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2308B1 - 구상 파우더를 포함하는 안티-폴루션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구상 파우더를 포함하는 안티-폴루션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2308B1
KR102262308B1 KR1020170041950A KR20170041950A KR102262308B1 KR 102262308 B1 KR102262308 B1 KR 102262308B1 KR 1020170041950 A KR1020170041950 A KR 1020170041950A KR 20170041950 A KR20170041950 A KR 20170041950A KR 102262308 B1 KR102262308 B1 KR 1022623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metic composition
group
powder
pollution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19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11261A (ko
Inventor
서호중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1700419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2308B1/ko
Priority to PCT/KR2018/003523 priority patent/WO2018182255A1/ko
Priority to TW107110470A priority patent/TWI751317B/zh
Publication of KR201801112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12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23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23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6Solid or semisolid forms
    • A61K8/022Powders; Compacted Pow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41Containing particulates characterized by their shape and/or structure
    • A61K8/025Explicitly spheroidal or spherical sha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5Silicon;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1Particular ingredients further characterized by their size
    • A61K2800/412Microsized, i.e. having sizes between 0.1 and 100 micr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안티-폴루션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전체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20 중량% 이상의 구상 파우더를 포함하는 안티-폴루션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고함량 구상 파우더를 포함함으로써 제형의 도포성을 향상시켜 피부 표면에서 균일하게 도포되도록 도와주며, 피부 표면의 골을 메꾸는 효과도 우수하고, 피부 표면에서 미세 돌기를 형성하여 안티-폴루션 효과가 우수하다.

Description

구상 파우더를 포함하는 안티-폴루션 화장료 조성물 {ANTI-POLLUTION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SPHERICAL POWDER}
본 명세서에는 미세먼지 등에 대한 방진 효과가 우수한 안티-폴루션 화장료 조성물이 개시된다.
먼지가 체내에 쌓이면, 인체 면역력이 떨어지고 심장 질환이나 호흡기 질환과 같은 각종 질환을 유발할 수 있다. 심지어 기관지에 협착을 일으키기도 하고 장시간 흡입하면 천식이나 폐질환 유병률, 조기 사망률을 증가시킨다.
피부는 먼지와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우리 몸의 가장 바깥쪽으로 유기체와 환경 사이의 장벽 역할을 하는데, 자주 직접적으로 오염에 노출 될 경우, 이 장벽 기능이 저하된다. 특히, 미세먼지는 모공보다 20배 더 작기 때문에 피부에 쉽게 침투할 수 있다. 실제로 미세먼지와 같은 대기 오염물질은 피부 건강에 심각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려졌다. 단기적으로는 조기 노화, 수분 부족, 잔주름과 주름을 증가시키고, 장기적으로는 되돌릴 수 없는 피부 손상으로 인해 피부가 환경적 요소들로부터 몸을 보호하는 기능을 상실하면서 피부암과 같은 심각한 병을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피부에 해롭고 때로는 인체에 치명적인 장애를 일으키는 유해 물질인 먼지를 피부와 격리시키기 위한 화장료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한국 특허 공개 제2014-0118504호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의 목적은 오염물질이 피부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의 목적은, 구상 파우더를 고함량으로 포함함으로써, 화장료 조성물의 골메꿈 효과를 향상시키는 것이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의 목적은, 미세먼지로 인한 피부의 오염을 방지 또는 최소화하는 것이다.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은, 안티-폴루션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전체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20 중량% 이상의 구상 파우더를 포함하는 안티-폴루션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일 측면에 있어서, 본 발명의 안티-폴루션 화장료 조성물은, 먼지, 특히 미세먼지가 피부로 침투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고함량으로 포함된 구상 파우더는, 제형의 도포성을 향상시켜 피부 표면에서 균일하게 도포되도록 도와주며, 피부 표면의 골을 메꾸는 효과도 우수하고, 상기 구상 파우더 내 입자가 도포된 표면 상에 입체적인 미세 돌기를 형성하여, 먼지가 피부 표면에 부착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판상 파우더와 비교하여, 도포 시에 먼지가 덜 달라붙어 먼지가 피부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미세먼지의 피부 침투를 방지하여, 이로 인한 피부 염증, 중금속 축적을 최소화할 수 있어서, 피부 건강에 유익하다.
