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06873A - 미세먼지 흡착방지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미세먼지 흡착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미세먼지 흡착방지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미세먼지 흡착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06873A
KR20220106873A KR1020210009104A KR20210009104A KR20220106873A KR 20220106873 A KR20220106873 A KR 20220106873A KR 1020210009104 A KR1020210009104 A KR 1020210009104A KR 20210009104 A KR20210009104 A KR 20210009104A KR 20220106873 A KR20220106873 A KR 202201068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e dust
cosmetic composition
adsorption
dimethicone
preve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91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52912B1 (ko
Inventor
강정욱
김봉준
성미경
조현대
박성민
이정노
정지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스메카코리아
주식회사 코씨드바이오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스메카코리아, 주식회사 코씨드바이오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스메카코리아
Priority to KR10202100091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2912B1/ko
Publication of KR202201068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68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29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29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61K8/891Polysiloxanes saturated, e.g. dimethicone, phenyl trimethicone, C24-C28 methicone or stearyl dimethic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61K8/65Collagen; Gelatin; Keratin;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28Fungi, e.g. yeas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60Particulates further characteriz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sition
    • A61K2800/61Surface treated
    • A61K2800/62Coated
    • A61K2800/623Coating mediated by organosilicone compound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미세먼지 흡착방지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미세먼지 흡착방지용 화장료 조성물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미세먼지 흡착방지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미세먼지 흡착방지용 화장료 조성물에 의하면, 다당체 또는 콜라겐류를 함유하는 고분자에 실리콘 코팅을 통해 막을 형성하여 수상을 둘러싼 실리콘이 높은 접촉각을 가지는 돌기형태를 이룸으로써 미세먼지 흡착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이 미세먼지와 정전기적 이온반발력을 유도함으로써 야외 환경 즉, 자외선 및 열이 쬐는 환경에서도 미세먼지 흡착을 방지할 수 있고, 미세먼지의 피부 흡착으로 인한 피부 자극을 차단해주며 이로 인한 피부장벽 손상, 트러블 등을 예방할 수 있다.

Description

미세먼지 흡착방지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미세먼지 흡착방지용 화장료 조성물{method of manufacturing cosmetic composition for preventing adsorption of fine dust and cosmetic composition thereof}
본 발명은 미세먼지 흡착방지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미세먼지 흡착방지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미세먼지가 피부에 흡착되는 흡착률을 낮추고, 세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미세먼지 흡착방지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미세먼지 흡착방지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아름다움을 추구하는 여성의 본능은 어제오늘의 일이 아니지만, 최근 들어 자신을 더욱 예뻐 보이게 하기 위한 체형 관리나 미용 또는 화장품에 대한 관심이 더욱 높아지는 추세에 있다.
그리고 여성뿐만 아니라 남성들도 피부관리를 위해 화장품에 관심을 두게 됨에 따라 화장품 시장은 계속해서 확대되고 있으며, 다양한 종류의 화장품이 시장에 출시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화장품은 크게 기초 화장품, 메이크업 베이스와 색조 화장품 등으로 나눌 수 있고, 고형, 액상 또는 겔상의 화장료로 제조되며, 이들을 보관하는 화장품 용기도 다양하게 적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보습, 미백, 주름개선, 자외선 차단, 여드름 완화, 아토피 완화, 항염증이나 각질용해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기능성 화장품도 널리 소비되고 있다.
한편, 피부는 최외각에 위치한 기관으로써 미세먼지, 자외선 등 각종 유해 환경에 가장 많이 노출되는 기관이다. 만성적인 미세먼지에 대한 노출은 노화와 색소 침착을 일으키는 주요 원인이 된다는 연구 결과가 다수 발표되고 있다. 또한, 미세먼지로 인한 피해가 이슈화되면서 미세먼지 차단을 위한 화장품 제품들이 다양하게 출시되고 있다.
미세먼지는 일반적으로 PAH(polyaromatic hydrocarbons, 다환 방향족 탄화수소)를 운반하는 경우가 많다. 높은 친유성과 피부 침투력을 가진 다환 방향족 탄화수소가 코팅된 미세먼지는 케라티노사이트와 멜라노사이트에 있는 AhR(arylhydroarbon receptor)와 결합해 전염증성매개물질(pro-inflammatory mediator)의 발현을 촉진시켜 염증 반응을 일으킨다.
