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2752B1 - 폴리우레탄 분산액을 포함하는 미세먼지 부착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폴리우레탄 분산액을 포함하는 미세먼지 부착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2752B1
KR102462752B1 KR1020200091248A KR20200091248A KR102462752B1 KR 102462752 B1 KR102462752 B1 KR 102462752B1 KR 1020200091248 A KR1020200091248 A KR 1020200091248A KR 20200091248 A KR20200091248 A KR 20200091248A KR 102462752 B1 KR102462752 B1 KR 1024627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isocyanate
cosmetic composition
fine dust
polyurethane dispersion
preventing adhe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12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12118A (ko
Inventor
김봉준
강정욱
김동현
조현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스메카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스메카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스메카코리아
Priority to KR10202000912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2752B1/ko
Publication of KR202200121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21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27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275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7Polyuretha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41Containing particulates characterized by their shape and/or structure
    • A61K8/025Explicitly spheroidal or spherical sha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141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61K8/815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e.g. (meth)acrylic acid ester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61K8/891Polysiloxanes saturated, e.g. dimethicone, phenyl trimethicone, C24-C28 methicone or stearyl dimethic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폴리우레탄 분산액을 포함하는 미세먼지 부착방지용 화장료 조성물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우레탄 분산액을 포함하는 미세먼지 부착방지용 화장료 조성물에 의하면, 피부를 미세먼지 또는 잠재적 오염물질로부터 보호할 수 있고, 우수한 광택 및 피부 접촉감을 제공할 수 있으며, 미세 구형 입자를 추가함으로써 배향특성을 낮추고 조성물의 충전밀도를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폴리우레탄 분산액을 포함하는 미세먼지 부착방지용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for preventing adhesion of particulated matter comprising polyurethane dispersion solution}
본 발명은 미세먼지 부착방지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피부를 미세먼지 또는 잠재적 오염물질로부터 보호하고 동시에 우수한 광택 및 피부 접촉감을 제공하는 폴리우레탄 분산액을 포함하는 미세먼지 부착방지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아름다움을 추구하는 여성의 본능은 어제오늘의 일이 아니지만, 최근 들어 자신을 더욱 예뻐 보이게 하기 위한 체형 관리나 미용 또는 화장품에 대한 관심이 더욱 높아지는 추세에 있다.
그리고 여성뿐만 아니라 남성들도 피부관리를 위해 화장품에 관심을 두게 됨에 따라 화장품 시장은 계속해서 확대되고 있으며, 다양한 종류의 화장품이 시장에 출시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화장품은 크게 기초 화장품, 메이크업 베이스와 색조 화장품 등으로 나눌 수 있고, 고형, 액상 또는 겔상의 화장료로 제조되며, 이들을 보관하는 화장품 용기도 다양한 형태로 적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보습, 미백, 주름개선, 자외선 차단, 여드름 완화, 아토피 완화, 항염증이나 각질용해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기능성 화장품도 널리 소비되고 있다.
한편, 피부는 최외각에 위치한 기관으로써 미세먼지, 자외선 등 각종 유해 환경에 가장 많이 노출되는 기관이다. 만성적인 미세먼지에 대한 노출은 노화와 색소 침착을 일으키는 주요 원인이 된다는 연구 결과가 다수 발표되고 있다. 또한, 미세먼지로 인한 피해가 이슈화되면서 미세먼지 차단을 위한 화장품 제품들이 다양하게 출시되고 있다.
미세먼지는 일반적으로 PAH(polyaromatic hydrocarbons, 다환 방향족 탄화수소)를 운반하는 경우가 많다. 높은 친유성과 피부 침투력을 가진 다환 방향족 탄화수소가 코팅된 미세먼지는 케라티노사이트와 멜라노사이트에 있는 AhR(arylhydroarbon receptor)와 결합해 전염증성매개물질(pro-inflammatory mediator)의 발현을 촉진시켜 염증 반응을 일으킨다.
또한, PM(particulated matter)의 피부 침투로 인해 ROS(활성산소) 생산이 증가된다. 오존(O3)은 매우 불안정한 상태의 분자로써 피부를 공격해 지질과산화(lipid peroxidation)와 단백질산화(protein oxidation)를 일으킨다.
