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8619B1 - 유체 펌핑장치 - Google Patents

유체 펌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8619B1
KR100898619B1 KR1020070069154A KR20070069154A KR100898619B1 KR 100898619 B1 KR100898619 B1 KR 100898619B1 KR 1020070069154 A KR1020070069154 A KR 1020070069154A KR 20070069154 A KR20070069154 A KR 20070069154A KR 100898619 B1 KR100898619 B1 KR 1008986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wall
check valve
cap
variable chamber
mount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91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92814A (ko
Inventor
정만택
임효빈
Original Assignee
정만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만택 filed Critical 정만택
Priority to PCT/KR2008/004066 priority Critical patent/WO2009008675A1/en
Publication of KR200800928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28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86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86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28Pumps having a pumping chamber with a deformable wa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1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ultiple outlet openings; with strainers in or outside the outlet ope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02Membranes or pistons acting on the contents inside the container, e.g. follower pistons
    • B05B11/028Pistons separating the content remaining in the container from the atmospheric air to compensate underpressure inside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42Components or details
    • B05B11/1066Pump inlet valves
    • B05B11/1067Pump inlet valves actuated by pressure
    • B05B11/1069Pump inlet valves actuated by pressure the valve being made of a resiliently deformable material or being urged in a closed position by a spring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05Details of containers
    • A45D2200/054Means for supplying liquid to the outlet of the container
    • A45D2200/056Reciprocating pumps, i.e. with variable volume chamber wherein pressure and vacuum are alternately gener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42Components or details
    • B05B11/1043Sealing or attachment arrangements between pump and container
    • B05B11/1046Sealing or attachment arrangements between pump and container the pump chamber being arranged substantially coaxially to the neck of the container
    • B05B11/1047Sealing or attachment arrangements between pump and container the pump chamber being arranged substantially coaxially to the neck of the container the pump being preassembled as an independent unit before being mounted on the container

Landscapes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장품, 세제, 샴푸, 린스, 의약품, 액상의 식품류 등을 펌핑하여 외부로 토출하는 유체 펌핑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유체 펌핑장치는, 내용물이 충전된 용기부에 소통가능하게 제공되는 캡; 상기 캡에 설치되고, 측면에 주름부를 가지며, 상기 캡과 인접하는 부분에 제1체크밸브가 일체로 형성된 가변챔버; 및 상기 가변챔버의 상단측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된 가압헤드;를 포함한다.
펌핑, 화장품, 용기, 캡, 가변챔버, 가압헤드

Description

유체 펌핑장치{FLUID PUMPING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유체 펌핑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도 1의 유체 펌핑장치가 작동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1의 화살표 A를 따라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유체 펌핑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유체 펌핑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유체 펌핑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유체 펌핑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유체 펌핑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유체 펌핑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유체 펌핑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9실시예에 따른 유체 펌핑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10실시예에 따른 유체 펌핑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11실시예에 따른 유체 펌핑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
10 : 가변챔버 20 : 가압헤드
30 : 캡 100 : 용기부
본 발명은 화장품, 세제, 샴푸, 린스, 의약품, 액상의 식품류 등을 펌핑하여 외부로 토출하는 유체 펌핑장치에 관한 것이다.
화장품, 세제, 샴푸, 린스, 액상의 의약품, 액상의 식품류 등과 같은 유체 상태의 내용물을 보관하는 용기는 그 상단에 내용물을 펌핑하여 외부로 토출시켜 주는 유체 펌핑장치가 구비된다.
한편, 종래의 유체 펌핑장치는 가압헤드, 챔버, 스프링, 체크밸브 등과 같은 다수의 구성부품들이 별도로 체결 또는 조립되는 복잡한 구조로 이루어짐에 따라 그 조립 공정이 매우 번거럽게 이루어져, 그 제조단가가 매우 높은 단점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의 유체 펌핑장치는 그 가압헤드의 토출구를 통해 외부의 공기가 유입됨으로써 내용물이 쉽게 오염될 수 있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펌핑구조를 매우 단순하고 컴팩하게 구성함으로써 그 조립 내지는 제조공정을 매우 단순화하여 제조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는 유체 펌핑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외부의 공기가 유입됨을 미연에 차단함으로써 내용물의 변질을 최소화할 수 있는 유체 펌핑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유체 펌핑장치는, 내용물이 충전된 용기부에 소통가능하게 제공되는 캡; 상기 캡에 설치되고, 측면에 주름부를 가지며, 상기 캡과 인접하는 부분에 제1체크밸브가 일체로 형성된 가변챔버; 및 상기 가변챔버의 상단측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된 가압헤드;를 포함한다.
