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9572B1 - 보호 필름 부착 기능성 시트 - Google Patents

보호 필름 부착 기능성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9572B1
KR102249572B1 KR1020157032143A KR20157032143A KR102249572B1 KR 102249572 B1 KR102249572 B1 KR 102249572B1 KR 1020157032143 A KR1020157032143 A KR 1020157032143A KR 20157032143 A KR20157032143 A KR 20157032143A KR 102249572 B1 KR102249572 B1 KR 1022495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protective film
aromatic polycarbonate
melting point
polyolef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321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18483A (ko
Inventor
류지 요시다
도시히코 다카노
다이스케 사사가와
도모미 나카야마
Original Assignee
미츠비시 가스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엠지시 휠시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츠비시 가스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엠지시 휠시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츠비시 가스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0184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84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95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95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B32B7/027Thermal properti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4Protective coatings, e.g. hard coa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778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the article consisting of a material with particular properties, e.g. porous, brittle
    • B29C45/14811Multilayer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009Production of simple or compound len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634Production of filters
    • B29D11/00644Production of filters polariz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73Optical lamin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00Layered products having a non-planar sh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32B27/2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using fillers, pigments, thixotroping ag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aromatic vinyl (co)polymers, e.g. styrenic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vinyl acetate or vinyl alcohol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32B27/36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comprising polycarbon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04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made of organic materials, e.g. plastics
    • G02B1/041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02B5/22Absorbing filters
    • G02B5/23Photochromic filt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02B5/3033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02B5/3033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 G02B5/3041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comprising multiple thin layers, e.g. multilayer stacks
    • G02B5/30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comprising multiple thin layers, e.g. multilayer stacks including organic materials, e.g. polymeric layer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10Filters, e.g. for facilitating adaptation of the eyes to the dark; Sungla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23/00Use of polyalkene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29K2023/10Polymers of propylene
    • B29K2023/12PP, i.e. polypropyl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25/00Use of polymers of vinyl-aromatic compound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29K2025/04Polymers of styrene
    • B29K2025/08Copolymers of styrene, e.g. AS or SAN, i.e. acrylonitrile styr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29/00Use of polyvinylalcohols, polyvinylethers, polyvinylaldehydes, polyvinylketones or polyvinylketal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29K2029/04PVOH, i.e. polyvinyl alcoh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69/00Use of PC, i.e. polycarbonate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629/00Use of polyvinylalcohols, polyvinylethers, polyvinylaldehydes, polyvinylketones or polyvinylketals or derivatives thereof, for preformed parts, e.g. for inserts
    • B29K2629/04PVOH, i.e. polyvinyl alcoh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669/00Use of PC, i.e. polycarbonates or derivatives thereof for preformed parts, e.g. for inse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995/00Properties of moulding materials, reinforcements, fillers, preformed parts or moulds
    • B29K2995/0018Properties of moulding materials, reinforcements, fillers, preformed parts or moulds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e.g. fluorescent or phosphorescent
    • B29K2995/0034Polari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11/00Optical elements, e.g. lenses, prisms
    • B29L2011/0016Len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033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055 or more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24All layers being polyme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40Symmetrical or sandwich layers, e.g. ABA, ABCBA, ABCCB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1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on synthetic resin layer or on natural or synthetic rubber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26Polymeric co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70/00Resin or rubber layer containing a blend of at least two different 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74/00Thermoplastic elastomer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12Transpar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2Polarizing, birefringent, filt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38Thermoformabil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51/00Optical el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Blow-Moulding Or Thermoform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과제] 본 발명은, 흰 줄무늬가 생기지 않거나 또는 대폭으로 감소한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사출 성형 렌즈를 제조할 수 있는 보호 필름 부착 기능성 시트 및 해당 시트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해결 수단] 폴리바이닐 알코올계 편광 필름층, 조광층 또는 이들의 조합인 기능층을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시트 또는 필름으로 협지하여 적층해서 이루어지는 기능성 시트에 보호 필름을 접합하여 이루어지는 보호 필름 부착 기능성 시트에 있어서, 상기 보호 필름이, 상기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의 유리전이온도 이상의 융점의 폴리프로필렌으로 이루어지는 기재층과, 그의 편면에 상기의 유리전이온도보다도 15℃ 낮은 온도 이상이고 유리전이온도보다도 낮은 융점의 폴리올레핀과 스타이렌-올레핀-스타이렌 공중합체 엘라스토머의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점착층의 적어도 2층, 또는 기재층과 점착층 사이에 그의 중간층을 설치한 적어도 3층으로 이루어지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 필름 부착 기능성 시트, 및 해당 시트를 이용한 사출 성형 렌즈의 제조법.

Description

보호 필름 부착 기능성 시트{FUNCTIONAL SHEET WITH PROTECTIVE FILM}
본 발명은, 편광 필름층이나 포토크로믹(photochromic)층 등의 기능층의 보호층으로서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시트 또는 필름을 이용하여 이루어지는 기능성 시트에 관한 것으로, 그의 표면에 가접착되어, 유통, 가공 공정 등에 있어서 그의 표면을 보호하는 보호 필름 부착 기능성 시트에 관한 것이다.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제의 선글라스용 렌즈는, 통상, 편광 필름층이나 포토크로믹층 등의 기능층의 보호층으로서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시트 또는 필름을 이용하여 이루어지는 기능성 시트를 희망 형상으로 타발(打拔) 가공하고, 이를 부분 구면으로 열굽힘 가공하고, 그의 오목면측에 렌즈용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를 사출 성형하고, 적절히 표면 처리 등을 해서 제조된다.
이 기능성 시트는 유통, 가공 공정 등의 취급 시에, 그의 표면을 흠집, 오염이나 이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보호 필름이 부착되어 있다. 특히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의 유리전이온도 부근의 고온 환경 하에서의 열굽힘 가공에 견디는 것으로서 폴리올레핀계의 보호 필름이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 1, 2).
특허문헌 1은, 실질적인 융점이 150℃ 이상인 폴리올레핀계 필름층을 표면층으로 하고, 실질적인 융점이 125∼145℃인 폴리올레핀계 필름을 점착 또는 접착용의 필름층으로 하는 2장 겹침(구성)의 보호 필름을 개시한다.
또한, 특허문헌 2는, 보호 필름으로서, 105∼130℃의 융해 피크(A)와 160∼175℃의 융해 피크(B)를 가지며, 융해 피크의 면적비[(A)/(B)]가 35/65∼80/20인 공압출의 폴리올레핀계 필름을 개시한다.
특허문헌 1, 2는, 열굽힘 가공을 행한 후의 평가(효과)까지는 기재하지만, 열굽힘품을 사출 성형 금형에 장착하여 이루어지는 사출 성형 렌즈에 관한 기재는 없고, 사출 성형 렌즈로서의 평가는 없다.
그런데, 이와 같은 보호 필름 부착 기능성 시트를 원하는 형상으로 타발하고, 부분 구면 등으로 열굽힘 가공하고, 이를 사출 성형 금형에 장착하여, 그의 오목면에 측면의 게이트로부터 렌즈용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를 사출 성형한 렌즈 성형품(이하, 사출 렌즈라고 기재한다)에 있어서, 하얀 줄무늬(이하, 흰 줄무늬라고 기재한다)가 생기는 경우가 있어, 외관의 결함으로서 문제가 되고 있다.
특히, 생산성 향상의 요구로 인해, 기기의 사용 효율의 가일층의 향상이나 보다 단시간에서의 제조에 대한 요구는 점점 더 엄격해져 오고 있고, 그와 같은 문제에 대한 대응에 수반하여, 「흰 줄무늬」 결함의 발생 빈도의 증가 경향이 보여, 지급한 해결이 요망되고 있다.
