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2453Y1 - 거푸집패널의 자동적재장치 - Google Patents

거푸집패널의 자동적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2453Y1
KR200362453Y1 KR20-2004-0015966U KR20040015966U KR200362453Y1 KR 200362453 Y1 KR200362453 Y1 KR 200362453Y1 KR 20040015966 U KR20040015966 U KR 20040015966U KR 200362453 Y1 KR200362453 Y1 KR 20036245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in
formwork panel
loading device
formwork
conveyor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596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성각
Original Assignee
조성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성각 filed Critical 조성각
Priority to KR20-2004-001596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245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245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2453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7/00Stacking of articles
    • B65G57/02Stacking of articles by adding to the top of the stack
    • B65G57/03Stacking of articles by adding to the top of the stack from abo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24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comprising a series of rollers which are moved, e.g. over a supporting surface, by the traction element to effect conveyance of loads or load-carri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3/00Driving gear for endless conveyors; Belt- or chain-tensioning arrangements
    • B65G23/02Belt- or chain-engaging elements
    • B65G23/04Drums, rollers, or wheels
    • B65G23/06Drums, rollers, or wheels with projections engaging abutments on belts or chains, e.g. sprocket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52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2Control or detection
    • B65G2203/0266Control or detection relating to the load carrier(s)
    • B65G2203/0291Speed of the load carri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acking Of Articles And Auxiliary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거푸집패널의 자동적재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성 및 구조가 간단하고, 다수개의 거푸집패널을 자동으로 소정장소 및 소정위치로 이동시켜 적층 및 적재되게 이루어짐으로써 작업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등의 효과를 거둘 수 있다.

Description

거푸집패널의 자동적재장치{Auto loading device of molding flask}
본 고안은 거푸집패널의 자동적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건설현장에서 사용되거나 거푸집패널 제작공장에서 제작되는 다수개의 거푸집패널을 간편하게 자동으로 적재 및 적층시킴으로써 보다 용이하게 거푸집패널을 반출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거푸집패널의 자동적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빌딩, 아파트 등의 콘크리트 건축물이나 구조물 등의 옹벽을 축조하기 위해서는 축조하고자 하는 옹벽의 두께 및 형상에 맞는 모양의 틀을 형성한 다음 콘크리트 모르타르를 부어 넣고 경화시킨 다음 이 틀을 떼어내게 되는데 이러한 틀을 거푸집이라고 한다.
이렇게 콘크리트를 양생시켜 옹벽을 형성하기 위한 거푸집은 보통 목재를 주로 사용하였으며, 축조할 건축물의 종류와 높이에 따라 여러 형태와 재질로 이루어지는 거푸집패널이 사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일정한 크기로 규격화된 거푸집이 널리 보급되어 사용되며, 이러한 거푸집은 철재 또는 알루니늄재질로 제작되는 사각형상의 프레임으로 이루어지고, 그 내측에 소정간격 구획되는 지지바가 내장되며, 일측 상부면에는 합판이 부착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거푸집패널은 어떠한 형태의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에도 설치 및 해제가 간편용이하며, 반복사용이 가능하여 자재비를 절감할 수 있으며, 작업의 단순화 및 표준화에 의하여 인건비 절감 등에 효과가 상당하다.
한편, 이러한 거푸집패널은 건설현장에서 대량으로 사용되므로 다수개의 거푸집패널을 가지런히 쌓아 적층시켜 놓고 사용시에는 이를 용이하게 반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공간의 효율적인 이용차원에서 매우 중요하게 인식되어 왔다.
또한, 건설현장에서 사용된 거푸집패널을 수거할 때에 현장에서 일하는 작업자 또는 인부가 일일이 많은 양의 거푸집패널을 수거하여 소정장소 및 소정위치에 적층시켜야 하며, 이렇게 적재 및 적층보관된 다수개의 거푸집패널을 트럭 등의 운반차량에 옮겨놓아야 하는 등 인건비의 상승을 초래할 뿐만 아니라, 작업의 효율성을 현저히 저하시킨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거푸집패널을 제작 또는 임대하는 업체에서도 많은 양의 거푸집패널을 한정된 공간 내에 효율적으로 보관해야 하는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한편, 건설현장 등에서 사용된 거푸집패널에는 콘크리트 이물질 등의 이물질이 부착되어 있으며, 이렇게 콘크리트 이물질 등의 잔여물이 부착된 거푸집패널을 재사용하기 위해서는 거푸집패널에 달라붙은 콘크리트 이물질을 제거한 후 다시 사용하여야 했다.
이러한 콘크리트 이물질 등의 잔여물이 부착된 거푸집패널은 대략 직각구조로 제작된 거푸집패널의 이물질 제거장치를 통하여 이물질 등의 잔여물을 제거한후 재사용가능하게 이루어진다.
