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2102B1 - 유로폼 적재장치 - Google Patents

유로폼 적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2102B1
KR100822102B1 KR1020070011802A KR20070011802A KR100822102B1 KR 100822102 B1 KR100822102 B1 KR 100822102B1 KR 1020070011802 A KR1020070011802 A KR 1020070011802A KR 20070011802 A KR20070011802 A KR 20070011802A KR 100822102 B1 KR100822102 B1 KR 1008221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body frame
euroform
support member
eur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18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준태
Original Assignee
황준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9534812&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822102(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황준태 filed Critical 황준태
Priority to KR10200700118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2210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21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21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7/00Stacking of articles
    • B65G57/02Stacking of articles by adding to the top of the stack
    • B65G57/03Stacking of articles by adding to the top of the stack from abo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2Control or detection
    • B65G2203/0208Control or detection relating to the transported articles
    • B65G2203/0233Position of the art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2Control or detection
    • B65G2203/0208Control or detection relating to the transported articles
    • B65G2203/0241Quantity of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4Detection means
    • B65G2203/042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7/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features of a handling device, e.g. Conveyors
    • B65G2207/36Pushing shoes on convey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mmon features for more than one conveyor kind or type
    • B65G2811/06Devices controlling the relative position of articles
    • B65G2811/0621Devices controlling the relative position of articles by modifying the orientation or position of articles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 공사에 사용된 다수개의 유로폼을 지그재그로 겹치도록 자동 적재시킴으로써 운반도중 또는 사용을 위해 포장끈을 풀어도 무너지지 않아 안전사고를 줄일 수 있도록 한 유로폼 적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주 몸체를 이루는 몸체프레임; 상기 몸체프레임의 내부에 유로폼을 이송시키기 위해 다수개의 회전롤러로 구성된 이송수단; 상기 이송수단의 끝단부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된 가이드벽; 상기 가이드벽의 일측에 설치되어 이송된 유로폼을 수평 직각방향으로 밀어 이송시키는 푸쉬플레이트; 상기 푸쉬플레이트에 의해 이송되는 유로폼이 적재될 수 있도록 몸체프레임의 내부 양측에 대칭설치된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를 양측으로 넓히거나 좁힐 수 있도록 일측면에 설치된 확장수단; 상기 지지부재의 하부 소정거리 이격되게 위치된 적재판; 상기 적재판을 상하로 승강시킬 수 있도록 하부에 구성된 승강수단; 상기 몸체프레임의 내부 상측에 설치되어 지지부재에 적재된 유로폼의 방향을 전환해주는 방향전환수단; 상기 몸체프레임의 일측에 설치되고, 순차제어 프로그래밍에 의해 유로폼의 이송을 자동제어하는 컨트롤박스;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유로폼, 거푸집, 자동적재, 적재장치

Description

유로폼 적재장치 {Apparatus to load Euro form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로폼 적재장치의 전체구성을 보여주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로폼 적재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측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방향전환수단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유로폼 적재장치의 유로폼 이송과정을 보여주는 요부 단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유로폼 적재장치의 지지부재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방향전환수단의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방향전환수단에 의해 유로폼의 방향이 전환된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9의 (a)(b)(c)는 본 발명에 따른 방향전환수단에 의해 적재되는 유로폼의 다양한 배열구조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유로폼 적재장치에서 유로폼이 반출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측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유로폼 적재장치가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유로폼 적재장치 110 : 몸체프레임
130 : 가이드레일 150 : 공압실린더
200 : 이송수단 210 : 회전롤러
220 : 가이드벽 230 : 리밋스위치
300 : 푸쉬플레이트 310 : 가이드봉
330 : 가이드부재 350 : 공압실린더
360 : 연결대 400 : 지지부재
401 : 확장수단 410 : 공압실린더
420 : 가이드봉 421 : 가이드부재
500 : 적재판 510 : 승강수단
520 : 링크 550 : 감지센서
600 : 방향전환수단 610 : 상부프레임
630 : 하부프레임 650 : 회전프레임
670 : 확장프레임 700 : 컨트롤박스
F : 유로폼
본 발명은 유로폼 적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건축 공사에 사용된 다수개의 유로폼을 지그재그로 겹치도록 자동 적재시킴으로써 운반도중 또는 사용을 위해 포장끈을 풀어도 무너지지 않아 안전사고를 줄일 수 있도록 한 유로폼 적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빌딩 및 아파트 등의 콘크리트 건축물이나 구조물 등의 옹벽을 축조하기 위해서는 축조하고자 하는 옹벽의 두께에 맞추어 거푸집을 연결하여 설치한 다음 거푸집의 안쪽에 콘크리트 몰탈을 타설하여 양생시키는 방법으로 옹벽을 축조하고 있다.
