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87394A - 시트벨트 보조구 - Google Patents

시트벨트 보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87394A
KR20010087394A KR1020017006036A KR20017006036A KR20010087394A KR 20010087394 A KR20010087394 A KR 20010087394A KR 1020017006036 A KR1020017006036 A KR 1020017006036A KR 20017006036 A KR20017006036 A KR 20017006036A KR 20010087394 A KR20010087394 A KR 200100873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seat belt
seat
abdomen
assisting to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060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데테루 시미즈
Original Assignee
히데테루 시미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데테루 시미즈 filed Critical 히데테루 시미즈
Publication of KR200100873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87394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or anim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or animals
    • B60R22/105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or animals for childr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2Construction of belts or harnesses
    • B60R22/14Construction of belts or harnesses incorporating enlarged restraint areas, e.g. vests, nets, crash pads, optionally for childr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2Construction of belts or harnesses
    • B60R22/16Construction of belts or harnesses using belts which become permanently deformed, i.e. one time u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시트벨트 보조구에 관하고, 콤팩트로 운반이 용이함과 동시에, 기존의 시트벨트와 병용하여 유아등을 안전하게 보호가능한 것을 과제로 한다. 본체 등부의 허리측 부근에서 한쪽 견부를 돌아서 전면의 복부 부근에서 반전되고, 또한 다른편의 견부를 돌아서 상기 등부의 허리측 부근에서 자기와 결합되고, 다시 본체 하부의 고간을 돌아서 전면의 복부 부근으로 전개되는 제 1 벨트부재(1)와 상기 제 1 벨트부재의 복부에 있어서 반전부와 고간을 돌아서 전면의 복부 부근으로 전개되는 단부 부근에 설치된 한쌍의 착탈자유로운 연결부재(5,7)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본체 등부의 양견부 부근으로부터 허리부 부근으로 전개되고, 또한 굽힘방향으로 탄성을 갖는 판상의 탄성부재(20)로서, 그 배면측이 본체 양견부에 전개되는 제 1 벨트부재에 의하여 정면을 향하여 지지되는 것을 다시 구비한다.

Description

시트벨트 보조구{SEAT BELT AUXILIARY DEVICE}
도 33은 종래기술을 설명하는 도면으로 종래의 차일드 시트의 일례를 도시하고 있다. 자동차의 앞좌석에 차일드 시트(51)를 싣고, 그 차일드 시트(51)를 소요(所要)(특정 또는 비치 등)의 시트벨트(41)로 좌석에 고정한다. 이 차일드 시트(51)는 유아등의 고간(股間)에 입설(立設)한 홀(hole)부재(53)와 차일드 시트(51)의 의자등에서 유아등의 양견부로 전개되어 앞부분에 연장되는 2개의 보조벨트(55)를 구비하고 있으며, 사용시에는 유아등을 차일드 시트(51)에 앉히고 또한 보조벨트(55)를 홀부재(53)의 선단부의 버클등에 연결하는 것으로, 유아등을 자동차의 진행방향에 대하여 정면을 향하여 안전하게 구속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차일드 시트(51)는 사이즈가 늘어날뿐 아니라, 좌석에의 고정/떼어냄이 용이하지 않다. 따라서, 마이카등에 상설하는 경우는 좋지만, 다른 사람의 차나 택시등에 탈 경우는 용이하게 사용할 수 없다. 또, 택시등의 영업차에 차일드 시트(51)의 상설을 의무화하는 것에도 운용상의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시트벨트 보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탈것(자동차, 열차, 비행기, 선박 등)에 비치한 시트벨트와 병용하여 유아나 연소자등(이하 유아등으로 칭함)을 사고로부터 안전하게 보호가능한 시트벨트 보조구(차일드 시트 벨트)에 관한 것이다.
금일, 착용의무화 대상으로 되어 있는 자동차용 시트벨트는 교통사고시의 피해를 경감하는데 유효하다. 그러나, 기존의 시트벨트는 일정 이상의 체격을 갖는 어른이 사용하는 경우는 좋지만, 한편 유아등은 체격도 작고 또한 착좌중에도 여러가지로 자세를 바꾸기 때문에, 일단 유사시에는 몸이 시트벨트로부터 이탈해버리는 등 시트벨트가 도움이 되지 않는 경우도 많다.
이점, 종래는 소위 차일드 시트라는 것이 유아등의 피해를 경감하는데 유효로되어 있고, 경찰청에서도 보급을 권장함과 동시에, 이 종류의 시트벨트 보조구(차일드 시트 등)의 착용의무화의 법제화가 화제로 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하는 도면,
도 2는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시트벨트 보조구의 외관도,
도 3은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시트벨트 보조구의 제법을 설명하는 도(1),
도 4는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시트벨트 보조구의 제법을 설명하는 도(2),
도 5는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시트벨트 보조구의 제법을 설명하는 도(3),
도 6은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시트벨트 보조구의 수납방법을 설명하는 도(1),
도 7은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시트벨트 보조구의 수납방법을 설명하는 도(2),
도 8은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시트벨트 보조구의 입각장착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9는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시트벨트 보조구의 사용상태를 사용하는 도(1),
도 10은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시트벨트 보조구의 사용상태를 사용하는 도(2),
도 11은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시트벨트 보조구의 사용상태를 사용하는 도(3),
도 12는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시트벨트 보조구의 사용상태를 사용하는 도(4),
도 13은 제 2 실시형태에 의한 시트벨트 보조구를 설명하는 도면,
도 14는 제 3실시형태에 의한 시트벨트 보조구를 설명하는 도면,
도 15는 제 4 실시형태에 의한 시트벨트 보조구를 설명하는 도면,
도 16은 제 5 실시형태에 의한 시트벨트 보조구의 외관도,
도 17은 제 5 실시형태에 의한 시트벨트 보조구의 제법을 설명하는 도(1),
도 18은 제 5 실시형태에 의한 시트벨트 보조구의 제법을 설명하는 도(2),
도 19는 제 5 실시형태에 의한 시트벨트 보조구의 제법을 설명하는 도(3),
도 20은 제 5 실시형태에 의한 시트벨트 보조구의 제법을 설명하는 도(4),
도 21은 제 5 실시형태에 의한 시트벨트 보조구의 제법을 설명하는 도(5),
도 22는 제 5 실시형태에 의한 시트벨트 보조구의 제법을 설명하는 도(6),
도 23은 제 5 실시형태에 의한 시트벨트 보조구의 제법을 설명하는 도(7),
도 24는 제 5 실시형태에 의한 시트벨트 보조구의 3면도,
도 25는 제 5 실시형태에 있어서 충격완화패드를 설명하는 도면,
도 26은 제 5 실시형태에 있어서 시트벨트 보조구의 사용상태를 설명하는 도(1),
도 27는 제 5 실시형태에 있어서 시트벨트 보조구의 사용상태를 설명하는 도(2),
도 28은 제 6실시형태에 의한 시트벨트 보조구를 설명하는 도면,
도 29는 제 7 실시형태에 의한 시트벨트 보조구를 설명하는 도면,
도 30은 제 8 실시형태에 의한 시트벨트 보조구를 설명하는 도면,
도 31은 제 8 실시형태에 의한 시트벨트 보조구의 작동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32는 제 9 실시형태에 의한 시트벨트 보조구를 설명하는 도면,
도 33은 종래기술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하는 바는 콤팩트로 운반이 용이함과 동시에, 기존의 시트벨트와 병용하여 유아등을 안전하게 보호가능한 시트벨트 보조구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의 과제는 예를 들면 도 1(A)의 구성에 의해서 해결된다. 즉, 본 발명(1)의 시트벨트 보조구는 기존의 시트벨트(41)와 병용하여 사용자의 신체를 보호하기 위한 시트벨트 보조구로서, 본체 등부의 허리측 부근에서 한쪽 견부를 돌아서 전면의 복부 부근에서 반전되고, 또한 다른편의 견부를 돌아서 상기 등부의 허리측 부근에서 자기와 결합되고, 다시 본체 하부의 고간을 돌아서 전면의 복부 부근에 전개되는 제 1 벨트부재(1)와, 상기 제 1 벨트부재(1)의 복부에 있어서 반전부와 고간을 돌아서 전면의 복부 부근에 전개되는 단부 부근에 설치된 한쌍의 착탈자유로운 연결부재(5,7)를 구비하는 것이다.
본 발명(1)에 있어서, 시트벨트 보조구의 골격적 구조가 유연한 제 1 벨트부재(띠형상 소재)(1)와 소형의 연결부재(5,7)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콤팩트하게 접어갬과 동시에 용이하게 운반가능하다. 또, 유아등이 미리 착의하고, 또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구성에 의하여, 어느 종류의 탈것에도 또 어느 좌석에도 기설(旣設)의 시트벨트를 이용(예를 들면 기설의 시트벨트(41)를 등부의 내측으로 통과시키는 등)하여 유아등을 안전하게 보호가능하다. 게다가, 이 경우의 유아등에 대하여 구속감을 부여하는 것은 기설의 시트벨트(41)에서는 없고, 오히려 유아등의 몸에 피트한 시트벨트 보조구이므로, 유아등은 착좌중에도 비교적 자유로이 자세를 변경할 수가 있다. 더욱더, 연결부재(5,7)를 복부의 한군데서 착탈자유로이 연결하는 구성에 의하여, 유아등이 스스로 또는 이웃의 운전자등이 연결부재(5,7)를 용이하게 조작가능함과 동시에 화재등의 긴급시에는 기존 시트벨트(41)의 버클(43,45)을 뗄것까지도 없이 단순히 연결부재(5,7)를 떼는것만으로 유아등을 긴급 피난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 제 1 벨트부재(1)는 바람직하게는 1개의 벨트소재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연결부재(5,7)의 지지부분뿐만 아니라 시트벨트 보조구 전체로서도 충분한 강도가 얻어지고, 또한 그 제조(봉제등)가 용이하다. 또, 상기의 과제는 예를 들면 도 1(B)의 구성에 의하여 해결된다. 즉, 본 발명(2)의 시트벨트 보조구는 기존의 시트벨트(41)와 병용하여 사용자의 신체를 보호하기 위한 시트벨트 보조구로서, 본체 앞측의 한쪽 옆구리부로부터 본체 하부의 고간, 등부 및 임의의 한쪽 견부를 돌아서 전면의 복부 부근에서 반전되고, 또한 다른편의 견부, 등부 및 고간을 돌아서 다른편의 옆구리부에 전개되는 제 1 벨트부재(1)와, 본체 등부의 허리측 부근에서 상기 제 1 벨트부재(1)에 결합되고 또한 좌우로 돌아서 복부측에 전개됨과 동시에, 그 도중에서 상기 제 1 벨트부재의 양옆구리부에 있어서 각 단부와 결합하는 제 2 벨트부재(34)와, 상기 제 1 벨트부재(1)의 복부에 있어서 반전부와 상기 제 2 벨트부재(34)의 중간부에 설치된 한쌍의 착탈자유로운 연결부재(5,7)를 구비하는 것이다.
본 발명(2)에 의하면, 본체 고간부에 전개되는 2개의 벨트부재(1d,1e)는 제 2 벨트부재(34)와 각각 양옆구리부로 결합되기 때문에, 시트벨트 보조구 착용시 사용자는 그 고간이 벨트부재(1d,1e)에 의하여 직접적으로 구속되지 않는다. 또, 차량등의 충돌시에는 벨트부재(1d,1e)가 함께 외측(양옆구리부의 방향)으로 끌리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허리부로부터 전방으로 내던져지는 것과 같은 사용자의 몸은 그 벨트부재(1d,1e)에 의하여 그 양둔부(양각부(脚部)) 부근이 밸런스 좋게 지지(구속)되는 관계로 되고, 사용자뿐 아니라 벨트부재(1d,1e)로서도 사용자의 체중(가속도)을 지지하는 부담이 대폭으로 경감된다. 또, 사용자의 고간도 보호된다.
