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2223B1 - 가드 부재 및 유모차 - Google Patents

가드 부재 및 유모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2223B1
KR102242223B1 KR1020140105921A KR20140105921A KR102242223B1 KR 102242223 B1 KR102242223 B1 KR 102242223B1 KR 1020140105921 A KR1020140105921 A KR 1020140105921A KR 20140105921 A KR20140105921 A KR 20140105921A KR 102242223 B1 KR102242223 B1 KR 1022422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ard
pair
fabric
baby carriage
shap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59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26837A (ko
Inventor
요시히로 아라이
Original Assignee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268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68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22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22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24Safety guards for children, e.g. har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10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Abstract

유모차(10)는 유모차 본체(15)와, 유모차 본체(15)에 단부가 부착된 가드 부재(70)를 갖는다. 유모차 본체(15)는, 전각(22) 및 후각(25) 그리고 전각 및 후각이 요동 가능하게 접속된 프레임 부재(20)를 포함하는 차체 프레임(18)과, 차체 프레임에 지지된 시트 지지체(40)를 갖는다. 가드 부재(70)는 시트 지지체, 또는 시트 지지체와 전각을 연결하는 전각 연결 부재(38)에 양 단부가 부착되어 있다.

Description

가드 부재 및 유모차{GUARD MEMBER AND STROLLER}
본 발명은 유모차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해서 당해 유모차에 부착되는 가드 부재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가드 부재를 가진 유모차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JP06-037052U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대부분의 유모차에 있어서, 유모차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드 부재(가드 암이라고도 부름)가, 유모차에 착좌(着座)한 유유아(乳幼兒)의 전방이 되는 위치에 부착되어 있다. JP06-037052U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가드 부재는, 일반적으로 한 쌍의 암레스트의 선단부와 같이, 유모차의 시트(seat) 지지체(시트를 지지하는 구조)보다도 위쪽에 위치하는 부재에 부착되어 있다. JP06-037052U의 유모차에서는, 암레스트에는 돌기로 이루어지는 걸어맞춤부가 설치되며, 가드 부재의 단부(端部)에는, 암레스트의 돌기로 이루어지는 걸어맞춤부를 수용하는, 오목부로 이루어지는 피걸어맞춤부가 형성되어 있다.
단, 암레스트 등의 가드 부재가 부착되는 부재는, 유모차의 외관에 있어서 눈에 띄기 쉬운 부위이다. 따라서, 이 부위에 가드 부재가 부착되도록 했을 경우, 이 눈에 띄기 쉬운 부위의 설계에 제약이 생겨, 유모차의 전체적인 의장성을 개선하는 것이 어려워진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점을 고려해서 이루어진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제 1 목적은, 가드 부재의 부착에 기인해서 유모차의 외관 의장성을 해치는 것을 효과적으로 회피할 수 있는 유모차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가드 부재의 유유아에 대면하는 부위는, 통상적으로 폴리프로필렌 등의 심재(芯材)를 포함하는 적층체와, 이 적층체가 삽입 관통하는 통(筒) 형상 봉제품을 갖고 있다. 통 형상 봉제품은 가드 부재 및 유모차 전체에 의장성을 부여함과 함께, 심재를 포함하는 적층체가 유유아에 직접 접촉하는 것을 방지한다. 그러나, 봉제품은 비교적 코스트가 높은 부품이다. 따라서, 심재를 포함하는 적층체에 부가해서 통 형상 봉제품을 이용하는 것은 가드 부재의 제조 코스트를 대폭적으로 상승시키게 된다. 그래서, 본 발명은 단순한 구성이며 저가인 가드 부재를 제공하는 것을 제 2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는,
전각(前脚) 및 후각(後脚) 그리고 상기 전각 및 상기 후각이 요동 가능하게 접속된 프레임 부재를 포함하는 차체 프레임과, 상기 차체 프레임에 지지된 시트 지지체를 갖는 유모차 본체와,
상기 시트 지지체, 또는, 상기 시트 지지체와 상기 전각을 연결하는 전각 연결 부재에 양 단부가 부착된 가드 부재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에 있어서,
상기 시트 지지체는, 앉음부 지지체와, 상기 앉음부 지지체에 후방으로부터 접속된 배부(背部) 지지체를 포함하고,
상기 가드 부재의 단부는, 상기 앉음부 지지체의 양측부에 부착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에 있어서,
상기 시트 지지체는, 앉음부 지지체와, 상기 앉음부 지지체에 후방으로부터 요동 가능하게 접속된 배부 지지체를 갖고,
상기 앉음부 지지체는, 한 쌍의 측부 프레임 부분과, 상기 한 쌍의 측부 프레임 부분을 전방에 있어서 연결하는 연결 프레임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가드 부재의 단부는, 상기 측부 프레임 부분에 부착되며, 상기 가드 부재는, 상기 한 쌍의 측부 프레임 부분의 사이에서 연장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에 있어서,
상기 앉음부 지지체는, 상기 배부 지지체와 회동 가능하게 접속된 한 쌍의 단부 접속재와, 각 단부 접속재에 전방으로부터 접속되며 또한 한 쌍의 단부 접속재간을 연결하는 프레임재를 갖고,
상기 단부 접속재와 상기 프레임재의 일부분에 의하여, 상기 측부 프레임 부분이 형성되며, 상기 프레임재의 다른 부분에 의하여, 상기 연결 프레임 부분이 형성되고,
상기 가드 부재의 단부는, 상기 단부 접속재에 부착되며, 상기 가드 부재는, 상기 한 쌍의 단부 접속재의 사이에서 연장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에 있어서, 상기 전각 연결 부재는, 전각과 상기 단부 접속재를 연결하고 있어도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측부 프레임 부분의 폭 방향에의 이간 간격은, 상기 측부 프레임 부분의 후방에 있어서 상기 측부 프레임 부분의 전방보다도 좁게 되어 있고,
상기 가드 부재의 단부는, 상기 측부 프레임 부분의 폭이 좁은 후방 부분에 부착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에 있어서,
상기 가드 부재는, 상기 유모차 본체에 부착된 한 쌍의 단부 부착 부분과, 한 쌍의 단부 부착 부분을 연결하는 가드 부분을 갖고,
상기 가드 부분은, 상기 한 쌍의 단부 부착 부분으로부터 분리 가능해도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에 있어서,
상기 가드 부재의 상기 가드 부분은, 상기 단부 부착 부분에 접속되는 한 쌍의 단부 접속구와, 한 쌍의 단부 접속구에 양 단부가 고정된 수지제의 가드 본체를 갖고,
각 단부 접속구는, 상기 가드 본체의 단부를 수용하는 케이싱과, 체결구를 이용해서 상기 케이싱과 고정된 누름판을 갖고,
상기 가드 본체의 상기 단부는, 상기 케이싱 및 상기 누름판의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케이싱의 내면 및 상기 누름판의 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케이싱 및 상기 누름판과 함께 상기 체결구에 의하여 관통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에 있어서, 상기 단부 부착 부분은, 상기 유모차 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가, 상기 시트 지지체에 지지된 베이스 직물 형상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베이스 직물 형상재는, 상기 시트 지지체에 장착된 앉음부 직물 형상부 및 배부 직물 형상부와, 상기 앉음부 직물 형상부 및 배부 직물 형상부로부터 양 측방으로 연장 돌출하는 한 쌍의 측부 직물 형상부를 갖고,