도 1a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안티-폴루션 화장료 조성물을 도포한 인조 피혁을 SEM(전자현미경)으로 촬영한 것이고, 도 1b는 비교예 1의 화장료 조성물을 도포한 인조 피혁을 SEM(전자현미경)으로 촬영한 것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안티-폴루션 화장료 조성물을 도포한 인조 피혁 표면을 디지털 카메라로 촬영한 것이고, 도 2b는 비교예 1의 화장료 조성물을 도포한 인조 피혁 표면을 디지털 카메라로 촬영한 것이다.
도 3a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안티-폴루션 화장료 조성물을 도포한 인조 피혁을 3D 스캔 촬영하여 50배 확대하고, 높낮이의 차이를 색상으로 나타낸 것이고, 도 3b는 비교예 1의 화장료 조성물을 도포한 인조 피혁을 3D 스캔 촬영하여 50배 확대하고, 높낮이의 차이를 색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4a는 오일 및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안티-폴루션 화장료 조성물을 도포한 인조 피혁을 미세먼지 대류 박스에 10분간 대류 후 촬영한 것이고, 도 4b는 오일만 도포한 인조 피혁을 미세먼지 대류 박스에 10분간 대류 후 촬영한 것이며, 도 4c 및 4d는 비교예 1 및 2의 화장료 조성물을 도포한 인조 피혁을 미세먼지 대류 박스에 10분간 대류 후 촬영한 것이다.
용어 정의
본 명세서에서 “안티-폴루션(anti-pollution)”이란, 먼지 등의 오염물질이 피부에 부착되는 것 또는 피부에 임시적으로 부착된 오염물질이 피부에서 제거되어 피부에 침투하는 것을 예방하거나, 최소화하는 것을 의미한다. 즉, 본 명세서의 안티-폴루션 화장료 조성물을 피부에 적용할 경우, 골메꿈 효과가 우수하여 피부에 오염물질이 부착되는 것을 최소화 할 수 있고, 판상 파우더와 비교하여, 도포 시에 먼지가 덜 달라붙어 먼지가 피부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먼지”는, 대기 중에 섞여 있는 미립자를 총칭하는 것으로, 보통 10mm 이하의 입경을 가진 부유물질을 의미한다. 특히, 입경이 10㎛이하인 경우 미세먼지, 0.1㎛ 이하인 경우 극미세 먼지라고도 한다. 먼지는, 모래, 흙 및 꽃가루와 같은 자연에서 유래한 물질 또는 탄소, 탄소 연소물, 금속염 및 중금속과 같은 산업공정으로부터 유래한 물질 등을 포함하는 물질이다. 먼지의 존재 형태는 흄(fume), 미스트(mist), 연기, 증기 또는 연무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입자군”이란 단일 입자들의 집합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입경”이란 입자의 직경을 의미하고, 제1 입자군 내지 제2-2 입자군의 “평균 입경”이란 1 입자군 내지 제2-2 입자군에 속하는 각각의 단일 입자의 지름의 평균값을 의미하며, 판상 파우더의 “평균 입경”이란 입자의 가장 넓은 단면의 대각선 길이의 평균값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두께”란 판상 파우더의 입자의 가장 넓은 단면을 기준으로 수직인 단면의 두꺼운 정도를 의미하는 것으로, 가장 짧은 직경을 말한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예시적인 구현예들의 설명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구현예들에서는, 본 발명은 안티-폴루션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전체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20 중량% 이상의 구상 파우더를 포함하는 안티-폴루션 화장료 조성물이다.
구상 파우더(spherical powder)는 입자의 형태가 구형을 이루는 파우더로, 파우더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어 매끄럽고 가벼운 감촉을 부여한다. 구상 파우더는 광을 모든 방향으로 확산하는 효과가 있어, 판상 파우더(flake powder)에 비하여 모공이나 여드름 흔적 등 피부의 결점을 은폐시켜주는 효과가 우수하다. 이에, 구상 파우더의 비율이 높은 파우더 화장료 조성물은 자연스러운 피부 연출에 효과적이며, 화장막의 유지력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어 화장막 고정용 및 수정 화장용으로 적합하다.