일본 특허공개 2003-145616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2011-110879호 공보
본 발명은, 상기한 흰 줄무늬가 생기지 않거나 또는 대폭으로 감소한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사출 성형 렌즈를 제조할 수 있는 보호 필름 부착 기능성 시트를 과제로 한다.
「흰 줄무늬」에 관하여, 그의 성분 분석으로부터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존재가 확인되었다.
또한, 열굽힘 가공품에 대하여 샘플 관찰한 바, 타발 단면(斷面)에 보호 필름 유래라고 생각되는 부착 수지가 확인되는 경우가 있고, 이 절단면을 나이프 등으로 청소한 것에서는, 흰 줄무늬가 보이지 않게 되었다.
열굽힘 가공품은, 그의 보호 필름을 박리하고 나서 금형에 장착하여, 사출 성형한다. 이때 발생하는 흰 줄무늬는, 보호 필름을 박리해도 타발 단면에 그대로 잔존한 부착 수지가 원인이며, 박리력으로 절단 분리될 정도로 절단면에 강고히 부착된 것이거나, 또는 절단 분리편이 되어 부착되어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한편, 일련의 시험은 후기의 실시예에 기재된 방법에 의했다.
「흰 줄무늬」의 발생 빈도와 타발 횟수 사이에도 관련이 확인되었다.
타발 횟수가 적은 경우에는, 발생 빈도는 적고, 많아지면 증가한다. 교환 또는 연마 시기가 다가온 타발칼날은, 마모로 그의 예리한 칼날끝을 잃은 것이다.
예리한 칼날끝을 잃거나 또는 칼날의 이가 빠진 것에서는, 보호 필름은 어느 정도 이상 당겨 늘여지고 나서 절단된다. 상세하게는, 어느 정도 이상 칼날끝이 침입하여, 당겨 늘여진 후에 당판(當板)과의 사이에 끼워져 절단되고, 그 후, 타발칼날이 후퇴하여 타발이 완료된다. 이것은 당겨 늘임부를 형성한 후에 눌러 잘라진다. 크게 당겨 늘여진 부분, 금 균열 형상으로 당겨 늘여진 부분, 또는 파단되어 소편화된 부분 등이 절단 끝(端)에 잔존한 것이 된다.
상기에서 제조한 보호 필름 부착 기능성 시트의 타발편을 열굽힘 가공한다.
열굽힘 가공은, 기능층의 보호 시트를 용이하게, 즉 작은 응력으로 굽힘 가공할 수 있는 온도로, 최고 온도로서 보호 시트인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유리전이온도보다 낮은 135∼145℃로 가열한 상태에서, 서서히 변형시키는 것에 의한다.
당연히, 보호 필름도 이 온도가 되고, 이 결과, 융점이 이 온도 미만인 수지는 용융된다. 한편, 용융은 전체면에서 일어나므로,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표면과의 접착력이 용융에 의해 크게 증가하는 것은 부적절한 점착 또는 접착층용의 수지가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절단 끝의 당겨 늘여진 부분이나 소편 또는 금 균열 형상 부분의 수지도 용융되어 유동하고, 경우에 따라 유동처에서 고화되어 점착 또는 접착된다.
열굽힘품의 절단 끝면(端面)을 현미경 관찰하면, 보호 필름 끝이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시트의 타발 절단 끝면보다도 외측으로 돌출되어 늘어져 있는 상태인 것이 관찰되었다.
그리고, 이용한 보호 필름의 종류에 따라, 이 돌출 늘어짐은 대략 100∼600μm의 범위였다.
한편, 보호 필름 박리 후의 절단 끝면에 대한 부착 잔존물의 유무는 미확인이다.
상기 열굽힘품으로부터 보호 필름을 박리하여, 사출 성형 렌즈를 제조한 결과, 돌출 늘어짐의 크기와 흰 줄무늬의 발생에 관련이 확인되었다.
상기한 용융 유동으로 기재층과 분리된 것이나, 절단 끝의 기재층과의 접속 부분이 가늘고 얇아져 점착 또는 접착 강도에 견디지 못하고, 금형에의 장착에 있어서 박리되는 보호 필름 본체와 분리되어 절단 끝에 잔존하는 것이 된다. 돌출 늘어짐이 큰 것은 잔사가 남기 쉽다. 잔사가, 사출된 용융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로 용융되어 끌려 이동한 궤적이 흰 줄무늬로서 보이는 것이 된다.
그래서, 흰 줄무늬의 발생 빈도가 높은 조건, 예리한 칼날끝을 잃은 타발칼날을 이용하고, 또 열굽힘 조건을 선택하는 것에 의해, 보호 필름의 평가를 행하여, 흰 줄무늬가 생기지 않거나 또는 대폭으로 감소한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사출 성형 렌즈가 얻어지는 보호 필름 부착 기능성 시트를 발견했다.
그러나, 이 개발품은 적합한 점착력의 세기의 범위가 좁다는 과제도 새롭게 발견되었다. 예컨대, 열굽힘 가공의 온도가 높으면, 점착성의 증가에 의해, 금형 장착 시의 보호 필름의 박리가 곤란해지는 경우가 있었다. 이 대책으로서 보다 작은 점착력으로 한 경우에는, 열굽힘 가공 시에 보호 필름의 주위로부터 박리 주름이 발생하고, 이 공극 내에 보호 필름의 점착층의 첨가제가 석출되어 미소 결정으로서 표면에 잔존하여, 백탁을 발생시킨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들로부터, 보다 작은 점착력에 있어서도 박리 주름이 발생하지 않는 것이거나, 또는 열굽힘 가공에 의한 점착력의 증가가 보다 작은 것이 요구되고 있었다.
또한, 열굽힘품의 표면에 요철이 관찰되는 경우나, 그 밖의 결함으로서 어른거림이 더 관찰되는 경우가 있었다.
요철의 보다 상세한 표면 관찰로부터 보호 필름의 표면에도 함몰이 관찰되는 경우가 있고, 이 함몰과 열굽힘품의 표면의 함몰의 일치가 확인되었다. 작업 환경의 청정화(무진화(無塵化))의 레벨이 낮으면 보다 많이 발생하는 것이며, 이들로부터, 먼지가 원인으로 추정되었다.
그런데 흰 줄무늬 발생이 없는 개발품에서는 요철이 발생하여 관찰되는 작업 환경에서도, 흰 줄무늬가 발생하는 종래의 2장 구성의 보호 필름에서는, 이 요철은 실질적으로 관찰되지 않았다. 또한, 흰 줄무늬가 발생하지 않는 보호 필름의 개발 과정의 일부의 시작품(試作品)에서도 마찬가지로 이 요철이 거의 관찰되지 않는 것이 있었다.
양자의 가장 큰 차이점은, 흰 줄무늬의 발생 원인이 되는 수지층, 즉 열굽힘 시에 용융 유동하는 수지층을 가지는지 여부이다. 열굽힘 금형 표면에 십∼수십μm 정도의 먼지의 부착이 있는 경우, 용융 유동층을 가지지 않는 흰 줄무늬 발생이 없는 개발품에서는, 이 부착 먼지가 보호 필름 기재층을 압하하고, 점착층을 압하해서, 열굽힘품의 표면에 도달하여, 함몰을 만든다. 그러나, 용융 유동층을 가지는 흰 줄무늬 발생품에서는, 이 먼지 부착부가 보호 필름 기재층을 압하하지만, 용융 유동하는 점착층이 변형되어, 열굽힘품의 표면에 실질적으로 도달하지 않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이 먼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제조 환경의 청정도를 엄밀히 관리하면 되지만, 제조 비용이 불어나고 공정도 번잡해진다는 과제가 남는다.
