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3396B1 - 산화 방지 기능을 갖춘 화장품 용기 - Google Patents

산화 방지 기능을 갖춘 화장품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3396B1
KR101893396B1 KR1020170013240A KR20170013240A KR101893396B1 KR 101893396 B1 KR101893396 B1 KR 101893396B1 KR 1020170013240 A KR1020170013240 A KR 1020170013240A KR 20170013240 A KR20170013240 A KR 20170013240A KR 101893396 B1 KR101893396 B1 KR 1018933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air
lid
operation member
cosmetic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32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88948A (ko
Inventor
채석
최영인
조규민
신나라
Original Assignee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최영인
조규민
신나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최영인, 조규민, 신나라 filed Critical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0132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3396B1/ko
Publication of KR201800889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89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33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33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18Casings combined with other obj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02Caps or cap-like covers without lines of weakness, tearing 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 B65D41/0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20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6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24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2033/001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2034/002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2040/0006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에 화장품을 수용하고 사용자가 내부로부터 화장품을 인출시켜 사용하도록 구성되는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화장품 용기는 내부에 화장품이 수용되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길이 방향의 일 단부에 화장품을 유출하기 위한 개방부가 형성되는 케이스; 케이스와 맞물려서 개방부를 폐쇄하는 덮개; 및 덮개에서 설치되어 케이스 내의 공기를 배출하도록 작동하는 공기 배출 기구를 포함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산화 방지 기능을 갖춘 화장품 용기{COSMETIC VESSEL HAVING OXIDATION PREVENTION FUNCTION}
본 발명은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용기 내에 수용되는 화장품이 공기와 접촉하여 산화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갖춘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이다.
화장품은 피부에 도포되어 피부를 보호하거나 피부를 아름답게 가꾸어주는 작용을 하는 것으로서 천연 소재나 각종 물질이 함유되어 있으며, 이러한 화장품을 함유되는 물질들 중에는 공기와 접촉하여 산화되어 변질될 우려가 있는 것이 있다.
화장품은 일정 기간의 유통 기한이 있지만, 유통 기한은 판매가 가능한 시한을 정하는 것일 뿐이고, 화장품의 사용 시에는 화장품 용기를 개방하여 내부의 화장품이 공기와 접촉하는 상태로 장기간 사용하는 경우가 많고, 산화에 의해 화장품이 변질되어 피부 등에 트러블을 일으키는 경우가 종종 있다.
따라서, 화장품의 사용 중에 용기 내부의 화장품이 공기와 접촉하는 것을 최대한 제한하여 주는 용기들이 제안되어 왔다.
그러한 용기 중의 하나로서, 특허 제1174388호(문헌 1)에 개시된 ‘공기유입 차단 기능을 갖는 액상 용기에 관한 발명이 있다.
이 문헌 1의 발명의 액상 용기는, 용기 내부로 공기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것으로서, 상부에 제1 개방부가 형성되고, 내부에 제1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제1 수용 공간의 표면 상에 통기 구멍이 형성되는 외피; 외피의 제1 수용 공간 내에 구비되며, 상부에 제2 개방부가 형성되고, 내부에 제2 수용 공간이 형성되는 내피; 제1 개방부 및 제2 개방부에 하단부가 고정되며, 수직 중앙부에 상부 측이 넓고 하부 측이 좁은 상광하협의 원뿔 형태의 배출 통로가 형성되는 노즐; 노즐의 배출 통로의 하단 측에 결합되며, 원뿔 형태의 배출 통로 내주연 하부 측에 선택적으로 밀착되도록 원뿔 형태로 형성되는 상측 걸림부와, 상측 걸림부의 하단 측에 연결 고정되며 길이를 갖는 연결부와, 연결부의 하단 측에 연결 고정되며 막대 형태로 되어 배출 통로의 하단부에 선택적으로 접촉되는 하측 걸림부로 구성되어 배출통로를 개폐 단속하는 개폐구; 외피의 상부 측에 노즐을 감싸도록 결합되는 뚜껑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러한 문헌 1의 발명의 액상 용기는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여 내부에 수용된 액체 물질이 공기에 의해 산화되거나 변질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그러나, 문헌 1의 발명은 그 구조상 액상의 물질에 대해서만 공기 유입 차단 기능이 발현될 수 있어서 겔 형태의 형성되는 화장품에 대해서는 사용할 수 없다는 한계를 가지며, 일단 용기 내에 공기가 유입되면 이를 배출할 수 없고, 특히 구조적으로 내부에 설치되는 내피를 교체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내용물이 공기와 접촉하여 산화하는 것을 방지하는 용기에 관한 또 다른 기술로서, 특허공보 제1646884호(문헌 2)에 개시된 공기 차단이 가능한 내용물 배출 펌프 용기에 관한 발명이 있다.