더욱이, 도 1(B)는 시트벨트 보조구의 좌(도면을 향하여 우)옆구리부로부터 우견부를 돌아서 전면의 복부 부근에서 반전되고, 또한 좌견부를 돌아서 우옆구리부로 전개되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시트벨트 보조구의 좌(도면을 향하여 우)옆구리부로부터 동 좌견부를 돌아서 전면의 복부 부근에서 반전되고, 또한 우견부를 돌아서 동 우옆구리부로 전개되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또, 상기의 과제는 예를 들면 도 1(C) 또는 (D)의 구성에 의하여 해결된다.즉, 본 발명(3)의 시트벨트 보조구는 기존의 시트벨트(41)와 병용하여 사용자의 신체를 보호하기 위한 시트벨트 보조구로서, 본체 등측의 한쪽 각부 부근에서 임의 의 한쪽 견부를 돌아서 전면의 복부 부근에서 반전되고, 또한 다른편의 견부를 돌아서 다른편의 각부 부근으로 전개되는 제 1 벨트부재(1)와, 상기 제 1 벨트부재(1)의 양각부 부근에 각각 주설(周設)된 제 3, 제 4 벨트부재(46a,46b)와, 상기 제 3, 제 4 벨트부재(46a,46b) 사이에 놓여지고, 그 중간부를 본체 전면의 복부 부근에 전개가능한 제 5 벨트부재(48)와, 상기 제 1 벨트부재(1)의 복부에 있어서 반전부와 상기 제 5 벨트부재(48)의 중간부에 설치된 한쌍의 착탈자유로운 연결부재(5,7)를 구비하는 것이다.
본 발명(3)에 의하면, 제 3, 제 4 벨트부재(46a,46b)에 의하여 양각부(대퇴부)를 각각에 구속하는 구성에 의하여, 차량등의 충돌시에 전방으로 내던져지려고 하는 사용자의 몸을 양각부에서 밸런스 좋게 안전하게 구속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4)에 있어서는, 상기 본 발명(1) 또는 (3)에 있어서 본체 등부의 허리측 부근에서 제 1 벨트부재로 결합되고, 또한 좌우로 돌아서 복부측에 전개되는 제 2 벨트부재(34)를 다시 구비한다.
따라서, 사용자의 몸을 보다 안전(다면적)하게 보호할 수 있음과 동시에 사용자의 몸이 시트벨트 보조구의 본체로부터 수평측으로 튀어나오는 것과 같은 사태를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5)에 있어서는, 상기 본 발명(1) 내지 (4)에 있어서 제 1 벨트부재(1)가 복수의 벨트부재의 결합으로 이루어져 있다.
복수의 벨트부재를 그 길이방향의 어디서나 결합(봉제, 리벳 고정 등)하더라도 상기 제 1 벨트부재(1)의 골격적 구조를 튼튼하게 구성할 수 있다.
또,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6)에 있어서는, 상기 본 발명(2) 또는 (4)에 있어서 제 2 벨트부재(34)의 적어도 일부가 그 길이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접어 개어져, 그 접어개기부의 상대하는 면이 그 길이방향으로 가해지는 장력에 의하여 서로 잡아떼어지도록 결합되어 있다.
예를 들면 도 1(A)에서는 제 2 벨트부재(34)의 근원 부근의 좌우대칭인 2군데에 본 발명(6)의 구성을 이루는 것과 같은 퓨즈벨트부(34A,34B)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차량등의 충돌시에는 사용자의 몸은 급격하게 전방으로 내던져지지만, 이때 제 2 벨트부재(34)에 가해지는 부하에 의하여 퓨즈벨트부(34A,34B)가 벗겨짐(예를 들면 각 단의 봉제사가 차례로 끊긴다)으로서 사용자에 가해지는 급격한 가속도를 단계적으로 완화(흡수)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이로써 제 2 벨트부재(34)의 전장(全長)이 어느정도 늘어나더라도 사용자의 몸은 아직 차량 전면의 대시보드등에는 닿지 않는 정도의 범위내에서 안전하게 보호(구속)된다.
또,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7)에 있어서는, 상기 본 발명(1) 내지 (6)에 있어서 제 1 벨트부재(1)의 적어도 일부가 그 길이방향을 대략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접어개어지고, 그 접어개기부의 상대하는 면이 그 길이방향으로 가해지는 장력에 의하여 서로 잡아떼어지도록 결합되어 있다.
예를 들면 도 1(A)에서는 제 1 벨트부재(1C) 위의 근원 부근의 한군데에 본발명(7)의 구성을 이루는 것과 같은 퓨즈벨트부(1A)가 설치되어 있다. 차량등의 충돌시에는 제 1 벨트부재(1C)에 가해지는 부하에 의하여 이 퓨즈벨트부(1A)가 벗겨짐(예를 들면 각 단의 봉제사가 차례로 끊긴다)으로서, 사용자에 가해지는 급격한 가속도를 단계적으로 완화(흡수)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이로써 제 1 벨트부재(1C)의 부분이 어느정도 늘어나더라도 사용자의 몸은 아직 차량 전면의 대시보드등에는 닿지 않는 정도의 범위내에서 안전하게 보호(구속)된다.
또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8)에 있어서는, 상기 본 발명(1) 내지 (7)에 있어서 본체 등부의 양견부 부근에서 허리부 부근으로 전개되고, 또한 굽힘방향으로 탄성을 갖는 판상의 탄성부재(20)로서, 그 배면측이 본체 양견부에 전개되는 제 1 벨트부재(1a,1b)에 의하여 정면을 향하여 지지되는 것을 다시 구비한다.
본 발명(8)에 의하면, 본체 양견부에 전개되는 제 1 벨트부재(1a,1b)와 기존의 시트벨트(41a,41b)가 중간의 판상의 탄성부재(20)를 통하여 서로 교차하는 관계로 되기 때문에, 이 시트벨트 보조구는 항상 안전한 태세(자세)로 좌석의 의자측으로 구속된다. 이로써, 우선 통상시의 사용자(유아등)를 안전한 정면을 향한 자세로 부자유없이 구속할 수 있다. 또, 차량등의 충돌시에는 사용자의 몸이 수평방향으로는 되지 않도록 등측으로 안정하게 구속할 수 있다. 또, 그 경우에는 제 1 벨트부재(1a,1b,1c)의 각 부분에 의하여 정면을 향하여 강하게 잡아당겨진 이 탄성부재(20)가 각각의 방향으로 활과 같이 굽어짐으로서 사용자의 몸에 가해지는 급격한 가속도를 급속히 완화(흡수)할 수 있다.
또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9)에 있어서는, 상기 본 발명(8)에 있어서 탄성부재는 특성이 다른 복수의 판상부재를 포개어 맞춤으로써 이루어진다.
예를 들면 굽힘(가공)에 대하여 강탄성을 갖는 내측의 판상부재를 난연성으로 또한 깨지기 어려운 외측의 판상부재로 샌드위치함으로써, 전체로서 안전하고 또한 강탄성의 탄성 구조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는, 여러 가지 탄성 특성의 판상부재를 포개어 맞춤으로써 전체로서 소망의 탄성 특성을 얻는 것이 가능하다.
또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10)에 있어서는, 상기 본 발명(1) 내지 (9)에 있어서 본체 등부의 견측 부근 및 또는 복부 부근에 기존의 시트벨트(41)를 통하여 그 시트벨트(41)를 본체측에 구속하기 위한 벨트관통구멍부재를 구비한다.
따라서, 이 경우의 시트벨트 보조구는 기존의 시트벨트(41a,41b)에 의하여 항상 일정한 자세로 구속됨으로서 높은 안전성을 유지할 수가 있다.
이하, 첨부 도면에 따라 본 발명에 알맞는 복수의 실시형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더욱이, 전도면을 통하여 동일 부호는 동일 또는 상당 부분을 표시하는 것으로 한다.
도 2는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시트벨트 보조구의 외관도이고, 도 2(A)는 그 정면도, 도 2(B)는 우측면도, 도 2(C)는 배면도이다.
도 2(A)에 있어서, 본체(10)의 전면측이 동부(胴部)(복부 또는 흉부), 또 배면측이 등부에 대응하고, 이들의 중간부에는 사용자(유아등)가 머리를 통과시키기 위한 개구부(11)가 설치되어 있다. 본체(10)의 표면은 통기성 및 난연성의 천(면직물등)으로 덮여 있고, 그 전체가 의복(조끼등)과 같이 봉제되어 있고, 따라서 통상의 의복위에 착용하더라도 위화감이 생기지 않는다. 또, 복부의 하측에는 띠형상 소재(이하, 단순히 벨트라 칭함)(1)의 되접어꺾음부를 이용하여 자형연결부재(버클등)(5)가 고정되어 있고, 한편 배면의 등부로부터 하측으로 연장하여 또한 사용자의 고간을 통하여 복부에 전개되는 벨트(1)의 단부에는 웅형연결부재(7)가 그 벨트(1)의 실효길이를 조절가능하도록 고정되어 있다. 이와 같은 본체부(10)를 머리로부터 뒤집어쓰고, 또한 고간에서 웅형연결부재(7)를 꺼내어 복부의 자형연결부재(5)에 연결하면 시트벨트 보조구의 착용완료이다.
더욱더, 시트벨트 보조구의 사용시에는, 도시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사용자의 등가운데와 본체 등부와의 사이에 기존의 시트벨트(41)를 통하여, 그 선단부의 웅형연결부재(43)를 시트벨트(41)용의 접수구(버클)에 연결하면 좋다.
도 2(B)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본체(10)의 등부 및 복부에는 기존의 시트벨트(41)를 통하여 이 시트벨트 보조구를 좌석측에 구속하기 위한 관통구멍(15,17)이 설치되어 있다. 이 관통구멍(15/17)에 기존의 시트벨트(41)를 통과시키는 것으로 시트벨트 보조구를 항상 일정한 자세로 구속할 수 있다.
도 2(C)에 있어서, 등부의 배면에는 포켓(19)이 설치되어 있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여기에는 자질구레한 도구를 넣어두는 것도, 또 시트벨트 보조구의 비사용휴대시에는 접어갠 본체부(10)를 포켓(19)에 수납하여 두는 것도 가능하다.
도 3 내지 도 5는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시트벨트 보조구의 제법을 설명하는 도 (1) 내지 (3)으로, 도 3은 시트벨트 보조구의 골격적 구조 부분의 제법에 관한 것이다. 도 3(A)에 있어서, 장척의 벨트(기존의 시트벨트 소재와 동등 또는 이에 준한 소재의 것으로 좋다)(1)를 준비한다.
이 벨트(1)의 양단부를 A, B 중간부를 C, D라 한다. 도 3(B)에 있어서, 벨트(1)의 단부(A)를 자기앞쪽으로 만곡시켜 또한 C점에서 되접어 꺾는다. 이 때, 도 3(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벨트(1)의 단부(A)를 자형연결부재(5)의 장치용 개구부(5a)를 통하여 되접어 꺾음으로서, 그 되접어꺾음부(C)에는 자형연결부재(5)를 지지하기 위한 충분한 인장강도가 얻어진다. 또, 이 부분에는 자형연결부재(5)를 장치(고정)하기 위한 봉제등이 필요없으므로 제조가 용이하다. 다만, 봉제하여도 좋다.
