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3382Y1 - 어린이용 안전띠 고정구 - Google Patents

어린이용 안전띠 고정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3382Y1
KR200303382Y1 KR20-2002-0032221U KR20020032221U KR200303382Y1 KR 200303382 Y1 KR200303382 Y1 KR 200303382Y1 KR 20020032221 U KR20020032221 U KR 20020032221U KR 200303382 Y1 KR200303382 Y1 KR 20030338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belt
assembly hole
child
fastener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222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진영
Original Assignee
이진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진영 filed Critical 이진영
Priority to KR20-2002-003222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338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338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3382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or animals
    • B60R22/105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or animals for childr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2Construction of belts or harnesses
    • B60R22/14Construction of belts or harnesses incorporating enlarged restraint areas, e.g. vests, nets, crash pads, optionally for childr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어린이용 안전띠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차량에 장착되어 있는 일반적인 안전띠는 성인들의 몸체에 맞추어 설치되어 있는 통상의 안전띠를 몸체가 작은 어린이들에게도 간편하고 안전하게 착용시킬 수 있으면서 매우 안전한 어린이용 안전띠 고정구를 제공하는 것이며, 그 구성은 소정크기와 형상을 갖고, 쿠션 및 유연성이 있는 판상으로써 일측단부 측에 상단부가 넓고 하단부가 좁은 장공형태로 관통형성되는 제 1조립공과, 타단부 측에 상단부가 넓고 하단부가 좁은 장공형태로써 상기 제 1띠 조립공보다 작게 관통형성되는 제 2조립공을 구비하고; 안전띠를 상기 제 1조립공과 제 2조립공을 순차적으로 통과시킨 후 체결시킴으로써 안전띠가 어린이의 목부위로 올라오지 않고 가슴부위에 고정되어 착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어린이용 안전띠 고정구{A children's device for fixing against safety belt}
본 고안은 어린이용 안전띠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에 장착되어 있는 일반적인 안전띠는 성인들의 몸체에 맞추어 설치되어 있는 통상의 안전띠를 몸체가 작은 어린이들에게도 간편하고 안전하게 착용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갖도록 한 어린이용 안전띠 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 설치되어 있는 안전띠는 몸집이 큰 성인이 착용하기에 알맞도록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어린이가 차량의 좌석에 앉을 때에는 상측 안전띠가 어린이의 목 또는 얼굴부위에 위치되게 되어 급정거나 추돌사고시 안전띠가 목부위를 조이게되어 도리어 치명상을 입게되며, 이러한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편법으로 상측 안전띠를 겨드랑이 아래로 끼워 착용시키기도 하지만 이 경우 허리부위는 좌석에 고정될 수 있으나 가슴부위가 고정되지 못하기 때문에 급정거나 추돌시 상체가 앞으로 접혀지며 차체에 머리가 부딪치거나 좌석으로부터 떨어질 수 있어 사실상 안전띠를 착용하지 않은 것과 마찬가지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고려하여 안출한 것으로써, 그 목적은 차량에 장착되어 있는 일반적인 안전띠는 성인들의 몸체에 맞추어 설치되어 있는 통상의 안전띠를 몸체가 작은 어린이들에게도 간편하고 안전하게 착용시킬 수 있으면서 매우 안전한 어린이용 안전띠 고정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본 고안의 목적은 소정크기와 형상을 갖고, 쿠션 및 유연성이 있는 판상으로써 일측단부 측에 상단부가 넓고 하단부가 좁은 장공형태로 관통형성되는 제 1조립공과, 타단부 측에 상단부가 넓고 하단부가 좁은 장공형태로써 상기 제 1띠 조립공보다 작게 관통형성되는 제 2조립공을 구비하고; 안전띠를 상기 제 1조립공과 제 2조립공을 순차적으로 통과시킨 후 체결시킴으로써 안전띠가 어린이의 목부위로 올라오지 않고 가슴부위에 고정되어 착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이용 