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6739B1 - 릴 시트 및 낚싯대 - Google Patents

릴 시트 및 낚싯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6739B1
KR102256739B1 KR1020217004138A KR20217004138A KR102256739B1 KR 102256739 B1 KR102256739 B1 KR 102256739B1 KR 1020217004138 A KR1020217004138 A KR 1020217004138A KR 20217004138 A KR20217004138 A KR 20217004138A KR 102256739 B1 KR102256739 B1 KR 1022567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el
holding
lower member
axial direction
reel s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041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19589A (ko
Inventor
소시 이와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ublication of KR202100195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95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67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67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7/00Fishing rods
    • A01K87/06Devices for fixing reels on ro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7/00Fishing rods
    • A01K87/08Handgrip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ishing Rods (AREA)

Abstract

장대 본체의 소정 위치에 부착되는 통형상의 릴 시트 본체를 구비한 릴 시트로서, 릴 시트 본체는, 장대 본체에 고정되고, 릴 다리가 재치되는 릴 다리 재치면(5)을 상면에 갖는 고정부재(12, 13)와, 당해 고정부재(12, 13)와는 별체의 구성으로서, 릴 다리 재치면(5)과는 반대측의 하측 영역을 구성하고, 고정부재(12, 13)가 장대 본체에 부착된 상태에서 당해 고정부재(12, 13)에 착탈 자유롭게 부착 가능한 하부재(11)를 구비하고, 당해 하부재(11)의 고정부재(12, 13)에의 부착 상태를 보지하기 위한 보지용 너트(3)를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릴 시트 및 낚싯대{REEL SEAT AND FISHING ROD}
본 발명은, 낚싯대에 릴을 고정하기 위한 낚싯대 용의 릴 시트와, 당해 릴 시트를 구비한 낚싯대에 관한 것이다.
낚싯대에 릴을 고정하기 위한 낚싯대 용의 릴 시트로서는, 예를 들면, 양축 릴을 고정하기 위한 것이 있고, 그 릴 시트는 상면에 릴 다리를 재치하기 위한 릴 다리 재치면을 갖고, 하면에는, 낚싯대 및 릴을 쥐는 손의 손가락을 걸기 위한 트리거를 구비하고 있다. 그렇지만, 낚시꾼에 따라서는 트리거의 위치가 기호에 맞지 않는 경우도 있다. 이에 대해 본 출원인은, 하기 특허 문헌 1 소재와 같이, 트리거를 갖는 하본체부를 상본체부에 대해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함에 의해, 낚시꾼이 손의 크기나 기호 등에 의해 본체부를 전후로 이동시켜서 트리거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는 구성에 관해 이미 제안 완료하였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트리거의 위치를 전후로 조절할 수 있다는 큰 이점이 있다. 그렇지만, 트리거의 크기나 길이, 각도는 일정하다. 그 때문에, 낚싯대를 수리, 분해하는 일 없이, 기호나 상황, 사용하는 릴의 종류 등에 맞추고, 낚시꾼 자신이 트리거 자체를 다른 사양의 것으로 변경할 수는 없다. 이 점은, 트리거를 갖지 않는 구성이라도 마찬가지이다.
일본 특허 제4412693호 공보
그러므로 본 발명은, 낚시꾼의 기호나 상황에 응하여 릴 시트의 하측 부분을 용이하게 커스터마이즈(customize)할 수 있는 릴 시트와 낚싯대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에 관한 릴 시트는, 장대 본체의 소정 위치에 부착되는 릴 시트로서, 상기 장대 본체에 고정되고, 릴 다리가 재치되는 릴 다리 재치면을 상면에 갖는 고정부재와, 당해 고정부재와는 별체의 구성으로서, 상기 릴 다리 재치면과는 반대측의 하측 영역을 구성하고, 상기 고정부재가 상기 장대 본체에 부착된 상태에서 당해 고정부재에 착탈 자유롭게 부착 가능한 하부재, 및 당해 하부재의 상기 고정부재에의 부착 상태를 보지(保持)하기 위한 보지 부재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보지 부재는, 상기 하부재의 축선방향 타단부를 축선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부를 갖고 있고,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하부재의 축선방향 일단부를 받아 내는 받이부를 갖고 있고, 상기 고정부재와 상기 보지 부재로 상기 하부재를 축선방향으로 협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하의 방향은, 릴 다리 재치면을 상측으로 하였을 때의 방향이고, 사용 상태에서 릴 다리 재치면이 상측을 향하는 자세로 한정되지 않고, 하측을 향하는 자세로 되어도 좋다.
당해 구성의 릴 시트에서는, 릴 시트 본체의 고정부재가 장대 본체에 부착된 상태에서 하부재가 고정부재에 착탈 자유롭고, 하부재의 부착 상태를 보지 부재에 의해 보지할 수 있다. 따라서, 낚싯대에 릴 시트가 부착된 상태에서 낚시꾼 스스로가 릴 시트 본체의 하부재를 용이하게 떼어낼 수 있다. 따라서, 다른 사양의 하부재를 준비함으로써, 제조원에게 낚싯대의 수리, 분해를 의뢰하지 않아도, 낚시꾼 자신이 다른 사양의 하부재로 간단하게 교환할 수 있다.
당해 구성에 의하면, 고정부재의 계지부와 보지 부재의 커버부에 의해 하부재의 하방으로의 이반이 방지되는 데다가, 고정부재와 보지 부재로 하부재가 축선방향으로 협지되기 때문에, 하부재의 부착 상태가 보다 한층 강고하게 되고, 하부재가 단단히 고정되게 된다.
또한 나아가, 상기 받이부는, 축선방향 일단부측일수록 상측을 향하는 경사면을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고정부재의 받이부가 경사면을 갖고 있으면, 하부재가 보지 부재에 의해 축선방향에 눌러진 때에, 고정부재의 경사면에 의해 하부재에는 상측으로의 힘이 작용하게 되어, 하부재를 고정부재에 대해 축선방향뿐만 아니라 상측으로도 꽉눌러서 고정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고정부재의 받이부에 경사면을 마련함으로써 그 경사면이 계지부로도 되어 고정부재를 하측에서 지탱하게도 된다.