어른거림은, 열굽힘품의 보호 필름을 박리하고, 형광등 등의 광을 투과시켜 열굽힘품을 관찰하면, 광원의 투과상이 불규칙한 흐트러짐상이 되어 관찰된다. 이와 동일한 열굽힘품의 보호층 표면을 투과광에 의해 관찰하면, 상기 흐트러짐상에 따라서 보호층 표면이 물결친 것과 같이 형상 변화되어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상세하게는, 상기한 요철 정도에는 형상 변화 부분의 고저차가 없고, 또한 변화 부분의 경계가 명확하지는 않은 것과 같은 방식으로, 열굽힘품의 표면으로 불균일하게 퍼지는, 현미경에서는 인식되지 않을 정도의 표면의 미소한 형상 변화이다.
이 어른거림은, 흰 줄무늬가 발생하지 않는 개발품인 경우에는 정도가 강하게 발생하고, 흰 줄무늬가 발생하는 종래의 2장 구성의 보호 필름에서는 정도가 약하거나, 상기한 어른거림으로서 관찰될 정도로 발생하지 않는다.
이 점에서도 양자의 가장 큰 차이점은, 열굽힘 시에 용융 유동하는 수지층을 가지는지 여부이다. 상세하게는, 열굽힘 가공할 때, 용융 유동하는 수지층을 가지지 않는 개발품 보호 필름은 열굽힘품의 형상 변화에 추종하지 않기 때문에, 국재(局在) 응력 부하가 발생하여 열굽힘품 표면을 미소한 범위로 왜곡되게 해서, 상기 어른거림이 된다. 그에 비하여 용융 유동층을 가지는 흰 줄무늬 발생품에서는, 열굽힘 시에 용융 유동하는 점착층이 용이하게 열굽힘품 표면의 형상 변화에 추종하기 때문에, 상기 어른거림을 유발시키지 않는 것으로 추정된다.
이상으로부터, 공압출 2층이나 2장 구성에 있어서는 흰 줄무늬 발생의 원인이 되는 수지층과 마찬가지로 열굽힘 조건 하에 용융되는 수지층을 가지며, 또한 이 수지층이 용융되더라도 타발 절단면에 실질적으로 부착되지 않는다는 조건을 만족할 것이 요구되었다.
그래서, 본 발명자들은, 흰 줄무늬 발생 빈도가 높은 조건에서, 중간층에 열굽힘 조건 하에 용융되는 수지층을 설치한 보호 필름을 시작(試作)하고,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사출 성형 렌즈를 제조하여 평가하는 것에 의해 신규한 보호 필름 부착 기능성 시트를 발견했다.
즉, 본 발명은,
(1). 폴리바이닐 알코올계 편광 필름층, 조광층 또는 이들의 조합인 기능층을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시트 또는 필름으로 협지하여 적층해서 이루어지는 기능성 시트에 보호 필름을 접합하여 이루어지는 보호 필름 부착 기능성 시트에 있어서, 상기 보호 필름이, 상기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의 유리전이온도 이상의 융점의 폴리프로필렌으로 이루어지는 기재층과, 그의 편면에 상기의 유리전이온도보다도 15℃ 낮은 온도 이상이고 유리전이온도보다도 낮은 융점의 폴리올레핀과 폴리올레핀 고무의 열가소성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로 이루어지는 점착층의 적어도 2층으로 이루어지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 필름 부착 기능성 시트이다.
상기 (1)의 본 발명에 있어서,
(2). 상기 기재층의 폴리프로필렌이 저밀도이고 그의 융점이 150∼170℃이며, 두께가 30∼60μm인 것,
(3). 상기 점착층의 폴리올레핀이 저밀도이고 그의 융점이 135∼145℃이며, 상기 점착층의 두께가 5∼30μm인 것, 또한
(4). 상기 기재층과 상기 점착층 사이에, 상기 기재층보다도 저융점의 폴리올레핀계 수지층을 가지는 것, 또
(5).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층이 저밀도이고 그의 융점이 120∼145℃이며, 그의 두께가 20∼60μm인 보호 필름 부착 기능성 시트이다.
또한, 본 발명은,
(6). 폴리바이닐 알코올계 편광 필름층, 조광층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선택한 기능층을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시트 또는 필름으로 협지하여 적층해서 이루어지는 기능성 시트에 보호 필름을 접합하여 보호 필름 부착 기능성 시트로 하고, 이를 희망 형상으로 타발하고, 타발편을 열굽힘 가공한 후, 보호 필름을 박리하여 금형에 장착하고,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사출 성형하고, 성형품을 취출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기능성의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사출 성형 렌즈의 제조법에 있어서, 상기 보호 필름이, 상기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의 유리전이온도 이상의 융점의 폴리프로필렌으로 이루어지는 기재층과, 그의 편면에 상기의 유리전이온도보다도 15℃ 낮은 온도 이상이고 유리전이온도보다도 낮은 융점의 폴리올레핀과 폴리올레핀 고무의 열가소성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로 이루어지는 점착층의 적어도 2층으로 이루어지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사출 성형 렌즈의 제조법이다.
상기 (6)의 본 발명에 있어서,
(7). 상기 열굽힘 가공이, 타발편의 최고 온도가 상기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의 유리전이온도보다도 15∼5℃ 낮은 온도에서 서서히 변형시키는 것인 것,
(8). 상기 기재층의 폴리프로필렌이 저밀도이고 그의 융점이 150∼170℃이며, 두께가 30∼60μm인 것,
(9). 상기 점착층의 폴리올레핀이 저밀도이고 그의 융점이 135∼145℃이며, 상기 점착층의 두께가 5∼30μm인 것,
(10). 상기 기재층과 상기 점착층 사이에, 상기 기재층보다도 저융점의 폴리올레핀계 수지층을 가지는 것,
(11).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층이 저밀도이고 그의 융점이 120∼145℃이며, 그의 두께가 20∼60μm인,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사출 성형 렌즈의 제조법이다.
도 1은 실시예 1과 비교예 1의 보호 필름 부착 기능성 시트를 톰슨칼날에 의해 프레스 타발하고, 열굽힘 가공한 것의 단면의 현미경 사진이다. 도 1a는 비교예 1의 것, 도 1b는 실시예 1의 보호 필름 부착 기능성 시트를 나타낸다.
보호 필름
본 발명의 보호 필름은 기재층과 점착층(또는 접착층)의 적어도 2층, 또는 기재층과 점착층 사이에 중간층을 설치한 적어도 3층으로 이루어진다. 본 보호 필름의 두께는 50∼100μm로부터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재층은, 보호 필름의 본래의 역할, 즉 유통 단계나, 가공 공정 등의 취급 시에 기능성 시트의 표면을 흠집, 오염이나 이물로부터 보호한다는 역할을 주로 달성하기 위한 층이고, 적절한 필름 강도를 가진 것을 선택한다. 또한, 기재층은, 타발 공정에서, 세편(細片)으로의 균열을 발생시키지 않고, 점착층과 박리되지 않고, 또한 열굽힘 공정에서 상기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의 유리전이온도 정도의 분위기에 노출되더라도 용융 접착 등이 되지 않는 것이며, 실질적으로 용융 상태가 된 점착층 또는 접착층과의 접착 상태를 유지하는 층이다.
또한, 보호 필름 부착 기능성 시트를 다수장 겹쳐 장기간 보존하는 경우, 보호 필름의 표면끼리가 가압 밀착된 상태로 장기간 유지된다. 이때, 블로킹, 즉 박리 불가능한 고착에 이르지 않도록, 적절히, 보다 경질의 표면층을 설치하는 것, 기재층의 표면층에 블로킹 방지제를 배합한 층을 설치하는 것 등이 적절히 행해진다.
