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0736B1 - 홍삼물질이 포함된 기능성 쌀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홍삼물질이 포함된 기능성 쌀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0736B1
KR102260736B1 KR1020190082738A KR20190082738A KR102260736B1 KR 102260736 B1 KR102260736 B1 KR 102260736B1 KR 1020190082738 A KR1020190082738 A KR 1020190082738A KR 20190082738 A KR20190082738 A KR 20190082738A KR 102260736 B1 KR102260736 B1 KR 1022607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ce
red ginseng
functional
extract
mixed solu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27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06743A (ko
Inventor
왕지엽
김원국
김청원
Original Assignee
왕지엽
김원국
김청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왕지엽, 김원국, 김청원 filed Critical 왕지엽
Priority to KR10201900827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0736B1/ko
Publication of KR202100067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67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07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07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96Products in which the original granular shape is maintained, e.g. parboiled ric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40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4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drying or kiln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ereal-Derived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홍삼물질이 포함된 기능성 쌀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홍삼물질이 포함된 기능성 쌀 제조방법은, 물, 홍삼물질, 콜라겐, 효소를 혼합한 후 발효시켜 발효물을 제조하는 제1단계, 상기 발효물에 주정을 첨가한 후, 이를 압착추출하여 추출액을 제조하는 제2단계, 상기 추출액에 소금을 넣고 혼합하여 혼합액을 제조하는 제3단계 및, 상기 혼합액을 쌀에 분사처리하여 상기 혼합액을 쌀에 침투시킨 후 건조하여 기능성 쌀을 제조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에 의해, 쌀 깨짐을 방지함과 동시에 홍삼의 기능적 성분까지 겸비하는 홍삼물질이 포함된 기능성 쌀 및 그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홍삼물질이 포함된 기능성 쌀 및 그 제조방법 {Functional rice contain with Red Ginseng substanc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홍삼물질이 포함된 기능성 쌀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쌀 깨짐을 방지함과 동시에 홍삼의 기능적 성분까지 겸비하는 홍삼물질이 포함된 기능성 쌀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능성 쌀이라 하면 쌀의 일반 성분 외에 독특한 생리활성 성분을 보강하여 새로운 기능을 갖도록 한 쌀을 의미하고, 현재 시판되는 기능성 쌀의 종류를 보면 쌀에 특수성분이 생성되도록 하거나 외부에서 첨가한 형태로 나눌 수 있는데 현재 상품화 된 것을 보면 발아현미를 이용한 제품으로 감마 아미노 부탄산, 식물섬유, 피틴산, 감마 오리자놀, 각종 무기질 등이 보강된 것, 당뇨 예방쌀, 편의 현미식, 쌀에 버섯균사를 접종하여 배양한 버섯쌀 등이 나오고 있다.
이러한 종래 기능성 쌀 제조 방법으로는, 예를 들어 논에 법제 유황을 시비(거름)로 주고, 그 후에 모를 심은 다음, 논에 법제 유황 액상 제제를 살포하여 벼를 재배함으로써 유황이 함유된 쌀을 얻는 방법이 있었으나, 벼의 재배 단계에서 유황을 첨가하는 이러한 방법은 목적하는 균일한 유황 첨가량을 달성할 수 없다는 등의 단점이 있었다.
