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5153B1 - 현상 장치, 카트리지 및 화상 형성 장치 - Google Patents

현상 장치, 카트리지 및 화상 형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5153B1
KR102225153B1 KR1020180035421A KR20180035421A KR102225153B1 KR 102225153 B1 KR102225153 B1 KR 102225153B1 KR 1020180035421 A KR1020180035421 A KR 1020180035421A KR 20180035421 A KR20180035421 A KR 20180035421A KR 102225153 B1 KR102225153 B1 KR 1022251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veloper
developing
longitudinal direction
elastic member
carr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54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11595A (ko
Inventor
마코토 후카츠
유타 이소베
슌스케 미즈코시
šœ스케 미즈코시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8033618A external-priority patent/JP6672354B2/ja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1115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15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51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51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on a donor element, e.g. belt, roller
    • G03G15/081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on a donor element, e.g. belt, roller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donor member, e.g. surface properti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77Arrangements for metering and dispensing developer from a developer cartridge into the development unit
    • G03G15/0881Sealing of developer cartridg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on a donor element, e.g. belt, roller
    • G03G15/0812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on a donor element, e.g. belt, roller characterised by the developer regulating means, e.g. structure of doctor blad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on a donor element, e.g. belt, roller
    • G03G15/0817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on a donor element, e.g. belt, roller characterised by the lateral sealing at both sides of the donor member with respect to the developer carrying direc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96Arrangements or disposition of the complete developer unit or parts thereof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5/08 - G03G15/0894
    • G03G15/0898Arrangements or disposition of the complete developer unit or parts thereof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5/08 - G03G15/0894 for preventing toner scattering during operation, e.g. seal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9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using magnetic brush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04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the entire apparatus
    • G03G21/1619Frame structur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61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means for handling parts of the apparatus in the apparatus
    • G03G21/167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means for handling parts of the apparatus in the apparatus for the developer uni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03Arrangements or disposition of the complete process cartridge or parts thereof
    • G03G21/1814Details of parts of process cartridge, e.g. for charging, transfer, cleaning, develop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65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 G03G15/0875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cartridges having a box like shap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6Developing structures, details
    • G03G2215/0634Developing devic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길이 방향에 있어서, 단부 시일 부재의 내측 단부보다는 외측에, 그리고 단부 시일 부재의 외측 단부보다는 내측에 위치되도록 담지부의 단부가 배치되는 현상 장치, 카트리지 및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한다. 규제 부재의 단부는 담지부의 단부보다는 외측에, 그리고 단부 시일 부재의 외측 단부보다는 내측에 위치되도록 배치된다.

Description

현상 장치, 카트리지 및 화상 형성 장치 {DEVELOPING APPARATU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본 발명은 기록재에 화상을 형성하는 전자 사진 프린터 또는 전자 사진 복사기와 같은 화상 형성 장치에 이용되는 현상 장치 및 카트리지와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현상 장치(또는 카트리지 또는 화상 형성 장치)는 현상 롤러, 현상 블레이드, 및 길이 방향으로 그 단부에서 현상 롤러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프레임(현상제 케이스)을 포함한다. 또한, 현상 롤러의 단부와 프레임의 단부 사이에는 프레임(현상제 케이스)의 단부로부터 현상제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단부 시일(seal)이 제공된다.
구체적으로, 단부 시일은 서로 대향하고 있는 현상 롤러의 단부와 프레임의 단부 사이에 배치되며, 현상 블레이드의 단부의 일부가 단부 시일과 현상 롤러의 사이에 들어가도록 추가로 배치된다. 즉, 단부 시일의 제1측 상의 면이 프레임에 대해 접촉하지만, 제2측 상의 표면은 현상 롤러의 단부에 대해 접촉하는 영역과, 현상 블레이드의 단부에 대해 접촉하는 영역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일본 특허 공개 제61-185772호의 특허 문헌에 기재된 현상 장치에는, 단부 시일과 현상 롤러 사이에 현상 블레이드의 단부의 일부가 배치된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일본 특허 공개 제61-185772호의 현상 장치의 구성에서는, 현상 롤러의 길이 방향으로 단부까지 현상제를 담지할 수 있는 담지층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중앙부에 비해, 단부에서의 현상제의 대전량이 다르거나 대전량이 부족한 경우가 있다. 이 경우, 단부에서의 현상제의 대전량이 최적화되지 않고, 화상 단부에서 발생하는 “단부 흐림(fogging)”이라 칭하는 불량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의 관점에서 이루어진 것이며, 현상제를 저장하는 프레임의 단부로부터 현상제의 누출을 유효하게 억제하면서, 화상 단부의 불량의 발생을 경감할 수 있는 현상 장치, 카트리지 및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현상 장치는, 현상제를 담지하는 담지부를 포함하는 현상제 담지체, 상기 현상제 담지체에 의해 담지되는 현상제를 수용하고, 상기 현상제 담지체의 길이 방향의 단부에서 상기 현상제 담지체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현상 프레임,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상기 담지부에 담지되는 현상제의 두께를 규제하는 규제 부재, 및 상기 현상제 담지체의 단부와 상기 현상제 담지체의 단부를 지지하는 상기 현상 프레임의 단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현상 프레임의 단부에서의 상기 현상제의 누출을 규제하는 단부 시일 부재를 포함한다. 현상 장치에서, 길이 방향에 있어서, 상기 담지부의 단부는, 상기 단부 시일 부재의 내측 단부보다는 외측에, 그리고 상기 단부 시일 부재의 외측 단부보다는 내측에, 위치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규제 부재의 단부는, 상기 담지부의 단부보다는 외측에, 그리고 상기 단부 시일 부재의 외측 단부보다는 내측에, 위치되도록 배치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양태에 따른 카트리지는, 정전 잠상이 형성되는 화상 담지체, 및 카트리지가 상기 화상 담지체에 형성되는 정전 잠상을 현상하는,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따른 현상 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3 양태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는, 정전 잠상이 형성되는 화상 담지체, 및 카트리지가 상기 화상 담지체에 형성되는 정전 잠상을 현상하는,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따른 현상 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특징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예시적인 실시예의 후술하는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현상 유닛의 단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개략 단면도.
도 3a 내지 3c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현상 유닛의 개략 단면도.
도 4a 내지 4d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예의 단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현상 유닛의 단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현상 유닛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본 발명은 현상 장치, 카트리지 또는 화상 형성 장치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하에 설명하는 실시예는 예시적인 방식으로 본 발명을 설명하는 것이며, 이하에 기재되는 치수, 재질, 형상 및 상대 위치는 특히 특정적인 기재가 없는 한,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제1 실시예)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라고도 칭함)에서, 화상은 주로 이하와 같은 전자 사진 프로세스를 통해 기록 매체에 기록(형성)된다.