이렇게 거푸집패널의 이물질 제거장치를 통하여 이물질이 제거된 거푸집패널은 작업자가 직접 소정장소 및 소정위치로 옮겨 놓아야 하며, 공간을 활용하기 위하여 다수개의 거푸집패널을 적층 및 적재하여 보관한 후 건설현장에서의 재사용을 위하여 지게차 등의 별도의 운반차량을 이용하여 이동시킴으로써 건설현장에 보내지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다수개의 거푸집패널을 작업자가 일일이 수동으로 소정장소 및 소정위치에 적재 및 적층하는 경우 그에 소요되는 비용과 시간의 낭비가 심각하므로 이를 자동화할 수 있는 장치가 요구되어 왔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구성 및 구조가 간단하고, 다수개의 거푸집패널을 자동으로 소정장소 및 소정위치로 이동시켜 적층 및 적재되게 이루어짐으로써 작업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거푸집패널의 자동적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거푸집패널의 자동적재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거푸집패널의 자동적재장치의 적재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거푸집패널의 자동적재장치의 적재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거푸집패널의 자동적재장치, 3, 3'...거푸집패널,
11...제1 컨베이어장치, 12...제2 컨베이어장치,
13...제3 컨베이어장치, 15, 15'...위치조절센서,
16, 16'...롤러, 17...적재부,
18...체인, 30...적재장치,
31...고정부재, 32...프레임,
33...지지편, 34a, 34b, 34c, 34d, 34e...스프로킷,
35a, 35b...제1, 2 체인, 36...회전부재,
37...가이드편, 38, 38'...연결편,
39...회동암, 39a...걸림턱,
50...모터, 51...제3 체인,
70...적재함.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제1 컨베이어장치와, 상기 제1 컨베이어장치에 근접되게 연결되는 제2 컨베이어장치와, 상기 제2 컨베이어장치에 근접되게 연결되는 제3 컨베이어장치와, 상기 제3 컨베이어장치에 근접되게 설치되는 적재장치로 이루어지는 거푸집패널의 자동적재장치에 있어서, 상기 적재장치는 대략 사각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중심측 적소에 판체형상의 지지편이 수직방향으로 구비되는 한 쌍의 프레임과, 상기 각 프레임의 각 가장자리 적소에 회전가능하게 이루어지는 다수개의 스프로킷과, 상기 각 스프로킷이 제1 체인 및 제2 체인에 의하여 상호 연결되도록 이루어지는 고정부재와; 대략 판체형상으로 형성되어 그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되고, 그 상부 적소가 소정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외측면 양 단부 적소에 봉상체형상의 연결편이 각각 구비되는 가이드편과, 상기 가이드편의 외측면 적소에 힌지결합되어 그 내, 외측으로 소정각도 회동가능하게 이루어지고, 가이드편의 길이방향으로 소정간격 이격되어 다수개 구비되는 회동암으로 이루어지는 회전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회동암은 대략 후크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내측 적소에 걸림턱이 돌출형성되며, 걸림턱이 형성되는 회동암의 하측 단부가 소정각도 경사지게 이루어진다.
그리고, 제1 체인은 프레임의 지지편을 중심으로 좌측의 각 가장자리 적소에 구비되는 각각의 스프로킷을 상호 연결시키도록 이루어지고, 제2 체인은 프레임의 지지편을 중심으로 우측의 각 가장자리 적소에 구비되는 각각의 스프로킷을 상호 연결시키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고정부재의 프레임의 좌, 우측 각 가장자리에 구비되는 각각의 스프로킷 중 프레임의 지지편 상부 양 측 가장자리에 근접되게 구비되는 2개의 스프로킷이 그 일측 적소에 구비되는 모터와 제3 체인에 의하여 회전가능하게 연결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회전부재 가이드편의 외측면 양 단부 적소에 구비되는 각각의 연결편 중 어느 한 연결편이 제1 체인의 적소와 연결되고, 다른 한 연결편이 제2 체인의 적소와 연결되며, 각 체인의 회전에 의하여 회전부재가 회동가능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고정부재의 각 체인 적소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회전부재가 상호 소정거리 이격되어 다수개 구비된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거푸집패널의 자동적재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거푸집패널의 자동적재장치의 지지부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거푸집패널의 자동적재장치의 지지부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면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거푸집패널의 자동적재장치(1)는 제1 컨베이어장치(11)와 제2 컨베이어장치(12)와 제3 컨베이어장치(13)와 적재장치(30)로 구성된다.
상기 제1 컨베이어장치(11)와 제2 컨베이어장치(12)와 제3 컨베이어장치(13)는 그 상부에 배열 및 위치하는 대상물을 소정장소로 이송 및 이동시키는데 사용되는 일반적인 장치이다.
상기 제1 컨베이어장치(11)는 2개의 체인열이 구비되어 거푸집패널(3)의 양 측 단부를 지지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거푸집패널(3)의 길이보다 약간 작은 거리만큼 상호 소정간격 이격된 채로 상기 제2 컨베이어장치(12)까지 연장되며, 상기거푸집패널(3)을 제2 컨베이어장치(12)로 이송시키는 역할을 담당한다.
상기 제2 컨베이어장치(12)는 상기 제1 컨베이어장치(11)에서 이송되는 거푸집패널(3)을 상기 제3 컨베이어장치(13)로 이송시키도록 이루어지며, 그 내측에는 상기 제1 컨베이어장치(11)와 동일하게 2개의 체인열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제2 컨베이어장치(12)의 단부 적소 즉, 상기 제3 컨베이어장치(13)와 근접되는 제2 컨베이어장치(12)의 단부 적소에 위치조절센서(15)가 구비되어 제2 컨베이어장치(12)를 통하여 그 단부로 이송되는 거푸집패널(3)이 소정위치에 도달된 후 그 이동을 저지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제2 컨베이어장치(12)의 단부에 구비되는 위치조절센서(15)에 의하여 상기 제2 컨베이어장치(12)를 통하여 그 단부로 이송되는 거푸집패널(3)이 상기 제3 컨베이어장치(13)로 이송되기 용이한 위치에 정지하게됨으로써 상기 거푸집패널(3)이 상기 제2 컨베이어장치(12)를 통하여 제3 컨베이어장치(13)로의 이송이 용이해진다.