상기 가변챔버는 상기 가압헤드에 결합되는 제1장착부 및 상기 캡에 결합되는 제2장착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장착부에 상기 제1체크밸브가 일체로 구비된다.
상기 캡은 상기 가변챔버의 제2장착부에 결합되는 내부측벽, 상기 용기부에 결합되는 외부측벽, 상기 가압헤드가 안내되는 안내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내부측벽에는 용기부와 소통하는 소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소통공는 상기 제1체크밸브에 의해 개폐된다.
상기 내부측벽은 상기 캡의 중심부에 형성된 제1내부측벽 및 상기 제1내부측벽의 외측에 배치된 제2내부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내부측벽 중에서 어느 일측에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구멍 및 공기통로가 형성된다.
상기 제1체크밸브는 상기 제2장착부의 내경면에서 연장된 다수의 리브를 통해 상하 이동가능하게 연결된 밸브체를 포함한다.
상기 제1체크밸브는 상기 제2장착부의 내경면에 접힘가능하게 구비된 환형의 립을 포함한다.
상기 가압헤드는 상기 캡을 따라 안내되는 측벽, 내부에 소통로를 가진 소통 관, 및 상기 소통관의 소통로와 소통하는 토출구를 포함한다.
상기 가압헤드는 그 토출구에 인접하여 설치된 노즐체를 포함하고, 상기 노즐체는 다수의 노즐공을 가진다.
본 발명의 유체 펌핑장치는 외부 공기의 유입을 차단하는 제2체크밸브를 더 구비한다.
상기 제2체크밸브는 상기 가압헤드의 토출구 측에 구비된 접힘가능한 환형의 립을 포함한다.
상기 제2체크밸브는 상기 가변챔버의 제1장착부에 구비된 접힘가능한 환형의 립을 포함한다.
상기 제2체크밸브는 상기 가압헤드의 소통관의 소통로 측에 구비된 접힘가능한 환형의 립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 펌핑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유체 펌핑장치(50)는 유체 상태의 내용물이 충전된 용기부(100)에 설치된다.
그리고, 펌핑장치(50)는 용기부(100)에 결합된 캡(30), 이 캡(30)에 결합되어 그 내부 체적이 가변가능한 가변챔버(10), 및 이 가변챔버(10)에 결합된 가압헤 드(20)를 포함한다.
용기부(100)는 그 내부에 충전공간을 가진 원통형태로 이루어지고, 이러한 충전공간는 화장품, 세제, 샴푸, 린스, 의약품, 액상의 식품류 등과 같은 유체상태의 내용물이 충전되며, 이 충전공간에는 피스톤(150, 도 8, 도 9 및 도 13 참조) 또는 튜브(120, 도 10 내지 도 12 참조)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이 용기부(100)의 상단에는 펌핑장치(50)의 캡(30)이 일체형으로 구비되거나 분리가능하게 조립될 수 있다.
캡(30)은 용기부(100)의 상단에 일체형으로 성형될 수도 있고, 이와 달리 캡(30)의 나사부(30a) 및 용기부(100)의 나사부(100a), 밀봉부재(105) 등을 통해 분리가능하게 조립될 수도 있다. 특히, 이러한 용기부(100)와 캡(30)의 분리가능한 결합구조에 의해 용기부(100)내로 내용물의 재충전 또는 교체를 보다 용이하게 할 수도 있다.
캡(30)은 가변챔버(10)의 제2장착부(14)가 결합되는 내부측벽(31), 용기부(100)에 결합되는 외부측벽(33), 가압헤드(20)가 안내되는 안내측벽(32) 등을 가질 수 있다.
캡(30)의 안내측벽(32)은 가압헤드(20)의 측벽(21)이 안내되는 내경면(32a)을 가지고, 이 내경면(32a)의 상단 내벽에는 돌기(32b)가 돌출되며, 가압헤드(20)의 측벽(21) 하단에는 돌기(21a)가 돌출되며, 이 가압헤드(20)의 돌기(21a)와 안내측벽(32)의 돌기(32b)에 의해 가압헤드(20)는 캡(30)의 안내측벽(32)으로부터 이탈됨이 방지된다.
가변챔버(10)는 그 내부에 내용물이 일시 수용되는 수용공간(11)을 가지고, 그 측벽면에 주름부(12)를 가진 주름관 형태로 이루어지며, 이 주름부(12)에 의해 가변챔버(10)는 원위치로 탄성적으로 복귀할 수 있다.