즉, 화상 형성 장치는, 정전 잠상을 그 위에 형성할 수 있는 화상 담지체로서의 역할을 하는 전자 사진 감광체(이하, “감광체”라고 칭함)를 균등하게 대전시킨다. 그 다음에, 대전된 감광체를 선택적으로 노광함으로써, 감광체 상에 정전 잠상이 형성된다. 그 후, 감광체 상에 형성된 정전 잠상이 현상제로서 역할을 하는 토너로 토너상으로서 가시화된다. 또한, 감광체 상에 형성된 토너상이 기록 시트 또는 플라스틱 시트와 같은 기록재에 전사된다. 또한, 기록재 상에 전사된 토너상에 열과 압력을 가함으로써, 토너상이 기록재에 정착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에서는, 감광체 드럼, 대전 부재, 현상 부재, 클리닝 부재 및 다른 부재가 카트리지를 형성하도록 프레임 내에 통합될 수 있다. 카트리지로 형성된 카트리지(예를 들면,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화상 형성 장치의 장치 본체에 착탈 가능하다.
또한, 카트리지는, 예를 들면, 감광체 드럼을 갖는 클리닝 유닛, 현상 부재를 갖는 현상 유닛(현상 장치), 현상제를 공급하는 토너 유닛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현상 부재는, 화상 형성 장치의 장치 본체로부터 착탈 가능한 카트리지(현상 카트리지)로서 구성될 수 있다.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전체 구성>
우선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화상 형성 장치)의 전체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본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는 주로 장치 본체 A와, 장치 본체 A로부터 착탈 가능한 프로세스 카트리지 B(이하, 단지 카트리지 B라고 칭할 수 있음)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장치 본체 A는 도 2에서 점선 내의 부품(카트리지 B의 부품)을 제외한 모든 부품을 포함한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구체적으로, 장치 본체 A에는, 카트리지 B의 전자 사진 감광 드럼(62)(이하, 드럼(62)으로 칭함)에 전자 잠상을 형성하는 노광 장치(3)(레이저 스캐너 유닛)이 배치된다. 또한, 장치 본체 A에는, 카트리지 B의 하부에, 기록 매체와 같은 기록재(이하, 시트재 P라고 칭함)를 수납하는 시트 트레이(미도시)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장치 본체 A에는, 시트재 P의 반송 방향 D를 따라, 전사 롤러(7), 정착 장치(9), 배출 트레이(11) 등이 순차적으로 반송 경로 상에 배치되어 있다.
<화상 형성 프로세스>
다음으로, 본 실시예의 화상 형성 프로세스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화상 형성 프로세스가 화상 형성 개시 신호에 의해 개시된다. 즉, 화상 형성 개시 신호에 기초하여, 드럼(62)이 회전 방향 R로 미리 정해진 주속도(circumferential velocity)(프로세스 속도)로 회전 구동된다. 또한, 바이어스 전압이 인가된 대전 롤러(66)는 드럼(62)의 외주면과 접촉함으로써, 드럼(62)의 외주면을 균등하고 균일하게 대전한다.
다음으로, 노광 장치(3)는 화상 정보에 따른 레이저빔 L을 출력한다. 즉, 카트리지 B의 클리닝 프레임(71)에 설치된 레이저 통로를 관통하는 레이저빔 L은 드럼(62)의 외주면을 주사 노광한다. 이에 의해, 드럼(62)의 외주면에는 화상 정보에 따른 정전 잠상이 형성된다.
한편, 현상 장치로서의 역할을 하는 현상 유닛(20)에서, 현상제 수용실로서의 역할을 하는 토너실(29) 내의 토너 T가 반송 부재(43)의 회전에 의해 혼합 및 반송되어, 현상실로서의 역할을 하는 토너 공급실(28)로 보내어진다.
토너 T는 마그넷 롤러(34)(고정 마그넷)의 자력에 의해, 현상 롤러(32)(현상제 담지체)의 표면에 흡인되어 담지된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토너 T가 마찰 대전되면서, 현상 롤러(32)의 주위면 상의 토너 T의 두께가 현상 블레이드(42)에 의해 규제된다. 토너 T는 정전 잠상에 따라 드럼(62)의 표면에 부착되고, 토너상으로서 가시상화(현상)된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레이저빔 L의 출력 타이밍에 맞추어, 장치 본체 A의 하부에 수납된 시트재 P가 시트 트레이로부터 내보내어진다. 시트재 P가, 드럼(62)과 전사 롤러(7)가 서로 대향하고 있는 전사 위치로 반송된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전사 위치에서, 토너상은 드럼(62)으로부터 시트재 P로 전사된다. 토너상이 전사된 시트재 P는 드럼(62)으로부터 분리되어 정착 장치(9)로 반송된다. 그 후, 시트재 P를 정착 장치(9)를 구성하는 가열 롤러와 가압 롤러 사이의 닙(nip)부를 통과시킴으로써, 닙부에서 가압 및 가열이 시트재 P에 행해져서 시트재 P에 토너상을 정착한다. 마지막으로, 토너상 정착 처리를 거친 시트재 P는 배출 트레이에 배출된다.
전사를 행한 드럼(62)은, 클리닝 부재(블레이드)(77)에 의해 그 외주면 상의 잔류 토너가 제거된 후, 다음 화상 형성 프로세스에 사용된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한편, 감광 드럼(62)으로부터 제거된 토너는 클리닝 유닛(60)의 폐토너실(71b)에 저장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클리닝 유닛(60)의 프레임에 폐토너실(71b)로부터의 토너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스쿠핑 시트(scooping sheet)(65)가 제공된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프로세스 카트리지 B에는, 적어도 드럼(62)에 작용하는 대전 롤러(66), 현상 롤러(32), 전사 롤러(7) 및 클리닝 부재(77)와 같은 프로세스 부재가 제공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구성>
이하, 본 실시예의 카트리지 B의 구성에 대해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 카트리지 B는 주로 클리닝 유닛(60)과 현상 유닛(20)을 포함한다. 카트리지 B는, 전자 사진 감광체(드럼(62))와, 전자 사진 감광체에 작용하는 프로세스 부재로서의 역할을 하는 대전 부재(대전 롤러(66)), 현상 부재(현상 유닛(20)) 및 클리닝 부재(클리닝 부재(77))와 같은 부재를 포함하며 통합 방식으로 카트리지로 형성된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카트리지 B는 화상 형성 장치의 장치 본체로부터 착탈 가능하다.
상술한 것에 한정되지 않고, 프로세스 카트리지 B는 예를 들면, 상술한 대전 부재, 현상 부재 및 클리닝 부재 중 적어도 하나로 카트리지화된 부재일 수 있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클리닝 유닛)
본 실시예에서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B는 클리닝 유닛(60)을 포함한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클리닝 유닛(60)은 드럼(62), 대전 롤러(66), 클리닝 부재(77) 및 상술한 부재들을 지지하는 클리닝 프레임(71)을 포함한다. 또한, 클리닝 유닛(60)에서, 대전 롤러(66)와 클리닝 부재(77)는 드럼(62)의 외주면과 접촉하도록 배치된다. 클리닝 부재(77)는 블레이드 형상의 탄성 부재로 형성되는 고무 블레이드(77a)와, 고무 블레이드(77a)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77b)를 포함한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고무 블레이드(77a)는 드럼(62)의 회전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배치되어, 드럼(62)의 표면에 대해 접촉한다. 즉, 지지 부재(77b)에 의해 지지되는 측과 반대측의 고무 블레이드(77a)의 자유단인, 고무 블레이드(77a)의 선단부가, 드럼(62)의 회전 방향으로 상류측을 향하면서 드럼(62)에 접촉한다. 한편, 드럼(62)은 구동원으로서의 역할을 하는 본체 구동 모터(미도시)로부터 구동력을 받음으로써 화상 형성 동작에 따라 도 2에 나타내는 회전 방향 R로 회전 구동된다.