도 3(B)로 되돌아가서, 상기 C점에서 되접어 꺾은 단부(A)를 뒤측으로 만곡시켜 D점에서 벨트(1)에 결합(봉제등)한다. 한편, 벨트(1)의 단부(B)를 자기앞측으로 만곡시켜, 도 3(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 단부(B)를 웅형연결부재(7)의 장치용 개구부(7a)에 통(권회)하고, 그 단부(B)측의 실효벨트길이가 조절가능하게되도록 장치한다.
더욱이, 상기 1개의 벨트(1)를 되접어 꺾는 대신에 C점과 A점과의 사이에 단척으로 이루어지는 다른 벨트(3)를 봉제하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이리하여, 본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시트벨트 보조구의 골격적 구조는 완성되고, 이것으로서 일례의 시트벨트 보조구의 완성품으로 하여도 좋다. 다만, 본 제 1 실시형태에서는 다시 후술의 각종 부가적 구조를 구비함으로써, 그 안전성, 신뢰성, 수납성(운반성)등을 향상시키고 있다.
도 4는 상기 도 3(B)의 양단부 C, B를 상하로 펴서 넓혀서 이것을 정면에서 본 경우를 도시하여 있고, 도 4(A)는 그 정면도, 도 4(B)는 우측면도, 도 4(C)는 배면도이다. 도 4(A)에 있어서, 벨트(1)의 변 CD 및 변 CA 상에 연성의 합성고무 또는 스폰지 등으로 이루어지는 충격완화부재(9a 내지 9d)를 고정(접착, 봉제 등)한다. 더욱더, 그 위로부터 미리 본뜬 통기성 및 난연성의 천이나 합성섬유 등으로 이루어지는 커버(13a,13b)를 덮어씌우고, 그 전체를 주머니상으로 봉제한다. 도 4(B)에 있어서, 이 때 기존의 시트벨트(41)를 통하여 이 시트벨트 보조구를 좌석측에 구속하기 위한 관통구멍(벨트관통구멍)(15,17)이 각각 설치된다.
도 4(C)에 있어서, 시트벨트 보조구의 등부에는 포켓(19)이 설치되고, 이리하여 본 실시형태에 의한 시트벨트 보조구를 완성한다.
도 5는 상기 도 4의 시트벨트 보조구를 양견부에서 접어 구부린 상태(즉, 착용전의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으로, 도 5(A)는 그 정면도, 도 5(B)는 우측면도, 5(C)는 배면도이다. 도 5(A)에 있어서, 충격완화부재(9a)는 사용자의 복부에 또 충격완화부재(9b,9c)는 사용자의 양견부 내지 양흉부에, 그리고 충격완화부재(9d)는 사용자의 등부에 각각 위치하여 있고, 사용자의 상반신을 충돌등에 의한 충격(벨트(1)에 의한 압박 등)으로부터 유연하게 보호한다. 도 5(B)에 있어서, 충격완화부재(9a 내지 9d)는 벨트(1)의 내측에 설치되어 있고, 이로써 사용자의 신체가 벨트(1)에 압박되는 충격을 충분히 완화한다. 또, 복부의 충격완화부재(9a)는 연결부재(5,7)의 결합부의 하측까지 연장하고 있고, 이로써 복부가 연결부재(5,7)에 압박되는 충격을 충분히 완화한다. 물론, 충격완화부재(9a 내지 9d)가 다른 물체와의 충돌로부터 신체를 보호하는 것은 말할 것도 없다.
도 6, 도 7은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시트벨트 보조구의 수납방법을 설명하는 도 (1), (2)로, 제조후 또는 사용후의 시트벨트 보조구는 이하와 같이 접어개어진다. 본 제 1 실시형태에 의하면 본체부(10)를 두번 접어개는 것만의 간단한 조작에 의하여, 그 본체부(10)를 포켓(19)에 콤팩트하게 수납할 수 있고, 가방등에 넣어 용이하게 운반한다. 도 6은 상기 도 4(B)의 상태의 시트벨트 보조구를 등부의 부근(충격완화부재(9d)의 하측)에서 접어갠 상태(1회째)를 도시하여 있고, 도 6(A)는 그 정면도, 도 6(B)는 우측면도, 도 6(C)는 배면도이다. 도 6(B)에 있어서, 시트벨트 보조구를 등부 부근에서 접어갤때에, 포켓(19)을 도시하는 바와 같이 뒤집는 것으로 그 포켓(19)은 시트벨트 보조구를 수납하기 위한 역포켓(19')으로 된다. 게다가, 이 시점에서 역포켓(19')에는 사용자의 등측에 전개되는 충격완화부재(9d)와 사용자의 허리(엉덩이)측에 전개되는 부분의 태반이 이미 수용되어 있다.
도 7은 상기 도 6(B)의 상태의 시트벨트 보조구를 다시 흉부(충격완화부재 9b,9c)의 양측단부에서 접어갠 상태(2회째)를 도시하고 있고, 도 7(A)는 그 정면도 도 7(B)는 우측면도, 도 7(C)는 배면도이다. 도 7(B)에 있어서, 시트벨트 보조구를 충격완화부재(9b,9c)의 각 양측단부에서 서로 역방향으로 접어개면서 충격완화부재(9b,9c)의 부분을 역포켓(19')속에 삽입한다. 이에 동반하여 충격완화부재(9a)의 부분도 역포켓(19')속에 수납된다. 더욱더, 필요하면 비어져 나와 있는 벨트(1) 및 자웅접속부재(7,5)를 역포켓(19')속의 간극에 수납하고, 이리하여 시트벨트 보조구는 상기 간단한 조작으로 콤팩트하게 접어개어진다. 이후, 가방등에 수납하고 용이하게 운반이 가능하다.
도 8은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시트벨트 보조구의 입각장착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으로, 도 8(A)는 그 정면도, 도 8(B)는 우측면도, 도 8(C)는 배면도이다. 도 8(A)에 있어서, 본체(10)의 개구부(11)에 사용자의 머리를 통과하여 시트벨트 보조구를 양견에 착용하고, 또한 등측의 벨트(1)를 고간을 통하여 복부측으로 들어올려, 그 복부에서 자웅의 양연결부재(7,5)를 래치시킨다. 도 8(B)에 있어서, 이 때 사용자의 등측에는 관통구멍(15)이, 또 복부측에는 관통구멍(17)이 각각 위치하고 있다. 도 8(C)에 있어서, 사용자의 등측에는 포켓(19)이 배치되어 있고, 여기에 유아용의 자질구레한 도구등을 수용할 수 있다. 또, 시트벨트 보조구를 착용한 채로 자유롭게 보행할 수가 있고, 만일 보행시에 고간의 벨트(1)가 방해가 되는 경우는 웅형연결부재(7)를 벗겨서 포켓(19)에 수납가능하다.
도 9 내지 도 12는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시트벨트 보조구의 사용상태를 설명하는 도 (1) 내지 (4)이다. 도 9는 앞좌석에 있어서 사용 태양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으로, 도 9(A)는 그 정면도, 도 9(B)는 좌측면도, 도 9(C)는 우측면도이다. 도 9(A)에 있어서, 이 예에서는 사용자가 착용한 시트벨트 보조구의 등측의 관통구멍(15)에 사이드 도어의 상하로부터 전개되는 앞좌석용의 시트벨트(41)를 통과시킴과 동시에, 그 선단부의 웅형연결부재(43)를 좌석수평의 마루부에 고정된 자형연결부재(45)에 래치시킨다. 더욱이, 미리 좌석에 시트벨트 보조구를 세트하여 두고(즉, 등측의 관통구멍(15)에 시트벨트(41)를 통하여 두고), 사용자가 승차시에 시트벨트 보조구를 착용하도록 하여 사용하여도 좋다. 도 9(B), (C)에 있어서, 이 경우의 시트벨트 보조구는 사용자의 등측에서 앞좌석에 구속됨과 동시에, 사용자의 상반신은 시트벨트 보조구에 의하여 구속된다. 따라서, 만에 하나 자동차가 전방에 충돌하더라도 시트벨트 보조구는 등측(의자등)에 구속되고, 이로써 사용자의 상반신도 시트벨트 보조구에 의하여 등측에 안정한 자세로 구속된다. 즉, 사용자의 상반신은 전방으로는 넘어지지 않는다. 또, 이 경우의 사용자(유아등)는 시트벨트(41)에 의하여 직접으로는 구속되지 않으므로, 자세는 비교적 자유로이 변경할 수가 있다.
도 10은 앞좌석에 있어서 사용 태양의 다른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으로, 도 10(A)는 그 정면도, 도 10(B)는 좌측면도, 도 10(C)는 우측면도이다. 도 10(A)에 있어서, 이 예에서는 사용자가 착용한 시트벨트 보조구의 복부측의 관통구멍(17)에 사이드 도어의 상하로부터 전개되는 앞좌석용의 시트벨트(41)를 통과시킴과 동시에, 그 선단부의 웅형연결부재(43)를 좌석수평의 마루부에 고정된 자형연결부재(45)에 래치시킨다. 도 10(B), (C)에 있어서, 이 경우의 시트벨트 보조구는 사용자의 복부측에서 앞좌석측에 구속됨과 동시에, 사용자의 상반신의 전체는 다시 시트벨트 보조구에 의하여 이중으로 구속된다. 따라서, 만의 하나 자동차가 전방으로 충돌하더라도 사용자의 상반신은 기설의 시트벨트(41) 및 시트벨트 보조구에 의하여 앞좌석측에 이중으로 구속된다. 따라서, 유아등이 기설의시트벨트(41)로부터 이탈할 걱정도 없고, 유아등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도 11은 뒷좌석에 있어서 사용 태양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으로, 도 11(A)은 그 정면도, 도 11(B)는 좌측면도, 도 11(C)는 우측면도이다. 도 11(A)에 있어서, 이 예에서는 사용자가 착용한 시트벨트 보조구의 복부측의 관통구멍(17)에 좌석의 하측에서 전개되는 뒷좌석용의 시트벨트(41)을 통과시킴과 동시에, 그 선단부의 웅형연결부재(43)을 뒷좌석에 고정된 자형연결부재(45)에 래치시킨다. 도 11(B), (C)에 있어서, 이 경우의 시트벨트 보조구는 사용자의 복부측에서 뒷좌석측에 구속됨과 동시에, 사용자의 상반신의 전체는 다시 시트벨트 보조구에 의하여 이중으로 구속된다. 따라서, 만의 하나 자동차가 전방에 충돌하더라도 사용자의 상반신은 시트벨트(41) 및 시트벨트 보조구에 의하여 뒷좌석측에 이중으로 안정하게 구속된다.
도 12는 앞좌석에 있어서 사용 태양의 다시 다른 일례를 도시하고 있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유아등은 체중이 가볍기 때문에, 기존의 시트벨트의 충돌로크기구가 적정하게 작용하지 않고, 유아등이 전방으로 내팽개쳐져버릴 염려가 있다. 도 12(A)는 앞좌석의 정면도를 도시하여 있고, 여기서는 기존의 시트벨트(41a,41b)를 미리 모두 길게 늘인 상태에서 앵커쇠장식(47a)에 의하여 양시트벨트(41a,41b)를 서로 어긋나지 않도록 고정하고 있다. 더욱더, 시트벨트(41)의 선단부에서도 앵커쇠장식(47b)에 의하여 양시트벨트(41a,41b)을 서로 고정하고, 이 때, 시트벨트(41)의 실효길이를 조절하는 것으로 그 시트밸트(41)는 그 이상으로 늘어나지 않는다.
따라서, 체중이 가벼운 유아등에도 로크상태와 동일하게 하여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삽입도(a)에 앵커쇠장식의 일례를 나타내다.
