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56239A - 다당체를 함유하는 중금속 및 미세먼지 흡착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다당체를 함유하는 중금속 및 미세먼지 흡착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56239A
KR20100056239A KR1020080115315A KR20080115315A KR20100056239A KR 20100056239 A KR20100056239 A KR 20100056239A KR 1020080115315 A KR1020080115315 A KR 1020080115315A KR 20080115315 A KR20080115315 A KR 20080115315A KR 20100056239 A KR20100056239 A KR 201000562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saccharide
polysaccharides
seaweed
skin
cosmetic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53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55447B1 (ko
Inventor
허윤아
김지영
최현
조준철
한상훈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0801153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5447B1/ko
Publication of KR201000562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62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54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54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28Fungi, e.g. yeas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02Algae
    • A61K36/03Phaeophycota or phaeophyta (brown algae), e.g. Fuc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06Fungi, e.g. yeasts
    • A61K36/07Basidiomycota, e.g. Cryptococc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5Araliaceae (Ginseng family), e.g. ivy, aralia, schefflera or tetrapanax
    • A61K36/258Panax (ginse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06Alga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Abstract

본 발명은 다당체를 함유하는 중금속 및 미세먼지 흡착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치마 버섯 다당체, 해조류 다당체 및 인삼 다당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황사, 배기 가스 또는 외부 오염물에 있는 중금속과 미세먼지를 흡착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중금속 및 미세먼지로 인해 발생하는 피부 염증을 감소시키고 피부 트러블을 예방하여 피부 활력을 향상시킨다.
치마 버섯 다당체, 해조류 다당체, 인삼 다당체, 베타글루칸, 라미나리아 디기타타 다당체, 중금속, 미세먼지, 화장료 조성물

Description

다당체를 함유하는 중금속 및 미세먼지 흡착용 화장료 조성물 {Cosmetic composition for heavy metal chelation and fine particle absorption containing polysaccharides}
본 발명은 다당체를 함유하는 중금속 및 미세먼지 흡착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치마 버섯 다당체, 해조류 다당체 및 인삼 다당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황사, 배기 가스 또는 외부 오염물에 있는 중금속과 미세먼지를 흡착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중금속 및 미세먼지로 인해 발생하는 피부 염증을 감소시키고 피부 트러블을 예방하여 피부 활력을 향상시킨다.
도시 지역과 산업단지에서는 자동차 배출가스, 중국 동부 공업지대를 지나며 미세 중금속 가루를 포함해 날아온 황사 또는 외부 오염물이 사람들의 피부를 오염시키며 피부 노화 및 피부 트러블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이는 주로 오염 물질에 함유된 중금속과 미세먼지로 인한 것이다.
상기 중금속은 수은, 카드뮴, 납 및 구리와 같은 비중이 4이상인 모든 금속류를 말하며, 일반적으로 생체 내로 흡수되면 생체 내 물질과 결합하여 잘 분해되 지 않는 유기복합체를 형성하기 때문에 몸 밖으로 빨리 배출되지 않고 간장, 신장 등의 장기나 뼈에 축적되는 성질이 강한 물질이다. 소량의 중금속에 장기간 노출될 경우 후지마비, 이상운동, 운동실조, 피부의 색소침착 및 각질화, 발톱 또는 발굽 및 모발의 위축결손, 생식기능장해, 기형출산, 성장 저하 및 면역기능저하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피부에서는 이러한 유해 중금속 미세 분진들이 대기 중에서 화학반응을 일으켜 질소산화물(NO), 황산화물(SO) 등과 같은 유해물질을 추가로 생성해 피부의 염증성 물질인 시토카인 등을 증가시키고 아토피나 피부 트러블을 유발할 수 있다. 또한, 중금속이 피부의 보습과 밀접한 관계에 있는 히아루론산을 파괴한다는 것은 이미 알려져 있다.
상기 미세 먼지의 크기는 대부분 10㎛이하이며, 중금속 입자는 2㎛이하이기 때문에 일반먼지(평균 크기가 20㎛ 이상)보다 훨씬 작다. 국립환경과학원(2006년)의 연구결과에 따르면, 수도권의 미세먼지는 자동차 배출가스에서 만들어지는 황산염, 질산염 및 중국에서 날아온 2차 생성물 등이 주요성분인 것으로 조사됐다(서울시 전농동의 미세먼지(PM10)는 유기탄소화합물 22%, 원소탄소 8%, 질산염 22%, 황산염 15%, 토양지각성분 15% 및 기타 성분 18%로 나타났다. 자료출처: 2006년 국립환경과학원). 미세먼지는 사람의 폐포까지 깊숙하게 침투해 기관지와 폐에 쌓여 각종 호흡기 질환의 직접 원인이 되며 몸의 면역 기능을 떨어뜨리고, 천식과 호흡곤란을 일으키며 장거리 이동으로 비 또는 눈 속의 중금속 농도를 증가시키기도 한다. 피부에서는 미세먼지의 크기가 작기 때문에 쉽게 모공 깊숙이 침투할 수 있다. 침투된 미세먼지를 깨끗이 제거하지 못하면 피부에서 염증 및 트러블을 일으키는 경우가 많다.
