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9645B1 - 펌프용기 하부 내용물 토출이 가능한 용기 구조체 - Google Patents

펌프용기 하부 내용물 토출이 가능한 용기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9645B1
KR102499645B1 KR1020220127504A KR20220127504A KR102499645B1 KR 102499645 B1 KR102499645 B1 KR 102499645B1 KR 1020220127504 A KR1020220127504 A KR 1020220127504A KR 20220127504 A KR20220127504 A KR 20220127504A KR 102499645 B1 KR102499645 B1 KR 1024996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coupling
supporting
circumferential surface
ri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275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원
Original Assignee
김진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원 filed Critical 김진원
Priority to KR10202201275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964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96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96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005Components or details
    • B05B11/0037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04Deformable containers producing the flow, e.g. squeeze bottles
    • B05B11/042Deformable containers producing the flow, e.g. squeeze bottles the spray being effected by a gas or vapour flow in the nozzle, spray head, outlet or dip tub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01Piston pu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2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65D1/0223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characterised by shape
    • B65D1/0261Bottom constru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펌프용기 하부 내용물 토출이 가능한 용기 구조체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성은 중심부 쪽으로 하향 경사진 하향 경사 바닥부(122)를 구비한 용기(120); 상기 용기(120)의 하부에 결합된 받침 용기(1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펌프용기 하부 내용물 토출이 가능한 용기 구조체{Container structure with lower position contens pumping function of pump container}
본 발명은 펌프용기 하부 내용물 토출이 가능한 용기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용기의 바닥부를 경사지게 구현하여 내용물이 토출 펌브를 통해 용기 내부에 내용물이 잔류함이 없이 모두 배출시켜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새로운 구성의 펌프용기 하부 내용물 토출이 가능한 용기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체형태의 생활용품을 담은 용기에는 수동식 소형 펌프가 장치되어 있어서 단순히 펌프를 누름에 의해 내용물이 일정한 양씩 밖으로 토출되므로 쉽게 사용할 수 있다. 디스펜서라고 하는 펌프장치는 펌프를 누르면 펌프내부의 챔버 안에 들어있던 내용물이 노즐을 통해 밖으로 토출된다. 펌프를 누른 힘을 제거하면 용기와 펌프 사이에 설치된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펌프가 상방으로 원상복귀하면서 용기 내의 내용물이 펌프내의 챔버로 흡입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샴푸를 담은 용기의 상단에 펌프장치가 설치되어, 펌프를 누르면 펌프내부의 챔버안에 들어있던 내용물이 노즐을 통해 밖으로 토출된다. 펌프를 누른 힘을 제거하면 용기와 펌프 사이에 설치된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펌프가 상방으로 원상복귀하면서 용기 내의 내용물이 펌프내의 챔버로 흡입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그런데, 샴푸와 같은 유체 형태의 내용물을 사용하면 항상 마지막에 용기 바닥부에 잔여량이 남아서 잔여량을 사용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366696호(2014년02월18 등록)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238093호(2001년07월03일 등록)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282737호(2002년07월09일 등록)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73938호(2014년08월04일 등록)
샴푸 등을 사용하면 항상 마지막에 용기 바닥부에 잔여량이 남아서 잔여량을 사용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목적은 주요부인 용기의 바닥부를 하향 경사지게 형성하여 용기 내부에 내용물이 잔류함이 없이 모두 배출시켜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새로운 구성의 펌프용기 하부 내용물 토출이 가능한 용기 구조체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중심부 쪽으로 하향 경사진 하향 경사 바닥부(122)를 구비한 용기(120); 상기 용기(120)의 하부에 결합된 받침 용기(1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용기 하부 내용물 토출이 가능한 용기 구조체가 제공된다.