각 측부 직물 형상부에는 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가드 부재의 상기 단부 부착 부분이 상기 측부 직물 형상부의 상기 구멍을 통과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가, 상기 시트 지지체에 지지된 베이스 직물 형상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베이스 직물 형상재는, 상기 시트 지지체에 장착된 앉음부 직물 형상부 및 배부 직물 형상부와, 상기 앉음부 직물 형상부 및 배부 직물 형상부로부터 양 측방으로 연장 돌출하는 한 쌍의 측부 직물 형상부를 갖고,
상기 가드 부재의 단부는, 상기 유모차 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부착되고,
각 측부 직물 형상부에는 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가드 부재가 상기 측부 직물 형상부의 상기 구멍을 통과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가, 상기 시트 지지체에 지지된 베이스 직물 형상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베이스 직물 형상재는, 상기 시트 지지체에 장착된 앉음부 직물 형상부 및 배부 직물 형상부와, 상기 앉음부 직물 형상부 및 배부 직물 형상부로부터 양 측방으로 연장 돌출하는 한 쌍의 측부 직물 형상부를 갖고,
상기 가드 부재의 단부는, 상기 유모차 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부착되고,
상기 측부 직물 형상부에는, 보조 직물재가 부착되고,
상기 측부 직물 형상부와 상기 보조 직물재 사이에, 상기 가드 부재가 통과하는 통 형상의 경로가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제 2 유모차는,
유모차 본체와,
폭 방향으로 이간해서 유모차 본체에 부착된 한 쌍의 단부 부착 부분과, 한 쌍의 단부 부착 부분을 연결하는 가드 부분을 갖는 가드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가드 부재의 상기 가드 부분은, 상기 단부 부착 부분에 접속되는 한 쌍의 단부 접속구와, 한 쌍의 단부 접속구에 양 단부가 고정된 수지제의 가드 본체를 갖고,
각 단부 접속구는, 상기 가드 본체의 단부를 수용하는 케이싱과, 체결구를 이용해서 상기 케이싱과 고정된 누름판을 갖고,
상기 가드 본체의 상기 단부는, 상기 케이싱 및 상기 누름판의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케이싱의 내면 및 상기 누름판의 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케이싱 및 상기 누름판과 함께 상기 체결구에 의하여 관통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 3 유모차는,
유모차의 폭 방향으로 서로로부터 이간해서 당해 유모차에 부착되는 한 쌍의 단부 부착 부분과,
한 쌍의 단부 부착 부분을 연결하는 가드 부분을 구비하고,
상기 가드 부분은, 상기 단부 부착 부분에 접속되는 한 쌍의 단부 접속구와, 한 쌍의 단부 접속구에 양 단부가 고정된 수지제의 가드 본체를 갖고,
각 단부 접속구는, 상기 가드 본체의 단부를 수용하는 케이싱과, 체결구를 이용해서 상기 케이싱에 부착된 누름판을 갖고,
상기 가드 본체의 상기 단부는, 상기 케이싱 및 상기 누름판의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케이싱의 내면 및 상기 누름판의 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케이싱 및 상기 누름판과 함께 상기 체결구에 의하여 관통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가드 부재의 양단은, 시트 지지체, 또는 시트 지지체와 전각을 연결하는 전각 연결 부재에 부착된다. 따라서, 가드 부재의 부착에 기인해서 유모차의 외관 의장성을 해치는 것을 효과적으로 회피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가드 부재가 유모차에 착좌한 유유아에 대면하는 위치에 수지제의 가드 본체를 갖고 있다. 수지제의 가드 본체는 봉제품으로 피복해서 이용할 필요가 없으므로, 가드 부재를 단순하며 저가인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유모차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유모차의 유모차 본체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3은 도 2의 유모차 본체를 절첩(折疊)한 상태에서 나타내는 측면도.
도 4는 일부의 구성 요소를 생략해서 도 2의 유모차 본체를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
도 5는 도 2의 유모차 본체의 시트 지지체 및 가드 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일부의 구성 요소를 생략해서 도 1의 유모차를 나타내는 부분 측면도.
도 7은 도 1의 유모차를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
도 8은 일부의 구성 요소를 생략해서 가드 부재를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
도 9는 가드 부재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0은 유모차의 일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도면을 참조해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의 일 실시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 중, 도 1에는 유모차의 전체 구성이 나타나 있다. 유모차(10)는 유유아를 데리고 나갈 때에 이용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모차(10)는, 유모차 본체(15)와, 유모차(10)에 승차한 유유아의 위쪽에 위치하는 덮개(12)와, 유모차(10)에 승차한 유유아의 아래쪽에 배치된 바구니(13)와, 양단이 유모차 본체(15)에 부착된 가드 부재(70)를 갖고 있다. 가드 부재(70)는 유모차(10)에 승차한 유유아의 전방에서 폭 방향으로 연장된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모차 본체(15)는, 시트 지지체(40)와, 시트 지지체(40)를 지지하는 차체 프레임(18)을 갖고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모차(10)는 시트 지지체(40)에 장착된 베이스 직물 형상재(60)를 더 갖고 있다. 베이스 직물 형상재(60)에는 쿠션성을 가진 시트(도시하지 않음)가 분리 가능하게 부착된다. 유모차(10)는 전체적으로 전후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폭 방향 중심면을 중심으로 해서 대체로 대칭인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하, 유모차(10)를 구성하는 유모차 본체(15), 가드 부재(70) 및 베이스 직물 형상재(60)에 대하여 차례로 설명한다.
또한, 본 명세서 중에 있어서, 유모차(10) 및 그 구성 요소에 대하여 이용하는 「전」, 「후」, 「상」 및 「하」의 용어는, 특별히 지시가 없을 경우, 전개(展開) 상태에 있는 유모차(10)에 승차하는 유유아를 기준으로 한 「전」, 「후」, 「상」 및 「하」를 의미한다. 따라서, 「전후 방향」이란, 도 1에 있어서의 지면(紙面)의 좌하와 우상을 잇는 방향에 상당한다. 그리고, 특별히 지시가 없는 한, 「전」이란, 승차한 유유아가 향하는 측이며, 도 1에 있어서의 지면의 좌하측이 「전측」이 된다. 한편, 「상하 방향」이란 전후 방향에 직교함과 함께 유모차(10)의 접지면에 직교하는 방향이다. 따라서, 유모차(10)의 접지면이 수평면인 경우, 「상하 방향」이란 수직 방향을 가리킨다. 또한, 「횡 방향」 및, 「폭 방향」이란, 「전후 방향」 및 「상하 방향」의 어느 방향에도 직교하는 방향이다. 또한, 「우」 및 「좌」에 대해서도, 각각 유모차(10)에 승차하는 유유아를 기준으로 한 횡 방향 또는 폭 방향에 있어서의 「우」 및 「좌」인 것을 의미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유모차 본체(15)는, 시트 지지체(40)와, 시트 지지체(40)를 지지하는 차체 프레임(18)을 갖고 있다. 이 중 우선, 주로 도 5를 참조하면서 시트 지지체(40)에 대하여 설명한다.
