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7053B1 - 표면개질된 TiO2 및 ZnO를 함유하는 미세먼지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표면개질된 TiO2 및 ZnO를 함유하는 미세먼지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7053B1
KR102127053B1 KR1020180162833A KR20180162833A KR102127053B1 KR 102127053 B1 KR102127053 B1 KR 102127053B1 KR 1020180162833 A KR1020180162833 A KR 1020180162833A KR 20180162833 A KR20180162833 A KR 20180162833A KR 102127053 B1 KR102127053 B1 KR 1021270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metic composition
fine dust
acid
zno
ti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28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정호
이혜선
박중규
Original Assignee
한국세라믹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세라믹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세라믹기술원
Priority to KR10201801628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70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70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70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9Titanium;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41Containing particulates characterized by their shape and/or structure
    • A61K8/0254Platelets; Flak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7Zinc;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1Particular ingredients further characterized by their size
    • A61K2800/413Nanosized, i.e. having sizes below 100 n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60Particulates further characteriz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sition
    • A61K2800/61Surface treat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표면개질된 TiO2 및 ZnO를 함유하는 미세먼지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로 인해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방법으로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은 지표면 흙먼지, 대기 중에 포함된 화석연료 연소시 발생되는 연무, 각종 유기물의 연소시 발생하는 불연소 물질, 황사, 차량 배기가스나 공장 배출가스에 포함된 입자 등으로 구성된 미세먼지의 흡착을 저해하여 피부로의 미세먼지 부착, 흡수 등을 차단하여 미세먼지가 원인이 되어 발생하는 피부염, 여드름, 각질, 아토피, 알레르기 등을 완화하고, 피부상태를 용이하게 개선할 수 있다.

Description

표면개질된 TiO2 및 ZnO를 함유하는 미세먼지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Preparation method for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surface modified TiO2 and ZnO for blocking particulate matter}
본 발명은 표면개질된 TiO2 및 ZnO를 함유하는 미세먼지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로 인해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먼지란 대기 중에 떠다니거나 흩날려 내려오는 입자상 물질을 말하는데, 석탄/석유 등의 화석연료를 태울 때나 공장/자동차 등의 배출가스에서 많이 발생한다. 먼지는 입자의 크기에 따라 50㎛ 이하인 총먼지(TSP, Total Suspended Particles)와 입자크기가 매우 작은 미세먼지(PM, Particulate Matter)로 구분한다. 미세먼지는 다시 지름이 10㎛보다 작은 미세먼지(PM10)와 지름이 2.5㎛보다 작은 미세먼지(PM2.5)로 나뉜다. PM10이 사람의 머리카락 지름(50~70㎛)보다 약 1/5~1/7 정도로 작은 크기라면, PM2.5는 머리카락의 약 1/20~1/30에 불과할 정도로 매우 작다. 세계보건기구(WHO)는 미세먼지(PM10, PM2.5)에 대한 대기질 가이드라인을 1987년부터 제시해 왔고, 2013년에는 세계보건기구 산하의 국제암연구소(IARC, International Agency for Research on Cancer)에서 미세먼지를 사람에게 발암이 확인된 1군 발암물질(Group 1)로 지정하였다.
미세먼지를 이루는 성분은 그 미세먼지가 발생한 지역이나 계절, 기상조건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는 대기오염물질이 공기 중에서 반응하여 형성된 덩어리(황산염, 질산염 등)와 석탄/석유 등 화석연료를 태우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탄소류와 검댕, 지표면 흙먼지 등에서 생기는 광물 등으로 구성된다.
근래에 주목받고 있는 피부의 손상원인 중 하나인 미세먼지는 직접적으로 피부 장벽기능을 손상시키고 피부염의 악화를 유발시킨다. 미세먼지의 입자 크기는 매우 작기 때문에 모낭을 통해 피부 밑까지 침투할 수 있다. 따라서 아토피나 알레르기 질환자 또는 민감성 피부를 가진 환자가 아니라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미세먼지가 피부에 침투하게 되면 활성산소를 생산하여 우리 피부의 미토콘드리아에 손상을 주어 콜라겐 합성을 감소시키고 분해를 증가시키고 멜라닌 세포를 자극하여 색소침착을 유발하기 때문에 색소침착 및 주름 모공확장 등의 피부노화 현상이 심해질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TiO2 및 ZnO를 표면개질하고 다가 알코올로 표면처리하여 미세먼지 제거효과를 갖는 물질을 제조하고 이를 함유하여 미세먼지 차단효과와 선블록 기능이 모두 있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함으로써 본 발명을 최종 완성하였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7-0050390호 (발명의 명칭 : 음전하 물질을 포함하는 미세먼지 방진용 조성물, 출원인 : (주)아모레퍼시픽, 공개일 : 2017년05월11일)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8-0012909호 (발명의 명칭 : 피부 마찰력 감소에 의한 미세먼지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출원인 : 코스맥스 주식회사, 공개일 : 2018년02월07일)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8-0111261호 (발명의 명칭 : 구상 파우더를 포함하는 안티-폴루션 화장료 조성물, 출원인 : (주)아모레퍼시픽, 공개일 : 2018년10월11일)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8-0006536호 (발명의 명칭 : 미세돌기 구조 형성에 의한 미세먼지 흡착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출원인 : 한국식품연구원, 공개일 : 2018년01월18일)
