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5335B1 - 지게차용 벽돌 운반장치 - Google Patents

지게차용 벽돌 운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5335B1
KR102265335B1 KR1020200090049A KR20200090049A KR102265335B1 KR 102265335 B1 KR102265335 B1 KR 102265335B1 KR 1020200090049 A KR1020200090049 A KR 1020200090049A KR 20200090049 A KR20200090049 A KR 20200090049A KR 102265335 B1 KR102265335 B1 KR 1022653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k
coupled
guide rail
bricks
bri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00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승용
Original Assignee
김승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승용 filed Critical 김승용
Priority to KR10202000900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533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53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53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12Platforms; Forks; Other load supporting or gripping members
    • B66F9/18Load gripping or retaining means
    • B66F9/188Stacked-bricks lif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12Platforms; Forks; Other load supporting or gripping members
    • B66F9/122Platforms; Forks; Other load supporting or gripping members longitudinally mov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12Platforms; Forks; Other load supporting or gripping members
    • B66F9/18Load gripping or retaining means
    • B66F9/183Coplanar side cla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Stacking Of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게차용 벽돌 운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파레트에 적재되어 차량 등을 통해 공사현장으로 운반된 벽돌을 공사현장 내에서 건물의 내부 및 좁은공간으로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도록 소량으로 분할하여 적재하는 지게차용 벽돌 운반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지게차용 벽돌 운반장치{Brick transport device for forklift}
본 발명은 지게차용 벽돌 운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파레트에 적재되어 차량 등을 통해 공사현장으로 운반된 벽돌을 공사현장 내에서 건물의 내부 및 좁은공간으로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도록 소량으로 분할하여 적재하는 지게차용 벽돌 운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 상가 등의 건물의 시공시 외벽과 기둥은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시공하고, 내부 벽체는 벽돌, 블럭 등을 적재하여 시공하게 되며, 이때, 벽돌을 필요한 장소로 운반하기 위한 여러가지 수단이 제공되고 있다.
따라서 벽돌은 파레트에 다량의 벽돌을 적층된 상태에서 지게차 등을 통해 트럭 등에 적재한 후 공사현장으로 운반이 이루어진다.
이렇게 공사현장으로 이동한 벽돌은 지게차 등을 통해 지면으로 내려놓으나, 규격이 큰 파레트에 적층된 벽돌은 협소한 공간을 이동할 수 없어 별도의 리어카 등에 다시 적재하여 운반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기술로 "벽돌운반구"가 제시된 바 있다.
종래기술은 벽돌운반용 리프트장치는 수직가이드대를 따라 승강하는 승하강 프레임의 양측 단부분에 벽돌 집게용 프레임을 설치하고, 상기 집게용 프레임의 일면에 집게용 이동대를 설치하고, 상기 집게용 프레임과 집게용 이동대 사이에 유압실린더를 설치하여, 상기 유압실린더에 의하여 집게용 이동대를 이동시켜 벽돌을 양측에서 가압하여 파지하도록 하고 있다.
이를 통해 신축건물 공사현장에 사용되는 벽돌이나 블럭 등을 파렛트나 보조상자에 적재하지 않고, 바닥에 적재된 상태에서 필요한 장소로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은 차량 등을 통해 파레트에 적층되어 운반된 벽돌을 건물의 내부로 옮기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파레트에 적층된 벽돌을 벽돌운반구에 옮겨 담아 다시 적층해야 하는 번거로운 작업에 의해 시간 및 인력이 필요한 문제가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459309호(2014.11.03.)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파레트에 적층되어 옮겨진 벽돌을 신속하게 소형파레트에 분할하여 적층시켜 무게를 감소시키며, 협소한공간으로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는 지게차용 벽돌 운반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파레트에 적층된 벽돌의 상단에 소형 파레트를 배치한 후, 회전을 통해 벽돌을 신속하게 분할할 수 있는 지게차용 벽돌 운반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정회전 및 역회전을 통해 다수개의 파레트를 회전시켜 신속하게 작업을 진행할 수 있는 지게차용 벽돌 운반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회전 중 파레트에 적층된 벽돌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지게차용 벽돌 운반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벽돌들 내려 놓을 때 발생하는 충격을 완충하며, 파레트에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는 지게차용 벽돌 운반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지게차의 캐리지에 결합되어 파레트에 적층된 벽돌을 분할하는 지게차용 벽돌 운반장치에 있어서, 상기 캐리지에 결합되어 상하이동하며, 중앙에 삽입홈이 형성된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상기 삽입홈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삽입부가 후면에 형성되며, 전면 양측단에 각각 한쌍으로 이루어져, 상하방향으로 배치된 제1가이드레일 및 제2가이드레일이 