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22463A - 유성 화장료 - Google Patents

유성 화장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22463A
KR20240022463A KR1020237040668A KR20237040668A KR20240022463A KR 20240022463 A KR20240022463 A KR 20240022463A KR 1020237040668 A KR1020237040668 A KR 1020237040668A KR 20237040668 A KR20237040668 A KR 20237040668A KR 20240022463 A KR20240022463 A KR 202400224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nent
oil
fatty acid
based cosmetic
ma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406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쇼마 요시다
도모아키 시노다
유토 이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코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코세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코세
Publication of KR202400224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22463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9Derivatives containing from 2 to 10 oxyalkylene grou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5Silicon;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6Polyeth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61K8/891Polysiloxanes saturated, e.g. dimethicone, phenyl trimethicone, C24-C28 methicone or stearyl dimethic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 A61Q1/04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for lips
    • A61Q1/06Lipstic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10General cosmetic us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담감이 없고 보습감이 우수하고, 피부나 입술로의 밀착감이 우수하므로 화장막의 장시간 지속성이 있고, 게다가 제제의 안정성도 양호한 유성 화장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다음의 성분(A) 및 성분(B); (A) 디이소스테아르산 폴리글리세릴-10 (B)글리세린의 중합도가 2∼12이고, 지방산이 탄소수 6∼20의 분기 지방산이며, 또한 에스테르 치환도가 80% 이상인, 폴리글리세린 지방산에스테르를 함유하는 유성 화장료이다.

Description

유성 화장료
본 발명은, 유성 화장료에 관한 것이다.
유성 화장료는 피부나 입술에 색채나 윤기감을 부여할 목적에서 사용되는 경우가 많고, 발색이 양호하고 유제(油劑)의 윤기감 등의 메이크업 효과가 높아 얼굴의 인상을 크게 바꿀 수 있는 화장료이다. 그러므로, 그 화장 효과가 장시간 지속되는 것은 매우 중요한 품질 항목이다.
그래서 경시(經時)에 의한 색 지속의 양호함과 묻어나기 어려운 효과를 구현화하기 위해 다양한 검토가 행해져 왔다. 예를 들면, 끈적거림 없음, 화장 효과의 지속성,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페닐 변성 실리콘과 다분기형 이소스테아르산, 또는, 다분기형 이소스테아릴알코올을 에스테르화하여 얻어지는 액상 에스테르 화합물, 유성 겔화제를 일정한 비율로 함유한 기술(예를 들면, 특허문헌 1)이나, 화장의 유지나 2차 부착없음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해 수첨(水添) 폴리이소부텐과 특정한 지방산 폴리글리세린을 함유하는 기술(예를 들면, 특허문헌 2)이나, 밀착성이나 묻어남 방지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해 물에 의해 겔화되는 이소스테아르산 폴리글리세릴을 배합한 기술(예를 들면, 특허문헌 3) 등을 들 수 있다.
일본공개특허 제2012-149041호 공보 일본공개특허 제2019-167325호 공보 일본공개특허 제2021-063068호 공보
그러나, 특허문헌 1의 기술에서 얻어지는 화장막에서는, 묻어나기 어려운 효과가 약하고, 색 지속의 양호함도 충분하지 않았다. 또한, 특허문헌 2의 기술에서는, 묻어남 방지 효과는 얻어지지만 부담감이나 보습감의 면에서 만족스러운 것이 아니었다. 특허문헌 3의 기술에서는, 조합하는 유제에 따라서는 겔화가 약해지고, 경시에서의 색 지속이나 밀착감이 충분하지 않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피부나 입술로의 밀착감이 우수하고, 화장막의 장시간 지속성이 있는 유성 화장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부담감이 더 없고, 보습감이 우수하고, 제제 안정성이 양호한 유성 화장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실정을 감안하여 예의 연구를 행한 결과, 특정한 폴리글리세린 지방산에스테르와 디이소스테아르산 폴리글리세릴-10의 조합이, 도포 후에 피부나 입술 위의 수분과 반응했을 때의 상분리 효과가 우수한 유제의 조합이며, 피부나 입술로의 밀착감이 우수하고, 화장막의 장시간 지속성이 양호한 유성 화장료가 얻어지는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관련된 유성 화장료는, 이하의 구성을 가진다.
1. 다음의 성분(A) 및 성분(B);
(A) 디이소스테아르산 폴리글리세릴-10
(B) 글리세린의 중합도가 2∼12이고, 지방산이 탄소수 6∼20의 분기 지방산이며, 또한 에스테르 치환도가 80% 이상인, 폴리글리세린 지방산에스테르
를 함유하는 유성 화장료.
2. 상기 성분(A) 및 상기 성분(B)의 합계량이 상기 유성 화장료 전체에 대하여 25∼75 질량%인, 1.에 기재된 유성 화장료.
3. 성분(C):상기 성분(A) 및 상기 성분(B)의 혼합물과 혼합했을 때 25℃에 있어서 24시간 경과 후에 분리하는 유제(다만, 성분(A) 및 성분(B)를 제외함)를 더 함유하는, 1. 또는 2.에 기재된 유성 화장료.
4. 상기 성분(C)가 실리콘 오일인, 3.에 기재된 유성 화장료.
5. 상기 성분(B) 및 상기 성분(C)의 합계량이 상기 유성 화장료 전체에 대하여 45 질량% 이상인, 3. 또는 4.에 기재된 유성 화장료.
6. 성분(D) 왁스 및/또는 유성 겔화제를 더 함유하는, 1. 내지 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유성 화장료.
7. 상기 성분(B)에 대한 상기 성분(A)의 함유 질량 비율 (A)/(B)가 0.01∼1.2인, 1. 내지 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유성 화장료.
8. 상기 성분(C)가 페닐 변성 실리콘인, 3. 내지 7.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유성 화장료.
9. 상기 성분(D)가 연무상(煙霧狀) 무수 규산인, 6. 내지 8.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유성 화장료.
10. 성분(A) 디이소스테아르산 폴리글리세릴-10 및 성분(B) 글리세린의 중합도가 2∼12이고, 지방산이 탄소수 6∼20의 분기 지방산이며, 또한 에스테르 치환도가 80% 이상인, 폴리글리세린 지방산에스테르를 조합하여, 도포 후에 피부나 입술 위의 수분과 반응했을 때의 상분리 효과에 의해, 유성 화장료의 화장의 유지의 정도를 향상시키는 방법.
[도 1] 실시예 1 및 10 및 비교예 2 및 7의 평가 1(a) 및 (b)의 평가한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음 성분(A) 및 성분(B);
(A) 디이소스테아르산 폴리글리세릴-10
(B) 글리세린의 중합도가 2∼12이고, 지방산이 탄소수 6∼20의 분기 지방산이며, 또한 에스테르 치환도가 80% 이상인, 폴리글리세린 지방산에스테르
를 함유하는 유성 화장료이다.
본 발명은, 특히 도포 후에 피부나 입술 위의 수분에 의해 도포막의 밀착감이 향상되고, 화장 지속성이 높은(예를 들면, 색 지속의 양호함, 묻어나기 어려움) 효과를 발현한다. 또한, 부담감이 감소하고, 도포막의 보습감이 우수하며, 또한 안정성도 양호한 유성 화장료를 제공한다.