시트 지지체(40)는, 주된 구성으로서, 유유아의 상반신의 후방에 위치하여 유유아를 후방으로부터 지지하게 되는 배부 지지체(42)와, 유유아의 엉덩이부의 아래쪽에 위치하여 엉덩이부를 아래쪽으로부터 지지하게 되는 앉음부 지지체(50)를 갖고 있다. 배부 지지체(42)는 앉음부 지지체(50)에 후방으로부터 접속되어 있다. 배부 지지체(42)는 앉음부 지지체(50)에 대해서 요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배부 지지체(42)의 앉음부 지지체(50)에 대한 요동 각도, 즉 리클라이닝 각도는, 배부 지지체(42)의 배면을 통과해서 차체 프레임(18)에 부착된 리클라이닝 조절 벨트(33)(도 2 참조)의 길이를 조절하는 것에 의하여 제어할 수 있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부 지지체(42)는, 폭 방향으로 이간해서 배치된 한 쌍의 측부 프레임부(44)와, 한 쌍의 측부 프레임부(44, 44)의 상단부에 피벗 부착된 상부 프레임부(47)를 갖고 있다. 각 측부 프레임부(44)의 하단부는 앉음부 지지체(50)에 피벗 부착되어 있다. 상부 프레임부(47)는, 각 측부 프레임부(44)에 접속되는 한 쌍의 측부(47a, 47a)와, 한 쌍의 측부(47a, 47a)간에서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결부(47b)를 포함하며, 삼방(三方) 프레임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1 및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트 지지체(40)에 베이스 직물 형상재(60)가 장착되었을 경우, 한 쌍의 측부 프레임부(44, 44)의 사이의 영역에 유유아의 등을 지지하는 면이 형성되고, 상부 프레임부(47)에 의해 둘러싸인 영역 내에 유유아의 머리부를 지지 또는 보호하는 면이 형성된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부 지지체(42)는, 상부 프레임부(47)의 각 측부(47a)에 일단부가 피벗 부착된 한 쌍의 접속 프레임부(48)를 더 갖고 있다. 접속 프레임부(48)의 타단부는, 도 4 및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핸들(28)에 피벗 부착되어 있다. 접속 프레임부(48)는, 후술하는 베이스 직물 형상재(60)를 지지하며, 유모차(10)에 착좌한 유유아를 측방으로부터 보호한다. 또한, 접속 프레임부(48)는 리클라이닝 동작에 따라서 상부 프레임부(47)를 측부 프레임부(44)에 대해서 회동시키는 링크재로서도 기능한다.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부 지지체(42)가 앉음부 지지체(50)에 대해서 젖혀진 상태에 있어서, 상부 프레임부(47)는 측부 프레임부(44)에 대해서 세워져 있다. 한편,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부 지지체(42)가 앉음부 지지체(50)에 대해서 세워져 있는 상태에 있어서, 상부 프레임부(47)의 측부(47a)의 아래쪽 부분은 측부 프레임부(44)와 대체로 평행이 된다.
다음으로, 계속해서 주로 도 5를 참조하면서, 앉음부 지지체(50)에 대하여 설명한다. 앉음부 지지체(50)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측부 프레임 부분(50a, 50a)과, 한 쌍의 측부 프레임 부분(50a, 50a)의 선단부간을 연결하는 연결 프레임 부분(50b)을 포함하며, 프레임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단 구체적인 구성으로서는, 앉음부 지지체(50)는, 배부 지지체(42)의 각 측부 프레임부(44)와 피벗 부착된 한 쌍의 단부 접속재(52, 52)와, 각 단부 접속재(52)에 전방으로부터 접속되며 또한 한 쌍의 단부 접속재(52, 52)간을 연결하는 프레임재(54)를 갖고 있다. 단부 접속재(52)는 예를 들면 수지 성형품으로 이루어지며, 프레임재(54)는 통 형상 금속을 굽힘 가공해서 제작한 부재로 이루어진다. 프레임재(54)의 양 단부는 대응하는 측의 단부 접속재(52)에 체결구(56)를 통하여 고착되어 있다. 또한, 단부 접속재(52)와 프레임재(54)의 일부분에 의하여, 측부 프레임 부분(50a)이 형성되고, 프레임재(54)의 그 밖의 부분에 의하여 연결 프레임 부분(50b)이 형성되어 있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 쌍의 측부 프레임 부분(50a, 50a)의 폭 방향에의 이간 간격은, 측부 프레임 부분(50a)의 후방 부분에서 좁고(간격(da)), 측부 프레임 부분(50a)의 전방 부분에서 넓게(간격(db)) 되어 있다.
또한,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트 지지체(40)는 한 쌍의 단부 접속재(52, 52)의 사이를 연결하는 후상부(後上部) 연결 부재(41)를 더 갖고 있다.
다음으로, 주로 도 1, 도 2, 도 4 및 도 6을 참조하면서, 이상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시트 지지체(40)를 지지하는 차체 프레임(18)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도 4에 있어서는, 도면에 있어서의 앞쪽 편(유모차(10)에 있어서의 우측)에 배치되어야 할 일부의 구성 요소를 생략하고 있으며, 마찬가지로 도 6에 있어서도, 도면에 있어서의 앞쪽 편(유모차(10)에 있어서의 좌측)에 배치되어야 할 일부의 구성 요소를 생략하고 있다. 도 1 및 도 4로부터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시트 지지체(40)의 양측에, 프레임 부재(20), 전각(22) 및 후각(25)이 설치되어 있다. 각 프레임 부재(20)는 유모차(10)에 착좌한 유유아의 측방에 위치하며 암레스트로서 기능한다. 이 프레임 부재(20)의 전방 부분(도시된 예에서는 전단부)에, 대응하는 측의 전각(22) 및 후각(25)의 위쪽 부분(도시된 예에서는 상단부)이 요동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한 쌍의 전각(22, 22)의 하단부에 각각 전륜(23)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한 쌍의 후각(25, 25)의 하단부에 각각 후륜(26)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한 쌍의 프레임 부재(20)의 후방 부분(도시된 예에서는 후단부)이 핸들(28)에 요동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핸들(28)은, 폭 방향으로 이간해서 배치된 한 쌍의 연장 돌출부(28a,28a)와, 한 쌍의 연장 돌출부(28a,28a)의 사이를 연결하는 파지부(28b)를 가지며, 대략 U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연장 돌출부(28a)는 봉 형상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핸들(28)의 중간 부분 또는 아래쪽 부분에 프레임 부재(20)가 피벗 부착되어 있다.