대전 롤러(66)는 클리닝 유닛(6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또한, 대전 롤러(66)는 드럼(62)을 향해 가압되는 압력에 의해 드럼(62)에 압접되고, 드럼(62)의 회전에 종동 회전한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현상 유닛(20)은 주로 현상 롤러(32), 현상 롤러(32)를 지지하고 그 내부에 토너(현상제) T를 저장하는 현상제 케이스(23) 및 현상제 담지체 상의 현상제를 규제하는 현상 블레이드(42)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현상 롤러(32)는 본 발명의 “현상제 담지체”를 구성하고, 현상제 케이스(23)는 “현상 프레임”을 구성하고, 현상 블레이드(42)는 “규제 부재”를 구성한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구체적으로, 현상 롤러(32)는 원통형의 기체(基體, base)(32a)(도 1 참조) 및 기체(32a)의 외주면에 제공된 현상제 담지층(32b)(담지부, 도 1 참조)을 포함한다. 또한, 기체(32a)의 내부에는 마그넷 롤러(34)가 삽입되어 제공된다. 또한, 현상 유닛(20)에는, 현상 롤러(32)의 전면(front surface)(담지층(32b)) 상에 담지된 토너의 층 두께를 규제하는 현상 블레이드(42)가 현상 롤러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현상 롤러(32)는 현상제 케이스(23)의 개구(231)에 끼워져 있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간격 보유 지지 부재(미도시)가 현상 롤러(32)(기체(32a))의 길이 방향으로 현상 롤러(32)의 2개의 단부(32a1)(도 1 참조)에 장착되어 있다. 간격 보유 지지 부재를 드럼(62)에 대해 접촉시킴으로써, 현상 롤러(32)는 드럼(62)과 미리 정해진 미세 간격을 형성하도록 보유 지지된다.
현상 롤러(32)는 길이 방향으로 2개의 단부(32a1)에서 현상제 케이스(23)(현상 프레임)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시일 부재(45)(2개의 단부(32a1)의 각각에 대응하는 단부 시일 부재)가 현상 롤러(32)(기체(32a))의 단부(32a1)와 현상제 케이스(23)의 단부(미도시)사이에 개재되도록 배치된다. 시일 부재(45)에 의해, 현상제 케이스(23)(현상 프레임)의 단부에서의 현상제의 누출이 규제된다.
또한,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현상 유닛(20)의 개구(231)로부터 토너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누출 방지 시트(33)가 제공된다. 누출 방지 시트(33)는 현상 롤러(32)에 대하여 접촉하도록 제공된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현상제 케이스(23)의 토너실(29)에는 반송 부재(43)가 제공된다. 반송 부재(43)에 의해, 토너실(29)에 저장된 토너가 혼합되고 토너 공급실(28)(현상실)로 반송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스프링과 같은 가압 부재(미도시)의 가압력에 의해, 현상 유닛(20)이 클리닝 유닛(60)에 접근하도록 현상 유닛(20)을 가압함으로써, 현상 롤러(32)가 드럼(62)에 대해 확실하게 가압된다. 또한, 현상 롤러(32)의 2개의 단부에 장착된 간격 보유 지지 부재에 의해, 현상 롤러(32)는 드럼과 미리 정해진 간격을 형성하도록 보유 지지된다.
알려진 통상적인 구성에서는, 프레임의 단부의 시일 특성을 얻기 위하여, 현상 롤러에 대한 단부 시일의 접촉 압력이 증가될 필요가 있다(단부 시일을 향해 현상 롤러를 가압할 필요가 있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이 경우, 단부 시일과 현상 블레이드의 단부가 서로 접촉하는 영역에서, 가압으로 인해 현상 블레이드가 현상 롤러의 주위면을 따라 변형(신장)될 수 있다.
따라서, 알려진 통상적인 구성에서는, 현상 롤러의 축 방향으로, 단부 시일 내측에서 단부 부근의 현상 블레이드의 부분이 현상 롤러의 표면으로부터 뜨기 쉬워진다. 현상 블레이드의 이러한 떠오름에 의해 증가된 간격에 현상제가 들어오면, 현상제가 단부에서 외측으로 쉽게 누출되는 것과 같은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알려진 통상적인 문제에 대해, 일본 특허 공개 제61-185772호는, 단부 시일이 접촉하는 현상 블레이드의 단부에 노치가 제공되는 구성을 제안한다. 이 구성에 따르면, 현상 블레이드의 변형(신장)으로 인한 현상 블레이드의 단부의 떠오름이 경감될 수 있다.
하지만, 일본 특허 공개 제61-185772호의 구성에서는, 현상 블레이드의 단부의 노치에 의해, 단부 부근의 영역에서 짧은 방향으로 현상 블레이드의 짧으므로, 현상 블레이드와 현상 롤러의 사이의 닙부로 현상제를 드래깅(dragging)하는 동작이 약해질 수 있다.
따라서, 현상 블레이드와 현상 롤러 사이의 닙부에서의 마찰 대전 효과가 저하할 수 있고, 중앙부에 비해 단부에서의 현상제의 대전량이 부족할 가능성이 더욱 높아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단부에서의 현상제의 대전량이 용이하게 최적화되지 않고, “단부 흐림”과 같은 화상 단부의 불량이 쉽게 발생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후술하는 본 실시예의 단부 시일의 구성은 이러한 문제도 해결 또는 극복할 수 있다.
<단부 시일의 구성>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본 실시예에 따른 단부 시일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특히, 시일 부재(45)(단부 시일 부재), 현상 블레이드(42)(규제 부재), 및 현상 롤러(32)(현상 담지체)의 담지층(32b) 사이의 위치 관계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현상 유닛의 단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1은 현상 유닛(20)(도 2 참조)의 길이 방향(회전 축 방향)의 단부에서, 현상 롤러(32)를 현상제 케이스(23)로부터 장착 해제하여 평행 이동시킨 상태를 나타낸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현상 블레이드(42)(규제 부재)는 지지 부재(42a)와, 지지 부재에 장착되어 현상제의 규제부로서 기능하는 탄성 부재(42b)를 포함한다. 현상 롤러(32)의 담지층(32b)에 대해 접촉하는 탄성 부재(42b)는 담지층(32b) 상에 담지되는 현상제의 두께를 규제한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탄성 부재(42b)는, 지지 부재(42a)에 고정된 짧은 방향(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의 일단인 고정단(42b2)과, 고정단과는 반대측 단부인 자유단(42b3)을 포함한다. 지지 부재(42a)는 현상제 케이스(23)에 고정된다.
