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7648Y1 - 안전벨트용 보조 인형 - Google Patents

안전벨트용 보조 인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7648Y1
KR200477648Y1 KR2020140002191U KR20140002191U KR200477648Y1 KR 200477648 Y1 KR200477648 Y1 KR 200477648Y1 KR 2020140002191 U KR2020140002191 U KR 2020140002191U KR 20140002191 U KR20140002191 U KR 20140002191U KR 200477648 Y1 KR200477648 Y1 KR 20047764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ll
user
mounting
mounting portion
ang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219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수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키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키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키두
Priority to KR202014000219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764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764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764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2Construction of belts or harnesses
    • B60R22/14Construction of belts or harnesses incorporating enlarged restraint areas, e.g. vests, nets, crash pads, optionally for childre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00Dolls
    • A63H3/003Dolls specially adapted for a particular function not connected with dol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00Dolls
    • A63H3/02Dolls made of fabrics or stuff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or animals
    • B60R22/105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or animals for childr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oys (AREA)

Abstract

안전벨트용 보조 인형에 대한 고안이 개시된다. 개시된 안전벨트용 보조 인형은, 사용자가 껴안을 수 있는 인형본체; 및 상기 인형본체에 관통되고, 설치플레이트가 버클에 결속되도록 안전벨트의 상, 하측 웨빙이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동가능하게 형성되는 장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장착부의 상측 설치각도는 수평기준으로 상기 상측 웨빙의 설치각도에 비해 작거나 같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안전벨트용 보조 인형{ASSISTANT DOLL FOR SAFETY BELT}
본 고안은 안전벨트용 보조 인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인형 본체의 장착부에 안전벨트의 웨빙을 삽입하여 결속하므로 충돌에 의한 하중을 인형본체에 분산시키고, 인형본체의 굴곡지지부를 이용하여 어린이의 목부위를 효과적으로 지지하며, 어린이 신체 크기에 따라 웨빙의 설치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안전벨트용 보조 인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좌석에 않은 탑승자가 교통사고의 충격에 의해 앞으로 쏠려 차량 내부의 전장품에 부딪쳐 신체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신체의 전면을 밀착시켜 지지해주는 안전벨트가 사용되고 있다.
안전(시트)벨트는 사용자의 신체를 지지하기 위해 천 재질로 직조한 웨빙과, 웨빙을 고정하여 신체를 감아준 상태에서 당겨주는 설치플레이트와, 설치플레이트의 구멍에 삽입 고정되어 웨빙을 연결시키는 버클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종래 차량의 좌석에 사용되는 3점 안전벨트의 경우 웨빙이 사용자의 가슴 및 골반을 고정할 수 있도록 착용해야 차량의 급정거나 충돌로부터 기능을 제대로 유지할 수 있다.
하지만, 기존의 안전벨트는 주로 일반 성인의 신체 사이즈에 맞게 설치됨에 따라 어린이나 아동, 청소년 등 신체사이즈가 일반 성인에 비해 작은 사용자가 사용하면 규격이 맞지 않으므로 안전벨트의 웨빙이 사용자의 얼굴이나 목 부위에 위치하게 되어 교통사고시 위험하다.
이를 위해 좌석에 어린이 또는 유아용 보조시트를 설치하여 사용하지만, 탈부착이 어렵고, 큰 어린이의 경우 사용하지 못하며, 좌석 공간을 많이 차지하고, 제품 가격이 비싼 문제점이 있다. 한편,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전벨트에 패드(커버)를 장착하여 보조용품으로 사용하는 추세이다.