상기 하향 경사 바닥부(122)는 상기 용기(120)의 둘레부에서 용기(120)의 중심부 쪽을 향하여 하향 경사진 바닥부로 구성되고, 상기 용기(120)의 상단 캡에는 토출 펌브(124)가 구비되고, 상기 토출 펌브(124)의 토출 튜브(125)의 하단부는 상기 하향 경사 바닥부(122)의 중심부에 배치되어, 상기 토출 펌브(124)의 작동에 의해 상기 용기(120)의 하향 경사 바닥부(122)의 중심부에 몰려서 잔류하고 있는 내용물을 남김없이 상기 토출 펌브(124)를 통해 토출시켜서 사용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용기(120)의 아래쪽 일부와 상기 받침 용기(130)는 투명 용기(120)로 구성되어, 상기 용기(120)에 남겨져 있는 내용물의 양을 확인하면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받침 용기(130)의 내주면에 구비된 결합 지지 돌편(142); 상기 용기(120)의 저면에서 아래로 돌출된 하부 결합 테두리부(144); 상기 하부 결합 테두리부(144)의 외주면에 구비되어 상기 결합 지지 돌편(142)이 상면에 걸려지는 결합 리테이닝 돌편(146);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합 지지 돌편(142)은 받침 용기(130)의 내주면을 따라 일정 길이 연장된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받침 용기(130)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상기 결합 지지 돌편(142)이 적어도 두 개 이상 상기 받침 용기(130)의 내주면에 배치되고, 상기 결합 리테이닝 돌편(146)은 상기 하부 결합 테두리부(144)의 외주면을 따라 일정 길이 연장된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용기(120)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상기 결합 리테이닝 돌편(146)이 적어도 두 개 이상 상기 하부 결합 테두리부(144)의 외주면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합 리테이닝 돌편(146)의 선단부에는 기단부 쪽으로 상향 경사진 결합 경사 가이드면(146GF)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용기(120)의 하부 결합 테두리부(144)의 외주면에 구비되어 한 쌍의 결합 리테이닝 돌편(146)의 기단부와 상하로 일치하는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용기(120)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대칭되는 위치에 배치된 한 쌍의 포지셔닝 스톱퍼(152); 상기 받침 용기(130)의 외주면에 구비되며 받침 용기(130) 내주면의 결합 지지 돌편(142)의 기단부와 상하로 일치되는 위치에 배치된 한 쌍의 결합 가이드 라인(154);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용기(120)의 내부에 구비된 리임(162); 상기 리임(162)의 중앙부에 구비되어 용기(120)의 상단부에 결합된 토출 펌브(124)의 토출 튜브(125)의 외주면에 접촉된 스크래핑 링체(164);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리임(162)은 외주면의 나사부에 의해 용기(120) 내주면의 나사부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리임(162)이 용기(120)의 상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용기의 하부를 하향 경사진 중심부 쪽으로 하향 경사진 하향 경사 바닥부를 구비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용기의 하부에 잔류하여 토출 펌브로 펌핑되지 못하는 잔류 내용물을 모두 토출하여 남김없이 사용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용기에 잔류 내용물이 없이 모두 사용함으로 인하여 자원 절약의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펌프용기 하부 내용물 토출이 가능한 용기 구조체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펌프용기 하부 내용물 토출이 가능한 용기 구조체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주요부인 용기와 받침 용기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용기의 하경 경사 바닥부와 받침 용기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용기의 하향 경사 바닥부와 토출 펌프의 토출관의 일부를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도 6의 하향 경사 바닥부와 토출관을 위쪽에서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도 4에 도시된 용기의 하향 경사 바닥부를 아래쪽에서 보여주는 도면,