문헌 2의 발명의 용기는, 내부에 내용기를 수용하고 있는 외용기와 외용기의 상부 개구부에 나사 결합되는 상부가 개구된 부재로서, 외주면으로 다수의 단차가 형성되고, 그 내주면 하단에 걸림턱이 형성된 펌프 본체와, 펌프 본체의 내측에 위치하면서 내용기의 상부 입구에 그 외측 플렌지가 지지된 실린더와, 누름 버튼의 누름 작동에 의해 실린더의 내주면에서 승강하는 승강 장치로 이루어지고, 누름 버튼은 상부는 폐쇄된 원통 형상의 부재로서, 상하부가 개구된 승강로드와 연통되는 내부홀이 형성되어 있고, 내부 홀 상부에서 일측으로 연통된 측방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측방홀 내에는 밀폐 노즐이 삽입되어 있으며 밀폐 노즐의 상부홀을 통해 삽입되어 누름 작동에 의해 밀폐 노즐의 하부를 눌러 전방에 형성된 슬릿을 개방시키는 기역자형 누름부재가 설치되는 것이다.
문헌 2의 발명에 따른 용기는 이러한 구성에 따라 누름 버튼의 내용물 출구에 밀폐 노즐을 삽입하여 누름 버튼의 작동시 내용물이 배출되는 밀폐노즐의 입구를 개방하고, 누름버튼의 비작동시는 밀폐노즐의 입구를 차단시키도록 함으로써 이송 통로 상에 잔존하는 화장품 내용물이 공기와 접촉되어 산화 변질되거나 배출구 측의 내용물이 굳어 딱딱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문헌 2의 발명에 따른 용기는 내용물의 산화 변질을 방지하는 구성과 작동을 갖지만, 이 용기는 누르는 동작으로 펌프를 작동시켜 내용물을 인출하는 유형의 용기에 한정되는 것이고, 개방된 부분을 통하여 화장품을 인출하여 사용하는 통상적인 유형의 화장품 용기에는 적용할 수 없다.
특허공보 제1174388호(문헌 1) 특허공보 제1646884호(문헌 2)
본 발명은 전술한 화장품 용기의 문제를 고려하여, 화장품의 사용에 의해 용기 내에 빈공간이 생겨 외부 공기가 유입됨으로써 용기 내의 화장품이 산화에 의해 변질되는 일을 방지하도록 용기 내에 유입되어 잔류하는 외부 공기를 최소화하는 구성의 화장품 용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어떠한 유형의 화장품, 즉 졸이나 겔 어떠한 형태의 화장품도 수용하면서 외부 공기가 최소한으로 잔류하게 되는 구성의 화장품 용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해결 과제는, 내부에 화장품을 수용하고 사용자가 내부로부터 화장품을 인출시켜 사용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용기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화장품 용기는,
내부에 화장품을 수용하고 사용자가 내부로부터 화장품을 인출시켜 사용하도록 구성되는 화장품 용기로서,
내부에 화장품이 수용되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길이 방향의 일 단부에 화장품을 유출하기 위한 개방부가 형성되는 케이스; 케이스와 맞물려서 개방부를 폐쇄하는 덮개; 및 덮개에서 설치되어 케이스 내의 공기를 배출하도록 작동하는 공기 배출 기구를 포함하고,
삭제
삭제
삭제
공기 배출 기구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하향 이동 가능한 작동 부재 및 작동 부재의 하향 이동에 의해 압축되어 작동 부재를 상향 가압하는 코일 스프링을 포함하고,
덮개에는 공기 배출 기구의 작동에 의해 배출되는 화장품 내의 공기가 배출되는 제1 통공이 형성되고,
작동 부재에는 덮개의 상부로 돌출하여 화장품 용기의 사용자가 누르는 동작에 의해 작동 부재를 하향 이동시키는 돌출 버튼, 및 작동 부재의 상향 이동시에 덮개의 통공을 폐쇄하는 폐쇄 돌기가 형성되고,
작동 부재와 덮개에는 각각 서로 밀착되어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원통형의 격벽이 작동 부재의 작동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마련되고, 작동 부재의 돌출 버튼을 누르는 동작에 의해 작동 부재가 하향 이동하여 상기 내부 공간에 잔류하는 공기가 케이스 내부로 이동하고, 케이스 내부의 공기는 제1 통공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동을 설명한다.