형성된 회전부와, 상기 제1가이드레일에 상하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포크부와, 상기 제2가이드레일에 상하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포크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부와 상기 제1포크부에 양측 끝단이 결합되어 상기 제1포크부를 상하이동시키는 제1실린더부와, 상기 회전부와 상기 제2포크부에 양측 끝단이 결합되어 상기 제2포크부를 상하이동시키는 제2실린더부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부에는 외부면에 결합되며, 상기 삽입홈의 내부로 삽입된 제1기어에 회전력을 발생하는 스윙모터가 형성되며, 상기 삽입부에는 상기 삽입홈의 내부에 삽입되며, 내주면이 상기 제1기어와 맞물리는 제2기어가 형성되어 상기 회전부를 회전시키는 스윙링기어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부에는 상기 삽입홈의 중심에 제1관통홈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부에는 상기 삽입부의 중심에 제2관통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1관통홈과 상기 제2관통홈에 삽입되어 상기 회전부를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고정부에 고정하는 고정수단이 더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포크부는, 상기 제1가이드레일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 하도록 양측에 수직으로 각각 형성된 제1포크암과, 상기 제1포크암의 양측 끝단에 결합되어 지지하는 제1지지바와, 상기 제1지지바의 양측 끝단에서 전면을 향해 수평으로 돌출되어 상기 벽돌을 지지하는 제1포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포크부는, 상기 제2가이드레일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 하도록 양측에 수직으로 각각 형성된 제2포크암과, 상기 제2포크암의 양측 끝단에 결합되어 지지하는 제2지지바와, 상기 제2지지바의 양측 끝단에서 전면을 향해 수평으로 돌출되어 상기 벽돌을 지지하는 제2포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전부의 측면으로 돌출되어 적층된 상기 벽돌의 측면을 지지하는 측면지지부가 더 포함되되, 상기 측면지지부는, 상기 회전부에 수평으로 형성된 제3가이드레일에 결합되는 가이드부재가 측단에 형성되며, 상기 제3가이드레일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여 적층된 상기 벽돌의 측면에 밀착되는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과 상기 회전부에 양끝단이 결합되어 상기 지지판을 상기 제3가이드레일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는 제3실린더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지게차용 벽돌 운반장치에 따르면, 운송수단을 통해 공사현장 등으로 운반된 파레트에 적층되어 옮겨진 벽돌을 신속하게 소형파레트에 분할하여 적층시켜 소수개를 적층시켜 무게를 감소시키며, 협소한 공간으로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파레트에 적층된 벽돌의 상단에 벽돌의 분할면적에 맞는 소형 파레트를 배치하여 상단과 하단을 가압한 후, 회전을 통해 소형파레트에 적층되도록 신속하게 분할시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따르면, 회전부의 정회전 및 역회전을 통해 다수개의 파레트를 간편하게 회전하여 신속하게 작업을 진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적층된 벽돌의 측면을 지지하여, 파레트의 회전 중 적층된 벽돌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포크의 하강시 지면과 밀착될 때 발생하는 충격을 완충하며, 파레트에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파레트에 분할 적재된 벽돌을 별도의 수작업 없이 리어카 등의 운반수단에 직접 적재하여 편리하게 운반할 수 있어 작업시간 및 비용을 절약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게차에 결합된 지게차용 벽돌 운반장치를 도시한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지게차용 벽돌 운반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정면을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부를 도시한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측면지지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보조탄성부를 도시한 개념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작동상태를 도시한 작동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벽돌의 회전상태를 도시한 작동도 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지게차용 벽돌 운반장치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과 함께 더불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게차에 결합된 지게차용 벽돌 운반장치를 도시한 개념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지게차용 벽돌 운반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정면을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부를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측면지지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보조탄성부를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작동상태를 도시한 작동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벽돌의 회전상태를 도시한 작동도 이다.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지게차용 벽돌 운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파레트에 적재되어 차량 등을 통해 공사현장으로 운반된 벽돌을 공사현장 내에서 건물의 내부 및 좁은공간으로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도록 소량으로 분할하여 적재하는 지게차용 벽돌 운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에 앞서, 다량의 벽돌(210)은 가로, 세로의 길이가 1m 이상을 가지는 목재, 플라스틱 등의 파레트(20) 위에 교차되도록 5열, 6열 등으로 적재하여 약 960매, 1,440매 등이 적층되어 고중량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동일한 규격의 벽돌(210)이 교차되어 적층됨에 따라 중앙부분을 기준으로 4분할되며, 운반시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둘레를 밴딩한다.