현재의 체내 중금속 제거 방법은 EDTA(ethylene diamine tetraacetate) 및 BAL(British Anti-Lewisite)과 같은 착화합물 형성물질을 주사하여 체내에 축적되어 있는 중금속과 결합하게 하여 중금속을 체외로 배출시키는 방법 또는 비타민 B1, 비타민 C 및 비타민 E을 복용하여 중금속의 체내 흡수를 막고 배출도 용이하게 하는 방법 등이 있다. 하지만 효과적이고 용이하게 피부 표면에 축적되어 있는 중금속을 제거하는 방법은 없다. 미세먼지는 클렌징으로 어느 정도는 제거가 가능하지만, 미세할수록 흡착력이 강하기 때문에 모공에 깊숙이 스며든 미세먼지를 일반 클렌징으로 완벽하게 제거하는 것은 불가능한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피부 위에 축적된 중금속과 미세 먼지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원료를 찾기 위해 노력한 결과, 치마 버섯 다당체, 해조류 다당체 및 인삼 다당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이 중금속과 미세 먼지를 흡착하여 제거함으로써 중금속 및 미세먼지로 인해 유발되는 피부염증을 감소시키고 피부 트러블을 예방함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중금속 및 미세먼지의 흡착에 효과적이고 피부 활력을 향상시키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치마 버섯 다당체, 해조류 다당체 및 인삼 다당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중금속 및 미세먼지 흡착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중금속 및 미세먼지 흡착용 화장료 조성물은 치마 버섯 다당체 베타글루칸, 해조류 다당체 및 인삼 다당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함유하여 피부 위에 축적되어 있는 중금속 및 미세먼지를 효과적으로 흡착하여 제거함으로써 중금속 및 미세먼지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피부 염증을 감소시키며 피부 트러블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피부의 보습에 관여하는 히아루론산의 분해를 방지하고 피부 손상을 빠르게 회복시켜 피부 활력을 향상시켜주는 효과를 갖는 다.
본 발명은 치마 버섯 다당체, 해조류 다당체 및 인삼 다당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중금속 및 미세먼지 흡착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치마 버섯 다당체, 해조류 다당체 및 인삼 다당체는 피부 위에 축적되어 피부 염증과 트러블을 발생시키는 중금속 및 미세먼지를 효과적으로 흡착하여 제거한다.
본 발명의 치마 버섯 다당체(Schizopyllum commune polysaccharide)는 치마 버섯의 균사체를 액체 배양하여 얻은 순도 98% 이상의 고순도 다당체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베타-1,3-글루칸(beta-1,3-glucan)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해조류 다당체(seaweed polysaccharide)는 갈색 해조의 균사체를 액체 배양하여 얻은 순도 98% 이상의 고순도 다당체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라미나리아 디기타타 다당체(Laminaria digitata polysaccharide)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인삼 다당체는 인삼의 균사체를 액체 배양하여 얻은 순도 98% 이상의 고순도 다당체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당체는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으며, 그 방법을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치마버섯, 갈색 해조 및 인삼 의 균사체를 액체 배양한 후, 물로 추출하여 수가용성 분획을 수득하고 동결건조하여 얻은 분말을 메탄올로 추출하여 메탄올 불용성 분획을 얻고, 이를 다시 에탄올로 추출하여 에탄올 불용성 분획을 얻는다. 이를 물로 투석시켜 투석막 내부 분획을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용출시키면 본 발명의 다당체를 얻을 수 있다.
상기 치마 버섯 다당체, 해조류 다당체 및 인삼 다당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20.0중량%, 바람직하게는 0.1~2.0중량%의 양으로 함유된다. 이는 그 함량이 0.01중량% 미만이면 중금속 및 미세먼지 흡착 효과를 얻을 수 없고, 20.0중량%를 초과하면 사용감이 좋지 않아 제품화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는 오일 성분이 더 함유될 수 있으며, 천연오일 또는 합성오일이 사용될 수 있고 탄화수소, 트리글리세라이드, 에스테르 또는 실리콘 오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오일 성분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0~40.0 중량%, 바람직하게는 5.0~20.0 중량%의 양으로 함유된다. 그 함량이 1.0중량% 미만이면 원하는 에멀젼 제형을 얻기 어렵고, 40.0중량%를 초과하면 유화제형의 안정도가 나빠지는 문제점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의한 화장료 조성물은 수중유(O/W) 또는 유중수(W/O) 에멀젼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며, 로션, 크림, 유액, 패취, 스틱 또는 분무제의 형태로 제형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에는 상기 유효 성분 이외에 필요에 따라 통상적으로 화장료 조성물에 배합되는 다른 성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유지 성분, 보습제, 에몰리엔트제, 계면 활성제, 유기 및 무기 안료, 유기 분체, 자외선 흡수제, 방부제, 살균제, 산화 방지제, 식물 추출물, pH 조정제, 알콜, 색소, 향료, 혈행 촉진제, 냉감제, 제한(制汗)제 및 정제수 등이 있다.