또한, 상기 하부재의 계지 오목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하부재의 상기 계지 오목부에 계합하는 중간 계지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중간 계지부와 상기 하부재의 상기 계지 오목부는 축선방향 일단부측일수록 상측을 향하도록 경사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하부재는 보지 부재에 축선방향으로 가압된다. 그때, 하부재의 축선방향의 중도부가 하방으로 휘거나 하여 하방에 위치 어긋나려고 하지만, 고정부재에 중간 계지부가 형성되어 있으면, 하부재의 축선방향의 중도부의 하방 이동이 규제되고, 보다 한층 단단히 하부재가 고정된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릴 다리의 일방의 단부가 삽입되는 고정 후드부와, 축선방향 일단부측의 외주면에 위치하고, 상기 릴 다리의 타방의 단부가 삽입되는 가동 후드를 축선방향으로 이동시킴과 함께 소정 위치에 고정하기 위한 후드용 너트가 나사결합하는 후드용 수나사부와, 고정 후드부보다도 축선방향 타단부측의 외주면에 위치하는 보지용 수나사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보지 부재는, 상기 고정부재의 보지용 수나사부에 나사결합하는 보지용 너트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보지 부재가 보지용 너트를 구비하고 있으면, 보지 부재를 축선방향으로 용이하게 이동시켜서 하부재를 가압할 수 있고, 또한, 역방향으로도 간단하게 이동시킬 수 있고, 하부재에의 가압력을 해제하여 하부재를 용이하게 떼어낼 수 있다. 또한, 릴을 릴 시트로부터 떼어내지 않아도 하부재를 떼어내거나 부착하거나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하부재의 축선방향 타단부는 축선방향으로 보아 둘레방향으로 만곡한 형상이고, 당해 하부재의 축선방향 타단부에는, 축선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피가압면과, 당해 피가압면의 지름방향 내측의 위치로부터 축선방향으로 돌출하는 돌편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보지 부재는 통형상으로서 그 일단부가 통형상의 커버부를 구성하고, 상기 보지 부재의 일단면이 상기 가압부를 구성하고 있고, 상기 보지 부재의 통형상의 커버부가 상기 하부재의 돌편부를 지름방향 외측에서 덮음과 함께 상기 보지 부재의 일단면이 상기 하부재의 피가압면을 가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보지 부재의 커버부가 하부재의 돌편부를 지름방향 외측에서 덮음과 함께 보지 부재의 일단면이 하부재의 피가압면을 가압함으로써, 하부재를 확실하게 고정할 수 있다.
그 경우 특히, 상기 하부재의 돌편부는 둘레방향에 따라 늘어난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보지 부재의 계합홈에 하부재의 계합 돌조가 계합함에 의해 하부재를 보다 한층 강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편부는, 하측의 반주분을 넘어서 상측으로 늘어나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하부재를 보다 한층 단단히 고정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피가압면은 상기 돌편부보다도 상측으로 늘어나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지 부재로부터의 가압력을 보다 한층 확실하게 하부재에 작용시킬 수 있고, 하부재를 보다 한층 확실하게 협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는, 사출성형품으로서 릴 다리 재치면과 고정 후드부와 후드용 수나사부가 형성되고, 사출성형품으로서 본체부재와 하나의 부재의 통형상 부재를 구비하고, 당해 통형상 부재에 보지용 수나사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지용 수나사부가 고정 후드부 등과 함께 고정부재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구성이라도 좋지만, 본체부재와는 별체의 통형상 부재에 보지용 수나사부가 형성되어 있으면, 보지용 수나사부의 위치를 변경하는 것이 용이하다. 즉, 본체부재는, 복잡한 형상이기 때문에 그 금형을 변경하는 것은 비용면에서 바람직하지가 않다. 한편, 보지용 수나사부의 위치는 낚싯대에 응하여 변경할 가능성이 있다. 그 때문에, 본체부재로부터 통형상 부재를 분리 독립시켜서, 그 통형상 부재에 보지용 수나사부를 형성함에 의해, 본체부재의 금형을 변경하는 일 없이, 보지용 수나사부의 위치나 길이를 저비용으로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낚싯대는, 상기 릴 시트를 구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릴 시트의 하부재는, 릴 다리가 재치되는 릴 다리 재치면을 상면에 가짐과 함께 장대 본체에 고정되는 릴 시트의 고정부재에 착탈 자유롭게 부착 가능하고, 상기 릴 다리 재치면과는 반대측의 하측 영역을 구성하고, 상기 고정부재에의 부착 상태가 상기 릴 시트의 보지 부재에 의해 보지되는, 릴 시트의 하부재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에의 부착 상태에 있어서, 상기 하부재의 축선방향 일단부가 상기 고정부재의 받이부에 의해 받아 내지고, 상기 고정부재와 상기 보지 부재로 축선방향으로 협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릴 시트가 낚싯대에 부착된 상태에서 릴 시트의 하부재를 떼어내거나 부착하거나 할 수 있기 때문에, 낚시꾼의 기호나 상황, 사용하는 릴의 종류 등에 응하여 하부재를 낚시꾼 스스로가 떼어내거나 부착할 수 있고, 다른 사양의 하부재로 교환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에서의 릴 시트의 정면도.
도 2는 동 릴 시트의 평면도.
도 3은 동 릴 시트의 분해도.
도 4는 동 릴 시트를 축선방향에 따라 절단한 종단면도.
도 5는 동 릴 시트를 축선방향에 따라 절단한 종단면도로서, 보지용 너트를 떼어낸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동 릴 시트를 축선방향에 따라 절단한 종단면도로서, 보지용 너트와 하부재를 떼어낸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동 릴 시트의 본체부재를 축선방향에 따라 절단한 종단면도.
도 8은 동 릴 시트의 통형상 부재를 축선방향에 따라 절단한 종단면도.
도 9는 동 릴 시트의 본체부재와 하부재의 관계를 도시하는 주요부 정면도로서, 통형상 부재와 보지용 너트를 떼어낸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10의 (a)는 동 릴 시트의 하부재를 축선방향 타단부측에서 본 측면도, (b)는 동 릴 시트의 하부재와 본체부재를 축선방향 타단부측에서 본 측면도.
도 11은 도 4의 주요부 확대도.
도 12는 동 릴 시트의 사용 상태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13은 동 릴 시트의 사용 상태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서의 릴 시트의 주요부 종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에 관한 릴 시트에 관해 도 1∼도 13을 참작하면서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의 릴 시트는, 양축 릴을 낚싯대에 부착하기 위한 것으로서, 일반적으로는, 사용 상태에서 양축 릴은 상측을 향한다. 단, 스피닝 릴을 부착하기 위한 것이라도 좋고, 그 경우에는, 사용 상태에서 스피닝 릴은 하측을 향한다. 이하, 릴 시트의 축선방향을 전후방향이라고 칭하고, 축선방향 일단부측을 전측으로, 축선방향 타단부측을 후측으로 하여 설명한다. 도 1에 전측을 화살표(X1)로 나타내고, 후측을 화살표(X2)로 나타내고 있지만, 전후 반대의 배치라도 좋다. 또한, 후술하는 릴 다리 재치면(5)을 상측으로 하고, 그것과는 반대측을 하측으로 한다. 도 1에 상측을 화살표(Y1)로 나타내고, 하측을 화살표(Y2)로 나타낸다. 릴 시트는, 장대 본체(1)(블랭크)에 외장착되는 통형상의 구성이고, 릴 시트 본체와, 보지 부재로서의 보지용 너트(3)와, 도시하지 않은 후드용 너트 및 가동 후드를 구비하고 있다.
릴 시트 본체는, 전체로서 통형상으로서, 그 내측을 장대 본체(1)가 삽통한다. 따라서, 릴 시트 본체는, 장대 본체(1)가 삽통하는 장대 삽통구멍(4)을 갖고 있다. 릴 시트 본체는, 장대 본체(1)의 소정 위치에 부착된다. 릴 시트 본체는 장대 본체(1)의 외주면에 직접 접착 고정되거나, 장대 본체(1)의 외주면과의 사이에 통형상의 스페이서(도시 생략)를 통하여 접착 고정되거나 한다.