한편, 상기 제1 컨베이어장치(11)와 제2 컨베이어장치(12)에는 거푸집패널(3)의 용이한 이송을 위하여 다수개의 롤러(16, 16')가 구비되며, 상기 제1 컨베이어장치(11)와 제2 컨베이어장치(12)에 구비되는 롤러(16, 16')는 그 일측에 구비되는 모터에 의하여 회전하게 된다.
상기 제3 컨베이어장치(13)는 상기 제2 컨베이어장치(12)의 일측에 구비되고, 제2 컨베이어장치(12)의 단부에 구비되는 위치조절센서(15)에 의하여 소정위치까지 이송된 후 정지되어 있는 거푸집패널(3)을 제3 컨베이어장치(13)의 단부측에구비되는 적재부(17)로 이송시키기 위한 체인(18)이 그 양 측 적소에 각각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적재부(17)는 판체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이송되어 배열되는 거푸집재널(3)의 길이방향 폭보다 작은 폭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제3 컨베이어장치(13) 적재부(17)의 단부에 근접되는 일측에는 제3 컨베이어장치(13)의 체인(18)에 의하여 이송되는 거푸집패널(3)의 위치를 조절하거나 이송되는 거푸집패널(3)의 이동을 정지시키기 위한 위치조절센서(15')가 구비된다.
상기 적재장치(30)는 상기 제3 컨베이어장치(13)의 단부에 구비되는 적재부(17)의 상부면에 배열된 다수개의 거푸집패널(3)을 소정장소 및 소정위치로 이동시키기 용이하도록 상기 제3 컨베이어장치(13)의 근접되는 일측에 구비된다.
이러한 상기 적재장치(30)는 고정부재(31)와 회전부재(36)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부재(31)는 대략 사각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중심측 적소에 판체형상의 지지편(33)이 수직방향으로 구비되는 프레임(32)이 상호 소정거리 이격되어 한 쌍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각 프레임(32)의 각 가장자리 적소에 회전가능하게 이루어지는 스프로킷(34a, 34b, 34c, 34d)이 각각 구비되고, 상기 각 스프로킷(34a, 34b, 34c, 34d)은 제1 체인(35a) 및 제2 체인(35b)에 의하여 상호 연결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제1 체인(35a)은 상기 프레임(32)의 지지편(33)을 중심으로 좌측의 각 가장자리 적소에 구비되는 4개의 스프로킷(34a, 34b)을 상호 연결시키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제2 체인(35b)은 상기 프레임(32)의 지지편(33)을 중심으로 우측의 각가장자리 적소에 구비되는 4개의 스프로킷(34c, 34d)을 상호 연결시키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재(31)의 각 프레임(33)의 가장자리에 구비되는 각 스프로킷(34a, 34b, 34c, 34d) 중 상기 지지편(33)의 상부 양 측 가장자리에 근접되게 구비되는 2개의 스프로킷(34a, 34c)은 그 일측에 구비되는 모터(50)와 제3 체인(51) 및 스프로킷(34e)에 의하여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지지편(33)의 상부 양 측 가장자리에 근접되게 구비되는 2개의 스프로킷(34a, 34c)이 그 일측 적소에 구비되는 모터(50)와 제3 체인(51) 및 스프로킷(34e)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으나, 상기 2개의 스프로킷(34a, 34c)이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된다면 기타 다양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모터(50)를 구동시켜 상기 제3 체인(51)을 회전시키면 상기 제3 체인(51)과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상기 지지편(33)의 상부 양 측 가장자리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각 스프로킷(34a, 34c)이 회전하게 되고, 상기 제3 체인(51)에 의하여 회전되는 각 스프로킷(34a, 34c)이 회전하게 됨에 따라 상기 각 스프로킷(34a, 34c)과 제1 체인(35a) 및 제2 체인(35b)에 의하여 연결되는 나머지 스프로킷(34a, 34b, 34c, 34d)이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3 체인(51)에 의하여 회전되는 각 스프로킷(34a, 34c)에 의하여 회전되는 상기 제1 체인(35a)과 제2 체인(35b)은 상호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상기 제1 체인(35a)에 의하여 상호 연결되는 지지편(33)의 좌측 스프로킷들(34a, 34b)과 상기 제2 체인(35b)에 의하여 상호 연결되는 지지편(33)의 우측 스프로킷들(34c, 34d)은 상기 제1 및 제2 체인(35a, 35b)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즉, 상기 각 프레임(32)의 지지편(33) 상부 양 측 가장자리에 근접되게 각각 구비되고, 제3 체인(510에 의하여 모터(50)와 연결되며, 모터(50)의 구동에 의하여 회전가능하게 이루어지는 2개의 스프로킷(34a, 34c) 중 상기 지지편(33)의 좌측 상부에 구비되는 스프로킷(34a)이 모터(50)의 구동에 의하여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상기 스프로킷(34a)과 연결되는 제1 