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8419B1 -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8419B1
KR102248419B1 KR1020140130240A KR20140130240A KR102248419B1 KR 102248419 B1 KR102248419 B1 KR 102248419B1 KR 1020140130240 A KR1020140130240 A KR 1020140130240A KR 20140130240 A KR20140130240 A KR 20140130240A KR 102248419 B1 KR102248419 B1 KR 1022484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tern
vertical channel
channel structure
auxiliary gate
subst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02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38161A (ko
Inventor
장병현
유동철
안재영
임헌형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302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8419B1/ko
Priority to US14/865,078 priority patent/US9653565B2/en
Publication of KR201600381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81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84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84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41/00Electrically erasable-and-programmable ROM [EEPROM] devices comprising floating gates
    • H10B41/30Electrically erasable-and-programmable ROM [EEPROM] devices comprising floating gates characterised by the memory core reg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40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43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of which they are formed
    • H01L29/49Metal-insulator-semiconductor electrodes, e.g. gates of MOSFET
    • H01L29/495Metal-insulator-semiconductor electrodes, e.g. gates of MOSFET the conductor material next to the insulator being a simple metal, e.g. W, Mo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43/00EEPROM devices comprising charge-trapping gate insulators
    • H10B43/20EEPROM devices comprising charge-trapping gate insulators characterised by three-dimensional arrangements, e.g. with cells on different height levels
    • H10B43/23EEPROM devices comprising charge-trapping gate insulators characterised by three-dimensional arrangements, e.g. with cells on different height levels with source and drain on different levels, e.g. with sloping channels
    • H10B43/27EEPROM devices comprising charge-trapping gate insulators characterised by three-dimensional arrangements, e.g. with cells on different height levels with source and drain on different levels, e.g. with sloping channels the channels comprising vertical portions, e.g. U-shaped chan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emiconductor Memories (AREA)
  • Non-Volatile Memo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Abstract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소자는 기판 상에 수직으로 연장된 수직 채널 구조체, 상기 수직 채널 구조체를 둘러싸며 상기 기판 상에 수직으로 적층된 층간 절연막들, 상기 수직 채널 구조체를 둘러싸며 상기 층간 절연막들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수직 채널 구조체에 인접한 라운드진 모서리를 포함하는 게이트 전극들, 및 상기 게이트 전극들 및 상기 수직 채널 구조체 사이에 배치된 보조 게이트 절연 패턴들을 포함하되, 상기 수직 채널 구조체와 접촉하는 상기 보조 게이트 절연 패턴들의 측면들과 상기 수직 채널 구조체와 접촉하는 상기 층간 절연막들의 측면들은 공면을 이룰 수 있다.

Description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 방법{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본 발명은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소비자가 요구하는 우수한 성능 및 저렴한 가격을 충족시키기 위해 반도체 소자의 집적도를 증가시키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반도체 소자의 경우, 그 집적도는 제품의 가격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이기 때문에, 특히 증가된 집적도가 요구되고 있다. 종래의 2차원 또는 평면적 반도체 소자의 경우, 그 집적도는 단위 메모리 셀이 점유하는 면적에 의해 주로 결정되기 때문에, 미세 패턴 형성 기술의 수준에 크게 영향을 받는다. 하지만, 패턴의 미세화를 위해서는 초고가의 장비들이 필요하기 때문에, 2차원 반도체 소자의 집적도는 증가하고는 있지만 여전히 제한적이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3차원적으로 배열되는 메모리 셀들을 구비하는 3차원 반도체 소자들이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3차원 반도체 소자의 대량 생산을 위해서는, 비트당 제조 비용을 2차원 반도체 소자의 그것보다 줄일 수 있으면서 신뢰성 있는 제품 특성을 구현할 수 있는 공정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신뢰성이 향상된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소자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신뢰성이 향상된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형성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양한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 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소자는 기판 상에 수직으로 연장된 수직 채널 구조체, 상기 수직 채널 구조체를 둘러싸며 상기 기판 상에 수직으로 적층된 층간 절연막들, 상기 수직 채널 구조체를 둘러싸며 상기 층간 절연막들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수직 채널 구조체에 인접한 라운드진 모서리를 포함하는 게이트 전극들, 및 상기 게이트 전극들 및 상기 수직 채널 구조체 사이에 배치된 보조 게이트 절연 패턴들을 포함하되, 상기 수직 채널 구조체와 접촉하는 상기 보조 게이트 절연 패턴들의 측면들과 상기 수직 채널 구조체와 접촉하는 상기 층간 절연막들의 측면들은 공면을 이룰 수 있다.
상기 보조 게이트 절연 패턴들은 상기 수직 채널 구조체의 외 측벽에 수직으로 정렬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게이트 전극은 텅스텐, 티타늄, 탄탈륨, 백금, 또는 금속 실리사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게이트 전극은 배리어 금속막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리어 금속막은 티타늄, 티타늄 질화물, 탄탈륨, 탄탈륨, 및/또는 금속 질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직 채널 구조체는 게이트 유전 패턴, 수직 채널 패턴 및 충진 절연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게이트 유전 패턴은 파이프 형태(pipe-shaped)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수직 채널 패턴은 중공의 실린더 형태(hollow cylindrical shape) 또는 컵(cup) 모양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게이트 유전 패턴은 블로킹 절연 패턴, 전하 트랩 패턴 및 터널 절연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직 채널 구조체와 상기 기판 사이에 반도체 패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반도체 패턴은 상기 수직 채널 패턴과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반도체 패턴은 최하부에 위치한 게이트 전극을 관통하여 상기 기판과 접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소자는 기판 상에 수직적으로 적층된 게이트 전극들, 상기 게이트 전극들 사이에 배치되는 층간 절연막들, 상기 게이트 전극들 및 상기 층간 절연막들을 수직으로 관통하여 상기 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수직 채널 구조체, 및 상기 층간 절연막 및 상기 수직 채널 구조체와 접촉하며 상기 게이트 전극 및 상기 수직 채널 구조체 사이에 배치되는 보조 게이트 절연 패턴을 포함하되, 상기 보조 게이트 절연 패턴은 고정 전하(fixed charge)를 갖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직 채널 구조체는 게이트 유전 패턴, 수직 채널 패턴 및 충진 절연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게이트 유전 패턴은 블로킹 절연 패턴, 전하 트랩 패턴 및 터널 절연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하 트랩 패턴은 상기 게이트 전극과 오버랩되는 제1 영역 및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보조 게이트 절연 패턴과 오버랩되는 제2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영역들은 상기 제1 영역의 상부와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제1 영역에 저장된 전자가 상기 제1 영역의 외부로 이동하는 것을 방해하는 전기적 배리어가 상기 제2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조 게이트 절연 패턴의 측면과 상기 층간 절연막의 측면은 공면을 이룰 수 있다.
