑되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펌프용기용 이중마개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용기의 입구를 개폐시키는 내부마개; 상기 내부마개에 탈착되는 하우징을 구비하며, 상기 용기 내부에 수용된 내용물을 펌핑하여 외부로 배출시키는 펌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용기용 이중마개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내부마개는 상기 용기가 도립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부면이 평편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내부마개는 외주면이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에 접하여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내부마개는 하단에 고정홈을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고정홈에 탈착되는 고정돌기를 구비하여 상기 내부마개와 상기 하우징이 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내부마개는 상기 펌핑부에 구비된 흡입관을 관통시키거나 상기 용기에 수용된 액체를 배출시키기 위한 개구부와, 상기 개구부를 개폐시키는 개구부 마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펌프용기에 수용된 내용물을 남김없이 배출시켜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휴대시 내용물이 임의로 펌핑되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펌프없이 용기에 내부마개만을 결합시킨 상태에서 내용물을 담은 리필용 용기로 제품을 출시하는 것이 가능하여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펌프용기용 이중마개가 분리된 상태에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펌프용기용 이중마개가 분리된 상태에서의 종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펌프용기용 이중마개가 결합된 상태에서의 종단면도이다.
도 4는 펌핑부가 분리된 후 내부마개가 용기에 체결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내부마개가 체결된 상태에서 용기가 도립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첨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펌프용기용 이중마개가 분리된 상태에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펌프용기용 이중마개가 분리된 상태에서의 종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펌프용기용 이중마개가 결합된 상태에서의 종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펌프용기용 이중마개(100)는 펌핑부(110) 및 내부마개(130)를 포함한다.
펌핑부(110)는 용기(10) 내부에 수용된 내용물을 펌핑하여 외부로 배출시키는 것으로 펌프캡(111)과 하우징(120)을 구비한다.
여기서, 펌프캡(111)은 용기(10)에 수용된 내용물이 노즐(112)을 통해 배출되도록 압력을 가하게 되는 부분으로 하우징(120)에 의해 지지된다.
하우징(120)은 펌프캡(111)에 의해 가해진 압력을 이용하여 내용물을 흡입시키는 흡입부(121)와 흡입부(121)에 연결된 흡입관(126)을 구비한다. 흡입관(126)을 통해 흡입된 내용물은 노즐(112)을 통해 배출된다.
이러한 하우징(120)은 내부마개(130)에 탈착되도록 구비된다.
내부마개(130)는 용기(10)의 입구를 개폐시키는 것으로, 외주면이 하우징(130)의 내주면에 접하여 하우징(130)의 내부에 수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내부마개(130)는 하단에 고정홈(138)을 구비하고, 하우징(120)은 고정홈(138)에 탈착되는 고정돌기(124)를 구비하여, 내부마개(130)와 하우징(120)이 탈착되도록 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내부마개(130)와 하우징(120)이 의도하지 않은 적은 힘에 의해 임의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하우징(120)의 내주면에는 저지돌기(123)를 형성할 수 있다. 저지돌기(123)는 내부마개(130)가 하우징(120)의 내부로 삽입되는 깊이를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하우징(120)의 내주면과 내부마개(130)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을 형성하여 서로 나사결합되도록 함으로써 하우징(120)과 내부마개(130)를 탈착가능한 형태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내부마개(130)는 용기(10)가 도립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부면이 평편하게 형성된다.
이러한 내부마개(130)에는 상하로 관통형성되는 개구부(132)와 개구부(132)를 개폐시키는 개구부 마개(134)가 구비된다.
개구부(132)는 펌핑부(110)에 구비된 흡입관(126)을 관통시키거나 용기(10)에 수용된 액체를 배출시킨다. 바람직하게 개구부(132)의 직경은 흡입관(126)의 외경과 동일하게 형성하여 펌핑부(110)를 내부마개(130)에서 분리시킬 때 흡입관(126)에 묻은 내용물을 긁어낼 수 있도록 한다.
개구부 마개(134)는 일측이 내부마개(130)의 상부에 연결되어 절첩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내부마개(130)는 내부에 암나사부(140)가 형성된다. 암나사부(140)는 용기(10) 입구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숫나사부(12)에 결합됨으로써 내부마개(130)가 용기(10)에 체결되는 것이다.
도 4는 펌핑부가 분리된 후 내부마개가 용기에 체결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내부마개가 체결된 상태에서 용기가 도립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펌프용기용 이중마개(100)는 펌핑부(110)와 내부마개(130)를 분리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내부마개(130)가 용기(10)에 결합된 상태에서 펌핑부(110)를 강하게 들어올려서 내부마개(130)로부터 분리시키면 용기(10)의 입구에는 내부마개(130)만이 남게 된다.
이와 같이 용기(10)에 체결된 내부마개(130)는 개구부 마개(134)를 이용하여 개구부(132)를 개폐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개방된 개구부(132)를 통해 용기(10) 내부의 내용물을 배출시키거나, 내부마개(130) 자체를 용기(10)에서 분리시켜 용기(10) 입구를 개방시킴으로써 용기(10) 내부의 내용물을 배출시킬 수 있다.
한편, 펌핑부(110)를 분리시킨 후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를 도립시켜 보관하는 것이 가능하여 보관 중에 용기(10) 내부에 소량 존재하는 내용물이 중력에 의해 용기(10)의 입구 쪽으로 흘러내리도록 할 수 있다.
이처럼 용기(10)의 입구로 모여진 내용물은 내부마개(130)를 개방시키는 것을 통해 용이하게 배출시킬 수 있게 되고, 따라서 용기(10)의 내부에 남아있는 소량의 내용물을 완전히 소모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 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용기 12 : 숫나사부
100 : 펌프용기용 이중마개 110 : 펌핑부
111 : 펌프캡 112 : 노즐
120 : 하우징 121 : 흡입부
122 : 하우징 내측면 123 : 저지돌기
124 : 고정돌기 126 : 흡입관
130 : 내부마개 132 : 개구부
134 : 개구부 마개 136 : 홈부
138 : 고정홈 140 : 암나사부