나아가, 본 발명자들은 구상 파우더를 다량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경우, 제형의 도포성을 향상시켜 피부 표면에서 균일하게 도포되도록 도와주며, 피부 표면의 골을 메꾸는 효과도 우수하고, 구상 파우더 내 입자들이 미세 돌기를 형성하여 미세먼지 부착을 방지하여 안티-폴루션 효과가 우수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구상 파우더의 함량은 20 중량% 이상일 수 있고, 예컨대, 25 중량% 이상, 30 중량% 이상, 35 중량% 이상, 40 중량% 이상, 또는 45 중량% 이상일 수 있으며, 50 중량% 이하일 수 있다. 상기 함량이 20 중량% 미만인 경우, 골메꿈 효과가 미미하고, 미세돌기 형성이 충분치 않아 안티-폴루션 효과가 미미할 수 있고, 50 중량% 초과인 경우 제조시 파우더 입자 간의 공극 및 반발력으로 인하여 팩트 타입의 압축 파우더 제형으로 제조하기 어려울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상기 구상 파우더는 평균 입경 5㎛ 미만의 제1 입자군과 5㎛ 이상의 제2 입자군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입자군과 제2 입자군의 중량비는 1 : 1.1 내지 1 : 8일 수 있다. 중량비가 상기 범위 내인 경우, 서로 다른 사이즈의 입자가 촘촘하게 균일하게 도포되도록 도와주며, 피부 표면의 골을 메꾸는 효과도 우수하고, 도포된 피부 표면에 미세 돌기를 형성하여 오염 물질의 흡착을 방지하고 피부를 보호하는 효과가 있다.
예컨대, 상기 제2 입자군의 입경은 50㎛ 이하, 45㎛ 이하, 40㎛ 이하, 35㎛ 이하, 또는 30㎛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제2 입자군의 입경이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압축 성형 시 어려움이 있고, 낙하 시 제형이 깨지는 등 제형 안정성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중량비는 1 : 1.1 내지 1 : 7.6, 1 : 1.2 내지 1 : 7.2, 1 : 1.3 내지 1 : 6.8, 1 : 1.4 내지 1 : 6.4, 1 : 1.5 내지 1 : 6, 1 : 1.6 내지 1 : 5.6, 1 : 1.7 내지 1 : 5.2, 1 : 1.8 내지 1 : 4.8, 1 : 1.9 내지 1 : 4.4, 또는 1 : 2 내지 1 : 4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구상 파우더는 평균 입경 5㎛ 미만의 제1 입자군, 5㎛ 이상 10㎛ 미만의 제2-1 입자군, 및 입경 10㎛ 이상의 제2-2 입자군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입자군, 제2-1 입자군 및 제2-2 입자군의 중량비는 1 : 0.6 : 0.5 내지 1 : 3 : 5일 수 있다. 상기 제2-2 입자군의 입경은 50㎛ 이하, 45㎛ 이하, 40㎛ 이하, 35㎛ 이하, 또는 30㎛ 이하일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중량비는 1 : 0.6 : 0.5 내지 1 : 2.8 : 4.8, 1 : 0.65 : 0.55 내지 1 : 2.6 : 4.6, 1 : 0.7 : 0.6 내지 1 : 2.4 : 4.4, 1 : 0.75 : 0.65 내지 1 : 2.2 : 4.2, 1 : 0.8 : 0.7 내지 1 : 2 : 4, 1 : 0.85 : 0.75 내지 1 : 1.8 : 3.8, 1 : 0.9 : 0.8 내지 1 : 1.6 : 3.6, 1 : 0.95 : 0.85 내지 1 : 1.4 : 3.4, 1 : 1 : 0.9 내지 1 : 1.2 : 3.2, 또는 1 : 1.05 : 0.95 내지 1 : 1 : 3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구상 파우더는 무기 입자, 유기 입자 및 유무기 복합 입자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기 입자는 바람직하기로 실리카를 사용한다. 상기 실리카는 다공질의 구상 파우더로서 흡유량이 높아 화장막의 지속성을 유지시키는 효과를 나타내며, 굴절률이 낮아 투명성이 높고, 다른 파우더를 고르게 도포시켜주는 장점이 있다. 다만, 실리카를 고함량 사용 시 압축 성형이 어려우며, 피부가 건조해질 수 있으므로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의 30 중량% 이내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기로 20 중량% 이내로 사용한다.
