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8309Y1 - 거푸집 자동 적재장치 - Google Patents

거푸집 자동 적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8309Y1
KR200368309Y1 KR20-2004-0022607U KR20040022607U KR200368309Y1 KR 200368309 Y1 KR200368309 Y1 KR 200368309Y1 KR 20040022607 U KR20040022607 U KR 20040022607U KR 200368309 Y1 KR200368309 Y1 KR 20036830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work
frame
guide
seating
right sid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260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성각
Original Assignee
조성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성각 filed Critical 조성각
Priority to KR20-2004-002260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830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830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8309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7/00Stacking of articles
    • B65G57/02Stacking of articles by adding to the top of the sta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3/00Driving gear for endless conveyors; Belt- or chain-tensioning arrangements
    • B65G23/02Belt- or chain-engaging elements
    • B65G23/04Drums, rollers, or wheels
    • B65G23/06Drums, rollers, or wheels with projections engaging abutments on belts or chains, e.g. sprocket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3/00Driving gear for endless conveyors; Belt- or chain-tensioning arrangements
    • B65G23/02Belt- or chain-engaging elements
    • B65G23/04Drums, rollers, or wheels
    • B65G23/08Drums, rollers, or wheels with self-contained driving mechanisms, e.g. motors and associated gea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3/00Driving gear for endless conveyors; Belt- or chain-tensioning arrangements
    • B65G23/44Belt or chain tension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3/00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 B65G43/02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detecting dangerous physical condition of load carriers, e.g. for interrupting the drive in the event of overhe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4Detection means
    • B65G2203/042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acking Of Articles And Auxiliary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거푸집의 자동적재 작동을 보다 정확하게 수행하여 그 적재 작동의 안정성을 보장할 수 있으며, 적재 및 포장공정을 연속적으로 수행함으로써 다수의 거푸집의 운반 및 보관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거푸집 자동적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프레임과; 이송부와; 프레임의 하부 좌우 양측면에 구비되어 이송부에서 이송되는 다수의 거푸집의 양측면이 안착되는 한 쌍의 안착대와; 한 쌍의 안착대 사이에서 승하강가능하게 구비되어 안착대에 적재된 다수의 거푸집을 상부로 승강시키는 승강부와; 각 안착대의 상부 측에 구비되어 거푸집의 양측면을 지지하는 다수의 제1지지부재로 이루어진 제1지지부와; 프레임의 좌ㆍ우 양측면 상에서 배치되어 적재되는 거푸집의 전ㆍ후ㆍ좌ㆍ우 측면을 정렬하여 다수의 거푸집이 정렬된 상태로 적재되도록 안내하는 한 쌍의 가이드부와; 각 가이드부를 구동시키는 가이드 구동부와; 프레임의 후방 배출구 측에 구비되어 금속재질의 밴드로 적재가 완료된 다수의 거푸집 외부면을 묶어 포장하는 포장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거푸집 자동 적재장치{Apparatus for automatically loading concrete forms}
본 고안은 거푸집 자동적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거푸집의 자동적재 작동을 보다 정확하게 수행하여 그 적재 작동의 안정성을 보장할 수 있으며, 적재 및 포장공정을 연속적으로 수행함으로써 다수의 거푸집의 운반 및 보관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거푸집 자동적재장치에 관한 것이다.
널리 주지된 바와 같이, 거푸집(concrete form, 일면 '유로 폼(euro form)'이라고도 함)이라 함은 빌딩, 아파트 등과 같은 콘크리트 구조물을 소정의 형태 및 치수로 만들기 위해 일시 설치되는 건축자재로서, 기둥, 바닥, 벽 등과 같은 임의의 구조물을 형성시키기 위해 거푸집으로 틀을 짠 후에, 이 거푸집의 안쪽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한 후에 이 거푸집을 떼어 냄으로써 소정의 구조물을 형성시킨다.
이와 같이 콘크리트의 양생을 위해 일시 설치되는 거푸집은 축조할 건물의 구조ㆍ종류 및 높이에 따라 다양한 형태 및 재질로 이루어지고, 최근에는 일정한 크기로 규격화된 거푸집이 널리 보급되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통상, 이러한 거푸집은 철제 또는 알루미늄 등과 같은 금속재질의 프레임 및이 프레임의 상부면 상에 부착되는 상판으로 이루어지고, 상판 및 프레임의 내측에는 다수의 보강재가 소정 공간으로 구획되어 내장되며, 상술한 상판은 거푸집에 작용하는 생콘크리트의 측압에 따라 경질섬유판, 합성수지, 알루미늄, 강판 등과 같은 다양한 재질이 적용된다.
이러한 거푸집은 건설현장에서 대량으로 사용되므로, 다수의 거푸집을 가지런히 적재하여 보관 및 운반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 공간의 효율적인 이용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것으로 인식되어 왔다. 또한, 이러한 건설현장에서 뿐만 아니라 거푸집을 제작 또는 임대하는 업체에서도 다수의 거푸집을 한정된 공간 내에 효율적으로 보관 및 반출하기 용이하도록 가지런히 적재하여 왔다.
한편, 종래에는 다수의 거푸집을 가지런히 적재하는 작업을 작업자의 수작업에 의존하여 왔었다.
하지만, 이와 같은 종래의 수작업에 의존하는 거푸집 적재방식은 그 소요되는 인건비, 설비비 및 작업시간 등의 낭비가 매우 심하고, 또한 작엊바의 안전사고 및 장시간 작업에 따른 신체의 무리가 뒤따르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다수의 거푸집을 자동으로 적재하여 작업공간 및 인건비의 절약을 도모할 수 있는 국내등록실용신안 제314835호(명칭 : 거푸집 패널의 자동 적재 장치)가 개시된 바 있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거푸집 적재장치는 다수의 거푸집을 적재하는 도중에 거푸집의 양측면을 지지하는 지지부재로부터 거푸집이 쉽게 이탈되고, 이로 인해 거푸집 적재작업의 안전성이 확보되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거푸집 적재장치는 거푸집을 단순히 적재하는 기능만 가질 뿐이고, 적재가 완료된 다수의 거푸집을 자동으로 포장하는 작업은 작업자의 수작업에 의존하게 되고, 이에 따라 그 포장작업에 따른 인건비 및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또 다른 단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거푸집 적재장치는 그 구조가 매우 복잡하고 고가로 제작됨에 따라 그 보급에 한계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거푸집의 자동적재 작동을 보다 정확하게 수행하여 그 적재 작동의 안정성을 보장할 수 있으며, 적재 및 포장공정을 연속적으로 수행함으로써 다수의 거푸집의 운반 및 보관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거푸집 자동 적재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주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적재가 완료된 다수의 거푸집의 포장작업을 연속적으로 수행함에 따라 그 포장작업에 소요될 수 있는 인건비 및 작업시간을 줄일 수 있으며,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거푸집 자동 적재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다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 자동 적재장치를 도시한 평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 자동 적재장치를 도시한 정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 자동 적재장치를 도시한 배면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 자동 적재장치를 도시한 측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승강부 및 포장부를 도시한 부분 절취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 자동 적재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가이드 구동부를 상세하게 도시한 부분 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포장부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구성도.