도 8은 도 5에 도시된 용기의 하향 경사 바닥부와 받침 용기의 결합 부분을 보여주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펌프용기 하부 내용물 토출이 가능한 용기 구조체의 결합 지지 돌편과 하부 결합 테두리부와 결합 리테이닝 돌편 부분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주요부인 용기의 바닥부를 보여주는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주요부인 용기와 받침 용기를 도 9에 도시된 결합 지지 돌편과 하부 결합 테두리부와 결합 리테이닝 돌편에 의해 결합시키기 이전의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용기와 받침 용기를 결합 지지 돌편과 하부 결합 테두리부와 결합 리테이닝 돌편에 의해 결합한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용기와 받침 용기를 결합 지지 돌편과 하부 결합 테두리부와 결합 리테이닝 돌편에 의해 결합한 상태를 보여주는 측단면도,
도 14는 도 12에 도시된 용기와 받침 용기를 결합 지지 돌편과 하부 결합 테두리부와 결합 리테이닝 돌편에 의해 결합시키기 이전의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측단면도,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용기와 받침 용기를 결합 지지 돌편과 하부 결합 테두리부와 결합 리테이닝 돌편에 의해 결합 완료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측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펌프용기 하부 내용물 토출이 가능한 용기 구조체의 구조를 보여주는 측단면도,
도 17은 도 16의 A-A선 평단면도,
도 18은 도 16에 도시된 토출 펌프를 용기에서 분리하여 토출관의 외주면에 잔류한 내용물을 긁어서 용기의 하향 경사 바닥부로 모여지도록 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측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과 특징 및 장점은 첨부도면 및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함으로써 더욱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고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펌프용기 하부 내용물 토출이 가능한 용기 구조체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펌프용기 하부 내용물 토출이 가능한 용기 구조체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주요부인 용기와 받침 용기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용기의 하경 경사 바닥부와 받침 용기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용기의 하향 경사 바닥부와 토출 펌프의 토출관의 일부를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도 6의 하향 경사 바닥부와 토출관을 위쪽에서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도 4에 도시된 용기의 하향 경사 바닥부를 아래쪽에서 보여주는 도면, 도 8은 도 5에 도시된 용기의 하향 경사 바닥부와 받침 용기의 결합 부분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펌프용기 하부 내용물 토출이 가능한 용기 구조체는 중심부 쪽으로 하향 경사진 하향 경사 바닥부(122)를 구비한 용기(120); 상기 용기(120)의 하부에 결합된 받침 용기(130);를 포함한다.
상기 용기(120)는 원통형 용기(120)나 사각통형 용기(120)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용기(120)가 사각통형 용기(120)로 구성된 것이 도시되어 있는데, 용기(120)는 원통형 용기(120)나 사각통형 용기(120)와 같이 다양한 형상의 용기(12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하향 경사 바닥부(122)는 용기(120)의 둘레부에서 용기(120)의 중심부 쪽을 향하여 하향 경사진 바닥부로 구성된다. 예를 들어, 하향 경사 바닥부(122)는 아래로 뒤집어진 원뿔대 형상의 바닥부로 구성되거나 아래로 뒤집어진 마름모 뿔대 형상의 바닥부로 구성될 수 있다. 하향 경사 바닥부(122)가 용기(120)의 중심부 쪽으로 몰리도록 아래로 경사진 바닥부로 구성된 것이 중요하다.
상기 용기(120)의 상단 캡에는 토출 펌브(124)가 구비되고, 상기 토출 펌브(124)의 토출 튜브(125)의 하단부는 하향 경사 바닥부(122)의 중심부에 배치되어, 상기 토출 펌브(124)의 작동에 의해 상기 용기(120)의 하향 경사 바닥부(122)의 중심부에 몰려서 잔류하고 있는 내용물을 남김없이 토출 펌브(124)를 통해 토출시켜서 사용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용기(120)의 아래쪽 일부와 받침 용기(130)는 투명 용기(120)로 구성되어, 상기 용기(120)에 남겨져 있는 내용물의 양을 확인하면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받침 용기(130)는 용기(120)의 하단에 구비된 하부 결합 테두리부(144)에 삽입되고, 하부 결합 테두리부(144)의 바깥쪽에 형성된 단턱부에 받침 용기(130)의 상단부가 걸려져서 용기(120)의 하부에 받침 용기(130)가 결합된 구조가 된다. 