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6536A - 미세돌기 구조 형성에 의한 미세먼지 흡착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미세돌기 구조 형성에 의한 미세먼지 흡착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6536A
KR20180006536A KR1020160086232A KR20160086232A KR20180006536A KR 20180006536 A KR20180006536 A KR 20180006536A KR 1020160086232 A KR1020160086232 A KR 1020160086232A KR 20160086232 A KR20160086232 A KR 20160086232A KR 20180006536 A KR20180006536 A KR 201800065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metic composition
fine dust
microprojection
donor
sk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62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39953B1 (ko
Inventor
이지현
이준배
장은선
김연준
유권종
Original Assignee
코스맥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스맥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스맥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862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9953B1/ko
Priority to CN201710545187.7A priority patent/CN107582431A/zh
Publication of KR201800065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65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99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99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6Solid or semisolid forms
    • A61K8/022Powders; Compacted Pow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61K8/062Oil-in-water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61K8/064Water-in-oil emulsions, e.g. Water-in-silicone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5Silicon;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7Zinc;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9Titanium;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1Particular ingredients further characterized by their size
    • A61K2800/412Microsized, i.e. having sizes between 0.1 and 100 micr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세돌기 구조 형성에 의한 미세먼지 흡착방지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 화장료 조성물에 미세돌기 공여물질을 포함시킴으로써 미세돌기 구조 형성에 의해 피부에서의 미세먼지 흡착을 방지하고, 또한 자정작용(self-cleansing)효과에 의해 별도의 세정제를 사용하지 않고도 피부에서 미세먼지를 쉽게 제거할 수 있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미세돌기 구조 형성에 의한 미세먼지 흡착방지용 화장료 조성물{Anti-dust cosmetic composition with micro bump forming agent}
본 발명은 미세돌기 구조 형성에 의한 미세먼지 흡착방지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 화장료 조성물에 미세돌기 공여물질을 포함시킴으로써 미세돌기 구조 형성에 의해 피부에서의 미세먼지 흡착을 방지하고, 또한 자정작용(self-cleansing)효과에 의해 별도의 세정제를 사용하지 않고도 피부에서 미세먼지를 쉽게 제거할 수 있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미세먼지는 우리 눈에 보이지 않는 아주 작은 물질로 대기 중에 오랫동안 떠다니거나 흩날려 내려오는 직경 10 ㎛ 이하의 입자상 물질을 통칭한다. 주로 자동차 배기가스 등의 대기오염 물질과 석탄, 석유 등의 화석 연료가 연소될 때 발생하며 입자의 크기에 따라 직경이 10 ㎛ 이하인 미세먼지(PM10)와 직경이 2.5 ㎛ 이하(PM2.5)인 초미세먼지로 구분한다.
이러한 미세먼지는 자동차 배기가스 등의 대기오염 물질과 공장의 매연 및 생활주변에서의 연소 등에서 발생하는 구리, 납과 같은 중금속이 혼재되어 있어 장기간 노출될 경우 인체 면역력이 급격히 저하되고, 감기나 천식, 기관지염 등의 호흡기 질환은 물론 심혈관 질환, 피부질환, 안구질환 등 각종 질병에 감염될 위험이 있다. 특히, 초미세먼지는 기관지나 폐포의 모세혈관까지 침투가 가능하여 더욱 위험하다.
또한, 미세먼지의 평균 입자 크기인 약 10 μm 이하의 크기는 모공 크기의 약 20분의 1에 해당할 정도로 작기 때문에 모공 속으로 쉽게 침투되어 제거가 어렵다. 한 번 흡수된 미세먼지는 피부에 각종 화학자극을 일으켜 각질세포와 지질막 등에 악영향을 끼치고 피부 면역력을 저하시켜 여드름 유발, 피부 건조, 주름 증가 및 색소 침착 등과 같은 피부 노화 현상을 더욱 가속화 시킨다. 따라서 미세먼지에 대한 피부 노출을 미리 차단하지 못하거나 침투된 미세먼지를 깨끗하게 제거하지 못하면 모공 속에서 염증 반응을 일으켜 피부 트러블이 발생할 확률이 높다.
