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62639A - 절약형 용기 - Google Patents

절약형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62639A
KR20160062639A KR1020140165656A KR20140165656A KR20160062639A KR 20160062639 A KR20160062639 A KR 20160062639A KR 1020140165656 A KR1020140165656 A KR 1020140165656A KR 20140165656 A KR20140165656 A KR 20140165656A KR 20160062639 A KR20160062639 A KR 201600626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ing plate
container body
air
container
conte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56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은서
Original Assignee
김은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은서 filed Critical 김은서
Priority to KR10201401656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62639A/ko
Publication of KR201600626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263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005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piston or with a movable bottom or partition having approximately the same section as the container
    • B65D83/0027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piston or with a movable bottom or partition having approximately the same section as the container piston co-operating with a screw-thread in the side wall of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005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piston or with a movable bottom or partition having approximately the same section as the contain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W90/10Bio-packaging, e.g. packing containers made from renewable resources or bio-plast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절약형 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주방용 세제나, 샴푸, 화장품 등의 액상의 내용물을 담는 용기, 즉 펌핑수단을 이용하여 내용물을 토출시키는 펌프식 용기의 바닥면을 이중으로 구성하고, 용기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내용물이 토출됨과 동시에 이중으로 구성된 바닥면 중 상층이 용기의 측벽을 따라 상승하도록 하여 용기 안의 내용물을 남김없이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절약형 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용기 본체와, 펌핑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액상물 저장 용기에 있어서, 상기 액상물의 사용에 비례하여 용기 본체의 내측벽을 따라 상승하는 이동플레이트와, 상기 이동플레이트를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절약형 용기 {Economic vessels}
본 발명은 절약형 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주방용 세제나, 샴푸, 화장품 등의 액상의 내용물을 담는 용기, 즉 펌핑수단을 이용하여 내용물을 토출시키는 펌프식 용기의 바닥면을 이중으로 구성하고, 용기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내용물이 토출됨과 동시에 이중으로 구성된 바닥면 중 상층이 용기의 측벽을 따라 상승하도록 하여 용기 안의 내용물을 남김없이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절약형 용기에 관한 것이다.
세제나 샴푸, 화장품 등과 같은 점도가 높은 유체를 보관하는 용기는 일반적으로 푸시 방식으로 용기 내의 유체를 외부로 토출하도록 하는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용기를 사용할 경우에 점도가 높은 내용물인 세제, 샴푸 또는 화장품을 거의 다 사용하고 바닥에 내용물이 약간 남아 있게 되면 그 내용물의 배출이 어렵게 된다.
이때 남아 있는 내용물을 배출하여 사용하려면 용기를 거꾸로 뒤집어 흘러나오게 하여야 하지만, 내용물의 점성으로 인해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은 푸시 방식(펌프식 방식)이 설치되지 않은 보통의 마개를 사용하는 용기에서 특히 심하게 나타나지만, 푸시 방식(펌프식 방식)이 설치된 용기의 경우에도 내용물을 배출시키기 위하여 흡입하는 유입관의 끝을 용기의 바닥에 근접시키면 내용물의 배출이 어려워지므로 유입관의 끝 근처까지의 높이에 해당하는 내용물에 대해서는 여전히 이러한 문제점이 남아 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기술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59550호에는 점성 액상 내용물 가압식 절약용기가 게재되어 있는데, 그 주요 기술적 구성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단부가 마개(11)로 마감되고 내측에 내용물이 보관되는 용기본체(10)와; 상기 마개를 관통하여 설치되고 상기 용기본체의 내용물을 배출시키기 위한 누름버튼(20)과; 몸체 상부에 상기 누름버튼이 결합되고, 몸체 하부에 상기 용기본체의 내용물을 배출함과 아울러, 상기 용기본체에 공기압을 불어 넣기 위한 분리된 2중 배출수단을 갖는 배출펌프(30)와; 상기 배출펌프와 연결되도록 설치되는 내용물 배출호스(40)를 따라 수직 하강되며, 상기 용기본체의 내벽에 남아 있는 내용물을 끌어 내리도록 설치되는 잔류물 제거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에 그 특징이 있다.