받침 용기(130)는 접착제와 같은 결합수단에 의해 용기(120)의 하단에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용기(120)의 하부에 잔류하여 토출 펌브(124)로 펌핑되지 못하는 잔류 내용물을 모두 토출하여 남김없이 사용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샴푸와 같은 유체 형태의 내용물을 사용하면 항상 마지막에 용기(120) 바닥부에 잔여량이 남아서 잔여량을 사용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용기(120)의 하부를 하향 경사진 중심부 쪽으로 하향 경사진 하향 경사 바닥부(122)를 구비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용기(120)의 하부에 잔류하는 샴푸와 같은 내용물이 하향 경사 바닥부(122)의 중심부에 몰리도록 가이드하고, 하향 경사 바닥부(122)의 중심부로 몰려 있는 잔류 내용물을 토출 펌브(124)의 펌프를 누르게 되면 노즐을 통해 밖으로 토출되도록 할 수 있기 때문에, 용기(120)의 하부에 잔류하는 내용물을 모두 남김없이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용기(120)에 잔류 내용물이 없이 모두 사용함으로 인하여 자원 절약의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한편,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펌프용기 하부 내용물 토출이 가능한 용기 구조체의 결합 지지 돌편과 하부 결합 테두리부와 결합 리테이닝 돌편 부분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주요부인 용기의 바닥부를 보여주는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주요부인 용기와 받침 용기를 도 9에 도시된 결합 지지 돌편과 하부 결합 테두리부와 결합 리테이닝 돌편에 의해 결합시키기 이전의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용기와 받침 용기를 결합 지지 돌편과 하부 결합 테두리부와 결합 리테이닝 돌편에 의해 결합한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용기와 받침 용기를 결합 지지 돌편과 하부 결합 테두리부와 결합 리테이닝 돌편에 의해 결합한 상태를 보여주는 측단면도, 도 14는 도 12에 도시된 용기와 받침 용기를 결합 지지 돌편과 하부 결합 테두리부와 결합 리테이닝 돌편에 의해 결합시키기 이전의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측단면도,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용기와 받침 용기를 결합 지지 돌편과 하부 결합 테두리부와 결합 리테이닝 돌편에 의해 결합 완료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측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펌프용기 하부 내용물 토출이 가능한 용기 구조체의 구조를 보여주는 측단면도, 도 17은 도 16의 A-A선 평단면도, 도 18은 도 16에 도시된 토출 펌프를 용기에서 분리하여 토출관의 외주면에 잔류한 내용물을 긁어서 용기의 하향 경사 바닥부로 모여지도록 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측단면도이다.
본 발명에서는 받침 용기(130)의 내주면에 구비된 결합 지지 돌편(142)과, 상기 용기(120)의 저면에서 아래로 돌출된 하부 결합 테두리부(144)와, 상기 하부 결합 테두리부(144)의 외주면에 구비되어 결합 지지 돌편(142)이 상면에 걸려지는 결합 리테이닝 돌편(146)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결합 지지 돌편(142)은 받침 용기(130)의 내주면을 따라 일정 길이 연장된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받침 용기(130)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상기 결합 지지 돌편(142)이 적어도 두 개 이상 상기 받침 용기(130)의 내주면에 배치되고, 상기 결합 리테이닝 돌편(146)은 상기 하부 결합 테두리부(144)의 외주면을 따라 일정 길이 연장된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용기(120)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상기 결합 리테이닝 돌편(146)이 적어도 두 개 이상 상기 하부 결합 테두리부(144)의 외주면에 구비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결합 지지 돌편(142)과 하부 결합 테두리부(144)의 외주면에 구비된 결합 리테이닝 돌편(146)이 용기(120)의 하단에 받침 용기(130)를 결합시키는 결합수단이라 할 수 있다.
상기 받침 용기(130) 내주면의 결합 지지 돌편(142)이 용기(120)의 하부 결합 테두리부(144) 외주면에 구비된 결합 리테이닝 돌편(146)의 상면 위쪽에 정렬되도록 받침 용기(130)를 용기(120) 저면의 하부 결합 테두리부(144)에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 받침 용기(130)를 용기(120)의 하부 결합 테두리부(144)를 기준으로 한쪽 방향으로 회전(예를 들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주면, 상기 받침 용기(130) 내주면의 결합 지지 돌편(142)이 용기(120)의 하부 결합 테두리부(144) 외주면의 결합 리테이닝 돌편(146)의 상면에 걸려지게 되므로, 상기 용기(120)의 하부에 받침 용기(130)를 결합시킬 수 있다.