본 실시예에서, 현상 블레이드(42)(규제 부재)를 구성하는 탄성 부재(42b)의 고정단(42b2)은 지지 부재(42a)를 거쳐 현상제 케이스(23)에 고정되어 있지만; 고정단(42b2)은 지지 부재(42a)를 거치지 않고, 현상제 케이스(23)에 직접 고정될 수도 있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즉, 현상 블레이드(42)는 탄성 부재(42b)만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시일 부재(45)(단부 시일 부재)는 현상 유닛(20)의 길이 방향으로 현상제 케이스(23)에 저장된 토너 T가 케이스의 단부로부터 외부로 이동(누출)하는 것을 방지하는 부재이다.
시일 부재(45)는 현상 롤러(32)의 축 방향(길이 방향)의 2개의 단부에서, 현상제 케이스(23)(도 1 참조) 내의 토너가 외부로 누출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현상제 케이스(23)와 현상 롤러(32) 사이에 제공된다. 길이 방향의 단부에서, 현상제 케이스(23)(현상 프레임)와 현상 롤러(32) 사이에 현상 블레이드(42)의 일부가 배치되고, 현상제 케이스(23)와 현상 블레이드(42) 사이의 간격도 시일 부재(45)에 의해 시일링된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시일 부재(45)는 현상 롤러(32)의 축 방향의 단부의 주위면에 접촉하도록 현상제 케이스(23)의 시일 부재 부착면(미도시) 상에 배치된다. 시일 특성을 높이기 위하여, 탄성 부재(42b)의 일부(단부(42b1))는 현상 롤러(32)의 단부의 주위면과 시일 부재(45)의 사이에 있도록 배치된다.
즉, 도 1로부터 이해될 수 있는 바와 같이, 시일 부재(45)와 현상 롤러(32)(담지층(32b))의 접촉 영역과, 시일 부재(45)와 탄성 부재(42b)의 접촉 영역은 현상 롤러(32)의 축 방향(길이 방향)으로 서로 일부 중첩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현상 블레이드(42)의 탄성 부재(42b)는 길이 방향으로 현상 롤러(32)의 전체 영역에 대해 접촉하여, 접촉부(닙) Q를 형성한다. 도 1에서, 접촉부 Q는 사선으로 표시한다.
본 실시예에서, 탄성 부재(42b)의 자유단(42b3)은 탄성 부재(42b)와 현상 롤러(32) 사이의 접촉부 Q(도 1 및 도 3에 도시)보다 회전 방향 M으로 상류측에 존재하도록 구성된다.
즉, 현상 롤러(32)의 회전 방향 M에 있어서, 담지층(32b)에 접촉 가능한 자유단(42b3)의 선단면(42b3)이 규제 부재(탄성 부재(42b))와 담지층(32b)이 접촉되는 접촉 위치(접촉부 Q)보다 상류측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현상 롤러(32)의 회전 축 방향(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짧은 방향)에서, 탄성 부재(42b)의 제1 영역 A2에서의 자유단은 제2 영역 A1에서의 자유단에 비해, 회전 방향 M이 상류측으로 더욱 돌출된다.
즉, 현상 블레이드(42)의 탄성 부재(42b)는, 짧은 방향에 있어서 고정단(42b2)으로부터 자유단(42b3)까지의 자유 길이는, 길이 방향에서의 단부측의 자유단(42b5)의 자유 길이 L2보다는, 단부보다 내측(중앙측)에 있는 자유단(42b4)의 자유 길이 L1가 더 길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규제 부재를 구성하는 탄성 부재(42b)는, 길이 방향에 있어서, 단부 측에 위치하는 제1 부분(제2 영역 A1)과, 단부측보다 내측에 위치하는 제2 부분(제1 영역 A2)을 포함할 수 있다.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직교 방향에 있어서, 제1 부분은 제1 길이(L2)를 갖고, 제2 부분은 제1 길이(L2)보다 긴 제2 길이(L1)를 가질 수 있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단부 시일 부재(시일 부재(45))는, 규제 부재의 제1 부분(제2 영역 A1)과 접촉하고, 제2 부분(제1 영역 A2)과는 접촉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규제 부재의 제2 부분(제1 영역 A2)은, 제1 부분(제2 영역 A1)보다도, 접촉 위치(접촉부 Q)로부터 자유단(42b3)의 선단면(42b3)까지의 거리가 더 길게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규제 부재를 구성하는 탄성 부재(42b)의, 제1 부분에 대응하는 단부는, 담지층(32b)의 단부보다는 외측이고, 시일 부재(45)의 외측 단부보다는 내측에 위치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1 부분에서, 후술하는 접촉부(Q1)를 형성할 수 있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현상 롤러(32)는 기체(32a)와, 기체(32a) 상에 형성된 담지층(32b)을 포함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현상제 담지체를 구성하는 현상 롤러(32)는,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직교 방향에 있어서, 원형의 단면을 갖는 기체(32a)를 포함하고, 담지층(32b)은 기체의 외주면 상에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길이 방향에서의 담지층(32b)의 단부(32b1)는, 회전할 때에, 기체(32a)의 외주면의 원주 방향(circumferential direction)의 전 영역에 걸쳐서, 현상 블레이드(42)(탄성 부재(42b))와 접촉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기체(32a)는 예를 들면, 알루미늄이나 SUS와 같은 금속 재료 또는 수지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기체(32a)는 강체인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한편, 담지층(32b)은, 수지 중에 카본 블랙이나 그래파이트(graphite)와 같은 도전성 물질이나 고체 윤활제를 분산시켜 기체(32a)의 외주면을 피복하는 커버층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현상 장치(현상 유닛) 내의 토너는 담지층(32b)과 슬라이딩 마찰됨으로써 적정한 대전량이 부여된다.