도 2 및 도 4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차체 프레임(18)은, 각 전각(22)의 중간부에 피벗 부착된 한 쌍의 전각 연결 부재(38)와, 각 후각(25)의 중간부에 피벗 부착된 한 쌍의 후각 연결 부재(39)를 갖고 있다. 도 2 및 도 4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차체 프레임(18)은, 이 전각 연결 부재(38) 및 후각 연결 부재(39)에 있어서, 시트 지지체(40)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차체 프레임(18)은 시트 지지체(40)의 접속 프레임부(48)와도 접속되어 있다. 전각 연결 부재(38)는 그 하단부(전단부)가 전각(22)에 요동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한편, 전각 연결 부재(38)의 상단부(후단부)는 앉음부 지지체(50)의 측부 프레임 부분(50a)에 접속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전각 연결 부재(38)의 상단부(후단부)는 앉음부 지지체(50)를 이루는 단부 접속재(52)에 고착되어 있다. 후각 연결 부재(39)는 그 하단부가 후각(25)에 요동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후각 연결 부재(39)의 상단부는 시트 지지체(40)의 앉음부 지지체(50)에 요동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특히 도시된 예에 있어서는, 배부 지지체(42)의 앉음부 지지체(50)에 대한 요동 축선을 중심으로 해서, 시트 지지체(40)에 대하여 요동 가능해지도록, 후각 연결 부재(39)는 시트 지지체(40)에 피벗 부착되어 있다. 따라서, 후각 연결 부재(39)는, 앉음부 지지체(50)뿐만 아니라, 배부 지지체(42)에 대해서도 요동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또한, 핸들(28)의 각 연장 돌출부(28a)의 하단부는, 후각 연결 부재(39)에 요동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특히 도시된 예에 있어서는, 후각 연결 부재(39)의 시트 지지체(40)에 대한 요동 축선을 중심으로 해서, 후각 연결 부재(39)에 대하여 요동 가능해지도록, 핸들(28)은 후각 연결 부재(39)에 피벗 부착되어 있다. 따라서, 핸들(28)은, 후각 연결 부재(39)뿐만 아니라, 시트 지지체(40)의 배부 지지체(42) 및 앉음부 지지체(50)에 대해서도 요동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모차(10)의 횡 방향(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재로서, 한 쌍의 전각(22, 22)의 사이를 연결하는 풋레스트(30)와, 한 쌍의 후각(25, 25)의 사이를 연결하는 후하부(後下部) 연결 부재(31)가 설치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전체 구성을 가진 유모차 본체(15)는 각 구성 부재를 서로 회동시키는 것에 의해 절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핸들(28)을 일단 후상방으로 끌어올리고, 그 후 아래쪽으로 밀어 내리는 것에 의하여, 후각 연결 부재(39)를 후각(25)에 대하여 도 2에 있어서 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동시킨다. 이 조작에 수반해서, 프레임 부재(20) 및 전각 연결 부재(38)는 핸들(28)에 대하여 도 2에 있어서 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동한다. 이와 같은 조작에 의해, 측면 보기에 있어서 핸들(28)과 전각(22)이 접근하여 대략 평행하게 배치됨과 함께, 핸들(28)의 배치 위치가 내려가게 된다. 이상과 같이 해서, 유모차 본체(15)를 절첩할 수 있으며, 유모차의 전후 방향 및 상하 방향을 따른 치수를 소형화할 수 있다. 도 3에는 절첩된 상태의 유모차 본체(15)가 나타나 있다. 한편, 유모차 본체(15)를 절첩 상태로부터 전개할 때에는, 전술한 절첩 조작과 반대의 수순을 거치면 된다.
다음으로, 주로 도 1, 도 6 및 도 7을 참조해서, 베이스 직물 형상재(60)에 대하여 설명한다. 베이스 직물 형상재(60)는, 시트 지지체(40)에 장착된 앉음부 직물 형상재(61) 및 배부 직물 형상재(62)와, 앉음부 직물 형상재(61) 및 배부 직물 형상재(62)로부터 양 측방으로 연장 돌출된 한 쌍의 측부 직물 형상재(63)를 포함하고 있다. 앉음부 직물 형상재(61)는, 시트 지지체(40)의 앉음부 지지체(50)에 장착되어, 유유아의 엉덩이부를 아래쪽으로부터 지지하는 앉음면을 형성한다. 배부 직물 형상재(62)는, 배부 지지체(42) 중의 측부 프레임부(44) 및 상부 프레임부(47)에 장착되어, 유유아의 상반신을 후방으로부터 지지하는 면을 형성한다. 측부 직물 형상재(63)는, 핸들(28) 및 접속 프레임부(48)에 지지되어, 유유아의 엉덩이부 및 상반신의 측방에서 확장되어 있다. 각 측부 직물 형상재(63)는, 시트 지지체(40)로부터 차체 프레임(18)의 암레스트로서 기능하는 프레임 부재(20)까지 연장 확장되어 있다.
베이스 직물 형상재(60)는 유연성을 가진 직물 형상의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베이스 직물 형상재(60)는 예를 들면 적절한 강도가 얻어지도록 통기성을 가진 직물재를 봉제해서 제작된다. 도 6에 나타난 예에서는, 베이스 직물 형상재(60) 중의 앉음부 직물 형상재(61) 및 배부 직물 형상재(62)가 메쉬재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베이스 직물 형상재(60)의 측부 직물 형상재(63)는 직물재로 형성되어 있다.
그런데,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다음에 상세히 기술하는 가드 부재(70)와 관련해서, 측부 직물 형상재(63)에는 구멍(63a)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6 및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측부 직물 형상재(63)에는 보조 직물재(65)가 부착되어 있다. 도시하는 예에서는, 보조 직물재(65)는 측부 직물 형상재(63)의 폭 방향 내측면에 부착되어 있다. 보조 직물재(65)는 2개의 솔기(69a, 69b)를 따라 측부 직물 형상재(63)에 꿰매 붙여져 있다. 그리고, 측부 직물 형상재(63)와 보조 직물재(65)의 사이에 2개의 솔기(69a, 69b)에 의하여 구획 형성된 통 형상의 부위가 형성되어 있다. 이 통 형상의 부위는 다음에 설명하는 가드 부재(70)의 경로(68)가 된다. 통 형상 경로(68)는, 앉음부 직물 형상재(61)와 배부 직물 형상재(62)의 접합 영역 근방으로부터, 전방을 향해서 비스듬히 위쪽으로 연장되어 있다. 도 6에 나타난 측면도에 있어서, 통 형상 경로(68)는 후각(25)의 위쪽 부분과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조 직물재(65)는 구멍(63a)을 덮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구멍(63a)은 통 형상 경로(68)에 있어서의 후단부에 위치해 있다.
다음으로, 가드 부재(7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시된 예에 있어서 가드 부재(70)는 그 양 단부가 시트 지지체(40)에 부착되며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벨트 형상의 부재이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드 부재(70)는 유모차(10)에 착좌한 유유아의 전방에 배치된다. 도 5 및 도 6에 잘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도시된 예에서의 가드 부재(70)의 단부는, 시트 지지체(40)의 앉음부 지지체(50)의 양측부, 더 상세하게는, 앉음부 지지체(50)의 측부 프레임 부분(50a)에 부착되어 있다.