상기 용기(120)의 하부에 받침 용기(130)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받침 용기(130)를 용기(120)의 하부 결합 테두리부(144)를 기준으로 다른 쪽 방향으로 회전(예를 들어,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주면, 상기 받침 용기(130) 내주면의 결합 지지 돌편(142)이 용기(120)의 하부 결합 테두리부(144) 외주면의 결합 리테이닝 돌편(146)의 상면에 걸려진 위치에서 벗어나게 되므로, 상기 용기(120)의 하부에서 받침 용기(130)를 분리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용기(120)를 세워놓도록 지지하는 받침 용기(130)를 용기(120)의 하부에 간편하고 신속하게 결합하거나 분리 가능한 효과가 있고, 나아가 사용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이때, 상기 결합 리테이닝 돌편(146)의 선단부에는 기단부 쪽으로 상향 경사진 결합 경사 가이드면(146GF)이 구비되어, 상기 받침 용기(130) 내주면의 결합 지지 돌편(142)의 선단부가 용기(120)의 하부 결합 테두리부(144) 외주면에 구비된 결합 리테이닝 돌편(146)의 선단부와 마주하도록 받침 용기(130)를 용기(120) 저면의 하부 결합 테두리부(144)에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 받침 용기(130)를 용기(120)의 하부 결합 테두리부(144)를 기준으로 한쪽 방향으로 회전(예를 들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주면, 상기 받침 용기(130) 내주면의 결합 지지 돌편(142)이 용기(120)의 하부 결합 테두리부(144) 외주면의 결합 리테이닝 돌편(146)의 선단부에 구비된 결합 경사 가이드면(146GF)을 타고 넘어가서 결합 리테이닝 돌편(146)의 상면에 걸려지게 되므로, 상기 용기(120)의 하부에 받침 용기(130)를 더 쉽게 결합 가능한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용기(120)의 하부 결합 테두리부(144)의 외주면에 구비되어 한 쌍의 결합 리테이닝 돌편(146)의 기단부와 상하로 일치하는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용기(120)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대칭되는 위치에 배치된 한 쌍의 포지셔닝 스톱퍼(152); 상기 받침 용기(130)의 외주면에 구비되며 받침 용기(130) 내주면의 결합 지지 돌편(142)의 기단부와 상하로 일치되는 위치에 배치된 한 쌍의 결합 가이드 라인(154);을 더 포함한다.
한 쌍의 결합 가이드 라인(154)이 한 쌍의 포지셔닝 스톱퍼(152)와 상하로 동일 선상에 배치되도록 상기 용기(120)의 하부 결합 테두리부(144)의 외주면에 받침 용기(130)를 결합한 다음, 상기 용기(120)를 기준으로 받침 용기(130)를 한쪽 방향(예를 들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받침 용기(130) 내주면의 결합 지지 돌편(142)이 용기(120)의 하부 결합 테두리부(144) 외주면의 결합 리테이닝 돌편(146)의 상면에 걸려지고 한 쌍의 결합 지지 돌편(142)의 선단부는 한 쌍의 포지셔닝 스톱퍼(152)에 걸려져서 회전이 스탑되므로, 상기 용기(120)의 하부에 받침 용기(130)를 보다 쉽고 빠르게 결합 가능한 효과가 있다.