또한, PM(particulated matter)의 피부 침투로 인해 ROS(활성산소) 생산이 증가된다. 오존(O3)은 매우 불안정한 상태의 분자로써 피부를 공격해 지질과산화(lipid peroxidation)와 단백질산화(protein oxidation)를 일으킨다.
UVA와 다환 방향족 탄화수소의 결합은 피부에 눈에 띄는 photo-damage를 입힌다. 그리고 PAHs는 광 반응성 및 광독성으로 인해 상당한 양의 photo-pollution stress(빛으로 인해 더 유독해진 오염원에 대한 스트레스)를 유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만성적으로 자외선과 미세먼지에 노출되면 눈에 띄는 피부 손상이 가속화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최근에는 미세먼지 등 대기오염이 심각해지면서 호흡기 및 피부 질환 등 여러 질환을 유발하고 있다. 미세먼지는 입자의 크기에 따라 지름이 10 um 이하의 미세먼지와 지름이 2.5 um 이하의 초미세먼지로 구분된다.
미세먼지는 질산염, 암모늄, 황산염 등의 이온성분과 탄소 화합물 및 납, 카드뮴, 비소와 같은 중금속 등으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유해물질로 구성된 미세먼지는 신체에 닿는 것만으로도 각종 질환을 유발할 수 있다. 그리고 육안으로 확인하는 것이 힘들기 때문에 피부 깊숙이 침투하기는 쉽지만 제거는 어렵다.
피부에 접촉된 미세먼지는 각종 화학 자극과 알레르기를 유발하여 피부 각질층에 손상을 입힌다. 이로 인해 피부에 소양감, 부종, 여드름, 건조함, 면역반응 이상 및 피부장벽 손상 등 다양한 피부 질환을 초래한다. 이러한 미세먼지에 의한 피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외출 후 꼼꼼하게 씻거나 미세먼지의 접촉을 막기 위해 피부 보호 화장품을 바르는 방법이 있다.
최근 개발된 대부분의 미세먼지 관련 화장품은 클렌징제품으로 미세먼지나 각종 오염물질, 메이크업 잔여물을 깨끗하게 씻어내는 방식이다. 하지만 이미 피부 깊숙이 침투된 미세먼지를 클렌징으로 제거하는 것은 어렵기 때문에 미세먼지가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여 피부를 보호하는 것이 더욱 중요하다.
따라서 미세먼지가 피부에 흡착되는 흡착률을 낮추고, 세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미세먼지 흡착방지용 화장료 조성물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미세먼지가 피부에 흡착되지 않도록 고분자에 막을 형성하여 미세먼지 흡착을 방지하며, 높은 접촉각으로 미세먼지 흡착 방지 효과를 나타내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정전기적 이온반발력을 유도하기 위해 미세먼지와 동일한 음전하를 갖는 성분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미세먼지 인한 피부 손상을 줄여 피부를 보호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다당체 또는 콜라겐을 함유하는 고분자를 수득하는 단계; 및, 상기 수득한 다당체 또는 콜라겐을 함유하는 고분자에 실리콘과 유화제를 사용하여 코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미세먼지 흡착방지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다당체를 함유하는 고분자는 효모, 버섯 균사체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수득한 베타글루칸일 수 있다.
상기 베타글루칸을 수득하는 단계는, Potato Dextrose Broth(PDB)에 흑효모 또는 버섯 균사체가 3% 내지 7%가 되도록 접종한 후, 발효조 내에서 일정 온도 및 일정 rpm 조건 하에서 배양하는 단계; 및, 균사체를 제거한 상기 배양액에 동량의 에탄올을 가하여 방치한 다음, 원심분리하여 침전물을 수득하고, 상기 수득한 침전물에서 에탄올을 제거하여 베타글루칸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콜라겐을 함유하는 고분자는 식물, 버섯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수득할 수 있다.