본 발명의 목적은 표면개질된 TiO2 및 ZnO를 함유하는 미세먼지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로 인해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제1단계) TiO2 및 ZnO을 유기용매에 분산시켜 혼합용액을 제공하는 단계; (제2단계) 상기 혼합용액에 유기실란계 표면개질제를 첨가하여 TiO2 및 ZnO의 표면을 개질한 반응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제3단계) 상기 반응물을 다가 알코올로 표면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제1단계의 TiO2는 평균입경이 50~200nm의 두께 30~80nm인 판상 구조를 가지며, ZnO는 평균입경 50~800nm및 두께 10~50nm의 육각판상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조방법에 있어서, 제1단계의 유기용매로는 벤젠, 톨루엔 및 에테르 중 선택되는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단계의 유기실란계 표면개질제로 알킬트리알콕시실란을 사용할 수 있는데, 상기 알킬트리알콕시실란으로는, 더 바람직하게는, 메틸트리메톡시실란, 메틸트리에톡시실란, 메틸트리프로폭시실란, 메틸트리이소프로폭시실란, 에틸트리메톡시실란, 에틸트리에톡시실란, 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부틸트리메톡시실란, 페닐트리메톡시실란, 페닐트리에톡시실란, 비닐트리메톡시실란, 비닐트리에톡시실란, γ-글리시톡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γ-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및 γ-메타아크릴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제조방법에서 있어서, 제3단계의 다가 알코올의 표면처리전 0.1~5M 산성용액으로 산처리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산처리는 질산, 염산 및 아세트산 중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산으로 처리하며, 산의 농도는 0.1~5M인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제3단계의 다가 알코올은 1,3-부탄디올 및 2,3-부탄디올 중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며,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스킨로션,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쳐로션, 영양로션, 맛사지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쳐크림, 핸드크림, 파운데이션, 에센스, 영양에센스, 팩, 비누,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및 바디클렌저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되는 제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미세먼지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제1단계는 TiO2 및 ZnO을 유기용매에 분산시켜 혼합용액을 제공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TiO2와 ZnO은 1 : 0.5~2의 중량비로 혼합하고, 유기용매 100 중량부에 TiO2 및 ZnO의 혼합 분말을 5 ~ 20 중량부 첨가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TiO2와 ZnO가 1 : 0.5~2 중량비를 벗어나 혼합되거나, 유기용매와 이 혼합분말의 혼합범위가 이 범위를 벗어날 경우 미세먼지 차단 효과가 낮아질 수 있다.
상기 제1단계의 TiO2는 평균입경이 50~200nm의 두께 30~80nm인 판상 구조를 가지며, ZnO는 평균입경 50~800nm및 두께 10~50nm의 육각판상 구조를 가질 수 있는데, 각 화합물의 평균입경이나 두께가 이 범위를 벗어나게 되면 최종 제조되는 화장료 조성물이 미세먼지를 차단하는 효과가 낮아질 수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상기 제조방법의 제2단계는, 상기 혼합용액에 유기실란계 표면개질제를 첨가하여 TiO2 및 ZnO의 표면을 개질한 반응물을 제조하는 단계로서, 상기 반응물을 세척하고 필터링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유기실란계 표면개질제는 표면 개질 전의 TiO2 및 ZnO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0.1~10 중량부로 첨가될 수 있는데, 0.1 중량부 미만으로 첨가되거나 10 중량부 초과되어 첨가되어도 역시 최종 제조되는 화장료 조성물이 미세먼지를 차단하는 효과가 낮아질 수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제조방법의 제3단계는 최종적으로 상기 반응물을 다가 알코올로 표면처리하는 단계인데, 상기 반응물을 증류수에 분산시켜 산처리하고 다가 알코올을 첨가하여 표면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표면처리 이후 반응물을 세척하고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3단계에서 다가 알코올의 첨가는 반응물 100 중량부 기준으로 50 ~ 150 중량부를 첨가하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은 3단계의 제조방법을 통해 본 발명에서 미세먼지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말하는 미세먼지는 입자크기 10㎛보다 작은 미세먼지(PM10)와 지름이 2.5㎛보다 작은 미세먼지(PM2.5)를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지표면 흙먼지, 대기 중에 포함된 화석연료 연소시 발생되는 연무, 각종 유기물의 연소시 발생하는 불연소 물질, 황사, 차량 배기가스나 공장 배출가스에 포함된 입자 등에서 선택되는 미세먼지에 대한 안티폴루션 효능을 가져 피부에 각종 오염물질이 흡착되는 것을 차단하는 기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미세먼지에는 다이옥신, 벤조피렌, 중금속 등의 환경 유해인자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으며, 이 때, 상기 중금속은 비중이 4 이상인 금속류로서 수은(13.5), 카드뮴(8.7), 납(11.3), 구리(8.9) 등의 최대 23의 비중을 갖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을 통해 제조되는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료 제형에 0.001~5 중량%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스킨로션,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쳐로션, 영양로션, 맛사지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쳐크림, 핸드크림, 파운데이션, 에센스, 영양에센스, 팩, 비누,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및 바디클렌저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는 수용성 비타민, 유용성 비타민, 고분자 펩티드, 고분자 다당, 스핑고 지질 및 해초 엑기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성분이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수용성 비타민으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비타민 B1, 비타민 B2, 비타민 B6, 피리독신, 염산피리독신, 비타민 B12, 판토텐산, 니코틴산, 니코틴산아미드, 엽산, 비타민 C, 비타민 H 등을 들 수 있으며, 그들의 염(티아민염산염, 아스코르빈산나트륨염 등)이나 유도체(아스코르빈산-2-인산나트륨염, 아스코르빈산-2-인산마그네슘염 등)도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수용성 비타민에 포함된다. 수용성 비타민은 미생물 변환법, 미생물의 배양물로부터의 정제법, 효소법 또는 화학 합성법 등의 통상의 방법에 의해 수득할 수 있다.
유용성 비타민으로서는 화장료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비타민 A, 카로틴, 비타민 D2, 비타민 D3, 비타민 E(d1-알파 토코페롤, D-알파 토코페롤, D-알파 토코페롤) 등을 들 수 있으며, 그들의 유도체(팔미틴산아스코르빈, 스테아르산아스코르빈, 디팔미틴산아스코르빈, 아세트산DL-알파 토코페롤, 니코틴산DL-알파 토코페롤비타민 E, DL-판토테닐알코올, D-판토테닐알코올, 판토테닐에틸에테르 등) 등도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유용성 비타민에 포함된다. 유용성 비타민은 미생물 변환법, 미생물의 배양물로부터의 정제법, 효소 또는 화학 합성법 등의 통상의 방법에 의해 취득할 수 있다.