안전띠 고정구에 의해 달성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안전띠 고정구를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안전띠 고정구에 선택적으로 포함되는 다용도 주머니를 도시한 정면도 및 측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안전띠 고정구를 단면하여 도시한 횡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안전띠 고정구를 다용도 주머니가 제거된 상태로 안전띠에 조립시켜 어린이에게 안전띠를 착용시킨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안전띠 고정구를 다용도 주머니가 부착된 상태로 안전띠에 조립시켜 어린이에게 안전띠를 착용시킨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안전띠 고정구 11: 제 1조립공
12: 제 2조립공 13,16: 벨크로테입
14, 15: 테입고정구 17: 다용도 주머니
20: 안전띠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어린이용 안전띠 고정구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안전띠 고정구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안전띠 고정구에 선택적으로 포함되는 다용도 주머니를 도시한 정면도 및 측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안전띠 고정구를 단면하여 도시한 횡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안전띠 고정구를 다용도 주머니가 제거된 상태로 안전띠에 조립시켜 어린이에게 안전띠를 착용시킨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안전띠 고정구를 다용도 주머니가 부착된 상태로 안전띠에 조립시켜 어린이에게 안전띠를 착용시킨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어린이용 안전띠 고정구(10)는 소정크기와 형상을 갖고, 쿠션 및 유연성이 있는 판상으로 제작되는데 내부에는 약간의 유연성이 있는 합성수지판(10b)과 쿠션을 갖는 합성수지판(10a)이 적층되어 내장되고 외부는 감촉이 좋은 직물지를 부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 1 및 제 2조립공(11)(12)을 구비한다.
상기 제 1조립공(11)은 고정구(10)의 일측단부 측에 상단부가 넓고 하단부가 좁은 장공형태로 관통형성되고, 상기 제 2조립공(12)은 상기 고정구(10)의 타단부 측에 상단부가 넓고 하단부가 좁은 장공형태로써 상기 제 1조립공(11) 보다 작게 관통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따른 안전띠 고정구(10)는 어린이를 차량의 좌석에 앉힌 후 안전띠(20)를 상기 제 1조립공(11)을 통과시킨 후 재차 제 2조립공(12)을 통과시켜 체결구에 체결하는 방법으로 어린이에게 안전띠(20)를 착용시키면 첨부도면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은 착용상태가 유지됨으로 몸집이 작은 어린이도 간편하고 안전하게 차량용 안전띠(20)를 착용할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어린이용 안전띠 고정구(10)는 밸크로테입(13)과 테입고정구(14)를 추가적으로 포함한다.
상기 밸크로테입(13)은 소정폭과 길이를 갖고 상기 제 1조립공(11)의 일측 연부 중간부에 일단부가 고정되고, 상기 테입고정구(14)는 상기 제 1조립공(11)의 대향되는 타측 연부 중간부에 고정되어 상기 벨크로테입(13)의 자유단을 착탈가능하게 고정한다.
상기와 같은 제 1조립공(11)의 연부에 각기 고정부착된 벨크로테입(13)과 테입고정구(14)는 안전띠(20)를 상기 제 1조립공(11)에 통과시킨 후 상측 안전띠와하측 안전띠 사이로 상기 벨크로테입(13)을 끼워 넣은 후 상기 벨크로테입(13)의 자유단을 상기 테입고정구(15)에 고정되게 부착시킴으로써 상측 및 하측의 안전띠가 상기 제 1조립공(11)내에서 상하로 넓게 분포되도록 함으로써 충격발생시 충격을 분산시킴으로써 어린이에게 전해지는 충격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어린이용 안전띠 고정구(10)는 테입고정구(15)와 다용도 주머니(17)를 추가적으로 포함한다.
상기 테입고정구(15)는 상기 안전띠 고정구(10)의 일면부 상단측에 고정부착되고, 상기 다용도 주머니(17)는 상단부가 개방된 주머니 형태로써 후면 상단부를 따라 고정부착되어 상기 테입고정구(15)와 착탈가능하게 부착되는 벨크로테입(16)을 갖고 상기 고정구(10)상에 착탈가능하게 부착된다.
상기와 같이 테입고정구(15)와 다용도 주머니(17)를 구비한 본 고안에 따른 어린이용 안전띠 고정구(10)는 다용도 주머니(17)내에 휴지나 수건 또는 각종 놀이기구 또는 필요한 휴대물을 수납하여 줌으로써 어린이가 차내에서 필요한 물품을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것이며, 이러한 다용도 주머니(17)는 놀이기구로 대체하여 장거리 여행중 어린이가 지루하지 않게 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상으로 설명한 본 고안에 의하면, 차량에 장착되어 있는 일반적인 안전띠는 성인들의 몸체에 맞추어 설치되어 있는 통상의 안전띠를 몸체가 작은 어린이들에게도 간편하고 안전하게 착용시킬 수 있으면서 어린이를 보호할 수 있는 매우 안전한 효과를 갖는다.