도 12(B), (C)는 앵커쇠장식에 의한 벨트의 고정방법을 도시하고 있다. 우선 한쪽의 시트벨트(41b)를 도 12(B)와 같이 통과시킨다. 다시 또 한쪽의 시트벨트(41a)를 도 12(C)와 같이 통과시키면, 양시트벨트(41a,41b)는 서로 어긋나지 않도록 고정된다. 바람직하게는, 두개의 앵커쇠장식(47a,47b)을 사용하여 2군데서 고정한다. 더욱이, 도시하지 않지만, 뒷좌석의 시트벨트(41)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도 13은 제 2 실시형태에 의한 시트벨트 보조구를 설명하는 도면으로, 상기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은 시트벨트 보조구의 등부에 보조벨트를 설치한 경우를 도시하여 있고, 도 13(A)은 그 정면도, 도 13(B)는 우측면도, 도 13(C)는 배면도이다. 도 13(A)에 있어서, 본체(10)를 향하여 등부의 좌측(우측도 좋다)에는 비교적 단척의 보조벨트(27)가 연장되어 있고, 그 선단부에는 웅형연결부재(31)(자형연결부재(29)도 좋음)가 고정되어 있다. 또, 등부의 우측(좌측도 좋음)에는 비교적 장척의 보조벨트(27)가 연장되어 있고, 그 선단부에는 자형연결부재(29)(웅형연결부재(31)도 좋다)가 그 벨트의 실효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고정되어 있다. 보조벨트(27)의 고정 태양을 단척과 장척으로 나눈 것은, 이렇게 하면 사용자(또는 이웃의 운전자)가 좌석의 전면측에서 자웅연결부재(31,29)의 착탈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는, 상기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사용 태양과 짝지으면, 더욱더 안전도를 늘리는 것이 가능하다. 즉, 도시하지 않지만, 장척의 보조벨트(27)를 앞좌석의 의자등부(또는 헤드레스트부)에 권회한 상태에서 자웅 양결합부(31,29)를 연결한다. 이 때, 필요하면 자형결합부(29)의 벨트단부를 잡아당겨 보조벨트(27)의 실효길이를 조절하고, 의자등부(또는 헤드레스트부)의 둘레로 단단히 체결한다. 이 경우의 시트벨트 보조구는 복부와 등부의 양방에서 좌석측에 구속되는 것으로 되고, 그 안전성이 향상한다.
도 13(B)에 있어서, 보조벨트(27)는 등부의 관통구멍(15)을 통하여, 그 관통구멍(15)을 꿰매붙여도 좋고, 또는 등부의 관통구멍(15)를 설치하지 않고 등부의 벨트(1)와 얽히도록 그 벨트(1)에 직접 꿰매붙여도 좋다. 도 13(C)에 있어서, 비사용시 보조벨트(27) 및 자웅결합부재(31,29)는 포켓(19)에 수납가능하고, 따라서 방해는 되지 않는다.
도 13(B)로 되돌아가서, 삽입도(a)에 고간의 보호구(부속품)를 도시한다. 이 보호구(35)는 내부에 스폰지등의 탄력성의 충격완화부재(37)를 봉제하여 있고, 그 관통구멍(39)에 고간의 벨트(1)을 통과시키는 것으로, 사용자의 고간 부근에 세트한다. 이로써, 사용자의 고간에는 벨트(1)에 의한 충격이 직접 가해지지 않도록 보호할 수 있다. 보호구(35)는 삽발자유로운 부속품이고, 사용하지 않는 경우는 포켓(19)에 보관할 수 있다.
도 14은 제 3실시형태에 의한 시트벨트 보조구를 설명하는 도면으로, 시트벨트 보조구의 골격적 구조의 한 변형예에 관한다. 도 14(A)에 있어서, 이 시트벨트 보조구의 골격부는, 한개의 벨트(1)를, 도시하는 바와 같이 C점에서 되접어 꺽고, 또한 그 한쪽의 단부 A(또는 단부 B로도 좋음)를 뒤집은 상태에서 D점에 고정(봉제등)하고 있다. 도 14(B)에 있어서, 상기 벨트(1)의 되접어꺽음부(C)를 자기앞측으로 만곡시키면, 개구부(11)를 끼는 것과 같은 양견부가 형성된다. 더욱이, 이 되접어꺾음부(C)에는, 도 14(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벨트(1)의 되접어 꺾을때에 자형연결부재(5)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벨트(1)의 단부(B)를 자기앞측으로 만곡시켜, 그 단부(B)에는, 도 14(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웅형연결부재(7)를 단부(B)측의 벨트실효길이가 조절가능하게 되도록 고정한다. 더욱더, 시트벨트 보조구의 등부 및/또는 복부에 기존의 시트벨트(41)를 통과시키기 위한 띠형상의 벨트관통부재(21,23)가 설치되어 있다.
도 15는 제 4 실시형태에 의한 시트벨트 보조구를 설명하는 도면으로, 시트벨트 보조구의 골격적 구조의 다른 변형예에 관한다. 도 15(A)에 있어서, 이 시트벨트 보조구의 골격부는, 한개의 벨트(1)를 도시하는 바와 같이 C점에서 되접어 꺾고, 또한 그 단부(A)(또는 단부(B))를 뒤집지 않은 상태에서 D점에 벨트(1)와 대략 평행으로 고정(봉제등)하고 있는 점에서, 상기 도 14의 것과 다르다. 도 15(B)에 있어서, 이 경우도 상기 도 14(B)의 경우와 동일한 골격구조가 얻어진다. 또, 시트벨트 보조구의 등부 및/또는 복부에 기존의 시트벨트(41)를 통과시키기 위한 통상의 벨트관통부재(21,23)가 가로질러 있고, 시트벨트(41)을 통하기 쉽게 함과 동시에, 구조의 강화를 도모하고 있다. 더욱더, 이 예에서는 시트벨트 보조구의 등부와 복부에 난연성의 천이나 합성섬유로 이루어지는 메시상의 천(25)이 봉제되어 있고, 이와 같은 시트벨트 보조구는 외관 및 통기성에 우수하다.
도 16은 제 5 실시형태에 의한 시트벨트 보조구의 외관도이다. 이 시트벨트보조구는 그 골격적 구조를 이루는 벨트(1)의 대부분이 외부에 드러나게 되어 있고, 벨트 소재의 기능미와 구조상 필요한 최소한의 가공(봉제등)에 의하여, 전체로서 제조가 용이함과 동시에, 시트벨트 보조구(차일드 시트벨트)로서의 외관을 유지하고 있다. 이하, 구성의 개요를 설명한다.
벨트(1)는 기본적으로 본체 등부의 허리측 부근에서 우(도면을 향하여 좌)견부(1a)를 돌아서 전면의 복부 부근에서 반전되고, 또한 좌견부(1b)를 돌아서 상기 등부의 허리측 부근에서 자기와 결합(봉제등)되고, 더욱더, 본체 하부의 고간(1c)을 돌아서 전면의 복부 부근에 전개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 벨트(1)의 복부에 있어서 반전부와 고간을 돌아서 전면의 복부 부근에 전개되는 단부 부근에 착탈자유로운 자웅한쌍의 연결부재(7,5)를 구비한다. 연결부재(5,7)는 원터치 삽입/원푸시 이탈형으로 되어 있고, 자형연결부재(5)에 웅형연결부재(7)를 밀어넣으면 연결(로크)되고, 또 자형연결부재(5)의 버튼을 누르면 내부 로크가 벗겨지고, 또한 내부스프링의 작용에 의하여 웅형연결부재(7)가 위세좋게 외부로 밀어내어진다.
더욱더, 본체 등부의 허리측 부근에서 좌우로 전개되어 사용자의 허리(등)부의 주위를 구속하기 위한 허리벨트(34a,34b)가 설치되어, 그 허리벨트(34)의 실효길이는 조절가능하게 처리되어 있다.
또, 어깨벨트(1a,1b)의 내측에는 차량의 상측에서 전개되는 시트벨트(41a)를 구멍에 통하여, 이 시트벨트 보조구를 좌석측에 안정하게 구속하기 위한 벨트관통구멍(관통구멍)(15a,15b)이 설치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벨트관통구멍(15a)은 차량의 우(도면을 향하여 좌)상에서 전개되는 시트벨트(41a)의 일부를 안정하게 꽉쥐고, 또 벨트관통구멍(15b)은 차량의 좌(도면을 향하여 우)상에서 전개되는 시트벨트(41a)의 일부를 안정하게 꽉 쥐도록 사용된다.
더욱더, 본체(10)의 등부에는 굽힘에 대하여 탄성을 갖도록 비교적 튼튼한 판상의 탄성부재(구조물)(20)가 매설되어 있고, 이 탄성부재(20)는 벨트(1a 내지 1c)와 함께 이 시트벨트 보조구의 골격적 구조를 이루고 있다. 즉, 이 시트벨트 보조구의 사용시에, 기존의 시트벨트(41a,41b)는 이 탄성부재(20)를 사이에 끼고 배면에 전개되는 벨트(1)(즉 벨트 1a 내지 1c)와 일정한 자세로 얽히는 것으로 되고, 이로써 우선은 기존의 시트벨트(41a,41b)가 이 탄성부재(20)를 일차적으로 구속하고, 또한 그 배면에 전개되는 벨트(1a 내지 1c)가 다시 사용자의 몸을 양견부 및 고간의 3점에서 이차적으로 구속하는 관계로 되어 있다. 그 결과, 이 탄성부재(20)는 그 통상시에는 사용자를 안전하고 비교적 자유롭게 정면을 향한 좌세로 착좌시켜, 또, 차량등의 충돌시에는 사용자의 몸을 뒹굶시키지 않는 등 안전한 자세를 유지시킴과 동시에, 그 경우에는 이 탄성부재(20)가 활과 같이 구부러지는 것으로, 사용자의 몸에 가하는 충격(가속도)은 급속히 완화(흡수)된다.
더욱더, 고(股)벨트(1c)의 근원 부근에는 퓨즈벨트부(1A)가, 또 허리벨트(34a,34b)에는 근원 부근의 좌우대칭인 위치에 퓨즈벨트부(34A,34B)가 각각 설치되어 있고, 이들 퓨즈벨트부(1A,34A,34B)는 차량의 충돌등에 의하여 사용자의 몸(허리부)이 전방으로 내던져질 때에, 각 퓨즈벨트부의 봉제사가 끊어지(브레이크)는 것으로, 사용자의 몸에 가하는 충격(가속도)이 급속히 완화(흡수)된다. 이 시트벨트 보조구의 상세한 것은 이하의 설명에 의하여 한층 명백해진다.
도 17 내지 도 23은 제 5 실시형태에 의한 시트벨트 보조구의 제법을 설명하는 도 (1) 내지 (7)로, 도 17은 벨트(1)의 골격적 구조의 제법을 도시하고 있다. 더욱이, 이하의 설명에서는 3세아(체중 15kg) 정도에의 적용예를 상정하고 있다. 도 17(A)에 있어서, 우선 장척의 벨트(1)를 준비한다. 일례의 치수(단위 mm)를 부기한다. 벨트(1)의 소재는 기존의 시트벨트 소재와 동등 또는 이것에 준한 것으로 좋다. 이 벨트(1)의 양단부를 A, B 중간부를 C, D, D'라 한다. 또, 이들의 점으로 나누어지는 벨트(1)의 각 부분을 고벨트(1c), 양어깨벨트(1a,1b), 기존의 시트벨트(41)를 파지(把持)하기 위한 파지벨트(12b)등으로 부른다. 더욱더, 이 파지벨트(12b)에 더하여 별도로 파지벨트(12a)가 준비된다. 도 17(B)에 있어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벨트(1)를 C점에 되접어 꺾어 양어깨벨트(1a,1b), 고벨트(1c), 파지벨트(12b)의 각 부분을 구성한다. 도 17(c)에 있어서, 벨트(1)의 C점에서는 벨트(1)가 자형연결부재(5)의 벨트고정용 개구부를 통하여 되접어 꺾여진다. 또, 파지벨트(12b)는 어깨벨트(1b)의 방향으로 되접어 꺾여져서, 기존의 시트벨트(41)를 통과시키기 위한 벨트관통구멍(15b)을 구성하도록 가공된다.