가변챔버(10)는 가압헤드(20)의 소통관(22)에 끼움결합되는 제1장착부(13) 및 상기 캡(30)의 내부측벽(31)의 내경면(31a)에 끼움결합되는 제2장착부(14)를 구비하고, 상기 제2장착부(14)의 내경면에는 제1체크밸브(15)가 일체로 구비될 수 있으며, 제1체크밸브(15)는 용기부(100)로부터 가변챔버(10)의 수용공간(11) 내로 내용물이 공급됨을 허용하고, 가변챔버(10)에서 용기부(100)로 내용물이 역류됨을 방지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체크밸브(15)는 제2장착부(14)의 내경면에서 연장된 다수의 리브(15b)를 통해 상하 이동가능하게 연결된 밸브체(15a)를 포함하고, 이 밸브체(15a)의 하부에는 돌출부(15d)가 제2장착부(14)의 내경면에서 내경방향으로 돌출되고, 이 돌출부(15d)는 테이퍼진 단면을 가지며, 돌출부(15d)의 중심부에는 소통공(15c)이 형성된다. 용기부(100)의 충전공간과 가변챔버(10)의 수용공간 사이의 압력차이 및 밸브체(15a)의 자중 등에 의해 밸브체(15a)가 돌출부(15d)에 이격 및 접촉되어 소통공(15c)이 개폐되고, 이에 의해 용기부(100)로부터 가변챔버(10)의 수용공간(11) 내로 내용물이 흐를 수 있고, 가변챔버(10)에서 용기부(100)로 내용물이 역류됨을 방지할 수 있다.
가압헤드(20)는 캡(30)의 안내측벽(32)을 따라 안내되는 측벽(21), 내용물이 소통하는 소통관(22), 소통관(22)과 소통되는 토출구(23)를 가진다.
측벽(21)은 캡(30)의 안내측벽(32)을 따라 상하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가압헤드(20)의 측벽(21)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하단에 돌기(21a)가 돌출되고, 이 돌기(21a)는 안내측벽(32)의 돌기(32b)에 걸림으로써 가압헤드(20)는 안내측벽(32)으로부터 이탈이 방지된다.
소통관(22)은 그 내부에 내용물이 소통하는 소통로(22a)가 형성된다. 소통관(22)의 일단에는 상술한 가변챔버(10)의 제1장착부(13)가 끼움결합되고, 이에 의해 가변챔버(10)의 수용공간(11)과 가압헤드(20)의 소통로(22a)는 상호 소통된다.
그리고, 소통로(22a)의 타측단부에는 토출구(23)가 소통하고, 이 토출구(23)에는 제2체크밸브(25)가 구비될 수 있다. 제2체크밸브(25)는 내용물의 미토출작동시에 외부의 공기가 가압헤드(20)의 토출구(23) 내로 유입됨을 방지한다.
제2체크밸브(25)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출구(23)의 축선방향으로 설치되고, 제2체크밸브(25)는 그 선단에 상기 가압헤드(20)의 토출구(23)의 내경면에 접힘가능하게 밀착되는 환형의 립(25a)을 가지고, 그 외주면에는 상기 가압헤드(20)의 소통로(22)와 소통하는 하나 이상의 소통홈(25b)을 가진다. 그리고, 립(25a)은 그 자유단부에 얇은 두께를 가진다.
대안적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체(27)가 가압헤드(20)의 토출구(23)의 내경면에 나사결합 또는 끼움결합 등에 의해 결합되고, 이 결합체(27)의 내경면(27a)에 제2체크밸브(25)가 설치된다. 즉, 제2체크밸브(25)와 가압헤드(20)의 토출구(23) 사이에는 결합체(27)가 개재됨으로써 제2체크밸브(25)의 장착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펌핑장치(50)의 작동관계를 다음과 같이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1의 상태에서 가압헤드(20)를 사용자가 하부방향으로 누르면 가압헤드(20)의 측벽(21)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30)의 안내측벽(32)을 따라 하부방향으로 이동하고, 이에 따라 가변챔버(10)의 주름부(12)가 수축되어 가변챔버(10)의 수용공간(11)은 그 내부 체적이 압축된다.
이렇게 가변챔버(10)의 수용공간(11)이 압축됨에 따라 수용공간(11) 내의 내용물은 가압헤드(20)의 소통로(22a)를 통과한 후에 가압헤드(20)의 토출구(23)로 토출된다.
특히, 토출구(23)에 제2체크밸브(25)가 설치된 경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용물이 제2체크밸브(25)의 립(25a)를 가압하고, 이에 의해 립(25a)는 토출구(23)의 내경면에서 내경방향으로 오무려져 토출구(23)의 일부가 개방됨으로써 내용물은 립(25a)과 토출구(23) 사이의 개방된 틈새를 통해 토출된다.