상기 유기 입자는 예를 들어 폴리스티렌,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 나일론 6, 나일론 12, 에틸렌/아크릴산 코폴리머,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에틸렌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코폴리머, 폴리알릴메타크릴레이트/에틸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 코폴리머, 에틸렌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라우릴메타크릴레이트 코폴리머, 가교 아크릴레이트/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코폴리머, 폴리우레탄 및 이들의 조합을 들 수 있다. 이 중 압축 파우더 제형으로의 성형성, 가벼운 발림성 및 화장막의 부스팅 효과 확보 측면에서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및 에틸렌/아크릴산 코폴리머가 바람직하다.
상기 유무기 복합입자는 예를 들어 폴리메틸실세스퀴옥산, 실리콘레진 파우더, 유기 실리콘 입자, 유기물질로 표면 처리된 실리카 및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상기 실리콘 레진 파우더는 구체적으로 실세스퀴옥산 레진과 같은 실리콘 레진이 코팅된 유기폴리실록산 엘라스토머 파우더일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비닐 디메치콘/메치콘 실세스퀴옥산 크로스폴리머일 수 있다. 상기 유기 실리콘 입자는 예를 들어 메틸실란올/실리케이트 크로스폴리머일 수 있고, 상기 유기 물질로 표면 처리된 실리카는 예를 들어 표면이 폴리디메틸실록산으로 코팅된 실리카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에서 구상 파우더는 1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되고, 그 조합은 제한되지 않으며 다양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기로 무기 입자 중 1종 이상, 유기 입자 중 1종 이상을 포함한다. 이때, 무기입자는 전체 조성물 내에서 10 내지 30 중량%, 유기 입자는 5 내지 2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치 범위를 만족할 때, 습식 성형에 의하지 않고도 압축 파우더 제형으로 성형될 수 있으며 우수한 낙하 안정도를 나타낸다. 또한, 상기 수치 범위로 무기 및 유기 입자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구상 파우더의 제1 입자군 내지 제2-2 입자군의 중량비를 만족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구상 파우더는 무기 입자 및 유기 입자를 포함하며, 이때 무기 입자는 실리카이고, 유기 입자는 에틸렌/아크릴산 코폴리머일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구상 파우더는 무기 입자 및 유기 입자를 포함하며, 이때 무기입자는 실리카이고, 유기입자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및 에틸렌/아크릴산 코폴리머의 조합일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구상 파우더는 실리카,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및 에틸렌/아크릴산 코폴리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판상 파우더 및 오일 바인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판상 파우더는 압축 성형성, 커버력, 피부 부착성 및 밀착 특성을 부여하기 위한 것으로서, 판상 파우더의 종류는 본 발명에서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며 당 업계에서 통상 사용되는 판상 파우더가 사용될 수 있다.
이때, 판상 파우더는 평균 두께가 0.1 내지 1.0 μm이고 평균 입자 직경이 1 내지 100 μm이며 평균 두께로 평균 입자 직경을 나눠 얻은 종횡비는 10 이상인 것이 압축 성형성, 커버력, 피부 부착성 및 사용감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판상 파우더는 탈크(Talc), 마이카(Mica), 보론나이트라이드(Boron nitride), 바륨설페이트(Barium sulfate), 알루미나(Alumina) 세리사이트(sericite), 카올린(Kaolin), 및 합성플루오르플로고파이트(Synthetic Fluorphlogopite)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기로 탈크를 사용한다. 탈크는 탄성이 없는 특징을 가지며 평균 입자 크기가 10 μm 이내인 경우 거의 모든 종류가 성형이 가능하고, 성형 이후 가루 날림이 적으며 낙하 안정성이 강하므로, 압축 파우더 제형을 구현하기에 적합하다. 탈크 파우더의 크기가 클수록 조밀함이 떨어져 성형성이 저하되므로, 바람직하기로 4 내지 9 μm, 보다 바람직하기로 6 내지 7 μm 의 평균 입자 크기를 갖는 탈크 파우더를 사용한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판상 파우더의 함량은 전체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40 중량% 이상 80 중량% 미만일 수 있다. 판상 파우더의 함량이 40 중량% 미만이면 압축 파우더로 제형화 하기에 어려운 문제점이 있고, 80 중량% 이상인 경우, 구상 파우더의 함량이 낮아져 뭉침 현상이 적은 화장료 조성물을 얻을 수 없으므로 상기 범위 내에서 적절히 조절한다.