콘크리트의 양생을 위한 거푸집은 축조할 건축물의 종류와 높이에 따라 여러 형태와 재질의 거푸집이 사용되었으나, 최근에는 일정한 크기로 규격화된 유로폼이 널리 보급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유로폼은 철재 또는 알루미늄 재질로 제작되어 전체적으로 사각형의 프레임을 이루고, 상기 프레임의 내측에는 적당한 간격으로 구획되어 지지바가 내장되는 한편 한쪽 상측면에 합판이 부착되어 있는 구성이다.
이러한 유로폼은 일단 한번 사용되고 나면, 양생 된 콘크리트 구조물에서 떼어내어 다른 건축 현장으로 옮겨 재사용되는 경우가 많으며, 이때 어느 정도의 보수를 하는 경우도 있다.
상기와 같은 모든 작업을 가능하게 하고 이송과 운반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는 상기 유로폼을 가지런히 쌓은 상태에서 이루어져야만 하는데, 이러한 작업을 인력을 동원하여 적재하는 경우에 그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이 낭비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의 구현수단으로 특허등록번호 제 0538828호(출원일 2003.02.20) '거푸집 패널의 자동 적재 장치' 가 제시된 바 있다.
상기 종래의 '거푸집 패널의 자동 적재 장치'는 다수개의 유로폼을 일렬로 쌓아올린 후 작업자가 로프로 묶어 고정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일렬로 쌓아올린 유로폼은 로프를 묶어 고정하거나 다른 장소로 운반하는 도중에 외부의 충격이나 흔들림 등에 의해 쉽게 무너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건축 공사에 사용된 다수개의 유로폼을 지그재그로 겹치도록 자동 적재시킴으로써 운반도중 또는 사용을 위해 포장끈을 풀어도 무너지지 않아 안전사고를 줄일 수 있도록 한 유로폼 적재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유로폼 적재장치는,
주 몸체를 이루는 몸체프레임; 상기 몸체프레임의 내부 수평방향으로 유로폼을 이송시키기 위해 다수개의 회전롤러로 구성된 이송수단; 상기 이송수단의 끝단 부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된 가이드벽; 상기 가이드벽의 일측에 설치되어 이송된 유로폼을 수평 직각방향으로 밀어 이송시키는 푸쉬플레이트; 상기 푸쉬플레이트에 의해 이송되는 유로폼이 적재될 수 있도록 몸체프레임의 내부 양측에 대칭설치된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를 양측으로 넓히거나 좁힐 수 있도록 일측면에 설치된 확장수단; 상기 지지부재의 하부 소정거리 이격되게 위치된 적재판; 상기 적재판을 상하로 승강시킬 수 있도록 하부에 다수개의 링크와 실린더로 구성된 승강수단; 상기 몸체프레임의 내부 상측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어 지지부재에 적재된 유로폼의 방향을 전환해주는 방향전환수단; 상기 몸체프레임의 일측에 설치되고, 순차제어 프로그래밍에 의해 유로폼의 이송을 자동제어하는 컨트롤박스;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벽의 일측에는 유로폼의 이송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리밋스위치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푸쉬플레이트는 일측면에 형성된 가이드봉; 과 상기 가이드봉이 슬라이딩 결합될 수 있도록 몸체프레임에 고정설치된 가이드부재; 및 상기 푸쉬플레이트의 연결대와 몸체프레임에 고정결합되어 수평방향으로 작동되는 공압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몸체프레임의 일측에는 지지부재에 유로폼의 유무를 감지할 수 있는 다수개의 적재감지센서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확장수단은 지지부재의 일측면에 형성된 가이드봉; 과 상기 가이드봉이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몸체프레임에 고정설치된 가이드부재; 및 상기 지지부재와 몸체프레임에 각각 고정결합되어 수평방향으로 작동되는 공압실린더;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승강수단의 일측벽에는 적재판에 적재되는 유로폼의 수량과 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수직방향으로 