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7185B1 - 포크의 폭 조절이 용이하도록 좌우 회전이 가능한 지게차 - Google Patents

포크의 폭 조절이 용이하도록 좌우 회전이 가능한 지게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7185B1
KR101447185B1 KR1020130072093A KR20130072093A KR101447185B1 KR 101447185 B1 KR101447185 B1 KR 101447185B1 KR 1020130072093 A KR1020130072093 A KR 1020130072093A KR 20130072093 A KR20130072093 A KR 20130072093A KR 101447185 B1 KR101447185 B1 KR 1014471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coupled
fork
forklift
r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20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남
Original Assignee
이정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남 filed Critical 이정남
Priority to KR10201300720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718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71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71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12Platforms; Forks; Other load supporting or gripping members
    • B66F9/14Platforms; Forks; Other load supporting or gripping members laterally movable, e.g. swingable, for slewing or transverse movements
    • B66F9/142Movements of forks either individually or relative to each other
    • B66F9/145Rotation of fork around vertical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20Means for actuating or controlling masts, platforms, or forks
    • B66F9/22Hydraulic devices or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포크의 좌우 회전이 가능하여, 적재하고자 하는 화물의 폭이 좁거나 지게차의 포크를 화물의 정면에 정확하게 위치시키지 않아도, 화물을 안전하게 이송시킬 수 있는 지게차에 관한 발명이다.
본 발명은 차체의 전방에는 마스트레일이 설치되고, 상기 마스트레일에는 구동수단에 의해 상승 및 하강하는 캐리지가 조립되고, 상기 캐리지에는 포크가 결합되는 지게차에 있어서, 상기 캐리지의 상하측에 각각 구비되는 상하측 가로가이드대; 상기 상측 가로가이드대와 결합되는 상측 고정블록; 외면에 회전기어가 형성되는 반구형의 상부회전대가 구비되며, 일단은 상기 상측 고정블록과 피봇핀에 의해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포크와 결합되는 상측 회전블록; 상기 상측 고정블록과 상측 회전블록의 사이에 결합되며, 일측면에는 상기 상측 회전블록의 상부회전대의 회전기어와 치합되는 기어가 형성되는 작동블록; 상기 작동블록에 결합되어 작동블록을 전후 슬라이딩시키는 작동실린더; 상기 하측 가로가이드대와 결합되는 하측 고정블록; 반구형의 하부회전대가 구비되며, 일단은 상기 하측 고정블록과 피봇핀에 의해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포크와 결합되는 하측 회전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포크의 폭 조절이 용이하도록 좌우 회전이 가능한 지게차{FORKLIFT THAT ROTATION IS POSSIBLE OF FORK}
본 발명은 지게차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포크의 좌우 회전이 가능하여, 적재하고자 하는 화물의 폭이 좁거나 지게차의 포크를 화물의 정면에 정확하게 위치시키지 않아도, 화물을 안전하게 이송시킬 수 있는 지게차에 관한 발명이다.
일반적으로 중량물의 하물을 들어올리거나 내려서 원하는 위치로 이송하는데에 사용되고 있는 지게차는 차체의 전방에 마스트레일이 설치되고, 마스트레일에는 구동수단에 의해 마스트레일을 따라 상승 및 하강하는 캐리지가 조립되며, 캐리지에는 하물을 받쳐주기 위한 한쌍의 포크가 결합된다.
이러한 지게차는 통상 캐리지를 하강시켜 화물이 적재되어 있는 파레트 하부로 포크를 삽입한 다음, 다시 캐리지를 상승시키게 되면 포크에 의해 지지된 화물이 들려져 이송이 가능하게 된다.