UVA와 다환 방향족 탄화수소의 결합은 피부에 눈에 띄는 photo-damage를 입힌다. 그리고 PAHs는 광 반응성 및 광독성으로 인해 상당한 양의 photo-pollution stress(빛으로 인해 더 유독해진 오염원에 대한 스트레스)를 유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만성적으로 자외선과 미세먼지에 노출되면 눈에 띄는 피부 손상이 가속화될 수 있는 것이다.
최근 몇 년 동안 화장품 업계에서 가장 중점을 둔 효능은 자외선 및 각종 오염물질에 대한 피부 보호이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 미세먼지와 같은 유해 환경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할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하는 다양한 폴리머 네트워크 제형이 개발되고 있고, 그에 따라 미세먼지 혹은 초미세먼지와 관련하여 이온 반발 기술이 적용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기술들이 속속 발표되고 있다.
이러한 미세먼지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선행기술로서, 한국등록특허 10-1653755호 등이 있다.
(특허문헌 1) KR 10-1653755 B1
그런데 이러한 종래 기술들은 다양한 조성을 띠는 오염물질을 완벽하게 차단하기 어렵고 우수한 광택과 피부 접촉감을 확보하기가 쉽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피부를 미세먼지 또는 잠재적 오염물질로부터 보호하고 동시에 우수한 광택 및 피부 접촉감을 제공하는 폴리우레탄 분산액을 포함하는 미세먼지 부착방지용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피부를 미세먼지 또는 잠재적 오염물질로부터 보호하하고자 한다.
또한, 우수한 광택 및 피부 접촉감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미세 구형 입자를 추가함으로써 배향특성을 낮추고 조성물의 충전밀도를 높이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유기 폴리 이소시아네이트, 중합체 폴리올, 하이드록시 작용성 화합물 및 비이온성 친수화물을 반응하여 제조되는 폴리우레탄 분산액을 포함하는 미세먼지 부착방지용 화장료 조성물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유기 폴리 이소시아네이트는, 1,4-부틸렌 디 이소시아네이트, 1,6-헥사 메틸렌 디 이소시아네이트(HDI), 이소 포론 디 이소시아네이트(IPDI), 2,2,4-트리메틸 헥사 메틸렌 디 이소시아네이트, 2,4,4-트리메틸 헥사 메틸렌 디 이소시아네이트, 4,4'-이소시아네이토 사이클로 헥실 메탄, 1,4-사이클로 헥 실렌 디 이소시아네이트, 4-이소시아네이토 메틸 -1,8-옥탄 디 이소시아네이트, 1,4- 페닐렌 디 이소시아네이트, 2,4-톨릴렌 디 이소시아네이트, 2,6-톨릴렌 디 이소시아네이트, 1,5-나프틸렌 디 이소시아네이트, 2,2'-디페닐 메탄 디 이소시아네이트, 2,4'-디페닐 메탄 디 이소시아네이트, 4, 4'-디페닐 메탄 디 이소시아네이트, 이소시아네이토 메틸 벤젠, 라이신 디 이소시아네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중합체 폴리올은, 폴리 에스테르 폴리올, 폴리 아크릴 레이트 폴리올, 폴리 우레탄 폴리올, 폴리 카보네이트 폴리올, 폴리 에테르 폴리올, 폴리 에스테르 폴리 아크릴 레이트 폴리올, 폴리 우레탄 폴리 아크릴 레이트 폴리올, 폴리 우레탄 폴리 에스테르 폴리올, 폴리 우레탄 폴리 에테르 폴리올, 폴리 우레탄 폴리 카보네이트-레이트 폴리올, 폴리 에스테르 폴리 카보네이트 폴리올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하이드록시 작용성 화합물은, 에탄올, n- 부탄올, 에틸렌 글리콜 모노 부틸 에테르, 디 에틸렌 글리콜 모노 메틸 에테르, 디 에틸렌 글리콜 모노 부틸 에테르,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 메틸 에테르, 디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 메틸 에테르, 트리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 메틸 에테르, 디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 프로필 에테르,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 부틸 에테르, 디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 부틸 에테르, 