상기 보조 게이트 절연 패턴은 알루미늄 질화막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게이트 전극은 라운드진 모서리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소자는 기판 상에 수직적으로 적층된 라운드 진 모서리를 갖는 게이트 전극들, 상기 게이트 전극들 사이에 배치되는 층간 절연막들, 상기 게이트 전극들 및 상기 층간 절연막들을 수직으로 관통하여 상기 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수직 채널 구조체, 상기 수직 채널 구조체 및 상기 기판 사이에 배치되는 반도체 패턴, 및 상기 게이트 전극들 및 수직 채널 구조체 사이, 및 상기 게이트 전극들 및 상기 반도체 패턴 사이에 배치되는 보조 게이트 절연 패턴들을 포함할 수 있다.
기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본문 내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소자는, 수직 채널 구조체와 게이트 전극의 모서리 사이에 배치된 보조 게이트 절연 패턴에 의해 라운드진 게이트 전극 모서리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기장(electric filed)이 상기 게이트 전극의 모서리에 집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 게이트 절연 패턴은 고정 전하(fixed charge)를 갖는 물질을 포함하여, 전하 트랩막 내에 저장된 전자 또는 정공의 이동을 억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전하 보존력이 향상될 수 있어, 신뢰성이 향상된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소자를 구현할 수 있다.
기타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효과들은 본문 내에서 언급될 것이고, 언급되지 않은 효과들도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통상적 수준에서 충분히 예견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셀 어레이를 나타내는 간략 회로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소자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b는 도 1a의 A 영역의 확대도이다.
도 3 내지 5 및 도 6a 내지 도 16a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로서, 도 2a의 YZ 단면을 나타낸다.
도 6b 내지 도 16b는 각각 도 6a 내지 16a의 B1 내지 B11 영역의 확대도들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소자를 포함하는 전자시스템의 일 예를 간략히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들시예에 따른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소자를 포함하는 메모리 카드의 일 예를 간략히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 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어떤 막(또는 층)이 다른 막(또는 층) 또는 기판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막(또는 층) 또는 기판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3의 막(또는 층)이 개재될 수 도 있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들의 크기 및 두께 등은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된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제1, 제2, 제3 등의 용어가 다양한 영역, 막들(또는 층들) 등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지만, 이들 영역, 막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들 용어 들은 단지 어느 소정 영역 또는 막(또는 층)을 다른 영역 또는 막(또는 층)과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각 실시예는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예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이란 표현은 전후에 나열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따라서, 동일한 참조 부호 또는 유사한 참조 부호들은 해당 도면에서 언급 또는 설명되지 않았더라도, 다른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될 수 있다. 또한, 참조 부호가 표시되지 않았더라도, 다른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3차원 메모리 셀 어레이를 나타내는 간략 회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메모리 셀 어레이는 수직 방향으로 연장하는 복수의 셀 스트링들(CS11, CS12, CS21, CS22)을 포함할 수 있다. 셀 스트링들(CS11, CS12, CS21, CS22)의 각각은 직렬로 연결된 그라운드 선택 트랜지스터(GST), 복수의 메모리 셀 트랜지스터들(MC1, MC2, … , MC6) 및 스트링 선택 트랜지스터(SST)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는 각 셀 스트링(CS11, CS12, CS21, CS22)이 한 개의 그라운드 선택 트랜지스터(GST) 및 한 개의 스트링 선택 트랜지스터(SST)를 갖는 것이 도시되었지만, 각 셀 스트링(CS11, CS12, CS21, CS22)은 직렬로 연결된 2개 이상의 스트링 선택 트랜지스터들(SST)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 셀 스트링(CS11, CS12, CS21, CS22)이 6개의 메모리 셀 트랜지스터들(MC1, MC2, … , MC6)을 갖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각 셀 스트링(CS11, CS12, CS21, CS22)은 적어도 8개 이상의 메모리 셀 트랜지스터들 (MCx)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셀 스트링들(CS11, CS12, CS21, CS22)은 행 및 열 단위로 연결될 수 있다. 각 셀 스트링(CS11, CS12, CS21, CS22)의 스트링 선택 트랜지스터(SST)는 대응되는 비트 라인들(BL1, BL2)과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비트 라인(BL1)에 공통으로 연결된 셀 스트링들(CS11, CS21)은 제1 열을 형성하고, 제2 비트 라인(BL2)에 공통으로 연결된 셀 스트링들(CS12, CS22)은 제2 열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각 셀 스트링(CS11, CS12, CS21, CS22)의 스트링 선택 트랜지스터(SST)는 스트링 선택 라인들(SSL1, SSL2)과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스트링 선택 라인(SSL1)에 공통으로 연결된 셀 스트링들(CS11, CS12)은 제1 행을 형성하고, 제2 스트링 선택 라인(SSL2)에 공통으로 연결된 셀 스트링(CS21, CS22)은 제2 행을 형성할 수 있다.
각 셀 스트링(CS11, CS12, CS21, CS22)의 그라운드 선택 트랜지스터(GST)는 그라운드 선택 라인(GSL)과 연결될 수 있다. 공통 소스 라인(CSL)은 각 셀 스트링(CS11, CS12, CS21, CS22)의 그라운드 선택 트랜지스터(GST)과 연결될 수 있다.