도 9는 본 고안의 적재부에 의해 진행되는 거푸집의 적재공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
10 : 프레임 20 : 이송부
31, 32 : 안착대 40 : 승강부
50 : 제1지지부 60 : 제2지지부
70 : 가이드부 80 : 가이드 구동부
90 : 포장부 100 : 거푸집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프레임과; 프레임의 입구측에 구비되어 다수의 거푸집을 순서대로 이송시키는 이송부와; 프레임의 하부 좌우 양측면에 구비되어 이송부에서 이송되는 다수의 거푸집의 양측면이 안착되는 한 쌍의 안착대와; 한 쌍의 안착대 사이에서 승하강가능하게 구비되어 안착대에 적재되는다수의 거푸집을 상하부로 승하강시키는 승강부와; 각 안착대의 상부 측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한 쌍의 회전축 및 각 회전축의 각 외주면 상에 설치되어 승강부에 의해 승하강하는 최하단 거푸집의 양측면을 지지하는 다수의 제1지지부재로 이루어진 제1지지부와; 프레임의 좌ㆍ우 양측면 상에서 배치되어 적재되는 거푸집의 전ㆍ후ㆍ좌ㆍ우 측면을 정렬하여 다수의 거푸집이 정렬된 상태로 적재되도록 안내하는 한 쌍의 가이드부와; 각 가이드부를 적재되는 거푸집의 측면에 접촉 또는 이격시키도록 구동시키는 가이드 구동부와; 프레임의 후방 배출구 측에 구비되어 금속밴드로 적재가 완료된 다수의 거푸집 외부면을 묶어 포장하는 포장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제1지지부재는 그 일측단부의 하부면에 소정각도로 경사진 경사면을 구비하고, 그 일측단부의 상부면에는 거푸집의 양측 하부면이 안착되는 평탄한 안착단턱을 구비하며, 안착단턱의 선단부에는 거푸집의 양측면에 형성된 단턱부에 맞물려지는 첨예부를 구비하고, 제1지지부재의 타측단부 하부면에는 제1지지부재의 회전각을 제한하도록 소정각도로 경사진 스토퍼면을 구비하며, 이 스토퍼면은 프레임의 하부 측에 고정설치된 고정부재 상에 접촉됨에 따라 제1지지부재는 그 안착단턱의 수평상태가 유지되는 범위 내로 그 회전각이 제한된다.
바람직하게는, 제1지지부의 하부측에는 제2지지부를 더 구비하고, 이 제2지지부는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한 쌍의 회전축 및 각 회전축의 외주면 상에 설치된 다수의 제2지지부재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는, 제2지지부재는 그 일측단부의 하부면에 소정각도로 경사진 경사면을 구비하고, 그 일측단부의 상부면에는 거푸집의 양측 하부면이 안착되는 평탄한 안착단턱을 구비하며, 안착단턱의 선단부에는 첨예부를 구비하고, 이 제2지지부재의 첨예부는 제1지지부재의 첨예부 보다 프레임의 내측으로 더 진입되어 배치되고, 제2지지부재의 경사면 하부에는 제2지지부재의 회전각을 제한하는 제한단턱을 구비하고, 이 제한단턱은 안착대의 상부 측에 고정설치된 고정부재 상에 걸림결합됨에 따라 제2지지부재는 그 안착단턱의 수평상태가 유지하는 범위 내로 그 회전각이 제한된다.
바람직하게는, 승강부는 안착대 상에 적재되는 다수의 거푸집 하부면을 지지하는 승강대와, 이 승강대의 하부 내측면 상에 상호 회동가능하게 X자형태로 힌지결합된 내ㆍ외측 링크부재로 이루어진 좌ㆍ우 양측의 X형 링크와, 프레임의 하부면 상에 지지되는 한 쌍의 하부 연결축과, 승강대의 좌우 내측면 상에 지지되는 한 쌍의 상부 연결축과, 각 X형 링크의 내ㆍ외측 링크부재를 상호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시키는 한 쌍의 중앙 연결축과, 좌ㆍ우 양측의 X형 링크를 접힘 및 펼침 작동시키는 구동실린더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가이드부는 프레임의 좌ㆍ우 양측면 상에 다수의 제1 및 제2 가이드부재가 이동가능하게 배치되고, 각 제1가이드부재는 평평한 면을 가진 바 형상으로 이루어져 적재되는 거푸집의 좌우 측면을 정렬하며, "L"자 형태의 단면을 가진 제2가이드부재는 제1가이드부재의 전방 및 후방 측에 배치되어 프레임의 입구 및 출구 측으로 이송되는 적재함의 전방면 및 후방면을 정렬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가이드 구동부는 프레임의 좌우 양측면 상에서 수평방향으로 가로질러 고정설치된 다수의 제1 크로스부재 및 다수의 제1 및 제2 가이드부재를수평방향으로 연결하는 제2크로스부재 사이에 링크결합된 다수의 링크부재 및 피스톤로드의 자유단부가 링크부재의 하부측에 힌지결합된 다수의 구동실린더로 이루어진다.