상기 오일 바인더는 파우더 입자간 결합력을 높이기 위한 것으로, 오일 바인더의 종류는 본 발명에서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며 당 업계에서 통상 사용되는 판상 파우더가 사용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오일 바인더는 헥실라우레이트(Hexyl laurate), 디카프릴릴카보네이트(Dicaprylyl carbonate),디이소스테아릴말레이트(Diisostearyl malate), 부틸렌글라이콜디카프릴레이트/디카프레이트(Butylene glycol dicaprylate/dicaprate), 세틸에칠헥사노에이트(Cetyl ethylhexanoate), 트리에칠헥사노인(Triethylhexanoin), 디세테아릴다이머디리놀리에이트(Dicetearyl dimer dilinoleate),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Caprylic/Capric Triglyceride), 폴리글리세릴-2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Polyglyceryl-2 Triisostearate) 및 펜타에리스리틸테트라이소스테아레이트(Pentaerythrityl Tetraisostearat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에스테르계 오 일; 폴리부텐(Polybutene),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이소부텐(Hydrogenatedpolyisobutene) 및 식물성스쿠알란(Phytosqualane)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탄화수소 계 오일; 페닐트리메치콘(Phenyl trimethicone) 및 디메치콘(Dimethicone)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실리콘 계 오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이 중, 성형성과 사용감 측면에서 바람직하기로 디이소스테아릴말레이트 또는 디메치콘을 사용한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오일 바인더의 함량은 전체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5 내지 20 중량%일 수 있고, 5 내지 1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오일 바인더의 함량이 5 중량% 미만이면 건식 압축 성형이 어렵고, 낙하 안정성이 떨어지며, 가루 날림이 현상이 나타나는 문제가 있고, 오일 바인더의 함량이 20 중량%를 초과하면 파우더의 뭉침 현상이 발생하므로 상기 범위 내에서 적절히 조절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결점 보완 및 화사한 색감을 부여하기 위하여 안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안료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백색 또는 유색의 무기 또는 유기 입자로서 당 업계에서 통상 사용되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무기 안료로는 예를 들어 이산화티탄, 표면처리 되거나 표면처리 되지 않은 산화지르코늄 또는 산화세륨, 산화아연, 산화철(흑색, 황색, 또는 적색), 산화크롬, 망간 바이올렛, 울트라마린블루, 수산화크롬 수화물(chromium hydrate) 및 페릭블루(ferric blue), 알루미늄분말 및 구리분말이 사용될 수 있다.
유기 안료로는 예를 들어 코치닐추출색소, 아조 염료, 안트라퀴논 염료, 인디고이드 염료, 크산텐 염료, 피렌 염료, 퀴놀린 염료, 트리페닐메탄 염료, 또는 플루오란 염료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안료의 함량은 본 발명에서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바람직하기로 조성물 총 중량의 0.1 내지 10 중량% 범위로 포함될 수 있다.
이외에도,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유지 성분, 보습제, 연화제, 계면활성제, 유기 및 무기 안료, 유기분체, 자외선 흡수제, 방부제, 점증제, 살균제, 산화방지제, 식물 추출물, pH 조정제, 알코올, 색소, 향료, 혈행 촉진제, 냉감제, 제한(制汗)제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화장료"는, 미용 기능뿐만 아니라, 미용 기능 외에 추가적으로 의학적 기능을 가질 수 있는 모든 물질을 의미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압축파우더 제형일 수 있고, 더욱 구체적으로 파우더 팩트(powder pact), 파운데이션(foundation), 투웨이 케이크(two-way cake), 아이브라우(eyebrow), 아이섀도우(eyeshadow), 볼연지(blusher), 하이라이터(highlighter), 컨실러(concealer) 및 기타의 기능을 가진 화장품일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입경이 10㎛ 이하인 미세먼지를 방진할 수 있다. 입경 크기는, 제한되지 않고, 100㎛ 이하, 90㎛ 이하, 70㎛ 이하, 50㎛ 이하, 30㎛ 이하, 20㎛ 이하, 15㎛ 이하 또는 10㎛ 이하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다양한 크기의 구상 파우더가 피부 상에 매끄럽게 도포되어 골메꿈 효과가 우수하여 미세 먼지를 방진할 수 있고, 미세 돌기를 형성함으로써 미세먼지의 부착 자체를 방지할 수 있다.