상기 콜라겐을 함유하는 고분자를 수득하는 단계는, 흰목이버섯을 끓는 물에 일정 시간 이상 끓인 다음, 추출 된 점액을 필터하여 콜라겐을 함유하는 고분자를 수득할 수 있다.
상기 유화제는, 세틸피이지/피피지-10/1다이메티콘(Cetyl PEG/PPG-10/1 Dimethicone), 피이지-10다이메티콘(PEG-10 Dimethicone), 피이지-12다이메티콘(PEG-12 Dimethicone)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실리콘은, 사이클로메티콘(Cyclomethicone), 다이메티콘(Dimethicone), 사이클로펜타실록세인(Cyclopentasiloxane), 사이클로헥사실록세인(Cyclohexasiloxane), 다이메티콘올(Dimethiconol)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코팅하는 단계는, 1중량% 내지 5중량%의 유화제와 0.5중량% 내지 10중량%의 실리콘을 혼합한 다음 상기 다당체 또는 콜라겐을 함유하는 수상을 부으면서 혼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상기한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미세먼지 흡착방지용 화장료 조성물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다당체 또는 콜라겐을 함유하는 고분자;를 포함하며, 상기 다당체 또는 콜라겐을 함유하는 고분자를 실리콘과 유화제를 사용하여 코팅함으로써 수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흡착방지용 화장료 조성물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유화제는, 세틸피이지/피피지-10/1다이메티콘(Cetyl PEG/PPG-10/1 Dimethicone), 피이지-10다이메티콘(PEG-10 Dimethicone), 피이지-12다이메티콘(PEG-12 Dimethicone)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실리콘은, 사이클로메티콘(Cyclomethicone), 다이메티콘(Dimethicone), 사이클로펜타실록세인(Cyclopentasiloxane), 사이클로헥사실록세인(Cyclohexasiloxane), 다이메티콘올(Dimethiconol)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조성물과 물방울이 이루는 접촉각은 70˚ 내지 90˚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당체 또는 콜라겐류를 함유하는 고분자에 실리콘 코팅을 통해 막을 형성하여 수상을 둘러싼 실리콘이 높은 접촉각을 가지는 돌기형태를 이룸으로써 미세먼지 흡착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이 미세먼지와 정전기적 이온반발력을 유도함으로써 야외 환경 즉, 자외선 및 열이 쬐는 환경에서도 미세먼지 흡착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미세먼지의 피부 흡착으로 인한 피부 자극을 차단해주며 이로 인한 피부장벽 손상, 트러블 등을 예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흡착방지용 화장료 조성물을 도시화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흡착방지용 화장료 조성물과 물방울의 접촉각을 측정한 이미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흡착방지용 화장료 조성물을 도포하고 유사 미세먼지 흡착 전(a)과 흡착 후(b)를 비교한 이미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흡착방지용 화장료 조성물을 도포하고 유사 미세먼지 흡착 후 세정 전(a)과 세정 후(b)를 비교한 이미지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흡착방지용 화장료 조성물을 도시화한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흡착방지용 화장료 조성물과 물방울의 접촉각을 측정한 이미지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흡착방지용 화장료 조성물을 도포하고 유사 미세먼지 흡착 전(a)과 흡착 후(b)를 비교한 이미지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흡착방지용 화장료 조성물을 도포하고 유사 미세먼지 흡착 후 세정 전(a)과 세정 후(b)를 비교한 이미지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흡착방지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크게 다당체 또는 콜라겐을 함유하는 고분자를 수득하는 단계; 및, 상기 수득한 다당체 또는 콜라겐을 함유하는 고분자에 실리콘과 유화제를 사용하여 코팅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미세먼지가 카드뮴, 납, 비소 등의 중금속을 함유하여 음전하를 갖는다고 보고되어 있기 때문에 이러한 특징을 이용하여 전기적 반발력을 일으키는 소재를 적용하여 미세먼지의 흡착을 방지하거나 미세먼지를 보다 쉽게 제거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유화입자의 구조적인 특징으로 유화입자 외각이 음전하를 나타내며 높은 접촉각을 가지는 돌기구조를 갖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서는 수용성 다당체 또는 콜라겐에 실리콘오일을 유화시켜 막을 형성함으로써, 일반적인 수상물질이나 유상물질보다 유화입자의 외각이 음전하를 나타내고, 수상을 둘러싼 실리콘이 높은 접촉각을 가지는 돌기형태를 이루어 미세먼지를 쉽게 제거하도록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흡착방지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각 단계별로 상세히 설명한다.