사용자는 덮개를 케이스로부터 분리하여 케이스의 개방부로부터 화장품을 유출시켜 화장품을 이용한다. 이러한 덮개의 개방 및 화장품 유출에 따라 케이스 내에는 외부 공기가 유입된다.
사용자는 덮개를 다시 케이스에 결합하고, 작동 부재의 돌출 버튼을 누른다. 이러한 동작에 의해 작동 부재와 덮개의 격벽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 공간에 잔류하는 공기가 케이스 내부로 이동하고, 케이스 내부에 있는 외부로부터 유입된 공기는 덮개의 제1 통공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이러한 작용에 따라 화장품이 수용되어 있는 케이스 내부에 잔류하는 외부 공기가 최소한으로 억제되어 화장품의 산화 및 변질이 최소한으로 된다. 또한, 작동 버튼에 의해 외부 공기가 아닌 덮개에 잔류하고 있던 공기가 케이스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삭제
삭제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외관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를 구성하는 부품들을 분해하여 상측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상측의 단면도로서, 화장품 용기의 작용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구성과 작용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는 내부에 화장품을 수용하고 사용자가 내부로부터 화장품을 인출시켜 사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화장품 용기는 크게 내부에 화장품이 수용되며 전체적으로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원통형의 중심 축선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길이 방향의 일 단부에 화장품을 유출하기 위한 개방부(12)가 형성되는 케이스(10) 및 이 케이스와 맞물려서 개방부를 폐쇄하는 덮개(20) 및 덮개에 설치되어 케이스(10) 내의 공기를 배출하도록 작동하는 공기 배출 기구(30)로 구성되어 있다.
이하의 설명 및 본 명세서 전체에서 '길이 방향'은 화장품 용기에서 케이스(10)가 길게 연장되는 방향을 의미하며, '위쪽' 또는 '상방'은 덮개 측의 방향을 의미하고, '아래쪽' 또는 '하방'은 덮개의 반대 방향을 의미하고, '직경 방향', '원주 방향' 및 '축선'은 케이스(10) 및 덮개(20)의 원통 형상을 기준으로 하는 것으로 사용한다.
케이스(10)는 원통형의 케이스 본체(11)와 케이스 본체(11)로부터 상향 돌출되고 케이스 본체(11)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개방부(12)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개방부(12)의 외측 둘레에 숫나사(13)가 형성되어 있고, 그 내측은 화장품과 공기가 출입하는 통로(14)를 이루는 것이다.
덮개(20)는 크게 3개의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다.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덮개 본체(21), 덮개의 상단면을 형성하는 상부 부재(23) 및 덮개 본체(21)의 내측에 형성되어 공기 배출 기구(30)가 장착되며 공기의 유입 및 유출 통로를 형성하는 장착부(26)로 이루어져 있다.
덮개 본체(21)의 내측 표면 아래에는 케이스의 개방부의 숫나사(13)와 맞물려서 덮개(20)가 케이스(10)와 결합 및 분리될 수 있게 해주는 암나사(22)가 형성되어 있다.
상부 부재(23)는 덮개 본체(21)와 별개로 원판형으로 형성되어 접합되는 것으로서, 그 중심부에 공기 배출 기구(30)를 이루는 작동 부재(31)의 돌출 버튼(32)이 돌출되는 제2 통공(25)이 형성되어 있고, 제2 통공의 둘레에는 복수 개의 제1 통공(24)이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되어 있다. 제1 통공(24)은 그 형태와 상보하는 작동 부재(31)의 폐쇄 돌기(34)에 의해 개방 또는 폐쇄되는 것이다.
덮개의 장착부(26)는 덮개의 내측 하부에 덮개 본체(11)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대체로 축선에 대해 수직한 평면 상에 형성되어 있다.
장착부(26)의 내측에는 공기 배출 기구(30)의 격벽(35)과 함께 공기가 보존되는 내부 공간(36)을 형성하는 원통형의 격벽(27)이 형성되어 있고, 중심에는 내부 공간(36)으로부터 공기가 케이스(10) 내부로 유출되는 공기 유입 통로(29)가 형성되어 있다.