릴 시트 본체는, 릴 다리 재치면(5)과 고정 후드부(6)와 후드용 수나사부(7)와 보지용 수나사부(8)와 트리거(9)를 구비하고 있다. 릴 다리 재치면(5)은, 도시하지 않은 릴 다리를 재치하기 위한 부분으로서 릴 시트 본체의 상면에 형성되어 있다. 당해 릴 다리 재치면(5)의 후측에, 릴 다리의 후단부가 전측부터 삽입되는 고정 후드부(6)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릴 시트 본체의 앞부분 외주면에는 후드용 너트가 나사결합하는 후드용 수나사부(7)이 형성되어 있다. 후드용 너트의 후측에 가동 후드가 위치하고, 가동 후드는 릴 시트 본체에 대해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지만 회전 불능이다. 가동 후드는 통형상이고, 그 전둘레 중의 상부에 부분적으로 지름방향 외측으로 팽출한 후드부가 형성되어 있고, 그 후드부에 릴 다리의 전단부가 후측부터 삽입된다. 후드용 너트의 후단부는 가동 후드의 전단부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계지되어 있고, 후드용 너트가 회전하면서 전후로 이동하면, 그것에 맞추어서 가동 후드는 전후로 이동하지만 회전은 하지 않는다. 후드용 너트를 후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가동 후드를 고정 후드부(6)에 접근시킬 수 있고 가동 후드와 고정 후드부(6)로 릴 다리를 전후로 협지하여 고정한다. 역으로, 후드용 너트를 전측으로 이동시키면, 가동 후드는 고정 후드부(6)로부터 전측으로 떨어져 가고, 릴을 낚싯대로부터 떼어낼 수 있다.
릴 시트 본체의 뒷부분 외주면에는, 보지용 너트(3)가 나사결합하는 보지용 수나사부(8)가 형성되어 있다. 당해 보지용 수나사부(8)는 고정 후드부(6)보다도 후측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보지용 수나사부(8)의 후측에는, 수나사부가 형성되지 않은 평활한 외주면이 후단까지 존재하고 있고, 그 평활한 외주면의 길이는, 보지용 수나사부(8)의 길이와 동등 또는 그보다도 길다.
트리거(9)는 릴 시트 본체의 하면에 형성되어 있다. 당해 트리거(9)는 손가락을 걸기 위한 것으로서 하방을 향하여 돌설되어 있고, 약간 비스듬히 전방으로 경사하고 있다. 트리거(9)는 고정 후드부(6)에 대향한 하측의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릴 시트 본체의 하면으로서 트리거(9)의 전측의 위치에 관통구멍(10)이 형성되어 있다. 관통구멍(10)는 장대 삽통구멍(4)과 연통하고 있고, 관통구멍(10)를 통하여 장대 본체(1)가 노출한다. 따라서, 관통구멍(10)로부터 노출하는 장대 본체(1)의 부분에 손가락으로 접촉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 릴 시트 본체는, 고정부재와 당해 고정부재와는 별체로 구성된 하부재(11)를 구비하고 있다. 고정부재는, 장대 본체(1)에 접착 고정된다. 고정부재는, 릴 시트 본체의 주요부를 구성하고 있고, 후드용 수나사부(7)와 릴 다리 재치면(5)과 보지용 수나사부(8)를 갖고 있다. 하부재(11)는, 릴 시트 본체의 하측 부분을 구성하고 있고, 고정부재에 대해 하방으로 분리 가능하고, 하방부터 착탈 자유롭게 부착된다. 당해 하부재(11)에는, 트리거(9)와 관통구멍(10)이 형성되어 있다.
<고정부재>
고정부재는, 하나의 부재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지만, 본 실시 형태에서는 서로 별체로 구성된 전후 2개의 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즉, 고정부재의 전측 부분으로서 주요부인 본체부재(12)와, 고정부재의 후측 부분을 구성하는 통형상 부재(13)로 구성되어 있다. 본체부재(12)와 통형상 부재(13)는 전후로 접합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본체부재(12)의 후단면(12a)과 통형상 부재(13)의 전단면(13a)이 전후방향으로 대치하도록 면접촉하고 있고, 본체부재(12)와 통형상 부재(13)는 나사(14)에 의해 일체화되어 있다. 단, 본체부재(12)와 통형상 부재(13)의 부착 방법은 나사(14)로 한정되지 않고 임의이며 접착 등이라도 좋다.
<본체부재(12)>
본체부재(12)에 릴 다리 재치면(5)과 고정 후드부(6)와 후드용 수나사부(7)이 형성되어 있다. 본체부재(12)는 전체로서는 통형상이지만, 그 전후방향의 중도부는, 전둘레 중 하측 개략 반분의 영역이 노치되어 있고 상측의 개략 반분의 영역만으로 되어 있다. 즉, 본체부재(12)는, 전측부터 차례로, 통형상의 전통부(20)와, 상측만의 상반할형상(上半割狀)이 된 반할형상부(21)와, 통형상의 후통부(22)로 구분된다. 전통부(20)에는 후드용 수나사부(7)가 형성되고, 주로 반할형상부(21)의 상면에 릴 다리 재치면(5)이 형성되고, 후통부(22)에는 고정 후드부(6)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반할형상부(21)는 상측 영역만의 반할형상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장대 삽통구멍(4)은 반할형상부(21)에서 하방으로 개구하고 있다. 또한, 반할형상부(21)의 전후에는, 2개의 통부인 전통부(20)와 후통부(22)가 형성되어 있고, 그들 전통부(20)와 후통부(22)에서 장대 본체(1)의 외주면에 전둘레에 걸쳐서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고정되기 때문에, 반할형상부(21)를 갖고 있어도, 장대 본체(1)에 본체부재(12)를 확실하게 고정할 수 있다. 전통부(20)는 그 후단부를 제외하고 하부재(11)에는 덮이지 않고 외부에 노출한 한편, 후통부(22)는 그 상측 영역에 관해서는 하부재(11)에 의해 덮이지 않고 외부에 노출하는 것이지만 그 하측 영역에 관해서는 하부재(11)에 의해 덮이기 때문에 외부로는 노출하지 않는다.
본체부재(12)에 하방부터 하부재(11)가 부착된다. 그 때문에, 본체부재(12)의 하측 부분의 외면에는, 하부재(11)가 지름방향 외측부터 겹치는 중합면(23)이 형성되어 있다. 도 3 등에서 중합면(23)의 개소에는 다수의 도트를 붙여서 나타내고 있다. 중합면(23)에서는 본체부재(12)와 하부재(11)가 내외 중합하여 이중의 구성이 된다. 구체적으로는, 중합면(23)은, 전통부(20)의 후단부의 하부로부터 반할형상부(21), 후통부(22)의 하부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고, 하부재(11)가 본체부재(12)에 부착된 상태에서는 하부재(11)에 의해 덮여서 보이지 않게 된다.
중합면(23)은, 본체부재(12)의 외면에 대해 일단 지름방향 내측에 위치하도록 하여 형성되어 있다. 즉, 중합면(23)과 본체부재(12)의 외면 사이의 경계부에는 단차부가 형성되어 있다. 단차부는, 중합면(23)의 전단부에 위치하는 전단차부(24)와, 당해 전단차부(24)의 상단부로부터 후방으로 늘어나 있고 본체부재(12)의 후단부까지 달하는 상단차부(25)로 구성되어 있다. 전단차부(24)는, 최하부로부터 좌우 양측을 향하여 좌우 대칭 관계를 갖고서 상방으로 늘어나 있고, 전후방향으로 본 때에는 개략 U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전단차부(24)는, 최하부로부터 전측으로 경사하면서 상방으로 늘어나 있고, 따라서 전단차부(24)는 전측일수록 상측이 되는 경사면을 갖고 있고, 당해 경사면은 좌우 각각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전단차부(24)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전단차부(24)가, 하부재(11)의 전단부를 받아 내는 받이부를 구성하고 있음과 함께, 하부재(11)의 전단부를 하측에서 계지하는 계지부를 구성하고 있다.