본 발명의 “담지부”는 기체(32a)의 표면에 담지층(32b)를 적층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거나, 기체(32a)의 표면의 일부를 조면화(surface roughening)와 같은 표면 처리를 행함으로써 형성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현상제 담지체를 구성하는 기체(32a)는, 알루미늄을 이용하여 관 형상(tubular shape)으로 형성된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관 형상의 기체(32a)의 표면 상에는 카본 블랙을 포함하는 수지가 도포 및 피복되어, 담지층(32b)을 형성한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의 담지층(32b)의, 시일 부재(45)와 현상 블레이드(42)와의 위치 관계에 대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길이 방향에 있어서, 현상 롤러(32)의 담지층(32b)의 단부(32b1)는, 시일 부재(45)의 내측의 단부(451)보다는 외측에, 그리고 시일 부재(45)의 외측의 단부(452)보다는 내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현상 블레이드(42)(탄성 부재(42b))의 단부(42b1)는, 담지층(32b)의 단부(32b1)보다는 외측이고, 시일 부재(45)의 외측의 단부(452)보다는 내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즉, 길이 방향에서, 현상 블레이드(42)(탄성 부재(42b))의 단부(42b1)는, 담지층(32b)의 단부(32b1)보다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시일 부재(45)의 외측 단부(452)는, 나아가 현상 블레이드(42)(탄성 부재(42b))의 단부(42b1)보다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 1로부터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직교 방향을 따라 보았을 때, 현상 롤러(32)의 담지층(32b)의 영역의 일부와, 시일 부재(45)의 영역의 일부가, 길이 방향에서 서로 중첩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담지층(32b)의 단부(32b1)는, 길이 방향에 있어서, 현상 블레이드(42)의 탄성 부재(42b)의 단부(42b1)보다 내측(중앙부측)에 위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길이 방향에서의 단부측의 근방에서, 탄성 부재(42b)와 시일 부재(45)를 중첩시킴으로써 이하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탄성부재(42b)는, 현상 롤러(32)에 더욱 강하게 가압되어, 길이 방향의 단부 근방에서는 현상 롤러(32)와의 접촉 폭 Q1이 단부 이외의 다른 부분에서의 현상 롤러(32)와의 접촉 폭 Q2보다 넓어지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길이 방향의 단부 근방에 공급된 토너는, 현상 롤러(32)와 탄성 부재(42b)와의 접촉 폭 Q1이 넓어진 영역에서, 현상 롤러(32) 상의 담지층(32b)에 충분히 슬라이딩 마찰됨으로써 대전량이 높아진다.
그 결과, 길이 방향의 단부 근방에서의 “단부 흐림”의 원인인 반전 토너량이 점차 감소하여, 화상 불량, 즉 “단부 흐림”이 경감된다.
또한, 탄성 부재(42b)의 자유단(선단면)(42b5)을, 현상 롤러(32)와의 접촉부(Q1)보다 회전 방향 M의 상류측에 존재하도록 함으로써, 단부 근방의 접촉 폭 Q1이 화상 형성 영역의 접촉 폭 Q2보다 확실하게 크게 된다. 이에 의해, 길이 방향의 단부 근방에서의 토너로의 대전 부여 효과가 향상된다. 또한, 현상 롤러(32)와 탄성 부재(42b) 사이에 접촉부가 존재하고 있으면, 길이 방향으로 단부가 중첩하는 부분의 근방에서, 접촉 폭 Q1의 증가로 인한 상술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탄성 부재(42b)와 현상 롤러(32) 사이의 접촉부 Q에서부터 자유단까지의 길이를, 제2 영역 A1보다 제1 영역 A2이 길게 되도록 함으로써, “단부 흐림”을 억제하는 효과와, 길이 방향 전 영역의 대전 부여 효과를 모두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제2 영역 A1에 있어서, 탄성 부재(42b)의 자유단(42b5)이, 현상 롤러(32)의 접촉부(Q1)보다 회전 방향 M의 상류측에 존재함으로써, 길이 방향의 단부 근방에서의 접촉 폭 Q1이 증가하는 영역으로 보내어지는 토너의 도입량을 적절히 증가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길이 방향의 단부 근방에 있어서, 보다 적정한 대전량의 토너를 증가시킬 수 있다.
도 3a 내지 3c 및 도 4a 내지 4d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효과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a 내지 3c는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현상 유닛(20)의 단면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개략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3a는 길이 방향의 중앙부(제1 영역 A2)에 있어서의,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현상 유닛(20)의 단면(즉, 도 1의 선 IIIA-IIIA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위치에서의 단면)을 나타낸다.
또한, 도 3b는 길이 방향의 단부(제2 영역 A1)에 있어서의,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현상 유닛(20)의 단면(즉, 도 1의 선 IIIB-IIIB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위치에서의 단면)을 나타낸다.
또한, 도 3c는 길이 방향의 단부(제2 영역 A1)에 있어서의,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현상 유닛(20)의 단면(즉, 도 1의 선 IIIC-IIIC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위치에서의 단면)을 나타낸다.
도 1 및 도 3a 내지 3c로부터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탄성 부재(42b)는, 양 단부의 제2 영역 A1를 중앙의 제1 영역 A2보다 짧게 함으로써(L2<L1), 이하의 효과를 추가로 얻을 수 있다.
즉, 길이 방향의 중앙에 위치하는 제1 영역 A2에서는, 현상 롤러(32)와 탄성 부재(42b)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 F(도 3a에 나타냄)에 토너를 넣음으로써, 현상 롤러(32) 상에 토너 피복층을 미리 정해진 층 두께가 되도록 규제할 수 있다.
한편, 길이 방향의 단부에 위치하는 제2 영역 A1에서는, 탄성 부재(42b)와 시일 부재(45)가 서로 중첩하여 생성되는 공간 G(도 3c에 나타냄)를 공간 F보다 작게 할 수 있다. 즉, 제2 영역 A1에서는, 공간 G를 탄성 부재(42b)의 두께분만큼까지 작게 할 수 있다.
현상 롤러(32)와 탄성 부재(42b) 사이에 형성된 공간이 제1 영역 A에서보다 제2 영역 A1에서 더 작기 때문에, 중앙측에 위치하는 공간 F(도 3a에 나타냄)보다 단부측에 위치하는 공간 G(도 3c에 나타냄)에서 도입되는 토너량이 더 적다. 따라서, 제2 영역 A1은, 제1 영역 A2에 비해, 후속적으로 도입되는 토너에 의해 밀려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는 토너량도 적게 되어, 현상제 케이스의 단부로부터의 토너 누출이 한층 더 경감된다.
길이 방향에 있어서, 현상 롤러(32)의 담지층(32b) 상의 토너의 대전량은, 담지층(32b)과 탄성 부재(42b)의 슬라이딩 마찰에 의해 적정화되므로, 토너 전하에 의해 생성된 경영력(鏡映力; image force)으로, 담지층(32b) 상에 토너가 담지되기 쉬워진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담지층(32b)이 탄성 부재(42b)보다 길이 방향의 내측(중앙)에 배치되기 때문에, 탄성 부재(42b)의 길이 방향의 단부의 외측으로는 토너가 반송되는 것이 적어지게 되어, 단부 시일 부재에 의한 토너 시일링이 확실히 행해질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a 내지 4d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의 비교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4a 내지 4d는 본 실시예의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예(비교예)의 단부 구성의 개략도이다.
도 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담지층(32b)의 길이 방향의 단부 위치(32 b1)가 시일 부재(45)의 단부 위치(451)보다 내측(중앙측)에 있는 경우, 접촉 폭 Q10이 증가하는 영역이 존재할 것이다. 이 영역에서, 담지층(32b)과 슬라이딩 마찰하지 않기 때문에, 길이 방향의 단부 근방의 토너에 대해 적정한 대전량을 얻기 어렵다. 따라서, 도 4a에 나타내는 비교예의 구성에서는, 상술한 본 실시예에 비해 “단부 흐림”의 개선 효과가 적다.