소정간격 이격되게 다수개의 감지센서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방향전환수단은, 몸체프레임의 상면에 설치된 가이드레일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프레임; 상기 상부프레임의 하부 수직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부프레임; 상기 하부프레임의 저면에 형성된 중심축에 회전가능하도록 베어링 결합되고, 회전축에 피니언기어가 형성된 회전프레임; 상기 피니언기어와 치합될 수 있도록 일측 끝단에 래크기어가 형성되고, 하부프레임의 저면에 고정설치되는 공압실린더; 상기 회전프레임의 양측에 형성된 가이드부재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는 확장프레임; 상기 회전프레임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어 확장프레임을 소정거리 왕복이송시키는 공압실린더; 상기 확장프레임의 안측면에 다수개 설치된 탄성스프링이 결합된 누름쇠;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부프레임의 저면에는 회전프레임의 회전각도를 제한할 수 있도록 스토퍼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승강수단은 지면을 일정깊이 굴착하여 마련된 공간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로폼 적재장치의 전체구성을 보여주는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로폼 적재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측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방향전환수단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유로폼 적재장치(100)는 몸체프레임(110), 이송수단(200), 푸쉬플레이트(300), 지지부재(400), 적재판(500), 방향전환수단(600) 및 컨트롤박스(7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몸체프레임(110)은 직육면체 형상의 뼈대로 구성되고, 주 몸체를 이룬다. 상기 몸체프레임(110)의 상면 양측에는 소정길이의 가이드레일(130)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이송수단(200)은 다수개의 회전롤러(210)가 소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된 것으로, 상기 몸체프레임(110)의 내부로 투입되는 유로폼(F)을 특정위치로 이송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 경우 상기 회전롤러(210)는 모터(도면에 미도시)의 동력을 전달받아 일정한 속도로 회전된다.
상기 이송수단(200)의 일측 끝단부에는 상기 유로폼(F)의 이송방향을 전환하기 위한 가이드벽(220)이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벽(220)의 일측에는 이송되는 유로폼(F)을 감지할 수 있는 리밋스위치(230)가 설치된다.
상기 푸쉬플레이트(300)는 일측면에 가이드봉(310)이 결합되고, 상기 가이드봉(310)은 몸체프레임(110)에 설치된 가이드부재(330)에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푸쉬플레이트(300)의 하부에는 공압실린더(350)가 설치된 다. 상기 공압실린더(350)는 몸체프레임(110)에 고정설치되고, 실린더로드(351)는 푸쉬플레이트(300)의 연결대(360)에 고정결합된다. 이 경우 상기 공압실린더(350)의 실린더로드(351)가 전진하면 푸쉬플레이트(300)는 후퇴하고, 반대로 실린더로드(351)가 후퇴하면 푸쉬플레이트(300)는 전진하게 된다.
이와 같은 푸쉬플레이트(300)는, 상기 이송수단(20)에 의해 이송되는 유로폼(F)이 가이드벽(220)에 부딪치면서 리밋스위치(230)를 누르게 되면, 상기 푸쉬플레이트(300)가 작동되면서 유로폼(F)을 직각방향으로 밀어 소정거리 이송시키게 된다.
상기 지지부재(400)는 푸쉬플레이트(300)에 의해 이송되는 유로폼(F)이 소정의 개수만큼 모일 때까지 일시적으로 머무르게 되는 장소이다. 이 지지부재(400)는 'ㄴ'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몸체프레임(110)의 내부 양측에 대칭설치된다.