기재층은, 열굽힘 공정에서 용융되지 않는 것이고, 상기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의 유리전이온도 이상의 융점(DSC 측정에 의한 피크 온도)의 폴리프로필렌, 바람직하게는 융점 150∼170℃, 보다 바람직하게는 융점 155∼165℃이며, 바람직하게는 저밀도 폴리프로필렌으로부터 선택하고, 두께는 20∼60μm로부터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밀도에서는 취성이 되어, 깨짐 등에 의한 절단 잔사가 발생하기 쉬워지고, 융점이 낮으면 기재층으로서의 강도 저하에 의한 형상 유지성의 저하의 과제가 생기기 쉬워진다.
한편, 본 보호 필름은, 열 측정에 있어서, 명백한 융점 피크를 나타내지 않는 경우가 있다. 특히, 점착층의 수지는 보다 저밀도이고, 두께비가 작기 때문에, 통상, 낮고 완만한 융점 피크 형상으로 측정된다. 또, 본 발명에서는, 폴리올레핀 고무와의 조성물이기 때문에, 기재층의 융점 피크의 저온측의 상승 부분과의 식별에 주의가 필요하다.
점착층(또는 가접착층)은, 보호 필름의 기재층에의 접착 또는 중간층에의 접착을 유지하면서 폴리카보네이트의 표면에 밀착되어, 풀 잔류 등 없이 박리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특히, 타발 공정에서, 보호면인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표면으로부터 박리되지 않고, 기재층으로부터 박리되지 않는 접착을 나타내고, 또한 용융 상태에 있어서도 기재층에 점착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 용융 점도의 온도 의존성이 작은 것, 또는 융점이 불명확한 것, 예컨대 규칙성이 뒤떨어지는 저밀도품, 분기된 구조 등을 일례로서 들 수 있다.
점착층은,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의 유리전이온도보다도 15℃ 낮은 온도 이상이고 유리전이온도 미만인 융점, 바람직하게는 135∼145℃의 폴리올레핀, 저밀도의 폴리올레핀과 스타이렌-올레핀-스타이렌 블록 공중합체 엘라스토머의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진다. 점착층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통상 5∼30μm로부터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점착층의 폴리올레핀은, 단독 사용으로, 실온에서의 압착에서는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에 대한 점착성이 불충분하다. 융점이 지나치게 낮으면, 단독 사용으로도 점착성을 발현하고, 열굽힘 가공 시에 점착성이 크게 증가하여, 실온으로 냉각되더라도 점착성의 저하가 불충분한 것이 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한편, 융점이 지나치게 높으면, 필요시 되는 점착성을 발현시키기 위한 조성 성분인 스타이렌-올레핀-스타이렌 공중합체 엘라스토머를 보다 많이 필요로 하는 것이 되고, 또한 기재층과의 점착 또는 접착력의 저하도 발생하여 바람직하지 않다. 다른 태양에 있어서는, 융점이 지나치게 높으면, 보호 필름의 구성 요소인 중간층과의 점착 또는 접착력의 저하도 발생하여 바람직하지 않다.
스타이렌-올레핀-스타이렌 공중합체 엘라스토머는, 통상, SBS, SIS 등, 즉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인 스타이렌-뷰타다이엔-스타이렌 블록 공중합체, 스타이렌-아이소프렌-스타이렌 공중합체의, 폴리뷰타다이엔, 폴리아이소프렌의 불포화 이중결합을 수소 첨가하여, 폴리올레핀 고무의 쇄, 전형적으로는 에틸렌-뷰텐 공중합체, 에틸렌-펜텐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고무상 중합체로서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온에서는, 분자 양 말단의 폴리스타이렌쇄가 미립자상으로 회합하여, 고무상의 폴리올레핀쇄를 의사적으로 가교한 구조를 취하고 있는 것으로 생각되며, 상온에서는 가교 고무와 같이 작용하고, 폴리스타이렌의 융점 이상에서는 용이하게 용융 유동하는 것이다.
조성비는, 스타이렌-올레핀-스타이렌 공중합체 엘라스토머 중의 고무상의 폴리올레핀쇄의 성분이 수지 조성물의 20∼60%, 바람직하게는 28∼52%인 범위로부터 선택된다.
한편, 점착(또는 가접착)에 있어서, 과제가 되는 점에 점착력의 경시(經時) 변화가 있다. 본 목적에 있어서도, 당연히 경시 변화가 실질적으로 없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경시 변화에 의해 점착(또는 접착)력이 불필요하게 증가하여 블로킹, 즉 박리 불가능한 고착에 이르는 경우가 있어, 제품을 사용 불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점착력은, 통상의 점착제 등의 값과 비교해서 작은 값이고, 통상 문제가 되지 않지만, 고려는 필수적이다.
본 발명의 보호 필름은, 기재층과 점착층(또는 가접착층)의 적어도 2층을 필수로 하지만, 상기 기재층과 점착층(또는 가접착층) 사이에, 또는 기재층의 내층측에, 상기 기재층 및 점착층에 밀착된 상기 기재층보다도 저융점의 폴리올레핀계 수지층으로 이루어지는 보조층 또는 중간층을 설치해도 된다.
이 중간층을 구성하는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층은, 상기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의 유리전이온도보다도 40℃ 낮은 온도 이상이고 유리전이온도보다도 5℃ 낮은 온도 이하의 융점의 폴리올레핀으로 이루어지며, 그의 융점이 바람직하게는 120℃∼145℃이고, 그의 두께가 20∼60μm이다. 이 중간층은, 열굽힘 가공 시에 용융 상태가 되어 국소적인 응력 부하를 흡수하고, 또한 기재층과 점착층(또는 가접착층)으로 협지되어 구속되어 있으므로, 단독으로 유동하여 보호 필름 본체로부터 분리되기 어려운 것이다.
중간층 폴리올레핀의 융점을 120℃ 정도로 낮게 하는 경우에는, 두께를 20μm 정도로 얇게 함으로써 필름 본체로부터 분리시키기 어렵다. 또한, 상기 중간층 폴리올레핀의 융점을 140℃ 정도로 높게 하는 경우에는, 두께를 40μm 정도로 하면 응력 흡수하는 효과가 보다 높아지지만, 열굽힘 가공 조건이나 작업 환경을 고려하여 적절히 선택 가능하다.
중간층의 융점이 상기 융점 범위보다도 높은 경우에는, 타발편의 열굽힘 가공 시에 중간층이 용융되어 유동하지 않기 때문에 응력 흡수도 충분하지 않고, 박리 주름, 요철 및 어른거림 등이 해소되지 않는다. 중간층 융점이 상기 융점 범위보다도 낮은 경우에는, 열굽힘 가공 시에 용융된 중간층이 열굽힘 시의 감압 또는 가압의 응력에 의해, 중간층만이 유동하여 보호 필름 기재층이나 점착층보다도 돌출된 상태가 되어, 열굽힘품의 단면에 부착되거나 또는 분리되어 고착된다. 그와 같은 열굽힘품의 보호 필름을 박리하여 사출 성형을 행한 경우, 흰 줄무늬와 동일한 불량이 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의 보호 필름은, 통상, 공압출법에 의해 제조된다.
기재층(코어층)용과 점착층(또는 접착층)용의 적어도 2개의 압출기를, 더욱이 중간층용의 압출기를 추가하여 적어도 3개의 압출기를 이용해서, 각각의 수지를 각각의 조건에서 용융 압출하고, 공압출 다이로 용융 상태에서 층 접촉시켜 다이 립으로부터 압출하고, 롤로 인취하여 보호 필름으로 한다. 한편, 이 공압출에 있어서, 안정제, 이형제, 활제 등을 적절히 소량 첨가하여, 보다 균일한 압출, 롤 등에 대한 부착의 제어 등을 행할 수 있다.