뿐만 아니라 과거 미세먼지가 환절기에만 기승을 부렸다면 최근에는 계절을 가리지 않고 발생하고 있고 실내에서 조리 시에도 미세먼지가 발생한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미세먼지를 항시 차단 및 예방하기 위한 다양한 화장품의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미세먼지 흡착방지 화장료 조성물 관련하여 종래 선행 기술로서 일본 특허등록 제4562585호(2010년 8월 6일 등록)가 공개되었으나, 이러한 양이온 및 음이온 고분자를 이용한 이온반발 기술은 완벽하게 화분 및 미세먼지를 흡착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미세먼지의 흡착에 의한 피부 트러블을 일으킬 우려가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미세먼지 흡착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개발에 있어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예의 연구노력한 결과, 미세돌기 형성에 의하여 미세먼지에 대한 피부 방어막을 형성하고, 이를 통해 미세먼지가 피부에 직접 흡착하는 것을 방지해 줄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미세돌기의 구조에 의한 자정작용에 의해 원활한 세정까지 가능하다는 사실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일본 특허등록 제4562585호
따라서,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화장료 조성물 도포시 피부에서 미세돌기 구조가 형성되어 미세먼지의 피부 흡착을 막아주는 한편, 미세돌기 구조의 자정작용(self-cleansing)에 의해 피부에 흡착된 미세먼지를 용이하게 제거해 주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자들은 미세먼지 흡착방지 화장료 조성물 개발을 위하여 연꽃 잎의 표면에 존재하는 미세돌기 구조의 특징으로부터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구체적으로는 연꽃 잎의 표면은 수많은 미세 돌기로 이루어져 있고, 이러한 미세돌기는 미세먼지보다 상대적으로 작기 때문에 미세먼지들은 연꽃잎에 직접 접촉하지 않고, 미세돌기위에 존재하게 된다. 한편, 연꽃잎의 미세돌기는 그 구조적 특징으로 인하여 초소수성 성질을 나타내기 때문에 물방울들이 미세돌기 위에 존재하여 잎 속으로 스며들지 못하게 된다. 이렇게 잎속으로 스며들지 못하는 물방울들은 물방울간의 합일을 통한 이동 과정에서 연꽃잎의 미세돌기 위에 존재하는 미세먼지를 쉽게 제거하게 되고, 이러한 현상은 통상 자정작용(self-cleansing)으로 불리운다. 이러한 자정작용에 의해 연꽃잎은 항상 깨끗하게 유지된다고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물, 오일 및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미세돌기 공여물질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흡착방지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여기서, 물, 오일 및 계면활성제는 일반적인 화장료 조성물의 수상부와 유상부의 구성 성분들을 나열한 것 뿐이며, 본 발명의 특징은 일반적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미세먼지 흡착방지를 위해 미세돌기 공여물질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한다는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미세먼지는 대기중에 떠다니며 피부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수십 마이크로 미터 이하의 아주 작은 입자를 의미하며, 예컨대 황사, 자동차 배기가스, 공장의 매연, 생활주변 연소가스, 중금속등이 함유된 직경 10 ㎛ 이하의 먼지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미세돌기 공여물질은 미세먼지 보다 작은 직경의 미세돌기 구조를 형성할 수 있으며 피부에 유해하지 않는 어떤 물질도 사용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평균 직경 10 ㎛ 이하의 직경을 갖는 화장료에 사용가능한 모든 종류의 파우더가 사용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실리콘 엘라스토머, 징크옥사이드, 실리카, 또는 티타늄옥사이드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흡착방지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미세돌기 공여물질은 화장료 조성물을 피부에 도포시 미세먼지의 크기인 직경 10 ㎛보다 작은 미세돌기 구조를 형성시켜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미세먼지 