대안적으로, 가이드부의 전방 또는 후방측의 제2가이드부재에 근접하여 제3가이드부재가 더 구비되고, 제3가이드부재는 제3가이드부재 및 제2크로스부재 사이에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된 보조 링크부재에 의해 이동가능하게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포장부는 금속밴드가 감겨진 밴드롤과, 프레임의 일측 내부면 상에 배치된 감기전동기구와, 감기전동기구의 감기전동절 일측에 고정된 밴드 고정구와, 밴드롤 측에 소정의 장력을 부여하는 텐션기구와, 이 밴드롤의 전방 측에 배치되어 금속밴드의 감김 작동후에 외부로 이탈됨을 방지하는 홀딩자성체를 포함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9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 자동 적재장치를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거푸집 자동 적재장치는 프레임(10)과, 프레임(10)의 입구측에 구비되어 다수의 거푸집(100)을 이송시키는 이송부(20)와, 프레임(10) 하부 좌ㆍ우 양측면에 구비되어 이송부(20)에서 이송되는 다수의 거푸집(100)의 양측면이 안착되는 한 쌍의 안착대(31, 32)와, 한 쌍의 안착대(31, 32) 사이에서 승하강가능하게 구비되어 안착대(31, 32)에 적재된 다수의 거푸집(100)을 승하강시키는 승강부(40)와, 각 안착대(31, 32)의 상부 측에 구비되어 적재되는 거푸집(100)의 양측면을 지지하는 제1지지부(50)와, 제1지지부(50)의 하부측에 구비된 제2지지부(60)와, 프레임(10)의 양측면 상에서 배치되어 적재되는 거푸집(100)의 전ㆍ후ㆍ좌ㆍ우 측면을 정렬하는 가이드부(70)와, 가이드부(70)를 다수의 거푸집(100) 측면에 접근 또는 이격시키는 가이드 구동부(80)와, 프레임(10)의 후방 배출구 측에 구비되어 금속밴드(91)를 이용하여 적재가 완료된 다수의 거푸집(100) 외부면을 묶어 포장하는 포장부(90)를 포함한다.
프레임(10)은 다수의 수직 및 수평부재(11, 12)가 연결되어 각 면이 개방된 직육면체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송부(20)는 프레임(10)의 전방 측(즉, 거푸집(100)이 유입되는 입구 측에 해당됨)에 구비되어 외부로부터 다수의 거푸집(100)을 프레임(10) 내의 안착대(31, 32) 상으로 이송시키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의 이송부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0)의 전방 측에 대해 직각방향으로 거푸집(100)을 이송시킬 수 있도록 배치된 다수의 이송롤러(21) 및 다수의 이송롤러(21)에 대해 직각방향으로 배치된 좌ㆍ우 양측의 체인컨베이어(22) 등이 각 구동모터에 의해 개별적으로 구동되도록 이루어질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술한 각 체인컨베이어(22)의 일측면에는 거푸집(100)을 안착대(31, 32) 상으로 밀어주는 푸셔 도그(22a, pusher dog)가 부착되고, 체인컨베이어(22)상에 얹혀진 거푸집(100)은 그 일면이 각 푸셔 도그(22a)에 의해 밀려 프레임(10)의 안착대(31, 32) 상으로 이송된다.
다수의 이송롤러(21)의 최종단에 인접하는 부분에는 리미트스위치 등과 같은 제1감지센서(LS1)가 구비되고, 이송롤러(21)에 의해 이송되는 거푸집(100)이 제1감지센서(LS1)에 접촉되면, 이 제1감지센서(LS1)의 감지신호에 의해 체인컨베이어(22)는 구동되고, 이에 따라 체인컨베이어(22)는 그 푸셔 도그(22a)에 의해 거푸집(100)을 프레임(10)의 안착대(31, 32) 측으로 이송시킨다.
또한, 일측의 체인컨베이어(22)에 근접한 위치에 리미트스위치 등과 같은 제2감지센서(LS2)가 구비되고, 체인컨베이어(22)에 의해 거푸집(100)이 프레임(10)의 안착대(31, 32) 측으로 이송되면, 체인컨베이어(22)의 푸셔 도그(22a)가 제2감지센서(LS2)에 접촉되고, 이 제2감지센서(LS2)에 의해 체인컨베이어(22)는 구동이 정지되고 다음의 거푸집(100)의 투입을 기다리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형태의 이송부(20)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거푸집(100)을 프레임(10)의 입구 측으로 용이하게 이송시킬 수 있는 구성이면 그외의 다양한 실시형태의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한 쌍의 안착대(31, 32)는 프레임(10)의 하부 좌우 양측에서 프레임(10)의 입구로부터 출구로 길게 연장되어 구비된다.
각 안착대(31, 32)는 거푸집(100)의 양측면이 용이하게 안착되는 단면구조를 가지고, 구체적으로 "L"자형 단면구조를 가질 수 있다.
승강부(40)는 좌우 양측의 안착대(31, 32) 사이 공간에서 승하강가능하게 설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승강부(4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착대(31, 32) 상에 적재되는 다수의 거푸집(100) 하부면을 지지하는 승강대(41)와, 이 승강대(41)의 하부 내측면 상에 상호 회동가능하게 X자형태로 힌지결합된 내ㆍ외측 링크부재(42a, 42b, 43a, 43b)로 이루어진 좌ㆍ우 양측의 X형 링크(42, 43)와, 프레임(10)의 하부면 상에 지지되는 한 쌍의 하부 연결축(44, 45)과, 승강대(41)의 좌우 내측면 상에 지지되는 한 쌍의 상부 연결축(46, 47)과, 각 X형 링크(42, 43)의 내ㆍ외측 링크부재(42a, 42b, 43a, 43b)를 상호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시키는 한 쌍의 중앙 연결축(48)과, 좌ㆍ우 양측의 X형 링크(42, 43)를 접힘 및 전개 작동시키는 구동실린더(49)를 포함한다.
승강대(41)는 좌ㆍ우 양측의 안착대(31, 32) 사이 공간에 승하강가능하게 설치되고, 안착대(31, 32) 상에 거치된 거푸집(100)의 하부면을 상방으로 지지한다.
각 X형 링크(42, 43)는 내측 링크부재(42a, 43a) 및 외측 링크부재(42b,43b)가 상호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된 형태로 이루어지고, 이러한 내ㆍ외측 링크부재(42a, 42b, 43a, 43b)의 상호 회동가능한 힌지결합은 후술하는 한 쌍의 중앙 연결축(48)에 의해 이루어지며, 각 중앙 연결축(48)은 각 X형 링크(42, 43)의 내ㆍ외측 링크부재(42a, 42b, 43a, 43b)의 중앙부분에 힌지결합된다.
하부 연결축(44, 45)은 프레임(10)의 하부면 상에서 지지구(44a, 45a)에 의해 지지되고, 각 X형 링크(42, 43)의 내측 링크부재(42a, 43a)의 전방단부 및 각 X형 링크(42, 43)의 외측 링크부재(42b, 43b)의 후방단부를 관통하면서 연장된다. 이러한 하부 연결축(44, 45)의 연결구성에 의해, X형 링크(42, 43)의 내측 링크부재(42a, 43a)의 전방단부 및 외측 링크부재(42b, 43b)의 후방단부는 하부 연결축(44, 45)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동하게 된다.