기능성 시트
상기의 보호 필름이 그의 표면에 점착 또는 접착으로 가접착되어 표면 보호되는 기능성 시트는, 폴리바이닐 알코올계 편광 필름층, 조광층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선택한 기능층을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시트 또는 필름으로 협지하여 적층해서 이루어지는 것이다.
폴리바이닐 알코올계 편광 필름층인 기능층은, 통상, 폴리바이닐 알코올계 수지 필름을 수용액 중에서 일축 연신하면서, 이색성(二色性) 유기 염료를 흡착 배향시켜 이루어지는 편광 필름으로서, 3.5∼6.5배로 일축 연신되고, 적절히 붕산 또는 금속 화합물로 처리되어 이루어지는 편광 필름이다.
조광층은 투명한 수지에 포토크로믹 화합물(포토크로믹 재료)을 혼합한 것으로 이루어지는 층이다. 포토크로믹 재료로서는, 스파이로옥사진계 재료, 스파이로피란계 재료, 풀가이드계 재료, 다이아릴에텐계 재료, 살리실리덴아닐린계 재료가 있고 적절히 이용된다.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시트 또는 필름은 두께 0.1∼1mm, 바람직하게는 0.2∼0.5mm이고, 일축 연신된 리타데이션이 2,000nm 이상, 통상 10,000nm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로서는, 2,2-비스(4-하이드록시페닐)알케인이나 2,2-비스(4-하이드록시-3,5-다이할로제노페닐)알케인으로 대표되는 비스페놀 화합물로부터 주지의 방법으로 제조된 중합체가 이용되고, 그 중합체 골격에 지방산 다이올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가 포함되는 에스터 결합을 가지는 구조 단위가 포함되어도 된다. 2,2-비스(4-하이드록시페닐)프로페인으로부터 유도되는 비스페놀 A 폴리카보네이트 수지가 바람직하다. 분자량은 부형(賦型)성이나 기계적 강도의 관점에서 점도 평균 분자량으로 17,000∼40,000, 바람직하게는 22,000∼34,000이다.
본 발명의 기능성 시트는, 상기의 기능층을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시트 또는 필름으로 협지하여 적층하는 것에 의해 제조된다. 적층은, 통상, 접착층을 개재해서 기능층의 양면에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시트 또는 필름을 겹쳐 압착하고, 적절히 접착층을 경화시키는 것에 의해 제조된다.
폴리바이닐 알코올계 편광 필름을 기능층으로 하는 실시 방법의 일례는, 장척의 폴리바이닐 알코올계 편광 필름에 연속적으로 접착제를 도포 건조하고, 접착제면을 장척의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시트에 겹쳐 압착하고, 그 편광 필름 표면에 다시 연속적으로 접착제를 도포 건조하고, 접착제면을 장척의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시트에 겹쳐 압착해서, 롤에 권취하거나 또는 소정 치수로 절단한 것을 적절히 후경화시키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보호 필름 부착 기능성 시트
본 발명의 보호 필름 부착 기능성 시트는, 통상, 연속 필름인 보호 필름을 상기 연속 또는 매엽(枚葉)의 기능성 시트의 양면에 겹쳐 압착하는 것에 의한다.
압착은, 통상, 2본의 롤 사이를 통과시키는 것에 의한다. 압력 10kg/cm 이하에서, 적절히 표면 온도를 60℃∼80℃로 가열하여 이용하는 것에 의한다.
한편, 본 발명의 보호 필름을 적층하는 방법은, 최종적으로 본 발명의 보호 필름의 구성이 되는 것과 같은 적층 방법이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사출 성형 렌즈
또한, 본 발명은, 폴리바이닐 알코올계 편광 필름층, 조광층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선택한 기능층을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시트 또는 필름으로 협지하여 적층해서 이루어지는 기능성 시트에 보호 필름을 접합하여 보호 필름 부착 기능성 시트로 하고, 이를 희망 형상으로 타발하고, 타발편을 열굽힘 가공한 후, 보호 필름을 박리하여 금형에 장착하고,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사출 성형하고, 성형품을 취출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기능성의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사출 성형 렌즈의 제조법에 있어서, 상기 보호 필름이, 상기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의 유리전이온도 이상의 융점의 폴리프로필렌으로 이루어지는 기재층과, 그의 편면에 상기의 유리전이온도보다도 15℃ 낮은 온도 이상이고 유리전이온도보다도 낮은 융점의 폴리올레핀과 스타이렌-올레핀-스타이렌 공중합체 엘라스토머의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점착층의 적어도 2층으로 이루어지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사출 성형 렌즈의 제조법이며, 또 상기 열굽힘 가공이, 타발편의 최고 온도가 상기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의 유리전이온도보다도 15∼5℃ 낮은 온도에서 서서히 변형시키는 것인 것으로 이루어지는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사출 성형 렌즈의 제조법이다.
다른 태양에 있어서,
본 발명은, 상기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사출 성형 렌즈의 제조법에 있어서, 상기 보호 필름이, 상기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의 유리전이온도 이상의 융점의 폴리프로필렌으로 이루어지는 기재층, 그의 편면에 상기의 유리전이온도보다도 15℃ 낮은 온도 이상이고 유리전이온도보다도 낮은 융점의 폴리올레핀과 스타이렌-올레핀-스타이렌 공중합체 엘라스토머의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점착층 및 상기의 기재층과 점착층 사이에, 상기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의 유리전이온도보다도 40℃ 낮은 온도 이상이고 유리전이온도보다도 5℃ 낮은 온도 이하의 융점의 폴리올레핀으로 이루어지는 중간층의 적어도 3층으로 이루어지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사출 성형 렌즈의 제조법이다.
본 보호 필름 부착 기능성 시트는 원하는 형상, 예컨대 직경 80mm의 원반, 원반의 양옆(상하)을 일정폭 평행하게 베어낸 슬릿 형상 등으로 타발 가공된다. 원하는 타발칼날, 예컨대 톰슨칼날을 배치한 프레스기 위에, 본 보호 필름 부착 기능성 시트와 당판을 그의 방향 등을 고려하여 겹쳐서 행한다.
타발편은, 원하는 형상의 금형, 통상, 부분 구면의 금형을 이용하여, 적절히, 상기의 유리전이온도보다도 15℃∼5℃ 낮은 온도 이하에서, 바람직하게는 130℃ 이상의 온도까지 예비 가열하고, 열굽힘용의 암 금형에 배치하여, 감압 또는 가압하고, 타발편의 최고 온도가 상기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의 유리전이온도보다도 15∼5℃ 낮은 온도, 통상 135∼145℃에서 서서히, 통상 0.5∼10분간에 걸쳐 변형시키고, 적절히, 이 사이에 수형을 강압하는 것에 의해 열굽힘 가공을 완료한다.
이 열굽힘 가공의 온도에 있어서, 본 보호 필름의 점착층도 부분 용융되는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종래의 보호 필름과 같이 절단 끝면에 부착물이 없어, 흰 줄무늬를 발생시키지 않는다.
본 보호 필름의 점착층에 이용하는 폴리올레핀은, 단독으로는 대략 열굽힘 가공의 최고 온도 범위에 융점 피크를 가지는 것을 이용하지만, 점착층용의 수지 조성물로 한 경우, 융점 피크는 확인할 수 없는 것은 아니지만, 불명확해진다. 종래의 보호 필름의 점착층은 명백한 융점 피크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점착층은, 종래의 것과 비교하여 극히 불명확하며, 또한 높은 융점 피크를 확인할 수 있다는 차이점을 가지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점착층은, 열굽힘 가공 시에 있어서도 높은 점성 때문에 기재층으로부터 분리되어 흘러 나오지 않아, 타발 끝면에 용융되어 부착되기 어려운 것이 되고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열굽힘 가공된 타발편을, 그의 보호 필름을 제거하여, 소정 온도의 사출 성형기의 금형에 배치하고, 광학용의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성형 재료를 사출하여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사출 성형 렌즈를 제조한다.