흡착 방지 화장료 조성물 개발에 있어 미세돌기 구조형성을 확인하기 위해 주사 전자 현미경(SNE-4500M,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C, Korea)을 이용하였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미세먼지 흡착방지용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미세돌기 공여물질의 영향으로 화장료 도포시 피부에 미세돌기를 형성하게 되는데, 바람직하게는 0.1 ㎛ 이상 내지 10 ㎛ 이하의 크기의 미세돌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흡착방지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미세돌기의 크기가 0.1 ㎛ 이상인 이유는 최근 EU를 중심으로 0.1 ㎛ 이하의 나노물질에 대한 피부 유해성 이슈가 제기되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미세돌기의 크기가 10 ㎛ 이하인 이유는 미세먼지의 크기가 10 ㎛ 이하이기 때문에 미세돌기에 의해 미세먼지가 피부에 직접 접촉하는 것을 막기 위해서는 미세돌기의 크기가 10 ㎛ 이어야만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미세돌기 공여물질은 외각이 소수성을 띠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흡착방지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입자자체를 소수성 입자를 사용하거나 소수성 폴리머로 입자를 코팅할 수도 있다. 이러한 미세돌기 외각의 소수성 성질 때문에 물방울들이 미세돌기 위에 존재하여 피부 속으로 스며들지 못하게 된다. 이렇게 피부속으로 스며들지 못하는 물방울들은 물방울간의 합일을 통한 이동 과정에서 미세돌기 위에 존재하는 미세먼지를 쉽게 제거할 수 있다. 즉, 피부의 자정작용(self-cleansing)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미세돌기 공여물질은 피부에 도포시 미세먼지 보다 작은 직경의 미세돌기 구조를 형성하여 피부에의 미세먼지 흡착을 방지하고, 자정작용(self-cleansing)효과에 의해 별도의 세정제를 사용하지 않고도 피부에서 미세먼지를 쉽게 제거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흡착방지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즉, 상기 미세돌기 공여물질에 의해 피부에 미세먼지 보다 작은 직경의 미세돌기 구조가 형성되면 미세먼지가 피부에 직접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미세돌기 위에 놓인 미세먼지들이 자정작용에 의해 쉽게 제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미세돌기 공여물질을 2 내지 40 중량%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흡착방지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미세돌기 공여물질이 상기 수치범위 미만으로 함유되면 미세먼지 흡착방지효과가 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수치범위 초과로 함유되면 제형의 성상 및 사용감에 영향을 끼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O/W(유중수) 내지 W/O(수중유) 에멀젼 제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흡착방지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O/W(유중수) 내지 W/O(수중유) 에멀젼 제형은 일반적인 화장료의 에멀젼 제조에 사용되는 수상부 및 유상부 성분들의 혼합에 의해 종래 알려진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수, 스킨, 로션, 또는 에센스 등의 화장료의 일반적인 제형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미세먼지 흡착방지를 위한 미세돌기 공여물질 이외에 통상의 화장료에 배합되는 성분, 예를 들면 유지류, 탄화수소, 납류, 지방산, 합성 에 스테르류 등, 알코올류, 분체, 계면활성제, 증점제, 고분자화합물, 겔화제, 자외선 흡수제, 자외선 산란제, 산 화 방지제, 색소, 안료, 방부제, 향료, 약제 또는 물 등을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하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유지류로서는 호호바유, 피마자유, 올리브유, 대두유, 야자유, 팜유, 카카오유, 밍크유, 터틀유(turtle oil) 등 을 들 수 있다.
탄화수소류로서는 유동 파라핀, 바셀린, 마이크로 크리스탈린 왁스, 스쿠알렌 등을 들 수 있다.
납류로서는 밀랍, 라놀린, 카르나우바 왁스, 칸데릴라 왁스(candelilla wax) 등을 들 수 있다.