그런 다음 가압헤드(20)의 누름 상태를 해제하면, 가변챔버(10)는 그 주름부(12)의 탄성력에 의해 원형태로 복원되고, 이에 의해 가압헤드(20) 및 가변챔버(10)는 도 1과 같은 상태로 복귀한다.
이때, 가변챔버(10)는 그 수용공간(11) 내에 내용물이 비어 있는 상태이므로 용기부(100)의 충전공간 보다 낮은 압력이 되고, 이에 의해 제1체크밸브(15)의 밸브체(15a)는 용기부(100)에 충전된 내용물의 압력에 의해 상부방향으로 이동하여 밸브체(15a)는 통공(15c)을 개방하며, 이 개방된 통공(15c)을 통해 내용물이 가변 챔버(10)의 수용공간(11) 내에 수용된다. 그리고, 이 수용공간(11)에 내용물이 완전히 채워지면 가변챔버(10)의 수용공간(11)과 용기부(100)의 충전공간이 압력이 동일해지므로 밸브체(15a)는 그 자중에 의해 통공(15c)을 폐쇄한다.
대안적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변챔버(10)의 제2장착부(14)는 캡(30)의 내부측벽(31)의 외경면(31b)에 결합되고, 제1체크밸브(15)의 밸브체(15a)는 그 하단면이 테이퍼지며, 내부측벽(31)의 내경면(31a)은 그 상단에 테이퍼부(31f)를 가지며, 이 테이퍼부(31f)에 밸브체(15a)의 테이퍼진 단부가 이격 및 접촉함으로서 내부측벽(31)의 소통공(31g)을 개폐한다.
대안적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체크밸브(15)는 밸브체(15a)가 막형태의 리브(15b)에 의해 가변챔버(10)측에 연결되고, 이 리브(15b)는 하나 이상의 통공(15e)을 가지며, 밸브체(15a)가 내부측벽(31)의 내경면(31a) 사이의 소통공(31f)을 개방하면 용기부(100)의 내용물은 통공(15e)을 통과하여 가변챔버(10)의 수용공간(11)으로 흐른다.
대안적으로, 제1체크밸브(15)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장착부(14)의 내경면에 접힘가능하게 형성된 환형의 립(15f)을 포함하고, 상기 립(15f)의 자유단부(15g)는 캡(30)의 지지체(36) 외벽면에 접힘가능하게 밀착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30)은 그 중심부에는 내부측벽(31)이 형성되고, 이 내부측벽(31)에는 수평면(35)이 연장되며, 이 수평면(35)의 중심부에는 지지체(36)가 돌출된다. 그리고, 가변챔버(10)의 제2장착부(14)는 내부측벽(31) 및 수평면(35)에 결합되고, 환형의 립(15f)은 제2장착부(14)의 내경면에 박육부(15h) 에 의해 접힘가능하게 형성된다. 립(15f)은 그 자유단부(15g)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며, 이 립(15f)의 하부 즉, 수평면(35)에는 내용물이 소통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소통공(35a)이 형성된다. 이에 의해 립(15f)의 자유단부(15g)는 용기부(100)와 가변챔버(10) 사이의 압력차이에 의해 지지체(36)의 외주면에 밀착 내지 벌어짐으로써, 용기부(100)로부터 가변챔버(10)의 수용공간(11) 내로 내용물의 흐름을 허용하고, 가변챔버(10)에서 용기부(100)로 내용물이 역류됨을 방지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제1체크밸브(16)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변챔버(10)의 내경방향으로 형성된 환형의 립(16a)을 포함하고, 이 립(16a)은 박육부(16b)에 의해 접힘가능하다. 캡(30)은 그 내부측벽(31)의 중심부에 수평면(31c)이 형성되고, 이 수평면(31c)은 하나 이상의 소통공(31d)을 가진다. 이에 의해, 립(16a)은 용기부(100)와 가변챔버(10) 사이의 압력차이에 의해 접히거나 펼쳐져 소통공(31d)을 개폐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유체 펌핑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제6실시예는 가변챔버(10)에 제1 및 제2 체크밸브(16, 29)가 일체로 형성되고, 가압헤드(20)의 소통관(22)에 보조소통관(24)이 끼움결합되며, 보조소통관(24)의 내부에는 소통로(24a)가 형성되며, 이 소통로(24a)는 소통관(22)의 소통로(22a)와 소통하고, 보조소통관(24)의 하부 외주면에는 소통로(24a)와 소통하는 하나 이상의 통공(24b)을 가진다.