상기 지지부재(400)의 일측에는 확장수단(401)이 구성된다. 상기 확장수단(401)은 지지부재(400)의 일측면에 형성된 소정길이의 가이드봉(420)과, 상기 가이드봉(420)에 슬라이드 결합될 수 있도록 몸체프레임(110)에 고정설치된 가이드부재(421) 및 상기 몸체프레임(110)에 고정설치되고 실린더로드(411)의 끝단이 지지부재(400)에 결합된 공압실린더(4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공압실린더(410)를 조작하면 상기 지지부재(400)를 양측으로 넓히거나 좁힐 수 있게 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적재판(500)은 지지부재(400)의 하부 소정거리 떨어지게 위치되어 상기 지지부재(400)에서 이송되는 유로폼(F)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진다.
상기 적재판(500)의 하부에는 다수개의 X자형 링크(520)와 공압실린더(530)로 이루어진 승강수단(510)이 구성되고, 상기 공압실린더(530)의 작동에 의해 적재판(500)이 상하방향으로 승강이 가능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승강수단(510)은 지면(G)을 일정깊이(D) 굴착하여 마련된 공간에 설치된다. 또한, 상기 적재판(500)의 일측벽에는 감지센서(550)가 수직방향으로 소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되어 있어, 상기 적재판(500)에 적층되는 유로폼(F)의 수량과 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적재판(500)은 상면에 적층되는 유로폼(F)의 높이만큼 소정거리씩 하강하면서 상기 지지부재(400)와의 간격을 유지하게 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방향전환수단(600)은 지지부재(400)에 적재되는 유로폼(F)의 방향을 90°전환해가며 상기 적재판(500)에 지그재그 방향으로 겹쳐쌓을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부프레임(610), 하부프레임(630), 회전프레임(650)으로 구성된다.
상기 상부프레임(610)은 양측에 가이드부재(611)가 형성되고, 상면 수직방향으로는 연결대(612)가 형성된다.
상기 상부프레임(610)의 하부에는 다수개의 연결막대(613)로 연결설치된 하판(615)이 구비되고, 상기 하판(615) 네 모퉁이에는 다수개의 삽입공(616)이 형성된다. 상기 삽입공(616)에는 다수개의 가이드봉(631)이 형성된 하부프레임(630)이 상하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상기 하판(615)의 중심 하측 방향으로 공압실린더(620)가 고정설치되고, 상기 공압실린더(620)의 실린더로드(621)는 하부프레임(630)의 상면에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공압실린더(620)의 작동 여부에 따 라 하부프레임(630)의 승강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하부프레임(630)의 저면에 형성된 중심축(632)에는 회전프레임(650)의 회전축(651)이 베어링(652) 결합되어 회전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회전축(651)의 외주면에는 피니언기어(653)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프레임(630)의 저면에는 일측 끝단에 래크기어(636)가 형성된 공압실린더(635)가 설치된다. 이 경우 상기 피니언기어(653)와 래크기어(636)는 치합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공압실린더(635)가 작동하게 되면 회전프레임(650)이 일측방향으로 소정각도 회전하게 된다.