지방산으로서는 미리스틴산, 팔미틴산, 스테아린산, 올레인산, 이소스테아린산, 라우린산 등을 들 수 있다.
합성 에스테르류로서는 미리스틴산이소프로필, 팔미틴산이소프로필, 올레인산부틸, 미리스틴산미리스틸, 미리스 틴산옥틸도데실, 모노스테아린산프로필렌글리콜, 락트산미리스틸, 사과산이소스테아릴, 모노스테아린산글리세린, 염화디스테아릴디메틸암모늄 등을 들 수 있다.
유지류, 탄화수소, 납류, 지방산, 합성 에스테르류는 통상 합쳐서 피부 화장료당 0~30w/w%의 비율로 배합된다.
알코올류로서는 에탄올, 1,3-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라우릴알코올, 세탄올, 스테아릴알코올, 올레일알 코올 등을 들 수 있다. 알코올류는 통상 피부 화장료당 0~25w/w%의 비율로 배합된다.
계면 활성제로서는 폴리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류, 소르비탄지방산에스테르류, 폴리옥시에틸렌지방산에스테르류,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지방산에스테르류,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류, 야자유지방산모노에탄올아미드, 폴리옥 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라우릴황산나트륨, 피로글루타민산이소스테아린산폴리옥시에틸렌글리세릴, 알킬벤젠술 폰산나트륨, 폴리옥시에틸렌스테아릴에테르, 디알킬술포숙신산, 브롬화세틸피리디늄, 염화-n-옥타데실트리메틸 암모늄, 모노알킬인산, N-아실술타민산, N-아실글루타민, 자당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모노스 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에테르황산나트륨, 폴리옥시에틸렌 환원 라놀린, 슈거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 다. 계면활성제는 통상 피부 화장료당 0~10w/w%의 비율로 배합된다.
증점제로서는 카르복시비닐 폴리머, 메틸폴리실록산, 덱스트란,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카라긴난, 히드록시프 로필메틸셀룰로오스 등을 들 수 있다. 증점제는 통상 피부 화장료당 0~5w/w%의 비율로 배합된다.
보습제로서는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피로글루타민산, 아세틸글루타민산, 프로시아니딘 등을 들 수 있다. 보습제는 통상 피부 화장료당 0~25%의 비율로 배합된다.
방부제로서는 안식향산, 살리실산, 디히드로아세트산 혹은 그들의 염류, 파라옥시안식향산에스테르류의 페놀류, 트리클로산 할로카본 등을 들 수 있다. 방부제는 통상 피부 화장료당 0~0.3w/w%의 비율로 배합된다.
향료는 통상 화장료에 사용하는 것이면 어떤 향료를 사용해도 된다.
안료로서는 산화철, 이산화티탄, 산화아연, 카올린, 탤크 등을 들 수 있다. 안료는 통상 피부 화장료당 0~5w/w% 의 비율로 배합된다.
약제로서는 소맥 배아(胚芽)유, 비타민 A, 비타민 B2, 비타민 E, 아스코르빈산-2-인산마그네슘 혹은 나트륨, D- 판토테닐알코올, 글리시리진산(glycyrrhizinate)디칼륨, 글루타티온(glutathione), UV 흡수제, 킬레이트제, 식 물 추출물, 미생물 대사물/추출물 등을 들 수 있다. 약제는 통상 피부 화장료당 0~5w/w%의 비율로 배합된다.
