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4352B1 - 시트 급송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 Google Patents

시트 급송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4352B1
KR102254352B1 KR1020180048849A KR20180048849A KR102254352B1 KR 102254352 B1 KR102254352 B1 KR 102254352B1 KR 1020180048849 A KR1020180048849 A KR 1020180048849A KR 20180048849 A KR20180048849 A KR 20180048849A KR 102254352 B1 KR102254352 B1 KR 1022543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loading
detection unit
sheet feeding
casset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88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23966A (ko
Inventor
도모야 다테이시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1239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39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43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43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00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 B65H3/02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using friction forces between articles and separator
    • B65H3/06Rollers or like rotary separators
    • B65H3/0638Construction of the rollers or like rotary separato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5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copy material
    • G03G15/6502Supplying of sheet copy material; Cassett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00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 B65H1/04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adapted to support articles substantially horizontally, e.g. for separation from top of pi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00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 B65H1/26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with auxiliary supports to facilitate introduction or renewal of the pile
    • B65H1/266Support fully or partially removable from the handling machine, e.g. cassette, draw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00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 B65H3/02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using friction forces between articles and separator
    • B65H3/06Rollers or like rotary separators
    • B65H3/0653Rollers or like rotary separators for separating substantially vertically stack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00Controlling article feeding, separating, pile-advancing, or associated apparatus, to take account of incorrect feeding, absence of articles, or presence of faulty articles
    • B65H7/02Controlling article feeding, separating, pile-advancing, or associated apparatus, to take account of incorrect feeding, absence of articles, or presence of faulty articles by feelers or det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00Controlling article feeding, separating, pile-advancing, or associated apparatus, to take account of incorrect feeding, absence of articles, or presence of faulty articles
    • B65H7/02Controlling article feeding, separating, pile-advancing, or associated apparatus, to take account of incorrect feeding, absence of articles, or presence of faulty articles by feelers or detectors
    • B65H7/14Controlling article feeding, separating, pile-advancing, or associated apparatus, to take account of incorrect feeding, absence of articles, or presence of faulty articles by feelers or detectors by photoelectric feelers or detecto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50Machine control of 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e.g. regulating differents parts of the machine, multimode copiers, microprocessor control
    • G03G15/5029Machine control of 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e.g. regulating differents parts of the machine, multimode copiers, microprocessor control by measuring the copy material characteristics, e.g. weight, thicknes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0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originals
    • G03G15/607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originals for detecting size, presence or position of original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5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copy material
    • G03G15/6502Supplying of sheet copy material; Cassettes therefor
    • G03G15/6511Feeding devices for picking up or separation of copy she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567Handling of original or reproduction media, e.g. cutting, separating, stacking
    • H04N1/0057Conveying sheets before or after scanning
    • H04N1/00599Using specific components
    • H04N1/00602Feed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5/00Parts for hol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5/10Cassettes, holders, bins, decks, trays, supports or magazines for sheets stacked substantially horizontally
    • B65H2405/11Parts and details thereof
    • B65H2405/113Front, i.e. portion adjacent to the feeding / delivering s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11/00Dimensions; Position; Numbers; Identification; Occurrences
    • B65H2511/10Size; Dimens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11/00Dimensions; Position; Numbers; Identification; Occurrences
    • B65H2511/50Occurence
    • B65H2511/51Prese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11/00Dimensions; Position; Numbers; Identification; Occurrences
    • B65H2511/50Occurence
    • B65H2511/515Abse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53/00Sensing or detecting means
    • B65H2553/60Details of intermediate means between the sensing means and the element to be sensed
    • B65H2553/61Mechanical means, e.g. contact a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1Dimensional aspect of article or web
    • B65H2701/113Size
    • B65H2701/1131Size of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801/00Application field
    • B65H2801/03Image reproduction devices
    • B65H2801/06Office-type machines, e.g. photocopi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362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relating to the copy medium handling
    • G03G2215/00535Stable handling of copy medium
    • G03G2215/00717Detection of physical properties
    • G03G2215/00734Detection of physical properties of sheet siz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 Controlling Sheets Or Webs (AREA)

Abstract

시트 급송 장치는, 시트가 적재되는 적재면을 포함하는 적재부, 상기 적재면에 적재된 시트를 급송하도록 구성되는 급송부, 상기 적재면에 적재된 시트의 에지에 접촉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시트의 적재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접촉면을 포함하는 맞닿음 부재로서, 상기 맞닿음 부재는 상기 접촉면이 상기 적재면에 적재된 시트에 의해 가압되는 경우에 적재 방향에 평행한 단면에서 상기 접촉면과 상기 시트의 에지 사이에 일정한 접촉 각을 갖는 상태로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맞닿음 부재, 및 상기 맞닿음 부재의 위치에 따라 검지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검지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시트 급송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SHEET FEED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본 발명은, 시트를 급송하는 시트 급송 장치 및 시트 급송 장치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프린터 등의 화상 형성 장치는 카세트에 수용된 시트를 검지하는 시트 검지 센서를 갖고 있다. 공지된 시트 검지 센서는 플래그 부재 및 광학 센서를 포함한다. 플래그 부재는 카세트에 수용된 시트의 상면에 접촉하여 피봇된다. 광학 센서는 플래그 부재가 광학 경로를 차폐할 때 신호를 변화시킨다.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16-94284호는 센서 아암을 갖는 용지 검지 장치를 제안한다. 센서 아암은, 센서 아암이 시트의 선단 에지에 접촉할 때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 축을 중심으로 수직 방향을 향해 회전한다. 즉, 센서 아암은, 시트를 수용하는 카세트가 장치 본체에 부착될 때 상방으로 회전하고, 이에 의해 시트의 선단 에지는 센서 아암을 가압한다. 이 동작에 의해, 광학 스위치가 ON된다.
그러나,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16-94284호에 기재된 센서 아암은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 축을 중심으로 수직 방향을 향해 회전하기 때문에, 카세트가 장치 본체에 부착되는 동안 수직 방향의 센서 아암의 높이는 변화한다. 결과적으로, 수직면에 있어서의 센서 아암과 시트 사이의 접촉 각 또한 변화한다. 이 변화에 의해, 센서 아암을 가압하는 시트의 힘 또한 변화한다. 특히, 저강성 시트가 사용되는 경우, 시트는 센서 아암을 가압할 수 없으며 휘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시트 급송 장치는, 시트가 적재되는 적재면을 포함하는 적재부, 상기 적재면에 적재된 시트를 급송하도록 구성되는 급송부, 상기 적재면에 적재된 상기 시트의 에지에 접촉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시트의 적재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접촉면을 포함하는 맞닿음 부재로서, 상기 맞닿음 부재는 상기 접촉면이 상기 적재면에 적재된 상기 시트에 의해 가압되는 경우에 상기 적재 방향에 평행한 단면에서 상기 접촉면과 상기 시트의 에지 사이에 일정한 접촉 각을 갖는 상태로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맞닿음 부재, 및 상기 맞닿음 부재의 위치에 따라 검지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검지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특징은 첨부된 도면을 참고한 예시적인 실시예에 대한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도 1은 제1 실시예의 프린터의 전체 개략도이다.