또한,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담지층(32b)의 길이 방향의 단부 위치(32 b1)가 시일 부재(45)의 단부 위치(451)와 동일한 경우, 담지층(32b)의 경계에 있어서, 토너 피복량이 증가한다. 따라서, 접촉 폭 Q10이 증가하는 영역에서의 마찰 전기 부여(마찰 대전) 효과가 감소된다. 그 결과, 상술한 본 실시예에 비해, 도 4b에 나타내는 비교예의 구성에서는, “단부 흐림”의 억제 효과가 적다.
또한, 도 4c 및 도 4d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담지층(32b)의 길이 방향의 단부 위치(32 b1)가 탄성 부재(42b)의 단부(42b1)보다 외측에 있는 경우, 탄성 부재(42b)의 단부(42b1)보다 외측으로 토너가 반송되기 쉽다. 이 때문에, 상술한 본 실시예에 비해, 도 4c 및 4d에 나타낸 비교예의 구성에서, 토너의 시일링이 곤란하게 되고, 시일 부재(45)로부터 외측으로 토너가 누출되기 쉬워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효과를 얻기 위해서, 기본적으로,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담지층(32b)와 시일 부재(45)가 길이 방향으로 서로 중첩하도록 배치될 필요가 있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중첩 부분에 대해서는, 관 형상의 기체(32a)의 원주 방향의 적어도 일부(부분 영역)에 담지층(32b)을 제공할 수 있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하지만, 길이 방향의 단부에서의 토너의 대전량을 보다 적정화하기 위해서는, 원주 방향의 일부의 영역뿐 아니라 관 형상 기체(32a)의 원주방향 전체 영역에 담지층(32b)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현상 블레이드(42)는, 단부에서의 현상 롤러(32)와의 압력이 높아져 대전량 향상 효과를 얻기 더욱 쉬우므로, 금속과 같은 강체 재료로 형성할 수도 있다. 탄성 재료는, 쉽게 변형되는 특성에 의해 “접촉 폭 Q1”을 증가시키는 효과를 얻기 쉬우므로, 현상 블레이드(42)를 구성하는 재료로서 더욱 바람직하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담지층(32b)의 단부(32b1)를 시일 부재(45)의 내측 단부(451)보다 외측에 배치하고, 담지층(32b)의 단부(32b1)를 탄성 부재(42b)의 단부(42b1)보다 내측에 배치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단부 영역의 토너의 마찰 대전 특성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현상제 케이스의 단부를 통한 토너의 누출이 효과적으로 억제될 수 있다. 즉, 담지층(32b)을 따라 길이 방향의 중앙측으로부터 단부측으로 반송되는 토너가 접촉부(Q1)에 더욱 쉽게 공급될 수 있어, 단부의 마찰 대전 특성이 향상된다. 한편, 길이 방향의 중앙측으로부터 단부측으로 반송된 토너는 탄성 부재(42b)의 단부(42b1)를 넘는 것이 적기 때문에, 시일 부재(45)를 넘어 외부로 누출되는 토너는 더욱 적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탄성 부재(42b)의 자유단(42b5)을 접촉부(Q1)보다 회전 방향 M의 상류측으로 돌출하여 배치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접촉부(Q1)로의 토너의 도입량이 적절히 증가될 수 있어, 길이 방향의 단부 근방에서 보다 적정한 대전량의 토너를 증가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구성에서는, “단부 흐림”의 억제와 시일 특성의 향상 모두가 달성될 수 있다. 즉, 프레임에 수용된 현상제의 단부 누출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뿐만 아니라, 화상 단부의 불량의 발생을 경감할 수 있다.
(제2 실시예)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기본적으로 제1 실시예의 구성과 유사한 구성을 가지며, 다른 점에 대해 도 5 및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의 현상 유닛의 단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또한, 도 6은 본 실시예의 현상 유닛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로 본 실시예의 탄성 부재(42b)가 제1 실시예의 탄성 부재와 상이하다.
구체적으로,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실시예에서는, 탄성 부재(42b)는 고정단(42b2)으로부터 자유단(42b4 또는 42b5)까지의 길이가 다른 2개의 영역(즉, 제1 영역 A2 및 제2 영역 A1)을 포함한다. 자유단(42b4)과 자유단(42b5)의 사이에는,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단차부(42b6)가 설치되어 있다.
이에 반해,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탄성 부재(42b)는, 중앙부의 영역(이하, 제1 영역 A2라 칭함)과 단부의 영역(이하, 제2 영역 A1이라 칭함)은 경사진 영역(이하, 제3 영역 A3이라 칭함)에 의해 서로 접속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제2 영역 A1은, 제3 영역 A3보다 길이 방향에 대한 경사가 완만하거나 경사지지 않은 형상(평행)을 갖는 자유단(42b5)을 포함한다.
즉, 탄성 부재(42b)의 제1 영역 A2와 제2 영역 A1 사이에 존재하는 제3 영역 A3은, 제2 영역 A1으로부터 제1 영역 A2에 걸쳐, 고정단(42b2)으로부터 대응하는 자유단(42b7)까지의 거리가 점차 증가하도록 형성된다. 즉, 제3 영역 A3의 자유단(42b7)은, 제1 영역 A2에서의 자유단(42b5)과 제2 영역 A1에서의 자유단(42b4)에 대해 경사지도록 형성된다.
즉, 규제 부재를 구성하는 탄성 부재(42b)는, 길이 방향에 있어서, 제1 부분(제2 영역 A1)과 제2 부분(제1 영역 A2)의 사이에 배치되고, 제1 부분과 제2 부분을 서로 접속하는 제3 부분(제3 영역 A3)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3 부분(제3 영역 A3)은, 제1 길이 L2보다 길고, 제2 길이 L1보다 짧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3 부분(제3 영역 A3)의 길이는, 제1 길이 L2로부터 제2 길이 L1까지 연속적으로 변할 수 있다.
또한, 도 5로부터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시일 부재(45)는, 규제 부재(탄성 부재(42b))의 제1 부분(제2 영역 A1)과는 접촉하고, 제3 부분(제3 영역 A3)과는 접촉하지 않을 수 있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현상 롤러(32)가 회전 방향 M으로 회전함으로써, 화살표 방향 M1~M4로 가리킨 바와 같이, 제3 영역 A3에 위치하는 자유단(42b7)의 경사진 형상을 따라, 토너가 체류하지 않고 길이 방향의 외측으로 이동(순환)한다. 그 결과, 탄성 부재(42b)와 현상 롤러(32) 사이의 접촉 폭 Q1(도 5 참조)이 증가하는 부분을 향해 토너를 보내는 것이 더욱 쉬워진다. 이에 의해, 대전 부여 효과가 증가하고, “단부 흐림” 현상이 더욱 저감될 수 있다.