체인(35a)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상기 제1 체인(35a)에 의하여 회전가능하게 이루어지는 나머지 3개의 스프로킷(34b)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상기 지지편(33)의 우측 상부에 구비되는 스프로킷(34c)이 모터(50)의 구동에 의하여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상기 스프로킷(34c)과 연결되는 제2 체인(35b)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상기 제2 체인(35b)에 의하여 회전가능하게 이루어지는 나머지 3개의 스프로킷(34d)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프레임(32)의 지지편(33)을 중심으로 그 좌, 우측 각 가장자리 적소에 구비되는 스프로킷(34a, 34b, 34c, 34d)이 각각 4개씩으로 구비되어 있으나, 4개 이상의 다수개가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프레임(32)의 지지편(33)을 중심으로 그 좌, 우측 각 가장자리 적소에 구비되는 다수개의 스프로킷(34a, 34b, 34c, 34d)이 각각의 체인(35a, 35b)에 의하여 상호 연결되고, 상호 구동에 의하여 회전가능하도록 이루어져 있으나, 벨트 등에 의하여 상호 연결되고, 그로 인해 상호 구동되게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프레임(32)의 중심측에 구비되는 지지편(33)의 상부 좌, 우 양 측 가장자리에 근접되게 위치하는 2개의 스프로킷(34a, 34c)이 제3 체인(51)에 의하여 모터(50)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나, 상기 지지편(33)의 하부 좌, 우 양 측 가장자리에 근접되게 위치하는 2개의 스프로킷(34b, 34d)이 제3 체인(51)에 의하여 모터(50)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회전부재(36)는 대략 판체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되게 이루어지며, 그 상부 적소가 소정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외측면 양 단부 적소에 봉상체형상의 연결편(38, 38')이 각각 구비되는 가이드편(37)과 상기 가이드편(37)의 외측면 적소에 힌지결합되어 그 내, 외측으로 소정각도 회동가능하게 이루어지고, 가이드(37)편의 길이방향으로 소정간격 이격되게 다수개 구비되는 회동암(39)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회동암(39)은 후크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내측 적소에 걸림턱(39a)이 돌출형성되며, 상기 걸림턱(39a)이 형성되는 회동암(39)의 하측 단부는 소정각도로 경사지게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회전부재(36)는 그 양 단부 적소에 구비되는 각각의 연결편(38, 38')의 일측 단부가 상기 고정부재(51)의 스프로킷(34a, 34b, 34c, 34d)에 의하여 회전가능하게 이루어지는 각 체인(35a, 35b)에 연결됨으로써 상기 회전부재(36)가 상기 고정부재(31)의 내측에 구비되어 각 체인(35a,35b)의 회전을 따라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즉, 상기 회전부재(36)의 가이드편(37)의 양 단부 적소에 구비되는 각각의 연결편(38, 38') 중 어느 한 연결편(38)은 상기 고정부재(31)의 프레임(32)의 지지편(33)을 중심으로 그 좌측에 구비되어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는 제1 체인(35a)의 적소와 연결되고, 다른 한 연결편(38')은 상기 고정부재(31)의 프레임(32)의 지지편(33)을 중심으로 그 우측에 구비되어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는 제2 체인(35b)의 적소와 연결되어 상기 각 체인(35a, 35b)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각 체인(35a, 35b)과 연결되게 이루어지는 회전부재(36)가 상기 고정부재(51)를 중심으로 그 내측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거푸집패널의 자동적재장치(1)의 구동 및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작업자가 거푸집패널(3)을 상기 거푸집패널의 자동적재장치(1)의 제1 컨베이어장치(11)에 위치시킴으로써 본 고안의 자동적재장치(1)가 개시된다. 상기와 같이 제1 컨베이어장치(11)에 위치하는 거푸집패널(3)은 제1 컨베이어장치(11)에 구비되는 롤러(16)에 의하여 제2 컨베이어장치(12)로 이송되고, 상기 제2 컨베이어장치(12)로 이송된 거푸집패널(3)은 제2 컨베이어장치(12)에 구비되는 롤러(16')에 의하여 제3 컨베이어장치(13)로 이송된다.
이때, 상기 제2 컨베이어장치(12)로 이송되는 거푸집패널(3)은 그 단부 적소에 구비되는 위치조절센서(15)에 의하여 제2 컨베이어장치(12)의 단부측 적소에서 이동이 정지되고, 이동이 정지된 거푸집패널(3)은 제3 컨베이어장치(13)의 양 측에구비되는 체인(18)에 의하여 그 단부에 구비되는 적재부(17)로 이송된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계속적으로 반복함으로써 상기 적재부(17)의 상부면에 3개의 거푸집패널(3)이 나란히 배열되게 한다.