상기 효과는, 성분(A)와 성분(B)를 적절히 함유함으로써 얻어지는 것이다. 성분(A)와 성분(B)는, 가온 상태(예를 들면, 80℃)에서는, 분리되지 않고 용해 혹은 분산된다. 이와 같이 가온 상태에서 양자가 분리되지 않고 용해 혹은 분산 상태로 존재할 수 있음으로써, 제제 안정성이 담보된다고 생각된다. 한편, 실온에서, 성분(A)와 성분(B)를 혼합한 혼합물(유성 화장료 중의 성분(A) 및 성분(B)의 함유 질량비)의 합계 95 질량부에 대하여 물 5 질량부를 부가하면, 겔화한다. 이와 같은 상태를 형성하는 것에 의해 본 발명의 상기 효과를 얻는 것으로 생각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수분을 흡수한 성분(A)가 성분(B)과 분리된 후, 겔화되고, 막을 만드는 것에 의해 피부나 입술로의 밀착성이 향상되고, 또한 분리한 성분(B)에 의해, 양호한 화장 지속성이 발휘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상술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질량%의 기재를 이하 단지 「%」로만 기재로 하는 경우도 있지만, 질량%를 의미하는 것으로 하고, ∼을 이용하여 수치 범위를 표시할 때는, 그 범위는 양단의 수치를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특기하지 않는 한, 조작 및 물성 등의 측정은 실온(20∼25℃)/상대 습도 40∼55%RH의 조건에서 행한다.
본 발명의 성분(A) 디이소스테아르산 폴리글리세릴-10은 이소스테아르산과 평균 중합도가 10인 폴리글리세린의 디에스테르다. 그리고, 성분(A)는 성분(B)에는 해당하지 않는다. 성분(A)는 통상 화장료에 사용되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은 없고, 이들을 1종 또는 2종 이상 사용할 수 있다. 성분(A)의 시판품으로서 S 페이스 IS-1002P(사카모토 야쿠힌 고교사 제조), NIKKOL Decaglyn 2-ISV(닛코 케미컬즈사 제조), 선소프트 Q-192Y-C(다이요 가가쿠사 제조)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도포 후에 물을 흡수하여 겔을 형성하고, 유제와 상분리하고, 밀착감을 올리는 관점에서, 성분(A)의 경도 I(단위 N)에 대한 경도 II(단위 N)의 비율 경도 II/경도 I가 1.0∼10.0이 바람직하고, 5.0∼10.0이 보다 바람직하다. 경도 I에 대한 경도 II의 비율은 원료에 의존하고, 이소스테아르산의 부가 위치나 폴리글리세린의 구조에 의해 상이하다. 또한, 성분(A)가 2종 이상인 경우에는, 함유 질량비를 고려한 성분(A) 전체의 경도를 가리킨다. 그리고, 디이소스테아르산 폴리글리세릴-10의 경도를 경도 I, 디이소스테아르산 폴리글리세릴-10 95 질량부에 물 5 질량부를 첨가 혼합하고, 실온에서 1시간 정치(靜置)했을 때의 겔 경도를 경도 II로 한다. 본 발명에서의 경도는, 레오테크사 제조의 레오미터로, 측정 온도 35℃, 어댑터 15φ, 침입(針入) 속도 10cm/min, 침입도 3㎜로 측정한 값이다.
본 발명에서의 성분(A)의 함유량(2종 이상 사용하는 경우에는, 합계의 함유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유성 화장료 전체에 대하여 0.5∼35%가 바람직하고, 0.5∼30%가 보다 바람직하고, 1∼20%가 더욱 바람직하고, 1∼10%가 보다 더 바람직하다. 이 범위이면, 도포 후의 부담감이 적고, 밀착감과 보습감이 높고, 화장의 유지와 안정성이 우수하므로,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성분(B)의 폴리글리세린 지방산에스테르는, (평균) 중합도가 2∼12인 폴리글리세린과, 탄소수 6∼20의 분기 지방산의 에스테르이며, 에스테르 치환도가 80% 이상(상한 100%)이다. 본 발명의 성분(B) 글리세린의 중합도가 2∼12이고, 지방산이 탄소수 6∼20의 분기 지방산이며, 또한 에스테르 치환도가 80% 이상인 폴리글리세린 지방산에스테르는 통상 화장료에 사용되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은 없고, 데카에틸헥산산 폴리글리세릴-10, 데카이소스테아르산 폴리글리세릴-10, 테트라이소스테아르산 폴리글리세릴-2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을 1종 또는 2종 이상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태양(態樣)으로서는, 데카에틸헥산산 폴리글리세릴-10, 데카이소스테아르산 폴리글리세릴-10, 및 테트라이소스테아르산 폴리글리세릴-2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과, 디이소스테아르산 폴리글리세릴-10을 함유하는 유성 화장료이다. 다른 본 발명의 일 태양으로서는, 데카에틸헥산산 폴리글리세릴-10 및/또는 테트라이소스테아르산 폴리글리세릴-2와, 디이소스테아르산 폴리글리세릴-10을 함유하는 유성 화장료이다. 이와 같은 성분(B)는 통상 25℃에서 액상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있어서, 폴리글리세린 지방산에스테르에 관하여 에스테르 치환도라고 할 때는 특별히 기재한 경우를 제외하고, 에스테르 치환도(%)={분기 지방산의 부가 몰수/(n+2)}×100(n은, 폴리글리세린의 (평균) 중합도)로서 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폴리글리세린 지방산에스테르에 있어서는, 구성하는 글리세린의 중합도는 2∼12이지만, 5∼10인 것이 화장의 유지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사용되는 폴리글리세린 지방산에스테르에 있어서는, 구성하는 지방산은 탄소수 6∼20의 분기 지방산이지만, 탄소수 8∼18이 바람직하고, 탄소수 8∼10이 보다 바람직하고, 탄소수 8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성분(B)의 폴리글리세린 지방산에스테르로서, 탄소수 8의 지방산으로 구성되는 폴리글리세린 지방산에스테르만을 포함하는 형태도 화장 지속성의 관점에서는 바람직하다. 이 중에서도 특히 탄소수 8의 2-에틸헥산산이 보다 바람직하다. 성분(B)로서는, 데카에틸헥산산 폴리글리세릴-10, 데카이소스테아르산 폴리글리세릴-10, 테트라이소스테아르산 폴리글리세릴-2 등을 들 수 있다. 성분(B)는 시판품을 사용해도 되고, 구체적으로는, 데카에틸헥산산 폴리글리세릴-10으로서, KEH-1010(에스테르 치환도 83.3%) (사카모토 야쿠힌 고교사 제조), 데카이소스테아르산 폴리글리세릴-10으로서, NIKKOL Decaglyn 10-ISV(에스테르 치환도 83.3%)(닛코 케미칼즈사 제조), 선오일 DDI(에스테르 치환도 83.3%)(다이요 가가쿠사 제조), 테트라이소스테아르산 폴리글리세릴-2로서, 코스몰 44V(에스테르 치환도 100%) (닛신 오일리오 그룹사 제조) 등을 들 수 있다.