즉, 상기 파레트(20)에 적층된 벽돌(210)은 측면의 중앙부분이 분할되어 총 4개의 적층구조가 하나의 파레트(20)에 배치된다.
이러한 벽돌(210)이 적층된 파레트(20)는 지게차(100)를 통해 차량과 지면을 이동한 후, 별도의 리어카, 소량의 파렛트 등에 옮겨 담아 원활한 중량 및 부피를 가진 상태에서 운반이 이루어진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지게차(100)의 캐리지(110)에 결합되어 파레트(20)에 적층된 다수개의 벽돌(210)을 분할하여, 좁은 파레트(20) 위에 적층시켜 협소한 공간 및 운반을 손쉽게 할 수 있도록 고정부(10), 회전부(20), 제1포크부(30) 및 제2포크부(40)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부(10)는 상기 캐리지(110)에 결합되어 상하이동하며, 중앙에 삽입홈(11)이 형성된다.
상기 회전부(20)는 상기 고정부(10)의 상기 삽입홈(11)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삽입부(21)가 후면에 형성되며, 전면 양측단에 각각 한쌍으로 이루어져, 상하방향으로 배치된 제1가이드레일(23) 및 제2가이드레일(24)이 형성된다.
상기 제1포크부(30)는 상기 제1가이드레일(23)에 상하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제2포크부(40)는 상기 제2가이드레일(24)에 상하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부(10)는 상기 회전부(20) 및 상기 제1포크부(30), 상기 제2포크부(40)를 회전시키며, 상기 제1포크부(30) 및 상기 제2포크부(40)는 상기 제1가이드레일(23) 및 제2가이드레일(24)을 따라 상하이동하여, 적층된 벽돌(210)의 하면과 상면을 가압하여 밀착된다.
이때, 적층된 다수개의 벽돌(210)은 하단에 파레트(20)가 구비되며, 상단에는 상기 벽돌(210)의 4분할된 크기에 맞춰 4개의 파레트(20)를 배치한다.
이를 통해 상기 제1포크부(30) 및 상기 제2포크부(40)를 상단과 하단에 위치한 파레트(20)를 가압하여 지지한 후 180°회전을 통해 4개의 상기 파레트(20) 위에 4분할된 다수개의 벽돌(210)이 각각 적층되어 부피 및 무게가 줄어든 소량의 벽돌(210)을 손쉽게 운반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공사현장으로 운반을 위해 약 1m 이상의 파레트(20)에 적층된 벽돌(210)을 차량으로 운반한 후, 아파트, 빌딩 등의 건축물 내부로 손쉽게 운반할 수 있도록 손쉽게 4분할하여 작업자가 손쉽게 운반 및 이동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각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고정부(10)는 상기 지게차(100)의 상기 캐리지(110)에 결합된다.
이러한 상기 고정부(10)의 상기 삽입홈(11)에 결합된 상기 회전부(20)를 회전시킨다.
아울러 상기 지게차(100)는 일반적으로 중장비로써, 포크가 연결되는 캐리지(110)에 포크와 동일한 방식으로 결합된다.
즉, 상기 고정부(10)의 상단과 하단은 상기 캐리지(110)에 형성된 포크레일에 체결하여 고정한다.
이를 통해 운전자는 상기 지게차(100)의 운전석에서 이전과 동일한 방식을 통해 조작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상기 회전부(20)는 상기 고정부(1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전면에 결합된 상기 제1포크부(30) 및 상기 제2포크부(40)를 회전시킨다.
이를 위해 상기 고정부(10)의 외부면에 결합되며, 상기 삽입홈(11)의 내부로 삽입된 제1기어(12a)에 회전력을 발생하는 스윙모터(12)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삽입부(21)에는 상기 삽입홈(11)의 내부에 삽입되며, 내주면이 상기 제1기어(12a)와 맞물리는 제2기어(22a)가 형성되어 상기 회전부(20)를 회전시키는 스윙링기어(22)가 결합된다.
이와 같이 상기 삽입부(21)는 상기 삽입홈(11)에 회전가능하게 삽입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스윙모터(12)의 회전력에 의해 상기 스윙링기어(22)가 회전하면서 상기 회전부(20)가 상기 고정부(10)의 상기 삽입부(21)에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10)에는 상기 삽입홈(11)의 중심에 제1관통홈(13)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부(20)에는 상기 삽입부(21)의 중심에 제2관통홈(26)이 형성되며, 상기 제1관통홈(13)과 상기 제2관통홈(26)에 삽입되어 상기 회전부(20)를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고정부(10)에 고정하는 고정수단(60)이 더 포함된다.