한편, 상기 용기(120)의 하부에 받침 용기(130)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받침 용기(130)를 용기(120)의 하부 결합 테두리부(144)를 기준으로 다른 쪽 방향으로 회전(예를 들어,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주면, 상기 받침 용기(130) 내주면의 한 쌍의 결합 지지 돌편(142)의 기단부가 용기(120)의 하부 결합 테두리부(144) 외주면의 한 쌍의 포지셔닝 스톱퍼(152)에 걸려져서 회전이 스탑되고, 동시에 받침 용기(130) 내주면의 한 쌍의 결합 지지 돌편(142)이 용기(120)의 하부 결합 테두리부(144) 외주면의 한 쌍의 결합 리테이닝 돌편(146)의 상면에 걸려진 위치에서 벗어나게 되므로, 상기 용기(120)의 하부에서 받침 용기(130)를 보다 쉽고 빠르게 분리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용기(120)의 내부에 구비된 리임(162); 상기 리임(162)의 중앙부에 구비되어 용기(120)의 상단부에 결합된 토출 펌브(124)의 토출 튜브(125)의 외주면에 접촉된 스크래핑 링체(164);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리임(162)은 외주면의 나사부에 의해 용기(120) 내주면의 나사부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리임(162)이 용기(120)의 상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러한 경우에는 리임(162)을 용기(120)의 상부에 쉽고 빠르게 결합하거나 분리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토출 펌브(124)는 용기(120)의 상단 중앙부에 구비된 결합 보스에 나사식으로 결합된다.
상기 토출 펌브(124)를 용기(120)의 상단부에서 분리하여 위쪽으로 인출하면, 상기 토출 튜브(125)의 외주면에 묻어 있는 샴푸 등의 내용물이 스크래핑 링체(164)에 의해 스크래핑되어서 토출 튜브(125)에 잔류하고 있는 내용물까지 용기(120)의 하부의 하향 경사 바닥부(122)의 중앙부로 모여지며, 이러한 상태에서 토출 펌브(124)를 다시 용기(120)의 상단 중앙부에 구비된 결합 보스에 결합된 다음, 토출 펌브(124)를 누르면 토출 튜브(125)에 잔류하고 있던 나머지 내용물까지 토출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내용물의 더 확실하게 남김이 없이 사용 가능한 효과가 있다. 내용물을 거의 남김없이 사용 가능하여 자원 절약 측면에서도 유리한 효과도 기대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120. 용기 122. 하향 경사 바닥부
124. 토출 펌프 125. 토출 튜브
130. 받침 용기 142. 결합 지지 돌편
144. 하부 결합 테두리부 146. 결합 리테이닝 돌편
146GF. 결합 경사 가이드면 152. 포지셔닝 스톱퍼
154. 결합 가이드 라인 162. 리임
164. 스크래핑 링체

Claims (3)

  1. 중심부 쪽으로 하향 경사진 하향 경사 바닥부(122)를 구비한 용기(120);
    상기 용기(120)의 하부에 결합된 받침 용기(130);를 포함하고,
    상기 하향 경사 바닥부(122)는 상기 용기(120)의 둘레부에서 용기(120)의 중심부 쪽을 향하여 아래로 경사진 바닥부로 구성되고, 상기 용기(120)의 상단 캡에는 토출 펌브(124)가 구비되고, 상기 토출 펌브(124)의 토출 튜브(125)의 하단부는 상기 하향 경사 바닥부(122)의 중심부에 배치되어, 상기 토출 펌브(124)의 작동에 의해 상기 용기(120)의 하향 경사 바닥부(122)의 중심부에 몰려서 잔류하고 있는 내용물을 남김없이 상기 토출 펌브(124)를 통해 토출시켜서 사용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받침 용기(130)의 내주면에 구비된 결합 지지 돌편(142)과, 상기 용기(120)의 저면에서 아래로 돌출된 하부 결합 테두리부(144)와, 상기 하부 결합 테두리부(144)의 외주면에 구비되어 결합 지지 돌편(142)이 상면에 걸려지는 결합 리테이닝 돌편(146)을 포함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결합 지지 돌편(142)은 받침 용기(130)의 내주면을 따라 일정 길이 연장된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받침 용기(130)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상기 결합 지지 돌편(142)이 적어도 두 