성분(B)의 함유량(2종 이상 사용하는 경우에는, 합계의 함유량)은, 유성 화장료 전체에 대하여 20∼80%가 바람직하고, 30∼70%가 보다 바람직하다. 이 범위이면, 안정성이 양호하고, 밀착감, 화장의 유지가 보다 우수하므로,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성분(A)와 성분(B)의 합계 함유 질량이 유성 화장료 전체에 대하여 25∼85%인 것이 바람직하고, 25∼75%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40∼60%인 것이 보다 더 바람직하다. 이 범위이면, 보습감이나 밀착감이 높고, 화장의 유지가 보다 우수하므로,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성분(B)에 대한 성분(A)의 함유 질량 비율 (A)/(B)가 보습감, 밀착감의 면에서, 0.01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화장 지속성의 면에서 0.08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1 이상인 것이 보다 더 바람직하다. 또한, (A)/(B)가 부담감 없음, 안정성의 면에서는, 1.2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2 미만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5 이하인 것이 보다 더 바람직하고, 0.2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A)/(B)는 0.01∼1.2인 것이 바람직하고, 0.07∼0.5이 보다 바람직하고, 0.1∼0.2가 더욱 바람직하다. 이 범위이면 안정성이 양호하고, 부담감 없음이 보다 우수하므로,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유성 화장료는, 성분(C):성분(A) 및 성분(B)의 혼합물과 혼합했을 때 25℃에 있어서 24시간 경과 후에 분리되는 액상의 유제를 더 함유하는 것에 의해, 2차 부착없음 효과(예를 들면, 묻어나기 어려움)나 밀착감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성분(A) 및 성분(B)의 혼합물과 혼합앴을 때 25℃에 있어서 24시간 경과 후에 분리된다」란, 성분(A) 및 성분(B)의 혼합물(유성 화장료 중의 혼합 질량비) 100 질량부 대하여 성분(C) 50 질량부를 80℃로 가열하여 혼합 용해·분산시킨 후, 25℃까지 방랭, 정치하여 24시간 경과 후에 확실하게 분리한 상태를 가리킨다. 그리고, 성분(A) 및 성분(B)의 혼합물과 80℃에서 혼합했을 때 용해 또는 (균일)분산되지 않고 분리되어 버리는 성분은 성분(C)에 포함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성분(C)는 통상 화장료에 사용되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은 없고, 이들을 1종 또는 2종 이상 사용할 수 있다. 화장 지속성(예를 들면, 2차 부착없음 효과(색 지속의 양호함)의 관점에서는, 실리콘 오일이 바람직하고, 25℃에서 액상의 실리콘 오일이 보다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액상이란, 25℃에서 유동성을 가지는 실리콘 오일을 의미하는 것이며, 화장료 등에 사용되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실리콘 오일로서는,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25℃에서의 점도(동점도(動粘度) 10㎟/s(=센티스토크스(cS)) 이상의 디메틸폴리실록산, 디페닐실록시페닐트리메티콘, 페닐트리메티콘, 디페닐디메티콘, 트리메틸펜타페닐트리실록산, 트리메틸실록시페닐디메티콘 등의 페닐 변성 실리콘, 트리플루오로프로필시클로폴리실록산 등의 불소 변성 실리콘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화장막의 끈적임을 억제하고, 2차 부착없음 효과(예를 들면, 묻어나기 어려움)를 높인다는 관점에서, 성분(C)는 특히, 페닐 변성 실리콘, 불소 변성 실리콘, 및 25℃에서의 점도(동점도) 1000㎟/s(=센티스토크스(cS)) 이상의 디메틸폴리실록산이 바람직하다. 그 중에서도 화장 지속성 면에서, 성분(C)는, 페닐 변성 실리콘이 보다 바람직하고, 디페닐실록시페닐트리메티콘, 디페닐디메티콘, 트리메틸펜타페닐트리실록산, 및 트리메틸실록시페닐디메티콘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디페닐디메티콘, 디페닐실록시페닐트리메티콘 및 트리메틸실록시페닐디메티콘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것이 보다 더 바람직하고, 디페닐디메티콘 및 디페닐실록시페닐트리메티콘의 병용 또는 디페닐실록시페닐트리메티콘 및 트리메틸실록시페닐디메티콘의 병용이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태양은, 성분(A), 성분(B) 및 페닐 변성 실리콘을 포함하는 유성 화장료이다.
성분(C)의 시판품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KF-96A-1000CS, KF-96-5000CS, KF-96-10000CS, KF-96-100000CS, KF-56, KF-54, KF-54HV, FL-100-100CS, FL-100-450CS, FL-100-1000CS, FL-100-10000CS(이상, 신에쓰 가가쿠 고교사 제조), BELSIL(등록상표) PDM 1000(아사히카세이 와커 실리콘사 제조), FZ-3156(도레이·다우코닝사 제조) 등을 들 수 있다.
성분(C)의 함유량(2종 이상 사용하는 경우에는, 합계의 함유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안정성, 화장 지속성(예를 들면, 2차 부착없음 효과(색 지속의 양호함)), 밀착성을 향상시키는 점에서, 유성 화장료 전체에 대하여 10∼50%가 바람직하고, 20∼40%가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성분(B) 및 성분(C)의 합계 함유 질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유성 화장료 전체에 대하여 하한은 밀착감, 화장 지속성 면에서, 45% 이상이 바람직하고, 50%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55%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고, 65% 이상이 보다 더 바람직하다. 상한은 95% 이하가 바람직하고, 90%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이 범위이면, 2차 부착없음 효과(예를 들면, 묻어나기 어려움), 안정성, 밀착감이 보다 우수하므로,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성분(B) 및 성분(C)의 합계 함유 질량은 밀착감, 화장 지속성 면에서, 유성 성분 중, 45% 이상(상한 100%)인 것이 바람직하고, 50% 이상이 바람직하고, 55% 이상이 바람직하고, 65%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다. 그리고, 성분(B) 및 성분(C)의 합계 함유 질량은, 유성 성분 중의 상한량은 100%이지만, 감촉 조정 등의 점에서 다른 유성 성분을 첨가해도 되고, 통상 95% 이하라도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밀착감 및 제제 안정성의 관점에서, 성분(D) 왁스 및/또는 유성 겔화제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성분(D)는 통상 화장료에 사용되는 것이고, 유성 성분을 고화 내지 겔화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고형상, 페이스트상 등의 화장료의 성상(性狀)에 따라, 적절히 선택하여 1종 또는 2종 이상을 배합할 수 있다.
유성 겔화제로서는, 예를 들면, 덱스트린 지방산에스테르(예를 들면, 팔미트산 덱스트린, (팔미트산/2-에틸헥산산) 덱스트린, 미리스트산 덱스트린 등), 자당 지방산에스테르, 이눌린 지방산에스테르, 12-하이드록시스테아르산, 금속 비누, 연무상 무수 규산, (베헨산/에이코산이산)글리세릴, (디메티콘/비닐디메티콘)크로스폴리머, (비닐디메티콘/알킬디메티콘)크로스폴리머, (디메티콘/페닐비닐디메티콘)크로스폴리머, (디메티콘/PEG)크로스폴리머, (알킬디메티콘/PEG)크로스폴리머 등의 실리콘 크로스폴리머, 및 스테아랄코늄헥토라이트, 디스테아릴디모늄헥토라이트 등의 유기 변성 점토 광물, 디부틸라우로일글루타미드, 디부틸에틸헥사노일글루타미드 등의 아미노산계 겔화제 등을 들 수 있다.