트리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 부틸 에테르, 2- 에틸 헥산올, 1-옥탄올, 1-도데 칸올, 1- 헥사 데칸올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비이온성 친수화물은, 디 에틸-아민, 디 프로필 아민, 디 이소 프로필 아민, 디 부틸 아민, 비스 (2- 에틸 헥실) 아민, 헤테로 고리 2차 아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유기 폴리 이소시아네이트는 5 내지 40중량%, 중합체 폴리올은 55 내지 90중량%, 하이드록시 작용성 화합물은 0.5 내지 20중량% 비이온성 친수화물은 0.1 내지 25 중량%가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우레탄 분산액을 포함하는 미세먼지 부착방지용 화장료 조성물은 음이온성 친수성기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음이온성 친수성기는, 1, 2- 에틸렌 디아민, 1,2-디아미노 프로판, 1,3-디아미노 프로판, 1,4-디아 미노 부탄, 1,6-디아미노 헥산, 이소 포론 디아민, 2,4-트리메틸 헥사 메틸렌 디아민, 2,4,4-트리메틸 헥사 메틸렌 디아민, 2-메틸 펜타 메틸렌 디아민, 디 에틸-엔트리 아민, 4,4-디아미노 디시클로 헥실 메탄, 히드라진 수화물, 디메틸 에틸렌 디아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우레탄 분산액을 포함하는 미세먼지 부착방지용 화장료 조성물은 미세 구형 입자가 더 추가됨으로써 배향특성을 낮추고 충전밀도(packing density)를 높일 수 있다.
상기 미세 구형 입자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Polymethyl Methacrylate, PMMA), 실리카 (Silica), 폴리메틸실세스퀴옥세인 (Polymethylsilsesquioxane, PMSQ), 다이메티콘크로스폴리머 (Dimethicone Crosspolymer)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우레탄 분산액을 포함하는 미세먼지 부착방지용 화장료 조성물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효성분(active principle)을 더 포함하며, 상기 유효성분은, 천연 추출물, 오일, 보습제, 미백제, 주름개선제, 여드름 완화제, 아토피 완화제, 자외선 차단제, 육모제, 비타민과 그 유도체, 아미노산 또는 폴리펩타이드, 항염증제, 여성호르몬제, 각질박리용해제, 살균제, 플라센타, 알란토인, 효모추출물, 콜라겐, 엘라스틴, DHA, EPA, 세라마이드, 향료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폴리우레탄 분산액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 내지 30중량%를 차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유기 폴리 이소시아네이트, 중합체 폴리올, 하이드록시 작용성 화합물 및 비이온성 친수화물을 반응하여 제조되는 폴리우레탄 분산액을 포함하는 미세먼지 부착방지용 피부 외용제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유기 폴리 이소시아네이트, 중합체 폴리올, 하이드록시 작용성 화합물 및 비이온성 친수화물을 반응하여 제조되는 폴리우레탄 분산액을 포함하는 미세먼지 부착방지용 의약외품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피부를 미세먼지 또는 잠재적 오염물질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우수한 광택 및 피부 접촉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미세 구형 입자를 추가함으로써 배향특성을 낮추고 조성물의 충전밀도를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리우레탄 분산액을 포함하는 미세먼지 부착방지용 화장료 조성물은 크게 유기 폴리 이소시아네이트, 중합체 폴리올, 하이드록시 작용성 화합물 및 비이온성 친수화물을 반응하여 제조되는 폴리우레탄 분산액을 포함할 수 있다.
유기 폴리 이소시아네이트, 중합체 폴리올, 하이드록시 작용성 화합물 및 비이온성 친수화물을 반응 및 폴리우레탄 분산액 제조를 위해, 상기 성분들은 초기에 전체적으로 도입되고 용매로 희석될 수 있다. 이들은 물과 혼화되지만 이소시아네이트기에 대해 불활성이며, 50℃ 내지 120℃ 범위의 온도로 가열된다. 이소시아네이트 첨가 반응의 속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폴리우레탄 관련 제조공정에서 공지 된 촉매가 사용될 수 있다.