이하, 실시예 및 시험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 및 시험예는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예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7 및 비교예 1]
하기 표 1과 같은 조성을 갖는 실시예 1~7 및 비교예 1의 화장료 조성물(수중유 에멀젼 제형)을 제조하였다(단위:중량%). 비교예 1은 치마 버섯 다당체, 해조류 다당체 및 인삼 다당체를 함유하지 않는 통상적인 수중유 에멀젼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이고, 실시예 1~7은 치마 버섯 다당체, 해조류 다당체 및 인삼다당체에서 선택된 1 종 이상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로 제조하였다. 상기 치마 버섯 다당체는 바이오랜드사, 해조류 다당체는 코디프(codif)사, 인삼 다당체는 코인텍사로부터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No. 원료명 비교예 1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실시예 7
1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2 디소듐 이디티에이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3 글리세린 5 5 5 5 5 5 5 5
4 부틸렌 글리콜 5 5 5 5 5 5 5 5
5 베타인 2 2 2 2 2 2 2 2
6 소듐히아루로네이트 4 4 4 4 4 4 4 4
7 세테아릴알콜 3.0 3.0 3.0 3.0 3.0 3.0 3.0 3.0
8 스테아린산 2.0 2.0 2.0 2.0 2.0 2.0 2.0 2.0
9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피이지-100 스테아레이트
1.0 1.0 1.0 1.0 1.0 1.0 1.0 1.0
10 폴리솔베이트 60 1.5 1.5 1.5 1.5 1.5 1.5 1.5 1.5
11 스쿠알란 3.0 3.0 3.0 3.0 3.0 3.0 3.0 3.0
12 방부제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13 향료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14 치마 버섯 다당체 - 6 3 3 2
15 해조류 다당체 - 6 3 3 2
16 인삼 다당체 - 6 3 3 2
<실시예 1~7의 제조방법>
1) 성분 1~6을 균일하게 혼합하고 70℃로 가온 용해하였다.
2) 성분 7~13을 균일하게 혼합하고 75℃로 가온 용해하였다.
3) 70℃에서 교반(호모믹싱)하면서 상기 1)에 상기 2)를 서서히 투입하여 유화시켰다.
4) 상기 3)을 50℃ 이하로 냉각한 후 성분 14~16를 투입하고 균일하게 혼합하여 수중유 에멀젼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을 만들었다.
<비교예 1의 제조방법>
1) 성분 1~6을 균일하게 혼합하고 70℃로 가온 용해하였다.
2) 성분 7~13을 균일하게 혼합하고 75℃로 가온 용해하였다.
3) 70℃에서 교반(호모믹싱)하면서 상기 1)에 상기 2)를 서서히 투입하여 유화시키고 50℃ 이하로 냉각하여 수중유 에멀젼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을 만들었다.
[시험예 1] 중금속 및 미세먼지 흡착 효과
치마 버섯 다당체, 해조류 다당체 및 인삼 다당체의 증금속과 미세먼지 흡착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서 카드뮴, 납, 알루미늄 및 미세먼지(각각 100ppm)를 농도 1%의 다당체와 각각 30분 동안 반응시킨 후, 원자흡수분광법(Atomic absorption spectrometry)을 통해서 흡착율을 측정하였다. 흡착율은 중금속과 미세먼지 흡착 후 시료의 농도를 흡착 전 시료의 농도로 나눠 계산하였으며, 흡착율이 높을수록 중금속과 미세먼지를 효과적으로 흡착하여 제거하는 것을 의미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대조군으로는 다당체 없이 정제수만을 포함하는 군을 사용하였다.
시료 카드뮴
흡착율(%)

흡착율(%)
알루미늄
흡착율(%)
미세먼지
흡착율(%)
대조군 - - - -
치마 버섯 다당체 51 52 67 45
해조류 다당체 54 44 51 51
인삼 다당체 69 50 59 62
혼합 다당체 76 69 75 77
상기 표 2에서 알 수 있듯이, 치마 버섯 다당체, 해조류 다당체 또는 인삼 다당체를 함유할 경우, 중금속과 미세먼지의 흡착율이 높았고 유리된 중금속과 미세먼지의 농도는 감소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치마 버섯 다당체, 해조류 다당체 및 인삼 다당체가 중금속 및 미세먼지의 흡착 효과가 뛰어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상기 다당체들을 단독 사용하는 경우보다 혼합하여 사용하는 경우에 중금속 및 미세먼지 흡착 효과가 더욱 우수하므로 이들의 시너지 효과로 인해 흡착 효과가 더 향상됨을 알 수 있었다.