또한, 상기 하부프레임(630)의 저면에는 상기 회전프레임(650)의 회전각도를 제한하기 위한 두 개의 스토퍼(639)가 고정브라켓(638)에 결합되어 있다. 이 스토퍼(639)는 상기 회전프레임(650)이 90°를 초과하지 않도록 회전을 제한하고, 정해진 위치에서 흔들림없이 정지할 수 있도록 잡아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회전프레임(650)의 양측에 형성된 가이드부재(651)(652)에는 삽입부재(671)(672)가 형성된 확장프레임(670)이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회전프레임(650)의 내부 양측에는 공압실린더(655)가 설치되고, 상기 확장프레임(670)의 삽입부재(671)에 실린더로드(656)가 고정설치된다. 이 경우 상기 공압실린더(655)의 작동 유무에 따라 확장프레임(670)을 양측으로 넓히거나 좁힐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확장프레임(670)의 안 측면에는 탄성스프링(681)이 삽입 결합된 탄성누름쇠(680)가 결합되어 있다. 이 탄성누름쇠(680)는 유로폼(F)의 양측면을 가 압하여 견고하게 고정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의 방향전환수단(600)은 상부프레임(610)의 양측에 형성된 가이드부재(611)가 몸체프레임(110)의 상면에 설치된 가이드레일(13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상기 상부프레임(610)의 연결대(612)에는 몸체프레임(110)의 상부에 설치된 공압실린더(150)의 실린더로드(151)가 고정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공압실린더(150)의 작동 여부에 따라 상기 방향전환수단(600)이 수평방향으로 소정거리 왕복이송가능하게 된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컨트롤박스(700)는 몸체프레임(110)의 일측에 설치되고, 순차제어 프로그래밍에 의해 유로폼(F)의 이송을 자동 제어하게 된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유로폼 적재장치의 작용을 도 5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 내지 도 10은 유로폼(F)이 적재판(500)으로 이송 적재되는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이송수단(200)에 의해 이송되는 유로폼(F)은 일측 끝단에 설치된 가이드벽(220)에 부딪치면서 리밋스위치(230)를 누르게 되고, 상기 리밋스위치(230)가 눌림과 동시에 푸쉬플레이트(300)가 작동하면서 유로폼(F1)을 지지부재(400) 쪽으로 밀어주게 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두세 번째 유로폼(F2),(F3)이 지지부재(400)에 적재된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몸체프레임(110)의 일측에 설치된 적재감지센서(430) 에 의해 지지부재(400)에 세 장의 유로폼(F)이 적재 완료되었음을 인식하게 되면, 상기 지지부재(400)가 양측으로 벌려지게 되면서 적재되어 있던 유로폼(F)이 하부에 위치한 적재판(500)에 쌓이게 된다.
상기 적재판(500)에 두 번째 층으로 쌓이게 되는 유로폼(F)은 첫 번째 층의 유로폼(F)과는 다른 배열로 적재시켜야 운반도중 외부충격에도 쉽게 무너지지 않게 된다.
따라서, 도 7을 참조하여 상기 지지부재(400)에 적재된 유로폼(F)의 적재 배열을 바꿔주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지지부재(400)에 유로폼(F1)(F2)(F3)의 적재가 완료되면, 상기 방향전환수단(600)의 하부프레임(630)이 일정높이(L) 만큼 하강한다. 그 다음 상기 회전프레임(650)의 양측에 결합된 확장프레임(670)이 안쪽으로 좁혀지면서 상기 확장프레임(670)의 안측면에 설치된 탄성누름쇠(680)가 유로폼(F2)(F3)의 양측면을 가압하여 고정한 후 일정높이(L)만큼 들어올린다. 이때, 상기 하부프레임(630)의 공압실린더(635)가 작동되면서 회전프레임(650)을 시계방향으로 90°회전시켜 상기 유로폼(F2)(F3)의 적재방향을 바꾼 후, 상기 지지부재(400)에 다시 내려놓는다. 이 경우 상기 회전프레임(650)은 원래의 자리로 다시 복귀된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상기 지지부재(400)에 적재된 유로폼(F)은 도 8과 같은 배열구조로 바뀌게 되고, 상기 지지부재(400)에 적재된 유로폼(F)은 지지부재(400)의 확장수단(401)에 의해 양측으로 넓혀지면서 하부의 적재판(500)에 적층된다. 상기 유로폼(F1)(F2)(F3)은 도 9의 (a)(b)(c)와 같은 세 가지의 배열구조로 번갈아 가면서 적재된다.