그러나, 포크의 폭이 일정하므로, 폭이 좁은 적재물인 경우에도 폭이 넓은 파레트를 사용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화물을 안전하게 이송하기 위해서는 지게차를 파레트의 정면에 정확하게 위치시킨 후 포크를 파레트와 직각이 되도록 삽입하여야 하므로, 포크에 화물이 부적적하게 실리는 경우 운반 중 화물이 낙하하는 문제가 있다. 그럼에도 공간이 좁은 경우 지게차를 파레트의 정면에 정확하게 위치시키기가 어려워 포크를 파레트에 정확하게 삽입시키는 것이 어려운 경우가 있다. 또한, 화물의 형태가 불규칙하여 포크가 항상 평행을 이루며 삽입되기 어려운 경우도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6-0072972호 "지게차용 다방향 포크 캐리지 장치"는 캐리지의 방향을 좌우로 회동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캐리지(1)의 하단부에 힌지고정부(6)가 형성되어 포크부에 형성된 힌지고정부(4)와 피봇 핀(PIVOT PIN)(9)에 의해 결합되어 유압실린더(8)에 의해 캐리지(1) 전체가 좌우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좁은 공간에서 작업을 하는 경우나 화물의 방향이 틀어져 있는 경우에도 용이하게 화물을 안전하게 이송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폭이 좁은 화물을 이송하거나 불규칙한 화물에 포크를 삽입하기에는 여전히 어려움이 있다.
본 발명은 폭이 좁은 화물을 이송하거나 화물의 방향이 틀어진 경우에도 안전하게 화물을 이송할 수 있도록 좌우 포크를 각각 회전시켜 포크의 폭을 자유자재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차체의 전방에는 마스트레일이 설치되고, 상기 마스트레일에는 구동수단에 의해 상승 및 하강하는 캐리지가 조립되고, 상기 캐리지에는 한 쌍의 포크가 결합되는 지게차에 있어서, 상기 캐리지의 상측에 구비되는 상측 가로가이드대 및 하측에 구비되는 하측 가로가이드대; 상기 좌우측의 상측 가로가이드대 및 하측 가로가이드대와 상기 포크 사이에 각각 결합되어 좌우 포크를 동시에 좌측 또는 우측으로, 또는 각각 좌측과 우측으로 어긋나도록 회전시키는 회전결합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회전결합부에는 포크를 회전시키는 작동실린더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크의 좌우 회전이 가능한 지게차.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회전결합부는, 상기 상측 가로가이드대와 결합되는 상측 고정블록; 외면에 회전기어가 형성되는 반구형의 상부회전대가 구비되며, 일단은 상기 상측 고정블록과 피봇핀에 의해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포크와 결합되는 상측 회전블록; 상기 상측 고정블록과 상측 회전블록의 사이에 결합되며, 일측면에는 상기 상측 회전블록의 상부회전대의 회전기어와 치합되는 기어가 형성되는 작동블록; 상기 작동블록에 결합되어 작동블록을 전후 슬라이딩시키는 작동실린더; 상기 하측 가로가이드대와 결합되며, 반구형의 하부회전대가 구비되는 하측 고정블록; 반구형의 하부거치단이 구비되어 상기 하측 고정블록의 하부회전대와 피봇핀에 의해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포크와 결합되는 하측 회전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상측 고정블록의 상측에는 작동블록거치단이 형성되고 하측에는 회전블록거치단이 형성되며, 상기 회전블록거치단의 상면 중앙부에는 결합홈이 형성되며, 상기 상측 회전블록의 상부회전대 중앙부 상하를 관통하여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상측 고정블록의 회전블록거치단에 상기 상측 회전블록이 거치된 상태에서 피봇핀이 상기 상측 회전블록의 관통공에 삽입되어 상측 고정블록의 결합홈에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지게차의 좌우 포크를 각각 또는 동시에 내측이나 외측으로 회전시켜 포크의 폭을 자유자재로 조절함으로써, 좁은 공간이나 폭이 좁은 화물 또는 화물의 방향이 틀어진 경우에도 안전하게 화물을 이송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지게차의 일부 분해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게차의 측면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게차의 평면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게차의 포크에 회전결합부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게차의 포크와 회전결합부을 분리하여 도시한 개념도
도 6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게차 포크의 평상시 상태를 도시한 일부 개념도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게차 포크를 차체의 외측방향으로 회전시킨 상태를 도시한 일부 개념도
도 6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게차 포크를 차체의 내측방향으로 회전시킨 상태를 도시한 일부 개념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게차의 포크를 다양한 형태로 작동시키는 것을 보여주기 위한 평면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구성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며,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를 통해 그 목적과 특징이 더욱 명확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지게차(F)는 공지와 마찬가지로 차체(100)의 전방에 마스트레일(110)이 설치되고, 마스트레일(110)에는 캐리지(120)가 조립되어 별도의 구동수단에 의해 상승 및 하강한다. 그리고, 캐리지(120)에는 한 쌍의 포크(200)가 결합된다.