희석을 위해 적합한 용매는 통상적인 지방족, 케토-관능성 용매, 예컨대 아세톤, 2-부타논이며, 이는 제조 개시시뿐만 아니라 선택적으로 부분적으로 첨가되는 것도 가능하다. 아세톤 및 2-부타논이 바람직하고, 아세톤이 특히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유기 폴리 이소시아네이트는, 1,4-부틸렌 디 이소시아네이트, 1,6-헥사 메틸렌 디 이소시아네이트(HDI), 이소 포론 디 이소시아네이트(IPDI), 2,2,4-트리메틸 헥사 메틸렌 디 이소시아네이트, 2,4,4-트리메틸 헥사 메틸렌 디 이소시아네이트, 4,4'-이소시아네이토 사이클로 헥실 메탄, 1,4-사이클로 헥 실렌 디 이소시아네이트, 4-이소시아네이토 메틸 -1,8-옥탄 디 이소시아네이트, 1,4- 페닐렌 디 이소시아네이트, 2,4-톨릴렌 디 이소시아네이트, 2,6-톨릴렌 디 이소시아네이트, 1,5-나프틸렌 디 이소시아네이트, 2,2'-디페닐 메탄 디 이소시아네이트, 2,4'-디페닐 메탄 디 이소시아네이트, 4, 4'-디페닐 메탄 디 이소시아네이트, 이소시아네이토 메틸 벤젠, 라이신 디 이소시아네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중합체 폴리올은, 폴리 에스테르 폴리올, 폴리 아크릴 레이트 폴리올, 폴리 우레탄 폴리올, 폴리 카보네이트 폴리올, 폴리 에테르 폴리올, 폴리 에스테르 폴리 아크릴 레이트 폴리올, 폴리 우레탄 폴리 아크릴 레이트 폴리올, 폴리 우레탄 폴리 에스테르 폴리올, 폴리 우레탄 폴리 에테르 폴리올, 폴리 우레탄 폴리 카보네이트-레이트 폴리올, 폴리 에스테르 폴리 카보네이트 폴리올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하이드록시 작용성 화합물은, 에탄올, n- 부탄올, 에틸렌 글리콜 모노 부틸 에테르, 디 에틸렌 글리콜 모노 메틸 에테르, 디 에틸렌 글리콜 모노 부틸 에테르,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 메틸 에테르, 디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 메틸 에테르, 트리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 메틸 에테르, 디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 프로필 에테르,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 부틸 에테르, 디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 부틸 에테르, 트리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 부틸 에테르, 2- 에틸 헥산올, 1-옥탄올, 1-도데 칸올, 1- 헥사 데칸올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비이온성 친수화물은, 디 에틸-아민, 디 프로필 아민, 디 이소 프로필 아민, 디 부틸 아민, 비스 (2- 에틸 헥실) 아민, 헤테로 고리 2차 아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한 성분들을 반응시킴에 있어서, 상기 유기 폴리 이소시아네이트는 5 내지 40중량%, 중합체 폴리올은 55 내지 90중량%, 하이드록시 작용성 화합물은 0.5 내지 20중량% 비이온성 친수화물은 0.1 내지 25 중량%가 포함될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폴리우레탄 분산액을 포함하는 미세먼지 부착방지용 화장료 조성물은 음이온성 친수성기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음이온성 친수성기는, 1, 2- 에틸렌 디아민, 1,2-디아미노 프로판, 1,3-디아미노 프로판, 1,4-디아 미노 부탄, 1,6-디아미노 헥산, 이소 포론 디아민, 2,4-트리메틸 헥사 메틸렌 디아민, 2,4,4-트리메틸 헥사 메틸렌 디아민, 2-메틸 펜타 메틸렌 디아민, 디 에틸-엔트리 아민, 4,4-디아미노 디시클로 헥실 메탄, 히드라진 수화물, 디메틸 에틸렌 디아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폴리우레탄 분산액을 포함하는 미세먼지 부착방지용 화장료 조성물은 미세 구형 입자가 더 추가됨으로써 배향특성을 낮추고 충전밀도(packing density)를 높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미세 구형 입자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Polymethyl Methacrylate, PMMA), 실리카 (Silica), 폴리메틸실세스퀴옥세인 (Polymethylsilsesquioxane, PMSQ), 다이메티콘크로스폴리머 (Dimethicone Crosspolymer)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폴리우레탄 분산액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 내지 30중량%,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10중량%일 수 있다. 폴리우레탄 분산액 함량이 0.001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충분한 미세먼지 부착방지 효과를 기대할 수 없고, 30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제형 안정성에 문제가 있을 수 있다.