고분자 펩티드로서는 화장료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콜라겐, 가수 분해 콜라겐, 젤라틴, 엘라스틴, 가수 분해 엘라스틴, 케라틴 등을 들 수 있다. 고분자 펩티드는 미생물의 배양액으로부터의 정제법, 효소법 또는 화학 합성법 등의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정제 취득할 수 있으며, 또는 통상 돼지나 소 등의 진피, 누에의 견섬유 등의 천연물로부터 정제하여 사용할 수 있다.
고분자 다당으로서는 화장료 조성물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크산탄검, 히알루론산나트륨, 콘드로이틴 황산 또는 그 염(나트륨염 등) 등을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콘드로이틴 황산 또는 그 염 등은 통상 포유동물이나 어류로부터 정제하여 사용할 수 있다.
스핑고 지질로서는 화장료 조성물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세라미드, 피토스핑고신, 스핑고당지질 등을 들 수 있다. 스핑고 지질은 통상 포유류, 어류, 패류, 효모 또는 식물 등으로부터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정제하거나 화학 합성법에 의해 취득할 수 있다.
해초 엑기스로는 화장료 조성물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갈조 엑기스, 홍조 엑기스, 녹조 엑기스 등을 들 수 있으며, 또, 이들의 해초 엑기스로부터 정제된 칼라기난, 아르긴산, 아르긴산나트륨, 아르긴산칼륨 등도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해초 엑기스에 포함된다. 해초 엑기스는 해초로부터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정제하여 취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는 또한 통상의 화장료에 배합되는 다른 성분을 배합할 수도 있다.
이외에 첨가해도 되는 배합 성분으로서는 유지 성분, 보습제, 에몰리엔트제, 계면 활성제, 유기 및 무기 안료, 유기 분체, 자외선 흡수제, 방부제, 살균제, 산화 방지제, 식물 추출물, pH 조정제, 알콜, 색소, 향료, 혈행 촉진제, 냉감제, 제한(制汗)제, 정제수 등을 들 수 있다.
유지 성분으로서는 에스테르계 유지, 탄화수소계 유지, 실리콘계 유지, 불소계 유지, 동물 유지, 식물 유지 등을 들 수 있다.
에스테르계 유지로서는 트리2-에틸헥산산글리세릴, 2-에틸헥산산세틸, 미리스틴산이소프로필, 미리스틴산부틸, 팔미틴산이소프로필, 스테아르산에틸, 팔미틴산옥틸, 이소스테아르산이소세틸, 스테아르산부틸, 리놀레산에틸, 리놀레산이소프로필, 올레인산에틸, 미리스틴산이소세틸, 미리스틴산이소스테아릴, 팔미틴산이소스테아릴, 미리스틴산옥틸도데실, 이소스테아르산이소세틸, 세바신산디에틸, 아디핀산디이소프로필, 네오펜탄산이소알킬, 트리(카프릴, 카프린산)글리세릴, 트리2-에틸헥산산트리메틸롤프로판, 트리이소스테아르산트리메틸롤프로판, 테트라2-에틸헥산산펜타엘리슬리톨, 카프릴산세틸, 라우린산데실, 라우린산헥실, 미리스틴산데실, 미리스틴산미리스틸, 미리스틴산세틸, 스테아르산스테아릴, 올레인산데실, 리시노올레인산세틸, 라우린산이소스테아릴, 미리스틴산이소트리데실, 팔미틴산이소세틸, 스테아르산옥틸, 스테아르산이소세틸, 올레인산이소데실, 올레인산옥틸도데실, 리놀레산옥틸도데실, 이소스테아르산이소프로필, 2-에틸헥산산세토스테아릴, 2-에틸헥산산스테아릴, 이소스테아르산헥실, 디옥탄산에틸렌글리콜, 디올레인산에틸렌글리콜, 디카프린산프로필렌글리콜, 디(카프릴,카프린산)프로필렌글리콜, 디카프릴산프로필렌글리콜, 디카프린산네오펜틸글리콜, 디옥탄산네오펜틸글리콜, 트리카프릴산글리세릴, 트리운데실산글리세릴, 트리이소팔미틴산글리세릴, 트리이소스테아르산글리세릴, 네오펜탄산옥틸도데실, 옥탄산이소스테아릴, 이소노난산옥틸, 네오데칸산헥실데실, 네오데칸산옥틸도데실, 이소스테아르산이소세틸, 이소스테아르산이소스테아릴, 이소스테아르산옥틸데실, 폴리글리세린올레인산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린이소스테아르산에스테르, 시트르산트리이소세틸, 시트르산트리이소알킬, 시트르산트리이소옥틸, 락트산라우릴, 락트산미리스틸, 락트산세틸, 락트산옥틸데실, 시트르산트리에틸, 시트르산아세틸트리에틸, 시트르산아세틸트리부틸, 시트르산트리옥틸, 말산디이소스테아릴, 히드록시스테아르산 2-에틸헥실, 숙신산디2-에틸헥실, 아디핀산디이소부틸, 세바신산디이소프로필, 세바신산디옥틸, 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이소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히드록시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올레인산콜레스테릴, 올레인산디히드로콜레스테릴, 이소스테아르산피트스테릴, 올레인산피트스테릴, 12-스테알로일히드록시스테아르산이소세틸, 12-스테알로일히드록시스테아르산스테아릴, 12-스테알로일히드록시스테아르산이소스테아릴 등의 에스테르계 등을 들 수 있다.
탄화 수소계 유지로서는 스쿠알렌, 유동 파라핀, 알파-올레핀올리고머, 이소파라핀, 세레신, 파라핀, 유동 이소파라핀, 폴리부덴, 마이크로크리스탈린왁스, 와셀린 등의 탄화 수소계 유지 등을 들 수 있다.