본 발명의 사출 성형은, 통상은, 수지 온도는 260∼340℃, 바람직하게는 270∼310℃, 사출 압력 50∼200MPa, 바람직하게는 80∼150MPa, 금형 온도 60∼130℃, 바람직하게는 80∼125℃이다.
상기에서 제조한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사출 성형 렌즈는, 적절히, 하드 코팅 처리가 실시되고, 추가로 미러 코팅이나 반사 방지 코팅 등이 실시되어, 제품이 된다.
하드 코팅의 재질 또는 가공 조건은, 외관이나 하지(下地)의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에 대하여, 또는 이어서 코팅되는 미러 코팅이나 반사 방지 코팅 등의 무기층에 대한 밀착성이 우수할 필요가 있으며, 이 점에서, 소성 온도는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시트의 유리전이점보다 50℃ 낮은 온도 이상이고 유리전이점 미만인 온도가 바람직하며, 특히 유리전이점보다 40℃ 낮은 온도 이상이고 유리전이점보다 15℃ 낮은 온도 미만이며, 120℃ 전후의 온도이고, 하드 코팅의 소성에 필요로 하는 시간은 대략 0.5∼2시간이다.
이하에 본 발명을 실시예로 설명한다.
실시예
기능성 시트
두께 30μm의 편광 필름의 양면에 열경화성 폴리우레탄계 접착층으로 두께 0.3mm의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시트를 적층한 전체 두께 0.6mm, 폭 300mm, 길이 340mm의 기능성 시트(미쓰비시가스화학(주)제, 유피론폴라)를 이용하고, 그 양면에, 하기 표 1에 기재된 보호 필름을 가온한 롤(롤 표면 온도 73℃)로 압착(하중 9kg/cm)했다(실시예 1 및 2, 비교예 1 내지 4).
두께 30μm의 편광 필름의 양면에 열경화성 폴리우레탄계 접착층으로 두께 0.3mm의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시트를 적층한 전체 두께 0.6mm, 폭 300mm, 길이 340mm의 편광 시트(미쓰비시가스화학(주)제, 유피론폴라)를 이용하고, 그 양면에, 하기 표 3에 기재된 보호 필름을 가온한 롤(롤 표면 온도 80℃)로 압착(하중 10kg/cm)했다(실시예 3, 4 및 5, 비교예 5 및 6).
다음으로, 보호 필름 부착 기능성 시트를 타발 가공했다.
여기에서, 타발은, 통상적 방법에 따라, 톰슨칼날을 이용하면 프레스 타발로 했지만, 상기의 과제의 항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흰 줄무늬 발생 빈도를 대폭으로 높게 한 타발편을 제조한다는 목적으로부터, 톰슨칼날로서 편(片)칼날인 것을 채용하며, 편칼날은 외향 배치로 하고, 또 칼날끝을 5μm 제거한 것을 이용했다.
타발편의 형상:
직경 80mm의 원반을 그의 중심을 통과하는 직선의 양측을 평행하게 동량 베어내어 폭 55mm로 한 슬릿 형상 또는 캡슐이나 가마니(俵)의 종단면 형상이며, 베어내지지 않는 양측의 원호 부분에 위치 결정용의 소돌기를 가진다. 타발 방향은 타발편의 긴 방향을 편광 필름의 흡수축 방향으로 했다.
상기에서 제조한 타발편을 열굽힘 가공했다.
열굽힘은, 타발편을 예열기로 예비 가열하고, 이를 소정의 온도, 소정의 곡률의 부분 구면 암형에 실어, 실리콘 고무제 수형으로 강압함과 동시에 감압을 개시하여 암형에 흡착시키고, 수형을 끌어 올려, 암형에 흡착된 타발편을 소정의 시간, 소정의 온도의 열풍 분위기 중에서 유지한 후, 취출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지는 연속 열굽힘 장치를 사용했다.
상기에 있어서, 타발편의 예비 가열은 136℃ 분위기 온도로 하고, 암형은 8R 상당(반경 약 65.6mm)의 부분 구면에서 표면 온도 138℃, 실리콘 고무제 수형에 의한 강압 시간은 4초, 암형에의 흡착은 취입 열풍 온도가 166℃인 분위기 하에서 9분간으로 했다.
한편, 이 열굽힘 조건은, 타발칼날의 조건과 마찬가지로, 흰 줄무늬의 발생 빈도가 높은 조건을 설정 선택한 것이다.
열굽힘 타발편에 대하여, 타발 절단 끝면의 보호 필름에 관하여 관찰(이하, 단면 관찰이라고 기재한다)했다. 나아가, 보호 필름의 주름 및 백탁, 어른거림의 발생을 관찰하고, 박리성도 확인했다. 방법을 하기에, 결과를 표 2 및 4에 나타냈다.
상기에서 제조한 열굽힘 타발편의 보호 필름을 박리하여, 사출 성형기 금형 캐비티에 장착하고,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자외선 흡수제 배합)를 이용하여, 사출 성형했다. 사출 성형 조건은 수지 온도 310℃, 사출 압력 125MPa, 유지압 63MPa, 금형 온도 80℃, 사출 사이클 70초로 각각 설정했다.
얻어진 사출 성형 렌즈에 관하여, 흰 줄무늬의 발생을 관찰한 결과를 하기 표 2 및 4에 나타냈다.
타발편의 형상:
직경 80mm의 원반을 그의 중심을 통과하는 직선의 양측을 평행하게 동량 베어내어 폭 55mm로 한 슬릿 형상 또는 캡슐이나 가마니의 종단면 형상이며, 베어내지지 않는 양측의 원호 부분에 위치 결정용의 소돌기를 가진다.
타발 방향은 타발편의 긴 방향을 편광 필름의 흡수축 방향으로 했다.
사출 성형 수지: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점도 평균 분자량 23000, 상품명: 유피론 CLS3400, 미쓰비시엔지니어링플라스틱스(주))
사출 성형용 금형:
도수(度數)를 가지지 않는 플라노렌즈용. 금형 캐비티는, 직경 약 80mm 약(弱)의 8R 상당의 부분 구면이고, 수차(收差) 보정되어 장착(인서트) 시트를 포함하는 총두께가 2mm이고, 게이트의 반대 끝에는, 렌즈의 후가공 등에 사용하는 관통공 부착 돌기부가 설치된 형상이다. 시트 장착부는 오목면측, 게이트로부터 그 반대 끝 방향에 대하여 슬릿 또는 가마니 형상의 직선부가 직교하도록, 타발편의 위치 결정 소돌기를 받아들이는 함몰을 가진다.
따라서, 용융 수지는, 게이트로부터 부분 구면 형상으로 퍼지면서 이동하고, 오목면측에서는, 타발편의 직선부에 부딪쳐, 타발편 위를 타고 넘어, 오그라들면서 게이트의 반대 끝의 돌기부에 이른다.
융점:
DSC에 의한다. 승온 속도 10℃/분, 샘플량 10mg으로 측정.
끝면 관찰:
열굽힘 타발편의 끝면에 있어서, 보호 필름은, 기능성 시트 절단 끝면으로부터 돌출되어 늘어져 있고, 기능성 시트 절단벽에 부착되어 있는 상태가 관찰된다.