물로서는 수돗물, 미네랄 워터, 소금물(salt water), 해수, 해양 심층수, 초순수, 극지(極地) 얼음 유래 물, 미네랄 함유수(mineral-containing water), 정제수 등을 들 수 있다. 물은 임의의 비율로 배합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미세돌기 구조 형성에 의해 피부에서의 미세먼지 흡착을 방지하고, 또한 자정작용(self-cleansing)효과에 의해 별도의 세정제를 사용하지 않고도 피부에서 미세먼지를 쉽게 제거할 수 있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초소수성을 띠는 미세돌기 구조를 형성함으로써 공장의 매연, 자동차의 배기가스 등 오염물질이 함유된 미세먼지의 피부에 대한 직접적인 접촉을 방지하고, 미세돌기 구조의 자정작용 효과를 이용하여 순수한 물만으로도 피부에서 미세먼지를 쉽게 제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의해 형성된 미세돌기 구조를 주사 전자 현미경으로 확인한 사진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들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는 않는다.
실험예 1: 비교예 및 실시예의 제조
하기 표 1과 같은 조성(단위: 중량 %)을 갖는 비교예 1 및 실시예 1 내지 5의 화장료 조성물(유화 제형)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은 미세돌기 공여물질을 함유하지 않는 유화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이고 실시예 1 내지 5는 미세돌기 공여물질(실리콘 엘라스토머)을 혼합하여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는, B상(유상부)을 70 ∼ 80℃로 가온 용해시킨 후, 실온의 A상(수상부)에 서서히 투입한다. 이 때, A상과 B상의 혼합물은 일정하게 교반을 한다. 그 후, 50℃까지 냉각한 다음, C파트(미세돌기 공여물질)를 투입하고, 방부제를 넣은 후 냉각 및 탈포하여 각각의 제형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A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1,3-B,G 5 5 5 5 5 5
디소듐 이디티에이 0.02 0.02 0.02 0.02 0.02 0.02
B 오일 10 10 10 10 10 10
수첨 레시틴 0.1 0.1 0.1 0.1 0.1 0.1
DPG 5 5 5 5 5 5
C 실리콘 엘라스토머 - 1 2 5 40 50
D 방부제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실험예 2: 전자현미경에 의한 미세돌기 구조 관찰
미세돌기 공여물질을 함유하지 않은 제형인 비교예 1과 미세돌기 공여물질을 함유한 제형인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5에 대한 구조 분석을 주사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관찰하였다. 피부에서의 미세돌기 구조 형성은 전자현미경으로의 측정이 불가하기 때문에 PMMA 플레이트를 이용하였다. PMMA 플레이트는 in vitro 자외선차단효과 측정시 사용되는 기재로 피부표면의 굴곡을 모사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험에서는 PMMA 플레이트 위에 비교예 및 실시예들을 도포한 후 자연건조하고, 백금 코팅을 한 다음 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표면 관찰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미세돌기 공여물질이 함유되지 않거나(비교예 1) 또는 1% 이하로 함유된 제형(실시예1)에서는 미세돌기가 형성되지 않았음을 확인하였다. 반면, 미세돌기 공여물질이 충분히 함유된 실시예 2 내지 실시예 4는 미세돌기 구조가 잘 형성되었고, 미세돌기 공여물질이 과량 함유된 실시예 5는 미세돌기 구조 대신 하나의 커다란 막 형태로 형성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미세돌기 공여물질이 적량 함유된 실시예 2 내지 실시예 4의 경우 평균 10 ㎛ 이하의 미세돌기가 함량 증가에 따라 더욱 촘촘히 형성됨을 확인하였다. 다만, 미세돌기 공여물질의 함량 증가는 제형의 사용감을 떨어뜨려 피부에의 균일한 도포를 어렵게 하기에 미세먼지를 효과적으로 차단하기 위해서는 적당한 양의 미세돌기 공여물질이 함유되도록 제형을 제조하는 것이 유리할 것으로 판단된다.