이때, 상기 제3 컨베이어장치(13)의 적재부(17) 일측에 구비되는 위치조절센서(15')로 인해 체인(18)에 의하여 제3 컨베이어장치(13)를 통하여 그 단부에 구비되는 적재부(17)에 이송되는 거푸집패널(3)이 소정위치에서 이동을 정지하게 되며, 이로 인해 적재장치(30)를 사용하여 상기 거푸집패널(3)을 소정장소 및 소정위치로 이동하기가 용이하게 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는 다수개의 거푸집패널(3)이 상기 거푸집패널의 자동적재장치(1)의 제1 컨베이어장치(11)와 제2 컨베이어장치(12)와 제3 컨베이어장치(13)를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적재부의 상부면에 배열된 후 적재장치(30)에 의하여 소정장소 및 소정위치로 이동되도록 이루어져 있으나, 상기 거푸집패널(3)이 상기 제1 컨베이어장치(11)만을 거친 후 적재장치(30)에 의하여 소정장소 및 소정위치로 이동되게 이루어지거나, 상기 제1 컨베이어장치(11)와 제2 컨베이어장치(12)를 거친 후 적재장치(30)에 의하여 소정장소 및 소정위치로 이동되게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는 다수개의 거푸집패널(3)이 상기 제1 컨베이어장치(11)와 제2 컨베이어장치(12)와 제3 컨베이어장치(13)로 이루어지는 이송장치를 통하여 적재장치(30)로 이송되도록 이루어져 있으나, 이송 및 이동이 용이하다면 기타 다른 구조 및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이송장치가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적재부(17)의 상부면에 3개의 거푸집패널(3)이 배열되도록 이루어져 있으나, 그 이상 또는 이하의 갯수가 배열되게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적재부(17)의 상부면에 다수개의 거푸집패널(3)이 배열된 후 상기 적재부(17)가 구비되는 제3 컨베이어장치(13)의 일측에 설치되는 적재장치(30)를 이용하여 상기 적재부(17)의 상부면에 배열되는 거푸집패널(3)을 소정장소 및 소정위치로 이동시키게 된다.
즉, 상기 적재부(17)의 상부면에 배열되는 다수개의 거푸집패널(3)은 상기 적재장치(30)의 회전부재(36)의 회전암(39)을 통하여 파지된 후 상기 회전부재(36)가 고정부재(31)를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거푸집패널(3)을 소정장소 및 소정위치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적재부(17)의 상부면은 상기 거푸집패널(3)의 길이방향 양 단부의 폭보다 작은 폭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회전부재(36)의 회동암(39)을 사용하여 상기 거푸집패널(3)의 양 단부를 파지하기가 용이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회전부재(36)의 회동암(39)을 사용하여 거푸집패널(3)을 파지할 때에는 먼저, 상기 회전부재(36)를 상기 적재부(17)의 하부에 위치시킨 다음, 상기 지지편(33)의 상부 양 측 가장자리 적소에 각각 구비되는 스프로킷(34a, 34c)과 제3 체인(51) 및 스프로킷(34e)에 의하여 연결되는 모터(50)를 구동시킨다.
즉, 상기 고정부재(31)의 프레임(32) 중심측 적소에 수직방향으로 구비되는지지편(33)의 상부 양 측 적소에 구비되는 각각의 스프로킷(34a, 34c)을 회전시키기 위하여 상기 각 스프로킷(34a, 34c)과 제3 체인(51) 및 또 다른 스프로킷(34e)에 의하여 연결되는 모터(50)를 구동시킨다.
상기와 같이 모터(50)를 구동시킴으로써 상기 모터(50)와 제3 체인(51) 및 스프로킷(34e)에 의하여 상호 연결되도록 이루어지는 상기 지지편(33) 상부 양 측 가장자리의 각 스프로킷(34a, 34c)이 회전하게 되고, 상기 각 스프로킷(34a, 34c)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각 스프로킷(34a, 34c)과 연결되는 제1 체인(35) 및 제2 체인(35b)이 회전하게 되고, 상기 제1 체인(35a) 및 제2 체인(35b)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1 체인(35a)에 의하여 상호 연결되게 이루어지는 나머지 스프로킷(34b) 및 상기 제2 체인(35b)에 의하여 상호 연결되게 이루어지는 나머지 스프로킷(34d)이 회전하게 된다.
즉, 모터(50)의 구동에 의하여 상기 모터(50)와 제3 체인(51) 및 스프로킷(34e)에 의하여 연결되는 상기 지지편(33)의 상부 양 측 가장자리의 2개의 스프로킷(34a, 34c)이 회전하게 되고, 상기 2개의 스프로킷(34a, 34c) 중 상기 지지편(33)의 좌측 상부에 구비되는 스프로킷(34a)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스프로킷(34a)과 연결되는 제1 체인(35a)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상기 제1 체인(35a)이 회전함에 따라 제1 체인(35a)과 연결되는 나머지 3개의 스프로킷(34b)들이 시계방향을 회전하게 되며, 이와 동시에 상기 2개의 스프로킷(34a, 34c) 중 상기 지지편(33)의 우측 상부에 구비되는 스프로킷(34c)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스프로킷(34c)과 연결되는 제2 체인(35b)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상기 제2체인(35b)이 회전함에 따라 제2 체인(35b)과 연결되는 나머지 3개의 스프로킷(34d)들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렇게 모터(50)의 구동에 의하여 상기 제1 체인(35a)과 제2 체인(35b)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1 체인(35a)의 적소에 일측 연결편(38)이 연결되고, 상기 제2 체인(35b)의 적소에 타측 연결편(38')이 연결되게 이루어지는 회전부재(36)가 상기 고정부재(31)를 중심으로 각 체인(35a, 35b)의 회전방향과 동일하게 회전하게 된다.