[시험예 2] 히아루론산의 보호 효과
치마 버섯 다당체, 해조류 다당체 및 인삼 다당체가 중금속으로부터 피부 보습에 관여하는 히아루론산을 보호할 수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서 철분(19ppm)과 농도 1%의 치마 버섯 다당체, 해조류 다당체, 인삼 다당체, 이들의 혼합 다당체 및 EDTA-2NA를 각각 반응시켰다. 히아루론산의 분해 방지 효과는 히아루론산의 점도 측정을 통해서 확인하고, 그 결과는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히알루론산이 중금속으로 인해 분해되면 용액의 점도가 감소되므로 점도가 낮을수록 히알루론산이 많이 분해되었음을 의미하였다.
시료 점도 (cps)
히아루론산 1480
히아루론산 + 철 1165
히아루론산 + 철 + 치마 버섯 다당체 1315
히아루론산 + 철 + 해조류 다당체 1376
히아루론산 + 철 + 인삼 다당체 1298
히아루론산 + 철 + 혼합 다당체 1413
히아루론산 + 철 + EDTA-2NA 1190
상기 표 3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치마 버섯 다당체, 해조류 다당체 또는 인삼 다당체를 함유하는 시료에서는 점도의 감소가 적은 것으로 나타났고, 이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착화합물 형성물질인 EDTA-2NA와 비교해서 철과 결합하는 효과가 월등히 우수하였다. 또한, 혼합 다당체를 함유하는 경우에는 철 없이 히아루론산만을 함유하는 시료와 유사한 정도의 점도를 나타내므로 치마 버섯 다당체, 해조류 다당체 및 인삼 다당체의 시너지 효과로 인해 히알루론산 분해 방지 효과가 더 향상됨을 알 수 있었다.
[시험예 3] 피부 세포 에너지 활성 효과
먼저 인체 정상 섬유아세포를 12-웰 마이크로 플레이트(Nunc, 덴마크)의 각 웰에 1×106세포가 되도록 접종하고, DMEM 배지(Sigma, 미합중국)에서 37℃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이어서, 각각의 치마 버섯 다당체, 해조류 다당체, 인삼 다당체 및 이들의 혼합 다당체(비율 1:1:1)의 최종 농도가 1%가 되도록 하여 혈청이 없는 DMEM 배지로 교체한 시험 물질과 다당체가 포함되지 않은 혈청이 없는 DMEM 배지로 교체한 대조군을 48시간 동안 추가로 배양하였다. 배양 후, 각 웰에서 세포를 얻은 후 세포 에너지 분석 키트(ATP assay kit, Amersham, 미합중국)를 이용하여 각 세포에서의 에너지 활성 정도를 측정하였다. 피부 세포 에너지 활성 효과는 대조군을 기본값으로 하여 계산하였고, 그 결과는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시험 물질 피부 세포 에너지 활성 효과(%)
대조군 -
치마 버섯 다당체 45
해조류 다당체 41
인삼 다당체 47
혼합 다당체 67
상기 표 4에서 알 수 있듯이, 치마 버섯 다당체, 해조류 다당체, 인삼 다당체 및 이들의 혼합 다당체는 피부 세포의 에너지를 활성화시키는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혼합 다당체에서 각각의 다당체들의 시너지 효과로 피부 세포 에너지의 활성 효과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발명의 치마 버섯 다당체, 해조류 다당체 및 인삼 다당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은 피부 세포의 에너지를 활성화시킴으로써 피부의 활력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
[시험예 4] 황사로부터 피부 세포 보호효과
사람 유래의 섬유아세포를 96공 평판 배양기에 각 웰당 1*105농도로 분주하고, 24시간 동안 배양한 후 중금속 및 미세먼지를 함유하는 황사(0.01%) 와 다당체(1%)을 동시에 처리하고 대조군에는 황사(0.01%)를 단독 처리하여 24시간 동안 추가 배양하였다. 배양 후 MTT(Sigma) 시약을 첨가하고 4시간 동안 배양한 후, 배양액을 제거하고 1N NaOH/이소프로판올용액을 첨가하여 20분간 교반한 후 흡광 광도계로 565㎚에서 흡광도를 측정하고 섬유아세포의 생존율을 계산하여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시험 물질 섬유아세포 생존율(%)
대조군(황사 단독 처리) 30
황사+치마 버섯 다당체 67
황사+해조류 다당체 72
황사+인삼 다당체 76
황사+혼합 다당체 86
상기 표 5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치마 버섯 다당체, 해조류 다당체, 인삼 다당체 및 이들의 혼합 다당체는 황사를 단독으로 처리한 대조군과 비교하여 황사에 의해서 유발되는 세포 사멸을 억제시켜 섬유아세포의 생존율이 더 높게 나타났다. 또한, 치마 버섯 다당체, 해조류 다당체 및 인삼 다당체의 시너지 효과로 인하여 이들의 혼합 다당체의 세포 사멸 저해 효과가 가장 높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치마 버섯 다당체, 해조류 다당체 및 인삼 다당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은 황사로 일어날 수 있는 피부 자극을 감소시켜 피부 자극을 완화시킬 수 있었다.