실리콘계 유지로서는 폴리메틸실리콘, 메틸페닐실리콘, 메틸시클로폴리실록산, 옥타메틸폴리실록산, 데카메틸폴리실록산, 도데카메틸시클로실록산, 디메틸실록산ㆍ메틸세틸옥시실록산 공중합체, 디메틸실록산ㆍ메틸스테알록시실록산 공중합체, 알킬 변성 실리콘유, 아미노 변성 실리콘유 등을 들 수 있다.
불소계 유지로서는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동물 또는 식물 유지로서는 아보카도유, 아르몬드유, 올리브유, 참깨유, 쌀겨유, 새플라워유, 대두유, 옥수수유, 유채유, 행인(杏仁)유, 팜핵유, 팜유, 피마자유, 해바라기유, 포도종자유, 면실유, 야자유, 쿠쿠이너트유, 소맥배아유, 쌀 배아유, 시아버터, 월견초유, 마커데이미아너트유, 메도홈유, 난황유, 우지(牛脂), 마유, 밍크유, 오렌지라피유, 호호바유, 캔데리러왁스, 카르나바왁스, 액상 라놀린, 경화피마자유 등의 동물 또는 식물 유지를 들 수 있다.
보습제로서는 수용성 저분자 보습제, 지용성 분자 보습제, 수용성 고분자, 지용성 고분자 등을 들 수 있다.
수용성 저분자 보습제로서는 세린, 글루타민, 솔비톨, 만니톨, 피롤리돈-카르복실산나트륨,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에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B(중합도 n = 2 이상), 폴리프로필렌글리콜(중합도 n = 2 이상), 폴리글리세린B(중합도 n = 2 이상), 락트산, 락트산염 등을 들 수 있다.
지용성 저분자 보습제로서는 콜레스테롤, 콜레스테롤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수용성 고분자로서는 카르복시비닐폴리머, 폴리아스파라긴산염, 트라가칸트, 크산탄검, 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수용성 키틴, 키토산, 덱스트린 등을 들 수 있다.
지용성 고분자로서는 폴리비닐피롤리돈ㆍ에이코센 공중합체, 폴리비닐피롤리돈ㆍ헥사데센 공중합체, 니트로셀룰로오스, 덱스트린지방산에스테르, 고분자 실리콘 등을 들 수 있다.
에몰리엔트제로서는 장쇄아실글루타민산콜레스테릴에스테르, 히드록시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12-히드록시스테아르산, 스테아르산, 로진산, 라놀린지방산콜레스테릴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계면 활성제로서는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 양이온성 계면 활성제, 양성 계면 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자기 유화형 모노스테아르산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지방산에스테르,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솔비탄지방산에스테르, POE(폴리옥시에틸렌)솔비탄지방산에스테르, POE 솔비트지방산에스테르, POE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POE 알킬에테르, POE 지방산에스테르, POE 경화피마자유, POE 피마자유, POEㆍPOP(폴리옥시에틸렌ㆍ폴리옥시프로필렌) 공중합체, POEㆍPOP 알킬에테르, 폴리에테르변성실리콘, 라우린산알카놀아미드, 알킬아민옥시드, 수소첨가대두인지질 등을 들 수 있다.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지방산비누, 알파-아실술폰산염, 알킬술폰산염, 알킬알릴술폰산염, 알킬나프탈렌술폰산염, 알킬황산염, POE 알킬에테르황산염, 알킬아미드황산염, 알킬인산염, POE 알킬인삼염, 알킬아미드인산염, 알킬로일알킬타우린염, N-아실아미노산염, POE 알킬에테르카르복실산염, 알킬술포숙신산염, 알킬술포아세트산나트륨, 아실화 가수분해 콜라겐펩티드염, 퍼플루오로알킬인산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양이온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염화알킬트리메틸암모늄, 염화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브롬화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염화세토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염화디스테아릴디메틸암모늄, 염화스테아릴디메틸벤질암모늄, 브롬화베헤닐트리메틸암모늄, 염화벤잘코늄, 스테아르산디에틸아미노에틸아미드, 스테아르산디메틸아미노프로필아미드, 라놀린 유도체 제 4급 암모늄염 등을 들 수 있다.
양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카르복시베타인형, 아미드베타인형, 술포베타인형, 히드록시술포베타인형, 아미드술포베타인형, 포스포베타인형, 아미노카르복실산염형, 이미다졸린 유도체형, 아미드아민형 등의 양성 계면 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유기 및 무기 안료로서는 규산, 무수규산, 규산마그네슘, 탤크, 세리사이트, 마이카, 카올린, 벵갈라, 클레이, 벤토나이트, 티탄피막운모, 옥시염화비스무트, 산화지르코늄, 산화마그네슘, 산화아연, 산화티탄, 산화알루미늄, 황산칼슘, 황산바륨, 황산마그네슘, 탄산칼슘, 탄산마그네슘, 산화철, 군청, 산화크롬, 수산화크롬, 칼라민 및 이들의 복합체등의 무기 안료 ;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티렌, 폴리우레탄, 비닐수지, 요소수지, 페놀수지, 불소수지, 규소수지, 아크릴수지, 멜라민수지, 에폭시수지, 폴리카보네이트수지, 디비닐벤젠ㆍ스티렌 공중합체, 실크파우더, 셀룰로오스, CI 피그먼트옐로우, CI 피그먼트오렌지 등의 유기 안료 및 이들의 무기 안료와 유기 안료의 복합 안료 등을 들 수 있다.
유기 분체로서는 스테아르산칼슘 등의 금속비누 ; 세틸린산아연나트륨, 라우릴린산아연, 라우릴린산칼슘 등의 알킬인산금속염 ; N-라우로일-베타-알라닌칼슘, N-라우로일-베타-알라닌아연, N-라우로일글리신칼슘 등의 아실아미노산 다가금속염 ; N-라우로일-타우린칼슘, N-팔미토일-타우린칼슘 등의 아미드술폰산 다가금속염 ; N-엡실론-라우로일-L-리진, N-엡실론-팔미토일리진, N-알파-파리토일올니틴, N-알파-라우로일아르기닌, N-알파-경화우지지방산아실아르기닌 등의 N-아실염기성아미노산 ; N-라우로일글리실글리신 등의 N-아실폴리펩티드 ; 알파-아미노카프릴산, 알파-아미노라우린산 등의 알파-아미노지방산 ;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나일론,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스티렌, 디비닐벤젠ㆍ스티렌 공중합체, 사불화에틸렌 등을 들 수 있다.