중합면(23)은, 반할형상부(21)에서는 전후방향으로 늘어나 있고 좌우 한 쌍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반할형상부(21)에서의 좌우 한 쌍의 중합면(23)에는, 각각 중간 계지부로서 계지 볼록부(26)가 형성되어 있다. 좌우의 중합면(23)은 각각 좌우 외측을 향하여 있고, 계지 볼록부(26)는 좌우 외측을 향하여 돌설되어 있다. 계지 볼록부(26)는 상단차부(25)로부터 하방 또한 후방을 향하여 늘어나 있고, 그 하단부는 중합면(23)의 하단부보다도 하방으로 돌출하고 있다. 또한, 계지 볼록부(26)의 하단부는 전후방향에 원호형상으로 만곡하고 있다. 계지 볼록부(26)는 반할형상부(21)의 뒷부분에 위치하고 있고, 상단차부(25)의 중간부에 위치하고 있고, 좌우 한 쌍의 계지 볼록부(26)는 서로 대향 배치로 되어 있다.
도 7과 같이, 본체부재(12)의 후단면(12a)이 통형상 부재(13)와의 접합면으로 되어 있다. 당해 접합면은 전후방향에 대해 직교한 면으로서 장대 삽통구멍(4)의 후단 개구부의 전둘레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다. 당해 접합면의 상부에는, 후방을 향하여 커버편부(27)가 차양형상(庇狀)으로 돌설되어 있다. 당해 커버편부(27)는, 도 10(b)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후방에서 보아 원호형상이고, 그 중심각은 180도 미만이다. 또한, 접합면의 전둘레 중의 상부는 국소적으로 지름방향의 치수가 크게 되어 있고, 그 좌우 방향의 중앙부에는, 통형상 부재(13)를 본체부재(12)에 나사 고정 하기 위한 아래구멍(28)이 형성되어 있다. 당해 아래구멍(28)은, 커버편부(27)의 기단부의 바로 하측에 위치하고 있다.
<통형상 부재(13)>
통형상 부재(13)의 전단면(13a)이 통형상 부재(13)의 접합면으로 되어 있다. 당해 통형상 부재(13)의 접합면도 전후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면으로 되어 있고, 본체부재(12)의 접합면에 통형상 부재(13)의 접합면이 후측에서 당접하여, 본체부재(12)와 통형상 부재(13)는 서로 동축상에 접합 일체화된다. 통형상 부재(13)의 앞부분의 외주면에는 제1 팽출부(31)와 제2 팽출부(32)가 형성되어 있다. 제1 팽출부(31)는 통형상 부재(13)의 전단부에 위치하고 있고, 제2 팽출부(32)는 제1 팽출부(31)의 후측에 연설되어 있다. 제1 팽출부(31)는, 상방을 향하여 플랜지형상으로 팽출하고 있고, 통형상 부재(13)가 본체부재(12)에 부착된 상태에서 본체부재(12)의 커버편부(27)의 지름방향 내측으로 들어간 상태가 된다. 즉, 제1 팽출부(31)는, 커버편부(27)에 의해 지름방향 외측에서 덮이고, 제1 팽출부(31)의 후면은 커버편부(27)의 후단면과 개략 같은면이 된다. 제1 팽출부(31)의 상면은 둘레방향으로 만곡한 주면(만곡면)으로서, 커버편부(27)의 내면과 대치한다. 제2 팽출부(32)는 제1 팽출부(31)와 마찬가지로 상방을 향하여 플랜지형상으로 팽출하고 있지만, 그 높이는 제1 팽출부(31)보다도 낮고, 상방으로의 팽출량은 작다. 제2 팽출부(32)의 상면도 둘레방향으로 만곡한 주면으로서, 후술하는 하부재(11)의 돌편부(45)의 외주면과 거의 동일 반경으로 개략 동일원상(上)에 위치한다.
도 8과 같이, 제1 팽출부(31)의 상면의 정상부에는, 상방으로 개구한 나사(14)용의 스폿페이싱 오목부(33)가 형성되어 있음과 함께 그 전측에는 나사용 관통구멍(34)이 형성되어 있고, 당해 스폿페이싱 오목부(33)로부터 나사용 관통구멍(34)를 통하여 나사(14)가 본체부재(12)의 아래구멍(28)으로 나사체결된다. 이와 같이, 통형상 부재(13)는 제1 팽출부(31)의 정상부에서 하나의 나사(14)에 의해 본체부재(12)와 나사 고정된다. 나사(14)는 가고정으로서 기능하고 있음과 함께, 본체부재(12)와 통형상 부재(13)의 사이의 둘레방향의 위치 결정의 역할도 담당하고 있다. 릴 시트 단체에서는 1개의 나사(14)로 본체부재(12)의 상부에 통형상 부재(13)가 나사 고정되어 있지만, 장대 본체(1)에 릴 시트가 부착된 상태에서는, 본체부재(12)와 통형상 부재(13)는 어느 것이나 장대 본체(1)에 접착된다. 또한, 나사(14)의 두부는, 본체부재(12)의 커버편부(27)의 내측에 위치하고, 커버편부(27)의 내측에 숨겨진 상태가 된다. 제2 팽출부(32)의 상면의 정상부에는 제1 팽출부(31)의 스폿페이싱 오목부(33)와 연속하는 오목홈(35)이 제2 팽출부(32)를 전후방향으로 횡단하도록 하여 형성되어 있다. 본체부재(12)에 통형상 부재(13)를 합체시키는 조립 작업시에, 예를 들면 드라이버로 오목홈(35)으로부터 나사(14)를 체결 조작할 수 있다. 제2 팽출부(32)의 후측에 보지용 수나사부(8)가 형성되고, 당해 보지용 수나사부(8)의 후단부에서 통형상 부재(13)의 후단부까지의 부분의 외주면은 요철이 없는 평활한 외주면으로 되어 있다.
<하부재(11)>
하부재(11)는, 본체부재(12)의 반할형상부(21)의 하측에 개구하고 있는 하방 개구부를 하방에서 덮는다. 하부재(11)는, 전체로서 하반할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횡단면시에서는 개략 반원의 원호형상 또는 개략 U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하부재(11)의 전단부(40)는, 본체부재(12)의 전단차부(24)에 대응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 본체부재(12)의 전단차부(24)가 좌우 한 쌍의 경사면을 갖고 있기 때문에, 하부재(11)의 전단부(40)도 그것에 대응하여 최하부로부터 전측 또한 상방을 향하여 경사하여 늘어나는 경사면을 갖고 있다. 이 하부재(11)의 전단부(40)의 경사면이, 본체부재(12)의 계지부인 경사면에 의해 계지된다. 따라서, 하부재(11)의 전단부(40)의 경사면이 피계지부를 구성하고 있다.