즉, 상기 회전부재(36)의 가이드편(37) 양 단부 적소에 각각 구비되는 연결편(38, 38') 중 어느 한 연결편(38)이 상기 고정부재(31)의 프레임(32)의 지지편(33)을 중심으로 그 좌측에 구비되는 제1 체인(35a)의 적소와 연결되고, 다른 한 연결편(38')이 상기 지지편(33)을 중심으로 그 우측에 구비되는 제2 체인(35b)의 적소와 연결되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제1 체인(35a) 및 제2 체인935b)을 따라 상기 회전부재(36)가 회전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각 체인(35a, 35b)의 회전에 따라 상기 각 체인(35a, 35b)과 연결되는 회전부재(36)가 상기 고정부재(31)의 좌측 하부에서 시작하여 그 상부로 이동되고, 상부로 이동되는 회전부재(36)의 회동암(39)에 의하여 상기 적재부(17)의 상부면에 배열되는 다수개의 거푸집패널(3)이 상기 회전부재(36)의 회동암(39)의 상부에 적재된다.
즉, 상기 각 체인(35a, 35b)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적재장치(30)의 고정부재(31) 좌측 하부에서 그 상부로 이동되는 회전부재(36)의 회동암(39)은 그내측 적소에 위치하는 적재부(17)의 상부면에 배열되는 거푸집패널(3)의 양 단부의 하부면을 맞닿아 걸어 올림으로써 다수개의 거푸집패널(3)이 상기 회전부재(36)의 각 회동암(39)의 내측 상부에 위치하게 된다.
이때, 상기 각 회동암(39)의 내측 적소에 각각 돌출형성되는 걸림턱(39a)에 의하여 다수개의 거푸집패널(3)이 상기 회동암(39)의 걸림턱(39a) 상부면에 지지 및 고정된다.
한편, 상기 적재부(17)의 상부면은 상기 거푸집패널(3)의 길이방향 양 단부의 폭보다 작은 폭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회전부재(36)의 회동암(39)을 사용하여 다수개의 거푸집패널(3)의 양 단부만을 걸어 올리기 용이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상기 회전부재(36)가 각 체인(35a, 35b)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적재장치(30)의 고정부재(31) 좌측 하부에서 상부로 이동되면서 그 적소에 구비되는 회동암(39)의 걸림턱939a)에 의하여 적재부(17)의 상부면에 배열되는 다수개의 거푸집패널(3)을 걸어 올린 후 계속적으로 상부로 이동된 후 각 체인(35a, 35b)의 회전에 따라 우측으로 이동되고, 상기 고정장치(30)의 우측 상부로 이동된 회전부재(36)는 각 체인(35a, 35b)의 회전에 의하여 그 하부로 이동된다.
이렇게 각 체인(35a, 35b)의 시계방향 회전에 따라 그와 대응되게 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적재장치(30)의 고정부재(31) 우측 하부로 이동된 회전부재(36)는 상기 고정부재(31)의 우측 하부에 거푸집패널(3)의 적재를 위하여 구비되는 적재함(70)의 상부면에 회전부재(36)에 의하여 이동되는 거푸집패널(3)을 안착 및 적재시킨다.
이때, 상기 적재함(70)의 상부면에 상기 각 회동암(39)의 내측의 각 걸림턱939a)의 상부면에 위치하는 거푸집패널(3)의 하부면이 상기 적재함(70)의 상부면에 맞닿게 되면서 안착 및 적재되고, 상기 거푸집패널(3)의 양 단부를 지지하던 회전부재(36)는 그 하부로 계속적인 이동을 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적재함(70)의 상부면에 다수개의 거푸집패널(3)을 적재시킨 후 그 하부로 이동되는 회전부재(36)는 계속적인 각 체인(35a, 35b)의 회전에 의하여 다시 최초의 단계인 적재장치(30)의 고정부재(31) 좌측 하부로 이동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회전부재(36)가 상기 고정부재(31)의 좌측 하부 즉, 상기 고정부재(31)의 좌측 하부에 구비되는 적재부(17)의 하부측에서 최초의 이동을 개시하도록 이루어져 있으나, 상기 회전부재(36)가 상기 적재부(17)의 좌측 상부 또는 우측 등에서 최초로 개시되게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에는 상기 회전부재(36)가 상기 적재부(17)의 하부로 먼저 이동되어 적재부(17)의 상부면에 배열되는 거푸집패널(3)을 걸어 올리도록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각 체인(35a, 35b)의 계속적인 회전에 의하여 상기 회전부재(36)가 상기 적재장치(30)의 좌측 하부에서 그 상부로 다시 이동되면서 상기 제1 컨베이어장치(11)와 제2 컨베이어장치(12)와 제3 컨베이어장치(13)를 통하여 상기 적재부(17)의 상부면에 배열되는 또 다른 거푸집패널(3')의 양 단부의 하부면을 걸어 올려 상기 회동암(39)의 걸림턱(39a) 상부면에 다수개의 거푸집패널(3')을 위치시킨 후 계속적으로 그 상부로 이동된 다음 상기 각 체인(35a, 35b)의 회전에 의하여 계속적으로 회전하여 상기 적재장치(30)의 고정부재(31) 우측 하부에 구비되는 적재함(70)으로 이동된다.