자외선 흡수제로서는 파라아미노벤조산, 파라아미노벤조산에틸, 파라아미노벤조산아밀, 파라아미노벤조산옥틸, 살리실산에틸렌글리콜, 살리신산페닐, 살리신산옥틸, 살리신산벤질, 살리신산부틸페닐, 살리신산호모멘틸, 계피산벤질, 파라메톡시계피산-2-에톡시에틸, 파라메톡시계피산옥틸, 디파라메톡시계피산모노-2-에틸헥산글리세릴, 파라메톡시계피산이소프로필, 디이소프로필ㆍ디이소프로필계피산에스테르 혼합물, 우로카닌산, 우로카닌산에틸, 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 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술폰산 및 그 염, 디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 디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디술폰산나트륨, 디히드록시벤조페논, 테트라히드록시벤조페논, 4-tert-부틸-4'-메톡시디벤조일메탄, 2,4,6-트리아닐리노-p-(카르보-2'-에틸헥실-1'-옥시)-1,3,5-트리아진, 2-(2-히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등을 들 수 있다.
살균제로서는 히노키티올, 트리클로산, 트리클로로히드록시디페닐에테르, 크로르헥시딘글루콘산염, 페녹시에탄올, 레조르신, 이소프로필메틸페놀, 아줄렌, 살리칠산, 진크필리티온, 염화벤잘코늄, 감광소 301 호, 모노니트로과이어콜나트륨, 운데시렌산 등을 들 수 있다.
산화 방지제로서는 부틸히드록시아니솔, 갈릭산프로필, 엘리소르빈산 등을 들 수 있다.
pH 조정제로서는 시트르산, 시트르산나트륨, 말산, 말산나트륨, 프말산, 프말산나트륨, 숙신산, 숙신산나트륨, 수산화나트륨, 인산일수소나트륨 등을 들 수 있다.
알코올로서는 세틸알코올 등의 고급 알코올을 들 수 있다.
또한 이외에 첨가해도 되는 배합 성분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또 상기 어느 성분도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배합 가능하지만, 총중량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5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 - 3 중량%로 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용액, 유화물, 점성형 혼합물 등의 형상을 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은 유효성분으로서 상기 추출물 이외에 화장료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및 담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섬유, 식물섬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의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매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리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표면개질된 TiO2 및 ZnO를 함유하는 미세먼지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로 인해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방법으로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은 지표면 흙먼지, 대기 중에 포함된 화석연료 연소시 발생되는 연무, 각종 유기물의 연소시 발생하는 불연소 물질, 황사, 차량 배기가스나 공장 배출가스에 포함된 입자 등으로 구성된 미세먼지의 흡착을 저해하여 피부로의 미세먼지 부착, 흡수 등을 차단하여 미세먼지가 원인이 되어 발생하는 피부염, 여드름, 각질, 아토피, 알레르기 등을 완화하고, 피부상태를 용이하게 개선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분말을 제조하기 위한 모식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분말(Diol@P.TiO2), 비교예 1의 분말(Epoxide@P.TiO2), 비교예 2의 분말(NH2@P.TiO2)에 대한 FT-IR 분석 결과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분말(Diol@P.TiO2), 비교예 1의 분말(Epoxide@P.TiO2), 비교예 2의 분말(NH2@P.TiO2)에 대한 유기물 정량 분석 결과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분말(Diol@P.TiO2), 비교예 1의 분말(Epoxide@P.TiO2), 비교예 2의 분말(NH2@P.TiO2)의 표면전위(Zeta potential) 분석결과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에서 이용한 Carbon black 방어율 분석평가 장치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6은 Carbon black 방어율 분석평가 장치에 이용하기 위한 샘플 분석용 holder 및 10g의 시료를 장착한 형태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7은 Carbon black 방어율 평가장치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분말(Diol@P.TiO2)의 미세먼지 방어율을 평가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분말(Diol@P.TiO2), 비교예 2의 분말(NH2@P.TiO2)의 표면전위 차이에 따른 미세먼지 방어율을 평가한 결과를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지도록,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전달하기 위해 제공하는 것이다.
<제조예 1. TiO 2 분말의 제조>
15g 티탄산 부틸에스테르와 18g의 과산화수소 수용액 (30%wt)에 3ml의 불화 수소산 용액 (40%wt)을 혼합하여 2시간 교반 후 수열반응기에 혼합용액을 옮겨 200℃에서 24 시간 동안 반응하였다. 이후 자연냉각하여 반응물을 에탄올로 세척하고 진공건조하여 판상의 TiO2 입자를 제조하였다. 최종 제조된 TiO2의 평균 입경은 90~120nm의 판상으로 두께 30~40nm를 갖는 것으로 확인된다.
<제조예 2. ZnO 분말의 제조방법>
0.1 M의 Zn(CH3COO)2·2H2O와 0.05 M의 NaOH 및 0.28 mM의 sodium citrate의 용액(100 ml) 하에서 100℃ 조건에서 1시간 동안 수열합성법을 통해 산화아연 나노입자로부터 합성하여 나노 플레이트 형태의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ZnO 입자를 제조하였다.