또한, 기능성 건강 곡물의 제조법으로, 곡물에 기능성 물질을 코팅하거나 미생물을 이용하여 발효 처리를 하여 기능성 곡물을 제조하는 방식이 널리 사용되고 있었으나, 이 방법은 곡물이 건조된 상태에서 최종 가공됨으로 인해 곡물을 교반하면서 코팅 또는 발효하는 공정에서 곡물이 쉽게 깨지는 경향이 있어, 곡물의 원래 형태를 유지하기 어렵고 깨진 쌀이 발생하여 상품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현재 곡물의 원래 형태를 유지하면서 부가되는 기능성 성분을 최대한 겸비할 수 있는 제조공정이 필요한 실정이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14203호(오미자추출물이 코팅된 기능성 쌀 및 그 제조방법) 2.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3-0078226호(홍삼 추출물이 함유된 기능성 쌀 및 그 제조방법)
본 발명의 목적은 쌀 깨짐을 방지함과 동시에 홍삼의 기능적 성분까지 겸비하는 기능성 쌀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홍삼물질이 포함된 기능성 쌀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홍삼물질이 포함된 기능성 쌀의 제조방법은, 물, 홍삼물질, 콜라겐, 효소를 혼합한 후 발효시켜 발효물을 제조하는 제1단계, 상기 발효물에 주정을 첨가한 후, 이를 압착추출하여 추출액을 제조하는 제2단계, 상기 추출액에 소금을 넣고 혼합하여 혼합액을 제조하는 제3단계 및, 상기 혼합액을 쌀에 분사처리하여 상기 혼합액을 쌀에 침투시킨 후 건조하여 기능성 쌀을 제조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제1단계에서 발효물 제조시, 상기 물 2ℓ당 상기 홍삼물질 0.8~2kg, 상기 콜라겐 0.05~0.3kg, 상기 효소 0.5~2kg을 혼합하여 제조하는 것이 특징이며, 상기 발효는 20~25℃에서 20~24시간동안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제2단계에서 추출물 제조시, 상기 발효물과 상기 주정은 1 : 1~10 중량비로 혼합되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제3단계에서 혼합액 제조시, 상기 추출액 2ℓ당 상기 소금 0.2~0.5kg을 넣고 혼합하여 제조하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제4단계의 기능성 쌀 제조시, 상기 건조는 60~80℃에서 2~3시간동안 열풍건조인 것이 특징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홍삼물질이 포함된 쌀의 제조방법은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해, 쌀 깨짐을 방지함과 동시에 홍삼의 기능적 성분은 겸비하고 홍삼의 쓴맛과 강한 향은 저감시킨 홍삼물질이 포함된 기능성 쌀 및 그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홍삼물질이 포함된 기능성 쌀의 제조공정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실험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며,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은 쌀 깨짐을 방지함과 동시에 홍삼의 기능적 성분은 겸비하고 홍삼의 쓴맛과 강한 향은 저감시킨 홍삼물질이 포함된 기능성 쌀을 제조하기 위한 특정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도 1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발효물 제조단계(S10), 추출액 제조단계(S20), 혼합액 제조단계(S30), 기능성 쌀 제조단계(S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홍삼물질이 포함된 기능성 쌀 제조단계>
1. 제1단계: 발효물 제조단계(S10)
본 단계에서는 물, 홍삼물질, 콜라겐, 효소를 혼합한 후, 발효시켜 발효물 제조한다.
설명하면, 상기 홍삼물질은 수삼을 껍질 채 찌고 건조시켜 수분함량 14% 이하가 되도록 가공한 홍삼을 포함하는 것으로써 홍삼근, 홍삼뿌리, 홍삼분말, 홍삼농축액, 홍삼추출액 중 어느 하나이상을 의미한다. 이러한 상기 홍삼은 노화성분(Maltol), 암세포 증식 억제 성분 및 항종양성분, 암세포 전이 억제 성분 등이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홍삼은 제조과정에서 인삼 조직 중의 전분입자가 졸(Sol)상태에서 겔(Gel)상태로 전환되기 때문에 인삼보다 소화흡수가 잘 되고, 특히 홍삼은 인삼 껍질 바로 안쪽에 여러 가지 유효성분들이 축적되어 있는 망상조직을 벗기지 않고 가공한 것이므로 유효 성분의 함량이 높아 효능이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러한 상기 홍삼은 홍삼자체가 갖고 있는 쓴맛과 강한 향으로 인해 호불호가 갈리는 소재 중에 하나이다.
콜라겐은 18종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된 섬유상태의 고분자 구조를 갖는 단백질로써, 식물성 식품에는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쌀에는 없는 성분 중에 하나이다.