즉, 상기 고정수단(60)은 상기 고정부(10)와 상기 회전부(20)가 상호 회전가능하며,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한다.
따라서, 상기 고정부(10)는 상기 제1관통홈(13) 및 상기 제2관통홈(26)에 삽입되는 고정축(61)과, 상기 고정축(61)의 양측단에 결합되어 상기 삽입부(21)와 상기 회전부(20)에 밀착되는 고정부재(62)로 이루어진다.
이를 통해 상기 회전부(20)가 상기 고정부(1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상기 제1가이드레일(23)은 상기 회전부(20)의 양측단에서 상하방향을 향해 한쌍으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2가이드레일(24)은 상기 제1가이드레일(23)의 일측면 또는 타측면에 밀착되게 한쌍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1가이드레일(23)과 상기 제2가이드레일(24)은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되며, 상기 회전부(20)는 상기 제1가이드레일(23) 및 상기 제2가이드레일(24)을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면적으로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상기 제1포크부(30)는 상기 제1가이드레일(23)을 따라 상하이동하며, 상기 벽돌(210)이 적층된 파레트(20)에 밀착된다.
이를 위해 상기 제1포크부(30)는 상기 제1가이드레일(23)에 결합되어 상하이동하며, 벽돌(210)이 적층된 파레트(20)를 지지할 수 있도록 제1포크암(31), 제1지지바(32), 제1포크(33)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포크암(31)은 상기 제1가이드레일(23)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 하도록 양측에 수직으로 각각 형성된다.
상기 제1지지바(32)는 상기 제1포크암(31)의 양측 끝단에 결합되어 지지한다.
상기 제1포크(33)는 상기 제1지지바(32)의 양측 끝단에서 전면을 향해 수평으로 돌출되어 상기 벽돌(210)을 지지한다.
즉, 상기 제1지지바(32)를 양측단에서 상단으로 상기 제1포크암(31)이 돌출되어 상기 제1가이드부재(51a)에 상하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1지지바(32)의 양측단에서 전면을 향해 돌출되어 상기 파레트(20)의 하단을 지지할 수 있도록 돌출된 제1포크(33)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제2포크부(40)는 상기 제2가이드레일(24)을 따라 상하이동하며, 상기 벽돌(210)이 적층된 파레트(20)에 밀착된다.
이를 위해 상기 제2포크부(40)는 제2포크암(41), 제2지지바(42), 제2포크(43)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포크암(41)은 상기 제2가이드레일(24)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 하도록 양측에 수직으로 각각 형성된다.
상기 제2지지바(42)는 상기 제2포크암(41)의 양측 끝단에 결합되어 지지한다.
상기 제2포크(43)는 상기 제2지지바(42)의 양측 끝단에서 전면을 향해 수평으로 돌출되어 상기 벽돌(210)을 지지한다.
즉, 상기 제2포크부(40)는 상기 제1포크부(30)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며, 상기 제1포크부(30)의 상단에 위치하여 상기 제2가이드레일(24)을 따라 상하 이동가능하게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제2포크(43)는 상기 제1포크(33)의 상단의 동일선상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2지지바(42)에서 돌출된다.
이를 통해, 상기 제1포크(33)와 상기 제2포크(43)는 상기 파레트(20)가 적층된 벽돌(210)의 상단과 하단의 동일선상에서 가압하여 지지한다.
그리고 상기 회전부(20)와 상기 제1포크부(30)에 양측 끝단이 결합되어 상기 제1포크부(30)를 상하이동시키는 제1실린더부(34)와, 상기 회전부(20)와 상기 제2포크부(40)에 양측 끝단이 결합되어 상기 제2포크부(40)를 상하이동시키는 제2실린더부(44)가 포함된다.
즉, 상기 제1실린더부(34)는 일측이 상기 회전부(20)의 상단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제1포크부(30)의 상기 제1지지바(32)에 연결되어 유압 및 공압을 통해 상기 제1포크부(30)를 상기 제1가이드레일(23)을 따라 상하 이동한다.
또한, 상기 제2실린더부(44)는 일측이 상기 회전부(20)의 하단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제2포크부(40)의 상기 제2지지바(42)에 연결되어 유압 및 공압을 통해 상기 제2포크부(40)를 상기 제2가이드레일(24) 따라 상하 이동한다.
이를 통해 상기 제1포크부(30)는 적층된 벽돌(210)의 하단에 배치된 파레트(20)를 가압하고, 상기 제2포크부(40)는 적층된 벽돌(210)의 상단에 다수개 배치된 파레트(20)를 가압하여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포크(33) 및 상기 제2포크(43)의 외측면에 형성되어 지면에 밀착시 충격을 완화하며, 상기 파레트(20)의 하단에 용이하게 유입될 수 있도록 지지하는 보조탄성부(70)가 더 포함된다.