실험예 3 : 미세돌기 구조 형성에 의한 미세먼지 흡착 방지 효과
표면에서 미세돌기 구조 형성 정도에 따른 미세먼지 흡착 방지 효과에 대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시험 방법은 PMMA 플레이트를 이용하여 비교예 1 내지 실시예 5를 PMMA 플레이트에 도포하여 자연 건조시킨 뒤 카본블랙을 그 위에 분사하였다. 평가 방법은 전문 패널 10명에 의한 육안평가로 실시하였다. 평가 방법은 10점 만점을 기준으로 카본블랙의 흡착 정도가 낮을수록 높은 점수를 가지며 미세먼지의 흡착을 효과적으로 막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비교예 1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패널평가
평균(n=10)
5.5 5.7 7.6 8.0 9.5 6.0
상기 표 2에서 알 수 있듯이 일정 범위 내에서 미세돌기 공여물질 함량이 높을수록 미세먼지의 흡착 방지 효과가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실시예 2 내지 4). 하지만, 미세돌기 공여물질이 없거나(비교예 1) 또는 미세돌기 공여물질이 적은 경우(실시예 1)에는 미세먼지 흡착 방지 효과가 미미함을 알 수 있었다. 한편, 미세돌기 공여물질이 과도하게 함유된 경우(실시예 5), 미세먼지 흡착 방지 효과가 오히려 저하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4 : 미세돌기의 자정작용 효과
미세돌기 공여물질을 함유한 제형의 미세먼지 자정작용을 확인하기 위해서 미세먼지 대체 물질로 미세먼지와 유사한 표면전위 및 크기를 가지는 카본블랙을 사용하였다. 자정작용 효과 실험을 수행하기 위하여 미세돌기 공여물질을 함유하지 않은 비교예 1과 그 함량을 달리하는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5를 각각 PMMA 플레이트에 균일하게 도포 후, 자연 건조시킨 뒤 카본블랙을 그 위에 분사하였다. 이후 분사된 카본블랙 위에 일정한 양의 증류수를 떨어뜨린 후 PMMA 플레이트를 기울여서 미세돌기에 의한 자정작용 효과를 관찰하였다. 미세돌기 자정작용에 대한 평가는 전문 패널 10명에 의한 육안평가로 실시하였다. 평가 방법은 10점 만점을 기준으로 증류수 세정 과정에서 카본블랙의 탈착 정도가 높을수록 높은 점수를 가지며, 이는 미세돌기의 자정작용에 의해 미세먼지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비교예 1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패널평가
평균(n=10)
4.1 4.3 8.0 8.5 9.6 4.7
상기 표 3에서 알 수 있듯이 일정 범위 내에서 미세돌기 공여물질 함량이 높을수록 미세돌기에 의한 자정작용 효과가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미세돌기 공여물질의 함량이 높을수록 촘촘한 미세돌기 구조가 형성되고, 이를 통해 미세먼지가 표면에 직접 흡착되지 않고, 미세돌기 위에 존재하다가 증류수에 의해 미세먼지의 세정이 용이하게 이뤄짐을 의미한다. 미세먼지는 피부에 한 번 흡착되면 세안제 없이는 제거가 어렵기 때문에 상기 미세돌기 공여물질이 함유된 화장료 조성물을 사용함으로써 미세먼지를 효과적으로 차단 및 세정할 수 있을 것이라고 판단된다.