즉, 상기 종래기술은 포장용기 내에 잔류물 제거수단을 제공하여 내용물을 배출한 후에도 용기 벽면에 남아 있는 잔류량 또한 모두 소진시킬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포장용기 내에 2중 구조의 펌프수단을 제공하여 하나는 공기를 흡입 및 배출하고 다른 하나는 동시에 저장된 내용물을 흡인한 후 배출하도록 하여 펌핑의 효율을 높이고 포장용기 내의 내용물을 잔류물 없이 소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하고 있으나, 그 구성이 너무 복잡하여 제조가 어렵고 오작동 또는 고장이 발생활 확률이 높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 구성은 용기 안의 내용물을 바닥면으로부터 끌어 올려 배출시키므로 초기에 내용물을 용기의 외부로 배출시키기가 어렵고, 여전히 내용물 배출호스(40)와 용기 바닥면 사이의 공간이 존재하게 되므로 잔류물 제거수단에 의해 잔류물을 용기 바닥면으로 끌어내린다 하더라도 잔류물을 완벽하게 소진하기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용기의 바닥면을 이중으로 구성하여 내용물이 수용되는 부분의 바닥면이 내용물을 사용함에 따라 상승하도록 함으로써 용기 내에 잔존하는 잔류물을 완벽하게 소진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절약형 용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용기 본체와, 펌핑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액상물 저장 용기에 있어서, 상기 액상물의 사용에 비례하여 용기 본체의 내측벽을 따라 상승하는 이동플레이트와, 상기 이동플레이트를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용기 본체는 이동플레이트에 의해 액상물이 저장되는 제1구역과, 상기 구동부가 설치되는 제2구역으로 분할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용기 본체의 내측벽에는 이동플레이트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이동플레이트에는 가이드홈에 삽입 결합되는 가이드돌기가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홈은 용기 본체의 내측벽을 따라 나선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이동플레이트는 그 중심부가 아래로 볼록한 원추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동부는 펌핑수단에 구비되는 에어발생부와, 일측 단부가 상기 에어발생부에 연결 설치되고 타측 단부는 이동플레이트의 하부에 형성되는 공간부에 위치되는 에어이송관 및 상기 에어이송관의 타측 단부에 연결 설치되는 에어백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구동부는 용기 본체의 외측 하단에 설치되는 에어발생부와, 상기 에어발생부와 용기 본체의 이동플레이트 하부에 형성되는 공간부 사이에 연결 설치되는 에어이송관 및 상기 에어이송관의 타측 단부에 연결 설치되는 에어백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에어이송관의 타측 단부에는 토션스프링에 의해 고정 설치되는 마개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용기 본체의 내측벽에는 암나사가 형성되고, 상기 이동플레이트의 테두리부에는 수나사가 형성되며, 상기 구동부는 용기 본체의 외측 하단에 설치되는 회전부재와, 상기 회전부재와 용기 본체의 이동플레이트 하부에 형성되는 공간부 사이에 연결 설치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타측 단부에 연결 설치되는 제1베벨기어와, 상기 제1베벨기어와 결합되는 제2베벨기어 및 상기 제2베벨기어가 축설되고 용기 본체의 저면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이동플레이트를 관통하도록 설치되는 중심축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단순한 구성으로 내용물이 수용되는 부분의 바닥면이 내용물을 사용함에 따라 상승하도록 함으로써 용기 내에 잔존하는 잔류물을 완벽하게 소진시킬 수 있도록 하는 뛰어난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용기 내부의 내용물이 바닥면이 아닌 상부로부터 소진되므로 펌핑수단에 의한 내용물의 인출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추가로 갖는다.
도 1은 종래의 점성 액상 내용물 가압식 절약용기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절약형 용기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나타낸 본 발명의 정단면도.