이러한 보조탄성부(70)는 상기 제1포크(33) 및 제2포크(43)에 각각 체결되는 체결부재(71)와, 상기 체결부재(71)에 형성되어 상기 제1포크(33) 및 제2포크(43)의 외측면에 배치된 탄성부재(72)와, 상기 탄성부재(72)의 끝단에 형성되어 상기 제1포크(33) 및 상기 제2포크(43)의 상/하 이동시 지면에 밀착되며, 전/후 이동시 회전하는 회전부재(73)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제1포크(33) 및 상기 제2포크(43)의 측면에 체결홈(74)이 형성되며, 상기 체결부재(71)는 상기 체결홈(74)에 삽입되며, 상기 제1포크(33) 및 상기 제2포크(43)의 외측면으로 상기 회전부재(73)가 위치하도록 "ㄷ" 단면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1포크(33) 및 상기 제2포크(43)의 외측면에 체결홈(74)이 형성되며, 상기 체결부재(71)는 일측이 상기 체결홈(74)에 삽입되고, 타측에 상기 탄성부재(72) 및 상기 회전부재(73)가 배치된다.
이와 같이 상기 체결부재(71)는 상기 회전부재(73)가 상기 제1 및 제2 포크의 외측면에 위치할 수 있도록 다양한 형상을 통해 체결된다.
그리고 상기 탄성부재(72)는 상기 체결부재(71)와 상기 탄성부재(72) 사이에 배치되어 탄성력에 의해 충격을 완화할 수 있는 코일스프링, 고무패드 등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회전부재(73)는 롤러 및 볼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바퀴(73b)부재와 상기 바퀴(73b)부재가 회전 가능하게 일측에 체결된 브라켓(73a)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브라켓(73a)의 타측에 상기 탄성부재(72)가 밀착되며, 상/하 이동시 충격을 완화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브라켓(73a)은 상기 체결부재(71)와 상/하 방향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중앙에 상기 탄성부재(72)가 형성되어 탄성력에 의해 충격을 완화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상기 보조탄성부(70)는 상기 제1포크(33) 및 상기 제2포크(43)에 각각 결합되며, 상기 제1포크(33) 및 상기 제2포크(43)가 지면에 밀착된 때 발생하는 충격을 상기 탄성부재(72)를 통해 완충하며, 상기 회전부재(73)를 통해 지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벽돌(210)이 적층된 상기 파레트(20)의 내부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회전부(20)의 측면으로 돌출되어 적층된 상기 벽돌(210)의 측면을 지지하는 측면지지부(50)가 더 포함된다.
이러한 상기 측면지지부(50)는 상기 제1 및 제2 포크부를 통해 지지된 다수개의 벽돌(210)을 회전시킬 때, 측면을 지지하여 적층된 벽돌(210)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지지판(51)과 제3실린더부(52)로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판(51)은 상기 회전부(20)에 수평으로 형성된 제3가이드레일(25)에 결합되는 가이드부재(51a)가 측단에 형성되며, 상기 제3가이드레일(25)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여 적층된 상기 벽돌(210)의 측면에 밀착된다.
상기 제3실린더부(52)는 상기 지지판(51)과 상기 회전부(20)에 양끝단이 결합되어 상기 지지판(51)을 상기 제3가이드레일(25)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시킨다.
즉, 상기 지지판(51)은 상기 회전부(20)의 측면에 수직으로 배치되어 상기 파레트(20)에 적층된 다수개의 상기 벽돌(210)의 측면을 지지할 수 있도록 위치한다.
그리고 상기 지지판(51)의 측단에 상기 가이드부재(51a)가 형성되어 상기 회전부(20)의 수평으로 형성된 상기 제3가이드레일(25)을 따라 상기 벽돌(210)의 측면에서 상기 제3가이드레일(25)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벽돌(210)의 측면에 밀착 또는 이격된다.
여기서 상기 제3실린더부(52)는 일측이 상기 회전부(20)의 측면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가이드부재(51a)에 연결되어 상기 지지판(51)을 상기 제3가이드레일(25)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시킨다.