(a) 단계 : 다당체 또는 콜라겐을 함유하는 고분자를 수득하는 단계.
본 단계에서 얻어지는 다당체는 효모, 버섯, 곡류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소재를 통해 얻어지는 베타글루칸을 말한다. 상기 베타글루칸은 바람직하게 효모, 버섯 균사체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이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 베타글루칸은 효모 또는 버섯 균사체를 접종하여 배양시킨 다음 배양액으로부터 제조된다. 구체적으로 제조된 Potato Dextrose Broth(PDB)에 흑효모 또는 버섯 균사체가 5%가 되도록 접종한 후, 발효조 내에서 온도 26℃, 회전주 150rpm 조건으로 5일간 배양한다. 균사체를 제거한 배양액에 동량의 에탄올을 가하여 방치한 다음, 원심분리하여 침전물을 수득한다. 수득한 침전물에서 에탄올을 제거하여 베타글루칸을 수득한다.
한편, 본 단계에서 얻어지는 콜라겐은 동물, 어류, 식물, 버섯류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소재를 통해 얻어지는 콜라겐을 말한다. 상기 콜라겐은 바람직하게 식물, 버섯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이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 콜라겐을 함유하는 고분자는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과정을 거쳐 수득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흰목이버섯(은이버섯)으로부터 콜라겐을 얻을 수 있는데 흰목이버섯을 100℃ 끓는 물에 6시간 이상 끓인 다음, 추출 된 점액을 필터링하여 콜라겐을 수득한다.
(b) 단계: 다당체 또는 콜라겐을 함유하는 고분자에 실리콘막이 형성된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본 단계는 상기 (a) 단계에서 수득한 다당체 또는 콜라겐을 함유하는 고분자에 실리콘과 유화제를 사용하여 코팅하는 단계이다.
유화제로는 세틸피이지/피피지-10/1다이메티콘(Cetyl PEG/PPG-10/1 Dimethicone), 피이지-10다이메티콘(PEG-10 Dimethicone), 피이지-12다이메티콘(PEG-12 Dimethicone)이나 이들의 혼합물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실리콘으로는 사이클로메티콘(Cyclomethicone), 다이메티콘(Dimethicone), 사이클로펜타실록세인(Cyclopentasiloxane), 사이클로헥사실록세인(Cyclohexasiloxane), 다이메티콘올(Dimethiconol)이나 이들의 혼합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체 조성물 중량 대비 1중량% 내지 5중량%의 단일 또는 혼합된 유화제와 0.5중량% 내지 10중량%의 단일 또는 혼합된 실리콘을 충분히 혼합한 다음, 0.5중량% 내지 20중량%의 다당체 또는 콜라겐을 함유하는 수상을 천천히 부으며 혼합하여 얻는다.
[비교예 및 실시예 1, 2의 제조]
하기 표 1과 같은 조성(단위: 중량%)을 갖는 비교예 1 및 실시예 1, 2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는 다당체와 콜라겐 성분을 함유하지 않는 정제수로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이고, 실시예 1, 2는 각각 다당체와 콜라겐을 첨가한 화장료 조성물이다.
비교예 1 실시예 1 실시예 2
A상 세틸피이지/피피지-10/1다이메티콘
(Cetyl PEG/PPG-10/1 Dimethicone)
3 3 3
사이클로펜타실록세인 & 다이메티콘올
(Cyclopentasiloxane & Dimethiconol)
1 1 1
사이클로메티콘
(Cyclomethicone)
10 10 10
B상 다당체 - 0.5 -
콜라겐 - - 20
정제수 잔량 잔량 잔량
1,2-헥산다이올 적량 적량 적량
구체적으로 A상(유상)을 40℃ 내지 50℃로 가용 용해한 후, 실온의 B상(수상)을 서서히 투입한다. 이때 A상과 B상의 혼합물을 일정하게 교반한다.