이때, 캐리지(120)에는 상측 가로가이드대(210)와 하측 가로가이드대(220)가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구비되며, 별도의 회전결합부(300)에 의해 포크(200)가 결합되는 것이다.
회전결합부(300)는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좌우 양측의 포크(200)에 각각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측 고정블록(310)과 상측 회전블록(320) 및 작동블록(330)과 작동실린더(340), 그리고, 하측 고정블록(350)과 하측 회전블록(36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측 고정블록(310)은 상측 가로가이드대(210)에 결합하기 위한 결합부(311)가 일단에 형성되며, 타단의 상부측에는 작동블록거치단(312)이 마련되고 하부측에는 회전블록거치단(313)이 마련된다. 그리고, 회전블록거치단(313)에는 상면 중앙부 측에 소정의 깊이로 결합홈(314)이 형성된다.
상측 회전블록(320)은 일단에는 반구형의 상부회전대(321)가 형성되며, 타단에는 포크(200)와 결합되기 위한 포크결합대(322)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부회전대(321)의 외면에는 회전기어(323)가 형성되며, 상부회전대(321)에는 상부에서 하부를 관통하는 관통공(324)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측 가로가이드대(210)에 결합부(311)에 의해 결합된 상측 고정블록(310)의 회전블록거치단(313)에 상측 회전블록(320)을 거치한 후, 피봇핀(325)을 상측 회전블록(320)의 관통공(324)으로 삽입하여 상측 고정블록(310)의 결합홈(314)까지 끼움으로써, 상측 고정블록(310)과 상측 회전블록(320)을 결합한다.
작동블록(330)은 바(Bar) 형태로 되어 일측면에는 상측 회전블록(320)의 회전기어와 치합되는 평형기어(331)가 형성된다. 이는 상측 고정블록(310)과 상측 회전블록(320)의 사이, 즉, 상측 고정블록(310)의 작동블록거치단(312)에 거치된다.
작동실린더(340)는 작동블록(330)의 일단에 결합되어 유압 또는 공압에 의해 작동블록(330)을 전진 또는 후진시킨다.
하측 고정블록(350)은 하측 가로가이드대(220)에 결합되며, 반구형의 하부회전대(351)가 구비된다. 하부회전대(351)의 중앙 상부에서 하부를 관통하여 관통공(352)이 형성된다.
하측 회전블록(360)은 일단에 반구형의 하부거치단(361)이 형성되며, 타단은 포크(200)와 결합된다. 하부거치단(361)의 상부에는 하부회전대(351)가 거치되고, 하측 고정블록(350)과 하측 회전블록(360)은 피봇핀(353)에 의해 자유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이를 위해 하측 회전블록(360)의 하부거치단(361) 상면 중앙부 측에 소정의 깊이로 결합홈(362)이 형성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게차의 작동에 관하여 도 6a 내지 6c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a의 상태에서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실린더(340)를 작동시켜 로드를 당기게 되면 작동롤러(330)가 일체로 당겨지게 되고, 작동블록(330)의 일측에 형성된 평형기어(331)가 상측 회전블록(320)의 외면에 형성된 회전기어(323)와 치합되어 상측 회전블록(320)을 회전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측 고정블록(320)에 피봇핀(325)에 의해 자유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으므로, 상측 회전블록(320)은 자유롭게 회전을 하게 되고, 상측 회전블록(320)의 회전에 의해 포크(200)는 지게차의 외측방향으로 회전을 하게 된다.
또한, 하측 회전블록(360)은 피봇핀(353)에 의해 하측 고정블록(350)과 자유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으므로, 상측 회전블록(320)의 회전에 따라 동시에 회전을 하게 된다.