Claims (7)

  1. 물, 오일 및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미세돌기 공여물질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흡착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돌기 공여물질은 평균 10 ㎛ 이하의 직경을 갖는 화장료에 사용가능한 파우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흡착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돌기 공여물질은 실리콘 엘라스토머, 징크옥사이드, 실리카, 또는 티타늄옥사이드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흡착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돌기 공여물질은 외각이 소수성을 띠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흡착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돌기 공여물질은 피부에 도포시 미세먼지 보다 작은 직경의 미세돌기 구조를 형성하여 피부에의 미세먼지 흡착을 방지하고, 자정작용(self-cleansing)효과에 의해 별도의 세정제를 사용하지 않고도 피부에서 미세먼지를 쉽게 제거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흡착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돌기 공여물질을 2 내지 40 중량%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흡착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O/W(유중수) 내지 W/O(수중유) 에멀젼 제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흡착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160086232A 2016-07-07 2016-07-07 미세돌기 구조 형성에 의한 미세먼지 흡착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399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6232A KR102039953B1 (ko) 2016-07-07 2016-07-07 미세돌기 구조 형성에 의한 미세먼지 흡착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CN201710545187.7A CN107582431A (zh) 2016-07-07 2017-07-06 可形成微小凸起构造形状的防止微尘附着的化妆料组成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6232A KR102039953B1 (ko) 2016-07-07 2016-07-07 미세돌기 구조 형성에 의한 미세먼지 흡착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6536A true KR20180006536A (ko) 2018-01-18
KR102039953B1 KR102039953B1 (ko) 2019-11-05

Family

ID=610288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6232A KR102039953B1 (ko) 2016-07-07 2016-07-07 미세돌기 구조 형성에 의한 미세먼지 흡착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39953B1 (ko)
CN (1) CN107582431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82255A1 (ko) * 2017-03-31 2018-10-04 (주)아모레퍼시픽 구상 파우더를 포함하는 안티-폴루션 화장료 조성물
WO2020036432A1 (ko) * 2018-08-14 2020-02-20 주식회사 코스메카코리아 미세먼지 부착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27053B1 (ko) 2018-12-17 2020-06-25 한국세라믹기술원 표면개질된 TiO2 및 ZnO를 함유하는 미세먼지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KR20200074444A (ko) 2018-12-17 2020-06-25 한국세라믹기술원 표면개질된 TiO2 및 ZnO를 함유하는 미세먼지 세정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145941B1 (ko) * 2019-09-05 2020-08-19 주식회사 코스메카코리아 해양유래소재 파우더를 포함하는 미세먼지 부착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WO2021204371A1 (en) * 2020-04-08 2021-10-14 Beiersdorf Ag Anti-pollution composition
EP3981384A4 (en) * 2019-06-06 2023-07-26 Kao Corporation METHOD OF SUPPRESSING THE ADHESION OF AIR POLLUTANTS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41218A (ja) * 2001-02-07 2002-08-28 L'oreal Sa 抗汚染局所用組成物
KR20100056239A (ko) * 2008-11-19 2010-05-27 (주)아모레퍼시픽 다당체를 함유하는 중금속 및 미세먼지 흡착용 화장료 조성물
JP4562585B2 (ja) 2004-05-18 2010-10-13 株式会社資生堂 花粉吸着防止剤
JP2013107887A (ja) * 2011-11-21 2013-06-06 Kao Corp 油中水型乳化化粧料及びスキンケア方法
JP5649906B2 (ja) * 2010-03-18 2015-01-07 株式会社コーセー 水中油型睫用化粧料