여기서, 도 9의 (c)와 같은 구조로 배열시키기 위해서는, 먼저 상기 지지부재(400)에 두 개의 유로폼(F1)(F2)이 적재되었을 때 방향전환수단(600)을 이용하여 적재방향을 90°전환시킨 후, 상기 지지부재(400)에 세 번째 유로폼(F3)을 밀어 위치시키면 된다.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적재판(500)에 적층된 유로폼(F)을 외부로 반출하기 위해서는 승강수단(510)을 상부로 상승시켜야하는데, 이 경우 상부에 위치된 방향전환수단(600)과의 충돌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방향전환수단(600)을 일측으로 대피시켜야 한다. 따라서, 유로폼(F)을 반출시킬 때에는 몸체프레임(110)의 상부에 설치된 공압실린더(150)를 작동시켜 상기 방향전환수단(600)을 일측으로 밀어 대피시킨 다음, 상기 승강수단(510)을 상승시켜 유로폼(F)을 반출시키면 된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유로폼 적재장치가 다른 장치와 함께 구성된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구성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건축 공사에 사용된 다수개의 유로폼(F)은 측면과 상면 등에 콘크리트 등과 같은 이물질이 흡착된 경우가 대부분이다. 따라서, 상기 유로폼(F)을 적층 시키기 이전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측면이물질제거수단(10),(30) 및 상면이물질제거수단(50) 등의 장치와 함께 연결구성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 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로폼 적재장치는, 건축 공사에 사용된 다수개의 유로폼을 자동 적재하여 반출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다수개의 유로폼을 지그재그로 겹치도록 적층시킴으로써 운반도중 또는 사용을 위해 포장끈을 풀어도 무너지지 않아 안전사고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9)

  1. 주 몸체를 이루는 몸체프레임;
    상기 몸체프레임의 내부 수평방향으로 유로폼을 이송시키기 위해 다수개의 회전롤러로 구성된 이송수단;
    상기 이송수단의 끝단부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된 가이드벽;
    상기 가이드벽의 일측에 설치되어 이송된 유로폼을 수평 직각방향으로 밀어 이송시키는 푸쉬플레이트;
    상기 푸쉬플레이트에 의해 이송되는 유로폼이 적재될 수 있도록 몸체프레임의 내부 양측에 대칭설치된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를 양측으로 넓히거나 좁힐 수 있도록 일측면에 설치된 확장수단;
    상기 지지부재의 하부 소정거리 이격되게 위치된 적재판;
    상기 적재판을 상하로 승강시킬 수 있도록 하부에 다수개의 링크와 실린더로 구성된 승강수단;
    상기 몸체프레임의 내부 상측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어 지지부재에 적재된 유로폼의 방향을 전환해주는 방향전환수단;
    상기 몸체프레임의 일측에 설치되고, 순차제어 프로그래밍에 의해 유로폼의 이송을 자동제어하는 컨트롤박스;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로폼 적재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벽의 일측에는 유로폼의 이송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리밋스위치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로폼 적재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푸쉬플레이트는 일측면에 형성된 가이드봉; 과 상기 가이드봉이 슬라이딩 결합될 수 있도록 몸체프레임에 고정설치된 가이드부재; 및 상기 푸쉬플레이트의 연결대와 몸체프레임에 고정결합되어 수평방향으로 작동되는 공압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로폼 적재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프레임의 일측에는 지지부재에 유로폼의 유무를 감지할 수 있는 다수개의 적재감지센서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로폼 적재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수단은 지지부재의 일측면에 형성된 가이드봉; 과 상기 가이드봉이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몸체프레임에 고정설치된 가이드부재; 및 상기 지지부재와 몸체프레임에 각각 고정결합되어 수평방향으로 작동되는 공압실린더;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로폼 적재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수단의 일측벽에는 적재판에 적재되는 유로폼의 수량과 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수직방향으로 소정간격 이격되게 다수개의 감지센 서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로폼 적재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전환수단은,
    몸체프레임의 상면에 설치된 가이드레일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프레임;
    상기 상부프레임의 하부 수직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부프레임;
    상기 하부프레임의 저면에 형성된 중심축에 회전가능하도록 베어링 결합되고, 회전축에 피니언기어가 형성된 회전프레임;
    상기 피니언기어와 치합될 수 있도록 일측 끝단에 래크기어가 형성되고, 하부프레임의 저면에 고정설치되는 공압실린더;
    상기 회전프레임의 양측에 형성된 가이드부재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는 확장프레임;
    상기 회전프레임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어 확장프레임을 소정거리 왕복이송시키는 공압실린더;
    상기 확장프레임의 안측면에 다수개 설치된 탄성스프링이 결합된 누름쇠;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로폼 적재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프레임의 저면에는 회전프레임의 회전각도를 제한할 수 있도록 스토퍼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로폼 적재장치.
  9. 제 1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수단은 지면을 일정깊이 굴착하여 마련된 공간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로폼 적재장치.