또, 벨트(1) 결합부(D,D'점)에는 파지벨트(12a)의 한 단이 결합(봉제등)되어, 그 다른 단은 벨트관통구멍(15a)을 구성하도록 가공된다. 또, 고벨트(1c)의 근원 부근에서는 차량충돌시 사용자에 가해지는 정면으로 향한 가속도를 완화시키기 위한 퓨즈벨트부(1A)가 설치된다. 더욱더, 고벨트(1c)의 선단부를 웅형연결부재(7)의 고정용 개구부에 통(권회)하고, 또한 고벨트(1c)의 실효벨트길이가 조절가능하도록 처리한다.
도 18은 기존의 시트벨트(41a)을 파지하기 위한 벨트관통구멍(15b)(15a도 동일)의 제법을 도시하고 있다. 도면에 일례의 치수(단위 mm)를 부기한다. 벨트(1)는 D'점에서 되접어 꺾여져서 파지벨트(12b)로 된다. 이 파지벨트(12b)는 어깨벨트(1b)에 따라 우선은 봉제되지 않고 견부의 앞측(흉부) 부근까지 전개되어, 여기서 어깨벨트(1b)측으로 되접어 꺾여지고, 또한 그 어깨벨트(1b)에 따라 본체 등부의 상측(탄성부재(20)의 상단측)에까지 전개된다. 더욱더, 파지벨트(12b)는 여기서 링의 내측으로 되접어 꺾여지고, 그 선단부는 상기 파지벨트(12b)의 흉부 부근에 있어서 되접어 꺾여지는 부분까지 전개되고, 이리하여 기존의 시트벨트(41)를 파지하기 위한 벨트관통구멍(링상부)(15b)이 형성된다. 더욱더, 이 링상부(15b)의 상측 절반은 어깨벨트(1b)에 봉제되고, 한편 그 하측 절반은 자유로 되어 있다. 더욱더, 이 하측 절반의 외측면과 파지벨트(12b) 내의 그 외측면과 상대하는 면에는 한쌍의 매직테이프(상표명)(14b)가 봉제 등 되어 있다. 이와 관련하여, 매직테이프(14b)는 후크상과 파일상의 2매의 테이프를 맞물림으로서 착탈자유롭게 구성된 천제품 테이프이다. 더욱더, 이리하여 3중으로 권회된 파지벨트(12b) 중의 가장 하층 벨트의 외측면에는 후술의 충격완화패드(42)를 착탈자유롭게 고정하기 위한 매직테이프(32b)의 한편이 도시의 범위에서 봉제 등 되어 있다.
본 시트벨트 보조구의 비사용시에는, 한쌍의 매직테이프(14b)를 접착시키는 것으로 파지벨트(12b)는 어깨벨트(1b)와 같은 형태로 유지되고 방해되지 않는다. 또, 본 시트벨트 보조구의 사용시에는, 우선 파지벨트(12b)의 중간부를 손으로 붙잡고 하향으로 끌고 매직테이프(14b)을 벗기면, 파지벨트(12b)의 상기 하측 절반이자유로 되고, 이리하여 원터치 조작으로 어깨벨트(1b)와의 사이에 큰 개구공간이 형성된다. 이 공간에 차량의 좌(도면의 자기 앞)측 상하로부터 전개되는 2개의 시트벨트(41a,41b)을 통하고, 이중의 상측 시트벨트(41a)를 벨트관통구멍(15b)의 등측(바람직하게는, 견부 센터라인(CL)의 뒤측 50mm 정도의 범위내)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한쌍의 매직테이프(14b)를 접착한다. 이로써, 상측 시트벨트(41a)는 벨트관통구멍(15b)에 의하여 안정하게 파지된다. 한편, 하측 시트벨트(41b)는 어깨벨트(1b)(탄성부재 20)와 파지벨트(12b) 사이의 간극에서 상하방향의 자연스러운 위치(다만, D'점을 넘지 않는 범위내)에 세트된다. 더욱이, 도시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기존의 시트벨트(41a,41b)는 반대측의 어깨벨트(1a)와 파지벨트(12a)의 사이(다만, 벨트안의 구멍(15a)은 아니다)에도 통하게 된다.
이리하여, 간단한 조작에 의하여 기존의 시트벨트(41)를 시트벨트 보조구의 등부 및 견부에 확실히 세트할 수 있다. 또, 이와 같은 구속 태세에서는 차량의 충돌시에는 상기 상측 시트벨트(41a)의 파지부에 화살표(a) 방향의 강한 힘이 작용하지만, 한쌍의 매직테이프(14b)는 이 경우에도 용이하게 벗겨지지 않도록, 비교적 긴 범위(예를 들면 센터라인(CL)의 앞 150mm 내지 후 50mm 범위)로 설치되어 있다. 더욱이, 시트벨트(41)를 벗기는 조작은 상기의 역이고, 마찬가지로 용이하게 벗겨진다.
도 19(A)는 고벨트(1C) 상에 설치한 퓨즈벨트부(1A)의 제법을 도시하고 있다. 벨트(1)의 D점 부근에 있어서, 고벨트(1C)를 그 중심선(CL2)이 본체 등부의 중심선(CL1)과 평행으로 되는 방향으로 되접어 꺾으면, 그 되접어 꺾은 부분에는,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대하는 면의 겹쳐지는 영역(도면의 점으로 표시하는 영역)(P)이 생긴다. 이 겹쳐진 영역(P)의 부분에, 예를 들면 폴리에스테르계의 실(굵기 8번 등)을 사용하여 상기 중심선(CL2)과는 수직으로 되는 방향에 복수단의 봉제를 행한다. 그 봉제후의 고벨트(1C)는 최상부의 봉제선을 경계로 재차 화살표(a)측에 전개(되접어 꺾기)되어 사용상태로 된다. 이와 같이, 고벨트(1C)를 그 되접어꺾기부의 중심선(CL2)과는 수직으로 되는 방향에 봉제함으로써, 이 시트벨트 보조구의 사용시에는 고벨트(1C)에 가해지는 장력에 대하여 각 봉제선의 브레이크 저항이 최대로 된다. 또 복수단 봉제함으로써, 각 단의 브레이크에 의하여, 사용자에 가해지는 급격한 가속도를 단계적으로 완화(흡수)할 수 있다. 더욱이, 봉제용 미싱의 형편등에 의하여 중심선(CL2)과는 평행으로 되는 방향으로 봉제가 행해져도 좋다.
또, 실제로 봉제하는 것은 도면의 세로방향으로, 예를 들면 60mm의 범위를 초과하지 않는다.
이렇게 하면, 퓨즈벨트부(1A)가 벗겨지더라도 고벨트(1C)가 늘어나는 몫은 60mm 이내로 되고, 따라서 사용자의 몸을 안전한 범위내로 구속할 수 있다. 또, 도면의 최하부의 봉제선은 바람직하게는 고벨트(1C)의 되접어 꺾음 단부로부터, 예를 들면 10mm 이상 떨어져 있다. 이보다 이하이면 그 부분의 봉제선이 완전하게 브레이크하지 않는 경우가 있고, 퓨즈벨트부로서의 기능을 충분히 완수할 수 없기 때문이다.
더욱이, 퓨즈벨트부(1A)는 상기 봉제 이외에도 적당한 장력으로 잡아떼어지는 다른 여러가지 방법(리벳 고정, 호치키스 고정, 접착 고정, 이들의 복합 등)에의하여 결합되어 있어도 좋다. 또, 고벨트(1C)의 연장이 허락되는 범위내에서 퓨즈벨트부(1A)가 이중으로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또, 이와 같은 퓨즈벨트부는 필요하면 양어깨벨트(1a,1b) 상에 설치하여도 좋다.
도 19(B)는 고벨트(1C)의 단부의 처리 방법을 도시하고 있다. 고벨트(1C)는 앵커부재(30)를 지난후, 자형연결부재(7)의 내부의 고정바의 둘레에서 되접어 꺾여지고, 또한 재차 앵커부재(30)로 권회되어 자기의 되접어 꺾음 부분에 봉제되어 있다. 이 고벨트(1C)의 겹쳐진 부분의 길이를 변경함으로써, 고벨트(1C)의 실효길이를 조절가능하다. 또, 이 겹쳐진 부분에 의하여 형성되는 링의 내부에 후술의 허리벨트(34)을 통과시키는 것으로 그 허리벨트(34)를 바른 위치로 유지한다.
도 20은 허리벨트(34)의 제법을 도시하여 있고, 도 20(A)는 그 벨트소재(34)의 평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면에 일례의 치수(단위 mm)를 부기한다. 여기서 34A, 34B는 퓨즈벨트부가 구성되는 부분이다. 도 20(B)는 허리벨트(34)의 배면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벨트소재(34)는 전체로서 고리상(링상)으로 처리되고, 그 등측의 중앙부 부근에는 좌우대칭한 위치에 2개의 퓨즈벨트부(34A,34B)가 설치된다. 각 퓨즈벨트부(34A,34B)의 되접어겹침부(봉제부)의 길이는 예를 들면 25mm로 되어 있다. 따라서, 각 퓨즈벨트부(34A,34B)가 함께 분리되었을 때의 총 연장길이는 50mm 이내이고, 이는 사용자의 몸을 안전한 범위내로 구속하는데 충분한 길이이다. 더욱이, 허리벨트(34)의 내의 도면의 좌측에 전개되는 부분을 허리벨트(34b), 우측으로 전개되는 부분을 허리벨트(34a)라 부른다.