왁스로서는, 예를 들면 파라핀 왁스, 세레신 왁스, 몬탄 왁스, 마이크로크리스탈린 왁스, 에틸렌·프로필렌코폴리머, 폴리에틸렌 왁스, 피셔 트롭쉬 왁스 등의 탄화수소 왁스나, 칸데릴라 왁스(칸데릴라납), 칸데릴라납 에스테르즈, 카르나우바 왁스(카르나우바납), 비즈 왁스, 라이스 왁스, 해바라기 왁스, 호호바 에스테르 등의 에스테르 왁스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유성 화장료가 고형인 경우, 탄화수소 왁스를 성분(D) 중 50% 이상(상한 100%) 사용하면 유성 화장료의 보형성(保形性) 면에 있어서 바람직하고, 50∼9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65∼90%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탄화수소 왁스의 융점이 80℃ 이상(바람직하게는 80∼100℃)인 것이면, 유성 화장료의 보형성 면에 있어서 보다 바람직하다.
유성 화장료가 페이스트상이나 액상인 경우, 성분(D)로서 유성 겔화제를 사용하면, 매끄러운 감촉이나 사용성의 향상을 얻을 수 있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유성 화장료가 페이스트상이나 액상인 경우, 성분(D)로서 유성 겔화제와, 연무상 무수 규산을 조합하여 사용하는 형태도 밀착감 및 제제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안정성이나 밀착감 향상의 면에서, 성분(D)가 연무상 무수 규산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연무상 무수 규산을 성분(D)의 함유량이 하한으로서 0.5% 이상, 상한으로서 50% 이하를 사용하면, 안정성의 향상을 얻어지는 점에서 더욱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하기와 같이 소수화 처리를 행한 경우, 소수화 처리 연무상 무수 규산 전체의 함유량을 연무상 무수 규산의 함유량으로 한다. 그리고, 고형이란, 25℃에서 유동성을 나타내지 않는 것을 가리키고, 페이스트상이나 액상이란, 25℃에서 유동성을 나타내는 것을 가리킨다.
연무상 무수 규산은 소수화 처리한 것을 사용해도 된다. 소수화 처리의 방법으로서는, 디메틸디클로로실란에 의한 디메틸실릴화 처리, 트리메틸클로로실란이나 헥사메틸디실라잔에 의한 트리메틸실릴화 처리, 옥틸트리클로로실란에 의한 옥틸 실릴화 처리, 디메틸폴리실록산이나 메틸하이드로겐폴리실록산에 의한 실리콘 처리, 금속 비누 화합물에 의한 코팅 처리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안정 성향상의 면에서, 소수화 처리는 디메틸실릴화 처리인 것이 바람직하다. 소수화 처리한 연무상 무수 규산으로서는, AEROSIL R104, AEROSIL R106, AEROSIL R202, AEROSIL RX200, AEROSIL RX300, AEROSIL R805, AEROSIL R812, AEROSIL R816, AEROSIL R972, AEROSIL R974, AEROSIL R976S, AEROSIL RX50(니폰 에어로질사 제조) 등을 들 수 있다.
성분(D)의 함유량(2종 이상 사용하는 경우에는, 합계의 함유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유성 화장료 전체에 대하여 하한은 0.5% 이상이 바람직하고, 1%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5%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한은 30% 이하가 바람직하고, 20%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15%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이 범위이면 사용성, 안정성, 화장막의 지속성(예를 들면, 2차 부착없음 효과(색 지속의 양호함))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 성분(A)∼(D) 이외에, 본 발명의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성분(A)∼(D) 이외의 임의 성분, 즉 성분(A)∼(D) 이외의, 유성 성분, 계면활성제, 분체, 수성 성분, 자외선 흡수제, 보습제, 산화 방지제, 미용 성분, 방부제, 색소, 향료 등의 통상 공지의 성분을 함유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효과로서, 화장 지속성 중에서도 묻어남 억제나 색 지속이라는 시각 효과가 특별히 발휘되므로, 백색 안료를 포함하는 유색 안료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색 안료류로서는, 산화티탄, 산화아연, 산화세륨, 황산바륨 등의 백색 무기 안료, 적색 산화철(벵갈라), 수산화철, 티탄산철 등의 무기 적색 안료, γ-산화철 등의 무기 갈색계 안료, 황색 산화철, 황토 등의 무기 황색계 안료, 흑색 산화철, 카본블랙 등의 무기 흑색 안료, 망간 바이올렛, 코발트 바이올렛 등의 무기 보라색 안료, 수산화크롬, 산화크롬, 산화코발트, 티탄산코발트 등의 무기 녹색 안료, 감청, 군청 등의 무기 청색계 안료, 적색 3호, 적색 104호, 적색 106호, 적색 201호, 적색 202호, 적색 204호, 적색 205호, 적색 220호, 적색 226호, 적색 227호, 적색 228호, 적색 230호, 적색 401호, 적색 505호, 황색 4호, 황색 5호, 황색 202호, 황색 203호, 황색 204호, 황색 401호, 청색 1호, 청색 2호, 청색 201호, 청색 404호, 녹색 3호, 녹색 201호, 녹색 204호, 녹색 205호, 오렌지색 201호, 오렌지색 203호, 오렌지색 204호, 오렌지색 206호, 오렌지색 207호 등을 들 수 있다. 유색 안료류의 함유량은 착색 효과 등을 고려하여 적절히 설정되지만, 유성 화장료 전체에 대하여 0.01∼30%인 것이 바람직하다.
성분(A)∼(D) 이외의 유성 성분으로서는, 통상 화장료의 분야에 있어서 사용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고체, 반고체, 액체 오일, 또한, 동물유, 식물유, 광물유, 합성유를 막론하고, 사용할 수 있다.
계면활성제로서는, 이온 계면활성제, 비이온 계면활성제 등의 화장료의 분야에 있어서 사용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은 없다.
분체로서는, 화장료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분체라면, 구상, 판형, 침상 등의 형상, 연무상, 미립자, 안료급 등의 입자 직경, 다공질, 무공질(無孔質) 등의 입자 구조 등에 의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무기 분체류, 광휘성 분체류, 유기 분체류, 색소 분체류, 금속 분체류, 복합 분체류 등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시하면, 산화티탄, 산화아연, 산화세륨, 황산바륨 등의 백색 무기 안료, 산화철, 티탄·산화티탄 소결물, 산화크롬, 수산화크롬, 감청, 군청 등의 유색 무기 안료, 백운모, 금운모, 홍운모, 흑운모, 합성 운모, 견운모(세리사이트), 합성 세리사이트, 카올린, 탄화규소, 벤토나이트, 스멕타이트, 무수 규산, 산화알루미늄, 산화마그네슘, 산화지르코늄, 규조토, 규산알루미늄, 메타규산알루미늄마그네슘, 규산칼슘, 규산바륨, 규산마그네슘, 탄산칼슘, 탄산마그네슘,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 질화붕소 등의 백색 체질 분체, 이산화티탄 피복 운모, 이산화티탄 피복 옥시염화비스무트, 산화철 운모 티탄, 감청 처리 운모 티탄, 카민 처리 운모 티탄, 옥시염화 비스무트, 어린박(魚鱗箔) 등의 광휘성 분체, 폴리아미드계 수지, 폴리에틸렌계 수지, 폴리아크릴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불소계 수지, 셀룰로오스계 수지, 폴리스티렌계 수지, 스티렌-아크릴 공중합 수지 등의 코폴리머 수지,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우레탄 수지 등의 유기 고분자 수지 분체, 스테아르산아연, N-아실리신 등의 유기 저분자성 분체, 실크 분말, 셀룰로오스 분말 등의 천연 유기 분체, 적색 201호, 적색 202호, 적색 205호, 적색 226호, 적색 228호, 오렌지색 203호, 오렌지색 204호, 청색 404호, 황색 401호 등이나, 적색 3호, 적색 104호, 적색 106호, 오렌지색 205호, 황색 4호, 황색 5호, 녹색 3호, 청색 1호 등의 지르코늄, 바륨 또는 알루미늄레이크 등의 유기 안료 분체류, 알루미늄 분말, 금 분말, 은 분말 등의 금속 분체, 미립자 산화티탄 피복 운모 티탄, 미립자 산화아연 피복 운모 티탄, 황산바륨 피복 운모 티탄, 산화티탄 함유 이산화규소, 산화아연 함유 이산화규소 등의 복합 분체 나일론, 폴리에스테르, 레이온, 셀룰로오스 등의 섬유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불소 화합물, 실리콘 오일, 분체, 유제, 겔화제, 에멀젼 폴리머, 계면활성제 등으로 표면 처리되어 있어도 된다. 이들 분체는 1종 또는 2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고, 더욱 복합화한 것을 사용해도 된다.