동일한 높이에 위치한 메모리 셀 트랜지스터들(MC1, MC2, … , MC6)은 동일한 높이에 위치한 워드 라인들(WL1, WL2, … , WL6)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라운드 선택 트랜지스터(GST)와 연결되어 있는 제1 메모리 셀 트랜지스터(MC1)는 인접한 열의 제1 메모리 셀 트랜지스터(MC1)와 제1 워드 라인(WL1)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공통 소스 라인(CSL)은 그라운드 선택 트랜지스터(GST)의 소오스들에 공통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공통 소스 라인(CSL)과 비트 라인들(BL1, BL2) 사이에 배치되는 그라운드 선택 라인(GSL), 복수개의 워드 라인들(WL1, WL2, … , WL6) 및 스트링 선택 라인(SSL)이 그라운드 선택 트랜지스터(GST), 메모리 셀 트랜지스터들(MC1, MC2, … , MC6) 및 스트링 선택 트랜지스터(SST)의 게이트 전극들로서 각각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 셀 트랜지스터들(MC1, MC2, … , MC6)의 각각은 데이터 저장 요소(data storage element)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a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3차원 메모리 소자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b는 도 2a의 A 영역의 확대도이다.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3차원 메모리 소자는 기판(100) 상에 배치된 반도체 패턴(150), 수직 채널 구조체(200), 게이트 전극들(300) 및 보조 게이트 절연 패턴(270)을 포함할 수 있다. 3차원 메모리 소자는 층간 절연막들(110), 공통 소스 라인(CSL) 및 공통 소스 영역(28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3차원 메모리 소자는 최상부에 위치한 층간 절연막(110), 수직 채널 구조체(200)을 덮는 제1 캡핑 절연막(245) 및 공통 소스 라인(CSL)을 덮는 제2 캡핑 절연막(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3차원 메모리 소자는 비트라인 콘택(315) 및 비트 라인(BL)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기판(100)은 벌크 실리콘 웨이퍼, 게르마늄 기판, 실리콘-게르마늄 기판, 또는 실리콘 온 인슐레이터(silicon-on-insulator: SOI)을 포함할 수 있다.
반도체 패턴(150)은 기판(100) 상에 Z 방향으로 돌출할 수 있다. 반도체 패턴(150)은 단결정 실리콘 또는 실리콘-게르마늄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수직 채널 구조체(200)은 수직 채널 패턴(220), 충진 절연 패턴(230), 유전 패턴(210) 및 채널 패드(240)를 포함할 수 있다.
수직 채널 패턴(220)은 반도체 패턴(150) 상에 실린더 형상을 가지면서 Z 방향으로 돌출하여 연장할 수 있다. 수직 채널 패턴(220)의 바닥은 반도체 패턴(150)과 접촉할 수 있다. 수직 채널 패턴(220)은 반도체 패턴(150)을 통하여 기판(1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수직 채널 패턴(220)은 다결정 실리콘을 포함할 수 있다.
충진 절연 패턴(230)은 수직 채널 패턴(220)의 내부를 채울 수 있다. 충진 절연 패턴(230)은 실리콘 산화물, 실리콘 산질화물 또는 실리콘 질화물과 같은 절연물을 포함할 수 있다.
게이트 유전 패턴(210)은 블로킹 절연 패턴(211), 전하 트랩 패턴(212) 및 터널 절연 패턴(213)을 포함할 수 있다. 블로킹 절연 패턴(211)은 층간 절연막들(110) 및 게이트 전극들(300)의 측벽 상에 배치되고, 실리콘 산화물 같은 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전하 트랩 패턴(212)은 블로킹 절연 패턴(211)과 터널 절연막 패턴(213) 사이에 배치되고, 실리콘 질화물과 같은 질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터널 절연 패턴(213)은 수직 채널 패턴(220)의 외 측벽을 둘러쌀 수 있다. 터널 절연 패턴(213)은 실리콘 산화물 또는 실리콘 산질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채널 패드(240)는 충진 절연 패턴(23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채널 패드(240)는 수직 채널 패턴(220)의 상부 측벽과 직접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게이트 전극들(300) 및 층간 절연막들(110)은 수직 채널 구조체(200)의 측벽을 둘러싸면서 X 방향으로 연장할 수 있다. 최하부에 위치한 게이트 전극(300)은 반도체 패턴(150)의 측벽을 둘러싸면서 X 방향으로 연장할 수 있다. 게이트 전극들(300)과 수직 채널 구조체(200)의 교차점에 스트링 선택 트랜지스터(SST) 및 셀 트랜지스터들(MCT)이 배치될 수 있다. 최하부에 위치한 게이트 전극(300)과 반도체 패턴(150)의 교차점에 그라운드 선택 트랜지스터(GST)가 배치될 수 있다. 게이트 전극들(300)은 층간 절연막들(110)에 의해 서로 절연될 수 있다. 게이트 전극들(300)은 적어도 하나의 그라운드 선택 게이트 전극, 다수의 메모리 셀 게이트 전극들 및 스트링 선택 게이트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그라운드 게이트 전극은 최하부에 배치되고, 스트링 선택 게이트 전극은 최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메모리 셀 게이트 전극들은 그라운드 선택 게이트 전극 및 스트링 선택 게이트 전극 사이에서 적층될 수 있다. 메모리 셀 게이트 전극들의 두께는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그라운드 선택 게이트 전극 및 스트링 선택 게이트 전극은 메모리 셀 게이트 전극들의 두께와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라운드 선택 게이트 전극 및 스트링 선택 게이트 전극은 메로리 셀 게이트 전극들보다 두꺼울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메모리 셀 게이트 전극들은 워드라인들(WL1, WL2, … , WL6)에 해당할 수 있다. 그라운드 선택 게이트 전극은 그라운드 선택 라인(GSL)에 해당할 수 있으며, 스트링 선택 게이트 전극은 스트링 선택 라인(SSL)에 해당할 수 있다.
게이트 전극들(300)은 배리어 금속막을 포함할 수 있다. 배리어 금속막은 티타늄, 티타늄 질화물, 탄탈륨, 및/또는 탄탈륨 질화물과 같은 금속 질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게이트 전극(300)은 텅스텐, 티타늄, 탄탈륨, 백금, 금속 실리사이드 같은 금속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블로킹 절연 패턴(211) 또는 반도체 패턴(150)과 인접하는 게이트 전극들(300)의 모서리 부분들은 라운드진 곡면 형상을 갖도록 라운드질 수 있다. 게이트 전극(300)의 라운드진 모서리와 수직 채널 구조체(200) 사이 및 게이트 전극(300)의 라운드진 모서리와 반도체 패턴(150) 사이에 보조 게이트 절연 패턴(270)이 배치될 수 있다. 보조 게이트 절연 패턴(270)은 수직 채널 구조체(200) 또는 반도체 패턴(150)을 둘러쌀 수 있다. 보조 게이트 절연 패턴(270)은 수직 채널 구조체의 외 측벽에 수직으로 정렬되어 배치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 게이트 절연 패턴(270)의 일 측면에 층간 절연막들(110)이 배치되고, 보조 게이트 절연 패턴(270)의 타 측면에 블로킹 절연 패턴(211)이 배치될 수 있다. 보조 게이트 절연 패턴(270)의 측면과 층간 절연막들(110)의 측면은 공면을 이룰수 있다.