전술한 폴리우레탄 분산액을 실제 BB크림 및 크림 제형 등에 적용한 결과, 미세먼지 부착 방지에 효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미세먼지와 같은 유해환경으로부터 피부를 완벽하게 보호하고, 제형이 충전밀도 높은 연속 필름 네트워크를 형성함으로써 우수한 프로텍션 효과를 얻을 수 있었으며, 미세먼지에 대한 피부 보호 효과를 통해 실외 활동 중 피부 손상 및 피부 노화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었다. 또한 우수한 광택 및 피부 접촉감도 확보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폴리우레탄 분산액은 화장료 조성물뿐만 아니라, 피부 외용제나 의약외품 등에 적용되어 미세먼지 부착방지 효능을 발휘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리우레탄 분산액을 포함하는 미세먼지 부착방지용 화장료 조성물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효성분(active principle)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유효성분은 보습, 미백, 주름개선, 자외선 차단, 여드름 완화, 아토피 완화, 항염증이나 각질용해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유효성분은, 천연 추출물, 오일, 보습제, 미백제, 주름개선제, 여드름 완화제, 아토피 완화제, 자외선 차단제, 육모제, 비타민과 그 유도체, 아미노산 또는 폴리펩타이드, 항염증제, 여성호르몬제, 각질박리용해제, 살균제, 플라센타, 알란토인, 효모추출물, 콜라겐, 엘라스틴, DHA, EPA, 세라마이드, 향료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유효성분 중 상기 오일은, 유지, 왁스, 탄화수소계 오일, 지방산 에스테르계 오일, 알코올계 오일, 버터, 실리콘계 오일, 에스테르계 오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유지는, 마카다미아넛오일, 올리브오일, 호호바오일, 아몬드오일, 살구씨오일, 녹차오일, 메도폼오일, 썬플라워오일, 아르간오일, 동백오일, 아보카도오일, 콩기름, 포도씨오일, 피마자오일, 미강오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왁스는, 카나우바 왁스, 칸데릴리 왁스, 호호바유, 밀납, 라놀린, 콩왁스, 쌀왁스, 실리콘왁스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탄화수소계 오일로는, 유동파라핀, 파라핀, 바세린, 세레신, 마이크로 크리스탈 왁스, 스쿠알란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방산 에스테르계 오일은, 라우린산, 미리스틴산, 팔미틴산, 스테아린산, 이소스테아린산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알코올계 오일로는 세틸알코올, 스테아릴 알코올,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2-옥틸도데실, 2-에틸헥산세틸, 사과산 디이소스테아릴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버터로는, 쉐어버터, 소이버터, 망고버터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실리콘계 오일로는, 디메치콘류, 사이클로메치콘류, 실리콘고분자류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에스테르계 오일은, 세칠에칠헥사노에트, 디글리세릴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 카프릭/카프릴릭 트리글리세라이드, 글리세릴트리2-에칠헥사노에트, 이소노닐이소노나노에이트, 에칠헥실이소노나노에이트, 에칠헥실 팔미테이트, 이소스테아릴 이소스테아레이트, 네오펜칠 글리콜 디카프레이트, 네오펜칠글리콜 디에칠헥사노에이트, 옥틸도데실미리스테이트, 펜타에쓰릴리 테트라에칠헥사노에이트, 펜타에쓰릴리 테트라이소스테아레이트, 이소트리덴실 이소노나노에이트, 트리메칠로프로판 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 스쿠알란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유효성분 중 상기 보습제는, 젖산나트륨, 하이드로프롤린, 2-피톨리포-5-카르본산나트륨, 히알루론산, 히알루론산나트륨, 세라마이드, 피토스테롤, 콜레스테롤, 씨토스테롤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유효성분 중 상기 자외선 차단제로는, 