이러한 상기 콜라겐은 통상 고분자 구조를 갖고 있음에 따라 흡수율이 낮아 식품용 소재로 사용하기에 적합하지 않게 된다. 이에, 흡수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상기 콜라겐의 중량평균 분자량은 저분자 타입의 콜라겐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2,000~3,000 Da의 저분자 콜라겐을 적용하는 것이 가장 좋다. 또한, 상기 콜라겐은 다른 재료들과의 혼합 용이성을 위해 콜라겐 분말을 물에 녹여 콜라겐 수용액으로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때, 콜라겐 분말은 상기 콜라겐 수용액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10~5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10 중량%미만으로 함유될 경우에는 상기 콜라겐의 효능이 미약하여 본 발명이 목적하는 효능을 얻기 어려우며, 50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콜라겐의 용해가 완전히 이루어지지 않을 우려가 있게 된다.
효소는 상기 홍삼의 쓴맛과 강한 향을 저감시키기 위한 물질로써, 바람직하게는 세포벽 분해효소 또는 지질 분해효소 중 어느 하나이상을 적용하는 것이 적합하며, 이러한 상기 세포벽 분해효소로는 베타-글루카나제(β-glucanase), 헤미셀룰라제(hemicellulase), 셀룰라제(cellulase), 자일란나제(xylanase), 펙티나제(pectinase) 및 아라비나제(arabinase) 중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효소일 수 있으며, 상기 지질 분해효소로는 예를 들어 리파아제 일수 있다.
이러한 상기 재료들은 본 발명의 목적을 이루기 위해서는 반드시 특정 비율로 혼합되어야 하는데, 이때, 상기 물 2ℓ당 상기 홍삼물질은 0.8~2kg, 상기 콜라겐은 0.05~0.3kg, 상기 효소은 0.5~2kg을 혼합하여 제조하는 것이 적합하다.
다시 말해, 상기 홍삼물질은 그대로 쌀에 적용할 경우 그 자체가 갖고 있는 쓴맛과, 강한 향으로 인해 오히려 기능성 쌀의 조리 후 소비자들에게 거부감을 줄 우려가 있으며, 콜라겐 역시 그대로 사용할 경우 상기 홍삼물질과의 배합이 잘 이루어지지 않아 골고루 상기 성분들을 쌀에 침투시키거나 포함시키기에 어려움이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쌀이 갖고 있지 않는 기능성 성분들을 최대한 쌀과 함께 겸비할 수 있도록 하면서 남녀노소 누구나 선호할 수 있는 기능성 쌀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상기 재료들을 특정 혼합비율로 혼합하고 이를 적정시간내에 발효시켜 발효물 형태로 제조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다시말해, 상기 홍삼물질은 상기 물 2ℓ를 기준으로 0.8 kg미만으로 함유될 경우에는 그 함량이 너무 적어 목적하는 기능성 성분의 겸비가 미흡하게 되며 2kg을 초과할 경우에는 발효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게 되어 홍삼자체에서 발생되는 강한 향과 쓴맛의 저감효능이 떨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콜라겐은 상기 물 2ℓ를 기준으로 0.05 kg미만으로 함유될 경우에 이 역시 그 함량이 너무 적어 목적하는 기능성 성분의 겸비가 미흡하게 되며 0.3kg을 초과할 경우에는 그 함량이 과도하게 너무 많아 홍삼물질과의 배합이 적절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게 되어 쌀에 골고루 포함시키기 어렵게 된다.
또한, 상기 효소는 상기 물 2ℓ를 기준으로 0.5 kg미만으로 함유될 경우에는 상기 홍삼물질의 세포벽 분해능이 떨어져 쓴맛과 강한 향을 저감시키기 어렵게 되며 2kg을 초과할 경우에는 과도한 효소의 함량으로 인해 오히려 진세노사이드 또는 폴리페놀의 함량이 낮은 발효물을 얻을 수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상기 발효는 20~25℃에서 20~24시간동안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상기 발효조건을 벗어날 경우에는 효소 처리에 의한 효과가 미미하거나 과도하게 높은 온도에서 장시간 발효할 경우에는 오히려 홍삼물질과 콜라겐의 기능성 성분의 손실을 초래할 우려가 있게 된다.