보다 자세하게는, 먼저 3 nm의 ZnO seed를 L.Spanhel 그룹에 의해 보고된 방법대로 합성하였다. 좀 더 자세히는 응축기를 부착한 250㎖ 둥근 바닥 플라스크에 100㎖ 무수 에탄올을 넣고 0.01M의 Zinc acetate dehydrate(Zn(CH3COO)2·2H2O)를 녹인 후 80℃에서 3시간 동안 100㎖의 용액이 40㎖가 될 때까지 환류시켰다. 반응 후 얻어진 40㎖의 전구체는 Icebath에서 초음파(120W, 35kHz) 처리를 하면서 0.1M LiOH 에탄올 용액 60㎖로 환원시켜 ZnO seed를 합성하였다. ZnO 나노 플레이트를 합성하기 위한 성장용액(Growth solution)으로서 0.1 M의 Zn(CH3COO)2·2H2O와 0.05 M의 sodium hydroxide 및 0.28 mM의 sodium citrate의 수용액(100 ㎖)을 준비하였다. 이 Growth solution을 200㎖ 용량의 Teflon autoclave 용기에 옮긴 후 앞서 L.Spanhel 방법으로 합성한 ZnO seed 1㎖를 첨가하고 자석교반기가 설치된 수열합성기를 이용하여 95℃에서 1시간 동안 300rpm의 교반하에 합성하였다. 반응 종료 후 생성된 흰색의 침전물을 아세톤과 에탄올을 이용하여 2~3회 Washing 하여 최종적으로 나노 플레이트 형태의 ZnO 입자를 얻었다.
<실시예 1. 실란계 화합물 표면개질 후 1,3-부탄디올 표면처리된 ZnO 및 TiO 2 분말>
제조예 1 및 2에서 합성한 ZnO 50g과 TiO2 50g을 톨루엔 500g에 혼합하여 초음파로 약 20분간 분산시켜 혼합용액을 제조한 후, γ-메타아크릴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을 1g 첨가하여 교반하면서 100~110℃에서 환류 반응을 이용해 6시간 동안 표면개질을 진행하였다. 표면 개질된 반응물을 에탄올로 3회 세척하고 필터링한 후, 0.5M 염산 수용액 400g에 분산시켜 30분간 교반하였다. 이후 염산 수용액에 1,3-부탄디올을 100g 첨가한 후 2시간 교반하였다. 이후 반응물을 에탄올로 세척하고, 필터링하여 진공건조하여 분말을 얻었다. 한편, 이 과정은 간략하게 도 1에 개시되어 있다.
<비교예 1. 엑포사이드로 표면처리된 분말 제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표면개질하고, 1,3-부탄디올을 엑포사이드로 처리하는 것 이외에는 동일한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분말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에틸아민으로 표면처리된 분말 제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표면개질하고, 1,3-부탄디올을 에틸아민으로 처리하는 것 이외에는 동일한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분말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FT-IR 분석>
실시예 1, 비교예 1 및 2의 분말에 대해 기능성 실란이 P-TiO2/ZnO에 적합하게 코팅이 되었는지 평가하기 위하여 FT-IR 분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는데, 이 분말들 모두 TiO2의 고유 peak인 Ti-O bond가 약 1630 cm-1에서 관측되었다. 기능성 실란의 대표적인 peak인 Si-O-Si가 1025 ~ 1050 cm-1, Si-C는 710 ~ 790 cm-1에서 관측되었다. 또한 기능성 실란 코팅 후 특징적인 peak인 C=O bond 역시 관찰됨에 따라, 세라믹 소재 표면에 기능성 실란이 효과적으로 코팅되었음을 확인하였다. ** 도 1에서 실시예 1의 분말은 Diol@P.TiO2, 비교예 1의 분말은 Epoxide@P.TiO2, 비교예 2의 분말은 NH2@P.TiO2로 기재하였고, 이하의 도면 또는 발명의 설명에서 동일하게 기재한다.
<실험예 2. 열중량분석 (TGA)>
다음으로 P-TiO2/ZnO에 코팅된 기능성 실란의 유기물을 정량적으로 평가하기 위하여 열중량분석(TGA)를 수행하였다. 본 분석을 통하여 세라믹 소재에 코팅된 기능성 유기물질(실란)의 비율을 확인하여 코팅비율을 평가할 수 있다.
이 결과는 도 3에 나타내었는데, 도 3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Epoxide 및 Diol 처리의 경우 약 2 ~ 2.5 %, 에틸아민 처리의 경우 약 4.5% 가량의 유기물이 코팅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300 ~ 500 ℃에서 급격한 중량감소를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기능성 실란이 300 ℃ 미만에서 안정적인 단일조립자기막을 형성하다가 그 이상의 가혹조건에서 급격한 손실을 겪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Epoxide에 산처리를 통해 제작하는 Diol의 경우 산처리로 인하여 소실되는 유기물의 양은 거의 없는 것으로 확인하여 새로이 적용된 공정이 안정적인 유기물 코팅층을 형성하여 기능성을 잃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3. 제타전위 분석>
다음으로는 기능성 실란이 코팅된 P-TiO2/ZnO의 표면전위를 측정하였다. 본 분석을 위하여 전기영동법을 이용하는 제타전위 (Zeta potential) 분석을 수행하였다. 하지만 제타전위는 분석을 위한 측정환경이 매우 다양하여 용매의 종류, 온도, pH 등, 제어해야 할 외부조건이 많아 동일한 조건으로 시료를 처리하여 측정하였다. 설정된 조건은 증류수를 용매로 하여, 시료를 1/100으로 희석하여 분석하였다. 측정온도는 25 ℃로 고정하였다. 분석결과는 도 4에 나타내었다.
이전의 예비실험에서 자외선 차단기능을 가진 P-TiO2/ZnO는 +9.6 mV의 표면전위값을 보였는데, 도 4를 참고하면, 이 소재에 Epoxide를 코팅한 비교예 1 분말 시료의 경우는 -10.05 mV의 음전하를 나타내었다. 해당 시료를 산처리를 통하여 Diol로 제작된 실시예 1 분말 시료의 경우 -35.3 mV의 음전하를 나타내었다. 에틸아민이 처리된 비교예 2 분말 시료의 경우 +17 mV의 양전하를 나타내었다. 본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할 때, 음전하수치가 가장 높은 Diol이 코팅된 P-TiO2/ZnO가 가장 최적화된 소재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실험예 3. 미세먼지 부착율 평가>
기존에 화장품용 세라믹 소재에 대한 미세먼지 방어율 평가법이 존재하지 않아 실시예 1, 비교예 1 및 2 분말 소재의 미세먼지 방어율을 평가하기 위하여, 특수한 안티폴루션 분석 장비 제작을 의뢰하여 미세먼지로써 대표적으로 지정된 Carbon black 방어율을 각각 분석할 수 있도록 제작하였다.