도 4는 도 2에 나타낸 본 발명 중 펌핑수단의 부분 확대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절약형 용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정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절약형 용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정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절약형 용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절약형 용기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나타낸 본 발명의 정단면도이며, 도 4는 도 2에 나타낸 본 발명 중 펌핑수단의 부분 확대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절약형 용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정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절약형 용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정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주방용 세제나, 샴푸, 화장품 등의 액상의 내용물을 담는 용기, 즉 펌핑수단을 이용하여 내용물을 토출시키는 펌프식 용기의 바닥면을 이중으로 구성하고, 용기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내용물이 토출됨과 동시에 이중으로 구성된 바닥면 중 상층이 용기의 측벽을 따라 상승하도록 하여 용기 안의 내용물을 남김없이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절약형 용기(100)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크게 용기 본체(110), 펌핑수단(120), 이동플레이트(130) 및 구동부(140,140',1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용기 본체(110)는 그 내부에 주방용 세제나, 샴푸, 화장품 등의 액상의 내용물이 수용되는 것으로, 원통 또는 다각 기둥의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내측에 수용된 내용물의 양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다음, 상기 펌핑수단(120)은 용기 본체(110) 내부에 수용된 내용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용기 본체(110)의 상단을 마감하는 마개(122)와, 상기 마개(122)를 관통하여 용기 본체(110)의 내부로 연결 설치되어 펌핑 작용에 의해 본체(110) 내부의 내용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누름부재(124) 및 상기 누름부재(124)의 하단에 연결 설치되어 누름부재(124)의 펌핑 작용에 의해 본체(110) 내부의 내용물을 흡입하는 유입관(12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유입관(126)은 용기 본체(110) 내부의 상단부 일정 높이까지만 설치되는데, 이는 본 발명에 따른 절약형 용기(100)의 경우 후술할 이동플레이트(130)의 작용에 의해 용기 본체(110) 내부에 수용된 내용물을 본체(110)의 바닥면이 아닌 상부로부터 흡입하여 배출시키기 때문이다.
다음, 상기 이동플레이트(130)는 용기 본체(110)의 내측 하부에 설치되어 후술할 구동부(140,140',140")의 작동에 의해 상승하여 내용물이 유입관(126)을 통해 지속적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기 용기 본체(110)는 이동플레이트(130)에 의해 액상 내용물이 수용되는 제1구역(112)과 이동플레이트(130)를 상승시키기 위한 구동부(140,140',140")가 설치되는 제2구역(114)으로 구분된다.
즉, 이동플레이트(130)를 기준으로 하여 상부에 형성되는 제1구역(112)에는 액상 내용물이 수용되고, 하부에 형성되는 제2구역(114)에는 액상 내용물의 배출을 위해 필요한 높이만큼 이동플레이트(130)를 상승시키기 위한 구동부(140,140',140")가 설치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이동플레이트(130)는 중심부가 아래로 볼록한 원추형으로 형성되어 내용물이 거의 다 소진된 경우 이동플레이트(130)의 상부면을 따라 중심부에 모일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이동플레이트(130)의 중심부에 내용물이 최종적으로 모일 수 있도록 하는 요입홈을 형성시킬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이동플레이트(130)의 원활한 이동을 위해 용기 본체(110)의 내측벽에는 이동플레이트(130)의 상승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홈(111)이 형성되고, 상기 이동플레이트(130)의 테두리 부분에는 상기 가이드홈(111)에 삽입 결합되는 가이드돌기(131)가 돌출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가이드홈(111)은 용기 본체(110)의 크기에 따라 직선형 또는 나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용기 본체(110)의 횡방향 단면적이 작은 경우, 내용물의 소진이 빨리 이루어지게 되고, 그에 따라 이동플레이트(130)의 상승 속도가 빨라져야 하므로 상기 가이드홈(111)을 수직방향 즉, 직선형으로 형성하고, 용기 본체(110)의 횡방향 단면적이 큰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내용물의 소진이 천천히 이루어지게 되므로 상기 가이드홈(111)을 나선형으로 형성함으로써 이동플레이트(130)의 상승 구동이 천천히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다음, 상기 구동부(140)는 액상 내용물의 사용에 비례하여 이동플레이트(130)가 상승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에어발생부(141), 에어이송관(142) 및 에어백(14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에어발생부(141)는 제2구역(114), 즉 이동플레이트(130)의 하부에 형성되는 공간에 설치되는 에어백(143)에 주입되는 공기를 생성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펌핑수단(120)에 구비되어 액상 내용물을 배출시키기 위한 사용자의 펌핑작업시에 공기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 에어발생부(141)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펌핑수단(120)을 구성하는 누름부재(124)의 상단 내측에 형성되어, 사용자가 누름부재(124)를 가압하는 힘에 의해 에어발생부(141)가 압축되면서 공기가 발생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때, 상기 에어발생부(141)가 구비되는 누름부재(124)에는 외부의 공기를 에어발생부(141)의 내측으로 유입시키기 위한 관통공이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다음, 상기 에어이송관(142)은 일측 단부가 에어발생부(141)에 연결 설치되고, 타측 단부는 에어백(143)에 연결 설치되어 