보조 게이트 절연 패턴(270)은, 게이트 전극(300)이 블로킹 절연 패턴(211)과 접촉하는 부분에 곡면 형상을 갖도록, 라운드질 수 있다. 이에 따라, 게이트 전극(300)의 모서리는 보조 게이트 절연 패턴(270)에 의해 곡면 형상을 갖도록 라운드 질 수 있다. 보조 게이트 절연 패턴(270)은 알루미늄 질화물(AlN)을 포함할 수 있다.
층간 절연막들(110)과 게이트 전극들(300)은 교대로 적층될 수 있다. 최하부에 위치한 층간 절연막(110)은 다른 층간 절연막들보다 얇은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층간 절연막들(110)은 실리콘 산화물 같은 절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공통 소스 라인(CSL)은 수직 채널 구조체들(200) 사이에 배치되어 게이트 전극들(300) 및 층간 절연막들(110)을 수직으로 관통할 수 있다. 공통 소스 라인(CSL)은 기판(100)과 접촉할 수 있다. 공통 소스 라인(CSL)은 X 방향을 따라 연장할 수 있다. 공통 소스 라인(CSL)과 게이트 전극들(300) 사이에 트렌치 스페이서(285)가 배치되어 게이트 전극들(300)과 전기적으로 절연될 수 있다.
공통 소스 영역(280)은 공통 소스 라인(CSL)과 정렬되도록 기판(100) 내에 형성될 수 있다. 공통 소스 영역(280)은 기판(100) 내에 주입된 인 또는 비소 같은 N형 불순물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캡핑 절연막(245)은 수직 채널 패턴(220) 및 채널 패드(24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캡핑 절연막(245)은 실리콘 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캡핑 절연막(미도시)은 공통 소스 라인(CSL) 및 제1 캡핑 절연막(245)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캡핑 절연막(미도시)은 실리콘 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비트라인 콘택(315)은 제1 및 제2 캡핑 절연막들을 관통하여 채널 패드(240)와 접촉할 수 있다. 비트라인 콘택(315)은 실리콘, 실리사이드, 금속 같은 전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비트 라인(BL)은 제2 캡핑 절연막(미도시) 상에 Y 방향으로 연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비트 라인(BL)은 비트라인 콘택(315) 및 채널 패드(240)을 통하여 수직 채널 패턴(2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비트 라인(BL)은 텅스텐 또는 구리 같은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a 및 도 2b를 다시 참조하여, 상기 실시예들에 따른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전기적 특성이 설명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특정 메모리 셀(MC)에 프로그램 동작(program operation)이 수행되어 메모리 셀(MC)이 프로그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메모리 셀(MC)의 제1 영역(212a)에 전하(e.g. 전자)가 저장될 수 있다. 제1 영역(212a)은 게이트 전극(300)과 전하 트랩 패턴(212)이 중첩되는 영역으로 정의할 수 있다. 수직적으로 배치된 메모리 셀들(MC)은 전하 트랩 패턴(212)을 공유하므로 제1 영역(212a)에 저장된 전하가 Z 방향으로 (즉, 제1 영역(212a)의 외부로) 확산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그램된 메모리 셀(MC)이 데이터를 유지하지 못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보조 게이트 절연 패턴(270)에 의해 제공된 음의 고정 전하(negative fixed charge)에 의해 제1 영역(212a)에 저장된 전자의 확산이 방지 또는 감소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보조 게이트 절연 패턴(270)에 의해 제공된 음의 고정 전하(negative fixed charge)와 제1 영역(212a)에 저장된 전자 사이의 반발력(e.g. 척력)에 의해 제1 영역(212a)으로부터의 전하의 확산(charge spreading)이 방지될 수 있다. 즉, 보조 게이트 절연 패턴(270)과 전하 트랩 패턴(212)이 중첩된 제2 영역(212b)에 전기적 배리어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소자는 향상된 전하 보존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나아가, 게이트 전극(300)의 모서리는 보조 게이트 절연 패턴(270)에 의해 곡면 형상을 갖도록 라운드 질 수 있다. 이에 따라, 게이트 전극(300)의 모서리에 전계가 집중되는 현상을 억제할 수 있다.
도 3 내지 5 및 도 6a 내지 도 16a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3차원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로서, 도 2a의 YZ 단면을 나타낸다. 도 6b 내지 도 16b는 각각 도 6a 내지 16a의 B1 내지 B11 영역의 확대도들이다.
도 3를 참조하면, 기판(100) 상에 층간 절연막(110) 및 희생막(120)을 교대로 반복적으로 적층한다. 이에 따라, 복수의 층간 절연막들(110) 및 복수의 희생막들(120)이 기판(100) 상에 Z 방향으로 교대로 적층될 수 있다. 기판(100)은 실리콘, 게르마늄 등과 같은 반도체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층간 절연막들(110)의 두께는 동일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최하부에 위치한 층간 절연막(110)은 다른 층간 절연막들(110)보다 얇은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층간 절연막(110)은 실리콘 산화물 같은 절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희생막들(120)은 층간 절연막들(110)에 대해 식각 선택비를 갖는 물질, 예를 들어, 실리콘 질화물 같은 절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층간 절연막들(110) 및 희생막들(120)을 관통하여 기판(100)을 노출하는 채널 홀들(130)을 형성한다. 예를 들어, 채널 홀들(130)을 형성하는 것은 최상부에 위치한 층간 절연막(110) 상에 마스크 패턴(미도시)을 형성하고, 마스크 패턴(미도시)을 식각 마스크로 사용하여 기판(100)의 상면이 노출될 때까지 층간 절연막들(110) 및 희생막들(120)을 이방성 식각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이방성 식각 공정에서 채널 홀들(130) 내의 기판(100)의 표면은 과도 식각(overetch)에 의해 소정의 깊이로 리세스될 수 있다. 채널 홀들(130)은 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a를 함께 참조하면, 채널 홀들(130)은 X 방향으로 지그재그(zigzag)로 배열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채널 홀들(130)의 하부를 부분적으로 채우는 반도체 패턴들(150)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채널 홀들(130)에 의해서 노출된 기판(100)의 상면을 시드(seed)로 사용하는 선택적 에피택셜 성장(Selective Epitaxial Growth: SEG) 공정을 수행하여 채널 홀들(130)의 저면 부위를 부분적으로 채우는 반도체 패턴(150)을 형성할 수 있다. 반도체 패턴(150)은 단결정 실리콘 또는 단결정 실리콘-게르마늄을 포함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도핑된 불순물 이온을 포함할 수 있다. 반도체 패턴(150)의 상면은 최하부의 희생막(121)의 상면보다 높은 레벨에 위치할 수 있다.