Carbon black 방어율을 평가하는 장비는 장치 내부에 미세먼지를 측정할 수 있는 6개의 측정기를 각각 장치의 상단 중단 하단에 설치하였으며, 송풍기를 이용하여 미세먼지의 흐름을 발생시켜 샘플에 발생하는 변화를 관찰하였다. Carbon black 방어율 분석용 장비의 실물 사진은 도 5에 나타내었다.
Carbon black 방어율 분석용 장비를 이용한 실험의 미세먼지 방어율 평가는 준비된 시료를 화장품 제형 형태로 제작하여 holder 당 약 10g의 시료를 장착하고 약 30 mg의 미세먼지를 발생하여 측정을 진행하였다. 샘플 분석용 holder 및 10g의 시료를 장착한 상태는 도 6에 나타내었다.
평가법의 정확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실시예 1, 비교예 1 및 2 시료 외에 화장품 원료 중 하나인 호호바 오일, 흄드 실리카, 본 발명에서 제조한 TiO2를 비교군으로 이용하였다. 또한, 신뢰성 확보를 위하여 장치의 상단부와 하단부, PM 10 및 PM 2.5에 대한 평가를 진행하였으며, 모든 실험은 반복적으로 측정되었다(도 7 및 도 8 참조).
도 7 및 도 8의 결과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분말(Diol@P.TiO2)이 비교예 1의 분말(Epoxide@P.TiO2), 비교예 2의 분말(NH2@P.TiO2), 흄드 실리카(Silica), 호호바 오일(Oil form)에 비해 미세먼지 방어율이 가장 좋아 미세먼지의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로 이용되기에 적합함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4. 제형안정도 평가 및 지속성 평가>
실시예 1 분말이 화장료로 제형화하기 위해서는 장기간 안정적으로 미세먼지 제거기능이 유지되어야 하기에, 안정도 및 미세먼지 제거 기능 지속성 평가를 위해 90일간 조건에 따라 진행하였다. 이를 위해, 복합소재의 미세먼지 부착률 평가는 발생시킨 미세먼지를 실시간 광학계측기인 dust monitor를 이용해 확인하여 부착률을 정성평가 하고, 유의확률을 p-value로써 나타내었다.
그 결과 실시예 1 분말은 상온 조건인 25℃에서 약 60일간 물성변화 없이 지속적인 기능성을 발현하였으며 고온(42℃)의 경우, 보다 짧은 30일 후 분리와 변색이 시작되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42℃에서의 가학조건 하에 시료의 지속성은 저하되었으나 상온 25℃에서는 물성변화가 전혀 없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반복적인 분석을 통해 복합소재의 미세먼지 방어율의 유의확률 p-value는 다음의 표 1과 같이 시료에 따라 0.01 ~ 0.05로 나타나 본 발명 실시예 1의 분말이 안정적인 상태로 장기간 유지되어 화장료로 제형화될 수 있는 소재임을 확인할 수 있다.
시 료 명 표준편차 유의확률
Oil foam 7.41 0.01
TiO2 8.21 0.02
Silica 4.75 0.02
Diol coated P. TiO2 3.24 0.05
<화장료 제형예 1. 미세먼지 차단용 선크림의 제조>
하기 표 2의 조성과 같이, 실시예 1의 분말을 함유한 선크림(100g)을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원료 함량 (g)
실시예 1의 분말 0.5
시토스테롤 4.0
폴리글리세릴 2-올레이트 3.0
세라마이드 0.7
세테아레스-4 2.0
콜레스테롤 3.0
디세틸포스페이트 0.4
농글리세린 5.0
선플라워오일 22.0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5
트리에탄올아민 0.5
방부제 미량
향료 미량
정제수 잔량
<화장료 제형예 2. 미세먼지 차단용 파운데이션의 제조>
하기 표 3의 조성과 같이, 실시예 1의 분말을 함유한 파운데이션(100g)을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원료 함량 (g)
실시예 1의 분말 0.5
밀납 2.0
사이클로메치콘 2.0
유동파라핀 5.0
스쿠알란 5.0
스테아린산 2.0
친유성 모노스테아린산 글리세린 3.0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4.0
글리세린 4.0
프로필렌글리콜 3.0
부틸렌글리콜 3.0
트리에탄올아민 1.0
알루미늄마그네슘실리케이트 0.5
안료 12.0
방부제 미량
향료 미량
정제수 잔량

Claims (11)

  1. (제1단계) TiO2 및 ZnO을 유기용매에 분산시켜 혼합용액을 제공하는 단계;
    (제2단계) 상기 혼합용액에 유기실란계 표면개질제를 첨가하여 TiO2 및 ZnO의 표면을 개질한 반응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제3단계) 상기 반응물을 다가 알코올로 표면처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의 TiO2는 평균입경이 50~200nm의 두께 30~80nm인 판상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의 ZnO는 평균입경 50~800nm및 두께 10~50nm의 육각판상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의 유기용매는 벤젠, 톨루엔 및 에테르 중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의 유기실란계 표면개질제는 알킬트리알콕시실란인 것을 특징으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차단용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알킬트리알콕시실란은 메틸트리메톡시실란, 메틸트리에톡시실란, 메틸트리프로폭시실란, 메틸트리이소프로폭시실란, 에틸트리메톡시실란, 에틸트리에톡시실란, 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부틸트리메톡시실란, 페닐트리메톡시실란, 페닐트리에톡시실란, 비닐트리메톡시실란, 비닐트리에톡시실란, γ-글리시톡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γ-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및 γ-메타아크릴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것을 미세먼지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의 다가 알코올의 표면처리전 0.1~5M 산성용액으로 산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미세먼지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산처리는 질산, 염산 및 아세트산 중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산으로 처리하며, 산의 농도는 0.1~5M인 것을 특징으로 미세먼지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의 다가 알코올은 1,3-부탄디올 및 2,3-부탄디올 중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미세먼지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의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으로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은 스킨로션,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쳐로션, 영양로션, 맛사지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쳐크림, 핸드크림, 파운데이션, 에센스, 영양에센스, 팩, 비누,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및 바디클렌저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180162833A 2018-12-17 2018-12-17 표면개질된 TiO2 및 ZnO를 함유하는 미세먼지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1270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2833A KR102127053B1 (ko) 2018-12-17 2018-12-17 표면개질된 TiO2 및 ZnO를 함유하는 미세먼지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2833A KR102127053B1 (ko) 2018-12-17 2018-12-17 표면개질된 TiO2 및 ZnO를 함유하는 미세먼지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7053B1 true KR102127053B1 (ko) 2020-06-25