그런데, 기존의 안전벨트용 패드는 패드본체의 배면부위에 벨크로테이프, 단추, 지퍼, 후크, 스냅단추 등의 장착부재에 의해 탈부착되는 천커버를 이용하여 안전벨트의 웨빙을 감싸 지지하도록 구성하는 것으로서, 어린이 또는 유아의 신체가 안전벨트의 웨빙에 직접 접촉되므로 충격에 의한 하중을 패드본체가 분산 및 완충하는 역할을 수행하지 못하여 효용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차량 충돌에 의해 신체가 앞으로 쏠리는 경우, 천커버에 구비된 벨크로테이프, 단추, 지퍼, 후크, 스냅단추 등의 장착부재가 얇은 천커버를 통해 어린이의 신체의 전면을 직접 누르게 되므로 신체를 보호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손상시킬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고안에 대한 배경기술은, 등록실용신안 제20-0168198호(고안의 명칭: 시트벨트용 보조기구, 1999.11.08: 등록)가 제시되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인형본체의 장착부에 안전벨트의 웨빙을 삽입하여 결속하므로 충돌에 의한 하중을 인형본체에 분산시키고, 인형본체의 굴곡지지부를 이용하여 어린이의 목부위를 효과적으로 지지하며, 어린이 신체 크기에 따라 웨빙의 설치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안전벨트용 보조 인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안전벨트용 보조 인형은, 사용자가 껴안을 수 있는 인형본체; 및 상기 인형본체에 관통되고, 설치플레이트가 버클에 결속되도록 안전벨트의 상, 하측 웨빙이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동가능하게 형성되는 장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장착부의 상측 설치각도는 수평기준으로 상기 안전벨트의 상측 웨빙의 설치각도에 비해 작거나 같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인형본체는 외형을 형성하는 외피; 및 상기 외피의 내부에 충전되는 충전재를 포함하고, 상기 인형본체에는 사용자의 목부위를 감싸면서 지지하도록 굴곡지지부가 형성되며, 상기 굴곡지지부는 동물인형 또는 캐릭터인형의 얼굴부위, 목부위, 등부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형상화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굴곡지지부에는 사용자의 목부위에 접촉되는 탈착패드가 구비되고, 상기 탈착패드는 상기 외피에서 결합부재에 의해 탈부착 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결합부재는 벨크로테이프, 단추, 후크, 지퍼, 스냅단추 중에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고, 상기 결합부재는 사용자의 신체가 접촉되지 않도록 상기 인형본체의 전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장착부는 상기 인형본체의 수평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구멍이고, 상기 장착부는 상기 인형본체의 중심부위에 형성되며, 상기 장착부는 한 쌍의 내피에 의해 상기 충전재와 분리되고, 상기 내피의 상하측 가장자리는 상호 양단부가 재봉되고, 상기 내피의 좌우측 가장자리는 상기 외피와 재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장착부는, 상기 인형본체에 구비되고 상기 설치플레이트의 진입측에 형성되는 확장부; 상기 확장부보다 작은 너비로 형성되고, 상기 확장부의 반대측에 형성되는 협소부; 및 상기 확장부와 상기 협소부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상, 하측 웨빙을 수용하는 수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장착부의 상측 설치각도는 상기 확장부의 상단과 상기 협소부의 상단을 상호 연결하는 경사선부와 수평선 사이의 각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장착부의 내측에는 상기 상, 하측 웨빙에서 전달되는 하중을 분산 지지하는 매립판이 구비되고, 상기 매립판은 상기 장착부의 형상에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장착부에는 사용자의 신체 체형에 맞춰 상기 상측 웨빙의 설치각도를 상하방향으로 다단으로 조절하는 각도조절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각도조절부는, 상기 상측 웨빙이 삽입되도록 지지부재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관통 형성되고, 사용자의 작은 체형에 대응되는 제1삽입공; 상기 제1삽입공에 인접하여 상기 지지부재에 관통 형성되고, 사용자의 중간 체형에 대응되는 제2삽입공; 및 상기 제2삽입공에 인접하여 상기 지지부재에 관통 형성되고, 사용자의 큰 체형에 대응되는 제3삽입공을 포함하고, 상기 각도조절부는 장착부의 내측에서 부착부재에 의해 분리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인형본체의 