도 6a 및 6b를 참조하면, 채널 들(130)의 측벽 상에 게이트 유전 패턴(210)을 형성한다. 게이트 유전 패턴(210)을 형성하는 것은 채널 홀들(130)의 측벽, 최상부 층간 절연막(110), 및 반도체 패턴(150) 상에 블로킹 절연막, 전하 트랩막 및 터널 절연막을 순차적으로 형성하고, 그리고 상기 막들을 이방성 식각하여 최상부 층간 절연막(110)의 상면 및 반도체 패턴(150)의 상면을 노출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식각 공정의 수행에 이하여, 채널 홀들(130)의 측벽에 스페이서 형상의 게이트 유전 패턴(210)이 남게 된다. 노출된 반도체 패턴(150)의 상면은 과도 식각(over etch)에 의해 리세스될 수 있다. 게이트 유전 패턴(210)은 채널 홀들(130) 내에 파이프 형태(pipe-shaped)로 형성될 수 있다. 게이트 유전 패턴(210)은 블로킹 절연 패턴(211), 전하 트랩 패턴(212) 및 터널 절연 패턴(213)을 포함할 수 있다. 블로킹 절연 패턴(211), 전하 트랩 패턴(212) 및 터널 절연 패턴(213)은 채널 홀들(130)의 측벽 상에 순차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블로킹 절연 패턴(211)은 화학 기상 증착(chemical vapor deposition) 방식을 이용하여 형성된 실리콘 산화물(SiO2)을 포함할 수 있다. 전하 트랩 패턴(212)은 화학 기상 증착(chemical vapor deposition) 방식을 이용하여 형성된 실리콘 질화물 같은 질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터널 절연 패턴(213)은 화학 기상 증착(chemical vapor deposition) 방식을 이용하여 형성된 실리콘 산화물 또는 실리콘 산질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a 및 7b를 참조하면, 채널 홀들(130) 내에 수직 채널 막(220a) 및 충진 절연막(230a)을 형성한다. 수직 채널 막(220a)은 최상부 절연막(110), 터널 절연 패턴(213) 및 노출된 반도체 패턴(150)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수직 채널 막(220a)은 반도체 패턴(150) 상면과 직접 접촉하여 기판(1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수직 채널 막(220a)은 폴리 실리콘을 포함할 수 있다. 충진 절연막(230a)은 채널 홀들(130)의 내부를 완전히 채우도록 수직 채널 막(220a)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충진 절연막(230a)은 실리콘 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도 8a 및 8b를 참조하면, 충진 절연막(230a)을 에치-백하여 패드 리세스(140)를 갖는 충진 절연 패턴(230)을 형성한다. 최상부 절연막(110) 상의 수직 채널 막(220a)이 노출될 수 있다.
도 9a 및 9b를 참조하면, 패드 리세스(140)를 채우는 패드 물질을 채우고 화학 기계적 연마 공정(chemical mechanical polishing)을 수행하여 수직 채널 패턴(220) 및 채널 패드(240)를 형성한다. 채널 홀들(130)의 측벽 상에 블로킹 절연 패턴(211), 전하 트랩 패턴(212), 터널 절연 패턴(213), 수직 채널 패턴(220) 및 충진 절연 패턴(230)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공정에 의하여 블로킹 절연 패턴(211), 전하 트랩 패턴(212), 터널 절연 패턴(213), 수직 채널 패턴(220), 충진 절연 패턴(230) 및 채널 패드(240)를 포함하는 수직 채널 구조체(200)가 형성될 수 있다. 채널 패드(240)는 불순물이 도핑된 폴리 실리콘 같은 도전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0a 및 10b를 참조하면, 제1 캡핑 절연막(245)을 형성하고, 및 인접한 수직 채널 구조체들(200) 사이의 제1 캡핑 절연막(245), 층간 절연막들(110) 및 희생막들(120)을 이방성 식각하여 트렌치(250)를 형성한다. 트렌치(250)는 층간 절연막들(110) 및 희생막들(120)을 수직으로 관통하여 기판(100)을 노출시킬 수 있다. 트렌치(250)는 X 방향을 따라 연장할 수 있다. 트렌치(250)의 측벽에 층간 절연막들(110) 및 희생막들(120)의 측면이 노출될 수 있다.
도 11a 및 11b를 참조하면, 트렌치(250)의 측벽에 노출된 희생막들(120)을 제거하여 층간 절연막들(110) 사이에 갭(260)을 형성한다. 갭(260)에 의해 블로킹 절연 패턴(211), 반도체 패턴(150)의 측벽의 일부 및 기판(100)의 상면의 일부가 노출될 수 있다.