Family

ID=714000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2833A KR102127053B1 (ko) 2018-12-17 2018-12-17 표면개질된 TiO2 및 ZnO를 함유하는 미세먼지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705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8586A (ko) 2020-10-13 2022-04-20 주식회사 펠리즈코스 미세먼지 차단용 화장품
CN114901241A (zh) * 2020-04-08 2022-08-12 Cqv 株式会社 具备紫外线阻挡功能及微尘阻挡功能的防污复合粉体及包含其的化妆品组合物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53317A (ja) * 1994-12-13 1996-10-01 Nippon Shokubai Co Ltd 酸化亜鉛系微粒子、その製造方法及び用途
KR20150035126A (ko) * 2013-09-27 2015-04-06 에이스틴 주식회사 유/무기 하이브리드 이산화티탄 복합체,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50035125A (ko) * 2013-09-27 2015-04-06 에이스틴 주식회사 이온성 유/무기 하이브리드 입자를 포함하는 응집체,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70050390A (ko) 2015-10-30 2017-05-11 (주)아모레퍼시픽 음전하 물질을 포함하는 미세먼지 방진용 조성물
KR20180006536A (ko) 2016-07-07 2018-01-18 코스맥스 주식회사 미세돌기 구조 형성에 의한 미세먼지 흡착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20180012909A (ko) 2016-07-27 2018-02-07 코스맥스 주식회사 피부 마찰력 감소에 의한 미세먼지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20180111261A (ko) 2017-03-31 2018-10-11 (주)아모레퍼시픽 구상 파우더를 포함하는 안티-폴루션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53317A (ja) * 1994-12-13 1996-10-01 Nippon Shokubai Co Ltd 酸化亜鉛系微粒子、その製造方法及び用途
KR20150035126A (ko) * 2013-09-27 2015-04-06 에이스틴 주식회사 유/무기 하이브리드 이산화티탄 복합체,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50035125A (ko) * 2013-09-27 2015-04-06 에이스틴 주식회사 이온성 유/무기 하이브리드 입자를 포함하는 응집체,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70050390A (ko) 2015-10-30 2017-05-11 (주)아모레퍼시픽 음전하 물질을 포함하는 미세먼지 방진용 조성물
KR20180006536A (ko) 2016-07-07 2018-01-18 코스맥스 주식회사 미세돌기 구조 형성에 의한 미세먼지 흡착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20180012909A (ko) 2016-07-27 2018-02-07 코스맥스 주식회사 피부 마찰력 감소에 의한 미세먼지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20180111261A (ko) 2017-03-31 2018-10-11 (주)아모레퍼시픽 구상 파우더를 포함하는 안티-폴루션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901241A (zh) * 2020-04-08 2022-08-12 Cqv 株式会社 具备紫外线阻挡功能及微尘阻挡功能的防污复合粉体及包含其的化妆品组合物
KR20220048586A (ko) 2020-10-13 2022-04-20 주식회사 펠리즈코스 미세먼지 차단용 화장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11856B2 (ja) 安定化されたアスコルビン酸誘導体
KR101881954B1 (ko) 돌외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WO2011055761A1 (ja) 水中油型乳化化粧料
KR102127053B1 (ko) 표면개질된 TiO2 및 ZnO를 함유하는 미세먼지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EP3446675A1 (en) Hydrophobic and oleophobic cosmetic pigment powder with excellent skin-fitting property as well as preparation method and application thereof
JP2010018560A (ja) バイオサーファクタント含有油中水型乳化化粧品組成物
KR101764822B1 (ko) 화장료 조성물
EP2111846B1 (en) Cosmetic preparation containing polyfunctional composite powder
KR101843122B1 (ko) 가는장구채(Silene seoulensis Nakai) 추출물을 함유하는 주름개선용 조성물.
KR102151859B1 (ko) 표면개질된 TiO2 및 ZnO를 함유하는 미세먼지 세정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1810409B1 (ko) 화장료 조성물
KR101634790B1 (ko) 자외선 차단입자, 이를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326634B1 (ko) 고함량 오일을 함유한 나노유화액 제조용 블록공중합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17136B1 (ko) 메란진 하이드레이트를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JPWO2003015723A1 (ja) 化粧料および化粧方法
KR102151740B1 (ko) 금나노로드 및 이산화티타늄을 함유하는 근적외선 및 열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JP4183422B2 (ja) 外用剤
KR101764823B1 (ko) 울금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KR102151419B1 (ko) 고효율 담지 기능 및 방출 제어 기능을 갖는 유무기 복합 소재의 제조방법
JP2014073967A (ja) 被覆粉体及びそれを含有する組成物
KR101912097B1 (ko) 울금 및 애기달맞이꽃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JP3784723B2 (ja) 外用剤
JP2010018580A (ja) ポリ−γ−L−グルタミン酸架橋体を含有する化粧品組成物
JP2020138949A (ja) 微小粒子付着抑制用の組成物
KR101814537B1 (ko) 바이오셀룰로오스의 분말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셀룰라이트 감소 및 예방용 피부외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