상부 연결축(46, 47)은 승강대(41)의 좌ㆍ우 내측면 상에서 지지구(46a, 47a)에 의해 지지되고, 각 X형 링크(42, 43)의 내측 링크부재(42a, 43a)의 후방단부 및 외측 링크부재(42b, 43b)의 전방단부를 관통하면서 연장된다. 이러한 상부 연결축(46, 47)의 연결구성에 의해, X형 링크(42, 43)의 내측 링크부재(42a, 43a)의 후방단부 및 외측 링크부재(42b, 43b)의 전방단부는 상부 연결축(46, 47)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동하게 된다.
중앙 연결축(48)은 상술한 바와 같이, 각 X형 링크(42, 43)의 내ㆍ외측 링크부재(42a, 42b, 43a, 43b)의 중앙부분에 삽입되어 각 내ㆍ외측 링크부재(42a, 42b, 43a, 43b)가 상대적으로 회전가능하도록 힌지결합시킨다.
구동실린더(49)는 그 하단부가 프레임(10)의 하부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고, 그 피스톤로드(49b)의 자유단부는 좌측 X형 링크(42)의 내측 링크부재(42a) 및 우측 X형 링크(43)의 내측 링크부재(43a)를 가로 질러 고정설치된 크로스부재(49a) 상에 힌지결합된다.
이러한 구동실린더(49)는 그 피스톤 로드(49b)가 전후진 함에 따라, 상술한 X형 링크(42, 43)는 그 접힘 및 펼침작동이 이루어지고, 이에 따라 승강대(41)가 승하강 작동하게 된다.
X형 링크(42, 43)의 펼침작동은 다음과 같이 진행된다.
먼저, 구동실린더(49)의 피스톤 로드(49b)가 전진구동하게 되면, 피스톤 로드(49b)의 자유단부가 크로스부재(49a)를 상방향으로 밀어 내게 되고, 이에 따라 크로스부재(49a)에 고정된 X형 링크(42, 43)의 각 내측 링크부재(42a, 43a)는 중앙연결축(48)을 중심으로 그 전방단부가 전방측의 하부 연결축(44)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동하게 됨과 동시에 그 후방단부도 후방측의 상부 연결축(47)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동하게 됨에 따라, 상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
이렇게 X형 링크(42, 43)의 내측 링크부재(42a, 43a)가 상방향으로 회동함에 따라, X형 링크(42, 43)의 외측 링크부재(42b, 43b)들도 중앙 연결축(48)을 중심으로 회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X형 링크(42, 43)는 전체적으로 펼침작동하게 된다.
반대로, X형 링크(42, 43)의 접힘작동은 구동실린더(49)의 피스톤 로드(49b)가 후진 구동함에 따라 상술한 펼침작동의 역순으로 진행된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착대(31, 32)의 후방에 인접하는 프레임(10) 측에는 리미트스위치 등과 같은 제3감지센서(LS3)가 구비되고, 거푸집(100)이 체인컨베이어(22)의 푸셔 도그(22b)에 의해 안착대(31, 32) 측으로 순차적으로 밀려들어와, 먼저 밀려들어온 거푸집(100)이 그 뒤에서 미는 거푸집(100)에 의해 제3감지센서(LS3)와 접촉하게 되면, 제3감지센서(LS3)에 의해 체인컨베이어(22)는 구동이 중지되고, 제3감지센서(LS3)는 승강부(40) 측에 승강작동 신호를 발하게 된다.
제1지지부(50)는 각 안착대(31, 32)의 상부 측에 배치되어 적재되는 거푸집(100)의 양측면을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제1지지부(5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0)의 하부 좌ㆍ우 양측에 길이방향으로 고정설치된 제1연결축(51)과, 이 연결축(51)의 외주면 상에서 회전자재하게 설치된 다수의 제1지지부재(52)로 이루어진다.
제1지지부재(52)는 그 일측단부(즉, 거푸집(100)에 인접하게 되는 단부)의 하부면에 소정각도로 경사진 경사면(52a)을 구비하고, 그 일측단부의 상부면에는 거푸집(100)의 양측 하부면이 안착되는 평탄한 안착단턱(52b)을 구비하며, 안착단턱(52b)의 선단부에는 거푸집(100)의 양측면 형성된 단턱부(101)에 쐐기결합되는 첨예부(52c)를 구비한다.
또한, 제1지지부재(52)의 타측단부 하부면에는 제1지지부재(52)의 회전각을 제한하도록 소정각도로 경사진 스토퍼면(52d)이 구비되고, 이 스토퍼면(52d)이 프레임(10)의 하부 측에 고정설치된 고정부재(17) 상에 접촉됨에 따라 제1지지부재(52)는 그 안착단턱(52b)의 수평상태가 유지되는 범위 내로 그 회전각이 제한된다.
제2지지부(60)는 제1지지부(50) 및 안착대(31, 32) 사이에 배치되어 적재되는 거푸집(100)이 제1지지부(50)의 제1지지부재(52)로부터 이탈될 경우에 거푸집(100)이 하부로 낙하됨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제2지지부(6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연결축(51) 및 안착대(31, 32) 사이에서 프레임(10)의 길이방향으로 고정설치된 좌ㆍ우 양측의 제2연결축(61)과, 제2연결축(61)의 외주면 상에서 회전자재하게 설치된 다수의 제2지지부재(62)로 이루어진다.
제2지지부재(62)는 그 일측단부(즉, 거푸집(100)에 인접하게 되는 단부)의 하부면에 소정각도로 경사진 경사면(62a)을 구비하고, 그 일측단부의 상부면에는거푸집(100)의 양측 하부면이 안착되는 평탄한 안착단턱(62b)을 구비하며, 안착단턱(62b)의 선단부에는 첨예부(62c)를 구비하고, 이 제2지지부재(62)는 그 안착단턱(62b)이 상술한 제1지지부재(52)의 안착단턱(52b) 보다 내측으로 더 진입되어 배치된다.
또한, 제2지지부재(62)의 전방 하부면에는 제2지지부재(62)의 회전각을 제한하도록 소정각도로 경사진 제한단턱(62d)을 구비되고, 이 제한단턱(62d)이 안착대(31, 32) 상부 측에 고정설치된 고정부재(18) 상에 걸림결합됨에 따라 제2지지부재(62)는 그 안착단턱(62b)의 수평상태가 유지되는 범위 내로 그 회전각이 제한된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대(41)의 후방 하부 일측에는 승강대(41)의 높이를 감지하는 제1 내지 제3 근접스위치(S1, S2, S3)가 하부에서 상부로 배치된다.