외측에는 교체커버가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교체커버는, 상기 확장부에 대응하는 보조확장부; 및 상기 협소부에 대응하는 보조협소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안전벨트용 보조 인형은, 인형본체에서 좌우로 관통 형성된 장착부에 안전벨트의 웨빙을 삽입하여 결속하고 차량 충돌에 의한 하중을 인형본체 내부의 충전재를 통해 완충하므로 어린이의 신체를 안정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장착부의 내피 양측에 매립판을 설치하므로 너비가 좁은 웨빙의 하중이 인형본체로 전달되기 이전에 매립판에서 먼저 분산되어 완충효과를 배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인형본체에 굴곡지지부를 형성시켜 어린이, 유아 등 사용자의 목부위를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장착부의 상측 설치각도를 3점 안전벨트의 상측 웨빙의 설치각도보다 낮게 경사지게 형성하므로 안전벨트의 웨빙을 어린이, 유아의 체형에 맞추어 안전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장착부의 내부에 설치각도가 각각 다른 다수개의 삽입공을 갖는 각도조절부를 구비하여 사용자의 신체 크기 또는 나이에 맞춰 안전벨트의 상측 웨빙의 설치각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인형본체의 외측에 교체커버를 탈착가능하게 구비하여 다른 디자인을 대체하므로 사용자에게 신선함을 제공할 수 있고, 교체커버를 인형본체에서 분리하여 세탁하므로 인형본체가 더러워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벨트용 보조 인형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벨트용 보조 인형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벨트용 보조 인형에 안전벨트 장착 상태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벨트용 보조 인형에 안전벨트 반대 방향 장착 상태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벨트용 보조 인형에서 각도조절부가 분리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벨트용 보조 인형에서 각도조절부가 조립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벨트용 보조 인형에서 교체커버가 분리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벨트용 보조 인형을 설명하도록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벨트용 보조 인형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벨트용 보조 인형의 결합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벨트용 보조 인형에 안전벨트 장착 상태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벨트용 보조 인형에 안전벨트 반대 방향 장착 상태 정면도이며, 도 5는 도 3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벨트용 보조 인형(100)은, 인형본체(10) 및 장착부(20)를 포함한다.
인형본체(10)는 사용자가 껴안을 수 있는 구성이다, 인형본체(10)는 정확하게 반으로 분리되어 제작되고, 재봉을 통해 분리된 2개 부위를 상호 결합하여 하나의 본체로 구성할 수 있다.
인형본체(10)는 외형을 형성하는 외피(12)와, 외피(12)의 내부에 충전되는 충전재(14)를 포함한다. 인형본체(10)는 강아지인형, 고양이인형, 사자인형, 토끼인형, 곰인형, 원숭이인형 등의 동물인형 또는 캐릭터인형을 형상화하여 사용자 특히, 어린이 또는 유아가 껴안고 목을 지지할 수 있게 구성할 수 있다. 인형본체(10)는 동물을 형상화하는 경우, 어린이, 유아에게 친근감을 줄 수 있고, 목부위는 베개용으로 사용 가능하며, 외피(12)를 원색 컬러를 사용하므로 시각적 자극을 통해 창의력을 길러줄 수 있으며, 부드럽고 푹신한 촉감을 제공하므로 어린이, 유아에게 거부감을 줄일 수 있다.
인형본체(10)는 상측부위에 머리부(17)와, 하측부위에 다수 개의 다리부(18)를 구비한다. 다리부(14)는 하측으로 길게 돌출되지 않고 굴곡지게 형성하여 동물의 다리를 귀엽게 형상화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피(12)는 쉽게 파손되지 않는 견고하면서 부드러운 천으로 이루어진다. 물론, 외피(12)는 천 이외에 합성수지 패드와 같이 다양한 다른 소재를 이용할 수도 있다. 충전재(14)는 솜, 스펀지, 메모리폼, 톱밥 등과 같이 푹신하고 복원력이 우수한 소재를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 인형(100)은 차량 내에서 안전벨트용으로 사용하다가 차량 내에서 쿠션용 및 장식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 인형(100)은 안전벨트를 분리시켜 집에서 유희용 봉제완구로 사용할 수 있다.
