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1780B1 - 절약형 용기 - Google Patents

절약형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1780B1
KR101301780B1 KR1020110121450A KR20110121450A KR101301780B1 KR 101301780 B1 KR101301780 B1 KR 101301780B1 KR 1020110121450 A KR1020110121450 A KR 1020110121450A KR 20110121450 A KR20110121450 A KR 20110121450A KR 101301780 B1 KR101301780 B1 KR 1013017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id
adjusting
discharging means
outside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14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55822A (ko
Inventor
신형규
이현주
이근빈
Original Assignee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101214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1780B1/ko
Publication of KR201300558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58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17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17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01Piston pumps
    • B05B11/1002Piston pumps the direction of the pressure stroke being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major axis of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42Components or details
    • B05B11/1073Springs
    • B05B11/1074Springs located outside pump cha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5/00Details of spraying plant or spray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ccessories
    • B05B15/30Dip tubes

Landscapes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하면, 유체를 수용하며, 바닥부가 중앙부로 갈수록 하방으로 경사져 있는 제 1몸체; 상기 제 1몸체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유체를 외부로 토출시키는 펌프; 및 상기 제 1몸체의 바닥부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유체를 외부로 토출시키는 유체토출수단을 포함하고 있는 제 2몸체;를 포함하는 절약형 용기를 제공한다. 한편 상기 유체토출수단은 일측이 상기 제 2몸체의 측벽에 위치하는 탄성수단; 일측은 상기 탄성수단의 타측과 결합하고, 타측은 상기 제 2몸체의 측벽에 위치하며, 내부에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는 조절몸체; 및 상기 조절몸체의 타측에 결합되어 상기 제 2몸체의 측벽을 돌출하고 있는 조절부를 포함하되, 상기 유체토출수단의 조절몸체는 상기 제 1몸체의 바닥부의 중앙부와 접해 있고, 상기 조절부의 누름에 의해 상기 개구부가 상기 제 1몸체의 바닥부의 중앙부에 모여 있는 유체를 외부로 토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절약형 용기는 용기의 바닥에 설치된 유체토출수단을 통해 용기의 내용물을 거의 소진하고 남은 잔존물도 간단한 조작으로 완전히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내용물의 낭비를 막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절약형 용기{VESSEL FOR SAVING}
본 발명은 절약형 용기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몸체 내부의 바닥면을 경사지게 형성하고 그 경사단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개구부를 포함한 유체토출수단을 이용하여 몸체 내에 얼마남지 않은 세제, 샴푸 등과 같은 점도가 높은 유체를 남김없이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절약형 용기에 관한 것이다.
세제나 샴푸 등과 같은 점도가 높은 유체를 보관하는 용기는 일반적으로 푸시 방식으로 용기 내의 유체를 외부로 토출하도록 하는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용기를 사용할 경우에 점도가 높은 내용물인 샴푸 또는 세제를 거의 다 사용하고 바닥에 내용물이 약간 남아 있게 되면 그 내용물의 배출이 어렵게 된다. 이때 남아 있는 내용물을 배출하여 사용하려면 용기를 거꾸로 뒤집어 흘러나오게 하여야 하지만, 내용물의 점성으로 인해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은 푸시 방식(펌프식 방식)이 설치되지 않은 보통의 마개를 사용하는 용기에서 특히 심하게 나타나지만, 푸시 방식(펌프식 방식)이 설치된 용기의 경우에도 용기의 대롱의 끝을 용기의 바닥에 근접시키면 내용물의 배출이 어려워지므로 용기의 대롱의 끝 근처까지의 높이에 해당하는 내용물에 대해서는 여전히 이러한 문제점이 남아 있다.