제1근접스위치(S1)는 최하부 측에 배치되고, 이 제1근접스위치(S1)에 승강대(41)가 근접하게 될 경우에(즉, 제1근접스위치(S1)가 "온(ON)" 상태일 경우), 승강대(41)는 안착대(31, 32)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준비" 위치에서 대기함을 의미한다. 이 때, 상술한 제1 내지 제3 감지센서(LS1, LS2, LS3)는 정상적으로 작동하게 된다.
제3감지센서(LS3)에 의해 승강대(41)가 "준비" 상태에서 상부로 상승하여 제2근접스위치(S2)에 근접하기 전(즉, 제2근접스위치(S2)가 "온(ON)" 상태가 되기 전)까지 상승하게 되면, 승강대(41)는 거푸집(100)의 양측면이 후술하는 제1지지부(50)의 제1지지부재(52)에 의해 맞물려져 지지될 때까지 상승하게 되고, 승강대(41)가 제2근접스위치(S2)에 접근하여 제2근접스위치(S2)가 "온(ON)"되면, 승강대(41)는 다시 "준비" 위치로 하강하게 된다.
상술한 승강부(40) 및 제1지지부(50)에 의해 거푸집(100)의 적재공정이 완료되면, 작업자의 수동조작에 의해 승강대(41)를 제3근접스위치(S3)에 접근시킨 후에 다시 하강시키면, 적재가 완료된 다수의 거푸집(100)은 후술하는 제1지지부재(52)의 안착단턱(52b)에 안착되고, 이렇게 제1지지부재(52)의 안착단턱(52b)에 다수의 거푸집(100)이 안착된 후에 거푸집(100)의 포장작업 및 반출작업이 수행된다.
가이드부(70)는 프레임(10)의 좌ㆍ우 양측면 상에 다수의 제1 및 제2 가이드부재(71, 72)가 이동가능하게 배치되어 상술한 제1 및 제2 지지부(50, 60)에 의해 적재되는 다수의 거푸집(100)의 전ㆍ후ㆍ좌ㆍ우 측면에 접촉하면서 거푸집(100)의 적재 공정을 정렬하도록 구성된다.
다수의 제1가이드부재(71)는 평평한 면을 가진 바 형상으로 이루어져, 적재되는 거푸집(100)의 좌우 측면을 정렬하는 역할을 한다.
다수의 제2가이드부재(72)는 "L"자 형태의 단면을 가지고, 제1가이드부재(71)의 전방 및 후방 측에 배치되고, 프레임(10)의 입구 및 출구 측으로 이송되는 적재함(100)의 전방면 및 후방면을 정렬하는 역할을 한다.
가이드 구동부(80)는 프레임(10)의 좌우 양측면 상에서 수평방향으로 가로질러 고정설치된 다수의 제1 크로스부재(15, 16) 및 다수의 제1 및 제2 가이드부재(71, 72)를 수평방향으로 연결하는 제2크로스부재(75, 76) 사이에 링크결합되어, 가이드부(70)를 거푸집(100)의 측면에 접촉 및 이격시키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가이드 구동부(80)는 제1 및 제2 크로스부재(15, 75 ,16, 76) 사이를 링크결합시키는 다수의 링크부재(81) 및 피스톤로드(82a)의 자유단부가 제1링크부재(81)의 하부측에 힌지결합된 다수의 구동실린더(82)로 이루어진다.
각 링크부재(81)는 그 일측단부가 제1크로스부재(15, 16) 측에 각각 힌지결합되고, 그 타측단부는 제2크로스부재(75, 76) 측에 각각 힌지결합된다.
각 구동실린더(82)는 링크부재(81)의 하부면에 연결되어 링크부재(81)를 상하방으로 회동시키도록 구성된다. 즉, 구동실린더(82)는 그 피스톤로드(82a)의 자유단부가 링크부재(81)의 하부면 상에 힌지결합되고, 그 상단부가 제1크로스부재(15, 16)의 하부에 고정설치된 브라켓(15a, 16a)에 고정설치된다.
이러한 가이드 구동부(80)의 구성에 의해, 구동실린더(82)의 피스톤로드(82a)가 전진 또는 후진 구동하게 되면, 링크부재(81)는 제1크로스부재(15, 16)에 힌지결합된 일측단부를 기준으로 상향 또는 하향으로 회동되고, 이에 따라 제2크로스부재(75, 76) 및 이에 결합된 다수의 제1 및 제2 가이드부재(71, 72)가 소정의 반경으로 회동되어 제1 및 제2가이드부재(71, 72)는 거푸집(100)의 측면에 접촉 또는 이격된다.
이와 같이, 가이드 구동부(80)는 가이드부(70)를 거푸집(100)의 전ㆍ후ㆍ좌ㆍ우 측면에 접촉시킴으로써, 상술한 승강부(40) 및 제1지지부(50)에 의해 적재되는 다수의 거푸집(100)은 그 전ㆍ후ㆍ좌ㆍ우 측면이 정렬된다.
또한, 가이드 구동부(80)에 의해 가이드부(70)를 거푸집(100)의 양측면으로부터 이격시킴으로써, 그 적재 및 포장이 완료된 다수의 거푸집(100)을 지게차 등과 같은 반출기계에 의해 반출시킬 때 그 반출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가이드부(70)의 전방 또는 후방측의 제2가이드부재(72)에 근접하여 제3가이드부재(73)가 이동가능하게 구비되고, 이 제3가이드부재(73)는 적재되는 거푸집(100)의 전ㆍ후면을 정렬함에 있어 거푸집(100)의 사이즈 변동에 대응하기 위함이다.
즉, 거푸집(100)의 좌우 양측면은 가이드 구동부(80)에 의해 이동하는 제1가이드부재(71)에 의해 거푸집(100)의 사이즈 변동에 대응할 수 있지만, 거푸집(100)의 전ㆍ후면은 제2가이드부재(72)가 제2크로스부재(75, 76)의 특정 위치에 고정됨에 따라 거푸집(100)의 사이즈 변동에 대응할 수 없게 된다.