가변챔버(10)의 제1장착부(13)는 보조소통관(24)의 하단부에 결합되고, 가변챔버(10)의 제2장착부(14)는 캡(30)에 결합되며, 제1체크밸브(16)는 제2장착부(14) 측에 일체로 형성되고, 제2체크밸브(29)는 제1장착부(13)측에 일체로 형성된다.
제1체크밸브(16)는 제2장착부(14)의 하단에 박육부(16b, thin section)에 의해 접힘가능하게 형성된 환형의 립(16a)을 포함하고, 상기 립(16a)은 캡(30)의 내부측벽(31)에 접힘가능하게 밀착되며, 내부측벽(31)은 용기부(100)의 내용물이 소통하는 하나 이상의 소통공(31d)을 가지고, 내부측벽(31)의 중심에는 수평면(31c)이 형성되며, 립(16a)은 용기부(100)와 가변챔버(10) 사이의 압력차이에 의해 소통공(31d)을 개폐함으로써, 용기부(100)로부터 가변챔버(10)의 수용공간(11) 내로 내용물의 흐름을 허용하고, 가변챔버(10)에서 용기부(100)로 내용물이 역류됨을 방지할 수 있다.
제2체크밸브(29)는 가변챔버(10)의 제1장착부(13) 내측에 일체로 형성되고(formed in one body), 박육부(29b)에 의해 접힘가능한 립(29a)을 포함하고, 립(29a)은 보조소통관(24)의 하부 외주면에 접힘가능하게 밀착된다. 이 제2체크밸브(29)는 내용물의 미토출작동시에 외부의 공기가 가변챔버(10)의 수용공간 내로 유입됨을 방지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펌핑장치를 도시한 것으로, 본 제7실시예의 제2체크밸브(28)는 토출구(23)의 축선방향으로 설치된 지지체(28a) 및 지지체(28a)의 선단에 접힘가능하게 밀착된 립(28b)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체(28a)는 그 외주면에 내용물이 소통하는 소통틈새(28c)를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제1 내지 제7실시예에 따른 펌핑장치가 장착되는 용기부(100)는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내부에 피스톤(150)을 가지고, 이 피스 톤(150)은 용기부(100)의 하단부에 형성된 공기통로(107)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의 압력에 의해 이동하면서 용기부(100) 내에 충전된 내용물을 가변챔버(10)측으로 밀어낸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펌핑장치를 도시한 도면으로, 본 제8실시예의 펌핑장치는 캡(30)측에 튜브(120)가 결합되고, 캡(30)은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통로(38)를 가진다.
캡(30)은 그 중심부에 제1내부측벽(31) 및 제2내부측벽(34)을 가지고, 이 제2내부측벽(34)의 하단에는 수평면(31c)이 연장되며, 이 수평면(31c)은 내용물이 소통하는 하나 이상의 소통공(31d)을 가지고, 제2내부측벽(34)은 하나 이상의 공기구멍(37)을 가지며, 이 공기구멍(37)은 가변챔버(10)의 압축 및 복원에 의해 개폐된다. 그리고, 캡(30)의 제2내부측벽(34)에는 용기부(100)의 내부공간과 소통하는 하나 이상의 공기통로(38)가 형성된다. 이에 의해, 가변챔버(10)가 압축될 경우 가변챔버(10)의 상단(도 10의 제1장착부(13)에 해당하는 부분)이 이동하여 공기구멍(37)이 개방되고, 이 공기구멍(37)을 통해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며, 이렇게 유입된 공기는 공기통로(38)를 통과하여 용기부(100) 내의 내용물을 튜브(120)측으로 밀어낸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9실시예로서 상술한 제8실시예에 대한 변형실시예이다. 본 제9실시예의 캡(30)은 제1 및 제2 내부측벽(31, 34)이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조이고, 제1내부측벽(31)의 일측에 공기구멍(37)이 형성되고, 이 공기구멍(37)과 소통하는 공기통로(38)가 제1 및 제2 내부측벽(31, 34) 사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 로 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10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제10실시예는 가변챔버(10)의 제1장착부(13)가 가압헤드(20)의 측벽(21)측에 결합되고, 가압헤드(20)의 소통관(22)은 캡(30)의 중심부에서 상향으로 돌출된 가이드돌기(39)를 따라 안내되며, 캡(30)의 하부 중심부에는 튜브(120)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가압헤드(20)의 측벽(21)은 그 하단측에 돌기(21a)를 가지고, 측벽(21)의 하단은 가변챔버(10)의 제1장착부(13)측에 결합된다. 가변챔버(10)의 제1장착부(13)는 측벽(21)의 하단이 삽입되는 삽입홈(13a)을 가지고, 이 끼움홈(13a)과 측벽(21)의 하단이 상호 접촉되는 부분에는 환형의 결합돌기(13b) 및 환형의 결합홈(21b)이 상호 대응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측벽(21)의 하단은 제1장착부(13)의 삽입홈(13a)에 미세한 틈새를 가지도록 삽입됨으로써 가압헤드(20)의 측벽(21)은 환형의 결합돌기(13b) 및 환형의 결합홈(21b)에 의해 그 원주방향으로 회전이 자유롭다. 또한, 제1장착부(13)의 삽입홈(13a)은 그 일측벽면에 밀봉돌기(13c)를 가지고, 이 밀봉돌기(13c)는 측벽(21)에 탄력적으로 밀착됨으로써 가변챔버(10)의 수용공간(11)과 측벽(21)의 내부공간은 외부에 대해 밀봉된다.