희생막들(120)을 제거하는 것은 층간 절연막들(110)과의 식각 선택비가 높은 식각액을 사용하는 습식 식각 공정을 수행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층간 절연막들(110) 및 희생막들(120)이 각각 실리콘 산화막 및 실리콘 질화막을 포함하는 경우, 식각액은 인산(H3PO4)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2a 및 도12b를 참조하면, 갭(260)의 내벽, 층간 절연막들(110)의 측벽, 노출된 기판(100) 및 제1 캡핑 절연막(245) 상에 보조 게이트 절연막(270a)을 컨포멀하게 형성한다. 보조 게이트 절연막(270a)은 포지티브 또는 네거티브 고정 전하를 갖는 절연막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조 게이트 절연막(270a)은 네거티브 고정 전하를 갖는 알루미늄 질화막(AlN)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3a 및 도 13b를 참조하면, 갭(260)의 모서리에 게이트 유전 패턴(210) 및 층간 절연막들(110)과 접촉하는 보조 게이트 절연 패턴(270)을 형성한다. 보조 게이트 절연 패턴(270)을 형성하는 것은 블로킹 절연 패턴(211) 및 층간 절연막들(110)과의 식각 선택비가 높은 식각액을 사용하는 습식 식각 공정을 수행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블로킹 절연 패턴(211) 및 층간 절연막(110)이 실리콘 산화막이고, 보조 게이트 절연막(270a)이 알루미늄 질화막을 포함하는 경우, 식각액은 인산(Phosphoric acid), 아세트산(Acetic acid), 질산(Nitric acid) 및 디아이 워터(Deionized water)가 혼합된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보조 게이트 절연막(270a)을 습식 식각에 의해 제거하면, 등방성 식각에 의해 갭(260)의 모서리에 보조 게이트 절연 패턴(270)이 남고 나머지는 제거될 수 있다.
도 14a 및 도14b를 참조하면, 갭(260)의 내부의 층간 절연막들(110), 보조 게이트 절연 패턴(270) 및 블로킹 절연 패턴(211) 상에 갭(260)을 완전히 채우는 게이트 전극(300)을 형성할 수 있다. 게이트 전극(300)은 갭(260)의 내벽 상에 형성되는 배리어 금속막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게이트 전극(300)은 보조 게이트 절연 패턴들(270)에 의해 모서리 부분은 곡면 형상을 갖도록 라운드질 수 있다. 배리어 금속막은 티타늄, 티타늄 질화물, 탄탈륨, 및/또는 탄탈륨 질화물과 같은 금속 질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게이트 전극(300)은 텅스텐, 티타늄, 탄탈륨, 백금, 금속 실리사이드 같은 금속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게이트 전극(300)과 갭(260)의 내벽 사이에 유전 상수가 높은 절연 물질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절연 물질은, 예를 들어, 알루미늄 산화막 같은 금속 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이 후, 트렌치(250) 내에 노출된 기판(100) 내에 불순물을 주입하여 트렌치(250)를 따라 X 방향으로 연장하는 공통 소스 영역(280)을 형성한다. 상기 불순물은 인, 비소와 같은 n형 불순물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5a 및 도 15b를 참조하면, 트렌치(250)의 측벽 상에 트렌치 스페이서(285) 및 트렌치(285)를 채우며 X 방향으로 연장하는 공통 소스 라인(290)을 형성한다. 공통 소스 라인(290)은 공통 소스 영역(280)과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트렌치 스페이서(285)는 게이트 전극(300) 및 공통 소스 라인(290)을 전기적으로 절연시킨다. 트렌치 스페이서(285)는 실리콘 산화물 또는 질화물 같은 절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공통 소스 라인(290)은 텅스텐, 티타늄, 탄탈륨, 백금, 금속 실리사이드 같은 금속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6a 및 도 16b를 참조하면, 제1 캡핑 절연막(245) 및 공통 소스 라인(290) 상에 제2 갭핑 절연막(310)를 형성하고, 제1 및 제2 캡핑 절연막들(245, 310) 내에 채널 패드(240) 상면을 노출시키는 콘택 홀들을 형성하고, 및 상기 콘택 홀들 내부에 비트 라인 콘택(315)을 형성한다. 비트 라인 콘택(315)은 텅스텐 또는 구리 같은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이 후, 제2 캡핑 절연막(310) 상에 비트 라인 콘택(315)의 상면과 접촉하고 Y 방향으로 연장하는 비트 라인(320)을 형성한다. 비트 라인(320)은 텅스텐 또는 구리 같은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보조 게이트 절연 패턴에 의해 게이트 전극의 모서리 부분이 곡면으로 라운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게이트 전극의 모서리에 전계가 집중되는 현상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포지티브 또는 네거티브 고정 전하를 갖는 물질을 포함하는 보조 게이트 절연 패턴에 의해 전하 트랩막 내에 트랩된 전자 또는 정공들이 전하 트랩막을 따라 확산하는 현상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실시예들에 따른 3차원 메모리 소자 을 포함하는 전자시스템의 일 예를 간략히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시스템(1100)은 컨트롤러(1110), 입출력 장치(1120, I/O), 기억 장치(1130, memory device), 인터페이스(1140) 및 버스(1150, bus)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1110), 입출력 장치(1120), 기억 장치(1130) 및 인터페이스(1140) 중에서 적어도 2개는 상기 버스(1150)를 통하여 서로 결합 될 수 있다. 상기 버스(1150)는 데이터들이 이동되는 통로(path)에 해당한다.