이에 따라, 제2크로스부재(75, 76)의 전방 또는 후방 측에서 보조 링크부재(85)에 의해 회동되어 이동하는 제3가이드부재(73)를 더 구비함으로써 거푸집(100)의 사이즈 변동에 대응하여 거푸집(100)의 전ㆍ후면을 보다 정확하게 정렬할 수 있도록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3가이드부재(73)의 이동구조는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가이드부재(73) 및 제2크로스부재(75, 76) 사이에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된 보조 링크부재(85)에 의해 구현된다. 보조링크부재(85)는 그 일측단부가 제2크로스부재(75, 76)에 힌지결합되고, 그 타측단부는 제3가이드부재(73)에 힌지결합됨으로써, 제3가이드부재(73)는 제2크로스부재(75, 76)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동하여 제1 및 제2 가이드부재(71, 72) 보다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된다.
포장부(90)는 프레임(10)의 후방 배출구 측에 구비되어 금속밴드(91)를 이용하여 적재가 완료된 다수의 거푸집(100) 외부면을 묶어 포장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포장부(90)는 금속밴드(91)가 감겨진 밴드롤(92)과, 프레임(10)의 일측 내부면 상에 배치된 감기전동기구(93)와, 감기전동기구(93)의 감기전동절(93f) 일측에 고정된 밴드 고정구(94)와, 밴드롤(92) 측에 소정의 장력을 부여하는 텐션기구(95)와, 이 밴드롤(92)의 전방 측에 배치되어 금속밴드(91)의 감김 작동후에 외부로 이탈됨을 방지하는 홀딩자성체(96)를 포함한다.
밴드롤(92)은 소정 폭을 가진 금속밴드(91)가 감겨지고, 그 회전축(92c)이 프레임(10)의 후방 측에 부착된 브라켓(92a)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또한, 밴드롤(92)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브라켓(92a)은 프레임(10)의 후방 측에서 경첩(92b) 등을 통해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된다.
감기전동기구(93)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0)의 일측에 설치된 구동모터(93a)와, 이 구동모터(93a)의 출력축 상에 설치된 구동풀리(93b)와, 이 구동풀리(93b)로부터 소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된 다수의 종동풀리(93c, 93d, 93e)와, 구동풀리 및 종동풀리(93b, 93c, 93d, 93e) 사이에 장설된 감기전동절(93f)과, 감기전동절(93f)의 구동시에 텐션을 부여하는 텐션풀리(94g)를 포함한다.
한편, 도 8에서는 본 실시예의 감아걸기 전동기구가 체인 및 스프라켓 등로 이루어진 체인 전동기구 형태로 이루어졌지만,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벨트, 로프 등으로 이루어진 그외의 다양한 형태의 감아걸기전동기구가 모두 적용가능할 것이다.
밴드 고정구(94)는 봉형태의 연결부재(94d)를 매개로 감기전동절(93f)의 일측에 고정적으로 부착되어 감기전동절(93f)의 궤적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밴드 고정구(94)는 상하방으로 관통되는 관통공(94a)를 가지고, 이 관통공(94a)에 금속밴드(91)의 자유단부가 삽입되며, 이 관통공(94a)에 대해 직각방향으로 체결공(94b)이 형성되며, 이 체결공(94b)에 체결볼트(94c)가 체결되어 관통공(94a)에 삽입된 금속밴드(91)의 자유단부를 고정하게 된다.
텐션기구(95)는 밴드롤(92)의 회전축(92b) 외주면에 걸쳐진 텐션밴드(95a) 및 이 텐션밴드(95a)의 양단부 및 브라켓(92a) 사이에 탄성적으로 설치된 한 쌍의 스프링부재(95b)로 이루어진다.
텐션밴드(95a)는 마찰력을 가진 재질로 이루어지고, 밴드롤(92)의 회전축(92c) 외주면에 걸쳐진다.
각 스프링부재(95b)는 그 일측단부가 브라켓(92a)의 일측에 고정되고, 그 타측단부는 텐션밴드(95a)의 양단부 상에 고정되어 밴드롤(92)의 회전축(92b) 상에 소정의 긴장력을 부여하게 되고, 이에 따라 밴드롤(92)은 그 회전시에 적정 장력으로 긴장된다.
홀딩자성체(96)는 금속밴드(91)의 감김작동이 완료되어 금속밴드(91)의 일부가 커팅된 후에, 금속밴드(91)가 밴드롤(92)로부터 어지럽게 풀어짐을 방지하고자 금속밴드(91)의 일측을 일시 홀딩할 수 있는 자성체재질로 이루어진다.
이하,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동관계를 아래와 같이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적재하고자 하는 거푸집(100)을 이송부(20)의 이송롤러(21) 측에 올려놓은 다음에, 다수의 이송롤러(21)를 구동시키면, 거푸집(100)은 이송롤러(21)의 배치방향을 따라 이송되어 제1감지센서(LS1)에 접촉하게 된다. 제1감지센서(LS1)는 체인컨베이어(22) 측에 구동신호를 발하게 되고, 체인컨베이어(22)가 구동하여 거푸집(100)을 이송시켜 그 푸셔 도그(22a)에 의해 거푸집(100)을 프레임(10)의 좌ㆍ우 양측의 하부에 구비된 안착대(31, 32) 상으로 밀어 내고, 이에 따라 거푸집(100)은 그 양측면이 안착대(31, 32)에 안착된다.
이렇게 단일의 거푸집(100)이 안착대(31, 32) 상에 안착되는 동안 체인컨베이어(22)는 연속하여 구동하여 체인컨베이어(22)의 푸셔 도그(22a)가 제2감지센서(LS2)와 접촉하게 되면, 제2감지센서(LS2)는 체인컨베이어(22)의 구동을 중지시키도록 신호를 발하게 되고, 그 구동이 중지된 체인컨베이어(22)는 그 다음에 투입되는 거푸집(100)을 대기하게 된다.
상술한 공정이 반복되어, 다음에 투입되는 거푸집(100)이 안착대(31, 32)에 미리 안착된 거푸집(100)을 안착대(31, 32)의 후방측으로 밀어 내면, 안착대(31, 32) 상에는 다수의 거푸집(100)이 소정열을 이루면서 순차적으로 안착된다.
이 때,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인컨베이어(22)에 의해 다수의 거푸집(100)이 안착대(31, 32)의 길이방향으로 이송되면, 승강대(41)가 제1근접스위치(S1)에 근접하여 제1근접스위치(S1)는 "온(ON)" 상태가 되고, 승강대(41)는 안착대(31, 32) 보다 약간 낮은 위치 즉, "준비" 위치에서 대기하게 된다.
그런 다음에, 최초 투입된 거푸집(100)이 그 다음에 투입되는 거푸집(100)에 의해 안착대(31, 32)의 최후방 측으로 밀려 들어가 제3감지센서(LS3)와 접촉하게되면, 제3감지센서(LS3)는 체인컨베이어(22)의 구동을 중지시키는 신호를 발한 후에 승강부(40)의 구동실린더(49) 측에 구동신호를 발하게 된다.
