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9903B1 - 펌프형 용기 - Google Patents

펌프형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9903B1
KR101239903B1 KR1020090030401A KR20090030401A KR101239903B1 KR 101239903 B1 KR101239903 B1 KR 101239903B1 KR 1020090030401 A KR1020090030401 A KR 1020090030401A KR 20090030401 A KR20090030401 A KR 20090030401A KR 101239903 B1 KR101239903 B1 KR 1012399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mp
container
contents
discharge
type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04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11919A (ko
Inventor
전성수
김현미
이태훈
김기필
Original Assignee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900304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9903B1/ko
Publication of KR201001119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19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99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99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005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piston or with a movable bottom or partition having approximately the same section as the container
    • B65D83/0044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piston or with a movable bottom or partition having approximately the same section as the container the piston having a dispensing opening formed in the pist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3/00Details of bottles or ja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23/10Handles
    • B65D23/104Handles formed separately
    • B65D23/106Handles formed separately the gripping region of the handle extending between the neck and the base of the bottle or jar and being located in a radial plane comprising the axis of the bottle or j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38Devices for discharging contents
    • B65D25/40Nozzles or spouts
    • B65D25/42Integral or attached nozzles or spou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20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펌프형 용기에 관한 것으로, 액체 또는 겔 상태의 내용물을 보관하기 위한 수납공간이 내부에 형성되고 상부에 그 내용물의 배출구가 구비된 용기 본체와, 그 본체의 배출구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 배출캡과 그 배출캡에서 상기 수납공간 내부로 연장 형성된 흡입관에 의해 구성되는 펌프 장치를 포함하는 펌프형 용기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가 형성된 상기 용기 본체의 상부는 플랜지부가 마련되고, 상기 플랜지부 아래에는 오목한 요철부를 형성하며 상기 용기 본체에 연결되어 상기 플랜지부와 상기 요철부는 사용자의 손가락으로 파지하도록 된 것으로, 한손으로도 펌프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펌프의 미끄러짐을 방지하여 이동과 사용이 편리한 것이다.
펌프형 용기, 플랜지부, 요철부, 마찰부재, 돌기부