상기와 같이 각 체인(35a, 35b)의 회전에 의하여 적재장치(30)의 적소에 구비되는 적재함(70)의 상부로 이동되는 회전부재(36)는 그 내, 외측으로 회동가능하게 구비되는 회동암(39)에 의하여 그 상부면에 위치하는 또 다른 다수개의 거푸집(3')패널을 상기 적재함(70)의 상부면에 적재된 기존의 거푸집패널(3)의 상부에 적재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적재함(70)의 상부면에 적재된 기존의 거푸집패널(3)의 상부로 이동된 회전부재(36)의 각 회동암(39)은 그 내측에 돌출형성되는 각 걸림턱(39a)의 하부에 소정각도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면이 상기 적재함(70)의 상부면에 적재된 기존의 거푸집패널(3)의 양 단부의 상부면과 맞닿으면서 상기 회동암(39)이 거푸집패널(3)의 양 단부 상부면 외측으로 소정각도 회동되면서 거푸집패널(3)의 양 단부의 외측으로 이탈된다.
상기와 같이 각 회동암(39)의 내측 적소에 구비되는 각각의 걸림턱(39a) 하부에 소정각도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면이 상기 적재함(70)의 상부에 적재되는 기존의 거푸집패널(3)의 양 단부 상부면과 맞닿으면서 그 외측으로 계속적으로 회동하여 상기 회동암(39)의 걸림턱(39a) 상부면에 위치하는 또 다른 거푸집패널(3')이 상기 걸림턱(39a)의 간섭위치에서 비간섭위치로 바뀌면서 기존의 거푸집패널(3)의 상부면에 또 다른 거푸집패널(3')을 적재시키도록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상기 회전부재(36)는 상기 적재함(70)의 상부에 적재된 기존의 거푸집패널(3) 상부에 또 다른 거푸집패널(3')을 적재한 후 그 하부로 이동되며,하부로 이동되는 회전부재(36)의 회동암(39)은 자중에 의하여 그 외측에서 내측으로 소정각도 회동하여 최초의 상태로 바뀐 다음 계속적인 각 체인(35a, 35b)의 회전에 의하여 다시 최초의 단계인 적재장치(30)의 좌측 하부로 이동된다.
상기와 같은 과정 및 방법을 반복함으로써 상기 적재장치(30)를 이용하여 다수개의 거푸집패널(3, 3')을 적재를 위한 소정장소 및 소정위치로 이동 및 적재시키기 매우 용이하다.
한편, 상기 적재함(70)은 상기 거푸집패널(3, 3'))의 길이방향 양 단부의 폭보다 작은 폭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적재함(70)의 상부에 적재 및 적층된 다수층의 거푸집패널(3, 3')을 지게차 등의 별도의 운반차량을 이용하여 운반 및 운송하기가 용이해진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고정부재(31)의 각 체인(35a, 35b)에 연결되어 회전가능하게 이루어지는 회전부재(36)가 1개 구비되어 있으나, 1개 이상의 다수개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고정부재(31)에 구비되는 각 체인(35a, 35b)의 적소에 연결되어 각 체인(35a, 35b)의 회전에 의하여 회전가능하게 이루어지는 회전부재(36)가 상기 각 체인(35a, 35b)의 적소에 다수개 구비되어 회전가능하게 이루어진다.
이때에는, 상기 고정부재(31)의 각 체인(35a, 35b) 적소에 연결되는 다수개의 회전부재(36) 중 어느 한 회전부재(36)가 각 체인(35a, 35b)의 회전에 의하여 고정부재(31)의 내측 상부로 이동되면서 상기 적재부(17)에 배열되는 다수개의 거푸집패널(3)을 파지한 후 각 체인(35a, 35b)을 따라 회전되어 적재함(70)의 상부로이동되고, 상기 다수개의 회전부재(36) 중 나머지 회전부재가 뒤이어 순차적으로 상기 적재부(70)의 상부에 배열되는 다수개의 거푸집패널(3)을 파지한 후 각 체인(35a, 35b)을 따라 회전되어 적재함(70)의 상부로 이동되게 이루어짐으로써 연속적으로 상기 적재부(17)의 상부에 배열되는 다수개의 거푸집패널(3)을 적재함(70)의 상부로 이동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고정부재(31)의 각 체인(35a, 35b)에 연결되어 회전가능하게 이루어지는 각 회전부재(36)는 상호 소정간격을 유지하도록 이루어진다. 즉, 상기 고정부재(31)의 각 체인(35a, 35b)에 의하여 회전되는 각각의 회전부재(36)는 상기 적재부(17)의 상부에 소정갯수의 거푸집패널(3)이 배열된 후에 상기 거푸집패널(3)을 파지하여 상기 적재함(70)의 상부로 이동시키도록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제1 컨베이어장치(11)와 제2 컨베이어장치(12)와 제3 컨베이어장치(13)를 통하여 상기 적재부(70)의 상부에 소정갯수의 거푸집패널(3)이 배열될 소정시간 만큼의 상호 소정간격을 유지하도록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고정부재(31)의 각 체인(35a, 35b)에 연결되는 각 회전부재(36)가 상기 제1 컨베이어장치(11)와 제2 컨베이어장치(12)와 제3 컨베이어장치(13)를 통하여 적재부(70)의 상부에 소정갯수의 거푸집패널(3)이 배열될 소정시간 만큼 상호 소정간격을 유지하도록 이루어져 있으나, 상기 회전부재(36)와 연결되어 각 회전부재(36)가 소정속도로 회전되도록 이루어지는 각 체인(35a, 35b) 및 스프로킷(34a, 34b, 34c, 34d)에 제3 체인(51) 및 스프로킷(34e)에 의하여 연결되는 모터(50)의 구동속도에 의하여 조절가능하게 이루어지는 것도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상기 고정부재(31)에 다수개의 회전부재(36)가 구비되어 적재부(17)의 상부에 배열되는 다수개의 거푸집패널(3)을 반복적으로 신속하게 적재함(70)의 상부로 이동시키도록 이루어짐으로써 작업시간 및 작업과정을 단축시키는 등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키도록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은 구성 및 구조가 간단하고, 다수개의 거푸집패널을 자동으로 소정장소 및 소정위치로 이동시켜 적층 및 적재되게 이루어짐으로써 작업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등의 효과를 거둘 수 있다.