또한,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제3 영역 A3의 자유단(42b7)의 경사보다 길이 방향에 대한 경사가 완만하거나, 또는 경사가 없는 제2 영역 A1이, 제3 영역 A3보다, 길이 방향의 단부측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제2 영역 A1에서 발생하는 토너의 이동은, 현상 롤러(32)의 회전에 의해 야기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제2 영역 A1에서 길이 방향의 외측으로의 추진력이 작아지게 되고, 제2 영역 A1에서의 토너 반송 속도가 감쇠한다. 그 결과, 공간 G(도 3c 참조)를 통해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는 토너가 현상제 케이스의 단부로부터 누출되는 것이 적어지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를 이용함으로써, 현상제 케이스의 단부 시일 특성을 향상시키면서, “단부 흐림”이 더욱 더 억제될 수 있다.
(그 외)
상술한 현상 유닛(현상 장치)는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장치 본체로부터 착탈 가능한 카트리지로 현상 유닛(현상 장치)을 형성함으로써 현상 카트리지로서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는, 정전 잠상이 형성되는 화상 담지체와, 화상 담지체 상에 형성되는 정전 잠상을 현상하는 현상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카트리지 B는 장치 본체 A로부터 착탈 가능하지만, 장치 본체 A와 카트리지 B가 일체화되어 화상 형성 장치를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는 화상 형성 장치의 장치 본체로부터 착탈 가능한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이용하여 화상을 형성할 수도 있다.
현상 장치, 카트리지 및 화상 형성 장치는 프레임 내에 저장된 현상제의 단부 누출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화상 단부에서의 불량의 발생을 저감할 수도 있다.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개시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의 청구항의 범위는 이러한 모든 변형 및 동등한 구성 및 기능을 포함하도록 최광의의 해석에 따라야 한다.

Claims (20)

  1. 현상 장치로서,
    원통형의 기체부와, 현상제를 담지하며 상기 기체부의 외주면상에 형성되는 담지부를 포함하는 현상제 담지체;
    상기 현상제 담지체에 의해 담지되는 현상제를 수용하고, 상기 현상제 담지체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현상 프레임;
    상기 담지부에 담지되는 현상제의 두께를 규제하기 위해,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탄성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탄성 부재가 상기 현상 프레임에 고정되는 고정단측과, 상기 탄성부재와 상기 담지부 사이에 닙부가 형성되는 자유단측을 가지는, 규제 부재; 및
    상기 현상제 담지체의 상기 기체부와, 상기 현상제 담지체의 상기 기체부를 지지하는 상기 현상 프레임의 지지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현상 프레임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상기 현상 프레임의 단부로부터의 상기 현상제의 누출을 규제하는 단부 시일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직교 방향으로 제1 길이를 갖고, 상기 길이 방향의 단부측에 위치되는 제1 부분, 및 상기 직교 방향으로 상기 제1 길이보다 긴 제2 길이를 갖고, 상기 길이 방향의 상기 단부측보다 내측에 위치되는 제2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길이 방향에 있어서, 상기 담지부의 단부는, 상기 단부 시일 부재의 내측 단부보다는 외측에, 그리고 상기 단부 시일 부재의 외측 단부보다는 내측에, 위치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 부분의 단부는, 상기 담지부의 단부보다는 외측에, 그리고 상기 단부 시일 부재의 상기 외측 단부보다는 내측에, 위치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1 부분의 상기 자유단측은 상기 단부 시일 부재와 접촉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 부분에 대응하는 상기 자유단측의 선단은, 상기 현상제 담지체의 회전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에 대응하는 상기 닙부의 상류측에 배치되는, 현상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부 시일 부재는, 상기 제1 부분과 접촉하고, 상기 제2 부분과 접촉하지 않는, 현상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2 부분에 대응하는 단부는, 상기 단부 시일 부재의 상기 내측 단부보다 내측에 위치되도록 배치되는, 현상 장치.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닙부로부터 상기 제2 부분의 자유단측의 선단까지의 거리가, 상기 닙부로부터 상기 제1 부분의 자유단측의 선단까지의 거리보다 긴, 현상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규제 부재는, 지지 부재와, 상기 지지 부재에 장착되는 상기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현상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길이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제2 부분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제2 부분을 서로 접속하는 제3 부분을 포함하는, 현상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부분은, 상기 직교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1 길이보다 크고, 상기 제2 길이보다 작은 길이를 갖는, 현상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부분은, 상기 제1 길이로부터 상기 제2 길이까지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길이를 갖는, 현상 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단부 시일 부재는, 상기 제 1 부분과 접촉하고, 상기 제3 부분과 접촉하지 않는, 현상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담지부는, 상기 현상제를 담지 가능한 담지층으로 형성되는, 현상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 방향에서의 상기 담지부의 단부는, 상기 기체부의 외주면의 원주 방향의 전체 영역에 걸쳐 형성되고,
    상기 현상제 담지체가 회전할 때, 상기 담지부의 상기 단부가 상기 탄성 부재에 접촉 가능한, 현상 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 담지체는 상기 기체부에 삽입된 마그넷 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현상제는 상기 마그넷 롤러의 자기력에 의해 끌어당겨져서 상기 담지부에 의해 담지되는, 현상 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담지부는 상기 현상제에 슬라이딩 마찰함으로써 상기 현상제를 대전시키는, 현상 장치.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담지부는 상기 기체부의 상기 외주면을 피복하는 커버층인, 현상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기체부는 강체이고,
    상기 커버층은 수지에 도전성 물질이 분산시킨 수지 재료로 형성되는, 현상 장치.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 장치는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장치 본체로부터 착탈 가능한, 현상 장치.
  19. 카트리지로서,
    정전 잠상이 형성되는 화상 담지체; 및
    상기 화상 담지체에 형성되는 정전 잠상을 현상하는 현상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현상 장치는,
    원통형의 기체부와, 현상제를 담지하며 상기 기체부의 외주면상에 형성되는 담지부를 포함하는 현상제 담지체;
    상기 현상제 담지체에 의해 담지되는 현상제를 수용하고, 상기 현상제 담지체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현상 프레임;
    상기 담지부에 담지되는 현상제의 두께를 규제하기 위해,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탄성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탄성 부재가 상기 현상 프레임에 고정되는 고정단측과, 상기 탄성부재와 상기 담지부 사이에 닙부가 형성되는 자유단측을 가지는, 규제 부재; 및
    상기 현상제 담지체의 상기 기체부와, 상기 현상제 담지체의 상기 기체부를 지지하는 상기 현상 프레임의 지지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현상 프레임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상기 현상 프레임의 단부로부터의 상기 현상제의 누출을 규제하는 단부 시일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직교 방향으로 제1 길이를 갖고, 상기 길이 방향의 단부측에 위치되는 제1 부분, 및 상기 직교 방향으로 상기 제1 길이보다 긴 제2 길이를 갖고, 상기 길이 방향의 상기 단부측보다 내측에 위치되는 제2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길이 방향에 있어서, 상기 담지부의 단부는, 상기 단부 시일 부재의 내측 단부보다는 외측에, 그리고 상기 단부 시일 부재의 외측 단부보다는 내측에, 위치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 부분의 단부는, 상기 담지부의 단부보다는 외측에, 그리고 상기 단부 시일 부재의 상기 외측 단부보다는 내측에, 위치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1 부분의 상기 자유단측은 상기 단부 시일 부재와 접촉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 부분에 대응하는 상기 자유단측의 선단은, 상기 현상제 담지체의 회전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에 대응하는 상기 닙부의 상류측에 배치되는, 카트리지.