표 1의 A상에서 세틸피이지/피피지-10/1다이메티콘(Cetyl PEG/PPG-10/1 Dimethicone)은 유화제이고, 사이클로펜타실록세인 & 다이메티콘올(Cyclopentasiloxane & Dimethiconol)과 사이클로메티콘(Cyclomethicone)은 실리콘이다.
표 1의 B상에 사용된 다당체 용해액은 상기 단계 (a)에서 얻은 베타글루칸 0.5중량%와 일정량의 1,2-헥산다이올을 함유하도록 정제수에 녹인 다음, 400mesh로 필터링하여 얻은 베타글루칸 용해액이다.
또한, 콜라겐 용해액은 상기 단계 (b)에서 얻은 흰목이버섯 콜라겐액 20중량%와 일정량의 1,2-헥산다이올을 함유하도록 정제수에 녹인 다음, 400mesh로 필터하여 얻은 콜라겐 용해액이다.
한편, 하기 실험예에 의하면 상기 본 발명의 조성물은 높은 접촉각으로 미세먼지 흡착 방지 효율이 증가할 수 있고, 강한 음전하를 나타내어 음전하의 미세먼지와 정전기적 이온반발력으로 미세먼지의 피부 흡착을 방지함을 확인하였다. 그 구체적인 실험예는 다음과 같다.
[실험예 1 : 정전기적 반발력 확인]
상기 비교예와 실시예들에 대한 표면전위 측정을 아래와 같이 실시하였다.
표면전위는 ELSZ-2000(한국오츠카전자, Zeta potential analyzer)을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측정치는 2회 측정하여 평균값으로 하였다.
비교예 1 실시예 1 실시예 2
Zeta Potential (mV) -14.9 -51.55 - 21.27
-16.6 -55.62 - 21.61
평균 -15.8 -53.59 - 21.44
그 결과, 표 2와 같이 수상에 정제수만 넣은 비교예 1은 -15.8로 실시예 1, 2보다 낮은 음전하를 나타냈다. 또한 실시예 1, 2를 비교하였을 때, 실시예 1이 실시예 2보다 높은 표면전위를 나타내었다.
[실험예 2 : 접촉각 측정 결과]
상기 비교예와 실시예들에 대한 접촉각 측정을 아래와 같이 실시하였다.
접촉각은 접촉각 측정기(P-300Touch)를 사용하여, 비교예 1 및 실시예 1, 2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을 균일하게 바른 슬라이드 글라스에 물을 한 방울 떨어뜨린 다음 5초 경과 후, 물방울이 이루는 접촉각을 측정하였다.
결과는 표 3과 같으며, 보기 쉽게 측정 시 촬영이미지를 도 2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1 실시예 1 실시예 2
접촉각 (°) 54.45 86.14 71.22
위 표 3에서 보는 것처럼 실시예 1, 2의 접촉각이 70˚ 내지 90˚ 범위에서 형성되어 비교예 1의 54.45˚보다 큰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3 : 미세먼지 흡착 방지 효과]
상기 비교예와 실시예들에 대한 미세먼지 흡착 방지 효과를 아래와 같이 확인 하였다. 대체 미세먼지 모사체로 평균 입자 크기가 10μm 이하인 카본블랙을 사용하였다. 대기 중 부유하는 미세먼지 상태를 구현하기 위해 프로펠러가 장착된 미세먼지 부유 챔버를 사용하여 적당량의 카본 블랙을 챔버 내에서 균일하게 분사하였다.
미세먼지 흡착 전과 후의 시험부위를 고해상도 디지털 카메라와 Folliscope(피부 표면 확대 사진)로 촬영하고 이미지 분석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명도값을 분석하여 미세먼지 흡착 전과 후의 변화량을 구하였다.
미세먼지 흡착량은 명도 값이 증가함에 따라 미세먼지 흡착이 감소된 것을 의미하므로, 무처치군의 흡착량((Δ) 대비 시험제품 처치군의 흡착량(Δ)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p<0.05) 감소하였을 때 미세먼지 흡착방지 효과가 있다고 판단하였다. 또한 미세먼지 흡착량을 분석하여 무처치군 대비 비교예와 실시예들의 개선율(%)을 평가하였고, 계산식은 아래 수학식 1과 같다.