도 2는 시트 급송 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a는 시트 검지 유닛 및 카세트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3b는 시트 검지 유닛 및 카세트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4a는 레버의 이동 궤적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4b는 레버의 이동 궤적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5는 작은 사이즈 시트가 적재된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6a는 시트가 완전히 적재된 상태의 시트 급송 장치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6b는 시트가 조금 적재된 상태의 시트 급송 장치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7은 제2 실시예의 시트 급송 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8은 접촉면을 도시하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9는 비교예의 시트 급송 장치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제1 실시예의 제어부의 제어 블록도이다.
제1 실시예
전체 구성
먼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화상 형성 장치로서의 프린터(100)는 전자사진방식 레이저 빔 프린터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린터(100)는 시트(S)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부(20), 시트 급송 장치(60), 및 정착 장치(30)를 포함한다. 화상 형성부(20)는 4개의 프로세스 카트리지(PY, PM, PC, PK) 및 스캐너 유닛(2)을 포함한다. 4개의 프로세스 카트리지(PY, PM, PC, PK)는 옐로우(Y), 마젠타(M), 시안(C) 및 블랙(K)의 4개의 토너상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된다.
4개의 프로세스 카트리지(PY, PM, PC, PK)는, 상이한 색의 화상을 형성하는 것을 제외하고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이런 이유로, 프로세스 카트리지(PY)의 구성 및 화상 형성 프로세스를 대표예로서 설명하고, 다른 프로세스 카트리지(PM, PC, PK)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PY)는, 감광 드럼(11a), 대전 롤러(도시되지 않음), 및 현상 롤러(12a)를 포함한다. 감광 드럼(11a)은, 알루미늄 실린더의 외주가 유기 광도전층으로 도포되고, 구동 모터(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회전되는 구성을 갖는다. 중간 전사 벨트(21)는, 구동 롤러(22), 종동 롤러(24) 및 텐션 롤러(23) 주위에 권취되고 신장되며, 구동 롤러(22)에 의해 회전된다. 중간 전사 벨트(21)의 내측에는, 1차 전사 롤러(25a, 25b, 25c, 25d)가 제공된다. 정착 장치(30)는 정착 필름(31) 및 가압 롤러(32)를 포함한다. 정착 필름(31)은 가열 유닛으로의 역할을 하는 히터에 의해 가열된다. 가압 롤러(32)는 정착 필름(31)과 압접하고 있다. 시트 급송 장치(60)는, 프린터(100)의 하부에 배치되고, 시트(S)를 수용하고 있다.
이어서, 이와 같이 구성된 프린터(100)의 화상 형성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스캐너 유닛(2)이 퍼스널 컴퓨터(도시하지 않은 ) 등의 장치로부터 화상 신호를 수신하면, 스캐너 유닛(2)은 화상 신호에 대응하는 레이저 빔을 프로세스 카트리지(PY)의 감광 드럼(11a)에 조사한다.
이때, 감광 드럼(11a)의 표면은, 대전 롤러에 의해, 미리결정된 극성 및 전위를 갖도록 균일하게 대전되어 있다. 따라서, 감광 드럼(11a)에 스캐너 유닛(2)에 의해 레이저 빔이 조사되면, 감광 드럼(11a)의 표면에 정전 잠상이 형성된다. 감광 드럼(11a)에 형성된 정전 잠상은, 현상 롤러(12a)에 의해 현상되고, 감광 드럼(11a) 위에 옐로우(Y)의 토너상이 형성된다.
마찬가지로, 프로세스 카트리지(PM, PC, PK)의 감광 드럼에도 스캐너 유닛(2)에 의해 레이저 빔이 조사되고, 각 감광 드럼에 마젠타(M), 시안(C) 및 블랙(K)의 토너상이 형성된다. 각 감광 드럼 상에 형성된 그들 색의 토너상은, 1차 전사 롤러(25a, 25b, 25c, 25d)에 의해 중간 전사 벨트(21)에 전사되고, 구동 롤러(22)에 의해 회전하는 중간 전사 벨트(21)에 의해 2차 전사 롤러(26)까지 반송된다. 여기서, 각 색의 화상 형성 프로세스는, 각 색의 토너상이 상류 프로세스에서 중간 전사 벨트(21) 위에 1차 전사된 토너상에 중첩하도록 행해진다.
이 화상 형성 프로세스가 행해지는 동안, 시트 급송 장치(60)에 수용된 시트(S)는, 급송부로서의 픽업 롤러(62)에 송출된 후, 급송 롤러(63a) 및 분리 롤러(63b)에 의해 1매씩 분리되어 반송된다. 그리고, 중간 전사 벨트(21)에 형성된 풀컬러 토너상이 2차 전사 롤러(26)에 인가된 2차 전사 바이어스에 의해 각각의 시트(S)에 전사된다.
토너상이 전사된 시트(S)에는, 정착 장치(30)의 정착 필름(31) 및 가압 롤러(32)에 의해 미리결정된 열 및 압력이 부여된다. 결과적으로, 토너가 용융되고 응고되어 시트(S)에 부착된다(즉, 토너가 시트(S)에 정착된다). 정착 장치(30)를 통과한 시트(S)는 배출부(40)의 배출 롤러 쌍(41)에 의해 배출 트레이(50)에 배출된다. 파선으로 형성된 도 1의 화살표는 시트 급송 장치(60)로부터 배출 롤러 쌍(41)으로 연장되는 반송 경로의 예를 나타낸다. 시트(S)는 반송 경로를 따라 반송된다.
시트 급송 장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 급송 장치(60)는 카세트(61) 및 시트 지지부(64)를 포함한다. 카세트(61)는 장치 본체(100A)의 하부에 배치되는 카세트 부착부에 부착될 수 있고 그로부터 인출될 수 있다(도 1 참조). 시트 지지부(64)는 카세트(61)에 의해 지지된다. 지지부로서의 카세트(61) 및 이동부로서의 시트 지지부(64)는 적재부(160)를 구성한다. 카세트(61)는, 상부가 개방된 박스처럼 형성되고, 베이스판(61B), 측판(61F, 61R, 61L) 및 후방 측판(도시하지 않음)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프린터(100)의 전방 방향이 도 1의 우측 방향에 대응하고, 프린터(100)의 후방 방향이 도 1의 좌측 방향에 대응하고, 전방 방향은 화상 형성부(20)의 프로세스 카트리지(PK)가 배치되는 방향에 대응하며, 후방 방향은 프로세스 카트리지(PY)가 배치되는 방향에 대응한다는 정의를 사용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카세트(61)는 도 1의 우측 방향으로부터 좌측 방향을 향해서 장치 본체(100A)에 부착된다. 도 2에서, 카세트(61)는, 측판(61L)이 부착 방향에 있어서 전방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부착 방향에 있어서 적재 중심선(Lc)을 따라 장치 본체(100A)에 부착된다(도 1 참조).