이에 따라, 승강부(40)의 구동실린더(49)는 그 피스톤 로드(49b)가 전진구동하게 되면, 피스톤 로드(49b)의 자유단부가 크로스부재(49a)를 밀어 내어 좌ㆍ우 양측의 X형 링크(42, 43)가 상대적으로 회동운동을 하여 그 펼침작동이 일어나게 된다.
이렇게 X형 링크(42, 43)가 펼침작동하게 되면, 승강대(41)는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승하여 거푸집(100)을 상부로 밀어올리게 된다.
이와 같이 승강대(41)에 의해 상승하는 거푸집(100)의 양측면은 제2 지지부재(62)의 경사면(62a)과 접촉하며 상승하게 되고, 이에 따라 제2 지지부재(62)는 상부로 회동하게 된다.
그런 다음에, 도 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대(41)는 제2근접스위치(S2, 도 3 참조)가 "온(ON)" 상태가 되기 전까지 계속 상승하게 되면, 거푸집(100)의 양측면은 제1 지지부재(52)의 경사면(52a) 상부 측과 접촉하는 상태가 되고, 제2지지부재(62)의 경사면(62b)가 거푸집(100)의 양측면으로부터 이탈되어 제2지지부재(62)는 그 안착단턱(62b)이 수평상태가 되도록 하부로 회동하게 된다.
다음, 도 9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대(41)는 거푸집(100)의 양측면에 형성된 단턱부(101)에 제1지지부재(52)의 첨예부(52c)가 쐐기결합됨에 따라, 거푸집(100)의 양측면은 제1지지부재(52)의 첨예부(52c) 측에 맞물려져 지지된다.
이때, 거푸집(100)의 양측면은 제1지지부재(52)의 첨예부(52c)와의 쐐기 결합력 및/또는 마찰력에 의해 그 맞물려진 상태가 유지되어 지지된다.
그런 다음, 상술한 제 공정들이 반복되어 다수의 거푸집(100)이 상부로 차곡차곡 적층되어 그 적재가 완료된다.
다음, 도 9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대(41)는 제3근접스위치(S3)가 "온(ON)" 상태가 되도록 상승(즉, 적재가 완료된 거푸집(100)의 최하부가 제1지지부재(52)로부터 완전히 이탈되는 위치까지 상승하게 되는 경우임)하게 되면, 제1지지부재(52)는 그 안착단턱(52b)이 수평상태가 되도록 하부로 회동하게 되고, 이런 상태에서 다시 승강대(41)가 그 "준비" 위치로 하강하면 적재가 완료된 다수의 거푸집(100)은 제1지지부재(52)의 안착단턱(52b)에 안착되고, 승강대(41)와 거푸집(100) 사이에는 소정의 간극이 형성된다.
한편, 도 9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적재과정 도중에 거푸집(100)의 일측 또는 좌우 양측 모두가 제1지지부재(52)의 안착단턱(52b)에서 이탈되어 하부로 낙하될 경우에는 다음에 투입되는 거푸집(100)의 진입을 방해하거나 적재작업이 비정상적으로 중단될 수 있으므로, 제1지지부재(52)의 안착단턱(52b)보다 프레임(10)의 내측으로 진입되어 배치된 제2지지부재(62)의 안착단턱(62b)에 의해 이탈되는 거푸집(100)을 받아 주어 거푸집(100)이 하부로 낙하됨을 방지하여, 다음 작업에 지장을 주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다수의 거푸집(100)이 그 적재가 완료되면, 밴드롤(92)로 풀린 금속밴드(91)의 일측단부가 밴드 고정구(94)에 고정된 상태에서, 감기전동기구(93)의 구동모터(93a)가 구동되면, 감기전동절(93f)이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소정의궤도운동을 하게 되고, 이에 연동하여 밴드 고정구(94) 및 이 밴드 고정구(94)에 일측단부가 고정된 금속밴드(91)도 동일한 방향으로 궤도운동을 하게 되며, 이에 따라 금속밴드(91)는 적재가 완료된 다수의 거푸집(100)의 외주면을 감싸면서 포장을 하게 된다.
이렇게 금속밴드(91)가 적재가 완료된 거푸집(100)의 외주면을 감싼 후에는 커터(미도시)를 이용하여 커팅한 후에 고정함으로써 그 포장작업을 완료하게 된다.
그런 다음에, 가이드부(70)를 가이드 구동부(80)에 의해 적재 및 포장이 완료된 거푸집(100)의 양측면으로부터 이격시킨 후에, 거푸집(100)과 승강대(41) 사이에 형성된 간극을 통해 지게차(forklift)의 포크(fork)를 삽입하여 외부로 반출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은, 거푸집의 자동적재 작동을 보다 정확하게 수행하여 그 적재 작동의 안정성을 보장할 수 있으며, 적재 및 포장공정을 연속적으로 수행함으로써 다수의 거푸집의 운반 및 보관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적재가 완료된 다수의 거푸집의 포장작업을 연속적으로 수행함에 따라 그 포장작업에 소요될 수 있는 인건비 및 작업시간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고안은 상술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9)

  1.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입구측에 구비되어 다수의 거푸집을 순서대로 이송시키는 이송부와;
    상기 프레임의 하부 좌우 양측면에 구비되어 이송부에서 이송되는 다수의 거푸집의 양측면이 안착되는 한 쌍의 안착대와;
    상기 한 쌍의 안착대 사이에서 승하강가능하게 구비되어 안착대에 적재되는 다수의 거푸집을 상부로 승강시키는 승강부와;
    상기 각 안착대의 상부 측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한 쌍의 회전축 및 각 회전축의 각 외주면 상에 설치되어 거푸집의 양측면을 지지하는 다수의 제1지지부재로 이루어진 제1지지부와;
    상기 프레임의 좌ㆍ우 양측면 상에서 배치되어 적재되는 거푸집의 전ㆍ후ㆍ좌ㆍ우 측면을 정렬하여 다수의 거푸집이 정렬된 상태로 적재되도록 안내하는 한 쌍의 가이드부와;
    상기 각 가이드부를 적재되는 거푸집의 측면에 접촉 또는 이격시키도록 구동시키는 가이드 구동부와;
    상기 프레임의 후방 배출구 측에 구비되어 금속재질의 밴드로 적재가 완료된 다수의 거푸집 외부면을 묶어 포장하는 포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자동적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부재는 그 일측단부의 하부면에 소정각도로 경사진 경사면을 구비하고, 그 일측단부의 상부면에는 거푸집의 양측 하부면이 안착되는 평탄한 안착단턱을 구비하며, 상기 안착단턱의 선단부에는 거푸집의 양측면에 형성된 단턱부에 맞물려지는 첨예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지지부재의 타측단부 하부면에는 제1지지부재의 회전각을 제한하도록 소정각도로 경사진 스토퍼면을 구비하며, 상기 스토퍼면은 프레임의 하부 측에 고정설치된 고정부재 상에 접촉됨에 따라 제1지지부재는 그 안착단턱의 수평상태가 유지하는 범위 내로 그 회전각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자동적재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부의 하부측에는 제2지지부를 더 구비하고, 이 제2지지부는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한 쌍의 회전축 및 각 회전축의 외주면 상에 설치된 다수의 제2지지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자동적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지지부재는 그 일측단부의 하부면에 소정각도로 경사진 경사면을 구비하고, 그 일측단부의 상부면에는 거푸집의 양측 하부면이 안착되는 평탄한 안착단턱을 구비하며, 상기 안착단턱의 선단부에는 첨예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지지부재의 첨예부는 제1지지부재의 첨예부 보다 프레임의 내측으로 더 진입되어 배치되고, 제2지지부재의 경사면 하부에는 제2지지부재의 회전각을 제한하는 제한단턱을 구비하고, 상기 제한단턱은 안착대의 상부 측에 고정설치된 고정부재 상에 걸림결합됨에 따라 제2지지부재는 그 안착단턱의 수평상태가 유지하는 범위 내로 그 회전각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자동적재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는