벤조페논 유도체, 파라아미노안식향산유도체, 메톡시계피산 유도체, 살리실산 유도체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유효성분 중 상기 미백제는, 알부틴과 알부틴 유도체, 코직산, 비타민C와 비타민 C 유도체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유효성분 중 상기 육모제는 혈행촉진제 또는 국소자극제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 중 상기 혈행촉진제로는, 월견초 엑기스, 세파라틴, 비타민 E 및 그 유도체, 감마 오리자놀, 프로테오글리칸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육모제 성분 중에 상기 국소자극제로는, 고추 틴크, 생강 틴크, 칸타리스 틴크, 니코틴산 벤질에스테르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유효성분 중 상기 비타민과 그 유도체는, 특별한 제한은 없으나 비타민 A 및 그 유도체, 비타민 B1, B2, B6, E 및 그 유도체, 비타민 D, H, K, 판토텐산 및 그 유도체, 비오틴, 판테놀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유효성분 중 상기 아미노산은, 시스틴, 시스테인, 메티오닌, 세린,로이신, 트립토판, 아미노산 엑기스, EGF(상피세포 성장인자; Epidermal Growth Factor), IGF(인슐린유사 성장인자;Insulin-like growth factor), FGF(섬유아세포성장인자; Fibroblast Growth Factor), 카파-펩타이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유효성분 중 상기 항염증제는, 베타-글리틸리틴산, 글리틸리탄산유도체, 아프렌, 아미노카프론산, 하이드로코티손, 베타글루칸, 리코러스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유효성분 중 상기 여드름 완화제는, 에스트라디올, 에스트로, 에티닐에스트라리올, 트리크로산, 아젤린산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유효성분 중 상기 살균제는, 염화벤잘코늄, 염화벤젤토니올, 하로칼반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유효성분 중 상기 여성호르몬제는 에스트로겐일 수 있는데, 상기 에스트로겐은 에스트라디올, 에티닐 에스트라디올, 식물성 에스트로겐인 이소플라본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유효성분 중 상기 각질박리용해제는, 유황, 살리실산, 아하, 바하, 레소로신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유효성분 중 상기 천연 추출물로는, 동식물, 해양동식물 또는 해조류의 추출엑기스 또는 그들로부터 얻어진 성분(보습, 수분, 모공, 트러블, 화이트닝, 탄력 보습, 주름방지 등의 효능을 가진 기능성 성분)이 적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천연 추출물로는 풍년화, 광대수염, 백화, 대왕, 감초, 알로에, 카모마일, 로즈힙, 히노키티올, 마로니에, 베타카로틴, 인삼추출물, 수세미, 오이, 김추출물, 미역추출물, 영여자, 자작나무 수액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천연추출물은, 아이슬랜드 노티드랙( Ascophyllum Nodosum Extract), 아이슬랜드 욀푸스 빙하수, 심해 미생물, 남극 미생물, 모우레라 플루비아틸리스 추출물, 북극 효모, 북극지역 바다에 있는 갈조류, sea parsley(Dulse), piceaabies(nidiformis) 추출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지금까지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한 폴리우레탄 분산액을 포함하는 미세먼지 부착방지용 화장료 조성물에 따르면, 피부를 미세먼지 또는 잠재적 오염물질로부터 보호할 수 있고, 우수한 광택 및 피부 접촉감을 제공할 수 있으며, 미세 구형 입자를 추가함으로써 배향특성을 낮추고 조성물의 충전밀도를 높일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이하에서 서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변형된 실시가 기본적으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면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범주에 포함된다고 보아야 한다.