이때, 상기 제3실린더부(52)의 일측은 상기 회전부(20)의 후면 또는 전면 중 어느 한면에 연결되되, 전면에 연결된 경우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레일에 간섭을 받지 않도록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상기 측면지지부(50)는 상기 제1포크부(30) 및 상기 제2포크부(40)에 의해 지지된 다수개의 벽돌(210)을 회전시 측면과 하부를 지지하여 벽돌(210)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아울러, 상기 회전부(20)는 상기 측면지지부(50)가 하단에 위치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는 본 발명에 따른 설치 및 작동상태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 지게차(100)의 상기 캐리지(110)에 상기 고정부(10)를 결합하여, 마스트, 리프트체인 및 리프트 실린더의 통상적인 구조를 통해 상하 이동가능하게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회전부(20)는 상기 제1포크부(30) 및 상기 제2포크부(40)가 이동 결합된 후, 상기 고정부(1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상기 회전부(20)의 측면에는 상기 측면지지부(50)가 이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아울러, 상기 보조탄성부(70)는 상기 제1포크부(30) 및 상기 제2포크부(40)에 선택적으로 결합된다.
이와 같이 결합된 상태에서 파레트(20)에 적층된 벽돌(210)을 회전시켜 4분할한다ㅣ.
이에 앞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상기 파레트(20)는 1100mm x 1100mm의 규격으로 다수개의 상기 벽돌(210)이 적층되어 운반한다.
이때, 상기 파레트(20)에 적층된 벽돌(210)의 측면은 중앙부분을 기점으로 4등분으로 분할되어 적층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파레트(20)에 적층된 벽돌(210)의 상단에 분할된 벽돌(210)에 맞춰 4개의 파레트(20)를 배치한 후, 상기 제1포크부(30)를 하단의 상기 파레트(20)의 내부에 삽입하고, 상기 제2포크부(40)는 상단에 위치한 상기 파레티의 상부에 위치시킨다.
그리고 상기 제2포크부(40)를 하강하여 상단의 상기 파레트(20)를 가압시킨다.
이를 통해 상기 제1포크부(30)는 하단의 상기 파레트(20)에 밀착되고, 상기 제2포크부(40)는 상단의 상기 파레트(20)에 밀착되어 적층된 벽돌(210)을 상/하단에서 지지한다.
이후, 상기 측면지지부(50)를 이동하여 상기 파레트(20)에 적층된 상기 벽돌(210)의 측면에 밀착시켜 지지한다.
이와 같이 상기 제1포크부(30)는 하단의 상기 파레트(20)를 상기 제2포크부(40)는 상단의 상기 파레트(20)를 가압하여 적층된 다수개의 벽돌(210) 지지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10) 및 상기 회전부(20)를 적층된 다수개의 상기 벽돌(210)을 180°회전시시킨다.
이때, 상기 회전부(20)는 회전시 상기 측면지지부(50)가 하부로 이동하는 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측면지지부(50)를 통해 상기 벽돌(210)을 지지하여 회전 중 상기 벽돌(210)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여기서 상기 제1포크부(30)는 하단에 위치하고, 상기 제2포크부(40)는 하단에 위치한다.
이에 따라 하단의 파레트(20)는 상단에 위치하고, 상단의 파레트(20)는 하단에 위치하며, 하단에는 4분할된 상기 벽돌(210)에 맞춰 4개의 상기 파레트(20)가 배치되고 상단에는 하나의 파레트(20)가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벽돌(210)에 밀착된 상기 측면지지부(50)를 이탈시킨 후, 상기 제2포크부(40)를 하강하여, 4개의 파레트(20)를 지면에 안착시킨다.
이후, 상기 제1포크부(30) 및 상기 제2포크부(40)를 상기 파레트(20)에서 이탈한 후 상단에 배치된 하나의 파렛트를 제거한다.
이를 통해 하나의 파레트(20)에 적층된 상기 벽돌(210)은 회전을 통해 4개의 파레트(20)에 4분할하여 안착된다.
이렇게 4개의 상기 파레트(20)에 각각 안착된 상기 벽돌(210)은 상기 파레트(20)를 개별적으로 운반하여 공사현장의 협소한 공간, 엘르베이터 등과 같은 위치를 간편하게 통과하여 운반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벽돌(210)의 무게가 감소하여 편리하게 운반이 가능하며,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다수개의 상기 벽돌(210)을 옮기지 않고 적층된 다수개의 상기 벽돌(210)을 회전시키는 간단한 방식을 통해 작업시간을 최소화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벽돌(210)을 회전시킨 후, 상기 제1포크부(30)는 상단에 위치하고, 상기 제2포크부(40)는 하단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와 같이 동일한 방법을 반복하여 다수개의 상기 파레트(20)를 손쉽게 회전시켜 상기 벽돌(210)을 4개의 파레트(20)에 4분할하여 손쉽게 작업이 가능하다.
이를 통해 상기 파레트(20)에 적층되어 운반된 상기 벽돌(210)은 공사현장에서 내에서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도록 회전동작을 통해 다수개의 상기 파레트(20)에 간편하게 분할하여 작업자가 손쉽게 운반할 수 있다.