하부재(11)의 내면에는, 본체부재(12)의 중합면(23)에 대응하여 중합면(41)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6 등에서 하부재(11)의 중합면(41)의 부분에는 다수의 도트를 붙여서 나타내고 있다. 하부재(11)의 내면중 중합면(41) 이외의 부분은 장대 삽통구멍(4)의 벽면(42)를 구성하고 있는데, 중합면(41)은 장대 삽통구멍(4)의 벽면(42)보다도 지름방향의 일단 외측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하부재(11)의 전후방향의 중도부의 내면에는, 본체부재(12)의 계지 볼록부(26)가 계합하는 계지 오목부(43)가 형성되어 있다. 계지 오목부(43)는, 좌우 한 쌍 형성되어 있고, 본체부재(12)의 계지 볼록부(26)에 대응하여, 하부재(11)의 상단부로부터 비스듬히 후방을 향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한, 계지 오목부(43)는 중합면(41)에 형성되어 있지만, 그 하단부는 중합면(41)을 하방으로 약간 넘어서 장대 삽통구멍(4)의 벽면(42)까지 달하고 있다.
하부재(11)의 후단부에는, 전후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면인 피가압부로서의 피가압면(44)과, 당해 피가압면(44)의 지름방향 내측의 단부로부터 후방으로 돌출하는 돌편부(45)가 형성되어 있다. 피가압면(44)은 하부재(11)의 후단면이고, 그곳부터 더욱 후방을 향하여 돌편부(45)가 돌출하고 있다. 하부재(11)는 하측의 반할형상이지만, 그 후단부에서는 하측의 반주분(180도분)를 넘어서 상방을 향하여 소정 길이 늘어나 있다. 도 10(a)와 같이 하부재(11)의 후단부를 후방에서 본 때, 하부재(11)의 후단부는 상방으로 개구한 U자형상 내지 C자형상으로 되어 있고, 피가압면(44)도 상방으로 개구한 U자형상 내지 C자형상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그 피가압면(44)의 둘레방향의 전둘레 중 소정 길이 영역에 돌편부(45)가 형성되어 있다. 당해 돌편부(45)는, 후방에서 본 때, 피가압면(44)에 대응하여 U자형상 내지 C자형상이고, 하측의 반주분을 넘어서 상방으로 소정 길이 늘어난 형상으로 되어 있다. 단, 돌편부(45)는 피가압면(44)의 둘레방향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지 않고, 피가압면(44)의 둘레방향의 양단부(44a)에는 형성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피가압면(44)의 둘레방향의 양단부(44a)는 돌편부(45)의 둘레방향의 양단부(45a)보다도 상측으로 늘어나 있다. 돌편부(45)는 얇게 형성되어 있지만, 도 11과 같이, 그 선단부의 외면에는 지름방향 외측을 향하여 계합 돌조(46)가 돌설되어 있다. 당해 계합 돌조(46)는 돌편부(45)의 둘레방향에 따라 늘어나 있고 돌편부(45)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돌편부(45)의 선단부에 계합 돌조(46)가 형성되어 있음에 의해, 돌편부(45)의 선단부는 돌편부(45)의 다른 부분에 비하여 국소적으로 두껍게 되어 있다.
하부재(11)는 고정부재에 하측에서 감합하고, 그 감합에 의해 하부재(11)는 보지용 너트(3)가 없어도 자연낙하하지 않을 정도로 고정부재에 보지된다. 또한, 본체부재(12)와 통형상 부재(13)와의 접합부(15)의 전둘레 중 상부 영역은, 본체부재(12)에 통형상 부재(13)가 나사 고정됨으로써, 본체부재(12)의 커버편부(27)에 의해 지름방향 외측에서 덮여 있는데, 접합부(15)의 전둘레 중, 커버편부(27)에 의해 덮이지 않고 남은 하부 영역은, 하부재(11)가 고정부재에 감합함에 의해, 그 하부재(11)에 의해 지름방향 외측에서 덮인다. 따라서, 하부재(11)가 고정부재에 부착되면, 본체부재(12)와 통형상 부재(13)의 접합부(15)는 전둘레에 걸쳐서 보이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하부재(11)가 고정부재에 부착된 상태에서는, 본체부재(12)의 커버편부(27)의 후단면(27a)의 하측에 하부재(11)의 피가압면(44)이 위치하고, 통형상 부재(13)의 제2 팽출부(32)의 하측에 하부재(11)의 돌편부(45)가 위치한다. 그리고, 도 9와 같이, 하부재(11)의 피가압면(44)은, 본체부재(12)의 커버편부(27)의 후단면(27a)보다도 후방으로 근소하게 돌출한 상태가 된다. 본체부재(12)의 커버편부(27)의 후단면(27a)에 대한 하부재(11)의 피가압면(44)의 후방으로의 돌출량(D)는 근소하여, 1㎜ 이하, 바람직하게는, 0.1㎜ 이상 0.5㎜ 이하이다. 이와 같이 하부재(11)의 피가압면(44)이 본체부재(12)의 커버편부(27)의 후단면(27a)보다도 후방으로 근소하게 돌출한 상태가 되기 때문에, 주로 하부재(11)의 피가압면(44)이 보지용 너트(3)에 의해 전측으로 가압되게 된다.
<보지용 너트(3)>
보지용 너트(3)는 통형상이고, 지름이 일정하여도 좋지만, 본 실시 형태에서는, 지름이 다른 복수의 부분을 갖고 있다. 보지용 너트(3)의 전단부에는, 다른 부분보다도 내경이 큰 통형상의 커버부(50)를 갖고 있다. 보지용 너트(3)는, 그 내주면에, 보지용 수나사부(8)와 나사결합하는 암나사부(51)를 갖고 있는데, 커버부(50)의 내경은 암나사부(51)보다도 크다.
커버부(50)는, 하부재(11)의 돌편부(45)와 통형상 부재(13)의 제2 팽출부(32)를 지름방향 외측에서 덮는다. 커버부(50)의 내주면에는 둘레방향으로 늘어나는 계합홈(52)이 전둘레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다. 즉, 계합홈(52)은 환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당해 보지용 너트(3)의 계합홈(52)에 하부재(11)의 계합 돌조(46)가 계합한다. 계합홈(52)은, 커버부(50)의 내주면 중 선단부로부터 소정 길이 속측(奧側)의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보지용 너트(3)를 체결하여 가면, 보지용 너트(3)의 커버부(50)의 선단부 내주면이 하부재(11)의 돌편부(45)의 계합 돌조(46)를 타고 넘어 가고, 그 후, 보지용 너트(3)의 커버부(50)의 계합홈(52)에 하부재(11)의 돌편부(45)의 계합 돌조(46)가 계합한다.
보지용 너트(3)의 전단면(3a)이, 하부재(11)의 피가압면(44)을 전측으로 가압하는 가압부를 구성하고 있다. 보지용 너트(3)의 커버부(50)의 외주면은, 다른 부분과 동일 지름이라도 좋지만, 본 실시 형태에서는 다른 부분보다도 대경으로 되어 있다. 그 커버부(50)의 외주면의 전단부에는, 환형상의 플랜지부(53)가 지름방향 외측을 향하여 돌설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보지용 너트(3)의 전단부 외주면에 환형상의 플랜지부(53)를 마련함으로써 보지용 너트(3)의 전단면(3a)의 면적을 확대할 수 있다.
커버부(50)의 후측에 암나사부(51)가 형성되어 있고, 당해 암나사부(51)의 후단부로부터 보지용 너트(3)의 후단부까지 사이의 내주면은 평활면으로 되어 있다. 또한, 도 1 및 도 2에 2점 쇄선으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보지용 너트(3)의 외측에는 통형상의 그립체(16)가 장착된다. 당해 그립체(16)는 예를 들면 발포 EVA나 코르크 등으로 이루어진다.