Claims (14)

  1. 폴리우레탄 분산액을 포함하는 미세먼지 부착방지용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유기 폴리 이소시아네이트, 중합체 폴리올, 하이드록시 작용성 화합물 및 비이온성 친수화물을 반응하여 제조되고,
    상기 유기 폴리 이소시아네이트는 5 내지 40중량%, 중합체 폴리올은 55 내지 90중량%, 하이드록시 작용성 화합물은 0.5 내지 20중량% 비이온성 친수화물은 0.1 내지 25 중량%가 포함되며,
    미세 구형 입자가 더 추가됨으로써 배향특성을 낮추고 충전밀도(packing density)를 높이며,
    상기 미세 구형 입자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Polymethyl Methacrylate, PMMA), 실리카 (Silica), 폴리메틸실세스퀴옥세인 (Polymethylsilsesquioxane, PMSQ), 다이메티콘크로스폴리머 (Dimethicone Crosspolymer)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폴리우레탄 분산액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 내지 30중량%를 차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우레탄 분산액을 포함하는 미세먼지 부착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폴리 이소시아네이트는,
    1,4-부틸렌 디 이소시아네이트, 1,6-헥사 메틸렌 디 이소시아네이트(HDI), 이소 포론 디 이소시아네이트(IPDI), 2,2,4-트리메틸 헥사 메틸렌 디 이소시아네이트, 2,4,4-트리메틸 헥사 메틸렌 디 이소시아네이트, 4,4'-이소시아네이토 사이클로 헥실 메탄, 1,4-사이클로 헥 실렌 디 이소시아네이트, 4-이소시아네이토 메틸 -1,8-옥탄 디 이소시아네이트, 1,4- 페닐렌 디 이소시아네이트, 2,4-톨릴렌 디 이소시아네이트, 2,6-톨릴렌 디 이소시아네이트, 1,5-나프틸렌 디 이소시아네이트, 2,2'-디페닐 메탄 디 이소시아네이트, 2,4'-디페닐 메탄 디 이소시아네이트, 4, 4'-디페닐 메탄 디 이소시아네이트, 이소시아네이토 메틸 벤젠, 라이신 디 이소시아네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우레탄 분산액을 포함하는 미세먼지 부착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 폴리올은,
    폴리 에스테르 폴리올, 폴리 아크릴 레이트 폴리올, 폴리 우레탄 폴리올, 폴리 카보네이트 폴리올, 폴리 에테르 폴리올, 폴리 에스테르 폴리 아크릴 레이트 폴리올, 폴리 우레탄 폴리 아크릴 레이트 폴리올, 폴리 우레탄 폴리 에스테르 폴리올, 폴리 우레탄 폴리 에테르 폴리올, 폴리 우레탄 폴리 카보네이트-레이트 폴리올, 폴리 에스테르 폴리 카보네이트 폴리올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우레탄 분산액을 포함하는 미세먼지 부착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이드록시 작용성 화합물은,
    에탄올, n- 부탄올, 에틸렌 글리콜 모노 부틸 에테르, 디 에틸렌 글리콜 모노 메틸 에테르, 디 에틸렌 글리콜 모노 부틸 에테르,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 메틸 에테르, 디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 메틸 에테르, 트리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 메틸 에테르, 디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 프로필 에테르,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 부틸 에테르, 디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 부틸 에테르, 트리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 부틸 에테르, 2- 에틸 헥산올, 1-옥탄올, 1-도데 칸올, 1- 헥사 데칸올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우레탄 분산액을 포함하는 미세먼지 부착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이온성 친수화물은,
    디 에틸-아민, 디 프로필 아민, 디 이소 프로필 아민, 디 부틸 아민, 비스 (2- 에틸 헥실) 아민, 헤테로 고리 2차 아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우레탄 분산액을 포함하는 미세먼지 부착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6. 삭제
  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음이온성 친수성기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우레탄 분산액을 포함하는 미세먼지 부착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음이온성 친수성기는,
    1, 2- 에틸렌 디아민, 1,2-디아미노 프로판, 1,3-디아미노 프로판, 1,4-디아 미노 부탄, 1,6-디아미노 헥산, 이소 포론 디아민, 2,4-트리메틸 헥사 메틸렌 디아민, 2,4,4-트리메틸 헥사 메틸렌 디아민, 2-메틸 펜타 메틸렌 디아민, 디 에틸-엔트리 아민, 4,4-디아미노 디시클로 헥실 메탄, 히드라진 수화물, 디메틸 에틸렌 디아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우레탄 분산액을 포함하는 미세먼지 부착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9. 삭제
  10. 삭제