2. 제2단계: 추출액 제조단계(S20)
본 단계에서는 상기 발효물에 주정을 넣고 혼합한 후 이를 압착추출하여 추출액을 제조한다.
설명하면, 상기 발효물에서는 상기 홍삼물질이 상기 효소로 인해 가수분해된 상태이며, 콜라겐이 함께 혼합된 상태인 바, 여기에 주정을 넣고 혼합한 후 이를 압착 추출하면, 홍삼을 물 또는 주정으로 추출한 추출물에 비하여 홍삼 성분 g당 폴리페놀, Rg1, Re, Rb1, Rf 및 Rd 등 진세노이드 함량이 증가된 추출물을 얻을 수 있으면서, 홍삼 특유의 쓴맛 및 강한 향은 저감시킬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발효물의 유효성분 및 코팅력을 지속시켜주도록 함에 따라 이를 쌀에 함유시키게 되면 건강기능성과 기호성이 향상된 기능성 쌀을 제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발효물과 상기 주정은 1 : 1~10 중량비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상기 주정의 함량이 발효물 중량을 기준으로 1 중량비 미만으로 혼합될 경우에는 발효물에서의 기능성 성분의 추출이 적어 본 발명이 목적하는 기능성 성분이 겸비된 쌀을 제공하기에 어려움이 있으며, 10 중량비를 초과하여 혼합될 경우에는 주정의 함량이 과도하게 많아 하기 건조과정에서 온도를 높이거나 건조시간을 증가하는 등의 추가 공정이 필요하게 되는 바, 이를 통해 오히려 쌀 깨짐이 발생될 우려가 있게 된다.
3. 제3단계: 혼합액 제조단계(S30)
본 단계에서는 상기 추출액에 소금을 넣고 혼합하여 혼합액을 제조한다.
설명하면, 상기 소금은 쌀 자체의 보존성을 높이면서 쌀 조리시 맛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으로써, 바람직하게는 상기 추출액 2ℓ당 상기 소금 0.2~0.5kg을 넣고 혼합하여 제조하는 것이 좋다.
다시 말해, 상기 소금의 함량이 추출액 2ℓ를 기준으로 0.2 kg 미만으로 함유될 경우에는 오히려 추가된 기능성 성분들로 인해 쌀 보존율이 떨어지게 되며, 0.5 kg을 초과하여 함유될 경우에는 과도한 짠맛으로 인해 오히려 소비자들의 선호도를 떨어뜨릴 우려가 있게 된다.
4. 제4단계: 기능성 쌀 제조단계(S40)
마지막, 본 단계에서는 상기 혼합액을 쌀에 분사처리하여 상기 혼합액을 쌀에 침투시킨 후 건조하여 기능성 쌀을 제조한다.