시트 지지부(64)는, 시트 지지부(64)가 카세트(61)의 측판(61F, 61R)에 대해 지지점(61a)을 중심으로 피봇할 수 있도록 지지된다. 적재면(64b)은 시트 지지부(64)의 상면이며, 시트(S)는 적재면(64b)에 적재된다. 시트 지지부(64)는, 시트(S)가 세트될 때 시트 지지부(64)가 위치설정되는 제1 위치와, 시트(S)가 급송될 때 시트 지지부(64)가 위치설정되는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다. 즉, 제1 위치는 도 3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시트 지지부(64)가 베이스판(61B)에 더 가까운 하위 위치이며, 제2 위치는 시트 지지부(64)에 적재된 시트(S)가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픽업 롤러(62)에 의해 급송될 수 있는 상위 위치이다.
시트 지지부(64)를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상승시키기 위한 구성 및 제어 방법을 도 10의 제어 블록도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시트 지지부(64)는 구동원으로서의 모터(M)의 구동력에 의해 상방으로 피봇되는 리프터판(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상방으로 가압된다. 이 동작에 의해, 시트 지지부(64)의 선단 에지측(도 2에서 우측)은 지지점(61a)에서 상방으로 피봇된다. 시트 급송 장치(60)는 적재면(64b)에 적재된 시트의 상면을 검지하는 시트면 검지 센서(S1)를 포함한다. CPU, ROM, 및 RAM을 포함하는 제어부(C)가 시트면 검지 센서(S1)로부터의 검지 신호에 따라 모터(M)를 제어하며, 시트 지지부(64)를 제2 위치로 상승시키고 그것을 제2 위치에 정지시킨다. 그리고, 픽업 롤러(62)는 시트 지지부(64)에 적재된 시트의 상면에 접촉하고, 회전함으로써 시트를 급송한다. 하나의 시트가 급송된 후, 시트의 상면의 위치는 낮아진다. 그리고, 모터(M)가 시트면 검지 센서(S1)로부터의 검지 신호에 따라 구동되고, 시트 지지부(64)를 상승시킨다.
시트 지지부(64)는 모터(M)에 의해 구동력이 부여되는 지지점(61a)에 의해 직접적으로 피봇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구동력이 사용되지 않을 수 있고, 시트 지지부(64)는 스프링을 사용하여 상방으로 가압될 수 있다. 이 구성에서, 카세트가 장치 본체에 부착되기 전에, 시트 지지부(64)는 시트가 급송될 수 있는 제1 위치에서 로크 기구에 의해 스프링의 가압력에 대해 로크될 수 있으며; 카세트가 장치 본체에 부착될 때, 로크가 해제되어 스프링이 시트 지지부(64)를 상방으로 가압할 수 있다.
카세트(61)의 베이스판(61B)에서, 사이드 규제판(65F, 65R)이 이동가능하게 지지된다. 사이드 규제판(65F, 65R)은, 시트의 반송 방향에 직교하는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각각의 랙(도시하지 않음)을 갖는다. 랙은 각각 대응하는 피니언에 계합되고, 그래서 사이드 규제판(65F, 65R)은 적재 중심선(Lc)에 대해 시트의 폭 방향에 있어서 서로 대칭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즉, 사이드 규제판(65F)이 폭 방향으로 이동하면, 사이드 규제판(65R) 또한 이동한다. 이와 같이 하여, 사이드 규제판(65F, 65R)은, 시트 지지부(64)에 적재된 시트의 폭 방향에 있어서 양 에지부를 규제할 수 있다. 따라서, 시트는, 적재 중심선(Lc)을 기준으로 하여, 서로 완전히 중첩된다. 적재 중심선(Lc)은, 프린터(100)에서 시트가 반송되는 기준선, 즉 폭 방향에 있어서 위치설정되는 시트 반송 경로의 중심점을 연결하는 선과 정렬된다. 시트는, 폭 방향의 시트의 각각의 중심부가 적재 중심선(Lc) 및 기준선에서 이동하도록 반송된다. 또한, 카세트(61)의 베이스판(61B)에는, 시트(S)의 카세트 부착 방향의 하류 에지를 규제하는 후단 에지 규제판(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된다. 후단 에지 규제판은, 베이스판(61B)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고, 후단 에지 규제판이 시트의 사이즈에 맞도록 카세트 부착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지지된다.
카세트(61)의 측판(61L)에는 카세트 부착 방향으로 향해 돌출하는 리브(61b)가 제공된다. 또한, 장치 본체(100A)(도 1 참조)에는 광학 센서를 포함하는 부착 검지부인 카세트 검지 센서(66)가 제공된다. 카세트(61)가 장치 본체(100A)에 부착될 때, 리브(61b)는 카세트 검지 센서(66)의 광학 경로를 차폐하고, 따라서 카세트 검지 센서(66)는 ON된다. 이 동작에 의해, 카세트(61)의 부착이 검지될 수 있다. 여기서, 장치 본체(100A)에 대한 카세트(61)의 부착은, 카세트 검지 센서(66)의 광학 경로가 리브(61b)에 의해 차폐될 때(즉, 광이 차폐될 때) 생성되는 검지 신호에 따라, 도 10에 도시된 제어부(C)에 의해 검지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어부(C)가 카세트 검지 센서(66)로부터의 검지 신호에 따라 카세트(61)의 부착을 검지할 때, 제어부(C)는 모터(M)를 제어함으로써 시트 지지부(64)를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상승시킨다. 따라서, 카세트(61)가 장치 본체(100A)에 부착된 상태에서, 시트 지지부(64)는 제2 위치에 위치설정된다. 또한, 장치 본체(100A)의 카세트 부착부에는, 시트 검지 유닛(70)이 카세트(61)의 측판(61L)에 대향하도록 시트 검지 유닛(70)이 제공된다.