[시험예 5] 피부 염증 인자의 발현 감소 효과
치마 버섯 다당체, 해조류 다당체 및 인삼 다당체가 피부 염증 인자인 MMP-1 및 PGE-2의 발현을 억제하는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서 ELISA(Enzyme Linked ImmunoSorbent Assay)를 실시하였다(SE Dunsmore, et al., J Biol Chem, 271: 24576-24582, 1996).
세포는 이전에 분주된 배지에 황사(0.1%)를 24시간 동안 배양한 후 배지로 교환하여 24시간 더 배양하고 배지를 회수하여 96공 평판배양기에 코팅하였다. 일차항체(단일클론항체)를 처리하고 37℃에서 90분간 반응시켰다. 이차항체인 항마우스 이뮤노글로불린지(alkaline phosphatase conjugated anti-mouse IgG)를 다시 90분 정도 반응시킨 후, 완충용액으로 세척한 다음 알카린 포스파타제 기질용액(1㎎/㎖ p-nitrophenyl phosphate in diethanolamine 완충용액)을 상온에서 30분간 반응시키고 흡광 광도계를 이용하여 405㎚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상기 다당체를 처리하지 않은 세포배양액의 흡광도를 대조군으로 하였다. MMP-1 및 PGE-2의 발현 억제 효과는 하기 수학식 1에 의하여 산출하였으며, 그 결과는 하기 표 6과 같다.
Figure 112008079869292-PAT00001
A: 시료를 첨가하지 않은 웰의 흡광도
B: 시료를 첨가한 웰의 흡광도
시험 물질 MMP-1 발현억제율 (%) PGE-2 발현억제율 (%)
대조군 - -
치마 버섯 다당체 35 43
해조류 다당체 42 54
인삼 다당체 48 45
혼합 다당체 64 67
상기 표 6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치마 버섯 다당체, 해조류 다당체, 인삼 다당체 및 이들의 혼합 다당체는 모두 피부의 염증 인자인 MMP-1 및 PGE-2의 발현을 억제하였다. 또한, 치마 버섯 다당체, 해조류 다당체 및 인삼 다당체의 시너지 효과로 인하여 이들의 혼합 다당체의 피부 염증 인자 발현 억제 효과가 가장 높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치마 버섯 다당체, 해조류 다당체 및 인삼 다당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은 중금속 및 미세먼지를 포함하는 황사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피부 염증 인자의 발현을 억제하여 피부 염증 및 트러블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시험예 6] 피부 손상 회복 효과
치마 버섯 다당체, 해조류 다당체 및 인삼 다당체의 피부 손상 회복 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상기 비교예 1 및 실시예 1~7에서 제조한 수중유 에멀젼 제형의 영양크림을 이용하였다. 먼저 80명의 여성을 각각 10명씩 8조로 나눠서 테이프 스트리핑을 통해서 피부에 자극을 유발시켰다. 이어서, 상기 비교예 1 및 실시예 1~7을 매일 오전과 오후 2회에 걸쳐 도포하도록 하고 피부 손상의 회복 정도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7에 나타내었다.
시험 물질 피부 손상 회복 시간
비교예 1 5 일
실시예 1 3.6 일
실시예 2 3.1 일
실시예 3 3.9 일
실시예 4 3.2 일
실시예 5 2.3 일
실시예 6 1.7 일
실시예 7 1.6 일
상기 표 7에서 알 수 있듯이, 치마 버섯 다당체, 해조류 다당체 및 인삼 다당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비교예 1과 비교하여 피부 손상을 회복하는 시간이 단축되었다. 특히 상기 다당체들의 혼합물을 함유하는 실시예 7은 다당체들의 시너지 효과로 인하여 피부 손상의 회복 시간이 가장 짧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치마 버섯 다당체, 해조류 다당체 및 인삼 다당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손상을 빠르게 회복해 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예 7] 피부 자극 시험
별도로 30명의 20대 여성을 대상으로 CTFA 가이드라인(The Cosmetic, Toiletry and Fragrance Association. Inc. Washington, D.C., 20036, 1991)에 따라 인체피부 일차 자극시험을 진행하였습니다. 핀 챔버(Finn Chamber)에 준비된 시험물질(10% in patch base)을 각각 20㎕씩 적하시킨 후, 70% 에탄올로 세척한 후 건조시키고, 시험부위인 등 부위에 얹어 미소공 테이프(micropore tape)로 고정시켰다. 24시간 경과한 다음 핀 챔버를 제거하고 육안으로 피부 변화를 판독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8에 나타내었다. 표 8에서 평균 반응도는 하기 수학식 2에 따라 계산하였으며, 피부 자극 판정은 24시간 첩포 후 - 는 홍반이나 특이한 현상 없음, ±는 주위보다 약간 붉어짐, +는 주위보다 현저히 붉어짐, ++는 주위보다 심하게 붉어지고 부풀어 오름으로 정하였다. 피부 자극의 판정 등급은 평균 반응도가 0~0.1이면 등급 Ⅰ(무자극 범위), 0.11~0.3이면 등급 Ⅱ(경자극 범위), 0.31~0.5이면 등급 Ⅲ(중자극 범위), 0.51이상이면 등급 Ⅳ(강자극 범위)로 하였다.