Figure pat00001
확인 결과 비교예와 실시예들의 개선율을 표 4에 나타내었다. 또한 미세먼지 흡착 전(a)과 흡착 후(b)를 비교한 이미지를 도 3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1 실시예 1 실시예 2
개선율 (%) 3.1 27.7 19.7
상기 표 4에서와 같이, 실시예 1의 경우 비교예 1보다 약 8.93배, 실시예 2의 경우 비교예 1보다 6.35배 개선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예 4 : 미세먼지 세정효과 확인]
상기 비교예와 실시예들에 대한 미세먼지 세정 효과를 아래와 같이 확인 하였다. 대체 미세먼지 모사체로 평균 입자 크기가 10μm 이하인 카본블랙을 사용하였다. 대기 중 부유하는 미세먼지 상태를 구현하기 위해 프로펠러가 장착된 미세먼지 부유 챔버를 사용하여 적당량의 카본 블랙을 챔버 내에서 균일하게 분사하였다.
팔뚝부위에 구역을 나누어 비교예와 실시예들을 일정량 도포하여 흡수시킨 다음 미세먼지를 분사하였다. 미세먼지가 분사된 부위를 흐르는 물에 대고 2회 문지른 후 3~5초간 흐르는 물에 세정하여 명도 값을 분석하였다.
시험부위를 고해상도 디지털 카메라와 Folliscope(피부 표면 확대 사진)로 촬영하고 이미지 분석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명도값을 분석하여 미세먼지 흡착 전과 후의 변화량을 구하였다.
미세먼지 세정률은 명도 값이 증가함에 따라 미세먼지가 잘 떨어진 것을 의미하므로, 무처치군의 남은 흡착량((Δ) 대비 시험제품 처치군의 남은 흡착량(Δ)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p<0.05) 감소하였을 때 미세먼지 세정 효과가 있다고 판단하였다. 또한 미세먼지 흡착량을 분석하여 비교예와 실시예들의 세정률(%)을 평가하였고, 계산식은 아래와 같다.
Figure pat00002
확인 결과 비교예와 실시예들의 세정률을 표 5에 나타내었다. 또한 미세먼지 세정 전(a)과 세정 후(b)를 비교한 이미지를 도 4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1 실시예 1 실시예 2
세정율 (%) 25.2 33.8 30.1
상기 표 5에서와 같이, 실시예 1의 경우 비교예 1보다 약 1.34배, 실시예 2의 경우 비교예 1보다 1.19배 우수한 세정력을 나타내었다.
지금까지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한 미세먼지 흡착방지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미세먼지 흡착방지용 화장료 조성물에 따르면, 다당체 또는 콜라겐류를 함유하는 고분자에 실리콘 코팅을 통해 막을 형성하여 수상을 둘러싼 실리콘이 높은 접촉각을 가지는 돌기형태를 이룸으로써 미세먼지 흡착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이 미세먼지와 정전기적 이온반발력을 유도함으로써 야외 환경 즉, 자외선 및 열이 쬐는 환경에서도 미세먼지 흡착을 방지할 수 있고, 미세먼지의 피부 흡착으로 인한 피부 자극을 차단해주며 이로 인한 피부장벽 손상, 트러블 등을 예방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이하에서 서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변형된 실시가 기본적으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면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범주에 포함된다고 보아야 한다.