Description

펌프형 용기{Pumping vessel}
본 발명은 펌프형 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용기의 상단에 요철을 이용하여 한손으로도 펌프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펌프의 미끄러짐을 방지하여 이동과 사용이 편리한 펌프형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샴푸, 린스 및 세제는 물론이고 액체상태의 화장품 등은 일정한 크기와 형태를 갖는 보관용기 내에 보관되어 사용되고 있는 것이었고, 이러한 보관용기는 대체적으로 수납물을 손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보관용기의 캡에 내용물을 펌핑하기 위한 펌프 장치를 갖추어 구성되어 있다.
통상적으로 각종 용기류는 내용물을 유출시키는 방법에 따라 용기의 내부에 저장된 내용물(샴푸, 치약등)을 짜내어 사용하는 튜브식 용기, 용기를 역방향으로 뒤집어 흔들어줌으로써 내용물(화장품액)이 유출되는 용기, 용기의 상부에 장착된 펌핑수단을 눌러줌으로써 내용물(무스액 등)이 유출되는 용기등 여러가지 형상과 모양 및 기능을 갖추게 된다.
첨부한 도1은 종래의 펌프식 용기와, 이 용기의 내부에서 내부 호스가 체결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로서, 상기 펌프식 용기(10)의 상부 개방부에는 내용물 토출캡(12)이 장착되어진다.
상기 내용물 토출캡(12)은 상부에 형성되는 누름버튼단(13)과 하부에는 형성되는 결합단(14)으로 이루어져 있고, 액상의 유체가 흐르게 되는 이송경로가 상기 누름버튼단(13)과 결합단(14)의 내부를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상기 누름 버튼단(13)의 누름과 누름해제에 따라 상기 이송경로가 개폐되어지고, 상기 결합단(14) 하단에 형성된 경사 결합공(16)에 내부호스(20)의 일측단을 끼워 이어서 상기 내부호스(20)에 의하여 내용물이 배출된다.
그러나, 종래의 펌프형 용기는 토출캡(12)이 용기(10)에 직접 결합되어 있어서 내용물을 토출하기 위해서는 한손으로는 용기(10) 본체를 고정하고 다른 한손으로 상기 누름 버튼단(13)을 눌러야 하므로 머리를 감거나 샤워기를 동시에 조작하는 경우에는 두손을 모두 사용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내용물이 거의 소진된 경우에는 용기 본체가 자주 쓰러지거나 용기 하단 접촉면이 물기에 의해서 미끄러지는 경우가 많아 사용상 불편함을 초래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샤워중이나 머리를 감을 때 샴푸 또는 세정제가 들어 있는 펌프형 용기를 한손으로 이동하거나 사용할 수 있도록 용기 상단부에 파지용 요철과 펌프 상단부의 고리에 돌기부를 형성하여 배출구의 방향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 펌프형 용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펌프형 용기는, 액체 또는 겔 상태의 내용물을 보관하기 위한 수납공간이 내부에 형성되고 상부에 그 내용물의 배출구가 구비된 용기 본체와, 그 본체의 배출구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 배출캡과 그 배출캡에서 상기 수납공간 내부로 연장 형성된 흡입관에 의해 구성되는 펌프 장치를 포함하는 펌프형 용기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가 형성된 상기 용기 본체의 상부는 플랜지부가 마련되고, 상기 플랜지부 아래에는 오목한 요철부를 형성하며 상기 용기 본체에 연결되어 상기 플랜지부와 상기 요철부는 사용자의 손가락으로 파지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펌프형 용기에 있어서, 상기 펌프형 용기 하부에는 고리 형상의 마찰 부재가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펌프형 용기에 있어서, 상기 펌프 장치(34)의 배출부가 플랜지부(35)의 외곽선 보다 밖으로 돌출시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펌프형 용기에 있어서, 상기 펌프 장치의 가장자리에 돌기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펌프형 용기에 따르면, 샤워중이나 머리를 감을 때 샴푸 또는 세정제가 들어 있는 펌프형 용기를 한손으로 이동하거나 사용할 수 있도록 용기가 옆으로 쓰러지거나 전도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 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펌프형 용기의 개략도이고,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펌프형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펌프형 용기의 바닥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2, 도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펌프형 용기는, 액체 또는 겔 상태의 내용물을 보관하기 위한 수납공간(31)이 내부에 형성되고 상부에 그 내용물의 배출구가 구비된 용기 본체(30)와, 그 본체의 배출구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 배출캡(32)과 그 배출캡(32)에서 상기 수납공간(31) 내부로 연장 형성된 흡입관(33)에 의해 구성되는 펌프 장치(34)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배출구가 형성된 상기 용기 본체(30)의 상부는 플랜지부(36)가 마련되고, 상기 플랜지부(36) 아래에는 오목한 요철부(35)를 형성하며 상기 용기 본체에 연결되어 상기 플랜지부(36)와 상기 요철부(35)는 사용자의 손가락으로 파지하도록 된 것이다.
상기 요철부(35)는 용기 본체(30) 뿐만 아니라 용기의 상단부에도 위치할 수 있으며, 이것은 한손으로도 샴푸와 같은 내용물이 들어있는 용기를 한 손으로 이동하거나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사용자의 손가락을 끼워서 지지하여 이용을 편리하게 해준다.
요철부(35)는 펌프 장치(34)와의 거리가 한 손으로 쓸 수 있는 범위를 포함하며 요철부(35)와 연결된 플랜지부(36)의 형태는 손가락을 지지할 수 있는 모든 형태를 포함한다.
요철부(35)와 연속되는 상기 플랜지부(36)의 형태는 원형, 삼각형, 사각형과 같은 다각형이나 유기적인 모형을 포함한다.
도2, 도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펌프형 용기에 있어서, 상기 펌프형 용기 하부에는 고리 형상의 마찰 부재(37)가 부착되어 있다.
용기 바닥을 마찰력 있는 재질로 부착하여 펌프형 용기의 내용물이 적게 남아 있을 경우에 용기가 쉽게 쓰러지거나 물기가 많은 곳에서 미끄러짐을 방지하게 되며, 상기 마찰 부재(37)는 고리 형상으로 고무와 같은 마찰력 있는 재질을 사용하게 된다.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펌프형 용기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5를 참조하면, 펌프 장치(34)의 배출부가 플랜지부(35)의 외곽선 보다 밖으로 돌출되도록 하여 한 손으로 펌프 장치(34)를 눌러서 내용물을 배출하는 경우에는 손바닥으로 떨어지도록 하여 한손으로 용액을 짜서 쓰는데에 문제가 없도록 한 것이다.
또한, 펌프 장치의 가장자리에 돌기부(38)를 형성하여 엄지손가락으로 펌프 장치(34)의 회전을 용이하게 하여 배출부가 어느 방향에서도 손바닥으로 향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도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펌프식 용기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펌프형 용기의 개략도이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펌프형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펌프형 용기의 바닥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펌프형 용기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 : 용기 본체 31 : 수납공간
32 : 배출캡 33 : 흡입관
34 : 펌프 장치 35 : 요철부
36 : 플랜지부 37 : 마찰부재
38 : 돌기부