상기 컨트롤러(1110)는 마이크로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스, 마이크로 컨트롤러, 및 이들과 유사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논리 소자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출력 장치(1120)는 키패드(keypad), 키보드 및 디스플레이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억 장치(1130)는 데이터 및 명령어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기억 장치(1130)는 상술된 실시예들에 개시된 3차원 메모리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억 장치(1130)는 상변화 기억 소자, 자기 기억 소자, 디램 소자 및 에스램 소자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1140)는 통신 네트워크로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통신 네트워크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1140)는 유선 또는 무선 형태일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인터페이스(1140)는 안테나 또는 유무선 트랜시버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전자 시스템(1100)은 상기 컨트롤러(1110)의 동작을 향상시키기 위한 동작 기억 소자로서, 고속의 디램 소자 및 고속의 에스램 소자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전자 시스템(1100)은 개인 휴대용 정보 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포터블 컴퓨터(portable computer), 웹 타블렛(web tablet), 무선 전화기(wireless phone), 모바일 폰(mobile phone), 디지털 뮤직 플레이어(digital music player), 메모리 카드(memory card), 또는 정보를 무선환경에서 송신 및 수신할 수 있는 모든 전자 제품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실시예들에 따른 3차원 메모리 소자를 포함하는 메모리 카드의 일 예를 간략히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메모리 카드(1200)는 기억 장치(1210)를 포함한다. 상기 기억 장치(1210)는 상술된 실시예들에 따른 3차원 메모리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억 장치(1210)는 상변화 기억소자, 자기 기억 소자, 디램 소자 및 에스램 소자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 카드(1200)는 호스트(Host)와 상기 기억 장치(1210) 간의 데이터 교환을 제어하는 메모리 컨트롤러(12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 컨트롤러(1220)는 메모리 카드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세싱 유닛(1222)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모리 컨트롤러(1220)는 상기 프로세싱 유닛(1222)의 동작 메모리로써 사용되는 에스램(1221, SRAM)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메모리 컨트롤러(1220)는 호스트 인터페이스(1223), 메모리 인터페이스(122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호스트 인터페이스(1223)는 메모리 카드(1200)와 호스트(Host)간의 데이터 교환 프로토콜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 인터페이스(1225)는 상기 메모리 컨트롤러(1220)와 상기 기억 장치(1210)를 접속시킬 수 있다. 더 나아가서, 상기 메모리 컨트롤러(1220)는 에러 정정 블록(1224, Ecc)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에러 정정 블록(1224)은 상기 기억 장치(1210)로부터 독출된 데이터의 에러를 검출 및 정정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메모리 카드(1200)는 호스트(Host)와의 인터페이싱을 위한 코드 데이터를 저장하는 롬 장치(ROM device)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 카드(1200)는 휴대용 데이터 저장 카드로 사용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상기 메모리 카드(1200)는 컴퓨터 시스템의 하드 디스크를 대체할 수 있는 SSD(Solid State Disk)로도 구현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에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되는 청구범위들 및 그 등가물로부터 허용 가능한 해석의 가장 넓은 범위로 결정되어야 한다.
100: 기판 111: 하부 절연막
112: 중간 절연막 113: 상부 절연막
121: 하부 희생막 122: 중간 희생막
123: 상부 희생막 130: 채널 홀
140: 패드 리세스 150: 반도체 패턴
200: 수직 채널 구조체 210: 게이트 유전막 패턴
211: 블로킹 절연막 패턴 212: 전하 트랩막 패턴
213: 터널 절연막 패턴 220: 수직 채널 패턴
230: 충진 절연막 패턴 240: 채널 패드
245: 제1 캡핑 절연막 250: 트렌치
260: 갭 270: 보조 게이트 절연 패턴
CSL: 공통 소스 라인 CSR: 전하 저장 영역
280: 공통 소스 영역 285: 트렌치 스페이서
300: 게이트 전극 310: 제2 캡핑 절연막
315: 비트라인 콘택 BL: 비트 라인

Claims (10)

  1. 기판 상에 수직으로 연장된 수직 채널 구조체;
    상기 수직 채널 구조체를 둘러싸며 상기 기판 상에 수직으로 적층된 층간 절연막들;
    상기 수직 채널 구조체를 둘러싸며 상기 층간 절연막들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수직 채널 구조체에 인접한 라운드진 모서리를 포함하는 게이트 전극들; 및
    상기 게이트 전극들 및 상기 수직 채널 구조체 사이에 배치된 보조 게이트 절연 패턴들을 포함하되,
    상기 보조 게이트 절연 패턴은 음의 고정 전하 전하(negative fixed charge)를 갖는 물질을 포함하고,
    상기 보조 게이트 절연 패턴들의 각각의 상면은 상기 보조 게이트 절연 패턴들의 각각에 인접한 상기 게이트 전극들의 각각의 상면과 공면을 이루고, 상기 보조 게이트 절연 패턴들의 각각의 상면은 상기 기판의 상면으로부터 가장 먼 보조 게이트 절연 패턴들의 각각의 표면이고,
    상기 게이트 전극들의 각각의 상면은 상기 기판의 상면으로부터 가장 먼 상기 게이트 전극들의 각각의 표면이고,
    상기 수직 채널 구조체와 접촉하는 상기 보조 게이트 절연 패턴들의 측면들과 상기 수직 채널 구조체와 접촉하는 상기 층간 절연막들의 측면들은 공면을 갖는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소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게이트 절연 패턴들은 상기 수직 채널 구조체의 외 측벽에 수직으로 정렬되어 배치되는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소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채널 구조체는 게이트 유전 패턴, 수직 채널 패턴 및 충진 절연 패턴을 포함하는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소자.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채널 구조체와 상기 기판 사이의 반도체 패턴을 더 포함하는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소자.
  5. 기판 상에 수직적으로 적층된 게이트 전극들;
    상기 게이트 전극들 사이에 배치되는 층간 절연막들;
    상기 게이트 전극들 및 상기 층간 절연막들을 수직으로 관통하여 상기 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수직 채널 구조체; 및
    상기 층간 절연막들 및 상기 수직 채널 구조체와 접촉하며 상기 게이트 전극들 및 상기 수직 채널 구조체 사이에 배치되는 보조 게이트 절연 패턴을 포함하되,
    상기 보조 게이트 절연 패턴은 고정 전하(fixed charge)를 갖는 물질을 포함하고,
    상기 보조 게이트 절연 패턴의 상면은 상기 보조 게이트 절연 패턴에 인접한 상기 게이트 전극의 상면과 공면을 이루고,
    상기 보조 게이트 절연 패턴의 상면은 상기 기판의 상면으로부터 가장 먼 보조 게이트 절연 패턴의 표면이고,
    상기 게이트 전극들의 각각의 상면은 상기 기판의 상면으로부터 가장 먼 상기 게이트 전극들의 각각의 표면인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소자.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채널 구조체는 게이트 유전 패턴, 수직 채널 패턴 및 충진 절연 패턴을 포함하는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소자.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유전 패턴은 블로킹 절연 패턴, 전하 트랩 패턴 및 터널 절연 패턴을 포함하는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소자.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전하 트랩 패턴은 상기 게이트 전극과 오버랩되는 제1 영역 및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보조 게이트 절연 패턴과 오버랩되는 제2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제1 영역의 상부와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제1 영역에 저장된 전자가 상기 제1 영역의 외부로 이동하는 것을 방해하는 전기적 배리어가 상기 제2 영역에 형성되는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소자.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게이트 절연 패턴의 측면과 상기 층간 절연막의 측면은 공면을 갖는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소자.
  10.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게이트 절연 패턴은 알루미늄 질화막을 포함하는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소자.