격벽(27)은 케이스의 개방부(12)와 동심으로 형성되어 그 외측 표면과 개방부(12) 사이에는 케이스(10) 내부로부터의 공기가 빠져나오거나 케이스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는 간극이 형성되어 있고, 또한, 장착부(26)에는 격벽의 둘레에 공기가 유동하게 해주는 복수 개의 공기 유동 통로(28)가 형성되어 있다.
공기 배출 기구(30)는 작동 부재(31), 코일 스프링(37) 및 통로 부재(38)로 이루어져 있다.
작동 부재는 원판형의 본체부(33)의 중심에서 상향 돌출되는 형태로 돌출 버튼(32)이 형성되어 있고, 돌출 버튼의 둘레에는 역시 돌출되는 형태의 복수의 폐쇄 돌기(34)가 형성되어 있다.
작동 부재(31)에서 돌출 버튼(32)의 아래쪽으로는 원통형의 격벽(35)이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는데, 이 격벽(35)은 그 외측면이 덮개의 격벽(27)의 내측면과 맞닿는 직경으로 형성되어 있고 내측에 덮개의 장착부(26)와 함께 공기가 보존되는 내부 공간(36)을 형성하고 있다.
작동 부재(31)의 격벽(35)과 덮개의 격벽(27)은 작동 부재(31)의 상하 운동 시에 서로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여, 작동 부재(31)의 하향 이동시에 내부 공간(36)의 공기가 덮개(20)의 공기 유입 통로(29)를 통하여 케이스(10) 내부로 이동하게 된다.
코일 스프링(37)은 내부 공간(36)에 배치되는데, 그 일단은 덮개의 장착부(26)에 지지되어 있고 타단은 작동 부재의 격벽(35) 하단에 지지되어 있어서, 작동 부재(31)가 하향 이동함에 따라 압축되어 작동 부재를 하향 이동하는 힘이 없으면 작동 부재(31)를 상향 이동시킨다.
통로 부재(38)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내부 공간(36)의 하부에 놓이고, 덮개의 공기 유입 통로(29)와 연통되는 통공(39)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각각의 구성 요소들이 결합되어 있는 상태 및 그 작동에 대해 단면도인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케이스의 개방부(12)에는 덮개(20)가 결합되어 케이스의 본체(11)가 밀폐된다.
덮개의 상단부를 이루는 상부 부재(23)에는 제1 및 제2 통공(24, 25)가 형성되어 있지만, 이들은 각각 공기 배출 기구의 작동 부재(31)의 돌출 버튼(32)과 폐쇄 돌기(34)에 의해 폐쇄되므로, 케이스(10)의 내부는 외부와 공기가 통하지 않고 내부의 화장품이 유출되지 않는다.
덮개(20)를 돌려 케이스(10)와의 결합 상태를 해제하면, 케이스로부터 덮개(20) 및 공기 배출 기구(30)가 분리되고, 케이스의 개방부(12)를 통하여 화장품을 유출시켜 이용한다. 케이스(10)로부터 화장품을 유출시켜 이용하고 나면, 내부에는 빈 공간이 더 형성되고 외부 공기가 유입된 상태로 되고, 다시 덮개(20)를 케이스(10)에 결합하여 케이스(10)가 다시 밀폐 상태로 된다.
이 상태에서 공기 배출 기구(30)는 작동 부재(31)가 상측에서 덮개(20)의 상부 부재(23)와 맞닿아 있고, 아래쪽에서는 작동 부재의 격벽(35)이 덮개의 격벽(27)과 맞닿아 있는 상태에 있으며, 그 내측의 코일 스프링(37)이 작동 부재(31)를 상방으로 압박하여 폐쇄 상태가 유지되어 있다.
돌출 버튼(32)은 코일 스프링(37)이 작동 부재(31)를 위쪽으로 미는 힘에 의해 덮개(20)의 상단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고, 이 상태에서 유입된 공기를 유출시키기 위해 사용자가 돌출 버튼(32)을 누른다.
돌출 버튼(32)을 누르면 작동 부재(31)는 코일 스프링(37)을 압축하면서 하향 이동하며, 이 때, 작동 부재(31)의 격벽(35)이 덮개의 격벽(27)과 맞물린 상태로 하향 이동하므로, 격벽 사이의 내부 공간의 용적이 감소하고, 그 감소된 용적에 상응하는 공기가 통로 부재(38)의 통공(39)과 덮개의 장착부(26)의 공기 유입 통로(29)를 통하여 케이스 본체(10) 내부로 유입된다. 이러한 공기의 유입 경로를 도 3에서 화살표 'A'로 도시하였다.