또한, 운반된 벽돌(210)이 2분할, 6분할 될 경우, 분할된 상기 벽돌(210)의 면적에 맞는 상기 파레트(20)를 배치하여 손쉽게 상기 벽돌(210)을 분할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10: 고정부 11: 삽입홈 12: 스윙모터
12a: 제1기어 13: 제1관통홈
20: 회전부 21: 삽입부 22: 스윙링기어
22a 제2기어 23: 제1가이드레일
24: 제2가이드레일 25: 제3가이드레일
26: 제2관통홈
30: 제1포크부 31: 제1포크암 32: 제1지지바
33: 제1포크 34: 제1실린더부
40: 제2포크부 41: 제2포크암 42: 제2지지바
43: 제2포크 44: 제2실린더부
50: 측면지지부 51: 지지판 51a: 가이드부재
52: 제3실린더부
60: 고정수단 61: 고정축 62: 고정부재
70: 보조탄성부 71: 체결부재 72: 탄성부재
73: 회전부재 73a: 브라켓
73b: 바퀴 74: 체결홈
100: 지게차 110: 캐리지
200: 파레트 210: 벽돌

Claims (7)

  1. 지게차(100)의 캐리지(110)에 결합되어 파레트(20)에 적층된 벽돌(210)을 분할하는 지게차용 벽돌 운반장치에 있어서,
    상기 캐리지(110)에 결합되어 상하이동하며, 중앙에 삽입홈(11)이 형성된 고정부(10)와,
    상기 고정부(10)의 상기 삽입홈(11)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삽입부(21)가 후면에 형성되며, 전면 양측단에 각각 한쌍으로 이루어져, 상하방향으로 배치된 제1가이드레일(23) 및 제2가이드레일(24)이 형성된 회전부(20)와,
    상기 제1가이드레일(23)에 상하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포크부(30)와,
    상기 제2가이드레일(24)에 상하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포크부(40)로 이루어지되,
    상기 고정부(10)에는 외부면에 결합되며, 상기 삽입홈(11)의 내부로 삽입된 제1기어(12a)에 회전력을 발생하는 스윙모터(12)가 형성되며,
    상기 삽입부(21)에는 상기 삽입홈(11)의 내부에 삽입되며, 내주면이 상기 제1기어(12a)와 맞물리는 제2기어(22a)가 형성되어 상기 회전부(20)를 회전시키는 스윙링기어(22)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게차용 벽돌 운반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20)와 상기 제1포크부(30)에 양측 끝단이 결합되어 상기 제1포크부(30)를 상하이동시키는 제1실린더부(34)와,
    상기 회전부(20)와 상기 제2포크부(40)에 양측 끝단이 결합되어 상기 제2포크부(40)를 상하이동시키는 제2실린더부(44)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게차용 벽돌 운반장치.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10)에는 상기 삽입홈(11)의 중심에 제1관통홈(13)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부(20)에는 상기 삽입부(21)의 중심에 제2관통홈(26)이 형성되며,
    상기 제1관통홈(13)과 상기 제2관통홈(26)에 삽입되어 상기 회전부(20)를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고정부(10)에 고정하는 고정수단(60)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게차용 벽돌 운반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포크부(30)는,
    상기 제1가이드레일(23)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 하도록 양측에 수직으로 각각 형성된 제1포크암(31)과,
    상기 제1포크암(31)의 양측 끝단에 결합되어 지지하는 제1지지바(32)와,
    상기 제1지지바(32)의 양측 끝단에서 전면을 향해 수평으로 돌출되어 상기 벽돌(210)을 지지하는 제1포크(33)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게차용 벽돌 운반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포크부(40)는,
    상기 제2가이드레일(24)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 하도록 양측에 수직으로 각각 형성된 제2포크암(41)과,
    상기 제2포크암(41)의 양측 끝단에 결합되어 지지하는 제2지지바(42)와,
    상기 제2지지바(42)의 양측 끝단에서 전면을 향해 수평으로 돌출되어 상기 벽돌(210)을 지지하는 제2포크(43)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게차용 벽돌 운반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20)의 측면으로 돌출되어 적층된 상기 벽돌(210)의 측면을 지지하는 측면지지부(50)가 더 포함되되,
    상기 측면지지부(50)는,
    상기 회전부(20)에 수평으로 형성된 제3가이드레일(25)에 결합되는 가이드부재(51a)가 측단에 형성되며, 상기 제3가이드레일(25)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여 적층된 상기 벽돌(210)의 측면에 밀착되는 지지판(51)과,
    상기 지지판(51)과 상기 회전부(20)에 양끝단이 결합되어 상기 지지판(51)을 상기 제3가이드레일(25)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는 제3실린더부(52)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게차용 벽돌 운반장치.