허리벨트(34b)의 단부는 버클(38)의 한쪽 고정부에 권회되어 그 되접어꺾기부에 봉제 등 된다. 한편, 허리벨트(34a)의 단부는 일단 앵커부재(36)를 통한후, 버클(38)의 다른편의 고정부에서 되접어 꺾여지고, 또한 재차 앵커부재(36)에 권회되어 자기의 되접어 꺾음 부분에 봉제 등 된다. 이로써, 허리벨트(34)의 실효길이를 조절가능하다. 도 20(C)는 허리벨트(34)의 버클(38)로부터 앵커부재(36)에 이르는 부분의 정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21은 탄성부재(20)의 제법을 도시하여 있고, 도면에 일례의 치수(단위 mm)를 부기한다. 도 20(A)는 그 정면도, 도 20(B)는 그 일부 단면도이다. 이 탄성부재(구조물, 20)는 중간의 비교적 강성을, 또한 굽힘에 대하여 강탄성(강한 굽힘응력)을 갖는 판상부재(24)가 그 전후의 비교적 유연(용이하게 깨지지 않는, 또 난연성)한 판상부재(22a,22b)에 의하여 샌드위치되어, 이들이 세개의 리벳(26)에 의하여 압접·고정된 구조를 구비하고 있다. 각 판상부재(22a,24,22b)의 일례의 두께는 2mm 정도이고, 전 두께는 6mm 정도로 되어 있다. 중간의 판상부재(24)는 ABS수지등의 플라스틱재로 이루어진다. ABS수지는 A(acrylonitile)와 B(butadiene)와 S(styrene)와의 공중합체로 이루어지고, A의 내약품성, 내열성과 B의 내충격성과 S의 형성성이 혼합된 대표적인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이다. 필요하면, 각종의 충전재(유리섬유, 나일론사 등)나 첨가재를 가하는 것으로 소망의 성질(내충격성, 인장강도, 강성, 굽힘응력 등)을 증가시킬 수 있다. 한편, 전후의 판상부재(22a,22b)는 폴리프로필렌수지의 플라스틱재로 이루어지고, 비교적 유연하고 깨지기 어려움과 동시에, 난연성이 우수하고, 따라서 탄성구조물(20)의 전체가 깨지기 어렵고, 또한난연성으로 된다. 또, 3매의 판상부재를 리벳 고정함으로써, 각 판상부재(22a,24,22b)가 각각의 특성(탄성능)을 최대한으로 발휘할 수 있다. 또, 강한 충격에 의하여 만의 하나 중간의 판상부재(24)가 깨지더라도, 판상부재(22a,22b)가 깨지기 어렵기 때문에, 사용자를 위험한 파편등에서 보호할 수 있다. 더욱이, 각 판상부재의 재질, 매수, 사이즈(평면시 형상, 두께 등) 및 이들의 복합등은 이외에도 여러가지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중간의 판상부재(24)를 여러가지 탄성을 갖는 복수의 판상부재의 다층구조로 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로써 다른 소망의 충격완화(흡수) 특성을 얻는 것도 가능하다. 또, 상기 리벳(26)에 대신하여 다른 여러가지 결합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도 22(A)는 퓨즈벨트부(1A)의 일례의 봉제 패턴을 도시하고 있다. 고벨트(1c)의 되접어 꺾음 부분의 전장을 60mm로 하면, 이 되접어꺾음부의 하단에서 길이 L(예를 들면 10mm)의 범위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 4개의 봉제선이 등간격으로 설치되어 있다. 또, 봉제사로서는 강인한 폴리에스테르계등을 사용하고, 예를 들면 굵직한 굵기 6번을 사용하고 있다. 더욱이, 일례의 봉제 패턴은 자동봉제미싱에 의하여 1회로 봉제할 수 있는 것이다. 또, 봉제선의 단수나 간격은 이외에도 여러가지로 선택할 수 있고, 또 봉제선의 간격은 등간격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도 22(B)는 퓨즈벨트부(34A/34B)의 일례의 봉제 패턴을 도시하고 있다. 허리벨트(34)의 각 되접어 꺾음 부분의 전장을 각각 25mm로 하면, 이 되접어 꺾음 부분의 하단에서 길이 L(예를 들면 10mm)의 범위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 4개의 봉제선이 등간격으로 설치되어 있다. 또, 봉제사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에스테르계의 굵기6번을 사용한다. 더욱이, 봉제선의 단수, 간격, 미싱 눈금의 피치등은 이외에도 여러가지로 선택할 수 있고, 또 봉제선의 간격은 등간격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도 23(A)는 벨트의 버클이나 앵커에의 고정부의 봉제 패턴을 도시하고 있다. 예를 들면, 허리벨트(34)의 되접어 겹친 부분의 단부에서는, 이 부분이 벗겨지지 않도록 대략 벨트폭 한도껏 봉제를 행한다. 한편, 버클(38)등에 가까운 측에서는, 이 예에서는 내부의 벨트고정 쇠장식이 작은 것등에 의하여, 이 부분에 권회벨트폭이 좁혀지는 것을 고려하여, 본래의 벨트(34) 폭 보다도 어느 정도 좁은 폭으로, 이 부분을 다단으로 또한 견고하게 봉제하고 있다. 또, 봉제사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에스테르의 굵기 6번을 사용한다.
도 23(B)는 벨트(1)의 D, D'점에 있어서 일례의 봉제 패턴을 도시하여 있고, 이 부분에는 복수매의 벨트가 포개져 있다. 즉, 도면의 배후에서는 어깨벨트(1b)가 고벨트(1c)측에 전개되고 있다. 또, 그 위에는 어깨벨트(1a)의 일부가 포개져 있고, 또한 그 어깨벨트(1a)는 D점에서 되접어 꺾여져서 파지벨트(12b)로 되고, 도면의 우상방향으로 전개되고 있다. 더욱더, 또 어깨벨트(1a)와 같은 방향에 또 하나의 파지벨트(12a)를 포개지만, 이 도면에서는 생략하였다. 다시, 이들의 교차 부분에 허리벨트(34)를 포갠다.
허리벨트(34)의 포개는 방법에는 몇 가지가 고려된다. 하나는 도면의 회전부에 포개는 방법이지만, 이 경우는 사용자의 허리부에 가해지는 체중을 봉제 군데에서만 지지하는 관계로 되고, 벗겨지기 쉽다. 다른 하나는 도면의 최후부에 포개는 방법이지만, 이 경우도 허리벨트(34)에 비정상적인 방향(예를 들면 도면의 상하방향)으로부터의 힘이 가해지면, 허리벨트(34)가 벗겨질 염려가 있다. 그래서, 바람직하게는 허리벨트(34)를 다른 벨트의 중간부에 포갠다. 도면은 허리벨트(34)를 어깨벨트(1a)로부터 파지벨트(12b)에의 되접어 꺾은 부분에 끼워넣은 상태를 도시하고 있지만, 이외에 어깨벨트(1b)와 어깨벨트(1a) 사이에 끼워넣어도 좋다. 어느쪽이든, 이 부분의 봉제는 종횡으로 교차시켜서 행하는 것으로 강한 봉제 강도가 얻어지고, 또한 이렇게 함으로써 벨트천의 세로찢어짐 방지에도 효과가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면의 예에서는 종횡(세로가로)같이 지그재그로 봉제하고 있다.
또, 봉제실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에스테르계의 굵기 6번을 사용한다. 더욱이, 상기 이외의 일반적인 봉제 부분에 대해서는 예를 들면 폴리에스테르계의 굵기 8번의 봉제사를 사용할 수 있다.
도 24는 제 5 실시형태에 의한 시트벨트 보조구의 3면도를 도시하여 있고, 도 24(A)는 그 정면도, 도 24(B)는 우측면도, 도 24(C)는 배면도이다. 상기 이미 설명한 부분에는 동일번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한다. 여기서는 삽입도(a)에 탄성부재(구조물, 20)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이 탄성부재(20)는, 도 24(B), (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 배면이 양어깨벨트(1a,1b)에 의하여 지지되고 있고, 또한 양어깨벨트( 1a,1b)에 강한 충격(장력)이 가해지더라도, 그 벨트(1a,1b)가 탄성부재(20)로부터 벗겨지지 않도록 그 주위가 견고한 커버(28a,28a)에 의하여 덮여 있다. 일례의 커버(28a,28b)는 벨트(1)와 같은 소재의 벨트소편을 벨트(1a,1b) 사이에 가로지르고(또는 권회하고), 또한 이들을 탄성부재(20)의 좌우 양단변측에서 어깨벨트(1a,1b)에 봉제하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더욱더, 도 24(B)에 있어서, 시트벨트 보조구의 연결부재(5,7)의 결합부 부근에서 양견부(1a,1b)를 돌아서 공통의 등부를 지나, 또한 고간에 전개되는 것과 같은 충격완화(흡수)패드(42)가 양파지벨트(12a,12b)의 하측에 설치된 매직테이프(32a,32b)에 의하여 착탈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다. 이 충격완화패드(42)는 어깨벨트(1a,1b) 연결부재(5,7) 및 고벨트(1c)에 의하여 사용자의 양견부, 흉부, 복부 및 고간에 가해지는 것과 같은 강한 충격을 충분히 완화함과 동시에, 벨트와의 마찰에 의한 상처나 화상으로부터 사용자의 몸을 보호하는 목적으로 설치된다. 더욱이, 충격완화패드(42)를 착탈자유롭게 하는 대신에, 미리 시트벨트 보조구에 고정적으로 설치하여 두어도 좋다.
도 25는 제 5 실시형태에 있어서 충격완화패드를 설명하는 도면으로, 도 25(A9는 그 정면도, 도 25(B)는 측면도이다. 도면에 일례의 치수(단위 mm)를 부기한다. 이 충격완화패드(42)의 전체는 단순한 부품의 결합으로 이루어져 있고, (42a,42b)는 본체 등부로부터 양견부(1a,1b)를 돌아서 전면의 흉부를 보호하기 위한 견패드 부품, (42c)는 고간을 보호하기 위한 고패드 부품, (42d)는 전면의 복부(연결부재 5,7의 연결부)를 보호하기 위한 복부패드 부품이다. 각 부품의 내부는 고무나 스폰지등의 탄력성 부재로 이루어져 있고, 그 주위는 불연성의 천등에 의하여 덮여 있고, 또한 그 주위 근처는 파이핑 처리되어 있다. 더욱더, 각 부품을 파이핑의 곳에서 서로 봉제하고, 이리하여 각 부품을 결합한다. 또, 견패드 부품(42a,42b)의 이면에는 매직테이프(웅측)(32a,32b)가 봉제되고, 이로써 파지벨트(12a,12b)에 착탈이 자유로 되어 있다.
도 26, 도 27는 제 5 실시형태에 의한 시트벨트 보조구의 사용상태를 설명하는 도 (1), (2)로 도 26은 통상시의 사용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26(A)에 있어서 사용자(유아등)는 시트벨트 보조구를 몸체에 장착하고, 자동차의 좌측 앞좌석에 앉아 있다. 이 때, 자동차의 상측 시트벨트(41a)는 본체 등부의 벨트관통구멍(15b)을 지나, 또 하측 시트벨트(41b)는 파지벨트(1b)의 내측을 지나 본체 등부의 허리측 부근을 돌아서, 이들 선단의 연결부재(43)가 차량의 마루에서 전개되는 연결부재(45)에 래치하고 있다. 더욱이, 이 때 바람직하게는 시트벨트(41a,41b)를 함께 파지벨트(1a)의 내측에 통과시킨다.
도 26(B)에 탄성부재(20)와 벨트(1a 내지 1c, 12b, 41a, 41b)와의 위치 관계를 도시한다. 상측 시트벨트(41a)는 벨트관통구멍(15b)에 파지되는 것으로 탄성부재(20)의 상반분을 비스듬히 가로지르고 있다.
하측 시트벨트(41b)는 파지벨트(12b)의 내측에 위치되는 것으로, 탄성부재(20)의 하반분을 가로방향으로 가로지르고 있다. 더욱이, 도시하지 않지만, 파지벨트(12a)는 파지벨트(12b)와 마찬가지로 시트벨트(41a,41b)의 상측에 전개되고 있다. 한편 벨트(1a 내지 1c)는 탄성부재(20)의 배면측을 정면을 향하여 지지함과 동시에, 각 벨트(1a 내지 1c)는 사용자의 몸체를 안전한 정면을 향하는 자세로 구속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속하에서는 유아등은 어느 정도 자유롭게 자세를 변경할 수 있음과 동시에, 자세를 바꾸더라도 이 안전한 구속 자세는 안정하게 유지되어 있다.
도 27은 차량충돌시의 시트벨트 보조구의 작동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27(A)에 있어서, 차량이 충돌등에 의하여 크래시하면, 사용자(유아등)는 자기의 관성에 의하여 급격히 전면으로 내던져 진다. 이 때, 충돌시의 사용자의 자세에도 관계되지만, 상기 도 2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어느 정도 좌석의 등측으로 의지하게 되는 것과 같은 통상의 자세의 경우는 충돌시에 허리측에서 전방으로 내던져지는 결과 양어깨벨트(1a,1b) 및 고벨트(1c)에 대하여는 도 27(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강한 정면을 향하는 힘이 작용한다. 한편, 이 때 탄성부재(20)는 시트벨트(41)의 로크 작용에 의하여 순간 좌석측으로 구속된다. 그 결과, 탄성부재(20)는, 도시하는 바와 같이 3개의 방향으로 크게 만곡하고, 우선은 굽힘응력에 의하여 사용자의 양견부(즉, 머리부)나 허리부(무게중심부근)에 가해지는 가속도를 급속히 완화(흡수)시킨다.