특히 본 실시형태에서는, 가드 부재(70)의 단부는 단부 접속재(52)에 부착되며, 가드 부재(70)는 한 쌍의 단부 접속재(52, 52)의 사이에서 연장되어 있다. 즉, 가드 부재(70)의 단부가 앉음부 지지체(50)의 후방측의 양측부에 부착되어 있다. 따라서, 유모차(10)에 착좌한 유유아의 몸통을 보다 안정적이고 보다 확실하게 둘러싸도록 가드 부재(70)를 설치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단부 접속재(52)에는 프레임재(54)가 고착되어 있다. 이 고착에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예를 들면 핀이나 리벳으로 이루어지는 체결구(56)가 이용되어 있다. 그리고, 가드 부재(70)는 이 체결구(56)를 이용해서 단부 접속재(52)에 회동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유모차의 사용 시에 착좌한 유유아의 동작에 따라서 가드 부재(70)가 회동할 수 있다. 즉, 착좌한 유유아의 동작에 추종해서 가드 부재(70)가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가드 부재(70)가 유유아의 몸통의 주위를 둘러싸면서, 동시에 유모차(10)의 승차감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앉음부 지지체(50)의 한 쌍의 측부 프레임 부분(50a, 50a)의 폭 방향에의 이간 간격은, 측부 프레임 부분(50a)의 후방에 있어서 측부 프레임 부분(50a)의 전방보다도 좁게 되어 있다. 가드 부재(70)의 단부는 측부 프레임 부분(50a)의 폭이 좁은 후방 부분에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유모차(10)의 폭 방향에 있어서, 가드 부재(70)는, 측부 프레임 부분(50a)의 폭이 넓은 전방 부분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겹치도록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유모차(10)의 절첩 동작 시에, 앉음부 지지체(50) 및 배부 지지체(42)가 서로 접근하도록 상대 요동했을 때, 가드 부재(70)가 한 쌍의 측부 프레임 부분(50a)의 폭이 넓은 부분에 의하여 밀어올려지도록 유도된다. 즉,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모차(10)를 절첩했을 때에, 가드 부재(70)가 위쪽으로 뻗어 올라가게 되어, 절첩된 유모차(10)로부터 가드 부재(70)가 전방으로 돌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 및 도 7에 잘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가드 부재(70)는, 유모차 본체(15)에 부착된 한 쌍의 단부 부착 부분(71, 71)과, 한 쌍의 단부 부착 부분(71, 71)을 연결하는 가드 부분(75)을 갖고 있다. 이 중 각 단부 부착 부분(71)이 유모차 본체(10)에 회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또한,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드 부분(75)은 한 쌍의 단부 부착 부분(71, 71)의 각각으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유모차(10)에 유유아를 오르내리게 할 때, 가드 부분(75)을 분리할 수 있다. 또한, 유모차(10)에 승차하는 유유아의 월령에 따라서는 가드 부재(70)가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가드 부분(75)을 분리해서 유모차(10)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각 단부 부착 부분(71)은, 예를 들면 수지 성형물로 이루어지는 버클로서 형성되어 있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모차 본체(15)에의 부착측이 되는 단부 부착 부분(71)의 기단부에는 접속 관통 구멍(74)이 형성되어 있다. 체결구(56)(도 6 참조)가 접속 관통 구멍(74)을 관통해서, 단부 부착 부분(71)이 단부 접속재(52)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한편,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드 부분(75)의 부착측이 되는 단부 부착 부분(71)의 선단부에는 수용 오목부(73)가 형성되어 있다. 이 수용 오목부(73)에는 가드 부분(75)의 텅부(tang portion)(82)가 삽입되게 된다. 수용 오목부(73)에는 걸림 홈(73a)이 형성되고, 텅부(82)에는 걸림 돌기(83a)가 형성되어 있다. 텅부(82)의 걸림 돌기(83a)를 수용 오목부(73)의 걸림 홈(73a)에 끼워 넣는 것에 의해, 가드 부분(75)이 단부 부착 부분(71)에 고정된다. 또한, 걸림 돌기(83a)와 걸림 홈(73a)의 걸어맞춤은 텅부(82)를 휘어지게 하는 것에 의해 해제된다. 걸림 돌기(83a)와 걸림 홈(73a)의 걸어맞춤이 해제된 상태에서 가드 부분(75)을 단부 부착 부분(71)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그런데,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부 부착 부분(71)은 베이스 직물 형상재(60)의 측부 직물 형상재(63)에 형성된 구멍(63a)을 통과할 수 있다. 그 결과, 유모차 본체(15)에의 부착측이 되는 단부 부착 부분(71)의 기단부가, 대응하는 측의 측부 직물 형상재(63)에 대해서 폭 방향 외측에 위치하고, 가드 부분(75)과 접속되는 측이 되는 단부 부착 부분(71)의 선단부가, 당해 측부 직물 형상재(63)에 대해서 폭 방향 내측에 위치한다. 또한, 단부 부착 부분(71)은, 측부 직물 형상재(63)와 보조 직물재(65) 사이에 구획 형성된 통 형상 경로(68)를 통과해 있다. 도 6 및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부 부착 부분(71)의 선단은 통 형상 경로(68)의 선단 개구(68a)로부터 약간 연장 돌출하도록 되어 있다. 즉, 단부 부착 부분(71)은 유유아가 착좌하는 베이스 직물 형상재(60)에 의해 둘러싸인 영역으로 그다지 노출되어 있다.
요동 가능한 단부 부착 부분(71)이 측부 직물 형상재(63)에 설치된 구멍(63a) 및 통 형상 경로(68)의 적어도 한쪽을 통과해 있는 것에 의해, 유모차(10)가 전개되어 있는 상태에서, 단부 부착 부분(71)의 선단부가 어느 정도 한정된 범위 내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가드 부분(75)의 단부 부착 부분(71)에의 부착 작업 및 가드 부분(75)의 단부 부착 부분(71)으로부터의 분리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가드 부재(70)의 단부 부착 부분(71)이, 베이스 직물 형상재(60)의 측부 직물 형상재(63)에 형성된 통 형상 경로(68) 내를 통과해 있으므로, 당해 단부 부착 부분(71)을 눈에 띄지 않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가드 부분(75)이 분리된 상태에 있어서도, 단부 부착 부분(71)에 관련해서 위화감을 발생시키지 않아, 유모차(10)의 의장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가드 부분(75)에 대하여 더 상세히 기술한다. 도 6∼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드 부분(75)은, 단부 부착 부분(71)에 접속되는 한 쌍의 단부 접속구(80)와, 한 쌍의 단부 접속구(80)에 양 단부가 고정된 가드 본체(77)를 갖고 있다.
이 중, 가드 본체(77)는 수지로 형성되어 있다. 특히, 가드 본체(77)는 단일한 수지 성형품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수지제의 가드 본체(77)는 연질로 하는 것이 가능이며, 봉제품 등에 의해 피복하지 않고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수지제의 가드 본체(77)를 이용하는 것에 의해, 가드 부재(70)를 대폭적으로 단순화 또한 저코스트화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수지제의 가드 본체(77)의 성형 시에 디자인을 형성하는 것에 의해, 눈에 띄는 위치에 배치되는 가드 부분(75)의 의장성, 또한 유모차(10)의 의장성을 개선할 수 있다.
여기에서 가드 본체(77)에 이용되는 수지란, 천연 수지, 합성 수지, 고무, 발포 플라스틱 등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가드 본체(77)에 이용되는 수지재료로서, EVA(Ethylene-Vinyl Acetate) 수지를 예시할 수 있다. EVA 수지는,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 수지로서, 에틸렌계 탄화수소를 중합해서 제작되는 열가소성 수지이다. EVA 수지는, 적당한 강도와 함께 유연성 및 탄력을 갖는 점에 있어서, 가드 본체(77)의 재료로서 바람직하다. 또한, EVA 수지에 고무류를 첨가하는 것에 의해, 가드 본체(77)의 탄성이나 내열성을 개선할 수 있어, 안료를 첨가하는 것에 의해 가드 본체(77)를 착색할 수도 있다. 또한, EVA 수지는 발포 성형할 수 있어 가드 본체(77)의 성형 시에 디자인을 부여할 수 있다.