개 이상 상기 받침 용기(130)의 내주면에 배치되고, 상기 결합 리테이닝 돌편(146)은 상기 하부 결합 테두리부(144)의 외주면을 따라 일정 길이 연장된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용기(120)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상기 결합 리테이닝 돌편(146)이 적어도 두 개 이상 상기 하부 결합 테두리부(144)의 외주면에 구비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받침 용기(130) 내주면의 결합 지지 돌편(142)이 용기(120)의 하부 결합 테두리부(144) 외주면에 구비된 결합 리테이닝 돌편(146)의 상면 위쪽에 정렬되도록 받침 용기(130)를 용기(120) 저면의 하부 결합 테두리부(144)에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 받침 용기(130)를 용기(120)의 하부 결합 테두리부(144)를 기준으로 한쪽 방향으로 회전시켜주면, 상기 받침 용기(130) 내주면의 결합 지지 돌편(142)이 용기(120)의 하부 결합 테두리부(144) 외주면의 결합 리테이닝 돌편(146)의 상면에 걸려지게 되므로, 상기 용기(120)의 하부에 받침 용기(130)를 결합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용기(120)의 하부에 받침 용기(130)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받침 용기(130)를 용기(120)의 하부 결합 테두리부(144)를 기준으로 다른 쪽 방향으로 회전시켜주면, 상기 받침 용기(130) 내주면의 결합 지지 돌편(142)이 용기(120)의 하부 결합 테두리부(144) 외주면의 결합 리테이닝 돌편(146)의 상면에 걸려진 위치에서 벗어나게 되므로, 상기 용기(120)의 하부에서 받침 용기(130)를 분리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용기(120)의 하부 결합 테두리부(144)의 외주면에 구비되어 한 쌍의 결합 리테이닝 돌편(146)의 기단부와 상하로 일치하는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용기(120)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대칭되는 위치에 배치된 한 쌍의 포지셔닝 스톱퍼(152); 상기 받침 용기(130)의 외주면에 구비되며 받침 용기(130) 내주면의 결합 지지 돌편(142)의 기단부와 상하로 일치되는 위치에 배치된 한 쌍의 결합 가이드 라인(154);을 더 포함하며,
    한 쌍의 결합 가이드 라인(154)이 한 쌍의 포지셔닝 스톱퍼(152)와 상하로 동일 선상에 배치되도록 상기 용기(120)의 하부 결합 테두리부(144)의 외주면에 받침 용기(130)를 결합한 다음, 상기 용기(120)를 기준으로 받침 용기(130)를 한쪽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받침 용기(130) 내주면의 결합 지지 돌편(142)이 용기(120)의 하부 결합 테두리부(144) 외주면의 결합 리테이닝 돌편(146)의 상면에 걸려지고 한 쌍의 결합 지지 돌편(142)의 선단부는 한 쌍의 포지셔닝 스톱퍼(152)에 걸려져서 회전이 스탑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용기(120)의 하부에 받침 용기(130)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받침 용기(130)를 용기(120)의 하부 결합 테두리부(144)를 기준으로 다른 쪽 방향으로 회전시켜주면, 상기 받침 용기(130) 내주면의 한 쌍의 결합 지지 돌편(142)의 기단부가 용기(120)의 하부 결합 테두리부(144) 외주면의 한 쌍의 포지셔닝 스톱퍼(152)에 걸려져서 회전이 스탑되고, 동시에 받침 용기(130) 내주면의 한 쌍의 결합 지지 돌편(142)이 용기(120)의 하부 결합 테두리부(144) 외주면의 한 쌍의 결합 리테이닝 돌편(146)의 상면에 걸려진 위치에서 벗어나게 되므로, 상기 용기(120)의 하부에서 받침 용기(130)를 분리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용기 하부 내용물 토출이 가능한 용기 구조체.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120)의 아래쪽 일부와 상기 받침 용기(130)는 투명 용기(120)로 구성되어, 상기 용기(120)에 남겨져 있는 내용물의 양을 확인하면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용기 하부 내용물 토출이 가능한 용기 구조체.