KR1020140130240A 2014-09-29 2014-09-29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1022484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0240A KR102248419B1 (ko) 2014-09-29 2014-09-29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US14/865,078 US9653565B2 (en) 2014-09-29 2015-09-25 Semiconductor devices and methods of fabricat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0240A KR102248419B1 (ko) 2014-09-29 2014-09-29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8161A KR20160038161A (ko) 2016-04-07
KR102248419B1 true KR102248419B1 (ko) 2021-05-07

Family

ID=555853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0240A KR102248419B1 (ko) 2014-09-29 2014-09-29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653565B2 (ko)
KR (1) KR10224841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35121B2 (en) * 2015-09-10 2018-04-03 Toshiba Memory Corporation Three dimensional vertical channel semiconductor memory device
US9793139B2 (en) * 2015-10-29 2017-10-17 Sandisk Technologies Llc Robust nucleation layers for enhanced fluorine protection and stress reduction in 3D NAND word lines
KR102609516B1 (ko) * 2016-05-04 2023-12-05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장치
US10923492B2 (en) 2017-04-24 2021-02-16 Micron Technology, Inc. Elevationally-extending string of memory cells and methods of forming an elevationally-extending string of memory cells
KR102399462B1 (ko) * 2017-07-25 2022-05-18 삼성전자주식회사 수직형 메모리 장치
CN107731833B (zh) * 2017-08-31 2018-12-14 长江存储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阵列共源极填充结构及其制备方法
JP2019169591A (ja) * 2018-03-23 2019-10-03 東芝メモリ株式会社 半導体記憶装置
KR20200119958A (ko) 2019-04-10 2020-10-21 삼성전자주식회사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소자
KR20200132493A (ko) 2019-05-17 2020-11-25 삼성전자주식회사 수직형 메모리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200141841A (ko) 2019-06-11 2020-12-21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US10930658B2 (en) 2019-06-24 2021-02-23 Micron Technology, Inc. Memory arrays and methods used in forming a memory array
US11152388B2 (en) * 2019-10-15 2021-10-19 Micron Technology, Inc. Memory arrays and methods used in forming a memory array comprising strings of memory cells
US11335694B2 (en) 2019-12-03 2022-05-17 Micron Technology, Inc. Memory arrays and methods used in forming a memory array comprising strings of memory cells
US11276701B2 (en) 2020-02-11 2022-03-15 Micron Technology, Inc. Memory arrays comprising strings of memory cells and methods used in forming a memory array comprising strings of memory cells
US11545430B2 (en) 2020-08-28 2023-01-03 Micron Technology, Inc. Integrated circuitry and method used in forming a memory array comprising strings of memory cells
KR20220113048A (ko) * 2021-02-05 2022-08-12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230010132A (ko) * 2021-07-09 2023-01-18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소자
KR20230026608A (ko) * 2021-08-17 2023-02-27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메모리 장치
KR20230026602A (ko) * 2021-08-17 2023-02-27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메모리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66348A (ja) 2009-09-18 2011-03-31 Toshiba Corp 3次元積層不揮発性半導体メモリ及びその製造方法
US20110228584A1 (en) 2010-03-19 2011-09-22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Semiconductor memory device
US20130200450A1 (en) 2012-02-03 2013-08-08 Kabushiki Kaisha Toshiba Nonvolatil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01996A (ko) 2004-04-20 2005-10-25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버티컬 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 방법
JP2010010596A (ja) 2008-06-30 2010-01-14 Toshiba Corp 不揮発性半導体記憶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624980B1 (ko) * 2009-06-19 2016-05-27 삼성전자주식회사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US8455940B2 (en) * 2010-05-24 2013-06-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Nonvolatile memory devic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nonvolatile memory device, and memory module and system including the nonvolatile memory device
US8592873B2 (en) * 2010-06-24 2013-11-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Semiconductor memory devices and methods of forming the same
KR101677740B1 (ko) * 2010-06-24 2016-11-21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메모리 소자 및 그의 형성 방법
KR101825539B1 (ko) 2010-10-05 2018-03-22 삼성전자주식회사 3차원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1792778B1 (ko) * 2010-10-26 2017-11-01 삼성전자주식회사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 및 그 형성 방법
KR101760658B1 (ko) * 2010-11-16 2017-07-24 삼성전자 주식회사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
JP5431386B2 (ja) 2011-02-22 2014-03-05 株式会社東芝 半導体記憶装置
KR101794017B1 (ko) 2011-05-12 2017-11-06 삼성전자 주식회사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1362219B1 (ko) 2011-08-16 2014-02-13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바디를 공유하는 메모리 셀 스트링 스택 및 이를 이용한 메모리 어레이
JP2013182949A (ja) 2012-02-29 2013-09-12 Toshiba Corp 不揮発性半導体記憶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2018614B1 (ko) * 2012-09-26 2019-09-05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66348A (ja) 2009-09-18 2011-03-31 Toshiba Corp 3次元積層不揮発性半導体メモリ及びその製造方法
US20110228584A1 (en) 2010-03-19 2011-09-22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Semiconductor memory device
US20130200450A1 (en) 2012-02-03 2013-08-08 Kabushiki Kaisha Toshiba Nonvolatil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093634A1 (en) 2016-03-31
US9653565B2 (en) 2017-05-16
KR20160038161A (ko) 2016-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48419B1 (ko)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CN107919362B (zh) 半导体存储器件
KR102251366B1 (ko)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US9899411B2 (en) Three-dimensional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US9960182B2 (en) Three-dimensional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US10418374B2 (en) Vertical memory devices
US9991275B2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KR101857681B1 (ko) 3차원 반도체 기억 소자 및 그 제조방법
US9299718B2 (en)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US9287265B2 (en)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US8268687B2 (en) Three-dimensional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US20110298038A1 (en) Three dimensional semiconductor device
KR20100058908A (ko)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
KR20130027154A (ko) 3차원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120078958A (ko) 3차원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KR20140024632A (ko)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100137155A (ko)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소자
KR20130130480A (ko)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그 형성 방법
CN106663682A (zh) 制造半导体装置的方法
KR101818675B1 (ko) 반도체 메모리 소자 및 그의 형성방법
KR20150024687A (ko) 수직 채널을 갖는 반도체 소자를 제조하는 방법
KR20110140020A (ko) 반도체 메모리 소자 및 그의 형성 방법
KR20130084434A (ko) 3차원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