또한, 도 6c에 도시된 바와같이, 작동실린더(340)의 로드를 인출시키게 되면 작동롤러(330)가 일체로 당겨지면서 상측 회전블록(320)을 회전시키게 되고, 포크(200)는 지게차의 내측방향으로 회전을 하게 된다. 이때에는 이미 공지된 기술에 따라 포크(200)를 좌우로 슬라이딩 시킨 후, 포크(200)를 회전시키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렇게 화물의 방향에 따라, 또는 화물의 폭에 따라 좌우 작동실린더(340)의 로드를 각각 인출 또는 당김으로써, 좌우 포크(200)를 지게차의 양측 외측으로 벌어지도록 회전시키거나, 좌우 포크(200)를 지게차의 내측으로 모아지도록 회전시키거나, 또는 일측은 좌측으로 타측은 우측으로 회전시킬 수가 있다.

따라서, 지게차(F)를 화물의 정면에 정확하게 위치시키지 않아도 화물을 안정되게 이송할 수 있으며, 양측 포크(200)를 내측 또는 외측방향으로 자유 자재로 회전시켜 화물의 폭에 맞도록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서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하여 사용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그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 기재된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발명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10 : 마스트레일 120 : 캐리지
200 : 포크 210 : 상측 가로가이드대
220 : 하측 가로가이드대 310 : 상측 고정블록
311 : 결합부 312 : 작동블록거치단
313 : 회전블록거치단 314,362 : 결합홈
320 : 상측 회전블록 321 : 상부회전대
322 : 포크결합대 324,352 : 관통공
330 : 작동블록 340 : 작동실린더
350 : 하측 고정블록 351 : 하부회전대
360 : 하측 회전블록 361 : 하부거치단

Claims (4)

  1. 차체의 전방에는 마스트레일(110)이 설치되고, 상기 마스트레일(110)에는 구동수단에 의해 상승 및 하강하는 캐리지(120)가 조립되고, 상기 캐리지(120)에는 포크(200)가 결합되는 지게차(F)에 있어서,
    상기 캐리지(120)의 상하측에 각각 구비되는 상측 가로가이드대(210) 및 하측 가로가이드대(220);
    상기 좌우측의 상측 가로가이드대(210) 및 하측 가로가이드대(220)와 상기 포크(200) 사이에 각각 결합되어 좌우 포크(200)를 동시에 내측 또는 우측으로, 또는 각각 좌측과 우측으로 어긋나도록 회전시키는 회전결합부(300);로 이루어지며,
    상기 회전결합부(300)는,
    상기 상측 가로가이드대(210)와 결합되는 상측 고정블록(310);
    외면에 회전기어(323)가 형성되는 반구형의 상부회전대(321)가 구비되며, 일단은 상기 상측 고정블록(310)과 피봇핀(325)에 의해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포크(200)와 결합되는 상측 회전블록(320);
    상기 상측 고정블록(310)과 상측 회전블록(320)의 사이에 결합되며, 일측면에는 상기 상측 회전블록(320)의 상부회전대(321)의 회전기어(323)와 치합되는 평형기어(331)가 형성되는 작동블록(330);
    상기 작동블록(330)에 결합되어 작동블록(343)을 전후 슬라이딩 시키는 작동실린더(340);
    상기 하측 가로가이드대(220)와 결합되며, 반구형의 하부회전대(351)가 구비되는 하측 고정블록(350); 및
    반구형의 하부거치단(361)이 구비되어 상기 하측 고정블록(350)의 하부회전대(351)와 피봇핀(325)에 의해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포크(200)와 결합되는 하측 회전블록(36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크의 폭 조절이 용이하도록 좌우 회전이 가능한 지게차.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결합부(300)에는 포크(200)를 회전시키는 작동실린더(34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크의 폭 조절이 용이하도록 좌우 회전이 가능한 지게차.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고정블록(310)의 상측에는 작동블록거치단(312)이 형성되고 하측에는 회전블록거치단(313)이 형성되며, 상기 회전블록거치단(313)의 상면 중앙부에는 결합홈(314)이 형성되며,
    상기 상측 회전블록(320)의 상부회전대(321) 중앙부 상하를 관통하여 관통공(323)이 형성되며,
    상기 상측 고정블록(310)의 회전블록거치단(313)에 상기 상측 회전블록(320)이 거치된 상태에서 피봇핀(325)이 상기 상측 회전블록(320)의 관통공(323)에 삽입되어 상측 고정블록(310)의 결합홈(314)에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크의 폭 조절이 용이하도록 좌우 회전이 가능한 지게차.