캡(30)의 안내측벽(32)은 그 상단에 돌기(32b)를 가지고, 이에 의해 선행하는 실시예와 동일하게 안내측벽(32)의 돌기(32b)와 측벽(21)의 돌기(21a)가 상호 접촉됨으로써 가압헤드(20)의 이탈이 방지된다.
캡(30)의 안내측벽(32)은 그 하단에 제2내부측벽(34)가 연장되고, 이 제2내 부측벽(34)의 중심에는 제1내부측벽(31)이 형성되며, 이 제1내부측벽(31)의 중심에는 가이드돌기(39)가 상향으로 돌출된다. 캡(30)의 수직부(4)의 내경면과 가변챔버(10)의 외경면 사이에는 공기가 유동하는 공기통로(38)가 배치되고, 캡(30)의 수직부(34)와 내부측벽(31) 사이에는 공기구멍(37)이 형성되며, 이에 의해 공기통로(38) 및 공기구멍(37)은 상호 소통된다.
가이드돌기(39)의 상부에는 환형의 돌출부(39a)가 형성되며, 이 돌출부(39a)에는 가압헤드(20)의 소통관(22)이 안내되고, 소통관(22)의 하단 내경면에는 환형의 돌출부(22b)가 형성되며, 이 소통관(22)의 돌출부(22b)와 가이드돌기(39)의 돌출부(39a)가 상호 접촉됨으로써 가압헤드(20)의 이탈이 방지된다. 그리고, 소통관(22)의 돌출부(22b)와 가이드돌기(39)의 돌출부(39a) 사이에는 내용물이 소통할 수 있는 틈새(39b)가 형성된다.
제1체크밸브(16)는 가변챔버(10)의 제2장착부(14)에 구비되고, 이 제1체크밸브(16)는 박육부(16b)에 의해 접힘가능한 립(16a)을 포함하며, 이 립(16a)에 의해 캡(30)의 소통공(31d)이 개폐된다.
제2체크밸브(25)는 소통관(22)의 소통유로(22a)에 축선방향으로 설치되고, 제2체크밸브(25)는 그 선단에 상기 소통관(22)의 내경면에 접힘가능하게 밀착되는 환형의 립(25a)을 가지고, 그 외주면에는 상기 가압헤드(20)의 소통로(22)와 소통하는 하나 이상의 소통홈(25b)을 가진다. 그리고, 립(25a)은 그 자유단부에 얇은 두께를 가진다.
그외 나머지 구성 및 작동관계는 선행하는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 명은 생략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11실시예에 따른 펌핑장치를 도시한다.
본 제11실시예의 펌핑장치는 가압헤드(20)의 상단에 노즐체(45)를 가지고, 이 노즐체(45)는 다수의 노즐공(45a)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노즐체(45)는 유연한 합성수지, 고무 등과 같이 탄력성이 있는 재질로 이루어지고, 각 노즐공(45a)의 외측단부는 내용물의 토출압력에 의해 개방되고, 내용물의 토출작동이 정지되는 경우 그 탄성력에 의해 폐쇄된다. 즉, 각 노즐공(45a)은 내용물의 토출 여부에 따라 탄력적으로 개폐될 수 있다.
그외 나머지 구성 및 작동관계는 선행하는 실시예들과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2체크밸브(70)에 대한 또 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의 제2체크밸브(70)는 내용물의 토출시에는 가압헤드(20)의 토출구(23)로부터 외부로 돌출될 수 있고, 내용물의 미토출시에는 토출구(23) 내로 인입되는 구조이다.