케이스 본체(11) 내부에는 과량의 공기가 수용되는 상태로 되므로, 케이스 본체(11) 내부로부터 공기가 빠져나가는데, 개방부(12)와 덮개의 격벽(27) 사이는 밀착되지 않고 간극이 존재하는 상태로 되어서, 이 간극을 통하여 공기가 케이스 본체(11)로부터 빠져나가고, 덮개 장착부(26)의 공기 유동 통로(28) 및 덮개 상부 부재의 제1 통공(24)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이러한 공기의 유입 경로를 도 3에서 화살표 'B'로 도시하였다.
이 때, 작동 부재(31)가 하향 이동하여 있어서 작동 부재의 폐쇄 돌기(34)가 상부 부재(23)로부터 하향 이격되어 있으므로, 덮개 상부 부재의 제1 통공(24)은 개방 상태에 있다.
사용자가 돌출 버튼(32)을 누르는 힘이 제거되면, 압축되어 있던 코일 스프링(37)의 가압력에 의해 작동 부재(31)가 상향 이동하여 덮개의 제1 통공(24) 및 제2 통공(25)은 폐쇄된 상태로 되고, 결국 케이스(10)는 폐쇄 상태로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화장품 용기에서는 덮개를 열어 화장품을 인출하여 사용한 후에 다시 덮개를 덮고 돌출 버튼을 누르는 동작에 의해 케이스 내부에 유입된 공기가 배출되므로, 외부 공기의 유입에 의한 용기 내부의 화장품의 산화 및 변질 가능성이 감소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며, 이는 본 발명의 하나의 구현예에 불과하고, 본 발명은 이러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한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과 변형 및 구성 요소의 부가가 가능하다.
10: 케이스 20: 덮개
30: 공기 배출 기구

Claims (6)

  1. 내부에 화장품을 수용하고 사용자가 내부로부터 화장품을 인출시켜 사용하도록 구성되는 화장품 용기로서,
    내부에 화장품이 수용되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길이 방향의 일 단부에 화장품을 유출하기 위한 개방부(12)가 형성되는 케이스(10);
    케이스와 맞물려서 개방부를 폐쇄하는 덮개(20); 및
    덮개에서 설치되어 케이스(10) 내의 공기를 배출하도록 작동하는 공기 배출 기구(30);
    를 포함하고,
    공기 배출 기구(30)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하향 이동 가능한 작동 부재(31) 및 작동 부재의 하향 이동에 의해 압축되어 작동 부재를 상향 가압하는 코일 스프링(37)을 포함하고,
    덮개(20)에는 공기 배출 기구(30)의 작동에 의해 공기가 배출되는 제1 통공(24)이 형성되고,
    작동 부재(31)에는 덮개(20)의 상부로 돌출하여 화장품 용기의 사용자가 누르는 동작에 의해 작동 부재를 하향 이동시키는 돌출 버튼(32), 및 작동 부재의 상향 이동시에 덮개의 제1 통공을 폐쇄하는 폐쇄 돌기(34)가 형성되고,
    작동 부재(31)와 덮개(20)에는 각각 서로 밀착되어 내부 공간(36)을 형성하는 원통형의 격벽(35, 27)이 작동 부재의 작동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마련되고, 작동 부재의 돌출 버튼(32)을 누르는 동작에 의해 작동 부재(31)가 하향 이동하여 상기 내부 공간(36)에 잔류하는 공기가 케이스(10) 내부로 이동하고, 케이스 내부의 공기는 제1 통공(24)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것인 화장품 용기.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코일 스프링(37)은 일단이 덮개(20)에 지지되고 타단이 작동 부재(31)에 지지되는 것인 화장품 용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덮개의 격벽(27)은 케이스의 개방부(12)와 동심으로 형성되고, 덮개의 격벽(27)과 케이스의 개방부(12) 사이에는 케이스(10) 내부의 공기가 유출되거나 케이스(10) 내부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는 간극이 형성되는 것인 화장품 용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덮개(20)의 상단면에는 작동 부재의 돌출 버튼(32)이 덮개의 외부로 돌출되는 제2 통공(25)이 마련되고, 제1 통공(24)은 제2 통공(25)의 둘레에 복수 개가 마련되며, 작동 부재의 폐쇄 돌기(34)는 제1 통공(24)의 형상에 상보하는 형상으로 돌출 버튼(32)의 둘레에 형성되는 것인 화장품 용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케이스의 개방부(12)는 케이스의 본체(11)로부터 돌출되고 케이스의 본체(11)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는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외측 표면 둘레에 숫나사(13)가 형성되며, 덮개(20)의 내측 표면에는 개방부의 숫나사와 맞물리는 암나사(22)가 형성되는 것인 화장품 용기.