시트 검지 유닛
이어서, 시트 검지 유닛(70)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지부로서의 시트 검지 유닛(70)은, 장치 본체(100A)에 고정된 홀더(74), 맞닿음 부재로서의 레버(71), 광학 센서(72), 및 가압 스프링(73)을 포함한다. 레버(71)는, 레버(71)가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피봇 축(74a)의 피봇 축선(74c)을 중심으로 피봇할 수 있도록 홀더(74)에 의해 지지된다. 또한, 레버(71)는 화살표 B로 나타낸 방향을 향해 가압 스프링(73)에 의해 가압된다. 가압 스프링(73)에 의해 가압되는 레버(71)는 홀더(74)에 제공된 스토퍼(74b)에 의해 위치설정된다. 광학 센서(72)는 발광부와 수광부(양자 모두 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한다. 광학 센서(72)는, 발광부와 수광부 사이의 광학 경로가 차폐될 때, 및 광학 경로가 차폐되지 않을 때 신호를 생성한다. 광학 경로가 차폐될 때 생성된 신호는 광학 경로가 차폐되지 않을 때 생성되는 신호와 상이하다. 레버(71)의 선단부에는, 시트의 에지가 접촉하는 접촉면(71a)이 제공된다. 접촉면(71a)은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접촉면(71a)의 연장 방향은 피봇 축(74a)의 피봇 축선(74c)과 실질적으로 평행하다. 즉, 피봇 축선(74c)은 접촉면(71a)의 연장 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레버(71)의 피봇 축(74a)의 피봇 축선(74c)이 연장되는 방향은, 시트 지지부(64)의 적재면(64b)에 수직인 방향일 수 있거나, 또는 카세트(61)의 베이스판(61B)의 상면을 포함하는 평면에 수직인 방향일 수 있다. 이 경우, 접촉면(71a)의 연장 방향은 피봇 축(74a)의 피봇 축선(74c)과 실질적으로 평행할 수 있다. 이 배치에 의해, 카세트(61)가 장치 본체(100A)에 부착될 때, 접촉면(71a)은, 카세트 부착 방향에 있어서 카세트(61)에 수용된 시트(S)의 하류 에지(Sd)와 평행하며, 시트(S)의 적재 방향으로 연장된다. 접촉면(71a)이 카세트(61)의 부착 프로세스에서 시트(S)의 하류 에지(Sd)에 의해 가압될 때, 레버(71)는 피봇 샤프트(74a)의 피봇 축선(74c)을 중심으로 피봇된다. 따라서, 레버(71)가 피봇되는 동안, 시트(S)의 하류 에지(Sd)와 접촉면(71a) 사이의 접촉 위치는 수직 방향에 있어서 거의 변하지 않는다. 즉, 레버(71)가 시트(S)의 하류 에지(Sd)에 의해 가압되고 피봇되는 동안, 시트의 적재 방향에 평행한 단면(예를 들어, 도 4b 참조)에서 시트(S)의 하류 에지(Sd)와 접촉면(71a) 사이의 접촉 각은 거의 변하지 않는다.
레버(71)는 장치 본체(100A)를 향해 연장되는 플래그부(71b)를 갖는다. 따라서, 광학 경로가 플래그부(71b)에 의해 차폐될 때(광이 차폐될 때), 광학 센서(72)는 ON되고, 광학 경로가 차폐되지 않을 때, 광학 센서(72)는 OFF된다. 이와 같이, 광학 센서(72)는 레버(71)의 위치에 따라서 출력 검지 신호를 변화시키기 때문에, 레버(71)의 위치를 검지할 수 있다. 레버(71)가 스토퍼(74b)에 접촉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광학 센서(72)의 광학 경로는 레버(71)의 플래그부(71b)에 의해 차폐되지 않는다.
카세트(61)의 측판(61L)에는, 레버(71)의 접촉면(71a)이 통과할 수 있는 구멍(61c)이 제공된다. 따라서, 카세트(61)가 장치 본체(100A)에 부착될 때, 레버(71)는 구멍(61c)을 통과한다. 또한, 시트 지지부(64)에는, 레버(71)의 접촉면(71a)에 대응하는 위치에 리세스된 부분(64a)이 제공된다. 따라서, 카세트(61) 장치 본체(100A)에 부착되면, 레버(71)는 구멍(61c) 및 리세스된 부분(64a)에 인입하고, 시트 지지부(64)에 적재된 시트의 에지에 레버(71)의 접촉면(71a)이 접촉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레버(71)의 접촉면(71a)은, 폭 방향에 있어서 적재 중심선(Lc)으로부터 거리(W)만큼 이격되어 있다. 따라서, 접촉면(71a)은, 적재 중심선(Lc)에 대하여 폭 방향에 있어서의 일 측에 배치된다. 이 배치에 의해, 시트 지지부(64)에 적재되는 시트(S)의 폭이 W×2 이상인 경우에는, 카세트(61)가 장치 본체(100A)에 부착되면, 레버(71)는 시트(S)에 의해 가압되어 피봇된다. 반대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트 지지부(64)에 적재되는 시트(S)의 폭이 W×2 미만인 경우에는, 카세트(61)가 장치 본체(100A)에 부착되어도 레버(71)는 시트(S)에 접촉하지 않고, 피봇되지 않는다. 따라서, 제어부(C)는, 광학 센서(72)로부터의 검지 신호가 ON 또는 OFF인지의 여부에 따라 시트의 사이즈를 검지할 수 있다. 적재 중심선(Lc)으로부터 대상 시트 사이즈에 대응하는 위치로 시프트되는 레버(71)의 접촉면(71a)의 배치에 의해, 시트 검지 유닛(70)은 시트의 사이즈를 검지하는 센서로서 기능한다.
레버의 동작
이어서, 카세트(61)의 부착에서 행해지는 레버(71)의 동작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a 및 도 4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카세트(61)가 장치 본체(100A)로부터 인출된 상태에서, 레버(71)의 접촉면(71a)은 위치(P1)에 위치설정된다. 카세트(61)가 장치 본체(100A)에 부착되면, 위치(P1)에 위치설정되는 접촉면(71a)은 시트 지지부(64)에 적재된 시트(S)의 카세트 부착 방향에 있어서의 하류 에지(Sd)에 접촉한다.
카세트(61)가 위치(P1)로부터 카세트 부착 방향에 있어서 거리(L1)만큼 가압될 때, 레버(71)는 화살표 D로 나타낸 방향을 향해 피봇되고, 레버(71)의 접촉면(71a)은 위치(P2)에 위치설정된다. 이때, 광학 센서(72)의 광학 경로는, 레버(71)의 플래그부(71b)에 의해 차폐되고, 광학 센서(72)는 카세트(61)에 수용된 시트(S)를 검지해서 검지 신호를 출력한다. 카세트(61)가 위치(P2)로부터 거리(L2)만큼 더 가압되면, 레버(71)의 접촉면(71a)은 위치(P3)에 위치설정된다. 이때,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브(61b)에 의해 카세트 검지 센서(66)의 광학 경로가 차폐되고, 카세트 검지 센서(66)는 카세트(61)의 부착을 검지하여 검지 신호를 출력한다. 즉, 카세트(61)에 시트(S)가 수용되어 있는 상태에서, 카세트 부착부에 카세트(61)가 부착되는 때에, 광학 센서(72)는 검지 신호를 출력하고, 그 후 카세트 검지 센서(66)는 검지 신호를 출력한다.