  20. 화상 형성 장치로서,
    정전 잠상이 형성되는 화상 담지체; 및
    상기 화상 담지체에 형성되는 정전 잠상을 현상하는 현상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현상 장치는,
    원통형의 기체부와, 현상제를 담지하며 상기 기체부의 외주면상에 형성되는 담지부를 포함하는 현상제 담지체;
    상기 현상제 담지체에 의해 담지되는 현상제를 수용하고, 상기 현상제 담지체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현상 프레임;
    상기 담지부에 담지되는 현상제의 두께를 규제하기 위해,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탄성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탄성 부재가 상기 현상 프레임에 고정되는 고정단측과, 상기 탄성부재와 상기 담지부 사이에 닙부가 형성되는 자유단측을 가지는, 규제 부재; 및
    상기 현상제 담지체의 상기 기체부와, 상기 현상제 담지체의 상기 기체부를 지지하는 상기 현상 프레임의 지지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현상 프레임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상기 현상 프레임의 단부로부터의 상기 현상제의 누출을 규제하는 단부 시일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직교 방향으로 제1 길이를 갖고, 상기 길이 방향의 단부측에 위치되는 제1 부분, 및 상기 직교 방향으로 상기 제1 길이보다 긴 제2 길이를 갖고, 상기 길이 방향의 상기 단부측보다 내측에 위치되는 제2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길이 방향에 있어서, 상기 담지부의 단부는, 상기 단부 시일 부재의 내측 단부보다는 외측에, 그리고 상기 단부 시일 부재의 외측 단부보다는 내측에, 위치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 부분의 단부는, 상기 담지부의 단부보다는 외측에, 그리고 상기 단부 시일 부재의 상기 외측 단부보다는 내측에, 위치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1 부분의 상기 자유단측은 상기 단부 시일 부재와 접촉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 부분에 대응하는 상기 자유단측의 선단은, 상기 현상제 담지체의 회전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에 대응하는 상기 닙부의 상류측에 배치되는,, 화상 형성 장치.
KR1020180035421A 2017-03-30 2018-03-27 현상 장치, 카트리지 및 화상 형성 장치 KR10222515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069286 2017-03-30
JPJP-P-2017-069286 2017-03-30
JP2018033618A JP6672354B2 (ja) 2017-03-30 2018-02-27 現像装置、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JP-P-2018-033618 2018-02-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1595A KR20180111595A (ko) 2018-10-11
KR102225153B1 true KR102225153B1 (ko) 2021-03-08

Family

ID=636692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5421A KR102225153B1 (ko) 2017-03-30 2018-03-27 현상 장치, 카트리지 및 화상 형성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310412B2 (ko)
KR (1) KR102225153B1 (ko)
CN (1) CN10869373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66616B2 (en) * 2017-08-31 2019-11-05 Canon Kabushiki Kaisha Developing cartridge
JP6953262B2 (ja) * 2017-10-03 2021-10-27 キヤノン株式会社 枠体、現像ユニット及び枠体の製造方法
US10890858B2 (en) * 2019-03-06 2021-01-12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Development devic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76978A (ja) * 2011-09-16 2013-04-25 Ricoh Co Ltd 現像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5132675A (ja) * 2014-01-10 2015-07-23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85772A (ja) 1985-02-14 1986-08-19 Toshiba Corp 現像装置
JPH09114230A (ja) * 1995-10-20 1997-05-02 Canon Inc 現像剤担持体、現像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2000132027A (ja) * 1998-10-23 2000-05-12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US6658223B2 (en) * 2001-11-29 2003-12-02 Kyocera Mita Corporation Toner seal for a cleaning device
JP3661644B2 (ja) * 2001-12-28 2005-06-15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現像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CN201000536Y (zh) * 2007-01-09 2008-01-02 珠海天威技术开发有限公司 显影剂盒
JP4946893B2 (ja) * 2008-01-29 2012-06-06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現像装置
JP5208000B2 (ja) * 2009-01-26 2013-06-12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方法
JP6066639B2 (ja) * 2012-09-13 2017-01-25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5750423B2 (ja) * 2012-11-30 2015-07-22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クリーニング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ベルト搬送装置並びに画像形成装置
JP6361297B2 (ja) * 2013-10-21 2018-07-25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現像装置
JP6274892B2 (ja) * 2014-02-04 2018-02-07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収容器、カートリッジ、画像形成装置
JP6584138B2 (ja) * 2014-06-17 2019-10-02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カートリッジ、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CN204009376U (zh) * 2014-06-27 2014-12-10 珠海赛纳打印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处理盒
JP2016020986A (ja) * 2014-07-15 2016-02-04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現像装置
CN204631442U (zh) * 2015-05-14 2015-09-09 江西镭博钛电子科技有限公司 出粉刀及显影盒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76978A (ja) * 2011-09-16 2013-04-25 Ricoh Co Ltd 現像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5132675A (ja) * 2014-01-10 2015-07-23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8693737B (zh) 2021-08-03
US10310412B2 (en) 2019-06-04
CN108693737A (zh) 2018-10-23
US20180284648A1 (en) 2018-10-04
KR20180111595A (ko) 2018-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25153B1 (ko) 현상 장치, 카트리지 및 화상 형성 장치
JP3403094B2 (ja) 現像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5568780B2 (ja) 現像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US6654576B2 (en) System for and method of reducing toner seal leakage by the introduction of a step groove in the developer roller
JP2009003280A (ja)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画像形成装置
US7027753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for preventing image deterioration caused by fallen conductive brush and scatter of developer
US7668481B2 (en) Developing device and image forming device including a seal member
JP6112856B2 (ja)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画像形成装置
CN107505819B (zh) 显影装置以及图像形成装置
JP6672354B2 (ja) 現像装置、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4468226B2 (ja) トナー収容容器のシール機構及び現像剤補給装置
JP4785554B2 (ja) 現像装置,画像形成装置
JP4280537B2 (ja) 画像形成装置
KR101753500B1 (ko) 현상 유닛 및 프로세스 카트리지
JP3984326B2 (ja) 現像装置とこれを装着した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4070672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3294152A (ja) シール機構、材料漏れ低減方法およびローラ
JP5583522B2 (ja) 現像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4816168B2 (ja) 現像装置
JP2017181972A (ja) 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2005189555A (ja) クリーニングブレード
JP2005234293A (ja) 現像ローラ、現像装置、プロセスユニット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7047396A (ja) 現像装置
JP2008134404A (ja) 現像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2008134386A (ja) トナー漏れ防止装置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