설명하면, 쌀 표면에는 상기 제조된 혼합액을 분무방식에 의해 고르게 스프레이 분사하여 쌀에 침투시키게 되는데, 이러한 분사처리 방식은 쌀에 수분이 과다하게 함유되는 것을 방지한다. 즉 쌀에 수분이 과다하게 함유되면 쌀의 부피가 과도하게 증가되어 건조시 쌀이 갈라지거나 깨지게 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혼합액을 분사처리하여 수분의 과잉함유를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제조과정 및 저장, 유통과정에서 변질을 방지하여 물성이 저하되는 것을 최소화 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혼합액은 1회 많은 양을 쌀에 분무처리하는 것보다 적정양을 여러차례 쌀에 분사처리 함으로써 보다 기능적 성분의 침투가 잘 이루어질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상기 혼합액은 1회 분무시 쌀1kg당 80~150g을 분무처리하며 그 다음 건조공정을 거친 후 다시 상기 분무처리공정을 거쳐 최종 건조공정을 거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때, 상기 분무 및 건조공정은 2회~3회 하는 것이 적합하며, 이를 벗어날 경우에는 오히려 쌀 자체의 깨짐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건조는 60~80℃에서 2~3시간동안 열풍건조인 것을 특징으로, 상기 건조조건을 벗어나 낮은 온도에서 장시간 건조시킬 경우 쌀 표면에 묻은 수분이나 주정이 건조되는데 한계가 있어 장기 보관시 변질을 일으킬 우려가 있게 되며, 고온에서 단시간 건조시킬 경우에는 쌀의 수분함량이 손실되어 쌀 깨짐현상이 발생될 우려가 있게 된다. 다시말해, 상기 건조조건은 원래의 쌀 수분함량 수준인 함수율 약 14~16%를 유지하도록 하면서 쌀깨짐은 방지하는 것으로 이러한 건조에는 상기 분사공정을 거칠 경우에만 적합할 뿐, 상기 혼합액에 쌀을 침지시키는 경우에는 적합하지 않는 건조조건이 되게 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에 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할 것이나, 이들 실시예는 단지 설명의 목적을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1. 기능성 쌀 1 제조>
물 2ℓ에 100~300mesh의 홍삼분말 1kg, 2,000~3,000 Da의 저분자 콜라겐 수용액(수용액 전체중량 기준 콜라겐 분말 10중량% 포함) 0.1kg, 세포벽 분해효소인 베타-글루카나제(β-glucanase) 1kg을 혼합한 후 22℃에서 20시간동안 발효시켜 발효물을 제조하였다.
그 다음 상기 발효물 3kg에 주정 3.5ℓ를 첨가한 후, 이를 압착기를 이용하여 100kg/cm2의 압력으로 압착추출하여 추출액을 제조하였다.
그 다음 상기 추출액 2ℓ에 천일염 0.2kg을 넣고 혼합하여 혼합액을 제조하였다.
그 다음 상기 혼합액 100g과 쌀1kg을 교반용기에 투입하고 이를 회전시키는 것으로써 이때 컨베이어를 이용하여 교반용기에 쌀을 낙하 투입하고 낙하 투입되는 쌀을 향해 상기 혼합액이 분사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혼합액을 쌀에 침투시킬 수 있게 된다.
그 다음 상기 혼합액이 침투된 쌀을 70℃에서 3시간동안 열풍건조하여 본 발명의 기능성 쌀을 제조하였다.
이때, 상기 분사처리 및 상기 건조공정을 2회 실시하여 최종 본 발명의 기능성 쌀1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기능성 쌀2 제조>
상기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하되, 상기 천일염의 함량을 0.1kg을 넣고 혼합하여 기능성 쌀2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 기능성 쌀3 제조>
상기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하되, 상기 혼합액 300g을 쌀1kg에 1회 분무처리 한 후, 이를 100℃에서 3시간동안 열풍건조하여 기능성 쌀3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3. 기능성 쌀4 제조>
상기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하되, 상기 혼합액 1kg에 쌀 1kg을 침지시킨 후 건조시켜 기능성 쌀4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4. 기능성 쌀5 제조>
상기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하되, 상기 추출액 제조시 상기 주정 대신 물을 첨가하여 기능성 쌀5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5. 기능성 쌀6 제조>
상기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하되, 상기 효소는 뺀 발효물을 적용하여 기능성 쌀6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6. 기능성 쌀7 제조>
상기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하되, 상기 발효물 제조시 상기 물 2ℓ에 상기 홍삼물질 2.5kg, 상기 콜라겐 0.35kg, 상기 효소 0.45kg을 혼합하여 기능성 쌀7을 제조하였다.