더욱더, 충격이 강한 때 등은 사용자는 상기 양견부(1a,1b)의 구속에 의하여 어느 정도 후경(後傾) 자세를 유지한 채로 더욱더 전방으로 내던져진다. 이 때, 사용자의 체중(무게중심)은 고벨트(1c) 및 허리벨트(34)에 집중되어 있고, 이로써 본체 허리부 부근의 각 퓨즈벨트부(1A,34A,34B)가 도 27(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일제히 잡아떼어지고, 이로써도 사용자의 몸에 가해지는 가속도가 더욱더 급속하게 완화(흡수)된다. 또, 이와 같은 후경 자세에서는 사용자의 목에 수평방향으로 가해지는 것과 같은 채찍질 하는 힘도 완화된다. 이리하여 사용자의 몸은 최종적으로 시트벨트 보조구에 의하여 고정된다. 이때, 사용자의 몸(무게중심)의 이동량 α는 충돌전의 위치보다 앞방향으로 예를 들면 10mm 이내로 되도록 억제되어 있고, 이로써 사용자의 몸이 차량 전면의 대시보드등에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도 28은 제 6실시형태에 의한 시트벨트 보조구를 설명하는 도면으로 허리벨트(34a,34b)가 각각 앞부분의 버클부재에 장착자유로운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도 28(A)은 그 정면도, 도 28(B)는 우측면도, 도 28(C)는 배면도이다. 이 시트벨트 보조구의 기본적인 구조는 상기 도 16(도24)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것으로 좋다. 다만, 우선 허리벨트(34)의 처리 방법이 다르다. 즉, 도 28(A)에 있어서, 이 예의 허리벨트(34a,34b)는 그 각 단부에 웅형연결부재(7a,7b)가 설치되어 있고, 각 허리벨트(34a,34b)는 각각에 실효길이를 조절가능하게 처리되어 있다. 한편, 이 예에서는 상기 도 16과 동일한 자형연결부재(5)에 대하여 착탈이 자유로움과 동시에, 상기 허리벨트(34a,34b)의 각 웅형연결부재(7a,7b)를 각각 착탈이 자유롭게 수용가능한 웅형연결부재(7A)가 고벨트(1c)의 단부에 설치되어 있다. 이 시트벨트 보조구를 착용할때에는, 우선 본체(10)를 머리로부터 뒤집어쓰고 동체에 세트한다. 다음에 고간에서 고벨트(1c)를 끌어올려 그 단부의 웅형연결부재(7A)를 자형연결부재(5)에 래치한다. 다음에, 좌우 허리벨트(34a,34b)의 웅형연결부재(7a,7b)를 웅형연결부재(7A)의 자형연결부에 래치한다. 시트벨트 보조구를 벗는 조작은 이 역이다. 이와 같은 조작은 유아등의 단독으로도 행할 수 있으므로 취급 용이하다. 더욱이, 자형연결부재(5)를 3번 수용식으로 하고, 여기에 고벨트(1c)와 허리벨트(34a,34b)를 각각 착탈이 자유롭게 수용하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더욱더, 여기서는 다른 몇가지 변형예를 표시하여 둔다. 즉, 도 28(B)에 있어서, 본체(10)의 복부내측에는 기존의 시트벨트(41a)을 구멍을 통하여, 이 시트벨트 보조구를 사용자의 신체(흉부 등)와 함께 좌석측에 안정하게 구속하기 위한 벨트관통구멍(관통구멍)(17a,17b)이 다시 설치되어 있다. 벨트관통구멍(17b)은 바람직하게는 벨트(1)와 같은 소재의 벨트소재(16b)에 의하여 구성된다. 이 벨트소재(16b)는 그 하단측이 어깨벨트(1b)의 C점(되접어꺾기부)부근에 결합(리벳 고정, 봉제 등)됨과 동시에, 그 상부측은 도시하는 바와 같이 어깨벨트(1b)측으로 되접어 꺾여짐으로서 그 내측에 고리상(링상) 공간이 형성되어 그 선단부는 자유로 되어 있다.
그리고, 도시하는 바와 같이 벨트소재(16b)의 외측반면과 어깨벨트(1b) 내의 상기 외측반면에 상대하는 내측면에는 한쌍의 매직테이프(18b)가 봉제 등 되어 있다. 벨트관통구멍(17a)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예를 들면 벨트관통구멍(17a)에 차량의 좌상(도면을 향하여 우상)측에서 전개되는 시트벨트(41a)를 통할때는, 우선 매직테이프(18a)를 벗기면, 어깨벨트(1a)와 벨트소재(16a)와의 사이에 비교적 큰 개구부가 형성되어, 이 개구부내에 시트벨트(41a)를 위치시켜, 이 상태에서 매직테이프(18a)를 접착한다. 이 경우의 시트벨트(41a)는 어른에 대한 통상의 용법과 동일하게하여 사용자(유아등)의 견부로부터 흉부를 돌아서 사용자를 좌석에 구속한다. 이때, 시트벨트(41a)는 벨트관통구멍(17a)에 의하여 안정하게 파지되어 있기 때문에, 유아등이 움직여도 항상 안전한 보호태세에 있다. 한편, 좌석의 하측으로부터 전개하는 시트벨트(41b)는 통상의 용접과 동일하게하여 사용자의 허리부 및 복부를 돌아서 사용자를 좌석에 구속한다. 시트벨트(41a)를 벗기는 조작은 상기와 역이고, 동일하게 하여 용이하게 벗길 수 있다. 이상의 것은 벨트관통구멍(17b)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이리하여, 본 제 6실시형태에 의한 시트벨트 보조구는 기존의 시트벨트(41)를 등부측에 돌리는 것도, 또 복부측에 돌리는 것도 가능하고, 따라서 유아등의 기호나 연령차 등에도 유연하게 대응할 수있고 쓰기에 편리하다.
더욱이, 이 예의 벨트관통구멍(15a,15b)의 부분은, 상기 벨트관통구멍(17a,17b)을 설치한 결과, 어느 정도 조금 작게 만들어져 있다. 또, 도 28(B)에 있어서, 이 예의 충격완화패드(42)는, 두개의 견패드(42a,42b)와 하나의 고패드(42c)는 떨어져 있고, 개별로 장착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29는 제 7 실시형태에 의한 시트벨트 보조구를 설명하는 도면으로 2개의 고벨트(1d,1e)를 구비하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도 29(A)는 그 정면도, 도 29(B)는 우측면도, 도 29(C)는 배면도이다.
도 29(A)에 있어서, 이 벨트(1)는 본체 앞측의 좌(도면을 향하여 우)옆구리부로부터 본체 하부의 고간(1e), 등부 및 우견부(1a)를 돌아서 전면의 복부 부근에서 반전되고, 또한 좌견부(1b), 등부 및 고간(1d)를 돌아서 우옆구리부로 전개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더욱이, 도시하지 않지만, 벨트(1)를 본체 앞측의 좌(도면을 향하여 우)옆구리부로부터 본체 하부의 고간(1e), 등부 및 좌견부(1b)를 돌아서 전면의 복부 부근에서 반전되어, 또한 우견부(1a), 등부 및 고간(1d)를 돌아서 우옆구리부에 전개하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더욱더, 본체 등부의 허리측 부근에서 벨트(1)에 봉제 등 되어, 또한 좌우에 전개되는 것과 같은 허리벨트(34a,34b)가 설치되어 있고, 그 허리벨트(34)의 실효길이는 조절가능하게 처리되어 있다. 또 고벨트(1d)의 단부는 우옆구리부에서 허리벨트(34a)에 봉제 등 되어, 또한 고벨트(1e)의 단부는 좌옆구리부에서 허리벨트(34b)에 봉제 등 되어 있다. 더욱더, 허리벨트(34)의 대략 중앙부에 종(세로)벨트(44)를 권회하여, 그 단부를 자기에게 봉제 등하여 또한 그 다른 단에는 웅형연결부재(7)를 설치하여 위에서 전개하는 자형연결부재(5)에 착탈자유로이 하고 있다. 그밖의 세부구조는 상기도 16(도24)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여서 좋다. 다만, 상기 파지벨트(12b)로 되어야할 부분은 고벨트(1e)로서 사용되기 때문에 새로이 벨트소편을 준비하여 이것을 파지벨트(12b)로 한다. 또 고벨트(1d,1e)의 각각에 퓨즈벨트부(1A,1B)가 설치되어 있다.
이 시트벨트 보조구의 장착시에는 허리벨트(34a)와 고벨트(1d)와의 사이에 오른발을 통하고 또한 허리벨트(34b)와 고벨트(1e)와의 사이에 왼발을 통한후, 시트벨트 보조구의 본체를 들어올려 동부에 착용한다. 더욱더, 연결부재(5,7)를 래치시키면 착용완료이다. 이 시트벨트 보조구에 의하면, 차량등의 충돌시에는 고벨트(1d,1e)이 양단부가 좌우옆구리의 방향으로 끌리기 때문에, 고벨트(1d,1e)가 사용자의 고간에서 달아나듯 작동하여, 따라서 사용자의 고간을 직접적으로 압박하지 않는다. 또, 이때 고벨트(1d,1e)는 사용자의 좌우 각부로부터 좌우 둔부를 구속(지지)하는 위치 관계로 되기 때문에 사용자의 몸체는 양각부 및 양둔부에서 지지(구속)된다. 이는 사용자의 몸에 대해서도 부담이 적은 지지 방법이다.
도 30은 제 8 실시형태에 의한 시트벨트 보조구를 설명하는 도면으로, 2개의 다리벨트(46a,46b)를 구비하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도 30(A)는 그 정면도, 도 30(B)는 우측면도, 도 30(C)는 배면도이다. 도 30(A)에 있어서, 이 벨트(1)는 본체등측의 좌(도면을 향하여 우)각부 부근에서 우견부(1a)를 돌아서 전면의 복부 부근에서 반전되어, 또한 좌견부(1b)를 돌아서 우각부 부근에 전개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여기서, 본체 등부의 허리측 부근에서 우각부측에 전개되는 벨트(1)를 엉덩이벨트(1d), 좌각부측에 전개하는 벨트(1)를 엉덩이벨트(1e)라 부른다.
더욱더, 벨트(1)의 양각부 부근에는 사용자의 대퇴부에 피트하는 다리벨트(46a,46b)가 각각 주설된다. 다시 다리벨트(46a,46b) 사이에는, 그 중간부를 본체 전면의 복부 부근에 전개가능한 복부벨트(48)가 가로질러지고, 그 중간부에는 상측에서 전개하는 자형연결부재(5)에 래치시키기 위한 웅형연결부재(7)가 설치된다.
일례의 다리벨트(46a,46b)는 미리 사용자의 전형적인 대퇴부 사이즈에 맞추어서 고리상(이음매 없음)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는 필요하면, 각 다리벨트(46a,46b)의 실효길이가 가변으로 되도록 구성한다. 더욱더 다리벨트(46a,46b)에 각각 착탈자유로운 버클(50a,50b)을 설치한다.
그밖의 세부구조는 상기 도 16(도24) 또는 도 28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것으로 좋다. 다만, 여기서는 엉덩이벨트(1d,1e)에 각각 퓨즈벨트부(1A,1B)가 설치되어 있다. 또, 필요하면 복부벨트(48a,48b)측에 각각 퓨즈벨트부(48A,48B)를 설치하여도 좋다. 또, 도 30(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더욱더 허리벨트(34)를 설치하여도 좋다.
도 31은 제 8 실시형태에 의한 시트벨트 보조구의 작동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차량등의 충돌시에 있어서 사용자의 몸은 양다리벨트(46a,46b)를 통하여시트벨트 보조구의 본체측에 구속된다. 따라서, 전방으로 내던져지는 체중(가속도)을 지지하는 힘이 양각부에 2분 되어, 사용자 및 엉덩이벨트(1d,1e)에 걸리는 부담이 가볍게 된다. 또 사용자의 고간부에 가해지는 충격도 확실히 회피할 수 있다.