수성 성분으로서는, 물,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글리세린, 디글리세린, 폴리에틸렌글리콜, 소르비톨, 말티톨 등의 다가 알코올, 카르복시비닐 폴리머, 알긴산나트륨,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피롤리돈 등의 수용성 고분자나 수지 등의 점액질 등을 들 수 있고, 통상 화장품 일반에 사용되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은 없다.
보습제로서는, 예를 들면 단백질, 무코다당, 콜라겐, 엘라스틴, 케라틴 등을 들 수 있다.
산화 방지제로서는, 예를 들면 토코페롤, 아스코르브산 등, 미용 성분으로서는, 예를 들면 비타민류, 소염제, 생약 등, 방부제로서는, 예를 들면 파라옥시벤조산에스테르, 페녹시에탄올, 1,2-펜타디올 등을 들 수 있다.
자외선 흡수제로서는, 예를 들면 안트라닐계, 부틸메톡시디벤조일메탄이나 이소프로필디벤조일메탄 등의 디벤조일메탄계, 메톡시신남산에틸헥실, 메톡시신남산이소프로필이나 4-메톡시신남산 2-에톡시에틸 등의 신남산계, 살리실산에틸헥실 등의 살리실산계, 캄퍼계, 벤조페논-3 등의 벤조페논계, 비스-에틸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이나 에틸헥실트리아존 등의 트리아진계, 벤조트리아졸, 벤잘말로네이트계, 벤조이미다졸계, 비스-벤조아졸릴계, p-아미노벤조산계, 옥토크릴렌 등의 디페닐아크릴레이트계, 우로카닌산계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유성 화장료는, 립스틱, 립글로스, 립 트리트먼트, 립크림, 립 베이스, 립스틱 오버코트 등의 입술 화장료 외에, 아이 컬러, 아이브로우, 마스카라, 아이라이너, 볼터치, 자외선차단제, 컨실러, 파운데이션, 베이스, 페이스 컬러, 바디 오일, 헤어 오일 등을 들 수 있지만, 묻어남 억제나 색 지속이라는 시각 효과가 특별히 발휘되므로, 메이크업 화장료인 것이 바람직하며, 화장막의 유연성, 화장의 유지 효과의 면에서 입술 화장료가 보다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성 화장료는, 외층을 유제의 연속상(連續相)으로 하는 화장료이지만, 물의 함유량이 1%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이하이며, 실질적으로 물을 포함하지 않는 것이, 본 발명의효과를 발휘하는 점에 있어서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실질적으로 물을 포함하지 않는다란, 불순물 정도의 물의 함유는 허용하는 것이며, 구체적으로는, 유성 화장료 중의 물의 함유량이 0.1 질량% 이하이고, 0.01 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0 질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성분(A) 디이소스테아르산 폴리글리세릴-10 및 성분(B) 글리세린의 중합도가 2∼12이고, 지방산이 탄소수 6∼20의 분기 지방산이며, 또한 에스테르 치환도가 80% 이상인, 폴리글리세린 지방산에스테르를 조합하여, 도포 후에 피부나 입술 위의 수분과 반응했을 때의 상분리 효과에 의해, 유성 화장료의 화장의 유지를 향상시키는 방법도 제공한다.
<실시예>
이하에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리고, 이들은 본 발명을 전혀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5 및 비교예 1∼6: 입술 화장료(고형)
표 1 및 표 2에 나타내는 조성과 제조 방법에 의해 얻어진 입술 화장료를 이하에 나타내는 방법에 의해, 평가 1: (a) 성분 A 및 성분 B의 혼합물이 80℃에서 분리되지 않고 용해 혹은 분산되거나, (b) 실온에서 성분 A 및 성분 B의 혼합물 95 질량부에 물 5 질량부를 부가했을 때 분리되어 겔화되거나, 및 평가 2: (a) 부담감 없음, (b) 보습감, (c) 밀착감, (d) 색 지속, (e) 안정성에 대하여, 평가하였다. 이 결과도 병행하여 표 1 및 표 2에 나타낸다.
[표 1-1]
[표 1-2]
*1: NIKKOL Decaglyn 2-ISV(닛코 케미컬즈사 제조)
*2: KEH-1010(사카모토 야쿠힌 고교사 제조)
*3: 코스몰 43V(에스테르 치환도 75%)(닛신 오일리오 그룹사 제조)
*4: KF-54(신에쓰 가가쿠 고교사 제조)
*5: KF-56(신에쓰 가가쿠 고교사 제조)
[표 2-1]
[표 2-2]
(제조 방법)
A: 성분(1)∼(13)을 100℃∼110℃에서 가열 용해하였다.
B: A에 성분(14)∼(23)을 부가하여, 균일하게 혼합하였다.
C: B를 90℃로 가열하여 용기에 직접 유입, 냉각 후, 유성 고형 립스틱을 얻었다.
(평가 1의 평가 방법)
하기 평가 항목(a) 및 (b)의 항목에 대하여, 각 시료에 대하여 성분(A) 및 성분(B)의 혼합물을 80℃로 가열하고, 용해 또는 분산되거나 육안 관찰에 의해 평가를 행하였다. 실온에서 성분(A) 및 성분(B)의 혼합물 95 질량부에 물 5 질량부를 더 부가했을 때, 유제가 분리되어 겔화되는지 테스트를 행하였다. 하기 층 판정 기준에 의해 판정하였다.
<평가 항목>
(a) 성분 A 및 성분 B의 혼합물이 80℃에서 분리되지 않고 용해 혹은 분산되는가
(b) 실온에서 성분(A) 및 성분(B)의 혼합물 95 질량부에 물 5 질량부를 부가했을 때 유제가 분리되어 겔화되는가
<(a) 판정 기준>
○: 계 전체가 투명 또는 백탁
×: 침전물이 확인됨
<(b) 판정 기준>
◎: 상층에 투명층, 하층에 겔층이 육안 관찰로 확인됨
○: 상층에 약간 투명층, 하층에 약간 겔층이 확인됨
×: 분리가 보여지지 않고 계 전체가 균일
표 1 및 표 2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5는, 성분(A) 및 성분(B)가 80℃에서 분리되지 않고 용해 혹은 분산되고, 실온에서 성분(A) 및 성분(B)의 혼합물 95 질량부에 물 5 질량부를 부가했을 때 분리되어 겔화되는 효과를 나타내었다. 한편, 성분(A)를 함유하지 않는 비교예 1, 성분(A) 대신 디이소스테아르산 폴리글리세릴-2를 첨가한 비교예 6에서는, 실온에서 성분(A) 및 성분(B)의 혼합물 95 질량부에 물 5 질량부를 부가했을 때 분리되어 겔화이 확인되지 않았다. 성분(B) 대신 에스테르 치환도가 80% 미만인 폴리글리세린 지방산에스테르를 함유하는 비교예 2∼5에서도 실온에서 성분(A) 및 성분(B)의 혼합물 95 질량부에 물 5 질량부를 부가했을 때 분리되어 겔화가 확인되지 않았다. 그리고, 실시예 11, 15의 색 지속 평가의 평균점은, 실시예 1보다 높은 것이었다.