< 실험예 1. 관능검사 확인>
1. 실험방법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1 내지 6의 각 기능성 쌀들을 각각 전기밥솥을 이용하여 취반한 후 다양한 연령층의 사람을 대상으로 관능평가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상기 평가에는 맛 10점, 향기 5점, 조직감 5점, 외관(쌀상태) 10점, 전체적인 기호도 10점으로 가중치를 주었으며, 추가로 쌀의 유통기한도 확인하기 위해 여름철인 7월을 기준으로 상온보관 4개월 후의 쌀 상태에 대해서도 함께 평가하였다.
2. 실험결과
상기 실험결과, 하기 표 1과 같이 나타났다.
맛(10) 향기(5) 색택(5) 외관(10) 유통기한
(개월)
전체적인 기호도(10)
실시예1 9 5 5 9 10개월이상 9
비교예1 5 4 4 8 4개월미만 8
비교예2 2 4 4 2 10개월이상 3
비교예3 2 3 3 2 10개월이상 3
비교예4 5 6 4 7 4개월미만 5
비교예5 3 2 4 8 10개월이상 2
비교예6 4 3 4 8 10개월이상 4
상기 표 1에 나타나 있듯이, 비교예 1의 쌀로 조리한 밥에서는 전반적으로 기호도는 높게 나타났으나 여름철 기준으로 4개월 정도 지나니 쌀 자체에서 곰팡이균이 발견됨을 확인 한 바 유통기한이 매우 짧음을 확인하였다. 비교예 2의 쌀로 조리한 밥은 쌀 깨짐 현상이 발생됨에 따라 밥맛 또한 떨어져 전체적인 기호도가 낮게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비교예 3의 쌀로 조리한 밥은 쌀이 부석해짐에 따라 맛이 떨어지고 색깔 역시 떨어져 전체적인 기호도가 낮게 나타남을 확인하였으며, 완전건조시에는 쌀이 깨지는 등 쌀 보관 자체가 용이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비교예 4의 쌀로 조리한 밥은 보통의 밥맛이 느껴지는 것으로써 유효성분의 침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으며 오히려 잔존하는 수분으로 인해 4개월이 지나 곰팡이가 발생됨을 확인하였다.
비교예 5 및 6의 쌀로 조리한 밥은 홍삼특유의 쓴맛과 향이 밥에서도 느낄수 있어 홍삼을 싫어하는 아이들층이나 젊은 여성층에서는 대체적으로 낮은 기호도를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반면, 본 발명인 실시예 1의 쌀로 조리한 밥에서는 홍삼 특유의 강한 쓴맛도 느껴지지 않았으며, 향 역시 밥 자체의 고소한 향만 느낄 수 있었으며, 쌀 깨짐 현상도 없었으며, 유통기한 역시 10개월이 지나도 곰팡이균이 발생되지 않는 바, 다양한 연력층에서 일괄되게 전체적인 기호도가 높게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이에 최종 본 발명만의 기능성 쌀 제조공정을 통해 쌀 깨짐을 방지함과 동시에 홍삼의 기능적 성분까지 겸비하는 홍삼물질이 포함된 기능성 쌀을 제공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상기의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 및 실험예를 중심으로 살펴보았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 기술 범위 내에서 상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다른 형태의 실시예들을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본질적 기술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7)

  1. 물 2ℓ당 홍삼물질 0.8~2kg, 2,000~3,000da의 저분자 콜라겐 수용액 0.05~0.3kg, 효소 0.5~2kg을 넣고 혼합한 후 20~25℃에서 20~24시간동안 발효하여 발효물을 제조하는 제1단계;
    상기 발효물에 주정을 1 : 1~10 중량비로 첨가한 후, 이를 압착추출하여 추출액을 제조하는 제2단계;
    상기 추출액 2ℓ당 소금 0.2~0.5kg을 넣고 혼합하여 혼합액을 제조하는 제3단계 및,
    상기 혼합액을 쌀에 분사처리하되, 쌀1kg당 80~150g을 분사처리하여 상기 혼합액을 쌀에 침투시킨 후 60~80℃에서 2~3시간동안 열풍건조하여 기능성 쌀을 제조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는,
    홍삼물질이 포함된 기능성 쌀의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어,
    쌀 깨짐이 방지됨과 동시에 장기보관이 가능한 것이 특징인,
    홍삼물질이 포함된 기능성 쌀.