카세트 검지 센서(66)가 카세트(61)의 부착을 검지하면, 시트 지지부(64)는 상승을 개시한다. 이때, 레버(71)의 접촉면(71a)이 위치(P2)에 위치설정될 때 광학 센서(72)는 광 차폐 상태에 인입되어 있기 때문에, 광학 센서(72)는 이미 광 차폐 상태에 있다. 따라서, 시트 지지부(64)가 상승하기 전에, 광학 센서(72)가 시트(S)를 검지한다. 광학 센서(72)로부터의 검지 신호는 제어부(C)에 보내지고, 시트 지지부(64)에 적재된 시트의 사이즈는 검지 신호에 따라 판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레버(71)의 접촉면(71a)은 거리(W)만큼 적재 중심선(Lc)으로부터 이격되기 때문에, 제어부(C)는 시트 지지부(64)에 적재된 시트(S)의 폭이 W×2 이상인지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레버(71)의 접촉면(71a)이 적재 중심선(Lc)으로부터 93 mm만큼 이격된 경우, 제어부(C)는 LTR(레터) 사이즈 또는 A4 사이즈의 시트와 B5 사이즈의 시트 사이를 식별할 수 있다. 따라서, 시트(S)의 사이즈가 판별되고, 이에 의해 시트(S)의 사이즈에 따라 시트 급송 동작 및 화상 형성 동작이 행해진다. 예를 들어, 정착 장치(30)는 판별된 사이즈의 시트(S)를 사용할 수 있고, 시트(S)의 폭에 따라서 가열 범위를 변경하여, 시트(S)를 적절하게 가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C)는, 프린터(100)의 모니터 등의 입력 유닛 또는 퍼스널 컴퓨터(PC)에 의해 입력된 시트 사이즈 정보가 시트 검지 유닛(70)으로부터의 검지 신호를 사용하여 판별된 시트 사이즈 정보와 동일하지 않은 경우에는, 시트 급송 동작을 정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C)가 카세트 검지 센서(66)로부터의 검지 신호에 따라서 카세트(61)의 부착을 검지해도, 제어부(C)는 모터(M)를 기동시키지 않고 시트 지지부(64)를 제1 위치에 유지한다. 제어부(C)는, 시트 사이즈의 불일치를 나타내는 메시지를 모니터나 PC에 표시함으로써 불일치를 유저에게 알릴 수 있다.
카세트(61)에 수용된 시트(S)의 하류 에지(Sd)의 위치는, 시트(S)의 변형이나 부품의 공차에 의해 변동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거리(L2)가 변동보다 크기 때문에, 광학 센서(72)는 오 검지를 하지 않는다.
여기서, 도 9를 참조하여, 비교예를 설명한다. 비교예에서, 레버(171)는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피봇 축(174)을 중심으로 피봇될 수 있다. 레버(171)는, 카세트(161)에 수용된 시트(S)에 의해 가압되어, 화살표 E로 나타낸 방향을 향해 피봇된다. 여기서, 레버(171)의 초기 위치를 파선으로 나타내고, 레버(171)와 시트가 서로 접촉한 후에 카세트(161)가 거리(L)만큼 초기 위치로부터 가압되고 이격될 때에 위치설정되는 레버(171)의 위치를 실선으로 나타낸다.
카세트(161)의 부착에서, 레버(171)의 접촉면(171a)과 시트(S) 사이의 접촉 각은 θ4로부터 θ5로 변화한다. 이런 결과로서, 레버(171)를 화살표 E 방향으로 나타낸 방향을 행해 이동시키는데 요구되는 힘(이하 이동력이라 칭함)은 카세트(161)의 부착에서 변화된다. 구체적으로는, 이동력의 양은 시트(S)가 레버(171)에 접촉하기 시작할 때 최대가 되고, 레버(171)가 화살표 E로 나타낸 방향을 향해 피봇됨에 따라 작아진다. 특히, 박육 종이 시트 같은 저강성 시트가 시트 지지부(164)에 조금 적재되는 경우, 시트의 강성은 이동력보다 작기 때문에 시트는 휘어지고 손상될 수 있다.
또한, 레버(171)가 파선으로 나타내는 위치로부터 실선으로 나타내는 위치로 이동할 때에, 레버(171)의 접촉면(171a)의 높이 위치는 H1으로부터 H2로 변화된다. 이는 시트(S)의 하류 에지(Sd)가 접촉면(171a)의 하방의 공간으로 인입되게 하고, 잼을 발생시킬 수 있다.
여기서, 유저가 시트 지지부(164)에 시트(S)를 배치할 때, 시트(S)의 선단 에지의 위치는 시트의 변형 또는 부품의 공차에 의해 변동한다. 이런 이유로, 레버(171)가 가압되는 거리(L)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것이 요구된다. 상술한 비교예에서, 거리(L)가 증가함에 따라, 레버(171)의 접촉면(171a)과 시트(S) 사이의 접촉 각의 변화량 또한 증가한다. 접촉면(171a)과 시트 사이의 접촉 각의 변화량, 및 접촉면(171a)의 높이 위치의 변화량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레버(171)의 피봇 축(174)과, 시트(S)와 접촉면(171a) 사이의 접촉부 사이의 거리는 길어질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 장치는 불리하게 대형화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도 4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레버(71)의 피봇 축(74a)이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카세트(61)가 장치 본체(100A)에 부착되고 레버(71)의 접촉면(71a)이 위치(P3)에 아직 위치설정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시트 지지부(64)는 제1 위치에 위치설정되어 있다. 이때, 시트 지지부(64)의 적재면(64b)은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고, 카세트 부착 방향은 수평 방향에 평행하다. 즉, 레버(71)의 피봇 축(74a)은 적재면(64b)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따라서, 접촉면(71a)이 시트(S)의 하류 에지(Sd)에 의해 가압될 때, 레버(71)는 적재면(64b)에 평행한 방향을 향해 이동한다.
따라서, 장치 본체(100A)에 대한 카세트(61)의 부착에서, 레버(71)의 접촉면(71a)이 위치(P1, P2, P3) 중 임의의 것에 위치설정될 때, 접촉면(71a)과 시트(S)의 하류 에지(Sd) 사이의 대응하는 접촉 각(θ1, θ2, 또는 θ3)은 실질적으로 90도의 일정한 값을 갖는다. 결과적으로, 레버(71)를 가압 스프링(73)의 가압력에 저항해서 화살표 D로 나타낸 방향을 향해 이동시키기 위해서 필요한 힘은, 위치(P1, P2, P3) 중 임의의 것에서 실질적으로 일정하다. 여기서, 도 4b는 시트(S)의 적재 방향에 평행한 1개의 단면에서의 레버(71)의 이동 궤적을 나타내고 있지만, 적재 방향에 평행한 다른 단면에서 접촉 각(θ1, θ2, θ3)은 실질적으로 90도의 동일한 일정한 값을 갖는다.
따라서, 각각의 60g/m2 이하의 평량을 갖는 박육 종이 시트 등의 저강성 시트가 시트 지지부(64)에 조금 적재되는 경우에도, 가압 스프링(73)은 충분히 약한 가압력으로 레버(71)를 안정적으로 피봇시킬 수 있다. 또한, 시트(S)의 강성이 가압 스프링(73)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시트(S)가 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시트(S)에 대한 임의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피봇 축(74a)과, 시트(S)와 접촉면(71a) 사이의 접촉부 사이의 거리가 증가함에 따라, 카세트(61)의 구멍(61c) 및 시트 지지부(64)의 리세스된 부분(64a)이 작아지고, 광학 센서(72)의 검지 정밀도가 증가할 것이다. 그러나, 장치는 장치의 전체 사이즈를 고려하여 적절히 설게될 것이다.