<재질>
본체부재(12), 통형상 부재(13), 하부재(11) 및 보지용 너트(3)는, 어느 것이나 사출성형에 의해 형성하여도 좋다. 재질로서는, 여러가지의 합성 수지라도 좋고, 동일한 재질이라도 좋지만, 다른 재질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본체부재(12)와 하부재(11)는, 통형상 부재(13)나 보지용 너트(3)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강도가 높은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체부재(12)와 하부재(11)의 재질로서는, 섬유 강화 수지가 바람직하고, 특히, 길이가 1㎜ 이하의 단섬유를 강화 섬유로 한 섬유 강화 수지가 바람직하다. 또한, 그 섬유로서는 카본 섬유가 바람직하다. 한편, 통형상 부재(13)와 보지용 너트(3)의 재질도 여러가지의 경질의 합성 수지라면 좋고, 섬유 강화 수지를 사용하는 것도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유리 섬유 강화 나일론 수지제로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릴 시트에서는, 도 12와 같이 보지용 너트(3)를 풀은 상태에서 하부재(11)를 본체부재(12)와 통형상 부재(13)에 하측에서 감합시킨다. 도 13과 같이 하부재(11)는 감합력에 의해 낙하하지 않고서 그 상태를 유지한다. 그리고, 그 상태에서 보지용 너트(3)를 회전시켜서 전측으로 이동시켜 간다. 보지용 너트(3)를 회전시키면서 전측으로 이동시켜서 가면, 이윽고 보지용 너트(3)의 커버부(50)가 하부재(11)의 돌편부(45)에 도달한다. 하부재(11)의 돌편부(45)의 외주면에는 계합 돌조(46)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보지용 너트(3)의 커버부(50)의 내주면은 하부재(11)의 돌편부(45)의 계합 돌조(46)를 타고 넘으면서 전측으로 강제적으로 진행하여 간다. 그리고, 보지용 너트(3)의 커버부(50)의 계합홈(52)이 하부재(11)의 돌편부(45)의 계합 돌조(46)에 계합하면, 보지용 너트(3)의 전단면(3a)이 하부재(11)의 피가압면(44)에 당접하고, 그곳부터 더욱 보지용 너트(3)를 강하게 체결함으로써 보지용 너트(3)가 하부재(11)를 전측으로 가압한다. 이와 같이 하부재(11)가 부착된 상태에서는, 통형상 부재(13)는 보지용 너트(3)에 의해 덮여서 보이지 않게 된다.
하부재(11)의 전단부(40)는 본체부재(12)의 계지부인 경사면(전단차부(24))에 의해 계지되어 있기 때문에, 하부재(11)의 전단부(40)의 하방으로의 낙하가 방지된다. 한편, 하부재(11)의 후단부에서는, 돌편부(45)가 보지용 너트(3)의 커버부(50)에 의해 지름방향 외측에서 덮여 있기 때문에, 하부재(11)의 후단부의 하방으로의 낙하도 방지된다. 게다가, 보지용 너트(3)가 하부재(11)를 전측으로 가압하고 있기 때문에, 하부재(11)는 보지용 너트(3)와 본체부재(12)에 의해 전후로 협지된다. 따라서, 하부재(11)가 흔들거리거나 하는 일 없이 강고한 부착 상태가 얻어진다. 또한, 보지용 너트(3)가 하부재(11)를 전측으로 누르면, 본체부재(12)의 경사면인 전단차부(24)에 의해 하부재(11)의 전단부(40)에는 상측으로의 힘이 작용하게 되어, 하부재(11)가 자동적으로 본체부재(12)측인 상측으로 이동하여 본체부재(12)에 단단히 밀착하게 된다.
하부재(11)는 보지용 너트(3)에 의해 가압되기 때문에, 하부재(11)의 전후방향의 중도부가 하방으로 휠 가능성이 있지만, 본체부재(12)에 중간 계지부로서의 계지 볼록부(26)가 형성되어 있고 하부재(11)의 계지 오목부(43)에 계합하고 있기 때문에, 하부재(11)의 전후방향의 중도부가 하방으로 휘거나 이동하거나 하기 어렵게 되고, 보다 한층 단단히 하부재(11)가 고정된다. 특히, 계지 볼록부(26)나 계지 오목부(43)가 본체부재(12)의 경사면(전단차부(24))와 같은 방향으로 경사하고 있기 때문에, 보지용 너트(3)에 의해 하부재(11)가 전측으로 눌러짐으로써, 하부재(11)의 전단부(40)뿐만 아니라 중도부에서도 상측으로의 힘이 작용하게 되어, 하부재(11)를 전체 길이에 걸쳐서 단단히 본체부재(12)에 꽉눌러서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나아가, 하부재(11)의 돌편부(45)의 외주면에 계합 돌조(46)가 형성되어 있고 보지용 너트(3)의 계합홈(52)에 계합하기 때문에, 하부재(11)를 보다 한층 강고하게 고정할 수 있고, 또한, 부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특히, 돌편부(45)가 하측의 반주분을 넘어서 상측으로 늘어나 있고 그 둘레방향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계합 돌조(46)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계합홈(52)과 계합 돌조(46)와의 계합 상태가 보다 한층 확실한 것으로 되고, 하부재(11)의 고정력을 높일 수 있다. 게다가, 그 돌편부(45)보다도 더욱 상측까지 피가압면(44)이 늘어나 있기 때문에, 보지용 너트(3)에 의한 가압력도 확실하게 하부재(11)에 작용시킬 수 있다.