현미경 관찰하여, 보호 필름의 두께를 빼고, 끝면으로부터의 돌출 늘어짐량을 각각 측정했다.
흰 줄무늬의 발생:
사출 수지의 흐름 방향으로, 타발편의 절단 끝면으로부터, 타발편과 사출 수지 사이에 뻗은 흰 줄무늬이고, 육안으로 관찰 판정했다. 통상, 눈에 띄는 흰 줄무늬는 1∼2cm 정도의 길이로 발생하지만, 1cm 이하이고 수mm 정도인 작은 흰 줄무늬도 불량으로서 선별했다.
박리 주름의 발생:
열굽힘 가공 후에, 열굽힘품 오목면에 발생하는 보호 필름의 박리 주름이고, 5∼10mm 정도의 길이가 있으며, 보호 필름 점착층과 기능성 시트의 보호층의 계면이 공극이 되어 있는 보호 필름의 박리 주름을 육안으로 관찰 판정했다.
박리성:
열굽힘 가공 후의 보호 필름의 벗김 용이성이고, 사람의 손으로 용이하게 벗길 수 있을 수 있는지 여부를 판정했다.
요철:
열굽힘 가공 후의 기능층의 보호 시트 표면의 형상 변화이고, 20∼100μm 정도의 깊이의 함몰이며, 길이 또는 폭이 100∼600μm 정도인 요철을, 형광등의 반사광에 의해 육안으로 관찰 판정했다.
어른거림:
열굽힘 가공 후의 기능층의 보호 시트 표면의 형상 변화이고, 육안으로 형광등 너머로 열굽힘품을 관찰하여 판정했다.
Figure 112015109226314-pct00001
주)
PPSM1: 융점 140℃ 부근의 저밀도 폴리프로필렌과 SEBS 엘라스토머의 수지 조성물
점착층의 융점은 저밀도 폴리프로필렌 성분의 융점
* SEBS 엘라스토머: 스타이렌-에틸렌-뷰텐-스타이렌 공중합체
PPSM2: 융점 130℃ 부근의 저밀도 폴리프로필렌과 SEBS 엘라스토머의 수지 조성물
점착층의 융점은 저밀도 폴리프로필렌 성분의 융점
PP1: 융점 160℃ 부근의 저밀도 폴리프로필렌
PP2: 융점 140℃ 부근의 저밀도 폴리프로필렌
PE1: 융점 120℃ 부근의 고밀도 폴리에틸렌
PE2: 융점 90℃ 부근의 저밀도 폴리에틸렌
Figure 112015109226314-pct00002
주)
박리성 ○: 문제없이 보호지를 박리할 수 있다
박리성 ×: 보호지를 박리하는 것이 곤란
Figure 112015109226314-pct00003
주)
PPSM: 융점 140℃ 부근의 저밀도 폴리프로필렌과 SEBS 엘라스토머의 수지 조성물
점착층의 융점은 저밀도 폴리프로필렌 성분의 융점
* SEBS 엘라스토머: 스타이렌-에틸렌-뷰텐-스타이렌 공중합체
PP1: 융점 160℃ 부근의 저밀도 폴리프로필렌
PP2: 융점 140℃ 부근의 저밀도 폴리프로필렌
PP3: 융점 130℃ 부근의 저밀도 폴리프로필렌
PP4: 융점 120℃ 부근의 저밀도 폴리프로필렌
PE1: 융점 120℃ 부근의 고밀도 폴리에틸렌
Figure 112015109226314-pct00004
주)
흰 줄무늬 ○: 렌즈에 흰 줄무늬가 발생해 있지 않다.
흰 줄무늬 ×: 렌즈에 흰 줄무늬가 수mm 이상 발생해 있다.
박리 주름 ○: 보호 필름에 박리 주름이 발생해 있지 않다.
박리 주름 ×: 보호 필름에 박리 주름이 발생해 있다.
박리성 ○: 문제없이 보호 필름을 박리할 수 있다.
박리성 ×: 보호 필름을 박리하는 것이 곤란.
요철 ○: 보호 필름 박리 후에, 기능층의 보호 시트 상에 요철이 발생해 있지 않다.
요철 ×: 보호 필름 박리 후에, 기능층의 보호 시트 상에 요철이 발생해 있다.
백탁 ○: 사출 성형 렌즈에 백탁이 존재하지 않는다.
백탁 ×: 사출 성형 렌즈에 백탁이 존재한다.
본원 발명에 의해, 기능성 시트의 가공 시의 제조 환경에서 유래하는 흰 줄무늬, 박리 주름 및 요철 등의 불량이 대폭으로 감소한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사출 성형 렌즈를 제조할 수 있는 보호 필름 부착 기능성 시트를 제공 가능해졌다.

Claims (11)

  1. 폴리바이닐 알코올계 편광 필름층, 조광층 또는 이들의 조합인 기능층을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시트 또는 필름으로 협지하여 적층해서 이루어지는 기능성 시트에 보호 필름을 접합하여 이루어지는 보호 필름 부착 기능성 시트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시트는 이를 희망 형상으로 타발하고, 타발편을 열굽힘 가공한 후, 보호 필름을 박리하여 금형에 장착하고,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사출 성형하고, 성형품을 취출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기능성의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사출 성형 렌즈에 이용되는 것이고, 상기 보호 필름이, 상기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의 유리전이온도 이상의 융점의 폴리프로필렌으로 이루어지는 기재층과, 상기 기재층의 편면에 폴리올레핀과 스타이렌-올레핀-스타이렌 공중합체 엘라스토머의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점착층의 적어도 2층으로 이루어지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이고, 상기 점착층의 폴리올레핀이, 융점이 135∼145℃인 저밀도 폴리올레핀이고, 상기 점착층의 두께가 5∼30μ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 필름 부착 기능성 시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층의 폴리프로필렌이, 융점이 150∼170℃인 저밀도 폴리프로필렌이고, 상기 기재층의 두께가 30∼60μm인, 보호 필름 부착 기능성 시트.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층과 상기 점착층 사이에, 상기 기재층보다도 저융점의 폴리올레핀계 수지층을 가지는, 보호 필름 부착 기능성 시트.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층이 저밀도이고, 융점이 120∼145℃이며, 두께가 20∼60μm인, 보호 필름 부착 기능성 시트.
  5. 폴리바이닐 알코올계 편광 필름층, 조광층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선택한 기능층을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시트 또는 필름으로 협지하여 적층해서 이루어지는 기능성 시트에 보호 필름을 접합하여 보호 필름 부착 기능성 시트로 하고, 이를 희망 형상으로 타발하고, 타발편을 열굽힘 가공한 후, 보호 필름을 박리하여 금형에 장착하고,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사출 성형하고, 성형품을 취출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기능성의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사출 성형 렌즈의 제조법에 있어서,
    상기 보호 필름이, 상기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의 유리전이온도 이상의 융점의 폴리프로필렌으로 이루어지는 기재층과, 상기 기재층의 편면에 폴리올레핀과 스타이렌-올레핀-스타이렌 공중합체 엘라스토머의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점착층의 적어도 2층으로 이루어지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이고, 상기 점착층의 폴리올레핀이, 융점이 135∼145℃인 저밀도 폴리올레핀이고, 상기 점착층의 두께가 5∼30μ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사출 성형 렌즈의 제조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열굽힘 가공이, 타발편의 최고 온도가 상기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의 유리전이온도보다도 15∼5℃ 낮은 온도에서 서서히 변형시키는 것인,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사출 성형 렌즈의 제조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층의 폴리프로필렌이, 융점이 150∼170℃인 저밀도 폴리프로필렌이고, 상기 기재층의 두께가 30∼60μm인,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사출 성형 렌즈의 제조법.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층과 상기 점착층 사이에, 상기 기재층보다도 저융점의 폴리올레핀계 수지층을 가지는,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사출 성형 렌즈의 제조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층이 저밀도이고, 융점이 120∼145℃이며, 두께가 20∼60μm인,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사출 성형 렌즈의 제조법.