따라서 용기 내 유체 토출의 편의성을 제공함과 동시에 용기 내의 유체를 거의 다 사용하였을 때 잔여 유체까지도 모두 사용할 수 있는 절약형 용기의 개발이 시급히 요구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몸체 내부의 바닥면을 경사지게 형성하고 그 경사단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개구부를 포함한 유체토출수단을 이용하여 몸체 내에 얼마남지 않은 세제, 샴푸 등과 같은 점도가 높은 유체를 남김없이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절약형 용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유체를 수용하며, 바닥부가 중앙부로 갈수록 하방으로 경사져 있는 제 1몸체; 상기 제 1몸체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유체를 외부로 토출시키는 펌프; 및 상기 제 1몸체의 바닥부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유체를 외부로 토출시키는 유체토출수단을 포함하고 있는 제 2몸체;를 포함하는 절약형 용기를 제공한다.
한편 상기 유체토출수단은 일측이 상기 제 2몸체의 측벽에 위치하는 탄성수단; 일측은 상기 탄성수단의 타측과 결합하고, 타측은 상기 제 2몸체의 측벽에 위치하며, 내부에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는 조절몸체; 및 상기 조절몸체의 타측에 결합되어 상기 제 2몸체의 측벽을 돌출하고 있는 조절부를 포함하되, 상기 유체토출수단의 조절몸체는 상기 제 1몸체의 바닥부의 중앙부와 접해 있고, 상기 조절부의 누름에 의해 상기 개구부가 상기 제 1몸체의 바닥부의 중앙부에 모여 있는 유체를 외부로 토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유체토출수단은 상기 제 2몸체의 내부에서 서로 대향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제 1유체토출수단 및 제 2유체토출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 1유체토출수단의 탄성수단 및 조절부와, 상기 제 2유체토출수단의 탄성수단 및 조절부는 각각 서로 다른 상기 제 2몸체의 측벽에 위치해 있으며, 상기 제 1유체토출수단의 조절몸체에 형성되어 있는 개구부와 상기 제 2유체토출수단의 조절몸체에 형성되어 있는 개구부가 서로 인접하여 관통할 경우에 상기 제 1몸체의 바닥부의 중앙부에 모여 있는 유체가 외부로 토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절약형 용기는 용기의 바닥에 설치된 유체토출수단을 통해 용기의 내용물을 거의 소진하고 남은 잔존물도 간단한 조작으로 완전히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내용물의 낭비를 막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약형 용기의 측단면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약형 용기의 조절부의 작동 전과 후를 나타낸 상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절약형 용기의 측단면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절약형 용기의 조절부의 작동 전과 후를 나타낸 상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약형 용기의 측단면도이고,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약형 용기의 조절부의 작동 전과 후를 나타낸 상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절약형 용기의 측단면도이고,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절약형 용기의 조절부의 작동 전과 후를 나타낸 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2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약형 용기(10)는 제 1몸체(100), 펌프(200) 및 제 2몸체(300)를 포함한다. 상기 제 1몸체(100)는 유체(A)를 수용하며, 바닥부가 중앙부로 갈수록 하방으로 경사져 있다. 상기 제 1몸체(100)는 고점도의 샴푸, 세제 등과 같은 액체 내용물을 보관하고 사용하기에 적합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1에서 상기 제 1몸체(100)의 형상은 원통이지만, 필요에 따라 타원, 장방형, 기타 변형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 1몸체(100)의 바닥부의 중앙부는 하부 배출구(11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부 배출구(110)는 평상시 후술할 유체토출수단(310)의 조절몸체(312)에 의해 막혀 있다. 또한 제 1몸체(100)의 바닥부는 내용물을 하부 배출구(110)를 통해 용이하게 배출시키기 위해 중앙부로 갈수록 하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펌프(200)는 상기 제 1몸체(100)의 상부에 형성되어 유체(A)를 외부로 토출시킨다. 상기 펌프(200)는 스트로우(210)를 통해 제 1몸체(100)의 내부에 있는 내용물(유체)을 외부로 토출시키게 된다.