도 32는 제 9 실시형태에 의한 시트벨트 보조구를 설명하는 도면으로, 2개의 다리벨트(46a,46b)를 구비하는 더욱더 다른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도 32(A)는 그 정면도, 도 32(B)는 우측면도, 도 32(C)는 배면도이다. 도 32(A)에 있어서, 이 벨트(1)는 본체 등측의 좌(도면에 향하여 우)각부 부근에서 좌견부(1b)를 돌아서 전면의 복부 부근에서 반전되고, 또한 우견부(1a)를 돌아서 우각부 부근에 전개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밖의 구성에 대해서는 상기도 30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여도 좋다. 다만, 여기서는 본체 등부에서 벨트(1)가 교차하지 않기 때문에, 이에 따라서 탄성부재(구조물, 20)의 평면시 형상도 하측이 넓어진 형상(직사각형, 역사다리꼴)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기존의 시트벨트(41a,41b)와 관계하는 면적이 늘고, 이 시트벨트 보조구를 보다 안정하게 구속할 수 있다.
더욱이, 도 32(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더욱더 허리벨트(34)를 설치하여도 좋다.
더욱이,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는 벨트(1)의 C점에 자형연결부재(5), 또한 단부(B)측에 웅형연결부재(7)를 고정하는 경우를 설명하였지만, 이것과는 역으로 C점에 웅형연결부재(7) 또한 단부(B)측에 자형연결부재(5)를 고정하여도 좋다. 또 연결부재(버클)(5,7)는 이외에도 여러 가지 구조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는 골격을 이루는 벨트(1)가 1개의 벨트소재로 이루어지는 경우를 설명하였지만, 이외에도 예를 들면 양견부에 각각 1개, 고간에 1개의 합계 3개를 결합(봉제, 리벳 고정 등)함으로써 시트벨트 보조구를 구성하여도 좋다.
또,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는 골격을 이루는 벨트(1)(및 그외의 벨트)가 일매(1중)의 벨트소재로 이루어지는 경우를 설명하였지만, 이외에도 예를 들면 복수매의 벨트소재를 포개어 맞추어 또는 장척의 벨트소재를 장척의 방향으로 접어개고, 또는 미리 파이프상으로 가공된 벨트소재등을 사용하여도 좋다. 또, 벨트소재로서는 포목제, 합성섬유제, 가죽등의 여러가지 소재를 이용할 수 있다.
또,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는 연소자(3세아)용의 시트벨트 보조구의 구체예를 설명하였지만, 필요하면 사이즈등을 변경함으로서 유아 또는 다른 통상의 심신장해가 없는자나 장해자등에도 적용할 수 있는 것은 말할 것도 없다.
또, 상기 각 실시의 형태에서는 구체적 수치예를 동반하는 설명을 하였지만, 본 발명이 이들의 수치예에 한정되지 않는 것도 명백하다.
또, 상기 복수의 실시형태를 설명하였지만,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 특징적 부분등을 복합시킴으로서 본 발명에 관한 시트벨트 보조구를 여러가지로 구성할 수 있는 것은 말할 것도 없다.
또, 상기 본 발명에 알맞는 복수의 실시형태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사상을 일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각부의 형상, 구조, 소재 및 이들의 복합한 여러가지 변경이 행해지는 것은 말할 것도 없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시트벨트 보조구는 콤팩트 또한 저비용으로 운반이 용이함과 동시에, 어느 탈것의 어느 좌석에서도 기존의 시트벨트와 병용하여 유아등을 사고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고, 이리하여 교통안전에 기여하는 바 극히 크다.

Claims (10)

  1. 기존의 시트벨트와 병용하여 사용자의 신체를 보호하기 위한 시트벨트 보조구로서, 본체 등부의 허리측 부근에서 한쪽 견부를 돌아서 전면의 복부 부근에서 반전되고, 또한 다른편의 견부를 돌아서 상기 등부의 허리측 부근에서 자기와 결합되고, 다시 본체 하부의 고간을 돌아서 전면의 복부 부근에 전개되는 제 1 벨트부재와, 상기 제 1 벨트부재의 복부에 있어서 반전부와 고간을 돌아서 전면의 복부 부근에 전개되는 단부 부근에 설치된 한쌍의 착탈자유로운 연결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벨트 보조구.
  2. 기존의 시트벨트와 병용하여 사용자의 신체를 보호하기 위한 시트벨트 보조구로서, 본체 앞측의 한쪽 옆구리부로부터 본체 하부의 고간, 등부 및 임의의 한쪽 견부를 돌아서 전면의 복부 부근에서 반전되고, 또한 다른편의 견부, 등부 및 고간을 돌아서 다른편의 옆구리부에 전개되는 제 1 벨트부재와, 본체 등부의 허리측부근에서 상기 제 1 벨트부재에 결합되고, 또한 좌우로 돌아서 복부측에 전개됨과 동시에, 그 도중에서 상기 제 1 벨트부재의 양옆구리부에 있어서 각 단부와 결합하는 제 2 벨트부재와, 상기 제 1 벨트부재의 복부에 있어서 반전부와 상기 제 2 벨트부재의 중간부에 설치된 한쌍의 착탈자유로운 연결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벨트 보조구.
  3. 기존의 시트벨트와 병용하여 사용자의 신체를 보호하기 위한 시트벨트 보조구로서, 본체 등측의 한쪽 각부 부근에서 임의의 한쪽 견부를 돌아서 전면의 복부 부근에서 반전되고, 또한 다른편의 견부를 돌아서 다른편의 각부 부근으로 전개되는 제 1 벨트부재와, 상기 제 1 벨트부재의 양각부 부근에 각각 주설된 제 3, 제 4 벨트부재와, 상기 제 3, 제 4 벨트부재 사이에 놓여지고, 그 중간부를 본체 전면의 복부 부근에 전개가능한 제 5 벨트부재와, 상기 제 1 벨트부재의 복부에 있어서 반전부와 상기 제 5 벨트부재의 중간부에 설치된 한쌍의 착탈자유로운 연결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벨트 보조구.
  4.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본체 등부의 허리측 부근에서 제 1 벨트부재에 결합되고, 또한 좌우로 돌아서 복부측에 전개되는 제 2 벨트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벨트 보조구.
  5. 제 1 항 내지 제 4 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제 1 벨트부재가 복수의 벨트부재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벨트 보조구.
  6. 제 2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제 2 벨트부재의 적어도 일부가 그 길이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접어개어지고, 그 접어개기부의 상대하는 면이 그 길이방향에 가해지는 장력에 의하여 서로 잡아떼어지도록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벨트 보조구.
  7. 제 1 항 내지 제 6 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제 1 벨트부재의 적어도 일부가 그 길이방향을 대략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접어개어지고, 그 접어개기부의 상대하는 면이 그 길이방향에 가해지는 장력에 의하여 서로 잡아떼어지도록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벨트 보조구.
  8. 제 1 항 내지 제 7 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본체 등부의 양견부 부근에서 허리부 부근에 전개되고, 또한 굽힘방향에 탄성을 갖는 판상의 탄성부재로서, 그 배면측이 본체 양견부에 전개되는 제 1 벨트부재에 의하여 정면으로 향하여 지지되는 것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벨트 보조구.
  9. 제 8 항에 있어서, 탄성부재는 특성이 다른 복수의 판상부재를 포개어 맞춤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벨트 보조구.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본체 등부의 견측 부근 및/또는 복부 부근에 기존의 시트벨트를 통하여 그 시트벨트를 본체측으로 구속하기 위한 벨트관통구멍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벨트 보조구.
KR1020017006036A 1998-12-09 1999-05-28 시트벨트 보조구 KR2001008739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5044998 1998-12-09
JP98-350449 1998-12-09
PCT/JP1999/002816 WO2000034086A1 (fr) 1998-12-09 1999-05-28 Accessoire de ceinture de securit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7394A true KR20010087394A (ko) 2001-09-15

Family

ID=184105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06036A KR20010087394A (ko) 1998-12-09 1999-05-28 시트벨트 보조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1138560A1 (ko)
KR (1) KR20010087394A (ko)
CN (1) CN1131154C (ko)
CA (1) CA2353383A1 (ko)
TW (1) TW461862B (ko)
WO (1) WO200003408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0502709D0 (en) * 2005-02-10 2005-03-16 Weston Walter S Vehicle seat belt attachment for, eg Pregnant Women
GB0617956D0 (en) * 2006-09-12 2006-10-18 Dark Stuart Safety device
JP4880709B2 (ja) * 2009-02-12 2012-02-22 関東自動車工業株式会社 車両シート用固定ベルト
KR101468516B1 (ko) * 2013-07-25 2014-12-04 주식회사 써드아이 안전조끼 겸용 차량 시트용 안전벨트 구조체
GB2536913A (en) 2015-03-31 2016-10-05 Osei-Owusu Paul Child safety harness
EP3551506B1 (en) * 2016-12-06 2021-03-03 Smartridr AG Supplemental restraint harness
TWI645845B (zh) * 2017-06-12 2019-01-01 豐田生醫有限公司 安全移位輔助帶
US11932195B1 (en) * 2021-03-28 2024-03-19 Jodi Marshell Safety device for securing disabled persons in vehicles
US20240017693A1 (en) * 2022-07-13 2024-01-18 Ruff Rider Products, Inc. Vehicular safety restraint apparatus and methods for pets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83424A (ja) * 1994-12-29 1996-07-16 Toyo Kogei Kk 自動車用の補助ベルト
JPH09277902A (ja) * 1996-04-16 1997-10-28 Masahiro Watanabe 幼児用安全ベルト
JPH10100859A (ja) * 1996-09-27 1998-04-21 Hiroka Kunimi 幼児用の補助安全ベル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31154C (zh) 2003-12-17
CN1329551A (zh) 2002-01-02
EP1138560A1 (en) 2001-10-04
WO2000034086A1 (fr) 2000-06-15
CA2353383A1 (en) 2000-06-15
TW461862B (en) 2001-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91058B2 (en) Portable restraining passenger safety vest for vehicles
US6902193B2 (en) Supplemental restraint system
KR20160055238A (ko) 6점 구속 방식의 개선된 보조 구속 시스템
WO2000069291A1 (fr) Vetement de protection d'enfant pour vehicule
JP2013509331A (ja) 乳児用の車両安全ベルト補助具
US20140101859A1 (en) Foldable child lap seat
KR20010087394A (ko) 시트벨트 보조구
US7891741B2 (en) Criss-cross harness system for use with seats
JP3853804B2 (ja) 胴ベルト型安全帯とハーネス型安全帯の連結方法
JP3221837U (ja) 乳児用安全ベルトシート装置
JP2936429B2 (ja) 自動車用シートカバー
CN105313725B (zh) 儿童运输设备
US11040694B1 (en) Portable restraining passenger safety harness
JP2001151074A (ja) 安全被服
JP3180652U (ja) 防災クッション
TW473439B (en) Method and device for impact shielding
GB2383979A (en) Strap-securing device for securing a safety harness
JP2000225918A (ja) 安全保護服
GB2417224A (en) Coupling device for child safety harness
JPH10157564A (ja) 子供用保持装置
JP2000238563A (ja) シートベルト装着可能なチャイルドシートとチャイルド用保護服
JP3482556B2 (ja) 乗車時における幼児用保護部材
JP2000302005A (ja) 子供用補助シートベルト
US20080001465A1 (en) Seat Belt Auxiliary Device
JP2002294506A (ja) 身体保護用補助具及び身体保護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