(평가 2의 평가 방법)
하기 평가 항목(a)∼(d)의 항목에 대하여, 각 시료에 대하여 화장품 평가 전문 패널 20명에 의한 사용 테스트를 행하였다. 패널 각자가 각 시료를 입술에 도포하고, 하기 절대 평가 기준으로 평점을 매기고, 패널 전원의 평점 합계를 산출하여, 하기 등급 판정 기준에 의해 판정하였다.
그리고, 평가 항목(a), (c)는 도포 직후에 평가하고, 평가 항목(b), (d)에 대해서는, 시료를 입술에 도포하고, 패널에게 통상의 생활을 하게 한 후 6시간 후에 평가하였다.
하기 평가 항목(e)에 대해서는, 용기에 충전하고 나서 1시간 후의 균일성(제제의 불균일성)을 평가하였다.
<평가 항목>
(a) 부담감 없음(화장막의 수축감이 없고, 화장막의 부담감을 느끼지 않는지의 여부, 입술 위에서 당기는 듯한 감각이 없고, 건조감을 느끼지 않는지의 여부)
(b) 보습감
(c) 밀착감
(d) 색 지속(색 지속의 양호함과 묻어나기 어려움, 화장 지속성)
(e) 안정성
<절대 평가 기준>
(평점): (평가)
4점: 대단히 양호
3점: 양호
2점: 다소 불량
1점: 불량
<판정 기준>
(판정): (평점의 평균점)
◎: 3.25점 이상
○: 2.5점 이상 3.25점 미만
△: 1.75점 이상 2.5점 미만
×: 1.75점 미만
표 1 및 표 2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15는, 부담감 없음, 보습감, 밀착감, 색 지속, 안정성, 모든 평가 항목에 있어서 우수한 양호한 것이었다. 한편, 성분(A)를 함유하지 않는 비교예 1, 6에서는, 밀착감, 색 지속이 얻어지지 않아 효과가 불충분하였다. 성분(B) 대신 에스테르 치환도가 80% 이하인 폴리글리세린 지방산에스테르를 함유하는 비교예 2∼3에서는 밀착감이나 색 지속 효과가 얻어지지 않고, 비교예 4∼5에서는 색 지속 효과가 뒤떨어지는 것이었다.
실시예 16∼20 및 비교예 7∼10: 입술 화장료(리퀴드 립스틱)
표 3에 나타내는 조성과 제조 방법에 의해 얻어진 입술 화장료를, 이하에 나타내는 방법에 의해, 평가 1: (a) 성분 A 및 성분 B의 혼합물이 80℃에서 분리되지 않고 용해 혹은 분산되거나, (b) 실온에서 성분 A 및 성분 B의 혼합물 95 질량부에 물 5 질량부를 부가했을 때 분리되어 겔화되는가, 및 평가 2: (a) 부담감 없음, (b) 보습감, (c) 밀착감, (d) 색 지속, (e) 안정성에 대하여, 평가하였다. 이 결과도 함께 표 3에 나타낸다.
[표 3-1]
[표 3-2]
*6: 코스몰 44V(닛신 오일리오 그룹사 제조)
(제조 방법)
A: 성분(1)∼(6)을 80℃∼90℃에서 가열 용해하였다.
B: A에 성분(7)∼(15)를 부가하여, 실온에서 균일하게 혼합하였다.
C: B를 탈포(脫泡) 후, 직접 유입, 유성 리퀴드 립스틱을 얻었다.
표 3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6∼20은, 성분(A) 및 성분(B)의 혼합물이 80℃에서 분리되지 않고 용해 혹은 분산되고, 실온에서 성분 A 및 성분 B의 혼합물 95 질량부에 물 5 질량부를 부가했을 때 분리되어 겔화되는 효과를 나타낸다. 한편, 성분(A)를 함유하지 않은 비교예 7, 성분(A) 대신 디이소스테아르산 폴리글리세릴-2를 부가한 비교예 9, 성분(A) 대신 트리이소스테아르산 폴리글리세릴-10을 부가한 비교예 10에서는, 실온에서 성분(A) 및 성분(B)의 혼합물 95 질량부에 물 5 질량부를 부가했을 때 분리되어 겔화가 확인되지 않았다. 성분(B) 대신 에스테르 치환도가 80% 이하인 폴리글리세린 지방산에스테르를 함유하는 비교예 8에서도 실온에서 성분(A) 및 성분(B)의 혼합물 95 질량부에 물 5 질량부를 부가했을 때 분리되어 겔화가 확인되지 않았다.
표 3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6∼20은 부담감 없음, 보습감, 밀착감, 색 지속, 안정성, 모든 평가 항목에 있어서 우수한 양호한 것이었다. 한편, 성분(A)를 함유하지 않은 비교예 7, 성분(A) 대신 디이소스테아르산 폴리글리세릴-2를 부가한 비교예 9, 성분(A) 대신 트리이소스테아르산 폴리글리세릴-10을 부가한 비교예 10에서는, 밀착감, 색 지속이 얻어지지 않아 효과가 불충분하였다. 성분(B) 대신 에스테르 치환도가 80% 이하인 폴리글리세린 지방산에스테르를 함유하는 비교예 8에서도 색 지속 효과가 얻어지지 않아 효과가 불충분하였다.
실시예 21: 유성 유입 아이 컬러(고형)
(성분) (%)
1. (에틸렌/프로필렌)코폴리머(성분(D)) 3
2. 마이크로크리스탈린 왁스(성분(D)) 2
3. 라이스 왁스(성분(D)) 1.5
4. 데카이소스테아르산 폴리글리세릴-10
(에스테르 치환도 83.3%)(성분(B)) 22
5. 디이소스테아르산 폴리글리세릴-10
(경도 II/경도 I=8.7)(성분(A)) 10
6. 테트라이소스테아르산 폴리글리세릴-2
*6(성분(B)) 10
7. 탄산디알킬(C14, 15) 3
8. 다이머디리놀레산([피토스테릴/이소스테아릴
/세틸/스테아릴/베헤닐) 5
9. 말산디이소스테아릴 잔량
10. 나일론말 5
11. 트리메틸실록시페닐디메티콘
*7(성분(C)) 15
12. 2,6-디-터셔리부틸-파라크레졸 0.01
13. 디메틸실릴화 실리카
*8(성분(D), 연무상 무수 규산) 1
14. 1,3-부틸렌글리콜 0.5
15. 적색 202호 0.2
16. 군청 0.1
17. 이산화티탄 1
18. 흑색 산화철 0.01
19. 산화티탄 피복 붕규산(Ca/Al) *9 5
20. 은·산화티탄 피복 붕규산(Ca/Al) *10 3
21. 아세트산 토코페롤 0.1
22. 히알루론산 0.1
23. 콜라겐 0.1
24. 디메티콘(20CS) *11(성분(C)) 5
25. 향료 0.1
*7: BELSIL PDM 1000(아사히카세이 와커 실리콘사 제조)
*8: AEROSIL R976S)(니폰 에어로질사 제조)
*9: 마이크로글래스 메타샤인 MT1080RB(니혼 이타가라스사 제조)
*10: 마이크로글래스 메타샤인 MC2080PS(니혼 이타가라스사 제조)
*11: KF-96A-20cs(신에쓰 가가쿠 고교사 제조)
(제조 방법)
A: 성분(1)∼(9)를 100℃∼110℃에서 가열 용해하였다.