또한, 레버(71)가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피봇 축(74a)의 피봇 축선(74c)에서 수평 방향으로 피봇되기 때문에, 레버(71)의 접촉면(71a)의 높이 위치(H)는 항상 일정하다. 또한, 레버(71)의 접촉면(71a)은, 시트 지지부(64)의 리세스된 부분(64a)에 접촉면(71a)이 인입할 수 있도록 배치된다. 즉, 시트 지지부(64)가, 시트(S)가 공급될 때의 제1 위치에 위치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도, 레버(71)의 접촉면(71a)의 하위 에지는 시트 지지부(64)보다 하측에 위치설정된다. 이에 의해, 시트(S)의 하류 에지(Sd)가 접촉면(71a)의 하방의 공간에 인입되는 것 및 잼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피봇 축(74a)은 수직 방향으로 연장된다. 그러나, 본 개시내용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피봇 축(74a)은 -30 내지 +30 도의 범위의 각도만큼 수직 방향에 대해 경사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카세트(61)가 장치 본체(100A)에 부착되고, 도 4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레버(71)의 접촉면(71a)이 위치(P3)에 위치설정되면, 카세트 검지 센서(66)가 광 차폐 상태로 된다. 이 동작에 의해, 도 6a 및 도 6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시트 지지부(64)가 상승한다. 하나의 시트가 급송되고, 따라서 시트 지지부(64)에 적재된 시트(S)가 감소되면, 시트 지지부(64)는 적절히 더 상승되어, 시트(S)와 픽업 롤러(62) 사이의 접촉 상태를 유지한다.
도 6a는, 시트 지지부(64)에 시트(S)가 완전히 적재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 6b는 시트(S)가 시트 지지부(64)에 조금 적재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S)가 완전히 적재된 상태에서, 카세트(61)의 부착에 의해 유발되는 시트 지지부(64)의 이동량(U1)은 비교적 작다. 따라서, 시트가 급송되어도, 시트 지지부(64)에 적재된 시트(S)의 하류 에지(Sd) 및 레버(71)의 접촉면(71a)은 서로 접촉한다. 이때, 광학 센서(72)는 광 차폐 상태에 유지된다.
도 6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시트(S)가 조금 적재된 상태에서, 카세트(61)의 부착에 의해 유발되는 시트 지지부(64)의 이동량(U2)은 비교적 크다. 따라서, 시트가 급송될 때, 레버(71)의 접촉면(71a)은 시트(S)의 하류 에지(Sd)에 접촉하지 않고 시트 지지부(64) 하방의 공간으로 인입한다. 이때, 광학 센서(72)는 투광 상태로 된다. 그러나, 시트 검지 유닛(70)이 시트의 사이즈를 검지하기 위한 센서로서 사용되는 경우에는, 카세트 검지 센서(66)가 카세트(61)의 부착을 검지하기 전, 즉 시트 지지부(64)가 상승하기 전에 시트 검지 유닛(70)이 시트의 사이즈를 검지한다. 따라서, 시트 지지부(64)의 이동에 영향을 받지 않고 시트(S)의 사이즈를 검지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레버(71)가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피봇 축(74a)의 피봇 축선(74c)을 중심으로 피봇될 수 있기 때문에, 레버(71)는 시트 지지부(64)의 적재면(64b)에 평행한 수평 방향으로 피봇될 수 있다. 따라서, 시트가 적재면(64b)에 적재되고 카세트(61)가 장치 본체(100A)에 부착될 때, 시트와 레버(71) 사이의 접촉 각은 변하지 않는다. 결과적으로, 박육 종이 시트 같은 저강성 시트가 시트 지지부(64)에 조금 적재되는 경우에도, 레버(71)는 시트가 휘어지지 않는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피봇될 수 있다. 그러므로, 시트는 확실하게 검지될 수 있다. 또한, 시트(S)의 강성이 가압 스프링(73)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시트(S)가 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시트(S)에 대한 임의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제2 실시예
이어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2 실시예에서, 제1 실시예의 시트 검지 유닛은 적재 중심선(Lc) 부근에 배치된다. 따라서,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의 구성요소는 도면에서 생략되거나 도면에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되지 않는 임의의 효과는 제1 실시예의 것과 동일하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시트 급송 장치(80)는, 카세트(81), 카세트(81)에 의해 피봇가능하게 지지되는 시트 지지부(84), 및 시트 검지 유닛(90)을 포함한다. 시트 검지 유닛(90)은, 장치 본체(100A)(도 1 참조)에 고정되는 홀더(74), 레버(91), 광학 센서(72), 및 가압 스프링(73)을 갖는다. 레버(91)는,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피봇 축(94a)을 중심으로 레버(91)가 피봇할 수 있도록 홀더(74)에 의해 지지된다. 또한, 레버(91)는 카세트(81)를 향해 가압 스프링(73)에 의해 가압된다.
카세트(81)의 측판(81L)에는, 레버(91)의 선단부에 형성되는 레버(91)의 접촉면(91a)에 대응하는 위치에 구멍(81c)이 제공된다. 따라서, 카세트(81)가 장치 본체(100A)에 부착될 때, 레버(91)는 구멍(81c)을 통과할 수 있다. 또한, 시트 지지부(84)에는 레버(91)의 접촉면(91a)에 대응하는 위치에 리세스된 부분(84a)이 제공된다. 카세트(81)가 장치 본체(100A)에 부착되면, 레버(91)가 구멍(81c) 및 리세스된 부분(84a)에 인입하고, 시트 지지부(84)에 적재된 시트의 에지에 레버(91)의 접촉면(91a)이 접촉한다.
레버(91)의 접촉면(91a)은 적재 중심선(Lc)으로부터 폭 방향에 있어서 거리(W2)만큼 이격된다. 거리(W2)는, 시트 지지부(84)에 적재될 수 있는 가장 작은 시트의 폭의 절반보다 작다. 즉, 레버(91)의 접촉면(91a)은, 접촉면(91a)이 시트 지지부(84)에 적재된 임의의 사이즈의 시트에 접촉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레버(91)의 피봇 축(94a)은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수직 방향으로 연장된다. 그러나, 본 개시내용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피봇 축(94a)은 -30 내지 +30도의 범위의 각도로 수직 방향에 대해 경사질 수 있다. 시트 지지부(84)에 시트가 적재된 상태에서 카세트(81)가 장치 본체(100A)에 부착되면, 시트(S)의 하류 에지가 레버(91)의 접촉면(91a)에 접촉하고, 레버(91)는 시트(S)에 의해 가압된다. 결과적으로, 레버(91)는 피봇 축(94a)에서 수평 방향으로 피봇된다. 이 동작에 의해, 광학 센서(72)는 광 차폐 상태에 들어가고, 따라서 카세트(81)에 수용된 시트가 검지될 수 있다.