  10. 삭제
  11. 삭제
KR1020157032143A 2013-05-24 2014-05-21 보호 필름 부착 기능성 시트 KR10224957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109822 2013-05-24
JP2013109822 2013-05-24
JPJP-P-2013-244726 2013-11-27
JP2013244726 2013-11-27
PCT/JP2014/063469 WO2014189078A1 (ja) 2013-05-24 2014-05-21 保護フィルム付き機能性シー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8483A KR20160018483A (ko) 2016-02-17
KR102249572B1 true KR102249572B1 (ko) 2021-05-07

Family

ID=519336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32143A KR102249572B1 (ko) 2013-05-24 2014-05-21 보호 필름 부착 기능성 시트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9618658B2 (ko)
EP (1) EP3006971B1 (ko)
JP (2) JP6385924B2 (ko)
KR (1) KR102249572B1 (ko)
CN (1) CN105308485B (ko)
ES (1) ES2836698T3 (ko)
TW (1) TWI621527B (ko)
WO (1) WO201418907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565907B2 (ja) * 2014-05-30 2019-08-28 日本ゼオン株式会社 複層フィルム及び巻回体
CN107000415B (zh) * 2014-11-21 2020-06-26 三菱瓦斯化学株式会社 带有保护膜的功能性片材
JP6895455B2 (ja) * 2016-01-04 2021-06-30 ジュロックス ピーティーワイ リミテッドJurox Pty Ltd 薬剤放出デバイス及び使用
CN106142787B (zh) * 2016-09-07 2019-01-11 深圳市丰兆新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导光板在线贴合保护膜及其制备工艺
JP6965554B2 (ja) * 2017-04-25 2021-11-10 住友ベークライト株式会社 保護フィルム
WO2018199172A1 (ja) * 2017-04-25 2018-11-01 住友ベークライト株式会社 保護フィルム
WO2018199173A1 (ja) * 2017-04-25 2018-11-01 住友ベークライト株式会社 保護フィルム
JP6837460B2 (ja) 2017-10-05 2021-03-03 住友化学株式会社 光学部材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JP6741160B2 (ja) * 2018-03-23 2020-08-19 住友ベークライト株式会社 保護フィルム
JP6687070B2 (ja) * 2018-08-21 2020-04-22 住友ベークライト株式会社 保護フィルム
JP6897809B2 (ja) * 2018-08-21 2021-07-07 住友ベークライト株式会社 保護フィルム
JP6992739B2 (ja) * 2018-12-28 2022-02-03 住友ベークライト株式会社 光学部品の製造方法
CN110628344B (zh) * 2019-09-16 2021-11-09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热弯保护膜及其制备方法和应用
EP3895880A1 (en) * 2020-04-14 2021-10-20 Essilor International Laminate having microstructured substrate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laminat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45616A (ja) * 2001-11-12 2003-05-20 Mitsubishi Gas Chem Co Inc ポリカーボネート板の保護フィルム
JP2005514465A (ja) * 2001-05-22 2005-05-19 ノヴァセル 保護用接着性フィルム
JP2011037243A (ja) * 2009-08-18 2011-02-24 Mitsui Chemicals Tohcello Inc 表面保護フィルム
WO2013051723A1 (ja) * 2011-10-03 2013-04-11 三菱瓦斯化学株式会社 芳香族ポリカーボネート製偏光レンズ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25775B2 (ja) * 1992-11-06 2003-07-14 藤森工業株式会社 光学用部材の表面保護フィルム
JPH06160630A (ja) * 1992-11-19 1994-06-07 Fujimori Kogyo Kk 光学用部材の表面保護フィルム
DE19548789A1 (de) * 1995-12-27 1997-07-03 Hoechst Trespaphan Gmbh Peelfähige, siegelbare polyolefinische Mehrschichtfolie,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JP2003185833A (ja) * 2001-12-14 2003-07-03 Toyo Kohan Co Ltd 偏光子用保護フィルムおよびそれを用いた偏光板
US20040072002A1 (en) * 2002-08-09 2004-04-15 Tohru Hashioka Heat-shrinkable polyolefin film
JP5288733B2 (ja) * 2007-05-31 2013-09-11 出光ユニテック株式会社 表面保護フィルム
US7931369B2 (en) * 2007-07-13 2011-04-26 David Andrew Harris Tinted lens and method of making same
CN101526637B (zh) * 2008-03-06 2011-02-02 达信科技股份有限公司 偏光板及其制造方法
JP5724174B2 (ja) 2009-11-30 2015-05-27 住友ベークライト株式会社 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成形体の製造方法、保護フィルム付き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成形体、防眩製品および防護製品
JP5821484B2 (ja) * 2011-09-30 2015-11-24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加飾用フィルム及びこの加飾用フィルムを用いて製造される加飾成形品の製造方法、並びに加飾用フィルムを用いた加飾成形品
CN103267994B (zh) * 2013-05-22 2015-06-17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一种偏光器件、液晶显示装置及其制造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514465A (ja) * 2001-05-22 2005-05-19 ノヴァセル 保護用接着性フィルム
JP2003145616A (ja) * 2001-11-12 2003-05-20 Mitsubishi Gas Chem Co Inc ポリカーボネート板の保護フィルム
JP2011037243A (ja) * 2009-08-18 2011-02-24 Mitsui Chemicals Tohcello Inc 表面保護フィルム
WO2013051723A1 (ja) * 2011-10-03 2013-04-11 三菱瓦斯化学株式会社 芳香族ポリカーボネート製偏光レン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308485B (zh) 2018-05-29
US9618658B2 (en) 2017-04-11
JP6856579B2 (ja) 2021-04-07
TW201509656A (zh) 2015-03-16
TWI621527B (zh) 2018-04-21
EP3006971A4 (en) 2017-05-03
JPWO2014189078A1 (ja) 2017-02-23
EP3006971A1 (en) 2016-04-13
EP3006971B1 (en) 2020-11-11
KR20160018483A (ko) 2016-02-17
CN105308485A (zh) 2016-02-03
JP2019003196A (ja) 2019-01-10
ES2836698T3 (es) 2021-06-28
US20160109622A1 (en) 2016-04-21
WO2014189078A1 (ja) 2014-11-27
JP6385924B2 (ja) 2018-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49572B1 (ko) 보호 필름 부착 기능성 시트
KR102404305B1 (ko) 보호 필름 부착 기능성 시트
JP5942309B2 (ja) インモールド成形方法とインモールド転写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724174B2 (ja) 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成形体の製造方法、保護フィルム付き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成形体、防眩製品および防護製品
TWI518355B (zh) 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laminated body and the layered body
KR101296316B1 (ko)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편광렌즈 제조방법
WO2016171223A1 (ja) 光学積層体
JP6654371B2 (ja) ロール状アクリル系樹脂フィルムの製造方法及び偏光板の製造方法
JP2018066772A (ja) 光学積層体
JP6687070B2 (ja) 保護フィルム
KR20210104786A (ko) 민감성 기판을 보호하기 위한 마스킹 필름
JP2014069385A (ja) 耐熱離型用フィルム
JP2020111010A (ja) 成型体の製造方法
CN114730040A (zh) 带粘合剂的光学薄膜及其制造方法
JP2005335214A (ja) 剥離ライナー、粘着テープ、及びそれらの製造方法
KR20050078685A (ko) 자가 접착성 보호 필름
JP2010228432A (ja) 粘着部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