안티 - 폴루션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본 발명의 안티-폴루션 화장료 조성물은 원료의 혼합, 분쇄, 여과, 및 압축 성형 단계를 거쳐 제조된다.
혼합 및 분쇄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당 업계에서 사용하는 일반적인 방법을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푸드믹서, 헨셀믹서 등 '임펠러의 고속회전을 이용하여 내용물을 혼합하는 믹서기'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볼밀(ball mill), 해쇄기 중 디스인테그레이터(disintegtator), 미분쇄기 중 스크린밀(screen mill; 아토마이저(atomizer); 해머밀(hammer mill)), 마멀분쇄기, 핀밀(pin mill) 및 공기 충돌 분쇄기(Air Jet Mill)를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압축 성형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당 업계에서 사용하는 일반적인 방법을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프레스기를 사용하여 성형할 수 있다.
상기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은 Teclock type A경도계를 이용하여 경도를 측정할 수 있다. 이때, 화장료 조성물은 경도가 10 내지 60인 것이 바람직하며, 30 내지 5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하, 하기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에는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예시의 목적으로만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주 및 범위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예 - 안티 - 폴루션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표 1의 처방으로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및 비교예 2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으며, 표 1의 처방에 따른 구상 파우더의 입자군을 분석한 결과, 표 2와 같은 결과로 나타났다.
1) 혼합기에 구상 파우더, 판상 파우더 및 기타 성분을 평량 후 2분 동안 혼합하였다.
2) 오일 바인더 성분을 평량하여 70 ~ 80℃ 로 가열하였다.
3) 상기 2)를 분무하며 헨셀믹서(500 ~ 1000 rpm)를 이용하여 1 ~ 2분 동안 혼합, 해쇄하였다.
4) 상기 3)을 고속(1500 ~ 2000 rpm)으로 하여 2분 동안 혼합하였다.
5) 상기 4)를 15마력으로 분쇄 후 여과하였다.
6) 금속 접시 위에 일정량 올려놓은 후 약 20 kgf/cm2 로 약 5초간 성형하여 파우더 팩트를 제조하였다.
원료명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2
1 판상 파우더 탈크 To 100 To 100 To 100 To 100
2 색소 티타늄 디옥사이드 5 5 5 5
3 구상 파우더 실리카 10 9 10 20
4 에틸렌/아크릴산 코폴리머 7 9 - -
5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3 2 - -
6 오일 바인더 디이소스테아릴말레이트 7 7 7 7
처방 내 구상 파우더 함량(중량%) 구상 파우더 입자군(중량%)
제1 입자군 제2-1 입자군 제2-2 입자군
실시예 1 20 30 40 30
실시예 2 20 20 30 50
비교예 1 10 50 30 20
비교예 2 20 50 30 20
실험예
실험예 1- 골메꿈 효과 및 미세 돌기 형성 평가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의 화장료 조성물을 인조 피혁에 도포한 뒤, 표면을 SEM, 디지털 카메라 및 3D 스캔을 이용하여 촬영하였다.
도 1a, 1b, 2a 및 2b를 참조하면, 실시예 1의 화장료 조성물을 도포한 경우, 비교예 1의 화장료 조성물을 도포한 표면에 비하여, 보다 촘촘하게 인조 피혁의 골을 메꾸어 균일하고 매끈한 화장막을 구현한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실제 피부에 도포시 피부골 사이로 오염물질이 부착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한, 도 3a 및 3b를 참조하면, 실시예 1의 화장료 조성물을 도포한 경우, 비교예 1의 화장료 조성물을 도포한 표면에 비하여, 피부 표면에 미세 돌기를 다수 형성하였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편평한 면에 비하여 미세먼지가 부착되는 것 자체를 방지할 수 있다.
실험예 2 - 미세먼지 부착 방지 효과 평가
슬라이드 글라스에 하얀색 인조피혁을 양면 테이프로 붙이고, 하기 표 3의 함량에 따라 인공 피지 또는 화장료 조성물을 스페츌라로 고르게 펴발라 피부 모사 시험체를 준비하였다.