KR1020070011802A 2007-02-05 2007-02-05 유로폼 적재장치 KR1008221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1802A KR100822102B1 (ko) 2007-02-05 2007-02-05 유로폼 적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1802A KR100822102B1 (ko) 2007-02-05 2007-02-05 유로폼 적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22102B1 true KR100822102B1 (ko) 2008-04-15

Family

ID=395348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1802A KR100822102B1 (ko) 2007-02-05 2007-02-05 유로폼 적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2210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8053B1 (ko) 2009-05-13 2010-07-08 김대환 유로폼용 방향전환장치
KR101089710B1 (ko) 2009-05-28 2011-12-07 (주) 성훈테크 차음재 취출장치
KR101233747B1 (ko) * 2010-08-17 2013-02-28 주식회사 풍양정밀 유로폼 엮음장치
KR20160096375A (ko) 2015-02-05 2016-08-16 정옥순 거푸집 인양용 파손방지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87123A (ja) 1983-10-18 1985-05-16 Yutaka Seikou:Kk 板状体の移載装置
JPS60183428A (ja) 1984-02-29 1985-09-18 Narasaki Zosen Kk 段積み荷の移送方法及びその装置
JPS6268924U (ko) 1985-07-16 1987-04-30
KR20040075261A (ko) * 2003-02-20 2004-08-27 조강훈 거푸집 패널의 자동 적재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87123A (ja) 1983-10-18 1985-05-16 Yutaka Seikou:Kk 板状体の移載装置
JPS60183428A (ja) 1984-02-29 1985-09-18 Narasaki Zosen Kk 段積み荷の移送方法及びその装置
JPS6268924U (ko) 1985-07-16 1987-04-30
KR20040075261A (ko) * 2003-02-20 2004-08-27 조강훈 거푸집 패널의 자동 적재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8053B1 (ko) 2009-05-13 2010-07-08 김대환 유로폼용 방향전환장치
KR101089710B1 (ko) 2009-05-28 2011-12-07 (주) 성훈테크 차음재 취출장치
KR101233747B1 (ko) * 2010-08-17 2013-02-28 주식회사 풍양정밀 유로폼 엮음장치
KR20160096375A (ko) 2015-02-05 2016-08-16 정옥순 거푸집 인양용 파손방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58401B1 (ko) 유로폼 적층장치 및 그 적층방법
KR100822102B1 (ko) 유로폼 적재장치
CN104495399B (zh) 码垛机
EA032120B1 (ru) Контейнерная развертываемая складская система
JPH08239156A (ja) シート積層体、特に紙幣シート積層体を置くための積み重ねボード、及びパレットを操作するための自動ハンドリング装置
JPH0821100A (ja) 揚重装置及び、該装置を用いた構築資材の運搬方法
JP2013518787A (ja) コンテナをコーニングおよび/またはデコーニングするための装置、およびその装置に関連する方法
EP3114291B1 (en) A container and framework elements
CN113443272B (zh) 一种预制板运输架
KR100795209B1 (ko) 거푸집 리프트
CN204453846U (zh) 码垛机
CN110884989A (zh) 快速装卸吊装设备及其吊装方法
KR100713061B1 (ko) 완충포장 패드 자동적층 장치
KR20130111905A (ko) 유로폼 자동 적재기
KR100968053B1 (ko) 유로폼용 방향전환장치
KR20200076390A (ko) 콘크리트 성형 판넬의 제조장치
EP3228581A1 (en) Improved basket for aerial platform of the like
KR101073254B1 (ko) 포대 적층 장치 및 그 방법
CN101878160A (zh) 传送装置
CN208915980U (zh) 一种履带式水泥存取架
KR200368508Y1 (ko) 거푸집패널의 자동적재장치
KR100627869B1 (ko) 거푸집 자동 적재장치
CN205116173U (zh) 倾斜滚动式建筑材料运输装置
KR200368309Y1 (ko) 거푸집 자동 적재장치
CN218113093U (zh) 一种捆扎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100127

Effective date: 20100630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00113

Effective date: 20100630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100113

Effective date: 2010063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