평균 반응도= [(±)수*1+(+)수*2+(++)수*3]/피시험자수
시험물질
판정결과
평균반응도
판정등급
- ± + ++
비교예 1 28 2 - - 0.06
실시예 1 28 1 1 - 0.10
실시예 2 29 1 - - 0.03
실시예 3 29 - 1 - 0.06
실시예 4 28 1 1 - 0.10
실시예 5 29 - 1 - 0.06
실시예 6 29 1 - - 0.03
실시예 7 30 - - - 0
상기 표 8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치마 버섯 다당체, 해조류 다당체 및 인삼 다당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함유하는 실시예 1~7을 도포한 부분에서 피부 자극이 거의 나타나지 않았으며, 자극 판정 등급이 I로 피부 자극의 발생이 없어 피부에 안전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의 치마 버섯 다당체, 해조류 다당체 및 인삼 다당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중금속 및 미세먼지를 흡착하여 피부 염증과 트러블을 완화해주며, 피부세포의 활성을 촉진하는 효과가 우수하여 외부 오염으로부터 발생하는 피부 자극을 개선해 주고 피부 손상의 회복을 가속화시켜 주는 특징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당체들의 피부 염증 인자의 발현 감소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Claims (4)

  1. 치마 버섯 다당체, 해조류 다당체 및 인삼 다당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중금속 및 미세먼지 흡착용 화장료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치마 버섯 다당체가 베타-1,3-글루칸(beta-1,3-gluca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금속 및 미세먼지 흡착용 화장료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해조류 다당체가 라미나리아 디기타타 다당체(Laminaria digitata polysaccharid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금속 및 미세먼지 흡착용 화장료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치마 버섯 다당체, 해조류 다당체 및 인삼 다당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20.0중량%로 함유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중금속 및 미세먼지 흡착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080115315A 2008-11-19 2008-11-19 다당체를 함유하는 중금속 및 미세먼지 흡착용 화장료 조성물 KR1010554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5315A KR101055447B1 (ko) 2008-11-19 2008-11-19 다당체를 함유하는 중금속 및 미세먼지 흡착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5315A KR101055447B1 (ko) 2008-11-19 2008-11-19 다당체를 함유하는 중금속 및 미세먼지 흡착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6239A true KR20100056239A (ko) 2010-05-27
KR101055447B1 KR101055447B1 (ko) 2011-08-08

Family

ID=422804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5315A KR101055447B1 (ko) 2008-11-19 2008-11-19 다당체를 함유하는 중금속 및 미세먼지 흡착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5447B1 (ko)

Cited B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5258B1 (ko) * 2013-08-07 2014-10-02 서원대학교산학협력단 홍삼에서 배양된 버섯 균사체로부터 수득된 홍삼 배양 글루칸 함유 배양액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50030091A (ko) * 2013-09-11 2015-03-19 (주)아모레퍼시픽 인삼 다당체와 녹차 다당체를 함유하는 모발 또는 두피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1723941B1 (ko) 2016-02-26 2017-04-06 (주)진셀팜 산호수 및 벵갈고무나무 수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미세먼지 흡착 및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KR20170040799A (ko) * 2014-08-05 2017-04-13 아만틴 엑스퍼츠 보호용 피부 조성물
WO2017155156A1 (ko) * 2016-03-11 2017-09-14 코스맥스 주식회사 미세먼지 흡착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20180006536A (ko) * 2016-07-07 2018-01-18 코스맥스 주식회사 미세돌기 구조 형성에 의한 미세먼지 흡착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20180012909A (ko) 2016-07-27 2018-02-07 코스맥스 주식회사 피부 마찰력 감소에 의한 미세먼지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20180014355A (ko) 2016-07-29 2018-02-08 코스맥스 주식회사 온도감응성 고분자에 의한 미세먼지 흡착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CN107837220A (zh) * 2016-09-19 2018-03-27 科丝美诗株式会社 含有天然植物萃取物的防尘和抗炎的化妆料组合物
WO2018097431A1 (en) 2016-11-25 2018-05-31 Fng Research Co., Ltd. Compositions for protecting the skin from heavy metals and formaldehyde
CN108969430A (zh) * 2018-10-19 2018-12-11 金日制药(中国)有限公司 一种西洋参发酵液作为护肤品或护肤品添加剂的应用
KR20180132375A (ko) * 2017-06-02 2018-12-12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구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중금속 및 미세먼지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US10188595B2 (en) 2010-12-30 2019-01-29 Mary Kay Inc. Multi-purpose cosmetic compositions