상기 제 2몸체(300)는 상기 제 1몸체(100)의 바닥부의 하부에 위치하며, 유체(A)를 외부로 토출시키는 유체토출수단(310)을 포함한다. 상기 유체토출수단(310)은 탄성수단(311), 조절몸체(312) 및 조절부(313)를 포함한다.
상기 탄성수단(311)의 일측은 상기 제 2몸체(300)의 측벽에 위치하며, 상기 탄성수단(311)의 타측은 조절몸체(312)와 결합한다. 상기 탄성수단(311)은 탄성력이 우수한 스프링의 형태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탄성수단(311)은 일정한 탄성력을 지닌 것이라면 어느 것이라도 무방할 것이다.
상기 조절몸체(312)의 일측은 상기 탄성수단(311)과 결합하고, 상기 조절몸체(312)의 타측은 상기 제 2몸체(300)의 측벽에 위치하며, 내부에 개구부(312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조절몸체(312)의 내부에는 개구부(312a)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제 1몸체(100)의 하부 배출구(110)와 상기 개구부(312a)가 서로 일직선 형태로 관통하는 경우에 제 1몸체(100) 내부에 있는 유체(A)는 외부로 토출되게 된다.
상기 조절부(313)는 상기 조절몸체(312)에 결합되어 상기 제 2몸체(300)의 측벽을 돌출하고 있다. 상기 조절부(313)를 손으로 누름으로써 조절몸체(312)의 개구부(312a)는 하부 배출구(110)와 일직선의 형태로 관통하게 되어 상기 유체(A)는 외부로 토출되게 된다(도 2b 참조).
상기 조절부(313)로부터 손을 떼어내는 경우에 수축되었던 탄성수단(311)이 원래의 위치로 돌아가게 되므로 상기 개구부(312a)를 포함한 조절몸체(312) 또한 원래의 위치로 돌아가게 되어 하부 배출구(110)는 조절몸체(312)에 의해 막히게 되어 유체(A)의 토출이 멈추게 되는 것이다(도 2a 참조).
따라서 상기 유체토출수단(310)의 조절몸체(312)는 상기 제 1몸체(100)의 바닥부의 중앙부와 접해 있고, 상기 조절부(313)의 누름에 의해 상기 개구부(312a)가 상기 제 1몸체(100)의 바닥부의 중앙부에 모여 있는 유체를 외부로 토출시킨다.
도 3 내지 도 4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절약형 용기(10)는 도 1과 마찬가지로 제 1몸체(100), 펌프(200) 및 제 2몸체(300)를 포함한다. 상기 제 1몸체(100), 펌프(200) 및 제 2몸체(300)는 도 1의 구성요소와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다만 상기 제 2몸체(300)에 포함되어 있는 구성요소 중 일부만 상이하므로 상기 상이한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을 하기로 한다.
상기 제 2몸체(300)의 내부에는 제 1유체토출수단(310) 및 제 2유체토출수단(32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1유체토출수단(310) 및 제 2유체토출수단(320)은 상기 제 2몸체(300)의 내부에서 서로 대향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1유체토출수단(310)의 탄성수단(311) 및 조절부(313)와, 상기 제 2유체토출수단(320)의 탄성수단(321) 및 조절부(323)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각각 서로 다른 제 2몸체(300)의 측벽에 위치해 있다. 또한 상기 제 1유체토출수단(310)의 조절몸체(312)에 형성되어 있는 개구부(312a)와 상기 제 2유체토출수단(320)의 조절몸체(322)에 형성되어 있는 개구부(322a)는 평상시에는 서로 엊갈려 있으나, 조절부(313, 323)의 누름에 의해 상기 개구부(312a, 322a)는 서로 인접하여 관통하게 되고 상기 제 1몸체(100)의 바닥부의 중앙부에 모여 있는 유체가 외부로 토출되게 된다.
상기 조절부(313, 323)는 상기 조절몸체(312, 322)에 결합되어 상기 제 2몸체(300)의 측벽을 돌출하고 있다. 상기 조절부(313, 323)를 손으로 누름으로써 조절몸체(312, 322)의 개구부(312a, 322a)는 하부 배출구(110)와 일직선의 형태로 서로 관통하게 되어 상기 유체(A)는 외부로 토출되게 된다(도 4b 참조).
상기 조절부(313, 323)로부터 손을 떼어내는 경우에 수축되었던 탄성수단(311, 321)이 원래의 위치로 돌아가게 되므로 상기 개구부(312a, 322a)를 포함한 조절몸체(312, 322) 또한 원래의 위치로 돌아가게 되어 하부 배출구(110)는 조절몸체(312)에 의해 막히게 되어 유체(A)의 토출이 멈추게 되는 것이다(도 4a 참조).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절약형 용기
100: 제 1몸체 110: 하부 배출구
200: 펌프 210: 스트로우
300: 제 2몸체
310: 유체토출수단 또는 제 1유체토출수단
311: 탄성수단 312: 조절몸체 312a: 개구부 313: 조절부
320: 제 2유체토출수단
321: 탄성수단 322: 조절몸체 322a: 개구부 323: 조절부
A: 유체