에어발생부(141)로부터 생성된 공기를 에어백(143)의 내부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에어이송관(142)은 이동플레이트(130)를 관통하도록 하여 에어백(143)에 연결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으나, 이동플레이트(130)에 의한 제1구역(112)과 제2구역(114) 사이의 밀폐력 강화를 위해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용기 본체(110)의 측벽을 이중으로 구성하여 측벽 내부에 형성되는 공간부에 삽입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에어백(143)에 연결 설치되는 에어이송관(142)의 타측 단부에는 에어백(143) 내부에 존재하는 공기가 에어이송관(142)을 통해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마개(142)가 설치되는데, 상기 마개(142)는 토션스프링(142b)에 의해 에어이송관(142)의 타측 단부에 고정 설치되어 에어이송관(142)으로부터 에어백(143)으로 공급되는 공기의 흐름은 허용하면서도, 에어백(143)으로부터 에어이송관(142)으로 흐르는 공기의 흐름은 차단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 토션스프링(142b)이 마개(142)를 에어이송관(142)의 단부를 밀폐시키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초기 토션을 갖도록 하여 평상시에는 마개(142)가 에어이송관(142)의 단부를 밀폐시킨 상태로 유지되고, 사용자가 누름부재(124)를 가압한 경우에는 에어발생부(141)로부터 발생된 공기의 흐름에 의해 마개(142)가 열리면서 에어이송관(142)으로부터 에어백(143)의 내부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다음, 상기 에어백(143)은 이동플레이트(130)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하여 에어이송관(142)의 타측 단부에 연결 설치되어 에어이송관(142)으로부터 공급되는 공기에 의해 부풀어서 이동플레이트(130)를 가압시킴으로써 이동플레이트(130)가 상부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즉, 상기 에어백(143)이 없이 이동플레이트(130)의 하부로 직접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여 제2구역(114)에 채워지는 공기의 압력에 의해 이동플레이트(130)를 상승시킬 수도 있겠으나, 이동플레이트(130)와 용기 본체(110)의 측벽 사이의 공간을 통해 제2구역(114) 내의 공기가 빠져나가 이동플레이트(130)를 상승시키기 위한 충분한 압력을 형성시키는 것이 어려우므로 공기압의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에어백(143)을 이동플레이트(130)의 하부에 설치하여 에어백(143)이 팽창하는 힘에 의해 이동플레이트(130)를 상승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절약형 용기(100)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에어발생부(141')가 펌핑수단(120)의 구동과 무관하게 작동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는데, 이는 용기 본체(110) 내부에 수용된 액상 내용물의 사용량에 비례한 이동플레이트(130)의 상승 구동이 보다 정확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이동플레이트(130)를 상승시키기 위한 구동부(140')가 전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에어발생부(141'), 에어이송관(142') 및 에어백(143')을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상기 에어발생부(141')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용기 본체(110)의 외측 하단에 설치되고, 상기 에어이송관(142')은 용기 본체(110)를 관통하여 에어발생부(141')와 에어백(143')의 사이에 연결 설치되며, 상기 에어백(143')은 이동플레이트(130)의 하부에 형성되는 공간부 즉, 제2구역(114)에 설치된다.
즉, 사용자가 용기 본체(110)의 외측 하단에 설치된 에어발생부(141')를 펌핑하여 에어이송관(142')을 통해 에어백(143')의 내측으로 공기를 주입함으로써 에어백(143')을 팽창시켜 이동플레이트(130)를 원하는 만큼 상승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때, 상기 용기 본체(110)를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형성하여 사용자가 내용물의 양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동플레이트(130)를 상승시키기 위한 구동부(140')를 선택적으로 작동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내용물의 양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없더라도 누름부재(124)의 가압에 의해 내용물이 배출되지 않을 경우 에어발생부(141')를 펌핑하여 이동플레이트(130)를 상승시킬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도 에어백(143')과 연결 설치되는 에어이송관(142')의 단부에 토션스프링(142b')에 의해 고정 설치되는 마개(142')를 구비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절약형 용기(100)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구동부(140")를 이동플레이트(130)를 회전시키기 위한 기어구조를 포함하여 구성되도록 할 수도 있는데,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구동부(140")는 회전부재(144), 회전축(145), 제1 및 제2베벨기어(146,147), 중심축(148)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회전부재(144)는 용기 본체(110)의 외측 하단에 설치되어 이동플레이트(130)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고, 상기 회전축(145)은 용기 본체(110)를 통해 회전부재(144)와 제1베벨기어(146) 사이에 연결 설치되어 회전부재(144)의 회전력을 제1베벨기어(146)에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1베벨기어(146)는 회전축(145) 및 제2베벨기어(147)에 연결 설치되어 회전축(145)의 회전에 의해 제2베벨기어(147)를 회전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고, 상기 제2베벨기어(147)는 제1베벨기어(146)의 하부에 연결 설치되어 제1베벨기어(146)의 회전 방향을 전환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며, 상기 중심축(148)은 용기 본체(110)의 저면 중심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 설치되어 제2베벨기어(147)가 축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이동플레이트(130)를 관통하도록 하여 이동플레이트(130)의 상승 상한선까지 이르도록 설치된다.