KR1020170013240A 2017-01-30 2017-01-30 산화 방지 기능을 갖춘 화장품 용기 KR1018933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3240A KR101893396B1 (ko) 2017-01-30 2017-01-30 산화 방지 기능을 갖춘 화장품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3240A KR101893396B1 (ko) 2017-01-30 2017-01-30 산화 방지 기능을 갖춘 화장품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8948A KR20180088948A (ko) 2018-08-08
KR101893396B1 true KR101893396B1 (ko) 2018-10-04

Family

ID=632301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3240A KR101893396B1 (ko) 2017-01-30 2017-01-30 산화 방지 기능을 갖춘 화장품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339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20210309A1 (de) * 2020-08-13 2022-02-17 Mahle International Gmbh Abdichtungsanordnung eines Duftstoffbehälters und Duftstoffbehälter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8109Y1 (ko) 2005-04-07 2005-06-29 강성일 고점도 내용물의 정량 토출 화장품용기 구조
KR200394931Y1 (ko) 2005-06-09 2005-09-07 김승택 감압펌프 기능을 가진 병뚜껑
KR100998348B1 (ko) 2008-06-16 2010-12-03 윤석관 액체 저장용기의 펌핑장치
KR101200186B1 (ko) 2010-09-28 2012-11-13 최희진 내용물이 정량 토출되는 노즐헤드 하강형 진공밀폐 펌프디스펜서 용기
KR101403741B1 (ko) 2012-12-14 2014-06-03 오세웅 화장품 용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4388B1 (ko) 2012-06-13 2012-08-16 김기덕 공기유입 차단 기능을 갖는 액상용기
KR101646884B1 (ko) 2015-11-27 2016-08-08 강성일 공기차단이 가능한 내용물 배출 펌프 용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8109Y1 (ko) 2005-04-07 2005-06-29 강성일 고점도 내용물의 정량 토출 화장품용기 구조
KR200394931Y1 (ko) 2005-06-09 2005-09-07 김승택 감압펌프 기능을 가진 병뚜껑
KR100998348B1 (ko) 2008-06-16 2010-12-03 윤석관 액체 저장용기의 펌핑장치
KR101200186B1 (ko) 2010-09-28 2012-11-13 최희진 내용물이 정량 토출되는 노즐헤드 하강형 진공밀폐 펌프디스펜서 용기
KR101403741B1 (ko) 2012-12-14 2014-06-03 오세웅 화장품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8948A (ko) 2018-08-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8499B1 (ko) 탄성버튼을 이용한 압출식 화장품 용기
KR102652793B1 (ko) 펌프 어셈블리 및 내용물 배출 기능을 구비하는 용기
KR100898619B1 (ko) 유체 펌핑장치
KR940003834A (ko) 액체용기의 밀폐용 플러그
JP6903189B2 (ja) 異種内容物混合容器
JP6084504B2 (ja) 注出容器
KR200294064Y1 (ko) 혼합식 화장품 용기
JP6422287B2 (ja) 注出キャップ
KR101893396B1 (ko) 산화 방지 기능을 갖춘 화장품 용기
KR101816554B1 (ko) 이종 내용물 혼합용기
JP2013249084A (ja) 二重容器
KR200472346Y1 (ko) 화장품 용기의 토출장치
JP2019177939A (ja) ポンプ機構及び吐出器
KR101539742B1 (ko) 연장 가능한 안내부가 구비된 용기 마개
KR200485890Y1 (ko) 고무링이 삽입된 스크류 타입 에어리스 펌프 용기
KR20200045656A (ko) 내용물의 환원 상태 유지 기능을 갖춘 기능성 용기
CN212590859U (zh) 化妆品容器用排出泵的开闭喷嘴
CN110914171B (zh) 带有标准胶囊的容器封闭器
JP2018034805A (ja) エアゾール定量バルブ
KR101757393B1 (ko) 교체캡을 구비한 펌프용기
JP2016141418A (ja) 泡噴出容器
KR200241999Y1 (ko) 혼합식 화장품 용기
KR101596209B1 (ko) 수동식 드롭퍼
JP3209605U (ja) 逆流防止容器
KR101975504B1 (ko) 펌프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