Claims (3)

  1. 삭제
  2. 유체를 수용하며, 바닥부가 중앙부로 갈수록 하방으로 경사져 있는 제 1몸체(100);
    상기 제 1몸체(100)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유체를 외부로 토출시키는 펌프(200); 및
    상기 제 1몸체(100)의 바닥부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유체를 외부로 토출시키는 유체토출수단(310)을 포함하고 있는 제 2몸체(300);를 포함하되,
    상기 유체토출수단(310)은 일측이 상기 제 2몸체(300)의 측벽에 위치하는 탄성수단(311)과, 일측은 상기 탄성수단(311)의 타측과 결합하고, 타측은 상기 제 2몸체(300)의 측벽에 위치하며, 내부에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는 조절몸체(312)와, 상기 조절몸체(312)의 타측에 결합되어 상기 제 2몸체(300)의 측벽을 돌출하고 있는 조절부(313)를 포함하며, 상기 유체토출수단(310)의 조절몸체(312)는 상기 제 1몸체(100)의 바닥부의 중앙부와 접해 있고, 상기 조절부(313)의 누름에 의해 상기 개구부가 상기 제 1몸체(100)의 바닥부의 중앙부에 모여 있는 유체를 외부로 토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약형 용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토출수단은 상기 제 2몸체의 내부에서 서로 대향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제 1유체토출수단 및 제 2유체토출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 1유체토출수단의 탄성수단 및 조절부와, 상기 제 2유체토출수단의 탄성수단 및 조절부는 각각 서로 다른 상기 제 2몸체의 측벽에 위치해 있으며, 상기 제 1유체토출수단의 조절몸체에 형성되어 있는 개구부와 상기 제 2유체토출수단의 조절몸체에 형성되어 있는 개구부가 서로 인접하여 관통할 경우에 상기 제 1몸체의 바닥부의 중앙부에 모여 있는 유체가 외부로 토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약형 용기.




KR1020110121450A 2011-11-21 2011-11-21 절약형 용기 KR1013017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1450A KR101301780B1 (ko) 2011-11-21 2011-11-21 절약형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1450A KR101301780B1 (ko) 2011-11-21 2011-11-21 절약형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5822A KR20130055822A (ko) 2013-05-29
KR101301780B1 true KR101301780B1 (ko) 2013-08-29

Family

ID=486641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1450A KR101301780B1 (ko) 2011-11-21 2011-11-21 절약형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178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819054A (zh) * 2016-04-26 2016-08-03 鲁辰超 一种液体分装瓶
KR102125145B1 (ko) * 2018-10-17 2020-06-19 울산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잔량 인출이 용이한 펌핑용기
KR102499645B1 (ko) * 2022-10-06 2023-02-13 김진원 펌프용기 하부 내용물 토출이 가능한 용기 구조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6946U (ko) * 1990-07-25 1992-03-27
JPH0624542A (ja) * 1992-07-07 1994-02-0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ボール供給装置
KR200264767Y1 (ko) * 2001-11-15 2002-02-20 이민기 용기
JP2009256050A (ja) * 2008-04-16 2009-11-05 Matsui Mfg Co スライド式弁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6946U (ko) * 1990-07-25 1992-03-27
JPH0624542A (ja) * 1992-07-07 1994-02-0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ボール供給装置
KR200264767Y1 (ko) * 2001-11-15 2002-02-20 이민기 용기
JP2009256050A (ja) * 2008-04-16 2009-11-05 Matsui Mfg Co スライド式弁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5822A (ko) 2013-05-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25912B2 (ja) 二重容器
KR101301780B1 (ko) 절약형 용기
EP3034429B1 (en) Pumping container for blocking air
KR101037699B1 (ko) 화장품 강제 토출 용기
EP2995570A1 (en) Dropper distributor of telescopic liquid suction tube
JP4545601B2 (ja) 複合容器
KR101379846B1 (ko) 디스펜서 용기
KR101339855B1 (ko) 내용물 배출용기
KR200426428Y1 (ko) 내용물의 혼합사용이 가능한 혼합용기
KR101260924B1 (ko) 화장품 용기용 정량배출 마개
KR200468191Y1 (ko) 절약형 용기
KR101539632B1 (ko) 펌프용기 및 이에 사용되는 펌프장치
JP6276977B2 (ja) 注出キャップ
KR200296157Y1 (ko) 절약용 용기
KR20140069868A (ko) 펌프식 화장품 용기의 흡입튜브
JP5415342B2 (ja) 詰替え用受液栓
KR102476269B1 (ko) 분리형 용기
KR101465763B1 (ko) 이중구조로 이루어진 액체용기
JP5730172B2 (ja) 注出容器のキャップ
KR101510368B1 (ko) 유동성 물질 분배용 컨테이너
JP2018070243A (ja) ポンプ付き液体容器用容器本体およびポンプ付き液体容器
KR20110139085A (ko) 펌프용기용 이중마개
JP2013139273A (ja) チューブ容器
JP2009196665A (ja) 容器用蓋体
KR20130065548A (ko) 토출량 조절이 가능한 펌프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