Claims (3)

  1. 소정크기와 형상을 갖고, 쿠션 및 유연성이 있는 판상으로써 일측단부 측에 상단부가 넓고 하단부가 좁은 장공형태로 관통형성되는 제 1조립공(11)과, 타단부 측에 상단부가 넓고 하단부가 좁은 장공형태로써 상기 제 1조립공(11) 보다 작게 관통형성되는 제 2조립공(12)을 구비하고; 안전띠(20)를 상기 제 1조립공(11)과 제 2조립공(12)을 순차적으로 통과시킨 후 체결시킴으로써 안전띠(20)가 어린이의 목부위로 올라오지 않고 가슴부위에 고정되어 착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이용 안전띠 고정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띠 고정구(10)는 상기 제 1조립공(11)의 일측 연부 중간부에 일단부가 고정되는 소정폭과 길이를 갖는 벨크로테입(13)과, 상기 제 1조립공(11)의 대향되는 타측 연부 중간부에 고정되어 상기 벨크로테입(13)의 자유단을 착탈가능하게 고정하는 테입고정구(14)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이용 안전띠 고정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띠 고정구(10)는 일면부 상단측에 고정부착되는 테입고정구(15)와, 상단부가 개방된 주머니 형태로써 후면 상단부를 따라 고정부착되어 상기 테입고정구(15)와 착탈가능하게 부착되는 벨크로테입(16)을 갖고 상기 고정구(10)상에 착탈가능하게 부착되는 다용도 주머니(17)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이용 안전띠 고정구.
KR20-2002-0032221U 2002-10-29 2002-10-29 어린이용 안전띠 고정구 KR20030338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2221U KR200303382Y1 (ko) 2002-10-29 2002-10-29 어린이용 안전띠 고정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2221U KR200303382Y1 (ko) 2002-10-29 2002-10-29 어린이용 안전띠 고정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3382Y1 true KR200303382Y1 (ko) 2003-02-06

Family

ID=494003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2221U KR200303382Y1 (ko) 2002-10-29 2002-10-29 어린이용 안전띠 고정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338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7648Y1 (ko) * 2014-03-19 2015-07-09 주식회사 키두 안전벨트용 보조 인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7648Y1 (ko) * 2014-03-19 2015-07-09 주식회사 키두 안전벨트용 보조 인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86158A (en) Padded cushioning device
US20160200288A1 (en) An improved supplemental restraint system with six restraint points
US5178439A (en) Child safety belt sleeve
US20080265653A1 (en) Shoulder Pad for Vehicle Seat
US6554363B1 (en) Traveling pillow
JP3340597B2 (ja) 自動車用子供安全シート
KR200303382Y1 (ko) 어린이용 안전띠 고정구
KR100790437B1 (ko) 다용도 안전조끼
PT1690754E (pt) Dispositivo de fixação a um cinto de segurança de um veículo
US5482324A (en) Supplemental car seat belt for protecting users wtih stomas
KR20010087394A (ko) 시트벨트 보조구
US11040694B1 (en) Portable restraining passenger safety harness
US5141287A (en) Guide for a vehicle shoulder belt
JP3177225B2 (ja) 自動車シートベルト用アタッチメント
AU715321B2 (en) Harness and booster seat
KR200153330Y1 (ko) 어린이용 안전밸트
KR0164713B1 (ko) 암레스트 조합형 시트 벨트의 아동 보호장치
KR200356964Y1 (ko) 가방기능을 겸한 어린이용 안전밸트 보조구
JP2004026156A (ja) チャイルドシート
KR20100008498U (ko) 어린이용 가이드 패드
JPS604841Y2 (ja) シ−トベルト引出孔を備えた車輛用座席
JP3073383U (ja) 車両用幼児防護用品
KR200226561Y1 (ko) 안전밸트에 장착되는 어린이용 안전보조구
JP2000302005A (ja) 子供用補助シートベルト
KR0128703Y1 (ko) 유야용 아암 레스트를 구비한 차량용 시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Ip right invalidated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