Claims (13)

  1. 다당체 또는 콜라겐을 함유하는 고분자를 수득하는 단계; 및,
    상기 수득한 다당체 또는 콜라겐을 함유하는 고분자에 실리콘과 유화제를 사용하여 코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미세먼지 흡착방지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당체를 함유하는 고분자는 효모, 버섯 균사체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수득한 베타글루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흡착방지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베타글루칸을 수득하는 단계는,
    Potato Dextrose Broth(PDB)에 흑효모 또는 버섯 균사체가 3% 내지 7%가 되도록 접종한 후, 발효조 내에서 일정 온도 및 일정 rpm 조건 하에서 배양하는 단계; 및,
    균사체를 제거한 상기 배양액에 동량의 에탄올을 가하여 방치한 다음, 원심분리하여 침전물을 수득하고, 상기 수득한 침전물에서 에탄올을 제거하여 베타글루칸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흡착방지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콜라겐을 함유하는 고분자는 식물, 버섯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수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흡착방지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콜라겐을 함유하는 고분자를 수득하는 단계는, 흰목이버섯을 끓는 물에 일정 시간 이상 끓인 다음, 추출 된 점액을 필터하여 콜라겐을 함유하는 고분자를 수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미세먼지 흡착방지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화제는,
    세틸피이지/피피지-10/1다이메티콘(Cetyl PEG/PPG-10/1 Dimethicone), 피이지-10다이메티콘(PEG-10 Dimethicone), 피이지-12다이메티콘(PEG-12 Dimethicone)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흡착방지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은,
    사이클로메티콘(Cyclomethicone), 다이메티콘(Dimethicone), 사이클로펜타실록세인(Cyclopentasiloxane), 사이클로헥사실록세인(Cyclohexasiloxane), 다이메티콘올(Dimethiconol)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흡착방지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하는 단계는,
    1중량% 내지 5중량%의 유화제와 0.5중량% 내지 10중량%의 실리콘을 혼합한 다음 상기 다당체 또는 콜라겐을 함유하는 수상을 0.5중량% 내지 20중량% 부으면서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흡착방지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의해 제조된 미세먼지 흡착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10. 다당체 또는 콜라겐을 함유하는 고분자;를 포함하며,
    상기 다당체 또는 콜라겐을 함유하는 고분자를 실리콘과 유화제를 사용하여 코팅함으로써 수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흡착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유화제는,
    세틸피이지/피피지-10/1다이메티콘(Cetyl PEG/PPG-10/1 Dimethicone), 피이지-10다이메티콘(PEG-10 Dimethicone), 피이지-12다이메티콘(PEG-12 Dimethicone)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흡착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은,
    사이클로메티콘(Cyclomethicone), 다이메티콘(Dimethicone), 사이클로펜타실록세인(Cyclopentasiloxane), 사이클로헥사실록세인(Cyclohexasiloxane), 다이메티콘올(Dimethiconol)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흡착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과 물방울이 이루는 접촉각은 70˚ 내지 9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흡착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210009104A 2021-01-22 2021-01-22 미세먼지 흡착방지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미세먼지 흡착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1025529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9104A KR102552912B1 (ko) 2021-01-22 2021-01-22 미세먼지 흡착방지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미세먼지 흡착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9104A KR102552912B1 (ko) 2021-01-22 2021-01-22 미세먼지 흡착방지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미세먼지 흡착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6873A true KR20220106873A (ko) 2022-08-01
KR102552912B1 KR102552912B1 (ko) 2023-07-10

Family

ID=828442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9104A KR102552912B1 (ko) 2021-01-22 2021-01-22 미세먼지 흡착방지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미세먼지 흡착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2912B1 (ko)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5133B1 (ko) * 2005-04-06 2007-11-09 주식회사 한립생명공학 베타글루칸과 버섯 균사체 추출물을 혼합하여 제조한 항균 또는 항진균 제제의 제조방법 및 상기 제제를 함유하는 손발청결보습제