한편, 하부재(11)를 떼어낼 때에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부재(11)가 부착된 상태로부터, 도 13과 같이 보지용 너트(3)를 반대측으로 회전시켜서 후진시켜, 도 12와 같이 하부재(11)를 하방으로 잡아당김으로써 용이하게 고정부재로부터 떼어낼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트리거(9)의 형상이나 위치, 또는, 하부재(11)의 재질이나 색, 디자인 등이 다른 타 하부재(11)로 용이하게 교환할 수가 있어서, 낚시꾼의 기호나 릴의 종류, 대상어(對象魚)나 상황 등에 응하여, 낚시꾼이 자유롭게 릴 시트를 커스터마이즈하여 즐길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상술한 하부재(11)에는 관통구멍(10)이 형성되어 있는데, 기호나 상황 등에 응하여, 관통구멍(10)이 없는 하부재(11)로 교환한다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은 하부재(11)의 교환은, 낚싯대에 릴 시트가 부착된 상태인 채로 행할 수 있기 때문에, 낚시꾼 스스로가 용이하게 교환할 수 있고, 예를 들면, 낚시의 현장에서도 용이하게 교환할 수 있고, 또한, 릴을 부착한 상태인 채로도 교환할 수 있다. 특히, 보지용 너트의 조작만으로 교환할 수 있기 때문에, 교환 작업은 극히 간단하고 재빠르게 교환할 수 있다. 또한, 하부재(11)를 떼어내도, 릴 시트에는 릴 다리 재치면(5)이나 고정 후드부(6), 가동 후드, 후드용 너트가 그대로 남아 있기 때문에, 하부재(11)를 떼어낸 릴 시트에 릴을 장착하고 낚시를 행하는 것도 가능하고, 그러한 의미에서 하부재(11)를 옵션적인 취급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고정부재를 하나의 부재로서 구성하는 것이 아니고, 본체부재(12)와 통형상 부재(13)로 나누어서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예를 들면 제조측에서 낚싯대의 종류에 응하여 보지용 수나사부(8)의 위치나 길이를 사양 변경할 필요가 생긴 경우에도, 통형상 부재(13)만을 금형 변경하여 대응하면 족하고, 본체부재(12)의 금형을 변경할 필요가 없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보지 부재로서의 보지용 너트(3)가 직접 하부재(11)를 가압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지만, 보지용 너트(3)가 다른 부재를 통하여 하부재(11)를 간접적으로 가압하는 구성이라도 좋다. 예를 들면, 도 14와 같이 보지 부재로서 보지용 너트(3)와 가압 통체(17)를 구비하는 구성이라도 좋다. 보지용 너트(3)는 하부재(11)로부터 후방으로 떨어진 위치에 있고, 그 보지용 너트(3)와 하부재(11)와의 사이에 가압 통체(17)가 위치하고 있다. 가압 통체(17)는 통형상 부재(13)에 외장되어 있고 그 통형상 부재(13)에 대해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지만 축선 주위로 회전할 수는 없다. 즉, 가압 통체(17)의 후단부는 보지용 너트(3)의 전단부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계지되어 있고, 보지용 너트(3)가 회전하여도 가압 통체(17)는 회전하지 않는다. 따라서, 보지용 너트(3)를 회전시킴에 의해, 가압 통체(17)를 전후로 슬라이드 이동시킬 수 있다. 이 경우, 가압 통체(17)의 전단면(17a)이 하부재(11)의 피가압면(44)을 가압한다. 따라서, 가압 통체(17)의 전단면(17a)이 가압부가 된다. 또한, 가압 통체(17)의 전단부에 통형상의 커버부(50)가 형성되고 그 내주면에 계합홈(52)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보지용 너트(3)와 하부재(11)와의 사이에 가압 통체(17)를 구비하는 구성에서는, 보지용 너트(3)가 하부재(11)로부터 후방으로 떨어지게 된다. 그 때문에, 통형상 부재(13)도 그에 응하여 전체 길이가 길어지고, 그 뒷부분 외주면에 보지용 수나사부(8)를 구비하게 된다. 또한, 통형상 부재(13)의 앞부분 외주면에는, 가압 통체(17)의 내주면의 돌조(도시 생략)가 계합하는 오목홈(도시 생략)이 전후방향에 따라 형성되고, 이에 의해 가압 통체(17)는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이라도 본체부재(12)는 상술한 구성과 같기 때문에, 본체부재(12)의 금형을 변경할 필요가 없고, 통형상 부재(13)의 금형만을 변경하면 좋다. 또한, 이 구성에서는, 도 14에 2점 쇄선으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가압 통체(17)의 외측에 통형상의 그립체(16)가 장착되고, 그 그립체(16)의 후측에 보지용 너트(3)가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낚시를 행할 때에, 릴을 파지한 손이 보지용 너트(3)에 접촉하기 어려워져서, 보지용 너트(3)가 느슨해지기 어려워진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하부재(11)가 트리거(9)를 구비한 구성이었지만, 트리거(9)를 구비하지 않는 구성이라도 좋다.
1 : 장대 본체
3 : 보지용 너트(보지 부재)
3a : 전단면(가압부)
4 : 장대 삽통구멍
5 : 릴 다리 재치면
6 : 고정 후드부
7 : 후드용 수나사부
8 : 보지용 수나사부
9 : 트리거
10 : 관통구멍
11 : 하부재
12 : 본체부재
12a : 후단면
13 : 통형상 부재
13a : 전단면
14 : 나사
15 : 접합부
16 : 그립체
17 : 가압 통체(보지 부재)
17a : 전단면(가압부)
20 : 전통부
21 : 반할형상부
22 : 후통부
23 : 중합면
24 : 전단차부(경사면, 받이부, 계지부)
25 : 상단차부
26 : 계지 볼록부(중간 계지부)
27 : 커버편부
27a : 후단면
28 : 아래구멍
31 : 제1 팽출부
32 : 제2 팽출부
33 : 스폿페이싱 오목부
34 : 나사용 관통구멍
35 : 오목홈
40 : 전단부
41 : 중합면
42 : 장대 삽통구멍의 벽면
43 : 계지 오목부
44 : 피가압면
44a : 둘레방향의 단부
45 : 돌편부
45a : 둘레방향의 단부
46 : 계합 돌조
50 : 커버부
51 : 암나사부
52 : 계합홈
53 : 플랜지부

Claims (11)

  1. 장대 본체의 소정 위치에 부착되는 릴 시트로서,
    상기 장대 본체에 고정되고, 릴 다리가 재치되는 릴 다리 재치면을 상면에 갖는 고정부재와,
    당해 고정부재와는 별체의 구성으로서, 상기 릴 다리 재치면과는 반대측의 하측 영역을 구성하고, 상기 고정부재가 상기 장대 본체에 부착된 상태에서 당해 고정부재에 착탈 자유롭게 부착 가능한 하부재, 및
    당해 하부재의 상기 고정부재에의 부착 상태를 보지(保持)하기 위한 보지 부재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보지 부재는, 상기 하부재의 축선방향 타단부를 축선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부를 갖고 있고,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하부재의 축선방향 일단부를 받아 내는 받이부를 갖고 있고,
    상기 고정부재와 상기 보지 부재로 상기 하부재를 축선방향으로 협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 시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이부는, 축선방향 일단부측일수록 상측을 향하는 경사면을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 시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재의 계지 오목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하부재의 상기 계지 오목부에 계합하는 중간 계지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중간 계지부와 상기 하부재의 상기 계지 오목부는 축선방향 일단부측일수록 상측을 향하도록 경사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 시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릴 다리의 일방의 단부가 삽입되는 고정 후드부와, 축선방향 일단부측의 외주면에 위치하고, 상기 릴 다리의 타방의 단부가 삽입되는 가동 후드를 축선방향으로 이동시킴과 함께 소정 위치에 고정하기 위한 후드용 너트가 나사결합하는 후드용 수나사부와, 고정 후드부보다도 축선방향 타단부측의 외주면에 위치하는 보지용 수나사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보지 부재는, 상기 고정부재의 보지용 수나사부에 나사결합하는 보지용 너트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 시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재의 축선방향 타단부는 축선방향으로 보아 둘레방향으로 만곡한 형상이고,
    당해 하부재의 축선방향 타단부에는, 축선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피가압면과, 당해 피가압면의 지름방향 내측의 위치로부터 축선방향으로 돌출하는 돌편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보지 부재는 통형상으로서 그 일단부가 통형상의 커버부를 구성하고, 상기 보지 부재의 일단면이 상기 가압부를 구성하고 있고,
    상기 보지 부재의 통형상의 커버부가 상기 하부재의 돌편부를 지름방향 외측에서 덮음과 함께 상기 보지 부재의 일단면이 상기 하부재의 피가압면을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 시트.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재의 돌편부는 둘레방향에 따라 늘어난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 시트.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돌편부는, 하측의 반주분을 넘어서 상측으로 늘어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 시트.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피가압면은 상기 돌편부보다도 상측으로 늘어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 시트.