오일 조성물의 양
실시예 1 0.07g 0.07g
대조군 0.07g -
비교예 1 0.07g 0.07g
비교예 2 0.07g 0.07g
미세먼지 대류 박스(75 cm X 75 cm X 100 cm) 내부에 상기 인조 피혁을 넣고, 카본블랙 0.5 g을 칭량하여 대류박스에 투입하여 10분간 대류를 실시하였다. 그 후, 샘플을 꺼내어 표면 블로잉(blowing)하고, 대류 시험 전, 후 상태를 비교하였다.
도 4b를 참조하면, 오일(피지모사)만 도포한 인조 피혁의 경우, 육안으로 카본 블랙이 달라붙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비교예 1 및 2의 화장료 조성물을 도포한 인조 피혁도 마찬가지로 큰 차이가 없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반면, 실시예 1의 화장료 조성물을 도포한 도 4a는 육안상으로 검은 부분이 거의 없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미지 분석하여, 흰색과 검은색 영역을 비교한 확인 결과, 실시예 1의 화장료 조성물을 도포한 도 4a의 흰색의 intensity 값이 높아 카본블랙의 부착이 30%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13)

  1. 안티-폴루션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전체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20 중량% 이상의 구상 파우더를 포함하고,
    상기 구상 파우더는 평균 입경 5㎛ 미만의 제1 입자군과 5㎛ 이상의 제2 입자군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입자군과 제2 입자군의 중량비는 1 : 1.1 내지 1 : 8인, 안티-폴루션 화장료 조성물.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상 파우더는 평균 입경 5㎛ 미만의 제1 입자군, 5㎛ 이상 10㎛ 미만의 제2-1 입자군, 및 입경 10㎛ 이상의 제2-2 입자군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입자군, 제2-1 입자군 및 제2-2 입자군의 중량비는 1 : 0.6 : 0.5 내지 1 : 3 : 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티-폴루션 화장료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상 파우더는 무기 입자, 유기 입자 및 유무기 복합 입자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티-폴루션 화장료 조성물.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상 파우더는 실리카,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및 에틸렌/아크릴산 코폴리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티-폴루션 화장료 조성물.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판상 파우더 및 오일 바인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티-폴루션 화장료 조성물.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판상 파우더의 함량은 전체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40 중량% 이상 80 중량%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티-폴루션 화장료 조성물.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판상 파우더는 평균 두께가 0.1 내지 1.0 ㎛이고 평균 입경이 1 내지 100 ㎛이며, 아래 수학식 1을 만족하는 종횡비는 1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티-폴루션 화장료 조성물.
    [수학식 1]
    종횡비= 평균 입경/ 평균 두께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판상 파우더는 탈크, 마이카, 보론나이트라이드, 바륨설페이트, 알루미나, 세리사이트, 카올린, 및 합성플루오르플로고파이트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티-폴루션 화장료 조성물.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 바인더의 함량은 전체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5 내지 2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티-폴루션 화장료 조성물.
  11.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 바인더는 헥실라우레이트, 디카프릴릴카보네이트, 디이소스테아릴말레이트, 부틸렌글라이콜디카프릴레이트/디카프레이트, 세틸에칠헥사노에이트, 트리에칠헥사노인, 디세테아릴다이머디리놀리에이트,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폴리글리세릴-2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 및 펜타에리스리틸테트라이소스테아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에스테르계 오일; 폴리부텐,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이소부텐 및 식물성스쿠알란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탄화수소 계 오일; 페닐트리메치콘 및 디메치콘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실리콘 계 오일 중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티-폴루션 화장료 조성물.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압축파우더 제형임을 특징으로 하는 안티-폴루션 화장료 조성물.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입경이 10㎛ 이하인 미세먼지를 방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티-폴루션 화장료 조성물.