KR20100056239A (ko) * 2008-11-19 2010-05-27 (주)아모레퍼시픽 다당체를 함유하는 중금속 및 미세먼지 흡착용 화장료 조성물
KR101516384B1 (ko) * 2015-01-28 2015-05-04 주식회사 셀리제코스메틱 흰목이 버섯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JP2016069323A (ja) * 2014-09-30 2016-05-09 株式会社レドックス スキンケア用又は毛髪手入れ用液体組成物
KR101739106B1 (ko) * 2015-12-29 2017-05-23 주식회사 케이티에이치아시아 피부 보호막을 형성하는 크림형 하이드로겔 팩 및 그 제조방법
CN107397715A (zh) * 2017-07-29 2017-11-28 杭州伊瑟奇生物科技有限公司 生物阳光乳
WO2020004649A1 (ja) * 2018-06-29 2020-01-02 日産化学株式会社 被膜形成組成物
KR20200019542A (ko) * 2018-08-14 2020-02-24 주식회사 코스메카코리아 미세먼지 부착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16482B1 (ko) * 2020-02-27 2020-05-28 주식회사 한국화장품제조 안티폴루션 유화물이 담지된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89084B1 (ko) * 2013-08-30 2020-12-10 주식회사 아리바이오 흑효모 배양액을 포함하는 피부상태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5133B1 (ko) * 2005-04-06 2007-11-09 주식회사 한립생명공학 베타글루칸과 버섯 균사체 추출물을 혼합하여 제조한 항균 또는 항진균 제제의 제조방법 및 상기 제제를 함유하는 손발청결보습제
KR20100056239A (ko) * 2008-11-19 2010-05-27 (주)아모레퍼시픽 다당체를 함유하는 중금속 및 미세먼지 흡착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89084B1 (ko) * 2013-08-30 2020-12-10 주식회사 아리바이오 흑효모 배양액을 포함하는 피부상태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JP2016069323A (ja) * 2014-09-30 2016-05-09 株式会社レドックス スキンケア用又は毛髪手入れ用液体組成物
KR101516384B1 (ko) * 2015-01-28 2015-05-04 주식회사 셀리제코스메틱 흰목이 버섯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739106B1 (ko) * 2015-12-29 2017-05-23 주식회사 케이티에이치아시아 피부 보호막을 형성하는 크림형 하이드로겔 팩 및 그 제조방법
CN107397715A (zh) * 2017-07-29 2017-11-28 杭州伊瑟奇生物科技有限公司 生物阳光乳
WO2020004649A1 (ja) * 2018-06-29 2020-01-02 日産化学株式会社 被膜形成組成物
KR20200019542A (ko) * 2018-08-14 2020-02-24 주식회사 코스메카코리아 미세먼지 부착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16482B1 (ko) * 2020-02-27 2020-05-28 주식회사 한국화장품제조 안티폴루션 유화물이 담지된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52912B1 (ko) 2023-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67914B2 (ja) 皮膚をひきしめる効果のある化粧組成物
JP6495655B2 (ja) 美容方法
DE202017001430U1 (de) Haarstärkende Zusammensetzung und ein Kit zur Stärkung von Haaren
WO2013014140A2 (de) Kosmetische zusammensetzungen
DE202016008131U1 (de) Zusammensetzung zur Haarverfestigung und deren Anwendung zum Festigen der Haare
EP3407866B1 (fr) Agent cosmetique constitue par des galactomannanes obtenus a partir de caesalpinia spinosa et des galactanes sulfates reticules obtenus a partir de kappaphycus alvarezii
WO2018155974A1 (ko) 블루라이트 필터링 및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
KR102224125B1 (ko) 미세먼지 부착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20170050390A (ko) 음전하 물질을 포함하는 미세먼지 방진용 조성물
EP3424487B1 (en) Networked dispersion of biocellulose microfibrils in water
KR102076004B1 (ko) 음전하 물질을 포함하는 미세먼지 방진용 조성물
KR102552912B1 (ko) 미세먼지 흡착방지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미세먼지 흡착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CN1642520A (zh) 聚硅氧烷组合物
DE1767769C3 (de) Waschbeständige Hautschutzmittel auf Organopolysiloxangrundlage
JP4049414B2 (ja) 乳化組成物
CN108451778B (zh) 一种透明凝胶护发组合物及其制备方法
WO2020089364A1 (de) Bis(triethoxysilylpropyl)amine in kombination mit einem verdicker
KR20150145745A (ko) 한천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 및 피부 각질형성 세포 분화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
KR102417656B1 (ko) 미네랄 소재를 이용한 유효성분 안정화 방법
KR102623084B1 (ko) 미세먼지 부착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20060015920A (ko) 설탕을 함유한 피부 스크럽용 화장료 조성물
JP2005089431A (ja) 角層機能を有するメークアップ化粧料
TW201731481A (zh) 水分散生物纖維素微纖維網路分散體、組合物、增強水分吸收或增強彈性的方法、隔絕微塵的方法及保護角蛋白結構體的方法
JP2000273019A (ja) 保護化粧料
JP2000212044A (ja) 毛髪処理用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