단부 접속구(80)는, 가드 본체(77)의 양 단부(78)를 파지하며, 가드 부분(75)의 양 단부를 형성하고 있다. 도 7∼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시된 단부 접속구(80)는, 단부 부착 부분(71)에 접속되는 제 1 부재(81)와, 가드 본체(77)의 단부(78)를 파지하는 제 2 부재(86)를 갖고 있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부재(81)와 제 2 부재(86)는 회동축 부재(85)를 통하여 상대 회동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제 1 부재(81)는 전술한 텅부(82)를 갖고 있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텅부(82)는, 전술한 걸림 돌기(83a)가 형성된 텅편(83)과, 텅편(83)을 지지하는 지지부(84)를 갖고 있다. 텅편(83)은 가드 부분(75)의 선단이 되는 측에 위치하는 기단부(83b)에서 지지부에 접속되어 있다. 기단부(83b)의 반대측이 되는 텅편(83)의 선단부(83c)를 압압하는 것에 의해, 텅편(83)은 지지부(84)에 대해서 휘어질 수 있다. 제 1 부재(81)의 텅부(82)가, 단부 부착 부분(71)의 수용 오목부(73)에 삽입되고, 텅편(83)의 걸림 돌기(83a)가 수용 오목부(73)의 걸림 홈(73a)에 끼워 넣어지는 것에 의해, 가드 부분(75)이 단부 부착 부분(71)에 고정된다. 한편, 텅편(83)의 선단부(83c)를 압압하는 것에 의해, 걸림 돌기(83a)가 걸림 홈(73a)으로부터 빠져나온다. 이것에 의해, 텅부(82)를 수용 오목부(73)로부터 인출하여, 가드 부분(75)을 단부 부착 부분(71)으로부터 분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부재(86)는, 가드 본체(77)의 단부(78)를 수용하는 케이싱(87)과, 케이싱(87)에 장착되는 덮개체(88)를 갖고 있다. 케이싱(87) 및 덮개체(88)에 의하여 구획 형성되는 공간 내에는, 가드 본체(77)의 단부(78)와 함께 누름판(89)이 배치되어 있다. 케이싱(87) 및 덮개체(88)로서 수지 성형품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누름판(89)으로서 금속판을 이용할 수 있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드 본체(77)의 단부(78)는 케이싱(87)과 누름판(89)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케이싱(87)은 가드 본체(77)의 단부(78)와 면 접촉하는 내면(87a)을 갖고 있다. 누름판(89)도 가드 본체(77)의 단부(78)와 면 접촉하는 표면(89a)을 갖고 있다. 가드 본체(77)의 단부(78)는, 케이싱(87)의 내면(87a)과 누름판(89)의 표면(89a)의 양쪽에 면 접촉한 상태에서, 케이싱(87) 및 누름판(89)에 의하여 협지(挾持)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인 구성으로서,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싱(87), 가드 본체(77)의 단부(78), 누름판(89)에는, 각각 관통 구멍(87b, 78a, 89b)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관통 구멍(87b, 78a, 89b)을 관통한 체결구(91), 예를 들면 리벳이나, 볼트 및 너트 등에 의하여, 케이싱(87) 및 누름판(89)의 사이에, 가드 본체(77)의 단부(78)가 파지되어 있다. 본 건 발명자가 확인한 바, 이와 같은 체결 방법에 따르면, EVA 등의 비교적인 연질인 수지를 가드 본체(77)의 재료로서 이용했다고 해도, 가드 본체(77)의 단부(78)에 형성된 관통 구멍(78a)을 기점으로 해서, 수지제의 가드 본체(77)가 파단되어 버리는 것을 효과적으로 회피할 수 있었다.
또한, 도 8 및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싱(87)에는 나사 수용 돌기(87c)가 형성되어 있다. 덮개체(88)를 관통해서 나사 수용 돌기(87c)에 나사(93)를 나사 맞춤시키는 것에 의해 덮개체(88)가 케이싱(87)에 고정된다. 도시된 예에 있어서, 가드 본체(77)의 단부(78)에는 제2 관통 구멍(78b)이 형성되어 있다. 나사 수용 돌기(87c)는 제2 관통 구멍(78b)을 관통해 있다. 단, 체결구(91)를 통하여 가드 본체(77)의 단부(78)가 단부 접속구(80)에 안정적으로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제2 관통 구멍(78b)에 큰 힘이 가해지지 않아, 제2 관통 구멍(78b)을 기점으로 해서 가드 본체(77)가 파단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회피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가드 부재(70)의 양단은, 시트 지지체(40)에 부착되어 있으며 시트 지지체(40)보다도 위쪽에 유지되고 또한 암레스트로서도 기능하는 프레임 부재(20)에는 부착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가드 부재(70)를 부착하기 위한 돌기 등의 구성을 프레임 부재(20)에 설치할 필요가 없다. 이 때문에, 눈에 띄기 쉬운 위치에 배치된 프레임 부재(20)의 의장성을 해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눈에 띄기 쉬운 위치에 배치된 프레임 부재(20)의 의장을 가드 부재(70)로부터의 제약 없이 설계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가드 부재(70)의 단부는 시트 지지체(40) 중의 앉음부 지지체(50)의 양측부에 부착되어 있다. 도시된 예에서는, 앉음부 지지체(50)가, 한 쌍의 측부 프레임 부분(50a, 50a)과, 한 쌍의 측부 프레임 부분(50a, 50a)을 전방에 있어서 연결하는 연결 프레임 부분(50b)을 포함하고 있다. 즉, 앉음부 지지체(50)는, 후방으로 개구된 삼방 프레임, 환언하면 U자 형상의 프레임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가드 부재(70)의 각 단부는 측부 프레임 부분(50a)에 부착되며, 가드 부재(70)는 한 쌍의 측부 프레임 부분(50a, 50a)의 사이에서 연장되어 있다. 따라서, 유유아의 요부(腰部) 및 복부(腹部)를 둘러싸도록 가드 부재(70)를 설치할 수 있어, 보호자에게도 시각적인 안심감을 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단부 부착 부분(71)이, 시트 지지체(40)에 부착되어 있으며 암레스트로서도 기능하고 또한 눈에 띄기 쉬운 위치에 배치된 프레임 부재(20)에는 부착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가드 부재(70)의 가드 부분(75)을 분리해서 유모차(10)를 사용할 경우에도 단부 부착 부분(71)을 눈에 띄지 않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가드 부분(75)이 분리된 상태에 있어서도, 위화감을 발생시키지 않는 우수한 의장성을 유모차(10)에 부여할 수 있다. 또한, 가드 부재(70)의 가드 부분(75)을 분리했을 때에, 단부 부착 부분(71)이 프레임 부재(20)로부터 크게 돌출하지 않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므로, 취급성의 면에서도 좋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가드 부분(75)은 한 쌍의 단부 접속구(80)에 양단이 고정된 수지제의 가드 본체(77)를 갖고 있다. 수지제의 가드 본체(77)는 충분한 연질성을 부여할 수 있다. 충분히 연질화된 가드 본체(77)는, 통 형상의 봉제품에 의해 피복해서 이용할 필요가 없어, 가드 부재(70)를 대폭적으로 단순화 또한 저코스트화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수지제의 가드 본체(77)의 성형 시에 디자인을 형성하는 것에 의해, 눈에 띄는 위치에 배치되는 가드 부분(75)의 의장성, 또한 유모차(10)의 의장성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가드 본체(77)의 단부는, 케이싱(87) 및 누름판(89)의 사이에 배치되며, 케이싱(87)의 내면(87a) 및 누름판(89)의 표면(89a)에 접촉된 상태에서, 케이싱(87) 및 누름판(89)과 함께 체결구(91)에 의하여 관통되어 있다. 이 구성에 따르면, 체결구(91)가 관통하는 관통 구멍(78a)을 기점으로 해서, 수지제의 가드 본체(77)가 파단되어 버리는 것을 효과적으로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형태에 대하여 다양한 변경을 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변형의 일례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 및 이하의 설명에서 이용하는 도면에서는, 전술한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구성할 수 있는 부분에 관하여, 전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대응하는 부분에 대해서 이용한 부호와 동일한 부호를 이용하는 것으로 하고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전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가드 부재(70)의 단부가, 단부 접속재(52)에 부착되어 있는 예를 나타냈지만, 이 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가드 부재(70)의 단부가, 시트 지지체(40)의 다른 부위, 예를 들면 프레임재(54)나, 배부 지지체(42)의 측부 프레임부(44) 등에 부착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가드 부재(70)의 단부가 전각 연결 부재(38)에 부착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전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측부 직물 형상재(63)에 구멍(63a)이 형성됨과 함께, 보조 직물재(65)를 이용해서 통 형상 경로(68)가 형성되는 예를 나타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통 형상 경로(68)가 형성되어 있지 않고, 측부 직물 형상재(63)에 구멍(63a)만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측부 직물 형상재(63)에 구멍(63a)이 형성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이 경우, 가드 부재(70)는, 측부 직물 형상재(63)의 폭 방향 바깥쪽을 통과해서 전방으로 연장 돌출하게 된다.