이러한 제2체크밸브(70)는 가압헤드(20)의 토출구(23) 내경면에 축선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지지체(71), 상기 지지체(71)의 선단(71a)에 접힘가능하게 밀착되는 립(72a)을 가진 립체(72), 토출구(23)의 내경에 결합되는 고정부(73), 상기 립체(72)와 고정부(73) 사이를 탄성적으로 연결하는 주름관(74)을 구비한다.
지지체(71)의 후방단에는 가이드돌기(71b)가 돌출되고, 이 가이드돌기(71b)는 고정부(73)의 내경면에 형성된 가이드홈(73a)을 따라 안내되며, 가이드홈(73a) 의 양 단부에는 스토퍼(73b)가 각각 구비된다.
그리고, 고정부(73) 및 립체(72)는 지지체(71)와 반경방향으로 소정의 틈새(75)를 가지고, 이 틈새(75)를 통해 내용물이 소통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가압헤드(20)를 눌러 내용물을 토출시킬 경우, 지지체(71)는 내용물의 압력에 의해 외측으로 이동하여 돌출되고, 립체(72)는 지지체(71)와 함께 이동하며, 이 때 립(72a)은 지지체(71)의 선단(71a)으로부터 벌어져 내용물이 토출된다. 이와 같이 립체(72)가 돌출된 후에 내용물을 토출함으로써 그 사용편의성이 증대된다.
그리고, 가압헤드(20)의 누름 상태를 해제하는 경우, 지지체(71) 및 립체(72)는 주름관(74)의 탄성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하여 지지체(71)의 선단 및 립체(72)의 립(72a)은 토출구(23) 내로 인입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펌핑구조를 매우 단순하고 컴팩하게 구성함으로써 그 조립 내지는 제조공정을 매우 단순화하여 제조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외부의 공기가 유입됨을 미연에 차단함으로써 내용물의 변질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3)

  1. 내용물이 충전된 용기부에 소통가능하게 제공되는 캡 및 상기 캡에 설치되는 것으로 측면에 주름부를 가지며 상기 캡과 인접하는 부분에 제1체크밸브가 일체로 형성된 가변챔버 그리고 상기 가변챔버의 상단측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된 가압헤드를 포함하며,
    상기 가변챔버는 상기 가압헤드에 결합되는 제1장착부 및 상기 캡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제1체크밸브가 일체로 구비되는 제2장착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1체크밸브는 상기 제2장착부의 내경면에 접힘가능하게 구비된 환형의 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펌핑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은 상기 가변챔버의 제2장착부에 결합되는 내부측벽, 상기 용기부에 결합되는 외부측벽, 상기 가압헤드가 안내되는 안내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내부측벽에는 용기부와 소통하는 소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소통공는 상기 제1체크밸브에 의해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펌핑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측벽은 상기 캡의 중심부에 형성된 제1내부측벽 및 상기 제1내부측벽의 외측에 배치된 제2내부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내부측벽 중에서 어느 일측에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구멍 및 공기통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펌핑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체크밸브는 상기 제2장착부의 내경면에서 연장된 다수의 리브를 통해 상하 이동가능하게 연결된 밸브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펌핑장치.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헤드는 상기 캡을 따라 안내되는 측벽, 내부에 소통로를 가진 소통관, 및 상기 소통관의 소통로와 소통하는 토출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펌핑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헤드는 그 토출구에 인접하여 설치된 노즐체를 포함하고, 상기 노즐체는 다수의 노즐공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펌핑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외부 공기의 유입을 차단하는 제2체크밸브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펌핑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체크밸브는 상기 가압헤드의 토출구 측에 구비된 접힘가능한 환형의 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펌핑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체크밸브의 립은 상기 가압헤드의 토출구에서 외측으로 돌출 및 인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펌핑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체크밸브는 상기 가변챔버의 제1장착부에 구비된 접힘가능한 환형의 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펌핑장치.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체크밸브는 상기 가압헤드의 소통관의 소통로 측에 구비된 접힘가능한 환형의 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펌핑장치.