시트의 하류 에지에 접촉할 수 있는 접촉면(91a)은,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직 방향으로 연속하는 요철 형상을 갖는다. 요철 형상은 인접하는 경사면(191, 192)에 의해 형성되는 오목부(91b)를 포함한다. 경사면(191, 192) 및 오목부(91b)는 연속하는 요철 형상의 일부의 일례이다. 이 형상에 의해, 예를 들어 시트 지지부(84)에 적재된 시트(S)의 하류 에지가 컬링되는 경우에도, 시트(S)의 하류 에지는 오목부(91b)에 의해 이동하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시트(S)의 하류 에지는 접촉면(91a)에 미끄러져서 카세트(81)로부터 탈락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경사면(191, 192)은, 레버(91)의 이동 방향(N)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을 향해 경사지기 때문에, 경사면(191, 192)은 시트(S)가 상승하는 것을 허용한다. 즉, 시트(S)의 하류 에지가 오목부(91b)에 접촉하는 상태에서 시트 지지부(84)가 상승하는 경우, 경사면(191)은 시트(S)에 의해 가압되고, 레버(91)는 이동 방향(N)을 향해 퇴피된다. 따라서, 시트 지지부(84) 및 시트(S)는 상승하는 것이 방해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는, 카세트(81)가 장치 본체(100A)에 부착되었을 때에 시트 지지부(84)의 적재면(84b)에 시트(S)가 적재되어 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즉, 시트를 수용하는 카세트(81)가 장치 본체(100A)에 부착되면, 카세트 검지 센서(66) 및 시트 검지 유닛(90)의 광학 센서(72)는 각각 검지 신호를 출력한다. 그리고, 제어부(C)는 카세트 검지 센서(66)로부터의 검지 신호에 따라 모터(M)를 제어하고, 시트 지지부(84)를 상승시킨다. 이 동작에 의해, 시트 지지부(84)는 제2 위치로 상승하고, 따라서 픽업 롤러(62)는 시트를 급송할 수 있다. 시트(S)를 수용하지 않는 카세트(81)가 장치 본체(100A)에 부착되었을 때에, 카세트 검지 센서(66)는 검지 신호를 출력하지만, 광학 센서(72)는 검지 신호를 출력하지 않는다. 따라서, 제어부(C)는 카세트(81)가 시트를 수용하지 않는다고 결정할 수 있다. 즉, 제어부(C)가 카세트 검지 센서(66)로부터의 검지 신호를 수신하지만, 광학 센서(72)로부터의 검지 신호를 수신하지 않는 경우, 제어부(C)는 모터(M)를 제어하지 않고, 카세트(81)가 시트를 수용하지 않는다는 것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유저에게 통지하기 위해 모니터 또는 PC가 상기 메시지를 표시하게 한다. 이와 같이, 제어부(C)는, 카세트 검지 센서(66) 및 광학 센서(72)로부터의 검지 신호에 따라 적재면(84b)에 적재된 시트의 존재를 판별한다.
제2 실시예의 레버(91)의 접촉면(91a)의 요철 형상은 제1 실시예의 레버(71)의 접촉면(71a)에 적용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서, 레버는 수평 방향으로 피봇될 수 있다. 그러나, 본 개시내용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레버는 수평 방향으로 미끄러질 수 있다.
제1 위치에 위치설정된 시트 지지부의 적재면이 수평 방향으로 연장될 때, 레버는 수평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적재면이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지 않을 때, 레버는 적재면이 연장되는 방향에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장치 본체에 탈착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는 시트 급송 장치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은, 시트가 수동 급송 트레이에 적재되는 수동 급송 장치, 또는 판독될 화상이 인쇄되는 원고를 급송하는 자동 원고 급송기(ADF)에도 적용될 수 있다. 수동 급송 트레이 또는 원고 트레이의 적재면이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경우, 레버는 수평 방향이 아니고 적재면이 연장되는 방향에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 카세트는 장치 본체에 탈착가능하게 부착된다. 그러나, 시트는 장치 본체에 고정된 급송 트레이에 적재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시트가 상하로 이동할 수 있는 시트 지지부에 적재되는 구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시트는 카세트의 베이스판(61B)(도 2 참조)에 적재될 수 있으며, 픽업 롤러는 시트에 대해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이 경우, 베이스판(61B)은 시트가 적재되는 적재면으로서의 역할을 한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 중 임의의 것에서 전자사진방식 프린터(100)를 사용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은 노즐로부터 잉크를 토출함으로써 시트에 화상을 형성하는 잉크젯 화상 형성 장치에도 적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
본 발명의 실시예(들)는, 전술한 실시예(들) 중 하나 이상의 기능을 실행하기 위해 저장 매체(보다 완전하게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라 칭할수도 있음)에 기록된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를 판독 및 실행하고 그리고/또는 전술한 실시예(들) 중 하나 이상의 기능을 실행하는 하나 이상의 회로(예를 들어, 주문형 집적 회로(ASIC))를 포함하는 시스템 또는 장치의 컴퓨터에 의해, 그리고 예를 들어 전술한 실시예(들) 중 하나 이상의 기능을 실행하기 위해 저장 매체로부터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를 판독 및 실행함으로써 그리고/또는 전술한 실시예(들) 중 하나 이상의 기능을 실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회로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시스템 또는 장치의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방법에 의해 실현될 수도 있다. 컴퓨터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예를 들어, 중앙 처리 유닛(CPU), 마이크로 처리 유닛(MPU))를 포함할 수 있고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를 판독 및 실행하기 위한 별도의 컴퓨터 또는 별도의 프로세서의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는 예를 들어 네트워크 또는 저장 매체로부터 컴퓨터에 제공될 수 있다. 저장 매체는, 예를 들어 하드 디스크,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리드 온리 메모리(ROM), 분산형 컴퓨팅 시스템의 스토리지, 광학 디스크(예를 들어, 콤팩트 디스크(CD), 디지털 다기능 디스크(DVD) 또는 블루레이 디스크(BD)TM), 플래시 메모리 디바이스, 메모리 카드 등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기타의 실시예)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의 1개 이상의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을, 네트워크 또는 기억 매체를 개입하여 시스템 혹은 장치에 공급하고, 그 시스템 혹은 장치의 컴퓨터에 있어서 1개 이상의 프로세서가 프로그램을 읽어 실행하는 처리에서도 실현가능하다.
또한, 1개 이상의 기능을 실현하는 회로(예를 들어, ASIC)에 의해서도 실행가능하다.