인형본체(10)에는 사용자의 목부위를 감싸면서 지지하도록 굴곡지지부(16)가 형성된다. 굴곡지지부(16)는 동물인형 또는 캐릭터인형의 얼굴부위, 목부위, 등부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형상화하여 형성된다. 굴곡지지부(16)는 어린이 또는 유아 등의 사용자가 인형본체(10)를 껴안을 때, 사용자가 기대면서 목을 지지할 수 있는 받침부 역할을 수행한다. 굴곡지지부(16)에는 사용자의 목부위에 접촉되는 탈착패드(20)가 구비된다. 탈착패드(22)는 사용자의 목이 닿으면서 땀이나 이물질이 접촉되면서 더러워지므로 이를 분리하여 세탁하여야 한다. 따라서, 탈착패드(20)는 외피(12)에서 결합부재(22)에 의해 탈부착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탈착패드(20)는 사용자가 기댐에 따라 천 또는 쿠션재질의 패드일 수 있다. 결합부재(22)는 벨크로테이프, 단추, 후크, 지퍼, 스냅단추 중에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한다. 결합부재(22)는 사용자의 신체가 접촉되지 않도록 인형본체(10)의 상면 또는 전면에 구비될 수 있다. 탈착패드(20)는 사용자의 목부위를 견고하게 받쳐주는 보강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장착부(30)는 인형본체(10)의 수평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구멍이다, 장착부(30)는 인형본체(10)의 중심부위에 형성된다. 장착부(30)는 한 쌍의 내피(42)에 의해 충전재(14)와 분리된다. 내피(42)의 상하측 가장자리는 상호 양단부가 재봉되고, 내피(42)의 좌우측 가장자리는 외피(12)와 재봉된다. 이와 같이, 장착부(30)는 내피(42)에 의해 충전재(14)와 분리됨에 따라 안정적으로 안전벨트의 상, 하측 웨빙(2,4)이 이동하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장착부(30)는 인형본체(10)에 관통되고, 설치플레이트(6)가 버클(8)에 결속되도록 안전벨트의 상, 하측 웨빙(2,4)이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동가능하게 형성된다. 장착부(3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피(42)에 의해 충전재(14)와 분리된다. 내피(42)는 외피(12)에 비해 더 얇은 천으로 형성될 수 있다.
장착부(30)는, 인형본체(10)에 구비되고 설치플레이트(6)의 진입측에 형성되는 확장부(32)와, 확장부(32)보다 작은 너비로 형성되고, 확장부(32)의 반대측에 형성되는 협소부(36)와, 확장부(32)와 협소부(36) 사이에 형성되고, 상, 하측 웨빙(2,4)을 수용하는 수용부(34)를 포함한다. 확장부(32)는 인형본체(10)의 엉덩이부위에서 등부위까지 연결되는 상하 너비가 큰 구멍이다. 확장부(32)는 인형본체(10)에서 다른 다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확장부(32)에는 3점 안전벨트의 상, 하측 웨빙(2,4)이 수용부(34)를 통과하여 협소부(36)를 거쳐 인출된 설치플레이트(6)가 좌석의 반대측에 배치된 버클(8)에 결합되면서 상측 웨빙(2)과 하측 웨빙(4)이 넓게 이격된 상태에서 지지되게 해준다. 협소부(36)는 인형본체(10)의 앞 다리부(18) 상측 부위에 형성되는 구성으로서, 상하 너비가 좁은 구멍으로서, 상, 하측 웨빙(2,4)의 너비보다 약간 더 크게 형성된다. 수용부(34)은 상, 하측 웨빙(2,4)의 대부분이 장착부(30)에 수용되게 해준다.
한편, 장착부(30)의 상측 설치각도(α)는 수평을 기준으로 안전벨트의 상측 웨빙(2)의 설치각도(β)에 비해 작거나 같게 형성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면에서는 장착부(30)의 상측 설치각도(α)가 상측 웨빙(2)의 설치각도(β)에 비해 작은 상태로 도시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이때, 어린이, 유아 등 신체가 작은 사용자에게 적용하는 경우, 장착부(30)의 상측 설치각도(α)가 상측 웨빙(2)의 설치각도(β)에 비해 작게 형성됨으로써, 상측 웨빙(2)이 어린이, 유아, 작은 청소년의 목부위를 감지 않게 해주어 안전한 사용을 보장할 수 있다.
장착부(30)의 상측 설치각도(α)는 확장부(32)의 상단과 협소부(36)의 상단을 상호 연결하는 경사선부(38)와 수평선 사이의 각도이다. 장착부(30)의 상측 설치각도(α)가 안전벨트의 상측 웨빙(2)의 설치각도(β)에 비해 작게 형성됨에 따라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 웨빙(2)이 전 구간에 걸쳐 직선으로 연결되지 않고, 급격한 경사각도를 이루다가 장착부(30)에 삽입되면서 경사선부(38)에 대응되어 완만한 경사각도를 이루면서 설치플레이트(6)가 버클(8)에 결합된다. 따라서, 상측 웨빙(2)이 어린이, 유아 등의 목부위를 감싸지 않고 어깨부위로 급경사로 내려오다가 완만한 경사로 가슴, 배부위를 지나므로 안정적인 지지 역할을 가능하게 해준다.