  9. 제4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사출성형품으로서 릴 다리 재치면과 고정 후드부와 후드용 수나사부가 형성되고,
    사출성형품으로서 본체부재와 하나의 부재의 통형상 부재를 구비하고,
    당해 통형상 부재에 보지용 수나사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 시트.
  10.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릴 시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싯대.
  11. 릴 다리가 재치되는 릴 다리 재치면을 상면에 가짐과 함께 장대 본체에 고정되는 릴 시트의 고정부재에 착탈 자유롭게 부착 가능하고,
    상기 릴 다리 재치면과는 반대측의 하측 영역을 구성하고, 상기 고정부재에의 부착 상태가 상기 릴 시트의 보지 부재에 의해 보지되는, 릴 시트의 하부재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에의 부착 상태에 있어서, 상기 하부재의 축선방향 일단부가 상기 고정부재의 받이부에 의해 받아 내지고,
    상기 고정부재와 상기 보지 부재로 축선방향으로 협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 시트의 하부재.
KR1020217004138A 2016-08-19 2017-08-17 릴 시트 및 낚싯대 KR10225673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160950 2016-08-19
JP2016160950A JP6793496B2 (ja) 2016-08-19 2016-08-19 リールシート及び釣竿並びにリールシートの下部材
PCT/JP2017/029572 WO2018034329A1 (ja) 2016-08-19 2017-08-17 リールシート及び釣竿
KR1020187036060A KR102218747B1 (ko) 2016-08-19 2017-08-17 릴 시트 및 낚싯대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36060A Division KR102218747B1 (ko) 2016-08-19 2017-08-17 릴 시트 및 낚싯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9589A KR20210019589A (ko) 2021-02-22
KR102256739B1 true KR102256739B1 (ko) 2021-05-26

Family

ID=6119729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4138A KR102256739B1 (ko) 2016-08-19 2017-08-17 릴 시트 및 낚싯대
KR1020187036060A KR102218747B1 (ko) 2016-08-19 2017-08-17 릴 시트 및 낚싯대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36060A KR102218747B1 (ko) 2016-08-19 2017-08-17 릴 시트 및 낚싯대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206820B2 (ko)
JP (1) JP6793496B2 (ko)
KR (2) KR102256739B1 (ko)
CN (1) CN109310074B (ko)
WO (1) WO201803432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9220A (ko) 2021-06-18 2022-12-27 이재일 양방향으로 릴 시트를 구비한 조상기용 낚싯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7244B1 (ko) * 2018-11-29 2020-10-19 진성규 릴 시트
US10791723B2 (en) * 2018-12-13 2020-10-06 GLV International, LLC Combination spinning reel seat handle system
JP1663229S (ko) * 2020-01-23 2020-07-06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48756Y2 (ja) 1991-08-08 1997-09-24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釣 竿
US20150040463A1 (en) 2013-08-09 2015-02-12 Yi-Te Lin Support Device For A Fishing Reel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186515A (en) * 1937-09-13 1940-01-09 Leo A Yuncker Adjustable finger grip for fishing rods
US2583831A (en) * 1947-06-10 1952-01-29 Goergen John Collet chuck for fishing pole handles
US2583909A (en) * 1949-09-30 1952-01-29 William C Warth Fishing rod handle
US2839863A (en) * 1954-05-04 1958-06-24 Heffel Harold Reel clamp
US3772817A (en) * 1972-01-07 1973-11-20 Daggem Inc Handle and reel mount construction
US3744173A (en) * 1972-06-05 1973-07-10 M Puyear Fishing rod for closed face spinning reels
US3962813A (en) * 1975-05-19 1976-06-15 Moon Paul G Target fishing rod
US4601127A (en) * 1983-07-28 1986-07-22 Shimano Industrial Company Limited Fishing rod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JPS61177933A (ja) * 1985-01-31 1986-08-09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釣竿
US4648196A (en) * 1985-11-04 1987-03-10 Moody Dale M Protected hand grip assembly for anglers
US4860484A (en) * 1986-07-14 1989-08-29 Green Milton J Reel seat structures for fishing rods
JPH0159064U (ko) * 1987-10-07 1989-04-13
JPH0753492Y2 (ja) * 1987-11-25 1995-12-13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釣竿用ハンドル
US4850130A (en) * 1988-08-10 1989-07-25 Lew Childre & Sons, Inc. Sliding foregrip for a fishing rod
JPH02174624A (ja) * 1988-12-27 1990-07-06 Aakisutoriaru:Kk リール支持部材及び該部材とグリップとのアセンブリ
US5194207A (en) * 1990-06-14 1993-03-16 Shimano, Inc. Fishing rod manufacturing method
EP0563994B1 (en) * 1992-04-03 2000-01-19 Daiwa Seiko Inc. Reel leg fixing device for fishing rod
JP3778533B2 (ja) * 1997-05-09 2006-05-24 株式会社シマノ トリガーハンドル及びこれを設けた釣竿
JP4412693B2 (ja) 2000-12-11 2010-02-10 株式会社シマノ リールシート
JP4068388B2 (ja) * 2002-02-07 2008-03-26 メガバス株式会社 釣り竿
JP4722049B2 (ja) * 2004-08-23 2011-07-13 株式会社シマノ 釣り竿と釣り竿用リールシート
US9814224B2 (en) * 2011-06-16 2017-11-14 Matt Christopher Doucet Line cutter for fishing rod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48756Y2 (ja) 1991-08-08 1997-09-24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釣 竿
US20150040463A1 (en) 2013-08-09 2015-02-12 Yi-Te Lin Support Device For A Fishing Reel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9220A (ko) 2021-06-18 2022-12-27 이재일 양방향으로 릴 시트를 구비한 조상기용 낚싯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9589A (ko) 2021-02-22
JP6793496B2 (ja) 2020-12-02
KR102218747B1 (ko) 2021-02-22
US20190166816A1 (en) 2019-06-06
KR20190007029A (ko) 2019-01-21
WO2018034329A1 (ja) 2018-02-22
CN109310074B (zh) 2021-04-30
US11206820B2 (en) 2021-12-28
CN109310074A (zh) 2019-02-05
JP2018027053A (ja) 2018-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56739B1 (ko) 릴 시트 및 낚싯대
KR102352479B1 (ko) 릴시트 및 낚싯대
US9832981B2 (en) Movable hood for reel seat, reel seat, and fishing rod including same
CN106472446B (zh) 钓线引导件、钓竿
CN111225559B (zh) 钓竿
US6745652B2 (en) Tool combining rod
JP4812009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取付用のリールシート
JP2022055420A (ja) リールシート
JP2021010385A (ja) リールシート及び釣竿
JP5570342B2 (ja) ルアー
JP4547709B2 (ja) 釣竿
JP6876015B2 (ja) 釣竿用リールシート及び釣竿
JP4469582B2 (ja) クリップ取付構造
JP6898221B2 (ja) 釣竿用リールシート及び釣竿
JP6532216B2 (ja) グリップの取付構造
KR102413380B1 (ko) 더블락킹수단을 구비한 낚시대
EP2371577A1 (en) Positioning ferrule structure for spoke of wheel rim
KR200488805Y1 (ko) 목재 자루가 구비된 샤프펜슬
JP2017018505A (ja) 容易にカートリッジを着脱できるアプリケータ
JPS59240Y2 (ja) シヤ−プペンシル
JPH07116741A (ja) マンドレル装置
EP1424166A1 (en) Socket bit holder
JP2011172518A (ja) 釣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