KR1020190082738A 2019-07-09 2019-07-09 홍삼물질이 포함된 기능성 쌀 및 그 제조방법 KR1022607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2738A KR102260736B1 (ko) 2019-07-09 2019-07-09 홍삼물질이 포함된 기능성 쌀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2738A KR102260736B1 (ko) 2019-07-09 2019-07-09 홍삼물질이 포함된 기능성 쌀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6743A KR20210006743A (ko) 2021-01-19
KR102260736B1 true KR102260736B1 (ko) 2021-06-07

Family

ID=742372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2738A KR102260736B1 (ko) 2019-07-09 2019-07-09 홍삼물질이 포함된 기능성 쌀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0736B1 (ko)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8226A (ko) 2002-03-28 2003-10-08 이국영 홍삼 추출물이 함유된 기능성 쌀 및 그 제조방법
KR100814203B1 (ko) 2007-03-05 2008-03-17 경상남도 오미자추출물이 코팅된 기능성 쌀 및 그 제조방법
KR101032507B1 (ko) * 2008-09-02 2011-05-04 류일환 키토산, 콜라겐이 함유된 홍삼우유쌀 및 그 제조방법
KR101512841B1 (ko) * 2013-08-12 2015-04-17 이아인 효소처리된 발효 홍삼 추출물의 제조방법과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효소처리된 발효 홍삼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식품 조성물
KR101627826B1 (ko) * 2013-11-26 2016-06-07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네오팜 곡물 첨가용 홍삼 발효액, 홍삼 발효곡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67454B1 (ko) * 2016-08-18 2018-06-15 김흥일 후코이단 칼슘 법제유황을 함유하는 홍삼 또는 인삼 기능성 쌀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6743A (ko) 2021-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4293B1 (ko) 양념장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양념장
KR101946892B1 (ko) 돼지머리 시즈닝 분말
KR100746729B1 (ko) 녹차와 인삼을 이용한 곶감의 제조 방법
CN111869827A (zh) 一种甜瓣子及其制备方法
CN102823823A (zh) 一种富含膳食纤维的蒲菜纸的制备方法
KR102104134B1 (ko) 소고기 숙성방법
KR101589221B1 (ko) 커피원두를 함유하는 기정떡의 제조 방법
KR102260736B1 (ko) 홍삼물질이 포함된 기능성 쌀 및 그 제조방법
KR101289730B1 (ko) 유용성 미생물로 발효된 쌀뜨물발효액을 이용한 곶감과 그 제조방법
KR102180266B1 (ko) 아연 콩나물을 이용한 족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17134B1 (ko) 김치찌개용 양념 조성물 제조방법
KR101100720B1 (ko) 고구마를 이용한 고추장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085503B1 (ko) 기능성 성형미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한 성형미
CN107279709A (zh) 一种麻婆豆腐馅料及其他馅料液氮速冻酒酿山药汤包的制备方法
KR101266179B1 (ko) 고추장 양념소스 및 이를 이용한 고추장 양념 삼겹살 구이의 조리방법
CN112655890A (zh) 一种黄豆酱低温发酵方法
KR102145791B1 (ko) 송순을 함유하는 떡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송순을 함유하는 떡
KR20200129301A (ko) 송이버섯을 이용한 신개념의 옥수수 발효죽의 제조방법
KR20200129299A (ko) 상황버섯을 이용한 신개념의 옥수수 발효죽의 제조방법
KR102372036B1 (ko) 장기보관이 용이한 누룽지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721634B1 (ko) 빵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빵
KR102310712B1 (ko) 인삼-목이버섯 피클
CN112056541B (zh) 一种富含香茅风味的发酵型芥辣酱配方及其制备方法
KR102661546B1 (ko) 유산균 균주를 포함하는 피자 도우
KR20140000015A (ko) 허브 부각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허브 부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