장착부(30)의 내측에는 상,하측 웨빙(2,4)에서 전달되는 하중을 분산 지지하는 매립판(40)이 구비된다. 매립판(40)은 장착부(30)의 형상에 대응되는 구성이다. 메립판(40)은 플렉시블하면서 하드한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진다. 물론, 매립판(40)의 재질은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다. 매립판(40)은 안전벨트의 상, 하측 웨빙(2,4)이 장착부(30)의 수용부(34)에 수용된 상태에서 차량 충돌로 인해 사용자의 신체가 상, 하측 웨빙(2,4)에 지지되면서 가해지는 하중이 매립판(40)에서 넓게 분산되면서 충전재(14), 외피(12)를 거쳐 사용자의 신체에 접촉되므로 사용자의 신체는 안정적으로 보호될 수 있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벨트용 보조 인형에서 각도조절부가 분리된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벨트용 보조 인형에서 각도조절부가 조립된 사시도이며, 도 8은 도 7의 B-B선 단면도이다.
장착부(30)에는 사용자의 신체 체형에 맞춰 상측 웨빙(2)의 설치각도를 상하방향으로 다단으로 조절하는 각도조절부(50)가 구비될 수 있다. 각도조절부(50)는 지지부재(52)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관통되는 다수개 구멍의 상하 경사각도를 각각 다르게 형성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각도조절부(50)는, 상측 웨빙(2)이 삽입되도록 지지부재(52)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관통 형성되고, 사용자의 작은 체형에 대응되는 제1삽입공(54)과, 제1삽입공(64)에 인접하여 지지부재(52)에 관통 형성되고, 사용자의 중간 체형에 대응되는 제2삽입공(56)과, 제2삽입공(56)에 인접하여 지지부재(52)에 관통 형성되고, 사용자의 큰 체형에 대응되는 제3삽입공(58)을 포함한다. 이때, 지지부재(50)에 마련되는 삽입공의 개수는 제한되지 않는다.
각도조절부(50)는 장착부(30)의 내측에서 부착부재(60)에 의해 분리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부착부재(60)는 벨크로테이프, 단추, 후크, 지퍼, 스냅단추 중에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할 수 있다. 부착부재(60)는 사용자의 신체 접촉방향의 반대측에 구비되는 것이 신체에 이물감을 주지 않을 수 있다. 물론, 부착부재(60)는 인형본체(10)에 충전되는 충전재(14)의 수용량에 따라 어느 위치에 구비되어도 무방할 수 있다.
도 9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벨트용 보조 인형에서 교체커버가 분리된 사시도이다.
인형본체(10)의 외측에는 교체커버(70)가 탈착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교체커버(70)는, 확장부(32)에 대응하는 보조확장부(72)와, 협소부(36)에 대응하는 보조협소부(76)를 포함한다. 교체커버(70)는 인형본체(10)의 외형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인형본체(10)를 수용할 수 있는 내부 공간을 갖는다. 교체커버(70)는 인형본체(10)의 외피(12)와 다른 형상을 갖는 동물 및 캐릭터가 도안되게 함으로써 어린이, 유아등의 사용자에게 새로운 신선함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교체커버(70)는 사용자에게 또 다른 보조 인형(100)을 구입하여 사용하게 하는 효과를 제공하므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교체커버(70)를 일정기간 사용하다가 인형본체(10)에서 분리하여 세탁하므로 인형본체(10)가 더러워지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교체커버(70)에는 내부를 개방하거나 닫을 수 있는 마감부재(78)가 구비될 수 있다. 마감부재(78)는 지퍼, 벨크로테이프, 단추, 후크, 스냅단추 중에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할 수 있다. 도 9에서는 지퍼를 마감부재(78)로 이용하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마감부재(78)는 외부에서 잘 보이지 않는 교체커버(10)의 하측 즉, 동물의 다리부위 저면에 형성할 수 있다. 물론, 마감부재(78)는 교체커버(70)의 다양한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벨트용 보조 인형(100)은, 인형본체(10)에서 좌우로 관통 형성된 장착부(30)에 안전벨트의 상, 하측 웨빙(2,4)을 삽입하여 결속하고 차량 충돌에 의한 하중을 인형본체(10) 내부의 충전재(14)를 통해 완충하므로 어린이의 신체를 안정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장착부(30)의 내피(42) 양측에 매립판(40)을 설치하므로 너비가 좁은 웨빙(2,4)의 하중이 인형본체(10)로 전달되기 이전에 매립판(40)에서 먼저 분산되므로 완충효과를 배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인형본체(10)의 굴곡지지부(16)를 형성시켜 어린이 또는 