즉, 사용자가 용기 본체(110)의 외측에 설치된 회전부재(144)를 회전시킬 경우 회전부재(144)의 회전력이 회전축(145)을 통해 제1베벨기어(146)에 전달되어 제1베벨기어(146)가 회전하게 되고, 그에 따라 제1베벨기어(146)에 맞물린 제2베벨기어(147)가 회전하면서 중심축(148) 및 중심축(148)에 결합된 이동플레이트(130)가 회전하게 되어 용기 본체(110)의 내측면에 나선 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홈(111)을 따라 상승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용기 본체(110)의 저면부에는 중심축(148)이 삽입 결합되는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중심축(148)의 외주면에는 베어링(148a)이 삽입 설치되어 중심축(148)의 회전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용기 본체(110)의 내측벽에 암나사(113)를 형성하고, 이동플레이트(130)의 테두리 부분에 상기 암나사(113)에 결합되는 수나사(133)를 형성하여 이동플레이트(130)가 회전하면서 나사산을 따라 상승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절약형 용기(100)에 의하면, 단순한 구성으로 내용물이 수용되는 부분의 바닥면이 내용물을 사용함에 따라 상승하도록 함으로써 용기 내에 잔존하는 잔류물을 완벽하게 소진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동플레이트(130)의 상부에 형성되는 공간에만 내용물이 수용되고, 상기 이동플레이트(130)는 내용물의 사용량에 비례하여 상승하게 되므로, 용기 본체(110)의 상단부에 수용된 내용물부터 외부로 유출되고, 그에 따라 펌핑수단(120)의 작용에 따른 내용물의 배출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등의 다양한 장점을 갖는 것이다.
전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절약형 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주방용 세제나, 샴푸, 화장품 등의 액상의 내용물을 담는 용기, 즉 펌핑수단을 이용하여 내용물을 토출시키는 펌프식 용기의 바닥면을 이중으로 구성하고, 용기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내용물이 토출됨과 동시에 이중으로 구성된 바닥면 중 상층이 용기의 측벽을 따라 상승하도록 하여 용기 안의 내용물을 남김없이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절약형 용기에 관한 것이다.
100 : 용기 110 : 용기 본체
111 : 가이드홈 112 : 제1구역
113 : 암나사 114 : 제2구역
120 : 펌핑수단 122 : 마개
124 : 누름부재 126 : 유입관
130 : 이동플레이트 131 : 가이드돌기
133 : 수나사 140, 140',140" : 구동부
141, 141' : 에어발생부 142, 142' : 에어이송관
142a, 142a' : 마개 142b, 142b' : 토션스프링
143, 143' : 에어백 144 : 회전부재
145 : 회전축 146 : 제1베벨기어
147 : 제2베벨기어 148 : 중심축
148a : 베어링

Claims (9)

  1. 용기 본체와, 펌핑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액상물 저장 용기에 있어서,
    상기 액상물의 사용에 비례하여 용기 본체의 내측벽을 따라 상승하는 이동플레이트와, 상기 이동플레이트를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약형 용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는 이동플레이트에 의해 액상물이 저장되는 제1구역과, 상기 구동부가 설치되는 제2구역으로 분할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약형 용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의 내측벽에는 이동플레이트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이동플레이트에는 가이드홈에 삽입 결합되는 가이드돌기가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약형 용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홈은 용기 본체의 내측벽을 따라 나선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약형 용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플레이트는 그 중심부가 아래로 볼록한 원추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약형 용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펌핑수단에 구비되는 에어발생부와, 일측 단부가 상기 에어발생부에 연결 설치되고 타측 단부는 이동플레이트의 하부에 형성되는 공간부에 위치되는 에어이송관 및 상기 에어이송관의 타측 단부에 연결 설치되는 에어백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약형 용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용기 본체의 외측 하단에 설치되는 에어발생부와, 상기 에어발생부와 용기 본체의 이동플레이트 하부에 형성되는 공간부 사이에 연결 설치되는 에어이송관 및 상기 에어이송관의 타측 단부에 연결 설치되는 에어백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약형 용기.