KR20190022607A (ko) 2018-10-15 2019-03-06 이호 초미세 입자 유발 자극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CN109464316A (zh) * 2019-01-07 2019-03-15 广州市拓瑞科技有限公司 具有抗敏消炎功效的皮肤调理组合物、医用冷敷贴及其制备方法
KR20200021206A (ko) * 2018-08-20 2020-02-28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버섯 추출물 또는 베타 클루칸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중금속 배출용 조성물
KR20200115370A (ko) * 2019-03-28 2020-10-07 농업회사법인 보길바이오 주식회사 생체고분자 분자구조의 응축 및 이완을 이용한 미세물질 포집 방법
KR20200129241A (ko) * 2019-05-07 2020-11-18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다시마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세먼지에 대한 피부보호용 화장료 조성물
KR20220106873A (ko) * 2021-01-22 2022-08-01 주식회사 코스메카코리아 미세먼지 흡착방지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미세먼지 흡착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WO2022203228A1 (ko) * 2021-03-25 2022-09-29 경상국립대학교산학협력단 참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초미세먼지로 인한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9456B1 (ko) 2014-09-11 2016-09-23 조영태 초미세먼지 차단용 기능성 크림
KR20160108015A (ko) 2015-03-06 2016-09-19 코웨이 주식회사 중금속에 의한 피부 손상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886347B1 (ko) 2016-08-17 2018-08-09 (주)진셀팜 미세먼지 흡착 및 제거용 펩타이드, 및 이의 용도
KR102372722B1 (ko) 2017-11-20 2022-03-11 (주)아모레퍼시픽 모공 모사체, 이를 이용한 피부 세정력을 갖는 물질의 평가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피부 세정력을 갖는 물질의 스크리닝 방법
KR102081275B1 (ko) * 2018-06-04 2020-02-25 주식회사 익스플즌 피부 세정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화장품
KR102038470B1 (ko) 2019-04-29 2019-10-30 이수경 미세먼지 방호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513584B1 (ko) * 2020-11-20 2023-03-24 상황미인(주) 자외선 및 미세먼지 차단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20133799A (ko) 2021-03-25 2022-10-05 경상국립대학교산학협력단 청각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초미세먼지로 인한 염증성 뇌신경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828810B1 (fr) * 2001-08-27 2005-10-07 Lvmh Rech Composition cosmetique a effet tenseur contenant un polymere d'origine naturelle et un agent hydratant polyhydroxyle
KR20020040707A (ko) * 2002-03-19 2002-05-30 장인순 인삼추출 다당체 진산을 함유하는 화장품 조성물
KR100654063B1 (ko) * 2005-08-11 2006-12-06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베타-1,6-분지-베타-1,3-글루칸을 포접하여 안정화한나노리포좀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노화 방지용화장료 조성물

Cited B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57667B2 (en) 2010-12-30 2024-01-02 Mary Kay Inc. Multi-purpose cosmetic compositions
US10842733B2 (en) 2010-12-30 2020-11-24 Mary Kay Inc. Multi-purpose cosmetic compositions
US10188595B2 (en) 2010-12-30 2019-01-29 Mary Kay Inc. Multi-purpose cosmetic compositions
KR101445258B1 (ko) * 2013-08-07 2014-10-02 서원대학교산학협력단 홍삼에서 배양된 버섯 균사체로부터 수득된 홍삼 배양 글루칸 함유 배양액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50030091A (ko) * 2013-09-11 2015-03-19 (주)아모레퍼시픽 인삼 다당체와 녹차 다당체를 함유하는 모발 또는 두피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20170040799A (ko) * 2014-08-05 2017-04-13 아만틴 엑스퍼츠 보호용 피부 조성물
KR101723941B1 (ko) 2016-02-26 2017-04-06 (주)진셀팜 산호수 및 벵갈고무나무 수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미세먼지 흡착 및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WO2017155156A1 (ko) * 2016-03-11 2017-09-14 코스맥스 주식회사 미세먼지 흡착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20170106579A (ko) 2016-03-11 2017-09-21 코스맥스 주식회사 미세먼지 흡착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20180006536A (ko) * 2016-07-07 2018-01-18 코스맥스 주식회사 미세돌기 구조 형성에 의한 미세먼지 흡착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20180012909A (ko) 2016-07-27 2018-02-07 코스맥스 주식회사 피부 마찰력 감소에 의한 미세먼지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20180014355A (ko) 2016-07-29 2018-02-08 코스맥스 주식회사 온도감응성 고분자에 의한 미세먼지 흡착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CN107837220A (zh) * 2016-09-19 2018-03-27 科丝美诗株式会社 含有天然植物萃取物的防尘和抗炎的化妆料组合物