KR1020220127504A 2022-10-06 2022-10-06 펌프용기 하부 내용물 토출이 가능한 용기 구조체 KR1024996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7504A KR102499645B1 (ko) 2022-10-06 2022-10-06 펌프용기 하부 내용물 토출이 가능한 용기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7504A KR102499645B1 (ko) 2022-10-06 2022-10-06 펌프용기 하부 내용물 토출이 가능한 용기 구조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9645B1 true KR102499645B1 (ko) 2023-02-13

Family

ID=852028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7504A KR102499645B1 (ko) 2022-10-06 2022-10-06 펌프용기 하부 내용물 토출이 가능한 용기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9645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8093Y1 (ko) 1998-11-23 2001-11-22 서경배 샴푸용기의펌프구조
KR200282737Y1 (ko) 2002-02-01 2002-07-23 강성일 샴푸용기용 디스펜서
KR20130055822A (ko) * 2011-11-21 2013-05-29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절약형 용기
KR101366696B1 (ko) 2012-05-11 2014-02-24 두리화장품 주식회사 샴푸용기의 펌프 장치
KR200473938Y1 (ko) 2013-03-20 2014-08-12 (주)아모레퍼시픽 회전 펌핑 샴푸용기
KR20150059041A (ko) * 2013-11-21 2015-05-29 박수현 절약형 샴푸용기
KR20160062639A (ko) * 2014-11-25 2016-06-02 김은서 절약형 용기
KR200490189Y1 (ko) * 2019-06-21 2019-10-08 박정길 내용물 잔량 방지구조를 갖는 펌프식 용기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8093Y1 (ko) 1998-11-23 2001-11-22 서경배 샴푸용기의펌프구조
KR200282737Y1 (ko) 2002-02-01 2002-07-23 강성일 샴푸용기용 디스펜서
KR20130055822A (ko) * 2011-11-21 2013-05-29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절약형 용기
KR101366696B1 (ko) 2012-05-11 2014-02-24 두리화장품 주식회사 샴푸용기의 펌프 장치
KR200473938Y1 (ko) 2013-03-20 2014-08-12 (주)아모레퍼시픽 회전 펌핑 샴푸용기
KR20150059041A (ko) * 2013-11-21 2015-05-29 박수현 절약형 샴푸용기
KR20160062639A (ko) * 2014-11-25 2016-06-02 김은서 절약형 용기
KR200490189Y1 (ko) * 2019-06-21 2019-10-08 박정길 내용물 잔량 방지구조를 갖는 펌프식 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3262B1 (ko) 정량인출이 가능한 스포이드와 이를 구비하는 화장품 용기
JPH05270577A (ja) 適量分与装置
US10322427B2 (en) Cleaning fluid dispenser
US8579164B1 (en) Dispensing bowl attachment for use with a bottle
KR101723225B1 (ko) 하향식 액상물질 디스펜서
JP2009227307A (ja) カップ付容器
KR102499645B1 (ko) 펌프용기 하부 내용물 토출이 가능한 용기 구조체
KR100856728B1 (ko) 펌프식 액체 절약 용기
KR101405056B1 (ko) 펌핑 용기
KR101454748B1 (ko) 액상 내용물의 정량 인출이 가능한 용기
US5975088A (en) Nail polish dispenser and receptacle
US2522832A (en) Liquid container and dropper
US11278159B2 (en) Cleaning fluid dispenser
JP2013230838A (ja) キャップ付き容器
US1203919A (en) Bottle-stopper and pipette.
US8167220B2 (en) Headpiece for actuator
KR102076444B1 (ko) 화장용 앰플 펌프
KR101239903B1 (ko) 펌프형 용기
JP6362968B2 (ja) 受皿付きポンプ容器
US11772111B1 (en) Dispenser
JP6991654B2 (ja) 押下げポンプ用ホルダー
KR200426325Y1 (ko) 리필용액 투입구가 부착된 리필용기
JP7116273B1 (ja) 組立式容器
KR200307299Y1 (ko) 약액 흘러넘침 방지를 위한 스포이트 일체형 시약병
CN212758674U (zh) 一种防倒吸式胶头滴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