유아 등의 사용자 목부위를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장착부(30)의 상측 설치각도를 3점 안전벨트의 상측 웨빙(2)의 설치각도보다 낮게 경사지게 형성하므로 안전벨트의 상측 웨빙(2)의 장착위치를 사용자의 체형에 맞추어 안전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장착부(30)의 내부에 설치각도가 각각 다른 다수개의 삽입공을 갖는 각도조절부(50)를 구비하여 어린이, 유아의 신체 크기 또는 나이에 맞춰 안전벨트의 상측 웨빙(20)의 설치각도를 용이하게 선택하여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인형본체(10)의 외측에 교체커버(70)를 탈착가능하게 구비하여 다른 디자인을 대체하므로 사용자에게 신선함을 제공할 수 있고, 교체커버(70)를 인형본체(10)에서 분리하여 세탁하므로 인형본체(10)가 더러워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인형본체 12 : 외피
14 : 충전재 16 : 굴곡지지부
17 : 머리부 18 : 다리부
20 : 탈착패드 22 : 결합부재
30 : 장착부 32 : 확장부
34 : 수용부 36 : 협소부
38 : 경사선부 40 : 매립판
42 : 내피 50 : 각도조절부
52 : 지지부재 54 : 제1삽입공
56 : 제2삽입공 58 : 제3삽입공
60 : 부착부재 70 : 교체커버
72 : 보조확장부 76 : 보조협소부
78 : 마감부재 100 : 보조 인형

Claims (11)

  1. 사용자가 껴안을 수 있는 인형본체; 및
    상기 인형본체에 관통되고, 설치플레이트가 버클에 결속되도록 안전벨트의 상, 하측 웨빙이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동가능하게 형성되는 장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장착부의 상측 설치각도는 수평기준으로 상기 상측 웨빙의 설치각도에 비해 작거나 같게 형성되며,
    상기 장착부에는 사용자의 신체 체형에 맞춰 상기 상측 웨빙의 설치각도를 상하방향으로 다단으로 조절하는 각도조절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용 보조 인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형본체는 외형을 형성하는 외피; 및 상기 외피의 내부에 충전되는 충전재를 포함하고,
    상기 인형본체에는 사용자의 목부위를 감싸면서 지지하도록 굴곡지지부가 형성되며,
    상기 굴곡지지부는 동물인형 또는 캐릭터인형의 얼굴부위, 목부위, 등부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형상화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용 보조 인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굴곡지지부에는 사용자의 목부위에 접촉되는 탈착패드가 구비되고,
    상기 탈착패드는 상기 외피에서 결합부재에 의해 탈부착 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용 보조 인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는 벨크로테이프, 단추, 후크, 지퍼, 스냅단추 중에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고,
    상기 결합부재는 사용자의 신체가 접촉되지 않도록 상기 인형본체의 상면 또는 전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용 보조 인형.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상기 인형본체의 수평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구멍이고,
    상기 장착부는 상기 인형본체의 중심부위에 형성되며,
    상기 장착부는 한 쌍의 내피에 의해 상기 충전재와 분리되고,
    상기 내피의 상하측 가장자리는 상호 양단부가 재봉되고,
    상기 내피의 좌우측 가장자리는 상기 외피와 재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용 보조 인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상기 인형본체에 구비되고 상기 설치플레이트의 진입측에 형성되는 확장부;
    상기 확장부보다 작은 너비로 형성되고, 상기 확장부의 반대측에 형성되는 협소부; 및
    상기 확장부와 상기 협소부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상, 하측 웨빙을 수용하는 수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용 보조 인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의 상측 설치각도는 상기 확장부의 상단과 상기 협소부의 상단을 상호 연결하는 경사선부와 수평선 사이의 각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용 보조 인형.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의 내측에는 상기 상, 하측 웨빙에서 전달되는 하중을 분산 지지하는 매립판이 구비되고,
    상기 매립판은 상기 장착부의 형상에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용 보조 인형.