본 발명을 예시적인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개시된 예시적인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음을 이해해야 한다. 이하의 청구항의 범위는 이러한 모든 변형과 동등한 구조 및 기능을 포함하도록 최광의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8)

  1. 시트 급송 장치이며,
    시트가 적재되는 적재면을 포함하는 적재부;
    상기 적재면에 적재된 시트를 급송하도록 구성되는 급송부;
    상기 적재면에 적재된 상기 시트의 에지에 접촉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시트의 적재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접촉면을 포함하는 맞닿음 부재로서, 상기 적재면에 적재된 상기 시트가 상기 접촉면을 가압하는 경우에, 상기 적재 방향에 평행한 단면에서 상기 접촉면과 상기 시트의 에지 사이에 일정한 접촉 각을 갖는 상태로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맞닿음 부재; 및
    상기 맞닿음 부재의 위치에 따라 검지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검지부
    를 포함하고, 상기 맞닿음 부재의 상기 접촉면은, 상기 적재면에 적재된 시트들이 상기 급송부에 의해 급송되는 방향에서, 상기 시트의 하류 에지에 접촉하는, 시트 급송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맞닿음 부재는 상기 접촉면의 연장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피봇(pivot) 축선을 중심으로 피봇하도록 구성되는, 시트 급송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맞닿음 부재는 상기 적재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피봇 축선을 중심으로 피봇되도록 구성되는, 시트 급송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맞닿음 부재는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기 피봇 축선을 중심으로 수평 방향으로 피봇되도록 구성되는, 시트 급송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부는 상기 적재면을 포함하는 이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부는, 상기 이동부가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를 향해 상방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지지되며,
    상기 맞닿음 부재는 상기 제1 위치에 위치설정된 상기 이동부의 적재면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피봇 축선을 중심으로 피봇하도록 구성되는, 시트 급송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부는, 장치 본체에 대해 부착 및 인출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이동부를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맞닿음 부재의 상기 접촉면은, 상기 지지부가 상기 장치 본체에 부착되는 경우에 상기 제1 위치에 위치설정된 상기 이동부의 적재면에 적재된 상기 시트에 의해 가압되도록 구성되는, 시트 급송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는 상기 맞닿음 부재가 인입될 수 있는 리세스된 부분을 형성하는, 시트 급송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지지부가 상기 장치 본체에 부착되는 경우에 상기 맞닿음 부재가 통과할 수 있는 구멍을 형성하는, 시트 급송 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맞닿음 부재 및 상기 검지부는 상기 장치 본체에 제공되는, 시트 급송 장치.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검지부로부터의 검지 신호에 따라 상기 적재면에 적재된 시트를 검지하도록 구성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시트 급송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검지부는 시트 급송 방향에 직교하는 폭 방향으로 미리결정된 거리만큼 시트 적재 중심선으로부터 이격되어 있으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지부로부터의 검지 신호에 따라 상기 적재면에 적재된 시트의 사이즈를 판별하도록 구성되는, 시트 급송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가 상기 장치 본체에 부착되는 경우에 검지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부착 검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검지부 및 상기 부착 검지부는, 상기 부착 검지부가 검지 신호를 출력하는 것보다 빨리 상기 검지부가 검지 신호를 출력하도록 배치되는, 시트 급송 장치.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지부로부터의 검지 신호에 따라 상기 적재면에 적재된 시트의 존재를 판별하도록 구성되는, 시트 급송 장치.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가 상기 장치 본체에 부착되는 경우에 검지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부착 검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부착 검지부 및 상기 검지부로부터의 검지 신호에 따라 상기 적재면에 적재된 시트의 존재를 판별하도록 구성되는, 시트 급송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검지부 및 상기 부착 검지부는, 상기 부착 검지부가 검지 신호를 출력하는 것보다 빨리 상기 검지부가 검지 신호를 출력하도록 배치되는, 시트 급송 장치.
  1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부는 장치 본체에 대해 부착 및 인출되도록 구성되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적재면은 상기 지지부의 베이스판의 상면에 형성되며,
    상기 맞닿음 부재는 상기 베이스판의 상면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피봇 축에서 피봇되도록 구성되는, 시트 급송 장치.
  1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면은 요철 형상을 갖는, 시트 급송 장치.
  18. 화상 형성 장치이며,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시트 급송 장치; 및
    상기 시트 급송 장치에 의해 급송되는 시트에 화상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화상 형성부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
KR1020180048849A 2017-05-10 2018-04-27 시트 급송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KR10225435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093500A JP6635977B2 (ja) 2017-05-10 2017-05-10 シート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JP-P-2017-093500 2017-05-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3966A KR20180123966A (ko) 2018-11-20
KR102254352B1 true KR102254352B1 (ko) 2021-05-24

Family

ID=620628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8849A KR102254352B1 (ko) 2017-05-10 2018-04-27 시트 급송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807815B2 (ko)
EP (1) EP3401252B1 (ko)
JP (1) JP6635977B2 (ko)
KR (1) KR102254352B1 (ko)
CN (1) CN10886169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093879A (ja) 2018-12-11 2020-06-18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検知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36575A1 (en) * 2001-03-23 2002-09-26 Cornelius William L. Imaging media handling package
JP2014009082A (ja) * 2012-07-02 2014-01-20 Canon Inc シート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92053U (ja) * 1983-06-08 1984-12-20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複写機等の給紙装置
JP2929735B2 (ja) * 1991-01-28 1999-08-03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H0637237A (ja) * 1992-07-17 1994-02-10 Nec Yamagata Ltd 半導体装置のテーピング方法
JPH0637237U (ja) * 1992-10-23 1994-05-17 ミノルタカメラ株式会社 給紙装置
JP2003002455A (ja) * 2001-06-18 2003-01-08 Canon Aptex Inc 給紙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2006264808A (ja) 2005-03-22 2006-10-05 Fuji Xerox Co Ltd シートトレイ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4612882B2 (ja) * 2005-09-27 2011-01-12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カセット及びシート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7295266A (ja) * 2006-04-25 2007-11-08 Murata Mach Ltd 画像形成装置
JP2009062158A (ja) 2007-09-07 2009-03-26 Canon Inc シート給送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4482899B2 (ja) 2007-11-29 2010-06-16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測定装置、シート材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5606232B2 (ja) 2010-09-13 2014-10-15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6351366B2 (ja) * 2014-05-16 2018-07-04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6388159B2 (ja) 2014-11-14 2018-09-12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16124626A (ja) * 2014-12-26 2016-07-11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給送装置およびシート処理装置
JP6494370B2 (ja) * 2015-03-31 2019-04-03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36575A1 (en) * 2001-03-23 2002-09-26 Cornelius William L. Imaging media handling package
JP2014009082A (ja) * 2012-07-02 2014-01-20 Canon Inc シート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401252B1 (en) 2022-12-21
US10807815B2 (en) 2020-10-20
JP6635977B2 (ja) 2020-01-29
CN108861692A (zh) 2018-11-23
US20180329351A1 (en) 2018-11-15
KR20180123966A (ko) 2018-11-20
CN108861692B (zh) 2021-06-22
EP3401252A1 (en) 2018-11-14
JP2018188281A (ja) 2018-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02884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9637329B2 (en) Sheet feed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20170003635A1 (en) Sheet supporting device
US11713204B2 (en) Sheet conveying apparatus, image read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EP3291015B1 (en) Photo interrupter unit, sheet conveyance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8208826B2 (en) Image forming device provided with sensor and movable shutter
US20140291929A1 (en) Image forming device having conveying unit
KR102254352B1 (ko) 시트 급송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US11312586B2 (en) Sheet storage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10800623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EP3141503A1 (en) Sheet conveyance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10710828B2 (en) Sheet feed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7233879B2 (ja) シート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20150042038A1 (en) Sheet detecting apparatus,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age reading apparatus
US20170299995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11390476B2 (en) Sheet feed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9393812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5721871B2 (ja) シート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11472648B2 (en) Sheet support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6415237B2 (ja) 画像形成装置
JP6512772B2 (ja) シート排出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CN111302104A (zh) 片材检测设备和成像设备
JP2020083490A (ja) シート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8127348A (ja) 後処理装置、及び後処理装置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