Claims (5)

  1. 용기의 입구를 개폐시키는 내부마개;
    상기 내부마개에 탈착되는 하우징을 구비하며, 상기 용기 내부에 수용된 내용물을 펌핑하여 외부로 배출시키는 펌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용기용 이중마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마개는
    상기 용기가 도립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부면이 평편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용기용 이중마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마개는 외주면이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에 접하여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용기용 이중마개.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마개는 하단에 고정홈을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고정홈에 탈착되는 고정돌기를 구비하여
    상기 내부마개와 상기 하우징이 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용기용 이중마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마개는
    상기 펌핑부에 구비된 흡입관을 관통시키거나 상기 용기에 수용된 액체를 배출시키기 위한 개구부와, 상기 개구부를 개폐시키는 개구부 마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용기용 이중마개.
KR1020110010408A 2011-02-07 2011-02-07 펌프용기용 이중마개 KR2011013908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0408A KR20110139085A (ko) 2011-02-07 2011-02-07 펌프용기용 이중마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0408A KR20110139085A (ko) 2011-02-07 2011-02-07 펌프용기용 이중마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9085A true KR20110139085A (ko) 2011-12-28

Family

ID=455047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0408A KR20110139085A (ko) 2011-02-07 2011-02-07 펌프용기용 이중마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13908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2161Y1 (ko) * 2012-11-30 2014-04-09 (주)아모레퍼시픽 풀림방지 기능을 갖는 보호캡이 구비된 화장용 용기
JP2017088205A (ja) * 2015-11-10 2017-05-25 株式会社三谷バルブ 放出作動ユニット,収容ユニット,この放出作動ユニットと収容ユニットとを結合させた内容物放出構造、およびこの内容物放出構造を備えたエアゾール式製品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2161Y1 (ko) * 2012-11-30 2014-04-09 (주)아모레퍼시픽 풀림방지 기능을 갖는 보호캡이 구비된 화장용 용기
JP2017088205A (ja) * 2015-11-10 2017-05-25 株式会社三谷バルブ 放出作動ユニット,収容ユニット,この放出作動ユニットと収容ユニットとを結合させた内容物放出構造、およびこの内容物放出構造を備えたエアゾール式製品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17975B2 (ja) 二種内容物混合容器
RU2018121816A (ru) Контейнер
CN108367840A (zh) 重新填装容器
JP6164937B2 (ja) エアレス容器
KR101296574B1 (ko) 이종 내용물의 혼합 사용이 가능한 화장품 용기
KR101723225B1 (ko) 하향식 액상물질 디스펜서
KR101481959B1 (ko) 잔량 개선을 위한 이종 내용물 혼합용기
KR101037699B1 (ko) 화장품 강제 토출 용기
JP5813580B2 (ja) 二重容器
KR101379846B1 (ko) 디스펜서 용기
KR20110139085A (ko) 펌프용기용 이중마개
JP2017100748A (ja) 注出容器
KR101405056B1 (ko) 펌핑 용기
KR100856728B1 (ko) 펌프식 액체 절약 용기
CN210259479U (zh) 流体吐出容器
TWI613982B (zh) 化妝品容器
KR102402691B1 (ko) 리퀴드 디스펜서
JP2014105016A (ja) スクイズ容器
KR200468191Y1 (ko) 절약형 용기
CN213058271U (zh) 内容物容器
JP2004182261A (ja) 容器用ポンプ体
KR20210025826A (ko) 액상 제품 디스펜서
KR20140126219A (ko) 분리가능한 하부마개를 구비한 펌핑용기
JP5977535B2 (ja) 注出キャップ
KR20160002606A (ko) 내용물 표면에 접하는 부압이동부 및 이를 이용한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