KR1020070069154A 2007-04-13 2007-07-10 유체 펌핑장치 KR1008986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08/004066 WO2009008675A1 (en) 2007-07-10 2008-07-10 Fluid pump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6521 2007-04-13
KR20070036521 2007-04-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2814A KR20080092814A (ko) 2008-10-16
KR100898619B1 true KR100898619B1 (ko) 2009-05-26

Family

ID=401537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9154A KR100898619B1 (ko) 2007-04-13 2007-07-10 유체 펌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8619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1151B1 (ko) * 2012-01-10 2013-06-10 정만택 노즐개폐형 화장품 용기
KR101309857B1 (ko) 2011-12-09 2013-09-16 정만택 출몰노즐형 화장품 용기
US10485321B2 (en) 2017-10-24 2019-11-26 Young-Kwang Byun Case for liquid state cosmetics
US10602828B2 (en) 2017-08-23 2020-03-31 Young-Kwang Byun Case for liquid state cosmetics
KR102129202B1 (ko) * 2019-04-16 2020-07-01 안시은 화장품 용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9624B1 (ko) * 2011-05-25 2013-04-29 (주)연우 회전식 펌핑용기
KR200467409Y1 (ko) * 2011-05-30 2013-06-12 (주)아모레퍼시픽 화장품 용기
KR101378369B1 (ko) * 2011-06-14 2014-03-27 (주)연우 펌핑식 화장품용기
KR101959131B1 (ko) * 2017-07-14 2019-03-15 양형택 펌프식 액체 밀폐용기
KR101987601B1 (ko) * 2018-11-13 2019-09-30 양형택 펌프식 액체 밀폐용기
CN110547583B (zh) * 2019-09-19 2023-10-31 中山市美捷时包装制品有限公司 一种香水泵
KR102089919B1 (ko) * 2020-01-16 2020-03-16 양형택 펌프식 액체 밀폐용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51201A (ja) 2002-07-24 2004-02-19 Katsutoshi Masuda 流体吐出ポンプ
KR20040053054A (ko) * 2004-05-31 2004-06-23 윤석관 화장품 용기의 펌핑장치
JP2005212801A (ja) 2004-01-27 2005-08-11 Shiseido Co Ltd 内容物放出用ポンプ機構
JP2007039133A (ja) * 2005-08-01 2007-02-15 Megaplast Gmbh & Co Kg 定量分配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51201A (ja) 2002-07-24 2004-02-19 Katsutoshi Masuda 流体吐出ポンプ
JP2005212801A (ja) 2004-01-27 2005-08-11 Shiseido Co Ltd 内容物放出用ポンプ機構
KR20040053054A (ko) * 2004-05-31 2004-06-23 윤석관 화장품 용기의 펌핑장치
JP2007039133A (ja) * 2005-08-01 2007-02-15 Megaplast Gmbh & Co Kg 定量分配器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9857B1 (ko) 2011-12-09 2013-09-16 정만택 출몰노즐형 화장품 용기
KR101271151B1 (ko) * 2012-01-10 2013-06-10 정만택 노즐개폐형 화장품 용기
US10602828B2 (en) 2017-08-23 2020-03-31 Young-Kwang Byun Case for liquid state cosmetics
US10485321B2 (en) 2017-10-24 2019-11-26 Young-Kwang Byun Case for liquid state cosmetics
KR102129202B1 (ko) * 2019-04-16 2020-07-01 안시은 화장품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2814A (ko) 2008-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8619B1 (ko) 유체 펌핑장치
CA2297308C (en) Dispensing pump, dispenser and dispenser unit-assembly
KR100603503B1 (ko) 유동체저장용기
KR101033754B1 (ko) 액체용기의 배출펌프
KR101487191B1 (ko) 크림타입 화장품 용기
JP7398608B2 (ja) バイアルとフィルタを備えた投与マウスピースとを有する、製品をパッケージ化および投与するためのデバイス
US4823990A (en) Dispensing device
KR102161238B1 (ko) 거품 분배기
US20190381528A1 (en) Pump type liquid airtight container
KR200453458Y1 (ko) 이중 펌프구조를 가진 디스펜서
KR101900419B1 (ko) 이중 용기
CA3001164C (en) Dispenser, in particular, for liquid to pasty substances
CN114206748A (zh) 用于封闭液体乃至糊状产品的容器的装置以及由这种装置封闭的再填充物
US20150260179A1 (en) Fluent Product Dispensing Package and Diaphragm Pump For Use Therein
KR20090003810U (ko) 액상화장품용기
KR101403741B1 (ko) 화장품 용기
KR200446883Y1 (ko) 수동식 이중 분사장치
KR20090003811U (ko) 액상화장품용기
KR101151002B1 (ko) 화장품 용기
KR20200001048A (ko) 펌프 용기
KR102188920B1 (ko) 이중 용기
WO2009008675A1 (en) Fluid pumping apparatus
KR20180093275A (ko) 샴푸용기용 펌프
KR200450863Y1 (ko) 이중 펌프구조를 가진 디스펜서
KR101757393B1 (ko) 교체캡을 구비한 펌프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