WO2018097431A1 (en) 2016-11-25 2018-05-31 Fng Research Co., Ltd. Compositions for protecting the skin from heavy metals and formaldehyde
KR20180132375A (ko) * 2017-06-02 2018-12-12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구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중금속 및 미세먼지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KR20200021206A (ko) * 2018-08-20 2020-02-28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버섯 추출물 또는 베타 클루칸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중금속 배출용 조성물
KR20190022607A (ko) 2018-10-15 2019-03-06 이호 초미세 입자 유발 자극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CN108969430B (zh) * 2018-10-19 2021-01-08 金日制药(中国)有限公司 一种西洋参发酵液作为护肤品或护肤品添加剂的应用
CN108969430A (zh) * 2018-10-19 2018-12-11 金日制药(中国)有限公司 一种西洋参发酵液作为护肤品或护肤品添加剂的应用
CN109464316A (zh) * 2019-01-07 2019-03-15 广州市拓瑞科技有限公司 具有抗敏消炎功效的皮肤调理组合物、医用冷敷贴及其制备方法
KR20200115370A (ko) * 2019-03-28 2020-10-07 농업회사법인 보길바이오 주식회사 생체고분자 분자구조의 응축 및 이완을 이용한 미세물질 포집 방법
KR20200129241A (ko) * 2019-05-07 2020-11-18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다시마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세먼지에 대한 피부보호용 화장료 조성물
KR20220106873A (ko) * 2021-01-22 2022-08-01 주식회사 코스메카코리아 미세먼지 흡착방지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미세먼지 흡착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WO2022203228A1 (ko) * 2021-03-25 2022-09-29 경상국립대학교산학협력단 참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초미세먼지로 인한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55447B1 (ko) 2011-08-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5447B1 (ko) 다당체를 함유하는 중금속 및 미세먼지 흡착용 화장료 조성물
CN111407719B (zh) 一种皮肤屏障修护复合物、面霜及其制备方法
KR100755798B1 (ko) 화란국화(타나세텀 파르테니움) 추출물을 포함하는 국소 조성물과, 이 조성물을 사용해서 염증 질환을 치료 및 예방하는 방법
KR101506648B1 (ko) 네오클로리스 올레오어번던스 조류의 바이오매스의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용 슬리밍 조성물
KR101781556B1 (ko) 홍조류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노화용 화장료 조성물
EP1746972A1 (de) Kosmetisches verfahren zur behandlung der haut mit sonnenprodukten und sonnenprodukt-kombination
EP3342465A1 (en) Hedychium extract and compositions thereof and their use in the treatment of skin affected by harmful environmental influences
CN107809998B (zh) 柔毛肖乳香的水醇提取物、包含其的化妆品组合物及其美容用途
KR20160127137A (ko) 갈산 및 갈산 유도체의 미용학적 및 약제학적 용도
CN110559394A (zh) 包含金钗石斛的组合物及其使用方法
KR101703928B1 (ko) 미세 먼지 및 중금속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US20020182269A1 (en) Cucumis melo extract coated and/or microencapsulated in a fat-soluble agent based on a fatty substance
AU724083B2 (en) Substances extracted from dictyotales, a process for obtaining them and compositions comprising them
KR20100060751A (ko) 항염 및 피부 재생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1901670B1 (ko) 제주광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안티폴루션 화장료 조성물
KR100708779B1 (ko) 리포좀으로 안정화 된 우렁쉥이 또는 멍게 외막 추출물을함유하는 피부 노화 억제 및 주름 개선 화장료 조성물
KR20150112103A (ko) 식물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20180081327A (ko) 사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외용제 조성물
KR102123645B1 (ko) 갯강활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12716850B (zh) 一种具有调节皮肤微生态平衡的组合物及其应用
KR102253894B1 (ko) 규조토를 포함하는 피부재생, 피부보습 및 피부미백용 조성물
KR102068079B1 (ko) 피부 자극이 없으면서 손상된 피부의 회복을 촉진하는 효과 화장품 조성물
KR101501554B1 (ko) 누에 혈림프 유래 70kDa 단백질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20102236A (ko) 미세먼지 차단 및 항노화 기능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1985660B1 (ko) 누룩으로 발효시킨 복합생약추출물을 포함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3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