    상기 안착대 상에 적재되는 다수의 거푸집 하부면을 지지하는 승강대와,
    상기승강대의 하부 내측면 상에 상호 회동가능하게 X자형태로 힌지결합된 내ㆍ외측 링크부재로 이루어진 좌ㆍ우 양측의 X형 링크와,
    상기 프레임의 하부면 상에 지지되는 한 쌍의 하부 연결축과,
    상기 승강대의 좌우 내측면 상에 지지되는 한 쌍의 상부 연결축과,
    상기 각 X형 링크의 내ㆍ외측 링크부재를 상호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시키는 한 쌍의 중앙 연결축과,
    상기 좌ㆍ우 양측의 X형 링크를 접힘 및 펼침 작동시키는 구동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자동적재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프레임의 좌ㆍ우 양측면 상에 다수의 제1 및 제2 가이드부재가 이동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1가이드부재는 평평한 면을 가진 바 형상으로 이루어져 적재되는 거푸집의 좌우 측면을 정렬하며, "L"자 형태의 단면을 가진 제2가이드부재는 상기 제1가이드부재의 전방 및 후방 측에 배치되어 프레임의 입구 및 출구 측으로 이송되는 적재함의 전방면 및 후방면을 정렬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자동적재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구동부는
    상기 프레임의 좌우 양측면 상에서 수평방향으로 가로질러 고정설치된 다수의 제1 크로스부재 및 다수의 제1 및 제2 가이드부재를 수평방향으로 연결하는 제2크로스부재 사이에 링크결합된 다수의 링크부재와,
    피스톤로드의 자유단부가 각 링크부재의 하부측에 힌지결합된 다수의 구동실린더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자동적재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의 전방 또는 후방측의 제2가이드부재에 근접하여 제3가이드부재가 더 구비되고, 상기 제3가이드부재 및 제2크로스부재 사이에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된 보조 링크부재에 의해 제3가이드부재가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자동적재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부는
    금속밴드가 감겨진 밴드롤과,
    상기 프레임의 일측 내부면 상에 배치된 감기전동기구와,
    상기 감기전동기구의 감기전동절 일측에 고정된 밴드 고정구와,
    상기 밴드롤 측에 소정의 장력을 부여하는 텐션기구와,
    상기 밴드롤의 전방 측에 배치되어 금속밴드의 감김 작동후에 외부로 이탈됨을 방지하는 홀딩자성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자동적재장치.
KR20-2004-0022607U 2004-08-09 2004-08-09 거푸집 자동 적재장치 KR20036830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2607U KR200368309Y1 (ko) 2004-08-09 2004-08-09 거푸집 자동 적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2607U KR200368309Y1 (ko) 2004-08-09 2004-08-09 거푸집 자동 적재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2314A Division KR100627869B1 (ko) 2004-08-09 2004-08-09 거푸집 자동 적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8309Y1 true KR200368309Y1 (ko) 2004-11-18

Family

ID=493521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2607U KR200368309Y1 (ko) 2004-08-09 2004-08-09 거푸집 자동 적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830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0199B1 (ko) * 2018-01-30 2019-03-14 조종래 멸치 떨이 자동화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0199B1 (ko) * 2018-01-30 2019-03-14 조종래 멸치 떨이 자동화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96369A (en) Pallet inspection and stacking apparatus
CN109319203B (zh) 钢管码垛缠绕打包生产线
US3833132A (en) Pallet loading apparatus
KR102108710B1 (ko) 합판 운반장치
KR101569468B1 (ko) 팔레트 자동 적층 장치
WO2017088477A1 (zh) 龙骨包装设备
KR100627869B1 (ko) 거푸집 자동 적재장치
US3904053A (en) Engage-disengage device for cargo-transfer means in mechanical cargo handling system of the load replacing type
KR200368309Y1 (ko) 거푸집 자동 적재장치
CN110155729B (zh) 自动叠包设备
JP3340843B2 (ja) 折畳みコンテナの移載組立方法及び装置
US3508672A (en) Tie loaders
US3203560A (en) Article layer stacking apparatus
CN210943924U (zh) 一种自动叠包设备
JPH09328227A (ja) 板状体段積み装置
KR101933174B1 (ko) 하물의 자동이송이 가능한 회전식 하물적재장치
CN217375065U (zh) 中转链板机构及其石墨电极钢带包装线
JPS5916356Y2 (ja) 物品の段積み装置
CN218113257U (zh) 一种自动捆扎系统
CN220243687U (zh) 托盘对中机构
CN218619191U (zh) 饲料包堆垛机托盘输送装置
JP3537906B2 (ja) 建物ユニット内への部材積込装置
JP3799972B2 (ja) 被搬送物の積み付け装置
KR200362453Y1 (ko) 거푸집패널의 자동적재장치
KR101970286B1 (ko) 고정기능을 구비하는 적재함 이송 및 승, 하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