Claims (6)

  1. 제1 컨베이어장치와, 상기 제1 컨베이어장치에 근접되게 연결되는 제2 컨베이어장치와, 상기 제2 컨베이어장치에 근접되게 연결되는 제3 컨베이어장치와, 상기 제3 컨베이어장치에 근접되게 설치되는 적재장치로 이루어지는 거푸집패널의 자동적재장치에 있어서,
    상기 적재장치는 대략 사각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중심측 적소에 판체형상의 지지편이 수직방향으로 구비되는 한 쌍의 프레임과, 상기 각 프레임의 각 가장자리 적소에 회전가능하게 이루어지는 다수개의 스프로킷과, 상기 각 스프로킷이 제1 체인 및 제2 체인에 의하여 상호 연결되도록 이루어지는 고정부재와;
    대략 판체형상으로 형성되어 그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되고, 그 상부 적소가 소정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외측면 양 단부 적소에 봉상체형상의 연결편이 각각 구비되는 가이드편과, 상기 가이드편의 외측면 적소에 힌지결합되어 그 내, 외측으로 소정각도 회동가능하게 이루어지고, 가이드편의 길이방향으로 소정간격 이격되어 다수개 구비되는 회동암으로 이루어지는 회전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패널의 자동적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암은 대략 후크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내측 적소에 걸림턱이 돌출형성되며, 상기 걸림턱이 형성되는 회동암의 하측 단부가 소정각도 경사지게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패널의 자동적재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체인은 상기 프레임의 지지편을 중심으로 좌측의 각 가장자리 적소에 구비되는 각각의 스프로킷을 상호 연결시키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제2 체인은 상기 프레임의 지지편을 중심으로 우측의 각 가장자리 적소에 구비되는 각각의 스프로킷을 상호 연결시키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패널의 자동적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의 프레임의 좌, 우측 각 가장자리에 구비되는 각각의 스프로킷 중 상기 프레임의 지지편 상부 양 측 가장자리에 근접되게 구비되는 2개의 스프로킷이 그 일측 적소에 구비되는 모터와 제3 체인에 의하여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패널의 자동적재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 가이드편의 외측면 양 단부 적소에 구비되는 각각의 연결편 중 어느 한 연결편이 상기 제1 체인의 적소와 연결되고, 다른 한 연결편이 상기 제2 체인의 적소와 연결되며, 상기 각 체인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회전부재가 회동가능하게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거푸집패널의 자동적재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의 각 체인 적소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회전부재가 상호 소정거리 이격되어 다수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패널의 자동적재장치.
KR20-2004-0015966U 2004-06-08 2004-06-08 거푸집패널의 자동적재장치 KR20036245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5966U KR200362453Y1 (ko) 2004-06-08 2004-06-08 거푸집패널의 자동적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5966U KR200362453Y1 (ko) 2004-06-08 2004-06-08 거푸집패널의 자동적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2453Y1 true KR200362453Y1 (ko) 2004-09-21

Family

ID=493502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5966U KR200362453Y1 (ko) 2004-06-08 2004-06-08 거푸집패널의 자동적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245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0899B1 (ko) 패널 자동 적재장치
KR101067696B1 (ko) 판넬 이송장치
KR200362453Y1 (ko) 거푸집패널의 자동적재장치
KR200368508Y1 (ko) 거푸집패널의 자동적재장치
JP2000203715A (ja) 敷板回収装置
KR100822102B1 (ko) 유로폼 적재장치
IES950962A2 (en) Manufacture of slats
JP2521316B2 (ja) コンクリ―トパネルの搬送装置
CN215363839U (zh) 码垛打包系统
CN213382182U (zh) 一种环形全自动生产线运输平台
KR20060072776A (ko) 콘크리트 슬래브용 데크플레이트와 트러스거더 로딩시스템
KR100968053B1 (ko) 유로폼용 방향전환장치
KR200332150Y1 (ko) 샌드위치 패널 적재장치
JP7483313B2 (ja) 資材運搬システム
CN218113257U (zh) 一种自动捆扎系统
CN112936558B (zh) 叠合剪力墙自动化生产方法
JPH0383725A (ja) パレット整列装置
JPS6311248B2 (ko)
KR100976143B1 (ko) 콘크리트 근가 자동화 제조장치
JP3326730B2 (ja) 資材等の搬送方法
JP4008269B2 (ja) インゴットの積上げ方法及びその装置
JP2613516B2 (ja) コンクリート製品の養生室設備
KR930001881B1 (ko) 벽돌 이송 조적장치
JP3858078B2 (ja) パネル用パレット
JPS6139692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08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