  9. 삭제
  10.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조절부는,
    상기 상측 웨빙이 삽입되도록 지지부재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관통 형성되고, 사용자의 작은 체형에 대응되는 제1삽입공;
    상기 제1삽입공에 인접하여 상기 지지부재에 관통 형성되고, 사용자의 중간 체형에 대응되는 제2삽입공; 및
    상기 제2삽입공에 인접하여 상기 지지부재에 관통 형성되고, 사용자의 큰 체형에 대응되는 제3삽입공을 포함하고,
    상기 각도조절부는 장착부의 내측에서 부착부재에 의해 분리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용 보조 인형.
  11.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인형본체의 외측에는 교체커버가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교체커버는, 상기 확장부에 대응하는 보조확장부; 및 상기 협소부에 대응하는 보조협소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용 보조 인형.
KR2020140002191U 2014-03-19 2014-03-19 안전벨트용 보조 인형 KR20047764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2191U KR200477648Y1 (ko) 2014-03-19 2014-03-19 안전벨트용 보조 인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2191U KR200477648Y1 (ko) 2014-03-19 2014-03-19 안전벨트용 보조 인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7648Y1 true KR200477648Y1 (ko) 2015-07-09

Family

ID=537950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2191U KR200477648Y1 (ko) 2014-03-19 2014-03-19 안전벨트용 보조 인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7648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64163A (ja) * 1999-03-19 2000-09-26 Hiroshi Mori 自動車シートベルト用アタッチメント
JP2002283951A (ja) * 2001-03-26 2002-10-03 Fumihiro Kimata チャイルドサポートパットとベルトカバー
KR200303382Y1 (ko) * 2002-10-29 2003-02-06 이진영 어린이용 안전띠 고정구
KR20100008498U (ko) * 2009-02-18 2010-08-26 김현희 어린이용 가이드 패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64163A (ja) * 1999-03-19 2000-09-26 Hiroshi Mori 自動車シートベルト用アタッチメント
JP2002283951A (ja) * 2001-03-26 2002-10-03 Fumihiro Kimata チャイルドサポートパットとベルトカバー
KR200303382Y1 (ko) * 2002-10-29 2003-02-06 이진영 어린이용 안전띠 고정구
KR20100008498U (ko) * 2009-02-18 2010-08-26 김현희 어린이용 가이드 패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34513A (en) Infant head protector
CA1226510A (en) Head support
US3563600A (en) Infant safety car seat
EP0347505B1 (en) Child's safety restraining vest
US20080196141A1 (en) Car seat slip sleep and outer wear
JP2016530164A (ja) 6点拘束方式の改善された補助拘束システム
KR20140071204A (ko) 유아용 침대
US10905255B1 (en) Adjustable voluminous padded chair
KR20150026837A (ko) 가드 부재 및 유모차
KR200474275Y1 (ko) 영유아용 다용도시트
US9364369B2 (en) Head and neck support apparatus
KR200477648Y1 (ko) 안전벨트용 보조 인형
US4892357A (en) Child's portable auxiliary seat cushion with upper body support ridge
KR101356717B1 (ko) 시트벨트 결합형 안전 인형
JP2003010010A (ja) 対面・前向きだっこ兼用ベビーキャリア
JP3725610B2 (ja) ウエストバッグ兼用ベビーホルダー
KR101957500B1 (ko) 차량용 수면 보조 쿠션
KR20200076122A (ko) 차량용 어린이 보호대
KR101581109B1 (ko) 유아용 캐리어의 힙 시트
JP2002087121A (ja) チャイルドシート
KR20120049463A (ko) 안전벨트 연결사용이 가능한 차량용 유아시트
CN220973983U (zh) 安全带保护装置和儿童安全座椅
CN218839255U (zh) 一种儿童安全坐垫
JP2000238563A (ja) シートベルト装着可能なチャイルドシートとチャイルド用保護服
JP7440249B2 (ja) 乳幼児用座席装置用インナーシ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