KR20150143831A (ko) * 2013-04-19 2015-12-23 로레알 실리콘 엘라스토머 및 계면 활성제로 구성된 화합물, 실리콘 엘라스토머 분말, 및 폴리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오일 상을 포함하는 에멀젼을 포함하는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59592A (ja) * 2003-06-04 2004-12-24 Nikko Rika Kk 化粧料
JP2006265105A (ja) * 2005-03-22 2006-10-05 Sanshin Rubber Shokai:Kk 金粉末を含有するシート状美容パック
JP5297033B2 (ja) * 2007-12-18 2013-09-25 株式会社 資生堂 まつ毛用化粧料
JP5784932B2 (ja) * 2011-03-08 2015-09-24 株式会社コーセー 油性固形化粧料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41218A (ja) * 2001-02-07 2002-08-28 L'oreal Sa 抗汚染局所用組成物
JP4562585B2 (ja) 2004-05-18 2010-10-13 株式会社資生堂 花粉吸着防止剤
KR20100056239A (ko) * 2008-11-19 2010-05-27 (주)아모레퍼시픽 다당체를 함유하는 중금속 및 미세먼지 흡착용 화장료 조성물
JP5649906B2 (ja) * 2010-03-18 2015-01-07 株式会社コーセー 水中油型睫用化粧料
JP2013107887A (ja) * 2011-11-21 2013-06-06 Kao Corp 油中水型乳化化粧料及びスキンケア方法
KR20150143831A (ko) * 2013-04-19 2015-12-23 로레알 실리콘 엘라스토머 및 계면 활성제로 구성된 화합물, 실리콘 엘라스토머 분말, 및 폴리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오일 상을 포함하는 에멀젼을 포함하는 조성물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82255A1 (ko) * 2017-03-31 2018-10-04 (주)아모레퍼시픽 구상 파우더를 포함하는 안티-폴루션 화장료 조성물
WO2020036432A1 (ko) * 2018-08-14 2020-02-20 주식회사 코스메카코리아 미세먼지 부착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20200019561A (ko) * 2018-08-14 2020-02-24 주식회사 코스메카코리아 미세먼지 부착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27053B1 (ko) 2018-12-17 2020-06-25 한국세라믹기술원 표면개질된 TiO2 및 ZnO를 함유하는 미세먼지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KR20200074444A (ko) 2018-12-17 2020-06-25 한국세라믹기술원 표면개질된 TiO2 및 ZnO를 함유하는 미세먼지 세정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EP3981384A4 (en) * 2019-06-06 2023-07-26 Kao Corporation METHOD OF SUPPRESSING THE ADHESION OF AIR POLLUTANTS
KR102145941B1 (ko) * 2019-09-05 2020-08-19 주식회사 코스메카코리아 해양유래소재 파우더를 포함하는 미세먼지 부착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WO2021204371A1 (en) * 2020-04-08 2021-10-14 Beiersdorf Ag Anti-pollution composition
CN115151311A (zh) * 2020-04-08 2022-10-04 拜尔斯道夫股份有限公司 抗污染组合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9953B1 (ko) 2019-11-05
CN107582431A (zh) 2018-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06536A (ko) 미세돌기 구조 형성에 의한 미세먼지 흡착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TWI422395B (zh) 對皮膚外用劑有用之囊胞及含有該囊胞之皮膚外用劑
JP2007203288A (ja) 低温調製可能な低粘度で長期安定性を有する化粧用エマルジョン
TW201315484A (zh) 油中水型乳化防曬化妝料
TW200413020A (en) Vesicle dispersion and cosmetic containing the same
CN110114053A (zh) 水包油型乳化组合物
KR101489701B1 (ko) 재분산형 분말 분산 화장료
JP2010126488A (ja) アルコール除菌シート用薬液およびそれを含むアルコール除菌シート
JP2021042241A (ja) 外用組成物
JP2008143836A (ja) 表面処理粉体及び該表面処理粉体を含有する化粧料
JP5537046B2 (ja) ボディーリンス剤
JP5465831B2 (ja) 角栓除去用の組成物
KR20180012909A (ko) 피부 마찰력 감소에 의한 미세먼지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JP6959596B2 (ja) 皮膚外用剤および皮膚バリア機能改善剤
KR102000059B1 (ko) 미세먼지 흡착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JP3665800B2 (ja) ゲル状メーキャップ化粧料
JP2000026238A (ja) ジェル状クレンジング化粧料
JP2006342140A (ja) 油中水型乳化組成物及び化粧料
JP6600909B2 (ja) 制汗剤又はデオドラント剤
JP5243078B2 (ja) 高極性油配合水中油型超微細エマルション外用剤及びその水中油型超微細エマルション外用剤の製造方法
KR20180014355A (ko) 온도감응성 고분자에 의한 미세먼지 흡착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JP6986329B2 (ja) しわ改善用皮膚洗浄剤
JP7245912B2 (ja) 多層型洗浄剤組成物
JP3670183B2 (ja) 化粧料
JP2006151818A (ja) 皮膚化粧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