KR1020170041950A 2017-03-31 2017-03-31 구상 파우더를 포함하는 안티-폴루션 화장료 조성물 KR1022623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1950A KR102262308B1 (ko) 2017-03-31 2017-03-31 구상 파우더를 포함하는 안티-폴루션 화장료 조성물
PCT/KR2018/003523 WO2018182255A1 (ko) 2017-03-31 2018-03-26 구상 파우더를 포함하는 안티-폴루션 화장료 조성물
TW107110470A TWI751317B (zh) 2017-03-31 2018-03-27 以球狀粉末作為製備防污染物化妝品組成物的用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1950A KR102262308B1 (ko) 2017-03-31 2017-03-31 구상 파우더를 포함하는 안티-폴루션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1261A KR20180111261A (ko) 2018-10-11
KR102262308B1 true KR102262308B1 (ko) 2021-06-09

Family

ID=636763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1950A KR102262308B1 (ko) 2017-03-31 2017-03-31 구상 파우더를 포함하는 안티-폴루션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2262308B1 (ko)
TW (1) TWI751317B (ko)
WO (1) WO201818225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1859B1 (ko) 2018-12-17 2020-09-03 한국세라믹기술원 표면개질된 TiO2 및 ZnO를 함유하는 미세먼지 세정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127053B1 (ko) 2018-12-17 2020-06-25 한국세라믹기술원 표면개질된 TiO2 및 ZnO를 함유하는 미세먼지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145941B1 (ko) * 2019-09-05 2020-08-19 주식회사 코스메카코리아 해양유래소재 파우더를 포함하는 미세먼지 부착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102462752B1 (ko) * 2020-07-22 2022-11-04 주식회사 코스메카코리아 폴리우레탄 분산액을 포함하는 미세먼지 부착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36993A2 (ja) * 2014-04-24 2014-09-12 株式会社 資生堂 スキンケア化粧料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49162B2 (ja) * 2011-11-17 2016-12-21 株式会社キコーコーポレーション 皮膚の重金属汚染防止のための皮膚外用剤
KR101867468B1 (ko) * 2011-11-18 2018-07-23 (주)아모레퍼시픽 메이크업 수정용 화장료 조성물 및 제조 방법
JP6096525B2 (ja) * 2013-02-13 2017-03-15 日本メナード化粧品株式会社 被覆粉体及びこれを含有するメイクアップ化粧料
KR102033449B1 (ko) 2013-03-29 2019-10-17 (주)아모레퍼시픽 파우더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659456B1 (ko) * 2014-09-11 2016-09-23 조영태 초미세먼지 차단용 기능성 크림
KR101653755B1 (ko) * 2016-01-06 2016-09-02 주식회사 씨앤피코스메틱스 미세먼지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39953B1 (ko) * 2016-07-07 2019-11-05 코스맥스 주식회사 미세돌기 구조 형성에 의한 미세먼지 흡착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36993A2 (ja) * 2014-04-24 2014-09-12 株式会社 資生堂 スキンケア化粧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751317B (zh) 2022-01-01
TW201836581A (zh) 2018-10-16
KR20180111261A (ko) 2018-10-11
WO2018182255A1 (ko) 2018-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62308B1 (ko) 구상 파우더를 포함하는 안티-폴루션 화장료 조성물
KR102586449B1 (ko) 도포성 및 성형성이 향상된 압축 파우더 화장료 조성물
KR102644389B1 (ko) 눈썹용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101454730B1 (ko) 화장품용 코팅분체 및 그의 제조방법
JP2007169294A (ja) ソフトフォーカス効果を有する着色化粧料組成物
KR20200139162A (ko) 화장료
CN104958189B (zh) 光感调色防脱妆纳米粉体组合物及其在化妆品中的应用
JP5859738B2 (ja) 固形粉末化粧料
KR101149678B1 (ko) 분말 화장료
KR102336132B1 (ko) 흡유능, 도포성 및 성형성이 향상된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20021926A (ko) 실리콘 파우더 복합 입자,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630825B1 (ko) 화장 지속성이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JP2004168662A (ja) アイメークアップ化粧料
JP7081784B2 (ja) 固形粉末化粧料及び固形粉末化粧料の製造方法
JP4866562B2 (ja) 粉体化粧料
KR101978370B1 (ko) 화장 지속성이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CN116782874A (zh) 化妆品
JP6955757B2 (ja) 固形粉末化粧料
JP2021063041A (ja) 粉末化粧料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20164462A (ja) 化粧料
JP6356479B2 (ja) 立体的形状に成型されてなる固形粉末化粧料
JP7252038B2 (ja) 粉末化粧料
JP5102016B2 (ja) 油中水型アイライナー化粧料
JP6072576B2 (ja) 睫用化粧料
KR100803941B1 (ko) 옥 파우더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