  8. 제 6항 또는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이송관의 타측 단부에는 토션스프링에 의해 고정 설치되는 마개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약형 용기.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의 내측벽에는 암나사가 형성되고, 상기 이동플레이트의 테두리부에는 수나사가 형성되며,
    상기 구동부는 용기 본체의 외측 하단에 설치되는 회전부재와, 상기 회전부재와 용기 본체의 이동플레이트 하부에 형성되는 공간부 사이에 연결 설치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타측 단부에 연결 설치되는 제1베벨기어와, 상기 제1베벨기어와 결합되는 제2베벨기어 및 상기 제2베벨기어가 축설되고 용기 본체의 저면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이동플레이트를 관통하도록 설치되는 중심축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약형 용기.

KR1020140165656A 2014-11-25 2014-11-25 절약형 용기 KR2016006263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5656A KR20160062639A (ko) 2014-11-25 2014-11-25 절약형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5656A KR20160062639A (ko) 2014-11-25 2014-11-25 절약형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2639A true KR20160062639A (ko) 2016-06-02

Family

ID=561357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5656A KR20160062639A (ko) 2014-11-25 2014-11-25 절약형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62639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1861A (ko) * 2017-01-09 2018-07-18 박지호 압축 샴푸통
KR20200000143U (ko) * 2018-07-10 2020-01-20 (주)앰비코스믹 진공펌핑 용기
KR102499645B1 (ko) * 2022-10-06 2023-02-13 김진원 펌프용기 하부 내용물 토출이 가능한 용기 구조체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1861A (ko) * 2017-01-09 2018-07-18 박지호 압축 샴푸통
KR20200000143U (ko) * 2018-07-10 2020-01-20 (주)앰비코스믹 진공펌핑 용기
KR102499645B1 (ko) * 2022-10-06 2023-02-13 김진원 펌프용기 하부 내용물 토출이 가능한 용기 구조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31832B2 (ja) ディスペンサー容器
US9186689B2 (en) Cap-integrated pumping type cosmetic container
KR101542590B1 (ko) 역립타입 용기
KR101666683B1 (ko) 버튼 출몰식 디스펜서 용기
JP2009543742A5 (ko)
KR101037699B1 (ko) 화장품 강제 토출 용기
KR101388094B1 (ko) 캡 일체형 펌핑식 화장품용기
KR20160062639A (ko) 절약형 용기
KR200449855Y1 (ko) 튜브형 화장품용기
CN113271811A (zh) 按钮出没式化妆品容器
KR101481959B1 (ko) 잔량 개선을 위한 이종 내용물 혼합용기
US20070181605A1 (en) Fluid dispenser for minimizing residual fluid content
EP2859957B1 (en) Cap-integrated pumping type cosmetic container
KR101379846B1 (ko) 디스펜서 용기
KR200472459Y1 (ko) 화장품 용기용 토출장치
KR102402691B1 (ko) 리퀴드 디스펜서
KR200459918Y1 (ko) 고점도 내용물의 미세 정량토출이 가능한 펌프 용기
KR101605056B1 (ko) 참치 액상주입시 발생되는 공기와 거품의 분리배출이 가능한 참치 추출액 주입기용 거품배출기
KR20170110315A (ko) 회전 토출식 염색제 용기
KR101660033B1 (ko) 이종 내용물 혼합용기
KR200485326Y1 (ko) 회전식 토출형 화장료 용기
CN201049808Y (zh) 一种带喷嘴的瓶盖装置
JP5977535B2 (ja) 注出キャップ
KR20200030231A (ko) 액체의 펌핑용기
JP5961240B2 (ja) ポンプ付き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