또한 전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설명한 유모차(10)의 유모차 본체(15)의 구성은 단순한 예에 지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절첩 불가능하게 유모차 본체(15)를 구성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핸들(28)을 배면 밀기 위치와 대면 밀기 위치의 사이에서 요동 가능하게 한 유모차 본체(15)에 대하여, 전술한 가드 부재(70)나 베이스 직물 형상재(60)가 적용되어도 된다. 도 10에 나타내는 예에 있어서는, 암레스트로서 기능하는 프레임 부재(20)와 후각 연결 부재(39) 사이에, 전술한 실시형태의 핸들(28) 대신에 링크재(100)가 배치되어 있다. 핸들(128)은, 링크재(100)와 후각 연결 부재(39)의 회동 축선을 중심으로 해서 요동 가능해지도록, 링크재(100)에 접속되어 있다. 이 유모차(10)에 있어서, 시트 지지체(40)의 앉음부 지지체(50)의 양측부에 가드 부재(70)의 단부가 부착되어 있다.
또한, 이상에 있어서 전술한 실시형태에 대한 몇 가지 변형예를 설명해 왔지만, 당연히 복수의 변형예를 적절히 조합시켜서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Claims (13)

  1. 전각(前脚) 및 후각(後脚) 그리고 상기 전각 및 상기 후각이 요동 가능하게 접속된 프레임 부재를 포함하는 차체 프레임과, 상기 차체 프레임에 지지된 시트(seat) 지지체를 갖는 유모차 본체와,
    상기 시트 지지체, 또는, 상기 시트 지지체와 상기 전각을 연결하는 전각 연결 부재에 양 단부(端部)가 부착된 가드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가드 부재는, 상기 유모차 본체에 부착된 한 쌍의 단부 부착 부분과, 한 쌍의 단부 부착 부분을 연결하는 가드 부분을 갖고,
    상기 가드 부분은, 상기 한 쌍의 단부 부착 부분으로부터 분리 가능하며,
    상기 가드 부재의 상기 가드 부분은, 상기 단부 부착 부분에 접속되는 한 쌍의 단부 접속구와, 한 쌍의 단부 접속구에 양 단부가 고정된 수지제의 가드 본체를 갖고,
    각 단부 접속구는, 상기 가드 본체의 단부를 수용하는 케이싱과, 체결구를 이용해서 상기 케이싱과 고정된 누름판을 갖고,
    상기 가드 본체의 상기 단부는, 상기 케이싱 및 상기 누름판의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케이싱의 내면 및 상기 누름판의 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케이싱 및 상기 누름판과 함께 상기 체결구에 의하여 관통되어 있는 유모차.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지지체는, 앉음부 지지체와, 상기 앉음부 지지체에 후방으로부터 접속된 배부(背部) 지지체를 포함하고,
    상기 가드 부재의 단부는, 상기 앉음부 지지체의 양측부에 부착되어 있는 유모차.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지지체는, 앉음부 지지체와, 상기 앉음부 지지체에 후방으로부터 요동 가능하게 접속된 배부 지지체를 갖고,
    상기 앉음부 지지체는, 한 쌍의 측부 프레임 부분과, 상기 한 쌍의 측부 프레임 부분을 전방에 있어서 연결하는 연결 프레임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가드 부재의 단부는, 상기 측부 프레임 부분에 부착되며, 상기 가드 부재는, 상기 한 쌍의 측부 프레임 부분의 사이에서 연장되어 있는 유모차.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앉음부 지지체는, 상기 배부 지지체와 회동 가능하게 접속된 한 쌍의 단부 접속재와, 각 단부 접속재에 전방으로부터 접속되며 또한 한 쌍의 단부 접속재간을 연결하는 프레임재를 갖고,
    상기 단부 접속재와 상기 프레임재의 일부분에 의하여, 상기 측부 프레임 부분이 형성되며, 상기 프레임재의 다른 부분에 의하여, 상기 연결 프레임 부분이 형성되고,
    상기 가드 부재의 단부는, 상기 단부 접속재에 부착되며, 상기 가드 부재는, 상기 한 쌍의 단부 접속재의 사이에서 연장되어 있는 유모차.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측부 프레임 부분의 폭 방향에의 이간 간격은, 상기 측부 프레임 부분의 후방에 있어서 상기 측부 프레임 부분의 전방보다도 좁게 되어 있고,
    상기 가드 부재의 단부는, 상기 측부 프레임 부분의 폭이 좁은 후방 부분에 부착되어 있는 유모차.
  6. 삭제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부 부착 부분은, 상기 유모차 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는 유모차.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지지체에 지지된 베이스 직물 형상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베이스 직물 형상재는, 상기 시트 지지체에 장착된 앉음부 직물 형상부 및 배부 직물 형상부와, 상기 앉음부 직물 형상부 및 배부 직물 형상부로부터 양 측방으로 연장 돌출하는 한 쌍의 측부 직물 형상부를 갖고,
    각 측부 직물 형상부에는 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가드 부재의 상기 단부 부착 부분이 상기 측부 직물 형상부의 상기 구멍을 통과해 있는 유모차.
  10. 제 1 항 내지 제 5 항, 제 8 항,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지지체에 지지된 베이스 직물 형상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베이스 직물 형상재는, 상기 시트 지지체에 장착된 앉음부 직물 형상부 및 배부 직물 형상부와, 상기 앉음부 직물 형상부 및 배부 직물 형상부로부터 양 측방으로 연장 돌출하는 한 쌍의 측부 직물 형상부를 갖고,
    상기 가드 부재의 단부는, 상기 유모차 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부착되고,
    각 측부 직물 형상부에는 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가드 부재가 상기 측부 직물 형상부의 상기 구멍을 통과해 있는 유모차.