B: A에 성분(10)∼(23)을 부가하여, 균일하게 혼합하였다.
C: B를 탈포 후, 성분(24)·(25)를 부가하여, 균일하게 혼합하였다.
D: C를 110℃로 가열하여 금접시에 직접 유입, 방랭 후, 유성 유입 아이 컬러를 얻었다.
실시예 21의 아이 컬러는 부담감 없음, 보습감, 밀착감, 색 지속, 안정성의 모든 점에서 만족스러운 것이었다. 그리고, 성분(A) 및 성분(B)의 혼합물은, 80℃에서 분리되지 않고 용해 혹은 분산되고, 실온에서 혼합물 95 질량부에 물 5 질량부를 부가했을 때 분리되어 겔화되는 효과를 나타내었다. 성분(A) 및 성분(B)의 합계량: 42%, 성분(B) 및 성분(C)의 합계량: 52%, (A)/(B)=0.31이다.
실시예 22: 유성 스틱형 볼터치
(성분) (%)
1. (에틸렌/프로필렌)코폴리머(성분(D)) 2.5
2. 피셔 트롭쉬 왁스(성분(D)) 3.8
3. 칸데릴라납 에스테르즈(성분(D)) 1
4. 카르나우바납(성분(D)) 0.2
5. 폴리부텐 7.5
6. 데카에틸헥산산 폴리글리세릴-10 *2(성분(B)) 11
7. 데카이소스테아르산 폴리글리세릴-10
(에스테르 치환도 83.3%)(성분(B)) 10
8. 디이소스테아르산 폴리글리세릴-10
(경도 II/경도 I=8.7)(성분(A)) 5
9. 트리이소스테아르산 디글리세릴 2
10. 트리메틸펜타페닐트리실록산 *12(성분(C)) 20
11. 페녹시에탄올 0.3
12. 1,2-펜틸렌글리콜 0.2
13. 연무상 무수 규산 *13(성분(D)) 2
14. 산화아연 1
15. 나일론-12 *14 5
16. 폴리메타크릴산메틸 *15 10
17. 마이카 잔량
18. 퍼플루오로옥틸트리에톡시실란 3% 처리 운모 티탄 5
19. 퍼플루오로옥틸트리에톡시실란 3% 처리 산화철 피복 운모 티탄
2
20. 트리에톡시카프릴릴실란 2% 처리 벵갈라 0.01
21. 트리에톡시카프릴릴실란 2% 처리 황산화철 0.1
22. 트리에톡시카프릴릴실란 2% 처리 흑산화철 0.001
23. 트리에톡시카프릴릴실란 2% 처리 산화티탄 0.2
24. 로즈마리 엑기스 0.1
25. 수첨 폴리이소부텐 *16 10
*12: FZ-3156(도레이·다우코닝사 제조)
*13: AEROSIL 380S(니폰 에어로질사 제조)
*14: 올가솔 2002D(아르케마사 제조)
*15: 간쓰 펄 GM-2800(아이카 고교사 제조)
*16: IP 솔벤트 1620 MU(이데미쓰 고산사 제조)
(제조 방법)
A: 성분(1)∼(9)를 100℃∼110℃에서 가열 용해하였다.
B: A에 성분(10)∼(24)를 부가하여, 균일하게 혼합하였다.
C: B를 탈포 후, 성분(25)를 부가하여, 균일하게 혼합하였다.
D: C를 110℃로 가열하여 용기에 직접 유입, 냉각 후, 유성 스틱형 볼터치를 얻었다.
실시예 22의 볼터치는 부담감 없음, 보습감, 밀착감, 색 지속, 안정성의 모든 점에서 만족스러운 것이었다. 그리고, 성분(A) 및 성분(B)의 혼합물은, 80℃에서 분리되지 않고 용해 혹은 분산되고, 실온에서 혼합물 95 질량%에 물 5 질량%를 부가했을 때 분리되어 결화되는 효과를 나타내었다. 성분(A) 및 성분(B)의 합계량: 26%, 성분(B) 및 성분(C)의 합계량: 41%, (A)/(B)=0.24이다.
실시예 23: 유성 립글로스(페이스트상)
(성분) (%)
1. 데카에틸헥산산 폴리글리세릴-10 *2(성분(B)) 20
2. 디이소스테아르산 폴리글리세릴-10
(경도 II/경도 I=8.7)(성분(A)) 8
3. 팔미트산 덱스트린(성분(D)) 5
4. (팔미트산/2-에틸헥산산) 덱스트린(성분(D)) 4
5. 라우로일글루타민산 디(옥틸도데실/피토스테릴/베헤닐)
*17 10
6. 디메틸실릴화 실리카 *8(성분(D)) 0.5
7. 트리이소스테아르산디글리세릴 잔량
8. 디페닐실록시페닐트리메티콘 *5(성분(C)) 6
9. 중질 유동 이소파라핀 *18 10
10. 토코페롤 0.01
11. 폴리실리콘-15 0.5
12. 적색 202호 0.02
13. 황색 4호 0.005
14. 산화티탄 0.05
15. 흑색 산화철 0.001
16. 적색 218호 0.04
17.(PET/폴리메타크릴산메틸)라미네이트 1
18. 알루미늄말 0.5
19. 올리브유 0.001
20. 동백유 0.001
21. 시어버터 0.01
22. 미강유 0.001
23. 라벤더유 0.001
24. 포도 폴리페놀 0.001
25. 향료 0.02
*17: 에르듀 PS-306(아지노모토사 제조)
*18: 펄림 46(니치유사 제조)
(제조 방법)
A: 성분(1)∼(11)을 80℃∼90℃에서 가열 용해하였다.
B: A에 성분(12)∼(16)을 부가하여, 비즈 밀로 균일하게 혼합하였다.
C: B에 성분(17)∼(25)를 부가하여, 균일하게 혼합하였다.
D: C를 탈포 후, 90℃로 가열하여 튜브 용기에 직접 유입, 방랭하여 유성 립글로스를 얻었다.
실시예 23의 유성 립글로스는 부담감 없음, 보습감, 밀착감, 색 지속, 안정성의 모든 점에서 만족스러운 것이었다. 그리고, 성분(A) 및 성분(B)의 혼합물은, 80℃에서 분리되지 않고 용해 혹은 분산되고, 실온에서 혼합물 95 질량부에 물 5 질량부를 부가했을 때 분리되어 겔화되는 효과를 나타내었다. 성분(A) 및 성분(B)의 합계량: 28%, 성분(B) 및 성분(C)의 합계량: 26%, (A)/(B)=0.4이다.