  4. 삭제
KR1020130072093A 2013-06-24 2013-06-24 포크의 폭 조절이 용이하도록 좌우 회전이 가능한 지게차 KR1014471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2093A KR101447185B1 (ko) 2013-06-24 2013-06-24 포크의 폭 조절이 용이하도록 좌우 회전이 가능한 지게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2093A KR101447185B1 (ko) 2013-06-24 2013-06-24 포크의 폭 조절이 용이하도록 좌우 회전이 가능한 지게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47185B1 true KR101447185B1 (ko) 2014-10-06

Family

ID=519965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2093A KR101447185B1 (ko) 2013-06-24 2013-06-24 포크의 폭 조절이 용이하도록 좌우 회전이 가능한 지게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718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879291A (zh) * 2017-12-31 2018-04-06 荣成中磊石材有限公司 一种中心摆移调位货叉
CN110122044A (zh) * 2019-05-31 2019-08-16 山东省农业机械科学研究院 一种联合收获机卸包装置
KR102265335B1 (ko) * 2020-07-21 2021-06-14 김승용 지게차용 벽돌 운반장치
KR102297032B1 (ko) * 2020-12-30 2021-09-02 대호 (주) 회전 가능한 포크리프터를 갖는 텔레스코픽 마스터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95793U (ko) * 1984-11-29 1986-06-20
JPS63162798U (ko) * 1987-04-14 1988-10-24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95793U (ko) * 1984-11-29 1986-06-20
JPS63162798U (ko) * 1987-04-14 1988-10-24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879291A (zh) * 2017-12-31 2018-04-06 荣成中磊石材有限公司 一种中心摆移调位货叉
CN107879291B (zh) * 2017-12-31 2023-08-01 荣成中磊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中心摆移调位货叉
CN110122044A (zh) * 2019-05-31 2019-08-16 山东省农业机械科学研究院 一种联合收获机卸包装置
KR102265335B1 (ko) * 2020-07-21 2021-06-14 김승용 지게차용 벽돌 운반장치
KR102297032B1 (ko) * 2020-12-30 2021-09-02 대호 (주) 회전 가능한 포크리프터를 갖는 텔레스코픽 마스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78667B2 (ja) タイヤ挟持装置とそれを備えた自動車搬送装置
KR101447185B1 (ko) 포크의 폭 조절이 용이하도록 좌우 회전이 가능한 지게차
EP3034453B1 (en) An equipment with side-shifter
CN1969788B (zh) 病人躺卧系统
KR20160063830A (ko) 자동 이송대차
JP2014213409A (ja) 組付用台車
JP2008221963A (ja) ウイング形トラックの積荷の積卸し装置
JP2009040146A (ja) 運搬用台車
CN216190840U (zh) 一种剪刀叉式前移门架
KR20130011935A (ko) 이동 탑재 장치 및 이동 탑재 방법
JP2006001661A (ja) 重量物移動装置と重量物移動台車および立体駐車場
JP2016527125A (ja) 車輪のキャンバ変更による持ち上げ効果を用いてパレットを持ち上げ移動させるための、手動操作の転動装置
KR101320958B1 (ko) 주행방향이 직각으로 전환되는 수동대차
JP2008150176A (ja) スプレッダ装置
KR101824898B1 (ko) 트럭크레인의 웨이트 이송 및 장탈착장치
KR20100065820A (ko) 중량물 이동장치
JP2019098904A (ja) 台車の車輪構造
JP2011178223A (ja) パレットトラック
KR20100000909U (ko) 대형 파이프 이송 대차
IT201900018926A1 (it) Apparato per azionare i supporti portaforche di un carrello elevatore
JP2009274779A (ja) リーチスタッカのコンテナ保持装置
JP2008308052A (ja) 車両用ドラムリムーバ
JP4482218B2 (ja) 荷物運搬装置
JP6351472B2 (ja) 台車の案内装置
JP7252081B2 (ja) 箱台車の昇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