  11.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효성분(active principle)을 더 포함하며, 상기 유효성분은,
    천연 추출물, 오일, 보습제, 미백제, 주름개선제, 여드름 완화제, 아토피 완화제, 자외선 차단제, 육모제, 비타민과 그 유도체, 아미노산 또는 폴리펩타이드, 항염증제, 여성호르몬제, 각질박리용해제, 살균제, 플라센타, 알란토인, 효모추출물, 콜라겐, 엘라스틴, DHA, EPA, 세라마이드, 향료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우레탄 분산액을 포함하는 미세먼지 부착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KR1020200091248A 2020-07-22 2020-07-22 폴리우레탄 분산액을 포함하는 미세먼지 부착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1024627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1248A KR102462752B1 (ko) 2020-07-22 2020-07-22 폴리우레탄 분산액을 포함하는 미세먼지 부착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1248A KR102462752B1 (ko) 2020-07-22 2020-07-22 폴리우레탄 분산액을 포함하는 미세먼지 부착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2118A KR20220012118A (ko) 2022-02-03
KR102462752B1 true KR102462752B1 (ko) 2022-11-04

Family

ID=802688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1248A KR102462752B1 (ko) 2020-07-22 2020-07-22 폴리우레탄 분산액을 포함하는 미세먼지 부착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275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8209B1 (ko) 2023-04-14 2023-06-29 조평연 나노 물질을 함유하는 코팅층을 가지는 코어-쉘 입자를 포함하는 넓은 영역의 파장대의 고에너지선 차단 및 미세먼지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105126A1 (de) * 2008-03-26 2009-09-30 Bayer MaterialScience AG Dekorative kosmetische Zusammensetzungen
KR102262308B1 (ko) * 2017-03-31 2021-06-09 (주)아모레퍼시픽 구상 파우더를 포함하는 안티-폴루션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2118A (ko) 2022-0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83534B2 (ja) フラーレン含有化粧料用組成物
US11896684B2 (en) Cosmetic composition having increased skin contact and makeup persisten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US10639255B2 (en) Nail treatment system
JP2011506556A (ja) 親油性の乳化剤および疎水性変性された多糖により安定化させた油中水(w/o)型エマルション
JP6894207B2 (ja) トラネキサム酸含有化粧料又は皮膚外用剤
WO2006117055A1 (en) Skin lightening composition comprising a conjugated linoleic acid and niacinamide
BR112013009597B1 (pt) poliuretano espessante
CN101815501A (zh) 包含聚氨酯分散体的个人护理组合物
JP7084117B2 (ja) 1,4-アンヒドロエリスリトールを含有する化粧料又は皮膚外用剤
CN101164517A (zh) 苯并二氢吡喃衍生物在美容或皮肤学制剂中的用途
CN102271648A (zh) 包含蜜茱萸的局部组合物和处理皮肤的方法
US20160235650A1 (en) Cosmetic Formulation Incorporating a UV-Triggered Self-Healing Material
KR102462752B1 (ko) 폴리우레탄 분산액을 포함하는 미세먼지 부착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20070117355A (ko) 태반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도포용 조성물
EP0945120B1 (de) Mascara und Augenbrauenstifte enthaltend Gamma-Oryzanol und Calciumsalze
JP2020176067A (ja) ホスファチジルイノシトール含有化粧料又は皮膚外用剤
WO2023094517A1 (en) A topical composition
JP2604782B2 (ja) 化粧料
JP2023553098A (ja) スクロースエステル及び溶媒を含む化粧品組成物
KR102145941B1 (ko) 해양유래소재 파우더를 포함하는 미세먼지 부착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JP6887826B2 (ja) 化粧料用組成物
WO2006022173A1 (ja) α-グリコシルグリチルリチンを有効成分とする保湿剤とその用途
JP2020158396A (ja) エリスリタン誘導体、及びこれを含有する化粧料
JP2020158397A (ja) 環状炭酸エステルを含有する化粧料
KR20230129687A (ko) 참당귀 오일 추출물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참당귀 오일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