Claims (4)

  1. 액체 또는 겔 상태의 내용물을 보관하기 위한 수납공간이 내부에 형성되고 상부에 그 내용물의 배출구가 구비된 용기 본체와, 그 본체의 배출구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 배출캡과 그 배출캡에서 상기 수납공간 내부로 연장형성된 흡입관에 의해 구성되는 펌프 장치를 포함하는 펌프형 용기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가 형성된 상기 용기 본체의 상부는 플랜지부가 마련되고, 상기 플랜지부 아래에는 오목한 요철부를 형성하며 상기 용기 본체에 연결되어 상기 플랜지부와 상기 요철부는 사용자의 손가락으로 파지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펌프 장치의 배출부에서 내용물을 배출할 때 배출부를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펌프 장치의 배출부 맞은편의 가장자리 부분에 돌기부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돌기부를 손가락으로 회전시키면서 배출부로부터 내용물을 배출시키면 어느 방향에서도 상기 배출되는 내용물이 손바닥으로 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형 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형 용기 하부에는 고리 형상의 마찰 부재가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형 용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 장치의 배출부가 플랜지부의 외곽선 보다 밖으로 돌출시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형 용기.
  4. 삭제
KR1020090030401A 2009-04-08 2009-04-08 펌프형 용기 KR1012399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0401A KR101239903B1 (ko) 2009-04-08 2009-04-08 펌프형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0401A KR101239903B1 (ko) 2009-04-08 2009-04-08 펌프형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1919A KR20100111919A (ko) 2010-10-18
KR101239903B1 true KR101239903B1 (ko) 2013-03-06

Family

ID=431320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0401A KR101239903B1 (ko) 2009-04-08 2009-04-08 펌프형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990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0746U (ko) * 2020-09-23 2022-03-30 주식회사 에이블씨엔씨 화장품 용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61544A (ja) * 1996-05-31 1998-03-03 Calmar Inc ポンプ式液体ディスペンサー
KR200315699Y1 (ko) * 2003-03-21 2003-06-09 주식회사 태평양 미끄럼방지부재를 구비한 용기
KR200400131Y1 (ko) * 2005-07-30 2005-11-02 전순호 분출식 저장용기
JP2006521978A (ja) * 2004-01-16 2006-09-28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 操作の容易な容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61544A (ja) * 1996-05-31 1998-03-03 Calmar Inc ポンプ式液体ディスペンサー
KR200315699Y1 (ko) * 2003-03-21 2003-06-09 주식회사 태평양 미끄럼방지부재를 구비한 용기
JP2006521978A (ja) * 2004-01-16 2006-09-28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 操作の容易な容器
KR200400131Y1 (ko) * 2005-07-30 2005-11-02 전순호 분출식 저장용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0746U (ko) * 2020-09-23 2022-03-30 주식회사 에이블씨엔씨 화장품 용기
KR200495684Y1 (ko) * 2020-09-23 2022-07-22 주식회사 미팩토리 화장품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1919A (ko) 2010-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7566B1 (ko) 이중 배출수단을 갖는 화장품 용기
KR101723225B1 (ko) 하향식 액상물질 디스펜서
KR101239903B1 (ko) 펌프형 용기
KR101325922B1 (ko) 액상화장품 용기
KR101379846B1 (ko) 디스펜서 용기
ATE266480T1 (de) Flüssigkeits- abgabevorrichtung mit einer leicht ausstellbaren rastverbindung
JP5546945B2 (ja) スクイズ容器用キャップ
KR101010154B1 (ko) 스포이드
KR101832086B1 (ko) 컵 세척수단
KR200421167Y1 (ko) 디스펜서
US20120132676A1 (en) Liquid dispenser
US3251387A (en) Metering and dispensing unit for fluidic materials
US3545651A (en) Liquid soap dispensing bottle
JP3221629U (ja) ポンプ
JP4018017B2 (ja) 液体噴出器
KR102583672B1 (ko) 도포모듈이 구비된 펌핑 장치
CN216453823U (zh) 一种便携式保湿喷雾瓶
KR102499645B1 (ko) 펌프용기 하부 내용물 토출이 가능한 용기 구조체
JP2006240634A (ja) 高粘度液体用容器のキャップ
CN215902011U (zh) 泵式容器
EP3010328B1 (en) Portable water container
KR200470203Y1 (ko) 흘러내림 방지 및 잔류액 회수가 가능한 푸어러 캡
CN215099298U (zh) 清洁剂防侧漏密封包装组件
KR101074631B1 (ko) 붓 세척 도구
CN217674490U (zh) 一种象鼻喷雾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20229

Effective date: 20121023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