  11. 제 1 항 내지 제 5 항, 제 8 항,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지지체에 지지된 베이스 직물 형상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베이스 직물 형상재는, 상기 시트 지지체에 장착된 앉음부 직물 형상부 및 배부 직물 형상부와, 상기 앉음부 직물 형상부 및 배부 직물 형상부로부터 양 측방으로 연장 돌출하는 한 쌍의 측부 직물 형상부를 갖고,
    상기 가드 부재의 단부는, 상기 유모차 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부착되고,
    상기 측부 직물 형상부에는, 보조 직물재가 부착되고,
    상기 측부 직물 형상부와 상기 보조 직물재 사이에, 상기 가드 부재가 통과하는 통(筒) 형상의 경로가 형성되어 있는 유모차.
  12. 유모차 본체와,
    폭 방향으로 이간해서 유모차 본체에 부착된 한 쌍의 단부 부착 부분과, 한 쌍의 단부 부착 부분을 연결하는 가드 부분을 갖는 가드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가드 부재의 상기 가드 부분은, 상기 단부 부착 부분에 접속되는 한 쌍의 단부 접속구와, 한 쌍의 단부 접속구에 양 단부가 고정된 수지제의 가드 본체를 갖고,
    각 단부 접속구는, 상기 가드 본체의 단부를 수용하는 케이싱과, 체결구를 이용해서 상기 케이싱과 고정된 누름판을 갖고,
    상기 가드 본체의 상기 단부는, 상기 케이싱 및 상기 누름판의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케이싱의 내면 및 상기 누름판의 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케이싱 및 상기 누름판과 함께 상기 체결구에 의하여 관통되어 있는 유모차.
  13. 유모차의 폭 방향으로 서로로부터 이간해서 당해 유모차에 부착되는 한 쌍의 단부 부착 부분과,
    한 쌍의 단부 부착 부분을 연결하는 가드 부분을 구비하고,
    상기 가드 부분은, 상기 단부 부착 부분에 접속되는 한 쌍의 단부 접속구와, 한 쌍의 단부 접속구에 양 단부가 고정된 수지제의 가드 본체를 갖고,
    각 단부 접속구는, 상기 가드 본체의 단부를 수용하는 케이싱과, 체결구를 이용해서 상기 케이싱에 부착된 누름판을 갖고,
    상기 가드 본체의 상기 단부는, 상기 케이싱 및 상기 누름판의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케이싱의 내면 및 상기 누름판의 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케이싱 및 상기 누름판과 함께 상기 체결구에 의하여 관통되어 있는 가드 부재.
KR1020140105921A 2013-08-28 2014-08-14 가드 부재 및 유모차 KR10224222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177184A JP6205211B2 (ja) 2013-08-28 2013-08-28 ガード部材及び乳母車
JPJP-P-2013-177184 2013-08-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6837A KR20150026837A (ko) 2015-03-11
KR102242223B1 true KR102242223B1 (ko) 2021-04-20

Family

ID=526704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5921A KR102242223B1 (ko) 2013-08-28 2014-08-14 가드 부재 및 유모차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205211B2 (ko)
KR (1) KR102242223B1 (ko)
CN (2) CN109552394B (ko)
TW (1) TWI62155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480290A (zh) * 2015-12-16 2016-04-13 昆山威凯儿童用品有限公司 可测量身高的婴儿推车
JP6758905B2 (ja) * 2016-05-09 2020-09-23 コンビ株式会社 乳母車
JP2018070123A (ja) * 2016-11-04 2018-05-10 コンビ株式会社 乳母車
JP6923929B2 (ja) * 2018-07-31 2021-08-25 コンビ株式会社 乳母車
JP6954666B2 (ja) * 2019-10-04 2021-10-27 コンビ株式会社 子供座席、子供座席付き自転車およびガード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98604A1 (en) 2001-09-25 2003-05-29 Red Lan Seat device for a stroller
US20080185821A1 (en) * 2007-02-01 2008-08-07 Shun-Min Chen Stroller with linkage assembly
JP2013095274A (ja) * 2011-11-01 2013-05-20 Combi Corp 折畳みが可能なベビーカー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9104853U (ko) * 1972-12-29 1974-09-09
JPS589818Y2 (ja) * 1980-05-01 1983-02-22 コンビ株式会社 浮母車用保護枠等の傾斜角度調節器
JP3654605B2 (ja) * 1996-02-26 2005-06-02 緑 石川 椅子装着用のおくるみ及び該おくるみを備えた椅子
KR200200700Y1 (ko) * 1998-04-10 2000-11-01 황현 유모차의어린이손잡이착탈구조
US6698773B2 (en) * 2001-10-15 2004-03-02 Ben M. Hsia Detachable mounting arrangement for stroller front guard
JP2008174009A (ja) * 2007-01-16 2008-07-31 Combi Corp ベビーカー
CN100522718C (zh) * 2007-09-18 2009-08-05 上海统资电器有限公司 一种多功能婴儿车装置
JP5930664B2 (ja) * 2011-11-01 2016-06-08 コンビ株式会社 ベビーカ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98604A1 (en) 2001-09-25 2003-05-29 Red Lan Seat device for a stroller
US20080185821A1 (en) * 2007-02-01 2008-08-07 Shun-Min Chen Stroller with linkage assembly
JP2013095274A (ja) * 2011-11-01 2013-05-20 Combi Corp 折畳みが可能なベビーカ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417593A (zh) 2015-03-18
CN109552394A (zh) 2019-04-02
TWI621558B (zh) 2018-04-21
JP2015044497A (ja) 2015-03-12
TW201522141A (zh) 2015-06-16
CN104417593B (zh) 2019-02-05
CN109552394B (zh) 2022-05-10
KR20150026837A (ko) 2015-03-11
JP6205211B2 (ja) 2017-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42223B1 (ko) 가드 부재 및 유모차
US8419128B1 (en) Car seat insert with elastic under-body panel
CN201998834U (zh) 儿童汽车座与安装座的解锁结构
TWI558595B (zh) Foldable baby carriage
KR102256389B1 (ko) 자동차용 유아 시트
CN105882721B (zh) 车篷、育儿用具、婴儿车、儿童座椅以及宠物用推车
JP6654460B2 (ja) ベビーカー
KR101435542B1 (ko) 유모차
CN210681011U (zh) 一种婴童车
CN103419828A (zh) 座垫及婴儿车
JP3184966U (ja) シートクッション
KR100883181B1 (ko) 쇼핑카트의 유아용 시트
CN217892968U (zh) 婴儿兜、座位、儿童推车和儿童餐椅
JP7455887B2 (ja) ベビーカー
JP7428526B2 (ja) 乳母車
JP7390019B2 (ja) スリング及び自転車用チャイルドシート
JP6758905B2 (ja) 乳母車
KR102044613B1 (ko) 한 손으로 등받이의 경사각도 조절이 가능한 카시트
KR20230124062A (ko) 시트 지지 유닛 및 유모차
KR200477648Y1 (ko) 안전벨트용 보조 인형
KR19980031313U (ko) 어린이용 시트가 일체로 형성된 차량용 리어시트
JP3272916B2 (ja) 育児器具の座席
JP2011088537A (ja) 自転車用幼児座席
KR200479658Y1 (ko) 유아용삼륜차용 의자형보조탑승구
JP2019064588A (ja) ベビーカーおよびフロントガード部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