KR1020200090049A 2020-07-21 2020-07-21 지게차용 벽돌 운반장치 KR1022653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0049A KR102265335B1 (ko) 2020-07-21 2020-07-21 지게차용 벽돌 운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0049A KR102265335B1 (ko) 2020-07-21 2020-07-21 지게차용 벽돌 운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5335B1 true KR102265335B1 (ko) 2021-06-14

Family

ID=764173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0049A KR102265335B1 (ko) 2020-07-21 2020-07-21 지게차용 벽돌 운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533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42981A (ko) 2022-09-26 2024-04-02 넥스로지텍(주) 지게차용 빔 프레임 운반장치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6139U (ko) * 1999-01-26 2000-08-25 윤종용 스윙 기어 시스템
KR200387468Y1 (ko) * 2005-03-14 2005-06-17 윤명구 팔레트 대차형 반전기
KR100623886B1 (ko) * 2005-05-06 2006-09-19 주식회사 에취케이이 인쇄물의 반전 및 정돈 기능을 갖는 운반장치
KR100942445B1 (ko) * 2009-04-01 2010-02-18 조현우 포클레인 결착용 지게포크
KR101447185B1 (ko) * 2013-06-24 2014-10-06 이정남 포크의 폭 조절이 용이하도록 좌우 회전이 가능한 지게차
KR101459309B1 (ko) 2014-07-10 2014-11-07 김근우 벽돌운반구
KR101580500B1 (ko) * 2015-06-02 2015-12-28 주식회사 부산신항로지텍 지게차의 마스트
KR20170143123A (ko) * 2016-06-20 2017-12-29 양대근 포크장치를 구비한 지게차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6139U (ko) * 1999-01-26 2000-08-25 윤종용 스윙 기어 시스템
KR200387468Y1 (ko) * 2005-03-14 2005-06-17 윤명구 팔레트 대차형 반전기
KR100623886B1 (ko) * 2005-05-06 2006-09-19 주식회사 에취케이이 인쇄물의 반전 및 정돈 기능을 갖는 운반장치
KR100942445B1 (ko) * 2009-04-01 2010-02-18 조현우 포클레인 결착용 지게포크
KR101447185B1 (ko) * 2013-06-24 2014-10-06 이정남 포크의 폭 조절이 용이하도록 좌우 회전이 가능한 지게차
KR101459309B1 (ko) 2014-07-10 2014-11-07 김근우 벽돌운반구
KR101580500B1 (ko) * 2015-06-02 2015-12-28 주식회사 부산신항로지텍 지게차의 마스트
KR20170143123A (ko) * 2016-06-20 2017-12-29 양대근 포크장치를 구비한 지게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42981A (ko) 2022-09-26 2024-04-02 넥스로지텍(주) 지게차용 빔 프레임 운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602368A (en) Pallet for gas cylinders and the like
KR101707202B1 (ko) 자동 이송대차
KR100811764B1 (ko) 차량용 타이어 적재장치
US3172501A (en) Portable lift
KR102265335B1 (ko) 지게차용 벽돌 운반장치
CN110884989B (zh) 快速装卸吊装设备及其吊装方法
WO2006137542A1 (ja) 搬送物搬送方法及びジャッキ具
US4643628A (en) Apparatus for loading and unloading palletized articles
JP2012001300A (ja) フォークリフト用アタッチメント及びこれを用いた荷扱い方法
JP3886215B2 (ja) タイヤ搬入装置およびタイヤ搬出装置
JPS63415A (ja) 転炉用煉瓦積装置
CN112794048A (zh) 一种脱模搬运生产线
JP2887532B2 (ja) 壁材ハンドリング機
CN112299314A (zh) 多用途货叉架及采用该货叉架的叉车
WO2019093409A1 (ja) 物品仕分け装置
JP3388422B2 (ja) 台車段積装置
KR101837171B1 (ko) 블록형 부재 적재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CN209890186U (zh) 一种推高机物料锁定机构
CN214611361U (zh) 多用途货叉架及采用该货叉架的叉车
CN212531912U (zh) 一种便于卸货的物流货梯
JPH0719687Y2 (ja) パレット移載装置
JP3423210B2 (ja) 荷揃え機
JP2733816B2 (ja) 長尺物用スタッカクレーン
KR200368309Y1 (ko) 거푸집 자동 적재장치
JP3017833U (ja) 上下ローダ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