실시예 24: 유성 고형 아이브로우
(성분) (%)
1. 디이소스테아르산 폴리글리세릴-10
(경도 II/경도 I=8.7)(성분(A)) 9
2. 데카이소스테아르산 폴리글리세릴-10
(에스테르 치환도 83.3%)(성분(B)) 20
3. (헥사데센/VP)코폴리머 5
4. 디페닐디메티콘 *4(성분(C)) 30
5. 데카메틸시클로펜타실록산 8
6. 트리멜리트산트리데실 3
7. 폴리에틸렌 왁스(성분(D)) 4
8. 마이크로크리스탈린 왁스(성분(D)) 1
9. 트리-2-에틸헥산산글리세릴 잔량
10. 중공 실리카 10
11. 흑색 산화철 0.5
12. 황색 산화철 0.3
13. 벵갈라 0.2
14. 판테놀 0.001
15. 벚나무잎 엑기스 0.001
16. 녹차 엑기스 0.001
17. 아스코르브산글리코시드 0.01
(제조 방법)
A: 성분(1)∼(4), (6)∼(9)를 100℃∼110℃에서 가열 용해하였다.
B: A에 성분(10)∼(13)을 부가하여, 롤 밀로 균일하게 혼합하였다.
C: B를 탈포 후, 성분(5), (14)∼(17)을 부가하여, 90℃에서 균일하게 혼합하였다.
D: C를 접시형 용기에 유입하고, 실온으로 냉각하여, 유성 고형 아이브로우를 얻었다.
실시예 24의 유성 고형 아이브로우는 부담감 없음, 보습감, 밀착감, 색 지속, 안정성의 모든 점에서 만족스러운 것이었다. 그리고, 성분(A) 및 성분(B)의 혼합물은, 80℃에서 분리되지 않고 용해 혹은 분산되고, 실온에서 혼합물 95 질량부에 물 5 질량부를 부가했을 때 분리되어 겔화되는 효과를 나타내었다. 성분(A) 및 성분(B)의 합계량: 29%, 성분(B) 및 성분(C)의 합계량: 50%, (A)/(B)=0.45이다.
본 출원은, 2021년 6월 14일자에 출원된 일본특허출원번호 제2021-98976호에 기초하고 있고, 그 개시 내용은 참조되고, 전체로서 편입되어 있다.

Claims (10)

  1. 하기의 성분(A) 및 성분(B)를 함유하는 유성 화장료:
    (A) 디이소스테아르산 폴리글리세릴-10
    (B) 글리세린의 중합도가 2∼12이고, 지방산이 탄소수 6∼20의 분기 지방산이며, 또한 에스테르 치환도가 80% 이상인, 폴리글리세린 지방산에스테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성분(A) 및 상기 성분(B)의 합계량이 상기 유성 화장료 전체에 대하여 25∼75 질량%인, 유성 화장료.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하기 성분(C)를 더 함유하는, 유성 화장료:
    (C) 상기 성분(A) 및 상기 성분(B)의 혼합물과 혼합했을 때 25℃에 있어서 24시간 경과 후에 분리되는 유제(油劑)(다만, 성분(A) 및 성분(B)를 제외함).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성분(C)가 실리콘 오일인, 유성 화장료.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성분(B) 및 상기 성분(C)의 합계량이 상기 유성 화장료 전체에 대하여 45 질량% 이상인, 유성 화장료.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하기 성분(D)를 더 함유하는, 유성 화장료:
    (D) 왁스 및/또는 유성 겔화제.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성분(B)에 대한 상기 성분(A)의 함유 질량 비율 (A)/(B)가 0.01∼1.2인, 유성 화장료.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성분(C)가 페닐 변성 실리콘인, 유성 화장료.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성분(D)가 연무상(煙霧狀) 무수 규산인, 유성 화장료.
  10. 성분(A) 디이소스테아르산 폴리글리세릴-10 및 성분(B) 글리세린의 중합도가 2∼12이고, 지방산이 탄소수 6∼20의 분기 지방산이며, 또한 에스테르 치환도가 80% 이상인, 폴리글리세린 지방산에스테르를 조합하여, 도포 후에 피부나 입술 위의 수분과 반응했을 때의 상분리 효과에 의해, 유성 화장료의 화장의 유지의 정도를 향상시키는 방법.
KR1020237040668A 2021-06-14 2022-06-13 유성 화장료 KR2024002246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1098976 2021-06-14
JPJP-P-2021-098976 2021-06-14
PCT/JP2022/023641 WO2022264968A1 (ja) 2021-06-14 2022-06-13 油性化粧料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22463A true KR20240022463A (ko) 2024-02-20

Family

ID=845264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40668A KR20240022463A (ko) 2021-06-14 2022-06-13 유성 화장료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WO2022264968A1 (ko)
KR (1) KR20240022463A (ko)
CN (1) CN117460494A (ko)
TW (1) TW202317067A (ko)
WO (1) WO2022264968A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49041A (ja) 2010-12-28 2012-08-09 Kao Corp 口唇化粧料
JP2019167325A (ja) 2018-03-26 2019-10-03 ポーラ化成工業株式会社 皮膚外用組成物
JP2021063068A (ja) 2019-10-15 2021-04-22 阪本薬品工業株式会社 化粧料用油剤、及びそれを含有する化粧料又は皮膚外用剤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22738A (ja) * 1999-10-20 2001-05-08 Lion Corp 毛髪化粧料
JP4851187B2 (ja) * 2003-10-15 2012-01-11 株式会社コーセー 油性固形化粧料
JP4772158B2 (ja) * 2009-12-11 2011-09-14 株式会社 資生堂 唇用化粧料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49041A (ja) 2010-12-28 2012-08-09 Kao Corp 口唇化粧料
JP2019167325A (ja) 2018-03-26 2019-10-03 ポーラ化成工業株式会社 皮膚外用組成物
JP2021063068A (ja) 2019-10-15 2021-04-22 阪本薬品工業株式会社 化粧料用油剤、及びそれを含有する化粧料又は皮膚外用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264968A1 (ja) 2022-12-22
JPWO2022264968A1 (ko) 2022-12-22
TW202317067A (zh) 2023-05-01
CN117460494A (zh) 2024-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094227B1 (en) High gloss gel-based lipstick
JP5144896B2 (ja) 口唇化粧料
JP7291034B2 (ja) 二次付着防止用油性化粧料
JP6730026B2 (ja) 油性固形化粧料
JP7292920B2 (ja) 油性化粧料
JP2018168145A (ja) 固形粉末化粧料
JP2009235017A (ja) 非固形状油性化粧料
JP2019014670A (ja) 油性化粧料
JP2002128629A (ja) 油性化粧料
WO2017170217A1 (ja) 化粧料セット
JP2006241003A (ja) 油性固形化粧料
JP2016516806A (ja) シリコーンエラストマーおよび界面活性剤からなるコンパウンド、シリコーンエラストマー粉末ならびにポリアルキル(メタ)アクリレートを油性相に含むエマルジョンを含有する組成物
JP7149797B2 (ja) 油性口唇化粧料
JP4704603B2 (ja) 油性化粧料
JP5591438B2 (ja) 弾性ゲル状油性化粧料
JP6077216B2 (ja) 油性化粧料
JP5394648B2 (ja) 弾性ゲル状油性化粧料
JP7306952B2 (ja) 粉末化粧料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7212563B2 (ja) 睫毛用化粧料
JP2018162224A (ja) 油中水型口唇化粧料
KR20240022463A (ko) 유성 화장료
JP4191976B2 (ja) 油性化粧料
JP6920168B2 (ja) 粉末化粧料
JP2001279040A (ja) 油性透明組成物及びこれを含有する化粧料
JP2020147502A (ja) 油性口唇化粧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